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느 건물이 다음과 같이 옥내 소화전설비를 설계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여 정수만 답할 것) [12점] ★★★★★
[조건]
① 건물규모 3층 × 각 층의 바닥면적 1,000 [㎡]
② 옥내 소화전 수량 총 12개 (각 층당 4개 설치)
③ 소화펌프에서 최상층 소화전 호스접결구까지의 수직거리 20 [m]
④ 소방호스 40 [㎜] × 15 [m] (고무내장)
⑤ 호스의 마찰손실수두값 (호스 100[m]당)
구 분
|
호칭 구경 [㎜, A]
|
|||||||
40
|
50
|
65
|
||||||
유량 [ℓ/min]
|
아마호스
|
고무내장
호스
|
아마호스
|
고무내장
호스
|
아마호스
|
고무내장
호스
|
||
130
|
26 m
|
12 m
|
7 m
|
3 m
|
-
|
-
|
||
350
|
-
|
-
|
-
|
-
|
10 m
|
4 m
|
⑥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 30 [m]
⑦ 배관의 관경
호칭경
|
15 A
|
20 A
|
25 A
|
32 A
|
40 A
|
50 A
|
65A
|
80 A
|
100A
|
내경
[㎜]
|
16.4
|
21.9
|
27.5
|
36.2
|
42.1
|
53.2
|
69
|
81
|
105.3
|
⑧ 펌프의 동력전달 계수
전동 전달 형식
|
전달계수
|
전동기
|
1.1
|
전동기 이외의 것
|
1.2
|
⑨ 펌프의 구경에 따른 효율 (단, 펌프의 구경은 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과 같다)
펌프의 구경 [㎜]
|
펌프의 효율 (E)
|
40
|
0.45
|
50 ~ 65
|
0.55
|
80
|
0.60
|
100
|
0.65
|
125 ~ 150
|
0.70
|
가. 소방펌프의 정격유량 [ℓ/min]과 정격 양정 [m]을 구하시오.
① 정격 유량 ② 정격양정
나. 소방펌프 토출측 주배관의 최소관경[㎜]을 조건 ⑦ 에서 선정하시오.
다. 소방펌프를 디젤엔진으로 구동시킬 경우에 필요한 엔진의 동력 [PS]을 구하시오.
라. 펌프의 최대 체절압력 [MPa]을 구하시오.
마. 만약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옥내 소화전 노즐과 펌프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노즐의 방사압력 차이가
0.4 [MPa]이며, 펌프에서 제일 먼 거리에 있는 옥내소화전 노즐에서의 방사압력이 0.17 [MPa], 유량이 130 [ℓ/min]일
경우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유량 [ℓ/min]을 구하시오.
바. 유량측정장치는 몇 [ℓ/min] 이상 측정이 가능하여야 하는가 ?
사. 옥상에 저장하여야 하는 소화수조의 용량 [㎥]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소방펌프의 정격유량 [ℓ/min]과 정격 양정 [m]을 구하시오.
① 정격 유량
Q = 130 [ℓ/min] × 2개 = 260 [ℓ/min]
② 정격양정 H = h1 + h2 + h3 +17 [m]
h1 : 소방호스 마찰손실수두 : 15 [m] × 12/100 = 1.8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 손실 수두 : 30 [m]
h3 : 실양정 : 20 [m]
∴ 전양정 H = h1 + h2 + h3 +17 [m] = 1.8 + 30 + 20 + 17 = 68.8 = 69 [m]
나. 소방펌프 토출측 주배관의 최소관경[㎜]을 조건 ⑦ 에서 선정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bxGcwB/btsv9Lq2KmR/D9JOOe452WzZGg5kW5aKQ1/img.png)
∴ 호칭구경 40 [㎜]를 선정
[참고] 각 설비별 유속 · 풍속
구 분
|
유속
|
풍속
|
|
옥내 소화전설비 (토출측 주배관)
|
4 [m/s] 이하
|
-
|
|
스프링클러설비
|
가지배관
|
6 [m/s] 이하
|
-
|
기타 배관 (교차배관)
|
10 [m/s] 이하
|
-
|
|
제연설비
|
예상 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
되는 순간의 풍속
|
-
|
5 [m/s] 이하
|
흡입측 풍도
|
-
|
15 [m/s] 이하
|
|
배출측 풍도
|
-
|
20 [m/s] 이하
|
|
유입 풍도
|
-
|
다. 소방펌프를 디젤엔진으로 구동시킬 경우에 필요한 엔진의 동력 [PS]을 구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AeB0M/btsv8iCPbqo/OUIOaZc8ATZpLRQHeBTKHk/img.png)
라. 펌프의 최대 체절압력 [MPa]을 구하시오.
▣ 펌프의 체절압력 = 정격토출압력 × 1.4
∴ 펌프의 전양정이 69 [m]이므로 0.1 [MPa] = 10 [m]로 압력을 환산하면
69[m] × 0.1 = 6.9 [MPa] × 1.4 = 9.66 [MPa]
[참고] 펌프의 성능시험
⊙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 [%]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
이상이 될 것
![](https://blog.kakaocdn.net/dn/rd3rf/btsv9LdvR9l/uB1RqXhMqQyClPn5dhSJ5K/img.png)
마. 만약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옥내 소화전 노즐과 펌프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노즐의 방사압력 차이가
0.4 [MPa]이며, 펌프에서 제일 먼 거리에 있는 옥내소화전 노즐에서의 방사압력이 0.17 [MPa], 유량이 130 [ℓ/min]일
경우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유량 [ℓ/min]을 구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NBfWH/btsv0n55IsL/05HzYboX920YxvlwrEz431/img.png)
여기서, Q : 방수량 [ℓ/min], K : 방출계수, P : 방수압력 [MPa]
① 옥내 소화전 설비비의 규정방수량 및 방수압력
⊙ 규정방수량 : 130 [ℓ/min] ⊙ 규정 방수압력 P : 0.17 [MPa]
② 방출계수 K
![](https://blog.kakaocdn.net/dn/doiztt/btsv8ibNk3t/tMJpKatfIalKfZcyoTERKK/img.png)
③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유량을 구하므로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압력을 적용해야 한다.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압력은 방사압력 P = 0.17 [MPa] + 0.4 [MPa] = 0.57 [MPa]
∴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유량은
![](https://blog.kakaocdn.net/dn/cepVm9/btswbAbudnz/YryXKEU8vEI4McuUwKs571/img.png)
※ 문제의 조건에서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라고 했다.
바. 유량측정장치는 몇 [ℓ/min] 이상 측정이 가능하여야 하는가 ?
▣ 유량측정장치는 정격유량으 175 [%] 이상을 측정하여야 한다.
∴ 유량측정장치 최대 유량 : 260 [ℓ/min] × 1.75 = 455 [ℓ/min]
[참고] 펌프성능시험배관의 적합기준 (NFSC 102 제6조 ⑦)
①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
에는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②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 토출량은 175 %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https://blog.kakaocdn.net/dn/pfD7x/btsv8RdSBzf/raZAVLSuKZ9u89jmqiEgjK/img.png)
사. 옥상에 저장하여야 하는 소화수조의 용량 [㎥]을 구하시오.
Q = 2.6 N × 1/3 = 2.6 × 2 × 1/3 = 1.733 ≒ 2 [㎥]
Q = 2. 6 N × 1/3
여기서, Q : 수원의 양 [㎥]
N :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소화전 개수 (최대 2개)
2.6 : 130[ℓ/min](옥내소화전설비 규정방수량 × 20[min] (소방대출동시간)
⊙ N은 조건 ② dptj 4개 이다.
∴ Q = 2.6 N × 1/3 = 2.6 × 2 × 1/3 = 1.733 ≒ 2 [㎥]
※ 문제의 단서에서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낸다 하였다.
2. 어느 건물에 다음과 같은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건물규모 : 3층 × 각 층의 바닥면적 1,200 [㎡]
② 옥내 소화전 수량 (총 12개 (각 층당 4개 설치)
③ 소화펌프에서 최상층 소화전 호스접결구까지의 수직거리 : 15 [m]
④ 소방호스 : 40 [㎜] × 15 [m] (고무 내장)
⑤ 호스의 마찰손실수두값 (호스 100 [m] 당 )
구 분
|
호칭 구경 [㎜, A]
|
|||||||
40
|
50
|
65
|
||||||
유량 [ℓ/min]
|
아마호스
|
고무내장
호스
|
아마호스
|
고무내장
호스
|
아마호스
|
고무내장
호스
|
||
130
|
26 m
|
12 m
|
7 m
|
3 m
|
-
|
-
|
||
350
|
-
|
-
|
-
|
-
|
10 m
|
4 m
|
⑥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 30 [m]
⑦ 배관의 내경
호칭경
|
DN 15
|
DN 20
|
DN 25
|
DN 32
|
DN 40
|
DN 50
|
DN 65
|
DN 80
|
DN 100
|
내경
[㎜]
|
16.4
|
21.9
|
27.5
|
36.2
|
42.1
|
53.2
|
69
|
81
|
105.3
|
⑧ 펌프의 동력전달계수
전동 전달 형식
|
전달계수
|
전동기
|
1.1
|
전동기 이외의 것
|
1.2
|
⑨ 펌프의 구경에 따른 효율 (단, 펌프의 구경은 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과 같다)
펌프의 구경 [㎜]
|
펌프의 효율 (E)
|
40
|
0.45
|
50 ~ 65
|
0.55
|
80
|
0.60
|
100
|
0.65
|
125 ~ 150
|
0.70
|
가. 소방펌프에서 최소한의 정격유량 [ℓ/min]과 정격양정 [m]을 구하시오. (단, 흡입양정은 무시한다.)
① 정격 유량 ② 정격양정
나. 소방펌프 토출측 주배관의 최소관경 [㎜] 을 조건 ⑦에서 선정하시오. (단, 토출측 주배관의 유속은 4 [m/s] 이하이다.)
다. 소방펌프를 디젤 엔진으로 구동시킬 경우에 필요한 엔진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펌프의 유량은 가.에서 구한
최소 정격유량을 적용한다.)
라. 펌프의 성능시험과 관련하여 ( )안에 적당한 수치를 넣으시오.
▣ 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 ① )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유량 측정장치는 성능시험 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 ② )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마. 만일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옥내소화전 노즐이 펌프에서 제일 먼 거리에 있는 옥내소화전 노즐의 방사압력
차이가 0.4 [MPa]이며, 펌프에서 제일 먼 거리에 있는 옥내소화전 노즐에서의 방사압력이 0.17 [MPa], 유량 130 [ℓ/min]
일 경우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유량 [ℓ/min]을 구하시오.
사. 옥상에 저장하여야 하는 소화수조의 용량 [㎥]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소방펌프의 정격유량 [ℓ/min]과 정격 양정 [m]을 구하시오.
① 정격 유량 : Q = 130 [ℓ/min] × 2개 = 260 [ℓ/min]
② 정격양정 H = h1 + h2 + h3 +17 [m]
h1 : 소방호스 마찰손실수두 : 15 [m] × 12/100 = 1.8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 손실 수두 : 30 [m]
h3 : 실양정 : 15 [m]
∴ 전양정 H = h1 + h2 + h3 +17 [m] = 1.8 + 30 + 15 + 17 = 63.8 [m]
나. 소방펌프 토출측 주배관의 최소관경 [㎜] 을 조건 ⑦에서 선정하시오. (단, 토출측 주배관의 유속은 4 [m/s] 이하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IVMlR/btsv7kgIYZN/URSMvmksnwGaAhk2wrJm70/img.png)
∴ 호칭구경 40 [㎜]를 선정
다. 소방펌프를 디젤 엔진으로 구동시킬 경우에 필요한 엔진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펌프의 유량은 가.에서 구한 최소
정격유량을 적용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mJ6n8/btsv9Nh8MHj/nB8l7T3h5YLSogb7zpYg71/img.png)
라. 펌프의 성능시험과 관련하여 ( )안에 적당한 수치를 넣으시오.
▣ 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 ① 140 )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 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 ② 175 )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마. 만약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옥내 소화전 노즐과 펌프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노즐의 방사압력 차이가
0.4 [MPa]이며, 펌프에서 제일 먼 거리에 있는 옥내소화전 노즐에서의 방사압력이 0.17 [MPa], 유량이 130 [ℓ/min]일
경우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유량 [ℓ/min]을 구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vh2r6/btsv7jPDag6/LAPpuq9DCMTCZ1rr5gdMrK/img.png)
여기서, Q : 방수량 [ℓ/min], K : 방출계수, P : 방수압력 [MPa]
① 옥내 소화전 설비비의 규정방수량 및 방수압력
⊙ 규정방수량 : 130 [ℓ/min] ⊙ 규정 방수압력 P : 0.17 [MPa]
② 방출계수 K
![](https://blog.kakaocdn.net/dn/c6qs15/btswcNIyhzT/OtSf2bArSftKodGtvVXR00/img.png)
③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유량을 구하므로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압력을 적용해야 한다.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압력은 방사압력 P = 0.17 [MPa] + 0.4 [MPa] = 0.57 [MPa]
∴ 가장 가까운 소화전에서의 방사유량은
![](https://blog.kakaocdn.net/dn/zvrnZ/btswwSoLUE7/J4qv5QoWVUsSLTUuRl1WVk/img.png)
3. 용도가 근린생활시설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옥내 소화전을 각 층에 4개씩 설치하였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나. 펌프의 토출측 배관의 최소 호칭구경을 보기에서 선택하시오.
호칭구경
|
40 A
|
50 A
|
65 A
|
80 A
|
100 A
|
내경 [㎜]
|
42
|
53
|
69
|
81
|
105
|
다. 펌프의 성능시험배관상에 설치하는 유량측정장치는 몇 [ℓ/min] 까지 측정이 가능하여야 하는가 ?
라. 배관의 마찰손실 및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가 10 [m]이고 실양정이 25 [m]일 경우 펌프성능은 정격토출량의 150 [%]
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 [MPa]은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
마. 중력가속도가 9.8 [m/s2]일 경우 체절압력[MPa]은 얼마인가 ?
바. 펌프성능시험배관상 전단 직관부 및 후단 직관부에 설치하는 밸브의 명칭을 쓰시오.
[문제풀이]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Q = 130 [ℓ/min] × 2개 = 260 [ℓ/min]
나. 펌프의 토출측 배관의 최소 호칭구경을 보기에서 선택하시오.
호칭구경
|
40 A
|
50 A
|
65 A
|
80 A
|
100 A
|
내경 [㎜]
|
42
|
53
|
69
|
81
|
105
|
![](https://blog.kakaocdn.net/dn/czwyAy/btsv5ipSxN5/8dfYSew3crgLg0NSr5mcy0/img.png)
∴ 호칭구경 40 [㎜]를 선정
다. 펌프의 성능시험배관상에 설치하는 유량측정장치는 몇 [ℓ/min] 까지 측정이 가능하여야 하는가 ?
▣ 유량측정장치는 정격유량으 175 [%] 이상을 측정하여야 한다.
∴ 유량측정장치 최대 유량 : 260 [ℓ/min] × 1.75 = 455 [ℓ/min]
라. 배관의 마찰손실 및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가 10 [m]이고 실양정이 25 [m]일 경우 펌프성능은 정격토출량의 150 [%]
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 [MPa]은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
① 전양정 H = h1 + h2 + h3 +17 [m]
h1 + h2 : 10 [m]
h3 : 실양정 : 25 [m]
∴ 전양정 H = h1 + h2 + h3 +17 [m] = 10 + 25 + 17 = 52 [m]
② 정격토출량의 150 [%]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 이상되어야 한다.
∴ 펌프의 전양정이 52 [m]이므로 0.1 [MPa] = 10 [m]로 압력을 환산하면
52 [m] × 0.1 = 5.2 [MPa] × 0.65 = 3.38 [MPa]
마. 중력가속도가 9.8 [m/s2]일 경우 체절압력[MPa]은 얼마인가 ?
![](https://blog.kakaocdn.net/dn/LO0aO/btsv7j29Igw/rVh8399oYIOKKpOl4coC31/img.png)
바. 펌프성능시험배관상 전단 직관부 및 후단 직관부에 설치하는 밸브의 명칭을 쓰시오.
① 전단부 : 개폐밸브 ② 후단부 : 유량조절밸브
4. 어느 백화점 건물의 10층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5점]
★★★★★
[조건]
① 옥내소화전은 1층에서 5층까지는 각 층에 5개, 6층에서 10층까지는 각 층에 6개가 설치되어 있다.
② 펌프의 푸트밸브에서 최상층 옥내 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직거리는 40 [m],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는
20 [m]이다.
③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은 100 [m] 당 26 [m]로 하고 호스의 길이는 15 [m] × 2개이다.
④ 펌프의 효율은 65 [%] 이다.
⑤ 원주율(π)은 계산의 편의상 3.14로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lxVj/btsv0viMjil/EdHwYfJzlJ4zIRu6LxnhUK/img.png)
가. 수원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나. 옥상수조 수원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다. 펌프의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라. 펌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마. 펌프의 출력 [kW]을 구하시오.
바. 그림에서 ① ~ ⑥ 의 명칭을 쓰시오.
사. 그림에서 ②번 배관의 설치이유를 쓰시오.
아. 그림에서 ③번 배관의 설치이유를 쓰시오.
자. 소방호스 노즐의 방사압력을 측정한 결과 0.25 [MPa]이었다. 10분간 방사시 토출량 [ℓ]를 구하시오.
차. 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 [㎜]을 구하시오.
[참고] 유속 · 풍속
① 옥내 소화전 주배관 : 4 [m/s] 이하
② 스프링클러설비 : 가지배관 6 [m/s] 이하
기타배관(교차배관) 10 [m/s]
③ 제연설비 : 흡입측 : 15 [m/s]
배출측 : 20 [m/s]
▣ 옥내소화전설비 : 법정구경 (최소)
① 주배관 중 수직배관 (주배관) : 50 [㎜] 이상
② 연결송수관설비 겸용(주배관) : 100 [㎜] 이상
③ 스프링클러설비 (교차배관) : 40 [㎜] 이상
[문제 풀이]
가. 수원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Q = 2.6 N = 2.6 [㎥] × 2개 = 5.2 [㎥]
나. 옥상수조 수원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Q = 2.6 N × 1/3 = 5.2[㎥] × 1/3 = 1.733 ≒ 1.73 [㎥]
다. 펌프의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Q = 130 [ℓ/min] × 2개 = 260 [ℓ/min]
라. 펌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전양정 H = h1 + h2 + h3 +17 [m]
h1 (소방호스 마찰손실수두) : 15 [m] × 2 × 26 / 100 = 7.8 [m]
h2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 : 20 [m]
h3 (흡입양정 + 토출양정) : 실양정 : 40 [m]
∴ 전양정 H = h1 + h2 + h3 +17 [m] = 7.8 + 20 + 40 +17 = 84.8 [m]
마. 펌프의 출력 [kW]을 구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2534z/btswcMCSf5w/kzbo2L30YRtFI4qbYUbAiK/img.png)
바. 그림에서 ① ~ ⑥ 의 명칭을 쓰시오.
① 감수경보장치 ② 오버플루관 ③ 배수관 ④ 체크밸브 ⑤ 플랙시블 조인트 ⑥ 순환배관
사. 그림에서 ②번 배관의 설치이유를 쓰시오.
② 오버플루관 : 물올림수조의 필요 이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아. 그림에서 ③번 배관의 설치이유를 쓰시오.
③ 순환배관 : 펌프의 체절운전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 소방호스 노즐의 방사압력을 측정한 결과 0.25 [MPa]이었다. 10분간 방사시 토출량[ℓ]를 구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evgviG/btsv5ii4eaM/7ZH9tKf4ElsD5aiDj98uSk/img.png)
차. 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 [㎜]을 구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Lepzy/btswbz4JaOl/WK834QGEkWLYGZD65URdvk/img.png)
∴ 내경 37.14 [㎜] 인 경우 호칭구경 40 [㎜]를 선정하여야 하나 주배관 중 수직배관의
구경은 최소 50 [㎜] 이상이므로 50 [㎜]를 선정한다.
※ 배관의 관경
호칭경
|
15 A
|
20 A
|
25 A
|
32 A
|
40 A
|
50 A
|
65A
|
80 A
|
100A
|
내경
[㎜]
|
16.4
|
21.9
|
27.5
|
36.2
|
42.1
|
53.2
|
69
|
81
|
105.3
|
[참고] 옥내소화전설비 계통도
① 감수경보장치 : 물올림 수조의 물이 저수위로 될 경우 감시제어반에 신호를 보내는 장치
② 오버플루관 : 물올림 수조의 필요 이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
③ 배수관 : 물올림 수조의 청소, 수리 또는 감수경보장치의 작동시험을 하기 위한 배관
④ 체크밸브 : 펌프의 토출측 2차측의 가압수가 1차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
⑤ 플렉시블 조인트 : 펌프의 운전 또는 정지시 펌프 또는 배관의 진동을 흡수한다.
⑥ 순환배관 : 펌프의 체절운전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
[옥내 소화전 계통도 (펌프방식)]
![](https://blog.kakaocdn.net/dn/bGpyYB/btswbB9j2F4/L78pGto0fRR9rgXPlVVrIK/img.png)
[참고] 유속 · 풍속
구 분
|
유속
|
풍속
|
|
옥내 소화전설비 (토출측 주배관)
|
4 [m/s] 이하
|
-
|
|
스프링클러설비
|
가지배관
|
6 [m/s] 이하
|
-
|
기타 배관 (교차배관)
|
10 [m/s] 이하
|
-
|
|
제연설비
|
예상 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
되는 순간의 풍속
|
-
|
5 [m/s] 이하
|
흡입측 풍도
|
-
|
15 [m/s] 이하
|
|
배출측 풍도
|
-
|
20 [m/s] 이하
|
|
유입 풍도
|
-
|
5. 다음은 7층 건물에 설치한 옥내소화전설비의 계통도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배관의 마찰손실수두는 40 [m] (소방호스,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를 포함)
② 펌프의 효율은 60 [%] 이다.
③ 펌프의 여유율은 10 [%]를 둔다.
![](https://blog.kakaocdn.net/dn/TLWFh/btsv92zrEHR/jyIYAyozf6WcvRQzYPdvAk/img.png)
가. A ~ E의 명칭을 쓰시오.
나. D에 보유해야 할 최소 유효 저수량 [㎥]을 구하시오.
다. B의 주된 기능을 쓰시오.
라. C의 설치목적을 쓰시오.
마. E의 문의 면적 [㎡]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바. 펌프의 전동기 용량 [kW]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문제 풀이]
가. A ~ E의 명칭을 쓰시오.
A : 소화수조 B : 기동용 수압 개폐기 C : 수격방지기 D : 옥상수조 E : 발신기 세트 (옥내소화전 내장형)
나. D에 보유해야 할 최소 유효 저수량 [㎥]을 구하시오.
Q = 2.6 N × 1/3 = 2.6 [㎥] × 2 개 × 1/3 = 1.733 = 1.73 [㎥]
다. B의 주된 기능을 쓰시오.
▣ 기동용 수압 개폐장치 : 배관내의 압력 저하시 주펌프의 자동기동, 충압펌프의 자동기동 및 자동 정지
라. C의 설치목적을 쓰시오.
▣ 펌프의 운전 및 정지시 발생하는 배관내의 수격작용을 방지한다.
마. E의 문의 면적 [㎡]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0.5 [㎡]
▣ 문의 면적 : 0.5 [㎡] 이상 : 짧은 면의 길이 500 [㎜] 이상
바. 펌프의 전동기 용량 [kW]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https://blog.kakaocdn.net/dn/nF8It/btsv5k2i0rp/V2lPzGYGsAdmkUHkbWbS2K/img.png)
[참고] 옥내소화전설비
① 소화수조 : 소화설비에 필요한 수원을 유효수량 이상 저장한다.
②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 소화설비의 배관 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 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압력 챔버)의 기능
㉠ 배관내의 압력 저하시 주펌의 자동 기동, 충압펌프의 자동 기동 및 자동 정지 (주펌프는 자동으로 정지되어서는
아니된다)
㉡ 배관 내의 수격 작용 방지
㉢ 배관내의 순간적인 압력 변동으로 부터 안정적으로 압력 감지
③ 수격방지기 : 펌프가 작동 정지를 할 때 배관내의 물이 유속의 변화가 커서 수격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속
변화를 흡수하여 수격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기구
④ 옥상수조 : 소화설비에 필요한 수원의 유효수량의 1/3 이상을 저정한다.
⑤ 발신기 세트 (옥내 소화전 내장형)
㉠ 함의 재질 : - 강판 및 강대 (두께) : 1.5 [㎜] 이상
- 합성수지재 : 4 [㎜] 이상
㉡ 문의 면적 : 0.5 [㎡] 이상 (짧은 면의 길이가 500 [㎜] 이상)
6. 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인 옥내 소화전설비가 설치된 어느 건물이 있다. 옥내소화전이 2층에 3개, 3층에 4개, 4층에 5개
일 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조건]
① 실양정은 20 [m], 배관의 마찰손실수두는 실양정의 20 [%],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는 배관 마찰손실수두의 50 [%]이
다.
②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값은 호스 100[m] 당 26[m]이며 호스길이는 15 [m] 이다.
③ 배관 직경 산정기준은 정격토출량의 150 [%]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가. 펌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나. 성능시험배관의 관경 [㎜]을 구하시오. (화재안전기술기준 삭제 문제)
다. 펌프의 성능시험을 위한 유량측정장치의 최대 측정유량 [ℓ/min]을 계산하시오.
라. 토출측 주배관에서 배관의 최소구경 [㎜] 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펌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전양정 H = h1 + h2 + h3 +17 [m]
h1 (소방호스 마찰손실수두) : 15 [m] × 26 / 100 = 3.9 [m]
h2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 : (20[m]×0.2)+(4[m] × 0.5) = 6 [m]
h3 (흡입양정 + 토출양정) : 실양정 : 20 [m]
∴ 전양정 H = h1 + h2 + h3 +17 [m] = 3.9 + 6 + 20 +17 = 46.9 [m]
나. 성능시험배관의 관경 [㎜]을 구하시오. (화재안전기술기준 삭제 문제)
Q = 130 [ℓ/min] × 2개 = 260 [ℓ/min]
P : 전양정 46.9 [m]을 0.1[MPa] 당 10[m]로 환산하면 압력은 4.69 [MPa]이다.
![](https://blog.kakaocdn.net/dn/vA1M4/btswgUOe6Oy/bHfwnKbKL9n2qc7aSUrRIK/img.png)
다. 펌프의 성능시험을 위한 유량측정장치의 최대 측정유량 [ℓ/min]을 계산하시오.
최대 측정 유량 Q = 정격 유량 Q × 1.75 =260 [ℓ/min] × 1.75 = 455 [ℓ/min]
라. 토출측 주배관에서 배관의 최소구경 [㎜] 을 구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bOaL5q/btsv8SKCKMs/UlRHsOrAHiCHPLOYI1ZCE1/img.png)
∴ 내경 37.14 [㎜] 인 경우 호칭구경 40 [㎜]를 선정하여야 하나 주배관이 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이므로 100 [㎜]를 선정
한다.
[참고] 펌프 성능시험배관의 적합기준 (NFSC 102. 2. 3. 7)
① 성능시험 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 분기하여 직선으로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는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개폐밸브와 유량 측정장치 사이의
직관부 거리는 해당 유량 측정장치 제조사의 설치사양에 따르고 성능시험배관 호칭 지름은 유량측정장치의 호칭지름
에 따른다.
② 유량측정장치는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175 [%]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을 것
[유량 측정장치]
![](https://blog.kakaocdn.net/dn/nDrZL/btsv8SRpsb1/creTYbCUj0ENWXdZx1Jvzk/img.png)
#유량측정장치 #후드밸브 #푸트밸브 #압력계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오버플루관
#배수관 #체크밸브 #수격방지기 #개폐표시형밸브 #게이트밸브 #감수경보장치
#플랙시블조인트 #주펌프 #충압펌프 #압력챔버 #스트레이너 #물올림장치 #순환배관
'소방설비기사기계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내 소화전설비 실기 문제풀이 - 5 (0) | 2023.10.02 |
---|---|
옥내 소화전설비 실기 문제 풀이 - 4 (2) | 2023.10.01 |
옥내 소하전 설비 문제풀이 - 1 (0) | 2023.09.27 |
소방 기계 실기 문제풀이 -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0) | 2023.09.25 |
소방 유체 역학 문제 풀이 - 6, 관두께, 안전율, 도시기호 등 (2)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