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프링클러설비의 비교
구분
|
1차측
(밸브기준)
|
2차측
(밸브기준)
|
헤드의
종류
|
밸브의 종류
(명 칭)
|
감지기
설치유무
|
습식
|
가압수
|
가압수
|
폐쇄형
|
습식 유수검지장치
(알람체크밸브)
|
X
|
건식
|
가압수
|
압축공기
또는 질소
|
폐쇄형
|
건식 유수검지장치
(드라이밸브)
|
X
|
준비
작동식
|
가압수
|
대기압
|
폐쇄형
|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프리액션밸브)
|
O
|
일제
살수식
|
가압수
|
대기압
|
개방형
|
일제개방밸브
(델류지밸브)
|
O
|
부압식
|
가압수
|
소화수
(부압)
|
폐쇄형
|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프리액션밸브)
|
O
|
2.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가. 도시기호 (심벌)

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배선 가닥수 (기본 가닥수 : 4가닥)
▣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에는 물이 차 있다. 1차, 2차에 모두 물이 차 있다.

▣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감지기가 없다. 화재가 발생하면 열기가 스프링클러 설비의 헤드에 도달하면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개방되어 바로 소화를 하기 시작한다.
※ 작동 순서
① 화재발생 ② 폐쇄형 헤드 개방
③ 폐쇄형 헤드가 개방되면 2차측 압력수가 방출되어 2차측 배관의 압력이 감소된다.
④ 경보밸브 개방 (2차측 배관 압력이 감소하여 경보밸브 개방)
⑤ 1차측 가압수가 2차측으로 넘어가면서 경보밸브의 압력스위치 (PS)의 접점을 붙어서 수신반에 신호를 전달한다.
⑥ 밸브개방표시등이 점등과 동시에 사이렌 경보 발령
⑦ 1차측 가압수가 2차측으로 넘어가면서 압력챔버의 펌프기동용 수압밸브의 접점이 붙어 수신기에 신호 전달
⑧ 수신기에서 펌프 기동
⑨ 소화
※ 탬퍼스위치 (TS)는 소화활동과 관련이 없다.
평상시에 밸브가 닫히면 경보를 울리게 된다. 밸브감시장치이다.
※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기구가 간단하다.
⊙ 기구배선 : 공통, PS, TS, 사이렌
⊙ 수동조작함 X : (감지기 X)
수동조작함 O : (감지기 O)
⊙ Motor 방식 : 5가닥 : 공통, +, -, 기동, 확인
* 소화전 옆에 댐퍼가 있어서 화재발생시 모터가 댐퍼를 작동하여 소화전을 기동시킨다.
⊙ SOL (솔레노이드) 방식 : 공통, 기동, 확인
* 솔레노이드 : 전자력을 이용하여 소화전을 기동시키는 방식
* 회로구성 : 습식은 감지기가 없다.
◈ 밸브가 증가하면 공통선은 그대로 사용하고 경보밸브(PS), 밸브확인(TS), 사이렌선이 증가하게 된다.
◈ 공통, (PS, TS, 사이렌) × 10 = 31 배선
♣ 공통선은 증감이 없다. 한선으로 전체 기구 연결
▣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감지기가 없다. 화재가 발생하면 열기가 스프링클러 설비의 헤드에 도달하면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개방되어 바로 소화를 하기 시작한다.
※ 작동 순서
① 화재발생 ② 폐쇄형 헤드 개방
③ 폐쇄형 헤드가 개방되면 2차측 압력수가 방출되어 2차측 배관의 압력이 감소된다.
④ 경보밸브 개방 (2차측 배관 압력이 감소하여 경보밸브 개방)
⑤ 1차측 가압수가 2차측으로 넘어가면서 경보밸브의 압력스위치 (PS)의 접점을 붙어서 수신반에 신호를 전달한다.
⑥ 밸브개방표시등이 점등과 동시에 사이렌 경보 발령
⑦ 1차측 가압수가 2차측으로 넘어가면서 압력챔버의 펌프기동용 수압밸브의 접점이 붙어 수신기에 신호 전달
⑧ 수신기에서 펌프 기동
⑨ 소화
※ 탬퍼스위치 (TS)는 소화활동과 관련이 없다.
평상시에 밸브가 닫히면 경보를 울리게 된다. 밸브감시장치이다.
※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기구가 간단하다.
⊙ 기구배선 : 공통, PS, TS, 사이렌
⊙ 수동조작함 X : (감지기 X)
수동조작함 O : (감지기 O)
⊙ Motor 방식 : 5가닥 : 공통, +, -, 기동, 확인
* 소화전 옆에 댐퍼가 있어서 화재발생시 모터가 댐퍼를 작동하여 소화전을 기동시킨다.
⊙ SOL (솔레노이드) 방식 : 공통, 기동, 확인
* 솔레노이드 : 전자력을 이용하여 소화전을 기동시키는 방식
* 회로구성 : 습식은 감지기가 없다.
◈ 밸브가 증가하면 공통선은 그대로 사용하고 경보밸브(PS), 밸브확인(TS), 사이렌선이 증가하게 된다.
◈ 공통, (PS, TS, 사이렌) × 10 = 31 배선
♣ 공통선은 증감이 없다. 한선으로 전체 기구 연결

▣ 배선 내역
기본 가닥수
|
공통
|
PS
(유수검지스위치)
|
TS
(탬퍼스위치)
|
사이렌
|
가닥수의
증감 조건
|
무조건
1가닥
|
습식밸브(알람체
크밸브) 수마다
1가닥씩 추가
|
① 원칙 : 습식밸브
(알람밸브) 수마
다 1가닥씩 추가
②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습식밸브(알람체
크밸브) 수마다
1가닥 씩 추가
|
[참고]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배선의 또 다른 명칭
기본 가닥수
|
공통
|
PS
(유수검지스위치)
|
TS
(탬퍼스위치)
|
사이렌
|
동일 명칭
|
-
|
압력스위치
|
밸브주의,
밸브모니터링스위치
밸브개폐 감시용스위치
|
-
|
3.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가. 도시기호 (심벌)

나. 준비작동식 회로 구성
▣ 경보밸브 2차측에 습식 구성의 압력수 대신에 공기를 충전해 놓는 방식 (화재시 우선 공기를 배출해야 하므로
성능면에서 떨어진다.)

[작동순서]
① 화재발생
② 감지기 A 작동 (수신기에 신호 전달) ③ 수신기 경보 발령
④ 감지기 B작동 ⑤ SOL 작동 (프리액션밸브 기동)
⑥ 밸브작동
⑦ 1차측 가압수 2차측으로 이동 ⑧ 압력스위치 접점 붙음 (수신기에 신호 전달)
⑨ 수신기에 밸브 개방 표시
⑩ 1차측 가압수 2차측으로 이동 압력 챔버의 펌프 기동용 압력스위치 작동
⑪ 펌프 가동 ⑫ 헤드 개방 ⑬ 소화
※ 준비 작동식은 일반적으로 지하 주차장에 설치한다. 주차장은 동파 우려 때문에 습식을 설치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준비작동식은 감지기를 교차회로 방식으로 배선한다)
※ 배선방법 : 전원 +, -, (기동, 확인, 감지기 A, 감지기 B, 사이렌, 밸브주의 (TS)) - 밸브 추가시 6가닥 증가
※ 수동조작함 : 시험에서는 SVP (슈퍼비조리판넬)이라고 답하지 말고 수동조작함으로 쓴다.
수동조작함이 증가될 때마다 배선은 기동, 확인, 감지기 A, 감지기 B, 사이렌, 밸브주의 (TS)가 증가하므로
6가닥씩 증가하게 된다.

※ 배선을 보다 더 상세하게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주의] ① 감지기 공통선을 별도로 사용하라고 제시하면 수신기 ↔ SVP 사이는 9가닥이다.
② 사이렌선은 지하층에서 사용할 경우 우선경보방식의 조건이 있을 경우 사이렌선은 1개선으로 연결한다.
다. 교차회로방식 배선

<교차회로방식 배선의 예>
▣ 교차회로방식의 배선에서 루프(Loop) 방식 부분과 말단 부분은 4가닥, 그외 부분은 8가닥이다.

라.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배선 가닥수
기본
가닥수
|
감시제어반(수신반) ↔ SVP(슈퍼피조리판넬) (기본가닥수 : 9가닥)
|
SVP(슈퍼비죠리판넬) ↔
준비작동식밸브(프리액션
밸브, P/V)
(기본 가닥수 : 4가닥)
|
|||||||||||
전원 +
|
전원 -
|
밸브
기동
|
밸브
개방
확인
|
감지
기A
|
감지
기B
|
사
이 렌 |
밸브
주의
TS
|
전화
|
공통
|
PS
|
TS
|
SOL
|
|
가닥
수의
증감
조건
|
무조건
1가닥
|
① 원칙 : 준비작동식밸브(프리액션밸브, P/V)
수마다 1가닥씩 추가 ② 밸브주의(TS)선은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무조건
1가닥
|
① 원칙 : 4가닥
②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
※ 1. 문제의 조건에서 감지기 공통선을 별도로 사용하라고 하였을 경우 감지기 공통선 1가닥을 추가할 것
2. 기타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가능
[참고]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배선의 또 다른 명치
① PS : 유수검지스위치, 압력 스위치, 밸브개방확인
② TS : 탬퍼스위치, 밸브주의, 밸브모니터링 스위치, 밸브 개폐 감시용 스위치
③ SOL : 솔레노이드 밸브, 밸브 기동
|
【 계통도 작성법】
가. 자동화재탐지설비

① 층을 구분하고 층수를 표시한다.
② 층의 한 가운데에 발신기 세트를 표시하고 각 층의 발신기 세트를 연결한다.
③ 수신기는 1층에 표시한다.
④ 각 층에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를 표시한다.
⑤ 맨 위층 부터 감지기를 발신기 세트에 연결하고 가닥수를 표시하고 종단저항의 개수를 표시한다.
⑥ 다른 층의 감지기를 발신기 세트에 연결한다.
⑦ 계단이나 엘리베이터의 연기감지기(연기 감지기는 계단의 맨 위층과 계단 중간)에 표시한다.
나.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계통도

① 층를 구분하고 층수를 표시한다.
② 각 층의 가운데에 SVP를 표시한다.
③ 감지기를 층마다 설치한다.
④ 전선의 가닥수를 표시한다.
⑤ 밸브를 표시한다.
#스프링클러 #스프링클러설비 #감지기 #헤드 #수신기 #제어반 #기동용수압개폐장치
#발신기 #발신기세트 #지하층 #사이렌 #압력챔버 #수동조작함 #솔레노이드 #펌프
'소방설비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계 소화설비 - 도면 (2) | 2023.06.13 |
---|---|
스프링클러설비 - 도면 : 출제 예상 문제 풀이 (0) | 2023.06.12 |
옥내 소화전설비 - 도면 (0) | 2023.06.10 |
비상방송설비 - 경보설비 (0) | 2023.06.10 |
자동화재탐지설비 - 도면 출제 예상 문제 풀이 (2)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