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과목 : 전기기기
1.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끝부분에 설치한 자성 재료편으로서, 전기자에 대응하여 계자 자속을 공극 부분에 적당히 분포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
① 자극편 ② 정류자 ③ 공극 ④ 브러시
[해설] 자극편 : 전기자와 마주 보는 계자극의 부분으로 자속을 분포시키는 역할을 하는 자성재료편이다.
2. 발전기의 전압변동률을 표시하는 식은 ? (단, Vo : 무부한 전압, Vn : 정격전압)
[해설] 전압변동률 : 정격 상태에서 정격 전압 Vn, 무부하 전압 Vo 일 때
3. 동기속도 3,600 rpm, 주파수 60 Hz의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
① 2 ② 4 ③ 6 ④ 8
[해설]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
4. 동기기의 전기자 권선법이 아닌 것은 ?
① 2층 분포권 ② 단절권 ③ 중권 ④ 전절권
[해설] 동기기의 전기자 권선법 중 2층 분포권, 단절권 및 중권이 주로 쓰이고 결선은 Y결선으로 한다.
※ 전절권은 단절권에 비하여 출력이 높으나 단점이 많아 사용하지 않는다.
5.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중에 기전력의 위상차가 생기면 ?
① 위상이 일치하는 경우 보다 출력이 감소한다.
② 부하분담이 변한다.
③ 무효 순환전류가 흘러 전기자 권선이 과열된다.
④ 동기화력이 생겨 두 기전력의 위상이 동상이 되도록 작용한다.
[해설] 기전력의 위상차가 발생 현상
㉠ A기의 유도 기전력 위상이 B 기 보다 δs 만큼 앞선 경우, 횡류 Is = Es / 2Zs [A]가 흐르게 된다.
㉡ 횡류는 유효전류 또는 동기화 전류라고 하며, 상차각 δs 의 변화를 원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Is 에 의한 전력은 동기화
전력이라고 하며, 두 기전력의 위상이 동상이 되도록 작용한다.
6. 동기 발전기에서 전기자 전류가 기전력 보다 90° 만큼 위상이 앞설 때의 전기자 반작용은 ?
① 교차 자화작용 ② 감자작용 ③ 편자 작용 ④ 증자작용
[해설] 동기발전기의 전기자 반작용
반작용
|
작용
|
위상
|
가로축
(횡축)
|
교차 자화 작용
|
동상
|
직축 (종축)
(자극축과 일치)
|
감자작용
|
지상
(90° 늦음 - 전류 뒤짐)
|
증자작용
|
진상
(90° 빠름 - 전류 앞섬)
|
7. 13,200 / 220 변압기에서 1차 전압 6,000 [V] 를 가했을 때 2차 전압은 몇 V인가 ?
① 1,000 ② 10 ③ 100 ④ 1
[해설] 변압기의 권수비
8. 변압기의 규약 효율은 ?
[해설] 규약 효율 : 변압기의 효율은 정격 2차 전압 및 정격 주파수에 대한 출력과 전체 손실이 주어진다.
9.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상 변압기의 냉각 방식은 ?
① 유입 자냉식 ② 유입 풍냉식 ③ 유입 수냉식 ④ 유입 송유식
[해설] ㉠ 유입 자냉식 (ONAN)
⊙ 절연기름을 채운 외함에 변압기 본체를 넣고, 기름의 대류 작용으로 열을 외기 중에 발산시키는 방법이다.
⊙ 일반적으로 주상 변압기도 유입 자냉식 냉각 방식이다.
㉡ 유입 풍랭식 (ONAF)
⊙ 방열기가 붙은 유입 변압기에 송풍기를 붙여서 강제로 통풍시켜 냉각 효과를 높인 것
⊙ 유입 자랭식 보다 용량을 20 ~ 30 % 정도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대형 변압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10. 1차 900 Ω, 2차 100 Ω 인 회로의 임피던스 정합용 변압기의 권수비는 ?
① 81 ② 9 ③ 3 ④ 1
[해설] 임피던스 정합 : 1차와 2차의 임피던스를 같게 하는 것이므로 Z1 = a2Z2 에서
11. 변압기의 결선방식에서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올릴 때 사용하는 결선방식은 ?
① Y-Y결선방식 ② △-△ 결선방식 ③ △-Y 결선방식 ④ Y-△ 결선방식
[해설] ㉠ △-Y 결선 :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올릴 때 사용 (1차 변전소의 승압용)
㉡ Y-△ 결선 :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낮추는데 사용 (수전단 강압용)
12. 다음은 3상 유도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결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맞는 사항은 어느 것인가 ?
① 3상 2극, Y결선 ② 3상 4극, Y결선 ③ 3상 2극, △결선 ④ 3상 4극, △결선
[해설] ㉠ 3상 : A상, B상, C상
㉡ 4극 : 극 번호 1, 2, 3, 4
㉢ Y결선 : 독립된 인출선 A, B, C와 성형점 N이 존재
13. 정지 상태에 있는 3상 유도 전동기의 슬립 값은 ?
① 0 ② 1 ③ 2 ④ 3
[해설] 슬립 (slip) : s
㉠ 동기 속도로 회전 (무부하시 ) : N = Ns ∴ S = 0
㉡ 정지 상태 (기동시) : N = 0 ∴ s = 1
※ 슬립 (slip)
14. 단상 유도전동기 중 고정자 자극의 한 쪽 끝에 홈을 파서 돌출극을 만들고 이 돌출극에 구리 단락 고리를 끼워 회전
자계를 만들어 기동하는 단상 유도 전동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① 콘덴서 기동형 ② 영구 콘덴서형 ③ 세이딩 코일형 ④ 반발기동형
[참고] 셰이딩 코일형 (Shading coil) 형의 특징
㉠ 회전자는 농형이고 고정자의 성층 철심은 몇 개의 돌극으로 되어 있다.
㉡ 기동 토크가 작고 출력이 10 W 이하의 소형 전동기에 주로 사용된다.
㉢ 운전 중에도 셰이딩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속도 변동률이 크며, 정역 운전을 할 수 없다.
※ 반발 기동형
㉠ 기동토크가 크게 요구되고, 전원 전압 강하가 큰 부하에 적합하다.
㉡ 정류자가 있어 유지 보수가 어렵다.
㉢ 기동장치 : 정류자 브러시, 정류자 단락 링
㉣ 용도 : 펌프, 컴프레서, 냉동기, 공업용 세척기, 농기계
15. 정격전압이 380 V인 3상 유도 전동기의 1차 입력이 50 kW이고, 1차 전류가 135 A 가 흐를 때 전동기의 역률은 ?
① 0.52 ② 0.56 ③ 0.59 ④ 0.64
16. 진성반도체를 P형 반도체로 만들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은 ?
① 인 ② 인듐 ③ 비소 ④ 안티몬
[해설] N형, P형 반도체의 비교
구분
|
첨가 불순물
|
||
명칭
|
종류
|
원자가
|
|
N형 반도체
|
도너(donor)
|
인(P), 비소(As), 안티몬(Sb)
|
5
|
P형 반도체
|
억셉터
(accepter)
|
인듐(In), 붕소(B), 알루미늄(Al)
|
3
|
17. 단상 전파 정류회로에서 전원이 220 V 이면 부하에 나타나는 전압의 평균값은 약 몇 V 인가 ?
① 99 ② 198 ③ 257.4 ④ 297
[해설] Ed ≒ 0.9 V = 0.9 × 220 = 198 V
18. 다음 그림과 같은 전동기 제어회로에서 전동기 M의 전류 방향으로 올바른 것은 ? (단, 전동기의 역률은 100% 이고,
사이리스터의 점호각은 0° 라고 본다)
① 항상 "A"에서 "B"의 방향 ② 항상 "B"에서 "A"의 방향
③ 입력의 반주기 마다 "A"에서 "B" 의 방향, "B"에서 "A"의 방향
④ S1과 S4, S2와 S3의 동작 상태에 따라 "A"에서 "B"의 방향, "B"에서 "A"의 방향
[해설] 전동기 M의 전류 방향
㉠ 교류 입력 정 (+) 반파일 때 : S1, S4 턴 온 (Turn - On)
㉡ 교류 입력이 부(-) 반파일 때 : S2, S3 턴 온 (Turn - On)
∴ 항상 "A"에서 "B"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19. SCR 2개를 역병렬로 접속한 그림과 같은 기호의 명칭은 ?
① SCR ② TRIAC ③ GTO ④ UJT
[해설] 트라이액 (TRIAC : triode AC switch)
㉠ 2개의 SCR을 병렬로 접속하고 게이트를 1개로 한 구조로 3단자 소자이다.
㉡ 양 방향이므로 교류 전력 제어에 사용된다.
20. 고장시의 불평형 차 전류가 평형 전류의 어떤 비율 이상으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는 ?
① 고전압 계전기 ② 과전류 계전기 ③ 전압 차동 계전기 ④ 비율 차동 계전기
[해설] 비율 차동 계전기 (RDFR)
㉠ 동작 코일과 억제코일로 되어 있으며, 전류가 일정 비율 이상이 되면 동작한다.
㉡ 비율 동작 특성은 25 ~ 30 %, 동작 시한은 0.2 S 정도이다.
㉢ 변압기 단락 보호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정답] 1. ① 2. ① 3. ① 4. ④ 5. ④ 6. ④ 7. ③ 8. ② 9. ① 10. ③ 11. ③
12. ② 13. ② 14. ③ 15. ② 16. ② 17. ② 18. ① 19. ② 20. ④
#정류자 #자극편 #공극 #브러시 #전압변동률 #유도전동기 #전절권 #단절권 #감자작용
#전기자반작용 #규약효율 #유입자랭식 #정류회로 #반도체 #셰이딩코일형 #콘덴서기동형 #비율차동계전기 #과전류계전기 #과전압계전기
'전기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기능사 실기 시험 준비 (2) | 2024.02.26 |
---|---|
전기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2-3 (0) | 2024.01.20 |
전기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2-1 (0) | 2024.01.19 |
전기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1-2 (0) | 2024.01.17 |
전기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1-1 (0)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