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보방식
① 일제경보방식 : 화재로 인한 경보 발령시 전 층에 경보를 발하는 방식
② 우선경보방식 : 층수가 11층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적용
※ 우선경보방식과 관련 있는 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 층수가 11층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적용
㉡ #비상방송설비 (층수 5층이상, 연면적 3,000[㎡] 이상)
㉢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층수 5층 이상, 연면적 3,000 [㎡] 이상)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배선 가닥수 (P형) (경종 단락보호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① 일제 경보 방식 (기본 가닥수 : 6가닥)
기본
가닥수
|
회로
공통선
|
경종
표시등
공통선
|
표시등선
|
발신기선
|
경종선
|
회로선
|
가닥수의
증감조건 |
① 원칙 : 회로선
7가닥 초과시
마다 1가닥씩
추가
②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① 원칙 : 무조건
1가닥
②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① 원칙 : 무조건 1가닥
②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무조건 1가닥
|
발신기 세트수 또는
경계구역수 또는 종단저항수 마다 1가닥씩 추가 |
※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화재안전기준 :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에 지구음향장치 또는 배전선이 단락되어
도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각 층 배선상에 유효한 조치를 할 것
[참고] 지구음향장치 또는 배선단락시 다른 층에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한 각층 배선상에 유효한 조치방법
① 경종 단락 보호장치
② 단락 보호기능이 있는 중계기 사용
③ 선로의 증설 (각 층마다 선로를 따로 부설)
|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기본 가닥수 6가닥
[전제조건] ㉠ 경종단락보호장치 설치
㉡ 경종과 표시등은 공통선로 사용
◈ 공공 표 발 경 회
공 공 표 발 경 회
회로 공통 경종 표시등 공통 표시등 발신기 지구경종 회로
지구공통 발신기 세트
감지기공통 경계구역번호
발신기공통 종단저항개수
② 우선경보방식 (기본 가닥수 : 6가닥)
기본
가닥수
|
회로
공통선
|
경종
표시등
공통선
|
표시등선
|
발신기선
|
경종선
|
회로선
|
가닥수의
증감조건 |
① 원칙 : 회로선
7가닥 초과시
마다 1가닥씩
추가
②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① 원칙 : 무조건 1가닥
②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① 원칙 : 무조건 1가닥
②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① 지상층 : 1층수마다
1가닥씩 추가
② 지하층 : 무조건
1가닥 |
발신기 세트수 또는
경계구역수 또는 종단저항수 마다 1가닥씩추가 |
3. #자동화재탐지설비 의 배선 가닥수 (R형) (기본 가닥수 : 4가닥)
기본 가닥수
|
수신기 ↔중계기, 중계기 ↔ 중계기
|
중계기 ↔ 각 Local 기기
|
|
전원선 2
|
신호선(통신선)2
|
||
가닥수의
증감 조건
|
기타 전화선 등은 조건에 따라 증감
|
P형 System에 준한다.
|
【 참고】 소방용 전선 · 전선관의 규격
⊙ 소방용 전선
약호
|
명 칭
|
|
HFIX
|
450 / 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
⊙ #전선관 의 #규격
전선
규격
|
전선관 규격
|
|||||
16 [㎜]
|
22 [㎜]
|
28 [㎜]
|
36 [㎜]
|
42 [㎜]
|
54 [㎜]
|
|
1.5 [㎟]
|
1~6가닥
|
7가닥
|
8~18가닥
|
-
|
-
|
-
|
2.5 [㎟]
|
1~4가닥
|
5~7가닥
|
8~12가닥
|
13~21
가닥
|
22~28
가닥
|
29~45
가닥
|
【일제경보방식 주배선도】
<해설> ① 5층 이므로 일제 경보방식의 회로 형태를 취한다.
② 회로공통선은 회로선 7까지 1선으로 할 수 있다.
③ 회로선(발신기, 경계구역은 각 층마다 구별)은 각 층마다 1선씩 배선한다.
④ 표시등, 발신기, 경종의 배선은 전층을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한다.
⑤ 수신기는 통상 1층에 설치한다.
【종단저항방식】
<해설> ① 5층 이므로 일제 경보방식의 회로 형태를 취한다.
② 회로공통선은 회로선 7까지 1선으로 할 수 있다.
③ 회로선은 종단저항 1개 마다 1선씩 배선한다.
④ 표시등, 발신기, 경종의 배선은 전층을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한다.
⑤ 수신기는 통상 1층에 설치한다.
【 발신기가 많은 경우】
<해설> ① 5층 이므로 일제 경보방식의 회로 형태를 취한다.
② 회로공통선은 회로선 7까지 1선으로 할 수 있다.
③ 회로선은 발신기 세트 1개 마다 1선씩 배선한다.
④ 표시등, 발신기, 경종의 배선은 전층을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한다.
【 우선 경보방식 】 11층 이상 (공동주택 16층 이상)
<해설> ① 11층 이므로 #우선경보 방식의 회로 형태를 취한다.
② #회로공통선 은 회로선 7까지 1선으로 할 수 있다.
③ 회로선은 각 층( #경계구역, 발신기 세트 1개) 마다 1선씩 배선한다.
④ #경종 은 #지상층 은 각 층 마다 1선씩 배선한다.
#지하층 은 전층을 1선으로 배선한다.
⑤ 표시등, 발신기의 배선은 전층을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한다.
【 발신기 배치에 따른 주밴선 변화 】
<해설> ① 발신기 세트의 배치에 따라 회로 구성방식이 달라 진다.
② 회로공통선은 회로선 7까지 1선으로 할 수 있다.
③ #회로선 은 발신기 세트 1개 마다 1선씩 배선한다.
④ 1개 층의 배선도이므로 경종은 1개선으로 배선한다.
⑤ #표시등 , #발신기 의 배선은 하나의 #배선 으로 연결한다.
'소방설비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화재탐지설비 - 견적 (4) | 2023.06.08 |
---|---|
자동화재탐지설비 결선도 (0) | 2023.06.06 |
자동화재탐지설비 - 교차회로방식 - 배전선 (0) | 2023.06.04 |
자동화재탐지설비 도면 - 2 (0) | 2023.06.04 |
도면 - 자동화재탐지설비 (0)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