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계 소화설비에서 수원의 수위가 펌프의 위치보다 낮은 곳에 설치할 경우 펌프의 흡입측 배관 물을 항상 채워 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설치해야 하는 장치의 명칭을 명칭을 쓰시오. [3점] ★★★
[답안] 물올림 장치
[해설] 물올림 장치
가. 물올림 장치
▣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설치하여 펌프와 후드밸브 사이의 배관에 항상 물을 공급하여 펌프
가 물을 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https://blog.kakaocdn.net/dn/bpwQei/btsv91VdWIw/x2q0lTzXOaHcYoOtKRKfDk/img.png)
나. 물올림장치의 설치기준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설치) (NFTC 102. 2. 2. 12)
① 물올림장치에는 전용의 수조를 설치할 것
② 수조의 유효수량은 100[ℓ] 이상으로 하되 구경 15 [㎜] 이상의 급수배관에 따라 해당 수조에 물이 계속 보급되도록
할 것
다. 물올림장치의 감수원인
① 급수차단 ② 자동급수장치의 고장
③ 물올림장치의 배수밸브 개방 ④ 물올림수조의 파손
⑤ 후드밸브의 고장
2. 물계통의 소화설비 가압송수펌프 주위에 설치된 물올림장치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가. 물올림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쓰시오.
나. 물올림장치의 설치기준을 쓰시오.
[문제풀이]
가. 물올림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쓰시오.
▣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나. 물올림장치의 설치기준을 쓰시오.
① 물올림장치에는 전용의 수조를 설치할 것
② 수조의 유효수량은 100 [ℓ] 이상으로 하되 구경 15 [㎜] 이상의 급수배관에 따라 해당 수조에 물이 계속 보급되도록
할 것
[해설] 물올림 장치
가. 물올림 장치
▣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설치하여 펌프와 후드밸브 사이의 배관에 항상 물을 공급하여 펌프
가 물을 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https://blog.kakaocdn.net/dn/7twLj/btswcLdhS1z/kGDWHwJCADsEreR1edjQgK/img.png)
나. 물올림장치의 설치기준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설치) (NFTC 102. 2. 2. 12)
① 물올림장치에는 전용의 수조를 설치할 것
② 수조의 유효수량은 100[ℓ] 이상으로 하되 구경 15 [㎜] 이상의 급수배관에 따라 해당 수조에 물이 계속 보급되도록
할 것
3. 수계소화설비에서 수평 회전축 원심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화재안전기술기준상 흡입측 배관의 설치기준을 2가지만
쓰시오. (단, 수조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이다.) [4점] ★★
[답안작성]
① 공기의 고임이 생기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고 여과장치를 설치할 것
② 각 펌프 (흡입펌프를 포함) 마다 수조로 부터 별도로 설치할 것
[해설] 펌프 흡입측 배관의 설치기준 (NFSC 102.2.3.4)
① 공기의 고임이 생기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고 여과장치를 설치할 것
② 수조가 펌프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에는 각 펌프 (충압펌프를 포함) 마다 수조로 부터 별도로 설치할 것
![](https://blog.kakaocdn.net/dn/QgZrX/btsv90vhtWG/awfJ7uzqBunEW4EXNlVrg0/img.png)
4. 옥내 소화전 설비의 배관에 강관을 사용하지 않고 소방용 합성수지 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우를 3가지 쓰시오. [4점]
★★★★
[답안 작성]
①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②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③ 천장 (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층 바닥의 하면을 포함)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하고 소화배관 내부
에 항상 소화수가 채워진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
[해설] 배관을 소방용 합성수지관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우 (NFTC 102.2.3.2)
①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②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③ 천장 (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층 바닥의 하단을 포함)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 재료로 설치하고 소화배관 내부
에 항상 소화수가 채워진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
※ CPVC : 소방용 합성수지관
5. 가압송수장치의 순환배관에는 체절운전을 대비하여 릴리프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체절운전이란 무엇인지 간단히
쓰시오.
[답안작성] 체절운전이란 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
[해설] 체절운전 · 체절양정 · 체절압력
① 체절운전 : 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
② 체절양정 :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의 양정을 말하며 체절양정은 정격토출양정의 140 [%]를 초과하
지 않아야 한다.
③ 체절압력 : 정격 토출압력의 140 [%] 이하 = 정격토출압력 × 1.4배 이하
[참고] 펌프의 성능 (NFTC 102.2.2.1.7)
▣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 [%]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
이상이 될 것
![](https://blog.kakaocdn.net/dn/bu1Anp/btswgWlo5jH/yTj0hfSZB3D3KAzFDlMh6K/img.png)
▣ 펌프 성능시험 배관
![](https://blog.kakaocdn.net/dn/lurGL/btsv7Wf0NeD/PH438Q9HDJLScvvOIvaa6K/img.png)
6. 펌프의 운전에서 체절양정이란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시오. [4점] ★★★★
▣ 펌프 토출측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의 양정을 말하며 체절양정은 정격 양정의 140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7. 펌프의 운전에서 체절압력이란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시오. [4점] ★★★★
▣ 체절운전시 펌프의 최대 능력에 해당되는 압력을 말하며 체절압력은 그 펌프의 정격 토출압력의 140 [%] 이하이다.
8. 소화펌프가 갖추어야 할 성능기준을 유량과 양정에 대하여 쓰시오. [3점] ★★★★
①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 [%]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② 정격토출량의 150 [%]로 운전시 정격토출 압력의 65 [%] 이상이 될 것
③ 펌프의 성능곡선이 산 모양이 되지 않고 일정할 것
9. 소방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의 140[%]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 토출량의 150 [%]로 운전시 정격토출
압력의 65 [%]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 문장의 기술적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4점] ★★★★
①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의 140 [%]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 토출량이 "0"이므로 배관에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② 정격토출량의 150 [%]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이상이 될 것 : 토출량이 정격토출량 이상 (150%)으로 변하여도
토출압력의 변화가 작은 성능을 유지 (0.65배 이상)해야 한다.
[해설] 소방펌프의 성능
① 체절운전이란 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으로 이 경우
배관 내 압력 및 수온이 급격히 상승하므로 배관 및 부속류를 보호하기 위하여 펌프의 토출측에 릴리프 밸브를 설치하
여 체절압력 직전에 개방하도록 하여 토출측의 압력을 체절압력 이하로 되게 해야 한다.
② 정격토출량의 1.5배를 토출하는 과부하 운전은 과부하 운전점에서의 펌프압력은 정격 토출압력의 0.65배 이상이 되어
야 하며, 이것은 토출량이 정격토출량 이상 (1.5배)로 변하여도 토출압력의 변화가 작은 성능을 유지(0.65 이상)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10. 다음 그림은 펌프의 성능곡선이다. A값은 얼마인가 ? [3점] ★★★★★
![](https://blog.kakaocdn.net/dn/bgYB6U/btsv8aSMOdO/kWXktDD944kvbkScuhWig1/img.png)
[답압 작성] 65 %
11.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펌프성능곡선을 그리시오. [5점] ★★★★★
[조건]
① 펌프의 정격토출량 : 800 [ℓ/min]
② 펌프의 전양정 : 80 [m]
[답안 작성]
![](https://blog.kakaocdn.net/dn/VpUQf/btsv8iiVKyj/goq2Oza8ebdbILJhLjcnxk/img.png)
[해설] 펌프의 성능 (NFTC 102. 2. 2)
▣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 [%]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
이상이 될 것
![](https://blog.kakaocdn.net/dn/boaG6p/btswwONQrjv/MRsWDY5sZu82tuijgHjW8K/img.png)
① 펌프의 정격 토출량 : 800 [ℓ/min]
⊙ 100 [%] : 800 [ℓ/min]
⊙ 150 [%] : 800 [ℓ/min] × 1.5 = 1,200 [ℓ/min]
② 펌프의 전양정 : 80 [m] (10[m] = 0.1 [MPa]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펌프의 정격토출 압력은 0.8 [MPa]가 된다.)
⊙ 100 [%] = 0.8 [MPa]
⊙ 140 [%] = 0.8 [MPa] × 1.4 = 1.12 [MPa]
⊙ 65 [%] = 0.8 [MPa] × 0.65 = 0.52 [MPa]
※ 문제의 조건에 따라 펌프의 성능곡선을 그리면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bJD3t6/btsv7m0jEuQ/K581QNXoFrjWGKokAmrE00/img.png)
12. 옥내소화전설비 펌프의 정격토출량이 800 [ℓ/min], 정격양정이 70 [m]일 때, 펌프의 성능특성곡선을 그리고 체절운전
점, 100% 운전점(설계점) 및 150 [%] 운전점을 명시하시오. [5점] ★★★★★
[답압작성]
![](https://blog.kakaocdn.net/dn/cVTbK1/btswcNCaLjV/nfpxpPga5huxMB7q0WnRK1/img.png)
13. 옥내소화전설비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펌프의 성능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5점] ★★★★★
가. 펌프의 성능기준을 쓰시오.
나. 펌프의 성능곡선을 그리시오.
![](https://blog.kakaocdn.net/dn/k8kxC/btsv9POd9dl/F7MnUk9VzrLTAi5kL1uArk/img.png)
다. 펌프 성능시험 배관의 적합기준을 2가지 쓰시오.
[문제풀이]
가. 펌프의 성능기준을 쓰시오.
▣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이상
을 유지할 것
나. 펌프의 성능곡선을 그리시오.
![](https://blog.kakaocdn.net/dn/qbsAR/btsv90ow2Dl/O7FMxqO7HFrCbRzlCrrp10/img.png)
다. 펌프 성능시험 배관의 적합기준을 2가지 쓰시오.
①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직선으로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직관부에는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개폐밸브와 유량측정장치 사이의
직관부 거리 및 유량측정장치와 유량조절밸브 사이의 직관부 거리는 해당 유량측정장치 제조사의 설치사양에 따르고,
성능시험배관의 호칭지름은 유량측정장치의 호칭지름에 따른다.
② 유량측정장치는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0 [%]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해설] 펌프성능시험배관의 적합기준 (NFTC 102. 2. 3. 7)
①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직선으로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직관부에는 개폐밸브를, 후단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개폐밸브와 유량측정장치 사이의
직관부 거리 및 유량측정장치와 유량조절밸브 사이의 직관부 거리는 해당 유량측정장치 제조사의 설치사양에 따르고
성능시험배관의 호칭지름은 유량측정장치의 호칭지름에 따른다.
② 유량측정장치는 펌프의 정격 토출량의 175 %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https://blog.kakaocdn.net/dn/btq4dp/btsv8z5TBdR/DmDJvDWZkaVmn2JdkTq0Q0/img.png)
※ 유량 측정장치 (유량계)의 설치 예
▣ 펌프의 정격 토출량이 1,000[ℓ/min]인 경우 유량측정장치는 1,750 [ℓ/min] 이상의 것을 설치해야 한다.
14. 옥내 소화전설비 가압송수장치(펌프)의 성능시험을 실시하려고 한다. 다음 주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성능시험 순서 및
시험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을 쓰시오. [6점] ★★★★★
![](https://blog.kakaocdn.net/dn/bkHUcJ/btsv90PBRPB/QSx2VOy2rz3MuWlxFNZbb0/img.png)
가. 성능시험 순서
나. 판정 기준
[답안작성]
가. 성능시험 순서
① 개폐밸브 (①) 폐쇄
② 제어반에서 충압펌프 정지
③ 릴리프 밸브 조절나사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완전히 폐쇄
④ 주펌프 기동 (제어반에서 수동기동 또는 압력챔버에서 자동 기동)
⑤ 펌프의 토출측 압력계 (④)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토출압력의 140 [%] 이하인지 확인 : 체절압력 시험
⑥ 릴리프 밸브를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도록 조절
⑦ 개폐밸브 (③)을 서서히 개방하면서 유량계 (⑦)에서 펌프 정격 토출량이 되도록 하고, 이 때 압력계 (④)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 토출압력 이상인지 확인 : 정격부하 시험
⑧ 개폐밸브 (③)을 서서히 더 개방하여 유량계 (⑦)에서 펌프 정격토출량의 150%가 되도록 하고 이 때 압력계 (④)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토출압력의 65 [%] 이상인지 확인 : 과부하 시험
⑨ 주펌프 정지
⑩ 개폐밸브 (③) 폐쇄 및 개폐밸브 (①)의 개방
⑪ 제어반에서 주펌프 및 충압펌프 자동
나. 판정기준 :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 이상이면 정상이다.
[해설] 펌프의 성능시험
① 문제의 그림에 릴리프 밸브가 없으나 체절압력시험에 필요하므로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을 한다.
② 문제의 그림에 성능시험배관의 유량조절밸브가 없으므로 개폐밸브 (③)을 통하여 유량을 조절해야 한다.
③ 펌프의 성능시험에는 체절압력시험(무부하 시험), 정격부하시험, 과부하 시험 (최대부하시험, 피크부하시험)이 있다.
㉠ 펌프의 성능시험에는 체절압력시험(무부하시험), 정격부하시험, 과부하시험(최대압력 시험, 피크부하시험)이 있다.
㉡ 다음에 의하여 시험을 행한다.
ⓐ 펌프 토출측 주밸브 폐쇄
ⓑ 제어반에서 충압펌프 정지
ⓒ 릴리프 밸브 조절나사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완전히 폐쇄
ⓓ 주펌프 기동 (제어반에서 수동 기동 또는 압력챔버에서 자동 기동)
ⓔ 펌프 토출측 압력계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토출압력의 140 % 이하인지 확인 : 체절압력시험
ⓕ 릴리프 밸브를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도록 조절
ⓖ 성능시험 배관의 개폐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개방하면서 유량계에서 펌프 정격토출량이
되도록 하여 이 때 펌프 토출측 압력계 지시치가 펌프 정격 토출압력 이상인지 확인 : 정격 부하 시험
ⓗ 성능시험배관의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개방하여 유량계에서 펌프 정격토출량의 150%가 되도록 하여 이 때 펌프
토출측 압력계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 토출압력의 65 % 이상인지 확인 : 과부하 시험
ⓘ 주펌프 정지
ⓙ 성능시험배관의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폐쇄하고 펌프 토출측 주밸브를 서서히 개방
ⓚ 제어반에서 주펌프 및 충압펌프 자동
④ 펌프성능시험의 적합기준 (NDTC 102. 2. 3. 7)
㉠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직선으로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직관부에는 개폐밸브를, 후단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개폐밸브와 유량측정장치 사이의
직관부 거리 및 유량측정장치와 유량조절밸브 사이의 직관부 거리는 해당 유량측정장치 제조사의 설치사양에 따르
고 성능시험배관의 호칭지름은 유량측정장치의 호칭지름에 따른다.
㉡ 유량측정장치는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 %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15. 펌프의 성능시험배관에 설치된 유량계 (유량측정장치)의 설치 목적과 펌프의 성능시험 방법을 쓰시오. [8점]
★★★★★
가. 유량계의 설치 목적
나. 펌프의 성능시험 방법
[답안작성]
가. 유량계의 설치 목적 : 펌프의 성능이 정격토출량의 150 [%]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 이상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나. 펌프의 성능시험 방법
① 펌프의 성능시험에는 체절압력시험 (무부하시험), 정격부하시험, 과부하시험 (최대부하시험, 피크부하시험)이 있다.
② 다음에 의하여 시험을 행한다.
㉠ 펌프 토출측 주밸브 폐쇄
㉡ 제어반에서 충압펌프 정지
㉢ 릴리프 밸브의 조절나사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완전히 폐쇄
㉣ 주펌프 기동 (제어반에서 수동기동 또는 압력챔버에서 자동 기동)
㉤ 펌프 토출측 압력계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 토출압력의 140%이하인지 확인 : 체절압력시험
㉥ 릴리프 밸브를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도록 조절
㉦ 성능시험 배관의 개폐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개방하면서 유량계에서 펌프 정격토출량이
되도록 하여 이때 펌프 토출측 압려계의 지시치가 펌프의 정격토출압력 이상인지 확인 : 정격부하시험
㉧ 성능시험 배관의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더 개방하여 유량계에서 펌프 정격토출량의 150 %가 되도록 하여 이 때
펌프 토출측 압력계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 토출압력의 65 % 이상인지 확인 : 과부하시험
㉨ 주펌프의 정지
㉩ 성능시험배관의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폐쇄하고 펌프 토출측 주밸브를 서서히 개방
㉪ 제어반에서 주펌프 및 충압펌프 자동
16. 다음은 소화설비의 펌프 성능시험방법을 설명한 내용이다. ③과 ⑥을 완성하시오. [6점] ★★★★★
![](https://blog.kakaocdn.net/dn/cC7GFh/btsv8ayrlwD/xvSN69bFTDKt7Tvu3dTaz1/img.png)
① 주배관의 개폐밸브를 잠근다.
② 제어반에서 충압펌프의 기동을 정지한다.
③
④ 성능시험 배관상에 있는 개폐밸브를 개방한다.
⑤ 성능시험 배관의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개방하여 유량계를 통과하는 유량이 정격 토출 유량이 되도록 한다.
⑥
⑦ 성능시험 배관상에 있는 유량계를 확인하여 펌프의 성능을 측정한다.
⑧ 성능시험 후 배관상 개폐밸브를 잠근 후 주밸브를 개방한다.
⑨ 제어반에서 충압펌프 정지를 해제한다.
[답안작성]
③ 릴리프 밸브를 폐쇄, 주펌프를 기동하여 펌프 토출측 압력계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 토출압력의 140 % 이하인지 확인
한 후 릴리프 밸브를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도록 조절한다.
⑥ 성능시험 배관의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더 개방하여 유량계에서 펌프 정격토출량의 150 %가 되도록 유량을
조절한다.
17. 소화배관의 성능시험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가. 수계 소화설비에서 소화펌프의 성능시험배관 (유량계 설치방식)의 구성방식(계통)을 펌프와 연관하여 도시하시오.
나. 성능시험배관을 설치하는 목적을 쓰시오.
다. 성능시험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측정하기 위함인지 쓰시오.
라. 성능시험의 방법을 순서대로 쓰시오.
[답안작성]
가. 성능시험 배관 계통도 작성
![](https://blog.kakaocdn.net/dn/mmUsE/btsv7jCut5U/P7WgyZZwkLYD7ys9GkPJNk/img.png)
나. 성능시험배관 설치 목적 :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
토출압력의 65 % 이상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 성능시험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측정하기 위함인지 쓰시오.
▣ 주펌프의 분당 토출량
라. 성능시험방법을 순서대로 쓰시오.
① 펌프의 성능시험에는 체절압력시험 (무부하시험), 정격부하시험, 과부하시험(최대압력시험, 피크부하시험)이 있다.
② 다음에 의하여 시험을 행한다.
㉠ 펌프의 토출측 개폐밸브를 폐쇄
㉡ 제어반에서 충압펌프 정지
㉢ 릴리프 밸브의 조절나사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완전히 폐쇄
㉣ 주펌프 기동 (제어반에서 수동기동 또는 압력챔버에서 자동 기동)
㉤ 펌프 토출측 압력계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 토출압력의 140%이하인지 확인 : 체절압력시험
㉥ 릴리프 밸브를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도록 조절
㉦ 성능시험 배관의 개폐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개방하면서 유량계에서 펌프 정격토출량이
되도록 하여 이때 펌프 토출측 압려계의 지시치가 펌프의 정격토출압력 이상인지 확인 : 정격부하시험
㉧ 성능시험 배관의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더 개방하여 유량계에서 펌프 정격토출량의 150 %가 되도록 하여 이 때
펌프 토출측 압력계의 지시치가 펌프 정격 토출압력의 65 % 이상인지 확인 : 과부하시험
㉨ 주펌프의 정지
㉩ 성능시험배관의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를 서서히 폐쇄하고 펌프 토출측 주밸브를 서서히 개방
㉪ 제어반에서 주펌프 및 충압펌프 자동
18. 화재안전기술기준에 의한 펌프의 성능시험배관의 설치 기준을 쓰시오. [4점] ★★★★★
[답안작성]
①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직선으로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직관부에는 개폐밸브를, 후단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개폐밸브와 유량측정장치 사이의
직관부 거리 및 유량측정장치와 유량조절밸브 사이의 직관부 거리는 유량측정장치 제조사의 설치사양에 따르고
성능시험 배관의 호칭지름은 유량측정장치의 호칭지름에 따른다.
② 유량측정장치는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 %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19. 옥내소화전설비의 순환배관에 설치된 릴리프밸브의 작동점은 얼마인가 ? [3점] ★★★★★
[답안] 체절압력 미만
[해설] 순환배관 (NFTC 102. 2. 3. 8)
▣ 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한 구경 20 [㎜] 이상의
배관에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78YMM/btswpYwos70/75VTy9iKtMTlY4VqIKdJy0/img.png)
※ 순환배관 : 체절운전시 수온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 (릴리프 배릅가 설치된 배관)
20. 펌프의 성능곡선이 다음과 같을 때 릴리프 밸브의 작동압력은 몇 [MPa]이하로 설정해야 하는가 ? [3점] ★★★★★
![](https://blog.kakaocdn.net/dn/QicXQ/btswklZEiOC/ovGueon0KnskWErVg7xX2K/img.png)
[답안작성] 릴리프 밸브의 작동압력 = 1 × 1.4 = 1.4 [MPa] 이하
21. 다음의 그림 및 조건을 참조하여 펌프를 운전할 때 체절압력을 확인하고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을 조정하는 방법을
기술하시오. [7점] ★★★★★
![](https://blog.kakaocdn.net/dn/brNcCr/btsv8bjMFLb/wHx9QGbL2d9At2EptbaWSK/img.png)
[조건]
① 조정시 주펌프의 운전은 수동운전을 원칙으로 한다.
② 릴리프 밸브의 작동점은 체절압력의 90 %로 한다.
③ 조정전의 릴리프 밸브는 체절압력으로도 개방되지 않은 상태이다.
④ 배관의 안전을 위해 주펌프 2차측의 V1은 폐쇄후 주 펌프를 기동한다.
⑤ 조정전의 V2, V3는 잠금상태이며 체절압력의 90 % 압력의 성능시험배관을 이용하여 만든다.
[답안작성]
① V1 밸브를 폐쇄한다.
② 주펌프를 제어반에서 수동으로 기동한다.
③ 압력계의 지시치로 체절압력을 확인한다.
④ V2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V3 밸브를 서서히 개방하면서 체절압력의 90% 압력이 되도록 한다.
⑤ 이 때 릴리프 밸브를 서서히 개방한다.
⑥ 릴리프 밸브가 개방되는 순간 릴리프 밸브의 개방압력이 체절압력의 90 %로 조정된 상태이다.
⑦ 주펌프를 제어반에서 수동으로 정지, V1 밸브 개방, V2 밸브 폐쇄, V3 밸브 폐쇄 및 제어반에서 주펌프를 자동으로
한다.
22. 다음 그림과 같이 소방대 연결송수구와 체크밸브 사이에 자동배수 장치 (auto drip) 를 설치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지
간단히 쓰시오. [4점] ★★★★★ (자주 출제)
![](https://blog.kakaocdn.net/dn/dbaO1e/btswpYb5gBu/agH1PrrxD3cJNVaPSxi9b1/img.png)
[답안작성] 소화작업 후 송수구와 체크밸브 사이의 배관내에 고여 있는 물을 자동으로 배수시켜 배관의 동파방지 및 부식
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설] 자동배수밸브 (auto drip)
▣ 소화작업 후 송수구와 체크밸브 사이에 물이 고이게 된다. 따라서 이 고여 있는 물을 방치할 경우 배관의 동파 및 부식
의 원인이 되므로 자동배수밸브를 설치하여 배관내에 고여 있는 물을 자동으로 배수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a6xGi/btsv8xtt06h/yCsk6HteG9RRJElDkPlyy1/img.png)
23. 다음은 옥내소화전 설비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10점] ★★★★
▣ 옥내소화전 방수구는 특정소방대상물의 ( ① ) 마다 설치하고 해당 ( ② )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 ③ ) 까지의 ( ④ )
거리가 ( ⑤ ) 이하이고 바닥으로 부터의 높이가 ( ⑥ ) 이하가 되도록 한다. 호스는 옥내소화전함 내의 ( ⑦ )와 항상 연
결되어 있어야 하고 29층 이하인 경우 옥내소화전의 수원의 양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
의 설치개수 즉, 옥내 소화전 ( ⑧ ) 개 이상 설치한 경우 (⑨ ) 개에 (⑩ ) [㎡]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한다.
[답안작성]
① 층 ② 특정소방대상물 ③ 옥내소화전방수구 ④ 수평 ⑤ 25 [m] ⑥ 1.5 [m] ⑦ 방수구 ⑧ 2 ⑨ 2 ⑩ 2.6
[해설]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구 · 수원의 양
▣ 옥내소화전설비 방수구의 설치기준 (NFTC 102. 2. 4. 2)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옥내 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평
거리가 25 [m] (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세대의
출입구가 설치된 층에만 설치할 수 있다.
② 바닥으로 부터 높이가 1.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③ 호스는 구경 40 [㎜] (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 [㎜]) 이상의 것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에 물이
유효하게 뿌려질 수 있는 길이로 설치할 것
④ 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그 노즐에는 노즐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할 것
![](https://blog.kakaocdn.net/dn/ba0xwU/btswbez3OeP/HOdqCXlh3Hvksd3KULvFd1/img.png)
⑤ 각종 설비의 설치 높이
구 분
|
설 치 높 이
|
⊙ 송수구
⊙ 채수구
⊙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
⊙ 옥외소화전설비의 호스릴접결구
|
0.5 [m] 이상 1 [m] 이하
|
⊙ 기타
|
0.8 [m] 이상 1[m] 이하
|
⊙ 소화기 (주차장 : 1.5 [m] 이상)
⊙ 포호스릴함 : 포호스함
⊙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구
|
1.5 [m] 이하
|
⑥ 소방호스는 옥내소화전함 내의 방수구와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nXk22/btsv8ciG1dQ/uebQPfAVmVl3nopdf5udrk/img.png)
24. 다음 ( 0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6점] ★
▣ 옥내 소화전함의 재질은 ( ① ) 이상의 강판 및 강대 또는 두께 ( ② ) 이상의 합성수지제로 하여야 한다. 문의 면적은
( ③ ) 이상으로 하며 밸브의 조작, 호스의 수납 등에 충분한 여유를 갖도록 하고 위치를 표시하는 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표시등의 불빛은 부착면과 ( ④ ) 이하의 각도로도 발산되어야 하며 주위의 밝기가 0 [lx]인 장소에서 측정
하여 ( ⑤ ) [m] 떨어진 위치에서 켜진 등이 확실히 식별되어야 하며, ( ⑥ )으로 해야 한다.
[답안] ① 1.5 [㎜] ② 4 [㎜] ③ 0.5 [㎡] ④ 15 ˚ ⑤ 10 ⑥ 적색등
25. 소화설비에서 앵글밸브를 설치해야 하는 곳 3가지를 쓰시오. [4점] ★★
[답안]
① 옥내 소화전설비의 방수구
② 스프링클러설비 교차배관 끝에 설치되는 청소구의 개폐밸브
③ 물분무소화설비 교차배관 끝에 설치되는 청소구의 개폐밸브
[해설] 소화설비에서 앵글밸브를 설치해야 하는 곳
가. 앵글밸브
▣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입구와 출구가 직각인 밸브
나. 앵글밸브를 설치해야 하는 곳
① 옥내 소화전설비의 방수구 (소화설비)
② 스프링클러설비 교차배관 끝에 설치되는 청소구의 개폐밸브 (소화설비)
③ 물분무소화설비 교차배관 끝에 설치되는 청소구의 개폐밸브 (소화설비)
④ 미분무소화설비 교차배관 끝에 설치되는 청소구의 개폐밸브 (소화설비)
⑤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 (소화활동설비)
26. 옥내 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상 옥내소화전설비 방수구의 설치제외 장소 5가지를 쓰시오.
[답안작성]
① 냉장고 중 온도가 영하인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 냉동실
② 고온의 노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 장소
③ 발전소 · 변전소 등으로서 전기시설이 설치된 장소
④ 식물원 · 수족관 · 목욕실 · 수영장 (관람석 부분 제외) 또는 그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⑤ 야외 음악당 · 야외극장 또는 이와 비슷한 장소
[해설] 옥내소화전 설비 방수구의 설치 제외 장소 (NFTC 102. 2. 8)
※ 냉 고 발 야 식
① 냉장고 중 온도가 영하인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 냉동실
② 고온의 노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 장소
③ 발전소 · 변전소 등으로서 전기시설이 설치된 장소
④ 식물원 · 수족관 · 목욕실 · 수영장 (관람석 부분 제외) 또는 그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⑤ 야외 음악당 · 야외극장 또는 이와 비슷한 장소
27. 다음 그림은 어느 건축물 내에 설치된 옥내소화전 호스 내장함의 문을 열었을 때의 내부 모습이다. 잘못된 점을 2가지
만 지적하고 그 이유를 쓰시오. [4점] ★★★
※ 안 나온지 오래 되었음
![](https://blog.kakaocdn.net/dn/bbgvEe/btswPWLeygv/ragSGKCdXX1pbxCtaA7Uw1/img.png)
가. 잘못된 점
① 펌프 기동표시등이 녹색이다.
② 앵글밸브와 소방호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나. 이유
① 펌프 기동표시등은 적색이어야 한다.
② 앵글밸브의 소방호스는 평상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해설] 옥내소화전설비함 등 설치기준
가. 잘못된 점
① 펌프기동표시등이 녹색이다.
② 앵글밸브와 소방호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③ 소방호스가 동글게 말려 있다.
④ 앵글밸브의 설치 높이가 바닥으로 부터 1.6 [m] 이다.
나. 이유
① 펌프기동표시등은 적색이어야 한다.
② 앵글밸브와 소방호스는 평상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③ 소방호스가 사용이 용이하도록 가즈런히 개어여 있던지 소방용 호스걸이에 걸려 있어야 한다.
④ 앵글밸브의 설치 높이가 1.5 [m] 이하이어야 한다.
28. 옥내 소화전 직사형 방사노즐에 피토관을 설치하여 압력을 측정하였더니 0.3 [MPa] 이었다. 이 노즐을 통하여 방사
되는 물의 방사속도 [m/s]를 구하시오. (단, 노즐의 속도계수는 0.98 이다.) [3점] ★★★★★
![](https://blog.kakaocdn.net/dn/nw8Jz/btswpYQHqLe/ATN8rHcuQ6qLMroV85dDU1/img.png)
[해설] 방사속도
![](https://blog.kakaocdn.net/dn/zOs7W/btsv9LkIRe0/tcsAdmZrYJeeyB6Y1Q6MB1/img.png)
여기서, v : 유속 [m/s]
Cv : 속도계수
g : 중력가속도 [m/s2]
H : 높이 [m]
【 압력 단위 환산 】
1 [atm]
|
760 [㎜Hg]
|
76 [㎝Hg]
|
101,325 [Pa]
|
101.325 [kPa]
|
0.101325 [MPa]
|
10,332[㎜Aq, ㎜H2O]
|
10.332[mAq, mH2O]
|
-
|
1.0332 [㎏f/㎠]
|
10,332 [㎏f/㎡]
|
-
|
1,013 [mbar]
|
1.013 [bar]
|
14.7 [psi]
|
#물올림장치 #유효수량 #압력계 #후드밸브 #순환배관 #체절압력 #토출량 #성능곡선
#유량측정장치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릴리프밸브 #제어반 #체크밸브 #배수밸브
#앵글밸브 #연결송수구 #옥내소화전 #방수구
'소방설비기사기계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외 소화전설비 실기 문제 풀이 (0) | 2023.10.06 |
---|---|
옥내소화전설비 실기 문제 풀이, 난이도 최상 문제 (4) | 2023.10.05 |
옥내 소화전설비 실기 문제 풀이 - 4 (2) | 2023.10.01 |
옥내소화전 실기 문제풀이 - 3 (0) | 2023.09.30 |
옥내 소하전 설비 문제풀이 - 1 (0) | 202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