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유체
가. 정의
▣ 작은 전단력에도 연속적으로 변형되는 물질 (액체, 기체)
나. 유체의 분류
① 압축성 유체 : 압력에 대해 체적변화가 있다. (압축이 잘 된다. 기체)
비압축성 유체 : 압력에 대해 체적변화가 없다. (압축이 잘 안된다. 액체)
② 점성유체 (실제 유체) : 현실에 존재하는 유체는 점성유체 (점성 ○)
비점성유체 (이상유체) :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유체 (점성 ×)
※ 뉴턴 유체
▣ 물, 기름, 공기 등의 유체는 온도, 압력이 정해지면 속도구배 및 압력구배에 무관하게
점성계수는 일정한 값을 갖는데 이러한 유체를 뉴턴(Newton) 유체라고 한다.
(즉, 뉴턴의 점성법칙을 만족하는 유체)

※ 비뉴턴 유체
▣ 뉴턴의 점성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유체

2. 밀도, 비중량, 비중
가. 밀도 (ρ)

나. 비중량 (γ)

다. 비중 (S)

※ 물의 밀도 및 비중량
▣ 물의 밀도 ρw = 1,000 [㎏ / ㎥] = 1,000 [N·s2/m4] = 102 [㎏f·s2/m4]
▣ 물의 비중량 γw = 1,000 [㎏f / ㎥] = 9,800 [N/㎥]
3. 압력 (P)

4. 이상기체 방정식
※ 8.31385 [N·m/kmol ·K]
※ 압력단위가 atm일 경우 (0.082 atm · ㎡/kmol · K]

※ 고온, 저압의 기체는 일반적으로 이상기체방정식에 따른다.
기체 1몰은 0[℃], 1기압 (1atm)에서 22.414 [ℓ] 이므로 기체상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표준온도와 압력 (standard temperature & pressure : STP) : 0[℃], 1[atm]
STP에서 실체 기체 ≒ 이상기체, 이 때 1[mol]의 기체 부피는 22.414 [ℓ]이다.

또한 1[atm]은 101,325[Pa] = 101,325 [N/㎡]와 22.4 [ℓ] = 0.0224[㎥]를 적용하면
5. 압력단위 환산
1 [atm]
|
760 [㎜Hg]
|
76 [㎝Hg]
|
101,325 [Pa]
|
101.325 [kPa]
|
-
|
1.0332 [㎏/㎠]
|
10,332 [㎏/㎡]
|
-
|
1,013 [mbar]
|
1.013 [bar]
|
14.7 [psi]
|
6. 유량
① 체적유량(Q) : 특정시점에서 관의 어느 부분을 통과하는 유체의 연속적인 양
⊙ 기호로는 Q를 쓰고 단위로는 [㎥/sec], [ℓ/min]
⊙ 단면적(A) [㎡] × 속도 v [m/sec] 으로 나타 냄
⊙ 유체의 부피는 온도, 압력 등에 따라 변함
※ Q = A1 · v1 = A2 · v2
② 질량 유량 (M)
▣ 질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간당 흐른 유체의 질량(㎏)을 나타냄
⊙ 단위로는 [㎏/s]를 쓰며 kg을 g, ton으로 s 를 min, hour으로 씀
⊙ 질량유량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kg/s], M = ρ ·A1·v1 = ρ ·A2·v2 [㎏/s]
⊙ 질량유량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kg/s] , M = ρ · Q [㎏/s]
③ 중량유량 (G)
▣ 중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흘러간 유체의 중량을 말하며, 질량유량에 중력가속도를 곱해 산정하고 질량유량을
지구 중력으로 환산한 값
⊙ 기호로는 G를 쓰고 단위는 [N/s], [㎏f/s]를 쓴다.
⊙ 중량 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 G = g · ρ ·A1· v1 = g · ρ ·A2· v2 [㎏f/s, N/s]
G = γ ·A1· v1 = γ ·A2· v2 = γ Q [㎏f/s, N/s]
④ 구경 공식

※ 호칭구경 (A = ㎜)
15 A
|
20 A
|
25 A
|
32 A
|
40 A
|
50 A
|
65 A
|
80 A
|
90 A
|
100 A
|
125 A
|
150 A
|
※ 관의 구경 (d)

◈ 옥내 소화전 : 4 [m/s]
◈ 스프링 클러 - 가지배관 : 6m/s, - 기타 : 10 [m/s]
◈ 제연설비 - 흡입측 풍도 : 15 [m/s]
- 배출측 풍도 : 20 [m/s]
7. 벤츄리미터 유량
※ 주의점
㉠ 유량(Q), 유속 (v)인지 확인할 것
㉡ 단위를 주의할 것
㉢ 중력가속도 값 (9.81, 9.8 [m/s2)를 확인할 것 (γ = ρ · g)
㉣ 유량계수, 속도계수 확인
㉤ 압력차 (△p)
① 속도 유속

벤츄리 유량측정식은 다음과 같다.

② 유량계수 (유동계수) : Cf, Cv

※ 구경 공식

8. 피토정압관

▣ 피토정압관은 정체점 압력(전압)과 정압을 측정해서 이를 이용하여 동압을 구하는 방식이다.
⊙ 정체점 압력(전압) = 정압(Static) + 동압(Dynamic)
※ 전압 = 총압(Total pressure) = 정체점 압력 = 정체압 (Stagnation Pressure)

여기서, V : 유속 [m/s] , C : 유량계수, g : 중력가속도 (9.8 [m/s2])
△H : 수은의 높이 [m], γw : 물의 비중량 (9.8 [kN/㎥] = 9,800 [N/㎥])
γs : 수은의 비중량 (13.6 × 9.8[kN/㎥] = 133.28 kN/㎥=133,280 [N/㎥])
Ss : 수은의 비중 (13.6), Sw : 물의 비중
9. 유량

여기서, Q : 유량 [ℓ / min], d : 구경 [㎜], P : 방수압 [MPa]
10. 다지관의 유량

Q = Q1 + Q2
여기서, Q = A · V : 전체 유량 [㎥/s]
Q1 = A1 · V1 : 병렬 배관의 유량 [㎥/s]
Q2 = A2 · V2 : 병렬 배관의 유량 [㎥/s]
※ 유량 단위 정리

#유체 #비중량 #질량 #밀도 #점성법칙 #대기압 #베르누이 #유맥선 #노즐 #무차원수
#달시바이스바흐 #하이젠윌리암 #상사법칙 #비속도 #열역학 #보일 #샤를
'소방설비기사 기계실기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가속도 직선운동에서 일과 에너지 (3) | 2024.08.03 |
---|---|
연속방정식, 베르누이 법칙, 수력구배선 (0) | 2024.08.02 |
물질의 기본 성질 (질량, 무게, 중력가속도, 밀도) (0) | 2024.08.01 |
소방유체역학 단위 (약칭) 정리 (0) | 2024.07.31 |
소방시설의 종류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1]) (0)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