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과목 전기 설비
1. 다음 중 특별고압은 ?
① 15 kV 초과 ② 10 kV 초과 20 kV 이하 ③ 5.0 kV 초과 7.0 kV 이하 ④ 7.0 kV 초과
[해설] 특별고압은 7.0 [kV] 초과이다.
2. 절연전선의 피복에 "15 kV NRV"라고 표기 되어 있다. 여기서 "NRV"는 무엇을 나타내는 약호인가 ?
① 형광등 전선 ② 고무절연 폴리에틸렌 시스 네온 전선
③ 고무절연 비닐시스 네온전선 ④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네온 전선
[해설] 154 kV 고무 절연 비닐 시스 네온 전선 (N : 네온, R : 고무, V : 비닐)
※ E : 폴리에틸렌 C : 클로로프렌
3. 다음 중 소형 분전반이나 배전반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어 드라이브 핀을 박는 공구는 ?
① 드라비베이트 ② 익스펜션 ③ 스크루 앵커 ④ 코킹 앵커
[해설] 드라이베이트 툴 (Driveot tool)
㉠ 큰 건물의 공사에서 드라이브 핀을 콘크리트에 경제적으로 박는 공구이다.
㉡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취급자는 보안상 훈련을 받아야 한다.
4. 굵기가 같은 두 단선의 쥐꼬리 접속에서 와이어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선을 몇 회 정도 꼰 다음 끝을 잘라내야
하는가 ?
① 2 ~ 3회 ② 4 ~ 5 회 ③ 6 ~ 7 회 ④ 8 ~ 9 회
[해설] 쥐꼬리 접속 (rat tail joint)
㉠ 박스 안에서 가는 전선을 접속할 때 적용한다.
㉡ 심선을 2 ~ 3 회 정도 꼰 다음 끝을 잘라내야 한다.
5. 애자 사용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 배선에서 일반적으로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0.02 ② 0.06 ③ 0.25 ④ 0.60
[해설] 애자 사용 공사 시설조건 (KEC 232. 56. 1)
⊙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0.06 m 이상일 것
6. 다음 중 버스덕트가 아닌 것은 ?
① 플로어 버스 덕트 ② 피더 버스 덕트 ③ 트랜스포지션 버스 덕트 ④ 플러그인 버스 덕트
[해설] 버스덕트 (bus duct) 종류
㉠ 피더 버스덕트 ㉡ 플러인 버스덕트 ㉢ 익스펜션 버스덕트 ㉣ 탭붙이 버스 덕트 ㉤ 트랜스포지션 버스 덕트
※ 플로어 덕트 (Floor duct) : 주로 콘크리트 건조물 밑에 가로 세로 십자로 매설하여 밑에 아웃트렛을 설치하는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이다.
7. 합성수지관 상호 및 관과 박스는 접속 시에 삽입하는 깊이를 관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단, 접착제
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① 0.6 배 ② 0.8 배 ③ 1.2 배 ④ 1.6 배
[해설] 관과 관의 접속 방법
㉠ 커플링에 들어가는 관의 길이는 관 바깥지름의 1.2 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8. 다음 중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개폐기의 종류와 그 특성의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컷 아웃 스위치 - 주된 용도로는 주상변압기의 고장이 배전선로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압기의 과부하 소손을
방지하고자 사용한다.
② 부하개폐기 - 고장전류와 같은 대전류는 차단할 수 없지만 평상 운전시의 부하전류는 개폐할 수 있다.
③ 리클로저 - 선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고장 전류를 검출하여 지정된 시간 내에 고속 차단하고 자동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여 고장 구간을 분리하거나 재송전하는 장치이다.
④ 섹션널라이저 - 고장 발생시 신속히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사고를 국부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으로 후비보호 장치와
직렬로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 섹션널라이저 (Sectionalizer) : 고압배전선에서 사용되는 차단 능력이 없는 유입 개폐기로 리클로저의 부하쪽에
설치되고, 리클로저의 개방 동작횟수보다 1~2회 적은 횟수로 리클로저의 개방중에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된다.
9. 접지선의 절연전선 색상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느 색으로 표시를 하여야 하는가 ?
① 적색 ② 황색 ③ 녹색 ④ 흑색
[해설] 접지선의 표시
㉠ 접지선은 원칙적으로 녹색으로 표시한다.
㉡ 다심 케이블, 다심 캡타이어 케이블 또는 다심 코드의 한 심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녹색 또는 황록색 및
얼룩무늬 모양의 것 이외에 심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10. 접지전극의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인가 ?
① 0.6 ② 0.65 ③ 0.7 ④ 0.75
[해설]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접지극 매설
㉠ 접지극은 지하 75㎝ 이상으로 하되 동결 깊이를 감안하여 매설할 것
㉡ 접지선을 철주와 같은 금속제에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에는 전항의 규정에 따르고 접지극 중에서 그 금속체와 1 m 이상
이격하여 매설할 것
11. 다음 중 전선로의 직선 부분을 지지하는 애자는 ?
① 핀 애자 ② 지지 애자 ③ 가지 애자 ④ 구형 애자
[해설] ① 핀 애자 : 전선의 직선 부분에 사용
② 지지 애자 : 전선의 지지부에 사용
③ 가지 애자 : 전선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부분에 사용
④ 구형 애자 : 인류용과 지선용
12.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철탑을 사용하는 경우 최대 경간은 몇 m 인가 ?
① 150 ② 200 ③ 250 ④ 600
[해설] 고압 가공전선로 경간의 제한 (KEC 332.9)
지지물의 종류
|
경간
|
철탑
|
600 m 이하
|
B종 철주 또는
B종 철근 콘크리트주
|
250 m 이하
|
A종 철주 또는
A종 철근 콘크리트주
|
150 m 이하
|
※ 고압 보안공사시 : 400 m 이하
13. 우리나라 특고압 배전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220 / 380 [V]의 전원을 얻을 수 있는 배전방식은 ?
① 단상 2선식 ② 3상 3선식 ③ 3상 4선식 ④ 2상 4선식
[해설] 중성선을 가진 3상 4선식 배전방식은 상전압 220 [V]와 선간전압 380 [V]의 전원을 얻을 수 있다.
※ 중선선이란 다선식 전로에서 전원의 중성극에 접속된 전선을 말한다. (내선규정 1300조 참조)
14.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계전기나 측정계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기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계기용 변류기 (CT) ② 계기용 변압기 (PT) ③ 단로기 (DS) ④ 컷 아웃 스위치 (COS)
[해설] ㉠ 계기용 변류기 (CT : Current transformer)
⊙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
⊙ 배전반의 전류계 · 전력계, 차단기의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
㉡ 계기용 변압기 (PT : Potential transformer)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 배전반의 전압계, 전력계, 주파수계, 역률계, 표시등 및 부족전압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
15. 다음 중 최소 동작 전류값 이상이면 일정한 시간에 동작하는 한시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 ?
① 정한시 계전기 ② 반한시 계전기 ③ 순한시 계전기 ④ 반한시성 정한시 계전기
[해설] ① 정한시 계전기 : 최소 동작값 이상의 구동 전기량이 주어지면, 일정 시한으로 동작하는 계전기
② 반한시 계전기 : 동작 전류가 작을 수록 시한이 길어지는 계전기
③ 순한시 계전기 : 동작 시간이 0.3초 이내인 계전기
④ 반한시성 정한시 계전기 : 어느 한도까지의 구동 전기량에서는 반한시성이나, 그 이상의 전기량에서는 정한시성
의 특성을 가진 계전기
16. 차단기 문자 기호 중 "OCB"는 ?
① 진공 차단기 ② 기중 차단기 ③ 자기 차단기 ④ 유입차단기
[해설]
① 진공차단기 (VCB : Vacuum circuit breaker)
② 기중차단기 (ACB : Air circuit breaker)
③ 자기차단기 (MBB : Megnetic - blast circuit breaker)
④ 유입차단기 (OCB : Oil circuit breaker)
17. 셀룰로이드, 성냥, 석유류 등 기타 가연성 위험물질을 제조 또는 저장하는 장소의 배선으로 잘못된 배선은 ?
① 급속관 배선 ② 가요전선관 배선 ③ 합성수지관 배선 ④ 케이블 배선
[해설] 위험물 (셀룰로이드, 성냥, 석유류) 등이 존재하는 장소
㉠ 배선은 금속관 배선, 합성수지관 배선 또는 케이블 배선 등에 의할 것
㉡ 이동전선은 접속점이 없는 1종 캡타이어 케이블 이외의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한다.
18. 완전확산면은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무엇이 동일한가 ?
㉠ 광속 ㉡ 휘도 ㉢ 조도 ㉣ 광도
[해설] 완전 확산면 (Perfect diffuseing surface)
㉠ 반사면이 거칠면 난반사하여 빛이 확산한다.
㉡ 이 확산 반사 중 면의 휘도가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같은 표면을 완전 확산면이라 한다.
※ 휘도 (Luminance) : 어느 면을 어느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발산 광속으로 단위는 [sb] : stilb, [nt] : nit 을 사용한다.
19. 일반적으로 특고압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의 접지저항 값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① 10 ② 25 ③ 50 ④ 100
[해설] 피뢰기의 접지 (KEC 341. 14) :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 접지저항 값은 10 Ω 이하로 하여야 한다.
20. UPS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① 구간자동개폐기 ② 단로기 ③ 무정전 전원장치 ④ 계기용 변성기
[해설] UPS : 무정전 전원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구간 자동 개폐기 (S/E : 섹셔널라이저 (Sectionalizer) : 고압 배전선에서 사용되는 차단 능력이 없는 유입 개폐기
[정답] 1. ④ 2. ③ 3. ① 4. ① 5. ② 6. ① 7. ② 8. ④ 9. ③ 10. ④
11. ① 12. ④ 13. ③ 14. ① 15. ① 16. ④ 17. ② 18. ② 19. ① 20. ③
#절연전선 #네온전선 #드라이베이트 #쥐꼬리 # 버스덕트 #합성수지관 #부하개폐기
#Sectionalizer #섹션널라이저 #접지전극 #리클로저 #핀애자 #구형애자 #계기용변류기
#케이블 #완전확산면 #휘도 #단로기 #UPS #무정전전원장치
'전기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2-3 (0) | 2024.01.20 |
---|---|
전기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2-2 (0) | 2024.01.19 |
전기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2-1 (0) | 2024.01.19 |
전기기능사 필기 모의고사 1-1 (0) | 2024.01.17 |
전기기능사 모의 고사 1 (2)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