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제3류 위험물 중 분자량이 144이고 물과 접촉하여 메탄을 생성시키는 물질의 반응식을 쓰시오.

 [정답] Al4C3 + 12H2O → 4Al(OH)3 + 3CH4

 [풀이] 일반적으로 C-C 결합은 (+) 전하를 가진 C와 (-)전하를 가진 C가 만나 형성됩니다.

           (반드시 이온일 필요는 없고, 주변 원자에 의해 부분적으로 전자를 빼앗기거나, 전자가 풍부해진 상태여도 됩니다.)

그런데 Al4C3의 경우에는 탄화이온이 음이온이라 탄소와 탄소끼리 반응하기 어렵습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탄화이온과 산소와도 정전기적 반발로 인해 반응하기 어렵습니다.

C 1개로 수소와 가능한 조합은 CH4밖에는 없습니다.

이 때문에 탄화알루미늄과 물과의 반응은 수산화 알루미늄과 메탄이 형성됩니다.

다른 예시로 제시하신 탄화 칼슘은

이름은 같은 탄화이온이긴 한데 이온의 화학식이 다릅니다.

이 때의 탄화이온은 C22−로, 루이스 구조식은 [:C≡C:]2−입니다.

이미 형성된 삼중결합을 수소이온만으로는 깨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전하 균형을 맞춘 C2H2라는 화학식을 가진 아세틸렌이 생성됩니다.

▣ 탄화알루미늄 (Al4C3)

 ㉮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백색이나 보통은 황색의 결정이며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안정하나 가열하면 표면에 산화피막을 만들어

         반응이 지속되지 않는다.

   ㉡ 비중은 2.36이고, 분해온도는 1,400℃ 이상이다.

 ㉯ 위험성

   ⊙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폭발성의 메탄가스를 만들며 밀폐된 실내에서 메탄이 축적되는 경우 인화성 혼합기를 형성하

        여 2차 폭발의 위험이 있다.

         Al4C3 + 12H2O → 4Al(OH)3 + 3CH4

2. 위험물 제조소 등에서 위험물의 압력이 상승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 설치하는 안정장치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정답] ① 자동적으로 압력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장치

           ② 감압측에 안전밸브를 부착한 감압밸브

           ③ 안전밸브를 병용하는 경보장치

3. 다음은 옥외저장탱크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을 알맞게 채우시오.

  ① 휘발유, 벤젠, 그 밖의 정전기에 의한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액체 위험물의 옥외 저장탱크 ( 주입관 ) 부근에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전극을 설치한다.

  ② 옥외저장탱크에는 가연성 증기를 회수하기 위해 직경 30㎜ 이상, 선단은 수평으로 부터 45°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의

       침투를 막는 구조의 ( 통기관 ) 을 설치해야 한다.

  ③ 탱크와 배수관과의 결합부분이 지진 등에 의하여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는 방법으로 ( 배수관 )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탱크의 밑판에 설치할 수 있다.

4.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시행규칙에 따라 위험물안전관리 대행기관으로 지정되기 위하여 보유해야 하는 안전관리장비

      5가지를 쓰시오. (단, 안전장구 및 소방시설 점검기구는 제외)

 [해답] ① 절연저항계

           ② 접지저항측정기 (최소눈금 0.1 Ω 이하)

           ③ 가스농도측정기

           ④ 정전기전위측정기

           ⑤ 토크렌치

[풀이]

기술인력
⊙ 위험물 기능장 또는 위험물산업기사 1인 이상
⊙ 위험룰 산업기사 또는 위험물기능사 2인 이상
⊙ 기계분야 및 전기분야의 소방설비기사 1인 이상
시설
전용사무실을 갖출 것
장비
⊙ 절연저항계
⊙ 접지저항측정기 (최소눈금 0.1Ω 이하)
⊙ 가스농도측정기
⊙ 정전기 전위 측정기
⊙ 토크렌치
⊙ 진동시험기
⊙ 안전밸브시험기
⊙ 표면온도계 (-10 ~ 300℃)
⊙ 두께 측정기 (1.5 ~ 99.9 ㎜)
⊙ 유량계, 압력계
⊙ 안전용구 (안전모, 안전화, 손전등, 안전로프 등)
⊙ 소방설비 점검기구 (소화전밸브압력계, 방수압력측정계, 포컬렉터, 헤드렌치,  포컨테이너

5. 무색 투명한 액체로 외관은 등유와 유사한 가연성인 제3류 위험물로서 분자량이 114인 물질이 물과 접촉시 발생하는

     기체의 위험도를 구하시오.

[풀이] 트리에틸알루미늄 [(C2H5)3Al]

  ㉠ 무색투명한 액체로 외관은 등유와 유사한 가연성으로 C1~C4는 자연발화성이 강하다.

       공기중에 노출되면, 공기와 접촉하여 백연을 발생하며 연소한다. 단, C5 이상은 점화하지 않으면 연소하지 않는다.

          2(C2H5)3Al + 21O2 → 12CO2 + Al2O3 + 15H2O

  ㉡ 물과 접촉하면 폭발적으로 반응하여 에탄올을 형성하고 이 때 발열, 폭발에 이른다.

         (C2H5)3Al + 3H2O → A1(OHJ)3 + 3C2H6

        에탄(C2H6)의 연소범위는 3.0 ~ 12.4% 이다.

        따라서, 위험도 H

【 알킬알루미늄 】

 ▣ 트리메틸알루미늄 [(CH3)3Al]

   ⊙ 물과 반응 (★) : (CH3)3Al + 3H2O → Al(OH)3 + 3CH4

   ⊙ 연소반응식 : 2(CH3)3Al + 12O2 → Al2O3 + 6CO2 + 9H2O

   ⊙ 메탄올과 반응 : (CH3)3Al + 3CH3OH → (CH3O)3Al + 4CH4

   ⊙ 에탄올과 반응 : (CH3)3Al + 3C2H5OH → (C2H5O)3Al + 3CH4

 ▣ 트리에틸알루미늄 [(C2H5)3Al] ★★★★★

   ⊙ 특징 : ① 비중 : 0.83, ② 분자량 114

   ⊙ 연소반응식 (★★) : 2(C2H5)3Al + 21O2 → Al2O3 + 12CO2 + 15H2O

   ⊙ 물과의 반응식 (★★★★★) : (C2H5)3Al + 3H2O → Al(OH)3 + 3C2H6

        ※ 에탄가스(C2H6)의 위험도 : ((12.4 - 3)/3 =3.13)

            에탄가스의 완전연소식 : 2C2H6 + 7O2 → 4CO2 + 6H2O

   ⊙ 염소와의 반응 (★★) : (C2H5)3Al + 3Cl2 → AlCl3 + 3C2H5Cl

   ⊙ 메탄올과 반응(★) : (C2H5)3Al + 3CH3OH → CH3OAl + 3C2H6

   ⊙ 에탄올과 반응 : (C2H5)3Al + 3C2H5OH → (C2H5O)3Al + 3C2H6

   ⊙ 염산과 반응 (★) : (C2H5)3Al + 3HCl → AlCl3 + 3C2H6

6. 제1류 위험물인 과산화칼륨이 다음 물질과 접촉시 화학반응식을 쓰시오.

   ① 물 : K2O2 + 2H2O → 2KOH + O2

   ② 이산화탄소 : 2K2O2 +2CO2 → 2K2CO3 + O2

   ③ 초산 : 2K2O2 +2CH3COOH → 2CH3COOK + H2O2

[풀이]

  ㉠ 가열하면 열분해되어 산화칼륨(K2O)과 산소(O2) 발생

        K2O2 → 2K2O + O2

  ㉡ 흡습성이 있으므로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며 수산화칼륨(KOH)과 산소(O2) 발생

        2K2O2 + 2H2O → 2KOH + O2

  ㉢ 공기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탄산염을 생성

       2K2O2 + 2CO2 → 2K2CO3 + O2

  ㉣ 에틸알코올에는 용해되며, 묽은 산(초산)과 반응하여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

       2K2O2 + 2CH3COOH → 2CH3COOK + H2O2

  ㉤ 황산과 반응하여 황산칼륨과 과산화수소를 생성

       K2O2 + H2SO4 → 2CH3COOK + H2O2

7. 지하탱크저장소에는 액체 위험물의 누설을 검사하기 위한 관을 4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 설치기준을 4가지

     쓰시오.

  ① 이중관으로 한다. (단, 소공이 없는 상부는 단관으로 할 수 있다)

  ② 재료는 금속관 또는 경질 합성수지관으로 한다.

  ③ 관은 탱크전용실의 바닥 또는 탱크의 기초까지 닿게 한다.

  ④ 관의 밑부분 부터 탱크의 중심 높이까지의 부분에는 소공이 뚫려 있어야 한다. 다만, 지하수위가 높은 장소에 있어서는

       지하수위 높이까지의 부분에 소공이 뚫려 있어야 한다.

  ⑤ 상부는 물이 침투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고, 뚜껑은 검사 시에 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

8. 어떤 화합물에 대한 질량을 분석한 결과 Na 58.9%, O 41.03%였다. 이 화합물의 ① 실험식과 ② 분자식을 구하시오..

    (단, 이 화합물의 분자량은 78 g/mol 이다)

  ① 실험식

  ② 분자식

      실험식 × n = 분자식

       n =(분자량) / 실험식량 = 78 / 39 = 2

       ∴ 분자식은 (NaO) × 2 = Na2O2

9. 100kPa, 30℃ 에서 100g의 드라이아이스 부피(ℓ)를 구하시오.

  [풀이] 드라이아이스는 고체상태의 CO2이다.

           100kPa / 101.325 kPa = 0.987 atm

           따라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PV = nRT, PV = (w/M)RT, ∵ n은 몰(mole)수 이며 n = w(g) / M(분자량)

10. 이송취급소의 설치에 필요한 긴급차단밸브 및 차단밸브에 관한 첨부서류의 종류 5가지를 쓰시오. 

 [정답] ① 구조설명서 ② 기능설명서 ③ 강도에 관한 설명 ④ 제어계통도

            ⑤ 밸브의 종류, 형식, 재료에 관하여 기재한 서류

11. 다음 보기에 주어진 위험물의 위험등급을 분류하시오.

[보기] 칼륨, 나이트로셀룰로오스, 염소산칼륨, 황, 리튬, 질산칼륨, 아세톤, 에탄올, 클로

로벤젠, 아세트산

[정답] ① 위험등급 Ⅰ : ㉠ 칼륨 ㉡ 염소산칼륨 ㉢ 나이트로셀룰로오스

② 위험등급 Ⅱ : ㉠ 황 ㉡ 질산칼륨 ㉢ 아세톤 ㉣ 에탄올 ㉤ 리튬

③ 위험등급 Ⅲ : ㉠ 클로로벤젠 ㉡ 아세트산

12. 제1류 위험물로서 지정수량이 50㎏이며 610℃에서 완전분해되는 이 물질의 분해반응식을 쓰시오.

 [정답] KClO4 → KCl + 2O2

 [풀이] 약 400℃에서 열분해되기 시작하여 610℃에서 완전분해되어 염화칼륨과 산소를 방출하며 이산화망가니즈 존재시

           분해온도가 낮아진다.

 [과염소산칼륨(KClO4)] ① 분자량 38.5 ② 비중 2.5 ③ 융점 610℃ ④ 지정수량 50㎏

       ⊙ 610 ℃ 완전분해반응식(★★) KClO4 → KCl + 2O2

13. 알킬알루미늄 등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이동탱크저장소에 설치해야 하는 소화설비를 쓰시오. (단, 자동차용 소화기는

        제외한다)

  [정답] 마른 모래, 팽창질석, 팽창질석진주암

  [풀이] 소화난이도 등급 Ⅲ의 제조소 등에 설치하여야 하는 소화설비

제조소 등의 구분
소화설비
설치기준
이동탱크저장소
자동차용
소화기
능력단위의 수치가 3이상
2개 이상
무상의 강화액 8ℓ 이상
2개 이상
이산화탄소 3.2㎏ 이상
일브로민화일염화이플루오르화메탄(CF2ClBr) 2ℓ
이상
일브로민화삼플루오르화메탄(CF3Br) 2ℓ 이상
이브로민화사플루화에탄 (C2F4Br2) 1ℓ 이상
소화분말 3.3㎏ 이상
마른모래 및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
마른 모래 150 ℓ 이상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 640 ℓ 이상
그밖의 제조소 등
소형 수동식
소화기 등
능력단위의 수치가 건축물, 그밖의 공작물 및 위험물의 소요단위의 수치에 이르도록 설치할 것.
다만, 옥내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 등 소화설비 또는 대형 수동식
소화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소화설비의 방사능력 범위 내의 부분에 대하여는 수동식
소화기 등을 그 능력단위의 수치가 해당 소요단위의 수치의 1/5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족하다.

​14. 다음은 옥탄가에 대한 설명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① 옥탄가 정의 : 옥탄가란 아이소옥탄을 100, 노르말헵탄을 0으로 하여 가솔린의 성능을 측정하는 기준값을 말한다.

  ② 옥탄가 공식

  ③ 옥탄가와 연소효율과의 관계 : 일반적으로 옥탄가가 높으면 노킹현상이 억제되어 자동차 연료로서 연소효율이

       높아진다.

[풀이] 자동차의 노킹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제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넣어 옥탄가를 높이며

           착색한다. 1992년 12월까지는 사에틸납[(C2H5)4Pb)]으로 첨가제를 사용했지만 1993년 1월 부터는 현재의

            MTBE[(CH3)3COCH3]를 사용하여 무연휘발유를 제조한다.

 

15. 포소화설비에서 펌프양정을 구하는 경우 H = h1 + h2 + h3 + h4 로 구할 수 있다. 펌프양정을 구하는 식에서

       각 h1, h2, h3, h4 가 의미하는 비가 무엇인지 쓰시오.

[정답]  h1 : 고정식 포방출구의 설계압력 환산수두 또는 포소화설비 노즐선단의 방사압력 환산수두 [m]

           h2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m]

           h3 : 낙차 [m]

           h4 : 이동식 포소화설비의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풀이]

 포소화설비의 가압송수장치의 설치기준

  ㉠ 가압수조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

       H = h1 + h2 + h3

      여기서, H : 필요한 낙차 [m]

                  h1 : 고정식 포방출구의 설계압력 환산수두 또는 포소화설비 노즐선단의 방사압력 환산수두 [m]

                  h2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m]

                  h3 : 낙차 [m]

                  h4 : 이동식 포소화설비의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 압력수조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

      P = p1 + p2 + P3 + P4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고정식 포방출구의 설계압력 또는 포소화설비 노즐선단의 방사압력[MPa]

                   p2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압 [MPa]

                   P3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P4 : 이동식 포소화설비의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압 [MPa]

  ㉢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

       H = h1 + h2 + h3 + h4

       여기서, H : 펌프의 전양정 [m]

                    h1 : 고정식 포방출구의 설계압력 환산수두 또는 포소화설비 노즐선단의 방사압력 환산수두 [m]

                    h2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m]

                    h3 : 낙차 [m]

                    h4 : 이동식 포소화설비의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16. 제4류 위험물 중 특수인화물에 속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은거울반응을 한다. 이와같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산화

       하는 경우 ① 생성되는 제4류 위험물과 ② 그 제4류 위험물의 연소반응식을 쓰시오.

 [정답] ① 생성 4류 위험물 : CH3COOH

           ② 연소반응식 : CH3COOH + 2O2 → 2CO2 + 2H2O

 [해설]

  ①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산화시 초산, 환원시 에탄올이 생성된다.

         (산화작용) 2CH3CHO + O2 → 2CH3COOH

         (환원작용) 2CH3CHO + H2 → C2H5OH

  ② 초산은 제2석유류로서 인화점은 40℃ 이며, 연소 시 파란 불꽃을 내면서 탄다.

17. 하이드록실아민 200㎏을 취급하는 위험물제조소에서의 안전거리를 구하시오.

      (단, 시험결과에 따라 하이드록실아민은 제2종으로 분류되었다)

 [정답] 64.38 m

 [풀이] 하이드록실아민(N3NO)은 제5류 위험물로서, 시험결과에 따라 제2종으로 분류되었으므로 지정수량은 100㎏ 이다.

 [정답] 64.38 m

18. 무색 투명한 기름상의 액체로 약 200℃에서 스스로 폭발하며 겨울철에 동결을 하는 제5류 위험물로서 액체상태로 수송

       하지 않고 다공성 물질에 흡수시켜 운반한다. 이 물질의 구조식과 지정수량을 쓰시오. (단, 이 물질은 제5류 위험물

        제1종에 해당한다.)

  ① 구조식

 

  ② 지정수량 : 시험결과에 따라 10㎏ 또는 100㎏이 될 수 있다.

 [풀이] 나이트로글리세린[C3H5(ONO2)3] 은 제5류 위험물로서 질산에스터류에 해당하며 지정수량은 제1종이므로 시험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 일반적 성질

   ㉠ 다이너마이트, 로켓, 무연화약의 원료로 순수한 것은 무색투명한 기름성의 액체(공업용 시판품은 담황색)이며 점화하

         면 즉시 연소하고 폭발력이 강하다.

   ㉡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메탄올, 벤젠,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에는 녹는다.

   ㉢ 다공질 물질을 규조토에 흡수시켜 다이너마이트를 제조한다.

   ㉣ 분자량 227, 비중 1.6, 융점 2.8℃, 비점 160℃

 ㉯ 위험성

   ㉠ 40℃에서 분해되기 시작하고 145℃에서 격렬히 분해되며 200℃ 정도에서 스스로 폭발한다.

        4C3H5(ONO2)3 → 12CO2 + 10H2O + 6N2 + O2

   ㉡ 점화, 가열, 충격, 마찰에 대단히 민감하며 타격 등에 의해 폭발하고 강산류와 혼합시 자연분해를 일으켜 폭발할 위험

        이 있고, 겨울철에는 동결할 우려가 있다.

19. 폭발성으로 인한 위험성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열분석시험 시 사용하는 표준물질 2가지를 쓰시오.

   ① 과산화벤조일 (BPO)

   ② 디나이트로톨루엔 (DNT)

[풀이] 폭발성 시험방법

  ▣ 폭발성으로 인한 위험성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은 열분석시험으로 하며, 그 방법은 다음에 의한다.

    ㉮ 표준물질의 발열개시온도 및 발열량

       ㉠ 표준물질인 2 · 4 - 디나이트로톨루엔 및 기준물질인 산화알루미늄을 각각 1mg씩 파열압력이 5MPa 이상인 스테인

            리스강재의 내압성 셸에 밀봉한 것을 시차주사(示差走査)열량측정장치(SDC) 또는 시차(示差)열분석장치(DTA)에

            충전하고 2 · 4 - 디나이트로톨루엔 및 산화알루미늄의 온도가 60초간 10℃의 비율로 상승하도록 가열하는 시험을

            5회 이상 반복하여 발열개시온도 및 발열량의 각각의 평균치를 구할 것

    ㉯ 시험물품의 발열개시온도 및 발열량 시험은 시험물질 및 기준물질인 산화알루미늄을 각각 2mg 씩으로 할 것

20. 지정수량의 5배 이하인 지정과산화물의 옥내저장소에 대하여는 해당 옥내저장소의 저장창고의 외벽을 두께 30㎝ 이상

       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콘크리트조로 만드는 것으로서 담 또는 토제에 대신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지정수량 5배를

       초과하는 담 또는 토제의 설치기준 4가지를 쓰시오.

[정답]

 ① 담 또는 토제는 저장창고의 외벽으로 부터 2m 이상 떨어진 장소에 설치한다. (다만, 담 또는 토제와 해당 저장창고와의

      간격은 해당 옥내저장소 공지너비의 1/5을 초과할 수 없다.)

 ② 담 또는 토제의 높이는 저장창고의 처마높이 이상으로 한다.

 ③ 담은 두께 15㎝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나 철골콘크리트조 또는 20㎝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조로 한다.

 ④ 토제 경사면의 경사도는 60° 미만으로 한다.

[해설] 담 또는 토제는 다음에 적합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지정수량의 5배 이하인 지정과산화물의 옥내저장소에

          대하여는 해당 옥내저장소의 저장창고의 외벽을 두께 30㎝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조로 만드

          는 것으로서 담 또는 토제에 대신할 수 있다.

  ① 담 또는 토제는 저장창고의 외벽으로 부터 2m 이상 떨어진 장소에 설치한다. 다만, 담 또는 토제와 해당 저장창고와의

        간격은 해당 옥내저장소 공지너비의 1/5을 초과할 수 없다.

  ② 담 또는 토제의 높이는 저장창고의 처마높이 이상으로 한다.

  ③ 담은 두께 15㎝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나 철골콘크리트조 또는 20㎝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조로 한다.

  ④ 토제 경사면의 경사도는 60° 미만으로 한다.

  ⑤ 지정수량의 5배 이하인 지정과산화물의 옥내저장소에 해당 옥내저장소의 저장창고의 외벽을 상기 규정에 의한 구조로

       하고 주위에 상기 규정에 의한 담 또는 토제를 설치하는 때에는 건축물 등까지의 사이의 거리는 10m 이상으로 한다.

#반응식 #메탄 #통기관 #절연저항계 #트리에틸알루미늄 #화합물 #황산 #초산 #에틸알코올 #이송취급소 #옥탄가 #노르말헵탄 #첨가제 #포소화설비 #하이드록실아민 #나이트로글리세린

반응형
반응형
 

 

▣ 가스누설경보기 : 가연성 가스 또는 불완전 연소가스가 새는 것을 탐지하여 관계자나 이용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1. 가스누설 경보기의 종류

가. 구조에 따른 분류

   ① 단독형 : 탐지부와 수신부를 1개의 상자에 넣어 일체로 되어 있는 형태의 경보기

   ② 분리형 : 탐지부와 수신부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의 경보기

나. 용도에 따른 분류

   ① 단독형 : 가정용

   ② 분리형 : 영업용 (1회로용)과 공업용 (1회로 이상 용)

2. 음향장치

  ▣ 사용전압에서의 음압은 무향실 내에서 정위치에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 부터 1[m] 떨어진 지점에서 주음향장치

       용의 것은 90 [dβ] (단독형 및 분리형 중 영업용인 경우에는 70 [dβ]) 이상이어야 한다.

[참고] 음향장치

구 분
음량
단독형
가정용(주음향장치)
70 [dβ]
분리형
영업용 (주음향장치)
70 [dβ]
공업용 (주음향장치)
90 [dβ]
고장표시장치
60 [dβ]

3. 가스누설경보기의 절연저항시험

절연저항계
구 분
절연저항
직류 500 [V]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5 [MΩ]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 절연된 선로간
20 [MΩ]

4. 분리형 수신부의 기능

  ▣ 수신개시로 부터 가스누설표시까지의 소요시간은 60초 이내일 것

[참고] 가스누설경보기의 예비전원

 가. 종류
    ① 알칼리계 2차 축전지
    ② 리튬계 2차 축전지
    ③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
 나. 용량
    ① 1회선용 : 감시상태를 20분간 계속한 후 유효하게 작동되어 10분간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용량
    ② 2회선 이상용 : 연결된 모든 회로에 대하여 감시상태를 10분간 계속한 후 2회선을 유효하게 작동시키고 10분간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용량

5. 가스누설경보기 부품의 구조 및 기능

   ① 전구는 사용전압의 130 [%]인 교류전압을 20시간 연속하여 가했을 경우 단선, 현저한 광속변화, 흑화, 전류의 저하 등

        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② 전구는 2개 이상을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방전등 또는 발광다이오드는 제외)

   ③ 주위의 밝기가 300 [lx]인 장소에서 측정하여 앞면으로 부터 3 [m] 떨어진 곳에서 켜진 등이 확실히 식별되어야 한다.

6. 누설등 · 누설지구등 : 황색

【 출제 예상 문제 】

1. 가스누설경보기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수신 개시로 부터 가스누설표시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내이며, 지구등은 등이 켜질 때 어떤 색으로 표시되어야

        하는가 ? ① 60초 ② 황색

  나. 예비전원으로 사용하는 축전지의 종류는 ?

      ▣ 알칼리계 2차 축전지, 리튬계 2차 축전지 또는 무보수밀폐형 연축전지

  다. 예비전원의 용량에 대하여 간단히 쓰시오.

     ① 1회선용 : 감시상태를 20분간 계속한 후 유효하게 작동되어 10분간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용량

     ② 2회로 이상용 : 연결된 모든 회로에 대하여 감시상태를 10분간 계속한 후 2회선을 유효하게 작동시키고 10분간

                                  경보할 수 있는 용량

  라. 경보기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및 절연된 선로간의 절연저항은 DC 500 [V]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각각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 5[MΩ] 이상

     ② 절연된 선로간 : 20 [MΩ] 이상

2. 가스누설경보기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지구등을 포함한 가스누설 표시등은 점등시 어떤 색으로 표시하여야 하는가 ? 황색

  나. 예비전원으로 사용하는 축전지의 종류는 ?

      ▣ 알칼리계 2차 축전지, 리튬계 2차 축전지 또는 무보수밀폐형 연축전지

  다. 경보기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 [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

         가 ? 5 [MΩ]

3. 다음은 가스누설경보기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적당한 말을 채우시오.

  가. 방전등 또는 발광다이오드를 제외한 전구는 2개 이상을 (①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나. 지구등을 포함한 가스누설 표시등은 (② 황색)으로 점등되어야 한다.

  다. 사용전압에서의 음압은 무향실 내에서 정위치에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 부터 (③ 3 [m]) 떨어진 지점에서 주음향

         장치용의 것은 (④ 90 [dβ]) 이상이어야 한다.

4. 가스누설경보기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지구등을 포함한 가스누설표시등은 점등시 어떤 색으로 표시하여야 하는가 ? 황색

  나. 가스누설경보기의 분류

     ① 구조에 따라 (단독)형, (분리)형

     ② 용도에 따라 (가정)용, (영업)용과 (공업)용

  다. 가스누설경보기 등 화재의 발생 또는 화재의 발생이 예상되는 상황에 대하여 경보를 발하여 주는 설비의 명칭은 ?

         경보 기구

5. 가스누설경보기에 관한 사항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수신부는 수신개시로 부터 가스누설 표시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내인가 ?   60초 이내

  나. 주음향장치의 공업용과 고장표시장치용은 각각 몇 [dβ] 이상인가 ?

       ① 공업용 : 90 [dβ]

       ② 고장표시장치용 : 60 [dβ]

  다. 예비전원으로 사용되는 축전지의 종류를 쓰시오.

      ▣ 알칼리계 2차 축전지, 리튬계 2차 축전지 또는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

6. 다음은 경보기구의 표시등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을 완성하시오.

  가. 전구는 사용전압의 (① 130 ) [%]인 교류전압을 (② 20)시간 연속하여 가했을 경우, 단선이나 현저한 광속변화, 흑화,

         전류의 저하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나. 전구는 2개 이상을 ( ①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다만, (② 방전등) 또는 (③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주위의 밝기가 ( ① 300) [lx]이고 전면으로 부터 (② 3 ) [m] 떨어진 곳에서 점등이 확실히 식별되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7.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를 설치하지 않아야 하는 장소 3가지를 쓰시오.

   ① 수분 · 증기와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

   ② 주위온도가 40 [℃] 이상 될 우려가 있는 곳

   ③ 가스가 체류하기 어려운 곳

#가스누설경보기 #경보기 #음향장치 #절연저항 #무향실 #영업용 #공업용 #흑화

#광속변화 #전류 #발광다이오드 #다이오드 #리튬 #알칼리 #예비전원 #축전지

#절연저항계 #연축전지 #무보수밀폐형


반응형
반응형

1. 자동화재속보설비

  ▣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설비

 

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구성요소

  ① 속보기

  ② 수신기 (P형, R형)

  ③ 발신기 (P형)

  ④ 감지기

나.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기준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되는 것으로 할 것. 이 경우 부가

       적으로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화재발생 상황을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②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③ 속보기에는 소방관서에 통신망으로 통보하도록 하며, 데이터 또는 코드전송방식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④ 문화재에 설치하는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속보기에 감지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자동화재탐지설비 1개의 경계구역에

       한한다)으로 할 수 있다.

다. 표시등의 색

   ① 자동화재속보설비 : 적색

   ② 누전경보기 : 적색

   ③ 가스누설경보기 : 황색

라. 변압기

   ▣ 용량은 최대사용전류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크기 이상이어야 한다.

마. 예비전원

  ① 내부에 예비전원은 알칼리계 2차 축전지, 리튬계 2차 축전지 또는 무보수밀폐형 연축전지를 설치하여야 하며 예비전

       원의 인출선 또는 접속단자는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색상에 의하여 극성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예비전원은 자동적으로 충전되어야 하며 자동과충전방지장치가 있을 것

  ③ 예비전원을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는 역충전방지 등의 조치를 강구할 것

바. 속보기의 절연저항값

절연저항계
구분
절연저항
직류 500 [V]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5 [MΩ] 이상
⊙ 절연된 전로간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20 [MΩ] 이상

【 출제 예상 문제 】

1. 다음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에 대한 설명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속보기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5 [MΩ]

  나. 가. 번 문항과 같은 방법으로 교류입력측과 외함간을 측정할 때에는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20 [MΩ]

  다. 사용되는 전자기기용 변압기의 정격 1차 전압을 몇 [V]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300 [V]

2. 다음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절연저항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절연된 ( ① 충전부) 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 ② 5 )

        [MΩ] 이상이어야 하고 교류입력측과 외함간에는 (③ 20) [MΩ] 이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절연된 선로 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 [V] 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④ 20) [MΩ] 이상이어야 한다.

3.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속보기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5 [MΩ] 이상

  나. 상기 가. 번 문항과 같은 방법으로 교류입력측과 외함간을 측정할 때에는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20 [MΩ] 이상

  다. 전원변압기의 용량은 어느 것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가 ?  최대사용전류

4. 자동화재속보설비에 대한 다음 빈칸을 완성하시오.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기능에서 자동화재탐지설비로 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 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 ㉠ 2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 하고 (㉡ 3회 이상) 속보하여야 한다.

2. 비상경보설비

가. 비상경보설비

  ① 비상벨 설비 : 화재발생상황을 경종으로 경보하는 설비

  ② 자동식 사이렌 설비 : 화재발생상황을 사이렌으로 경보하는 설비

 

나. 비상경보설비의 설치기준

  ①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는 부식성 가스 또는 습기 등으로 인하여 부식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지구음향장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

        의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 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③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도록 할 것

  ④ 음향장치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 부터 1 [m] 떨어진 위치에서 90 [dβ]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⑤ 발신기의 설치기준 (단, 지하구의 경우 발신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발신기 까지의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단,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 [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할 것)

     ㉢ 발신기의 위치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15 [°]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

          부터 10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할 것

다. 비상경보설비 전원의 설치기준

  ① 상용전원

    ㉠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 개폐기에는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용"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② 비상전원

    ▣ 비상벨 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 (수신기에 내장하는 경우 포함) 또는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할 것

라. 절연저항값

절연저항계
구분
절연저항
직류 500 [V]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5 [MΩ] 이상
⊙ 절연된 전로간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20 [MΩ] 이상

【출제 예상 문제】

1. 비상경보설비에 사용되는 축전지 설비의 절연저항시험은 DC 500 [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다음의 경우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가.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 5 [MΩ] 이상

   나.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 20 [MΩ] 이상

   다. 절연된 선로간 : 20 [MΩ] 이상

3. 단독경보형 감지기

  ▣ 화재발생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

 

가.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기능

  ① 자동복귀형 스위치 (자동적으로 정위치에 복귀할 수 있는 스위치를 말한다)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시험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할 것

  ② 작동되는 경우 작동표시등에 의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하고, 내장된 음향장치의 명동에 의하여 화재경보음을 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③ 주기적으로 섬광하는 전원표시등에 의하여 전원의 정상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전원의 정상상태

       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등의 섬광주기는 1초 이내에 점등과 30초 에서 60초 이내의 소등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④ 화재경보음은 감지기로 부터 1 [m] 떨어진 위치에서 85 [dβ] 이상으로 10분 이상 계속 하여 경보할 수 있어야 할 것

  ⑤ 건전지의 성능이 저하되어 건전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음성안내를 포함한 음향 및 표시등에 의하여 72시간

       이상 경보할 수 있어야 할 것. 이 경우 음향경보는 1 [m] 떨어진 거리에서 70 [dβ] (음성안내는 60 [dβ]) 이상이어야

       할 것

나.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기준

  ① 각 실 (이웃하는 실내의 바닥면적이 각각 30 [㎡] 미만이고 벽체의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 이웃하는 실내와

       공기가 상호유통되는 경우에는 이를 1개의 실로 본다) 마다 설치하되, 바닥 면적이 15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50

        [㎡]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② 최상층의 계단실의 천장 (외기가 상통하는 계단실의 경우 제외)에 설치할 것

  ③ 건전지를 주전원으로 사용하는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건전지를 교환할 것

  ④ 상용전원을 주전원으로 사용하는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2차 전지는 관련법 규정에 따른 제품검사에 합격한 것을

       사용할 것

【 출제 예상 문제】

1. 바닥면적이 1,000 [㎡]인 경우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몇 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 1000 ÷ 150 = 6.67 7개

2.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일반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가. ( ① 자동복귀형 스위치)에 의하여 (② 수동)으로 작동시험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나. 작동되는 경우 ( ③ 작동표시등)에 의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하고, 내장된 (④ 음향장치)의 명동에 의하여 화재경보음

        을 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다. 주기적으로 섬광하는 전원표시등에 의하여 전원의 정상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전원의 정상상태

        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등의 섬광 주기는 ( ⑤ 1초) 이내의 점등과 (⑥ 30초)에서 (⑦ 60초) 이내의 소등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라. 나. 의 규정에 의한 화재경보음은 감지기로 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85 [dβ]) 이상으로 하고 ( ⑨ 10분) 이상 계속

        하여 경보할 수 있어야 한다.

  마. 건전지의 성능이 저하되어 건전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음성안내를 포함한 음향 및 표시등에 의하여 (⑩ 72시

        간) 이상 경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음향경보는 1[m] 떨어진 거리에서 (⑪ 60 [dβ]) 이상이어야 한다.

3.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기준 중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

  가. 각 실마다 설치하되, 바닥 면적이 ( ① 15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② 150) [㎡] 마다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나. 이웃하는 실내의 바닥 면적이 각각 (③ 30) [㎡] 미만이고, 벽체의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 이웃하는 실내와

        공기가 상호 유통되는 경우에는 이를 (④ 1)개의 실로 본다.

  다. 상용전원을 주전원으로 사용시 (⑤ 2차 전지)는 제품검사에 합격한 것을 사용한다.

#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 #수신기 #발신기 #표시등 #적색 #황색 #충전부 #예비전원

#비상경보설비 #사이렌 #음향장치 #개폐기 #절연저항 #비상전원 #단독경보형감지기

#자동복귀형스위치 #작동표시등 #2차전지 #섬광 #주기 #경종

반응형
반응형
 

1. 수신기의 정의

  ▣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여

       주는 장치

2. 수신기의 분류

   가. P형 수신기

   나. R형 수신기

   다. GP형 수신기

   라. GR형 수신기

   마. 복합형 수신기 : P형, R형, GP형, GR형

3. 수신기의 분류에 따른 정의

가. P형 수신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 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장치

나. R형 수신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 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해당 특정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장치

다. GP형 수신기

  ▣ P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한 장치

라. GR형 수신기

  ▣ R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의 기능을 겸한 장치

마. P형 복합식 수신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 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 · 옥외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

       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배연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 제어하는 장치

바. R형 복합식 수신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 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사. GP형 복합식 수신기

   ▣ P형 복합식 수신기와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한 장치

아. GR형 복합식 수신기

   ▣ R형 복합식 수신기와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한 장치

자. 간이형 #수신기

   ▣ 수신기 및 가스누설경보기의 기능을 각각 또는 함께 가지고 있는 제품으로 수신기 및 가스누설경보기의 형식승인기준

        에서 규정한 수신기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의 구조 및 기능을 단순화시켜 "수신부 · 감지부", "수신부 · 탐지부", "수신부

        · 감지부 · 탐지부"  등으로 각각 구성되어 여기에 중계부가 함께 구성되어 화재발생 또는 가연성 가스가 누설되는 것

        을 자동적으로 탐지하여 관계자 등에게 경보하여 주는 기능 또는 도난경 보, 원격제어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장치

4. 수신기의 구성 및 기능

가. 수신기의 기능

   ①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

   ② 화재의 발생을 표시

   ③ 화재의 발생을 경보

나. P형 수신기의 구성

   ① 화재표시 작동시험장치

   ② 회로도통 시험장치

   ③ #예비전원 양부시험장치

   ④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자동절환장치

   ⑤ 전화연락장치

다. R형 (R형 복합식, GP형, GR형 복합식) 수신기의 구성

   ① 화재표시 작동 표시장치

   ② 회로 도통 시험장치

   ③ 예비전원 양부 시험장치

   ④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자동절환장치

   ⑤ 기록 · 저장장치

   ⑥ #화재지구 표시장치

   ⑦ 고장신호표시장치

【 참고 】 P형 수신기와 R형 수신기의 비교

구 분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시스템 구성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감지기, 발신기 등 이외 각종 Local 장치와
수신기, 중계기
전송방식
개별전송방식 ( 1 : 1 접점방식)
다중전송방식
신호종류
공통신호
고유신호
화재표시
표시등 (Lamp)
액정표시장치 (LCD)
표시방식
창구식, 지도식
창구식, 지도식, CRT식, 디지털식
배관배선공사
선로수가 많아 복잡하다.
선로수가 적어 간단하다.
수신반 가격
저가
고가
유지관리
선로수가 많고 수신기에 자가진단기능이
없으므로 유지관리가 어렵다.
선로수가 적고 자가진단기능에 의해 고장발생을 자동으로
경보 · 표시하므로 유지
관리가 쉽다.
도통시험
수신기에서 수동으로 시험
자동으로 검출되어 표시함
설치장소
⊙ 소규모 빌딩
⊙ 단지규모가 작은 아파트
⊙ 부지가 넓지 않은 공장 등
⊙ 초고층 빌딩
⊙ 대단지 아파트
⊙ 부지가 넓은 공장 등
시스템 작동
감지기, 발신기 등 Local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표시 및 경보를 발한다.
Local장치가 동작시 이를 중계기에서 고유신호로 변환하여
수신기에 통보하며, 수신
기는 화재표시 및 경보를 발하고,
수신기에
서는 이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중계기를통하여
수신한다.
신뢰성
수신기 고장시 전체 시스템 기능이 마비
된다.
수신기 고장시에도 중계기는 독자적으로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전압강하
선로의 길이에 따라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굵은 전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압강하의 우려가 없다.
신축,변경,증설
어렵다.
용이하다.

라. 수신기의 구조 및 일반기능

   ① 정격전압이 60 [V]를 넘는 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할 것

   ② 예비전원회로에는 단락사고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퓨즈를 설치할 것

   ③ 극성이 있는 경우에는 오접속방지장치를 할 것

   ④ 내부에는 주전원의 양극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를 설치할 것

마. 수신기의 기능시험

  1) 화재표시 작동시험

    ▣ 화재발생시 수신기의 해당 지구표시등 및 화재표시등의 점등과 음향장치의 명동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동작시험스위치 및 자동복구스위치를 누른다. (시험위치에 놓는다)

     ㉡ 회로선택스위치를 회로별 (1회로마다)로 회전시킨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각 릴레이(Relay)의 작동,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의 점등 및 음향장치의 작동확인이 정상일 것

  2) 회로도통시험

  ▣ 감지기 회로의 단선유무와 기기 등의 접속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도통시험 스위치를 누른다 (시험위치에 놓는다)

     ㉡ 회로선택스위치를 회로별로 회전시킨다.

         ⊙ 수신기의 형식이 전압계 Type : 전압계의 표시부위를 확인한다.

         ⊙ 수신기의 형식이 LED Type : LED의 점등유무를 확인한다.

     ㉢ 종단저항 등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② 가부판정기준

     ㉠ 수신기의 형식이 전압계 Type

        ⊙ 전압계의 지시치가 녹색범위 (2~6 [V])일 경우 : 정상

        ⊙ 전압계의 지시치가 적색범위일 경우 : 단락

        ⊙ 전압계의 지시치가 0 [V]일 경우 : 단선

     ㉡ 수신기의 형식이 LED Type

        ⊙ LED의 점등이 정상위치일 경우 : 정상

        ⊙ LED의 점등이 단선위치일 경우 : 단선

  3) 공통선 시험

   ▣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의 수의 적정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수신기 내 접속단자의 회로 공통선을 1선 제거한다.

       ㉡ 회로도통시험의 예에 따라 회로선택스위치를 회로별로 회전시킨다.

       ㉢ 전압계 또는 LED를 확인하여 "단선"을 지시한 경계구역의 회선수를 점검한다.

     ② 가부판정기준 :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의 수가 7 이하일 것

4) 동시작동시험 (1회선은 제외)

  ▣ 감지기가 동시에 수회선 작동하더라도 수신기의 기능에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주전원에 따라 행한다.

     ㉡ 5회선 (5회선 미만은 전 회선)을 동시에 작동시킨다 (회선별로 복구되지 말 것)

     ㉢ 위의 경우 주음향장치 및 지구음향장치를 명동시킨다.

     ㉣ 부수신기와 표시기를 함께 설치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는 이 전부를 작동상태로 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각 회선을 동시에 작동시켰을 때 수신기, 부수신기, 표시기, 음향장치 등의 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하며, 또한 유효하게 화재작동을 계속할 것

 5) 예비전원시험

  ▣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사고 등으로 정전이 된 경우 자동적으로 예비전으로 절환되며 또한 정전이 복구된 경우 자동적

       으로 일반 상용전원으로 절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예비전원시험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시험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전압계의 지시치 또는 LED 및 전원표시의 절환여

          부를 확인한다.

     ㉡ 예비전원시험스위치를 떼고 (상용전원으로 복귀한다) 자동절환릴레이의 작동상황을 확인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수신기의 형식이 전압계 Type : 전압계의 지시치가 약 24 [V]이고, 상용전원 ↔ 예비전원의 절환에 이상이 없으면

                                                            정상

     ㉡ 수신기의 형식이 LED Type : LED가 녹색 (정상) 위치에 있고, 상용전원 ↔ 예비전원의 절환에 이상이 없으면 정상

 

 6) 저전압 시험

  ▣ 전원의 전압이 저하한 경우에 그 기능이 충분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자동화재탐지설비용 전압시험기 또는 가변저항기 등을 사용하여 교류전원전압을 정격전압의 80 [%] 이하로 한다.              (축전지설비의 경우에는 축전지의 단자를 절환하여 정격전압의 80 [%] 이하로 한다)

     ㉡ 화재표시작동시험의 예에 따라 행한다.

   ② 가부판정기준 : 화재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음향장치는 정상적으로 음향을 발할 것

 

 7) #회로저항 시험

   ▣ 감지기 회로 1회선의 선로저항치가 수신기의 기능에 이상을 가져오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저항계를 사용하여 감지기 회로의 공통선과 회로선 사이의 전로에 대하여 측정한다.

     ㉡ 상시개로식인 경우에는 회로의 말단상태를 도통 상태로 하여 측정한다.

  ② 가부판정 기준 : 하나의 감지기 회로의 합성저항치가 50 [Ω] 이하일 것

 8) 비상전원시험 (예비전원으로 축전지설비를 사용할 경우에 행한다)

   ▣ 상용전원이 사고 등으로 정전이 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비상전원으로 절환되며 또한 정전복구시에 자동적으로 일반

        상용전원으로 절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축전지용 전원을 개로상태로 하고, 전압계의 지시치 또는 LED가 적정한가를 확인한다.

  ② 가부판정기준 : 비상전원의 전압, 용량의 절환상태 및 복구작동이 정상적으로 될 것

9) #지구음향장치 시험

  ▣ 감지기 또는 발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해당 지구음향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해당 경계구역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를 작동시킨다.

   ② 가부판정기준 : 해당 경계구역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를 작동 시켰을 때 해당 지구음향장치가 작동하고 음량이 정상일

                                 것 (음량은 음향장치의 중심에서 1 [m] 떨어진 위치에서 90 [dβ] 이상일 것)

 

【 참고 】 P형 수신기의 시험시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

시험종류
조작스위치
 ⊙ 동시작동시험
  ⊙ 동작시험스위치
  ⊙ 회로선택스위치
 ⊙ 화재표시작동시험
  ⊙ 동작시험 스위치
  ⊙ 회로선택 스위치
  ⊙ 자동복귀 스위치
 ⊙ 회로 #도통시험
 ⊙ #공통선 시험
  ⊙ 도통시험 스위치
  ⊙ 회로선택 스위치
 ⊙ 예비전원 시험
  ⊙ 예비전원 시험 스위치

6. 수신기의 설치기준

가. 수신기의 적합기준

  ①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경계구역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회선수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할 것

  ② 4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할 것

  ③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가스누설탐지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가스누설탐지설비로 부터 가스누설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누설경보를 할 수 있는 수신기를 설치할 것

  ④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는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이 지하층, 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 되지 아니하거나

       실내면적이 40 [㎡] 미만인 장소,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바닥과의 거리가 2.3 [m] 이하인 장소로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 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감지기가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축적기능 등이 있는 것으로 설치할

       것 (단, 다음의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불꽃 #감지기                                 ⊙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 분포형감지기                                  ⊙ 복합형 감지기

   ⊙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 #아날로그방식 의 감지기

   ⊙ #다신호방식 의 감지기                   ⊙ 축적방식의 감지기

나. 수신기의 설치기준

   ①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단,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관계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②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 일람도를 비치할 것. 단, 모든 수신기와 연결되어 각 수신기의 상황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수신기(주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주수신기를 제외한 기타 수신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수신기의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④ 수신기는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⑤ 화재, 가스, 전기 등에 대한 종합방재반을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조작반에 수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⑥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⑦ 수신기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높이가 0.8 [m] 이상 1.5 [m] 이하인 장소에 설치할 것

   ⑧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신기를 상호간 연동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각 수신

        기 마다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다. 수신기의 설치방법

   ① 수신기는 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 설치할 것

   ② 수신기는 벽면에 설치할 경우 탈락되지 않도록 견고히 취부하여야 한다.

   ③ 자립형 수신기는 벽면으로 부터 0.6 [m] 이상 떨어져서 설치할 것

   ④ 수신기의 진동부는 충격이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7. 절연저항시험

#절연저항계
구 분
절연저항
#직류 500 [V]
⊙ 절연된 #충전부 와 외함 간
5 [MΩ] 이상
⊙ #절연 된 #선로 간
⊙ #교류 입력측과 #외함 간
20 [MΩ] 이상

【 참고 】

 가. 수신기의 스위치의 주의등 점멸시 원인
    ① #지구 #경종 정지 스위치 ON시
    ② 주경종정지 스위치 ON시
    ③ #자동복구 스위치 ON시
    ④ #도통시험 스위치 ON시
    ⑤ #동작시험 #스위치 ON시
 나. 수신기의 19번째 회로 이상시의 원인
    ① 19번째 전선접속부의 접속불량
    ② 19번째 종단저항의 #단선
    ③ 19번째 #종단저항 의 #누락
    ④ 19번째 #지구선 의 단선
    ⑤ 19번째 지구선의 누락

반응형
반응형

[소화활동설비의 정의]

   ▣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

1. 비상콘센트 정의

   ▣ 화재발생시 소방대의 필요한 전원을 #전용회선 으로 공급받기 위한 설비

      <참고> #전압 의 분류 ★★★

저압
⊙ 교류 1,000 [V] 이하
⊙ 직류 1,500 [V] 이하
고압
⊙ 교류 1000[V] 초과 7 [kV] 이하
⊙ 직류 1,500 [V] 초과 7 [kV] 이하
특고압
⊙ 7 [kV] 초과

 

2. 비상콘센트의 구성도

 

3. 비상콘센트설비의 설치대상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5]) ★★★♣

설치대상
설치조건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
11층 이상의 층
지하층이 3층 이상이고 지하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 이상
지하층의 모든 층
터널
500 [m] 이상

◈ 도로터널의 비상콘센트 설비 ★★

  ⊙ 주행차로의 우측 측벽 50 [m] 이내의 간격으로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4. 비상콘센트설비 전원의 설치기준 (NFSC 504 제4조 ①) ♣

가. 상용전원

   ▣ 상용 전원회로의 배선은 저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고압수전 또는 특고압수전인 경우에는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 또는 2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 배선으로 할 것

   ◈ 저압수전

 

   ◈ 고압 및 특고압 수전

 

나. 비상전원 ♣

  ①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 이상이거나 지하층의 바닥 면적 (차고, 주차장,

       보일러실, 기계실 또는 전기실의 바닥면적을 제외)의 합계가 3,000[㎡]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에는

       자가발전설비, 비상전원 수전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 (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것. 다만, 2 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거나 하나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 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상용 전원을

       설치한 경우에는 비상전원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 비상콘센트 비상전원 설치대상 : #자가발전설비, #비상수전설비, #전기저장장치

        7층 이상 건물       : 연면적 2,000 [㎡] 이상

        지하층 바닥면적   : 3,000 [㎡] 이상

 

  ② 비상전원중 자가발전설비의 설치기준 (비상전원수전설비의 경우 NFSC 규정에 따라 설치할 것) ★★★♣

     ㉠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패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 비상콘센트 설비를 20분 이상 작동 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

     ㉣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을 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의 것을 두어서는 아니된다. (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한다)

     ㉤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5. 비상콘센트 설비 전원회로의 설치기준

                                                                       (NFSC 504 제4조 ②,③,④) ★★★♣

  ①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단상교류 220[V]인 것으로서 그 공급용량은 1.5 [kVA] 이상인 것으로 할 것

  ② 전원회로는 각 층에 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다만, 설치하여야 할 층의 비상콘센트가 1개인 때에는 하나의 회로로

       할 수 있다.

  ③ 전원회로는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할 것. 다만, 다른 설비의 회로의 사고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전원으로 부터 각 층의 비상콘센트에 분기되는 경우에는 분기 배선용 차단기를 보호함 안에 설치할 것 (보호함 밖 ×)

  ⑤ 콘센트 마다 배선용 차단기 (KSC 8321)를 설치하여야 하며, 충전부가 노출되지아니하도록 할 것 (노출되도록 할 것 ×)

      ※ 비상콘센트 : 전압 220 [V], 용량 1.5 [kVA] 이상

                                (접지형 2극 플러그 접속기)

 

   ⑥ 개폐기에는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소방용 ×)

   ⑦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 것으로서 두께 1.6[㎜] 이상의 철판으로 할 것 (옥내 소화전함 강판 및

        강대 1.5 [㎜] 이상, 합성수지재 4[㎜] 이상, #큐비클함 2.3 [㎜] 이상)

   ⑧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할 것. 이 경우 전선의 용량은 각 비상콘센트 (비상콘센트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3개)의 공급용량을 합한 용량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⑨ 비상콘센트의 플러그 접속기는 접지형 2극 #플러그 접속기 (KS C 8305)를 사용하여야 한다.

   ⑩ 비상콘센트의 플러그 접속기의 칼받이의 #접지극 에는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 두께 : 비상콘센트   : 1.6 [㎜]

                     큐비클함       : 2.3 [㎜]

 

※ 전원선 하나에 10개까지 비상콘센트를 설치하지만 전선의 용량은 3개분까지만 한다.

     즉, 1.5 [kVA] ×3 = 4.5 [kVA] 로 설치한다.

  ◈ 비상콘센트 ★★★♣

구 분
전압
공급용량
플러그 접속기
단상 교류
220 [V]
1.5 [kVA] 이상
접지형 2극

⇒ 비상콘센트 설비의 전선의 용량 ★★★

비상콘센트
전선의 용량
단상
1개
1.5 [kVA] 이상
2개
3 [kVA] 이상
3~10개
4.5 [kVA] 이상

6. 비상콘센트의 설치기준 (NFSC 504 제4조 ⑤) ★♣

① 바닥으로 부터 높이 0.8 [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② 비상콘센트의 배치는 아파트 또는 바닥면적이 1,000[㎡] 미만인 층에 있어서는 계단의 출입구 (계단의 부속실을 포함

     하여 계단이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그 중에 1개의 계단을 말한다)로 부터 5 [m] 이내에, 바닥면적 1,000[㎡] 이상인 층

     (아파트를 제외) 에 있어서는 각 계단의 출입구 또는 계단 부속실의 출입구 (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하여 계단이 3 이상

     있는 층의 경우에는 그 중 2 개의 계단을 말한다)로 부터 5 [m] 이내에 설치하되, 그 비상콘센트로 부터 그 층의 각 부분

     까지의 거리가 다음 각 목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기준 이하가 되도록 비상콘센트를 추가하여 설치할 것.

◈ 비상콘센트의 배치

조건
배치
⊙ 아파트
⊙ 바닥면적 1,000 [㎡] 미만 층
⊙ 계단의 출입구로 부터 5 [m] 이내
⊙ 바닥면적 1,000 [㎡] 이상 층  (아파트 제외)
⊙ 각 계단의 출입구로 부터 5[m] 이내
⊙ 계단부속실의 출입구로 부터 5[m] 이내

◈ 설치거리

조 건
설치거리
지하상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
수평거리 25[m] 이하
기타
수평거리 50 [m] 이하

  ※ 비상콘센트 : 계단으로 부터 5 [m] 이내

      #무선통신보조설비 : 무선기기 접속단자와 다른 용도의 접속단자의 이격거리 5 [m] 이상

      ㉠ 지하상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것 : 수평거리 25 [m]

      ㉡ 기타의 것은 #수평거리 : 50 [m]

7. 비상콘센트 보호함의 설치기준 (NFSC 504 제5조) ★★♣

   ①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할 것 ( #잠금장치 를 할 것 ×)

   ② #보호함 표면에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③ 보호함 상부에 적색의 표시 등을 설치할 것. 다만, 비상콘센트의 보호함의 옥내 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내소화전함 등의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다.

8. #비상콘센트 배선의 설치기준 (NFSC 504 제6조) ★♣

   ▣ 전원회로의 배선은 #내화배선 으로, 그밖의 배선은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으로 할 것

9. 비상콘센트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NFSC 504 제4조 ④) ★★★♣

  ① #절연저항 (전원부와 외함사이)

       ▣ 500 [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20 [MΩ] 이상일 것

  ② #절연내력

      ▣ 절연내력은 전원부와 외함 사이에 정격전압이 150 [V] 이하인 경우에는 1,000 [V] 의 실효전압을, #정격전압

           150 [V] 이상인 경우에는 그 정격전압에 2를 곱하여 1,000을 더한 #실효전압 을 가하는 시험에서 1분 이상 견디는

           것으로 할 것.

     ※ 150 [V] 이하 : 1,000 [V]

          150 [V] 이상 : 정격전압 × 2 + 1,000 [V]

     ※ 비상콘센트 220 [V] : 220 × 2 + 1,000 = 1440 [V]

【 출제 예상 문제 】

1. 비상콘센트의 배치는 아파트 또는 바닥 면적이 1,000 [㎡] 미만인 층은 계단의 출입구로 부터 몇 [m] 이내에 설치해야

     하는가 ? (단, 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하며 계단이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그 중 1개의 계단을 말한다) ③

    ① 10                       ② 8                  ③ 5                           ④ 3

[해설] 비상콘센트 설치기준

   ㉠ 바닥면적 1,000 [㎡] 미만 : 계단의 출입구로 부터 5 [m] 이내

   ㉡ 바닥면적 1,000 [㎡] 이상 : 계단부속실의 출입구로 부터 5 [m] 이내 설치

2. 비상콘센트의 전원회로의 공급용량은 최소 몇 [kVA]이상인것으로 설치해야 하는가? ①

   ① 1.5                        ② 2                          ③ 2.5                         ④ 3

[해설] 비상콘센트의 규격 :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단상 교류 220 [V]인 것으로서, 그 공급용량은 1.5 [kVA] 이상인

                                           것으로 할 것

3. 비상콘센트 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하는 특고압의 범위는 ? ④

   ① 4,000 [V] 초과              ② 5,000 [V] 초과                ③ 6,000[V] 초과                     ④ 7,000[V] 초과

[해설] 전압의 분류 : 저압 직류 1,500[V] 이하 교류 1,000[V] 이하

                                고압 직류 1,500 초과 7,000[V] 이하,  교류 1,000 초과 7,000[V] 이하

                                특고압 : 직류, 교류 7,000 [V] 초과

4. 비상콘센트 설비의 전원회로에서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최대 몇 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③

   ① 2                     ② 3                        ③ 10                         ④ 20

[해설] 비상콘센트설비 :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할 것

                                       (전선의 용량은 최대 3개 콘센트을 합한 용량일 것)

5. 비상콘센트설비의 절연내력은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정격전압이 150 [V] 이하인 경우 인가하는 실효전압은 ? ④

   ① 150 [V]                      ② 300 [V]                       ③ 500 [V]                           ④ 1,000 [V]

[해설] 절연내력시험 : 150[V] 이하 : 1,000[V]의 실효전압을 가하여 1분 이상 견딜 것

                                  150 [V] 이상 : (정격전압 × 2)+1,000[V]의 실효전압을 가하여 1분 이상 견딜 것

6. 비상콘센트설비의 비상전원 중 자가발전설비는 비상콘센트설비를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설치해야 하는가 ? ②

   ① 10                              ② 20                            ③ 30                                    ④ 60

[해설] 비상콘센트설비 : 비상콘센트 설비의 비상전원용량 : 20분 이상

7. 비상콘센트설비 비상전원의 설치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 ①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 ㉠ ) [㎡] 이상이거나 지하층의 바닥 면적의 합계가 ( ㉡ ) [㎡] 이상인 특정
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에는 자가발전설비, 비상
전원수전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것

   ① ㉠ 2,000 ㉡ 3,000            ② ㉠ 3,000 ㉡ 2,000        ③ ㉠ 4,000 ㉡ 3,000               ④ ㉠ 3,000 ㉡ 4,000

[해설] 비상콘센트설비의 비상전원 설치대상

    ㉠ 지하층을 제외한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2,000 [㎡] 이상

    ㉡ 지하층의 바닥면적 합계 3,000 [㎡] 이상

8. 비상콘센트의 플러그접속기는 몇 극 플러그접속기를 사용해야 하는가 ? ②

     ① 1극                       ② 2극                      ③ 3극                             ④ 4극

[해설] 비상콘센트의 규격 : 비상콘센트의 플러그접속기는 접지형 2극을 사용한다.

9.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절연저항 측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④

   ① 250 [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10 [MΩ] 이상일 것

   ② 250 [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20 [MΩ] 이상일 것

   ③ 500 [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10 [MΩ] 이상일 것

   ④ 500 [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20 [MΩ] 이상일 것

[해설] 비상콘센트설비의 절연저항 : 전원부와 외함사이 : 500 [V] 절연저항계, 20[MΩ] 이상

10. 비상콘센트보호함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④

   ① 보호함의 상부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②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③ 보호함 표면에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하여야 한다.

   ④ 비상콘센트의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내소화전함의 표시등과 분리하여야 한다.

[해설] 비상콘센트설비의 보호함 설치기준 : 비상콘센트의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내

                                                                      소화전함의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다.

11. 비상콘센트 풀박스 등의 두께는 최소 몇 [㎜] 이상의 철판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③

   ① 1.2 [㎜]                    ② 1.5 [㎜]                    ③ 1.6 [㎜]                          ④ 2.0 [㎜]

[해설] 비상콘센트의 규격 : 풀박스는 1.6 [㎜] 이상의 철판을 사용할 것

12. 비상콘센트 설비에 자가발전설비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경우 그 설치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②

   ①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한다.

   ② 상용전원의 전력공급 중단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③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 구획한다.

   ④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한다.

 

[해설] 비상콘센트설비의 자가발전설비 설치기준 :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13. 비상콘센트는 바닥으로 부터 몇 [m]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③

   ① 0.8 [m] 이상 1.0 [m] 이하      ② 1 [m] 이상 1.5[m] 이하     ③ 0.8 [m] 이상 1.5 [m] 이하     ④ 1 [m] 이상 1.8 [m] 이하

[해설] 비상콘센트의 설치 높이 :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

14. 비상콘센트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또는 지하구는 제외한다) ②

   ① 지하가 (터널은 제외) 로서 연면적 1,000[㎡] 이상인 것

   ②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11층 이상의 층

   ③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④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로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 이상인 것

[해설] 비상콘센트 설비의 설치대상

   ㉠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11층 이상의 층

   ㉡ 지하 3층 이상이고 지하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이상인 경우에는 지하층의 모든 층

   ㉢ 터널은 500 [m] 이상

15. 비상콘센트 설비에 설치하는 비상전원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 ②

   ① 축전지설비 또는 비상전원수전설비                      ② 비상전원수전설비 또는 자가발전설비

   ③ 자가발전설비 또는 축전지설비                             ④ #축전지설비 또는 #동력제어설비

[해설] 비상콘센트의 비상전원 : 자가발전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 전기저장장치

16.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절연저항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단, 직류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

      하는 경우이다) ④ 

      ① 10 [Ω]                         ② 20 [Ω]               ③ 10 [MΩ]                       ④ 20 [MΩ]

[해설] 절연저항 시험 :  비상콘센트 #절연저항 - 직류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20 [MΩ] 이상

17.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①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상으로 할 것

   ②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2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콘센트 마다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충전부는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④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두께 1.6 [㎜] 이상의 방청도장을 한 철판으로 할 것

[해설] 비상콘센트 전원회로의 설치기준 :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할 것

18. 비상콘센트설비에서 고압수전인 경우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은 어디에서 분기하여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③

   ① 인입개폐기의 직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②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③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④ 전력용 #변압기 1차측의 주차단기 2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해설] 비상콘센트설비의 사용전원회로의 배선

   ㉠ 저압수전 : 인입 #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

   ㉡ 특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 : 전력용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 또는 2차측에서 분기

19. 비상콘센트에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할 경우 그 실내에 무엇을 설치하는가 ? ④

   ① #유도등              ② 휴대용 비상조명등                     ③ 실내조명등                   ④ 비상조명등

[해설] 비상콘센트설비의 자가발전설비 설치기준 :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할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반응형
반응형

【 누전 경보기 】

1. 누전경보기

  ▣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건물의 전기설비로 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며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

  ▣ 사용전압 600[V] 이하인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2.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 ★★★♣

 가. #변류기 (영상변류기)

 나. 수신부

    ① 수신기 ② #음향장치 ③ 차단기구

 

3. 누전경보기의 설치대상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 ♣

  ▣ 계약전류용량 (동일 건축물에 계약종별이 다른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 중 최대계약 전류용량)이 100 [A]를 초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바닥 또는 반자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분연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것에 한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가스시설, 지하구 또는 터널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누전경보기 는 계약전류 용량이 100[A]를 초과하는 경우 설치

 ① 누전경보기

    ⊙ 사용전압이 600[V] 이하인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발하여 주는

         설비

 ② 집합형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 2개 이상의 변류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신부로서 하나의 전원장치 및 음향장치로 구성된 것

 ③ 비호환성 수신부는 신호입력 회로에 공칭작동전류치의 42 [%]에 대응하는 변류기의 설계출력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30초 이내에 작동하지 아니할 것

 ④ 변류기 ★★★

    ⊙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

 

 [영상변류기]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에 송신하는 것

 [수신부]

  변류기로 부터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누전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차단기구를 갖는 것 포함)

    ① 수신기          ② 음향장치           ③ 차단기구

 

 [집합형 수신기의 구성요소]

    ① 자동입력전환부 ② 증폭부 ③ 제어부 ④ 회로집합부 ⑤ 전원부  ⑥ 도통시험 및 동작시험부 ⑦ 동작회로 표시부

4. 누전경보기의 구조 및 기능 ★♣

  ① 현저한 잡음, 방해전파를 발하지 않을 것

  ② 단자 외의 부분은 견고한 상자에 넣을 것

  ③ 먼지, 습기, 곤충 등에 의하여 기능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

  ④ 외함은 불연성, 난연성 재질로 만들 것

  ⑤ 집합형 누전경보기는 2개의 경계전로에서 누설전류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이상이 없을 것 ♣

  ⑥ 감도조정장치를 제외하고 감도조정부는 외함의 바깥쪽에 노출되지 않을 것 ♣

  ⑦ 음향장치의 음량은 1 [m] 떨어진 곳에서 70 [dβ] 이상일 것 (고장표시장치 : 60 [dβ] 이상) ♣

  ⑧ 경보기구에 내장하는 음향장치는 사용전압의 80 [%]인 전압에서 동작할 것 ♣

      ⊙ 누전경보기의 구조에 따른 분류

         ㉠ 옥내형 : 비방수구조

         ㉡ 옥외형 : 방수구조

5. 누전경보기의 설치기준 ♣

 가. 누전경보기의 설치방법 (NFSC 205 제4조) ★★★

   ①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 [A]를 초과하는 전로에 있어서는 1급 누전경보기를, 60[A] 이하의 전로에 있어서는

        1급 또는 2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할 것. 다만,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는 경계전로가 분기되어 각 분기회로의

        정격전류가 60[A] 이하로 되는 경우 당해 분기회로 마다 2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 때에는 당해 경계전로에 1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 것으로 본다.

   ② 변류기는 특정소방대상물의 형태, 인입선의 시설방법 등에 따라 옥외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 또는 제2종 접지선

        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인입선의 형태 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구조상 부득이한 경우에 있어서는

        인입구에 근접한 옥내에 설치할 수 있다.

   ③ 변류기를 옥외의 전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외형으로 설치할 것

      ※ 60 [A] 초과 : 1급 누전경보기

          60 [A] 이하 : 1급 또는 2급 누전경보기

 

     ※ 변류기 (영상변류기 ZCT)의 설치위치

      ① 옥외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

      ② 제2종 접지선측 (변압기 2차측 접지선측)

 

◈ 누전경보기의 설치방법 ★★★♣

구 분
정격전류
1급 누전경보기
60 [A] 초과
1급 또는 2급 누전경보기
60 [A] 이하
(1급, 2급 모두를 설치할 수 있는 경계전로의 정격전류)

◈ 누전경보기 #변류기 의 설치방법

  ⊙ 단상 2선식(2선), 단상 3선식 (3선), 3상3선식 (3선), 3상4선식(4선)의 경우 모든 선을 변류기에 관통시켜 설치할 것

나. 3상 3선식 전기회로 ♣

  ① #누설전류 가 없을 경우

 

다. 수신부의 설치기준 (NFSC 205 제5조) ★★★♣

  ①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는 옥내의 점검에 편리한 장소에 설치하되, #가연성 의 증기, 먼지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

       의 전기회로에는 해당 부분의 전기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구를 가진 수신부를 설치할 것. 이경우 차단기구의

       부분은 해당 장소외의 안전한 장소에 설치할 것

  ② 음향장치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며, 그 음향 및 음색은 다른 기기의 소음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 음향장치의 설치장소 (수신기에 음향장치가 내장)

  ③ 수신기의 설치 제외장소 ★★★♣

      ㉠ 가연성의 증기, 먼지, 가스 등이나 부식성의 증기, 가스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 화약류를 제조하거나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 습도가 높은 장소

      ㉣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 대전류 회로, 고주파 발생회로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6. 전원의 설치기준 (NFSC 205 제6조) ★★★♣

  ① 전원은 분전반으로 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 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20[A] 이하의 것으로 각 극에 개폐할 수 있는 것)을 설치할 것

  ② 전원을 분기할 때는 다른 차단기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③ 전원의 개폐기는 누전경보기용임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7. 공칭작동전류치 및 감도조정장치

  ① 공칭작동전류치 : 200 [mA] 이하

     ※ 공칭작동전류치 : 누전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누설전류의 값

  ②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 : 1 [A] 이하 (1,000[mA] 이하 ) - 최대치

    ※ 과 (과전류 차단기) : 15 [A]

        배 (배선용 차단기) : 20 [A]

        공 (공칭작동전류치) : 200 [mA] 0.2 [A]

        감 (감도조정장치) : 1,000[mA] 1[A]

8. 누전경보기의 절연저항시험 ★♣

절연저항계
구분
측정개소
절연저항
직류
500 [V]
수신부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 차단기구의 개폐부
     - 열린상태 : 같은 극의 전원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
     - 닫힌상태 : 충전부와 손잡이 사이
5 [MΩ]
이상
변류기
⊙ 절연된 1차 권선과 2차 권선간
⊙ 절연된 1차 권선과 외부 금속부간
⊙ 절연된 2차 권선과 외부 금속부간
5 [MΩ]
이상

    (절연된 1차 권선과 단자판 사이 ×)

9. 누전경보기의 전압강하 방지시험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22조) ★★♣

  ▣ 변류기 (경계전로의 전선을 그 변류기에 관통시키는 것은 제외)는 경계전로에 정격전류를 흘리는 경우 그 경계전로의

      전압강하는 0.5 [V] 이하이어야 한다.

   ◈ 누전경보기의 기능시험 및 검출 시험 방법

      ① 누전경보기의 기능시험

           ㉠ 동작시험       ㉡ 도통시험          ㉢ 누설전류측정시험

      ② 누전경보기의 검출시험 방법 ♣

         ⊙ 누설전류를 변류기에 흘려서 실시한다.

        ※ 누전경보기의 시험이 아닌 것 : #내식성 시험, 단락전압 시험

10. 누전경보기의 기능시험 및 검출시험방법

 가. 누전경보기의 기능시험

    ① 변류기 : 진동시험, 단락전류 강도시험, 충격파 내전압시험

    ② 수신부 : 충격시험, 전원전압변동시험, 과입력 전압시험, 진동시험

 

 나. 반복시험

   ⊙ 수신부는 그 정격전압에서 10,000회의 누적작동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그 구조 또는 기능에 이상이 생기지 아니하여야

        한다.

 다. 누전경보기의 검출시험방법 : 누설전류를 변류기에 흘려서 실시

 라. 수신부의 기능

구분
호환성형 수신부
비호환성형 수신부
부작동시험
변류기 설계출력전압의 52[%]인
전압을 가하는 경우 30초 이내 부작동 
변류기 설계출력전압의 42[%]인
전압을 가하는 경우 30초 이내 부작동
작동시험
변류기 설계출력전압의 75[%] 인
전압을 가하는 경우 1초 (차단기구가 있는 것은 0.2초) 이내 작동
변류기 설계출력전압을 가하는 경우 1초(차단기구가 있는 것은 0.2초) 이내 작동

 마. 누전표시

   ▣ 수신부는 변류기로 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색표시 및 음향신호에 의하여 누전을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이 경우 차단기구가 있는 것은 차단 후에도 누전되고 있음을 적색표시로 계속 표시되는 것이어야 한다.

【누전경보기 출제예상문제】

 

0-1. 다음 중 용어의 정의로 맞지 않는 것은 ? ★★ ④

   ① 발신기란 화재신호를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② 감지기란 화재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③ 거실이란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그밖에 이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방을 말한다.

   ④ 변류기란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수동적으로 검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0-2.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은 ? ★★★ ④

   ① 감지기              ② 발신기               ③ #중계기                    ④ 변류기

0-3. 1급 및 2급 누전경보기를 모두 설치할 수 있는 경우 경계전로의 정격전류는 몇 [A]인가 ? ★★★ ②

   ① 60 [A] 초과        ② 60 [A] 이하             ③ 100 [A] 초과                ④ 100 [A] 이하

0-4. 누전경보기의 설치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④

   ①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는 전로에 있어서는 1급을 설치한다.

   ②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이하의 전로에 있어서는 1급 또는 2급을 설치한다.

   ③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는 경계전로에서 분기되어 각 분기회로의 정격전류가 60 [A]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각 분기회로 마다 2급을 설치해도 해당 경계전로에 1급을 설치한 것으로 본다.

   ④ 변류기는 특정소방대상물의 형태, 인입선의 시설방법에 따라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 또는 제1종 접지선측

        에 설치한다.

0-5.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에서 변류기의 설치위치로 옳은 것은 ? ①

   ①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

   ② 제1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③ 옥내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

   ④ 제3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0-6.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를 해당 부분의 전기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구를 가진 수신부를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로

        알맞은 것은 ? ④

   ① 화약류를 제조하거나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② 가연성의 증기, 먼지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

   ③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나 습도가 높은 장소

   ④ 대전류회로, 고주파 발생회로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적은 장소

0-7.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설치장소로 적당한 곳은 ? ★★★ ④

   ① #화약류 를 제조하는 장소                 ② 습도가 높은 장소

   ③ 온도변화가 급격한 장소                    ④ 고주파 등의 발생 우려가 없는 장소

0-8. 누전경보기의 음향장치의 설치위치는 ? ②

   ① 옥외인입선의 제1지점 부하측의 점검이 쉬운 장소

   ②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

   ③ 옥외 인입선의 제2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장소

   ④ 옥내의 점검이 편리한 장소

0-9. 누전경보기의 전원은 분전반으로 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 극에 개폐기 및 몇 [A]이하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 ①

   ① 15 [A]                    ② 20 [A]                       ③ 25 [A]                      ④ 30 [A]

0-10. 누전경보기의 공칭작동전류치는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 ②

   ① 100 [mA]               ② 200 [mA]                 ③ 1,000[mA]               ④ 2,000[mA]

0-11. 누전경보기에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 몇 [mA]인가 ? ★★★ ③

   ① 1[mA]                  ② 20 [mA]                   ③ 1,000[mA]                ④ 1,500[mA]

0-12. 누전경보기의 변류기는 경계전로에 정격전류를 흘리는 경우 그 경계전로의 전압강하는 몇 [V]이하 이어야 하는가 ?

          ★★ ②

   ① 0.1 [V]                  ② 0.5 [V]                    ③ 1 [V]                         ④ 5 [V]

 

0-13. 누전경보기에 사용되는 변압기의 정격1차전압은 몇 [V]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 ④

     ① 100                   ② 150                          ③ 200                         ④ 300

0-14.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는 그 정격전압에서 몇 회의 누전작동 반복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구조 및 기능에 이상이 생기지

          않아야 하는가 ? ①

   ① 1만회                  ② 2만회                        ③ 3만회                       ④ 5만회

 

0-15.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절연저항은 최소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 ③

   ① 0.1                     ② 3                                 ③ 5                               ④100

1. 사용전압 600 [V] 이하인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해당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은 ? ②

   ① 누설전류경보기         ② 누전경보기             ③ 경계전로경보기          ④ 전기누설경보기

[해설] 누전경보기의 구성 : 변류기 + 수신부 (600[V] 이하)

2. 누전경보기에서 누설전류를 유기한 변류기의 미소전압을 입력받아 내장된 증폭기로 증폭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②

   ① 차단릴레이               ② 수신기                  ③ 음향장치                    ④ 경보기

[해설]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 : 수신기 - 누설전류를 증폭한다.

3. 누전경보 음향장치의 설치위치로 옳은 것은 ? ③

   ① 옥내의 점검에 편리한 장소

   ② 옥외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

   ③ 수위실 등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

   ④ 옥외인입선의 변압기 2차측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

[해설] 누설경보기의 #음향장치 : ㉠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

                                                     ㉡ 음량 및 음색은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것

4. 누전경보기의 정격전압이 몇 [V]를 넘는 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②

   ① 30 [V]                   ② 60 [V]                          ③ 70 [V]                         ④ 100 [V]

[해설] 누전경보기의 접지단자 : 정격전압이 60[V]를 넘는 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5. 누전경보기의 변류기는 경계전로에 #정격전류 를 흘리는 경우 그 경계전로의 전압강하는 몇 [V] 이하여야 하는가 ?

     (단, 경계전로의 전선을 그 변류기에 관통시키는 것은 제외한다) ②

   ① 0.3                       ② 0.5                          ③ 1.0                                  ④ 3.0

[해설] 누전경보기의 #전압강하 방지시험 : 변류기(경계전로의 전선을 그 변류기에 관통시키는 것 제외)는 경계전로에 정격

           전류를 흘리는 경우, 그 경계전로의 전압강하는 0.5 [V] 이하이어야 한다.

6.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의 설치장소로서 옳은 것은 ? ④

   ① 습도가 높은 장소                                     ②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③ 고주파 발생회로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④ 부식성의 #증기 · 가스 등이 체류하지 않는 장소

[해설] 누전경보기의 수신기 설치 제외 장소

   ⊙ 온도변화가 급격한 장소                           ⊙ 습도가 높은 장소

   ⊙ 가연성의 증기·가스 등 또는 #부식성 의 증기 · 가스 등의 다량 체류 장소

   ⊙ 대전류회로, 고주파 발생회로 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화약류 제조 · 저장 · 취급 장소

7. 누전경보기에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 몇 [mA]인가 ?

   ① 1              ② 20                ③ 1,000                  ④ 1,500

[해설] 누전경보기 : 공칭작동전류치 : 200 [mA] 이하,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 : 1 [A] (1,000[mA]) 이하

8.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한 용어, 설치방법, 전원 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②

   ①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 [A]를 초과하는 전로에 있어서는 1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다.

   ② #변류기 는 옥외인입선 제1지점의 전원측에 설치한다.

   ③ 누전경보기 전원은 분전반으로 부터 전용으로 하고, 각 극에 개폐기 및 15 [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한다.

   ④ 누전경보기는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 누전경보기의 설치방법 : 변류기는 옥외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 또는 변류기 2차측 접지선측에 설치할 것

9. 5~10회로 까지 사용할 수 있는 누전경보기의 집합형 수신기 내부결선도에서 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②

   ① 제어부              ② 조작부                 ③ 증폭부                   ④ #도통시험 및 동작시험부

[해설] 집합형 수신기 구성요소 : ㉠ 자동입력전환부 ㉡ 증폭부 ㉢ 제어부 ㉣ 회로 집합부 ㉤ 전원부

                                                   ㉤ 도통시험 및 동작시험부 ㉥ 동작회로 표시부

10. 누전경보기의 부품 중 전압 지시전기계기의 최대 눈금은 사용하는 회로의 정격전압의 몇 [%] 이상 몇 [%] 이하여야

      하는가 ? ④

   ① 110 ~ 125 [%]              ② 120~140[%]                   ③ 130~150 [%]                        ④ 140~200[%]

[해설] 누전경보기형식 : 전압 지시전기계기의 최대눈금 : 정격전압의 140 ~200[%] 이하

11.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구조 기준 중 틀린 것은 ?

  ① 2급 수신부에는 전원 입력측의 회로에 단락이 생기는 경우 유효하게 보호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② 주전원의 양극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보수시에 전원공급이 자동적으로

       중단되는 방식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감도조정장치를 제외하고 감도조정부는 외함의 바깥쪽에 노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④ 전원입력측의 양선 (1회선용은 1선 이상) 및 외부부하에 직접 전원을 송출하도록 구성된 회로에는 퓨즈 또는 브레이커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구조 기준 : ① 전원 입력측의 회로에 단락이 생기는 경우에 유효하게 보호되는 조치를 강구하

                                                                     여야 한다. (단, 2급 수신부는 제외)

12. 누전경보기 배선용 차단기의 전류용량은 몇 [A] 이하의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 ②

   ① 15                     ② 20                      ③ 40                         ④ 60

[해설] 누전경보기의 설치기준 : 각 극에 개폐기 및 15 [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할 것 (배선용 차단기는 20 [A] 이하)

13. 다음 중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은 ? ②

​  ① 발신기                  ② 변류기                  ③ 중계기                   ④ 검출기

[해설] 변류기 :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

14.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DC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는 경우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②

   ① 0.5                        ② 5                        ③ 10                ④ 20

[해설] #절연저항시험 :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 :  DC 500 [V], 5 [MΩ] 이상

15. 누전경보기용 #변압기 의 정격 1차 전압은 몇 [V] 이하로 해야 하는가 ? ④ 

   ① 50                      ② 100                      ③ 200                        ④ 300

[해설] 누전경보기용 변압기 : 누전경보기용 변압기의 정격 1차 전압 : 300 [V] 이하

16. 경계전류의 정격전류는 최대 몇 [A]를 초과할 때 1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해야 하는가 ? 

   ① 30                        ② 60                     ③ 90                           ④ 120

[해설] 누전경보기의 설치방법 : ⊙ 정격전류 60 [A] 초과 : 누설경보기 1급

                                                  ⊙ 경격전류 60 [A] 이하 : 누설경보기 1급 또는 2급

17. 누설경보기의 수신부는 그 정격전압에서 최소 몇 회의 누전작동 반복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구조 및 기능에 이상이

      생기지 않아야 하는가 ? ①

      ① 1만회               ② 2만회                   ③ 3만회                   ④ 5만회

[해설] 반복시험횟수 :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 10,000회

18. 누전경보기의 공칭작동전류는 몇 [mA] 이하까지 동작되어야 하는가 ? ②

   ① 500 [mA] 이하             ② 200[mA] 이하               ③ 150[mA] 이하               ④ 100[mA] 이하

[해설 #누전경보기 : 공칭작동전류치 : 200[mA] 이하,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 : 1[A] (1,000[mA])

19.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④

   ① 차단기              ② #영상변류기( #ZCT )               ③ 음향장치               ④ 발신기

[해설]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 : ㉠ 영상변류기 ㉡ 수신기 ㉢ 음향장치 ㉣ 차단기

20. 2급 누전경보기는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몇 [A] 이하의 전로에서 사용하는가 ? ②

   ① 50                    ② 60                      ③ 70                    ④ 80

[해설] 누전경보기의 설치방법 : 1급 또는 2급 : 60[A]이하, 1급 : 60[A] 초과

21. 누전경보기에서 누전화재가 발생한 경계전로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의 색깔 표시는 ? (단, 누전등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이다) ①

   ① 적색                   ② 황색                  ③ 청색                     ④ 녹색

[해설] 표시등의 색 : 가스누설경보기 : 황색, 기타 기기 (누전경보기) : 적색

【 가스누설경보기 】

1. 가스누설경보기

  ▣ 가연성 가스 또는 불완전 연소 가스시설이 설치된 장소에서 액화석유가스 (LPG), 액화천연가스 (LNG), 일산화탄소

       또는 기타 가스 (이소부탄, 메탄, 수소)를 탐지하여 경보하는 것

2. 가스누설경보기의 분류 ♣

【 가스누설경보기】

  ▣ 단독형 (가정용) : 탐지부와 수신부를 1개의 상자에 넣어 일체로 되어 있는 형태

  ▣ 분리형 : 탐지부와 수신부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

     ⊙ 영업용 - 1회로

     ⊙ 공업용 - 1회로 이상

  <탐지부>

     ⊙ 가스누설경보기 중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설의 신호를 발신하는 것

     ⊙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이를 음향으로 경보하고 동시에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설의 신호를 발신하는 것

  <수신부> 경보기 중 탐지부에서 발하여진 가스누설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관계자에게

\                 음향으로 경보하여 주는 것

  ※ 분리형 수신부의 기능 : 수신개시로 부터 가스누설표시까지의 소요시간은 60초이내 일 것

3. 가스누설경보기의 설치대상 (가스시설이 설치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5])

설치대상
설치조건
⊙ 숙박시설 ⊙ #노유자시설 ⊙ 판매시설 ⊙ 의료시설  ⊙ 문화 및 집회시설 ⊙ 운수시설
⊙ 종교시설  
⊙ 창고시설 (물류터미널) ⊙ #수련시설 ⊙운동시설 ⊙ #장례식장
전부해당
(가스시설이 설치된
경우)

  ◈ 탐지부

    ⊙ 가스누설을 감지하여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설의 신호를 발신하는 부분

         ※ 가스누설경보기의 예비전원으로 사용하는 축전지의 종류

      ① #알칼리계 2차 축전지

      ② #리튬계 2차 축전지

      ③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  (가스누설 경보기의 주전원을 예비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음향장치

구 분
음 량
단독형
#가정용 (주음향장치)
70 [dβ] 이상
분리형
#영업용 (주음향장치)
70 [dβ] 이상
#공업용 (주음향장치)
90 [dβ] 이상
고장표시장치 ,  단독형 주전원의 건전지 성능 저하시
60 [dβ] 이상

  ◈ 가스누설경보기 단독형의 주전원은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전지의 성능이 저하되어 건전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음성안내를 포함한 음향 및 표시등에 의하여 72시간 이상 경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음향경보1 [m] 떨어진 거리에서 60 [dβ] 이상이어야 한다.

5. 표시등 ★★★♣

구 분
색상
기타 표시등
적색
가스누설경보기의 누설 등 
지구 등
황색

<참고>

<참고> 가스누설경보기 ♣
  1. 일반구조
    ▣ 전원개폐기나 경보농도조정부 등이 모두 노출되지 않게 할 것

  2. #흡입식 #탐지부 의 구조 ♣
    ① 흡입펌프는 충분한 성능을 갖는 것일 것
    ② 가스흡입량의 표시방법은 분당 흡입량을 지시할 수 있을 것 (단위시간당 ×)
    ③ #공기유량계 는 보기 쉬운 구조일 것
    ④ 공기유량계에 부착된 여과장치는 분진 등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일 것

6. 가스누설경보기의 #절연저항시험

절연저항계
구 분
절연저항
직류 500 [V]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5 [MΩ] 이상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 절연된 선로간
20 [MΩ] 이상

  ◈ 자동 #과충전 방지장치의 설치 제외

     ⊙ 가스누설경보기에는 자동과충전 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과충전 상태가 되어도 성능 또는 구조에 이상이

          생기지 아니하는 축전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자동과충전 방지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출제 예상 문제 】

1. 가스누설경보기의 가스의 누설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점등시 어떤 색으로 표시되어야 하는가 ? ①

   ① 황색                ② 적색                 ③ 녹색                      ④ 청색

[해설] 가스누설경보기의 표시등 : 가스누설경보기의 가스누설을 표시하는 표시등의 점등시 색상 - #황색

2. 가스누설경보기의 분리형수신부의 기능에서 수신개시로 부터 가스누설표시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내이어야

    하는가 ? ④

   ① 5초                        ② 10초                     ③ 30초                        ④ 60초

[해설] 가스누설경보기의 기능 : 수신개시로 부터 가스누설표시까지의 소요시간은 60초 이내 일 것

3. 가스누설경보기의 예비전원 설치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②

   ① 앞면에는 예비전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② 예비전원을 경보기의 주전원으로 사용한다.

   ③ 축전지를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역충전방지 등의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④ 예비전원을 단락사고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퓨즈 또는 과전류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 가스누설경보기의 #예비전원 : 예비전원을 경보기의 주전원으로 사용할 수 없다.

4. #가스누설경보기 의 구조에 따른 분류에서 탐지부와 수신부를 1개ㅔ의 상자에 넣어 일체로 되어 있는 형태의 것은 ? ③

   ① 일체형            ② 집합형               ③ #단독형                  ④ 복합형

[해설] 가스누설경보기의 단독형 : 탐지부와 수신부를 1개의 상자에 넣어 일체로 되어 있는 형태의 경보기

5. 가스누설경보기 중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설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은 ? ③

   ① #발신기                   ② 검지기                  ③ 탐지부                    ④ 검지부

[해설]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 : ⊙ 가스누설경보기 중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설의 신호를

                                                            발신하는 부분

                                                       ⊙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이를 음향으로 경보하고 동시에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

                                                            설 신호를 발신하는 부분

반응형
반응형

1. 비상방송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또는 소화설비에 의해서 감지된 화재를 신속하게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있는 사람에게 화재를

       알려 피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비

 

2. 비상방송설비의 구성요소

   ① #확성기 ( #스피커 )    ② #음량조정기   #증폭기    ④ 조작부    ⑤ 기동장치

 

3. 비상방송설비의 설치대상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별표5])

설 치 대 상
설치조건
⊙ 연면적 3,500[㎡] 이상 건축물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
⊙ 지하층의 층수가 3개층 이상
전부해당

  ▣ 음량조정기

    ⊙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전류를 변화시켜 음량을 크게하거나 작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

  ▣ 증폭기

    ⊙ 전압, 전류의 진폭을 늘려 감도를 좋게하고 미약한 음성전류를 커다란 음성전류로 변화시켜 소리를 크게하는 장치

4. 경보방식 ★★★♣

 가. 일제경보방식

     ▣ 화재로 인한 경보발령시 전 층에 경보를 발하는 방식

 

나. 우선 경보방식

    ▣ 층수가 5층 이상이고 연면적 3,000[㎡]를 초과하는 특정 소방대상물에 적용 (두 조건 모두 만족할 것)

 

   ① 29층 이하

발화층
경보층
2층 이상
#발화층 + #직상층
1층
발화층 + 직상층 + #지하층
지하층
발화층 + 직상층 + 기타 지하층

 

   ② 30층 이상

발화층
경보층
2층 이상
발화층 + 직상 4개층
1층
발화층 + 직상4개층 + 지하층
지하층
발화층 + 직상4개층 + 기타 지하층

 

5. #비상방송설비 의 설치기준 (NFSC 202 제4조) ★★★♣

   ①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 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1[W] 이상일 것 ♣

   ② 확성기는 각 층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 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

   ③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할 것 ♣

   ④ #조작부 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

   ⑤ 조작부는 기동장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해당 기동장치가 작동한 층 또는 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 확성기 : 3 [W] 이상 (실내 1 [W] 이상)

   ⑥ 증폭기 및 조작부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로서 점검이 편리하고 방화상 유효한 곳에 설치할 것

   ⑦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에 따라 경보를 발할 수 있을 것

      ㉠ 2층 이상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및 그 직상층에 경보를 발할 것

      ㉡ 1층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 그 직상층에 경보를 발한 것

      ㉢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 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 층수가 30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

      ㉣ 2층 이상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및 그 직상 4개층에 경보를 발할 것

      ㉤ 1층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그 직상 4개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⑧ 다른 방송설비와 공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화재시 비상경보외의 방송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

   ⑨ 다른 전기회로에 따라 유도장해가 생기지 아니하도록 할 것 ♣

   ⑩ 하나의 특정 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때에는 각각의 조작부가 있는 장소 상호간에 동시

       통화가 가능한 설비를 설치하고, 어느 조작부에서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전 구역에 방송할 수 있도록 할 것

   ⑪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로 할 것 ♣

   ⑫ 음향장치의 구조 및 성능기준

      ㉠ 정격전압의 80 [%]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선식 배선)

6. 전원의 설치기준 (NFSC 202 제6조) ★★♣

  ①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비상방송설비, 비상콘센트 배선을 동일한 전선관내에 삽입 시공한다. ×)

   ② 개폐기는 "비상방송설비용"이라고 표시한 표지로 할 것 ♣

   ③ 비상방송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층수가 30층 이상은 30분간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 설비 (수신기에 내장하는 경우를 포함) 또는 전기저장장치 (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할 것 ♣

7. 절연저항 시험 ★♣  (1경계구역이란 문구가 주어짐)

절연저항계
구 분
절연저항
직류 250 [V] ♣
대지전압 150 [V] 이하 ♣
0.1 [MΩ] 이상 ♣
대지전압 150 [V] 초과
0.2 [MΩ] 이상

8. 배선

   ①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 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할 것

   ② 전원회로의 배선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내화배선에 따르고, 그밖의 배선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별표1에 따른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에 따라 설치할 것

   ③ 전원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전기사업법에 따른 기술기준이 정하는 바에 따르고, 부속

        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0.1 [MΩ]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④ 비상방송설비의 배선은 다른 전선과 별도의 관 · 덕트 몰드 또는 풀박스 등에 설치할 것 (단, 60[V] 미만의 약전류회로

        에 사용하는 전선으로서 각각의 전압이 같을 때는 제외)

【 출제 예상 문제】

0-1. 다음중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 설치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 ★★★ ④

    ① 정격전압의 70 [%]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을 것

    ② 실내에 설치하는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 이상일 것

    ③ 확성기는 2개층 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④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이 가능할 것

0-2.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①

    ① 음량조정기의 배선을 3선식으로 설치

    ② 조작부의 스위치는 0.8[m] 이상 2.5[m] 이하의 높이에 설치

    ③ 확성기의 유효반지름은 50[m] 이하가 되도록 설치

    ④ 다른 방송설비와 공용 불가능

0-3. 비상방송설비의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실내에 설치할 경우 얼마이상이어야 하는가 ?   ★★★★ ①

    ① 1 [W]            ② 3 [W]                ③ 10 [W]               ④ 30 [W]

0-4. 비상방송설비의 음량 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방식은 ? ★★★ ③

    ① 5선식               ② 4선식               ③ 3선식                ④ 2선식

0-5. 비상방송설비에서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 ②

   ① 5초 이하             ② 10초 이하           ③ 20초 이하           ④ 30초 이하

0-6. 방송에 의한 비상경보설비중 확성기는 각 층 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 으로 부터 다른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 ? ★★★①

    ① 25                   ② 30                       ③ 35                      ④ 40

0-7. 층수가 5층 이상이고, 연면적이 3,000[㎡]를 초과하는 경우 특정소방대상물의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때 비상방송

       설비에서 경보를 발하는 곳은 ? ★★★②

   ① 발화층               ② 발화층, 그 직상층 및 지하층        발화층 및 그 직상층              ④ 발화층 및 그 지하전층

0-8.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 ★★ ④

비상방송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수신기에 내장
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① ㉠ 10분, ㉡ 30분            ② ㉠ 30분, ㉡ 10분             ③ ㉠ 10분, ㉡ 60분            ④ ㉠ 60분, ㉡ 10분

0-9. 비상방송설비의 배선에서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사이 및 배선상호간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 [V] 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몇  [MΩ]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 ①

   ① 0.1 [MΩ]                  ② 0.2 [MΩ]                        ③ 10 [MΩ]                         ④ 20 [MΩ]

0-10. 다음 비상방송설비의 설치 및 시공내용중 적법하지 않는 것은 ? ②

   ① 비상전원의 용량을 감시상태 60분 지속 및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 설비를 설치하였다.

   ② 비상방송용 배선과 비상콘센트 배선을 동일한 전선관에 삽입 시공하였다.

   ③ 비상방송설비의 전원개폐기에 "비상방송설비용"이라고 표지하였다.

   ④ 비상방송의 전원회로를 내화배선으로 시공하였다.

1. 아파트형 공장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비상방송용스피커의 음량조정기 배선방식은? ③

     ① 단선식              ② 2선식                 ③ 3선식                   ④ 복합식

[해설]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 : 음량조정기는 3선식 배선일 것

2. 비상방송설비는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하이여야 하는가 ? ②

     ① 5                      ② 10                    ③ 30                     ④ 60

[해설]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 :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로 할 것

3. 비상방송설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②

   ① 다른 방송 설비와 공용하는 경우에는 화재시 비상경보 외의 방송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② 비상방송설비의 축전지는 감시상태를 1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60분 이상 경보할 수 있어야 한다.

   ③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실외에 설치한 경우 3 [W] 이상이어야 한다.

   ④ 음량 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한다.

[해설] 비상방송설비 : 비상방송설비의 축전지는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어야 한다.

4. 비상방송설비에 사용하는 확성기는 각 층 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확성기 까지 수평거리가

    몇 [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는가 ? ②

     ① 15                      ② 25                   ③ 30                           ④ 45

[해설]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 : 확성기는 각 층마다 설치하되, 각 부분으로 부터의 수평거리는 25[m] 이하일 것

5.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를 실외에 설치하는 경우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최소 몇 [W]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②

   ① 1                   ② 3                      ③ 10                           ④ 30

[해설] 비상방송설비 설치기준 :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실외 3[W] (실내 1[W]) 이상일 것

6.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의 설치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으로 연결된 것은 ? ①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 ㉠ ) 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및 그 직상층에, ( ㉡ ) 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 그 직상층 및 지하층에, ( ㉢ ) 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 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① ㉠ 2층, ㉡ 1층, ㉢ 지하층                          ② ㉠ 1층, ㉡ 2층, ㉢ 지하층

   ③ ㉠ 2층, ㉡ 1지하층, ㉢ 1층                        ④ ㉠ 2층, ㉡ 1층 ㉢ 모든층

[해설] #우선경보방식 :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에 따라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할 것

   ㉠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및 그 직상층에 경보를 발할 것

   ㉡ 1층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 그 직상층 및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 - 발화층, 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7.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틀린 것은 ?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동물 및 식물 관련시설, 지하가 중 터널, 축사 및 지하구는 제외한다) ④

   ① 연면적 3,500 [㎡] 이상인 것                        ②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

   ③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인 것                   ④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작업장

[해설] 비상방송설비 설치대상

   ㉠ 연면적 3,500[㎡] 이상 건축물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      ㉢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

8. 비상방송설비의 배선의 설치기준 중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 경계구역마다

    직류 250 [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몇 [MΩ]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하는가 ? ①

   ① 0.1                  ② 0.2                       ③ 10                                ④ 20

[해설] 비상방송설비의 배선 :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 [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0.1 [MΩ] 이상이 되도록 할 것

9. 비상방송설비의 구성요소 중 전압전류의 진폭을 늘려 감도를 좋게 하고 미약한 음성전류를 커다란 음성전류로 변화시켜

     소리를 크게하는 장치는 ? ③

   ① 확성기                      ② 음량조절기                          ③ 증폭기                           ④ 변조기

[해설] 증폭기 : 전압 · 전류의 진폭을 늘려 감도를 좋게 하고 미약한 음성전류를 커다란 음성전류로 변화시켜 소리를 크게

                         하는 장치

10. 다음 중 비상방송설비의 상용전원 설치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 ①

   ①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한다.

   ②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로서 전원까지의 배선은 겸용으로 한다.

   ③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서 전원까지의 배선은 겸용으로 한다.

   ④ 개폐기에는 "비상용"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한다.

[해설] 비상방송설비의 상용전원

   ㉠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 #개폐기 에는 "비상방송설비용"이라는 표지를 할 것

11. 비상방송설비에서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전류를 변화시켜 음량을 크게 하거나 작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는 ? ②

   ① #확성기           ② #음량조절기               ③ #증폭기                 ④ #혼합기

[해설] 음량조절기 :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전류를 변화시켜 음량을 크게 하거나 작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반응형
반응형

1. 자동화재속보설비란 ?

   ▣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설비

        ※ 기능에 따른 분류 ♣

           ① A형             ② B형

        ※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신호의 내용 : 해당소방대상물의 위치 및 화재 발생

 

2. 자동화재속보설비의 구성요소 ♣

    ① #속보기

    ② #수신기 (P형, R형)

    ③ #발신기 (P형)

    ④ #감지기

3. #자동화재속보설비 의 설치대상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별표 5]) ★★★

설치대상
설치조건
⊙ #노유자시설 (노유자생활시설 제외)
⊙ #수련시설 (숙박시설이 있는 것)
⊙ 의료시설 (요양병원(정신병원, 의료재활시설))
바닥면적 500[㎡] 이상
(층이 있는 것)
⊙ 공장, 창고시설
⊙ 업무시설
⊙ 교정 및 군사시설(국방,군사시설)
⊙ 발전시설 (사람이 근무하지 않는 시간에는 무인경비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시설)
바닥면적 1,500[㎡] 이상
(층이 있는 것)
⊙ 목조건축물
⊙ 국보 · 보물
⊙ 의료시설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및 요 양병원 (정신병원과 의료재활시설 제외))
⊙ 노유자생활시설,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 전통시장,
⊙ 근린생활시설 중 의원, 치과의원 및 한의원으로서 입원실이 있는 것
전부 해당

   ※ (의료시설, 터널 ×) : 자동화재속보기

     ▣ 주전원의 양극을 개폐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를 설치할 것 (한 극 ×)

4. 속보기의 구조 및 기능 ♣

가. 구조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3조)  ★★★♣

   ① 부식에 의하여 기계적 기능에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부분은 철, 도금 등으로 기계적 내식가공을 하거나 방청가공
        을
하여야 하며, 전기적 기능에 영향이 있는 단자 등은 동합금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성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

        여야 한다.

   ② 외부에서 쉽게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충전부는 충분히 보호되어야 하며, 정격전압이 60[V]를 넘고 금속제 외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함에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극성이 있는 배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오접속방지를 위한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하며 커넥터로 접속하는 방식은

        구조적으로 오접속이 되지 않는 형태이어야 한다.

   ④ 내부에는 예비전원 (원통형 니켈카드뮴 또는 알칼리계 or 리튬계 2차 축전지 또는 무보수밀폐형 연축전지)을 설치

        하여야 하며, 예비전원의 인출선 또는 접속단자는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색상에 의하여 극성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

   ⑤ 예비전원회로에는 단락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 차단기 등과 같은 보호장치를 하여야 한다.

   ⑥ 전면에는 주전원 및 예비전원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와 작동시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

   ⑦ 화재표시복구 스위치 및 음향장치의 울림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⑧ 작동시 그 작동시간과 작동횟수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

   ⑨ 수동 통화용 송수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⑩ 표시등에 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를 병렬로 설치하여야 한다.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제외)

   ⑪ 속보기는 다음 각 목의 회로방식을 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

      ㉡ 수신기에 접속되는 외부배선과 다른 설비 (화재신호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것은 제외)의 외부배선을

           공용으로 하는 회로방식

   ⑫ 속보기의 기능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부속장치는 설치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나. 기능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 5조)  ★★★♣

   ①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우 2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3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한다. ♣

   ② 주전원이 정지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전환되고, 주전원이 정상상태를 복귀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에서 주전원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

   ③ 예비전원은 자동적으로 충전되어야 하며, 자동 과충전 방지장치가 있어야 한다.

   ④ 자동화재탐지설비로 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거나 속보기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자동적으로 적색화재표시등이

        점등되고 음향장치로 화재를 경보하여야 하며, 화재표시 및 경보는 수동으로 복구 및 정지시키지 않는 한 지속되어야

        한다. ♣

 

   ⑤ 연동 또는 수동으로 소방관서에 화재발생 음성정보를 속보중인 경우에도 송수화장치를 이용한 통화가 우선적으로

        가능하여야 한다. ♣ (송수화기로 소방관서에 직접 통화할 수 있어야 한다.)

   ⑥ 예비전원을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역충전방지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⑦ 예비전원은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10분 이상 동작 (화재속보 후 화재표시 및 경보를 10분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이 지속될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 ♣

   ⑧ 속보기는 연동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다이얼링

        을 포함하여 10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매회 마다 다이얼링 완료 후

        호출은 30초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

   ⑨ 속보기의 송수화장치가 정상위치가 아닌 경우에도 연동 또는 수동으로 속보가 가능하여야 한다.

   ⑩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시 착신측이 통화종료 후 송수 전화기를 온 훅 (On hook) 하는 경5초 이내에 회선접속 상태

        해제하여야 한다.

   ⑪ 음성으로 통보되는 속보 내용을 통하여 해당 소방대상물의 위치, 화재발생 및 속보기에 의한 신고임을 확인할 수 있어

        야 한다.

   ⑫ 속보기는 음성속보방식 외에 데이터 또는 코드전송방식 등을 이용한 속보기능을 부가로 설치할 수 있다.

  ◈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기능 ★★★

      ㉠ 일반적인 경우 : 2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3회 이상 속보

      ㉡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 10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

           질 것 (30초 이상 호출이 지속)

  <참고> 보안기의 설치 ★★♣
      옥외선 (가공선)과 옥내선의 접속점에 설치

     ※ 속보기의 전원변압기의 1차 전압 : 300 [V] 이하

5.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기준 (NFSC 204 제4조) ★★★♣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되는 것으로 할 것. 이 경우

        부가적으로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화재발생 상황을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

   ②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m] 이상 1.5[m] 이하 높이에 설치할 것 ♣

   ③ 속보기는 소방관서에 통신망으로 통보하도록 하며 데이터 또는 코드 전송방식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단, 데이터 및 코드 전송방식의 기준은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

        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다. ♣

   ④ 문화재에 설치하는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속보기에 감지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 <자동화재탐지설비 1개의 경계구역

        에 한한다)으로 할 수 있다.

   ⑤ 속보기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

       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 제외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5])

      ⊙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 (노유자생활시설, 요양병원,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 제외)

6. 절연저항시험

절연저항계
구 분
절연저항
직류 500 [V]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5 [MΩ] 이상
⊙ 절연된 선로간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20 [MΩ] 이상

7. 속보기의 시험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 기준 제8조)

가. 주위 온도 시험

   ▣ 속보기는 -10 (±2) [℃] 및 50 (±2) [℃]에서 각각 12시간 이상 방치한 후 1시간 이상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기능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속보기의 예비전원시험] ★

   ① 충전시험         ② 방전시험           ③ 안전장치시험

  ◈ 완전방전 ★★

    ⊙ 셀당 0.6 [V] 이하가 되도록 방전시키는 것

나. 전원전압 변동시의 기능

   ⊙ 속보기는 전원에 정격전압의 80[%] 및 120 [%]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정상적인 기능을 하여여 한다.

다. 반복 사용 시험 : 속보기는 정격전압에서 1,000회의 화재작동을 반복 실시하는 경우

                                    그 구조 또는 기능에 이상이 생기지 아니하여야 한다.

라. 외함 두께

   ① 강판 외함 : 1.2 [㎜] 이상

   ② 합성수지 외함 : 3 [㎜] 이상

【 출제 예상 문제】

0-1.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하는 것은 ? ② ★

    ① 비상경보설비          ② 자동화재속보설비          ③ 비상방송설비       ④ 무선통신보조설비

0-2.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20초

        이내에 몇 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하는가 ? ①    ★★★

   ① 3회                    ② 5회                   ③ 10회                    ④ 20회

0-3. 다음 중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조작 스위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③ ★★

   ① 바닥으로 부터 0.5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② 바닥으로 부터 0.5 [m] 이상 1.8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③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④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8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0-4. 노유자시설로서 바닥면적이 몇 [㎡] 이상인 층이 있는 경우 자동화재 속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 ③

   ① 350                 ② 400                   ③ 500                          ④ 600

0-5.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속보기는 연동 또는 수동작동에 의한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다이얼링을 포함하여 몇 회 이상 반복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져야 하는가 ? ③

   ① 3회                        ② 5회                  ③ 10회                    ④ 20회

0-6.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예비전원은 화재속보의 화재표시 및 경보를 몇 분간 유지해야 하는가 ? ★ ④

   ① 10분                    ② 20분                    ③ 30분                 ④ 60분

0-7. 다음 중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예비전원시험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 ★★③

   ① 저항시험과 내구성시험                             ② 전압안정시험과 충격시험

   ③ 충·방전시험과 안전장치시험                     ④ 최대사용전압시험과 전류량측정시험

0-8.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예비전원용 원통형 니켈 카드뮴 축전지의 충·방전시험은 완전방전상태를 기준하여

       시작한다. 이 경우 완전방전이라 함은 셀당 몇 [V] 이하가 되도록 방전시키는 것을 말하는가 ? ★ ③

     ① 0.1                       ② 0.3                        ③ 0.6                             ④ 1.0

0-9. 다음중 자동화재속보설비의 보안장치에 대한 결선도로 옳은 것은 ? (단, F : 차단기,  L : 피뢰기) ★

        그림 ① (옥외선(가공선)과 옥내선의 접속점에 설치)

1. 다음을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 ①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 부터 발신하는 신호나 중계기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관계인에게 화재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전화를 통해 해당 
소방대상물의 위치 및 화재발생을 음성으로 통보하여 주는 것

    ①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                           ②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③ 비상방송설비                                                  ④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계기

[해설] 속보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 부터 발신하는 신호나 중계기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관계인에게

                         화재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전화를 통해 해당 소방대상물의 위치 및 화재발생을

                         음성으로 통보하여 주는 것

2. 노유자시설로서 바닥 면적이 몇 [㎡] 이상인 층이 있는 경우에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는가 ? ③

    ① 300                        ② 400                         ③ 500                                ④ 600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대상 :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는 것, 노유자 시설, :  바닥면적 500 [㎡] 이상

3.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외함에 강판을 사용할 경우 외함의 최소 두께는 ? ①

        ① 1.2 [㎜]                  ② 3 [㎜]                  ③ 6.4 [㎜]                       ④ 7 [㎜]

[해설] 속보기의 외함두께 : 강판 1.2 [㎜] 이상, 합성수지 : 3 [㎜] 이상

4.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④

   ① 화재시 자동으로 소방관서에 연락되는 설비여야 한다.

   ②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되어야 한다.

   ③ 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④ 관계인이 24시간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기준 :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5. 다음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 예비전원용 연축전지의 주위온도 충 · 방전시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 ②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는 방전종지전압 상태에서 0.1[C]로 48시간 충전한 다음 1시간 방치 후 0.05 [C]로 방전시킬 때 정격용량
의 95 [%] 용량을 지속하는 시간은 ( ) 이
상이어야 한다.

   ① 20분                    ② 30분                     ③ 50분                          ④ 60분

[해설] 속보기의 인증기준 :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는 방전종지전압 상태에서 0.1[C]로 48시간 충전한 다음 1시간 방치 후

           0.05 [C]로 방전시킬 때 정격용량의 95 [%] 용량 지속하는 시간이 30분 이상이어야 하며, 외관이 부풀어 오르거나

           누액 등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6.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로 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2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

    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몇 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하는가 ? ③

   ① 1회                   ② 2회                   ③ 3회                        ④ 4회

[해설] 속보기의 기능

   ㉠ 수동통화용 송수화기 설치

   ㉡ 20초 이내에 3회 이상 소방관서에 자동 속보

   ㉢ 예비전원은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10분 이상 동작이 지속될 수 있는 용량

7.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연동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에는 최초 다이얼링을 포함하여 몇 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져야 하는가 ? (단, 이 경우 매회

     다이얼링 완료 후 호출은  30초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③

   ① 3회                     ② 5회                         ③ 10회                               ④ 20회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 기능 : 속보기는 연동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

           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다이얼링을 포함하여 10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질 것

           ( 매회 다이얼링 완료 후 호출은 30초 이상 지속할 것)

8.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표시사항이 아닌 것은 ? ③

   ① 품명 및 제품 승인번호                  ② 제조자의 상호 · 주소 · 전화번호

   ③ 주전원의 정격전류 용량                ④ 예비전원의 종류 · 정격전류용량 · 정격전압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표시사항 : ㉠ 품명 및 성능인증번호 ㉡ 제조년도 및 제조번호 ㉢ 제조자의 상호 ·

                                                          주소 · 전화번호 ㉣ 주전원의 정격전압 ㉤ 예비전원의 종류 · 정격전류용량 · 정격전압

9.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 ②

의료시설 중 요양병원으로서 정신병원과 의료 재활시설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     ) [㎡] 이상인 층이 있는 것

   ① 300                  ② 500                    ③ 1,000                        ④ 1,500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  ⊙ 의료시설 중 요양병원 : 바닥면적의 500 [㎡] 이상

10. 자동화재속보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로 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몇 초 이내에 소방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통보하여야 하는가 ? ③

   ① 10                          ② 15                          ③ 20                                ④ 30

[해설] 속보기의 구조 및 기능 : 20초 이내에 3회 이상 소방관서에 자동 속보할 것

11.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 ), ( ㉡ )에 알맞은 것은 ? ①

자동화재속보설비는 ( ㉠ )와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 ㉡ ) 에 전달되는 것으로 할 것

   ① ㉠ 자동화재탐지설비, ㉡ 소방관서                       ② ㉠ 자동소화설비, ㉡ 종합방재센타

   ③ ㉠ 비상방송설비, ㉡ #소방관서                            ④ ㉠ 비상경보설비 , ㉡ 종합방재센타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기준

   ㉠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하여 소방관서에 통보할 것

   ㉡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1.5[m] 의 높이에 설치하고 보기 쉬운 곳에 스위치 임을 표시할 것

12.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경우는 ? ②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는 경우

   ② 수신시가 설치된 장소에 상시 통화 가능한 전화가 설치되어 있고, 감시인이 상주하는 경우

   ③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 무선통신보조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감시인이 상주하는 경우

   ④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 비상방송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감시인이 상주하는 경우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제외 :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 상시 통화가능한 전화가 설치되어 있고, 감시인이 상주하는

                                                             경우

13.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구조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①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할 것

   ② 정격전압이 60 [V]를 넘고 금속제 외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함에 접지단자를 설치할 것

   ③ 작동시 그 작동시간과 작동횟수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할 것

   ④ 수동통화용 #송수화기 를 설치할 것

[해설] 속보기에 사용하지 않는 회로방식

   ㉠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

   ㉡ 수신기에 접속되는 외부배선과 다른 설비 (화재신호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것 제외)의 외부배선을

        공용하는 회로방식

14.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전압변동시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여야 하는 사용전압의 범위는 ? ①

   ① 정격전압의 80 [%] 및 120 [%]                   ② 정격전압의 85 [%] 및 115 [%]

   ③ 정격전압의 90 [%] 및 110 [%]                    ④ #정격전압 의 95 [%] 및 105 [%]

[해설] 전원전압 변동시 기능 : 속보기는 전원에 정격전압의 80 [%] 및 120 [%]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것

15.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전원변압기 용량은 ? ④

   ① 최소사용전압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일 것

   ② 최대사용전압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일 것

   ③ 최소사용전류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일 것

   ④ #최대사용전류 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일 것

[해설] 속보기의 #성능인증 (전원변압기) : 최대사용전류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일 것

16.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기능 기준 중 옳은 것은 ? ②

   ①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1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3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예비전원을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역충전방지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 예비전원은 감시상태를 30분간 지속한 후 10분 이상 동작이 지속될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

   ④ 속보기는 연동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다이얼링

        을 포함하여 20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매회 다이얼링 완료 후 호출은

         30초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기능

   ㉠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2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3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한다.

   ㉡ 예비전원은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10분 이상 동작이 지속될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

   ㉢ 속보기는 연동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다이얼링

        을 포함하여 10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매회 #다이얼링 완료 후 #호출

        은 30초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17.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구조에서 표시등에 전구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 ②

   ① 2개를 직렬로 설치                            ② 2개를 병렬로 설치

   ③ 3개를 직렬로 설치                            ④ 3개를 병렬로 설치

[해설]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 의 구조

      ⊙ 표시등에 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를 병렬로 설치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