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기사, 소방설비기사, 공조설비 등의 시험에서 단골로 출제되는 펌프 · 송풍기 · 배연기 등을 구동하는 전동기의 축동력을 구하는 식이 어떻게 유도되는지 알아 보자.

전동기의 축동력을 구하라는 문제에서 축동력의 단위 출력을 W(kW)로 구하라고 제시하는데 여기서 W는 일률의 단위이다. 일률은 단위 시간당 일의 양을 표시하는 것을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의 크기를 말하며 일률의 단위 [J/s]를 말한다.

즉, W = J/s 이다.

물리에서 일이란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여 일정한 거리를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이란 일 = 힘 × 거리를 말하며 기호로 표시하면 J = N · h 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힘의 단위 N은 1㎡에 1㎏의 힘이 가해지는 것 ㎏/㎡를 나타태고 기호 h을 거리를 나타내고 미터단위계에서는 m로 나타낸다.

이제 힘이라는 용어가 나오게 되는데 힘은 뉴톤의 제1 운동법칙에서 출발한다. 전에 게시물에서 이야기했듯이 뉴톤은 만물은 원래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관성이라고 했다. 힘은 이러한 관성을 변화시키는 작용의 크기라고 하였다. 여기서 그 유명한 힘은 질량 × 가속도, 기호로는 F = ma 라는 식이 나오게 된다.

여기서, 질량(Mass)이란 관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가속도는 관성을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따라서 질량(관성의 크기) × 가속도(관성의 변화정도)를 하면 관성을 변화시킨 작용력의 크기를 알 수 있게 된다. 질량(Mass)의 단위는 g, ㎏을 쓰고 가속도의 단위로는 m/s2을 쓴다.

그런데, 펌프나 배연기, 송풍기 등은 지구에서 물이나 공기를 끌어 올리거나 배출하는 것으로 가속도는 지구의 중력속도를 사용하게 되고 기호로는 g라 하고 지구의 중력가속도는 9.8 m/s2 이다. 따라서 지구에서 일을 할 때 물체에 가해지는 힘, F = mg 로 나타낸다.

이제 우리는 지구에서 일을 하기 위해 물체에 가는 힘이 F = mg 로 나타냄을 알았고 지구에서 중력가속도 g = 9.8 m/s2 임을 알고 있다. 이제 힘을 구하려면 질량(Mass)을 알려면 물체의 질량을 매번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질량을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질량 = 밀도 × 부피" 라는 방법이 있다. 밀도= 질량/부피 이므로 질량/부피 × 부피하면 질량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펌프의 경우에는 물을 펌핑하는 것이므로 이 공식을 사용하는데 물의 밀도는 1㎥ =1,000㎏, 1ℓ = 1㎏, 1㏄ = 1g 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연기, 송풍기는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이므로 공기의 질량을 구하기 힘드므로 공기압을 수두로 측정하여 공기에 가해지는 힘과 질량 등을 표현하다. 여기서, 수두란 압력을 물의 높이로 표시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야기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

펌프의 축동력 구하는 식

위식을 이용하여 물 1㎥를 1초 동안에 1m 높이로 끌어 올리는데 필요한 동력을 구하는 식을 미터 단위계 [MKS]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 식에서 일반적으로 펌프의 축동력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이 간략화하여 사용한다.

펌프의 축동력을 구할 때 양수량을 분당 양수량 ㎥/min으로 제시할 때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방법은 위식과 동일하며 물량 산정식을 ㎥/s로 변형하여 산정한다.

송풍기, 배연기용 전동기의 축동력 구하는 식

송풍기, 배연기에 쓰이는 전동기의 축동력에 대하여 알아 보자.

여기에는 까다로운 걸림돌이 있다. 바로 공기의 밀도의 문제이다. 공기의 밀도는 측정하기도 힘들고 그 숫자도 사용하기 힘들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해 낸 것이 바로 공기의 압력 수두로 나타내는 것이다. 압력은 밀도, 중력가속도와 높이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공기 압력수두 P [Aq] = γ H = ρ · g · H 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축동력을 식으로 표현해 보자.

여기서, 공기의 밀도는 매우 작기 때문에 ㎜Aq 단위로 산정을 하게 되며 이를 MKS 단위계로 변환을 하게 되는데 ㎜Aq = 9.8 gfm = 9.8/1,000 ㎏fm = 1/102 fm 가 된다.

또한 풍량이 분당 단위(㎥/min)로 주어지면 이는 초당 단위 (㎥/s)로 변환하여 주어야 하므로 60초로 나누어 주면 된다.

이제 송풍기, 배연기 등의 전동기 용량을 산정하는 식을 정리해 보자.

종합해 보면 펌프용 전동기나 송풍기, 배연기용 전동기를 동력, 축동력을 구하는 식의 근본 원리는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동기 동력 P [W] = ρ · V · g · H / s

                              = ρ · g · V · H / s 이다.

#축동력 #전동기 #출력 #운동법칙 #밀도 #비중량 #송풍기 #펌프 #배연기 #압력 #수두

반응형
반응형

제2과목 전기기기

1. 다음 중 직류발전기의 정류를 개선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

   ①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가 원인이므로 접촉 저항이 작은 브러시를 사용한다.

   ② 보극을 설치하여 리액턴스 전압을 감소시킨다.

   ③ 보극권선은 전기자 권선과 직렬로 접속한다.

   ④ 브러시를 전기적 중성축을 지나서 회전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해설] 브러시의 접촉저항이 큰 것을 사용하여 정류 코일의 단락전류를 억제하여 양호한 정류를 얻는다.

          (탄소질 및 금속 흑연질의 브러시 사용)

2. 10극의 직류 파권 발전기의 전기자 도체 수 400, 매 극의 자속 수 0.02Wb, 회전수 600 [rpm]일 때 기전력은 몇 V인가 ?

      ① 200                   ② 220                  ③ 380                     ④ 400

[해설]

3. 직류 분권전동기의 계자 저항을 운전 중에 증가시키는 경우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

    ① 자속 증가            ② 속도 감소                 ③ 부하증가                     ④ 속도 증가

[해설] 계자저항증가 → 계자전류감소 → 자속 감소 → 회전속도 증가

4. 다음중 동기발전기 단절권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고조파를 제거해서 기전력의 파형이 좋아진다.

   ② 코일단이 짧게 되므로 재료가 절약된다.

   ③ 전절권에 비해 합성 유기기전력이 증가한다.

   ④ 코일간격이 극 간격보다 작다.

[해설] 단절권 (Short pitch winding)

   ㉠ 코일 피치 βπ 가 자극피치 π 보다 작은 권선법이다. (β =5/6 정도)

   ㉡ 전절권에 비하여 파형 (고조파 제거) 개선, 코일 단부 단축, 동량 감소 및 기계길이가 단축되지만 유도 기전력이

         감소한다.

5.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중에 기전력의 위상차가 어떻게 되는가 ?

   ① 위상이 일치하는 경우보다 출력이 감소한다.

   ② 부하분담이 변한다.

   ③ 무효순환전류가 흘러 전기자 권선이 과열된다.

   ④ 동기화력이 생겨 두 기전력의 위상이 동상이 되도록 작용한다.

[해설] 기전력의 위상차에 의한 발생 현상

   ㉠ 동기발전기 A, B가 병렬운전 중 A기의 유도 기전력 위상이 B기 보다 δs 만큼 앞선 경우 전압 Es = Ea - Eb 에 의하여

        두발전기 사이에 횡류 Is = Es / 2Z [A]가 흐르게 된다.

   ㉡ 횡류 Is 는 유효전류 또는 동기화 전류라고 하며, 상차각 δs 의 변화를 원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Is 에 의한 전력은

        동기화 전력이라고 한다.

6. 다음 중 동기 전동기에 관한 설명에서 잘못된 것은 ?

   ① 기동권선이 필요하다.              ② 난조가 발생하기 쉽다.

   ③ 여자기가 필요하다.                 ④ 역률을 조정할 수 없다.

[해설] 동기전동기 → 동기조상기

  ㉠ 동기전동기는 V곡선 (위상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역률을 임의로 조정하고, 진상 및 지상전류를 흘릴 수 있다.

  ㉡ 이 전동기를 동기 조상기라 하며, 앞선 무효전력은 물론 뒤진 무효전력도 변화시킬 수 있다.

7. 50 [Hz] 용 변압기에 60 [Hz]의 같은 전압을 가하면 자속밀도는 50 [Hz] 때의 몇 배인가 ?

[해설] 변압기의 주파수와 자속밀도 관계

   ㉠ 유기기전력 E = 4.44 fNφm 에서 전압이 같으면 자속밀도는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 주파수는 6/5 배로 증가하면 자속밀도는 5/6배로 감소한다.

8. 변압기의 권선법 중 형권은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

   ① 소형변압기           ② 중형변압기            ③ 특수변압기                   ④ 가정용 변압기

[해설] 변압기의 권선법

  ㉠ 형권 : 목제권형이나 절연통에 코일을 감은 것을 조립하는 것으로 중형(대형기)에 내철형, 외철형에 모두 쓰인다.

  ㉡ 직권 : 철심에 직접 저압권선을 감고 절연 후 고압 권선을 감는 법으로 소형 내철형에 쓰인다.

9. 일정 전압 및 일정 파형에서 주파수가 상승하면 변압기 철손은 어떻게 변하는가 ?

   ① 증가한다.        ② 감소한다.           ③ 불변이다.          ④ 어떤 기간 동안 증가한다.

[해설] 유기기전력 E = 4.44 fNφm [V] 에서,

   전압이 일정하고 주파수 f 만 높아지면 자속 φm 이 감소, 즉, 여자전류가 감소하므로 철손이 감소하게 된다.

10. 절연유를 충만시킨 외함 내에 변압기를 수용하고, 오일의 대류작용에 의하여 철심 및 권선에 발생한 열을 외함에 전달

       하여 외함의 발산이나 대류에 의하여 열을 대기로 발산시키는 변압기의 냉각방식은 ?

   ① 유입 송유식           ② 유입 수냉식             ③ 유입 풍냉식             ④ 유입 자냉식

[해설] 변압기의 냉각 방식

   ㉠ 건식 자냉식 (AN) : 공기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냉각하는 방식

   ㉡ 건식 풍냉식 (AF) : 강제로 통풍하여 냉각 효과를 크게 한 것

   ㉢ 유입 자냉식 (ONAN) : 절연 기름을 채운 외함에 변압기 본체를 넣고 기름의 대류 작용으로 열을 외기 중에 발산시키는

                                              방법

   ㉣ 유입 풍냉식 (ONAF) : 방열기가 붙은 유입 변압기에 송풍기를 붙여서 강제로 통풍시켜 냉각 효과를 높인 것

   ㉤ 송유 풍냉식 (OFAF) : 외함 위쪽에 있는 가열된 기름을 펌프로 외부에 있는 냉각기를 통하여 나오도록 한 다음, 냉각된

                                          기름을 외함의 밑으로 돌려 보내는 방식

11. 다음 그림의 변압기 등가회로는 어떤 회로인가 ?

 

   ① 1차를 1차로 환산한 등가회로                     ② 1차를 2차로 환산한 등가회로

   ③ 2차를 1차로 환산한 등가회로                     ④ 2차를 2차로 환산한 등가회로

[해설] 2차를 1차로 환산한 등가회로

32. 용량 P [kVA]인 동일 정격의 단상 변압기 4대로 낼 수 있는 3상 최대 출력 용량 Pm은 ?

13. 다음중 농형 회전자에 비뚤어진 홈을 쓰는 이유는 ?

   ① 출력을 높인다.        ②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③ 소음을 줄인다.       ④ 미관상 좋다.

[해설] 농형 회전자 (Squirrel - cage rotor)

   ㉠ 구리 또는 알루미늄 도체를 사용한 것으로, 단락 고리와 냉각용의 날개가 한 덩어리의 주물로 되어 있다.

   ㉡ 비뚤어진 홈 (skewed slot)

       ⊙ 회전자가 고정자의 자속을 끊을 때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 기동특성, 파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14. 슬립 4%인 유도전동기의 등가 부하저항 (R)은 2차 저항 (r)의 몇 배인가 ?

    ① 5                  ② 19                 ③ 20                      ④ 24

[해설] 등가 부하저항

<참고> 유도전동기의 2차 저항 r2, 슬립 s 일 때 기계적 출력에 상당한 등가저항 R을 나타내는 식은

15. 3상 유도전동기에서 회전자가 슬립 s로 회전하고 있을 때 2차 유기 전압 E2s 및 2차 주파수 f2s 와 s와의 관계는 ?

      (단, E2는 회전자가 정지하고 있을 때 2차 유기 기전력이며, f1은 1차 주파수이다.)

[해설] 슬립 s에서의 2차 권선 회전자에 유도되는 기전력의 실횻값 E2s 과 주파수 f2s

    ㉠ 회전자 유도 기전력 : E2s = sE2 [V]

    ㉡ 슬립 주파수 : f2s = sf1 [Hz]

16.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기동보상기법          ② 2차 저항 기동법             ③ 전전압 기동법            ④ Y-△기동법

[해설] 2차 저항 기동법은 권선형 유도전동기에 적용된다.

17. 다음 중 보기의 설명에서 빈칸 ㉠ ~ ㉢ 에 알맞은 말은 ?

【 보기】

권선형 유도 전동기에서 2차 저항을 증가시키면 기동전류는 ( ㉠ )하고 기동토크는 ( ㉡ ) 하며, 2차 회로의 역률이 ( ㉢ )되고
최대 토크는 일정하다.

   ① ㉠ 감소, ㉡ 증가, ㉢ 좋아지게              ② ㉠ 감소, ㉡ 감소, ㉢ 좋아지게

   ③ ㉠ 감소, ㉡ 증가, ㉢ 나빠지게              ④ ㉠ 증가, ㉡ 감소, ㉢ 나빠지게

[해설] 권선형 유도 전동기에서 비례추이 원리에 의해 2차 저항을 증가시키면 기동전류는 감소하고, 기동토크는 증가한다.             2차 회로의 역률이 좋아지게 되고 최대토크는 일정하다.

   ※ 비례추이 (Proportional shift) : 토크 속도 곡선이 2차 합성저항의 변화에 비례하여 이동하는 것을 토크 속도 곡선이

                                                       비례 추이 한다고 한다.

18. 다음 그림과 같은 분상 기동형 유도전동기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원심력 스위치를 개로 또는 폐로 한다.

   ② 기동권선이나 운전 권선의 어느 한 권선의 단자 접속을 반대로 한다.

   ③ 기동권선의 단자 접속을 반대로 한다.

   ④ 운전권선의 단자 접속을 반대로 한다.

[해설]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는 기동권선이나 운전권선의 어느 한 권선의 단자 접속을 반대로 하면 역회전된다.

   ※ 기동시 Cs 는 폐로 (ON) 상태에서 일단 기동이 되면 원심력이 작용하여 Cs는 자동적으로 개로 (OFF)가 된다.

19. 다음 중 트라이 액 (TRIAC)의 기호는 ?

 

[해설]    ① DIAC              ② SCR                  ③ TRIAC                   ④ GTO

20. 다음 그림은 유도전동기 속도 제어 회로 및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류 그래프이다.

      ⓐ 와 ⓑ 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는 ?

 

   ① ⓐ 는 TR1 과 TR2, ⓑ 는 TR3 과 TR4

   ② ⓐ 는 TR1 과 TR3, ⓑ 는 TR2 과 TR4

   ③ ⓐ 는 TR2 과 TR4, ⓑ 는 TR1 과 TR3

   ④ ⓐ 는 TR1 과 TR4, ⓑ 는 TR2 과 TR3

[해설] ⓐ : 대각선 방향의 TR 2개 → TR1 과 TR4

ⓑ : 반대쪽 대각선 방향의 TR 두개 → TR2 과 TR3

[정답] 1. ①    2. ④     3. ④     4. ③     5. ④     6. ④     7. ②     8. ②     9. ②      10. ④

          11. ③    12. ④     13. ③    14. ④     15. ①     16. ②     17. ①     18. ①    19. ③    20.④

#발전기 #직류발전기 #중성축 #보극 #브러시 #분권전동기 #단절권 #병렬운전 #순환전류 #권선법 #형권 #변압기 #동기전동기 #파형 #변압기 #등가회로 #농형회전자 #역회전

반응형
반응형

1. 지상 50[m]에 위치하고 있는 60 [㎥]의 탱크가 있다. 20[kW]의 전동기로 물을 가득 채우고자 할 때 물이 가득 찰 때까지의

     소요되는 운전시간은 몇 분인가 ?  단, 효율은 70[%]이고 여유계수는 1.2 이다.

[답안작성]

2. 지상 20[m]의 위치에 500 [㎥]의 저수조가 있다. 이 저수조에 양수하기 위하여 20[HP]의 전동기를 사용한다면 몇 분 후에

    저수조에 물이 가득차겠는가 ?  단, 펌프효율은 75[%]이고 여유계수는 1.2 이다.

3. 토출량 2,400 [ℓ/min], 양정 90[m]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가압펌프의 동력은 몇 kW인가 ? 단, 펌프의 효율은 0.6이고

     축동력 전달계수는 1.1이다.

4. 유량(토출량)이 3 [㎥/min], 전양정이 75 [m]인 소화전 펌프 전동기의 용량은 몇 [kW] 인가 ? 단, 펌프효율 η= 80 [%],

    역률은 75[%] 여유계수는 1.1이다.

5. 토출량(유량) 2,400[ℓ/min], 양정 100 [m], 효율 0.6, 여유계수 1.1인 스프링클러설비용 펌프 전동기의 용량[HP]을

    구하시오.

6. 8층 건물에 습식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폐쇄형 헤드의 기준개수가 10개이며, 층고가 3.8[m], 유량이

    80[ℓ/min]이다. 효율이 60[%]인 펌프로 부터 최고의 헤드까지 양수하고자 할 때 펌프모터의 용량 [kW]은 ? 단, 펌프로

    부터 최고의 살수헤드까지의 수직거리는 30 [m], 배관의 마찰 손실은 20[m], 전달계수는 1.1 이다.

[답안작성]

  ① 전양정 = 실양정 + 배관마찰손실 + 헤드개수 10

  ② 양수량 = (80 × 10) / (1,000×60) = 0.013 [㎥/sec]

7. 용량이 300[㎥/min]이며 풍압이 35[㎜Hg]인 제연설비용 팬[FAN]을 설치하려고 한다. 이 팬을 운전하는 전동기의 소요

     동력은 몇 [kW]인가 ? 단, 팬(FAN)의 효율은 70[%]이고, 여유계수는 1.21이다.

[답안작성]

8. 역률 0.6, 출력 20[kW]인 전동기 부하에 병렬로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0.9 로 개선하려고 한다. 이 때 소요

    되는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가 필요한가 ?

9. 폭 15 [m], 길이 20[m]인 사무실의 조도를 400[lx]로 할 경우, 전 광속 4,900[lm]의 형광등 40[W/2등용] 시설할 경우

    비상용 발전기에 연결되는 부하는 몇 [VA]이며 이 사무실의 회로는 몇 회로로 하여야 하는가 ? (단, 사용전압은 220[V]이

    며, 40[W] 형광등 1등당 전류는 0.15[A], 조명률은 50[%], 감광보상률은 1.3으로 한다.

  ① 부하

  ② 회로수

10. 길이 15[m], 폭 10[m]인 방재센타의 조명률은 50[%], 전광속 2,400[lm], 조도를 400[lx]로 하고자 할 경우 형광등이 몇

       등 있어야 하는가 ? 단, 층고는 3.6[m] 이며 조명유지율은 80[%]이다.

11. 가로 6[m], 세로 9[m], 광원의 높이 3[m]인 사무실에 조명등 (광속 2,500[lm], 40[W])을 시설하여 50[lx]로 하고자 할 때,

      방의 실지수를 구하시오. 또한 설치하여야 할 조명등의 수는 몇 개가 필요한가 ? (단, 조명률은 50[%]이고, 감광보상률

      은 1.25 이다)

  ① 실지수 = (X · Y) / H (X+Y) = (6×9) / 3 × (6+9) = 1.2

  ② 조명등의 수

12. 지상 25[m] 되는 곳에 수조가 있다. 이 수조에 분당 20[㎥]의 물을 양수하는 펌프용 전동기를 설치하여 3상 전력을 공급

      하고자 할 때 단상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이용하고자 한다. 단상변압기 1대의 용량[kVA]을 구하시오. (단, 펌프의

      효율이 70[%] 이고, 펌프측 동력에 15[%]의 여유를 두고, 펌프용 3상 농형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85 [%]이다.)

13. 20[W] 피난구 유도등 10개가 AC 220 [V]에서 점등되었다면 공급전류는 몇 [A]인가 ? 단, 유도등의 역률은 60[%]이고,

      충전전류는 무시하며 전원공급방식은 단상 2선식이다.

   ▣ 회로전류 = 부하용량 / 공급전압 = 유효전력 / (공급전압 × 역률) = (20 × 10) / (220 × 0.6) = 1.52 [A]

14. 3 ф, 380[V], 60[Hz], 2P, 79[HP]의 스프링클러 펌프와 직결된 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의 동기속도를 구하시오.

  ▣ 전동기 동기속도 Ns = 120 f / P = (120 × 60) / 2 = 3,600 [rpm]

15. 유도전동기의 부하에 사용할 비상용 자가발전기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기동용량 : 300 [kVA]

   ⊙ 기동시 전압강하 : 20 [%]

   ⊙ 과도 리액턴스 25 [%]

 가. 발전기 용량은 이론상 몇 [kVA] 이상이어야 하는가 ?

 나. 발전기용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몇 [MVA] 이상이어야 하는가 ? (단, 차단기 용량의 여유용량은 25[%]로 계산한다)

16. 전동기의 주파수 50[Hz], 극수가 4일 때 회전속도가 1,440[rpm]이다. 주파수가 60[Hz]로 하면 회전속도는 몇 rpm이

       되는가 ? (단, 슬립은 50[Hz]와 동일하다)

17. P형 수신기와 감지기와의 배선회로에서 감지기가 동작할 때의 전류는 몇 [mA]인가 ? 단, 감시전류는 1.15[mA], 릴레이

       저항은 500[Ω], 종단저항은 20[kΩ]이다.

18. P형 수신기와 감지기와의 배선회로에서 종단저항은 11[kΩ], 릴레이 저항은 550[Ω], 배선회로의 저항은 50 [Ω]이다.

      회로전압이 24[V]일 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감시전류는 몇 [mA]인가 ?

 나. 작동시(화재시) 전류는 몇 [mA]인가 ? (단, 감지기의 작동시 배선저항은 무시한다)

19. 20[℃]에서 저항온도계수가 0.00393을 갖는 경동선의 저항이 100[Ω]이다. 온도가 100[℃]로 상승하였을 때 경동선의

      저항값은 몇 [Ω] 이겠는가 ?

    저항 R2= R1[1+ αt1 (t2- t1)] = 100 × [1+0.00393×(100-20)]=131.44 [Ω]

20. 단면적이 4[㎟]이고 길이가 1[㎞]인 경동선의 전기저항[Ω]을 구하시오.

21. 다음 그림의 회로에서 단자 A, B에서의 합성정전용량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22. 알칼리축전지의 정격용량은 60[Ah], 상시부하 3[kW], 표준전압 100[V]인 부동충전방식의 충전기의 2차 출력은

      몇 [kVA]인가 ?

23. 3상 3선식 380[V]로 수전하는 곳의 부하전력이 95[kW], 역률이 85 [%], 구내배선의 길이는 150[m]이다. 전압강하를

       8[V]까지 허용하는 경우, 배선의 굵기를 계산하고 이를 표준규격품으로 답하시오.

24. 제어반으로 부터 배선거리는 90 [m]의 위치에 기동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접속되어 있다. 사이렌이 명동될 때의

      솔레노이드의 단자전압을 구하시오. (수신기는 정전압 출력이라고 하고 전선은 2.5[㎟], 사이렌의 정격전력은 48[W],

       전압강하는 없다고 가정하며, 2.5[㎟] 동선의 ㎞당 전기저항은 5[Ω]이다)

25. 수신기와 200[m] 떨어진 장소의 지구경종 4개를 동시에 명동시킬 경우 선로의 전압강하는 몇 [V]인가 ? (단, 경종의

       용량은 24 [V], 1.44[VA], 수신기와 경종의 연결전선은 1.5[㎟] 연동선이며 전기저항은 다음 표와 같고 주위온도는

        20[℃]라 한다)

공칭
단면적
[㎟]
도체등급
(KS C
IEC 60228)
절연체 두께
기준치 [㎜]
평균완성 바깥지름
도체저항
(20[℃])
[Ω/㎞]
절연저항
(90[℃])
[MΩ/㎞]
하한값[㎜]
상한값[㎜]
1.5
1.5
2.5
2.5
1
2
1
2
0.7
0.7
0.8
0.8
2.6
2.7
3.2
3.3
3.2
3.3
3.9
4.0
12.1
12.1
7.41
7.41
0.011
0.010
0.009
0.009
4
4
6
6
1
2
1
2
0.8
0.8
0.8
0.8
3.6
3.8
4.1
4.3
4.4
4.6
5.0
5.2
4.61
4.61
3.08
3.08
0.0085
0.0077
0.0070
0.0061
10
10
16
1
2
2
1.0
1.0
4.0
5.3
5.6
6.4
6.4
6.7
7.8
1.83
1.83
1.15
0.0070
0.0065
0.0050
25
35
50
2
2
2
8.1
9.0
10.6
8.1
9.0
10.6
9.7
10.9
12.8
0.727
0.524
0.387
0.0050
0.0045
0.0040
70
95
120
2
2
2
12.1
14.1
15.6
12.1
14.1
15.6
14.6
17.1
18.8
0.268
0.193
0.153
0.0035
0.0035
0.0032
150
185
240
2
2
2
17.3
19.3
22.0
17.3
19.3
22.0
20.9
23.3
26.6
0.124
0.0991
0.0754
0.0032
0.0032
0.0032
300
400
2
2
24.5
27.5
24.5
27.5
29.6
33.2
0.0601
0.0470
0.0030
0.0028

[답안작성]

   ▣ 전류 : I = 1.44 × 4 / 24 = 0.24 [A]

   ▣ 전압강하 : e = 2 I · R = 2 × 0.24 × (12.1 / 1,000) ×200 = 1.16 [V]

26. 경비실에서 460[m]의 거리에 위치한 공장(지상 7층, 지하 1층, 연면적 5,000[㎥])이 있다. 각 층별로 2회로씩 사용하며

       (총 16회로), 경종 50 [mA/개], 표시등 30 [mA/개]의 전류가 소모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여기서 사용되는

       전선은 HFIX  2.5 [㎟]로 한다)

  가. 표시등의 총 소요전류는 몇 A인가 ? 소요전류 I = 30 × 16 = 480 [mA] = 0.48[A]

  나. 공장의 지상 1층에서 화재발생시 경종의 소요전류는 몇 [A]인가 ?

      ▣ 발화층, 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 경보 : I = 50 × 2 × 6 = 600[mA] = 0.6 [A]

  다. 지상 1층에서 화재발생시 경비실에서 공장까지의 전압강하는 몇 [V]인가 ?

  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의하면 지구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 [%]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어야 한다.

        위 문항 다에서의 전압강하 결과치로 판단할 경우 음향을 발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계산과정과 함께 설명하시오.

    ① 지구음향장치의 최소 작동전압 V1 = 24 × 0.8 = 19.2 [V]

    ② 출력전압 V2 = 24 - 7.07 = 16.93 [V]

    [답] 지구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의 전압(19.2[V]) 이상에서 작동한다. 그러나 출력전압이 최소 작동전압 보다

           낮으므로 음향을 발할 수 없다.

 마. 표시등 및 경종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를 쓰시오.

     ▣ HFIX :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바. 우선경보방식의 기준에 대하여 쓰시오.

   ① 특정소방대상물 중 11층 이상 (공동주택은 16층 이상)에 적용

구 분
경 보 층
2층 이상에서 화재시
발화층 및 그 직상 4개층
1층에서 화재시
발화층, 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
지하층에서 화재시
발화층, 그 직상층 및 기타 지하층

27. 단상 2선식 100[V]에 사용하는 정격소비전력 3[kW]인 전열기의 부하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50/5 변류기를 사용하였

       다. 전류계의 지시값은 몇 [A] 이겠는가 ?

   ▣ 전류 : I = P / V = 3 × 103 / 100 = 30 [A]

   ▣ 측정치 : 전류값 × 변류비 = 30 × 5/50 = 3 [A]

28. 전로의 절연열화에 의한 화재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전로의 유지보수에 활용하여야 한다.

      절연저항 측정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220 [V] 전로에서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이 0.2[MΩ]이라면 누설전류는 몇 [mA] 인가 ?

 

 나. 감지기 회로 및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을 1경계구역 마다 직류 250 [V]의 절연저항

       측정기로 측정하는 경우 몇 [MΩ]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0.1 [MΩ]

29. 참값이 24 [A]인 전류를 측정하였더니 24.5 [A] 이었다. 이 때 오차율[%]을 계산하시오.

30. AC 220 [V]를 사용하는 전선로에 비상조명용 부하가 14,500 [VA] 걸려 있다. 이 전선로 분기회로의 최소수는 몇 회로인

      가 ? (단, 차단기의 용량은 15[A]이다.)

31. 비상용 전원설비를 축전지설비로 하고자 한다. 사용부하의 방전전류-시간특성곡선이 그림과 같을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용량환산시간 K값은 K1 =0.85(3분), K2=0.53(10분), K3 = 0.70(20)이다.)

 

 가. 보수율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 값은 보통 얼마로 하는지 밝히시오.

   ▣ 보수율은 축전지의 용량저하를 감안하여 축전지의 용량 산정시 여유를 두는 정도를 말함

   ▣ 보수율은 보통 0.8을 쓴다.

나.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은 ? 부동충전방식

다. 축전지의 용량은 몇 [Ah] 이상의 것을 택하여야 하는가 ?

#전동기 #양정 #가압펌프 #스프링클러 #헤드 #풍량 #풍압 #효율 #조명률 #감광보상율

#형광등 #조도 #실지수 #유도전동기 #피난구 #주파수 #감지기 #릴레이 #저항값 #축전지 #정전용량 #알칼리축전지 #전압강하 #솔레노이드 #저항 #경종 #소비전력 #발화층

반응형
반응형

【전동기 기동법】

1.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① 직입기동법 (전전압기동법) : 전원 전압으로 직접 기동하는 방법

    ▣ 전동기 단자에 전전압을 직접 인가하여 기동하는 방법으로 주로 소형 전동기에 사용되며 전동기기

        용량이 5.5 [kW] 미만에 사용된다.

  ② Y - △ 기동법

    ▣ 전동기에는 코일만 많이 감겨 있고 저항이 없으므로 코일에 의한 리액턴스가 발생하기전에는 초기 전류가 많이

         흐르므로 초기 기동전류를 작게 하기 위하여 전동기에 Y(Star)결선을 하여 기동하고, 정격운전(가속)이 된 후에는

         △(Delta)결선으로 변환하는 기동법으로 Y결선시 기동전류는 기동운전시의 1/3배로 작아지게 된다.

         주로 전동기용량이 5.5 ~37 [kW] 에서 사용되나 37[kW] 이상의 경우에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③ 기동보상기 기동법

    ▣ 기동용 3상 단권변압기 (기동보상기)로 전압을 감압하여 기동하는 방법으로 Y결선으로 기동을 하고 회전수가

         상승함에 따라 △ 결선으로 변경하는 기동방식이다.

         주료 전동기 용량이 22[kW] 이상에서 사용된다.

  ④ 리액터 기동법

    ▣ 기동보상기의 일종인 리액터를 이용하여 기동을 하며 리액터가 고가이며 조작이 복잡하며 리액터를 접속하여

          기동전류를 억제하여 기동하는 방법이다.

  ⑤ 반반 기동법 (단상전동기)

    ▣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으로 고정자가 여자되면 단락된 회전자 권선에 전압이 유기되고, 이 전압에 의해 전류가

         흐르고 자계가 형성되어 고정자권선이 만드는 자계와 상호작용으로 반발력이 발생한다. 기동토크는 전부하 토크의

         400~500% 정도이다.

【역률개선용 진상 콘덴서】

1. 방전코일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 하나의 차단기로 부하와 진상콘덴서를 동시에 개폐하는 경우로서 부하에 있는 코일을 통하여 잔류전하를 방전시키므

      로 방전코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전동기에는 유도성 리액턴스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 유도성 리액턴스를 상쇄하여 전동기의 역률을 개선하고자 콘덴서

      를 설치하게 되는데 전동기에 직접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이다.

 

2. 방전코일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 하나의 차단기로 부하와 진상콘덴서를 동시에 개폐하지 않는 경우로서 방전코일을 설치하여 잔류전하를 방전시켜야

       한다.

   ※ 콘덴서를 전동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회로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콘덴서에 잔류 전하가 남게 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방전코일을 선로간에 연결하여야 한다.

       즉 콘덴서에 축적되는 진상전류를 유도성 리액턴스로 다시 상쇄하게 된다.

 

【 출제 예상 문제 】

1. 역률개선용 콘덴서에 추가로 방전코일을 설치하여야 하나 실제 방전코일을 설치하지 않는 이유를 쓰시오.

   ▣ 부하에 있는 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성 리액턴스가 잔류전하를 방전시키므로

2. 3상 380 [V] 30[kW] 스프링클러 펌프용 유도전동기이다. 기동방식은 일반적으로 어떤 방식이 이용되며 전동기의 역률이

     60[%]일 때 역률을 90[%]로 개선할 수 있는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이겠는가 ?

  ① 기동방식 : Y-△ 기동방식 (이론상 기동보상기법)

  ②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

3. 콘덴서 회로의 주변기기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투입시 과전압으로 부터 보호하고 개방시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방전시키며 콘덴서를 회로에서 분리시켰을 경우

        잔류전하를 방전시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방전코일

  나. 제5 고조파에 따른 파형을 개선하는 기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직렬 리액터

4. 콘덴서 회로에 방전코일을 넣는 이유는 ?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를 방전시키기 위해

 

【 정류회로 및 전기 회로 】

1. 브리지형 정류회로

가. 콘덴서가 있는 회로

  ▣ 정류회로에 콘덴서를 설치하면 전하를 축적하게 되며 정류시에 파형을 완만하게 해 주는데 이를 콘덴서에 의한

       평활작용이라고 한다.

 

나. 콘덴서가 없는 회로

  ▣ 콘덴서가 없는 회로에서는 콘덴서에 의한 평활작용이 없게 되어 교류전압의 파형이 거의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참고] 단상반파정류회로

  ▣ 반파정류회로의 경우에는 파형이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

 

【 세그먼트 구성 】

1. 세그먼트 구성회로

가. 세그먼트 회로

  ▣ 전광판 등의 숫자를 나타내는 구성회로로서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구성한다.

 

나. 세그먼트 구성도

  ▣ 숫자판에서 각 구간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 트랜지스터 (Transistor) 】

  ▣ 규소나 게르마늄으로 만들어진 반도체를 세 겹으로 접합하여 만든 전자회로의 구성요소로서 전류나 전압 흐름을 조절

        하여 증폭 및 스위치 역할을 한다.

 

【출제 예상 문제】

1. 다음은 브리지 정류회로 (전파정류회로)의 미완성 도면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정류 다이오드 4개를 사용하여 회로를 완성하시오.

 

  나. 회로내에서 C의 역할을 쓰시오 : 직류전압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 평활작용 : 정류의 파형을 완만하게 하기 위하여

2. 브리지형 전파정류회로와 출력전압의 파형을 그리시오 (단, 입력은 사용전원이다.)

 

3. 그림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R형 수신기 중에서 지구표시등회로의 일부분이다.

    다이오드 메트릭스 회로를 사용하여 경계구역을 표시하고자 할 때 다이오드를 추가하여 회로를 완성하도록 하라.

     (단, 그림의 1~8은 1~8 경계구역을 의미한다)

 

[답안작성]

 

4. 트랜지스터는 그 접합형태에 따라 npn 트랜지스터와 pnp 트랜지스터 2종류로 나눈다. 다음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참조하여 기호(심벌)를 그리시오.

 

[답안작성]

 

#전동기 #기동법 #기동보상기 #리액터 #콘덴서 #방전코일 #직렬리액터 #역률

#정류회로 #세그먼트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파형 #자동화재탐지설비

#경계구역 #메트릭스 #게르마늄 #규소

반응형
반응형
 

1. 변압기의 1차 권수가 10회, 2차 권수가 300회인 경우 2차 단자에서 1,500V의 전압을 얻고자 하는 경우 1차 단자에서

    인가하여야 할 전압은 ? ①

   ① 50 [V]                   ② 100 [V]                      ③ 220 [V]                      ④ 380 [V]

[해설] 변압기 권수비

2. 3상 전원에서 6상 전압을 얻을 수 있는 변압기의 결선방법은 ? ④

  ① 우드브리지 결선            ② 메이어 결선               ③ 스코트 결선                 ④ 환상결선

[해설] 환상결선 : 3상 전원에서 6상 전압을 얻을 수 있는 변압기의 결선방법

3.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 ④

   ① 상회전방향이 같을 것                         ② 발생전압의 크기가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④ 회전수가 같을 것

[해설]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기전력 의 주파수가 같을 것,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상회전 방향이 같을 것

4. 직류발전기의 자극수 4, 전기자 도체수 500, 각 자극의 유효자속수 0.01[Wb], 회전수 1800[rpm]인 경우 #유기기전력

    얼마인가 ? (단, 전기자 권선은 파권이다.) ④

   ① 100 [V]                ② 150 [V]                    ③ 200 [V]                 ④ 300 [V]

[해설] #직류발전기 의 유기기전력의 크기

5.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이 아닌 것은 ? ③

   ① Y-△ 기동법              ② 기동보상기법                  ③ 1차저항 기동법                  ④ 전전압기동법

[해설]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가. 농형 : 전전압기동법(직입기동법), Y-△ 기동법, 리액터 기동법, 기동보상기법, 콘도르퍼 기동법

   나. 권선형 : 2차 저항법

6. 서보전동기에 필요한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②

   ① 정·역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② 직류용은 없고 교류용만 있다.

   ③ 저속이며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④ 급가속, 급감속이 쉬워야 한다.

[해설] #서보전동기 (Servo motor)

   ▣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가 있다.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 급가속, 급감속이 가능하다. 저속운전이 용이하다.

7. 농형 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방법이 아닌 것은 ? ③

   ①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법                     ② 극수를 변경하는 방법

   ③ 2차 저항을 제어하는 방법                  ④ 전원전압을 바꾸는 방법

[해설] 농형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방법 :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법, 극수를 변경하는 방법 전원전압을 바꾸는 방법

8. 다음 사항 중 직류전동기의 제동법이 아닌 것은 ? ③

   ① 역전제동             ② 발전제동              ③ 정상제동                   ④ 회생제동

[해설] 직류전동기의 제동법

   가. #발전제동 : 직류전동기를 발전기로 하고 운동에너지를 저항기 속에서 열로 바꾸어 제동하는 방법

   나. #역전제동 : 운전 중에 전동기의 전기자를 반대로 전환하여 역방향의 토크를 발생시켜 급속히 제동하는 방법

   다. #회생제동 : 전동기를 발전기로 하고 그 발생전력을 전원으로 회수하여 효율을 좋게 제어하는 방법

9. 직류 전동기 속도 제어 중 전압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 ④

① 워드 레오너드방식              ② 일그너 방식              ③ 직병렬법          ④ 정출력제어방식

[해설]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 (전압제어방식)

           ▣ 워드 레오너드방식, 일그너방식, 직병렬식, 쵸퍼제어법

10. 다음 단상 유도전동기 중 기동토크가 가장 큰 것은 ? ④

    ① 세이딩 코일형           ② 콘덴서 기동형            ③ 분상 기동형                ④ 반발 기동형

[해설] 기동토크가 큰 순서 : 반,콘,분,세

          ▣ 반발기동형 > 반발유도형 > 콘덴서 유도형 > 분상기동형 > 세이딩 코일형

11. 0.5[kV]의 수신기용 변압기가 있다. 변압기의 철손이 7.5[W], 전부하 동손이 16[W] 이다. 화재가 발생하여 처음 2시간은

      전부하 운전되고 다음 2시간은 1/2의 부하가 걸렸다고 한다. 이 4시간에 걸친 #전손실 전력량은 몇 [Wh]인가 ? ①

      ① 70               ② 76                 ③ 82                       ④ 94

[해설] 전손실 전력량

12. 전기기기의 철심을 규소강판으로 성층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 ④

   ① #히스테리시스손 의 감소       ② #와류손 의 감소          ③ 동손의 감소               ④ 철손의 감소

  [해설] 철손의 손실 : 규소강판 성층 이유 : 철손의 감소

13. 전양정 55[m], 토출량 0.3[㎥/min], 펌프 효율 0.55, 전도계수 1.1인 옥내 소화전 전동기 출력은 약 몇 [kW]인가 ?

   ① 5.4                  ② 5.8                    ③ 6.6                          ④ 6.9

[해설] 전동기 출력

14. 3상 유도전동기가 회전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 ③

   ① 2전동기설              ② #브론덴 법칙                  ③ 전자유도작용                 ④ #표피현상

[해설] 3상 유도전동기 : 3상 유도전동기가 회전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전자유도작용 때문이다.

15. 단상 변압기의 3상 결선 중 △-△ 결선의 장점이 아닌 것은 ? ④

   ① 변압기 외부에 제3고조파가 발생하지 않아 통신장애가 없다.

   ② 제3고조파 여자전류 통로를 가지므로 #정현파 전압을 유기한다.

   ③ 변압기 1대가 고장나면 V-V결선으로 운전하여 3상 전력을 공급한다.

   ④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으므로 고압의 경우 이상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해설] 변압기 △-△ 결선의 장점

    ▣ 변압기 외부에 제3고조파가 발생하지 않아 통신장애가 없다.

    ▣ 제3고조파 여자전류 통로를 가지므로 정현파 전압을 유기한다.

    ▣ 변압기 1대가 고장나면 V-V결선으로 운전하여 3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16. 출력 6[kW], 회전수 1,500[rpm]의 전동기 토크는 몇 [kg·m]인가 ?

    ① 3                    ② 3.9                ③ 4.6                      ④ 5.4

[해설] 전동기 토크

17. 다음 중 3상 유도전동기에 속하는 것은 ? ①

   ① 권선형 유도 전동기     ② 세이딩코일형 전동기    ③ 분상기동형 전동기     ④ 콘덴서기동형 전동기

[해설] 3상 유도 전동기 : 농형 유도전동기, 권선형 유도 전동기

18. 다음 중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에 필요하지 않은 것은 ? ① 

   ① 용량이 같을 것     ②%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③ 극성이 같을 것      ④ 권수비가 같을 것

[해설] 변압기의 병렬운전조건

   ① 권수비가 같을 것   ② 극성이 같을 것   ③ 1·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④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19. AC 서보 전동기의 전달함수는 어떻게 취급하면 되는가 ? ②

   ① 미분요소와 1차 요소의 직렬결합으로 취급한다.

   ② 적분요소와 1차 요소의 직렬결합으로 취급한다.

   ③ 미분요소와 2차 요소의 병렬결합으로 취급한다.

   ④ 적분요소와 1차 요소의 병렬결합으로 취급한다.

[해설] AC 서보전동기 : 적분요소와 1차 요소의 직렬 결합으로 취급한다.

20. 유도전동기의 회전력은 ? ③

    ① 단자전압에 비례한다.                                 ② 단자전압에 반비례한다.

    ③ 단자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④ 단자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해설] #유도전동기#회전력

21.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중에서 2차 저항제어법은 무엇을 이용하는가 ? ③

   ① 전자유도작용            ② #플레밍 의 법칙                 ③ #비례추이            ④ #게르게스 현상

[해설] 비례추이 : 2차 #저항제어법 을 이용한 것으로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2차 저항과 슬립의 함수로 나타내는데

                           이 비례추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임의의 슬립에 대하여 동일한 #토크 를 발생하는 현상

22. 변압기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2개의 코일 사이에 적용하는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변압하는 기능이다.

   ② 1차측과 2차측의 전압비를 변압비라 한다.

   ③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류를 유도기전력이라 한다.

   ④ 변류비는 권수비와 반비례한다.

[해설] 변압기

  ▣ 2개의 코일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변압하는 기능이다.

  ▣ 1차측과 2차측의 #전압비#변압비 라고 한다.

  ▣ #자속 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류를 자화전류라 한다.

  ▣ #변류비#권수비 와 반비례한다.

23. 전동기가 동력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 ①

   ① 종류가 많고 설치가 용이하며, 개별운전이 편리하고 제어가 쉽다.

   ② 종류가 많고 전압이 쉽게 변동되며, 개벌운전이 편리하고 제어가 쉽다.

   ③ 단락 등의 고장처리가 간단하며, 무공해 동력원으로 제어가 쉽다.

   ④ #단락 등의 고장처리가 간단하며, 이동용 동력으로 적당하고 설치가 쉽다.

[해설] 전동기 (Motor) : #전자유도작용 에 의하여 회전하는 장치로서, 종류가 많고, 설치가 용이하며,

                                    개별운전이 편리하고 제어가 쉽다.

24. 전기기기에서 생기는 손실 중 권선의 저항에 의하여 생기는 손실은 ? ②

   ① 철손              ② 동손                  ③ 표유부하손               ④ 유전체손

[해설] 손실 (Loss) : #동손 - 권선의 저항에 의하여 생기는 손실,   #철손 - 철심 속에서 생기는 손실

25. 3상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철손 이 작은 이유는 ?③

   ① 효율, 역률이 나쁘다.     ② #성층 #철심 을 사용한다.    ③ 주파수 가 낮다.     ④ 2차가 #권선형이다.

[해설] 3상 유도전동기

   ▣ 3상 #유도전동기 에서 #주파수 가 낮아지면 회전자 철손이 작아진다.

반응형
반응형

1. 전동기 용량 산정

가. 양수 펌프용 전동기 용량 P [kW]

 

나. 권상기용 전동기 용량 P

 

예제) 양수량 Q=6 [㎥/min], 총양정 H=7.5[m]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구동용 전동기의

         출력 P[kW]는 대략 얼마인가 ? (단, 펌프효율 η=75[%], 여유계수는 1.1 이다)

 

다.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1)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① 전전압 기동법 : 5[kW]

     ② Y-△ 기동법 : 5~15[kW] : 전압 1/√3, 토크, 전류 : 1/3

     ③ 기동보상기법 : 15[kW] 이상

     ④ 리액터 기동법

  2)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① 2차 저항 기동법

     ② 2차 임피던스 기동법

     ③ 게르게스 기동법

            r2 ↑ ⇒ S ↑ ⇒ τ ↑, I

  ※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1) 전압 제어법

 

     ① 일그너법 : 부하 (大)

     ② 워드 레오나드 : 부하 (小)

  2) 계자 제어법

  3) 저항 이용법 : 효율이 낮아 잘 사용 안함

2. 부하의 산정 ★★

가. 설비용량

  1) 표준 부하

    ① 건축물 종류에 따른 표준 부하 (P)

건축물의 종류
표준부하 [VA/㎡]
공장, 공회당, 교회, 영화관, 연회장
10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학교
20
사무실, 상점, 은행, 이발소, 미장원
30
주택, 아파트
40

   ② 건축물 중 별도 계산할 부분의 표준부하 (Q)

건축물의 종류
표준부하 [VA/㎡]
복도, 계단, 세면장, 창고, 다락
5
강당, 관람석
10

   ③ 표준 부하에 따라 산출한 수치에 별도로 가산하여야 할 용량 [C]

     ▣ 주택, 아파트(1세대 마다)에 대하여 500~1,000 [VA]

     ▣ 상점, 진열장에 대하여 진열장 폭 1[m]에 대하여 300 [VA]

     ▣ 옥외 광고등, 전광사인, 네온 사인 등의 부하 [VA]

나. 부하의 용량 산정

 

예제) 점포가 붙어 있는 점포주택이 그림과 같을 때 주어진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설비부하용량을 산정하고 분기회로수는 원칙적으로 몇 회로로 하여야 하는지 산정하시

          오. (사용전압은 220[V]라고 한다.)

 

다. 분기회로수 산정

   1) 부하설비 용량에 맞는 분기회로수

 

   2) 분기회로수 계산결과가 소수점 이하가 발생하면 절상

   3) 냉방기기 (에어컨디셔너) 및 취사용 기기의 용량이 110[V] 사용전압에서 1.5[kW]

       사용전압이 220[V]에서 3[kW]이상이면 전용 분기회로로 하여야 한다.

   4) 전류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16[A]를 기준으로 한다.

   5) 분기회로의 종류

16 [A] 분기회로
40 [A] 분기회로
20 [A] 배선용차단기 분기회로
50 [A] 분기회로
20 [A] 분기회로
50 [A]를 초과하는 분기회로
30 [A] 분기회로

예제) 어떤 건물의 평면도와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여기에 배선설계를 하고자 한다.

          이 평면도와 조건들을 이용하여 분기회로수를 결정하시오.

 

   1) 수전전압은 220 [V]로 한다.

   2) 분기회로 전류는 15[A]를 기준으로 80[%]로 한다.

   3) 주거지역 가산 부하는 1000[VA/세대]로 한다.

   4) 에어컨디셔너의 소비전력은 1.5[kW]로 한다.

 

라. 설비불평형률

 1) 단상 3선식

   ① 설비불평형률

 

 ② 단상 3선식 설비불평형률은 40[%] 이하이어야 한다.

 2)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

   ① 설비불평형률

 

   ② 3상 3선식의 설비불평형률은 30 [%] 이하 이어야 한다.

[예제] 설비불평형률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저압, 고압 및 특별고압 수전의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률은 몇 [%]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30 [%] 이하

  (2) 아래 그림과 같은 3상 3선식 수전인 경우 설비불평형률을 구하시오. (전열부하의 역률

       은 1이며, 전동기의 출력 [kW]를 입력[kVA]로 환산하면 5.2[kVA]이다.

 

[답안작성]

 

반응형
반응형

 

♠ 전동기 기동정지 시퀀스 회로도

 

▣ 다음 회로도는 푸시버튼스위치 하나로 전동기를 기동정지를 제어하는 미완성 시퀀스도

    이다. 동작사항과 회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단, X1, X2 : 8핀 릴레이, MC : 5a2b 전자접촉기, PB : 푸시버튼스위치, RL : 적색램프

 

[동작사항]

  ① 푸시버튼스위치(PB)를 한번 누르면 X1에 의하여 MC동작(전동기 운전), RL램프 점등

  ② 푸시버튼스위치(PB)를 한번더 누르면 X2에 의하여MC소자(전동기 정지), RL램프 소등

  ③ 푸시버튼스위치(PB)를 누를 때마다 전동기는 기동과 정지를 반복하여 동작

 
푸시버튼 하나로 전동기 기동정지

(1) 시퀀스도의 동작사항에 알맞도록 릴레이와 전자접촉기의 접점을 이용하여 제어회로를

    완성하시오. 단회로도에 접점의 그림기호를 직접 그리고, 접점의 명칭을 정확히

    표시하시오.

 
푸시버튼 하나로 전동기 기동 · 정지 시퀀스 제어호로

▣ X1은 MC가 소자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작하므로 X1 릴레이 위에는 MC-b접점이 있어야 한다.

 ▣ X2는 MC가 여자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작하므로 X2 릴레이 위에는 MC-a접점이 있어야 한다.

 ▣ X1과 X2 릴레이에는 상호 인터록이 되어야 한다.

 ▣ 8핀 릴레이 이기 때문에 자기유지하는 X1. X2와 인터록 접점 X2와 X1이 같은 라인

     즉, 같은 선상에 있어야 한다. 즉, X2과 MC-b, X1-a 접점의 위치를 바꿔서는 안된다.

 

(2) MCCB의 명칭을 쓰시오. 배선용 차단기 (Molded Case Circuit Breaker)

(3) EOCR의 명칭과 사용목적에 대하여 쓰시오.

  ① 명칭 : 전자식 과전류계전기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② 사용목적 : 전동기에 과부하가 걸려 과전류가 흐르면 EOCR이 동작하여 전자접촉기를

                    소자시켜 전동기를 정지하여 전동기를 보호한다.

 

반응형
반응형

 

♠ 3상 3선식 3.3[kV] 수변전 결선도

 

  ▣ 그림과 같은 수변전 결선도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3상3선식 3.3[kV] 수변전설비 결선도

 (1) 다음 그림기호의 명칭을 쓰시오.

 
인출형 교류차단기

    ▣ 인출형 교류 차단기

 (2) ① 번에 알맞은 기기의 명칭을 쓰시오. :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 (GPT)

 (3) 위 배전계통의 접지방식을 쓰시오. 비접지방식

 (4) 도면에서 CLR 의 명칭을 쓰시오. : 전류제한 저항기 (CLR : Current Limit Resister)

 (5) 위 도면에서 계전기 "67"의 명칭을 쓰시오. : 지락방향 계전기

 

[해설]

  ▣ 주요 자동 제어기기 번호

기구
번호
기구 명칭
설명
27
교류 부족전압 계전기
교류전압이 부족할 때 동작하는 것
44
거리계전기
단락 또는 지락 고장점까지의 거리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
47
결상 또는 역상 계전기
결상 또는 역상 전압일 때 동작하는 것
50
단락선택 또는 지락선택 계전기
단락 또는 지락회로를 선택하는 것
51
교류 과전류 계전기 또는 지락과전류 계전기
교류의 과전류 또는 지락과전류로 동작하는 것
52
교류 차단기 또는 접촉기
교류 회로를 차단하는 것
59
교류 과전압 계전기
교류의 과전압으로 동작하는 것
64
지락 과전압 계전기
지락을 전압에 의하여 검출하는 것
67
지락 방향 계전기
지락 방향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
87
전류 차동 계전기
단락 또는 지락차전류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

 

♠ 전동기 과부하 보호장치 생략 조건

 

 ▣ 전동기에는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기용 과부하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나 설치

     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경우가 있다.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경우의 예를 4가지만 쓰시요.

 【답안작성】

   ① 전동기 출력이 0.2[kW] 이하일 경우

   ② 전동기를 운전중 상시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잇는 위치에 시설할 경우

   ③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로 보아 전동기가 손상될 수 있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경우

   ④ 단상 전동기로서 그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6[A] (배선차단기는 20[A]) 이하인 경우

 

[해설]

 ▣ KEC 212.6.3 저압전로 중의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보호장치의 시설

  ⊙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 (정격출력 0.2[kW]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 이하 여기서 같다)

     에는 전동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는 과전류가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이를 저지하거나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

     하지 아니하다.

  가. 전동기를 운전중 상시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시설하는 경우

  나.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로 보아 전동기가 손상될 수 있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경우

  다. 단상전동기로서 그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6[A] (배

       선차단기는 20[A]) 이하인 경우

 

♠ 접지저항과 접촉전압

 

 ▣ 220[V] 전동기의 철대를 접지해 절연파괴로 인한 철대와 대지사이의 위험전압을

     25[V] 이하로 하고자 한다. 공급 변압기 2차측의 접지저항값이 10[Ω], 저압전로의

     임피던스를 무시할 경우 전동기의 외함접지 저항의 최대값[Ω]을 구하시오.

 
접지저항과 접촉전압

【문제풀이】

  ▣ 위 회로의 2차측을 등가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접촉전압

  ▣ 전압배분 법칙과 오옴의 법칙에 의하여 접지저항값을 구해 보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