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단파 정류 회로

  ▣ 단상 반파 정류회로는 다이오드 한개로 구성된 정류회로이다.

 

  ▣ 정류의 직류분은 평균값으로 나타내면 최대전압을 π로 나누어 산정한다.

 

단상반파 맥동률
단상전파
3상 반파
3상 전파
121%
48%
17%
4%

 

2. 단상 전파 정류회로

  ▣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다이오드 2개로 구성된 정류회로이다.

 

  ▣ 직류분 전압은 다음과 같다.

 

  ▣ 다이오드 4개에 의한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첨두역전압만 √2 E로 다르다.

 

다. 3상 반파 정류회로 : Ed = 1.17 E

  라. 3상 전파 정류회로 : Ed = 1.35 E

3. 다이오드 정류 회로

  ▣ 먼저 다이오드의 성질에 대하여 알아 봅시다.

 

다이오드는 Anode와 Cathode 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이다.

anode극에 + 전류 0.7[V]이상이 걸리면 도통상태가 되고 그 이하 즉 (-) [V]가 걸리면 불통상태가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교류전류를 직류 전류로 바꾸는 정류하는 소자로 이용한다.

다이오드는 0.7[V]에 도통되므로 0.7[V]의 전력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가. 단상반파 정류회로

  ▣ 단상반파 정류회로는 한개의 #다이오드 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회로이다.

 

다이오드 한 개로 정류를 하게 되면 다이오드의 anode극에 +전압(0.7)이상이 걸리면

다이오드에는 전류가 흐르고 그 이하의 전압이 걸리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정현파 전류 한 주기(2π) 중에서 절반 (π)만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파 정류회로에는 맥동율(출렁거림 121[%]) 크기 때문에 이를 완화해 주기 위하여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여 평활회로를 구성한다.

  ① 입력 전압 Vi = 100이라면 출력 직류 평균전압은 √2/π E , 즉 0.45 E이다.

       여기서 E는 실효값을 말한다.

  ② PIV ( #첨두역전압 ) : 역방향 전압을 말하며 cathode 극에 +, anode극에 - 전압이

      걸렸을 때 막아 주는 전압으로 원래 전압의 최대값(Max)이 된다. 따라서 첨두역전압은

      √2E가 된다. 즉, E는 실효값이고 첨두역전압(PIV)은 최대값이다.

나. 단상 전파 정류회로

  1) 다이오드가 2개인 경우

 

다이오드가 2개인 경우에는 전원선이 양쪽에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모든 극성에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모든 파형을 정류하게 된다.

  ① 입력전압 Vi = 100[V]를 걸어주면 출력은 50[V]로 떨어진다. 변압기의 2차측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권수비를 1 : 2로 하여 전압을 2배로 높여 준다.

  ② PIV(첨두역전압) : 권수비를 1 : 2로 하여 전압을 2배로 높여 주므로 첨두 역전압은 단상2선식의 2배가 되므로

      첨두역전압(PIV)은 2× √2 E가 된다.

2) 다이오드가 4개인 경우 (브릿지 회로)

 

  ▣ 다이오드가 4개인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브릿지를 이용하여 다이오드가 2개인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전압이 2배로

       높아지는 것을 해소하고 전파정류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 첨두역전압(PIV)는 단상 반파정류회로와 마찬가지로 √2 E가 된다.

【정류회로 종합 정리】

 

   ※ 전압 E는 전압의 #실효값 을 의미한다.

   ※ 맥동률은 직류분 대비 교류분을 말하며 파형의 출렁거리림의 정도를 말한다.

       직류분은 Ed 즉 평균값을 말하며, 교류분은 전체파형에서 직류분을 뺀 나머지 부분이다.

 

   ※ 3상 다이오드 정류회로는 다음 그림과 같다.

 

4. 사이리스터on (SCR :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정류회로

 

사이리스터는 본래 PNPN접합의 4층구조 반도체 소자를 총칭하지만, 그 중에서도 SCR이라 불리는 역저지 3단자

     사이리스터(Reverse-Blocking Triode-Thyristor)를 말한다. SCR은 양극이 음극에 대하여 양전위일 때에만 Switch를

     ON하고, 반대로 양극이 음극에 대하여 음전위에 있을 때에는 역저지 상태를 나타낸다.

특수한 #반도체 (半導體) 정류 소자로서, 소형이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대전력(大電力)을 미소한 압력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단단하므로 릴레이 장치, 조명 ‧ 조광 (調光) 장치, 인버터, 펄스 회로 등 대전력의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트랜지스터로는 할 수 없는 대전류, 고전압의 스위칭 소자(素子)로서 급속히 보급되었다.

SCR의 주 전극은 #캐소드 (Cathode : K)와 #애노드 (Anode : A)이다.

 

 

【 출제 예상 문제 】

1. 60 [Hz]의 3상 전압을 전파정류하면 맥동 주파수는 ? ③

   ① 120 [HZ]              ② 240 [HZ]              ③ 360 [HZ]                  ④ 720 [HZ]

[해설] 맥동률 · 맥동주파수(60[Hz) 기준)

구 분
맥동률
맥동주파수
단상 반파
1.21
60 [HZ]
단상 전파
0.482
120 [HZ]
3상 반파
0.183
180 [HZ]
3상 전파
0.042
360 [HZ]

2. 전압 변동률이 10[%]인 정류회로에서 무부하 전압이 24[V]인 경우 부하시 전압은 몇 [V] 인가 ? ③

  ① 19.2 [V]              ② 20.3 [V]               ③ 21.6 [V]                   ④ 22.6[V]

[해설] #전압변동률

3. 단상 반파 정류회로에서 입력에 교류 실효값 100[V]를 정류하면 직류 평균전압은 약 몇 [V]인가 ?

     (단, 정류기의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①

    ① 45               ②50                   ③ 57                      ④ 68

[해설] 직류 평균 전압 : Eav = 0.45E = 0.45 × 100 = 45 [V]

4. 맥동률이 가장 적은 정류방식은 ? ④

  ① 단상 반파식          ② 단상 전파식                ③3상 반파식                 ④ 3상 전파식

[해설] #맥동률 · #맥동주파수 (60[Hz])

구 분
맥동률
맥동주파수
단상 반파
1.21
60 [HZ]
단상 전파
0.482
120 [HZ]
3상 반파
0.183
180 [HZ]
3상 전파
0.042
360 [HZ]

5. 그림과 같은 반파정류회로에 스위치 A를 사용하여 부하저항 RL 을 떼었냈을 경우 콘덴서 C의 #충전전압 은 몇 V가

    되겠는가 ? ④

 

     ① 12 π                 ② 24 π                         ③ 12√2                     ④ 24√2

[해설] #반파정류파 : #최대값 은 Vm = √2 V

▣ 전압의 최대치가 #콘덴서 에 충전된 상태이므로 콘덴서의 충전전압 Vm = √2 V  = 24√2 [V]

6. 2차 전압이 220 [V]인 옥내 변전소에서 스프링클러 설비의 수신반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스프링클러 #수신반

    수전전압이 216[V]인 경우 변전소에서 수신반까지의 전압 강하율은 몇 [%]인가 ? ④

   ① 1.74                       ② 1.79                     ③ 1.82                          ④ 1.85

[해설] #전압강하율

7. 그림과 같은 #정류회로 에서 부하 R에 흐르는 직류전류의 크기는 약 몇 [A]인가 ? (단, V = 200[V], R=20√2 [Ω]이다.) ①

 

    ① 3.2                    ② 3.8                        ③ 4.4                       ④ 5.2

[해설] #직류 #전류

반응형
반응형
 

1. 다음 중에서 온도 보상용으로 쓰이는 것은 ? ①

   ① #서미스터      ② #바리스터        ③ #제너다이오드         ④ #터널다이오드

[해설] 서미스터 (Thermistor) : 부온도 특성을 가진 저항기의 일종으로서 온도보상용으로 쓰인다.

2. 주로 정전압 회로용으로 사용되는 소자는 ? ③

   ① 터널다이오드      ② #포토다이오드         ③ 제너다이오드            ④ 매트릭스다이오드

[해설] 제너다이오드 : 정전압용으로 사용되는 소자로서, "정전압 다이오드"라고도 한다.

3.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서 과대한 부하전류에 의하여 다이오드가 파손될 우려가 있을 경우의 적당한 대책은 ? ②

   ① 다이오드를 직렬로 추가한다.

   ② 다이오드를 병렬로 추가한다.

   ③ 다이오드의 양단에 적당한 값의 저항을 추가한다.

   ④ 다이오드의 양단에 적당한 값의 콘덴서를 추가한다.

[해설] 다이오드 접속 : 직렬접속 - 과전압으로 부터 보호, 병렬접속 - 과전류로 부터 보호

4. 다음 중 쌍방향성 사이리스터인 것은 ? ④

   ① 브리지 정류기         ② #SCR                ③ #IGBT                   ④ #TRIAC

[해설] TRIAC : 양방향성 스위칭 소자로서 SCR 2개를 역병렬로 접속한 것과 같다.

                         (AC 전력의 제어용, 쌍방향성 사이리스터)

5. SCR의 동작상태 중 #래칭전류 (latching curr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②

  ① 사이리스터의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압을 상승하면 급히 증가하게 되는 순전류

  ② 트리거 신호가 제거된 직후에 사이리스터를 ON 상태로 유지하는데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전류

  ③ 사이리스터가 ON 상태를 유지하다가 OFF 상태로 전환하는데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전류

  ④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이리스터가 도통 상태를 차단하기 위한 최소의 주전류

[해설] 래칭전류 (Latching Current) 트리거 신호가 제거된 직후 사이리스터를 ON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전류

6. 각종 소방설비의 표시등에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에 대한설명으로 옳은것은 ? ①

   ① #응답속도 가 매우 빠르다.

   ② PNP접합에 역방향 전류를 흘려서 발광시킨다.

   ③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진동에 약하다.

   ④ 발광다이오드의 재료로는 Cu, Ag 등이 사용된다.

[해설] #발광다이오드 (LED)의 특징

   ①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다.

   ② PNP 접합의 순방향 전류를 흘려서 발광시킨다.

   ③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진동에 강하다.

   ④ 발광다이오드 재료로는 #비소화갈륨 (GaAs), 인화갈륨(GaP) 등이 사용된다.

7. 빛이 닿으면 전류가 흐르는 #다이오드 로 광량의 변화를 전류값으로 대치하므로 광센서에 주로 사용하는

     다이오드는 ? ④

   ① 제너다이오드        ② 터널다이오드          ③ 발광다이오드            ④ 포토다이오드

[해설] 포토다이오드 : 빛이 닿으면 전류가 흐르는 다이오드로 광량의 변화를 전류값으로 대치하므로 광센서에 주로

                                   사용하는 다이오드

8. #이미터 전류를 1[mA] 변화시켰더니 컬렉터 전류는 0.98[mA]이었다. 이 트랜지스터#증폭률 β는 ? ④

   ① 0.49              ② 0.98                 ③ 1.02                        ④ 49.0

[해설] 이미터 접지 전류 증폭 정수

9. 계측기 접점의 불꽃 제거나 서지전압에 대한 과입력보호용 반도체소자는 ? ①

   ① 바리스터            ② #사이리스터                   ③ 서미스터                    ④ #트랜지스터

[해설] 바리스터 (Varistor) : 주로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보호용(과입력보호용)으로 사용

10. 가변용량 소자에 해당되는 것은 ? ①

   ① #바랙터다이오드             ② 포토다이오드             ③ 터널다이오드                ④ 제너다이오드

[해설] 바랙터 다이오드 (가변용량 다이오드) : 가변 용량 특성을 FM 변조 AFC동조에 사용

11. 실리콘 제어 정류기 (SCR)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 ④

   ① pnpn의 4층 구조이다.

   ② 스위칭 소자이다.

   ③ 직류 및 교류의 전력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④ 쌍방향성 사이리스터이다.

[해설]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 (SCR)의 성질

   ① pnpn의 4층 구조로 되어 있다.

   ② off 상태의 저항은 매우 높다.

   ③ 특성곡선에 부저항 부분이 있다.

   ④ 게이트 전류를 바꿈으로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⑤ 스위칭 소자이다.

   ⑥ 직류 및 교류의 전력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⑦ 단방향성 사이리스터이다.

12. 한 조각의 실리콘 속에 많은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등을 넣어 상호 배선을 하여 하나의 회로에서의 기능을

      갖게 한 것은 ? ④

   ① 포토 트랜지스터       ② 서미스터           ③ 바리스터            ④ IC

[해설] IC (Integrated Circuit) : 한 조각의 실리콘 속에 여러 개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등을 넣고 상호 배선을 하여

                                                하나의 회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 것으로 집적회로라고도 한다.

13. 소형이면서 대전력용 정류기로 사용하는데 적당한 것은 ? ④

   ① 게르마늄 정류기         ② CdS                 ③ 셀렌정류기                ④ SCR

[해설] SCR (실리콘 정류기) : SCR (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은 단방향 대전류스위칭 소자로서 제어를 할 수 있는

                                               정류소자  <특징> ① 소형, ② 대전류용 정류기

14. 확산형 트랜지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불활성 가스 속에서 확산시킨다.

   ② 단일 확산형과 2중 확산형이 있다.

   ③ 이미터, 베이스의 순으로 확산시킨다.

   ④ 기체 반도체가 용해하는 것 보다 낮은 온도에서 불순물을 확산시킨다.

[해설] 확산형 트랜지스터

   ① 불활성 가스 속에서 확산시킨다.

   ② 단일 확산형과 2중 확산형이 있다.

   ③ 베이스 내에서 확산시킨다.

   ④ 기체 반도체가 용해하는 것 보다 낮은 온도에서 불순물을 확산시킨다.

15.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컬렉터 사이의 전류 증폭률 β = 60 이다. 이미터와 컬렉터 사이의 전류 증폭률 α 는 ? ③

   ① 0.36            ② 0.95                 ③ 0.98                  ④ 1.0

[해설] 베이스 접지 전류 증폭정수

16. 초고주파용 트랜지스터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컬렉터 전압이 커야 한다.                       ②컬렉터 전류가 커야 한다.

   ③ 이미터 접합 면적이 커야 한다.               ④ 베이스 두께가 매우 얇아야 한다.

[해설] 초고주파용 트랜지스터의 구비조건

   ① 컬렉터 전압이 커야 한다.

   ② 컬렉터 전류가 커야 한다.

   ③ 이미터 접합 면적이 작아야 한다.

   ④ 베이스 두께가 매우 얇아야 한다.

17. 다음 중 완전 통전상태에 있는 SCR을 차단상태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③

   ① 게이트 전류를 차단한다.             ② 게이트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③ 양극 전압을 (-)로 한다.                ④ 양극전압을 더 높게 한다.

[해설] 완전 통전상태에서 SCR의 차단방법

   ① 양극전압을 (-)로 한다.

   ② 음극전압을 (+)로 한다.

   ③ 양극전압 또는 음극 전압을 차단한다.

18.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BJT)와 비교할 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의 일반적인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 ④

   ① 소자특성은 단극성 소자이다.              ② 입력저항은 매우 크다.

   ③ 이득대역폭은 작다.                             ④ 집접도는 낮다.

[해설] FET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특성

   ① 집적도가 높다.                    ② 입력저항이 매우 크다.

   ③ 이득대역폭이 작다.             ④ 소비전력이 작다.

   ⑤ 동작속도가 느리다.             ⑥ 소자특성이 단극성 소자이다.

19. 실리콘 정류기 (SCR)의 애노드 전류가 5[A]일 때 게이트 전류를 2배로 증가시키면 애노드 전류 [A]는 ? ②

   ① 2.5                   ② 5                         ③ 10                        ④ 20

[해설] SCR : 처음에는 게이트전류에 의해 양극전류가 변화되다가 일단 완전도통상태가 되면 게이트 전류에 관계없이

                     양극전류는 더 이상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게이트 전류를 2배로 늘려도 양극전류는 그대로 5[A]가 된다.

반응형
반응형

1. 다이오드

  ▣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하나의 반도체에 결합한 구조로 2개의 전극을 가진 소자이다.

 

p-n 접합 다이오드는 보통 규소로 만들어지지만, 저마늄이나 갈륨-비소가 사용되기도 한다. 첨가해 주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음전하 운반체(전자)를 갖고 n-형 반도체 특징을 보이는 영역이 생기기도 하며, 양전하 운반체(정공)를 갖고 p-형 반도체 특징을 보이는 영역이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n-형과 p-형 반도체가 접합되면 처음에는 n-형에서 p-형 쪽으로 전자가 순간적으로 흐르게 되고 그 결과 전하 캐리어가 존재하지 않는 제3영역이 생기게 되는데 이 영역을 결핍 영역(depletion region)이라고 한다.

p-n 접합이라 불리는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는 다이오드의 작용이 일어난다. 매우 높은 전위차가 n-형과 p-형 반도체 사이에 존재하게 되면, n-형 반도체에서 p-형 반도체 쪽으로 핍 영역을 지나 전자가 흐르게 한다. 이러한 접합은 전위차가 역방향으로 가해져서 전자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방지할 수 있기에 전기 체크 밸브(electrical check valve)라고도 할 수 있다.

 

  ▣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만든다. 다이오드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역할을 한다.     

      A(Anode)는 양극, K(Kathode) 음극이다.

 

  ① 반도체 기본소자 : 실리콘 (Si)

 

 ▣ P형 반도체는 4가 반도체에 3가 불순물을 주입하여 만들고 N형 반도체에는 4가 반도체에 5가 불순물을 주입하여

       만든다.

 

     순바이어스 : 전위장벽 낮아진다. 공간 전하 영역이 좁다.

     역바이어스 : 전위 장벽이 높아진다. 공간 전하영역이 넓어진다.

 

  ② 다이오드 접속

 

2. 다이오드 종류

 

가. 정류용 #다이오드

  ① 순방향 전압시 저항 "0", 역방향 전압시 저항 "∞"

  ② 정류 특성

      ㉠ #컨버터 (converter) : 교류를 직류로 변환

      ㉡ #인버터 (Inverter) : 직류를 교류로 변환

      ㉢ 부(-) 저항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

 나. 발광 다이오드 (LED)

   ①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다.

   ② PN접합에 순방향 전류를 흘려서 발광시킨다.

   ③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진동에 강하다.

   ④ 발열이 작다.

   ⑤ 재질 : 비소화갈륨 (GaAs), 인화갈륨(GaP)

3. 트랜지스터 (TR)

  ▣ 트랜지스터는 전류를 증폭할 수 있는 부품이고 작은 베이스 전류로 큰 콜렉터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 트랜지스터는 NPN, PNP 두종류가 있다.

   ⊙ 베이스에 전압이 가해지면 이미터, 컬럭터 사이에 도통된다. ⇒ 스위치 역할, 증폭 역할

 

가. 트랜지스터의 특성 및 구성

  ① 베이스 전류에 따라 컬렉터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기도 하는 스위칭 작용을 한다.

  ② 약간의 베이스 전류로 큰 컬렉터 전류를 얻을 수 있는 증폭 특성을 가진다.

  ③ 고온에 약하다.

  ④ #베이스 (B), #이미터 (E), #컬렉터 (C)의 3개의 다리로 구성된다.

나. 초고주파용 트랜지스터의 구비조건

   ① 컬렉터 전압이 커야 한다.

   ② 컬렉터 전류가 커야 한다.

   ③ 이미터 접합 면적이 작아야 한다.

   ④ 베이스 두께가 매우 얇아야 한다.

다. FET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특성

   ① 집적도가 높다.

   ② 입력저항이 매우 크다.

   ③ 이득대역폭이 작다.

   ④ 소비전력이 작다.

   ⑤ 동작속도가 느리다.

   ⑥ 소자특성이 단극성 소자이다.

라. 확산형 #트랜지스터

   ① 불활성 가스 속에서 확산시킨다.

   ② 단일 확산형과 2중 확산형이 있다.

   ③ 베이스 내에서 확산시킨다.

   ④ 기체반도체가 용해하는 것보다 낮은 온도에서 불순물을 확산시킨다.

마. #MOSFET (금속 산화막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특성

   ① 산화 절연막을 가지고 있어서 큰 입력저항을 가지고 게이트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② 2차 항복이 없다.

   ③ 안정적이다.

   ④ 열 폭주현상을 보이지 않는다.

   ⑤ 소전력으로 작동한다.

바. 각 단자의 전류

  ① 전류 증폭률

        여기서, β : 베이스 전류와 컬렉터 전류 사이의 비율 (이미터 접지 전류증폭정수)

                     α : 이미터로 주입되어 캐리어가 컬렉터에 도달하는 비율 (베이스 접지 전류증폭정수)

  ② α와 β의 관계

5. 기타 반도체

 

가. SCR의 특징

   ① PnPn의 4층 구조로 되어 있다.

   ② OFF 상태의 저항은 매우 높다.

   ③ 특성곡선에 부저항 부분이 있다.

   ④ 게이트 전류를 바꿈으로써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⑤ 스위칭 소자이다.

   ⑥ 직류 및 교류의 전력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⑦ 단방향성 #사이리스터 이다.

   ⑧ 게이트 전류에 의하여 방전개시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⑨ 도통 상태에 있는 SCR을 차단하는 방법

       ㉠ 전압의 극성을 바꾸어 준다.

       ㉡ 양극전압을 부(-)로 바꾼다.

       ㉢ 음극전압을 양(+)로 바꾼다.

   ※ #래칭전류 (Latching Current)

      ▣ #트리거 신호가 제거된 직후에 사이리스터를 ON 상태로 유지하는데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주전류

   ※ 유지전류 : SCR이 ON된 후에 ON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 전류

나. #서미스터 (Thermistor)

   ① 부(-) #저항온도계수 (NTC)의 특성 : 온도 증가시 저항 감소

   ② 열을 감지하는 #감열저항체 소자

   ③ 온도 보상용, 온도계측용(온도계), 온도보정용

다. #바리스터(Varister) : 가변 용량 소자

   ① 전압에 따라 저항값이 비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저항 소자

   ② 회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

   ③ 서지전압으로 부터 기기 보호

   ④ 계전기 접점의 불꽃 제거

라. #집적회로 (IC)

  ▣ 하나의 칩(조각) 속에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 저항 등의 소자를 내장한 것

    ① 대량생산

    ② 신뢰도 향상

    ③ 전자기기의 소형, 경량화

    ④ 빠른 동작속도

반응형
반응형
 

 

1. 반도체 성질

   ①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성질

   ②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작아짐

   ③ 부(-) #저항온도계수 (NTC)

   ④ #반도체#불순물 원자를 혼입하면 #저항률 이 작아짐

2. 종류

명 칭
진성반도체
불순물 반도체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가전자 수
4개
5개
3개
물질의 예
#실리콘(Si)
#게르마늄(Ge)
비소 (As)
인 (P)
안티몬 (Sb)
갈륨 (Ga)
인듐 (In)

가. 진성반도체

  ① 실리콘과 게르마늄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아주 높은 순도로 정제한 것

  ② 불순물이 전혀 섞이지 않은 반도체

나. n형 반도체

  ① 실리콘 보다 가전자가 1개 많아서 전체적으로 정공보다 음 (negative)의 전기를 띠는 반도체 즉, (-)인 전자가

       전기운반책

  ② 가전자가 1개 남는 불순물

  ③ 불순물 : #도너 (donor)

다. P형 반도체

  ① 실리콘 보다 가전자가 1개 적어서 자유전자 보다 양(Positive)의 전기를 가진 정공이 많은 반도체, 즉, (-)인 정공이

       전기운반책

  ② 가전자가 1개 모자라는 불순물

  ③ 불순물 : #억셉터 (acceptor)

【 출제 예상 문제】

1. 도너(donor)와 억셉터(acceptor)의 설명중 틀린 것은 ? ④

   ① 반도체 결정에서 Ge이나 Si에 넣는 5가의 불순물을 도너라고 한다.

   ② 반도체 결정에서 Ge이나 Si에 넣은 3가의 불순물에는 In, Ga, B 등이 있다.

   ③ 진성반도체는 불순물이 전혀 섞이지 않은 반도체이다.

   ④ n형 반도체의 불순물이 억섭터이고, P형 반도체의 불순물이 도너이다.

[해설]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

    ⊙ n형 반도체의 불순물이 도너이고, p형 반도체의 불순물이 엑셉터이다.

2. 반도체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①

   ① #진성반도체 의 경우 온도가 올라 갈수록 양(+)의 온도계수를 나타낸다.

   ② 열전현상, 광전현상, 홀효과 등이 심하다.

   ③ 반도체와 금속의 접촉면 또는 P형, n형 반도체의 접합면에서 정류작용을 한다.

   ④ 전류와 전압의 관계는 비직선형이다.

[해설] 반도체 : 반도체는 저항온도계수가 (-)로서 저항값은 온도에 반비례한다.

3. 다음중 원자 하나에 최외각 전자 4개인 4가의 전자 (four valence electrons)로서 가전자대의 4개의 전자가 안정화를

    위해 원자끼리 결합한 구조로 일반적인 반도체 재료로 쓰고 있는 것은 ? ①

   ① Si                 ② P                      ③ As                    ④ Ga

[해설] 실리콘(Si) : 가전자대의 4개의 전자가 안정화를 위해 원자끼리 결합한 구조

4. P형 반도체에 첨가되는 불순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②

   ① 5개의 가전자를 갖는다.

   ② 엑셉터 불순물이라고 한다.

   ③ 과잉전자를 만든다.

   ④ 게르마늄에는 첨가할 수 있으나 실리콘에는 첨가되지 않는다.

[해설] P형 반도체

     ① 억셉터 불순물                   ② 3개의 가전자를 갖는다.

     ③ 부족전자를 만든다.           ④ 게르마늄, 실리콘 모두 첨가 가능

5. 4가 원자의 순수한 결정에 3가인 불순물을 넣어서 전자가 뛰어나간 빈자리인 정공 (hole)을 만드는 반도체는 ? ②

   ① #N형 #반도체           ② #P형 반도체                ③ PN 접합 다이오드            ④ SCR

[해설] P형 반도체 : 3가 원소 ( #가전자 가 1개 모자라는 반도체)

반응형
반응형

1. 논리회로

         #디지털    회로         0                   1

                                         Off               On

                                         Low            High

가. AND 회로

  ▣ 입력 신호 A, B가 있을 때 출력이 나오는 회로이며 스위치의 직렬회로이다.

    ① 논리기호 및 논리식

 

   ② #타임차트 

    AND는 직렬 회로이며 교집합으로 이해하면 된다. 입력 신호가 모두 "1" "On"이 되어야 출력신호가 나타난다.

나. OR 회로

  ▣ 입력 A, B 중에 하나마 "1"이 되어도 출력이 생기는 논리회로이다.

       스위치는 #병렬회로 이며 집합으로는 합집합이다.

   ① 논리기호 및 #진리표

 

    ② 회로도 및 타임차트

 

 

다. NOT 회로

  ▣ 입력과 출력의 상태가 서로 반대로 나타나는 반전, 즉 부정의 판단기능을 갖는 회로이며 #인버터 (Inverter)라고 한다.

    ① 논리기호 및 논리식

 
 

라. NAND 회로

  ▣ #AND 회로와 NOT회로의 합으로 AND회로를 부정하는 판단기능을 갖는 만능회로다.

 

마. NOR회로

  ▣ OR회로와 NOT회로의 합으로서 OR회로를 부정하는 판단기능을 갖는 회로이다.

 

바. EX - OR 회로 (배타적 OR, Exclusive OR)

  ▣ 입력측의 값이 같을 때에는 출력이 나타나지 않고 입력값이 서로 다를 경우에 출력이나 나타나는

       논리적 합(Exclusive OR) 회로라고 한다.

    ① 논리기호 및 논리식

 

  ② 시퀀스 회로도

 
 

사. 논리식 요약

 

 

 

아. 논리회로 변환

  ① NABD 게이트의 3가지 연산 변환

 

  ② NOR #게이트 의 3가지 연산 #변환

 

    ▣ 인버터(NOT)회로의 상태 반전과 #쌍대 회로의 원리를 적용하면 각 소자의 변환이 가능하여 회로가 간단해진다.

 
 

2. 부울대수

  ▣ 임의의 회로에서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최적의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를 수식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부울대수 (Boolean algebra)라 한다.

 

가. 부울대수 의 정리

 

    (정리1) X + 0 = X X · 0 = 0

    (정리2) X + 1 = 1 X · 1 = X

    (정리3) X + X = X X · X = X

    (정리4) X + X = 1 X · X = 0

    (정리5) X + Y = Y+ X X · Y = Y · X ( #교환법칙 )

    (정리6) X + (Y + Z) =(X + Y) + Z, X(YZ) = (XY)Z : #결합법칙

    (정리7) X(Y+Z) =XY+XZ, X+YZ = (X+Y) (X+Z) : 배분법칙

                 (X+Y) (Z+W)=XZ+XW+YZ+YW : #배분법칙

    (정리8) X+XY = X, X+XY = X + Y : #흡수법칙

 

나. #드모르간의 정리

【 출제 예상 문제】

1. 그림과 같은 무접점회로는 어떤 논리회로인가 ? ③

 

         ① NOR              ② OR              ③ NAND                 ④ AND

        [해설] NAND 게이트 회로도

2. 그림과 같은 계전기 접점회로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 ①

 

[보기]

    [해설] #시퀀스 회로와 논릭식 : 직렬연결은 #논리곱 , 병렬연결은 #논리합

3. 다음과 같은 #다이오드 논리회로의 명칭은 ? ②

 

    ① NOR회로            ② AND 회로                 ③ #OR회로              ④ #NAND 회로

4. 논리식 X · (X+Y)를 간략화하면 ? ①

    ① X               ② Y                 ③ X+Y                  ④ X · Y

  [해설] 부울대수의 흡수법칙

        ⊙ X · (X+Y) = XX + XY = X + XY = X (1+Y) = X

[문제6]

7.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X는 ? ④

 

[보기]

8.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L을 간략화한 것은 ? ②

 

[보기]

9.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는 ? ②

 

    ① OR회로              ② AND 회로               ③ NOT 회로              ④ NOR 회로

10. 입력신호 A,B가 동시에 "0"이거나 "1"일 때만 출력신호 X가 "1"이 되는 게이트의 명칭은 ? ①

    ① EXCLUSIVE NOR       ② EXCLUSIVE OR      ③ NAND          ④ AND

[해설] 진리표를 작성하여 해당 논리회로를 추정해 본다.

A
B
X
0
0
1
0
1
0
1
0
0
1
1
1

[논리식]

반응형
반응형

1. 시퀀스 제어란 ?

시퀀스 제어는 어떤 동작이 일어나는 순서를 말하며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일정한

논리에 의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 동작을 순차적으로 진행시켜 나가는 제어를

말한다. 즉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진행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2. 시퀀스 제어의 구성

가. 시퀀스 제어를 구성하는 주요부분

  ① 조작부

    ▣ 푸시버튼 스위치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② 검출부

    ▣ 구동부가 행한 일이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 경우 그것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기계적 범위와

         전기적 범위를 리밋 스위치 등으로 검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기계적 범위와 전기적 범위를 리밋 스위치로

         검출하는 곳이다.

  ③ 제어부

    ▣ 전자릴레이, #전자접촉기, 타이머 등으로 구성한다.

  ④ 구동부

    ▣ 모터, 전자클러치, #솔레노이드 등으로 제어부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실제로 동작을 행하는 부분이다.

  ⑤ 표시부

    ▣ 표시램프와 카운터 등으로 제어의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3. 시퀀스 회로를 그리기 위한 기본 용어

문자
용어
영문표시
PB
누름버튼스위치
Push Button Switch
E/L
비상 스위치
Emergency Switch
LS
리밋 스위치
Limit Switch
S/S
실렉터 스위치
Selector Switch
F
퓨즈
Fuse
ELB
누전차단기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MCCB
차단기
Molded case Circuit Breaker
R[X], RY
릴레이
Relay (전자력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는 기능을
갖은 기기)
T
타이머
Timer
FR
#플리커 릴레이
Flicker Relay
TR
온도 릴레이
Temperature Relay
EOCR
전자식과전류계전기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MC[PR]
#전자개폐기
Magnetic Contact
PL
파일럿 램프
Pilot Lamp
BZ
부저
Buzzer

가. 접점

  ▣ 접점 : 시퀀스(Sequence)에서 전기기호 및 인위적인 전기신호에 의해 스위치 동작

  ▣ 스위치 동작 : 전기를 통전 시키기 위하여 연결점을 ON, Off 해 주는 일련의 동작

종류
접점의 상태
별 침
A접점
열려있는 접점
(Arbeit contact)
상개접점 (Normally open contact)
NO 접점 : 평상시 열려있는 접점
B접점
닫혀있는 접점
(Break contact)
브레이크 접점(Break contact)
상폐접점 (Normally close contact)
C접점
전환 접점
(Change-over contact)
트랜스퍼 접점 (Transfer contact)

[접점의 기호]

 

나. 부하

  [표시등의 색상]

동작상태
색상
기호
영 문 표 시
전원표시
백색
WL, PL
White Lamp, Power lamp
운전표시
적색
RL
Red lamp
정지 표시
녹색
GL
Green lamp
경보 표시
오렌지색
OL
Orange lamp
고장 표시
노란색
YL
Yellow lamp

다. 시퀀스 제어의 용어

  ① 개로 (Open, Off) ② 폐로 (Close, On) ③ 동작 (Actuation) ④ 복귀 (Reseting)

  ⑤ #여자 (勵磁) ⑥ 소자 (消磁) ⑦ 기동 (Starting) ⑧ 운전 (Running)

  ⑨ 제동 (Braking) ⑨ 정지 (Stopping)

  ⑩ 인칭 (Inching) 기계의 순간 동작 운동을 얻기 위해 미소시간의 조작을 1회 반복해서 행하는 것

  ⑫ 차단 (Breaking)

4. 시퀀스 제어회로

  ▣ 기퀀스 제회회로에 기본이 되는 회로는 논리회로, 자기유지회로, 인턱록 회로가 있다.

가. 자기유지 회로

  ▣ PB 버튼을 누르면 전자릴레이가 여자되고 이 릴레이에 의하여 a접점이 유지되어 PB 버튼에서 떼어도 계속하여

       릴레이가 유지되는 회로로서 이 릴레이를 자유기유지 (Self-hold)라고 부른다.

 

 나. 인터록 (Inter lock) 회로

 

▣ 인터록은 A가 동작하면 B는 동작되지 않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 회로 구성 방법은 릴레이 R1의 전원측 바로 앞에 R2-b 스위치를 두고 #릴레이 R2의 전원측 바로 앞에 R1-b 스위치를

       둔다.

  ⊙ 먼저 PB1 버튼을 누르면 릴레이 R1이 여자되어 R1-a 버튼은 전원을 On시키고 R1-b #접점 스위치는 전원을 Off시킨

       다. 따라서 릴레이 R1은 계속하여 여자되고 릴레이 R2는 여자되지 않는다. 릴레이 R2는 PB2을 누르더라도 여자되지

       않는다. 반대로 PB2버튼을 먼저 누르면 릴레이 R2가 여자되어 R2-a 접점 스위치는 전원을 On시키고 R2-b 접점 스위

       치는 전원을 Off시킨다. 따라서 릴레이 R1은 PB1을 누르더라도 여자되지 않게 된다.

  ⊙ 인터록 회로는 선순위 동작회로라고 할 수 있다.

【 출제 예상 문제】

1. 다음에서 기계적 접점의 리미트 스위치의 a접점은 ? ①

 

[해설] 시퀀스제어의 기본 심벌 : 리미트 스위치

 

2. 다음 그림기호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 ①

 

① 계전기 접점      ② 수동접점       ③ 시간지연접점      ④ 기계적 접점

[해설] 시퀀스 제어의 기본 심벌 계전기 접점

 

3. 트랜스퍼 접점(Transfer contact)이라고도 하며, 고정 a접점과 b접점을 공유하고 있고, 조작전 b접점에 가동부가

     접촉되어 있다가 누르면 a접점으로 절환되는 접점은 ? ②

    ① K접점              ② c접점                 ③ T접점               ④ F접점

[해설] C접점 (Change - over contact) : 절환접점, a접점과 b접점에서 가동부를 공유한 형식의 접점

4. 그림과 같은 시퀀스 회로는 어떤 회로인가 ? ①

 

   ① 자기유지회로            ② #인터록 회로             ③ #타이머 회로                ④ 수동복귀회로

[해설] #자기유지회로 : 일단 ON 된 것을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 회로

5. 기계적인 변위의 한계 부근에 배치해 놓고 이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기계를 정지하거나 명령신호를 내는데 사용되는

     스위치는 ? ②

   ① 마이크로스위치        ② #리미트스위치           ③ 캠프스위치             ④ 누름버튼스위치

[해설] 리미트스위치 : 기계적인 변위의 한계 부근에 설치해 두고, 이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접점을 형성, 기계를 정지하거나

                                   명령신호를 내는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셔터 등에 사용)

6. 그림에 표기된 접점은 무슨 접점인가 ? ③

 

   ① 계전기 접점             ② #푸시버튼 OFF접점               ③ #열동계전기 접점                 ④ 한시계전기접점

[해설] #시퀀스 제어의 기본접점

반응형
반응형

1. 블록선도

  ▣ #자동제어계 의 각 요소를 볼록으로 나타내어 입출력 신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계통도

가. 블록선도의 구성

  ① 전달요소 : 입력신호를 받아 적당히 변환된 #출력신호 를 만드는 신호 전달용소

  ② 화살표 : 신호의 흐름 방향을 표시하는 요소

  ③ 가산점 : 두가지 이상의 신호가 있을 때 이들 신호의 합과 차를 만드는 요소

  ④ 인출점 : 하나의 신호 R(s)를 2개 이상의 요소에 동시에 가하는데 쓰이는 신호분기요소

2. 전달함수

  ▣ #선형특성 을 갖는 대상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 모든 초기값을 0으로 가정했을 때, 출력신호의 #라플라스 변환과 입력신호의 라플라스 변환의 비

 

가. 표준 Feedback 회로의 전달함수

 

   ▣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 폐루프 전달함수

 

【출제 예상 문제】

1. 다음 블록선도의 전달함수는 ? ③

 

[보기]

[해설] 전달함수

2. 다음 블록선도에서 전달함수 C/R 는 ?

 

   ① G1 / G2           ② G1+G2                ③ G1 · G2                 ④ G1-G2

[해설] 전달함수

    RG1+RG2 = C, R(G1+G2) = C, 전달함수 C/R = G1+G2

3. 다음 블록선도의 입출력비는 ? ③

 

[보기]​​

[해설] 폐루프 전달함수

4. 그림의 #블록선도 에서 C/R를 구하면 ? ②

 

[보기]​​

[해설] 폐루프 전달함수

5. 그림과 같은 #피드백 제어의 종합전달함수는 ? ④

 

[보기]​​

반응형
반응형

1. 자동제어란 ?

어떤 대상 시스템의 상태나 출력을 시스템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입력 신호를 기계장치로 부터 적절히 자동 조절하는 방법

2. 자동제어계의 분류

가. 개루프 (Open-loop) 제어계

▣ 제어 동작이 출력과 관계없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제어계를 개루프 제어계

     (Open-loop system)라 한다. 제어계가 부정확하고 신뢰성은 없으나 출력과 입력이 서로 독립인 제어계이다.

 

  ① 동작신호

    ▣ 기준입력신호와 주피드백신호와의 차로서 제어동작을 시키는 주된 신호

  ② 주피드백신호 (궤환신호)

    ▣ 출력을 기준입력과 비교할 수 있게 피드백되는 신호

  ③ 기준입력

    ▣ 기준입력요소의 출력으로 실제 제어계의 입력

  ④ 기준입력신호

    ▣ 개루프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기준으로 직접 제어계에 가해지는 신호

나. 폐루프(Closed-loop) 제어계

  ① 출력을 되먹임(피드백 : Feedback)시켜 목표값과 비교하여 외란에 대응하여 추종 동작한다.

  ② 신뢰성은 높지만 설비비가 비싸며,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다. 피드백제어계의 구성 및 용어

 

  ① 제어대상 (Controlled system)

    ▣ 제어의 대상으로 제어하려고 하는 기계의 전체 또는 그 일부분

  ② 제어장치 (Control device)

    ▣ 제어를 하기 위해 제어대상에 부착되는 장치로 조절부, 설정부, 검출부 등이 있다.

  ③ 제어요소 (Control element)

    ▣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환하는 요소이고 조절부와 조작부로 이루어진다.

  ④ 제어량 (Controlled value)

    ▣ 제어대상에 속하는 양으로,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물리적인 양

       예) 전동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압을 변화시켰을 때의 회전수

  ⑤ 목표값 (Desired value)

    ▣ 제어량이 어떤 값을 취하도록 목표로서 외부에서 주어지는 값

  ⑥ 기준입력 (Reference input)

    ▣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기준으로 직접 제어계에 가해지는 신호를 말한다.

  ⑦ 기준입력장치

    ▣ 목표값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⑧ 외란 (Disturbance)

    ▣ 제어량의 변화를 일으키는 신호로서 제어계의 상태를 교란하는 외적 요인

  ⑨ 검출부 (Detecting element)

    ▣ 제어대상 으로 부터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인출하는 부분

  ⑩ 조절기 (Blind type controller)

    ▣ 설정부, 조절부 및 비교부를 합친 것

  ⑪ 조절부 (Controlling units)

    ▣ 제어계가 작용을 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 조작부에 보내는 부분

  ⑫ 비교부 (Comarator)

    ▣ 목표값과 제어량의 신호를 비교하여 제어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만들어 내는 부분

  ⑬ 조작량 (Manipulated value)

    ▣ 제어장치의 출력인 제어대상의 입력으로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에 가해지는 제어신호

  ⑭ 동작신호 (편차)

    ▣ 기준입력과 주궤환신호의 편차인 신호로 제어동작을 일으키는 신호

  ⑮ 오차검출기

    ▣ 제어량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는 장치

3. 피드백 제어계의 특징

  ① 정확도(정확성)가 증가한다.

  ② 대역폭이 크다.

  ③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고가이다.

  ④ 시스템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감소한다.

  ⑤ 반드시 입력과 출력의 비교장치가 필요하다.

  ⑥ 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4. 자동제어시스템의 분류

 가. 제어량에 의한 분류

  ① 프로세스제어 (Process control) = 공정제어

    ▣ 온도 · 압력 · 액위 · 유량 · 밀도 · 농도 등과 같은 공정 중의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이며 외란의 억제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제어 방식

       (예 : 석유공업, 화학공업의 공정제어)

  ② 서보기구 (Servo mechanism) = 서보제어

    ▣ 물체의 위치 · 방위 · 자체 등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해서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추정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예 : 선박, 항공기, 로봇 등 운전제어)

  ③ 자동조정 (Automatic regulation)

    ▣ 전압 · 전류 · 주파수 · 회전속도 · 장력 등의 물리량을 제어하는 시스템 (예 : 정전압장치, 발전기의 조속기)

 

나. 목표값에 의한 분류

  ① 정치제어 (Constant value control)

    ㉠ 일정한 목표값을 유지하는 것으로 프로세스 제어, 자동조정이 이에 해당한다. (예 : 연속식 압연기)

    ㉡ 목표값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는 제어

  ② 추치제어 (Variable value control)

    ▣ 목표값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의 자동 제어를 말하며, 목표값의 변화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를

         프로그램 제어, 그 변화가 임의인 경우를 추종 제어라 한다.

    ㉠ 추종제어 (Follow-up Control)

      ⊙ 미지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로 서보기구가 이에 해당한다.

          (예 : 대공포의 포신)

    ㉡ 비율제어 (Ratio contol)

      ⊙ 둘 이상의 제어량을 소정의 비율로 제어하는 것

      ⊙ 목표값이 다른 양과 일정한 비율관계를 가지고 변화하는 경우의 제어

      ⊙ 연료의 유량과 공기의 유량과의 사이의 비율을 연소에 적합한 것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제어방식

    ㉢ 프로그램 제어 (Program control) = 프로그래밍 제어

      ⊙ 목표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 시키기 위한제어

           (예 : 열차 · 산업로봇의 무인운전, 무조종사의 엘리베이터)

다. 조절부 동작에 의한 분류

  ① 연속제어

    ▣ 여러 개의 제어단계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한 제어단위는 바로 앞 한 제어 단위의 제어를 받고 다음의 한

          제어단위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 비례제어 (P동작)

    ▣ 비례 동작을 가하여 하는 방식의 제어를 말한다. 예컨대 실내 온도 등 제어하려는 대상의 편차값을 검출하여 편차에

        비례하는 조작량에 의하여 제어

     ⊙ 잔류편차 (off-set)가 있는 제어

     ⊙ 구조간단 (정상편차)

   ㉡ 미분제어 (D동작)

     ▣ 제어 목표값과 실현값의 차 (편차)의 시간적 변화에 비례하는 제어 신호를 조작부에 주어 미분 동작을 일으키게 하여

          실현값이 목표값에 이르는 지연시간을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어

      ⊙ 오차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진동을 억제하는 제어로 rate동작이라고도 한다.

      ⊙ 지연특성이 제어에 주는 악영향을 감소한다.

      ⊙ 동작신호의 기울기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만든다.

   ㉢ 적분제어 (I동작)

     ▣ 적분 동작을 가해서 실행하는 방식의 제어를 말한다. 제어량에 편차가 생겼을 때 그 편차의 크기에 따라 조작단 이동

          속도가 비례하며, 제어량의 편차가 없어질 때까지 이 동작을 계속하기 때문에 오프셋(Off-set)이 생기지 않는다.

      ⊙ 잔류편차를 제거하기 위한 제어

   ㉣ 비례적분제어 (PI동작)

    ▣ 비례 제어에 적분 동작을 가미한 것으로 제어에 있어서는 외란이 생겨서 그 프로세스 부하의 변화가 지속되는 경우에

         반드시 오프셋(Off-set)이 생기게 되나, 적분 동작을 가함으로써 편차가 지속하는 한 항상 편차를 0으로 복귀시키도록

         조작단 위치를 동작 시키기 때문에 편차가 생기지 않는다.

      ⊙ 간헐현상이 있는 제어

      ⊙ 잔류편차가 없는 제어

      ⊙ 지상보상요소에 대응

      ⊙ 이득교점 주파수가 낮아지며, 대역폭은 감소한다.

   ㉤ 비례미분제어 (PD동작)

    ▣ 비례제어와 비교해서 외란에 의한 급격한 온도변화에 대한 응답이 빠르며, 단시간 내에 제어를 안정화시킨다.

      ⊙ 목표값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며, 속응효과가 있다.

   ㉥ 비례적분미분제어 (PID동작)

     ▣ 비례 적분 동작에 미분 동작을 조합시킨 최고도의 제어동작을 말한다. 제어량의 변동에 즉응하여 정정 동작을 하기

          때문에 제어 응답이 빠르고, 사이클링을 억제하며, 잔류 편차도 남지 않는다.

      ⊙ 간헐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제어

      ⊙ 사이클링과 오프셋이 제거되는 제어

      ⊙ 정상특성과 응답의 속응성을 동시에 개선시키기 위한 제어

  ② 불연속 제어

    ▣ 제어신호가 펄스나 디지털코드를 사용하는 제어

      ㉠ 2위치 제어 : ON-OFF 동작, 단속적 제어 동작

      ㉡ 다위치 제어 : 여러 단계로 제어신호를 하는 방식

      ㉢ 샘플링동작 : 전압 · 전류 · 위상을 제어

      ㉣ 시간적 비례동작 : 편차 크기에 따라 ON-OFF 시간을 조정

【참고】

시퀀스 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어
       (예 : 무인커피판매기, 전기다리미)
시퀀스 제어의 특징
   ① 원인과 결과가 확실한 제어이다.
   ②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가 된다.
   ③ 제어결과에 따라 조작이 자동적이다.

5. 자동제어계의 안정도를 판별하는 방법

   ① 루쓰의 안정판별법

   ② 후르비츠의 안정판별법

   ③ 나이퀴스트의 안정판별법

6. 변환요소

   변환량
   변환요소 (장치)
   온도 → 전압 (기전력)
   열전대, 열반도체식 감지기
   온도 → 임피던스(저항)
   측온저항,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변위 → 전압
   포텐셔미터, 차동변압기, 전위차계
   변위 → 압력
   노즐플래퍼, 유압분사관, 스프링
   압력 → 변위
   벨로즈, 다이어프램, 스프링
   변위 → 임피던스
   가변저항기, 용량형 변환기, 가변저항 스프링
   전압 → 변위
   전자석, 전자코일
   광 → 임피던스
   광전도셀, 광전트랜지스터
   광 → 전압
   광전지, 광전다이오드

【 출제 예상 문제】

1. 작동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환하는 요소이며, 조절부와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은 ? ①

   ① 제어요소            ② 제어대상              ③ 피드백 요소           ④ 기준입력요소

[해설] 제어요소 (Control element) :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환하는 요소이고, 조절부와 조작부로 구성된다.

2. 계단변화에 대하여 잔류편차가 없는 것이 장점이며, 간헐현상이 있는 제어계는 ? ③

  ① 비례제어계      ② 비례미분제어계       ③ 비례적분제어계      ④ 비례적분미분제어계

[해설] 비례적분제어 (PI동작)

           ▣ 간헐현상이 있는 제어, 잔류편차가 없는 제어

3. 자동제어계를 제어목적에 의해 분류한 경우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④

   ① 정치제어 : 제어량을 주어진 일정 목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

   ② 추종제어 : 목표치가 시간에 따라 일정한 변화를 하는 제어

   ③ 프로그램 제어 : 목표치가 프로그램대로 변화는 제어

   ④ 서보제어 : 선박의 방향제어계인 서보제어는 정치제어와 같은 성질

[해설] 서보 제어 : 서보제어는 추종제어와 같은 성질이다.

4. 제어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어대상에 주어지는 양으로 제어부의 출력이 되는 것은 ? ④

   ① 제어량         ② 주피드백신호          ③ 기준입력                ④ 조작량

[해설] 조작량 (1)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으로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에 가해지는 제어신호

                       (2) 제어요소에서 제어대상에 인가되는 양

5. 미지의 임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어는 ? ①

   ① #추종제어            ② 정치제어                ③ 비율제어                        ④ 프로그래밍제어

[해설] 추종제어 (Follow-up control) : 미지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로

                                                          서보기구가 이에 해당된다. (예 : 대공포의 포신)

6. 제어량에 따라 분류되는 자동제어로 옳은 것은 ? ③

    ① 정치(fixed value)제어                    ② 비율(ratio) 제어

    ③ 프로세스(Process)제어                 ④ 시퀀스 (Sequence) 제어

[해설] 제어량에 의한 분류

   ① 프로세스제어(공정제어)      ② 서보기구(서보제어, 추종제어)       ③ 자동조정

7. 피드백 제어계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은 것은 ? ②

   ① 계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②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감소한다.

   ③ 비선형과 왜형에 대한 효과가 증대된다.

   ④ 대역폭이 감소한다.

[해설] 피드백제어(Feedback control)의 특성

   ① 정확도(정확성)가 증가한다.

   ② 대역폭이 크다.

   ③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고가이다.

   ④ 시스템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감소한다.

   ⑤ 반드시 입력과 출력의 비교장치가 필요하다.

   ⑥ 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8. #서보기구 에 있어서의 #제어량 은 ? ②

   ① 유량           ② #위치                 ③ #주파수                 ④ 전압

[해설] 서보기구 : 제어량 - 위치, 방위, 자세

9. 자동제어계에서 미리 정해 놓은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어방식은 ? ④

   ① 피드백 제어    ② #서보제어    ③ #프로그램제어    ④ #시퀀스 제어

[해설] 시퀀스 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어    예) 무인 커피판매기

10. 변위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장치가 아닌 것은 ? ④

#포텐셔미터#차동변압기#전위차계#측온저항

[해설] 변환요소 (변위 → 전압) : 포텐셔미터, 차동변압기, 전위차계

11. 불연속 제어에 속하는 것은 ? ①

   ① ON-OFF 제어          ② #비례제어             ③ #미분제어                ④ #적분제어

[해설] 불연속 제어 : 2위치 제어 (ON-OFF) 제어, 샘플값 제어

12. 제어계가 부정확하고 신뢰성은 없으나 입력과 출력이 서로 독립된 제어계는 ? ②

   ① #자동제어계          ② #개회로제어계             ③ #폐회로제어계                ④ #피드백제어계

[해설] 개회로 제어계 : 제어계가 부정확하고 신뢰성은 없으나 입력과 출력이 서로 독립인  제어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