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특수한 변압기 결선
가. V-V 결선
1) △-△ 결선의 출력
▣ 1대당 변압기 용량이 P[kVA]인 단상 변압기 3대를 △-△결선하여 운전할 경우 출력은 ?
∴ P△ = 3 × E · I = 3P [kVA]
2) V-V 결선의 출력
▣ V결선은 그림과 같이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3배 차이가 나므로 이 때의 출력은 ?

3) 출력비

▣ 비율 (Ratio) = 비교값 / 기준값 × 100
⊙ 사고전 : △ 결선상 출력값 기준
⊙ 사고후 : V 결선상 출력값 비교

▣ 이용률 2대 ⇒ 단상 (일반) : 기준
2대 ⇒ 3상 (임시) : 비교

4) 장점
① △-△ 결선에서 1대의 변압기가 고장시 나머지 2대츼 변압기로 3상 부하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② 설치방법이 간단하고 소용량이며 가격이 저렴하다.
5) 단점
① 설비 이용률이 86.6[%]로 저하된다.
② △결선에 비해 출력이 57.74 [%]로 저하한다.
6) 결선도

나. 3권선 변압기
1) 3권선 변압기는 1,2차 권선에 3차 권선을 설치한 변압기로 권수비에 따라 1조의 변압기로
2종류의 전압과 용량을 얻을 수 있다.
2) 송·배전에 사용되는 Y-Y-△결선 방식은 Y-Y결선의 장점에 △-△결선의 장점을 이용한 것으로
3상 결선에서 3상 결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선방식이다.
▣ 송·배전 계통에서 사용되는 모습은 아래 그림과 같다.

※ 변전소의 기능 및 역할
① 전압의 변성 & 조정 ② 전력의 집중 & 배분 ③ 전력조류 제어 (무효전력, 유효전력공급) ④ 변전소 및 송배전 보호
3) 특징
① 제3고조파를 권선 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해 △결선을 가지고 있다.
② 2차 권선에 유도성 부하가 있는 경우 3차 권선에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면 1차 회로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 조상설비 : 분로리액터, 전력용 콘덴서, 동기조상기 (SVC)
4) 3권선 변압기의 주된 용도 3가지
① 3차측의 △결선을 외부로 인출하여 소내 전원과 조상설비에 접속하여 사용
② 3차측 단자를 외부로 인출하여 폐회로를 이루게 하여 외함에 접지하거나 또는 내부에서 폐회로를 이루게 함으로써
외함에 접지하는 안정권선으로 사용
③ 권수비에 따라 1조의 변압기로 2종류의 전압과 용량이 필요한 곳에 사용
④ 설치장소가 좁아 변압기 2대를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로 3종류의 전압과 용량이 필요한 곳에 사용
※ 3권선 변압기의 목적
① 소내 전력 공급용 ② 조상설비 채용 ③ 제3고조파 제거
나. 단권변압기
1) 변압기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일부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변압기
2) 단권 변압기의 구조

3) 변압기 결선도

4) 승압후 2차 전압

5) 단권변압기의 고유(자기) 용량과 부하용량의 비

6) 단권변압기의 용도
① 배전선로의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② 동기전동기와 유도전동기의 기동 보상기용 변압기
③ 실험실용 소용량의 슬라이닥스
※ 단권변압기의 변압비

7) 단권 변압기의 장점 (비교대상 : 단상 (2권선) 변압기)
① 동량이 감소한다.
② 크기와 중량이 작고 조립 및 수송이 용이하다.
③ 변압기의 동손(I2·R[W])이 줄어 변압기의 효율이 좋다.
④ 작은 용량의 변압기로 큰 용량의 부하를 걸 수 있다.
⑤ 분로권선에 누설자속이 거의 없다.
8) 단점
① 저압측도 고압측과 같은 수준의 절연이 필요하다.
② 단락전류가 크다.
③ 변압기 중성점에 피뢰기 설치가 필요하다.
9) 단권변압기의 3상 결선 변압기 용량과 부하용량의 비

【기출 & 예상 문제 】
변압비가 3300/220[V]인 단권변압기 2대를 V결선으로 해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자 한다.
공급할 수 있는 최대용량은 자기 용량의 몇 배인가 ?

부하용량의 자기용량에 대한 비율을 알아보자

2. 변압기 운전
가. 변압기의 병렬 운전
※ 병렬운전 : 전압 일정
※ 출제유형 : ① 병렬운전 조건 4가지 ② 불만족시 현상 ③ 계산문제 ④ 3상 변압기 병렬운전
[참고] 변압기 등가회로

▣ 변압기 2대 병렬운전시 등가회로

1)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① 극성이 같을 것
② 권수비 및 1,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③ %임피던스가 같을 것
④ 권선의 내부저항과 누설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 단상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이 맞지 않았을 때 나타나는 현상
①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 극성이 같지 않을 경우 2차 권선에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소손된다.
② 각 변압기의 권수비 및 1,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 2차 기전력의 크기가 다르면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을 과열시킨다.
③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 %임피던스 강하가 다르면 부하 분담이 각 변압기의 용량비가 되지 않으므로
부하분담의 균형을 이룰 수 없다.
④ 각 변압기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 변압기 간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비가 다르면 각 변압기의 전류간에 위상차가 생겨동손이 증가한다.
(1) 극성이 다를 때 (직류로 해석)

※ 극성이 다르면 가극성이 되어 큰 순환 전류가 흐른다.
(2) 권수비 및 1, 2차 정격전압이 다를 때

▣ 감극성으로 인해 전압의 차에 의한 순환전류가 흐른다.
(3) 내부저항/누설리액턴스의 비(X/R)가 다른 경우

3) 3상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 3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은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 이외에도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① 상회전 방향이 같을 것
⊙ 상회전 방향이 다르면 변압기간에 단락상태가 되어 변압기를 소손시킨다.
② 위상 변위가 같을 것
⊙ 위상차에 따른 내부 순환전류가 흘러 변압기 권선이 과열된다.
4) 변압기 병렬운전 가능 결선과 불가능 결선
병렬운전 가능 결선
|
병렬운전 불가능 결선
|
||
A 변압기
|
B 변압기
|
A 변압기
|
B 변압기
|
△-△
|
△-△
|
△-△
|
△-Y
|
△-△
|
Y-Y
|
Y-Y
|
Y-△
|
Y-Y
|
Y-Y
|
△-△
|
Y-△
|
△-Y
|
△-Y
|
△-Y
|
Y-Y
|
△-Y
|
Y-△
|
|
|
Y-△
|
Y-△
|
※ 결선방법에 따른 1,2차 전압의 위상 관계

【기출 & 예상 적중문제 】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 4가지를 쓰고, 이들 각각에 대하여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 쓰시오.
① 극성이 같을 것
▣ 권선에 큰 전류가 흘러 권선 소손
② 권수비 및 1,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 가열
③ %임피던스가 같을 것
▣ 부하의 분담비가 달라 부하 분담의 불평형 발생
④ 변압기의 내부저항과 누설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 각 변압기의 위상차가 발생하여 권선의 동손이 증가한다.
'전기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핵심 요약 - 부하설비 - 조명설비 (0) | 2022.08.22 |
---|---|
전기기사 핵심요약 - 변전설비 - 변압기 3 (0) | 2022.08.22 |
전기기사 핵심요약 - 변전설비 - 변압기 1 (0) | 2022.08.20 |
전기기사 핵심 정리 - 테이블 스펙 (Table Spec) (0) | 2022.08.16 |
시퀀스 제어 정리 및 예상 적중 문제 - 2 (0) | 2022.08.14 |
비버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