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할론소화설비의 수치

구 분
할론 1301
할론 1211
할론 2402
축압식 저장용기의
저장압력
2.5 MPa 또는
4.2 MPa
1.1 MPa 또는
2.5 MPa
-
가압용 가스용기
2.5 MPa 또는 4.2 MPa
가압식 저장용기
2 MPa 이하의 압력조정장치 설치
방사압력
0.9 MPa 이상
0.2 MPa 이상
0.1 MPa 이상
충전비
가압식
0.9 ~ 1.6 이하
0.7 ~ 1.4 이하
0.51~0.67 미만
축압식
0.67 ~ 2.75 이하

 ▣ 저장용기의 개방밸브 방식

   ㉠ 전기식

   ㉡ 기계식

   ㉢ 가스압력식

 

    ③ 저장용기의 개방밸브안전장치가 부착된 것으로 하며 수동으로도 개방되도록 할 것

★ ④ 하나의 구역을 담당하는 소화약제저장용기소화약제량체적 합계 보다 그 소화약제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집합관 포함)내용적1.5배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 독립방식으로 해야 한다.

2. 할론 소화설비 소화약제 (NFTC 107 2.2)

가.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 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할론 1301 소화설비의 체적 1 ㎥ 당 소요 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방대상물
소요 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차고, 주차장, 전기실, 전산실, 통신기기실, 합성수지류
0.32 ㎏/㎥
2.4 ㎏/㎡
사류, 면화류, 볏짚류, 목재가공품, 대팻밥, 나무부스러기 등
0.52 ㎏/㎥
3.9 ㎏/㎡

나. 국소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① 윗면이 개방된 용기, 연소면이 1면에 한정되고 가연물이 비산할 우려가 없는 경우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저장량
할론 1301
방호대상물 표면적 [㎡] × 6.8 ㎏/㎡ × 1.25
할론 1211
방호대상물 표면적 [㎡] × 7.6 ㎏/㎡ × 1.1
할론 2402
방호대상물 표면적 [㎡] × 8.8 ㎏/㎡ × 1.1

   ② 기타

             여기서, Q : 방호공간 1㎥에 대한 할론소화약제의 양 [㎏/㎡]

                          a : 방호대상물 주위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A : 방호공간의 벽면적의 합계 [㎡]

                          X,Y : 수치

  ◈ 수치

소화약제의 종별
X
Y
할론 1301
4.0
3.0
할론 1211
4.4
3.3
할론 2402
5.2
3.9

다. 호스릴방식의 할론 소화설비 (다음 표에 따른 양 이상)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의 양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할론 1301
45 ㎏
35 ㎏ /min
할론 1211
50 ㎏
40 ㎏ / min
할론 2402
50 ㎏
45 ㎏ / min

  ◈ 할로겐 화합물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

       ① 오존층 파괴           ② 지구온난화

2.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의설치 제외 ★★

  ① 사람이 상주하는 곳으로서 최대허용설계농도를 초과하는 장소

  ② 제3류 위험물제5류 위험물을 사용하는 장소 (소화성능이 인정되는 위험물 제외)

 ▣ 저장용기의 적합기준

   ① 저장용기의 충전밀도충전압력별도기준에 따를 것

   ② 저장용기는 약제명, 저장용기의 자체중량총중량, 충전일시, 충전압력약제체적을 표시할 것

   ③ 집합관에 접속되는 저장용기는 동일한 내용적을 가진 것으로 충전량충전압력같도록 할 것

   ④ 저장용기에 충전량충전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하는 경우에는 해당 소화약제에 적합한 구조로 할 것

   ⑤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5%초과하거나 압력손실10%초과할 경우에는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교체

        것. 단, 불활성 기체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경우에는 압력손실이 5%를 초과할 경우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해

         야 한다. ★★★

3.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산정 (NFTC 107A 2.4)

가. 소화약제의 저장량

   ①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여기서, W : 소화약제의 무게 [㎏]

                        V : 방호구역의 체적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 + K2 × t ) [㎥/㎏]

                         t : 방호구역의 최소예상온도 [℃]

 

       ※ 설계농도 = 소화농도 × 안전계수 (A·C급 : 1.2, B급 : 1.3)

   ② 불활성 기체 소화약제 

         여기서, X : 공간체적당 더 해진 소화약제의 부피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 + K2 × t)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소화농도 × 안전계수)

                      Vs : 20 ℃ 에서 소화약제의 비체적 [㎥/㎏]

                       t : 방호구역의 최소예상온도 [℃]

 

  ▣ 수동식 기동장치

      ① 방호구역마다 설치할 것

      ②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 부근 등 조작을 하는 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③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

           할 것

      ④ 기동장치에는 가깝고 보기 쉬운 곳에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기동장치"라는 표지를 할 것

      ⑤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⑥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음향경보장치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⑦ 50N 이하을 가하여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

6.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배관 (NFTC 107A 2.7)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배관, 배관부속밸브류는 저장용기의 방출내압을 견딜 수 있을 것

  ③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④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 이음이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5301)

  ⑤ 배관부속 및 밸브류는 강관 또는 동관과 동등 이상의 강도 및 내식성이 있을 것

  ⑥ 배관과 배관, 배관과 배관부속 및 밸브류의 접속은 나사접합, 용접접합, 압축접합 또는 플랜지 접합 등의 방법을 사용

       할 것. 수계소화설비에서는 압축접합 제외

       ※ 나 용 압 풀

   ⑦ 배관의 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는 10초 (불활성기체 소화약제A · C급 화재 2분, B급 화재

        1분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 설계 농도의 95% 이상 해당하는 약제량방출되도록 할 것

   ⑧ 배관의 두께는 다음의 계산식에서 구한 값(t) 이상일 것. 다만, 방출헤드 설치부는 제외한다. ★★★

          여기서, P : 최대허용압력 [kPa]

                       D : 배관의 바깥지름 [㎜]

                      SE : 최대 허용응력 [kPa] (배관재질 인장강도의 값과 항복점의 값 중 적은 값 × 배관 이음 효율 × 1.2

                       A : 나사이음, 홈이음 등의 허용값 (㎜) (헤드 설치부분은 제외한다)

          ⊙ 나사이음 : 나사의 높이

          ⊙ 절단홈이음 : 홈의 높이

          ⊙ 용접이음 : 0

   ※ 배관이음효율

      ⊙ 이음매 없는 배관 : 1.0

      ⊙ 전기저항 용접 배관 : 0.85

      ⊙ 가열 맞대기 용접 배관 : 0.60

  ◈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의 방사시간을 10초 이내에 95% 이상 방사해야 하는 이유 : 소화약제 방사시 발생하는 독성물

       질을 감소시켜 실내의 인명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

7. 분사헤드 (NFTC 107A 2.9)

  ① 분사헤드의 설치높이는 방호구역의 바닥으로 부터 최소 0.2m 이상 최대 3.7m 이하해야 하며 천장높이가 3.7 m 를

       초과할 경우에는 추가다른 열분사헤드를 설치할 것

  ② 분사헤드의 개수는 방호구역에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10초 (불활성 기체 소화약제A · C급 화재 2분, B급 화재

        1분)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설계농도의 95% 이상 해당하는 약제량의 방출이 충족되도록 설치할 것

  ③ 분사 헤드에는 부식방지조치를 해야 하며 오리피스 크기, 제조일자, 제조업체가 표시 되도록 할 것

  ④ 분사헤드의 방출률 및 방출압력은 제조업체에서 정한 값으로 한다.

  ⑤ 분사헤드의 오리피스 면적분사헤드연결되는 배관구경면적의 70%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 분말소화설비 클리닝 밸브 : 분말소화약제 방출 후에 남은 배관 내의 잔류 분말소화약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관 청소

      용 밸브

[참고] 분말소화설비의 장·단점

 가. 장점

   ① 소화능력이 우수하고 인체무해하다.

   ② 전기절연성이 우수하여 전기화재에도 적합하다.

   ③ 포와 같은 타 소화약제와 병행하여 용이 가능하다.

   ④ 소화약제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경제성이 높다.

 나. 단점

   ① 소화약제의 잔존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한다.

   ② 방사 후 청소가 필요하다.

   ③ 별도의 가압원이 필요하다.

8. 분말소화설비 저장용기의 설치기준 (NFTC 108 2.1)

  ① 분말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용적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1㎏당 저장용기의 내용적
제1종 분말
0.8 ℓ
제2 · 3종 분말
1 ℓ
제4종 분말
1.25 ℓ

 ② 안전밸브

    ㉠ 가압식 : 최고사용압력의 1.8배 이하

    ㉡ 축압식 : 내압시험압력의 0.8배 이하

 ③ 충전비 : 0.8 이상

 ④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하는 정압작동장치를  설치할 것 ★

 ⑤ 저장용기 및 배관에는 잔류소화약제를 처리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설치할 것

  축압식 분말소화장치는 사용압력의 범위를 표시한 지시압력계를 설치할 것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 안전밸브의 최대 작동 압력

구분
최대작동압력 (최고충전압력)
가압식
최고사용압력 (최고충전압력) × 1.8배 이하
축압식
내압시험압력 × 0.8배 이하

 ▣ 정압작동장치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개방시키는 장치

   ㉠ 봉판식

   ㉡ 기계식

   ㉢ 스프링식

   ㉣ 압력스위치식 (가스압력식)

   ㉤ 시한릴레이식 (전기식)

9. 분말소화설비 가압용 가스용기 (NFTC 108 2.2)

  ① 분말소화약제의 가스용기는 분말소화약제의 저장용기에 접속하여 설치해야 한다.

  ② 분말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용기를 3병 이상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2개 이상용기에 전자개방밸브를 부착해야

       한다.

  ③ 분말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용기는 2.5 MPa 이하의 압력에서 조정이 가능한 압력조정기를 설치해야 한다.

  ④ 가압용 가스 또는 축압용 가스의 설치기준

구 분
질소 (N2)
이산화탄소 (CO2)
가압용
40 ℓ/㎏ 이상
20 g/㎏ +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 이상
축압용
10 ℓ/㎏ 이상

 

10. 분말소화설비 소화약제 (NFTC 108 2.3)

 가.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kg/㎡]

   ◈ 분말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체적 1 ㎥ 당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화약제의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 분말 소화약제 소화설비 방사시간 : 30초 이내

나. 국소 방출 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① 윗면이 개방된 용기, 연소면이 1면에 한정되고 가연물이 비산할 우려가 없는 경우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저장량
제1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8.8 ㎏/㎡ × 1.1
제2 · 3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5.2 ㎏/㎡ × 1.1
제4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3.6 ㎏/㎡ × 1.1

  ② 기타

  여기서, Q : 단위 체적당 소화약제의 양 [㎏/㎥]

               a : 방호대상물의 주변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A : 방호공간의 벽면적의 합계 [㎡]

               X,Y : 수치

  ◈ 수치

소화약제의 종별
X
Y
제1종 분말
5.2
3.9
제2 · 3종 분말
3.2
2.4
제4종 분말
2.0
1.5

 다. 호스릴 방식의 분말 소화설비 (다음 표에 따른 양 이상)

   ◈ 호스릴 방식의 분말 소화설비의 하나의 노즐에 대한 소화약제량 및 방사량

소화약제의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50 ㎏
45 ㎏/min
제2 · 3종 분말
30 ㎏
27 ㎏/min
제4종 분말
20 ㎏
18 ㎏/min

  ◈ 트윈에이전트시스템 (Twin agent system)

      ① 수성막포와 ABC 분말소화약제를 개량한 소포성이 거의 없는 CDC (Compatible Dry Chemmical) 소화약제를

           함께 사용하는 소화설비

      ② 특징

          ㉠ CDC 소화약제 : 신속한 소화 효과

          ㉡ 수성막포 : 재발화방지 효과

          ㉢ 항공기 화재 등에 적합

 ◈ 분말 소화약제의 종류

소화약제
의 종별
주성분
적응화재
색상
비 고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B C급 화재
백색
BC급 소형 소화기용
제2종
탄산수소칼륨
(KHCO3)
B C급 화재
담자색
BC급 대형 소화기용
제3종
인산암모늄
(NH4H2PO4)
ABC급 화재
담홍색
ABC급 소화기용
제4종
탄산수소칼륨 + 요소
(KHCO3+(NH2)2CO)
BC급 화재
회색
국내 미생산

   ※ A급 : 일반화재, B급 : 유류화재, C급 : 전기화재, D급 : 금속화재

11. 분말소화설비 배관 (NFTC 108 2.6)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 아연도금에 따른 배관용 탄소강관(KS D 3507) (축압식 분말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것 중 20℃

       에서 압력이 2.5 MPa 이상 4.2 MPa 이하 :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중 스케줄 40 이상)

  ③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 고정압력 또는 최고 사용압력1.5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

  ④ 밸브류 : 개폐위치 또는 개폐방향을 표시한 것

  ⑤ 배관 부속 및 밸브류 : 배관과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이 있는 것

[참고] 분기하는 배관의 거리

  ▣ 분말소화설비에서 배관을 분기할 경우 저장용기측 굴곡부에서 분기되는 배관의 굴절부까지의 거리는 내경의 20배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12. 분말소화설비 분사헤드 (NFTC 108 2.8)

 가. 전역방출방식

   ① 방사된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전역균일하고 신속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소화약제 저장량을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국소방출방식

   ① 소화약제의 방사에 따라 가연물비산하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기준 저장량의 소화약제를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다. 호스릴 방식

   ①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15 m 이하되도록 할 것

   ② 소화약제의 저장용기 개방밸브는 호스릴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호스릴설치하는 장소 마다 설치할 것

   ④ 저장용기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하고, 이동식 분말소화설비가 있다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할론소화설비 #할로겐소화설비 #불활성기체 #분말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

#국소방출방식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인산암모늄 #안전밸브 #압력

반응형
반응형

【 분말소화설비】

가. 분말소화설비

  ▣ 분말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분말소화약제를 충전하고 외부의 가압가스용기를 설치하여 가압용 가스의 압력으로 분말

       소화약제방출하여 소화하는 설비

 

   ◈ 클리닝 밸브 : 분말소화약제 방출 후에 남은 배관 내의 잔류 분말소화약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관 청소용 밸브

 나. 구성요소

   ① 저장용기    ② 분말소화약제    ③ 기동장치    ④ 감지기    ⑤ 배관    ⑥ 선택밸브   ⑦ 분사헤드    ⑧ 음향경보장치

   ⑨ 자동폐쇄장치    ⑩ 가압용 가스용기    ⑪ 제어반    ⑫ 전원     ⑬ 배선

[참고] 분말소화설비의 장·단점

  가. 장점

    ① 소화능력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다.

    ② 전기절연성이 우수하여 전기화재에도 적합하다.

    ③ 포와 같은 타 소화약제와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④ 소화약제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경제성이 높다.

  나. 단점

    ① 소화약제의 잔존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한다.

    ② 방사 후 청소가 필요하다.

    ③ 별도의 가압원이 필요하다.

1. 저장용기

 가. 저장용기의 설치기준 (NFTC 108 2.1)

   ① 분말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용적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1㎏당 저장용기의 내용적
제1종 분말
0.8 ℓ
제2 · 3종 분말
1 ℓ
제4종 분말
1.25 ℓ

  ② 안전밸브

    ㉠ 가압식 : 최고사용압력의 1.8배 이하

    ㉡ 축압식 : 내압시험압력의 0.8배 이하

  ③ 충전비 : 0.8 이상

  ④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하는 정압작동장치를 설치할 것 ★

  ⑤ 저장용기 및 배관에는 잔류소화약제를 처리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설치할 것

  ⑥ 축압식 분말소화장치는 사용압력의 범위를 표시한 지시압력계를 설치할 것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 안전밸브의 최대 작동 압력

구분
최대작동압력 (최고충전압력)
가압식
최고사용압력 (최고충전압력) × 1.8배 이하
축압식
내압시험압력 × 0.8배 이하

 나. 정압작동장치

   ① 정압작동장치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장치

 

  ② 정압작동장치의 종류

    ㉠ 봉판식 : 저장용기에 가압용 가스가 유입되어 밸브의 봉판이 작동압력에 도달되면 밸브의 봉판이 개방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 기계식 : 저장용기에 유입가스압력작동압력에 도달되면 밸브레버를 당겨서 가스의 통로를 개방하여 가스를

                       주밸브로 보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스프링식 : 저장용기에 가압용 가스유입되어 작동압력 이상에 도달되면 스프링 압력에 의해 상부로 밀려 밸브캡

                           이 열려 주밸브개방시키는 방식

 

    ㉣ 압력스위치식(가스 압력식) ★ (필수) : 가압용 가스가 저장용기 내에 가압되어 압력스위치가 동작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 시한릴레이식(전기식) × : 저장용기에 유입된 가스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미리 산출하여 시한릴레이에

                                                입력기동과 동시에 시한릴레이를 작동하여 입력시간지나면 릴레이의 접점에 의해 솔레

                                                노이드 밸브가 동작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참고】 저장용기에 설치된 밸브의 상태

  가. 잔압방출시 밸브의 상태

    ① 가스도입밸브 : 닫힘

    ② 주밸브(방출밸브) : 닫힘

    ③ 배기밸브 : 열림

    ④ 클리닝밸브 : 닫힘

  나. 압송시 밸브의 상태

    ① 가스도입밸브 : 열림

    ② 주밸브 (방출밸브) : 열림

    ③ 배기밸브 : 닫힘

    ④ 클리닝 밸브 : 닫힘

  다. 클리닝시 밸브의 상태

    ① 가스도입밸브 : 닫힘

    ② 주밸브(방출밸브) : 닫힘

    ③ 배기밸브 : 닫힘

    ④ 클리닝 밸브 : 열림

  ◈ 소화약제 방출 후 배관을 청소(클리닝)하는 이유 : 배관 내의 잔존약제가 수분을 흡수하면 굳어져 배관이 막히므로

2. 가압용 가스용기 (NFTC 108 2.2)

   ① 분말소화약제의 가스용기는 분말소화약제의 저장용기에 접속하여 설치해야 한다.

   ② 분말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용기를 3병 이상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2개 이상용기에 전자개방밸브를 부착해야

        한다.

   ③ 분말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용기는 2.5 MPa 이하의 압력에서 조정이 가능한 압력조정기를 설치해야 한다.

   ④ 가압용 가스 또는 축압용 가스의 설치기준

구 분
질소 (N2)
이산화탄소 (CO2)
가압용
40 ℓ/㎏ 이상
20 g/㎏ +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 이상
축압용
10 ℓ/㎏ 이상

3. 소화약제 (NFTC 108 2.3)

 가.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kg/㎡]

   ◈ 분말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체적 1 ㎥ 당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화약제의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 분말 소화약제 소화설비 방사시간 : 30초 이내

 나. 국소 방출 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① 윗면이 개방된 용기, 연소면이 1면에 한정되고 가연물이 비산할 우려가 없는 경우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저장량
제1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8.8 ㎏/㎡ × 1.1
제2 · 3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5.2 ㎏/㎡ × 1.1
제4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3.6 ㎏/㎡ × 1.1

   ② 기타

            여기서, Q : 단위 체적당 소화약제의 양 [㎏/㎥]

                         a : 방호대상물의 주변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A : 방호공간의 벽면적의 합계 [㎡]

                        X,Y : 수치

   ◈ 수치

소화약제의 종별
X
Y
제1종 분말
5.2
3.9
제2 · 3종 분말
3.2
2.4
제4종 분말
2.0
1.5

 다. 호스릴 방식의 분말 소화설비 (다음 표에 따른 양 이상)

   ◈ 호스릴 방식의 분말 소화설비의 하나의 노즐에 대한 소화약제량 및 방사량

소화약제의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50 ㎏
45 ㎏/min
제2 · 3종 분말
30 ㎏
27 ㎏/min
제4종 분말
20 ㎏
18 ㎏/min

  ◈ 트윈에이전트시스템 (Twin agent system)

       ① 수성막포와 ABC 분말소화약제를 개량한 소포성이 거의 없는 CDC (Compatible Dry Chemmical) 소화약제를

            함께 사용하는 소화설비

      ② 특징

           ㉠ CDC 소화약제 : 신속한 소화 효과

           ㉡ 수성막포 : 재발화방지 효과

           ㉢ 항공기 화재 등에 적합

  ◈ 분말 소화약제의 종류

소화약제
의 종별
주성분
적응화재
색상
비 고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B C급 화재
백색
BC급 소형 소화기용
제2종
탄산수소칼륨
(KHCO3)
B C급 화재
담자색
BC급 대형 소화기용
제3종
인산암모늄
(NH4H2PO4)
ABC급 화재
담홍색
ABC급 소화기용
제4종
탄산수소칼륨 + 요소
(KHCO3+(NH2)2CO)
BC급 화재
회색
국내 미생산

    ※ A급 : 일반화재, B급 : 유류화재, C급 : 전기화재, D급 : 금속화재

4. 배관 (NFTC 108 2.6)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 아연도금에 따른 배관용 탄소강관(KS D 3507) (축압식 분말 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것 중 20℃

                                         에서 압력이 2.5 MPa 이상 4.2 MPa 이하 :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중 스케줄 40 이상)

   ③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 고정압력 또는 최고 사용압력1.5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

   ④ 밸브류 : 개폐위치 또는 개폐방향을 표시한 것

   ⑤ 배관 부속 및 밸브류 : 배관과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이 있는 것

[참고] 분기하는 배관의 거리

  ▣ 분말소화설비에서 배관을 분기할 경우 저장용기측 굴곡부에서 분기되는 배관의 굴절부 까지의 거리는 내경의 20배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5. 분사헤드 (NFTC 108 2.8)

 가. 전역방출방식

   ① 방사된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전역균일하고 신속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소화약제 저장량을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국소방출방식

   ① 소화약제의 방사에 따라 가연물비산하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기준 저장량의 소화약제를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다. 호스릴 방식

   ①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15 m 이하되도록 할 것

   ② 소화약제의 저장용기 개방밸브는 호스릴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호스릴설치하는 장소 마다 설치할 것

   ④ 저장용기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하고, 이동식 분말소화설비가 있다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참고] 분말소화약제의 구비 조건

 가. 내습성이 우수할 것

    ① 분말이 흡습하면 유동성이 감소되어 입자간 응집으로 인하여 소화효과가 감소된다.

    ② 실리콘 등으로 표면처리한다.

 나. 비고화성일 것

    ① 분말이 고화가 되면 유동성이 감소되어 소화효과가 감소된다.

    ② 고화방지를 위해 고화방지제를 첨가하여 내습성을 높인다.

 다. 유동성이 높을 것

    ① 분말의 유동성이 좋아야 가스압력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되고, 방사효율 및 소화성능이 좋아진다.

    ② 활성제를 첨가하여 입자간 내부마찰을 감소한다.

 라. 무독성 및 내부식성일 것

    ① 독성 및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② 외적 조건인 열과 수분에 의해 용해 및 분해현상으로 용기가 부식될 수 있다.

 마. 미세도가 적절할 것

    ① 분말입자가 미세할 수록 화염과 접촉시 반응이 빠르고 표면적이 넓어져 소화효과가 좋다.

    ② 분말입자가 너무 미세할 경우 화재의 상승기류에 의해 화심속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비산되므로 크기별로 적당히

         배합해야 한다.

    ③ 325Mesh 이하의 입자가 75% 정도시 효율이 좋다. (분말의 미세도 : 20~25㎛ 이하)

 바. 일정한 겉보기 비중을 가질 것

    ① 겉보기 비중이 일정하지 않으면 입도분포가 불균일한 것으로 소화효과가 감소한다.

    ② 분말소화약제의 겉보기 비중은 0.82 이상이어야 한다.

  ※ 겉보기 비중 : 눈으로 본 상태의 비중 : 기출문제 넉다운 효과

#분말소화설비 #안전밸브 #소화약제 #저장용기 #방호구역 #압력스위치 #정압작동장치

#가압식 #축압식 #가스도입밸브 #기동용가스용기 #방출표시등 #표시반 #제어반

반응형

'소방설비기사 기계실기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연설비 - 소화활동설비  (8) 2024.09.09
피난구조설비  (4) 2024.09.09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4) 2024.09.09
할론소화설비  (4) 2024.09.09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2) 2024.09.09
반응형

가. 분말소화설비

  ▣ 분말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분말소화약제를 충전하고 외부의 가압가스용기를 설치하여 가압용 가스의 압력으로

       분말소화약제방출하여 소화하는 설비

 

  ◈ 클리닝 밸브 : 분말소화약제 방출 후에 남은 배관 내의 잔류 분말소화약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관 청소용 밸브

나. 구성요소

  ① 저장용기   ② 분말소화약제   ③ 기동장치   ④ 감지기   ⑤ 배관   ⑥ 선택밸브   ⑦ 분사헤드  ⑧ 음향경보장치

  ⑨ 자동폐쇄장치   ⑩ 가압용 가스용기   ⑪ 제어반   ⑫ 전원   ⑬ 배선

[참고] 분말소화설비의 장·단점

 가. 장점

   ① 소화능력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다.

   ② 전기절연성이 우수하여 전기화재에도 적합하다.

   ③ 포와 같은 타 소화약제와 병행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④ 소화약제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경제성이 높다.

 나. 단점

   ① 소화약제의 잔존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한다.

   ② 방사 후 청소가 필요하다.

   ③ 별도의 가압원이 필요하다.

1. 저장용기

가. 저장용기의 설치기준 (NFTC 108 2.1)

  ① 분말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용적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1㎏당 저장용기의 내용적
제1종 분말
0.8 ℓ
제2 · 3종 분말
1 ℓ
제4종 분말
1.2 ℓ

  ② 안전밸브

    ㉠ 가압식 : 최고사용압력의 1.8배 이하

    ㉡ 축압식 : 내압시험압력의 0.8배 이하

  ③ 충전비 : 0.8 이상

  ④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하는 정압작동장치를 설치할 것 ★

  ⑤ 저장용기 및 배관에는 잔류소화약제를 처리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설치할 것

  ⑥ 축압식 분말소화장치는 사용압력의 범위를 표시한 지시압력계를 설치할 것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 안전밸브의 최대 작동 압력

구분
최대작동압력 (최고충전압력)
가압식
최고사용압력 (최고충전압력) × 1.8배 이하
축압식
내압시험압력 × 0.8배 이하

나. 정압작동장치

  ① 정압작동장치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장치

 

  ② 정압작동장치의 종류

    ㉠ 봉판식 : 저장용기에 가압용 가스가 유입되어 밸브의 봉판이 작동압력에 도달되면 밸브의 봉판이 개방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 기계식 : 저장용기에 유입가스압력작동압력에 도달되면 밸브레버를 당겨서 가스의 통로를 개방하여 가스를
                    주밸브로 보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스프링식 : 저장용기에 가압용 가스유입되어 작동압력 이상에 도달되면 스프링압력에 의해 상부로 밀려 밸브캡이

                       열려 주밸브개방시키는 방식

 

  ㉣ 압력스위치식(가스 압력식) ★ (필수) : 가압용 가스가 저장용기 내에 가압되어 압력스위치가 동작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 시한릴레이식(전기식) × : 저장용기에 유입된 가스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미리 산출하여 시한릴레이에

                                                입력기동과 동시에 시한릴레이를 작동하여 입력시간지나면 릴레이의 접점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참고】 저장용기에 설치된 밸브의 상태

 가. 잔압방출시 밸브의 상태

   ① 가스도입밸브 : 닫힘

   ② 주밸브(방출밸브) : 닫힘

   ③ 배기밸브 : 열림

   ④ 클리닝밸브 : 닫힘

 나. 압송시 밸브의 상태

   ① 가스도입밸브 : 열림

   ② 주밸브 (방출밸브) : 열림

   ③ 배기밸브 : 닫힘

   ④ 클리닝 밸브 : 닫힘

다. 클리닝시 밸브의 상태

   ① 가스도입밸브 : 닫힘

   ② 주밸브(방출밸브) : 닫힘

   ③ 배기밸브 : 닫힘

   ④ 클리닝 밸브 : 열림

◈ 소화약제 방출 후 배관을 청소(클리닝)하는 이유 : 배관 내의 잔존약제가 수분을 흡수하면 굳어져 배관이

                                                                                    막히므로

2. 가압용 가스용기 (NFTC 108 2.2)

  ① 분말소화약제의 가스용기는 분말소화약제의 저장용기에 접속하여 설치해야 한다.

  ② 분말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용기를 3병 이상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2개 이상의 용기에 전자개방밸브를 부착해야

       한다.

  ③ 분말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용기는 2.5 MPa 이하의 압력에서 조정이 가능한 압력조정기를 설치해야 한다.

  ④ 가압용 가스 또는 축압용 가스의 설치기준

구 분
질소 (N2)
이산화탄소 (CO2)
가압용
40 ℓ/㎏ 이상
20 g/㎏ +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 이상
축압용
10 ℓ/㎏ 이상

3. 소화약제 (NFTC 108 2.3)

가.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kg/㎡]

  ◈ 분말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체적 1 ㎥ 당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화약제의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 분말 소화약제 소화설비 방사시간 : 30초 이내

나. 국소 방출 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① 윗면이 개방된 용기, 연소면이 1면에 한정되고 가연물이 비산할 우려가 없는 경우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저장량
제1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8.8 ㎏/㎡ × 1.1
제2 · 3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5.2 ㎏/㎡ × 1.1
제4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3.6 ㎏/㎡ × 1.1

  ② 기타

       여기서, Q : 단위 체적당 소화약제의 양 [㎏/㎥]

                    a : 방호대상물의 주변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A : 방호공간의 벽면적의 합계 [㎡]

                    X,Y : 수치

  ◈ 수치

소화약제의 종별
X
Y
제1종 분말
5.2
3.9
제2 · 3종 분말
3.2
2.4
제4종 분말
2.0
1.5

다. 호스릴 방식의 분말 소화설비 (다음 표에 따른 양 이상)

  ◈ 호스릴 방식의 분말 소화설비의 하나의 노즐에 대한 소화약제량 및 방사량

소화약제의 종별
소요약제량
소화약제 저장량
제1종 분말
50 ㎏
45 ㎏/min
제2 · 3종 분말
30 ㎏
27 ㎏/min
제4종 분말
20 ㎏
18 ㎏/min

 ◈ 트윈에이전트시스템 (Twin agent system)

   ① 수성막포와 ABC 분말소화약제를 개량한 소포성이 거의 없는 CDC (Compatible Dry Chemmical) 소화약제를 함께

         사용하는 소화설비

  ② 특징

    ㉠ CDC 소화약제 : 신속한 소화 효과

    ㉡ 수성막포 : 재발화방지 효과

    ㉢ 항공기 화재 등에 적합

◈ 분말 소화약제의 종류

소화약제의 종별
주성분
적응화재
색상
비 고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B C급 화재
백색
BC급 소형 소화기용
제2종
탄산수소칼륨
(KHCO3)
B C급 화재
담자색
BC급 대형 소화기용
제3종
인산암모늄
(NH4H2PO4)
ABC급 화재
담홍색
ABC급 소화기용
제4종
탄산수소칼륨 + 요소
(KHCO3+(NH2)2CO)
BC급 화재
회색
국내 미생산

   ※ A급 : 일반화재, B급 : 유류화재, C급 : 전기화재, D급 : 금속화재

4. 배관 (NFTC 108 2.6)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 아연도금에 따른 배관용 탄소강관(KS D 3507) (축압식 분말 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것 중 20℃

       에서 압력이 2.5 MPa 이상 4.2 MPa 이하 :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중 스케줄 40 이상)

  ③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 고정압력 또는 최고 사용압력1.5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

  ④ 밸브류 : 개폐위치 또는 개폐방향을 표시한 것

  ⑤ 배관 부속 및 밸브류 : 배관과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이 있는 것

[참고] 분기하는 배관의 거리

  ▣ 분말소화설비에서 배관을 분기할 경우 저장용기측 굴곡부에서 분기되는 배관의 굴절부까지의 거리는 내경의 20배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5. 분사헤드 (NFTC 108 2.8)

가. 전역방출방식

  ① 방사된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전역균일하고 신속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소화약제 저장량을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국소방출방식

  ① 소화약제의 방사에 따라 가연물비산하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기준 저장량의 소화약제를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다. 호스릴 방식

  ①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15 m 이하 되도록 할 것

  ② 소화약제의 저장용기 개방밸브는 호스릴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호스릴설치하는 장소 마다 설치할 것

  ④ 저장용기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하고, 이동식 분말소화설비가 있다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참고] 분말소화약제의 구비 조건

 

가. 내습성이 우수할 것

   ① 분말이 흡습하면 유동성이 감소되어 입자간 응집으로 인하여 소화효과가 감소된다.

   ② 실리콘 등으로 표면처리한다.

나. 비고화성일 것

   ① 분말이 고화가 되면 유동성이 감소되어 소화효과가 감소된다.

   ② 고화방지를 위해 고화방지제를 첨가하여 내습성을 높인다.

다. 유동성이 높을 것

   ① 분말의 유동성이 좋아야 가스압력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되고, 방사효율 및 소화성능이 좋아진다.

   ② 활성제를 첨가하여 입자간 내부마찰을 감소한다.

라. 무독성 및 내부식성일 것

   ① 독성 및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② 외적 조건인 열과 수분에 의해 용해 및 분해현상으로 용기가 부식될 수 있다.

마. 미세도가 적절할 것

   ① 분말입자가 미세할 수록 화염과 접촉시 반응이 빠르고 표면적이 넓어져 소화효과가 좋다.

   ② 분말입자가 너무 미세할 경우 화재의 상승기류에 의해 화심속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비산되므로 크기별로 적당히

        배합해야 한다.

   ③ 325Mesh 이하의 입자가 75% 정도시 효율이 좋다. (분말의 미세도 : 20~25㎛ 이하)

바. 일정한 겉보기 비중을 가질 것

   ① 겉보기 비중이 일정하지 않으면 입도분포가 불균일한 것으로 소화효과가 감소한다.

   ② 분말소화약제의 겉보기 비중은 0.82 이상이어야 한다.

 

※ 겉보기 비중 : 눈으로 본 상태의 비중 : 기출문제 넉다운 효과

 

#분말소화설비 #안전밸브 #소화약제 #저장용기 #방호구역 #압력스위치 #정압작동장치

#가압식 #축압식 #가스도입밸브 #기동용가스용기 #방출표시등 #표시반 #제어반

반응형
반응형

1. 옥내 소화전설비에서 수원의 유효수량 중 1/3 이상을 옥상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5가지만 쓰시오. [5점]

      ★★★★★

   ① 지하층만 있는 경우

   ② 고가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옥내소화전 설비

   ③ 가압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옥내소화전 설비

   ④ 수원이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방수구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

   ⑤ 건축물의 높이가 지표면으로 부터 10 [m] 이하인 경우

[해설] 수원의 유효수량 중 1/3 이상을 옥상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NFSC 102 제4조)

   ①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

   ② 고가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옥내소화전설비 : 옥상수조가 설치된 것과 같으므로 이중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③ 수원이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방수구(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에는 헤드)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 : 옥상수조

        가 설치된 것과 같으므로 이중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④ 건축물의 높이가 지표면으로 부터 10 [m] 이하인 경우 : 낙차가 낮고 소화에 유리하고 피난이 용이하다.

   ⑤ 주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별도의 펌프로서 내연기관의 기동과 연결하여 작동되거나 비상전원을 연결하여

        설치한 경우 : 고장 정전 등으로 주펌프의 사용이 불가하더라도 예비펌프는 소화수 공급이 가능하므로 옥상 수조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⑥ 수동기동방식으로 설치된 경우 : 수동기동방식은 평상시에 배관에 물이 없는 건식설비이다. 따라서 옥상수조 설치가

                                                             불필요하다.

   ⑦ 가압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경우 : 가압수조는 기계적 고장, 정전의 우려가 없어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어

                                                             옥상수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2. 옥내 소화전설비 가압송수장치 종류 4가지를 쓰시오.

   ① 고가수조      ② 가압수조     ③ 압력수조           ④ 펌프

[해설] 옥내소화전 설비의 가압송수장치

 

  가. 고가수조방식 : 옥상이나 높은 곳에 물탱크를 설치하여 자연낙차에 의해 법정방수압력 (0.17 [MPa])을 얻는 방식

  나. 압력수조방식 : 압력수조를 물탱크로서 1/3은 에어콤프레셔에 의해 압축공기를, 2/3는 물을 급수펌프로 공급하여

                                 방수구의 법정방수압력을 공급하는 가압방식

  다. 펌프방식 : 방수구에서 법정방수압력을 얻기 위해서 전동기를 사용하여 펌프의 가압에 의해 방수압력을 얻는 방식

                          으로 펌프는 원심펌프를 주로 사용하는데 원심펌프는 볼류트 펌프와 터빈펌프가 있다.

  라. 가압수조방식 : 가압원인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고압기체에 따라 소방용수를 가압시키는 수조를 말한다. 수조와 가압

                          원은 별도로 저장되며 배관내 압력 감소에 따라 중압 제어밸브가 개방되고 가압용기(압축공기 또는 불연

                          성 고압기체)가 개방됨으로서 해당 압력으로 수조의 소화수를 방수구 또는 헤드로 송수하는 방식

 

[참고] 옥내소화전 설비의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의 설치기준 (NFSC 102 제5조)

  ▣ 가압송수장치는 부식등으로 인한 펌프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다만, 충압펌프

       는 제외한다.

   ㉠ 임펠러는 청동 또는 스테인리스 등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할 것

   ㉡ 펌프축은 스테인리스 등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할 것

3. 소화설비에서 충압펌프를 설치하는 이유를 쓰시오. [4점] ★★★

  ▣ 배관내 압력손실에 따른 물의 누설량을 보충하여 주펌프의 빈번한 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설] 충압펌프

  가. 충압 펌프 : 배관내의 압력손실에 따라 주펌프의 빈번한 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압 역할을 하는 펌프

  나. 충압펌프의 설치 :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를 기동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설치

  다. 옥내 소화전설비 충압펌프의 설치기준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를 기동장치로 사용할 경우에 설치)

    ① 펌프의 토출압력은 그 설비의 최고위 호스접결구의 자연압 보다 적어도 0.2 [MPa]이 더 크도록 하거나 가압송수장치

          의 정격토출압력과 같게 할 것

    ② 펌프의 정격토출량은 정상적인 누설량 보다 적어서는 아니되며 옥내 소화전설비가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토출량을 유지할 것

4. 충압펌프가 자주 기동을 하면 설비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설비에 미치는 악영향 4가지를 쓰시오. [8점] ★★★

  ① 배관에 전체적으로 압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므로 노후 또는 피로에 의한 배관 및 배관 부속 등 파손 우려가 있다.

  ②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및 압력 스위치 등에 피로가 가해지므로 소손 우려가 있다.

  ③ 기동용 수압개폐장치가 압력스위치의 잦은 작동으로 제어반내 계전기 등의 소손우려가 있다.

  ④ 충압펌프의 잦은 기동으로 모터 등의 소손우려가 있다.

[해설] 충압펌프의 잦은 기동시 설비에 미치는 악영향

  ① 배관에 전체적으로 압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므로 노후 또는 배관 및 배관부속 등의 파손 우려가 있다.

  ②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및 압력스위치 등에 피로가 가해지므로 소손우려가 있다.

  ③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스위치의 잦은 작동으로 제어반내 계전기 등의 소손우려가 있다.

  ④ 충압펌프의 잦은 기동으로 모터 등의 소손우려가 있다.

5. 옥내 소화전 설비 배관의 총 마찰손실압력이 0.078 [MPa], 호스의 마찰손실압력이 0.025 [MPa]일 때 설치하여야 할

     고가수조의 최소 설치 높이 [m]를 구하시오. [3점]  ★★★

  ▣ 고가수조 전양정 H = h1 + h2 +17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 2.5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 7.8 [m]

                                  17 : 옥내소화전의 규정방수압력 환산 수두 : 0.17 [MPa] 은 약 17 [m]

            ∴ 고가수조 전양정 H = 2.5 [m] + 7.8 [m] + 17 [m] = 27.3 [m]

[해설] 옥내소화전설비의 가압송수장치 (고가수조방식)

        전양정 H = h1 + h2 +17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 2.5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 7.8 [m]

                     17 : 옥내소화전의 규정방수압력 환산 수두 [m] : 0.17 [MPa] 은 약 17 [m]

          ※ 0.1 [MPa] = 10 [m]로 계산하면

               h1 : 0.025 [MPa] = 2.5 [m]

               h2 : 0.078 [MPa] = 7.8 [m]

           ∴ 전양정 H = h1 + h2 + 17 = 2.5[m] + 7.8 [m] + 17 [m] = 27.3 [m]

6. 최상층에 설치된 옥내소화전설비의 노즐 방수압력을 피토게이지로 측정한 결과 0.25 [MPa] 이었다면 고가수조의 설치

    높이는 몇 [m]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 (단, 배관 및 호스 등에서 발생한 전체 마찰손실수두는 5 [m]이고, 가압송수장치는

     고가수조방식으로 한다.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3점] ★★★

   전양정 H = h1 + h2 + 방수압력 환산수두 [m] 

                   = 5 [m] + 25 [m] = 30 [m]

[해설] 옥내소화전설비의 가압송수장치 (고가수조방식)

    전양정 H = h1 + h2 +17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17 : 옥내소화전의 규정방수압력 환산 수두 [m] : (0.17 [MPa] → 약 17 [m])

    ⊙ 문제의 단서에서 h1 + h2 = 5 [m]이다.

    ⊙ 문제의 노즐방수압력이 0.25[MPa]이므로 0.1 [MPa] = 10 [m]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노즐방수압력의 환산수두는

         25 [m] 이다.

      ∴ 고가수조의 설치 높이 H = 5 [m] + 25 [m] = 30 [m] 이다.

        ※ 옥내 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두는 17 [m]이지만 이 문제에서 노즐방수압력의 환산수두가 25 [m]로 주어

             졌으므로 25 [m]를 적용한다. 즉, 노즐에서 0.25 [MPa]의 압력이 측정된 값이다.

7. 다음 그림은 옥내 소화전설비의 압력수조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배관, 관부속품 및 호스의 마찰손실수두는 6.5 [m] 이다.) [6점] ★★★★

 

  가. 압력수조내 바닥부분의 압력[MPa]을 구하시오.

  나. 화재안전기준에 의한 규정방수압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물의 높이 [m]를 구하시오.

  다. 자동식 공기압축기의 설치목적을 간단하게 쓰시오.

[문제 풀이]

  가. 압력수조내 바닥부분의 압력[MPa]을 구하시오.

       ▣ 압력수조내 바닥 부분의 압력 = 0.5 [MPa] + 0.035[MPa] = 0.535 ≒ 0.54 [MPa]

  나.화재안전기준에 의한 규정방수압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물의 높이 [m]를 구하시오.

       ▣ 건축물의 높이 = 54 [m] - 6.5 [m] - 17 [m] = 30.5 [m]

  다. 자동식 공기압축기의 설치목적을 간단하게 쓰시오.

       ▣ 압력수조내에서 누설되는 공기를 자동적으로 보충하여 상시 규정압력 이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해설] 압력수조방식

 

  가. 압력수조내 바닥 부분의 압력

     ▣ 압력수조내 바닥부분의 압력 = 공기압 + 낙차

         ⊙ 공기압 : 문제의 그림에서 0.5 [MPa]이다.

         ⊙ 낙차 : 문제의 그림에서 3.5 [MPa]이다.

     ▣ 0.1 [MPa] = 10 [m]로 환산하여 계산을 하면 3.5 [m] = 0.035 [MPa]이므로

       ∴ 압력수조내 바닥부분의 압력 = 0.5 [MPa] + 0.035[MPa] = 0.535 ≒ 0.54[MPa]

  나. 규정방수압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물의 높이

     ▣ 건축물의 높이 = 압력수조내 바닥부분의 압력환산수두 - 배관, 관부속품 및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 노즐선단의 방수

                                     압력 환산수두

     ▣ 0.1 [MPa] = 10 [m]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 압력수조내 바닥부분의 압력환산수두 : 0.54 [MPa] = 54[m]이다.

       ⊙ 배관, 관부속품 및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 문제의 단서에서 6.5 [m] 이다.

       ⊙ 노즐선단의 방사압력 환산수두 (옥내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두) : 0.17 [MPa] = 17 [m] 이다.

          ∴ 건축물의 높이 = 54[m] - 6.5 [m] - 17 [m] = 30.5 [m]

  다. 자동식 공기압축기 : 압력수조내에서 누설되는 공기를 자동적으로 보충하여 상시 규정 방수압력 이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8. 옥내소화전설비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중 압력챔버의 기능 3가지를 쓰시오. [6점]  ★★★★★

   ① 배관내의 압력저하시 주펌프의 자동기동, 충압펌프의 자동기동 및 자동정지

   ② 배관내의 수격방지 작용

   ③ 배관내의 순간적인 압력 변동으로 부터 안정적인 압력 감지

[해설]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압력챔버)

 가.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 소화설비의 배관내 압력변동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

         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챔버)의 기능

   ① 배관내의 압력 저하시 주펌프의 자동기동, 충압펌프의 자동기동 및 자동정지 (주펌프는 자동으로 정지되어서는

        아니된다.)

   ② 배관내의 수격 방지 기능

   ③ 배관내의 순간적인 압력변동으로 부터 안정적으로 압력 감지

 다.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챔버) : 100 [ℓ] 이상

                                        물올림장치 : 100 [ℓ] 이상

9. 옥내 소화전설비에 사용된느 압력챔버의 역할과 압력챔버에 설치되는 안전밸브의 작동범위를 쓰시오. [5점] ★★★★

  가. 압력챔버의 역할 : 배관 내의 압력저하시 주펌프의 자동기동, 충압펌프의 자동기동 및 자동정지

  나. 압력챔버에 설치되는 안전밸브의 작동범위  : 호칭압력과 호칭압력의 1.3배 압력 범위내

[해설]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가.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 소화설비의 배관에 압력변동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

           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챔버)의 기능

    ① 배관내의 압력 저하시 주펌프의 자동기동, 충압펌프의 자동기동 및 자동정지 (주펌프는 자동으로 정지되어서는

         아니된다.)

    ② 배관내의 수격방지 기능

    ③ 배관내의 순간적인 압력변동으로 부터 안정적으로 압력 감지

다. 압력챔버의 사용압력에 따른 호칭 압력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9조)

호칭압력 [MPa]
1
2
사용압력 [MPa]
1 미만
1 이상 2 미만

  라. 압력챔버 안전밸브의 작동압력범위 : 호칭압력과 호칭압력의 1.3배의 압력 범위 내

[참고] 유수검지장치의 최고사용압력 범위 (유수제어밸브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8조)

호칭압력 [MPa]
1
2
水 (물) 압력 [MPa]
1 ~ 1.4 이내
1.6 ~ 2.2 이내

 

10. 다음 그림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압력챔버 내의 공기를 교체하고자 할 때 조작순서를 차례

       대로 쓰시오. (단, V1, V2, V3 만 이용하고 펌프는 작동 정지상태이다.) [6점] ★★★★★

 

[문제풀이]

  ① V1 밸브를 폐쇄시킨다.

  ② V2, V3 밸브를 개방하여 압력챔버내의 물을 완전히 배수한다.

  ③ 압력챔버 내의 물을 완전히 배수시킨 후 V2, V3 밸브를 폐쇄시킨다.

  ④ 제어반에서 전원스위치를 자동으로 하여 펌프를 기동시킨다.

  ⑤ V1 밸브를 개방하여 압력챔버를 가압한다.

  ⑥ 펌프를 압력챔버의 압력스위치에 의해 정지되도록 한다.

 

[해설] 압력챔버 내의 공기 교체시 조작순서

  ▣ 문제의 그림은 실제 배관도와는 다르며 V3 밸브 없이도 무방하지만 공기를 유통시키기위한 밸브로 보고 답안을 작성

        하여야 한다. 실제 배관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① 개폐밸브를 폐쇄시킨다.

  ② 배수밸브를 개방하여 압력챔버 내의 물을 원활히 배수시킨다.

  ③ 압력챔버 내의 물을 완전히 배수시킨 후 배수밸브를 폐쇄시킨다.

  ④ 제어반에서 전원스위치를 자동으로 하며 펌프를 기동시킨다.

  ⑤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압력챔버를 가압한다.

  ⑥ 펌프를 압력챔버의 압력스위치에 의해 정지되도록 한다.

11.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는 압력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력스위치의 Diff와 Range의 의미에 대하여 쓰시오. [3점]

      ★★

  ① Diff : '펌프의 정지점과 기동점의 차'로 펌프가 Diff 만큼 압력이 떨어지면 펌프가 기동한다.

  ② Range : 펌프의 정지점을 말한다.

[해설]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스위치의 Range · Diff

  ① Range : 펌프의 정지점을 말한다.

  ② Diff : '펌프의 정지점과 기동점의 차이'로 펌프가 Diff 만큼 압력이 떨어지면 기동한다.

 

    기동압력 = 정지압력(Range) - 기동압력 (Diff)

    만약 Range를 9에 놓고 Diff를 1로 셋팅을 하면 기동압력은 9 -1 = 8이 되면 기동압력 8이 되면 펌프가 기동한다.

[참고] 압력스위치의 세팅 (Setting)의 예

<펌프의 압력 세팅방법>

 

12. 다음 조건을 보고 옥내소화전 설비의 주펌프와 충압펌프의 기동과 정지를 하기 위한 압력스위치의 설정압력을 구하시

      오. [3점] ★★★

[조건]

  ① 주펌프 : 1,500 [ℓ/min](토출량), 10 [㎏/㎠] (전양정)

  ② 충압펌프 : 60 [ℓ/min](토출량), 10 [㎏/㎠] (전양정)

  ③ 각 압력스위치의 설정압력 차이는 0.5 [㎏/㎠] 이다.

     가. 충압펌프의 기동압력 [㎏/㎠] : 10[㎏/㎠] - 0.5 [㎏/㎠] = 9.5 [㎏/㎠]

     나. 충압펌프의 정지압력 [㎏/㎠] : 10 [㎏/㎠]

     다. 주펌프의 기동압력 [㎏/㎠] : 9.5[㎏/㎠] - 0.5 [㎏/㎠] = 9 [㎏/㎠]

     라. 주펌프의 정지압력 [㎏/㎠] : 10. 5 [㎏/㎠]

[해설] 펌프 압력스위치의 설정압력

  가. 문제의 조건에서 각 압력스위치의 설정압력 차이는 0.5 [㎏/㎠]이므로

    ① 충압펌프의 기동압력 : 10 - 0.5 = 9.5 [㎏/㎠]

    ② 충압펌프의 정지압력 : 10.5 - 0.5 = 10 [㎏/㎠]

    ③ 주펌프의 기동압력 : 9.5 - 0.5 = 9 [㎏/㎠]

    ④ 주펌프의 정지압력 : 10.5 [㎏/㎠]

13. 최상층의 옥내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직 높이가 85 [m]인 24층 건축물의 1층에 설치된 소화펌프의 정격토출압력은

      1.2 [MPa]이고, 옥내소화전설비의 말단 방수구 요구압력이 0.27 [MPa]이며, 펌프의 기동설정압력은 0.8 [MPa]이다.

      마찰손실을 무시할 경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5점] ★★

  가. 펌프의 사양 (양정)의 적합성 여부

  나. 펌프의 자동기동 여부

[문제 풀이]

  가. 펌프의 사양 (양정)의 적합성 여부

    ① 필요한 펌프의 전양정 : 85 [m] + 27 [m] = 112 [m]

    ② 설치된 펌프의 사양(양정) : 1.2 [MPa] = 120 [m]

  ∴ 필요한 펌프의 전양정 (112 [m]) < 설치된 펌프의 사양(양정) (120 [m])이므로 펌프의 사양은 적합하다.

  나. 펌프의 자동기동 여부

    ① 설정압력 : 0.8 [MPa]

    ② 자연낙차 압력 : 85 [m] = 0.85 [MPa]

    ③ 소화펌프의 기동점 : 0.85 + 0.2 = 1.05 [MPa]

      ∴ 소화펌프의 설정압력이 자연낙차 압력보다 낮으므로 자동기동이 불가능하다.

[해설] 펌프사양의 적정여부 · 펌프의 자동기동 여부

  가. 펌프의 전양정

       전양정 H = h1 + h2 + h3 + 방수압력 환산수두 [m]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h3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 h1, h2 : 문제에서 무시한다. 하였다.

      ⊙ h3 : 소화펌프에서 부터 최상층 옥내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직높이가 85 [m] 이다.

      ⊙ 방수압력의 환산수두 : 문제에서 0.27[MPa] 이므로 0.1[MPa] = 10 [m]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0.27 [MPa] = 27 [m]

                                               이다.

    ① 필요한 펌프의 전양정 H = 85 [m] + 27 [m] = 112 [m]

    ② 설치된 펌프의 사양(양정) : 펌프의 정격토출압력 1.2 [MPa] = 120 [m]

       ∴ 필요한 펌프의 전양정 (112 [m]) < 설치된 펌프의 사양(양정) (120[m])이므로 펌프의 사양은 적합하다.

  나. 펌프 압력스위치의 세팅 (setting)

 

▣ 소화펌프는 설정압력이 자연낙차압력 보다 높아야 자동기동이 가능하다.

   ① 설정압력(setting) : 0.8 [MPa]

   ② 자연낙차압력 (소화펌프가 설치된 1층으로 부터 최상층 옥내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직높이) : 85 [m] = 0.85 [MPa]

        (10 [m] = 0.1 [MPa]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③ 소화펌프의 기동점 : 자연낙차압력 + 0.2 [MPa] 이상 (옥내소화전설비)이므로 0.85 [MPa] + 0.2 [MPa] = 1.05 [MPa]

                                         이 된다.

  ∴ 소화펌프의 설정압력이 자연낙차압력 보다 낮으므로 자동기동이 불가능하다.

14. 옥내소화전설비의 직사형 노즐에서 방수압을 측정하려고 한다. 측정기구의 명칭과 측정방법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4점] ★★★★★ (시험에 자주 나옴)

  ① 측정기구 : 피토 게이지 (방수압력 측정계)

  ② 측정방법 : 노즐선단에서 노즐구경 (D)의 1/2 떨어진 지점에서 노즐선단과 수평하게 피토게이지를 설치하여 게이지

                        상의 눈금을 읽는다.

#고가수조 #가압수조 #압력수조 #펌프 #충압펌프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압력챔버

#가압송수장치 #옥내소화전 #안전밸브 #개폐밸브 #공기압축기 #노즐 #피토게이지

#Diff #Range #압력계 #수격현상

반응형
반응형

1. 분말소화설비

【 분말 소화설비 】

  ▣ 분말 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분말 소화약제를 충전하고 외부에 가압가스용기를 설치하여 가압용 가스의 압력으로

       분말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소화하는 설비

<구성요소>

  ① 저장용기   ② 분말소화약제   ③ 기동장치   ④ 감지기   ⑤ 배관   ⑥ 선택밸브   ⑦ 분사헤드   ⑧ 음향경보장치

  ⑨ 자동개폐장치   ⑩ 가압용가스용기   ⑪ 제어반     ⑫ 전원    ⑬ 배선

<분말 소화설비 구성도>

 

 [계산 사항] ① 약제량 ② 저장용기 내용적 ③ 가압용가스용기량 ④ 안전장치 작동압력

  ※ 압력조정기 : 가압용가스용기의 압력이 15[MPa]인데 이를 감압하여 2.5[MPa] 이하 로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 정압작동장치 : 주밸브는 수동으로 작동할 수 없으므로 자동으로 작동하게 해야 하는데 설정압력(정압)이 되었을 때

                              주밸브를 작동하게 하는 것으로 가압용가스용기에 의해 분말 저장용기의 압력이 설정압력이 되었을 때

                              주밸브를 작동시킨다.

  ※ 클리닝가스용기 : 약제를 방출하면 분말 소화설비는 관내에 약제가 남게 되는데 시간이 지나면 약제가 굳어져서 관이

                              막힐 우려가 있으므로 분말 약제를 방출한 후에는 바로 관청소를 하는데 사용하는 가스용기이다.

【 분말소화설비의 계산식 】

  1. 약제량 산정

                                       ㎥ × ㎏/㎥ + ㎡ × ㎏ / ㎡

                 제1종                    0.6                 4.5

                 제2.3종                 0.36               2.7

                  제4종                   0.24                1.8

 2. 내용적 (저장용기)

     제1종         0.8

      제2.2종      1

      제4종       1.25

   ※ 내용적 : 약제량 × 비율로 산정한다.

3. 가압용 · 축압용 가스용기

  ※ 차고 · 주차장 말이 나오면 제3종 분말을 써야 한다. 차고 · 주차장에는 제3종 분말이 적응성이 있다.

     ⊙ 가압용 · 축압용 가스로는 질소(N2)나 이산화탄소(CO2)를 쓸 수 있다.

  ▶ 가압용 · 축압용 가스

                                   질소)(N2)            이산화탄소 (CO2)

         가 (가압용)          40 [ℓ/㎏]                 20 [g/㎏]

          축 (축압용)          10 [ℓ/㎏]                (이산화탄소 + 청소에 필요한 양 추가)

 4. 안전장치 작동압력

       가                           최                                 1.8 5 × 1.8 = 9 [MPa]

      가압식            최고사용압력

      축 내                                                           0.8 25 × 0.8 = 20 [MPa]

     축압식              내압시험압력

  ※ 안전장치가 언제 작동되는지 ? 지금까지 가압식만 시험에 나왔다.

     최고사용압력이 5[MPa]이라면 5 × 1.8 = 9 [MPa] 에서 작동한다.

가. 저장용기 ♣

 1) 저장용기의 설치기준 (NFSC 108 제4조) ♣

   ①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용적 ★★★♣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1[㎏] 당 저장용기의 내용적
제1종 분말
0.8 ℓ
제2·3종 분말
1 ℓ
제4종 분말
1.25 ℓ

   ※ 주차장, 차고라는 말이 나오면 제3종 분말을 써야 하므로 "1"을 곱해 준다.

 ② 안전밸브 ★★♣

   ㉠ 가압식 : 최고 사용압력의 1.8 배 이하

   ㉡ 축압식 : 내압시험압력의 0.8 배 이하

 ③ 충전비 ♣ : 0.8 이상

 ④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하는 정압작동장치를 설치할 것

 ⑤ 저장용기 및 배관에는 잔류 소화약제를 처리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설치할 것

 ⑥ 축압식 분말 소화설비는 사용압력의 범위를 표시한 지시압력계를 설치할 것

◈ 분말소화설비 저장용기 안전밸브의 최대 작동 압력 ♣

구 분
최대 작동 압력
가압식
최고 사용압력 (최고층 전압력) × 1.8 배 이하
축압식
내압시험압력 × 0.8 배 이하

2) 정압작동장치 ★★★♣

  ①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장치

  ② 정압작동장치의 종류

   ㉠ 봉판식    ㉡ 기계식    ㉢ 스프링식    ㉣ 압력스위치식 (가스압력식) ♣   ㉤ 시한릴레이식 (전기식)

    ※ 시험에서 압력스위치를 암시하는 말이 나온 기출이 있음

<참고> 저장용기에 설치된 밸브의 상태 ♣

 1. 전압방출시 밸브의 상태 ★♣

  ▣ 전압방출

    ⊙ 소화약제 방출을 중단하였을 때 소화약제 저장용기내의 압력가스를 방출하는 것

  ① 가스도입밸브 : 닫힘

  ② 주밸브(방출밸브) : 닫힘

  ③ 배기밸브 : 열림

  ④ 클리닝밸브 : 닫힘

  ⑤ 선택밸브 : 닫힘

2. 압송식 밸브의 상태 ♣

 ▣ 압송

    ⊙ 소화약제 저장용기 내부를 청소하여 소화약제를 충전하기 위한 것

  ① 가스도입밸브 : 닫힘

  ② 주밸브(방출밸브) : 열림

  ③ 배기밸브 : 닫힘

  ④ 클리닝밸브 : 닫힘

  ⑤ 선택밸브 : 열림

3. 클리닝시 밸브의 상태

 ▣ 클리닝

   ⊙ 분말 소화약제의 압송용 배관 내의 잔존 소화약제를 청소하는 것

  ① 가스도입밸브 : 닫힘

  ② 주밸브 (방출밸브) : 닫힘

  ③ 배기밸브 : 닫힘

  ④ 클리닝밸브 : 열림

  ⑤ 선택밸브 : 열림

나. 가압용 가스용기 (NFSC 108 제5조) ★★★♣

  ① 분말 소화약제의 가스용기는 분말 소화약제의 저장용기에 접속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② 분말 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 용기를 3병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용기에 전자개방밸브를 부착하여야

       한다.

  ③ 분말 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 용기에는 2.5 [MPa] 이하의 압력에서 조정이 가능한 압력조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2.5[MPa] 이상 ×)

  ④ 가압용 가스 또는 축압용 가스의 설치기준

구 분
질소 (N2)
이산화탄소 (CO2)
가압용
40 [ℓ/㎏] 이상
20 [g/㎏] + 배관 청소에 필요한 양 이상
축압용
10 [ℓ/㎏] 이상

  ※가압용 가스로는 질소(N2) 또는 이산화탄소 (CO2)를 사용한다. 질소를 사용하는 경우 배관 내부에 잔재물을 남기지

       않으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경우 잔재물을 남겨 청소를 해야 한다.

 

◈ 압력조정기 ★★★

  ⊙ 15 [MPa]의 고압으로 저장된 가압용 가스용기에서 2.5[MPa] 이하의 압력으로 감압하여 소화약제 저장탱크로 보내는

       장치 (사용목적 : 분말용기에 도입되는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해)

  ※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의 가스를 별도의 용기에 저장할 것 ★★

다. 소화약제 (NFSC 108 제6조) ♣

 

 1)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 소화약제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 × 개구부 가산량 [㎏/㎡]

 

◈ 분말소화설비 전액방출방식의 체적 1[㎥] 당 소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

구 분
소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암기법>

       1종                   0.6                 4.5

                               Ⅰ                   

    2,3종                  0.36                2.7

                               Ⅱ                    Ⅱ

      4종                  0.24                 1.8

 

◈ 제3종 분말 (인산암모늄, NH4H2PO4) ★ : 차고 주차장

2) 국소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① 윗면이 개방된 용기, 연소면이 1면에 한정되고 가연물이 비산할 우려가 없는 경우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저장량
제1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8.8 [㎏/㎡] × 1.1
제2 · 3 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5.2 [㎏/㎡] × 1.1
제4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3.6 [㎏/㎡] × 1.1

② 기타

  여기서,  Q : 단위 체적당 소화약제의 양 [kg/㎥]

                a : 방호대상물 주위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A : 방호공간의 벽면적 합계 [㎡]

                X,Y : 수치

◈ 수치

소화약제의 종별
X
Y
제1종 분말
5.2
3.9
제 2 · 3 종 분말
3.2
2.4
제4종 분말
2.0
1.5

3) 호스릴 분말 소화설비 (다음표에 따른 양 이상) ♣

  ▣ 호스릴 분말 소화약제 하나의 노즐에 대한 소화약제량 및 방사량 ★★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의 양
소화약제 방사량
제1종 분말
50 ㎏
45 [㎏/min]
제2 · 3종 분말
30 ㎏
27 [㎏/min]
제4종 분말
20 ㎏
18 [㎏/min]

※ 암기법

                                          전역방출방식                             호스릴 방식

                                         ㎏/㎥       ㎏/㎡                            ㎏             ㎏/min

            제1종                    0.6           4.5                              50               45

                                         Ⅰ                                               Ⅰ

           제2·3종                 3.6           2.7                              30                27

                                         Ⅱ                                               Ⅱ

           제4종                   2.4            1.8                              20                18

◈ 분말 소화약제의 종류 ★★

   ※ A급 : 일반화재, B급 : 유류화재, C급 : 전기화재 D급 : 금속화재

소화약제의
종별
주성분
적용화재
색상
비고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BC급 화재
백색
BC급 소형소화기
제2종
탄산수소칼륨
(KHCO3)
BC급 화재
담자색
BC급 소형소화기
제3종
인산암모늄
(NH4H2PO4)
ABC급 화재
담홍색
ABC급 소화기용
제4종
탄산수소칼륨 + 요소
(KHCO3+(NH3)3CO
BC급 화재
회색
국내 미생산

◈ 분말 소화약제의 주성분 ★

   ① 제1종 분말 : 탄산수소나트륨 (식용유 · 지방질유 화재)

   ② 제2종 분말 : 탄산수소칼륨

   ③ 제3종 분말 : 인산암모늄 (차고 · 주차장 화재) ♣

   ④ 제4종 분말 : 탄산수소칼륨 + 요소

◈ 트윈 에이전트 시스템 (Twin agent system)

  1. 수성막포와 ABC 분말 소화약제를 개량한 소포성이 거의 없는 CDC (Compatible Dry system) 소화약제를 함께

      사용하는 소화설비 ♣

  2. 특징

    ① CDC 소화약제 : 신속한 소화효과

    ② 수성막포 : 재발화 방지 효과

    ③ 항공기 화재 등에 적합

   ※ 트윈에이전트시스템은 수성막포와 제3종 분말 소화약제를 함께 사용하는 소화설비이다.

      (관리사 시험 : 제3종 분말 가로 넣기)

라. 배관 (NFSC 108 제9조) ★★★♣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 아연도금에 따른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07) (축압식 분말 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것 중 20 [℃] 에서 압력이

          2.5 [MPa] 이하 : 압력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중 스케줄 40 이상)

  ③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 고정 압력 또는 최고 사용압력의 1.5 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

  ④ 배관 부속 및 밸브류

     ⊙ 배관과 동등 이상의 강도 및 내식성이 있을 것

<참고> 분기하는 배관의 거리

  ▣ 분말 소화설비에서 배관을 분기할 경우 저장용기 측 굴곡부에서 분기되는 배관의 굴절부까지의 거리는 내경의

       20배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 시험 2번 나옴 : 내경의 몇 배를 띄워야 하는가 ? 20배

마. 분사헤드 (NFSC 108 제11조)

 1) 전역방출방식

   ① 방사된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의 전역에 균일하게 신속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소화약제 저장량을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2) 국소방출 방식

   ① 소화약제의 방사에 따라 가연물이 비산하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기준 저장량의 소화약제를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 호스릴 방식

   ① 방출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1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② 소화약제의 저장 용기의 개방밸브는 호스릴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호스릴을 설치하는 장소마다 설치할 것

   ④ 저장용기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하고 이동식 분말 소화설비가 있다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분말 소화설비 소화약제 방사시간 : 30초

【 출제 예상 문제 】

1. 분말 소화설비에 사용되는 소화약제의 주성분이 아닌 것은 ? ★ ④

  ① 중탄산나트륨   ② 제1인산암모늄   ③ 중탄산칼륨   ④ 중탄산마그네슘

#분말소화설비 #분말 #저장용기 #안전밸브 #선택밸브 #안전밸브 #압력조정기

#정압작동장치 #압력스위치 #트윈에이전트 #수성막포 #호스릴분말소화설비

#분사헤드 #탄산나트륨 #인산암모늄

반응형
반응형

▣ 가스계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CO2) 소화설비

   ⊙ 할론 소화설비

   ⊙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소화약제 개방방법

   ⊙ 전기식

   ⊙ 기계식

   ⊙ 가스압력식 (대부분)

※ 소화약제 저장방법

  ⊙ 저압식 (저장탱크) - 방호구역이 큰 곳

  ⊙ 고압식 (저장용기) - 일반 건물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현황도 】

 

    ※ 자동폐쇄장치 : 개구부가 있는 경우 약제 저장량 가산

【 평면도 】

 

[기억해야 할 수치]

<저장용기, 기동용가스용기>

   ▣ CO2 소화약제 용기, 기동용가스용기 : 6 [MPa]

   ▣ CO2 소화약제 용기, 기동용가스용기 내압시험 압력 : 25 [MPa]

   ▣ 할론(1301) : 저장용기 최대 충압 압력 : 4.2 [MPa]

<집합관 안전밸브>

   ⊙ 내압시험압력의 0.8배 에서 작동 (ex : 25 × 0.8 = 20 [MPa]

<기동용 가스용기에 설치된 안전밸브>

   ⊙ 내압시험 압력의 0.8배에서 내압시험압력 이하에서 작동

<배관부 속 압력>

   ⊙ 1차측 : 4 [MPa]

   ⊙ 2차측 : 2 [MPa]

<분사헤드압력>

   ⊙ 고압식 : 2.1 [MPa]

   ⊙ 할론 :   1301 : 0.9[MPa]

                    1211 : 0.2 [MPa]

                     2402 : 01 [MPa]

   * 할론 1301은 독성이 작지만 기화율이 높다. 방출 후 소화대상물에 가기 전에

      기화가 되지 않도록 압력을 높여 빠르게 분사한다.)

▣ 소화약제의 저장량

 1. 이론약제량

     방호구역의 체적 ㎥ × kg/㎥ + ㎡ × ㎏/㎡ (개구부 가산량)

 2. 실제 약제량

   ⊙ 이론적 약제량은 전체 소요량이고 1병당 45㎏ 을 저장한다고 하면 이론량을 병수로 나눈 후 소수점을 절상한 병수를

        모두 충전해야 하므로 이론적 약제량 보다 실제약제량이 크거나 같아야 한다.

       실제 약제량 ≥ 이론적 약제량

  ⊙ 1병당 충전량

  ※ 충전비

   ⊙ 저압식 : 1.1 ~ 1.4

   ⊙ 고압식 : 1.5 ~ 1.9

      * 할론 1301 : 0.9 ~ 1.1

      * 분말 소화약제 : 0.8

#할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CO2 #소화약제 #충전비 #할로겐화합물

#불활성기체 #압력스위치 #안전밸브 #선택밸브 #평면도 #저장용기

#내압시험 #가스용기 #방호구역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