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파 정류 회로
▣ 단상 반파 정류회로는 다이오드 한개로 구성된 정류회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3QW8q/btr0Wf3uPMa/VKXyhaA5lyGpNoMoKlbKMk/img.png)
▣ 정류의 직류분은 평균값으로 나타내면 최대전압을 π로 나누어 산정한다.
단상반파 맥동률
|
단상전파
|
3상 반파
|
3상 전파
|
121%
|
48%
|
17%
|
4%
|
2. 단상 전파 정류회로
▣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다이오드 2개로 구성된 정류회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NF7dR/btr0IF3zyj9/zU4vdxEUlKfXuyOMrU1Ny0/img.png)
▣ 직류분 전압은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Auw5n/btr1beWU4dE/yt9vOayPknpiSMIPc4qRUk/img.png)
▣ 다이오드 4개에 의한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첨두역전압만 √2 E로 다르다.
![](https://blog.kakaocdn.net/dn/d4fDam/btr0KHs1sUQ/T1jhZ93Ha9CuX0XHTk5lDK/img.png)
다. 3상 반파 정류회로 : Ed = 1.17 E
라. 3상 전파 정류회로 : Ed = 1.35 E
3. 다이오드 정류 회로
▣ 먼저 다이오드의 성질에 대하여 알아 봅시다.
![](https://blog.kakaocdn.net/dn/Csu6F/btr0VJDykmJ/V6feB9WttQhwXVqfGVBE40/img.png)
다이오드는 Anode와 Cathode 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이다.
anode극에 + 전류 0.7[V]이상이 걸리면 도통상태가 되고 그 이하 즉 (-) [V]가 걸리면 불통상태가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교류전류를 직류 전류로 바꾸는 정류하는 소자로 이용한다.
다이오드는 0.7[V]에 도통되므로 0.7[V]의 전력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가. 단상반파 정류회로
▣ 단상반파 정류회로는 한개의 #다이오드 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회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soBaS/btr0JBfxRFo/rU6a4Bsf4L2MISO0xfhb0K/img.png)
다이오드 한 개로 정류를 하게 되면 다이오드의 anode극에 +전압(0.7)이상이 걸리면
다이오드에는 전류가 흐르고 그 이하의 전압이 걸리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정현파 전류 한 주기(2π) 중에서 절반 (π)만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파 정류회로에는 맥동율(출렁거림 121[%]) 크기 때문에 이를 완화해 주기 위하여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여 평활회로를 구성한다.
① 입력 전압 Vi = 100이라면 출력 직류 평균전압은 √2/π E , 즉 0.45 E이다.
여기서 E는 실효값을 말한다.
② PIV ( #첨두역전압 ) : 역방향 전압을 말하며 cathode 극에 +, anode극에 - 전압이
걸렸을 때 막아 주는 전압으로 원래 전압의 최대값(Max)이 된다. 따라서 첨두역전압은
√2E가 된다. 즉, E는 실효값이고 첨두역전압(PIV)은 최대값이다.
나. 단상 전파 정류회로
1) 다이오드가 2개인 경우
![](https://blog.kakaocdn.net/dn/d0NVi4/btr1bdX0WqG/xr0YLKHPeNTCtmH9LZMDqk/img.png)
다이오드가 2개인 경우에는 전원선이 양쪽에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모든 극성에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모든 파형을 정류하게 된다.
① 입력전압 Vi = 100[V]를 걸어주면 출력은 50[V]로 떨어진다. 변압기의 2차측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권수비를 1 : 2로 하여 전압을 2배로 높여 준다.
② PIV(첨두역전압) : 권수비를 1 : 2로 하여 전압을 2배로 높여 주므로 첨두 역전압은 단상2선식의 2배가 되므로
첨두역전압(PIV)은 2× √2 E가 된다.
2) 다이오드가 4개인 경우 (브릿지 회로)
![](https://blog.kakaocdn.net/dn/cqda5Y/btr0JOlGZAo/mHUKHj6dXczf2DJrKiWgc1/img.png)
▣ 다이오드가 4개인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브릿지를 이용하여 다이오드가 2개인 단상 전파 정류회로의 전압이 2배로
높아지는 것을 해소하고 전파정류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 첨두역전압(PIV)는 단상 반파정류회로와 마찬가지로 √2 E가 된다.
【정류회로 종합 정리】
![](https://blog.kakaocdn.net/dn/pKXgd/btr0JA13xrX/OatKlFBSzofBahCaeUl4ak/img.jpg)
※ 전압 E는 전압의 #실효값 을 의미한다.
※ 맥동률은 직류분 대비 교류분을 말하며 파형의 출렁거리림의 정도를 말한다.
직류분은 Ed 즉 평균값을 말하며, 교류분은 전체파형에서 직류분을 뺀 나머지 부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scuKb/btr0KRh9L5X/g1iuZ6LY9ik2WFsCl0MTXK/img.png)
※ 3상 다이오드 정류회로는 다음 그림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bBdSyw/btr0VJwMyKw/75tGFKsH66c57lQ3LhQ250/img.png)
4. 사이리스터on (SCR :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정류회로
![](https://blog.kakaocdn.net/dn/cPa2fA/btr06W97VHc/59Kk5pBJOr1KfIGJX0yxp1/img.png)
▣ 사이리스터는 본래 PNPN접합의 4층구조 반도체 소자를 총칭하지만, 그 중에서도 SCR이라 불리는 역저지 3단자
사이리스터(Reverse-Blocking Triode-Thyristor)를 말한다. SCR은 양극이 음극에 대하여 양전위일 때에만 Switch를
ON하고, 반대로 양극이 음극에 대하여 음전위에 있을 때에는 역저지 상태를 나타낸다.
특수한 #반도체 (半導體) 정류 소자로서, 소형이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대전력(大電力)을 미소한 압력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단단하므로 릴레이 장치, 조명 ‧ 조광 (調光) 장치, 인버터, 펄스 회로 등 대전력의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트랜지스터로는 할 수 없는 대전류, 고전압의 스위칭 소자(素子)로서 급속히 보급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7Larb/btr0H61tRh5/FBQ9sTHkaBylky16jYcJ11/img.jpg)
【 출제 예상 문제 】
1. 60 [Hz]의 3상 전압을 전파정류하면 맥동 주파수는 ? ③
① 120 [HZ] ② 240 [HZ] ③ 360 [HZ] ④ 720 [HZ]
[해설] 맥동률 · 맥동주파수(60[Hz) 기준)
구 분
|
맥동률
|
맥동주파수
|
단상 반파
|
1.21
|
60 [HZ]
|
단상 전파
|
0.482
|
120 [HZ]
|
3상 반파
|
0.183
|
180 [HZ]
|
3상 전파
|
0.042
|
360 [HZ]
|
2. 전압 변동률이 10[%]인 정류회로에서 무부하 전압이 24[V]인 경우 부하시 전압은 몇 [V] 인가 ? ③
① 19.2 [V] ② 20.3 [V] ③ 21.6 [V] ④ 22.6[V]
[해설] #전압변동률
구 분
|
맥동률
|
맥동주파수
|
단상 반파
|
1.21
|
60 [HZ]
|
단상 전파
|
0.482
|
120 [HZ]
|
3상 반파
|
0.183
|
180 [HZ]
|
3상 전파
|
0.042
|
360 [HZ]
|
5. 그림과 같은 반파정류회로에 스위치 A를 사용하여 부하저항 RL 을 떼었냈을 경우 콘덴서 C의 #충전전압 은 몇 V가
되겠는가 ? ④
![](https://blog.kakaocdn.net/dn/kGLbf/btr0HSPC62L/1eKHDVJ2NfxFPksNMyRji1/img.jpg)
7. 그림과 같은 #정류회로 에서 부하 R에 흐르는 직류전류의 크기는 약 몇 [A]인가 ? (단, V = 200[V], R=20√2 [Ω]이다.) ①
![](https://blog.kakaocdn.net/dn/cg8U8F/btr01UEKL4G/8TDxIYAZLjCfKdAdR2ei90/img.jpg)
'소방설비기사 (전기) > 소방전기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기 (발전기, 전동기, 변압기) 출제 예상 문제 (0) | 2023.02.28 |
---|---|
전기기기 (발전기 및 전동기) (2) | 2023.02.27 |
반도체 소자 종류 : 출제 예상 문제 (2) | 2023.02.27 |
반도체 소자의 종류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0) | 2023.02.26 |
반도체 소자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