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손의 피해가 큰 소방대상물 중에서 물로서 소화할 수 없는 시설 즉, 전기실, 전산실, 발전기실,
통신실 등에 사용하며 이산화탄소(CO2), 할론 등의 소화약제를 사용한다.
1. 도시기호

2. 가스계 (CO2 및 할론) 소화설비의 배선 가닥수
가. 가스계 소화 설비 구성도

▣ 동작설명
※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화기구 저장실(실린더실)과 방호구역이 구분되어 있다.
이 설비도 준비작동식 소화설비와 마찬가지로 교차회로방식으로 감지기를 구성한다.
⊙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기 A가 작동하면 화재 감지신호가 수동조작함(RM)을
거쳐 수신반(제어반)에 전달된다. 제어반에서는 사이렌을 통해 경보를 발령한다.
⊙ 연속하여 감지기 B가 작동하면 화재 감지신호가 수동조작함(RM)을 통해 제어반에 전달되면 제어반은 솔레노이드
밸브(SOL)을 작동시킨다.
※ 이 때 제어반에는 타이머가 작동하여 약 20 ~30초 가량 작동을 지연시킨다.
소화가스가 분출되기 전 사람들이 피난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 SOL은 작은 가스계 소화용구를 터뜨려 주 소화기구를 작동하게 한다.
⊙ 주 소화기구가 작동하게 되면 감지된 구역을 선택밸브가 열리게 되고 소화가스가 분출되는데 이 때 압력스위치(PS)가
이를 확인하고 수신기계 신호를 전달한다.
⊙ 수신기는 방호구역의 방출표시등이 점등되고 소화를 시작한다.
※ 소화용기가 5통이 있다고 가정하면 우선 소화개시는 2개 통에서 시작하고 화재가 확산되면 5개 통에서 소화를 하게
된다.
※ 가스계 소화용기에서 배관까지의 관은 동관을 사용한다.
▣ 이를 평면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평면도에서는 소화용기는 나타내지 않는다.
⊙ 2개의 경계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감지기는 교차회로방식으로 설치한다.
⊙ 수신반(제어반)을 별도의 공간에 위치한다. (방호구역과 구분된다.)
⊙ 수동조작함(RM)은 방호구역 밖 즉, 외부에 설치한다.
⊙ 수동조작함에 사이렌, 방출표시등, 감지기가 연결되고 수동조작함이 제어반에 연결된다.
※ 전산실과 같이 케이블이 많은 장소에는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많이 발생하므로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는
연기감지기이다.
▣ 수동조작함(RM)과 제어반과의 배선

⊙ 가스계소화설비에서는 반드시 기동스위치라고 해야 한다. 준비작동식에서는 기동으로 해도 되나 가스계 소화설비에
서는 수동 기동의 의미가 있으므로 기동스위치라고 해야 한다.
⊙ 방출지연스위치 : 소화약제의 방출을 지연 시키기 위한 스위치
⊙ 수동조작함(RM)이 증가하면 즉, 방호구역이 증가하면 5가닥 (기동스위치1, 가스방출 확인 1, 감지기 A 1, B1, 사이렌)
씩 전선가닥수가 증가한다.
8 → 13 → 18 → 23 → 28 ....
⊙ 가스계 소화설비는 경계구역 개념이 없고 방호구역으로 설정하는데 방호구역은 면적 최소 기준이 없다. 또한 가스계
소화설비는 우선 경보 방식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각 방호구역 마다 사이렌 (지하층)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계통도]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와 가스계 소화설비의 비교]

[주의사항]

⊙ 방출표시등이 추가 되어도 수동조작함과 제어반 사이의 전선의 가닥수는 변함없이 8가닥이 된다.
※ 가스계 소화설비 중 이산화탄소(CO2) 소화설비는 사람에게 위험할 수 있으므로 배관 중간에 수동으로 잠글 수 있는 수
동잠금밸브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도면에 수동잠금밸브가 표시되어 있으면 수동잠금밸브 2가닥(공통1, 수동잠금밸브 1)을 추가하면 된다.
[부수신반의 배선]
▣ 부수신반은 방재실이나 관리실에 설치되어 화재 관련 신호를 받기만 하고 작동신호을 보내는 장치는 없다.

※ 방호구역이 증가하면 3가닥씩 (감지기 A, B, 방출표시등) 배선이 증가한다.
▣ 배선내역
기본
가닥수
|
감시제어반 (수신반, 컨트롤 판네) ↔ 수동조작함(RM)
(기본 가닥수 : 8가닥)
|
감시제어반(수신반,
컨트롤 판넬) ↔ 저장
용기실 (SOL 또는 PS)
(기본가닥수 : 2가닥)
|
||||||||
전
원
+
|
전
원
-
|
기
동
스
위
치
|
방
출
표
시
등
|
감
지
기
A
|
감
지
기
B
|
사
이
렌
|
방출지연
스위치
|
SOL 2
|
PS 2
|
|
가닥
수의
증감
조건
|
무조건
1가닥
|
① 원칙 : 방호구역수 또는 수
동조작함(RM) 수마다 1가
닥씩 추가(하나의 방호구역
에 둘 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
동조작함으로 본다)
② 사이렌은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① 원칙 :
무조건
1가닥
② 문제의
조건에 따
라 증감
|
방호구역수 또는 수동
조작함(RM) 수마다
1가닥씩 추가(하나의
방호구역에 둘 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동
조작함으로 본다)
|
※ 1. 문제의 조건에서 감지기 공통선을 별도로 사용하라고 하였을 경우 감지기 공통선 1가닥을 추가할 것
2. 기타 :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가능
▣ 감시제어반 (수신반, 컨트롤 판넬) ↔ 방제센타 (표시반) (기본가닥수 : 6가닥)
기본가닥수
|
공통
|
전원표시등
|
화재표시등
|
감지기A
|
감지기B
|
방출표시등
|
가닥수의
증감 조건
|
무조건 1가닥
|
방호구역수 또는 수동조작함(RM) 수마다 1가닥씩 추가 (하나의 방호구역
에 둘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동조작함으로 본다)
|
[참고] 패키지 시스템 (Package System)
가. 수동조작함에 종단저항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나. 패키지(Package)에 종단저항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 간선 8가닥 중 감지기 A · B 2가닥을 제외한 6가닥이 된다.
※ 패키지식은 해당 방호구역내만을 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Package 속에 작은 소화용기가 내장되어 있어 해당 구역내 소화한다.
⊙ Package 속에 수신기가 내장되어 있다.
#패키지 #소화설비 #가스계 #이산화탄소 #할론 #배선 #프리액션밸브
#수동조작함 #수신반 #감지기 #기동스위치 #종단저항 #방호구역
#방출표시등 #모터사이렌 #검출부 #연기감지기 #후강전선관
'소방설비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계 소화설비 - 도면 : 출제 예상 문제 (2) | 2023.06.16 |
---|---|
계통도 그리기 (도면) - 자동화재탐지설비, 스프링클러 등 (0) | 2023.06.14 |
스프링클러설비 - 도면 : 출제 예상 문제 풀이 (0) | 2023.06.12 |
스프링클러설비 - 도면 (6) | 2023.06.11 |
옥내 소화전설비 - 도면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