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명설계
▣ 실지수 : 방의 면적을 벽의 면적으로 나눈 비율로서 조명률을 산정하는데 사용..
⊙ 실지수가 크다는 것은 같은 전등 높이에서 비춰야할 면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 실지수가 작다는 것은 같은 전등 높이에서 비춰야할 면적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실지수 분류 기호표
기호
|
실지수
|
범위
|
기호
|
실지수
|
범위
|
A
|
5.0
|
4.5 이상
|
F
|
1.5
|
1.38 ~ 1.75
|
B
|
4.0
|
3.5 ~ 4.5
|
G
|
1.25
|
1.12 ~ 1.38
|
C
|
3.0
|
2.75 ~ 3.5
|
H
|
1.0
|
0.9 ~ 1.12
|
D
|
2.5
|
2.25 ~ 2.75
|
I
|
0.8
|
0.7 ~ 0.9
|
E
|
2.0
|
1.75 ~ 2.25
|
J
|
0.6
|
0.7 이하
|
2. 도로 조명 설계
가. 양측 배열 (대칭배열), 지그재그 배열
▣ 도로 양측에 가로등을 배치하여 도로를 양쪽에서 조명하는 방식이다.
▣ 조도 산정
나. 한쪽 (일렬) 배열, 중앙배열로 등기구 배치
▣ 도로 한쪽에 가로등을 배치하거나 도로 중앙에 가로등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 조도 산정
3. 건축물의 표준부하 상정
▣ 부하설비 용량 산정
건축물의 종류
|
표준부하 [VA/㎡]
|
공장, 공회당, 사원, 교회, 영화관, 연회장
|
10
|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학교, 음식점
|
20
|
사무실, 은행, 상점, 이발소, 미장원
|
30
|
주택, 아파트
|
40
|
▣ 건축물 중 별도 계산할 부분의 표준 부하 (Q)
건축물 부분
|
표준부하 [VA/㎡]
|
복도, 계단, 세면장, 창고, 다락
|
5
|
강당, 관람석
|
10
|
▣ 표준부하에 따라 산출한 수치에 별도로 가산하여야 할 [VA]수 (C)
⊙ 주택, 아파트(1세대)에 대하여 : 500~ 1,000 [VA]
⊙ 상점의 진열장에 대하여 진열장 폭 1 [m]에 대하여 : 300[VA]
⊙ 옥외 광고등, 전광사인, 네온사인 등의 부하 [VA]
4. 분기회로수 결정
① 분기회로수
② 분기회로수 계산 결과가 소수점이 발생하면 소수점 이하는 결상한다.
③ 냉방기기(에어컨디셔너/취사용 기기) 용량이 110[V] 사용 전압에서는 1.5[kW], 220[V] 사용전압에서는
3[kW] 이상이면 전용분기 회로 적용
④ 분기회로의 전류가 주어지지 않을 때에는 16[A]를 표준으로 한다.
5. 전압강하 및 단면적 계산
▣ 수용가 설비의 인입구로 부터 기기까지의 전압강하는 다음 표 값 이하이어야 한다.
설비유형
|
조명 [%]
|
기타 [%]
|
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
3
|
5
|
고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
6
|
8
|
6. 전선의 단면적
▣ 배전선로의 전선단면적은 전압강하식을 이용한 약산식으로 산정을 한다.
전기방식
|
전선 단면적
|
단상 3선식
3상 4선식
|
|
단상 2선식
|
|
3상 3선식
|
|
7. 역률 개선용 콘덴서 용량
▣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산정시에는 유효전력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과 피상전력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다.
8. 역률개선 효과
① 전력손실 감소 ② 전압강하 감소 ③ 설비용량 여유 증가 ④ 전기요금 감소
9.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부속설비
▣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부속설비를 복선 결선도를 연결된 모습을 보자.
▣ 직렬리액터 용량산정
⊙ 이론상 4%, 실제 6% ☜ 주파수 등의 변화를 고려하여 증대
[예상 적중 문제]
문제1. 3.7[kW], 7.5[kW]의 직입 기동 농형 전동기 및 22[kW]의 기동기 사용 권선형 전동기 3대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다. (공사방법 B1으로 XLPE 절연전선을 사용하였으며 정격전압은 200[V]이고
간선 및 분기회로에 사용되는 전선도체의 재질 및 종류는 같다)
▣ 전동기 공사에서 간선의 굵기, 개폐기 용량 및 적정 퓨즈
(1) 전선에 사용되는 과전류 차단기의 개폐기의 최소 용량은 몇 [A]인가 ?
가. 과전류 차단기 용량 나. 개폐기 용량
(2) 간선의 최소 굴기는 몇 [㎟]인가 ?
[문제풀이]
▣ 전동기의 용량 합계 : 3.7[kW]+7.5[kW]+22[kW] = 33.2 [kW]
▣ 위 표에서 전동기 용량 합계 : 37.5[kW]를 선정
▣ 전선 최소 굵기 : 공사방법 B1, 전선종류 XLPE를 활용하여 표에서 전선굵기 : 50[㎟] 선정
▣ 농형 전동기는 직입기동, 권선형 전동기는 기동기를 사용한다.
직입기동은 3.7[kW], 7.5[kW]를 선정하고 기동기 사용은 22[kW]를 선정하여
전동기중에서 제일 오른쪽에 위치한 기동기 사용 22[kW]를 용량산정 기준으로 설정
따라서 ① 과전류 차단기 용량 : 150 [A] ② 개폐기 용량 : 200[A]
문제 2. 단상 3선식 110/220[V]를 채용하고 있는 어떤 건물이 있다. 변압기가 설치된
수전실로 부터 60[m] 되는 곳에 부하집계표와 같은 분전반을 시설하고자 한다.
다음 표를 참고하여 전압변동률 2[%] 이하, 전압강하율 2[%] 이하가 되도록 다음 사항을 구하시오.
① 공사방법은 B1이며, 전선은 PVC 절연전선이다.
② 후강전선관공사로 한다.
③ 3선 모두 같은 선으로 한다.
④ 부하의 수용률은 100[%]로 적용한다.
⑤ 후강전선관내 전선의 점유율은 1/3 이내로 유지한다.
[표2] 전선 (피복 절연물을 포함) 단면적 (전선굵기 보정)
(1) 간선의 단면적 [㎟]을 구하시오.
(2) 설비불평형률을 구하시오.
(3) 분전반의 복선 결선도를 그리시오.
[답안작성]
※ 단상 3선식 다음 부하집계표에 의한 불평형률 / 복선 결선도를 그리시오.
회로
번호
|
부하 명칭
|
총 부하
[VA]
|
부하분담 [VA]
|
|
A 선
|
B 선
|
|||
1
|
백열등
|
2,460
|
2,460
|
-
|
2
|
형광등
|
1,960
|
-
|
1,960
|
3
|
전열
|
2,000
|
2,000
|
|
4
|
팬코일
|
1,000
|
1,000
|
|
합 계
|
7,420
|
|
|
(1) 설비불평형률
(2) 복선결선도를 그리시오.
3. 굵기가 4[㎟] 전선 3본, 10[㎟] 전선 3본을 동일 전선관내에 넣을 수 있는 후강 전선관의 굵기를
주어진 표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단, 전선관의 내단면적의 32 [%] 이하가 되도록 하시오.
※ 후강 전선관 내단면적, 박강전선관의 내단면적
[답안작성]
▣ 표에서 전선의 굵기를 피복을 포함한 값을 구하면
⊙ 표에서 4[㎟] ⇒ 피복 포함 17 [㎟]
⊙ 10[㎟] ⇒ 피복 포함 35 [㎟]
▣ 보정계수를 적용하면
⊙ 전선관 내부단면적 : 17 ×3× 2.0+35 × 3 × 1.2 = 228 [㎟]
▣ 전선관의 굵기 : 전선관 내부 단면적 228 [㎟]는 후강 전선관의 내부 단면적 표의 201 ~ 342 사이에
있으므로 후관전선관은 36[㎜]를 선정함
※ 이 내용은 KEC 내용에서 변경되었음
4. 도면은 어느 건물의 구내 간선 계통도이다. 주어진 조건과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배전반에 설치된 ACB의 최소 규격을 산정하시오.
(2)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의 영문 약호는 ?
[조건]
⊙ 전압은 380 / 220 [V]이며 3φ3w이다.
⊙ 케이블은 TRAY 배선으로 한다. (공중, 암거 포설)
⊙ 전선은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이다.
⊙ 허용 전압강하는 2[%]이다.
⊙ 분전반간 부등율은 1.1이다.
⊙ 주어진 조건이나 참고자료의 범위내에서 가장 적합한 부분을 적용시키도록 한다.
(1) 배전반에 설치된 ACB의 최소규격을 선정하시오.
[표2] 기중차단기 (ACB)
TYPE
|
G1
|
G2
|
G3
|
G4
|
정격전류
|
600
|
800
|
1,000
|
1,250
|
정격절연전압 [V]
|
1,000
|
1,000
|
1,000
|
1,000
|
정격 사용전압 [V]
|
660
|
660
|
660
|
660
|
극수
|
3φ4w
|
3φ4w
|
3φ4w
|
3φ4w
|
[답안작성]
▣ 표2에서 734.81[A]는 600[A] ~ 800[A] 사이에 있다.
따라서 답은 Type G2 800[A]를 선정한다.
(2)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의 영문약호는 : CV
▣ VV : 비닐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EV :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RV : 고무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5. 어느 건물의 수용가가 자가용 디젤 발전기 설비를 설계하고자 한다. 발전기 용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하의 종류와 여러가지 특성이 다음의 부하 및 특성표와
같을 때 전부하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수치값을 주어진 표를 활용하여 수치표 빈칸을
기록하면서 발전기의 용량 [kVA]을 산정하시오. (단, 전동기 기동시에 필요한 용량은
무시하고 수용률의 적용은 최대 입력 전동기 한 대에 대하여 100[%], 기타 전동기는
80[%]로 한다. 또한 전등 및 기타의 효율 및 역률은 100[%]로 한다.
효율 역률
※ 전동기 30[kW] 8극 1대 86% 78.5%
11[kW] 6극 3대 84% 77.0%
[표 4] 수치값 채우기
부하의
종류
|
출력
[kW]
|
효율
[%]
|
역률
[%]
|
입력 [kVA]
|
수용률
[%]
|
수용률 적용값
[kVA]
|
전동기
|
30×1
|
86
|
78.5
|
30/(0.86×0.785)
= 44.44
|
100
|
44.44×1=44.44
|
11×3
|
84
|
77.0
|
(11×3) /(0.84×0.77)
= 51.02
|
80
|
51.02×0.8=40.82
|
|
전등및
기타
|
60
|
100
|
100
|
60 /(1×1)=60
|
100
|
60 ×1=60
|
합 계
|
|
6. 가로 8[m], 세로 18[m], 천장 높이 3[m], 작업면 높이 0.75[m]인 사무실에 직부 형광등 (40[W] ×2)을 설치하고자 한다.
[조건]
▣ 작업면 소요조도 1000 [lx]
▣ 천장반사율 70 [%] ▣ 벽반사율 50 [%] ▣ 바닥반사율 10 [%]
▣ 보수율 70 [%] ▣ 40[W] × 2 형광등 전광속 8,800 [lm]
(1) 실지수를 구하시오.
(2) 조명률은 ?
▣ 위 표에서 실지수 2.5, 천장반사율 70[%], 벽반사율 50[%], 바닥반사율 10[%]에 해당하는 조명률을 구하면
66 [%]가 된다. 답 : 66[%]
(3) 소요 등수는 ?
'전기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핵심 요약 - 변전설비 - 변압기 2 (0) | 2022.08.21 |
---|---|
전기기사 핵심요약 - 변전설비 - 변압기 1 (0) | 2022.08.20 |
시퀀스 제어 정리 및 예상 적중 문제 - 2 (0) | 2022.08.14 |
시퀀스 제어 및 예상 적중 문제 - 1 (0) | 2022.08.11 |
감리 및 안전을 위한 보호 - 예상 문제 포함 (0) | 2022.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