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하특성(정전류 특성)이란 ?

수하특성이란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내부저항이나 전기자 반작용 등으로 이하여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전압강하는 전류를 감소시켜 일정한 전류를 유지시켜 주는 현상을 말한다.

수하특성은 용접기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아크(arc) 용접의 경우, 용접작업은 저전압의 고전류를 사용하여 용접을 하게 되는데

처음 용접을 할 때는 어느 정도 높은 무부하 전압을 사용하게 되는데

처음 아크(arc)가 발생하게 되면 부하전류가 증가하게 되면서 단자전압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수하특성이라고 한다.

수하특성은 영어로 Drooping characteristic 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Drooping이란 아래로 처진다는 뜻으로 전류(부하)가 증가하면 전압이 떨어지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수하특성은 정전류 특성이라고도 하는데 용접기에서 수하특성을 갖게 되면 아크(Arc)전압이 다소 변하하여도 용접전류은 극히 작은 변화만 발생하게 되는데 따른 명칭이다.

수하특성을 갖게 되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전류가 변화하여도 전류는 즉시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아크(Arc) 용접에서와 같이 일정한 아크용접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특성중에 하나가 된다.

 

위 그림에서 곡선 C, D에서는 전류가 증가하면 전압이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곡선 C,D가 수하특성을 보여준다고 하는데 발전기에서 수하특성을 알아 보자

  ① 부하증가 (부하전류 증가 : 부하는 병렬로 연결하므로)

  ② 부하전류 증가 : 발전기 전기자 반작용 증가 (반대 자속 증가)

  ③ 전기자 반작용 증가 : 전체 자속 감소

  ④ 전체 자속 감소 : 유기 기전력 감소

  ⑤ 기전력 감소 : 단자전압 감소

  ⑥ 단자전압 감소 : 부하전류 감소

이를 건전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 그림에서 건전지에서 부하하나에 연결하면 전류가 작게 흐르다가 부하 2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전류가 2배로 흐르게 되고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면 내부저항에 의해 전압강하가 많아지게 되어 단자 전압은 낮아지게 된다.

#수하특성 #정전류특성 #발전기 #용접기 #전압강하 #전류 #전기자반작용

반응형
반응형

수두(水頭)

높은 곳에 있는 물이 가지는 기계적 에너지, 압력, 속도 따위를 물의 높이로 나타낸 값. 물이 기준면에서 높이 h의 위치에 있을 경우 h를 위치 수두, 압력이 p일 경우 p/ρg(ρ는 밀도, g는 중력 가속도)를 압력 수두, 속도 v로 흐를 경우 v2/2g을 속도 수두, 이들의 합계를 전수두라 한다.

※ 일과 에너지

 

▣ 일반적으로 힘은 질량 × 가속도, 즉 F = ma로 표현한다.

  즉, 힘은 질량과 가속도에 비례한다. 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으로 나타낸다.

   ⊙ 그런데 지구상에서는 중력가속도가 작용하므로 F = mg 로 나타낸다.

▣ 일은 힘과 거리로 나타낸다. 즉 일은 힘 × 거리, 즉 일 [J, W] = F × H = mg × H로 나타낸다.

     또한 일률(동력)은 시간당 일 즉 단위시간당 일할 수 있는 능력이다.  

     즉, 일률(동력) = 일 /시간 = 일 / sec = 힘 · 거리 / sec = F·H /se = ρ · V · g · H /sec

     F = m·g = ρ · V · g ( ρ : 밀도, V : 부피) ⇒ ρ · g · V/s · H = ρ · g · Q · H 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 우리는 일률의 기준으로 물이 가지는 위치에너지 수두로 표현하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수두 P = 밀도 × 중력가속도 × 시간당 부피 × 거리로 나타낼 수 있다.

     즉, P = ρ · g · V/s · H = [kg/㎥] × 9.81 [m/sec2] × [㎥/sec] × [m] 이다.

 

1. 전동기의 용량

 ▣ 전동기 용량을 구하는 식은 수두공식을 그대로 적용하면 된다.

  ⊙ 양수량이 ㎥ 또는 ㎥/s 에 따라 시간 t[sec]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 전동기 용량 : 투입일률      =           필요한 일률

                              P · t · η      =            9.81 Q · H · k

2. 전동기의 용량 (제연설비)

※ 공기의 밀도

공기의 밀도를 구할 수 있을까?

공기는 질소와 산소, 그리고 미량의 여러 기체가 섞인 혼합물이다. 고도와 지역에 따라 그 비율이 조금씩 다르겠지만,

대체로 질소(N2) 78 %, 산소(O2) 21 %, 그 밖의 기체 1 %(아르곤 0.9 % 외) 로 이루어졌다 말한다.

여기서의 비율은 부피 퍼센트(%, v/v)다.

아보가드로 법칙에 따르면, 일정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기체의 부피는 입자수와 비례한다.

우리는 공기의 부피 퍼센트를 알고 있다. 총 100 개의 공기 입자(?)가 있다면,

그 중 78 개는 질소, 21 개는 산소, 아르곤 1개라는 뜻이다.

또한 0 ℃, 1 기압 조건에서 모든 기체 1 몰의 부피는 22.4 L이다.

온도조건이 바뀌뀌어 25 ℃, 1 기압 조건에서 기체 1 몰의 부피는 약 24.5 L 2이다.

위의 부피 퍼센트에 따라 24.5 L 공기 1 몰 중 0.78 몰은 질소, 0.21 몰은 산소, 0.01 몰은 아르곤 기체다.

성분 기체의 몰질량 [g/mol]과 몰수 [mol]를 이용하여 해당 기체 혼합물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 25 ℃, 24.5 L 에 포함된 공기(질소, 산소, 아르곤)의 질량 [g]

   1) 질소기체(N2)의 질량 [g] = 0.78 [mol] * 28 [g/mol] = 21.84 [g]

   2) 산소 기체(O2)의 질량 [g] = 0.21 [mol] * 32 [g/mol] = 6.72 [g]

   3) 아르곤 기체(Ar)의 질량 [g] = 0.01 [mol] * 40 [g/mol] = 0.4 [g]

∴ 공기의 질량 [g] = 21.84 + 6.72 + 0.4 = 28.96 [g]

    즉, 25 ℃, 24. 5 L의 부피 해당하는 공기의 질량은 28.96 [g]이다. 이를 밀도로 나타내면, 1.18 [g/L]다.

공기의 밀도 [g/L] = 28.96 / 24.5 = 1.18 [g/L] (25 ℃, 1기압 조건)

     국제협약을 통해 탄소 원자 1개의 질량을 12 amu (atomic mass unit) 라고 기준으로 정했습니다.

▣ 제연설비의 전동기 용량 산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수두를 사용한다.

여기서, P : 전동기 용량 [kW], PT : 전압(풍압) [㎜Aq, ㎜H2O], Q : 풍량 [㎥/min],  k : 여유율(전달계수), η : 전효율

※ 760 [㎜Hg] = 10,332 [㎜H2O]

     ℓpm : liter per minute : ℓ / min = 10-3 [㎥/min ]

     CMH : ㎥/hour

3.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

▣ 전력용 콘덴서 용량은 역률(cosθ)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여기서, Qc : 콘덴서의 용량 [kVA], P : 유효전력 [kW],  cosθ1 : 개선 전 역률, cosθ2 : 개선 후 역률

4. 조명

  ① 조명 유도식

           여기서, F : 광속[lm], U : 조명률[%], N : 등 개수, A : 단면적 [㎡],  E : 조도 [lx], D : 감광보상률 [1/M] [%], M : 유지율

  ② 실지수 (Room index) : 조명률 계산의 기초로 실(방)의 크기와 모양에 따른 지수

5. V결선시의 단상변압기 1대의 용량

6. 전동기의 동기속도 및 회전속도

  ① 동기속도 (회전자계 속도)

  ② 회전속도 (실제 회전속도)

7. 감지기와의 배선회로에서의 감시전류, 작동전류

  ① 감시전류

  ② 작동전류

[감지기 배선도]

 

8. 비상용 자가발전기의 용량

  ① 부하중 가장 큰 유도전동기 기동시의 용량으로 구하는 방법

  ② 비상용 자가발전기 차단기의 용량

9. 누설전류

10. 분기회로수

11. 전선의 단면적 및 전압강하

 

   ※ 여기서 A : #전선 #단면적 [㎟] L : 전선길이 [m] I : 전부하 #전류 [A]

  ​ ▣ 전선의 공칭 단면적 [㎡]

0.5
0.75
1
1.5
2.5
4
6
10
16
25
35
50
70
95
120
150
185
240
300
400
500
630
800
1,000

  ▣ 전선관내에 전선 면적

    가. 금속관, 합성수지관

       ① 동일 굵기의 전선 : 48 [%] 이하

       ② 다른 굵기의 전선 : 32 [%] 이하

    나. 금속 덕트 : 20 [%] 이하

12. 전압강하

  ▣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이 : 송전에서 에너지의 손실

 

    여기서, e : 전압강하[V], Vs : 입력전압 [V], Vr : 출력전압(단자전압) [V],  I : 전류[A], R : 저항 [Ω]

13. 축전지의 용량

  ① 축전지의 용량 (시간에 따라 방전전류가 일정한 경우)

  ② 축전지 용량 (시간에 따라 방전전류가 변하는 경우)

   여기서,  C : 축전지용량 [Ah], L : 용량저하율(보수율), K : 용량환산시간[h], I : 방전전류[A]

  ※ 용량저하율(보수율)

    ▣ 축전지설비에서 축전지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사용조건 등의 변경으로 인한 용량변화를 보상하는 보정치로

         보통 0.8을 적용한다.

  ③ 축전지의 공칭전압

   ④ 축전지 1개의 허용최저전압

       여기서, V : 축전지 1개의 허용최저전압 [V/cell]

                   Va : 부하의 허용최저전압 [V]

                   Vc : 축전지와 부하간 접속선의 전압강하 [V]

                     n : 직렬접속 단전지 개수

14. 2차 충전전류 및 2차 출력

  ① 2차 충전전류

  ② 2차 출력

     ▣ 2차 출력 = 표준전압 × 2차 충전전류 [kVA]

15. 합성정전용량 (콘덴서 직렬접속시)

  ① 직렬 접속시

           여기서, C : 합성정전용량[F], C1, C2, C3 : 정전용량 [F]

  ② 병렬접속시

          합성정전용량 C = C1 + C2 + C3 + ··· [F]

          여기서, C : 합성정전용량[F], C1, C2, C3 : 정전용량 [F]

16. 전선의 전기저항

       여기서, R : 전기저항[Ω], ρ : 고유저항 [Ω·㎟/m], ℓ : 길이 [m], A : 전선의단면적[㎟]

     ※ 전선의 고유저항

 

17. 전선의 저항온도계수

   ① 온도에 의한 저항의 변화를 비율로 나타낸 것

   ② (+)일 경우 온도상승시 저항은 조금 증가한다.

   여기서, R2 : t2 [℃] 에서의 도체의 저항 [Ω]

               R1 : t1 [℃] 에서의 도체의 저항 [Ω]

               at1 : t1 [℃]에서의 저항온도계수

                 t2 : 상승 후 온도 [℃]

                 t1 : 상승전 온도 [℃]

18. 전기계기의 오차

     여기서, T : 참값, M : 측정값

#전동기 #용량 #제연설비 #풍량 #풍압 #효율 #양정 #콘덴서 #조명 #광속 #조명률

#조도 #변압기 #회전속도 #동기속도 #감지기 #감시전류 #발전기 #누설전류 #분기회로

#전압강하 #축전지 #보수율 #유지율 #정전용량 #고유저항 #저항온도계수

#오차율 #보정률

반응형
반응형

1. 보호계전기 : 기기와 선로의 보호기기

가. 사용 목적에 따른 종류

   ① 과전류 계전기 (OCR) : #과전류 발생시 동작하는 계전기

   ② 과전압 계전기 (OVR) : #과전압 발생시 동작하는 계전기

   ③ 부족전압 계전기 (UVR) : #부족전압 발생시 동작하는 계전기

   ④ 지락계전기 (GR) :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계전기 (접지계전기),  #영상변류기 ( #ZCT ) 필요

   ⑤ 열동계전기 (THR) : 전동기 등에 과부하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계전기

나. 기기 (발전기, 변압기)의 내부 고장 검출

계전기 명칭
    적용 및 특징
접지계전기
   ⊙ 지락전류 검출
   ⊙ 영상변류기 (ZCT)를 사용하는 계전기
거리계전기
   ⊙ 계전기 입력전압과 전류의 비에 따라 작동하는 계전기
비율차동계전기
#부흐홀쯔계전기
   ⊙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용
   ⊙ 발전기 권선의 층간단락 보호
열동계전기
   ⊙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용
역상과전류계전기
   ⊙ 발전기의 부하 불평형 방지

2. 콘덴서의 종류

가. 마일러 콘덴서

   ① 플라스틱 필름을 유전체로 한 콘덴서

   ② 용량의 정밀도가 높고 주파수 특성이 우수

 

나. 마이카 콘덴서

   ① 운모와 금속박막으로 되어 있거나, 운모 위에 은을 발라서 전극으로 만든 콘덴서

   ② 온도변화에 의한 용량변화가 작고 절연저항이 높은 우수한 특성

   ③ 표준콘덴서로 사용

 

다. 세라믹 콘덴서

   ① 비유전율이 큰 산화티탄 등을 유전체로 사용한 콘덴서

   ②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

 

라. 전해 콘덴서

   ① 전기분해하여 금속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만들어 이것을 유전체로 이용한 #콘덴서

   ② 주형으로 큰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음

   ③ 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류회로에는 사용 불가

3. 전선의 굵기

가. 전선의 굵기 결정 3요소

   ① 허용전류 (가장 중요한 요소)

   ② 전압강하

   ③ 기계적 강도

나. 전선 접속시 주의사항

   ① 접속부는 노출시키지 말 것

   ② 접속부분의 절연 성능은 타 부분과 동등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접속점의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것

   ④ 전선의 세기를 20[%] 이상 감소시키지 말 것

다. 전선 단면적의 계산

 

           여기서, A : 전선의 단면적[㎟], L : 선로길이 [m], I : 부하전류 [A]

                        e : 각선로간의 전압강하[V], e' : 각 선로간의 1선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강하[V]

라. 저압 옥내배선의 준공 검사시 측정시험

   ① 절연저항 측정          ② 접지저항 측정            ③ 도통시험

4. 지시전기계기의 구성요소

   가. 구동장치 (Driving Device)

   나. 제어장치 (Controlling Device) : 스프링제어, 중력제어, 전자 제어

   다. 제동장치 (Damping Device) : 공기제동, 와전류 제동, 액체 제동

【 출제 예상 문제】

1. #변압기 내부회로 고장검출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는 ? ①

   ① 비율차동계전기           ② 과전류 계전기            ③ 온도계전기              ④ 접지계전기

[해설] #비율차동계전기 :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용 (내부회로 고장 검출용)

2. 열동계전기 (Thermal relay)의 설치 목적은 ? ①

   ①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② 감전사고 예방          ③ 자기유지             ④ 인터록 유지

[해설] #열동계전기 (Thermal relay) :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3. 3상 3선식 전원으로 부터 80[㎝] 떨어진 장소에 50[A] 전류가 필요해서 14 [㎟] 전선

   으로 배선하였을 경우 전압강하는 몇 [V]인가 ? (단, 리액턴스 및 역률은 무시한다.) ③

    ① 10.17              ② 9.6                 ③ 8.8                    ④ 5.08

[해설] #전압강하 산정시

4. 옥내 배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 ④

   ① 기계적 강도         ② 허용전류               ③ 전압강하                  ④ 역률

[해설] #전선굵기 의 결정 요소 : #허용전류 (가장 중요한 요소),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5. 발전기의 부하가 불평형이 되어 발전기의 회전자가 과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계전기는 ? ①

   ① 역상과전류 계전기             ② 부족전압계전기            ③ #비율차동계전기              ④ 온도계전기

[해설] #역상과전류계전기 : #발전기#부하 #불평형 방지

6. 전선을 접속할 때 주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①

   ① 접속부는 노출시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것

   ② 접속부분의 절연성능은 타부분과 동등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접속점의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것

   ④ 전선의 인장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말 것

[해설] 전선을 접속할 때 주의 하여야 할 사항

   ▣ 접속부는 접속관 및 #슬리브 또는 #와이어커넥터 등의 접속 기구를 사용하거나 납 땜을 할 것

   ▣ 접속부분의 #절연 #성능은 타부분과 동등 이상이 되도록 할 것

   ▣ #접속점#전기저항 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것

   ▣ 전선의 #인장강도 를 20[%] 이상 감소시키지 말 것

 

7. 극성을 가지고 있어 교류회로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은 ?  ② 

  ① 마이카 콘덴서        ② 전해콘덴서        ③ 세라믹 콘덴서           ④ 마일러 콘덴서 

[해설] 전해콘덴서 (Electrolytic condenser) 

  ▣ 전기분해하여 금속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만들어 이것을 유전체로 이용한 콘덴서

  ▣ 주형으로 큰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음

  ▣ 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류회로에는 사용 불가

 

8. 저압 옥내배선의 준공검사의 조합으로 적당한 것은 ?  ③ 

  ① 절연저항 측정, 접지저항 측정, 절연내력 시험

  ② 절연저항 측정, 온도상승 측정, 접지저항 측정

  ③ 절연저항 측정, 접지저항 측정, 도통시험

  ④ 온도상승 시험, 접지저항 측정, 도통시험

[해설] 저압옥내배선의 준공검사시 측정시험

  ▣ 절연저항 측정,  접지저항 측정,  도통시험

 

9. 다음 중 영상변류기 (ZCT)를 사용하는 계전기는 ? ② 

  ① 과전류 계전기      ② 접지계전기           ③ 차동계전기              ④ 과전압계전기

[해설] 접지계전기 : 영상변류기 (ZCT)를 이용한 지락전류 검출

 

10. 지시전기계기의 일반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① 

  ① 가열장치           ② 구동장치           ③ 제어장치            ④ 제동장치

[해설] 지시전기계기의 구성요소 : 구동장치,   제어장치,    제동장치

 

반응형
반응형

1. 조명설계

  ▣ 실지수 : 방의 면적을 벽의 면적으로 나눈 비율로서 조명률을 산정하는데 사용..

   ⊙ 실지수가 크다는 것은 같은 전등 높이에서 비춰야할 면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 실지수가 작다는 것은 같은 전등 높이에서 비춰야할 면적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실지수 분류 기호표

기호
실지수
범위
기호
실지수
범위
A
5.0
4.5 이상
F
1.5
1.38 ~ 1.75
B
4.0
3.5 ~ 4.5
G
1.25
1.12 ~ 1.38
C
3.0
2.75 ~ 3.5
H
1.0
0.9 ~ 1.12
D
2.5
2.25 ~ 2.75
I
0.8
0.7 ~ 0.9
E
2.0
1.75 ~ 2.25
J
0.6
0.7 이하

2. 도로 조명 설계

 가. 양측 배열 (대칭배열), 지그재그 배열

  ▣ 도로 양측에 가로등을 배치하여 도로를 양쪽에서 조명하는 방식이다.

 

   ▣ 조도 산정

 

 나. 한쪽 (일렬) 배열, 중앙배열로 등기구 배치

   ▣ 도로 한쪽에 가로등을 배치하거나 도로 중앙에 가로등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 조도 산정

 

3. 건축물의 표준부하 상정

  ▣ 부하설비 용량 산정

건축물의 종류
표준부하 [VA/㎡]
공장, 공회당, 사원, 교회, 영화관, 연회장
10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학교, 음식점
20
사무실, 은행, 상점, 이발소, 미장원
30
주택, 아파트
40

  ▣ 건축물 중 별도 계산할 부분의 표준 부하 (Q)

건축물 부분
표준부하 [VA/㎡]
복도, 계단, 세면장, 창고, 다락
5
강당, 관람석
10

  ▣ 표준부하에 따라 산출한 수치에 별도로 가산하여야 할 [VA]수 (C)

    ⊙ 주택, 아파트(1세대)에 대하여 : 500~ 1,000 [VA]

    ⊙ 상점의 진열장에 대하여 진열장 폭 1 [m]에 대하여 : 300[VA]

    ⊙ 옥외 광고등, 전광사인, 네온사인 등의 부하 [VA]

4. 분기회로수 결정

  ① 분기회로수

 

  ② 분기회로수 계산 결과가 소수점이 발생하면 소수점 이하는 결상한다.

  ③ 냉방기기(에어컨디셔너/취사용 기기) 용량이 110[V] 사용 전압에서는 1.5[kW], 220[V] 사용전압에서는

       3[kW] 이상이면 전용분기 회로 적용

  ④ 분기회로의 전류가 주어지지 않을 때에는 16[A]를 표준으로 한다.

5. 전압강하 및 단면적 계산

  ▣ 수용가 설비의 인입구로 부터 기기까지의 전압강하는 다음 표 값 이하이어야 한다.

설비유형
조명 [%]
기타 [%]
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3
5
고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6
8

6. 전선의 단면적

  ▣ 배전선로의 전선단면적은 전압강하식을 이용한 약산식으로 산정을 한다.

전기방식
전선 단면적
단상 3선식
3상 4선식
단상 2선식
3상 3선식

7. 역률 개선용 콘덴서 용량

 

  ▣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산정시에는 유효전력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과 피상전력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다.

 

8. 역률개선 효과

   ① 전력손실 감소    ② 전압강하 감소    ③ 설비용량 여유 증가    ④ 전기요금 감소

9.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부속설비

   ▣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부속설비를 복선 결선도를 연결된 모습을 보자.

 

  ▣ 직렬리액터 용량산정

     ⊙ 이론상 4%, 실제 6% ☜ 주파수 등의 변화를 고려하여 증대

 

[예상 적중 문제]

문제1. 3.7[kW], 7.5[kW]의 직입 기동 농형 전동기 및 22[kW]의 기동기 사용 권선형  전동기 3대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다. (공사방법 B1으로 XLPE 절연전선을 사용하였으며 정격전압은 200[V]이고

       간선 및 분기회로에 사용되는 전선도체의 재질 및 종류는 같다)

 

  ▣ 전동기 공사에서 간선의 굵기, 개폐기 용량 및 적정 퓨즈

 

  (1) 전선에 사용되는 과전류 차단기의 개폐기의 최소 용량은 몇 [A]인가 ?

     가. 과전류 차단기 용량                     나. 개폐기 용량

  (2) 간선의 최소 굴기는 몇 [㎟]인가 ?

 

[문제풀이]

  ▣ 전동기의 용량 합계 : 3.7[kW]+7.5[kW]+22[kW] = 33.2 [kW]

  ▣ 위 표에서 전동기 용량 합계 : 37.5[kW]를 선정

  ▣ 전선 최소 굵기 : 공사방법 B1, 전선종류 XLPE를 활용하여 표에서 전선굵기 : 50[㎟] 선정

  ▣ 농형 전동기는 직입기동, 권선형 전동기는 기동기를 사용한다.

      직입기동은 3.7[kW], 7.5[kW]를 선정하고 기동기 사용은 22[kW]를 선정하여

      전동기중에서 제일 오른쪽에 위치한 기동기 사용 22[kW]를 용량산정 기준으로 설정

      따라서 ① 과전류 차단기 용량 : 150 [A] ② 개폐기 용량 : 200[A]

문제 2. 단상 3선식 110/220[V]를 채용하고 있는 어떤 건물이 있다. 변압기가 설치된

      수전실로 부터 60[m] 되는 곳에 부하집계표와 같은 분전반을 시설하고자 한다.

      다음 표를 참고하여 전압변동률 2[%] 이하, 전압강하율 2[%] 이하가 되도록 다음 사항을 구하시오.

   ① 공사방법은 B1이며, 전선은 PVC 절연전선이다.

   ② 후강전선관공사로 한다.

   ③ 3선 모두 같은 선으로 한다.

   ④ 부하의 수용률은 100[%]로 적용한다.

   ⑤ 후강전선관내 전선의 점유율은 1/3 이내로 유지한다.

 

   [표2] 전선 (피복 절연물을 포함) 단면적 (전선굵기 보정)

 

 (1) 간선의 단면적 [㎟]을 구하시오.

 

 (2) 설비불평형률을 구하시오.

 

 (3) 분전반의 복선 결선도를 그리시오.

 

  [답안작성]

 

  ※ 단상 3선식 다음 부하집계표에 의한 불평형률 / 복선 결선도를 그리시오.

회로
번호
부하 명칭
총 부하
[VA]
부하분담 [VA]
A 선
B 선
1
백열등
2,460
2,460
-
2
형광등
1,960
-
1,960
3
전열
2,000
2,000
4
팬코일
1,000
1,000
합 계
7,420

(1) 설비불평형률

 

(2) 복선결선도를 그리시오.

 

3. 굵기가 4[㎟] 전선 3본, 10[㎟] 전선 3본을 동일 전선관내에 넣을 수 있는 후강 전선관의 굵기를

    주어진 표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단, 전선관의 내단면적의  32 [%] 이하가 되도록 하시오.

 

   ※ 후강 전선관 내단면적, 박강전선관의 내단면적

 

[답안작성]

  ▣ 표에서 전선의 굵기를 피복을 포함한 값을 구하면

    ⊙ 표에서 4[㎟]   ⇒   피복 포함 17 [㎟]

    ⊙ 10[㎟]    ⇒   피복 포함 35 [㎟]

  ▣ 보정계수를 적용하면

    ⊙ 전선관 내부단면적 : 17 ×3× 2.0+35 × 3 × 1.2 = 228 [㎟]

  ▣ 전선관의 굵기 : 전선관 내부 단면적 228 [㎟]는 후강 전선관의 내부 단면적 표의 201 ~ 342 사이에

       있으므로 후관전선관은 36[㎜]를 선정함

   ※ 이 내용은 KEC 내용에서 변경되었음

4. 도면은 어느 건물의 구내 간선 계통도이다. 주어진 조건과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배전반에 설치된 ACB의 최소 규격을 산정하시오.

  (2)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의 영문 약호는 ?

 

 [조건]

   ⊙ 전압은 380 / 220 [V]이며 3φ3w이다.

   ⊙ 케이블은 TRAY 배선으로 한다. (공중, 암거 포설)

   ⊙ 전선은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이다.

   ⊙ 허용 전압강하는 2[%]이다.

   ⊙ 분전반간 부등율은 1.1이다.

   ⊙ 주어진 조건이나 참고자료의 범위내에서 가장 적합한 부분을 적용시키도록 한다.

 

  (1) 배전반에 설치된 ACB의 최소규격을 선정하시오.

    [표2] 기중차단기 (ACB)

TYPE
G1
G2
G3
G4
정격전류
600
800
1,000
1,250
정격절연전압 [V]
1,000
1,000
1,000
1,000
정격 사용전압 [V]
660
660
660
660
극수
3φ4w
3φ4w
3φ4w
3φ4w

  [답안작성]

 

   ▣ 표2에서 734.81[A]는 600[A] ~ 800[A] 사이에 있다.

        따라서 답은 Type G2 800[A]를 선정한다.

 (2)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의 영문약호는 : CV

     ▣ VV : 비닐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EV :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RV : 고무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5. 어느 건물의 수용가가 자가용 디젤 발전기 설비를 설계하고자 한다. 발전기 용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하의 종류와 여러가지 특성이 다음의 부하 및 특성표와

    같을 때 전부하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수치값을 주어진 표를 활용하여 수치표 빈칸을

    기록하면서 발전기의 용량 [kVA]을 산정하시오. (단, 전동기 기동시에 필요한 용량은

    무시하고 수용률의 적용은 최대 입력 전동기 한 대에 대하여 100[%], 기타 전동기는

    80[%]로 한다. 또한 전등 및 기타의 효율 및 역률은 100[%]로 한다.

 

                                                          효율          역률

    ※ 전동기   30[kW]    8극    1대      86%           78.5%

                      11[kW]    6극    3대      84%           77.0%

 

[표 4] 수치값 채우기

부하의
종류
출력
[kW]
효율
[%]
역률
[%]
입력 [kVA]
수용률
[%]
수용률 적용값
[kVA]
전동기
30×1
86
78.5
30/(0.86×0.785)
= 44.44
100
44.44×1=44.44
11×3
84
77.0
(11×3) /(0.84×0.77)
= 51.02
80
51.02×0.8=40.82
전등및
기타
60
100
100
60 /(1×1)=60
100
60 ×1=60
합 계

 

6. 가로 8[m], 세로 18[m], 천장 높이 3[m], 작업면 높이 0.75[m]인 사무실에 직부 형광등 (40[W] ×2)을 설치하고자 한다.

   [조건]

     ▣ 작업면 소요조도 1000 [lx]

     ▣ 천장반사율 70 [%]            ▣ 벽반사율 50 [%]             ▣ 바닥반사율 10 [%]

     ▣ 보수율 70 [%]                   ▣ 40[W] × 2 형광등 전광속 8,800 [lm]

 

    (1) 실지수를 구하시오.

 

(2) 조명률은 ?

  ▣ 위 표에서 실지수 2.5, 천장반사율 70[%], 벽반사율 50[%], 바닥반사율 10[%]에 해당하는 조명률을 구하면

       66 [%]가 된다.               답 : 66[%]

 

 (3) 소요 등수는 ?

 

반응형
반응형

 

▣ 그림과 같은 환상 직류 배전선로에서 각 구간의 왕복 저항은 0.1[Ω], 급전점 A의 전압은

    100[V], 부하점 B, D의 부하전류는 각각 25 [A], 50 [A]라 할 때 부하점 B의 전압은

    몇 [V]인가 ?

 

【문제풀이】

 <사전에 숙지해야 할 사항>

  ▣ 직류 배전선로에서 전압강하 e = 2IR이다. 그런데 위 문제에서는 왕복저항이 주어졌으

       므로 전압강하 e = IR이 된다.

  ▣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KCL에 의하면 들어 온 전류의 합과 나간 전류합은 같다.

  ▣ 키르히 호프의 전압법칙 KVL에 따르면 폐회로에서 전압강하의 합은 0이 된다.

      위와 같은 사전숙지사항을 기억하며 문제를 풀어 보자.

 <문제풀이>

 

 ▣ 위 회로도를 이용하여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kVL을 이용하여 풀어 보자

     전압강하 e= IR이 된다.

     각 지점의 전압을 알아 보려면 급전점을 기점으로 하여 각 구간에서 발생한

     전압강하를 차감하여 주면 각 지점의 전압강하를 알 수 있게 된다.

      다음 수식을 이용하여 풀어 보자.

 

∴ B점에서의 전압은 급전점의 전압에서 전압강하를 차감하여 산정할 수 있다.

    부하점 B점의 전압 VB = 100 - IR = 100 - 31.25 × 0.1 = 96.88 [V]

 

반응형
반응형

 

1. 변압기 용량

 ▣ 단상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정격출력 11[kW], 역률 0.8, 효율 0.85의 3상 유도전동기를

     운전하려고 한다. 이 경우 변압기 1대 용량 [kVA]은 어떻게 되는가 ?

변압기의 표준용량 [kVA]
5
7.5
10
15
20
25
50
75
100
 

2. 전압강하와 송전전력

 ▣ 3상 배전선로의 말단에 늦은 역률 80[%]인 평평 3상 집중부하가 있다. 변전소 인출구의 전압이

     6,600[V]인 경우 부하의 단자전압을 6,000[V] 이하로 떨어 뜨리지 않으려면 부하전력[kW]은 얼마인가 ?

     단, 전선 1회성의 저항은 1.4 [Ω], 리액턴스 1.8 [Ω]으로 하고 그 이외의 선로정수는 무시한다.

 

3. 스폿 네트워크 (Spot Network) 수전방식

 ▣ 배전용 변전소로 부터 2회선 이상의 배전선으로 수전하는 방식으로 배전선 1회선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일지라도 건전한 회선으로 부터 자동적으로 수전할 수 있는 무정전

     방식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은 방식이다.

 ▣ 장점

   ① 무정전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② 공급신뢰도가 높다.

   ③ 전압변동률이 낮다.                 ④ 부하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

 ▣ 네트워크 변압기

 

 4. 광원의 광도와 수평면 조도

   ▣ 그림과 같이 광원의 전광속이 18,500[lm]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광원의 광도[cd]를 구하시오.

  (2) A점의 수평면 조도 [lx]를 구하시오.

   [답안작성]

   (1) 광원의 광도[cd]를 구하시오.

 

5. 논리회로 변환

 ▣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을 입력변수로 나타내고 AND 회로 1개, OR회로 2개, NOT

     회로 1개를 이용한 등가회로를 그리시오.

 

 (1) 출력식     (2) 등가회로

 【답안작성】

 

          (2) 등가회로

 

6.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

 ▣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

 (1) 장점 (4가지)

   ① 청정에너지원이며 영구적 이용이 가능하다.

   ② 필요한 곳에서 필요한 발전량 발생 가능

   ③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무인화가 가능하다.

   ④ 확산광(산란광)도 이용이 가능하다.

 (2) 단점 (2가지)

   ① 에너지 밀도가 낮고 큰 면적이 필요하다.

   ② 비가 오거나 흐린 날은 발전능력이 저하된다.

 <그외>

   ③ 전력생산량이 그 지역의 일사량에 의존

   ④ 설치장소가 한정적이며 고가이다.

 

7. 변압기 용량

 ▣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변압기 용량을 구하시오.

  [조건]

    ⊙ 부하는 전등부하 100[kW], 동력부하 250[kW], 하계부하 140[kW], 동계부하 60[kW]이다.

    ⊙ 종합부하역률 90%

    ⊙ 각 부하군간 부등률 1.35

    ⊙ 변압기 용량은 15%의 여유를 주도록 한다.

    ⊙ 변압기 표준용량 [kVA] : 50, 100, 250, 300, 350

 
부하
전등부하
동력부하
하계부하
동계부하
전력[kW]
100
250
140
60
수용률 [%]
70
50
80
60

【답안작성】

 

8. 진공차단기 (VCB : Vacuum Circuit Breaker)의 특징

 ▣ 진공차단기 (VCB : Vacuum Circuit Breaker)의 3가지를 쓰시오.

   ①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차단시간이 짧다.

   ② 수명이 길다.

   ③ 기름이 사용되지 않아 화재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 외>

   ④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⑤ 완전밀폐형으로 안전하며 소음도 적다.

 [단점]

   ① 개폐서지가 발생한다.    ② 진공도의 열화판정이 곤란하다.

 

9. 부하의 역률개선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 유도성 부하를 사용하면 역률이 저하된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병렬로 콘덴서를

      설치하여 진상전류를 흘려 줌으로써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2) 부하설비의 역률이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 수 있는 손해를 2가지만 쓰시오.

    ① 전력손실 증가            ② 요금증가

  (3) 어느 공장의 3상 부하가 30[kW]이고 역률이 65[%]이다. 이것의 역률을 90[%]로

      개선하려면 전력용 콘덴서는 몇 [kVA]가 필요한가 ?

 

10. 접지저항 측정

  ▣ 접지저항을 측정하고자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측정방법 2가지를 쓰시오.

   ① 어스 테스터 (접지저항 측정기)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② 콜라우시 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2) 그림과 같이 본 접지 E에 제1보조접지 P, 제2보조접지 C를 설치하여 본 접지 E의

     접지저항값을 측정하려고 한다. 본 접지 E의 접지저항은 몇 [Ω]인가 ? 단, 본접지와

      P 사이의 저항값은 86[Ω], 본접지와 C사이의 접지 저항값은 92 [Ω], P와 C사이의

      접지 저항값은 160 [Ω] 이다.

 

11. 설비불평형률

 ▣ 그림과 같은 3상 3선식 220[V]의 수전회로가 있다. ⓗ는 전열부하이고, ⓜ은 역률 0.9의 전동기이다.

     이 그림을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저압 수전의 3상 3선식 선로인 경우에 설비불평형률은 몇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2) 그림의 설비불평형률은 몇 [%]인가 ? 단, P, Q 점은 단선이 아닌 것으로 계산한다.

  (3) P, Q점에서 단선이 되었다면 설비불평형률은 몇 [%]인가 ?

 

[문제풀이]

 (1) 저압 수전의 3상 3선식 선로인 경우에 설비불평형률은 몇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30 [%]

 (2) 그림의 설비불평형률은 몇 [%]인가 ? 단, P, Q 점은 단선이 아닌 것으로 계산한다.

 

 (3) P, Q점에서 단선이 되었다면 설비불평형률은 몇 [%]인가 ?

 

 ▣ 내선규정 1410-1 설비부하평형의 시설

  ⊙ 저압, 고압 및 특고압수전의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률을 30[%]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호의 경우는 이 제한에 따르지 않을 수 있다.

   ①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부하인 경우

   ③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단상부하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 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12. 시퀀스 논리회로

  ▣ 다음 논리회로를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논리회로를 보고 다음 시퀀스 회로를 완성하시오.

 

  (2) 출력 MC, RL, GL을 논리식으로 표현하시오.

  [답안작성)

   (1) 논리회로를 보고 다음 시퀀스 회로를 완성하시오.

 

  (2) 출력 MC, RL, GL을 논리식으로 표현하시오.

 

13. 보호계전방식

 ▣ 그림은 통상적인 단락, 지락 보호에 쓰이는 방식으로서 주보호와 후비보호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도면을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사고점이 F1, F2, F3, F4 라고 할 때 주보호와 후비보호에 대한 다음 표의 ( )을 채우시오.

사고점
주 보 호
후 비 보 호
F1
OC1+CB1 And OC2+CB2
① OCL1+CBL2 And OCL3+CBL3
F2
② RDf1+OC4+CB4 And OC4+CB4
OC1+CB1 And OC2+CB2
F3
OC4+CB4 And OC7+CB7
OC3+CB3 And OC6+CB6
F4
OC8+CB8
OC4+CB4 And OC7+CB7

 

 (2) 그림은 도면의 ※ 표 부분을 좀 더 상세하게 나나탠 도면이다. 각 부분 ① ~ ④에 대한

      명칭을 쓰고, 보호 기능 구성상 ⑤ ~ ⑦ 의 부분을 검출부, 판정부, 동작부로 나누어

      표현하시오.

 

  ① 교류 차단기   ② 변류기    ③ 계기용변압기    ④ 과전류계전기

  ⑤ 동작부         ⑥ 검출부     ⑦ 판정부

 (3) 답란의 그림 F2 사고와 관련된 검출부, 판정부, 동작부의 도면을 완성하시오.

      단, 질문 "(2)"의 도면을 참고하시오.

 

 (4) 자가용 전기설비에 발전시설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자가용 수용가에 설치되어야 할

     계전기는 어떤 계전기인가 ? 5가지를 쓰시오.

   ① 과전류 계전기 ② 주파수 계전기 ③ 비율차동계전기 ④ 부족전압계전기

   ⑤ 과전압 계전기

 

14. 수전설비 계통도

  ▣ 답안지의 그림과 같은 수전설비 계통도의 미완성 도면을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계통도를 완성하시오.

 

 (2) 통전중에 있는 변류기 2차측 기기를 교체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취하여야 할 조치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 ?

   ① 조치 : 2차측 단락

   ② 이유 : 변류기 2차측 개로시 변류기 1차측 부하전류가 모두 여자전류가 되어 변류기

               2차측에 고전압이 유기되어 변류기의 절연을 파괴할 수 있다.

 (3) 인입구 개폐기로 DS 대신 사용하는 기기의 명칭과 약호를 쓰시오.

    ① 명칭 : 자동 고장 구분 개폐기

    ② 약호 : ASS

 (4) VCB를 설치하고 몰드변압기를 사용할 때 보호기기의 명칭과 설치위치를 쓰시오.

   ① 명칭 : 서지흡수기

   ② 설치위치 : 진공차단기 2차측과 몰드형 변압기 1차측 사이에 설치

 【참고】

  ▣ 내선규정 3220-13 특고압 기계기구의 배열 및 결선 - 특고압 수전설비 결선도

   【주7】 DS 대신 자동고장구분개폐기 (7000[kVA] 초과시 Sectionaliz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66[kV] 이상의 경우는 LS 를 사용하여야 한다.

 ▣ 내선규정 3260-1 서지흡수기의 시설

  ⊙ 구내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폐서지, 순간과도전압 등으로 이상전압이 2차 기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서지흡수기를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내선규정 3260-1 서지흡수기 설치 위치

  ⊙ 서지흡수기는 보호하고자 하는 기기전단으로, 개폐서지를 발생하는 차단기 후단과

      부하측 사이에 설치운용한다.

 ▣ 내선규정 3260-3 서지흡수기의 적용

차단기 종류
VCB
전압등급
2차보호기기
3 [kV]
6[kV]
10[kV]
20[kV]
30[kV]
전동기
적용
적용
적용
-
-
변압기
유입식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몰드식
적용
적용
적용
적용
적용
건식
적용
적용
적용
적용
적용
콘덴서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변압기와 유도기기
와의 혼용 사용시
적용
적용
-
-
-

 

15. 배전선 전력손실

 ▣ 다음 그림과 같은 3상 3선식 배전선로가 있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선 1가닥의 저항은 0.5 [Ω/km]라고 한다.

 

  (1) 급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

 

  (2) 전체 선로손실은 몇 [W]인가 ?

 

16. 수용가설비 전압강하율

 ▣ 다른 조건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수용가 설비의 인입구로 부터 기기까지의 전압강하는

     다음 표의 값 이하이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의 표를 채우시오.

     수용가설비의 전압강하

설비의 유형
조명 (%)
기타 (%)
A - 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① 3
③ 5
B - 고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② 6
④ 8
가능한 한 최종회로 내의 전압강하가 A 유형의 값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배선설비가 100[m]를 넘는 부분의 전압강하는 미터 당 0.005[%] 증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증가분은 0.5[%]를 넘지 않아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1. 공사현장에 비치, 기록, 보관 서식

 ▣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서 정하는 전기공사업자가 해당 공사현장에서

     공사업무 수행상 비치하고 기록 · 보관하여야 하는 서식을 5가지만 쓰시오.

  ① 하도급 현황             ② 주요 인력 및 장비 투입 현황             ③ 작업계획서

  ④ 기자재 공급원 승인현황             ⑤ 주간 공정계획 및 실적보고서

   (그외) 안전관리비 사용실적 현황,   각종 측정 기록표

 

2. 간선 설계시 고려사항

  ▣ 건축전기설비에서 전력설비의 간선을 설계하고자 한다. 간선 설계시 고려할 사항 5가지를 쓰시오.

  ① 전기방식, 배선방식                         ② 부하의 사용상태나 수용률

  ③ 장래 증설유무와 이것에 대한 배려의 필요성

  ④ 간선 경로에 대한 위치와 넓이           ⑤ 점검구에 대한 사항

 

3. 이상전압 발생 방지

 ▣ 가공선로를 통하여 송전하는 경우 이상전압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3가지를 쓰시오.

    ① 피뢰기 설치           ② 가공지선 설치           ③ 매설지선 설치

 [이상전압 방지 대책]

이상전압
방지대책
설 치 목 적
피뢰기 설치
이상전압 시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를 차단하여 전력기기 보호
가공지선 설치
직격뢰, 유도뢰 차폐
매설지선 설치
철탑의 접지저항 감소로 인한 역섬락 방지
중성점 접지
1선 지락시 건전상 대지전위 상승 억제

4. 전력퓨즈의 역할

 ▣ 전력퓨즈의 역할은 무엇인지 간단히 쓰시오.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② 일정치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③ 단락전류의 차단을 목적으로 한다.

 <참고>

  ▣ 전력퓨즈의 기능

  ① 부하전류를 안전하게 통전한다.   

  ② 일정치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③ 단락전류의 차단을 목적으로 한다. 과도전류나 과부하 전류에서는 용단되지 않도록 퓨즈를 선정한다.

 

5. 차단기 차단용량

  ▣ 수전전압 6,600[V], 가공전선로의 %임피던스가 58.5[%]일 때 수전점의 3상 단락전류가

      8,000[A] 인 경우 기준용량과 수전용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얼마인가 ?

                                    차단기의 정격용량 [MVA]
10     20     30     50     75     100     150     250     300     400     500
 

6. 변압기 용량

 ▣ 1차 정격전압이 6,600[V], 권수비가 30인 변압기가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2차 정격전압 [V]을 구하시오.

   (2) 용량 50[kW] 역률 0.8 부하를 2차에 접속할 경우 1차 전류 및 2차 전류를 구하시오.

   (3) 1차 정격용량[kVA]을 구하시오.

 

7. 단상 3선식 전압강하

 ▣ 그림과 같은 단상 3선식 배전선의 a, b, c 각 선간에 부하가 접속되어 있다. 전선의 저항은 3선이 같고,

     각각 0.06[Ω] 이라고 한다. ab, bc, ca간의 전압을 구하시오. 단, 부하의 역률은 변압기의 2차 전압에

     대한 것으로 하고, 또 선로의 리액턴스는 무시한다.

 

【 문제 풀이 】

< 사전에 숙지해야 할 사항 >

 

① a-b, b-c, c-a 간 유효전류를 구해 보자

  ⊙ a-b 간 전류 I = 20[A] × cosΘ = 20 × 1 = 20[A]

  ⊙ b-c 간 전류 I = 40[A] × cosΘ = 40 × 0.6 = 24[A]

  ⊙ c-a 간 전류 I = 50[A] × cosΘ = 20 × 0.8 = 40[A]

② 간선 a, b, c 의 유효전류를 구해 보자

  ⊙ 간선 a의 전류 I = 20[A] + 40[A] = 60[A]

  ⊙ 간선 b의 전류 I = 24[A] - 20[A] = 4[A]

  ⊙ 간선 c의 전류 I = 24[A] + 40[A] = 64[A]

③ 이제 a-b, b-c, c-a 간 전압을 구해 보자

 

  ⊙ a-b간 전압은 Vab = Va - Vb이다. 이 때 간선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Va, Vb의 전압을 구해 Vab의 전압을 구한다.

[a-b간 전압]

  ⊙ a- b 간의 전압을 구해 보자.

 

[b-c간 전압]

  ⊙ 같은 방법으로 b-c간의 전압을 구해 보자.

 

 [a-c간 전압]

  ⊙ 같은 방법으로 a-c간의 전압을 구해 보자.

 

  ※ 간결식 계산

 

8. 옥배 배선 전선 가닥수

 ▣ 답안지 그림은 옥내 배선도의 일부를 표시한 것이다. ㄱ, ㄴ 전등은 A스위치로

     ㄷ, ㄹ 전등은 B스위치로 점멸되도록 설계하고자 한다. 각 배선에 필요한 최소

     전선 가닥수를 표시하시오.

 

[답안작성]

 

9. 변압기 용량

 ▣ 고압 자가용 수용가가 있다. 이 수용가의 부하는 역률 1.0의 부하 50[kW]와 역률 0.8(지상)의

     부하 100[kW]이다. 이 부하에 공급하는 변압기 용량에 대해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결선 하였을 경우 필요한 1대당 최저 용량 [kVA]을 선정하시오.

                                 변압기 표준 용량
   10    15    20    30    50    75    100    150    200    300    500    750    1000
 

  (2) 운전중 1대가 고장인 경우 V결선하여 운전한다면 이 때 과부하율을 구하시오.

 

  (3) △결선시의 동손을 W, V결선시의 동손을 Wv라 했을 때 W / Wv 를 구하시오.

     단, 변압기는 단상변압기를 사용하고, 부하는 변압기 V결선 시 과부하 시키지 않는 것으로 한다.

 

10. 간선의 굵기와 설비불평률

 ▣ 단상 3선식 110/220[V]을 채용하고 있는 어떤 건물이 있다. 변압기가 설치된 수전실로 부터

     50[m]되는 곳에 부하집계표와 같은 분전반을 시설하고자 한다. 다음 조건과 전선의 허용전류표를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 전압변동률은 2[%] 이하가 되도록 한다.

   ⊙ 전압강하율은 2[%] 이하가 되도록 한다. (단, 중성선의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 후강 전선관 공사로 한다.

   ⊙ 3선 모두 같은 선으로 한다.

   ⊙ 부하의 수용률은 100[%]로 적용

   ⊙ 후강 전선관 내 전선의 점유율은 48[%] 이내를 유지할 것

 

  [표 1] 전선허용 전류표

단면적[㎟]
허용전류 [A]
전선관 3본 이하
수용 시 [A]
피복포함
단면적 [㎟]
6
54
48
32
10
75
66
43
16
100
88
58
25
133
117
88
35
164
144
104
50
198
175
163

[표 2] 부하 집계표

 

  (1) 간선의 공칭단면적[㎟]을 선정하시오.

 

  (2) 후강 전선관의 굵기[㎜]를 선정하시오.

   ▣ 표1에서 25[㎟] 전선의 피복 포함한 단면적이 88[㎟] 이다.

      또한 전선은 단상 3선식이므로 전체 3본의 전선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전선 총단면적 A = 88 × 3 =264 [㎟]

   ▣ 후강전선관의 조건에서 전선단면적이 전선관 단면적의 48[%]를 초과하지 아니하므로

 

  (3) 간선보호용 과전류 차단기의 용량 (AF, AT)을 선정하시오.

    ▣ 표1에서 전선 25[㎟]의 허용전류는 133[A]이나 전선관 3본 이하 수용시 허용전류는 117[A] 이므로

        차단기의 정격은 전선 25[㎟]의 허용전류 보다 한단계 낮은 허용전류인 100[A]를 정격으로 선정한다.

        답 AF : 100[A], AT : 100[A]

 

  (4) 분전반의 복선 결선도를 완성하시오.

 

  (5) 설비 불평형률은 몇 [%]인가 ?

 

11. 변류기와 계기용 변압기

  ▣ CT 및 PT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CT는 운전 중에 개방하여서는 아니된다. 그 이유는 ?

    ▣ 변류기 1차측 부하전류가 모두 여자전류가 되어 2차측에 고전압이 유기되어 변류기의 절연을 파괴할 수 있다.

 (2) PT의 2차측 정격전압과 CT의 2차측 정격전류는 일반적으로 얼마로 하는가 ?

      PT 2차측 110 [V], CT 2차측 5[A]

 (3) 3상 간선의 접압 및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PT와 CT를 설치할 때 다음 그림의 결선도를 답안지에 완성하시오.

     퓨즈와 접지가 필요한 곳에서 표시를 하고 접지의 경우 그 접지 접지종별로 표시하시오.

     퓨즈는 저압퓨즈, PT, CT 기호로 표시하시오.

 

12. 시간지연릴레이 시퀀스

 ▣ 그림은 PB-ON 스위치를 ON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에 MC가 동작하여 전동기

     M이 운전되는 회로이다. 여기에 사용한 타이머 ⓣ는 입력신호를 소멸했을 때 열려서

     이탈되는 형식인데 전동기가 회전하면 릴레이 ⓧ가 복구되어 타이머 입력신호가 소멸

     되고 전동기는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할 때 이 회로는 어떻게 고쳐야 하는가 ?

 

   [답안작성]

 

13. 유접점 시퀀스와 무접점 논리회로

 

  [답안작성]

 

14. 저압배전선로의 접지계통 결선도

  ▣ 다음 그림은 TN-C-S 방식의 저압배전선로의 접지계통이다. 결선도를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15. 간이 수전설비 결선도

  ▣ 그림과 같은 간이 수전설비에 대한 결선도를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수전실의 형태를 Cubicle Type으로 할 경우 고압반(HV: High voltage)과 저압반 (Low voltage)은

      몇 개의 면으로 구성되는지 구분하고, 수용되는 기기의 명칭을 쓰시오.

구 분
면수
수용기기
고압반
4면
전력퓨즈, 피뢰기,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컷아웃스위치,
동력용 변압기, 전등용 변압기
저압반
2면
기중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 ASS는 옥외에 설치하므로 Cubicle 면에는 포함되지 않느다.

 (2) 도면에 표시된 ①, ②, ③ 기기의 최대 설계전압과 정력전류를 쓰시오.

   ① ASS : 설계최대전압 25.8 [kV]

               정격전류 : 200[A], 배전계통에서 부하용량 7,000[kVA] 이하

  ② LA : 설계최대전압 : 18[kV] - 배전계통 ※ 변전소 : 21[kV]

            정격전류 : 2,500[A]

  ③ COS : 설계최대전압 : 25[kV]

 

  (3) ④, ⑤ 차단기의 용량(AF, AT)은 어느 것을 선정하면 되겠는가 ?

 

[해설]

 ▣ 큐비클 면 구성

고압반 4면
① PF+LA ② MOF ③ COS+Tr#1 ④ COS+Tr#2
저압반 2면
① Tr#1용 ACB ② Tr#2용 MCCB

 ▣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 (COS : Cut Out Switch)

   ⊙ 정격전압 : 25 [kV]

   ⊙ 정격전류 (연속통전전류) : 100[A] - AF

 

 ▣ 내선규정 3220-4 방출형 퓨즈 (PF, COS) 정격전류 (22.9[kV-y] 변압기 보호용)

    ⊙ 1, 2, 3, 6, 8, 10, 12, 15, 20, 25, 30, 40, 50, 65, 80, 100, 140, 200 [A]

   ※ 변압기 1차 정격전류의 1.5 ~ 2배로 선정

 

 ▣ ASS (자동고장구분 개폐기)

  ⊙ 22.9[kV-Y] 특고압 수용가의 책임분기점 구분개폐기 및 수전설비 보호장치로

      1000[kVA] 이하에서 사용

  ⊙ 정격전류

    ① 200[A] : 배전계통에서 부하용량 7,000[kVA] 이하의 수전실 인입구

    ② 400[A] : 배전계통에서 부하용량 8,000[kVA] 이하의 수전실 인입구

 

반응형
반응형

 

♠ 환상 직류 배전선로 및 키르히호프 법칙

 

▣ 그림과 같은 환상 직류 배전선로에서 각 구간의 왕복 저항은 0.1[Ω], 급전점 A의 전압은 100[V,

    부하점 B, D의 부하전류는 각각 25[A], 50[A]라 할 때, 부하점 B의 전압은 몇 [V]인가 ?

 
환상 직류 배전선로

【문제풀이】

 ▣ 키르히호프의 전압, 전류 법칙을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 전류법칙 (KCL) 한점에서 들어 온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합은 같다.

   ⊙ 전압법칙 (KVL) 폐회로 내에서 전압강하의 합은 "0"이다.

 ▣ 위 회로를 등가 변환하여 B점에서의 전압을 구해 보자.

 
환상 직류 배전선로와 전압강하

  ①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KCL)에 따라 급전점에 A에서 들어 전류와 나간 전류합은 같다.

 

  ② 키르히호트의 전압법칙(KVL)에 따라 폐회로에서 전압강하의 합은 "0"이다.

 

  ③ 위 ①식과 ②식을 연립방정식으로 풀면 다음과 같다.

 

  ④ 전류와 저항을 알았으니 전압강하를 구할 수 있고 B점의 전압을 구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