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다음은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소화기구의 설치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8점] ★★★★

가.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A급 화재는 개당 ( ① ) 단위 이상, B급 화재는 개당 ( ② ) 단위 이상 및 C급 화재에 ( ③ )이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소화기 한대의 총 중량은 사용 및 운반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 ④ ) ㎏ 이하로 할 것

다. 소화기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환기구, 작업구를 포함한다) 부근에 ( ⑤ )개 이상 설치할 것

라. 소화기는 바닥면으로 부터 ( ⑥ )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마. 소화기의 상부에 '소화기'라고 표시한 ( ⑦ ) 또는 ( ⑧ )의 표지판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것

[답안작성]

   ① 3       ② 5        ③ 적응성       ④ 7         ⑤ 5          ⑥ 1.5           ⑦ 조명식            ⑧ 반사식

 

[해설]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소화기구의 설치기준)

가.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A급 화재는 개당 3단위 이상, B급 화재는 개당 5단위 이상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소화기 한대의 총 중량은 사용 및 운반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7 ㎏ 이하로 할 것

다. 소화기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환기구, 작업구를 포함한다) 부근에 5개 이상 설치할 것

라. 소화기는 바닥면으로 부터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마. 소화기의 상부에 "소화기"라고 표시한 조명식 또는 반사식의 표지판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것

 

[참고] 지하구 용어의 정의 ·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 (NFTC 605. 1. 7)

가. 지하구

  ① 전력 · 통신용 전선이나 가스 · 냉난방용의 배관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집합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하 인공구조물

      로서 사람이 점검 또는 보수를 하기 위하여 출입이 가능한 것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 전력 또는 통신사업용 지하 인공구조물로서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가 없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또는 통신구 방식으로

         설치된 것

    ㉡ ㉠ 외의 지하 인공구조물로서 폭이 1.8 m 이상이고 높이가 2m 이상이며 길이가 50 m 이상일 것

  ② 공동구

나. 용어의 정의

  ① 지하구 : 영 [별표 2] 제28조에서 규정한 지하구를 말한다.

  ② 제어반 : 설비, 장치 등의 조작과 확인을 위해 제어용 계기류, 스위치 등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을 말한다.

  ③ 분전반 : 분기 개폐기, 분기 과전류 차단기 그 밖에 배선용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을 말한다.

  ④ 방화벽 : 화재시 발생한 열, 연기 등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벽을 말한다.

  ⑤ 분기구 : 전기, 통신, 상하수도, 난방 등의 공급시설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하여 지하구의 단면 또는 형태를 변화시키는

       부분을 말한다.

  ⑥ 환기구 : 지하구의 온도, 습도의 조절 및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자연환기구와 강제환기구로 구분

       된다.

  ⑦ 작업구 : 지하구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자재, 기계기구의 반 · 출입 및 작업자의 출입을 위하여 만들어진 출입구를

       말한다.

  ⑧ 케이블 접속구 : 케이블이 지하구내에 포설되면서 발생하는 직선 접속 부분을 전용의 접속재로 접속한 부분을 말한다.

  ⑨ 특고압 케이블 : 사용전압이 7,000 [V]를 초과하는 전로에 사용하는 케이블을 말한다.

2. 다음은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자동소화장치의 설치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4점] ★★★★

 가. 지하구내 발전실 · 변전실 · 송전실 · 변압기실 · 배전반실 · 통신기기실 · 전산기기실 · 기타 이와 유사한 시설이 있는

       장소 중 바닥면적이 ( ① ) ㎡ 미만인 곳에는 유효설치 방호체적 이내의 가스 · 분말 · 고체 에어로졸 · 케비닛형 자동

       소화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다만, 해당 장소에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나. ( ② ) 또는 ( ③ ) 마다 가스 · 분말 ·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또는 유효 설치 방호체적 이내의 소공간용 소화용구

      를 설치해야 한다.

다. ( ④ ) (절연유를 포함한 접속부에 한한다) 마다 다음 각 호의 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되 소화성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방호공간을 구획하는 등 유효한 조치를 해야 한다.

  ㉠ 가스 · 분말 ·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 중앙소방기술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소방청장이 인정하는 자동소화장치

[답안작성]

  ① 300         ② 제어반           ③ 분전반            ④ 케이블 접속부

[해설]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자동소화장치의 설치기준 (NFTC 605.2.1))

  ① 지하구내 발전실 · 변전실 · 송전실 · 변압기실 · 배전반실 · 통신실 · 전산기기실 · 기타 이와 유사한 시설이 있는 장소

       중 바닥면적이 300 ㎡ 미만인 곳에는 유효설치 방호체적 이내의 가스 · 분말 · 고체 에어로졸 · 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를 설치해야 한다. 다만, 해당 장소에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② 제어반 또는 분전반 마다 가스 · 분말 ·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또는 유효 설치 방호 체적 이내의 소공간용 소화

       용구를 설치해야 한다.

  ③ 케이블 접속부 (절연유를 포함한 접속부에 한한다) 마다 다음 각 호의 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되 소화성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방호공간을 구획하는 등 유효한 조치를 해야 한다.

    ㉠ 가스 · 분말 ·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 중앙 소방기술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소방청장이 인정하는 자동소화장치

3. 다음은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연소방지설비 헤드의 설치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6점] ★★★★

가. 헤드는 ( ① ) 또는 ( ② )에 설치할 것

나. 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 ③ ) 이하, 스프링클러 헤드의 경우에는 ( ④ ) 이하로 할 것.

다. 소방대원의 출입이 가능한 환기구 · 작업구 마다 지하구의 양쪽 방향으로 설정하되, 한쪽 방향의 살수구역의 길이는

      ( ⑤ ) 이상으로 할 것. 다만, 환기구 사이의 간격이 ( ⑥ ) 를 초과할 경우에는 ( ⑥ ) 이내 마다 살수구역을 설정하되,

      지하구의 구조를 고려하여 방화벽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답안작성]

   ① 천장          ② 벽면          ③ 2 m          ④ 1.5 m            ⑤ 3m            ⑥ 700m

 

[해설]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연소방지설비의 배관 및 헤드의 설치기준) (NFTC 605. 2. 4)

가. 배관의 구경

  ① 전용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배관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개수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
6개 이상
배관의 구경 [㎜]
32
40
50
65
80

②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급수관의 구경  [㎜]
25
32
40
50
65
80
90
100
125
125 이상
폐쇄형 헤드수
2
3
5
10
30
60
80
100
160
​161 이상
 

나. 헤드의 설치기준

  ①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할 것

  ② 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2m 이하, 스프링클러 헤드의 경우에는 1.5 m 이하로 할 것

  ③ 소방대원의 출입이 가능한 환기구 · 작업구 마다 지하구의 양쪽 방향으로 살수헤드를 설정하되, 한쪽 방향의 살수구역

       의 길이는 3m 이상으로 할 것. 다만, 환기구 사이의 간격이 700 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700 m 이내 마다 살수구역을

       설정하되 지하구의 구조를 고려하여 방화벽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참고]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연소방지설비의 송수구의 설치기준)  (NFTC 605. 2. 4)

  ①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노출된 장소에 설치하되, 눈에 띄기 쉬운 보도 또는 차도에 설치할 것

  ② 송수구는 구경 65 [㎜]의 쌍구형으로 할 것

  ③ 송수구로 부터 1 [m] 이내에 살수구역 안내표지를 할 것

  ④ 지면으로 부터 높이가 0.5 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⑤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 (또는 직경 5 ㎜ 의 배수공)를 설치할 것. 이 경우 자동배수밸브는 배관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되,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 또는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해야 한다.

  ⑥ 송수구로 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⑦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어야 한다.

 

4. 소방대원의 출입이 가능한 환기구가 2개인 지하구에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

     오. [6점] ★★★★★

  가. 환기구간 살수구역은 몇 개인가 ?

  나. 지하구의 폭이 4m, 높이가 3m인 경우 1개 살수구역 한쪽 방향의 최소 소요헤드수를 계산하시오. (단, 살수구역의

        길이는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정한 최소 길이를 적용한다)

  다. 송수구로 부터 1개 살수구역 한쪽 방향의 급수배관의 호칭구경 [㎜]을 쓰시오.

[답안작성]

  가. 환기구간 살수구역은 몇 개인가 ? 2개

  나. 지하구의 폭이 4m, 높이가 3m인 경우 1개 살수구역 한쪽 방향의 최소 소요헤드수를 계산하시오. (단, 살수구역의

        길이는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정한 최소 길이를 적용한다)

    ▣ 지하구의 폭에 설치하는 헤드 수 : 4 m / 2 m = 2개

    ▣ 가지배관의 수 = 3m / 2m = 1.5 ≒ 2개

       ∴ 전체 헤드의 수 : 2개 × 2개 = 4개

  다. 송수구로 부터 1개 살수구역 한쪽 방향의 급수배관의 호칭구경 [㎜]을 쓰시오. 65 ㎜

 

[해설]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연소방지설비)

 가. 연소방지설비 헤드의 설치기준

  ①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할 것

  ② 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2m 이하, 스프링클러 헤드의 경우에는 1.5 m 이하로 할 것

  ③ 소방대원의 출입이 가능한 환기구 · 작업구 마다 지하구의 양쪽 방향으로 살수헤드를 설정하되, 한쪽 방향의 살수구역

       의 길이는 3m 이상으로 할 것. 다만, 환기구의 간격이 700 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700m 이내마다 살수구역을 설정

       하되, 지하구의 구조를 고려하여 방화벽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연소방지설비의 살수구역 수

       소방대원의 출입이 가능한 환기구 · 작업구 마다 지하구의 양쪽 방향으로 살수구역을 설정하되, 환기구가 2개 이므로

       환기구간 살수구역은 2개가 된다.

   ※ 연소방지설비는 지하구의 연소방지를 위하여 연소방지 전용헤드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지하구의 화재를 방지하는 설비이며, 인접한 살수구역으로 연소방지 효과만 기대하는 설비이다.

  ⑤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1개 살수구역 한쪽 방향의 최소 소요 헤드수

     ▣ 헤드간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2m 이하 이므로

      ⊙ 지하구의 폭에 설치하는 헤드 수 : 4m / 2m = 2개

      ⊙ 가지배관과 가지배관 사이에 설치하는 헤드 수 : 3m / 2m = 1.5 ≒ 2개

나. 연소방지설비 배관의 구경

  ① 전용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배관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개수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
6개 이상
배관의 구경 [㎜]
32
40
50
65
80

②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급수관의 구경  [㎜]
25
32
40
50
65
80
90
100
125
125
이상
폐쇄형 헤드수
2
3
5
10
30
60
80
100
160
​161 이상

5. 소방시설 중 내진설계를 필요로 하는 설비 3가지를 쓰시오. [3점] ★★★

[답안작성]

  ① 옥내소화전설비          ② 스프링클러 설비             ③ 물분무등 소화설비

[해설]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조)

  ① 옥내 소화전 설비

  ② 스프링클러설비

  ③ 물분무등 소화설비

#내진설계 #소방시설 #지하구 #화재안전기술기준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등소화설비 #능력단위 #환기구 #작업구 #소화기 #케이블 #분전반 #방화벽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절연유 #방호체적 #배전반 #연소방지설비

반응형
반응형
 

1.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하는 지하 2층, 지상 3층의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이 32,500㎡이고, 각 층의 바닥면적이 다음과

     같을 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층수
지하2층
지하1층
지상1층
지상2층
지상3층
바닥면적 [㎡]
2,500
2,500
13,500
13,500
500

가. 소화수조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나. 저수조에 설치하여야 할 흡수관 투입구, 채수구의 최소 설치수량을 구하시오.

   ① 흡수관 투입구 수

   ② 채수구 수

다. 저수조에 설치하는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 [ℓ/min]은 ?

[문제풀이]

가. 소화수조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나. 저수조에 설치하여야 할 흡수관 투입구, 채수구의 최소 설치수량을 구하시오.

   ① 송수관 투입구 수 : 2개

   ② 채수구 수 : 3개

다. 저수조에 설치하는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 [ℓ/min]은 ? 3,300 [ℓ/min] 이상

[해설] 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 저수조)

가. 소화수조의 저수량

  ▣ 기준면적

특정소방대상물의 구분
기준면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0 ㎡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7,500 ㎡ 이상
그 밖의 특정소방대상물
12,500㎡이상

나. 흡수관 투입구수

  ▣ 소화용수설비의 흡수관 투입구수

소화수조의 소요수량
80 ㎥ 미만
80 ㎥ 이상
흡수관 투입구수
1개 이상
2개 이상

다. 채수구 수

  ▣ 소화용수설비의 채수구수

소요수량
20 ㎥ 이상
40 ㎥ 미만
40 ㎥ 이상
100 ㎥ 미만
100 ㎥ 이상
채수구의 수
1개
2개
3개

라.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

  ▣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가압송수장치의 양수량 (토출량)

소화수조의
소요수량
20 ㎥ 이상
40 ㎥ 미만
40 ㎥ 이상
100 ㎥ 미만
100 ㎥ 이상
양수량 (토출량)
1,100 ℓ/min
2,200 ℓ/min
3,300 ℓ/min

2.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00 ㎡ 인 공장에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를 설치시 저수조에 확보하여야 할 저수량 [㎥]을 구하시오.

  나. 저수조에 설치하여야 할 채수구의 최소 설치수량은 몇 개인가 ?

[문제풀이]

가.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를 설치시 저수조에 확보하여야 할 저수량 [㎥]을 구하시오.

나. 저수조에 설치하여야 할 채수구의 최소 설치수량은 몇 개인가 ? 2개

 

[해설] 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 저수조)

가. 소화수조의 저수량

  ▣ 기준면적

특정소방대상물의 구분
기준면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0 ㎡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7,500 ㎡ 이상
그 밖의 특정소방대상물
12,500㎡이상

나. 흡수관 투입구수

  ▣ 소화용수설비의 흡수관 투입구수

소화수조의 소요수량
80 ㎥ 미만
80 ㎥ 이상
흡수관 투입구수
1개 이상
2개 이상

다. 채수구 수

  ▣ 소화용수설비의 채수구수

소요수량
20 ㎥ 이상
40 ㎥ 미만
40 ㎥ 이상
100 ㎥ 미만
100 ㎥ 이상
채수구의 수
1개
2개
3개

라.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

  ▣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가압송수장치의 양수량 (토출량)

소화수조의
소요수량
20 ㎥ 이상
40 ㎥ 미만
40 ㎥ 이상
100 ㎥ 미만
100 ㎥ 이상
양수량 (토출량)
1,100 ℓ/min
2,200 ℓ/min
3,300 ℓ/min

3. 상수도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대지 경계선으로 부터 180m 이내에 지름 75 ㎜ 이상인 상수

    도용 배수관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를 설치하려고 한다. 각 층의 바닥면적이 6,000 ㎡, 지상 5층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나.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에 설치하여야 할 흡수관 투입구수를 구하시오.

  다.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에 설치하여야 하는 가압송수장치의 양수량 [ℓ/min]은 얼마인가?

[문제풀이]

  가.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나.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에 설치하여야 할 흡수관 투입구수를 구하시오. 1개

  다.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에 설치하여야 하는 가압송수장치의 양수량 [ℓ/min]은 얼마인가? 2,200 [ℓ/min] 이상

 

[해설] 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 저수조)

 가. 소화수조의 저수량

▣ 기준면적

특정소방대상물의 구분
기준면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0 ㎡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7,500 ㎡ 이상
그 밖의 특정소방대상물
12,500㎡이상

나. 흡수관 투입구수

  ▣ 소화용수설비의 흡수관 투입구수

소화수조의 소요수량
80 ㎥ 미만
80 ㎥ 이상
흡수관 투입구수
1개 이상
2개 이상

다. 채수구 수

  ▣ 소화용수설비의 채수구수

소요수량
20 ㎥ 이상
40 ㎥ 미만
40 ㎥ 이상
100 ㎥ 미만
100 ㎥ 이상
채수구의 수
1개
2개
3개

라.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

  ▣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가압송수장치의 양수량 (토출량)

소화수조의
소요수량
20 ㎥ 이상
40 ㎥ 미만
40 ㎥ 이상
100 ㎥ 미만
100 ㎥ 이상
양수량 (토출량)
1,100 ℓ/min
2,200 ℓ/min
3,300 ℓ/min

4. 소화용수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가. 소화용수설비 중 소화용수가 지면으로 부터 몇 [m] 이상의 지하에 있는 경우에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나. 가압송수장치의 설치 이유를 간단히 쓰시오.

[답안작성]

  가. 소화용수설비 중 소화용수가 지면으로 부터 몇 [m] 이상의 지하에 있는 경우에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4.5 m

  나. 가압송수장치의 설치 이유를 간단히 쓰시오.

   ▣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가 지면으로 부터의 깊이가 4.5m 이상이면 소화용수를 흡입할 때 흡입능력이 떨어지거나 흡입

        불능상태가 되므로

 

[해설] 소화용수설비 가압송수장치의 설치기준 (NFSC 402 제5조)

  ①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가 지면으로 부터의 깊이 (수조 내부 바닥까지의 깊이)가 4.5m 이상인 지하에 있는 경우에는

       다음 표에 따라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저수량을 지표면으로 부터 4.5m 이하인 지하에서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지표면으로 부터의 깊이에 관계없이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가압송수장치의 양수량 (토출량)

소화수조의
소요수량
20 ㎥ 이상
40 ㎥ 미만
40 ㎥ 이상
100 ㎥ 미만
100 ㎥ 이상
양수량 (토출량)
1,100 ℓ/min
2,200 ℓ/min
3,300 ℓ/min

② 소화수조가 옥상 또는 옥탑 부분에 설치된 경우에는 지상에 설치된 채수구에서의 압력이 0.15 [MPa] 이상이 되어야

     한다.

#소화용수설비 #저수량 #채수구 #송수구 #흡수관 #특정소방대상물 #가압송수장치

#상수도 #저수조 #소화수조 #양수량 #소화전 #지상식 #유효수량

반응형
반응형

【 연결송수관설비 】

1. 11 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하는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는 쌍구형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쌍구형으로 설치

     하여야 하는 이유를 간단히 쓰시오. [3점] ★★

[답안작성]

  ▣ 화재시 11층 이상은 피난 및 소화활동에 대한 외부의 지원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2개의 방수구에서 충분한 소화용수

       를 공급하여 소화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해설]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의 설치기준 (NFSC 502 제6조)

  ▣ 11층 이상의 부분에 설치하는 방수구는 쌍구형으로 설치할 것 (아파트 또는 스프링클러 설비가 유효하게 설치되어

       있고 방수구가 2개소 이상 설치된 층은 단구형으로 설치 가능)

 

2. 다음은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의 설치기준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10점]  ★★★

 가.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잘 보이는 장소에 설치할 것

 나. 지면으로 부터 높이가 ( ① ) 이상 ( ② )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다. 송수구는 화재층으로 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라. 구경 ( ③ ) 의 ( ④ )으로 할 것

 마.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 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바. 송수구는 연결송수관의 수직배관마다 ( ⑤ ) 이상을 설치할 것. 다만, 하나의 건축물에 설치된 각 수직배관이 중간에

       ( ⑥ ) 밸브가 설치되지 아니한 배관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축물 마다 ( ⑦ ) 씩 설치할 수 있다.

 사. 송수구 부근에는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를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이 경우 자동배수밸브는 배관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되,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이나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하여야 한다.

   ㉠ 습식의 경우에는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순으로 설치할 것

   ㉡ 건식의 경우에는 송수구 · ( ⑧ ) · ( ⑨ ) · ( ⑩ ) 순으로 설치할 것

[답안작성]

   ① 0.5m      ② 1 m       ③ 65 ㎜                ④ 쌍구형          ⑤ 1개

   ⑥ 개폐       ⑦ 1개       ⑧ 자동배수밸브    ⑨ 체크밸브      ⑩ 자동배수밸브

[해설]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의 설치기준 (NFSC 502 제4조)

  ①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잘 보이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지면으로 부터 높이가 0.5 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③ 송수구는 화재층으로 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송수 및 그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④ 송수구로 부터 연결송수관설비의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때에는 그 개폐상태를 쉽게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옥외 또는 기계실 등의 장소에 설치할 것. 이 경우 작동표시스위치를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급수개폐밸브가 잠길 경우 탬퍼스위치의 동작으로 인하여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 표시되어야 하며 경고음을 발할

         것

    ㉡ 탬퍼 스위치는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동작의 유무 확인과 동작시험, 도통시험을 할 수 있을 것

    ㉢ 급수개폐밸브의 작동표시스위치에 사용되는 전기배선은 내화전선 또는 내열전선으로 설치할 것

  ⑤ 구경 65 ㎜ 의 쌍구형으로 할 것

  ⑥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⑦ 송수구는 연결송수관의 수직배관 마다 1개 이상을 설치할 것. (하나의 건축물에 설치된 각 수직배관이 중간에 개폐밸

       브가 설치되지 아니한 배관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축물 마다 1개씩 설치할 수 있다)

  ⑧ 송수구의 부근에는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를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이 경우 자동배수밸브는 배관 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되,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이나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하여야 한다.

   ㉠ 습식의 경우에는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 건식의 경우에는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 자동배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⑨ 송수구에는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연결 송수관설비 송수구"라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할 것

  ⑩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참고] 연결송수관설비의 송수구 주위배관의 설치기준

  가. 습식 :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나. 건식 :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 자동배수밸브

 

3. 연결송수관설비의 가압송수장치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계단식 아파트가 아닌 경우이다) [6점] ★★★★

  가.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가 몇 [m]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연결송수관설비의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해야

        하는가 ?

  나. 방수구가 4개일 때 펌프의 토출량 [㎥/min]은 얼마인가 ?

  다. 펌프의 양정은 최상층에 설치된 노즐선단의 압력이 몇 [MPa] 이상의 압력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답안작성]

  가.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가 몇 [m]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연결송수관설비의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해야

        하는가 ? 70 m

  나. 방수구가 4개일 때 펌프의 토출량 [㎥/min]은 얼마인가 ?

     ▣ 펌프의 토출량 = 2,400 ℓ/min + 80 ℓ/min = 3,200 ℓ/min = 3.2 ㎥/min

[해설] 연결송수관설비

 가. 연결송수관설비 가압송수장치의 설치

   ①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 70 m 이상

 나. 연결송수관설비 펌프의 토출량 (방수량), 토출압 (방수압)

토출량(방수량)
⊙ 2,400 ℓ/min (계단식 아파트 : 1,200 ℓ/min) 이상
⊙ 해당층에 설치된 방수구가 3개 초과 (최대 5개)시 : 방수구 1개 마다 800 ℓ/min
     (계단식 아파트 : 400 ℓ/min) 을 가산
토출압(방수압)
0.35 [MPa]
 

4. 높이 100 m 의 어떤 건물에 연결송수관설비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였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3점] ★★★★

  가.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

  나. 방수구가 3개 일 때 펌프의 토출량 [ℓ/min]은 얼마인가 ?

  다. 최상층에 설치된 노즐선단의 방수압력 [MPa]은 얼마인가 ?

[답안작성]

 가.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

   ▣ 특정소방대상물의 높이가 70 m 이상인 경우 소방차에서 공급되는 수압만으로 규정방수압력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나. 2,400 ℓ/min

 다. 0.35 MPa

 

[해설] 연결송수관설비

 가. 연결송수관설비 가압송수장치의 설치

   ①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 70 m 이상

   ② 설치이유 : 특정소방대상물의 높이가 70 m 이상인 경우 소방차에서 공급되는 수압만으로 규정방수압력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나. 연결송수관설비 펌프의 토출량 (방수량), 토출압 (방수압)

토출량(방수량)
⊙ 2,400 ℓ/min (계단식 아파트 : 1,200 ℓ/min) 이상
⊙ 해당층에 설치된 방수구가 3개 초과 (최대 5개)시 : 방수구 1개 마다 800 ℓ/min
     (계단식 아파트 : 400 ℓ/min) 을 가산
토출압(방수압)
0.35 [MPa]

【 연결살수설비 】

1. 연결살수설비에서 연결살수 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헤드개수에 따른 배관의 구경을 쓰시오. [5점] ★★

하나의 배관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개수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
6개 이상 10개 이하
배관의 구경 [㎜]

[답안작성]

  ① 32         ② 40          ③ 50           ④ 65              ⑤ 80

 

[해설] 연결살수설비 배관의 구경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살수헤드의 개수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
6개 이상 10개 이하
배관의 구경 [㎜]
32
40
50
65
80

  ※ 헤드의 구경 : 스프링클러설비 : 15 ㎜ ⇒ 가지배관은 25 ㎜ 부터 시작

                            연결살수설비 : 20 ㎜ ⇒ 가지배관 32 ㎜ 부터 시작 80 ㎜ 까지

                            * 수직배관 : 100 ㎜

2. 연결살수헤드의 수평거리에 대하여 쓰시오. [4점]

  ▣ 천장 또는 반자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살수헤드까지의 ( ① )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 ②) 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 ③ ) m 이하로 할 것

[답안작성]

  ① 수평거리           ② 3.7                ③ 2.3

[해설] 연결살수설비 헤드의 설치

  ① 전용헤드 : 수평거리 3.7m 이하

  ② 스프링클러헤드 : 수평거리 2.3 m 이하

  ③ 가연성 가스의 저장 · 취급 시설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개방형 전용헤드로 설치) : 헤드 상호간의 거리

        3.7 m 이하

  ※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를 정방형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헤드간의 거리를 구하시오.

       ▣ 헤드간 거리 : 2Rcos θ = 2 × 3.7m × cos 45° = 5.23 [m]

3. 소방시설 자체 점검사항 등에 관한 고시에서 정하는 연결살수설비 살수헤드의 종합정밀점검사항 (항목) 4가지를

     쓰시오. [4점]

[답안작성]

  ① 설치장소, 헤드 상호간 거리의 적합 여부

  ② 살수 장애 여부

  ③ 가연성 가스시설인 경우 살수범위의 적합여부

  ④ 헤드설치 제외 적용의 적합여부

[해설] 연결살수설비의 종합정밀점검표 (소방시설 자체점검 사항 등에 관한 고시 [서식3의 28])

구분
점검항목
헤드
⊙ 설치장소, 헤드 상호간 거리의 적합 여부
⊙ 살수 장애 여부
⊙ 가연성 가스시설인 경우 살수 범위의 적합 여부
⊙ 헤드 설치 제외 적용의 적합 여부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방수구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 #선택밸브

#구경 #쌍구형 #수평거리 #감시제어반 #전용헤드 #스프링클러설비 #가연성 #토출량

#방수량 #토출압 #방수압 #가압송수장치

반응형
반응형

1. 평상시에는 공조설비의 급기로 사용하고 화재시에만 제연에 이용하는 배출기가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 있다. 화재시

    유효하게 배연할 수 있도록 도면에 필요한 곳에 댐퍼를 도시하고 평상시와 화재시를 구분하여 각 댐퍼 상태를 쓰시오.

    (단, 댐퍼는 4개를 설치하고 댐퍼 심벌은 D1, D2, … 등으로 표시하며 댐퍼상태는 D1 개방, D2 … 폐쇄 등로 표시할

     것) [8점] ★★★★

가. 필요한 곳에 댐퍼를 도시하시오.

 

나. 평상시와 화재시를 구분하여 각 댐퍼 상태를 쓰시오.

   ① 평상시                             ② 화재시

 

[답안작성]

가. 필요한 곳에 댐퍼를 도시하시오.

 

나. 평상시와 화재시를 구분하여 각 댐퍼 상태를 쓰시오.

  ① 평상시

      D1 폐쇄, D2 개방, D3 폐쇄, D4 개방

  ② 화재시

      D1 개방, D2 폐쇄, D3 개방, D4 폐쇄

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① 거실과 부속실의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F1 = 60 N 이다.

  ② 화재시 거실과 부속실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F2 = 110 N 이다.

  ③ 출입문 폭 (W) = 1 m, 높이 (h) = 2 [m] 이다.

  ④ 손잡이는 출입문 끝에 있다고 가정한다.

  ⑤ 스프링클러설비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가. 제연구역의 선정기준 3가지만 쓰시오.

나. 제시된 조건을 이용하여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최소 차압기준과 비교하여 적합여부를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가. 제연구역의 선정기준 3가지만 쓰시오.

  ①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② 부속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③ 계단실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나. 제시된 조건을 이용하여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최소 차압기준과 비교하여 적합여부를 설명하시오.

  ① 차압 FP = 110 [N] - 60 [N] = 50 [N]

  ② 적합여부 :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최소 차압기준은 40 Pa이다. 계산결과 47.62 [Pa] 이므로 적합하다.

[해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가. 제연구역의 선정 (NFSC 501 A 제5조)

   ①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② 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③ 계단실을 단독 제연하는 것

   ④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을 단독 제연하는 것

     ※ 제연구역 : 제연하고자 하는 계단실, 부속실 또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나.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차압

   ①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차압

      여기서, FP : 차압에 의해 방화문에 미치는 힘 [N]

                   Kd : 상수 (=1)

                   W : 문의 폭 [m], A : 방화문의 면적 [㎡]

                   △P : 비제연구역과의 차압 [Pa]

                   d : 손잡이에서 문까지의 거리 [m]

   ② 개방력 (화재시 거실과 부속실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F = Fdc + Fp [N]

       여기서, F : 개방력 (화재시 거실과 부속실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N]

                    Fdc : 도어체크 저항력 (거실과 부속실의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N]

                    Fp : 차압에 의해 방화문에 미치는 힘 [N]

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5점] ★★

 가. 옥내와의 차압이 50 [Pa]로 급기되고 있는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의 출입문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문의 폭 (W)이 1m,

       높이 (h)가 2.1m이고, K = 1 일 때,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N]을 구하시오. (단, 자동폐쇄장치 및 경첩을 극복 할 수

        있는 힘은 40 [N]이고 문의 손잡이는 문 가장자리에서 20 [㎝]에 위치해 있다)

 나. 가. 에서 구한 값에 의하여 플랩 댐퍼를 설치하여야 하는지의 여부를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가. 옥내와의 차압이 50 [Pa]로 급기되고 있는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의 출입문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문의 폭 (W)이 1m,

       높이 (h)가 2.1m이고, K = 1 일 때,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N]을 구하시오. (단, 자동폐쇄장치 및 경첩을 극복 할 수

       있는 힘은 40 [N]이고 문의 손잡이는 문 가장자리에서 20 [㎝]에 위치해 있다)

 나.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10 [N] 이하이다. 문항 가.의 계산결과 105.63 [N] 이므로

       플랩 댐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 플랩댐퍼 : 공기압을 낮추기 위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댐퍼

[해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가.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① 개방력 (화재시 거실과 부속실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F = Fdc +Fp

        여기서, F : 개방력 (화재시 거실과 부속실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N]

                     Fdc : 도어체크 저항력 (거실과 부속실의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N]

                     Fp : 차압에 의해 방화문에 미치는 힘 [N]

   ② 차압에 의해 방화문에 미치는 힘

          여기서, Fp : 차압에 의해 방화문에 미치는 힘 [N]

                       Kd : 상수 (=1)

                        W : 문의 폭 [m], A : 방화문의 면적 [㎡]

                       △P : 비제연구역과의 차압 [Pa]

                        d : 손잡이에서 문 끝까지의 거리 [m]

 나. 플랩댐퍼를 설치해야 하는지의 여부

   ① 플랩댐퍼(flap damper) : 부속실의 설정압력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압력을 배출하여 설정압력 범위를 유지하게 하는

                                               과압방지 장치

   ② 시험·측정 및 조정 등 (NFSC 501 A 제25조)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모두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연설비를 가동시킨 후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측정하여 규정

        에 따른 개방력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적합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급기구의 개구율 조정 및 플랩댐퍼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와 풍량 조절용 댐퍼 등의 조정에 따라 적합하도록 조치할 것.

   ③ 차압 등 (NFNC 501 A 제6조)

         제연설비가 가동되었을 경우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10 [N]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④ 국가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10 [N] 이하이다.

4.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옥내의 압력이 750 [㎜Hg] 일 때 화재시 부속실에 유지하여야 할 최소 압력은 절대 압력으로 몇 [Pa]인지 구하시오.

       (단, 옥내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가 아니다.)

 나. 부속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방식이며 부속실이 면하는 옥내가 복도로서 그 구조가 방화구조이다. 제연구역에는 옥내

       와 면하는 2개의 출입구가 있으며 각 출입문의 크기는 가로 1m, 세로 2m이다. 이 때 유입공기의 배출을 배출구에 따른

       배출방식으로 할 경우 개폐기의 개구면적은 최소 몇 [㎡]인지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옥내의 압력이 750 [㎜Hg] 일 때 화재시 부속실에 유지하여야 할 최소 압력은 절대 압력으로 몇 [Pa]인지 구하시오.

        (단, 옥내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가 아니다.)

         화재시 부속실에 유지해야 할 최소 압력 = 99,991.776 + 40 = 100,031.776 [Pa]  =100.031776 [kPa] ≒ 100.03 [kPa]

나. 부속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방식이며 부속실이 면하는 옥내가 복도로서 그 구조가 방화구조이다. 제연구역에는 옥내

      와 면하는 2개의 출입구가 있으며 각 출입문의 크기는 가로 1m, 세로 2m이다. 이 때 유입공기의 배출을 배출구에 따른

      배출방식으로 할 경우 개폐기의 개구면적은 최소 몇 [㎡]인지 구하시오.

[해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가. 화재시 부속실에 유지하여야 할 최소 압력 [kPa]

   ① 화재시 부속실에 유지하여야 최소 압력 = 옥내의 압력 + 40 [Pa] (옥내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 [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② 표준 대기압 (압력 단위 환산)

1 atm
760 ㎜Hg
76 ㎝Hg
101,325 Pa
101.325 kPa
0.101325 MPa
10,332 ㎜Aq, ㎜H2O
10.332 mAq, mH2O
-
1.0332 kgf/㎠
10,332 kgf/㎡
-
1,013 mbar
1.013 bar
14.7 psi

 나. 개폐기의 개구면적

   ① 배출구에 따른 배출방식일 경우 개폐기의 개구면적

         여기서, Ao : 개폐기의 개구 면적 [㎡]

                      Qn : 수직풍도가 담당하는 1개층의 제연구역의 출입문 (옥내와 면하는 1개의 면적 [㎡]와 방연풍속을 곱한 값

                               [㎥/s]

  ② 방연 풍속

제연구역
방연풍속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또는 계단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0.5 [m/s] 이상
부속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또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가
거실인 경우
0.7 [m/s] 이상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가
복도로서 그 구조가 방화구조 (내화시간
이 30분 이상인 구조를 포함)인 것
0.5 [m/s] 이상

#제연설비 #제연구역 #특별피난계단 #댐퍼 #배출기 #부속실 #계단 #국가화재안전기준

#최소차압기준 #자동폐쇄장치 #스프링클러 #경첩 #차압 #개방력 #방화문 #출입문

#플랩댐퍼 #flap #damper #개폐기 #개구면적

반응형
반응형

1.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에서 정하는 제연구역을 선정하는 기준을 4가지 쓰시오. [4점] ★★★★★

[답안작성]

  ①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② 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③ 계단실을 단독 제연하는 것

  ④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을 단독 제연하는 것

[해설] 제연구역의 선정 (NFSC 501 A 제5조)

  ①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② 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③ 계단실을 단독 제연하는 것

  ④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을 단독 제연하는 것

[참고]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 전실제연설비 = 부속실 제연설비

2. 다음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차압 등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4점] ★★★

가.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사이에 유지하여야 하는 최소차압은 ( ① ) Pa (옥내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 ② ) 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나. 제연설비가 기동되었을 경우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 ③ ) N 이하로 하여야 한다.

다. 계단실과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경우 부속실의 기압은 계단실과 같게 하거나 계단실의 기압 보다 낮게 할 경우에는

      부속실과 계단실의 압력차이는 ( ④ ) Pa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답안작성]

  ① 40       ② 12.5       ③ 110        ④ 5

[해설] 차압 등 [NFSC 501 A 제6조]

①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사이에 유지하여야 하는 최소 차압은 40 Pa (옥내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 Pa) 이상

      으로 하여야 한다.

② 제연설비가 가동되었을 경우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10 N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③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지 아니하는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차압은 40 Pa (스프링클러 설치시 12.5

      Pa)의 70% 미만이 되어서는 아니된다.

④ 계단실과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경우 부속실의 기압은 계단실과 같게 하거나 계단실의 기압보다 낮게 할 경우에는

     부속실과 계단실의 압력차이는 5 Pa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지상 200 m 높이의 고층건물에서 1층 부분에 발생하는 압력차는 몇 [Pa]인지 구하시오. (단, 외기온도는 0 ℃, 실내온도

     는 20 ℃이고 중성대는 건물의 높이 중앙에 있다고 한다.) [3점] ★★★

[문제풀이]

[해설] 연돌효과 (굴뚝효과)에 의한 압력차

           여기서, △P : 연돌효과(굴뚝 효과)에 의한 압력차

                         H : 중성대로 부터 높이 [m]

                         Ta : 외부 공기의 절대온도 (273+℃) K

                         Ts : 실내 공기의 절대온도 (273+℃) K

[참고] 연돌효과 (굴뚝효과) (Stack effect)

   ▣ 건물 내 ·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밀도차에 의해 연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현상

4. 연돌효과 (stack effect)란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시오. [3점) ★★★★★

[답안작성]

   ▣ 건축물의 내 ·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밀도차에 의해 연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현상

[해설] 연돌효과 (굴뚝효과) (Stack effect)

   ▣ 건물 내 ·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밀도차에 의해 연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현상

[참고] 연돌(굴뚝)효과의 영향요인

가. 실 내·외부의 온도차, 외벽의 기밀성, 층간 공기누설

 

                                              <건물 내 연돌효과의 발생 >

나. 연돌효과 (굴뚝효과)에 의한 압력차

           여기서, △P : 연돌효과 (굴뚝효과)에 의한 압력차 [Pa]

                         H : 중성대로 부터 높이 [m]

                        Ta : 외부 공기의 절대온도 (273 +℃) K

                        Ts : 실내 공기의 절대온도 (273 + ℃) K

5. 거실에 대한 개구부 면적이 A1 ~ A6 : 0.01 ㎡ 이라고 할 때 총 틈새면적 [㎡]을 구하시오. [4점] ★★★★★

 

[문제풀이]

  ① A4 ~ A6 : 0.01 + 0.01 + 0.01 = 0.03 ㎡

  ② A2 ~ A3 : 0.01 + 0.01 = 0.02 ㎡

 

[참고] 틈새면적은 누설량 (급기량, 풍량)을 구하기 위해 산정한다.

  ① 누설량

  ② 누설틈새면적 (유효누설면적, 유효유동면적)

     ㉠ 직렬 (거실의 출입문이 1개소인 경우)

 

     ㉡ 병렬 (거실의 출입문이 2개소인 경우)

 

[참고] 누설량

          여기서, Q : 누설량 [㎥/s]

                       A : 누설틈새면적 [㎡]

                       P : 차압 [Pa]

※ 누설 틈새 면적 : 각 실의 출입문을 하나로 만들어 계산하는 것이 누설틈새면적 계산의 목적이다.

6. A실에 대한 개구부 면적이 A1 ~ A6 : 0.01 ㎡을 구하시오. [4점] ★★★★★

 

[문제풀이]

  ① A4 ~ A6 : 0.01 + 0.01 + 0.01 = 0.03 ㎡

  ② A2 ~ A3 : 0.01 + 0.01 = 0.02 ㎡

[해설] 누설틈새면적

  가. 직렬 (거실의 출입문이 1개소인 경우)

 

  나. 병렬 (거실의 출입문이 2개소 이상인 경우)

 

[참고] 누설량

          여기서, Q : 누설량 [㎥/s]

                       A : 누설틈새면적 [㎡]

                       P : 차압 [Pa]

    ※ 누설 틈새 면적 : 각 실의 출입문을 하나로 만들어 계산하는 것이 누설틈새면적 계산의 목적이다.

7. 다음 그림은 어느 소방대상물의 평면도로서 A~F는 출입문이며, 각 실은 출입문 이외의 틈새가 없다고 가정한다. 거실과

    부속실 사이의 총 틈새면적 [㎡]을 구하시오. (단, 출입문 A ~ F의 틈새면적은 각각 0.02 ㎡ 이다.) [4점] ★★★★★

 

  ① E ~ F : 0.02 + 0.02 = 0.04 ㎡

  ③ C ~ F : 0.02 + 0.017 = 0.037 ㎡ 

    ※ 부속실과 계단실과의 출입문에 대한 누설틈새면적은 고려하지 않는다.

 

[해설] 누설틈새면적

가. 직렬 (거실의 출입문이 1개소인 경우)

 

나. 병렬 (거실의 출입문이 2개소 이상인 경우)

 

8. 다음은 서로 직접 연결된 2개의 실 Ⅰ,Ⅱ의 평면도로서 A1, A2는 출입문이며, 각 실은 출입문 이외의 틈새가 없다고 한

    다. 출입문이 닫혀진 상태에서의 실 Ⅰ을 급기 · 가압하여 실 Ⅰ과 외부간의 50 [Pa]의 기압차를 얻기 위하여 실 에 급기

    시켜야 할 풍량은 몇 [㎥/sec]이 되겠는가 ? (단, 닫힌 문 A1, A2에 의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면적은 각각 0.02 ㎡ 이다.)

     [4점] ★★★★★

 

[문제풀이]

[해설] 누설틈새면적 및 누설량

  가. 누설량

          여기서, Q : 누설량 [㎥/s]

                       A : 누설틈새면적 [㎡]

                       P : 차압 [Pa]

나. 누설틈새면적

  ① 직렬 (거실의 출입문이 1개소인 경우)

 

② 병렬 (거실의 출입문이 2개소 이상인 경우)

 

9. 다음 그림에서 A실을 급기 가압하여 옥외와의 압력차를 40 [Pa]로 유지하려고 할 때 급기량은 몇 [㎥/min]이어야 하는가

     ? [6점] ★★★★★

 

[조건]

  ① 급기량 Q = 0.827 × H × √P 로 한다.

  ② 그림에서 A1, A2, A3, A4는 닫힌 출입문으로 공기누설 틈새면적은 모두 0.01 ㎡로 한다. (단, 급기량 [㎥/s], A : 틈새면적

        [㎡], P1, P2 : 급기가압실 내·외부의 기압 [Pa])

[문제풀이]

가. 누설틈새면적 [㎡]

나. 누설량 [㎥/min]

[해설] 누설틈새면적 및 누설량

  가. 누설량

         여기서, Q : 누설량 [㎥/s]

                      A : 누설틈새면적 [㎡]

                      P : 차압 [Pa]

  나. 누설틈새면적

    ① 직렬 (거실의 출입문이 1개소인 경우)

 

  ② 병렬 (거실의 출입문이 2개소 이상인 경우)

 

10. 다음 그림은 어느 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들 중 A실을 가압하고자 할 때, 주어진 조건을 참조하여 A실에

      유입시켜야 할 풍량을 구하시오. [6점] ★★★★★

[조건]

  ① 실 외부 대기와 기압은 절대압력으로 101.3 kPa로서 일정하다.

  ② A실에 유지하고자 하는 기압은 절대압력으로 101.4 kPa이다.

  ③ 각 실 문 (door)들의 틈새면적은 0.01 ㎡ 이다.

  ④ 어느 실을 급기가압할 때 그 실의 틈새를 통하여 누출되는 공기의 양은 다음 식을 따른다.

      (아래 그림 참조) Q = 0.827 × H × √P

       (여기서, Q : 누출되는 공기의 양 [㎥/s]

                      A : 문을 경계로 한 실내 · 외의 기압차 [Pa])

 

가. 총 누설틈새면적 [㎡]을 구하시오. (단, 소수점 이하 6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며 5째 자리 까지 구할 것)

나. A실에 유입시켜야 할 풍량 (ℓ/sec]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총 누설틈새면적 [㎡]을 구하시오. (단, 소수점 이하 6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며 5째 자리 까지 구할 것)

나. A실에 유입시켜야 할 풍량 (ℓ/sec]을 구하시오.

  ① P = 101,400 - 101,300 = 100 [Pa]

[해설] 누설틈새면적 및 누설량

  가. 누설량

          여기서, Q : 누설량 [㎥/s]

                       A : 누설틈새면적 [㎡]

                       P : 차압 [Pa]

  나. 누설틈새면적

    ① 직렬 (거실의 출입문이 1개소인 경우)

 

   ② 병렬 (거실의 출입문이 2개소 이상인 경우)

 

11. 다음 그림과 같은 거실이 있을 때 누설틈새 면적을 구하시오. (단, A1, A2, A3의 출입문 틈새 면적은 0.02㎡이고, A4, A5

       의 틈새면적은 0.01㎡ 이다.)

 

[문제풀이]

  ① A4 ~ A5 : 0.01㎡ + 0.01 ㎡ = 0.02 ㎡

  ③ A1 ~ A3 : 0.0141 ㎡ + 0.02 ㎡ = 0.0341 ㎡

12. 다음 그림과 같은 거실이 있을 때 누설 틈새면적을 구하시오. (단, A1, A2, A3 의 출입문 틈새면적은 0.02 ㎡이고 A4

       0.03 ㎡이며, A5의 틈새면적은 0.02 ㎡, A6의 틈새면적은 0.03㎡ 이다.

 

[문제풀이]

  ① A5 ~ A6 : 0.02 ㎡ + 0.03 ㎡ = 0.05 ㎡

  ② A2 ~ A3 : 0.02 ㎡ + 0.02 ㎡ = 0.04 ㎡

  ④ A1 ~ A4 : 0.03 ㎡ + 0.0179 ㎡ = 0.0479 ㎡

1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① 거실과 부속실의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F1 = 60 N 이다.

  ② 화재시 거실과 부속실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F2 = 110 N 이다.

  ③ 출입문 폭 (W) = 1 m, 높이 (h) = 2 [m] 이다.

  ④ 손잡이는 출입문 끝에 있다고 가정한다.

  ⑤ 스프링클러설비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가. 제연구역의 선정기준 3가지만 쓰시오.

나. 제시된 조건을 이용하여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최소 차압기준과 비교하여 적합여부를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가. 제연구역의 선정기준 3가지만 쓰시오.

   ①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② 부속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③ 계단실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나. 제시된 조건을 이용하여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최소 차압기준과 비교하여 적합여부를 설명하시오.

   ① 차압 FP = 110 [N] - 60 [N] = 50 [N]

   ② 적합여부 :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최소 차압기준은 40 Pa이다. 계산결과 47.62 [Pa] 이므로 적합하다.

[해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가. 제연구역의 선정 (NFSC 501 A 제5조)

   ①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② 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③ 계단실을 단독 제연하는 것

   ④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을 단독 제연하는 것

      ※ 제연구역 : 제연하고자 하는 계단실, 부속실 또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나.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차압

   ①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차압

       여기서, FP : 차압에 의해 방화문에 미치는 힘 [N]

                    Kd : 상수 (=1)

                    W : 문의 폭 [m], A : 방화문의 면적 [㎡]

                    △P : 비제연구역과의 차압 [Pa]

                    d : 손잡이에서 문까지의 거리 [m]

   ② 개방력 (화재시 거실과 부속실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F = Fdc + Fp [N]

       여기서, F : 개방력 (화재시 거실과 부속실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N]

                    Fdc : 도어체크 저항력 (거실과 부속실의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N]

                    Fp : 차압에0 의해 방화문에 미치는 힘 [N]

반응형
반응형

1. 어느 건물의 지하층에 그림과 같이 제연설비를 설계하려고 한다. 다음의 조건을 참조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덕트는 단선으로 표시할 것

  ② 급기구의 풍속은 15 [m/s]이며, 배기구의 풍속은 20 [m/s]이다.

  ③ FAN의 전압은 40 [㎜Aq]이다.

  ④ 천장의 높이는 2.5 m이다.

  ⑤ 제연방식은 상호 제연방식으로 공동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다.

가.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기의 배출량 [㎥/s]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나. FAN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효율은 0.65 이며 여유율은 10% 이다)

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그림에 설계도면을 물음에 따라 완성하시오.

[조건]

  ① 덕트의 형태는 사각형이며 높이는 400 [㎜] 이다.

  ② 급기구 및 배기구의 형태는 정사각형이고 배기구는 제연구역 당 4개, 급기구는 제연구역 당 3개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③ 급기구 및 배기구의 단면적은 ㎥/min 당 35 ㎠ 이상으로 하며, 정사각형이다.

  ④ 댐퍼의 작동 여부는 표의 빈칸에 표기하시오.

  ⑤ 덕트는 단선으로 표기한다.

[도면]

 

      (○ : Open, ● : Close 로 표시하시오.)

구분
배기
급기
A구역
B구역
C구역
A구역
B구역
C구역
A구역 화재시
B구역 화재시
C구역 화재시
 

  라. 다음 표를 완성하시오. (단, 풍량, 덕트 단면적, 덕트크기의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

       내시오.)

덕트의 구분
풍량 (CMH)
덕트단면적 (㎡)
덕트의 크기
(가로㎜ × 세로 ㎜)
배기덕트 A
배기덕트 B
배기덕트 C
급기덕트 A
급기덕트 B
급기덕트 C

마. 급기구의 단면적 [㎠] 및 크기 (가로 [㎜] × 세로 [㎜])를 구하시오. (단,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시오.)

바. 배기구의 단면적 [㎠] 및 크기 (가로 [㎜] × 세로 [㎜])를 구하시오. (단,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시오.)

[문제풀이]

가.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기의 배출량 [㎥/s]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 바닥면적 : 30 m × 20 m = 600 ㎡ (바닥면적 400 ㎡ 이상인 거실)

   ▣ 수직거리 = 2.5 m - 0.6 m = 1.9 m (2m 이하)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이고 직경 40 m 원의 범위 안에 있을 경우 (최저 40,000 ㎥/h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0,000 ㎥/h 이상
2 m 초과 2.5 m 이하
45,000 ㎥/h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0,000 ㎥/h 이상
3 m 초과
60,000 ㎥/h 이상

   ∴ 최저 저장량 40,000 ㎥/h

 

나. 나. FAN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효율은 0.65 이며 여유율은 10% 이다.)

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그림에 설계도면을 물음에 따라 완성하시오.

 

    (○ : Open, ● : Close 로 표시하시오.)

구분
배기
급기
A구역
B구역
C구역
A구역
B구역
C구역
A구역 화재시
B구역 화재시
C구역 화재시

라. 다음 표를 완성하시오. (단, 풍량, 덕트 단면적, 덕트크기의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

      내시오.)

 ▣ 덕트의 단면적 : Q = A · v, A = Q/ v [㎡]

   ⊙ 급기구의 풍속은 15 ㎥ / s 이상으로 한다.

   ⊙ 배기구의 풍속은 20 ㎥/s 이상으로 한다.

  ① 급기구의 면적

  ② 배기구 면적

 ③ 덕트의 크기 : 사각형 면적 [㎟] = 가로 [㎜] × 세로 [㎜] (세로 400 [㎜] 주어짐)

   ㉠ 배기구 가로길이 : 555,556 [㎟] ÷ 400 [㎜] = 1,389 [㎜]

   ㉡ 급기구 가로길이 : 370,370 [㎟] ÷ 400 [㎜] = 926 [㎜]

덕트의 구분
풍량 (CMH)
덕트단면적 (㎟)
덕트의 크기
(가로㎜ × 세로 ㎜)
배기덕트 A
40,000
555,556
1,389 × 400
배기덕트 B
40,000
555,556
1,389 × 400
배기덕트 C
40,000
555,556
1,389 × 400
급기덕트 A
20,000
370,370
926 × 400
급기덕트 B
20,000
370,370
926 × 400
급기덕트 C
20,000
370,370
926 × 400

마. 급기구의 단면적 [㎠] 및 크기 (가로 [㎜] × 세로 [㎜])를 구하시오. (단,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시오.)

  ① 급기구의 단면적 : 배출량 ㎥/min 당 35 ㎠ 이상

  ② 급기구의 크기 (정사각형) : 한변의 길이는 면적의 제곱근

   ∴ 급기구의 크기 : 가로 624 ㎜ × 세로 624 ㎜

바. 배기구의 단면적 [㎠] 및 크기 (가로 [㎜] × 세로 [㎜])를 구하시오. (단,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시오.)

  ① 배기구의 단면적 : 배출량 ㎥/min 당 35 ㎠ 이상

  ② 배기구의 크기 (정사각형) : 한변의 길이는 면적의 제곱근

   ∴ 급기구의 크기 : 가로 764 ㎜ × 세로 764 ㎜

2. 다음 그림은 거실제연설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림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

 

  가. 동일실 제연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나. 동일실 제연방식을 적용할 경우 다음의 상황에 따른 댐퍼의 Open 또는 Clos 상태를 표시하시오.

        (댐퍼의 표기 : Open ○, Close ● 로 표기)

화재구역
급기댐퍼
배기댐퍼
A 구역
MD1 (    )
MD4 (    )
MD2 (    )
MD3 (    )
B 구역
MD2 (    )
MD3 (    )
MD1 (    )
MD4 (    )

[답안작성]

가. 동일실 제연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 예상제연구역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해당 제연실에 급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연방식을 말한다.

나. 동일실 제연방식을 적용할 경우 다음의 상황에 따른 댐퍼의 Open 또는 Clos 상태를 표시하시오.

     (댐퍼의 표기 : Open ○, Close ● 로 표기)

화재구역
급기댐퍼
배기댐퍼
A 구역
MD1 ( ○ )
MD4 ( ○ )
MD2 ( ● )
MD3 ( ● )
B 구역
MD2 ( ○ )
MD3 ( ○ )
MD1 ( ● )
MD4 ( ● )

#동일실제연방식 #화재구역 #제연설비 #제연방식 #배기구 #급기구 #덕트 #상호제연방식 #배출량 #예상제연구역 #수직거리 #동력 #풍속 #급기댐퍼 #배기댐퍼

반응형
반응형

1. 아래 그림과 같이 벽으로 구획된 제연구역의 공동배연에 필요한 소요풍량합계 [㎥/min]와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송풍기의 전압은 100 [㎜Aq], 전효율은 50% 이다)  [6점] ★★★★★

[문제풀이]

 ① 소요풍량의 합계

   ▣ 공·벽·합 : 공동배연구역 - 벽으로 구획 - 각각의 실 풍량합계

   ▣ 독·제·최 : 독립배연구역 - 제연경계구획 - 각실의 최대 풍량

    ⊙ 8,000 [㎥/hr] + 8,000 [㎥/hr] = 16,000 [㎥/hr]

    ⊙ 단위 환산 : 16,000 [㎥/hr] × 1/60 = 266,666 [㎥/min]

  ② 축동력

[해설] 소요동력 합계 · 축동력

가. 공동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나. FAN (배연기, 송풍기)의 축동력

   여기서, P : FAN (배연기, 송풍기) 동력 [kW],    PT : 전압 [㎜Aq, ㎜H2O],   Q : 풍량 [㎥/min] , η : 전효율, k : 전달계수

[참고] 제연구역의 구획

  ① 보

  ② 제연경계벽 (제연경계)

  ③ 벽 (화재시 자동으로 구획되는 가동벽, 셔터, 방화문을 포함)

 

2. 제연설비에 사용되는 배연기를 설계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조건]

  ① Duct의 소요전압은 80 ㎜Aq 이다.

  ② 배연기의 효율은 60 %, 여유율은 10%, 풍량은 24,000 ㎥/h 이다.

가. 배연기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나. 문제 가. 의 배연기를 시운전한 결과 600 rpm에 풍량 18,000 ㎥/hr로 용량이 부족하였다. 이 배연기의 풍량을 설계조건

      의 풍량으로 맞추기 위해 회전수를 몇 [rpm]으로 변경해야 하는지 계산하시오.

다. 제연설비에서 사용되는 송풍기 중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를 2가지 쓰시오.

[문제풀이]

가. 배연기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나. 문제 가. 의 배연기를 시운전한 결과 600 rpm에 풍량 18,000 ㎥/hr로 용량이 부족하였다. 이 배연기의 풍량을 설계조건

      의 풍량으로 맞추기 위해 회전수를 몇 [rpm]으로 변경해야 하는지 계산하시오.

[상사법칙] 펌프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다. 제연설비에서 사용되는 송풍기 중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를 2가지 쓰시오.

   ① 다익형 팬          ② 터보형 팬

 

[해설] 배연기의 동력 · 상사법칙 (풍량) ·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

가. FAN (배연기, 송풍기)의 동력

          여기서, P : FAN (배연기, 송풍기) 동력 [kW],   PT : 전압 [㎜Aq, ㎜H2O],   Q : 풍량 [㎥/min] ,

                       η : 전효율(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k : 전달계수

나. 펌프의 상사법칙 (풍량)

 ① 유량 : 펌프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Q1 : 변경 전 유량 [ℓ/min], Q2 : 변경 후 유량 [ℓ/min],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② 양정 : 펌프의 양정은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H1 : 변경 전 양정 [m], H2 : 변경 후 양정 [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③ 축동력 : 펌프의 축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 및 관경의 오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P1 : 변경 전 축동력 [kW], P2 : 변경 후 축동력 [kW],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다. 송풍기의 분류

구분
팬(fan)의 종류
특 징
원심형
타원형 패
(시로코 팬)
⊙ 임펠러는 깃폭이 좁고 날개익수가 많다.
⊙ 낮은 속도에서 운전되며 낮은 압력에서 많은 공기량이 요구될 때 사용된다.
⊙ 주로 건물의 공기조화 및 환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터보형 팬
⊙ 효율이 높고 고속에서도 비교적 정숙한 운전을 할 수 있다.
⊙ 정압이 비교적 높은 고속 덕트용으로 사용된다.
익형 팬
⊙ 깃의 단면이 익형으로 되어 있다.
⊙ 고속회전이 가능하며 소음이 작다.
리밋로드형 팬
⊙ S자형 깃을 가지고 있다.
⊙ 풍량변화가 작고 동력변화도 최고 효율점 부근에서 적다.
관류형 팬
⊙ 정압이 낮고 풍량이 적으며 효율이 낮다.
⊙ 환기용이나 옥상 배기용으로 사용된다.
레디일형 팬
⊙ 반경 방향의 깃을 갖는 임펠러로 되어 있다.
⊙ 자기 청소의 기능이 있어 분진이 심해 일반 송풍기의 날개 소실이 우려되는 공장 등에 사용된다.
축류형
프로펠러형 팬
⊙ 덕트 시스템이 없다.
⊙ 낮은 풍압에 많은 풍량을 송풍하는데 적합하다.
튜브형 팬
⊙ 덕트 도중에 설치하여 풍압을 높이거나 국소통기 또는 대형 냉각탑에 사용된다.
베인형 팬
⊙ 덕트 도중에 설치하여 풍압을 높이거나 국소통기 또는 대형 냉각탑에 사용된다.
사류식
사류형 팬
⊙ 축류형과 비슷하나 축류형 보다 날개의 편향이 크고 정압이 높다.
⊙ 국소통풍형으로 사용된다.
횡류식
횡류형 팬
⊙ 풍량과 정압이 적고 소음이 작다.

3. ​어느 지하실 배연구역의 소요배출량을 계산해 보니 A (5,000CMH), B (7,000 CMH), C (5,000 CMH), D (10,000 CMH),

     E (15,000 CMH) 이었다. A, B, C는 공동 배연구역으로 D, E는 독립배연구역으로 할 경우 배출 FAN의 소요풍량 [CMH]

     을 계산하시오. [5점] ★★★★

 

   가. Q1           나. Q2                 다. Q3

[문제풀이]

  가. Q1 = QA + QB + QC = 5,000 + 7,000 + 5,000 = 17,000 CMH

  나. Q2 = 10,000 CMH

  다. Q3 = 15,000 CMH

[해설] 공동예상배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4. 5개의 제연구역 (A, B, C, D, E 구역)으로 구성된 어느 지하실에 각 제연구역의 소요배출 풍량 [㎥/h]을 계산해 보니 각각

     A구역 = 5,000, B구역 = 7,000, C구역 = 5,000, D구역 = 10,000, E구역 = 15,000 이었다. A, B,C구역은 공동제연구역으

     로 D, E는 각각 독립제연구역으로 할 때 배출량의 소요풍량 [㎥/h]을 구하시오. [5점]  ★★★★

  가. A,B,C 구역 = QA + QB + QC = 5,000 + 7,000 + 5,000 = 17,000 CMH

  나. D 구역 = 10,000 CMH

  다. E 구역 = 15,000 CMH

[해설] 공동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 독립 배연구역

 

5. 어떤 지하상가에 제연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화재안전기준과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주덕트의 높이 제한은 500 [㎜] 이다. (단, 강판두께, 덕트플랜지, 보온두께는 고려하지 않는다.

  ② 배출기는 원심다익형이다.

  ③ 각종 효율은 무시한다.

  ④ 예상제연구역의 설계배출량은 40,000 [㎥/h]이다.

  ⑤ 공기의 밀도는 일정하다.

가. 배출기의 흡입측 주덕트의 최소폭 [m]을 구하시오.

나. 배출기의 배출측 주덕트의 최소폭 [m]을 구하시오.

다. 준공후 풍량시험을 한 결과 풍량은 32,000 ㎥/h, 회전수는 500rpm, 축동력 7 kW로 측정되었다. 배출량 40,000 ㎥/h를

      만족시키기 위한 배출기의 회전수 [rpm]을 구하시오.

라. 회전수를 높여서 배출량을 만족시킬 경우의 예상 축동력 [kW]를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배출기의 흡입측 주덕트의 최소폭 [m]을 구하시오.

   ▣ 흡입측 풍속은 15 [m/s] 이하이다.

나. 배출기의 배출측 주덕트의 최소폭 [m]을 구하시오.

  ▣ 배출측 풍속은 20 [m/s] 이하이다.

다. 준공후 풍량시험을 한 결과 풍량은 32,000 ㎥/h, 회전수는 500rpm, 축동력 7 kW로 측정되었다. 배출량 40,000 ㎥/h를

      만족시키기 위한 배출기의 회전수 [rpm]을 구하시오.

  [상사법칙] 펌프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라. 회전수를 높여서 배출량을 만족시킬 경우의 예상 축동력 [kW]를 구하시오.

  [상사법칙] 펌프의 축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에 비례하고 관경의 5제곱에 비례한다.

[참고] 각 설비별 유속 · 풍속

구 분
유속
풍속
옥내 소화전 설비 (토출측 주배관)
4 m/s 이하
-
스프링클러 설비
가지배관
6 m/s 이하
-
기타배관
10 m/s 이하
-
제연설비
예상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의 풍속
-
5 m/s 이하
흡입측 풍속
-
15 m/s 이하
배출측 풍속
-
20 m/s 이하
유입측 풍속

6. 다음은 자연제연방식에 대한 내용이다.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4점]  ★★★★★

[조건]

  ① 연기층과 공기층과의 높이차는 3 m 이다.

  ② 외부온도는 27 ℃ 이고 화재실의 온도는 707 ℃ 이다.

  ③ 공기 평균 분자량은 28이고 연기의 평균분자량은 29라고 가정한다.

  ④ 화재실 및 실외의 기압은 1기압이다.

가. 연기의 유출속도 [m/sec]를 구하시오.

나. 외부 풍속 [m/sec]을 구하시오.

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연방식의 종류를 3가지만 쓰시오.

라. 상가 제연방식을 변경하여 화재실 상부에 배연기를 설치하여 배출한다면 그 방식은 무엇인가 ?

마. 화재실의 바닥면적이 300 ㎡, FAN 효율이 0.6, 전압이 70 ㎜Hg 일 때 필요한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동력의 여유율

      은 10%를 둔다.)

[문제풀이]

가. 연기의 유출속도 [m/sec]를 구하시오.

나. 외부 풍속

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연방식의 종류를 3가지만 쓰시오.

   ① 자연제연방식       ② 스모크타워 제연방식           ③ 기계제연방식

라. 상가 제연방식을 변경하여 화재실 상부에 배연기를 설치하여 배출한다면 그 방식은 무엇인가 ? 제3종 기계제연방식

마. 화재실의 바닥면적이 300 ㎡, FAN 효율이 0.6, 전압이 70 ㎜Hg 일 때 필요한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동력의 여유율

       은 10%를 둔다.)

[해설] 제연설비

 가. 배연기

  ① 연기의 유출속도

        여기서, vs : 연기의 유출속도 [m/sec], g : 중력 가속도 (9.8 [m/s2],  h : 연기층과 공기층과의 높이차 [m],

                     ρa : 화재실 외부의 공기밀도 [㎏/㎥],  ρs : 화재실의 연기밀도 [㎏/㎥]

  ② 기체 밀도

        여기서, ρ : 밀도 [㎏/㎥], P : 압력 [Pa, N/㎡], M : 분자량 [㎏],  R : 기체상수 (8.313.85 [N·m/kmol·k], 8,313.85 [N·m/K])

                     T : 절대온도 ((273+℃) K)

 나. 외부 풍속

          여기서, vo : 외부 풍속 [m/sec], ρs : 화재실 연기의 밀도 [㎏/㎥],  ρa : 화재실 외부의 공기밀도 [[㎏/㎥],

                       vs : 연기의 유출속도 [m/sec]

 다. 제연방식의 분류

 

  ① 자연 제연방식

    ▣ 개구부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연기를 배출하는 방식

 

  ② 스모크 타워 제연방식

    ▣ 루프 모니터를 설치하여 제연하는 방식

 

  ③ 기체 제연방식

    ㉠ 제1종 기계제연방식 : 급기와 배기를 송풍기와 배연기를 설치하여 제연하는 방식

 

    ㉡ 제2종 기계제연방식 : 급기와 배기를 송풍기만 설치하여 제연하는 방식

 

  ㉢ 제3종 기계제연방식 : 급기와 배기를 배연기만 설치하여 배연하는 방식

 

 라. FAN (배연기, 송풍기)의 동력

        여기서, P : FAN (배연기, 송풍기) 동력 [kW], PT : 전압 [㎜Aq, ㎜H2O],  Q : 풍량 [㎥/min], k : 전달계수

                     η : 전효율(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참고] 배출량 및 배출방식

 가. 통로

   ▣ 45,000 [㎥'hr] 이상

나. 거실

   ①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미만인 경우 (최저 5,000 ㎥/hr 이상일 것)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

   ②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일 경우 (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 m 원 범위안에 있을 경우, 최저 40,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0,000 ㎥/hr 이상
2 m 초과 2.5m 이하
45,000 ㎥/hr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0,000 ㎥/hr 이상
3 m 초과
60,000 ㎥/hr 이상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m 원 범위 초과일 경우, 최저 45,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5,000 ㎥/hr 이상
2 m 초과 2.5m 이하
50,000 ㎥/hr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5,000 ㎥/hr 이상
3 m 초과
65,000 ㎥/hr 이상

7. 어느 실의 크기가 가로 20m, 세로 15m, 높이 5m인 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여 t초 시간 후의 청결층 높이 y [m]의 값이 1.8

     m 가 되었다. 화염둘레 길이가 큰 화염일 경우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여기서, Q : 연기발생량 [㎥/min],  A : 화재실의 면적 [㎡],   H : 화재실의 높이 [m]

② 위 식에서 시간 t초는 다음의 힌클리(Hinkley) 공식을 만족한다.

    (단, g는 중력가속도 9.81 m/s2 이고, P는 화재경계의 길이 [m] 로서 큰 화염의 경우 12m, 중간화염의 경우 6m, 작은

           화염의 경우 4m를 적용할 것)

③ 연기생성률 (M [㎏/s]) 에 관한 식은 다음과 같다.

가. 상부의 배연구로부터 몇 [㎥/min]의 연기를 배출하여야 청결층의 높이가 유지되는가 ?

나. 연기생성률 [㎏/s]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상부의 배연구로부터 몇 [㎥/min]의 연기를 배출하여야 청결층의 높이가 유지되는가 ?

나. 연기생성률 [㎏/s]을 구하시오.

[해설] 연기발생량 · 연기생성률

 가. 연기발생량

      여기서, Q : 연기발생량 [㎥/min], A : 화재실의 바닥면적 [㎡],  H : 화재실의 높이 [m], y : 청결층 높이 [m]

                   t : 청결층 까지 연기 하강 시간 [s]

나. 연기 하강 시간

        여기서, t : 연기하강시간 [s], y : 청결층 높이 [m], A : 화재실 바닥면적 [m], H : 화염실 높이 [m], P : 화염둘레길이 [m],

                     g : 중력가속도 (9.81[m/s2])

다. 연기생성률

          여기서, M : 연기발생량 [kg/s], P : 화염둘레길이 (큰화염 12 [m]),  y : 청결층 높이 [m]

8. 다음 그림은 어느 판매시설의 무창층에 대한 제연설비 중 연기 배출풍도와 배출 FAN을 나타내고 있는 평면도이다.

    주어진 조건을 참조하여 풍도에 설치되어야 할 제어댐퍼를 가장 적합한 지점에 표기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댐퍼의 표기는 ⓤ의 모양으로 할 것) [15점] ★★★★

 

[조건]

  ① 건물의 주요 구조부는 모두 내화구조이다.

  ② 각 실은 불연성 구조물로 구획되어 있다.

  ③ 복도의 내부면은 모두 불연재료를 사용하였고 복도 내에 가연물을 두는 일은 없다.

  ④ 각 실에 대한 연기배출방식에서 공동 배출구역 방식은 없다.

  ⑤ 이 판매시설에는 음식점은 없다.

가. 제어댐퍼를 직접 표기하시오.

나. 각 실 (A, B, C, D, E, F)의 최소 소요량 [㎥/h]을 구하시오.

   ① A실    ② B실   ③ C실    ④ D실    ⑤ E실    ⑥ F실

다. 배출 FAN의 최소 배출 용량 [㎥/h]은 얼마인가 ?

라. C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댐퍼의 작동 상황 (개폐여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가. 제어댐퍼를 직접 표기하시오.

 

나. 각 실 (A, B, C, D, E, F)의 최소 소요량 [㎥/h]을 구하시오.

  ① A실 : (5×6) × 1 × 60 = 1,800 [㎥/h]

      ∴ 최소 배출량이 5,000 ㎥/h 이므로 5,000 ㎥/h

  ② B실 : (10×6) × 1 × 60 = 3,600 [㎥/h]

      ∴ 최소 배출량이 5,000 ㎥/h 이므로 5,000 ㎥/h

  ③ C실 : (25×6) × 1 × 60 = 9,000 [㎥/h]

  ④ D실 : (5×4) × 1 × 60 = 1,200 [㎥/h]

      ∴ 최소 배출량이 5,000 ㎥/h 이므로 5,000 ㎥/h

  ⑤ E실 : (15×15) × 1 × 60 = 13,500 [㎥/h]

  ⑥ F실 : 바닥면적 30 × 15 = 450 ㎡ 이고 직경 40m 원 범위 내이므로

        ∴ 최저 40,000 ㎥/h 이상이므로 40,000 [㎥/h] 적용

다. 배출 FAN의 최소 배출 용량 [㎥/h]은 얼마인가 ? 40,000 ㎥/hr

라. C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댐퍼의 작동 상황 (개폐여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 C실의 2개 댐퍼는 개방되고 A, B, D, E, F실의 댐퍼는 모두 폐쇄된다.

 

[해설] 제연설비 (독립제연방식)

 가. 공동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 제연구역의 구획

   ① 보

   ② 제연경계벽 (제연경계)

   ③ 벽 (화재시 자동으로 구획되는 가동벽, 셔터, 방화문을 포함)

 

 나. 배출량 및 배출방식

   ①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일 경우 (최저 5,000 ㎥/h)

      ▣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②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일 경우 (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 m 원 범위안에 있을 경우, 최저 40,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0,000 ㎥/hr 이상
2 m 초과 2.5m 이하
45,000 ㎥/hr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0,000 ㎥/hr 이상
3 m 초과
60,000 ㎥/hr 이상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m 원 범위 초과일 경우, 최저 45,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5,000 ㎥/hr 이상
2 m 초과 2.5m 이하
50,000 ㎥/hr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5,000 ㎥/hr 이상
3 m 초과
65,000 ㎥/hr 이상

※ 독립 배출구역 (예상 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이고 직경이 40 m 원 안에 포함되는지 여부

 

   ※ 대각선 길이가 원의 직경 40 [m] 이내인지 초과인지 판단

9. 다음 그림은 어느 제연설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각 실은 독립 배연방식이다.) [11점]

    ★★★★

 

가. 댐퍼의 설치 위치를 본문 그림에 표시하시오. (단, 댐퍼의 도시기호는 ⓤ의 모양으로 할 것)

나. 각 실의 소요량 [㎥/h]을 구하시오.

   ① A실         ② B실            ③ C실            ④ D실             ⑤ E실

다. 배출 FAN의 최소 배출 용량 [㎥/h]은 얼마인가 ?

라. C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댐퍼의 작동 상황 (개폐여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가. 댐퍼의 설치 위치를 본문 그림에 표시하시오.

 

나. 각 실의 소요량 [㎥/h]을 구하시오.

   ① A실 : (5 × 6) × 1 × 60 = 1,800 ㎥/h

        ∴ 최저 5,000 ㎥/h 이상이므로 5,000 ㎥/h 로 산정한다.

   ② B실 : (20 × 6) × 1 × 60 = 7,200 ㎥/h

   ③ C실 : (25 × 6) × 1 × 60 = 9,000 ㎥/h

   ④ D실 : (20 × 6) × 1 × 60 = 7,200 ㎥/h

   ⑤ E실 : (35 × 6) × 1 × 60 = 12,600 ㎥/h

다. 배출 FAN의 최소 배출 용량 [㎥/h]은 얼마인가 ? 12,600 [㎥/h]

라. C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댐퍼의 작동 상황 (개폐여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 C실의 댐퍼는 Open하고 나머지 A, B, D, E실 댐퍼는 Close 상태로 된다.

[해설] 제연설비 (독립제연방식)

 가. 댐퍼 (Damper)의 설치 위치

   댐퍼를 각 실 측에서 1개씩 설치하며 해당 화재실의 화재시 해당실 댐퍼는 open, 그 외의 실 댐퍼는 Close 한다.

 

  나. 배출량 및 배출방식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일 경우 : 최저 배출량 5,000 ㎥/hr 이상으로 할 것)

     ▣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다. 공동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

          량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제연구역 #제연설비 #독립배연구역 #공동배연구역 #댐퍼 #화염 #연기생성률 #배출량

#무창층 #배연기 #송풍기 #기계제연방식 #자연제연방식 #스모크타워 #유출속도

#축동력 #풍량 #제연경계 #방화문 #상사법칙 #풍속

반응형
반응형

1. 제연구역구획의 기준 (NFTC 504. 2. 1. 2)

  ① 재질은 내화재료, 불연재료 또는 제연경계벽으로 성능을 인정받은 것으로서 화재시 설계 변경 · 파괴되지 아니하고

       연기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성이 있는 재료로 해야 한다.

  ② 제연경계는 제연경계의 폭이 0.6 m 이상이고, 수직거리는 2 m 이내이어야 한다.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는 2 m 를

       초과할 수 있다.

  ③ 제연경계벽은 배연시 기류에 따라 그 하단이 쉽게 흔들리지 아니해야 하며, 또한 가동식의 경우에는 급속히 하강하여

       인명에 위해를 주지 아니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2. 배출량 및 배출방식 (NFTC 501. 2. 3)

가. 통로

   ▣ 45,000 ㎥/hr 이상일 것

나. 거실

  ①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일 경우 (최저 5,000㎥/hr 이상일 것)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②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일 경우 (예상 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m 원의 범위 안에 있을 경우 (최저 40,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0,000 ㎥/h 이상
2m 초과 2.5m 이하
45,000 ㎥/h 이상
2.5m 초과 3m 이하
50,000 ㎥/h 이상
3m 초과
60,000 ㎥/h 이상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m 원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최저 45,000 ㎥/h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5,000 ㎥/h 이상
2m 초과 2.5m 이하
50,000 ㎥/h 이상
2.5m 초과 3m 이하
55,000 ㎥/h 이상
3m 초과
65,000 ㎥/h 이상
 

   ◈ 배출량 계산시 배출량의 단위가 ㎥/h (CMS)이므로 60분을 곱할 것

         ※ CMH : Cubic meter hour

   ◈ 제연경계벽으로 구획되었다는 것은 수직거리가 있다는 말과 같다. 대규모 거실(바닥면적 400 ㎡ 이상인 경우)는

         배출량을 표의 값으로 계산하는데 만약 수직거리가 주어지지 않으면 최소 배출량을 적용한다.

        ※ 최소 배출량 적용 이유 : 청결층 유지

다. 공동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안에 설치된 예상 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예상 제연구역의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인 경우 배출량은 바닥면적 1 ㎡당 1㎥/min 이상으로 하고

       공동 예상 제연구역 전체 배출량은 5,000 ㎥/hr 이상으로 할 것)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 공 - 벽 - 합: 공동배연구역 - 벽으로 구획 (개별 배출량의 합)

        독 - 제 - 최 : 독립배연구역 - 제연경계로 구획 (최대량)

 ▣ 배출구 (NFTC 501.2.4.2)

   ⊙ 예상 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배출구까지의 수평거리는 10m 이내가 되도록 해야 한다.

 

[참고] 댐퍼의 종류

 ▣ 기능에 따른 분류

   ① 방화댐퍼 (Fire Damper : FD) : 화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퓨즈의 용융 등에 의해 작동

                                                         된다.

  ② 방연댐퍼 (Smoke Damper : SD) : 유독가스나 연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연기감지기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③ 풍량조절댐퍼 (Volume Damper : VD) : 덕트 내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

  ④ 플랩 댐퍼 (Flap Damper ) : 과압에 의해 날개를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구조의 과압방지 배출 댐퍼

 ▣ 구조에 따른 분류

  ① 솔레노이드 댐퍼 (Solenoid damper) : 솔레노이드가 누르게 핀을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며 개구부 면적이 작은 곳에

                                                                   설치한다.

  ② 모터 댐퍼 (Motor damper) : 모터가 누르게 핀을 이동시킴으로서 작동되며 개구부 면적이 넓은 곳에 설치한다.

  ③ 퓨즈 댐퍼 (fusible link type damper) : 덕트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퓨즈가 용융되어 댐퍼에 설치된 폐쇄용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댐퍼이다.

1. 바닥면적이 60㎡인 어느 실내에 제연설비를 하려고 한다. 최소 소요배출량은 몇 [㎥/hr] 인가 ? (단, 거실의 바닥면적은

     400 ㎡ 미만으로 구획되어 있다) [3점] ★★★★★

[문제풀이]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

   ⊙ 배출량 = 60 ㎡ × 1 ㎥/min · ㎡ = 60 ㎥/min

   ⊙ 단위 환산 : 60 ㎥/min × 60 min = 3,600 ㎥/h

   ⊙ 바닥면적 400 ㎡ 이하의 최저배출량은 5,000 ㎥/h 이상이므로 정답은 5,000 ㎥/h 이다.

[해설] 배출량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미만일 경우 (최저 5,000 ㎥/h 이상일 것))  : 일반적인 경우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

2. 제연설비에 대한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조건]

  ① 바닥면적이 390 ㎡인 거실이다.

  ② 제연덕트의 길이는 총 80 m이고 덕트의 저항은 0.2 ㎜Aq/m로 한다.

  ③ 배기구의 저항은 8 ㎜Aq, 그릴저항은 3 ㎜Aq, 부속류 저항은 덕트저항의 50%로 한다.

  ④ 송풍기는 시로코 팬 (Sirocco FAN)을 선정하고 효율은 60%로 한다.

  ⑤ 전달계수는 1.1로 한다.

가. 예상 제연구역에 필요한 배출량 [㎥/h]을 구하시오.

나. 송풍기에 필요한 전압 [㎜Aq]을 구하시오.

다. 송풍기의 전동기 동력 [kW]을 구하시오.

라.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의 거실에서 최저 배출량은 5,000 ㎥/hr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이유를 쓰시오.

마. 다익형 팬의 특징을 2가지만 쓰시오.

바. 회전수가 1,700rpm일 때 이 송풍기의 전압을 1.2배로 높이려면 회전수를 얼마로 증가시켜야 하는지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예상 제연구역에 필요한 배출량 [㎥/h]을 구하시오.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

  ⊙ 배출량 = 300 ㎡ × 1 ㎥/min · ㎡ = 300 ㎥/min

  ⊙ 단위 환산 : 300 ㎥/min × 60 min = 18,000 ㎥/h

  ⊙ 바닥면적 400 ㎡ 이하의 최저배출량은 5,000 ㎥/h 이상이므로 정답은 18,000 ㎥/h 이다.

나. 송풍기에 필요한 전압 [㎜Aq]을 구하시오.

  ▣ 전압[㎜Aq] = 덕트손실압력 [㎜Aq] + 배기구 저항 [㎜Aq] + 그릴저항 · 부속류 저항 [㎜Aq]

     ∴ 전압 = 0.2 × 80 + 8 + 3 + 0.2 × 80 × 0.5 = 35 ㎜Aq

다. 송풍기의 전동기 동력 [kW]을 구하시오.

라.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의 거실에서 최저 배출량은 5,000 ㎥/hr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이유를 쓰시오. 최소 청결층

      유지

마. 다익형 팬의 특징을 2가지만 쓰시오.

  ▣ 동일 용량에 대한 크기가 적어 설치면적이 작아진다.

  ▣ 낮은 압력에 많은 양의 송풍에 유리하다.

바. 회전수가 1,700rpm일 때 이 송풍기의 전압을 1.2배로 높이려면 회전수를 얼마로 증가시켜야 하는지 구하시오.

 ▣ 상사법칙

  ◈ 양정 : 펌프의 양정은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 양정은 압력에 대응관계에 있다.

【 해설 】 다익형 송풍기의 특징 (시로코 송풍기 - 다익형 송풍기)

  ① 동일 용량에 대한 크기가 적어 설치면적이 작아진다.

  ② 낮은 압력에 대한 많은 양의 송풍에 유리하다.

  ③ 속도가 낮아 소음이 작다.

  ④ 풍량변동에 대한 풍압의 변화가 적으며 많은 공기구멍으로 급배기하고 있는 경우 기존의 일부를 폐쇄해도 다른 급배기

       구의 영향이 적다.

  ⑤ 효율이 좋지 않다.

 

【참고】 상사법칙

  ① 유량 : 펌프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Q1 : 변경 전 유량 [ℓ/min],         Q2 : 변경 후 유량 [ℓ/min]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② 양정 : 펌프의 양정은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H1 : 변경 전 양정 [m],               H2 : 변경 후 양정 [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③ 축동력 : 펌프의 축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 및 관경의 오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P1 : 변경 전 축동력 [kW],                 P2 : 변경 후 축동력 [kW]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제연구역 #내화재료 #불연재료 #배출량 #수직거리 #제연경계 #CMH #공동배연구역

#독립배연구역 #댐퍼 #솔레노이드 #덕트 #다익형팬 #시로코팬 #sirocco #상사법칙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