반응형

1.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스프링클러 설비
⊙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
⊙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
⊙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 설비
⊙ 부압식 스프링클러 설비

◈ 스프링클러설비의 비교

 

1.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 스프링

     클러 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에 유수가 발생하여 습식 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 설비

 

① 구성 요소

  ㉠ 수원    ㉡ 가압송수장치    ㉢ 배관 ㉣ 송수구    ㉤ 습식 유수검지장치 (알람체크밸브)   ㉥ 시험장치   ㉦ 헤드 (폐쇄형)

  ㉧ 제어반   ㉨ 전원   ㉩ 배선

[참고]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작동 흐름도

 

 ② 알람체크밸브 (Alarm check valve)

 

  ㉠ 알람체크밸브 (자동경보밸브) :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 유수발 생하여 작동하게 되어 1차측

                                                        가압수2차측으로 송수한다.

  ㉡ 압력스위치 : 알람체크밸브에 설치되어 헤드가 개방, 2차측으로 물이 송수되어 압력 스위치 내의 벨로스 (Bellows)가

                            가압되면 접점이 붙어 제어반에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

  ㉢ 1차측 압력계 : 클래퍼 아래측, 즉 펌프측의 압력을 지시

  ㉣ 2차측 압력계 : 클래퍼 위측, 즉 헤드측의 압력을 지시

  ㉤ 배수밸브 : 알람체크밸브의 작동시험 및 2차측 배관의 청소 또는 수리 등이 필요할 때 개방하여 사용하는 밸브

  ㉥ 리타딩 챔버 : 누수로 인한 습식 유수검지장치의 오작동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리타딩챔버의 역할(용도)

                             다음과 같다.

    ⊙ 습식 유수검지장치의 오작동 방지

    ⊙ 안전장치의 기능

    ⊙ 배관압력스위치소손방지

 

[참고] 리타딩챔버가 설치된 알람체크밸브에 비화재시 오보가 울릴 경우 점검사항

  ① 리타딩 챔버 상단에 설치된 압력스위치의 상태 점검

  ② 리타딩 챔버 상단에 설치된 압력스위치 배선의 누전 및 합선 상태 점검

  ③ 리타딩 챔버 오리피스의 상태 점검

 ③ 패들형 유수검지장치

  ㉠ 배관 내에 유체가 흐르면 패들(Paddle)이 움직여 접점이 붙어 제어반신호를 보내는 유수검지장치

 

  ㉡ 기능

    ⊙ 유수 경보 기능

    ⊙ 호칭구경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

[참고] 자동경보장치의 압력스위치와 압력 챔버의 압력스위치의 비교 - 6~7년에 한번

구 분
자동경보장치의 압력 스위치
압력챔버의 압력 스위치
설치목적
자동경보밸브의 작동신호를 감시
제어반에 보내 화재발생을 알리기위하여
배관내 압력변동을 감지하여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기 위하여
작동방법의
차이점
리타딩챔버 또는 압력스위치 내의
압력 증가시 접점이 붙어 작동
압력 챔버 내의 압력 저하시 접점이
붙어 작동
 

2.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 건식 유수검지장치 2차측에 압축공기 또는 질소 등의 기체로 충전된 배관에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부착된 스프링클

     러 설비로서,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어 배관 내의 압축공기 등이 방출되면 건식 유수검지장치 1차측의 수압

     에 의하여 건식 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설비

 
 

 ① 구성요소

  ㉠ 수원      ㉡ 가압송수장치   ㉢ 배관    ㉣ 송수구    ㉤ 건식유수검지장치(드라이밸브)  ㉥ 시험장치   ㉦ 헤드 (폐쇄형)

  ㉧ 제어반   ㉨ 전원          ㉩ 배선

 

 ② 드라이밸브 (Dry valve)

 

  ㉠ 액셀레이터 (Accelerator), 익져스터 (Exhauster) : 긴급개방장치 (Quick opening device)를 말하며 드라이 밸브 개방시

        2차측 압축공기신속히 배출시켜 1차측 가압2차측에 신속히 송수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 에어레귤레이터 (Air regulator) : 자동식 공기압축기일반 컴프레셔를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 밸브와 공기공급관

                                                             사이에 설치하여 공기를 조절한다.

  ㉢ 로우알람밸브 (Low alarm switch) : 드라이밸브 2차측의 헤드 개방 또는 압축공기의 누설이 될 경우 경보하는 장치

       이다.

  ㉣ 자동식 공기압축기 (Auto type compressor) : 드라이밸브의 2차측 배관에 연결하여 2차측 배관의 압축공기를 채우는

       장치이다.

[참고] 건식 밸브의 클래퍼 상부에 일정한 수면을 유지하는 이유

  ① 클래퍼 2차측에 물을 채워둠으로서 클래퍼 쪽으로 작용하는 공기압력이 클래퍼에 수직으로 균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② 2차측 공기압, Priming water의 자체 중량, 클래퍼의 자체중량이 2차측에서 1차측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클래퍼 1차

       측, 2차측의 면적비 중 2차측 공기압을 받는 면적이 1차측 수압을 받는 면적보다 더 크므로 낮은 공기압으로도 파스칼

       의 원리에 의해 압력차를 유지하게 된다.

  ③ 클래퍼에 틈새가 생겨 누수가 되면 드레인 밸브에서 물방울이 떨어지게 되므로 클래퍼의 완전 폐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④ 클래퍼 2차측의 공기압은 가압수 압력에 비해 약 1/5 정도이다. 따라서 화재시 약 10% 정도의 압력 감소로도 클래퍼가

       쉽게 개방된다.

  ⑤ 클래퍼 2차측에 낮은 공기압을 채워둠으로서 화재시 클래퍼를 신속하게 개방하여 소화할 수 있다.

[참고]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압축공기 공급장치 배관도

 

3.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

가압송수장치에서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1차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측에서 폐쇄형 스프링클

     러 헤드까지 대기압 또는 저압으로 있다가 화재발생시 감지기의 작동으로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여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소화용수가 송수되어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열에 따라 개방되는 방식의 스프링클러 설비

 

 ① 구성요소

  ㉠ 수원    ㉡ 가압송수장치    ㉢ 배관    ㉣ 송수구    ㉤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프리액션밸브)  ㉥ 감지기 ㉦ 기동장치    ㉧ 헤드 (폐쇄형)    ㉨ 제어반    ㉩ 전원    ㉪ 배선

[참고]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 흐름도

 

 ② 프리액션밸브 (Preaction valve)

  ㉠ 슈퍼비죠리판넬 (Supervisory panel) : 전원램프, 밸브 개방 확인 램프, 밸브 주의 확인램프, 수동기동 스위치, 전화로

                                                                      구성

  ㉡ 솔레노이드 밸브 (Solenoid valve) : 감지기 또는 슈퍼비죠리판넬에서 수동기동시리액션밸브를 개방시키는 밸브

  ㉢ 감지기 (Detector)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에서 경보프리액션밸브개방키는 역할을 한다.

 

 ③ 프리액션밸브의 종류 (10년에 한번 출제)

   ㉠ 전기식 : 준비작동식 밸브 클래퍼를 기준으로 1차측에는 가압수, 2차측에는 대기압태로 있다가 화재감지기가 동작

                      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작동하여 클래퍼가 열려 준비 작동식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식

   ㉡ 기계식 : 준비작동식 밸브 클래퍼를 기준으로 1차측에는 가압수, 2차측에는 대기압태로 있다가 화재감지가가 동작

                      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여 중간 챔버 (다이어프램)실의 배수되고, 중간챔버 급수배관의 제한

                      오리피스로 인해 배수량이 급수량을 능가하여 중간챔버가 감압되어 압력균형이 깨져서 푸시로드 (push-rod)

                      가 래치 (latch)를 고정해제하여 클래퍼가 열려 준비작동식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식

   ㉢ 뉴메틱식 : 준비작동식 밸브 클래퍼를 기준으로 1차측에는 가압수, 2차측에는 대기압 상태로 있다가 감지기릴리즈

                      박스 (Release box)에 가압공기를 채워두고 에 의감지기공기팽창되면 동관을 통해 릴리즈 박스

                      공기팽창하여 이 팽창력의해 다이어프램작동 클래퍼가 열려 준비작동식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식

[참고] PORV (Pressure Operated Relief Valve) : 5년에 1번 출제

  ① 차압자동식 다이어프램 타입프리액션밸브자력에 의해 복구하려는 성질이 있으며 복구시 수격현상에 의해 밸브

       가 파손되어 소화에 지장을 가져온다. 따라서, 다이어프램의 수압을 배출하여 밸브의 폐쇄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② PORV프리액션밸브 작동 후 다이어프램실로 1차측 가압수가 들어가 밸브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차측

       가압수 압력으로 1차측과 다이어프램을 연결하는 배관을 차단하는 밸브를 말하며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제거

       밸브이다.

 

[참고] 스프링클러 설비의 차이점

 

가.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차이점

습 식
건 식
① 습식 유수검지장치를 기준으로 1차측, 2차측 배관 내에
     가압수로 채워져 있다.
② 구조가 간단하다.
③ 2차측 배관에 보온이 필요하다.
④ 설비비가 저가이다.
⑤ 소화개시 시간이 빠르다.
⑥ 평상시 2차측 배관에 누수의 우려가 있다.
⑦ 알람체크밸브를 사용한다.
① 건식 유수검지장치를 기준으로 1차측에는 가압수,
     2차측에는 압축공기 또는 질
소 등으로 채워져 있다.
② 구조가 복잡하다.
③ 2차측 배관에 보온이 불필요하다.
④ 설비비가 고가이다.
⑤ 소화개시 시간이 느리다.
⑥ 평상시 2차측 배관에 누수의 우려가 없다.
⑦ 드라이밸브를 사용한다.

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와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차이점

습 식
준비 작동식
① 습식 유수검지장치를 기준으로 1차측, 2차측 배관 내에
     가압수로 채워져 있다.
② 구조가 간단하다.
③ 2차측 배관에 보온이 필요하다.
④ 설비비가 저가이다.
⑤ 소화개시 시간이 빠르다.
⑥ 평상시 2차측 배관에 누수의 우려가 있다.
⑦ 알람체크밸브를 사용한다. 
①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를 기준으로 1차측 배관 내에는
     가압수로 충수, 2차
측 배관내에는 대기압 상태로 되어 있다.
② 구조가 복잡하다.
③ 2차측 배관에 보온이 불필요하다.
④ 설비비가 고가이다.
⑤ 평상시 2차측 배관에 누수의 우려가 없다.
⑥ 기동장치로 감지기가 필요하다.
⑦ 프리액션밸브를 사용한다.

다.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와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차이점

건 식
준비 작동식
① 건식 유수검지장치를 기준으로 1차측 배관 내에는
     가압수로 충수, 2차측에는
배관 내 압축공기 또는
     질소 등으로 채
워져 있다.
② 기동장치로 감지기가 필요없다.
③ 드라이 밸브를 사용한다.
①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를 기준으로 1차측 배관 내에는
     가압수로 충수, 2차
측 배관내에는 대기압 상태로 되어 있다.
② 기동장치로 감지기가 필요하다.
③ 프리액션밸브를 사용한다.

4. 일제 살수식 스프링클러 설비 ★★

 

가압송수장치에서 일제개방밸브 1차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측에서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대기압으로 있다가 화재발생시 자동감지장치 또는 수동식 기동장치의 작동으로 일제 개방밸브가 개방되면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소화용수가 송수되는 방식의 스프링클러 설비

  ※ 무대부,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① 구성요소

  ㉠ 수원    ㉡ 가압송수장치    ㉢ 배관    ㉣ 송수구    ㉤ 일제개방밸브 (델루지밸브)   ㉥ 감지기 ㉦ 기동장치

  ㉧ 헤드 (개방형)    ㉨ 제어반   ㉩ 전원    ㉪ 배선

② 델루지밸브 (Deluge valve)

  ㉠ 가압개방식 : 화재감지기 또는 수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자개방밸브를 개방시키거나 수동개방밸브를 개방하면

                           가압수가 중간챔버를 가압하여 경보델루지밸브가 개방하는 방식

  ㉡ 감압개방방식 : 화재감지기 또는 수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자개방밸브를 개방시키거나 수동개방밸브를 개방하면

                            가압수가 중간챔버를 감압하여 경보델루지 밸브가 개방하는 방식

 

5.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 가압송수장치에서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의 1차측 까지는 항상 정압의 물이 가압2차측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까지는 소화수가 부압으로 되어 있다가 화재시 감지기의 작동에 의해 정압으로 변하여 유수가 발생하면 작동하는

      스프링클러 설비

 

① 구성요소

  ㉠ 수원    ㉡ 가압송수장치    ㉢ 진공펌프    ㉣ 배관    ㉤ 송수구  ㉥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프리액션밸브)

  ㉦ 감지기    ㉧ 기동장치    ㉨ 헤드 (폐쇄형)  ㉩ 제어반   ㉪ 진공제어반   ㉫ 전원    ㉬ 배선

②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의 효과

  ㉠ 스프링클러설비 오작동시 소화수 방출에 의한 수손피해방지한다.

  ㉡ 배관 등의 부식으로 인한 소화수 방출사고예방한다.

  ㉢ 지진 등의 외력으로 인한 배관 이탈에 따른 소화수 방출사고를 예방한다.

  ㉣ 기존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대체할 경우 공기배출시간제거되어 초기 진화능력

       우수해진다.

③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오작동시 작동 흐름

 

④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오작동시 작동 설명

  ㉠ 스프링클러 헤드 파손

  ㉡ 공기 흡입

  ㉢ 2차측 압력 상승

  ㉣ 진공 스위치 작동

  ㉤ 스프링클러 설비 배관 고장 신호 표시 및 경보

  ㉥ 진공밸브 개방 제어

  ㉦ 연속공기흡입 (진공스위치 연동)

⑤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화재시 작동 흐름

 

⑥ 부압식 스프링클러 설비 화재시 작동 설명

   ㉠ 화재 발생

   ㉡ 화재감지기 작동 (화재표시 → 화재예고신호 → 화재판정 → 화재방송)

   ㉢ 진공펌프 작동 정지 제어

   ㉣ 진공스프링클러설비 제어부 화재신호 (화재판정 후 → 화재신호 송출)

   ㉤ 기동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개방)

   ㉥ 프리액션밸브 개방으로 2차측으로 소화수 유입 (2차측 부압 → 정압 가압)

   ㉦ 유수검지스위치 (압력스위치) 작동

   ㉧ 유수검지신호를 감시제어반(수신부)에 송출 (감시제어반(수신부) 작동 표시)

   ㉨ 폐쇄형 헤드 개방

   ㉩ 소화

#스프링클러설비 #습식스프링클러설비 #건식스프링클러설비 #준비작동식 #알람체크밸브 #드라이밸브 #프리액션밸브 #델루지밸브 #일제개방밸브 #수퍼비죠리판넬 #리타딩챔버 #압력스위치 #클래퍼 #다이어프램

반응형
반응형

1. 배관 기호

 ▣ 다음에서 배관 기호 ㉮ STS, ㉯ SPP, ㉰ KS C 8401의 정확한 명칭을 쓰시오.

 

  ㉮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 배관용 탄소 강관 ㉰ 강제 전선관

    ※ STS는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SPP는 배관용 탄소 강관, KS C 8401은 강제 전선관이다.

2. 티 (Tee)

  ▣ 다음 기계 요소의 명칭을 쓰시오.

 

  ⊙ 정답 : 티, T

    ※ 배관용 부품으로 정 T이다. 줄임 T는 큰 지름과 작은 지름을 같이 표시한다.

3. 배관 연결

  ▣ 다음 부품 ㉮, ㉯, ㉰, ㉱ 의 명칭을 쓰시오.

 

        ㉮ 유니언 조인트               ㉯ 줄임 엘보                   ㉰ 줄임 티              ㉱ 줄임 소켓

         ※ ㉮는 유니언 ㉯ 이경 엘보 ㉰ 이경 티 ㉱ 리듀서라고도 한다.

4. 유니언 조인트

 ▣ 다음 요소의 명칭과 정확한 세부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유니언 조인트

  ② 부품 명칭 ㉮ 유니언 너트 ㉯ 유니언 플랜지 ㉰ 패킹 ㉱ 유니언 나사

     ※ 유니언 조인트의 구조

 

5. 브래킷 달림 롤러판 지지구

 ▣ 다음 요소의 명칭을 쓰시오.

 
 

 

 ▣ 브래킷 달림 롤러관 지지구

   ※ 브래킷 달림 롤러관 지지구는 가급적 지금이 큰 관에서 약간의 진동 등이 발생되는 곳에 사용한다.

6. 고정관 매달기

 ▣ 다음 기계 요소의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고정관 매달기

  ※ 고정관 매달기는 여러 개의 전선관 등을 천장에 매달 때 사용한다.

7. 게이트 밸브

 ▣ 다음에서 보여주는 밸브의 명칭과 밸브에서 스템과 시트의 운동형태, 사용상 단점 3가지를 쓰시오.

 

  ① 명칭 : 게이트 밸브

  ② 운동형태 : 직선 미끄럼 운동

  ③ 단점 ㉠ 밸브 개폐에 시간이 소요된다.

               ㉡ 마멸이 쉽다.

               ㉢ 수명이 짧다.

  ※ 게이트 밸브는 슬루스 밸브의 일종이다.

  ※ 슬루스 (Sluice) : 수문의 설치목적과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슬루스는 제방을 가로질러 통수로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8. 글로브 밸브

 ▣ 다음에서 보여주는 기계요소의 명칭을 쓰시오.

 ▣ 명칭 : 글로브 밸브

  ※ 글로브 밸브는 보통 밸브 박스가 구형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주로 교축 기구로서 쓰인다.

      구조상 유로가 S형이고 유체의 저항이 커 압력 강하가 큰 단점이 있으나 개폐가 빠르고 구조가 간단하며 저렴하여

        많이 사용된다.

9. 앵글 밸브

 ▣ 다음에서 보여 주는 기계요소의 명칭을 쓰시오.

 

 ▣ 명칭 : 앵글 밸브

  ※ 앵글밸브는 L형 밸브라고도 하며, 관의 접속구가 직각으로 되어 있다.

10. 다이어프램 밸브, 스윙 체크 밸브

  ▣ 다음에서 보여주는 기계 요소 ㉮, ㉯의 명칭을 쓰시오.

 

  ▣ 명칭 :   ㉮ 다이어프램 밸브,                        ㉯ 스윙 체크 밸브

   ※ 다이어프램 밸브는 화학 액체 수송용이며, 스윙 체크 밸브는 역류 방지 제어용 이다.

11. 다이어 프램 밸브

  ▣ 다음 요소의 명칭과 장점 3가지를 쓰시오.

 

  ① 명칭 : 다이어프램 밸브

  ② 장점 ㉠ 내화학 약품성이 좋다.

               ㉡ 유체 흐름 저항이 적다.

               ㉢ 부식의 염려가 없다.

  ※ 다이어 프램 밸브는 각종 화학류 액체 수송용으로 사용된다.

12. 버터 플라이 밸브

  ▣ 다음 부품 명칭을 쓰시오.

 

  ▣ 명칭 : 버터플라이 밸브

  ※ 버터플라이 밸브는 원형 밸브판의 지름을 축으로 하여 밸브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나 기밀을

       완전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13. 스윙(식) 체크 밸브

  ▣ 다음 기계요소의 형식과 명칭을 쓰시오.

 

   ▣ 형식 · 명칭 : 스윙(식) 체크 밸브

      ※ 스윙(식) 체크밸브의 밸브체는 힌지 핀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다.

14. 볼 밸브

  ▣ 다음의 기계요소의 명칭과 이음 형식을 쓰시오.

 

  ① 명칭 : 볼 밸브

  ② 이음 형식 : 나사 이음

     ※ 볼 밸브는 가스 차단용, 드레인용 등으로 사용된다.

#볼밸브 #스윙체크밸브 #버터플라이 #다이어프램 #앵글밸브 #글로브밸브 #게이트밸브

#슬루스밸브 #브래킷 #유니언플랜지 #유니언나사 #유니언너트 #엘보 #유니언조인트

#줄임소켓 #스테인레스강관 #탄소강관 #강제전선관

반응형
반응형

압력제어 밸브는 유압회로 내의 압력을 설정값으로 유지하거나, 회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정해진 순서 방법에 따른 회로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 밸브이며, 크게 압력 제어 밸브, 감압밸브, 시퀀스 밸브로 구분된다.

개구 면적의 개폐 기구의 형상에 따라 스풀형과 포핏형으로 구분된다.

1. 압력제어(릴리프) 밸브(Pressure Relief Valve)

릴리프 밸브는 유압시스템 내부의 압력을 미리 설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면 안전 기능(이 경우 Safety 밸브라 부르기도 함)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구동 방식에 따라 직동형(Direct-operated)과 파일럿 작동형(Pilot-operated)으로 구분된다

 

직동형 릴리프 밸브의 기호(좌), 기능(중), 실제품(우)

릴리프 밸브(특히 직동형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압력 또는 유량이 증가할 수록 진동을 일으키기 쉽다. 이런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댐핑 스풀 체임버에 오리피스를 설치하거나 댐핑 스풀의 외면 일부를 절단하거나, 댐핑 스풀과 슬리브 사이에 적절한 간극(댐핑 갭)을 두는 방법이 있다. 압력제어 밸브는 시스템의 통과 유량보다 최소 1단계 큰 것을 사용하는 것(여유 분 20~30%이상)이 시스템 안정상 좋다.

파일럿 작동형 밸브는 큰 유량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주로 사용된다. (실제 큰 유량의 제품은 대부분 Pilot 작동형이다)

 

파일럿 작동형 리리프 밸브의 기호(좌), 내부구조(중), 실제품(우)

릴리프 밸브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과도 응답특성과 소음 및 진동 문제이다.

과도 응답 특성은 유압시스템에서 압력이나 유량이 급격하게 변동할 때, 릴리프 밸브가 신속하게 반응하여 설정한 압력값으로 복귀시키는 능력으로 부하 유량이 급격한 변동이 될 때, 압력 로딩/언로딩시에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실제 유압시스템은 펌프로부터 맥동류에 기인한 압력 맥동이 존재하며 이러한 릴리프 밸브의 소음과 진동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유량이 큰 밸브나 댐핑형 스풀의 사용, 쿠션용 오리피스 등을 사용하여 이 현상을 줄이도록 한다.

2.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감압밸브는 주로 유압회로의 2차측 압력을 주회로(1차측) 압력보다 낮은 압력 설정값을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직동형과 파일럿 작동형으로 구분된다.

기본적인 동작원리는 릴리프 밸브와 유사하나, 2차측의 압력을 피드백 받아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직동형 감압밸브의 기호(예), 동작원리, 실제품

 

파일럿 구동형 감압밸브의 예

3. 기타

이 외에도 그 기능에 따라 시퀀스 밸브, 차단 밸브, 카운터 밸런드 밸브 등으로 불려지나 주 기능은 위의 2가지 형태 (릴리프 밸브 또는 감압밸브)를 기본으로 응용된다.

4. 공기 정화 시스템

▣ 공기 정화 장치는 압축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기름, 수분 등의 오염물질을 요구 정도의 기준치이내로 제거하여 최적

     상태의 압축 공기로 정화하는 기기이다.

  ① 냉각기 (after cooler) : 냉각기에는 공랭식과 수랭식이 있다.

  ② 공기 건조기 (air dryer) : 공기 건조기에는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식 공기 건조기와 실리카 겔, 활성 알루미나 등을 이용

                                             한 흡착식 공기 건조기 및 화학적 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흡수식 공기 건조기가 있다.

  ③ 공기 여과기 (air filter) : 공기에 있는 수분,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압 기기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입구부에

                                            공기 여과기를 설치한다.

  ④ 윤활기 (lubricator) : 공압 기기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급유를 공급하는 장치로 최근에는

                                        그리스 등이 미리 봉입되어 있는 무급유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⑤ 공기 조정 유닛 (air control unit, service unit) : 공기 필터, 공기 조정기, 윤활기, 압력계가 한 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기기

                                        가 작동할 때 선단부에 설치하여 기기의 윤활과 이물질 제거, 압력 조정, 드레인 제거를 행할 수

                                         있도록 제자괸 것이다.

가. 공압 시스템 구성요소

 

  ① 전기 모터 또는 다른 원동기 (Prime mover)

  ② 대기로 부터 들어 오는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 (Compressor)

  ③ 필요한 양의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 탱크 (Air Tank)

  ④ 공기의 방향, 압력,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 (Control valve)

  ⑤ 압축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 (직선 또는 회전운동)로 바꾸는 작동기 (Actuator)

  ⑥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압축공기를 수송하는 배관

 

나. 압축기의 종류

 

다. 왕복식 공기압축기 (Air compressor)의 작동 원리

 

라. 공기 압축기의 그림 기호

 

마. 공기 탱크 (Air Tank)

 

바. 냉각기 (After cooler)

 

사. 건조기 (Air Dryer), 냉동식

 

아. 건조기 (Air Dryer), 화학 촉매식

 

자. 공기 필터 (Air filter)

  ▣ 먼지, 수분, 공기 압축기의 윤활유나 산화 생성물 (타르, 카본), 배관의 녹, Seal 재의 마멸 조각 등 각종 이물질의 혼합

       물 제거

 

차. 압력조정기

 
 

카. 윤활기 (Lubricator)

 

타. 공압 서비스 유닛 (Air service unit)

  ▣ 구성

 

  ▣ 그림 기호

 

【 출제 예상 문제 】

1. 공기압 장치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 [15-2]

  ① 공기 탱크      ② 공기 압축기       ③ 애프터 쿨러 (after cooler)          ④ 어큐뮬레이터 (accumulator)

[해설] 어큐뮬레이터 (accumulator)는 유압 기기로서 유압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2. 일반적인 공압 발생 장치의 기기 순서로 옳은 것은 ? [12-4, 18-4]

  ① 공기 압축기 → 냉각기 → 저장탱크 → 에어드라이어 → 공압 조정 유닛

  ② 공기 압축기 → 저장 탱크 → 에어 드라이어 → 후부 냉각기 → 배관 및 공압 조정 유닛

  ③ 공기 압축기 → 에어 드라이어 → 저장탱크 → 후부냉각기 → 배관 및 공압 조정 유닛

  ④ 공기 압축기 → 공압 조정 유닛 → 에어 드라이어 → 저장 탱크 → 후부 냉각기 → 배관

3. 기계적 에너지를 공기의 압력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는 ? [19-2]

   ① 공기 압축기      ② 공기압 모터      ③ 루브리케이터         ④ 공기압 실린더

[해설] 모터, 실린더인 액추에이터는 유체 압력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압축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유체 압력 에너지로

           변환한다.

4. 다음 중 공기압 발생 장치의 원리가 다른 것은 ? [06-4]

   ① 베인 압축기       ② 나사형 압축기         ③ 터보 압축기        ④ 피스톤 압축기

5. 다음 중 회전식 공기 압축기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2-4, 18-2]

   ① 베인형          ② 스크롤형           ③ 루트 블로어             ④ 다이어프램형

[해설] 다이어프램형은 왕복식이다.

6. 스크류 압축기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4-4]

  ① 회전축이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진동이 적다.               ② 저주파 소음이 없어서 소음 대책이 필요없다.

  ③ 연속적으로 압축 공기가 토출되므로 맥동이 적다.        ④ 압축기의 스크류 마찰부는 급유에 유의한다.

[해설] 스크류 압축기는 압축실 내의 접동부가 적으므로 무급유 제작 및 사용이 가능하다.

7. 공기 압축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 [11-4]

  ① 왕복 피스톤형 압축기       ② 트로코이드형 압축기        ③ 스크류형 압축기        ④ 터보형 압축기

[해설] 트로코이드형은 유압 펌프의 일종으로 내접 기어형 펌프이다.

[정답]    1. ④      2. ①     3. ①        4. ③        5. ④       6. ④         7. ②

8. 공기압 발생장치의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 [13-4]

   ① 압축기는 공기압 발생장치로 사용된다.

   ② 압축기는 흡입 공기를 소정의 압력까지 압축하고 이를 외부로 압출하는 2가지 기능을 해야 한다.

   ③ 압축기의 종류에는 피스톤식, 스크류식, 기어식 그리고 베인식이 있다.

   ④ 압축기는 통상적으로 사용 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1㎏ㄹ/㎠ 이상의 압축 공기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 압축기는 기어식이 사용되지 않는다.

9. 다음 중 공기압 발생장치의 원리가 다른 것은 ? [16-2]

   ① 베인 압축기        ② 터보 압축기        ③ 나사형 압축기         ④ 피스톤 압축기

10. 공압 발생 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 [18-1]

   ① 냉각기         ② 압축기          ③ 증압기          ④ 에어 탱크

[해설] 증압기는 표준 유압 펌프 하나만으로 얻을 수 있는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11. 압축기 흡입 필터의 눈 막힘 발생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7-2]

   ① 용적 효율이 저하된다.                           ② 윤활유의 소비가 증가된다.

   ③ 실린더와 피스톤이 마모된다.                ④ 토출 라인의 드레인과 진동이 감소된다.

12. 다음 중 압축공기의 소모량에 따라 공기 압축기의 운전을 조절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9-1]

   ① 저속 조절       ② 전압 조절          ③ 무부하 조절            ④ ON / OFF 조절

[해설] 무부하 제어 (No - load regulator)

  ㉠ 배기 제어 : 가장 간단한 제어 방법으로 압력 안전 밸브 (pressure relief V/V)로 압축기를 제어한다. 탱크 내의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안전 밸브가 열려 압축공기를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며 체크 밸브가 탱크의 압력이 규정값

                         이하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 차단제어 (shut-off regulator) : 피스톤 압축기에서 널리 사용되는 제어로서 흡입 쪽을 차단하여 공기를 빨아 들이지

                      못하게 하며, 기압 보다 낮은 압력 (진공압)에서 계속 운전된다.

  ㉢ 그립 - 암 (grip - arm) 제어 : 피스톤 압축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흡입 밸브를 열어 압축공기를 생산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13. 공기 압축기의 선정 시에는 사용 공기량의 수요 증가 또는 손실 공기량을 고려하여 몇 배 크기의 압축기를 선정하는 것

      이 바람직한가 ? [10-4]

   ① 1.5 ~ 2배 정도 크기           ② 2.5 ~ 3배 정도 크기            ③ 3.5 ~ 4배 정도 크기          ④ 4.5 ~ 5배 정도 크기

14. 공기 압축기의 설치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16-4]

  ① 고온 다습한 장소에 설치한다.                           ② 지반이 견고한 장소에 설치한다.

  ③ 옥외 설치시 직사광선을 피한다.                        ④ 고장수리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한다.

[해설] 압축기의 설치 조건

   ㉠ 저온, 저습한 장소에 설치하여 드레인 발생 억제

   ㉡ 지반이 견고한 장소에 설치 (하중 5t/㎡을 받을 수 있어야 하고, 접지 설치)

   ㉢ 유해 물질이 적은 곳에 설치

   ㉣ 압축기 운전시 진동 고려 (방음, 방진벽 설치)

   ㉤ 우수, 염풍, 일광의 직접 노출을 피하고 흡입 필터 부착

[정답]    8. ③     9. ②      10. ③     11. ④       12. ②       13. ①      14. ①

15. 다음 중 공기 압축기 토출부 직후에 설치하여 공기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공압 관로 중의 수분을 분리 · 제거하는 기기

      는 무엇인가 ? [16-4, 20-3]

   ① 냉각기         ② 드레인 분리기          ③ 메인 라인 필터           ④ 오일 미스트 세퍼레이터

[해설] 냉각기는 압축기 토출부 직후에 설치하여 공기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공압 관로 중의 수분을 분리 · 제거하는 기기

          로 공랭식, 수랭식, 강제식이 있다.

16. 공기 냉각기 (애프터 쿨러)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20-4]

   ① 공기 압축기 후단, 에어드라이어 앞단에 설치한다.

   ② 공랭식은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열판을 설치하며 수랭식에 비해 교환열량이 크다.

   ③ 압축기에서 나온 뜨거운 압축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수증기의 약 60% 정도를 제거한다.

   ④ 공랭식을 사용하면 냉각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수가 쉽고 유지비가 적게 든다.

[해설] 공랭식 냉각기는 수랭식에 비해 교환 열량이 적다.

17. 수랭식 공기 냉각기와 비교하여 공랭식 공기 냉각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 [19-4]

   ① 보수가 용이하다.      ② 냉각 효율이 좋다.      ③ 유지비가 적게 든다.     ④ 단수나 동결의 염려가 없다.

[해설] 공랭식 냉각기 : 공기 배관에 방열용의 냉각 핀 (fin)을 붙이고, 팬으로 송풍하여 냉각하게 되어 있으며, 공기가 잘

                    통하도록 벽으로 부터 어느 정도 떨어지게 설치해야 한다. 냉각수의 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단수나 동결의 염려

                    가 없고 보수가 쉬우며 유지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18. 다음 압축 공기 청정화 기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06-4]

  ① 후부 냉각기 (after cooler)는 액추에이터의 후부에 설치한다.

  ② 압축 공기가 현저하게 오염되어 있을 때에는 오일 미스트 분리기를 사용한다.

  ③ 제습기에는 냉동식과 흡수식 및 흡착식이 있다.

  ④ 드레인 자동 배출 방법에는 플로트식과 차압식이 있다.

[해설] 후부 냉각기는 압축기의 후부에 설치한다.

19. 압축 공기의 건조 방식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08-4]

   ① 흡수식          ② 흡착식            ③ 냉동 건조식            ④ 고온 건조식

[해설] 압축공기 건조방식은 흡수식, 흡착식, 냉동식이 있다.

20. 압축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1-4]

   ① 수랭식 건조기        ② 흡수식 건조기          ③ 흡착식 건조기            ④ 냉동식 건조기

21. 실리카겔 (SO2 : 실리콘 디옥사이드)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압축 공기 속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은 ? [18-4]

   ① 고온 건조        ② 저온 건조        ③ 흡수식 건조         ④ 흡착식 건조

[해설] 흡착식 드라이어 : 습기에 대하여 강력한 친화력을 갖는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등의 고체 흡착 건조제를 두개의

           타워 속에 가득 채워 습기와 미립자를 제거하여 건조 공기를 토출하며 건조제를 재생 (제습 청정)시키는 방식이다.

           최대 -70℃ 정도까지의 저노점을 얻을 수 있다.

22. 다음 공기압 서비스 유닛에서 기기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 [19-2]

   ① 필터 → 압력 조절기 → 윤활장치                  ② 윤활장치 → 필터 → 압력 조절기

   ③ 윤활장치 → 압력 조절기 → 필터                  ④ 압력조절기 → 필터 → 윤활장치

[해설] 공기압이 건조기에서 서비스 유닛 내에 있는 필터를 통과한 후 압력게가 붙은 감압밸브인 압력조절기를 통과한 후

           윤활기를 거쳐 밸브로 공급된다.

23. 다음 중 공기압 조정 유닛의 구성요소로 맞는 것은 ? [07-4, 08-4, 13-4]

   ① 필터, 압력 조절기, 냉각기                   ② 윤활기, 압력 조절기, 건조기

   ③ 필터, 윤활기, 축압기                            ④ 필터, 윤활기, 압력 조절기

24. 공압에서 드레인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10-4]

   ① 사용 압력의 과다         ② 밸브의 가공 공차         ③ 수증기의 응축           ④ 조작 오류

25. 공압 시스템의 서비스 유닛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5-2]

   ① 서비스 유닛은 필터, 압력조절 밸브, 유활기로 구성된다.

   ② 압력 조절 밸브는 입구 측의 최대 압력 보다 높게 설정해야 한다.

   ③ 작동 속도가 빠르거나 직경이 큰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윤활기를 사용한다.

   ④ 필터 통과시 압력강하가 0.1 ~ 0.6 bar 이상이면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환해야 한다.

26. 공압 장치에서는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윤활을 한다.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윤활의 목적이 아닌 것은 ?

       [09-4]

   ① 기기의 윤활       ② 마모의 감소        ③ 공기 사용량 절감         ④ 부식 방지

[정답]    19. ④       20. ①       21. ④         22. ①         23. ④        24. ③        25. ②         26. ③

27. 윤활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6-2]

   ① 윤활기는 파스칼의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② 과도하게 윤활의 양이 많아도 부품들의 동작에 영향이 없다.

   ③ 직경이 125㎜ 이상인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윤활이 필요하다.

   ④ 윤활된 공기는 실린더 운동에 소모되어 환경오염에 영향이 없다.

[해설] ㉠ 윤활기는 가능한 한 실린더에서 가까이 설치한다.

          ㉡ 극히 고속의 왕복운동일 때 윤활이 필요하다.

          ㉢ 윤활기의 용기는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세척해서는 안되고, 광물성 기름으로 세척해야 한다.

 

28. 다음 공압 기기 중 방향제어 밸브의 응답 특성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 [13-4]

   ① 응답 속도는 직동식이 파일럿식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다.

   ② 응답 속도는 교류식이 직류식 보다 더 빠르다.

   ③ 응답 안정성은 직류식이 교류식 보다 더 좋다.

   ④ 직동형 밸브에서 밸브의 크기가 클수록 응답속도는 더 빠르다.

29. 공압에서 압력제어 밸브의 종류와 용도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① 감압밸브 -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                                 ② 압력 스위치 - 압력 상태를 연속적으로 지시

   ③ 시퀀스 밸브 - 작동 순서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동작     ④ 릴리프 밸브 - 시스템의 최대 허용 압력 초과 방지

30. 공압 실린더를 사용한 클림핑 장치에서 정전과 같은 비정상 시에 크램프가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향제어 밸브는

       ? [18-2]

   ① 판 슬라이드 플로트 위치형 밸브                                       ② 판 슬라이드 올 포트 블록형 밸브

   ③ 5포트 2위치 스프링 오프셋형 실글 솔레노이드 밸브        ④ 5포트 3위치 exhaust 센터형 더블 솔레노이드 밸브

31. 급속 배기 밸브의 사용목적은 ? [20-4]

   ① 실린더 피스톤을 보호한다.                              ② 실린더의 이동속도를 느리게 한다.

   ③ 실린더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한다.                 ④ 실린더의 피스톤이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고자 사용한다.

[해설] 급속 배기 밸브 (quick release valve or quick exhaust valve) : 액추에이터의 배출 저항을 적게 하여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밸브로 가능한 액추에이터 가까이에 설치하며, 충격 방출기는 급속 배기 밸브를 이용한 것이다.

32. 다음 중 공압 실린더의 배기압을 빨리 제거하여 실린더의 전진이나 복귀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린더와

      최대한 가깝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밸브는 어느 것인가 ? [07-4, 17-2, 18-2]

  ① 급속 배기 밸브         ② 배기 교축 밸브           ③ 압력 제어 밸브                ④ 쿠션 조절 밸브

[해설] 실린더의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밸브는 급속 배기 밸브이다.

[정답]    27. ③         28. ④         29. ②          30. ②        31. ③             32. ①

33.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움직일 경우 관성으로 인한 충격으로 실린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의 끝단에 쿠션 장치를 내장한 공압 실린더를 사용한다. 이러한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함께 사용하면 쿠션

      효과가 감소되는 요소는? [10-4]

   ① 파일럿 체크 밸브       ② 급속 배기 밸브         ③ 교축 릴리프 밸브        ④ 압력 조절 밸브

34. 공기의 흐름을 한 쪽 방향으로만 자유롭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흐름을 저지하는 밸브는 ? [07-4, 15-2]

    ① 차단 (shut-off) 밸브        ② 스풀(spool) 밸브         ③ 체크밸브 (check) 밸브         ④ 포핏(poppet)밸브

[해설] 체크 밸브 (check valve) : 역류 방지 밸브로 흡입형, 스프링 부하형, 유량 제한형, 파일럿 조작형으로 나눈다.

35. 압축공기가 2개의 입구 중 어느 하나에만 입력이 있어도 신호가 출구로 나가게 되는 밸브는 ?

   ① 2압 밸브           ② 셔틀 밸브            ③ 차단 밸브             ④ 체크 밸브

[해설] 셔틀 밸브 : 두 개의 공급포트와 하나의 출력포트를 가진 밸브로서 출력포트가 고압을 공급하는 포트에 반드시 접속

                             되고 저압측의 포트를 닫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직접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주회로에 사용하는 비교적

                             대유량인 것과 전공압 회로에 사용하는 소유량인 것이 있다. 전공압 회로에 사용되는 것은 OR 소자라고

                             도 한다

 

36. 다음 공기압 밸브 중 OR 논리를 만족시키는 밸브는 ? [10-4, 12-4, 19-2]

  ① 2압 밸브       ② 셔틀(shuttle) 밸브      ③ 파일럿 조작 체크밸브      ④ 3/2 - way 정상 상태 열림형 밸브

[해설] 셔틀 밸브 (shuttle valve, OR valve) : 3방향 체크 밸브, OR 밸브, 고압 우선 셔틀밸브라고도 하는데, 체크 밸브를 2개

           조합한 구조로 되어 있어 1개의 출구 A와 2개의 입구 X, Y가 있고, 공압 회로에서 그 종류의 공압 신호를 선택하여

           마스터 밸브에 전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37. 공압 밸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11-4, 19-4]

   ① 2압 밸브는 안전제어, 검사 기능 등에 사용된다.

   ② 2개의 압력 공기 중 압력이 높은 공압 신호만 출력되는 밸브를 셔틀 밸브라 한다.

   ③ 2개의 압축 공기가 입력되어야만 출구로 압축공기가 흐르는 밸브를 2압 밸브라 한다.

   ④ 셔틀밸브에서 2개의 공압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압력이 낮은 쪽이 먼저 출력된다.

[해설] 셔틀 밸브에서 2개의 공압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압력이 높은 쪽이 먼저 출력되므로 고압 우선 셔틀 밸브라고도

           한다.

38. 공압기기에 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어느것인가 ? [16-4, 20-3]

  ① 감압 밸브 : 2차 측의 압력을 일정하게 한다.                     ② 셔틀 밸브 : 안전장치, 검사 기능, 연동제어에 사용된다.

  ③ 압력 스위치 : 공기 입력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④ 시퀀스 밸브 :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작동시킨다.

[해설] 셔틀밸브는 양쪽 제어 (double control)밸브 또는 양쪽 체크밸브 (double check valve)라고 한다. 두 개의 입구 X와 Y

          를 갖고 있으며 출구는 A 하나이다. 이 밸브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신호 밸브 (signal valve)로 부터 나오는 신호를

          분류하고, 제2의 신호 밸브로 공기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해 주기 때문에 OR 요소라고도 한다. 만약, 실린더나 밸

           브가 두 개 이상의 위치로 부터 작동되어야만 할 때는 이 셔틀 밸브 (OR 밸브)를 꼭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33. ②        34. ③        35. ②       36. ②        37. ④         38. ②

39. 두개의 입구와 한 개의 출구가 있는 밸브로 두 개의 입구에 압력이 모두 작용해야 출력이 발생하는 밸브는 ? [08-4]

  ① 스톱(stop) 밸브         ② 셔틀밸브 (shuttle) 밸브    ③ 급속 배기 (quick exhaust) 밸브    ④ 2압 (two pressure) 밸브

[해설] 2압 밸브 : AND 요소로서 두개의 입구 X와 Y 두곳에 동시에 공압이 공급되어야 하나의 출구 A에 압축 공기가 흐르

                           는 것으로 안전 제어, 검사 등에 사용된다. 압력 신호가 동시에 작용하지 않으면 늦게 들어 온 신호가 A 출

                           구로 나가며, 두 개의 신호가 다른 압력일 경우 경우 작은 압력 쪽의 공기가 출구 A로 나가게 된다.

 

40. 공압 센서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16-2]

  ① 자장의 영향에 둔감하다.                                                   ② 높은 작동힘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된다.

  ③ 폭발 방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도 사용된다.                ④ 물체의 재질이나 색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검출할 수 있다.

41.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을 이용하여 부품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공기압 기구는 ? [16-2, 19-2]

   ① 진공 패드          ② 액추에이터            ③ 배압 감지기              ④ 공기 배이어기

[해설] 진공 패드 : 흡입 컵 (suction cup)을 부착하여 여러 종류의 물체를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흡입 노즐은 벤투리

                             (venturi) 원리에 의하여 작동된다.

42. 공압 액추에이터가 아닌 것은 ? [08-4]

  ① 공압 실린더          ② 공기 압축기          ③ 공압 모터                ④ 요동 액추에이터

43. 공압 단동 실린더가 될 수 없는 실린더는 ? [17-4]

  ① 램형 실린더       ② 밸로스 실린더          ③ 양 로드 실린더            ④ 다이어프램 실린더

[해설] 양로드 실린더 : 전진과 후진 시 추력이 같은 장점을 갖는 실린더이다.

44. 다음 그림과 같이 실린더 튜브 내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 외부에도 환형의 자석이 설치되어 자력 커플링으로

      결속된 환형의 몸체가 실린더 튜브를 따라 이송할 수 있는 실린더는 ? [13-3, 20-3]

 

   ① 충격 실린더          ② 템텀 실린더          ③ 로드리스 실린더             ④ 양 로드형 실린더

[해설]    39. ④          40. ②           41. ①          42. ②          43. ③               44. ③

45. 다음 중 충격 실린더의 사용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09-4, 17-2]

   ① 균일한 속도를 얻기 위해                               ② 순간적인 큰 힘을 얻기 위해

   ③ 스틱슬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④ 충격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해설] 충격 실린더 :

  ⊙ 1∼2m/s보다 빠른 속도가 필요할 때에 사용

  ⊙ 충격 실린더로는 7.5∼10m/s의 아주 빠른 속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실린더로도 아주 큰 충격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리베팅, 펀칭(punching), 마킹(marking), 스탬핑(stamping) 작업 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 이 실린더는 보통 실린더와 다른 방식으로 제어

  ⊙ 즉, 실린더가 충분한 압력으로 전진 운동을 시작하면 피스톤 로드쪽의 공기가 급속하게 배기 되어 매우 빠른 속도를

       얻을 수 있다.

  ⊙ 이 충격 실린더는 피스톤쪽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공기로 순간 가속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행정 거리는

       30mm 이내로 제한된다.

46. 행정거리가 200 ㎜ 와 300 ㎜ 인 두개의 복동 실린더로 다위치 제어 실린더를 구성하여 부품을 핸들링하려고 한다.

      다위치 제어 실린더로 구현할 수 없는 위치는 어느 것인가 ? [15-2]

   ① 200 ㎜           ② 300 ㎜            ③ 500 ㎜                ④ 600 ㎜

[해설] 행정거리가 200 ㎜ 와 300 ㎜ 인 두개의 복동 실린더로 다위치 제어 실린더를 구성하여 구현할 수 있는 위치는

           0, 200, 300, 500 (200+300) ㎜의 4위치이다.

47. 실린더 고정 방법중 L형 고정 방식인 것은 ? [06-4]

   ① 풋(foot)형          ② 볼(ball)형             ③ 클래비스(clevis)형               ④ 트러니언(trunnion)형

48. 실린더의 설치 시 요동이 허용되는 방법은 ? [20-3]

   ① 풋형            ② 나사형          ③ 플랜지형               ④ 트러니언형

49. 실린더의 이론 출력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 [15-4]

   ① 공기 압력          ② 실린더 행정 거리           ③ 실린더 튜브 내경             ④ 피스톤 로드 내경

50. 공압 모터의 사용상 주의점과 거리가 먼 것은 ? [11-4]

   ① 고속 회전 및 저온에서의 사용시 결빙에 주의한다.

   ② 배관 및 밸브는 될 수 있는 한 유효 단면적이 큰 것을 사용한다.

   ③ 모터의 진동 소음 문제로 밸브는 가급적 모터에서 먼 곳에 설치한다.

   ④ 윤활기를 반드시 사용하고 윤활유 공급이 중단되어도 소손되지 않도록 한다.

[해설] 밸브는 가급적 액추에이터와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51. 공압 모터의 특성이 아닌 것은 ? [15-4]

   ① 과부하에 안전함      ② 속도 범위가 넓음         ③ 고속을 얻기가 어려움     ④ 무단 속도 및 출력 조절이 가능

[해설] ㉠ 공압 모터의 장점

    ⊙ 값이 싼 제어 밸브만으로 속도, 토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 과부하 시에도 아무런 위험이 없고, 폭발성도 없다.

    ⊙ 시동, 정지, 역전 등에서 어떤 충격도 일어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어 정전 시 비상용으로 유효하다.

    ⊙ 이 물질에 강하고 회전속도가 빠르다.

  ㉡ 공압 모터의 단점

    ⊙ 에너지 변환 효율이 낮다.

    ⊙ 공기의 압축성에 의해 제어성은 그다지 좋지 않다.

    ⊙ 배기음이 크다.

    ⊙ 일정 회전수를 고정도로 유지하기 어렵다.

[정답]   45. ②     46. ④     47. ①     48. ④      49. ②     50. ③     51. ③

52. 공압 모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 [18-4]

  ① 배기음이 크다.       ② 제어성이 우수하다.       ③ 에너지 변환 효율이 낮다.     ④ 부하에 의해 회전수 변동이 크다.

53. 다음 중 공기압 모터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19-2]

   ① 폭발 및 과부하에 안전하다.                            ② 회전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다.

   ③ 속도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④ 구동 초기에 최고 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해설] 공압은 압축성을 이용한 것이므로 운전 초기에 적당한 압력이 형성되어야 원활한 회전이 된다.

54. 공압 모터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19-4]

  ① 시동 정지 시 충격 발생이 없다.                        ② 장시간 운전시 폭발의 위험이 있다.

  ③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④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어 정전시 비상용으로 유효하다.

[해설] 공압은 폭발의 위험이 없다.

55. 케이싱으로 부터 편심된 회전자에 날개가 끼워져 있는 구조이며 날개와 날개 사이에 발생하는 수압 면적차에 의해

      토크를 발생시키는 공압 모터는 ? [16-4]

   ① 기어형            ② 베인형              ③ 터빈형                  ④ 피스톤형

[해설] 베인형은 케이싱 안쪽에 베어링이 있고 그 안에 편심 로터가 있으며, 이 로터에는 가늘고 긴 홈 (slot)이 있어서 날개

           (vane)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52. ③            53. ④            54. ②                 55. ②

#공기압축기 #베인압축기 #다이어프램 #트로코이드 #증압기 #냉각기 #후부냉각기

#윤활장치 #압력조절기 #윤활기 #감압밸브 #급속배기밸브 #체크밸브 #셔틀밸브

#2압밸브 #진동패드 #액추에이터 #충격실린더 #풋형 #트러니언형 #공압모터 #케이싱

반응형

'설비보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화 시스템  (2) 2024.02.11
공유압 기호 및 회로  (4) 2024.02.11
유압기기  (2) 2024.02.09
공유압 개요  (2) 2024.02.08
산업 안전 관련 법령  (0) 2024.02.07
반응형

1. 센서와 신호 변환

가. 센서의 종류

  ▣ 액티브 센서

    ⊙ 대상물에 어떤 에너지를 의식적으로 주고 그 대상물에서 나오는 정보를 감지 또는 검지하거나 또는 주어진 에너지를

         대상물에서 정보 검지가 용이한 에너지로 변환하고 그 에너지를 정보로서 감지하는 기기이다. 대표적인 예로 레이저

         센서가 있다.

  ▣ 패시브 센서

    ⊙ 대상물에서 나오는 정보를 그대로 입력하여 정보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대표적인 예로 적외선 센서가 있다.

  ① 온도센서

    ▣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온도의 정보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온도센서는 비접촉형 센서와 접촉형 센서가 있는데 전자는

         물체의 적의광을 수광하고 후자는 물체의 열을 직접 받는 것이다.

  ② 습도 센서

    ▣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습도의 정보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습도 센서에는 습도에 의한 전기저항의 변화를 이용한 것.

         적외선의 흡수율 변화를 이용한 것 등이 있다. 간단한 구조의 습도 센서에는 어느 습도 이상이 되면 물질이 변색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도 있다.

  ③ 자기센서

    ▣ 자기의 정보를 감지하거나 대상물에 자기 에너지를 의식적으로 주고 그 자기 에너지를 정보로서 검출하는 기기이다.

         자기 센서에는 강재의 표면 흠집을 감지하는 자기탐상 센서, 자계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 등이 있다.

  ④ 음파 센서

    ▣ 음파의 정보를 감지하거나 대상물에 음파 에너지를 정보로서 검출하는 기기이다. 음파 센서는 음파로서 인간이 가청

         한 음파, 인간에게 불가청한 초음파 · 초저음파 · 극초음파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음파 센서에는 물체 내부의 결함

         검출에 사용되는 초음파 센서, 재료의 파괴 예지에 사용되는 AE 센서 등이 있다.

  ⑤ 마이크로파 센서

    ▣ 대상물에 마이크로파를 주어서 그 파를 정보로서 검출하거나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검출하는 기기이다.

         마이크로파는 전파의 주파수 구분 가운데 UHF (극초단파, 300 ~ 3,000 MHZ)를 가리킨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VHF (초단파)나 SHF(극극 초단파)의 일부를 UHF에 포함하여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⑥ 방사능 센서

    ▣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방사능의 정보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방사능 센서는 방사선으로 X선, β선, γ선 등을 사용한다.

         대상물에 방사선을 투사하여 그 파를 정보로서 검출하는 형태에서 물체 내부의 결함 검출에 사용되는 X선 센서, 도금

         두께를 검지하는 β선 센서, 물체의 두께를 검지하는 γ선 센서 등이 있고,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검지하는 기

         기로서 원자력 발전소 부근의 방사능을 검출하는 방사능 센서, Ge를 사용한 센서, Si를 사용한 센서 등이 있다.

  ⑦ 압력센서

    ▣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압력의 정보를 감지하는 기기로서 실리콘 압력 센서 등이 있다.

  ⑧ 속도센서

    ▣ 대상물의 속도 정보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속도 센서는 속도정보를 감지하기 위하여 대상물에 음파에너지나 마이크

         로파 에너지를 주고 그 음파 또는 마이크로파 에너지로 부터 속도의 정보를 검출한다.

  ⑨ 화학 센서 : 화학 반응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감지하는 기기이다.

  ⑩ 바이오 센서 :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주로 생물, 수용기 등 각종 생물의 매커니즘을 사용하여 감지하는 기기이

       다.

나. 센서용 재료

  ① 반도체 재료

    ▣ 센서로 응용되는 반도체 재료는 주로 광도전 재료, 예를 들면 Ag2S 등의 유화물, ZnO 등의 산화물이나 ZnSe 등의 센

         렌화물이 광전 재료로서 사용되며, 금속반도체로서는 Ge, Si, Se나 Te 등이 광 센서, 자기 센서, 온도 센서로 사용된

          다.

  ② 세라믹 재료

    ▣ 세라믹은 내열, 내식,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센서용 재료로 이용하는 경우는 다음의 3가지 성질이 이용된다.

   ㉠ 결정자체의 성질을 이용한 것 : NTC 서미스터, 고온 서미스터, 산소 가스 센서 등

   ㉡ 입계 (粒界) 및 입자간 석출상의 성질을 이용한 것 : PTC 서미스터, 반도체 콘덴서, ZnO계 바리스터 등

   ㉢ 표면의 성질을 이용한 것 : 안정화 지르코니아, 티탄산바름 반도체, 산화주석(SnO2), CoO-MgO)계 고용체

  ③ 유기재료

    ㉠ 전계 감응 기능 (電界 感應 機能) : 전계 감응 기능에는 압전효과, 전기 광학 효과, 전기 화학반응 등이 포함된다.

      ⓐ 압전효과를 나타내는 고분자에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이외에 폴리아크릴 니트릴, 아크릴 니트릴 등이 있다.

      ⓑ 유기 재료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미즘은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서 색의 변화를 가져 오며 비오로겐계 색소가 대표

            적이다.

    ㉡ 자계 감응 기능 : 자기 감응 효과로서는 제만 효과, 홀 효과, 조셉슨 효과 또는 자기 공명 흡수 등이 있으며 유기 재료

         로서 관계 깊은 것은 자기 공명 흡수이고 유기 재료 일반으로 인정된다.

    ㉢ 응력 감응 기능 : 압력과 왜형 등이 가해지면 여러 효과가 나오지만 대표적인 것은 가압 도전성이다. 이것은 압력에

              따라 전기저항이 절연 상태에서 수십 Ω 이하로 급속하게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

              한 것은 가압 도전성 고무, 가압 도전성 시트 등이 있다.

    ㉣ 광 감응 기능 : 빛이 조사되었을 때 발생하는 변화를 이용하는 소자로서 유기반도체의 광도전 효과에서는 폴리비닐

             칼비졸 + 증감계가 사용되고, 집전 효과에서는 PVDF, TGS 또한 편광에서는 PVA/I2 필름이 사용된다.

    온도 감응 기능 : 유기 반도체는 세라믹 반도체와 같은 온도 - 저항 특성 (NTC)을 나타낸다.

    ㉥ 분위기 감응 기능 : 가스 분자에 감응하는 유기 재료로서 β - 카로틴 박막은 산소 분자가 흡착하면 현저하게 저항이

                    변화(천배)한다.

  ④ 금속재료

    ㉠ 기능성 재료 : 센서의 트랜스듀서 기능을 담당하고 경우에 따라 액추에이터 기능 재료

    ㉡ 구성 보조 재료 : 기능성 재료의 기능을 위한 보조 기구 및 센서 구조에 필요한 보조 재료

    ㉢ 기구 · 보조 양용 재료

  ⑤ 복합 재료 (CM)

     ㉠ 압전성 복합 재료 : 압전 전성형 수중 마이크로폰, 악기용 픽업 (pick - up)이나 초음파 음장 센서에 응용되고 있다.

     ㉡ 도전성 고분자 복합 재료 : 도전성 (導電性) 고무가 많고 대부분이 실리콘 고무와 카본 블랙 또는 은 (Ag) 입자계이다.

          이 외에 전파 차폐 재료, 고온 송전 케이블 동피복 재료, 도전성 유지 강화 플라스틱 등의 응용이 있다. 가압 시에는

           그 부분만 도전성을 나타내는 가압 도전성 고무도 있다. 가종 압력 센서로 이용된다.

     ㉢ 바이메탈 : 열팽창 계수가 큰 금속과 작은 금속의 판을 접합시키면 온도 변화에 따라 변형 또는 내부 응력을 발생하므

           로 온도 센서가 된다. 바이메탈은 온도계나 텔레비전의 색 차이 방지용 온도좌상에 사용된다.

다. 신호변환

  ① 기계적 변환

    ㉠ 스프링 : 하중을 변위 또는 토크를 각 변위로 변환하는 경우 널리 쓰이는 변환기이다.

    ㉡ 벨로스, 다이어프램 및 부르동 관

      ⓐ 밸로스는 원통 내 · 외의 차압에 으해 축 방향으로 신축하여 변위로 변환된다. 일반적으로 벨로스와 다이어프램은

            비교적 낮은 압력 또는 차압의 측정에 사용된다.

      ⓑ 다이어 프램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탄성막이 있으며, 그 한쪽에 압력이 걸리면 변형하여 변위로 변환된다. 평평하고

           동심원상의 파형의 터를 만들어 변위를 확대하기도 하고 탄성막 자신의 탄성만이 아니고 스프링을 병용(倂用)하여

           하중의 대부분을 스프링에 걸리도록 특성을 개선하기도 한다.

      ⓒ 부르동 관은 타원형으로 굽어진 장원형 단면 (長圓形 斷面)의 관 끝부분을 고정하고 반대편 부분을 자유단으로 하여

            그 선단을 막은 것이다. 관 내에 압력을 가하면 자유단은 외측으로 이동하며 거의 일정한 직선상을 압력에 비례하

           여 움직인다. 비교적 높은 압력 측정에 쓰인다.

 

    ⓒ 자이로스코프

      ▣ 회전 속도 또는 각속도의 기계적인 검출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하중이나 변위로 변환하는 방법과 자이로스코프

           (gyroscope)에 의하여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원리는 질량유량계에도 적용된다.

 
 

  ⓓ 바이메탈

     ▣ 유체나 고체의 열팽창을 이용하여 온도를 변위로 바꿀 수 있다. 고체의 열팽창을 이용한 것으로서 온도 계측 뿐만

          아니라 제어 계측에도 이용되는 바이메탈(bimetal)이 있다. 또한 액체의 열팽창을 이용한 것으로 유리관에 수은,

          알코올 등의 액체를 봉입하여 온도를 변위로 변환한 것에 유리 온도계가 있다.

  ⓔ 확대 변환기구 : 레버, 기어, 나사, 평행 박면

② 압력으로의 변환

  ㉠ 차압검출기구

    ▣ 유체의 동력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유량 또는 유속을 압력으로 변환하는 변환기이다. 교축 기구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

         의 단면적을 좁게 한 장치로서 대표적인 것에는 오리피스(orifice), 노즐(nozzle), 벤투리(venturi) 관이 있다.

  ㉡ 압력식 온도계

    ▣ 일정 용기안에 충전한 유체의 압력이 열팽창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온도를 압력으로 직접 변환할 수

        있다.

  ㉢ 노즐 · 플래퍼 기구

    ▣ 고정 오리피스, 노즐 및 플래퍼로 구성되어 있다. 일정 압력원으로 부터의 공기류를 고정 오리피스를 거쳐 노즐과

         플래퍼의 틈 사이로 유도하면 플래퍼의 미소 변위에 따라 노즐의 배압이 크게 변한다.

  ㉣ 분사관

    ▣ 상하를 베어링으로 가볍게 지지한 분사관의 선단 (지름 1.2 ~ 2.5 ㎜)으로 부터 압유를 이것과 마주 놓인 두개의 구멍

         중앙에 있을 때는 두 압력은 같으나 입력 신호에 의하여 좌우 어느 쪽으로 미소 변위하면 한 쪽의 수류(受流) 구멍의

         유압이 다른 쪽 보다 상승하므로 이 때의 차압을 측정하면 변위를 알 수 있다.

  ③ 전기적 변환

    ㉠ 기초변환

      ▣ 측정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면 전달 · 확대 · 증폭하는데 편리하며 특히, 고속으로 변화하는 측정량을 측정할

            경우는 다른 변환에 비하여 응답 지연이 작으며 감도가 높으므로 원격 계측이나 자동 제어 등에 이용되고 있다.

            전기적 변환기를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 측정량의 변화를 전기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등의 임피던스의 변화로 변환하는 것

      ⊙ 압전효과, 열전효과 등의 물리적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기전력으로 변환하는 것

      ⊙ 측정량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이나 전류의 펄스로 변환하는 것

    ⓐ 간단한 전기 계기

       ◈ 전기적인 양을 지시 또는 기록하는 계기를 전기 계기라 하며, 전기적인 양을 직접 힘으로 변환하여 지시하는 지시형

            전기 계기의 기본 구성 요소는 바늘 등의 가동부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가동부를 특정의 위치로 정지시키는 제동

            기구 및 내부 변환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구동장치

         전기적인 측정량, 즉 전압, 전류, 전력 등의 측정은 전기 자기적인 원리에 의하여 이들의 측정량을 힘으로 변환한다.

          힘을 발생하는 기구에 따라 가동코일형, 가동철편형, 유도형 및 전류력계형, 정전형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많

           이 사용되는 계기로서 가동코일형과 가동철편형이 있다. 가동코일형은 정밀급에 널리 쓰이며 가동 철편형은 배전반

          용 계기로 널리 쓰인다. 가동 코일형은 가동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고정된 영구자석에 의한 자계의 자속밀도와의 사

          이에 자굥하는 전자력을 이용한 것이다.

      ⊙ 전류, 전압 및 저항계

          가동코일형 계기는 전류계로 주로 사용되나 전압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전압계로 사용하여 측정 범위를 확대시키

          기 위해서는 계기와 직렬로 적당한 저항을 삽입하면 된다. 이 때 사용되는 외부 저항을 배율기 (multiplier)라 한다. 회

          로망의 특정 부분의 저항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고 옴(ohm)의 법칙을 이용하며, 계기를 회로에 연

          결시키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으며 이것을 전압계 - 전류계 방법이라 한다. 두 가지 방법 중에서 선택은 내부저항과

           회로 저항의 상대적인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 입력 회로의 기본

      ▣ 전류 감지 입력 회로

      ▣ 전압 감지 입력 회로

      ▣ 전압 분할 회로

      ▣ 전압 평형 전위차계 회로

      ▣ 브리지 회로 등

  ㉡ 변조 변환

     ▣ 저항, 용량 또는 인덕턴스 (Inductance) 등의 임피던스 (Impedence) 소자를 이용하면 입력 신호를 전압 · 전류로 변환

          할 수 있다. 즉, 임피던스 소자가 들어 있는 전기회로에 일정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여 이것을 입력 신호에 따른 임

          피던스 변화에 의해 변조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비례한 전압 · 전류로 변환한다.

    ⓐ 저항 변환

       입력 신호를 저항이나 전기 전도도 등의 도전성의 변화로 변환하고 이것을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로 변환하는 변환기

       에는 가변저항, 스트레인 게이지 (strain gauge) 및 측온 저항체 등의 비교적 단순한 저항 소자가 있다.

     ⊙ 가변 저항기 (변위 → 전기저항) : 기계적인 선 변위 또는 회전각 변위를 저항으로 변환한 것으로 가변 저항기가 있다.

          온도계수가 작은 저항체의 표면에 접촉자를 이동시켜 저항 변화를 얻는다.

     ⊙ 저항선 스트레인 게이지 (힘 → 저항) : 저항선이 축방향으로 인장 또는 압축을 받으면 선의 길이와 단면적이 변화하

          여 저항값이 변화한다. 또 저항선의 고유저항 자체도 변화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힘에 의한 미소변위를 저항 변화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원리의 게이지를 스트레인 게이지라 한다.

      ⊙ 저항 온도계 (온도 → 저항) : 금속의 저항은 온도에 의해 변화하며 이것을 이용하여 온도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 정전용량 변환 (변위 → 정전용량)

         변위 등의 입력 신호를 정전 용량으로 변화시켜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로 변환할 수 있다.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방식에는 가변 면적식과 가변 간격식 그리고 가변 유전율식이 있으며 미소 치수 변화의 검출에는 가변 간격식을 많

          이 사용한다.

    ⓒ 인덕턴스 (변위 → 인덕턴스)

        입력신호로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또는 상호 인덕턴스를 변화시켜 이것을 전압,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인덕턴스를

        변화시키는 방법에는 코일 안에 코어 (Core)를 이동시키는 가변 철심형과 코어의 일부에 공극을 만들어 이를 변화시

         키는 가변 공극형이 있다. 따라서 이 변환기의 입력 신호는 변위 또는 힘이다.

    ⓓ 자기 변환 : 인덕턴스 변환기와 차이는 없으나 물성적인 효과를 이용하고 있다.

      ⊙ 자기 스트레인 변환기 : 자성체를 자화하면 그 치수가 변화하여 스트레인을 발생하고 또 역으로 자회된 재료에 외력

          을 가하여 스트레인을 일으키면ㅁ 자화특성이 변화하는 현상을 총칭하여 자기 스트레인 효과 (magneto - striction

          effect)라 한다. 자기 스트레인 재료로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의 금속이나 이들을 포함한 합금 또는 페라이트 등의 자

          성체 이며 큰 하중에 대해서는 규소 강관이 실용되고 있다.

      ⊙ 홀 효과 (hall - effect) 변환기 : 게르마늄, 실리콘, 인듐 - 안티몬, 인듐 - 비소 등의 반도체로 만들어진 편상편의 한쪽

           끝에 전류 I를 흐르게 하고 이 전류와 직각으로 전압단자를 설치한다. 여기서 직각으로 자계를 걸면 반도체 내부의

           반송자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전압단자에 홀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 홀효과 · 홀전압 : 도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유전자는 전류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도체에 자기장을 가하

             거나 접근 시키면 홀 효과 (hall effect)에 의해 이동하던 자유전자가 플레밍의 왼손법칙과 로렌츠의 힘을 받고 이동

              방향이 휘게 된다. 또한 홀 효과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체에 홀 전압 (hall voltage)가 형성된

              다. 전류의 이동방향이 바꾸거나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면 홀효과와 홀전압의 방향도 바뀌게 된다. 홀효과와 홀전

              압은 자기장의 세기가 클수록 커지며 홀전압에 의한 전기장과 자기장의 힘이 서로 평형이 될 때 까지 전하가 쌓이

              게 된다.

    ㉢ 직동 변환

     ▣ 여러가지 입력 신호를 이에 비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로 직동적으로 변환하는 경우 물리법칙이나 물리 효과를

          이용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전자 유도 작용, 압전 효과, 열전효과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전원이 필요 없고 측정량 자체

          에 의해 전압을 발생하므로 기전력 변환이라 한다.

      ⓐ 전자유도 변환기 : 자계 안에 코일을 놓고 이 코일 안을 통과하는 자속을 변화시키면 자속의 변화량에 비례하는 전압

           이 발생되며, 이 때 코일 양단에 적당한 전기적 부하를 접속시키면 전류가 흐르고 측정량을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 압전효과 변환기 : 어떤 종류의 결정체로 부터 잘라낸 판상의 작은 조각에 특정 방향으로 부터 힘을 가하면 결정의

           전기축에 직각인 판의 표면에 압력에 비례한 전하가 발생되는 현상을 말하며 수정, 로셀염, 티탄산바륨 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 열전 효과 변환기 : 서로 다른 2종의 금속, 합판, 반도체 선의 양단을 연결하여 회로를 만들고 두 개의 접점 간에 온도

          차를 주면 회로에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제베크(seebeck) 효과라 한다.

    ㉣ 광학적 및 기타의 변환

       ⓐ 빛으로의 변환 : 여러 물체의 광학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빛의 강도로 변환할 수 있다.

       ⓑ 빛의 전기적 변환 :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자유전자를 발생시켜 기전력이 발생하거나 또는 전도도가 증가하거나 하

            는 현상을 광전 효과라 하며, 광도전 효과와 광기전력 효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기타 변환

           ⊙ 시간 변환 : 초음파는 예민한 지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질의 경계면에서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초음파 펄스를 피측정물 내에 발사하고, 이것이 피측정물 내의 경계면, 결함 등에서 반사하여 돌아오

                                  는 시간으로 부터 거리를 알 수 있다.

          ⊙ 주파수 변환 : 발신기로 부터 피측정물 내에 보내지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가면 피측정물의 두께가 바로

                                  반 파장의 정수배일 때 입력파와 반사파가 겹쳐서 정상파가 생긴다. 이 점이 공진점이며, 이것을 이용

                                   하여 피측정물의 두께를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 온도 변환 : 가는 금속선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발열하여 열선으로 된다. 여기서 바람이 가해지면 열 발산이 증가

                                  하여 온도가 변화한다. 즉, 송풍이 온도로 변환된 것이다. 온도가 변하면 열선의 저항이 변하므로 이

                                  것을 측정하여 온도의 변화, 즉 풍속의 크기를 알 수 있다.

2. 프로세스 제어

가. 피드백 제어의 기초

  ① 제어계의 구성

    ▣ 피드백 제어란 「피드백에 의하여 제어량과 목표값을 비교하고 그들이 일치되도록 정정 동작을 하는 제어」 를 말한다.

         프로세스 제어에서의 제어량은 검출부에서 검지하여 프로세스 변량 (PV : Process variable)으로서 조절계에 가한

         다. 조절계는 설정값 (SV : setting value)과 비교하여 편차를 조절부에서 연산하여 조작 신호 (MV : manipulate

          variable)로 조작부에 상당하는 조절 밸브에 가한다. 조절밸브는 조작신호에 따라 개폐하여 조작량을 조정한다. 이에

         의하여 외란이 생긴 제어편차를 정정한다.

 

  ② 제어계의 특성

    ㉠ 블록선도

      제어계는 그 안정성이나 응답 속도 등으로 평가되며 제어계의 구성요소를 블록과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선으로 표시한

      것을 블록 선도 (block diagram)라 한다.

 

    ⓐ 블록 : 입 · 출력 사이의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전달 요소로 4각의 블록과 화살표선을 가지고 있다.

    ⓑ 가산점 : 신호의 부호에 따라 가산을 한다. 따라서 신호의 차원은 일치되어 있어야 한다.

    ⓒ 인출점 : 신호의 분기를 말한다.

   ㉡ 전달함수 : 신호 전달 요소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보통 전달함수 (transfer function)가 사용되며 라플라스 변환에 의하

                         여 정의된다. 즉, 전달 요소 입력 신호 x(t) 및 출력신호 y(t)의 초기값을 0으로 했을 때의 라플라스 변환을

                         각각 X(s), Y(s)라 하고 그 입 · 출력의 신호의 비 Y(s) / X(s)를 G(s)로 표시하며, 이 G(s)를 전달함수라고

                          한다.

 

  ㉢ 라플라스 변환

       전달함수는 전달 요소의 특성을 주파수 영역에서 표현한 것으로 시간 영역에서 어떤 특성을 가지는 것은 주파수 영역

       에서도 특정한 특성을 나타낸다. 시간함수 f(t)와 주파수 함수 F(ω) 사이의 변환에는 푸리에 변환 (fourier transform)이

        사용된다.

   ㉣ 과도 응답

      입력 신호가 어떤 정상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했을 때 출력 신호가 정상 상태에 도달하기 까지의 특성을 과도 특성

      이라고 하며 과도 응답 (transient response)으로 표시한다. 과도 응답을 얻기 위한 입력 신호에 의하여 스텝 응답 (step

       response), 임펄스 응답(impulse response), 램프 응답 (ramp response) 등이 있으며 단위 스텝 신호 v(t)를 가했을 때

       의 스텝 응답은 많이 사용된다.

   ㉤ 주파수 응답

      라플라스 변환에 의하여 전달 요소의 과도 응답이 구해지면, 전달요소의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을 아는 것도

       중요하다. 정현파 입력 신호를 가한 경우 정상 상태에서 출력 신호의 입력 신호에 대한 진폭비 (gain) 및 위상 지연이

       입력신호의 주파수에 의하여 변화하는 특성을 주파수 특성이라고 하며 주파수 응답에 의하여 표시한다. 주파수 특성

       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주파수 전달함수가 사용되며 주파수 전달함수는 전달함수의 s를 jω로 대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③ 피드백 제어와 안정성

    ㉠ 1차 전달함수의 게인

      ▣ 조절계의 게인을 충분히 크게 하면 제어량은 목표값과 일치되며 외란의 영향은 0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프로세스

           의 지연 때문에 조절계의 게인을 충분히 올리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안정성이 문제가 된다. 제어량이 감쇠 진동을 하

           는 경우를 안정, 일정 진폭의 지속 진동을 하는 경우를 안정한계, 발산 진동을 하는 경우를 불안정이라 한다.

    ㉡ 게인 여유와 위상 여유

      ⓐ 게인 여유 (GM : gain margin) : 위상이 -180°가 되는 주파수에서의 게인이 1에 대하여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느지를 표

           시하는 값이다.

      ⓑ 위상 여유 (PM : phase margin) : 게인이 1이 되는 주파수에서의 위상이 -180 ° 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여유가 있는지

           를 표시하는 값이다.

 

나. 프로세스 특성

  ① 프로세스의 자유도, 제어량 및 조작량

    ▣ 평형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 변수의 개수를 프로세스의 자유도라고

          한다.

  ② 프로세스 특성

    ㉠ 정특성 (static characteristic)

      ▣ 입력 신호에 여러가지 크기의 스텝 신호를 가했을 때 정상 상태의 특성을 말한다. 자기 평형성의 어떤 프로세스에서             는 조작량의 크기에 대한 제어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성질, 즉 프로세스의 정(靜) 게인을 말한다. 조작량 · 제어량은

            반드시 같은 차원이 되지 않으며, 이 경우 전달요소가 차원을 가지게 된다.

    ㉡ 동특성 (dynamic characteristic)

      ▣ 입력 신호 x(t)에 대한 출력 신호 y(t)의 특성으로 시간 영역에서는 인벌류션 적분이고, 주파수 영역에서는 전달함수

           또는 주파수 전달함수로 관련 지을 수 있다.

    ㉢ 외란 (disturbance)

      ▣ 프로세스에는 제어계의 상태를 문란하게 하려는 외적 작용, 즉 외란이 존재한다. 외란은 들어 오는 장소, 크기, 형태

           등 여러가지이며, 프로세스의 입력신호에 가해지는 단위 스텝 신호로 대표되는 수가 많다.

  ③ 프로세스 모델

    ㉠ 비례요소 : 관로 속에 흐르는 액체는 관성에 의한 지연을 무시하면 비례요소 (Proport ional control element) 로 볼수

                          있다. 단위량 만큼 밸브 개도를 바꾸었을 때 유량의 변화량 k가 비례 게인이다.

    ㉡ 불감시간 요소

      ⓐ 밸트 컨베이어의 예를 보면 불감 시간 요소 (dead time element)를 가진 호퍼의 출구와 평량기까지의 거리를 ℓ, 컨베

           이어의 속도를 v라 하면 분체가 잘라지기 시작하여 평량되기 까지의 시간은 ℓ/v이다. 이것을 불감시간 (dead time)이

           라 하고 통상 L로 표시하며, 불감시간 L의 라플라스 변환은 e-Ls 이다.

      ⓑ 게인은 주파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고, 위상은 주파수와 함께 한없이 지연되며, 불감시간요소는 제어가 곤란하

            다.

   ㉢ 적분요소

     ⓐ 정량 유출 탱크의 액위계는 적분요소 (integral element)의 프로세스이다.

     ⓑ 전달함수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게인은 ωT=1 의 주파수에서 1이 된다. -20 dβ/dec의 오른쪽 아래로 내려가는 직선이 된다. ω = 0 에서의 게인은 ∞ 이

         며 위상은 주파수에 관계없이 90° 늦어진다.

    ㉣ 1차 지연요소

       ⓐ 탱크 액위계는 1차 지연요소 (first order lag element)의 계이므로 다음과 같다.

      ⓑ RC = T (시정수)로 놓으면,

         전달함수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스텝응답에서 t=0에서 응답 곡선에 접선을 그리고, 그것이 최종값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시정수 T가 된다. 또한

         시정수 T를 경과했을 때의 값은 최종 도달값의 63.2%가 된다.

    ⓓ 게인은 ωT= 1 의 주파수를 절점 주파수로 하고 그 보다 낮은 주파수에서의 점근선은 게인이 일정한 직선이며, 그 보

         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20dβ/dec 의 점근선에 따라 저하한다. 점점 주파수에서의 게인은 -3dβ이다. 위상은 절점 주파

         수에서 45° 늦고 주파수와 함께 90° 지연에 접근한다.

 

  ㉤ 2차 지연요소

    ⓐ 1차 지연요소를 2단 직렬로 접속한 2차 지연 요소 (second order lag element)의 전달함수는 각 1차 지연 요소의 전달

         함수의 적이 된다. 이와 같은 후단의 영향이 전단에 미치지 못하는 직렬 접속을 캐스케이드 (cascade) 접속이라 한다.

         전단 탱크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후단 탱크의 입력 X2(s)는 전단 탱크의 유출량이므로

       따라서 전체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 2차 지연계의 스텝 응답에서 2차 이상의 지연계가 되면 t=0에서의 상승 경사는 0이 되며 도중에 변곡점을 가지고 있

          으므로 이미 지연을 단일의 시정수로 표시할 수는 없다. 게인도에서는 1/T1가 1/T2의 주파수에 절점이 있으며 주파

          수가 높은 쪽의 절점을 초과하면 점근선은 2 × 90° = 180° 까지 지연된다.

 

  ㉥ 고차 지연계

     ⓐ 1차 지연계가 다수 직렬로 접속된 계를 고차 지연계라 한다.

     ⓑ 지연의 차수가 증가될 수록 상승이 시작되기 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며 불감 시간요소가 가해진 것 같은 특성을 나타

          낸다.

     ⓒ 고차 지연계의 특성을 변곡점에서 접선을 그리고 '불감 시간 + 시정수'로 근사시키는 것은 많이 실시되고 있다. 이 때

         의 불감시간을 등가 불감시간, 시정수를 등가 시정수라고 하며 이것을 전달함수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다. 조절계의 제어동작

  ① 단일 루프 제어계

    ㉠ ON-OFF 제어

      ⓐ 편차의 극성에 따라 출력을 ON 또는 OFF하므로 2위치 조절계라고도 한다. ON 또는 OFF일 때의 조작량은 제어량

            을 목표값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너무 크거나 너무 작기 때문에 진동 (cycling)이 생긴다.

      ⓑ 항온조, 전기로 등에 이용되는 항온기는 이 동작의 대표적인 예이며, 정밀도가 매우 높은 공정 제어에는 사용이 곤란

           하다.

 

  ㉡ 비례제어

     ⓐ 입력에 비례하는 크기의 출력을 내는 제어 동작을 비례동작 (proportional action) 또는 P 동작이라고 한다.

     ⓑ Y(s) = Kc · X(s) 여기서, Kc는 비례게인이다. 실제의 조절계에서는 비례 게인 대신 비례대 (PB : proportional band)가

          사용되며 비례대 PB는 PB= 1/Kc × 100 %이다.

 

  ㉢ 비례적분 제어

    ⓐ 적분 제어의 동작을 I 동작 또는 리셋 동작 (reset action)이라고도 하며, 입력 X(s)에 비례하고 적분 시간에 반비례하

         는 크기의 출력 Y(s)은

        T1은 적분시간이다.

 

  ㉣ 비례 미분 제어

     ⓐ 미분 동작은 D 동작 또는 레이트 동작 (rate action)이라고 하며, 입력 X(s)의 미분시간(입력의 변화율, 즉 레이트)에

         비례하는 크기의 출력 Y(s)를 낸다.

        Y(s) = TDs X(s), 여기서, TD 는 미분시간이다.

     ⓑ 미분 동작은 입력의 변화 속도에 비례하는 출력을 내는 동작이므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P 동작 또는

          PI 동작과 함께 사용된다.

  ㉥ 비례 적분 미분 제어

      ▣ 비례, 적분, 미분의 3동작을 합성한 것이 PID 동작이다. PID 동작의 기본식은


 

  ② 복합 루프 제어계

     ▣ 피드백 제어계에서 하나의 제어 장치 (1차 조절계)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다른 제어장치 (2차 조절계)의 목표값을 변

          화시켜 실시하는 제어를 캐스케이드 제어 (cascade control)라고 한다.

    ㉠ 캐스케이드 제어

      ▣ 종합부의 캐스케이드 제어 예를 보면 온도 유량 제어계 만큼 1차와 2차의 사이에 고유주기의 차가 없으므로 2차 조

           절계는 비례 제어를 주체로 해서 제어계의 응답을 될 수 있는 한 빨리 한다. 또 2차 제어계에 비선형이 있으면 1차 제

           어계의 1차 전달함수의 게인이 변동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 비율제어 : 두개 이상의 변량 사이에 어떤 비례 관계를 유지시키는 제어를 비율 제어라고 하며 연소로의 공연비 제어

                          등 일반적으로 유량 사이의 비율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 선택제어

      ▣ 선택 제어계는 측정값의 선택제어와 하나의 조작량에 대하여 제어량이 다른 두 개의 조절계의 출력을 선택하여

           제어하는 오버라이드 제어가 있다.

다. 시퀀스 제어

  ① 시퀀스 제어의 종류 : 시퀀스 제어 (sequence control)는 다음의 2가지로 분류된다.

    ㉠ 프로그램 제어 (공정형) :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공정)에 따라 제어를 진행해 나간다.

    ㉡ 조건 제어 (감시형) : 내부 · 외부 상태를 감시하고 그 조건에 따라 제어를 행한다. 프로그램 제어의 예로서는 전자동

         세탁기를 들 수 있다. 조건 제어의 예로서는 엘리베이터가 여기에 해당한다. 프로세스 제어에 있어서 시퀀스 제어는

         프로그램 제어와 조건제어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② 시퀀스 제어의 기술 방식

    ⓐ 릴레이 회로 (relay circuit) : 시퀀스 제어 회로는 오래 전부터 릴레이, 타이머 등을 사용해서 실현되어 왔으므로 그 릴

         레이 회로도가 기술 형식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 논리회로 (logic circuit) : 논리 기호를 사용해서 기술한 것으로 회로의 기호는 KS 등에서 규정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 플로 차트 (flow chart) : 컴퓨터 프로그램 작성과 같이 플로 차트를 사용해서 기술한 방식이다.

    ⓓ 타임 차트 (time chart) : 시간의 추이에 따라 시퀀스 제어기 사이의 상호 동작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방식이다.

    ⓔ 디시전 테이블 (decision table) : 조건과 그에 대응하는 조작을 테이블상에 매트릭스형으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 동작 (motion diagram) : 스텝의 진행에 따라 시퀀스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방식이다.

#마이크로파 #센서 #세라믹 #서미스터 #티탄산바륨 #벨로스 #다이어프램 #부르동 #자이로스코프 #바이메탈 #피드백제어 #블록선도 #불감시간 #비례제어 #비례적분제어 #시퀀스제어 #릴레이회로 #플로차트 #히스테리시스 #캐스케이드 #지연요소

반응형
반응형

1. 온도의 계측

① 온도의 단위 : 온도에는 섭씨온도, 화씨온도 등의 단위가 사용되지만 ISO 기본기본단위로서 캘빈(K) 단위가 사용된다.

     열역학적 온도는 물의 3중점 (얼음, 물, 수증기의 공존하는 상태점)에 있어서 온도를 캘빈 273.16 K이라 한다.

② 온도계의 종류와 측정범위 : 일반 공업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온도는 대부분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 200 ~ + 2,000

     ℃ 의 범위에 속하며, 이들의 계측과 제어에는 주로 접촉방식인 저항 온도계와 열전 온도계, 비접촉 방식인 방사온도계

      가 사용된다.

온도계의 분류

전기 온도계
금속
측온 저항계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의 저항 변화량을 이용
접촉식
열전대
열전대의 열전 효과를 이용
반도체
서미스터
반도체 중 열에 민감한 저항체를 이용
고온계
흑체
광고온계
흑체의 방사 중 가시광선을 눈으로 측정
비접촉식
광전 고온계
흑체의 방사중 가시광선을 광전관으로 측정
방사 고온계
흑체 방사의 법칙을 이용

가. 접촉식 온도계

  ▣ 피측정 물체에 측온부를 접촉, 열평형 상태에 도달할 때 감온부의 물리적 변화량, 즉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피측정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측정범위가 넓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유리체 온도계, 압력식 온도계,

       열절대, 바이메탈식 온도계, 저항식 온도계 등이 있다.

나. 비접촉식 온도계

  ▣ 고온의 피측정 물체로 부터 방사하는 방사에너지, 즉 빛 또는 열을 감지하여 감지 온도와 방사에너지와의 일정한 관계

       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측정방식의 온도계이다.

③ 저항 온도계 (측온 저항체 : Resistance thermo meter)

 가. 운모권 측온 저항체 소자

   ㉠ 소자의 구조는 폭이 3~ 10 ㎜ 인 가늘고 긴 운모관의 양쪽에 치형(V형)을 파고 이를 따라서 저항 소선이 감겨져 있다.

   ㉡ 이 양쪽에 절연을 위해 폭이 약간 넓은 운모판을 대고 다시 그 위에 2개를 덮어 보호관 내면에 접촉시키고 있다.

   ㉢ 이것은 저항 소자를 진동이나 충격으로 부터 견디게 하고 보호관 사이에 열전도성을 높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나. 보호관 붙이 측온 저항체 소자

  ㉠ 운모권 측온 저항체 소자에 열기전력의 발생이 없고 최고 사용온도에서 산화 변질되지 않는 재질의 내부 도선을 연결

      하여 보호관 내에 내장한 것이다.

  ㉡ 중저온용으로 온선에 불소, 수소나 유리관을 씌운 것을, 또한 고온용으로서는 니켈선에 자기 절연관을 씌운 것을 사용

       한다.

  ㉢ 내부도선은 거의 3도선식이다.

④ 열전온도계 (Thermo electric pyrmeter)

  ㉠ 열전대는 측온 저항계와 같이 비교적 안정되고 정확하며 일부 원격 전송 지시를 할 수 있는 측징이 있으므로 공업적으

       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열전온도계의 원리 : 서로 다른 두가지 금속의 양단을 접합하면 양 접합점에는 접촉 전위차 불평형이 발생하여 열전류

       가 저온 측에서 고온 측 접합부로 이동하여 단자 사이에 기전력이 발생된다. 이것을 열기전력 (Thermo electromotive

       force)이라 하고 그 현현을 제베크 효과 (Seebeck effect)라 하며, 이 효과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소자가

       열전대 (thermocoulple)이다.

⑤ 방사온도계

  ▣ 물체에서 방출하는 방사에너지 (물체가 빛이나 열 같은 에너지를 밖으로 방출하는 에너지)는 물체가 뜨거워짐에 따라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고, 물체가 식어감에 따라 보다 작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사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방사온도계 (radiation pyrometer)라 한다.

  ㉠ 광 온도계 : 단색 파장에 대한 방사 휘도를 측정하고 흑체 온도를 구하는 온도계로서 방사선 중에서 가시광선을 이용하

       는 것이며, 700 ~ 4,000 ℃ 까지 측정할 수 있다. 고온의 물체에 직접 닿지 않고 측정할 수 있으므로 화염이나 용광로

       등의 온도 측정에 사용되지만 시각에 의한 오차가 생기기 쉽다.

2. 압력의 계측

 ① 압력의 측정

  가. 절대압력 (Absolute pressure) : 완전 진공상태를 "0"으로 보았을 때의 압력으로 표현할 때에는 단위 끝에 "abs"를 붙여

                                                          표시한다. (㎏f / ㎠ abs)

  나. 게이지 압력 (Gauge pressure) : 표준 대기압으로 기준점 "0"으로 하여 측정되는 압력으로 공업적으로 측정되는 압력

                                                           은 주로 게이지 압력으로 표시되고 있다.

  다. 차압 (differential pressure) : 대기압 이외의 압력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압력 중 어느 한 쪽을

                                                     기준으로 다른 압력과의 차를 차압이라고 하며, 차압식 유량 측정이나 레벨 측정시 이용

                                                     한다. 단위 끝에 'diff"를 붙여 표시한다. (㎏f/㎠ diff)

 

② 압력 센서

 

 가. 압전형 압력센서

  ㉠ 측정원리

    ⊙ 압력체는 기계적인 왜형이 생기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신호 전압은 왜형의 크기에 비례한다.

    ⊙ 다이어프램에 공정의 압력이 걸리면 기계적인 연결 장치에 의해 압전체에 다이어프램의 변위가 전달된다. 이 때 압전

         체에서 아주 미세한 전압이 발생된다.

  ㉡ 압전체 :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소자를 압전체라 한다.

  ㉢ 압전효과 (Piezo effect) : 외부에서 압력이 증가하면 압전체의 기전력이 양단자에 힘이 전달되어 인가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는 기전력이 양단자에 나나타는 효과이다.

  ㉣ 역압전 효과 : 압전 효과와 반대로 결정에 전기를 인가하면 (+)극의 방향에 따라서 결정이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효과

                             이다.

 

나.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

  ㉠ 측정원리

    ⊙ 감압 다이어프램의 가동 전극과 고정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고압 쪽과 저압 쪽 사이에 차압에 비례하여 변화하므로

         정전용량의 차인 변화를 전송부의 증폭부에서 통일 전류 신호 (4~20 mA DC)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 정전 용량식은 차압 전송기는 물론 게이지압 전송기, 절대압 전송기에도 사용되지만 구조적으로 차압 전송기에 가장

         적합하다.

  ㉡ 특징

   ⊙ 콘덴서의 전극 간격, 전극의 대항 면적, 전극 간 유전체 (절연체 :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의 상태가 변화함에 따라

        정전용량 (콘덴서에 전기를 담아 둘 수 있는 크기)이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변위를 정전용량으로 변환시키는

        센서이다.

   ⊙ 전극 간격에 반비례하고, 정전용량 C는 C=εA / ℓ 로 전극 면적에 비례한다.

 

 다. 반도체 왜형 게이지식 센서

  ▣ 반도체의 응력이나 신장력이 어떤 방향으로 작용했을 때 반도체의 길이, 면적이 변화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피에조

       저항 효과를 이용하여 생긴 저항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입력 압력에 비례한 신호를 얻는 것이다.

 

라. 진공센서

 ㉠ 피라니 게이지 (pirani gauge)

   ⊙ 측정 저항에서 방생되는 열과 기체 분자 사이의 전도율은 완전 진공에 가까울 수록 떨어지며 이에 따라 측정 저항의

        저항값이 변화된다.

   ⊙ 일정한 열에너지를 받아 가열되는 물체의 온도는 열전쌍에 의해 주위 기체로 방출되는 열량에 따라 정해지므로 열전

        도율의 변화를 가열체의 온도 변화로 부터 측정할 수 있다.

 ㉡ 열전자 진리 진공계

   ⊙ 압력이 높을 수록 기체 분자가 증가하여 이온이 많이 생긴다. 전자의 충돌에 의해 생긴 이온량을 측정하여 진공도를

        구할 수 있다.

 

마. 스트레인 게이지

  ▣ 금속체를 잡아 당기면 늘어 나면서 전기저항이 증가하며, 반대로 압축하면 줄어 들며 전기저항이 감소한다. 이 전기저

       항의 변화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종류

 
재질
종 류
구 조
금속
접착형
저항선
기판 위에 저항선을 접착
금속막
기판 위에 금속박을 접착
비접착형
절연판 사이에 저항선을 감은 형태
반도체
푸시 풀
전극부 뒷면이 N형 모재에 첨부되어 입력이나 힘의 센서로 동작
확산 형
N형 모재에 SiO2 막을 포토 에칭한 후 열 확산으로
P형을 인출
 

바. 로드셀

  ㉠ 로드셀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붙여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에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물체 중량을 측정하는

      변환기이다.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하중 감지 센서로서 힘이나 하중에 대해 변형을 발생시키는 탄성 변형체 (elastic strain

       member)인 감지부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변형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전기저항의 변화로 변환시키고 휘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전기 회로를 구성하여 정밀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하중을 측정한다.

③ 압력의 종류와 측정방법

  ⊙ 압력의 측정법에는 크기를 알고 있는 무게와 평형시키는 방법, 탄력성과 평형시켜 스프링의 변위로 압력을 재는 방법,

       압력에 의하여 변화하는 물리적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 무게와 평형되는 압력계에는 물, 수은 등의 액체 기둥을 사용하는 액체 기둥 압려계와 금속제의 추를 사용하는 분동식

       압력계가 있고 이외에 침종식, 환상식 압력계 등이 있다.

  ⊙ 탄성식 압력계는 압력에 평형된 수압체의 힘에 의해 압력을 측정하며 휨이 아주 작으므로 이것을 여러 방법으로 확대

       해서 지시 또는 기록한다.

  ⊙ 수압체 탄성은 온도 압력 크기에 따라 힘의 상태가 다르므로 장시간 사용하면 휘이 점차 증가하는 것이 이 형식의 압력

       계에 공통된 결점이다.

 

 가. 액체 압력계

  ㉠ 액주식 압력계 (liquid type manometer) : 양 끝이 열려진 U자관에 물, 수은 등의 액체를 넣어 좌우관 두 개에 압력을

       가하면 액면이 높고 낮게 되며, 그 높이의 차로 부터 양쪽 압력의 차를 구하는 것이다. 모세관 현상이나 관 지름의 불균

       일 등으로 확대율은 10배 정도까지만 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수주 또는 수은주는 10 ~ 2,000 ㎜ 범위에서 사용한

        다.

  ㉡ 침종식 압력계 (Inverted bell jar type manometer) : 침종(浸鐘)이라 불리는 용기를 액면에 엎어서 띄워 놓고 용기 내부

       및 외부에 압력이 도입되도록 한 구조의 것을 싱글 벨 압력계 (single bell manometer) 또는 단종 압력계라 한다.

  ㉢ 환상식 압력계 (ring manometer) : 측정범위는 2 ~ 200 torr이고, 구동력이 지시 발진기 (oscillator)나 기록계 등을 직접

       움직일 수 있고, 또 추의 무게나 중심으로 부터 거리를 바꾸면 감도의 조절도 할 수 있다.

 

나. 탄성 압력계

  ㉠ 부르동 관식 압력계 (bourdon-type pressure gauge) : 단면이 원 또는 타원형인 관을 환상으로 구부려 만든 부르동

       관의 한쪽 끝을 고정시키고 다른 쪽 끝을 밀폐시킨 것이다. 고정시킨 끝으로 부터 압력을 관 안에 작용시키면 관의

       단면은 원형에 가깝게 되고 링의 반지름을 크게 변화사여 자유단이 이동한다. 이 변위는 거의 압력에 비례하므

       이것을 링크와 기어로 확대해서 바늘을 회전시킨다.

  ㉡ 다이어프램식 압력계 (Diaphragm type manometer) : 다이어프램은 가해진 미소압력의 변화에 대응된 수직방향으로

       팽창 수축하는 압력소자이다. 또한 그 압체를 분리하는 역할 및 가압체를 용기로 부터 외부로 밀봉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 벨로스식 압력계 (bellows type manometer) : 벨로스는 그 외주에 주름상자형의 주름을 갖고 잇는 금속 박판 원통상으

       로 그 내부 또는 외부에 압력을 받으면 중심축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을 일으키는 압력센서이다. 재료는 인청동, 황동

       이 사용되며, 그 두께는 0.1 ~ 0.35 ㎜ 이다.

 

다. 분동식 압려계 (dead weight tester) : 기름의 압력 p [㎏f/㎠] 에 의해 단면적 A [㎠]의 램이 떠 오를 때 램 위에 분동

      W [㎏f]를 얹어서 기름의 압력과 평형시키면 p =W/A이다. 이 압력계는 약 3,000 [㎏f/㎠]까지의 표준 압력계로서 교정용

      으로 많이 쓰이며, 2 [㎏f/㎠] 이상의 고압측정에 적당하다. 램과 실린더, 기름의 압력과 가압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④ 압력 전송기

  ▣ 측정 대상의 유체 압력을 그 측정 범위에 대응하여 표준화된 신호로 변환하는 기기가 압력 전송기이다.

 

가. 공기식 압력 전송기

  ㉠ 차압 전송기 : 고압측 PH 와 저압측 PL 의 차를 측정하여 출력으로 PH - PL에 비례한 DC 전류 신호 4 ~ 20 mA 를 보낸

                              다.

  ㉡ 게이지압 전송기 : 저압 대기를 개방하여 게이지 압력 PH - PL에 비례한 DC전류 신호  4~ 20 mA를 보낸다.

  ㉢ 절대압 전송기 : 저압측을 진공으로 하여 절대 압력에 비례한 DC 전류신호 4~20 mA 를 보낸다.

 

나. 노즐 플래퍼 (nozzle - flapper)

  ㉠ 변위를 압력으로 변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공급 압력이 일정한 경우 출력압력은 플래퍼와 노즐 간의

       간격에 의존한다.

  ㉡ 이 입력과 출력 압력의 관계는 다소 비선형적이 되지만 공기식 계기에 적용된다.

3. 유량의 계측

① 차압식 유량계

  ▣ 관로 내에 차압 기구를 설치하여 그 전후 (상류측과 하류측)의 차압으로 부터 유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유량계

       로 차압 기구로는 오리피스 (orifice), 노즐 (flow nozzle), 벤츄리 (venturi)관, 피토관 (pitoe tuber) 등이 있다.

 

가. 차압기구의 종류

  ㉠ 오리피스 : 오리피스 판을 배관 내에 삽입하면 유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유속이 증가되고 차압이 발생한다. 오리피

                         스에 의한 차압을 측정하기 위해 오리피스 양측에오리피스와 근접하게 차압 전송기용 탭을 설치한다. 유체

                         유속은 오리피스 통과 전압력이 오리피스 통과 후 압력 보다 크다. 이 오리피스 통과 전후의 압력차를 측정

                         하여 유량을 측정한다.

     ⊙ 코너탭 : 오리피스의 직전과 직후에 압력을 검출하는 방식

     ⊙ 플랜지 탭 : 오리피스 전후에 ± 1 인치의 거리에서 검출하는 방식

     ⊙ 축류 탭 : 하류 측을 흐름 단면적이 최소로 되는 축류 위치에서 압력을 검출하는 방식 (보통 상류측 1D, 하류측 1/2 D)

  ㉡ 플로 노즐 : 노즐은 둥근 유입부와 이것에 이어지는 원통부로 되어 있으며, 유체는 노즐의 곡면에 따라 흐르고 하류에

                          서 축류를 일이키지 않는다. 따라서 유출계수 C는 1 에 가깝다. 그리고 노즐에서 차압을 뽑아 내는 방식은

                           코너탭을 사용한다.

  ㉢ 벤츄리관 : 원통 부분의 중간에 하류 측의 압력 탭이 있다. 벤츄리 관의 특징은 하류 부분이 확대관으로 되어 있는 1차

                         요소이며, 오리피스나 노즐의 경우 만큼 유량에 대한 차압이 크지 않아 이에 의한 압력 손실이 매우 적고,

                          침전물이 관벽에 부착하지 않아 내구성이 크다는 점 등의 많은 장점이 있다.

 

나. 차압계 : 오리피스 등의 검출 기구에서 발생한 차압은 차압계 또는 차압 변환기에서 측정 · 변환되어 유량을 지시한다.

                    가장 간단한 차압계로 액주 압력계가 있으나 원격 지시 또는 조절을 위해 힘 평형식, 정전 용량식 등의 차압

                    변환기 (d/p cell)를 사용한다. 출력 신호는 전기식에서 DC 4 ~ 20 mA 이며, 공기압식에서는 0.2 ~ 1.0 ㎏f/㎠

                    의 것이 대부분이다.

② 면적식 유량계

  ㉠ 면적식 유량계는 부자의 이동으로 유로 면적을 변화시켜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 때의 면적을 측정하여 유량을

       알 수 잇는 것으로 면적 유량계 (variable area flow meter), 로터미터 (rotameter)라고도 한다.

  ㉡ 테이퍼관 내의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트의 위치가 유량을 지시한다.

  ㉢ 유리관식은 플로트의 위치에 의해 유량을 직접 읽을 수 있으므로 주로 현장 감시용으로 사용되고, 금속관식은 자석 등

       으로 플로트의 위치를 외부에 취출하여 0.2 ~ 1.0 ㎏f/㎠의 공기압 신호 또는 DC 4 ~ 20 mA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필요

       한 장소에 전송한다.

③ 용적식 유량계

  ▣ 용적식 유량계는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통과 체적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PD 미터 (Positive displacement meter)라고도

       부르며 오벌 (oval) 기어형과 루츠 (roots)설은 적고 그 정도는 ± 0.5 %, 정밀급, 특히 석유류 (휘발류, 등유, 중유 등)에

        는 정도가 ± 0.2 % 이다.

   ㉠ 액체의 종류 · 성질에 따른 영향이 적고, 점도가 높은 액체나 점도 변화가 큰 액체의 측정에 적당하다.

   ㉡ 적산 정도가 높으므로 취인용에 사용된다.

   ㉢ 전후에 직관부를 필요로 하지 않아 맥동의 영향도 거의 받지 않는다.

   ㉣ 회전자 등의 가동 부분과 케이스의 간격을 좁게 제작하므로 액체 중에 고형물이 혼압하면 회전자가 묶여서 측정 불가

        능하게 되므로 반드시 필터를 사용한다.

   ㉤ 구조가 복잡하므로 대형이나 내식형은 가격이 비싸다.

④ 전자유량계

  ▣ 도전성 물체가 자계 속을 움직이면 기전력이 발생한다는 패러데이 (faraday)의 전자 유도법칙을 이용하여 도전성 유체

       의 유속 또는 유량을 구하는 것을 전자유량계 (electromagnetic flowmeter) 라 한다. 도전성 유체가 흐르는 측정관을

       직각으로 지나는 자계를 주면 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 비례하는 기전력이 발생한다. 기전력의 발생방향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른다.

⑤ 와류식 유량계

  ▣ 와류식 유량계 (vortex flow meter)는 측정 대상에 제한없이 기체 · 액체의 어느 것도 측정할 수 있으며, 유체의 조성·밀

       도·온도·압력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유랑에 비례한 주파수로 체적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깨끗한

        유체가 바람직하므로 필요에 따라 스트레이너의 설치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

⑥ 터빈식 유량계

  ▣ 회전자의 축이 흐름에 대해서 직각으로 설치한 접선류식과 흐름에 대해서 평행으로 설치된 축류식이 있다. 접선류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싸게 만들어지나 누설이 상대적으로 커서 고정도는 기대할 수 없으며 가정용 수도미터 등에 사용되

        고 있다. 축류식은 마찰력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당히 크게 얻을 수 있으므로 고정도 측정을 할 수 있으며 ± 0.2% 이상

        의 정도를 요구하는 석유류의 취인용 유량계로서 사용되고 있다.

⑦ 초음파형 유량계

  ㉠ 도플러 (doppler)법 : 도플러법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속도를 구하는 것으로 유량 측정분야에서 실용화된 것은

                                        주로 연속파 방식이다. 응답은 빠르나 음속의 영향을 받는다. 초음파를 유체 중에 발사하면 발사

                                         된 초음파는 유체 중의 부유물 또는 기포에 의해 산란 반사된다. 이 산란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

                                         면 수신 초음파의 주파수를 측정, 도플러 효과에 의해 송수신 주파수 차를 이용하여 유속을 알 수

                                         있다.

  ㉡ 싱어라운드 (Sing around)법 : 동일 거리를 나가는데 요하는 초음파 펄스의 흐름과 같은 방향과 반대 방향의 시간차에

                 의해 평균 유속을 구하는 방식으로 응답은 약간 늦으나 유체를 전하는 음속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특징을 가지

                 고 있다. 이 같은 차를 직접 시간차로 하느냐, 또는 위상차로 하느냐에 따라 각각 시간차 측정법, 위상차 측정법

                  으로 구분된다.

 

㉢ 특징

  ⓐ 배관중에 삽입물이 전혀 없으므로 흐르므이 난류나 압력 손실은 생기지 않는다.

  ⓑ 기설의 배관에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공사비가 저렴하다.

  ⓒ 지름이 커져도 다른 유량계 만큼 가격이 올라가지 않는다.

  ⓓ 배관은 쪼개짐이 없어 하수로에도 사용된다.

  ⓔ 실제 유량 시험을 하지 않고 교정이 가능하며, 유량 눈금은 선형이다.

  ⓕ 초음파 유량계는 관로 단면의 일부분을 음파 통로로 하여 그것에 대표되는 유속이 계측되어 유량이 구해지므로 유속

       분포나 유체 중 이물의 영향을 받기 쉽다.

  ⓖ 상류측에 관지름의 10배, 하류측에 지름의 5배의 직관부가 필요하다.

4. 액면계측

① 차압식 액면계

  ▣ 아래 그림 (a)는 밀폐 탱크 내에 있어서 액체가 증발하여 저압 측 도압관 내에 응결할 우려가 없는 경우 밀폐 탱크의

       액면 측정법을 드라이 레그 (Dry leg)법이라고 한다.

  ▣ 그림 (b)는 밀폐 탱크로 탱크 내의 액체가 증발하여 저압 측 도압관 내에 응결할 경우 저압 측 도압관 내에 액체를 채워

       서 도압관 내의 응결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밀폐 탱크의 액면 측정법을 웨트 레그 (wet leg)법이라고 한다.

  ▣ 액체 내의 각 점에 있어서의 정수압은 그 점으로 부터 액면까지의 높이에 비례하므로 액체의 밀도가 일정하면 압력을

       측정하여 액면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② 기포식 액면계 (Purge type liquid gauge)

  ▣ 기포관을 액체 중에 삽입하고 공기원으로 부터 압축 공기를 적당한 유량으로 보내어 선단으로 부터 기포를 방출시키면

       기포관의 배압은 액의 정압과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기포관의 배압을 측정하여 액면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이 액면

       계는 고온의 액체, 고형물을 혼입하는 액체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③ 부자식 액면계

  ▣ 액면의 변화에 한 부자의 변위를 와이어(wire)나 금속 테이프, 스프로킷 (sprocket) 등 을 넣어서 폴리 또는 스프로킷의

       회전량으로서 얻어내 이 양으로 직접 바늘을 움직이거나 전기식, 공기식, 디지털식, 싱크로식 위치 발신기와 결합해서

       원격 전송한다. 측정원리가 원시적이기 때문에 고정도이고 오차가 측정범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것이 특징이다.

④ 디스플레이스먼트식 액면계

 

  ▣ 단면적이 일정한 원통형의 디스플레이서 (displacer)가 액으로 부터 받는 부력이 액 중에 잠기는 체적 또는 깊이 h에

       비례한다. 이 힘을 외부로 뽑아 내어 측정하면 되며 토크 튜브 (torque tube) 등을 이용한 것도 있다. 신호변환 방식에는

       힘 평형식 또는 변위변환식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디스플레이먼트(displacement)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므

       로 고온 · 고압하의 사용도 가능하여 프로세스에 많이 사용한다. 다만, 구조상으로 보아서 레벨의 변화가 큰 곳은 부적

        합하다.

⑤ 정전용량식 액면계

  ▣ 서로 맞서 잇는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은 전극 사이에 있는 물질의 유전율 (dielectric constant)의 함수이다.

        그리고 기체와 액체의 유전율은 수 ~ 수십배 다르므로 탱크 내에 전극을 놓고 액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전극 사이의

        액체 양이 달라지는 구조로 하면 액면 높이를 정전용량의 크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정전용량 액면계는 가동부나 정밀

        한 기구 부분이 없으므로 견고하고 신뢰성이 높아서 두 액의 경계나 분체의 레벨도 측정할 수 있다. 반면에 측정 대상

         의 유전율 변화나 전극에의 부착물의 영향을 받는다. 액면 제어용의 검출단(sensor)으로 적합하다.

⑥ 사운딩식 액면계

 

분립체의 경우 부자를 써서 연속적으로 레벨을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사일로(Silo) 등의 두부 (頭部)에 테이프 또는 와이어로 매달아 내린 추를 전동기기 동력에 의해서 아래 분입면에 이르게 하고 중량을 잃어 버릴 때까지 감아 내려 그 사이에 나온 테이프에 길이에서 레벨을 측정한다. 레벨 측정 후 추는 바로 감아 올려 사일로의 두부에 유지한다. 측정 원리는 원시적이나 측정 범위가 넓어 시멘트, 곡물 사일로, 광석 펄프, 녹차 등의 레벨 측정에 사용된다.

⑦ 방사선식 액면계

  ▣ 방사선 동위우너소에서 방사되는 γ선이 투과할 때 흡수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것으로 탱크 외벽에 방사선원을 놓고

        강한 투과력에 의해 탱크별을 통해서 투과해 오는 측정방식이기 때문에 비접촉 측정이다. 이 때문에 고온, 고압 용기

        내의 액면 측정, 고점도 액체, 분립체의 레벨 측정을 할 수 있고 다른 액면계에서 측정할 수 없는 매우 까다로운 조건

        의 레벨 측정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그러나 방사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법적 규제 및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고

        가이기 때문에 특정 용도에 한정되고 있다.

 

⑧ 초음파식 액면계

 

  ▣ 초음파의 송 · 수신기를 설치하고 발신기로 부터 발신되는 초음파 펄스가 액면에서 반사하여 수신기로 되돌아 오는

       왕복시간을 측정하면 액면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초음파 송 · 수신기로 부터 액면까지의 거리를 h, 초음파의 매질 중

       의 전파속도를 c, 발사된 초음파 펄스가 수신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t라 하면, t= (2h) / c, h= (ct) / 2이다. 따라서 미치

       전파속도 c를 알고 있으면 시간 t를 측정하여 레벨 h가 구해진다. 초음파 액면계 (ultrasonic liquid level gauge)는 액면

       에 접촉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식품이나 고압 또는 부식성이 있는 액체용의 탱크에 사용된다. 그러나 음파의

       전파속도가 온도에 의해 현저하게 변하는 경우는 보정이 필요하다.

【 회전수의 계측】

 

1. 펄스 출력형 검출기

    회전체의 회전수에 비례한 전기 펄스수 (주파수)의 신호를 인출하는 검출기이다. 그 대표적인 검출방식으로 전자식과 광

    전식이 있다.

① 전자식 (電磁式) 검출법

 

자속밀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펄스 모양의 전압 신호를 인출하는 것으로서 정지에 가까운 저속에서는 출력 전압이 감소되므로 저속 회전의 검출은 할 수 없지만 내구성ㅇ디 우수하고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등의 특징이 있다.

② 광전식 검출법

광원과 포토트랜지스터 등의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하여 회전수를 펄스수로 변환시키는 방법이다. 광전 검출 소자로서 광원에는 발광 다이오드나 통상의 램프가 사용되며, 수광소자에는 포토트랜지스터 등이 사용된다. 측정 축에 비접촉으로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고속 회전수의 검출에 사용된다.

2. 디지털 계수식 회전계

  ① 펄스수 (주파수) 계수 방식 : 이 방식은 펄스 신호를 일정 시간 직접 계수하여 이 시간 내의 평균 회전수를 구하는 방법

                                                   이다.

  ② 회전주기 측정 방식 : 회전체의 회전 주기를 측정하여 그 역수로 회전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회전체에 회귀성(回歸性)

                                         반사테이프(테이프 표면에 구면 렌즈를 나열한 것으로 투사광이 테이프면에 수직이 아니더라도

                                         광원 방향으로 빛을 반사한다)를 붙이고 초점조정이 용이한 적색 가시광의 LED (발광 다이오드)

                                         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그 반사광을 포토트랜지스터로 검출하여 펄스 신호를 변환시킨다.

3. 각도 검출용 센서

 

각도 검출용 센서로는 퍼텐쇼미터, 싱크로(synchro), 레졸버(resolver), 로터리인코더(rotary encoder) 등이 각각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퍼텐쇼미터는 구조가 간단하며 출력할 때에 큰 전압을 직접 얻게 되고 고정밀도와 고분해도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출력파형을 함수형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설계상 유리하여 각도 센서로 널리 사용된다.

【전기의 계측】

 

▣ 전류 검출용 센서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에는 분류기, 변류기 등의 피측정 전로에 직접 삽입되며 연결되는 방식과 클램프식 전류 센서로 전로의 절단이 없이 검출하는 방식의 센서가 있다.

#압력 #반도체 #흑체 #저항온도계 #열전온도계 #절대압력 #게이지압력 #차압 #압전형

#다이어프램 #정전용량 #진공센서 #피라니게이지 #스트레인게이지 #유량계 #플로노즐 #면적식유량계 #액면계측 #차압식액면계 #부자식액면계 #방사선 #사운딩식 #초음파

 

반응형
반응형
 

1. 감지기의 부착 높이별 설치기준

  [20 [m] 이상]

가. 3가지를 쓰시오.

  ① 불꽃 감지기

  ② 광전식 분리형 중 아날로그 방식

  ③ 광전식 공기흡입형중 아날로그 방식

나. 2가지를 쓰시오.

  ① 불꽃 감지기

  ② 광전식 (분리형 · 공기흡입형) 중 아날로그 방식

2. 8 ~ 15 [m] 중에서 연기 감지기를 제외하고 2가지를 쓰시오

  ①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② 불꽃 감지기

   ▣ 이온화식 1종 또는 2종

   ▣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 또는 2종

   ▣ 연기 복합형

※ 부착 높이 20 [m] 이상에 설치되는 광전식 중 아날로그 방식의 감지기는 공칭감지농도 하한값이 감광률 5 %/m 미만인

     것으로 한다.

[ % 퍼센트 비율]

   ① 공구손율 : 3 %                ② 잡재표비 : 주 재료비의 2 ~5 % , 최대값 5%, (오잡)

   ③ 감광률 5 % (오감)           ④ 표시등의 수명시험 (잘 안 나옴) : 130 % (DC 전압 (24[V]))에서 작동

   ⑤ 기타 : 80 [%]

【 적응감지기 】

  1. 지하층 · 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 되지 아니하거나 실내 면적이 40 [㎡] 미만인 장소,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 바닥과

      의 거리가 2.3[m] 이하인 곳으로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 · 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적응감지기

  2. 비화재보의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가 가능한 감지기

  3. 교차회로 방식 배선의 감지기에 사용되지 않는 감지기

  4. 지하공동구에 설치가 가능한 감지기

      ① 불꽃감지기                            ②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③ 분포형 감지기                       ④ 복합형 감지기

      ⑤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⑥ 아날로그 방식의 감지기

      ⑦ 다신호 방식의 감지기           ⑧ 축적 방식의 감지기

【 축적기능이 있는 감지기를 사용하는 장소】

   ① 지하층, 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장소

   ② 실내면적이 40 [㎡] 미만인 장소

   ③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바닥과의 거리가 2.3 [m] 이하인 장소로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 · 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감지기가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을 때

【 축적 기능이 없는 감지기를 사용하는 장소 】

   ① 교차회로 방식에 적용되는 감지기

   ② 급속한 연소확대가 우려되는 장소에 사용되는 감지기 (Rack 식 창고 등)

   ③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감지기

【 감지기 설치기준 】

   ① 감지기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 부터 1.5 [m]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②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의 옥내의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

   ③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 온도 보다 20 [℃]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④ 정온식 감지기는 주방 · 보일러실 등으로 다량의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하되 공칭 작동온도가 최고 주위온도

        보다 20 [℃]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⑤ 스포트형 감지기는 45 [°]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

【 1.5 [m] 기준 】

   ① 감지기 ↔ 실내 공기유입구 사이 : 1.5 [m] 이상

   ② 공기관과 벽과의 수평거리 : 1.5 [m] 이하

   ③ 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의 고압 전로와의 이격거리 : 1.5 [m] 이상

      ※ 다만, 소방선로에 정전기 차폐장치를 유효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감지기 설치기준, 바닥 면적】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의 구분
감지기의 종류 : 면적 단위 [㎡]
차동식 스포트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1종
2종
1종
2종
특종
1종
2종
4m 미만
내화구조
90
70
90
70
70
60
20
기타구조
50
40
50
40
40
30
15
4m 이상
8m 미만
내화구조
45
35
45
35
35
30
-
기타구조
30
25
30
25
25
15
-

< 암기법 >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의 구분
감지기의 종류 : 면적 단위 [㎡]
1종
2종
1종
2종
특종
1종
2종
4m 미만
9
7
9
7
7
6
2
1/2 +5
30
15
4m 이상
8m 미만
1/2
30
-
1/2+5
15
-

#감지기 #차동식 #불꽃감지기 #연기감지기 #감열실 #다이어프램 #검출부 #공기관식

#분포형 #감지선형 #다신호방식 #축적기능 #교차회로방식 #지하층 #무창층

반응형
반응형

【 자동화재탐지설비】

1. 열감지기

  ① 차동식  ㉠ 스포트(Spot)형 ( #일국소 )

                   ㉡ 분포형 (넓은 범위) - 공기관식

                   ㉢ 열전대식

                   ㉣ 열반도체식

  ② 정온식 ㉠ 스포트형, ㉡ 감지선형 (외관선형)

  ③ 보상식 : 차동식 + 정온식 중 한 기능

  ④ 복합형 : 차동식 + 정온식 2개 기능

2. 연기

  ① 이온화식 - 스포트형 : 이온화 전류 (방사선 + 연기 = 전류)

  ② 광전식 : ㉠ 스포트(Spot)형 ㉡ 분리형 (공기흡입형) ㉢ 분리형 : 송광부 + 수광부

3. 불꽃

   ① 자외선식,      ② 적외선식,     ③ 복합식,     ④ 불꽃영상분석식

. 자동화재탐지설비

1.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구성요소】

 

가.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것

 

  ① 구성요소 : 감열실(챔버(Chamber)), 다이어프램, 접점, 리크구멍, 작동표시램프(LED)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감열실의 공기가 팽창하여 다이어프램을 밀어 올려 접점이 붙어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나. 열기전력을 이용한 것

 

  ① 구성요소 : 감열실(챔버(Chamber)), 반도체열전대, 고감도릴레이, 온접점, 냉접점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열에 의해 반도체 열전대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고감도 릴레이를 동작시켜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다. 반도체를 이용한 것

  ① 구성원리 : 서미스터 (Thermistor)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감지기 내외부에 설치된 서미스터 (Thermistor)에 전달되는 시간차를 검출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 감지기가 작동한 경우 수신기에 그 감지기가 작동한 내용이 표시되는 감지기는 작동 표시 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리크 밸브 (leak valve) 】 ★

  ▣ 리크 구멍 = 리크 공 = 리크 홀

   ⊙ 기능 (용도)

      ① 비화재보의 방지 (오동작 방지)

      ② 작동속도의 조정

      ③ 공기유통에 대한 저항을 가짐

  ⊙ 리크 구멍이 막힐 경우 : 계속 동작 상태로 오동작

2. 정온식 감지기

 

가. 스포트형

  ①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구조원리

     ㉠ #바이메탈 (Bimetal)의 활곡 또는 반전을 이용한 것

     ㉡ 금속의 #팽창계수를 이용한 것

     ㉢ 액체 (기체)의 팽창을 이용한 것

     ㉣ 반도체를 이용한 것

     ㉤ 가용절연물을 이용한 것

나. #감지선형

  ① 고정방법

    ㉠ 직선부분 : 50 [㎝] 이내

    ㉡ 굴곡부분 : 10 [㎝] 이내

    ㉢ 접속부분 : 10 [㎝] 이내 (단자부와 마감 고정 금구)

    ㉣ 굴곡반경 : 5 [㎝] 이상

  ② 접속방법 : 단자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 감지기의 접속방법 】

구 분
접속방법
공기관식 차동형
분포형 감지기
검출부와 공기관의
접속
공기관의 접속단자에 삽입한 후 납땜한다.
공기관과 공기관의
접속
슬리브에 삽입 후 압착한다.
열전대식, 열반도체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슬리브에 삽입 후 압착한다.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단자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3.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구성 요소]

  ▣ 감열실, 다이어프램, 리크 구멍, 고팽창 금속, 저팽창 금속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것 (차동식 기능)) + 금속의 팽창계수

       를 이용한 것 (정온식 기능)

4.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가. 공기관식

  ▣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 작동하는 것으로서 넓은 범위내에서의 열효과의 누적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 중 공기관내의 공기가 팽창하여 팽창된 공기의 압력으로 접점을 붙여 작동되는 것

 

  1)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① 공기관식

 

  [구성요소]

     ㉠ 감열부 (수열부) : 공기관 (두께 0.3[㎜] 이상, 바깥지름(외경) 1.9[㎜] 이상)

     ㉡ 검출부 : 다이어프램, 접점, 리크구멍(리크공), 시험장치(시험공, 시험용 레버), 선 (접속전선)

  [접속방법]

    ㉠ 검출부와 공기관의 접속 : 공기관의 접속단자에 삽입후 납땜한다.

    ㉡ 공기관과 공기관의 접속 : 슬리브 (튜브)에 삽입 후 납땜한다.

참고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
  1. 공기관의 규격
     ① 두께 : 0.3 [㎜] 이상
     ② 외경 : 1.9 [㎜] 이상
  2. 공기관의 지지금속 기구
    ① 스테이플
    ② 스티커

  ② 고정방법

    ⊙ 직선 부분 : 35 [㎝] 이내

    ⊙ 굴곡 부분 : 5 [㎝] 이내

    ⊙ 접속 부분 : 5 [㎝] 이내 (검출부와 마감 고정 금구)

    ⊙ 굴곡 반경 : 5 [㎜] 이상

      ※ 공기관

 

  ※ 감지기 지지 방법

      ① 공기관식 : 스테이플, 스티커 (스, 스)

      ② 정온식 : 보조선, 고정금구 (보, 고)

      ③ 누설동축케이블 : 금속제, 자기제 (금, 자)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화재 감지 동작순서

      ▣ 열 → 공기관내 공기팽창 → 검출부내 다이어프램 팽창 → 회로접점 접속 (다이어프램이 팽창하여 접점에 붙어

           수신시에 신호를 발한다)

  ③ 접속방법

    ㉠ 검출부와 공기관의 접속 : 공기관의 접속단자에 삽입 후 납땜한다.

    ㉡ 공기관과 공기관의 접속 : #슬리브(튜브)에 삽입 후 납땜한다.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기능시험 ★★

    ① #화재작동시험 (펌프 시험)

    ② 유통시험

    ③ 접점 수고 시험 ( #다이어프램 시험)

    ④ 작동 계속 시험

    ⑤ #리크 시험 (화재표시작동시험 × - 수신기의 기능 시험)

        ※ 기능 시험

            ㉠ 공기관식 감지기 화재 작동 시험

            ㉡ 수신기 화재 표시 작동 시험

  ④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기능 시험

      ㉠ 화재 작동시험 (펌프시험) : 화재시 공기관식 감지기가 작동되는 공기압에 해당하는 공기량 공기주입기 (테스트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관에 주입하여 작동시간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유통 시험 : 공기관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관의 누설 폐쇄, 변형 등 공기관의 상태 및 길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접점 수고 시험 (다이어프램 시험) : 검출기에서 감지기의 접점 간격이 적당한가를 확인 하기 위한 시험

      ㉣ 작동계속시험 : 감지기가 작동을 개시한 때 부터 작동이 종료(복구) 될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감지기의 작동

                                   지속 상태가 정상인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리크 시험 : 리크 저항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유통시험시 사용기구 ★

     ① 공기주입기 (테스트 펌프), ② 고무관 ③ #마노미터

     ④ 유리관 (가열 시험기 × - 열스포트형 감지기의 시험기구)

       ⊙ 마노미터

  ◈ 액주계 = 액주압력계 (공기관의 누설 측정)

    ⊙ 공기관에 공기의 누설이 있을 경우 사용하는 측정기로서, 압력 (또는 압력차)을 측정 하는 기구로 관 또는 용기 내의

         압력의 강도를 그 속에 U 자형 관을 세우고 그 관을 상승하는 액의 높이로 측정하는 기구

  ◈ 접점 수고 시험

    ⊙ 감지기의 접점 간격이 적당한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작동 시험 시간

작동시간이
늦은 경우
① 리크 저항값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경우 (누설이 용이)
② 공기관 또는 다이어프램에 작은 구멍이 있는 경우
③ 접점 수고치가 규정치 보다 높은 경우
작동시간이
빠른 경우
① 리크 저항값이 기준치 보다 클 경우 (누설이 지연)
② 공기관 또는 리크 구멍이 막혀 있거나 변형될 경우
③ 접점 수고치가 규정치 보다 낮을 경우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가열시험시 동작하지 않는 원인

    ① 접점 간격이 규정치 보다 넓은 경우

    ② 공기관이 막혔을 경우

    ③ 다이어프램이 부식되었을 경우

    ④ 공기관이 부식되었을 경우 (수신기에 이르는 배선의 단선 ×)

나. #열전대식

  ▣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전대부가 가열되어 종류가 다른 금속관의 상호간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미터 릴레이에

       전류가 흘러 접점이 붙어 수신기에 신호를 발하는 것

 

  ① 구성요소

     ㉠ 감열부 : 열전대

    ㉡ 검출부 : 미터릴레이, 접속전선 (배선)

  ② 열전대부의 접속 : 슬리브에 삽입한 후 압착한다.

  ③ 고정방법 : 메신저와이어 사용시 : 30 [㎝] 이내

다. 열반도체식

  ▣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수열관이 가열되어 열반도체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미터릴레이를 작동시켜 수신기에

       신호를 발하는 것

 

  ① 구성 요소

    ㉠ 감열부 : 열반도체 소자, 수열관

    ㉡ 검출부 : 미터릴레이, 접점

5.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

  ▣ 화재 발생시 감지기 내 연기입자가 들어 오면 이온전류의 흐름이 저항을 받아 이온전류가 작아지면 이것을 검출부,

       증폭부, 스위칭회로에 전달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가. 구성요소

   ▣ 내부 이온실, 외부 이온실, 신호증폭회로, 스위칭 회로, 작동표시장치

나. 이온화식 열감지기의 구조 ★★♣

  ① 내부 이온실 : + 극 전류 (절연 등의 열화 방지가 요구된다)

  ② 외부 이온실 : - 극 전류 (냉음극관이 있다. 이 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망을 씌우거나 이중구조이다.)

     ※ 냉음극관이 있는 감지기

【 이온화식 연기감지기 】 ★

  1) 방사선 동위 원소 : ① 아메리슘 241 (Am241), ② 아메리슘 95 (Am95),  ③ 라듐 (Ra)

  2) 방사선 : α 선

   ▣ 방사선 물질을 사용하는 감지기는 그 방사선 물질을 밀봉선원으로 하여 외부에서 직접 접촉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

다.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감지기 내 연기입자가 들어 오면 이온전류의 흐름이 저항을 받아 이온전류가 작아지면 이 것을 검출부,

       증폭부, 스위칭 회로에 전달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라. 이온화식 감지기의 감도시험 (감지기의 형식 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18조)

  ① 작동시험 : 전리전류의 변화율 1.35K인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는 풍속 V[㎝/s]의 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비축적형은

                        30초 이내에 작동하고 축적형은 30초 이내에서 감지한 후 공칭축적시간 ± 5초 범위내에서 화재신호를

                         발신하여야 한다.

  ② 부동작시험 : 전리전류의 변화율 0.65K인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는 풍속 V[㎝/s]의 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5분 이내에는

                            작동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 제연설비의 기동용 감지기】

  ▣ 연기 감지기 (이온화식, 광전식)가 적압하다.

       (전실 (부속실) 재연설비 : 옥내에 설치된 감지기 (열, 연기, 불꽃))

  ◆ 이온화식 감지기의 감도시험

      ① 작동시험          ② 부동작시험

6. 광전식 감지기

   ▣ 화재발생시 감지기 내 연기입자가 들어 오면 광반사가 일어나 광전소자의 저항이 변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가. #스포트

 

  ① 구성요소 : 발광부, 수광부, 차광판, 신호 증폭회로, 스위칭 회로, 작동표시장치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감지기내 연기입자가 들어 오면 광반사가 일어나 광전소자의 저항이 변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참고 : 광전식 감지기의 적합기준
  1. 발광소자는 광속 변화가 적고 장시간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2. 수광소자는 감도 저하 및 피로현상이 적고 장기간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반사판이 있는 구조의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반사판은 기능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흠, 부식, 변형 등이
      없어야 한다.

나. 분리형

   ① 구성요소 : 발광부, 수광부, 신호증폭회로, 스위칭 회로, 작동표시장치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광축 (송광부와 수광부의 축) 사이로 연기입자가 들어 오면 광량이 감소하므로 이를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보낸다.

다. 공기흡입형

  ① 구성요소 : 흡입배관, 공기흡입펌프(aspirator), 감지부, 제어부, 필터

  ② 동작원리 : 평상시 공기흡입펌프가 흡입배관을 통하여 주위 공기를 계속 흡입하고 화재 발생시 흡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연소생설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를 감지한다.

라. #광전식 감지기의 특징

   ① 화재의 조기발견이 용이함

   ② 연기의 색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③ 외광에 의해서는 동작하지 않음

   ④ 접점과 같은 가동부분이 없어 재조정이 불필요함

7. 불꽃 감지기

가. 자외선식 (UV)

   ▣ 가연물의 연소시 자외선에 영역 중 화재시 0.18 ~ 0.26 [μm]의 파장에서 강한 에너지 레벨이 되므로 이를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보낸다.

나. 적외선식 (IR)

  ▣ 가연물의 연소시 적외선의 영역중 화재시 4.35 [μm]의 #파장 에서 강한 #에너지 레벨이 되므로 이를 검출하여

      #화재신호 를 보낸다.

다. 불꽃 영상 분석식

  ▣ #불꽃 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자동 분석하여 화재 신호를 발신하는 것

 

반응형
반응형

4.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구성요소】

 

    ▣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것

    ▣ 감열실(챔버)

    ▣ 다이어프램

    ▣ 접점

    ▣ 리크 구멍

    ▣ 자동표시램프

가.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것

  ① 구성요소 : 감열실(챔버(Chamber)), 다이어프램, 접점, 리크구멍, 작동표시램프(LED)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감열실의 공기가 팽창하여 다이어프램을 밀어 올려 접점이 붙어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나. 열기전력을 이용한 것

  ① 구성요소 : 감열실(챔버(Chamber)), 반도체열전대, 고감도릴레이, 온접점, 냉접점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열에 의해 반도체 열전대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고감도 릴레이

                        를 동작시켜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다. 반도체를 이용한 것

  ① 구성원리 : 서미스터 (Thermistor)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감지기 내외부에 설치된 서미스터 (Thermistor)에 전달되는

                        시간차를 검출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 감지기가 작동한 경우 수신기에 그 감지기가 작동한 내용이 표시되는 감지기는 작동

      표시 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리크 밸브 (leak valve) ★

  = 리크 구멍 = 리크 공 = 리크 홀

  1) 기능 (용도)

    ① 비화재보의 방지 (오동작 방지)

    ② 작동속도의 조정

    ③ 공기유통에 대한 저항을 가짐

  2) 리크 구멍이 막힐 경우

     ▣ 계속 동작 상태

5. 정온식 감지기

가. 스포트형

 ①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구조원리

   ㉠ 바이메탈 (Bimetal)의 활곡 또는 반전을 이용한 것

   ㉡ 금속의 팽창계수를 이용한 것

 ② 액체 (기체)의 팽창을 이용한 것

 ③ 반도체를 이용한 것

 ④ 가용절연물을 이용한 것

나. 감지선형

 ① 고정방법

   ㉠ 직선부분 : 50 [㎝] 이내

   ㉡ 굴곡부분 : 10 [㎝] 이내

 ② 접속부분 : 10 [㎝] 이내 (단자부와 마감 고정 금구)

 ③ 굴곡반경 : 5 [㎝] 이상

 ④ 접속방법 : 단자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 감지기의 접속방법

구 분
접속방법
공기관식 차동형
분포형 감지기
검출부와 공기관의
접속
공기관의 접속단자에 삽입한 후 납땜한다.
공기관과 공기관의
접속
슬리브에 삽입 후 압착한다.
열전대식, 열반도체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슬리브에 삽입 후 압착한다.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단자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6.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구성 요소]

  ▣ 감열실, 다이어프램, 리크 구멍, 고팽창 금속, 저팽창 금속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것

       (차동식 기능)) + 금속의 팽창계수를 이용한 것 (정온식 기능)

7.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가. 공기관식

  ▣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 작동하는 것으로서 넓은 범위내에서의

      열효과의 누적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 중 공기관내의 공기가 팽창하여 팽창된 공기의

      압력으로 접점을 붙여 작동되는 것

  ※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① 공기관식

 

    ② 열전대식

 

    ③ 열반도체식

참고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
1. 공기관의 규격
   ① 두께 : 0.3 [㎜] 이상
   ② 외경 : 1.9 [㎜] 이상
2. 공기관의 지지금속 기구
   ① 스테이플
   ② 스티커

 ② 고정방법

    ▣ 직선 부분 : 35 [㎝] 이내

    ▣ 굴곡 부분 : 5 [㎝] 이내

    ▣ 접속 부분 : 5 [㎝] 이내 (검출부와 마감 고정 금구)

    ▣ 굴곡 반경 : 5 [㎜] 이상

  ※ 공기관

 

  ※ 감지기 지지 방법

   ① 공기관식 : 스테이플, 스티커 (스, 스)

   ② 정온식 : 보조선, 고정금구 (보, 고)

   ③ 누설동축케이블 : 금속제, 자기제 (금, 자)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화재 감지 동작순서

  ▣ 열 ⇒ 공기관내 공기팽창 ⇒ 검출부내 다이어프램 팽창 ⇒ 회로접점 접속 (다이어프램이 팽창하여

       접점에 붙어 수신시에 신호를 발한다)

 ③ 접속방법

   ㉠ 검출부와 공기관의 접속 : 공기관의 접속단자에 삽입 후 납땜한다.

   ㉡ 공기관과 공기관의 접속 : 슬리브에 삽입 후 납땜한다.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기능시험 ★★

   ① 화재작동시험 (펌프 시험)

   ② 유통시험

   ③ 접점 수고 시험 (다이어프램 시험)

   ④ 작동 계속 시험

   ⑤ 리크 시험 (화재표시작동시험 × - 수신기의 기능 시험)

 ※ 기능 시험

   1. 공기관식 감지기 화재 작동 시험

   2. 수신기 화재 표시 작동 시험

 ④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기능 시험

    ㉠ 화재 작동시험 (펌프시험) : 화재시 공기관식 감지기가 작동되는 공기압에 해당하는 공기량 공기주입기

                                                    (테스트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관에 주입하여 작동시간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유통 시험 : 공기관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관의 누설 폐쇄, 변형 등 공기관의 상태 및

                           길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접점 수고 시험 (다이어프램 시험) : 검출기에서 감지기의 접점 간격이 적당한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작동계속시험 : 감지기가 작동을 개시한 때 부터 작동이 종료(복구) 될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감지기의 작동 지속 상태가 정상인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리크 시험 : 리크 저항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유통시험시 사용기구 ★

          ① 공기주입기 (테스트 펌프)

          ② 고무관

          ③ 마노미터

          ④ 유리관 (가열 시험기 × - 열스포트형 감지기의 시험기구)

        ⇒ 마노미터

  = 액주계 = 액주압력계 (공기관의 누설 측정)

    ▣ 공기관에 공기의 누설이 있을 경우 사용하는 측정기로서, 압력 (또는 압력차)을 측정

         하는 기구로 관 또는 용기 내의 압력의 강도를 그 속에 U 자형 관을 세우고 그 관을

         상승하는 액의 높이로 측정하는 기구

  ⇒ 접점 수고 시험

    ▣ 감지기의 접점 간격이 적당한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작동 시험 기관

작동시간이
늦은 경우
① 리크저항값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경우 (누설이 용이)
② 공기관 또는 다이어프램에 작은 구멍이 있는 경우
③ 접점 수고치가 규정치 보다 높은 경우
작동시간이
빠른 경우
① 리크 저항값이 기준치 보다 클 경우 (누설이 지연)
② 공기관 또는 리크 구멍이 막혀 있거나 변형될 경우
③ 접점 수고치가 규정치 보다 낮을 경우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가열시험시 동작하지 않는 원인

   ① 접점 간격이 규정치 보다 넓은 경우

   ② 공기관이 막혔을 경우

   ③ 다이어프램이 부식되었을 경우

   ④ 공기관이 부식되었을 경우 (수신기에 이르는 배선의 단선 ×)

나. 열전대식

  ▣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전대부가 가열되어 종류가 다른 금속관의 상호간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미터 릴레이에 전류가 흘러 접점이 붙어 수신기에 신호를 발하는 것

  ① 구성요소

  ② 고정방법 : 슬리브에 삽입 후 압착한다.

다. 열반도체식

  ▣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수열관이 가열되어 열반도체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미터릴레이를 작동시켜 수신기에 신호를 발하는 것

  ① 구성 요소

8.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

가. 구성요소

  ▣ 내부 이온실, 외부 이온실, 신호증폭회로, 스위칭 회로, 작동표시장치

나. 이온화식 열감지기의 구조 ★★♣

  ① 내부 이온실 : + 극 전류 (절연 등의 열화 방지가 요구된다)

  ② 외부 이온실 : - 글 전류 (냉음극관이 있다. 이 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망을

                               씌우거나 이중구조이다.

 ※ 냉음극관이 있는 감지기

  ⇒ 이온화식 연기감지기 ★

   1) 방사선 동위 원소

      ① 아메리슘 241 (Am241)

      ② 아메리슘 95 (Am95)

      ③ 라듐 (Ra)

   2) 방사선 : α 선

    ▣ 방사선 물질을 사용하는 감지기는 그 방사선 물질을 밀봉선원으로 하여 외부에서

         직접 접촉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

다.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감지기 내 연기입자가 들어 오면 이온전류의 흐름이 저항을 받아 이온전류가 작아지면

      이것을 검출부, 증폭부, 스위칭 회로에 전달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라. 이온화식 감지기의 감도시험 (감지기의 형식 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18조)

  ① 작동시험 : 전리전류의 변화율 1.35K인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는 풍속 V[㎝/s]의 기류

                         에 투입하는 경우 비축적형은 30초 이내에 작동하고 축적형은 30초 이내에서 감지한 후

                         공칭축적시간 ± 5초 범위내에서 화재신호를 발신하여야 한다.

  ② 부동작시험 : 전리전류의 변화율 0.65K인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는 풍속 V[㎝/s]의

                           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5분 이내에는 작동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 재연설비의 기동용 감지기

  ▣ 연기 감지기 (이온화식, 광전식)가 적압하다.

       (전실 (부속실) 재연설비 : 옥내에 설치된 감지기 (열, 연기, 불꽃))

 ⇒ 이온화식 감지기의 감도시험

  ① 작동시험

  ② 부동작시험

9. 광전식 감지기

가. 스포트 형

  ① 구성요소 : 발광부, 수광부, 차광부, 신호 증폭회로, 스위칭 회로, 작동표시장치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감지기내 연기입자가 들어 오면 광반사가 일어나 광전소자의

                        저항이 변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낸다.

참고 : 광전식 감지기의 적합기준
1. 발광소자는 광속 변화가 적고 장시간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2. 수광소자는 감도 저하 및 피로현상이 적고 장기간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반사판이 있는 구조의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반사판은 기능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흠, 부식, 변형 등이 없어야 한다.

나. 분리형

  ① 구성요소 : 발광부, 수광부, 신호증폭회로, 스위칭 회로, 작동표시장치

  ② 동작원리 : 화재발생시 광축 (송광부와 수광부의 축) 사이로 연기입자가 들어 오면

                        광량이 감소하므로 이를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보낸다.

10. 불꽃 감지기

가. 자외선식 (UV)

  ▣ 가연물의 연소시 자외선에 영역 중 화재시 0.18 ~ 0.26 [μm]의 파장에서 강한

       에너지 레벨이 되므로 이를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보낸다.

나. 적외선식 (IR)

  ▣ 가연물의 연소시 적외선의 영역중 화재시 4.35 [μm]의 파장에서 강한 에너지

      레벨이 되므로 이를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보낸다.

다. 불꽃 영상 분석식

  ▣ 불꽃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자동 분석하여 화재 신호를 발신하는 것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