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질량(mass : M, m)이란 무엇인가 ?

 ▣ 질량(mass)이란 특정 공간에 어떤 속성의 물질이 얼마만큼 있는지를 나타내는 물리적인 양을 말하며 질량이란 말에는

      밀도와 비슷한 개념이 포함되어 있고 뉴턴의 운동법칙에 의한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할 때 발생하는 가속도에 대한 저항

      의 정도, 또는 관성의 정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밀도를 측정한다는 것은 어떤 부피내에 어떤 특성의 물질이 있

      는지 측정하는 것이 되고 또한 측정 대상의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총수와 밀도, 유형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질량은

      어떤 물체의 구성하는 물질의 물리적인 양으로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벡터가 아닌 스칼라이며 어느

      공간에 있더라도 동일하므로 중력을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또한 측정 대상 물체가 존재하는 한 질량이 영(zero)가 될

      수 없고 기호로는 M,m을 단위로는 [kg]과 [g]을 쓴다.

2. 무게 (weight, W)란 무엇인가 ?

 ▣ 무게란 어떤 물체가 받는 중력의 힘을 말한다. 즉, 어떤 물체가 지구의 중력에 의한 힘을 받아 그 물체가 얼마 만큼의 힘

      으로 지구중심부를 향해 끌어 당겨지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뉴턴의 운동법칙에서 나오는 힘으로 표현되며 질량(m)

      과 중력가속도(g)의 곱으로 나타낸다. 중력가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벡터(vector)이고 지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며

      중력가속도는 위치에 따라 변하므로 동일한 물체라도 환경에 따라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 무게는 질량에 작용하는

      중력의 힘이라고도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중력가속도가 작용하는 곳에서는 질량에 따라 무게가 결정되므로 무게도

      궁국적으로는 질량의 척도라고 할 수 있다. 무게의 단위는 힘의 단위인 N[㎏·m/s2][㎏f]를 쓴다.

3. 밀도란 무엇인가 ?

 ▣ 밀도(density)는 질량의 개념을 물리량 계산에 적용하기 위해서 도출된 개념으로 동일한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단위

      체적(부피)당 질량으로 정의되고, 비질량(specific-mass) 이라고도 한다. 또한 밀도는 단위 가속도 대비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는 관성의 정도로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밀도는 어떤 물질의 질량이 m, 부피가 V인 경우 수식으로는 밀도(ρ) = 질량 (m) / 부피 (V)로 나타낸다.

      국제 단위계의 단위로는 [㎏/㎥], [g/㎤] 이다. 또한 가속도 대비 작용하는 힘에 대한 관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밀도 (ρ) = 힘(F) / 가속도 (a)로도 나타내며 이를 풀어 보면 ρ = N /(m/s2) =(N·s2)/m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이 단위로는 밀도 값이 보통 한두 자리로 나오기 때문에 [g/㎤]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액체 유체인

      물 (Water)의 밀도는 4[℃]일 때 1 [g/㎤] = 1,000[㎏/㎥]이다.

    ▣ 액체 비중의 기준이 되는 물(H2O)의 밀도는 다음과 같다.

4. 비중량(specific weight)이란 무엇인가 ?

 ▣ 비중량은 밀도의 개념을 무게에 적용시킨 것이다. 여기서 비(specific)는 단위라는 말로 숫자 "1"을 의미한다. 즉, 체적

      "1" 단위당 무게 또는 단위 부피당 중량을 말한다. 또한 비중량은 밀도가 받는 중력에 의한 힘이라 할 수 있으므로 비중

      량은 밀도 × 중력가속도로 나타낼 수 있다. 무게는 질량과 중력가속도의 곱이므로 마찬가지로 비중량은 밀도 × 중력가

      속도가 된다. 4[℃] 물의 비중량은 물의 밀도 1,000 [㎏/㎥] × 중력가속도가 되므로 1,000 [㎏f/㎥]가 된다.

대표적인 액체 유체인 물의 비중량은 다음과 같다.

수은의 비중량은 수은의 비중은 13.6 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은의 비중량 = 수은의 비중 × 물의 비중량

 

5. 비체적(specific volume)이란 무엇인가 ?

  ▣ 비체적(specific volume)은 단위 질량당 체적(부피)를 말한다. 수식은 비체적 = 부피 (V) / 질량 (m)이다. 밀도와

       역수 관계에 있다. 유체역학이나 열역학에 자주 등장하는 단위이므로 숙지하는 것이 필요한다.

6. 비중이란 무엇인가 ?

 ▣ 비중(specific gravity)은 물의 밀도에 대한 물질의 밀도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밀도는 표준대기압 즉 1기압

      (1[atm]) 상태에서 4[℃]의 물(water)를 기준으로 물에 대한 대상 물체의 밀도의 비율을 말한다. 비중의 기호는 SG이고

      비중은 밀도를 밀도로 나눈 것으로 단위가 없는 무차원수이다.

7. 압력, 방수압, 방사압, 토출압

 ▣ 압력, 방수압, 방사압, 토출압은 압력의 여러 표현방법이며 압력은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수식으로 압력 = 힘 / 면적으로 표현한다. 기호로는 P를 쓰며 단위로는 N/㎡, kgf/㎡를 쓴다.

8. 수두, (전)양정, 높이 (H)

 ▣ 에너지 보존법칙과 베르누이 법칙에서 위치에너지를 말한다. 위치에서는 특정 위치가 갖는 일할 수 있는 능력 즉 에너

      지를 말하며 위치에너지는 중력가속도와 높이의 곱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표현의 편의상 소방유체에서는 중력가속도

      를 생략하고 높이만으로 위치에너지를 표현한다.

      수두, 양정 = 중력가속도 × 높이 ⇒ 간략히 높이 [m]

9. 중력가속도

  ▣ 지구가 물체를 끌어 당기는 힘을 산정하기 위한 상수를 말한다. 기호는 g를 쓰고 단위는 가속도 이므로 m/sec2이고

       값은 9.8 m/sec2 이다.

10. 체적, 부피 (v) : 단위 [㎥]

11. 질량 [㎏], 무게 [㎏f]

12. 분자량 (M) : CO2 : 44 , 할론 : 148.95

 

13. 온도 (T)

  ▣ 섭씨 : 물이 어는 점을 0[℃] 끓는 점을 100 [℃]로 하고 이들 간격을 백등분 한 것.  단위 : ℃

  ▣ 화씨 : 물의 어는 점을 32 [˚F], 끓는 점을 212 [˚F]로 하여 이들을 180 등분 한 것.  단위 : ˚ F

  ▣ 절대온도 [ ˚ K = 273 + ℃ ]

  ▣ 섭씨 온도와 화씨 온도의 변환

14. 기체 상수 (R) : 8.31385 [N·m/kmol ·K]

  ※ 압력단위가 atm일 경우 (0.082 atm · ㎡/kmol · K]

  ※ 고온, 저압의 기체는 일반적으로 이상기체방정식에 따른다.

       기체 1몰은 0[℃], 1기압 (1atm)에서 22.414 [ℓ] 이므로 기체상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표준온도와 압력 (standard temperature & pressure : STP) : 0[℃], 1[atm]

       STP에서 실체 기체 ≒ 이상기체, 이 때 1[mol]의 기체 부피는 22.414 [ℓ]이다.

   또한 1[atm]은 101,325[Pa] = 101,325 [N/㎡]와 22.4 [ℓ] = 0.0224[㎥]를 적용하면

15. 유량, 체적유량, 방수량, 방사량, 토출량, 양수량 (Q)

 ▣ 유체역학에서는 물질의 상태를 어떤 좌표값으로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연속체의 개념으로 본다. 유체는 수많은 입자들

      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입자들을 분석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연속체의 개념으로

      분석한다,

 ▣ 따라서 유량도 특정시점에서 관의 어느 부분을 통과하는 연속적인 양의 개념인 체적유량을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 때

      특정시점에 특정지점을 통과한 유체의 부피로 흐르는 유량을 나타내는 것이 체적유량이며 이를 소방유체역학에서는

      유량, 체적유량, 방사량, 토출량, 양수량 등으로 부르며 기호로는 Q를 쓰고 단위로는 [㎥/sec], [ℓ/min],  [단면적(A) [㎡] ×

      속도 v [m/sec]]으로 나타내며 유체의 부피는 온도, 압력 등에 따라 변화하므로 부피 유량을 나타낼 때는 온도와 압력을

      함께 표시한다.

16. 질량 유량 (M)

 ▣ 위에서 말한 체적 유량이 측정하기도 쉽고 사용하기도 간편하나 부피는 온도, 압력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질량 유량이다. 질량은 어디 있든, 어떠한 환경이든 똑같고 또한 질량은 보존되기 때문이다.

      질량 유량은 유체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개념이다.

 ▣ 즉, 질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시간당 유체의 흐른 유체의 질량(㎏)을 의미한

      다. 단위로는 [㎏/s]를 쓰며 kg을 g, ton으로 s를 min, hour으로 쓰기도 한다. 측정방법으로는 ‘질량 유량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질량유량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으로 나타낸다.

   ⊙ 질량유량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kg/s]

   ⊙ 질량유량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kg/s]

17. 중량유량 (G)

 ▣ 중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흘러간 유체의 중량을 말하며 이는 질량유량에 중력가속도를 곱해 산정한다. 즉, 질량유량을

      지구 중력으로 환산한 값이다. 기호로는 G를 쓰고 단위는 [N/s], [㎏f/s]를 쓴다. 산정식은 ‘중량 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으로 나타낸다.

  ⊙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N/s, kgf/s]

  ⊙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 평균 유속 [N/s, kgf/s]

18. 단면적 (A)

  ▣ 유체는 대부분 원형관을 통해 공급되므로 단면적은 일반적으로 원의 면적이 된다.

19. 구경, 관경, 내경, 직경 (D) : [m, ㎜]

20. 유속, 속도 (v, u) : [m/s]

21. 각종 계수 (C) : 유량 계수 등

22. 동력 (P)

  ▣ 동력을 일률과 같다. 단위는 [J/s], [W] 를 쓴다.

    ⊙ 1[HS] = 0.746 [kW]

    ⊙ 1[PS] = 0.735 [kW]

23. 효율 [η]

  ▣ 효율은 입력 대비 출력을 말한다.

24. 전달계수 (K)

  ▣ 전달계수는 에너지 변환과정에서 손실을 감안하여 여유율을 두는 정도이다.

     ⊙ 전동기의 경우 통상 1.1 ~ 1.2 정도의 여유률을 둔다.

25. 전압, 정압 (P)

 ▣ 유체가 정지해 있을 때 또는 등속도 운동을 할 때의 압력을 정압이라고 한다.

   ⊙ 기호로는 P를 쓰고 단위로는 [㎜Aq, ㎜H2O] 등을 쓴다.

25. 마찰손실계수 (f)

  ▣ 유체의 입자간의 충돌 등 입자의 운동에 의한 손실율을 나타내는 계수를 말한다.

26. 길이 (L) : [m, ㎜]

27. 조도 (C) : 관 등의 거칠기 등을 말한다.

28. 회전수 (N) : [rpm, rps]

#밀도 #질량 #중량 #비중 #비중량 #비체적 #압력 #중력가속도 #체적 #기체상수

#체적유량 #질량유량 #중량유량 #마찰손실계수

반응형
반응형

1. 지상 50[m]에 위치하고 있는 60 [㎥]의 탱크가 있다. 20[kW]의 전동기로 물을 가득 채우고자 할 때 물이 가득 찰 때까지의

     소요되는 운전시간은 몇 분인가 ?  단, 효율은 70[%]이고 여유계수는 1.2 이다.

[답안작성]

2. 지상 20[m]의 위치에 500 [㎥]의 저수조가 있다. 이 저수조에 양수하기 위하여 20[HP]의 전동기를 사용한다면 몇 분 후에

    저수조에 물이 가득차겠는가 ?  단, 펌프효율은 75[%]이고 여유계수는 1.2 이다.

3. 토출량 2,400 [ℓ/min], 양정 90[m]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가압펌프의 동력은 몇 kW인가 ? 단, 펌프의 효율은 0.6이고

     축동력 전달계수는 1.1이다.

4. 유량(토출량)이 3 [㎥/min], 전양정이 75 [m]인 소화전 펌프 전동기의 용량은 몇 [kW] 인가 ? 단, 펌프효율 η= 80 [%],

    역률은 75[%] 여유계수는 1.1이다.

5. 토출량(유량) 2,400[ℓ/min], 양정 100 [m], 효율 0.6, 여유계수 1.1인 스프링클러설비용 펌프 전동기의 용량[HP]을

    구하시오.

6. 8층 건물에 습식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폐쇄형 헤드의 기준개수가 10개이며, 층고가 3.8[m], 유량이

    80[ℓ/min]이다. 효율이 60[%]인 펌프로 부터 최고의 헤드까지 양수하고자 할 때 펌프모터의 용량 [kW]은 ? 단, 펌프로

    부터 최고의 살수헤드까지의 수직거리는 30 [m], 배관의 마찰 손실은 20[m], 전달계수는 1.1 이다.

[답안작성]

  ① 전양정 = 실양정 + 배관마찰손실 + 헤드개수 10

  ② 양수량 = (80 × 10) / (1,000×60) = 0.013 [㎥/sec]

7. 용량이 300[㎥/min]이며 풍압이 35[㎜Hg]인 제연설비용 팬[FAN]을 설치하려고 한다. 이 팬을 운전하는 전동기의 소요

     동력은 몇 [kW]인가 ? 단, 팬(FAN)의 효율은 70[%]이고, 여유계수는 1.21이다.

[답안작성]

8. 역률 0.6, 출력 20[kW]인 전동기 부하에 병렬로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0.9 로 개선하려고 한다. 이 때 소요

    되는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가 필요한가 ?

9. 폭 15 [m], 길이 20[m]인 사무실의 조도를 400[lx]로 할 경우, 전 광속 4,900[lm]의 형광등 40[W/2등용] 시설할 경우

    비상용 발전기에 연결되는 부하는 몇 [VA]이며 이 사무실의 회로는 몇 회로로 하여야 하는가 ? (단, 사용전압은 220[V]이

    며, 40[W] 형광등 1등당 전류는 0.15[A], 조명률은 50[%], 감광보상률은 1.3으로 한다.

  ① 부하

  ② 회로수

10. 길이 15[m], 폭 10[m]인 방재센타의 조명률은 50[%], 전광속 2,400[lm], 조도를 400[lx]로 하고자 할 경우 형광등이 몇

       등 있어야 하는가 ? 단, 층고는 3.6[m] 이며 조명유지율은 80[%]이다.

11. 가로 6[m], 세로 9[m], 광원의 높이 3[m]인 사무실에 조명등 (광속 2,500[lm], 40[W])을 시설하여 50[lx]로 하고자 할 때,

      방의 실지수를 구하시오. 또한 설치하여야 할 조명등의 수는 몇 개가 필요한가 ? (단, 조명률은 50[%]이고, 감광보상률

      은 1.25 이다)

  ① 실지수 = (X · Y) / H (X+Y) = (6×9) / 3 × (6+9) = 1.2

  ② 조명등의 수

12. 지상 25[m] 되는 곳에 수조가 있다. 이 수조에 분당 20[㎥]의 물을 양수하는 펌프용 전동기를 설치하여 3상 전력을 공급

      하고자 할 때 단상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이용하고자 한다. 단상변압기 1대의 용량[kVA]을 구하시오. (단, 펌프의

      효율이 70[%] 이고, 펌프측 동력에 15[%]의 여유를 두고, 펌프용 3상 농형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85 [%]이다.)

13. 20[W] 피난구 유도등 10개가 AC 220 [V]에서 점등되었다면 공급전류는 몇 [A]인가 ? 단, 유도등의 역률은 60[%]이고,

      충전전류는 무시하며 전원공급방식은 단상 2선식이다.

   ▣ 회로전류 = 부하용량 / 공급전압 = 유효전력 / (공급전압 × 역률) = (20 × 10) / (220 × 0.6) = 1.52 [A]

14. 3 ф, 380[V], 60[Hz], 2P, 79[HP]의 스프링클러 펌프와 직결된 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의 동기속도를 구하시오.

  ▣ 전동기 동기속도 Ns = 120 f / P = (120 × 60) / 2 = 3,600 [rpm]

15. 유도전동기의 부하에 사용할 비상용 자가발전기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기동용량 : 300 [kVA]

   ⊙ 기동시 전압강하 : 20 [%]

   ⊙ 과도 리액턴스 25 [%]

 가. 발전기 용량은 이론상 몇 [kVA] 이상이어야 하는가 ?

 나. 발전기용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몇 [MVA] 이상이어야 하는가 ? (단, 차단기 용량의 여유용량은 25[%]로 계산한다)

16. 전동기의 주파수 50[Hz], 극수가 4일 때 회전속도가 1,440[rpm]이다. 주파수가 60[Hz]로 하면 회전속도는 몇 rpm이

       되는가 ? (단, 슬립은 50[Hz]와 동일하다)

17. P형 수신기와 감지기와의 배선회로에서 감지기가 동작할 때의 전류는 몇 [mA]인가 ? 단, 감시전류는 1.15[mA], 릴레이

       저항은 500[Ω], 종단저항은 20[kΩ]이다.

18. P형 수신기와 감지기와의 배선회로에서 종단저항은 11[kΩ], 릴레이 저항은 550[Ω], 배선회로의 저항은 50 [Ω]이다.

      회로전압이 24[V]일 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감시전류는 몇 [mA]인가 ?

 나. 작동시(화재시) 전류는 몇 [mA]인가 ? (단, 감지기의 작동시 배선저항은 무시한다)

19. 20[℃]에서 저항온도계수가 0.00393을 갖는 경동선의 저항이 100[Ω]이다. 온도가 100[℃]로 상승하였을 때 경동선의

      저항값은 몇 [Ω] 이겠는가 ?

    저항 R2= R1[1+ αt1 (t2- t1)] = 100 × [1+0.00393×(100-20)]=131.44 [Ω]

20. 단면적이 4[㎟]이고 길이가 1[㎞]인 경동선의 전기저항[Ω]을 구하시오.

21. 다음 그림의 회로에서 단자 A, B에서의 합성정전용량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22. 알칼리축전지의 정격용량은 60[Ah], 상시부하 3[kW], 표준전압 100[V]인 부동충전방식의 충전기의 2차 출력은

      몇 [kVA]인가 ?

23. 3상 3선식 380[V]로 수전하는 곳의 부하전력이 95[kW], 역률이 85 [%], 구내배선의 길이는 150[m]이다. 전압강하를

       8[V]까지 허용하는 경우, 배선의 굵기를 계산하고 이를 표준규격품으로 답하시오.

24. 제어반으로 부터 배선거리는 90 [m]의 위치에 기동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접속되어 있다. 사이렌이 명동될 때의

      솔레노이드의 단자전압을 구하시오. (수신기는 정전압 출력이라고 하고 전선은 2.5[㎟], 사이렌의 정격전력은 48[W],

       전압강하는 없다고 가정하며, 2.5[㎟] 동선의 ㎞당 전기저항은 5[Ω]이다)

25. 수신기와 200[m] 떨어진 장소의 지구경종 4개를 동시에 명동시킬 경우 선로의 전압강하는 몇 [V]인가 ? (단, 경종의

       용량은 24 [V], 1.44[VA], 수신기와 경종의 연결전선은 1.5[㎟] 연동선이며 전기저항은 다음 표와 같고 주위온도는

        20[℃]라 한다)

공칭
단면적
[㎟]
도체등급
(KS C
IEC 60228)
절연체 두께
기준치 [㎜]
평균완성 바깥지름
도체저항
(20[℃])
[Ω/㎞]
절연저항
(90[℃])
[MΩ/㎞]
하한값[㎜]
상한값[㎜]
1.5
1.5
2.5
2.5
1
2
1
2
0.7
0.7
0.8
0.8
2.6
2.7
3.2
3.3
3.2
3.3
3.9
4.0
12.1
12.1
7.41
7.41
0.011
0.010
0.009
0.009
4
4
6
6
1
2
1
2
0.8
0.8
0.8
0.8
3.6
3.8
4.1
4.3
4.4
4.6
5.0
5.2
4.61
4.61
3.08
3.08
0.0085
0.0077
0.0070
0.0061
10
10
16
1
2
2
1.0
1.0
4.0
5.3
5.6
6.4
6.4
6.7
7.8
1.83
1.83
1.15
0.0070
0.0065
0.0050
25
35
50
2
2
2
8.1
9.0
10.6
8.1
9.0
10.6
9.7
10.9
12.8
0.727
0.524
0.387
0.0050
0.0045
0.0040
70
95
120
2
2
2
12.1
14.1
15.6
12.1
14.1
15.6
14.6
17.1
18.8
0.268
0.193
0.153
0.0035
0.0035
0.0032
150
185
240
2
2
2
17.3
19.3
22.0
17.3
19.3
22.0
20.9
23.3
26.6
0.124
0.0991
0.0754
0.0032
0.0032
0.0032
300
400
2
2
24.5
27.5
24.5
27.5
29.6
33.2
0.0601
0.0470
0.0030
0.0028

[답안작성]

   ▣ 전류 : I = 1.44 × 4 / 24 = 0.24 [A]

   ▣ 전압강하 : e = 2 I · R = 2 × 0.24 × (12.1 / 1,000) ×200 = 1.16 [V]

26. 경비실에서 460[m]의 거리에 위치한 공장(지상 7층, 지하 1층, 연면적 5,000[㎥])이 있다. 각 층별로 2회로씩 사용하며

       (총 16회로), 경종 50 [mA/개], 표시등 30 [mA/개]의 전류가 소모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여기서 사용되는

       전선은 HFIX  2.5 [㎟]로 한다)

  가. 표시등의 총 소요전류는 몇 A인가 ? 소요전류 I = 30 × 16 = 480 [mA] = 0.48[A]

  나. 공장의 지상 1층에서 화재발생시 경종의 소요전류는 몇 [A]인가 ?

      ▣ 발화층, 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 경보 : I = 50 × 2 × 6 = 600[mA] = 0.6 [A]

  다. 지상 1층에서 화재발생시 경비실에서 공장까지의 전압강하는 몇 [V]인가 ?

  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의하면 지구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 [%]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어야 한다.

        위 문항 다에서의 전압강하 결과치로 판단할 경우 음향을 발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계산과정과 함께 설명하시오.

    ① 지구음향장치의 최소 작동전압 V1 = 24 × 0.8 = 19.2 [V]

    ② 출력전압 V2 = 24 - 7.07 = 16.93 [V]

    [답] 지구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의 전압(19.2[V]) 이상에서 작동한다. 그러나 출력전압이 최소 작동전압 보다

           낮으므로 음향을 발할 수 없다.

 마. 표시등 및 경종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를 쓰시오.

     ▣ HFIX :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바. 우선경보방식의 기준에 대하여 쓰시오.

   ① 특정소방대상물 중 11층 이상 (공동주택은 16층 이상)에 적용

구 분
경 보 층
2층 이상에서 화재시
발화층 및 그 직상 4개층
1층에서 화재시
발화층, 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
지하층에서 화재시
발화층, 그 직상층 및 기타 지하층

27. 단상 2선식 100[V]에 사용하는 정격소비전력 3[kW]인 전열기의 부하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50/5 변류기를 사용하였

       다. 전류계의 지시값은 몇 [A] 이겠는가 ?

   ▣ 전류 : I = P / V = 3 × 103 / 100 = 30 [A]

   ▣ 측정치 : 전류값 × 변류비 = 30 × 5/50 = 3 [A]

28. 전로의 절연열화에 의한 화재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전로의 유지보수에 활용하여야 한다.

      절연저항 측정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220 [V] 전로에서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이 0.2[MΩ]이라면 누설전류는 몇 [mA] 인가 ?

 

 나. 감지기 회로 및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을 1경계구역 마다 직류 250 [V]의 절연저항

       측정기로 측정하는 경우 몇 [MΩ]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0.1 [MΩ]

29. 참값이 24 [A]인 전류를 측정하였더니 24.5 [A] 이었다. 이 때 오차율[%]을 계산하시오.

30. AC 220 [V]를 사용하는 전선로에 비상조명용 부하가 14,500 [VA] 걸려 있다. 이 전선로 분기회로의 최소수는 몇 회로인

      가 ? (단, 차단기의 용량은 15[A]이다.)

31. 비상용 전원설비를 축전지설비로 하고자 한다. 사용부하의 방전전류-시간특성곡선이 그림과 같을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용량환산시간 K값은 K1 =0.85(3분), K2=0.53(10분), K3 = 0.70(20)이다.)

 

 가. 보수율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 값은 보통 얼마로 하는지 밝히시오.

   ▣ 보수율은 축전지의 용량저하를 감안하여 축전지의 용량 산정시 여유를 두는 정도를 말함

   ▣ 보수율은 보통 0.8을 쓴다.

나.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은 ? 부동충전방식

다. 축전지의 용량은 몇 [Ah] 이상의 것을 택하여야 하는가 ?

#전동기 #양정 #가압펌프 #스프링클러 #헤드 #풍량 #풍압 #효율 #조명률 #감광보상율

#형광등 #조도 #실지수 #유도전동기 #피난구 #주파수 #감지기 #릴레이 #저항값 #축전지 #정전용량 #알칼리축전지 #전압강하 #솔레노이드 #저항 #경종 #소비전력 #발화층

반응형
반응형

 

1. 비상조명등

  ▣ 화재 발생 등에 따른 정전 시에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거실 및 피난 통로 등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점등되는 조명등

 

2. 비상조명등의 종류

  ① 전용형 : 상용광원과 비상용광원이 각각 별도로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비상시에 점등하는 비상용 광원만 내장되어

                    있는 비상조명등

  ② 겸용형 : 동일한 광원을 상용광원과 비상용 광원으로 겸하여 사용하는 비상조명등

  ③ 방폭형 : 폭발성 가스가 용기 내부에서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거나 또는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만들어진 형태의 제품

  ④ 방수형 : 그 구조가 방수구조로 되어 있는 것

 

3.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거실과 그로 부터 지상에 이르는 복도 · 계단 및 그 밖의 통로에 설치할 것

  ② 조도는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의 바닥에서 1[lx]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

       : 10 [lx])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예비전원을 내장하는 비상조명등에는 평상시 점등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스위치를 설치하고 해당 조명등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의 축전지와 예비전원 충전장치를 내장할 것

  ④ 예비전원을 내장하지 아니하는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축전지 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설치할 것

    ※ 비상전원의 설치기준

    ㉠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

         외의 것 (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을 두어서는 아니된다.

    ㉣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⑤ 비상전원은 비상조명등을 2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예외규정] 비상조명등의 60분 이상 작동용량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

    ㉡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 · 소매시장 · 여객자동차터미널 · 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4. 비상조명등의 설치 제외 장소

  ① 거실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15 [m] 이내인 장소

  ② 의원 · 경기장 · 공동주택 · 의료시설 · 학교의 거실

 

5. 휴대용 비상조명등

  ▣ 화재발생 등으로 정전시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을 위하여 피난자가 휴대할 수 있는 조명등

 

 

6.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적합기준

가. 설치장소

  ①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 (외부에 설치 시 출입문 손잡이로

       부터 1 [m] 이내 부분)에 1개 이상 설치

  ② 대규모 점포 (백화점 · 대형점 · 쇼핑센터)와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50 [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③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25 [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나. 설치높이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다. 어둠 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라. 사용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조일 것

마. 외함은 난연성능이 있을 것

바.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전방지조치를 하여야 하고, 충전식 배터리의 경우에는 상시 충전되도록 할 것

사. 건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은 2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7. 휴대용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① 숙박시설

  ② 수용인원 100명 이상의 영화상영관, 판매시설 중 대규모 점포,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 중 지하역사, 지하가 중

       지하상가

 

8.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제외 장소

  ① 지상 1층 또는 피난층으로서 복도 · 통로 또는 창문 등의 개구부를 통하여 피난이 용이한 경우

  ② 숙박시설로서 복도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한 경우

 

【 출제 예상 문제 】

1.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적합설치기준에 대한 기준에 다음 ( )안을 완성하시오.

 가. 다음 장소에 설치할 것

    ①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 (외부에 설치시 출입문 손잡이

         로 부터 ( ㉠ 1 [m]) 이내 부분)에 1개 이상 설치

    ② 「유통산업발전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대규모점포(지하상가 및 지하역사는 제외한다.)와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 50) [m] 이내 마다 (㉢ 3)개 이상 설치

    ③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 25 ) [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나. 설치 높이는 바닥으로 부터 ( 0.8 ) [m] 이상 (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다.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조일 것

 라. 건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은 ( 20 ) 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2.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으시오.

  가. 조도는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각 부분의 바닥에서 ( 1 ) [lx]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 ( ① 예비전원)을 내장하는 비상조명등에는 평상시 점등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② 점검스위치)를 설치하고 해당

        조명등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의 ( ③ 축전지)와 (④ 예비전원 충전장치)를 내장하여야 한다.

 

3. 휴대용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설명이다. 소방시설 적용기준으로 알맞은 내용을 ( )안에

    쓰시오.

  가. (숙박)시설

  나. 수용인원 (100) 명 이상의 영화상영관, 판매시설 중 대규모 점포, 철도 및 도시철도시설 중 지하역사, 지하가 중

         지하상가

 

#비상조명등 #조명등 #조도 #비상전원 #휴대용비상조명등 #숙박시설 #100명 #점포

#영화상영관 #대규모점포 #객실 #영업장 #지하층 #무창층 #도매시장 #소매시장

#보행거리 #50m #25m #지하상가

 

반응형
반응형

1. 비상조명등

   ▣ 화재발생 등에 따른 정전시에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거실 및 피난통로 등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점등되는 조명등

 

가. 비상조명등의 종류

[비상조명등]

   ① 전용형 : 사용광원과 비상용광원이 각각 별도로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비상시에 점등하는 비상용광원만 내장 되어

                     있는 비상조명등

   ② 겸용형 : 동일한 광원을 상용광원과 비상용광원으로 겸하여 사용하는 비상조명등

   ③ 방폭형 : 폭발성 가스가 용기내부에서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거나 또는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만들어진 형태의 제품

   ④ 방수형 : 그 구조가 방수구조로 되어 있는 것

나. 휴대용 #비상조명등 의 정의

  ▣ 화재발생 등으로 정전시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을 위하여 피난자가 휴대할 수 있는 조명등

 

 

     ※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 : 자가발전설비,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다. 비상조명등의 설치대상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

설치대상
설치조건
#지하층 , #무창층
바닥면적 450 [㎡] 이상
#터널
500 [m] 이상
지하층을 포함한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3,000[㎡] 이상
전부해당

라.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대상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별표2])

설치대상
설치조건
⊙ 숙박시설
⊙ 대규모 점포
⊙ 지하역사
⊙ 지하상가
전부해당
⊙ 영화 상영관
수용인원 100명 이상
⊙ 다중이용업소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마.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 (NFSC 304 제4조) ★★★♣

   ① #특정소방대상물 의 각 거실과 그로 부터 지상에 이르는 복도 · 계단 및 그밖의 통로에 설치할 것

   ② 조도는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의 바닥에서 1[lx]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 :

         10[lx] )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예비전원을 내장하는 비상조명등에는 평상시 점등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스위치를 설치하고 해당 조명등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의 축전지와 예비전원충전장치를 내장할 것

     ( #비상조명등 에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것 : 점검 #스위치

       #예비전원 을 내장하지 않는 비상조명등은 사용할 수 없다. ×)

   ④ 예비전원을 내장하지 아니하는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또는 축전지 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

        (외부 #전기에너지 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다음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 #상용전원 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

          의 것 ( #열병합 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을 두어서는 아니된다.

     ㉣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⑤ 비상전원은 #비상조명 등을 2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특정 소방대상

       물의 경우에는 그 부분에서 피난층에 이르는 부분의 비상조명등을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한다.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

     ㉡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 #소매시장, #여객자동차터미널, 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⑥ 비상조명등의 설치면제 요건에서 " 그 유도등의 유효범위 안의 부분"이라 함은 유도등의 #조도 가 바닥에서 1 [lx] 이상

        이 되는 부분을 말한다.

바.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적합기준 (NFSC 304 제4조 ②) ★★★♣

  ① 다음 각 목의 장소에 설치할 것

     ㉠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

         (외부에 설치시 출입문 손잡이로 부터 1 [m] 이내 부분)에 1개 이상 설치

     ㉡ 대규모 점포 (백화점 · 대형점 · 쇼핑센타,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 제외), 영화상영관에보행거리 50 [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25 [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② 설치 높이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③ 어둠 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④ 사용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조일 것 (자동 또는 수동 ×)

       ※ 다중이용업소 #객실 , #숙박시설  : 실마다 1개

          지하상가, 지하역사                       : 보행거리 25 [m] 마다 3개 이상

          대규모 #점포 , 영화상영관            : 50 [m] 마다 3개 이상

  ⑤ 외함은 난연성능이 있을 것

  ⑥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전방지조치를 하여야 하고 충전식 배터리의 경우에는 상시 충전되도록 할 것 (전원

       으로 충전식 배터리 이외의 건전지를 사용하지 말 것 ×)

  ⑦ 건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용량은 2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사용조건 : #건전지 (방전방지조치)

                         충전식 배터리 (상시 충전)

  ◈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 ★★★♣

구 분
설 치 조 건
설치대수
⊙ 숙박시설
⊙ 다중이용업소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 마다 잘 보이는 곳 (외부에 설치시 출입문 손잡이로 부터
1 [m] 이내 부분
1개 이상
⊙ 지하상가
⊙ 지하역사
보행거리 25 [m] 이내 마다
3개 이상
⊙ 대규모 점포
⊙ 영화상영관
보행거리 50 [m] 이내 마다

사. 비상조명등의 설치제외 (NFSC 304 제5조 ①)★★♣

   ① 거실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출입구 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15 [m] 이내인 부분

   ② 의원 · 경기장 · 공동주택 · #의료시설 · 학교의 거실

       ※ #비상조명등 제외 기준 : 15 [m] 이내

           #객석유도등 제외 기준 : 20 [m] 이내

아.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제외장소

   ① 지상 1층 또는 피난층으로서 복도 · 통로 또는 창문 등의 개구부를 통하여 피난이 용이한 경우

   ② 숙박시설로서 복도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한 경우

【 출제 예상 문제 】

1. 비상조명등의 설치 제외 장소가 아닌 것은 ? ④

   ① 의원의 거실        ② 경기장의 거실           ③ 의료시설의 거실           ④ 종교시설의 거실

[해설] 비상조명등의 설치 제외장소

   ㉠ 거실 각 부분에서 출입구까지의 보행거리 15 [m] 이내

   ㉡ 공동주택 · 경기장 · 의원 · 의료시설 · 학교의 거실

2. 무창층의 도매시장에 설치하는 비상조명등용 비상전원은 해당 비상조명등을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하는가 ? ④

   ① 10                         ② 20                      ③ 40                        ④ 60

[해설] 비상조명등의 60분 이상 작동용량

   ㉠ 11층 이상 (지하층 제외)

   ㉡ 지하층 · 무창층으로서 도매시장 · 소매시장 · 여객자동차터미널 · 지하역사 · 지하상가

3.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 ?

   ① 영화관상영관에는 보행거리 50[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할 것

   ②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30[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할 것

   ③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에 1개 이상 설치할 것

   ④ 건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은 2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해설]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 :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25 [m] 이내마다 3개 이상 설치할 것

4. 예비전원을 내장하지 않는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②

   ① 비상전원은 실내에 설치하지 않을 것

   ②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설치할 것

   ③ 평상시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스위치를 설치할 것

   ④ 상용전원으로 전력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수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해설] #비상조명등 의 비상전원

   ㉠ 비상전원은 실내에 설치할 것

   ㉡ 예비전원을 내장하는 경우에 점검스위치를 설치할 것

   ㉢ 사용전원으로 전력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5. 비상조명등은 비상점등을 위하여 비상전원으로 전화되는 경우 비상점등회로로 정격전류의 1.2배의 전류가 흐르거나

    램프가 없는 경우에는 몇 초 이내에 예비전원으로 부터의 #비상전원 공급을 차단하여야 하는가 ? ②

   ① 1초                      ② 3초                       ③ 5초                          ④ 10초

[해설] 비상점등회로의 보호 : 비상조명등은 비상점등을 위하여 비상전원으로 전환되는 경우 비상점등회로로 정격전류의

                                               1.2배 이상의 전류가 흐르거나 램프가 없는 경우에는 3초 이내에 예비전원으로 부터

                                               비상전원 공급을 차단할 것

6. 보행거리 25 [m] 이내 마다 휴대용 비상조명등을 3개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 곳은 ? ①

   ①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              ② 대형백화점                ③ 호텔                    ④ 영화상영관

[해설]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적합기준

  ㉠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 마다 잘 보이는 곳 (외부에 설치시 출입문 손잡이로

       부터 1[m] 이내 부분)에 1개 이상 설치

  ㉡ 대규모 점포 (백화점 · 대형점 · 쇼핑센타)와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50 [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25[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7.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① #조도 는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에서 3 [lx]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②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전원은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③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거실과 그로부터 지상에 이르는 복도 및 계단에 설치하여야 한다.

   ④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해설]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 :  조도는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에서 1[lx]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8. 특정소방대상물의 그 부분에서 피난층에 이르는 부분의 비상조명등을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①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

   ②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 · 소매시장

   ③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여객자동차터미널 · 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④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 500 [m] 이상

[해설] 비상조명등 60분 이상 작동용량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

   ㉡ 지하층 또는 #무창층 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 · 소매시장 · 여객자동차터미널 · 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9.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은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 ②

   ① 10                   ② 20                   ③ 30                       ④ 60

[해설]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적합기준 : 건전지및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은 2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할 것

10.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에서 조도는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의 바닥에서 몇 [lx]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①

   ① 1 [lx]                          ② 5 [lx]                          ③ 20 [lx]                            ④ 30 [lx]

[해설] 비상조명등의 조도 :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의 바닥에서 1 [lx] 이상이 되도록 할 것

11. 화재발생 등으로 정전시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을 위하여 피난자가 휴대할 수 있는 조명등은 ? ②

   ① 휴대용 랜턴               ② 휴대용 비상조명등             ③ 발광다이오드             ④ 음성유도형 소방랜턴

[해설] 휴대용 비상조명등 : 화재발생 등으로 정전시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을 위하여 피난자가 휴대할 수 있는 조명등

12. 휴대용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 ②

   ① 숙박시설            ② 청소련수련관               ③ 다중이용업소                   ④ 영화상영관

[해설]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적합기준

   ① 1개 이상 설치

    ⊙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

         (외부에 설치시 출입문 손잡이로 부터 1[m] 이내 부분)

  ② 3개 이상 설치

    ⊙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의 보행거리 25 [m] 이내 마다

    ⊙ 대규모 점포 (백화점 · 대형점 · 쇼핑센타) 및 영화상영관의 보행거리 50[m] 이내마다

< 비상조명등의 설치 제외 장소>

   ㉠ 거실 각 부분에서 출입구까지의 보행거리 15 [m] 이내

   ㉡ 공동주택 · #경기장 · 의원 · #의료시설 · 학교의 거실

반응형
반응형

♠ 배광곡선 및 수평면 조도

 

▣ 그림과 같은 배광곡선을 갖는 반사갓형 수은등 400[W] (22,000[lm])을 사용할 경우

    기구 직하 7[m] 점으로 부터 수평으로 5[m] 떨어진 점의 수평면 조도를 구하시오.

    단, cos-1 0.814 = 35.5˚, cos-1 0.707 = 45˚, cos-1 0.583 = 54.3˚ 이다.

 
배광곡선

【문제풀이】

<사전에 숙지해야 할 사항>

 ▣ 배광곡선은 조명기구의 직하점을 기준선으로 하여 조명체와 조명기구간에 이루는 각도에 따른

     광도분포를 나타낸 곡선을 말한다.

  ⊙ 배광곡선의 분포는 cos 곡선의 분포를 이룬다. 조명기구 직하에서는 즉 각도가 0˚일 때

      광도값에 1을 곱해주고 조명기구와 조명체의 각도가 90˚일 때는 광도값에 0을 곱해 준다.

 ▣ 수평면 조도는 수평면에 법선 즉 직각으로 입사하는 빛의 양을 나타낸다.

 ▣ 수직면 조도는 수직면에 법선 즉 직각으로 입사하는 빛의 양을 나타낸다.

 ▣ 조도는 광도에 비례하고 거리에는 역제곱의 법칙이 작용한다.

 

[답안작성]

 ① 수평면 조도를 구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피조체에 입사하는 광도를 구하기 위하여

     광원과 피조체간의 광원입사각을 구하며 입사각은 cos값을 활용하여 구한다.

 

 ② 배광곡선에서 각도 35.5˚ 에 대한 광도는 약 280 [cd/1,000 [lm]]임을 알 수 있다.

     이제 해당 지점에 대한 광도를 구해 보자.

 

 ③ 이제 해당 점의 광도를 구했으니 수평면조도를 구해 보자.

 

【 해설 】

 ▣ 배광곡선을 이용한 수평면 조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배광곡선은 광원의 직하 수직선과 조도체가 이루는 각도에 따른 광도분포를 나타낸다.

   ⊙ 각도에 따라 광도분포가 달라지므로 광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광원의 직하 수직선

       조도체가 이루는 각도를 먼저 구해야 하는데 이때 cos값을 이용하여 구한다.

 ▣ 해당 지점의 광도를 구하면 조도는 광도와 비례하고 거리역제곱의 법칙을 이용하여

     구하며 수평면 조도는 수평면의 법선 즉, 수평면에 직각으로 입사하는 광속을 구하는

     것이므로 cos값을 곱해준다.

 
배광곡선, 수평면 조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