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손의 피해가 큰 소방대상물 중에서 물로서 소화할 수 없는 시설 즉, 전기실, 전산실, 발전기실,

     통신실 등에 사용하며 이산화탄소(CO2), 할론 등의 소화약제를 사용한다.

1. 도시기호

 

2. 가스계 (CO2 및 할론) 소화설비의 배선 가닥수

 가. 가스계 소화 설비 구성도

 

  ▣ 동작설명

   ※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화기구 저장실(실린더실)과 방호구역이 구분되어 있다.

      이 설비도 준비작동식 소화설비와 마찬가지로 교차회로방식으로 감지기를 구성한다.

  ⊙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기 A가 작동하면 화재 감지신호가 수동조작함(RM)을

       거쳐 수신반(제어반)에 전달된다. 제어반에서는 사이렌을 통해 경보를 발령한다.

  ⊙ 연속하여 감지기 B가 작동하면 화재 감지신호가 수동조작함(RM)을 통해 제어반에 전달되면 제어반은 솔레노이드

       밸브(SOL)을 작동시킨다.

   ※ 이 때 제어반에는 타이머가 작동하여 약 20 ~30초 가량 작동을 지연시킨다.

       소화가스가 분출되기 전 사람들이 피난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 SOL은 작은 가스계 소화용구를 터뜨려 주 소화기구를 작동하게 한다.

   ⊙ 주 소화기구가 작동하게 되면 감지된 구역을 선택밸브가 열리게 되고 소화가스가 분출되는데 이 때 압력스위치(PS)가

        이를 확인하고 수신기계 신호를 전달한다.

   ⊙ 수신기는 방호구역의 방출표시등이 점등되고 소화를 시작한다.

    ※ 소화용기가 5통이 있다고 가정하면 우선 소화개시는 2개 통에서 시작하고 화재가 확산되면 5개 통에서 소화를 하게

        된다.

    ※ 가스계 소화용기에서 배관까지의 관은 동관을 사용한다.

 

 ▣ 이를 평면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평면도에서는 소화용기는 나타내지 않는다.

   ⊙ 2개의 경계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감지기는 교차회로방식으로 설치한다.

   ⊙ 수신반(제어반)을 별도의 공간에 위치한다. (방호구역과 구분된다.)

   ⊙ 수동조작함(RM)은 방호구역 밖 즉, 외부에 설치한다.

   ⊙ 수동조작함에 사이렌, 방출표시등, 감지기가 연결되고 수동조작함이 제어반에 연결된다.

 ※ 전산실과 같이 케이블이 많은 장소에는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많이 발생하므로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는

     연기감지기이다.

▣ 수동조작함(RM)과 제어반과의 배선

 

  ⊙ 가스계소화설비에서는 반드시 기동스위치라고 해야 한다. 준비작동식에서는 기동으로 해도 되나 가스계 소화설비에

       서는 수동 기동의 의미가 있으므로 기동스위치라고 해야 한다.

  ⊙ 방출지연스위치 : 소화약제의 방출을 지연 시키기 위한 스위치

  ⊙ 수동조작함(RM)이 증가하면 즉, 방호구역이 증가하면 5가닥 (기동스위치1, 가스방출 확인 1, 감지기 A 1, B1, 사이렌)

       씩 전선가닥수가 증가한다.

       8 → 13 → 18 → 23 → 28 ....

  ⊙ 가스계 소화설비는 경계구역 개념이 없고 방호구역으로 설정하는데 방호구역은 면적 최소 기준이 없다. 또한 가스계

       소화설비는 우선 경보 방식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각 방호구역 마다 사이렌 (지하층)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계통도]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와 가스계 소화설비의 비교]

 

  [주의사항]

 

  ⊙ 방출표시등이 추가 되어도 수동조작함과 제어반 사이의 전선의 가닥수는 변함없이 8가닥이 된다.

  ※ 가스계 소화설비 중 이산화탄소(CO2) 소화설비는 사람에게 위험할 수 있으므로 배관 중간에 수동으로 잠글 수 있는 수

      동잠금밸브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도면에 수동잠금밸브가 표시되어 있으면 수동잠금밸브 2가닥(공통1, 수동잠금밸브 1)을 추가하면 된다.

[부수신반의 배선]

  ▣ 부수신반은 방재실이나 관리실에 설치되어 화재 관련 신호를 받기만 하고 작동신호을 보내는 장치는 없다.

 

  ※ 방호구역이 증가하면 3가닥씩 (감지기 A, B, 방출표시등) 배선이 증가한다.

▣ 배선내역

기본
가닥수
감시제어반 (수신반, 컨트롤 판네) ↔ 수동조작함(RM)
(기본 가닥수 : 8가닥)
감시제어반(수신반,
컨트롤 판넬) ↔ 저장
용기실 (SOL 또는 PS)
(기본가닥수 : 2가닥)
+
-
A
B
방출지연
스위치
SOL 2
PS 2
가닥
수의
증감
조건
무조건
1가닥
① 원칙 : 방호구역수 또는 수
동조작함(RM) 수마다 1가
닥씩 추가(하나의 방호구역
에 둘 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
동조작함으로 본다)
② 사이렌은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① 원칙 :
무조건
1가닥
② 문제의
조건에 따
라 증감
방호구역수 또는 수동
조작함(RM) 수마다
1가닥씩 추가(하나의
방호구역에 둘 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동
조작함으로 본다)

 ※ 1. 문제의 조건에서 감지기 공통선을 별도로 사용하라고 하였을 경우 감지기 공통선 1가닥을 추가할 것

     2. 기타 :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가능

  ▣ 감시제어반 (수신반, 컨트롤 판넬) ↔ 방제센타 (표시반) (기본가닥수 : 6가닥)

기본가닥수
공통
전원표시등
화재표시등
감지기A
감지기B
방출표시등
가닥수의
증감 조건
무조건 1가닥
방호구역수 또는 수동조작함(RM) 수마다 1가닥씩 추가 (하나의 방호구역
에 둘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동조작함으로 본다)

[참고] 패키지 시스템 (Package System)

가. 수동조작함에 종단저항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나. 패키지(Package)에 종단저항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 간선 8가닥 중 감지기 A · B 2가닥을 제외한 6가닥이 된다.

  ※ 패키지식은 해당 방호구역내만을 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Package 속에 작은 소화용기가 내장되어 있어 해당 구역내 소화한다.

   ⊙ Package 속에 수신기가 내장되어 있다.

#패키지 #소화설비 #가스계 #이산화탄소 #할론 #배선 #프리액션밸브

#수동조작함 #수신반 #감지기 #기동스위치 #종단저항 #방호구역

#방출표시등 #모터사이렌 #검출부 #연기감지기 #후강전선관

반응형
반응형

1.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공기관의 재질은 무엇인가 ? 동관 (중공동관)

  나. 아래 그림과 같이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A, B, C, D가 있다. 배선을 전부 보내기 배선으로 할 경우 박스와

        감지기 "C" 사이의 배선 가닥수는 몇 본인가 ? 4가닥

 

2. 그림과 같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평면도에서 ① ~ ⑧의 전선가닥수를 주어진 표의 빈칸에 쓰시오.

 

  [풀이] 전선의 접속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답안작성

기호
가닥수
7
4
6
4
2
2
2
4

3. 다음 조건과 도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주요 구조부는 #내화구조 이다.

   ⊙ 층고는 3.5 [m] 이다

   ⊙ 사용되는 감지기의 종별은 모두 1종으로 한다.

   ⊙ 계단의 감지기는 다른 층에 설치된 것으로 한다.

   ⊙ 화장실에는 감지기를 설치하지 않는다.

 

가. 경계구역 면적[㎡]을 산정하고 그 면적에 최소 경계구역수를 쓰시오.

   ▣ 수평적 경계구역 : (40 × 15) - (3 × 2) = 594 [㎡]

         ∴ 594 ÷ 600 = 0.99 ≒ 1경계구역

         ※ 수직적 경계구역은 수평적 경계구역에서 제외

  나. 위 도면에서 설비상 잘못된 곳을 6가지 지적하고 바르게 설명하시오.

     ① 사무실 B에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가 1개 설치되어 있다. ⇒ 2개 설치

          ※ 13 × 7 = 91 [㎡] ∴ 91 ÷ 90 =1.01 ≒ 2개

    ② 사물실 C에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가 2개 설치되어 있다. ⇒ 4개 설치

         ※ 23 × 13 - 4 × 9 = 263 [㎡] ∴ 263 ÷ 90 = 3.26 ≒ 4 개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설치

 
1종
2종
1종
2종
특종
1종
2종
4 미만
9
7
9
7
6
3
2
1/2 +5
30
15
4 ~ 8
1/2
30
X
1/2 +5
15
X

​   ③ 복도에 연기감지기가 1개 설치되어 있다. ⇒ 2개 설치

       ▣ 면적 : 2 × 31 = 61 [㎡] ∴ 61 ÷ 150 = 0.4 ≒ 1개

       ▣ 거리기준 : 31 ÷ 30 = 1.03 ≒ 2개

           ∴ 연기감지기 설치개수 : 2개

    ※ 연기감지기 설치 기준

     ㉠ 연기감지기의 부착높이별 바닥면적 기준

                                                                                                                                                                     [단위 : ㎡]

부착 높이
감지기 종류
1종 및 2종
3종
4 [m] 미만
150
50 1/3
4[m] 이상 20 [m] 미만
75 1/2
설치불가

    ㉡ 감지기는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30 [m] (3종에 있어서는 20[m])마다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는

          수직거리 15 [m] (3종에 있어서는 10[m])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 천장 또는 #반자 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할 것

    ㉤ #감지기 는 벽 또는 보로 부터 0.6 [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④ 사무실 A의 말단 감지기의 배선수가 2가닥이다. ⇒ 4가닥으로 배선

     ※ 종단저항이 발신기 세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말단 감지기의 배선수는 4개이다.

         따라서 2개 배선 모두 4배선으로 해야 한다.

  ⑤ 사무실 B의 배선수가 2가닥이다. ⇒ 4가닥이다.

    ※ 종단저항이 발신기 세트에 있으므로 전선 가닥수는 4가닥이다.

  ⑥ 사무실 C의 일부 배선수가 2가닥이다. ⇒ 4가닥이다.

    ※ 종단저항이 발신기 세트에 있으므로 전선 가닥수는 4가닥이다.

4. 주어진 조건과 도면을 이용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본 도면은 1층 사무실이며, 내화구조로서 천장 높이는 3.6[m], 전선관은 후강전선관을 사용하며 #콘크리트 매입배관

    으로 한다. 또한 자동화재탐지설비는 P형을 설치한다.

 

  가. ① ~ ⑦ 에 해당하는 곳의 배선 가닥수는 몇 가닥인가 ?

     ① 4가닥       ② 2가닥          ③ 2가닥          ④ 2가닥          ⑤ 2가닥        ⑥ 2가닥          ⑦ 4가닥

  나. ⑧ 에 사용되는 종단저항수는 몇 개인가 ? 1개

  다. HFIX 전선의 명칭을 쓰시오. 450 / 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5.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 의 계통도이다. 조건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설비의 설계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 건물의 연면적은 5,500[㎡] 이다.

   ⊙ 공통선은 상층에서 부터 기준으로 시작하여 회로를 선정한다.

   ⊙ 경종과 표시등의 공통선은 회로 공통선과 별도로 하되 최소의 전선수로 한다.

 

  가. 계통도상의 ⓐ ~ ⓕ의 전선가닥수는 최소 몇 가닥이 필요한가 ?

     [풀이] 우선 경보방식 : 5층이상 3천[㎡] ⇒ 11층 이상 (공통주택 16층) 변경되었지만

               예전 규정을 적용하여 우선 #경보 방식 배선방식으로 문제를 풀도록 하겠음

   ⓕ 7회선 : 공 1, 공 1, 표 1, 발 1, 경 1, 회 2 = 1+1+1+1+1+2 = 7회선

         회선수 : 실내 감지기 1회선, 계단 감지기 1회선 합계 2회선

   ⓔ 9회선 : 공 1, 공 1, 표 1, 발 1, 경 2, 회 3 = 1+1+1+1+2+3 = 9회선

   ⓓ 11회선 : 공 1, 공 1, 표 1, 발 1, 경 3, 회 4 = 1+1+1+1+3+4 = 11회선

   ⓒ 14회선 : 공 1, 공 1, 표 1, 발 1, 경 4, 회 6 = 1+1+1+1+4+6 = 14회선

   ⓑ 16회선 : 공 1, 공 1, 표 1, 발 1, 경 5, 회 7 = 1+1+1+1+5+7 = 16회선

   ⓐ 19회선 : 공 2, 공 1, 표 1, 발 1, 경 6, 회 8 = 2+1+1+1+6+8 = 19회선

 나. 계통도상의 발신기 세트 내장되어 있는 주요 부분 3가지를 쓰시오.

   ① 경종        ② 위치표시등            ③ 발신기

 다. 그림기호 ① 은 어떤 감지기의 그림인가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라. 그림기호 ② 는 연기감지기이다. 이 감지기를 "매입형"으로 공사할 때의 그림기호를 그리시오.

 

마. 그림기호 ③은 정온식 스포트형이다. "방수"인 것을 표시한 때의 그림기호를 그리시오.

 

6. 다음 그림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각 실은 이중천장이

    없는 구조이며, 전선관은 16 [㎜] 후강 스틸 전선관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 매입 시공한다)

 

  가. 시공에 소요되는 부싱과 로크너트의 소요개수를 구하시오.

    ① 부싱 : 박스와 전선관 접속점 : 22개

    ② 로그너트 : 부싱 하나에 #로크너트 2개 : 22 × 2 = 44개

  나. 각 감지기 간과 감지기와 수동발신기 세트 간 (① ~ ⑪)에 배선되는 전선의 가닥수를 쓰시오.

     ① 2가닥 ② 2가닥 ③ 2가닥 ④ 4가닥 ⑤ 2가닥 ⑥ 2가닥 ⑦ 2가닥 ⑧ 2가닥 ⑨ 2가닥 ⑩ 2가닥 ⑪ 2가닥

  다. 본 설비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는 무엇인지 그 명칭을 쓰시오.

      HFIX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 올레핀 절연전선

  라. 도면에 그려진 심벌 ⓐ ~ ⓒ 의 명칭을 쓰시오.

     ⓐ #연기감지기         ⓑ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7. 다음 표는 어느 건물의 자동화재탐지설비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물량이다. 주어진 품셈을 이용하여 내선전공의

     노임요율과 공량의 빈칸을 채우고 인건비를 산출하시오.

  [조건]

    ⊙ 공구손료는 인건비의 3%, 내선전공의 M/D는 100,000원을 적용한다.

    ⊙ 콘크리트박스는 매입을 원칙으로 하며, 박스커버의 내선전공은 적용하지 않는다.

    ⊙ 빈칸에 숫자를 적을 필요가 없는 부분은 빈칸으로 남겨 둔다.

  가. 내선전공의 노임요율 및 공량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노임요율
공 량
수신기
P형 5회로
EA
1
발신기
P형
EA
5
경종
DC-24V
EA
5
표시등
DC-24V
EA
5
차동식 감지기
스포트형
m
60
전선관(후강)
Steel 16호
m
70
전선관(후강)
Steel 22호
m
100
전선관(후강)
Steel 28호
m
400
#전선
1.5 [㎟]
m
10,000
전선
2.5 [㎟]
m
15,000
콘크리트박스
4각
EA
5
콘크리트박스
8각
EA
55
박스커버
4각
EA
5
박스커버
8각
EA
55

나. 인건비

품명
단위
공량
단가(원)
금액 (원)
내선전공
공구손료

[표 1] 전선관 배관

#합성수지 #전선관
금속(후강) 전선관
금속가요전선관
관의 호칭
내선전공
관의 호칭
내선전공
관의 호칭
내선전공
14
0.04
-
-
-
-
16
0.05
16
0.08
16
0.044
22
0.06
22
0.11
22
0.059
28
0.08
28
0.14
28
0.072
36
0.10
36
0.20
36
0.087
42
0.13
42
0.25
42
0.104
54
0.19
54
0.34
54
0.136
70
0.25
70
0.44
70
0.156

[표2] 박스(Box) 신설

층 별
내선전공
8각 Concrete Box
0.12
4각 Concrete Box
0.12
8각 Outlet Box
0.20
중형 4각 Outlet Box
0.20
대형 4각 Outlet Box
0.20
1개용 Switch Box
0.20
2~3개용 Switch Box
0.20
4~5개용 Switch Box
0.25
노출용 Box (콘크리트 노출기준)
0.29
#플로어 #박스
0.20

[표 3] 자동화재경보장치 설치

공 종
단위
내선전공
비 고
Spot형 감지기
(차동식, 정온식, 보상식)
노출형
0.13
① 천장 높이 4m 기준 1m 증가시 마다
5% 가산
② 매입형 또는 특수조건인 경우 조건
에 따라 산정
#시험기기 (공기관 포함)
0.15
① 상동
② 상동
#분포형 #공기관
m
0.025
#검출기
0.3
공기관식의 Booster
0.1
#발신기 P형
0.3
회로시험기
0.1
#수신기 P형(기본공수)
(회선수 공수 산출
가산요)
6
#부수신기 (기본공수)
3
소화전 기동 릴레이
1.5
#경종
0.15
#표시등
0.2
#표지판
0.15

[표 4] 옥내 배선

                                                                                                                                                    [m당, 직종 : 내선전공]

규 격
관내배선
규격
관내배선
6 ㎟ 이하
0.010
120 ㎟ 이하
0.077
16 ㎟ 이하
0.023
150 ㎟ 이하
0.088
38 ㎟ 이하
0.031
200 ㎟ 이하
0.107
50 ㎟ 이하
0.043
250 ㎟ 이하
0.130
60 ㎟ 이하
0.052
300 ㎟ 이하
0.148
70 ㎟ 이하
0.061
325 ㎟ 이하
0.160
100 ㎟ 이하
0.064
400 ㎟ 이하
0.197

[답안작성]

가. 내선전공의 노임요율 및 공량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노임요율
공 량
#수신기
P형 5회로
EA
1
100,000원
6 + (5 × 0.3) = 7.5
#발신기
P형
EA
5
100,000원
5 × 0.3 = 1.5
#경종
DC-24V
EA
5
100,000원
5 × 0.15 = 0.75
#표시등
DC-24V
EA
5
100,000원
5 × 0.2 = 1
차동식 감지기
스포트형
m
60
100,000원
60 × 0.13 = 7.8
전선관(후강)
Steel 16호
m
70
100,000원
70 × 0.08 = 5.6
전선관(후강)
Steel 22호
m
100
100,000원
100 × 0.11 = 11
전선관(후강)
Steel 28호
m
400
100,000원
400 × 0.14 = 56
전선
1.5 [㎟]
m
10,000
100,000원
10,000 × 0.01 = 100
전선
2.5 [㎟]
m
15,000
100,000원
15,000 × 0.01= 150
콘크리트박스
4각
EA
5
100,000원
5 × 0.12 = 0.6
콘크리트박스
8각
EA
55
100,000원
55 × 0.12 = 6.6
박스커버
4각
EA
5
박스커버
8각
EA
55
348.35

나. #인건비

품명
단위
공량
단가(원)
금액 (원)
#내선전공
348.35
100,000
34,835,000 원
#공구손료
3%
34,835,000
1,045,050 원
35,880,050 원

반응형
반응형

1. 도시기호 (심벌)

 

  ※ 평면도 : 일반적인 설계도, 각 층을 대상으로 작성하며 아파트 처럼 2~15까지

                    동일한 경우 2~15층을 한장의 평면도로 작성

      계통도 : 모든 층의 기기를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

  ▣ 송배전식 배선 : 수신기에서 회로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선의 도중에서 분기하지 않는 방식

【 참고 】 자동화재탐지설비 도면 문제에서 필요한 중요사항

 1.차동식 스포트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형 감지기의 부착 높이에 따른

                                                                                                                                               바닥면적 기준 [단위 : ㎡]

부착 높이 및
특정소방대상물의
구 분
감지기의 종류
차동식 스포트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1종
2종
1종
2종
특종
1종
2종
4[m] 미만
내화구조
90
70
90
70
60
30
20
기타구조
50
40
50
40
40
30
15
4[m] 이상
8[m] 미만
내화구조
45
35
45
35
35
30
X
기타구조
30
25
30
25
25
15
X

  ※ 표 암기법

1종
2종
1종
2종
특종
1종
2종
4 미만
9
7
9
7
6
3
2
1/2 +5
30
15
4 ~ 8
1/2
30
X
1/2 +5
15
X

2. 연기감지기의 설치장소 (NFTC 203. 2.4.2)

   ① 계단, 경사로 및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15 [m] 미만인 것을 제외)

   ② 복도 (30 [m] 미만인 것을 제외)

   ③ 엘리베이터 승강로 (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④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5 [m] 이상 20 [m] 미만인 장소

   ⑤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취침 · 숙박 · 입원 등 이와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거실

   ⊙ 공동주택, #오피스텔 , 숙박시설, #노유자 시설, 수련시설

   ⊙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 #의료시설 ,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조산원

   ⊙ #교정 및 군사시설

   ⊙ #근린생활시설#고시원

3. 연기감지기의 설치기준

   ① 연기감지기의 부착높이별 바닥면적 기준

                                                                                                                                                                     [단위 : ㎡]

부착 높이
감지기 종류
1종 및 2종
3종
4 [m] 미만
150
50 1/3
4[m] 이상 20 [m] 미만
75 1/2
설치불가

   ② 감지기는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30 [m] (3종에 있어서는 20[m]) 마다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는 수직

        거리 15 [m] (3종에 있어서는 10[m])마다 1개 이상으로 할 것

   ③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④ 천장 또는 #반자 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할 것

   ⑤ #감지기 는 벽 또는 보로 부터 0.6 [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4. 경계구역

 가. 경계구역의 정의

    ▣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

 나. 경계구역 설정기준 (NFTC 203. 2.1.1)

   ① 수평적 경계구역

     ㉠ 층, 면적, 길이별 기준

        ⊙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할 것

        ⊙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할 것. 다만, 500[㎡] 이하의 범위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

             구역으로 할 수 있다.

       ⊙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한면의 길이는 50 [m] 이하로 할 것. 다만,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이는 것에 있어서는 한변의 길이가 50 [m] 범위 내에서 1,000[㎡] 이하로 할 수

            있다.

   ◈ 수평적 경계구역

구분
원 칙
예 외
층별
층 마다
2개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는 경우 : 면적 500 [㎡] 이하
면적
600 [㎡] 이하
1,000 [㎡] 이하로 할 수 있는 경우 : 주된 출입구에서 실내 전체가 보이는 곳
길이
한면의 길이가 50 [m] 이하

      ※ 특고압 케이블이 포설된 송·배전 전용의 지하구(공동구 제외) 온도 확인 가능없이 최대 700[m]의 경계구역을 설정

         하여 발화지점 (1[m] 단위)을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다.

 

    ㉡ 외기 개방시의 기준(차고, 주차장, 창고) : 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부분이 있는 차고, 주차장, 창고 등에 있어서는

         외기에 면하는 각 부분으로 부터 5 [m] 미만의 범위 안에 있는 부분은 경계구역 면적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 다른 설비에 감지기 설치시의 기준 :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등 소화설비 또는 배연설비의 화재감지장치로서 화재

         감지기를 설치한 경우의 경계구역은 해당 #소화설비 #방사구역 또는 #제연 구역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② 수직적 경계구역

    ▣ 계단, 경사로 (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포함), 일리베이터 승강로 (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하되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 [m]

        이하로 하고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 (지하층의 층수가 1인 경우에는 제외)는 별도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것

 

◈ 수직적 경계구역

구분
#계단 , #경사로
E/V 승강로(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 피트 및 덕트
높이
45 [m]
제한 없음
지하층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할 것 (지하1층만 있는
경우에는 제외)
제한 없음

   ※ #자동화재 탐지설비     : #경계구역         600 [㎡], 50 [m]

       #스프링클러설비          : 방호구역          3,000[㎡]

       #가스계통소화설비       : #방호구역            X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