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신기】

1. 발신기

  ▣ 화재발생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

2. P형 발신기

▣ 수동으로 각 발신기의 공통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발신하는것으로 발신과 동시에는 전화통화가 되지아니하는 

  ※ 예전에는 R형, M형이 있었으나 모두 없어지고 P형만 남았다.

3. P형 발신기의 구성

 

[구성요소]

  ⊙ 누름스위치 : 수동조작에 의하여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발신하는 장소

  ⊙ 응답확인램프 : 발신기의 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주는 램프

  ⊙ 보호판 : 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것

  ⊙ 명판

  ⊙ 외함

4. 발신기의 설치기준 : 자주는 나오지 않음, 통으로 출제

  ①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②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발신기 까지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 [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할 것

  ③ 기둥 또는 벽이 설치되지 아니한 대형 공간의 경우에는 발신기는 설치대상 장소의 가장 가까운 장소의 벽 또는 기둥

       등에 설치할 것

  ④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15 [°]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

       지점으로 부터 10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 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할 것

【 출제예상문제 】

 문 1. P형 발신기의 구성요소 3가지를 쓰시오.

     ① 누름스위치       ② 응답 확인 #램프       ③  보호판

문 2. 다음 그림은 P형 발신기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①, ② 의 명칭을 쓰고 그 용도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① 응답확인램프 (LED) : 화재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지 확인해 주는 램프

  ② 누름 #스위치 : 수동조작에 의하여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보내는 장치

문 3. P형 발신기를 눌렀더니 지구경종이 울렸다. 수신기에서 지구경종의 경보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복구스위치를 작동

        시켰으나 경보가 정지되지 않고 있을 경우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

  [답안작성] P형 발신기의 누름 스위치가 복구 되었는지 확인한다.

문 4. 그림은 지하 2층, 지상 5층 (상가 및 사무실) 건물의 옥내소화전함(자동기동방식)과 함께 설치된 P형 발신기 세트

         등의 외관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도면에서 "L"은 무엇인지, 명칭, 용도 및 평상시 점등여부를 쓰시오.

   ① 명칭 : #표시등

   ② 용도 :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 표시

   ③ 평상시 점등여부 : 점등

나. 도면에서 "A"의 명칭은 무엇이며, 이것은 어느 경우에 점등하는지 4가지만 쓰시오.

   ① 명칭 : 기동표시등

   ② 점등되는 경우 : 방수구 개방시, 펌프 기동시, 배관 누수시, 압력스위치 고장시

다. 도면에서 "T"의 명칭은 무엇이며 그 사용법은 어떠한가 ?

   ① 명칭 : #전화잭

   ② 용도 : 송수화기를 전화잭에 꽂으면 수신기에 부저가 울려서 수신기와 상호 통화 가능

라. 발신기의 "P"를 누르면 어떤 것들이 작동되어서 인명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지 쓰시오. : 음향장치, 시각경보장치

문 5.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 설치기준 2가지를 쓰시오.

  [답안작성]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층마다 설치하고 수평거리 25 [m] 이하가 되도록 한다.

   ②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조작부 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 중계기 】

1. 중계기

▣ 감지기 또는 발신기 (M형 발신기 제외)의 작동에 의한 신호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에서 발하여진 가스누설신호

     를 받아 이르 수신기 (M형 수신기 제외), 가스누설경보기,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에 발신하며 소화설비, 제연설비, 그밖

      에 이와 유사한 방재설비에 제어신호를 발하는 장치

 

2. 중계기의 구조 및 기능

   ① 정격전압이 60 [V]를 넘는 중계기의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할 것

   ② 예비전원회로에는 단락사고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퓨즈를 설치할 것

   ③ 화재신호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조작부는 설치하지 아니할 것

   ④ 수신개시로 부터 발신개시까지의 시간은 5초 이내일 것

3. 중계기의 설치기준 : 시험 자주 출제

   ①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행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할 것

   ② 조작 및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③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 입력측의 배선에 과전류차단기

     를 설치하고 해당 전원의 정전 즉시 수신기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4. 중계기의 설치장소

가. 분산형 중계기의 설치장소

   ① 발신기 세트함 (단독형 또는 옥내소화전 내장형) 내부

   ② #스프링클러 설비의 접속박스 내부 또는 svp (수퍼비죠리 판넬) 내부

   ③ 가스계소화설비 (CO2, 할론,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수동조작함 내부

   ④ #제연댐퍼 수동조작함 내부

   ⑤ #배연창 , #방화셔터 , 연동제어기 내부

   ⑥ 중계기 전용함 설치시 전용함 내부

 

나. 집합형 중계기의 설치장소

  ▣ #전기피트 (Pit)실 또는 E.P.S (Electrical Piping Shaft)실 내부

5. P형 중계기와 R형 중계기

  ① P형 중계기 : 연기감지기,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 또는 특수감지기가 중계기를 이용하는 형식으로 이들 신호를 증폭

                            하거나 기동회로(구동회로)용의 신호 송출이나 기동회로용 전원을 공급하는 등, 감지기나 가스누설경보

                            기의 탐지부의 발신신호를 수신기에 중계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중계기

   ② R형 중계기 : 고유신호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의 신호를 공통의 신호선을 통해 R형 수신기에

                             발신하는 역할을 하는 중계기

6. 중계기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회로방식

  ①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

  ② 중계기에 접속되는 외부배선과 다른 설비의 외부배선을 공용하는 회로방식 (단, 화재신호, 가스누설신호 및 제어신호

        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것 제외)

7. 중계기의 시험

  ① 주위온도시험 : - 10 [℃] ~ 50 [℃] 범위의 주위온도에서 기능에 이상이 없을 것

  ② 반복시험 : 정격전압에서 정격전류를 흘리고 2,000회 작동반복시험을 하는 경우 기능에 이상이 없을 것

  ③ #절연저항 시험 : 직류 500 [V] 절연저항계에서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및 절연된 선로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20

                                  [MΩ] 이상일 것

   ④ #절연내력시험

   ⑤ #방수시험

 

[참고] 중계기

가. 중계기별 비교

구 분
집합형
분산형
입력전원
외부전원 (AC 220 [V])
수신기 전원 (DC 24 [V])
정류장치
있음
없음
전원공급사고
내장된 예비전원에 의해
정상적인 동작 수행
중계기 전원선로 사고시 해당
계통 전체 시스템 마비
외형크기
대형
소형
회로수
대용량 (30 ~ 40 회로)
소용량 (5회로 미만)
설치방식
전기피트(Pit) 등에 설치
발신기함에 내장하거나 별도의
중계기 격납함에 설치
적용대상
① 전압강하가 우려되는 대규모
건축물
① 수신기와 거리가 먼 초고층
건축물
① 대단위 아파트 단지
② 전기피트(Pit)가 없는 건축물
③ 객실별로 아날로그 감지기를
설치한 호텔
설치
비용
중계기
가격
적게 소요
많이 소요
배관·배선
비용
많이 소요
적게 소요

※ 분산형 중계기의 설치장소 : 옥내소화전함, SVP 수퍼비조리판넬 수동조작함

                                               가스누설경보기 수동조작함 등

나. 중계기별 회로구성의 예

 

【 출제 예상 문제 】

1. 자동화재탐지설비 중계기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①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로의 도통시험을 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할 것

  ② 조작과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③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 입력측의 배선에 과전류차단기

       를 설치하고 해당 전원의 정전 즉시 수신기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계기에 반드시 설치하여야 할 시험장치를 쓰시오.

  ① 사용전원 시험

  ② 예비전원 시험

3.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계기의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가.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①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할 것

  나.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 입력측 배선에 (② 과전류차단

        기)를 설치하고 해당 전원의 정전이 즉시 수신기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③ #상용전원#예비전원 )의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4. 분산형 중계기의 설치장소 4가지를 쓰시오.

   ① #발신기 세트함 (단독형 또는 옥내소화전 내장형) 내부

   ② 스프링클러설비의 접속박스 내부 또는 SVP (수퍼비죠리판넬) 내부

   ③ 가스계소화설비 (CO2, #할론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수동조작함 내부

   ④ 제연댐퍼 수동조작함 내부

5. #자동화재탐지설비#중계기 설치기준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어디에 설치하는가 ?

         #수신기#감지기 사이

  나. 수신시에 의하여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 입력 측의 배선에 무엇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 과전류차단기

  다. 중계기는 수신개시로부터 발신개시까지의 시간은 몇 초 이내이어야 하는가? 5초 이내

반응형
반응형

1. 상가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연설비의 전기계통도이다. A ~ E 까지의 배선수와 각 배선의 용도를 쓰시오.

    (단, 모든 댐퍼는 모터구동방식이며, 별도의 복구선은 없는 것으로 한다. 배선수는 운전조작상 필요한 최소전선수를

      쓰도록 한다)

 

기호
구 분
배선수
배선
굵기
배선의 용도
A
감지기 ↔수동조작함
4
1.5 ㎟
공통 2, 감지기 2
B
댐퍼 ↔ 수동조작함
4
2.5 ㎟
전원 +, -, 기동 1, 배기확인 1
C
수동조작함 ↔ 수동조작함
6
2.5 ㎟
전원 +, -, 기동2, 배기확인 1, 회로 1
D
수동조작함 ↔ 수동조작함
10
2.5 ㎟
전원 +, -, (기동2, 배기확인1, 감지기 1) × 2
E
수동조작함 ↔ 수신반
14
2.5 ㎟
전원 +, -, (기동2, 배기확인1, 감지기 1) × 3
F
MCC ↔ 수신반
5
2.5 ㎟
기동, 정지, 공통, 전원표시등, 기동표시등

2. 아래 그림은 특별피난계단에 시설되는 전실제연설비에 대한 것이다. 주어진 각 조건을 숙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각 댐퍼(Damper)의 기동은 동시기동방식이다.

  ⊙ 수동조작함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 감지기의 공통선만 별도로 한다.

  ⊙ MCC의 전원감시기능은 있는 것으로 본다.

  ⊙ 종단저항은 급기댐퍼 내에 설치한다.

 

  가. ⓐ ~ ⓖ의 명칭은 ?

   ⓐ 배기댐퍼      ⓑ 급기댐퍼               ⓒ 연기감지기                ⓓ 종단저항

   ⓔ 배기팬          ⓕ 환기팬                  ⓖ 수신반(수신기)

  나. ① ~ ⑧의 전선 가닥수는 ?

 

 

   ① 4가닥 (전원 +, -, 기동 1, 배기확인 1)

   ② 7가닥 (전원 +, -, 기동 2, 급기확인1, 배기확인 1, 감지기 1)

   ③ 5가닥 (기동1, 정지1, 공통 1, 전원확인표시등 1, 기동확인 1)

   ④ 4가닥 (전원 +, -, 기동, 배기확인)

   ⑤ 7가닥 ( 전원 +, -, 기동 2, 급기확인 1, 배기확인 1, 감지기 1)

   ⑥ 12가닥 (전원 +, -, 기동 4, 급기확인 2, 배기확인 2, 감지기 2)

   ⑦ 4가닥 (공통 2, 감지기 2)

   ⑧ 4가닥 (공통 2, 감지기 2)

3. 아래 도면은 전실 제연설비의 전기적인 계통도이다. 이 계통도와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기동 시는 솔레노이드 기동방식으로 하고 복구 시는 모터 복구방식을 채택한다.

   ⊙ 터미널 보드(TB)에 감지기 종단저항을 내장한다.

   ⊙ 중계기와 중계기 사이에는 전원 +, -, 신호 2선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 "3"항의 답안작성 예 :

    선번호        기능명칭

        1             × × ×

        2             ○○○

        3           △△△

 

가. 전원 공통선과 감지기 공통선을 별개로 사용할 경우 ① ~ ⑨ 까지의 배선되어야 할 전선의 가닥수는 최소 몇 가닥이

      필요한가 ?

 

 

   ① 4가닥

   ② 4가닥 (전원 +, -, 기동 1, 확인 1)

   ③ 5가닥 (전원 +, -, 기동2, 확인1)

   ④ 4가닥 (전원 +, -, 기동 1, 확인 1)

   ⑤ 9가닥 (전원 +,-, 기동 2, 확인 1, 감지기공통 2, 감지기 2)

   ⑥ 8가닥 (전원 +, -, 기동 2, 급기확인 1, 배기확인1, 감지기공통1, 감지기1)

   ⑦ 4가닥 (전원 +, -, 신호 2)

   ⑧ 4가닥 (전원 +, -, 신호 2)

   ⑨ 4가닥 (전원 +, -, 신호 2)

  나. A ~ E 까지의 명칭을 쓰시오.

    A : 수동조작함       B : 급기댐퍼        C : 배기댐퍼        D : 연기감지기        E : 중계기

 다. 급기 또는 배기댐퍼에서 터미널 보드(TB), 터미널 보드에서 중계기, 중계기에서 수신반(감시반)까지 연결되는

       각 선로의 전기적인 기능 명칭을 쓰시오.

 

4. 다음 그림은 전실 급배기 댐퍼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댐퍼는 모터식이며 복구는 자동복구이고,

    전원은 제연설비반에서 공급하고 기동은 동시에 기동하는 것이다)

 

   가. A, B, C의 명칭을 쓰시오.

         A : 배기 or 급기 댐퍼         B : 단자반 (접속함)          C : 급기 or 배기 댐퍼

   나. ①, ②, ③, ④ 의 전선가닥수를 쓰시오.

     ① 4가닥       ② 4가닥           ③ 4가닥

     ④ 6가닥 (전원 +, -, 기동 1, 급기확인 1, 배기확인 1, 감지기 1)

 

   다. B의 설치 높이는 ? 0.8 m 이상 1.5 m 이하

5. 다음은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한 댐퍼기동방식과 수동복구방식을 채택한 전실제연설비의 계통도를 보여주고 있다.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전선가닥수와 선로의 용도를 쓰시오.

 

항목
전선가닥수
용 도
4
회로 2, 공통 2
5
전원 +, 전원 -, 기동출력 1, 복구스위치1, 배기댐퍼기동확인
3
기동, 확인, 공통
5
전원 +, 전원 -, 기동출력 1, 복구스위치 1, 급기댐퍼기동확인
 

#제연설비 #감지기 #수동조작함 #수신반 #수신기 #복구스위치 #댐퍼 #지구 #회로

#감지기 #배기팬 #종단저항 #사이렌 #중계기 #터미널보드 #배기댐퍼 #단자반

반응형
반응형

▣ 제연설비 : 연기를 제어하는 설비

   ⊙ 배기 : 연기를 배출시키는 것

   ⊙ 급기 :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

▣ 제연설비는 2종류가 있다.

 

가. 상가(거실) 제연설비

  ① 동일식 제연설비 (기동 1가닥)

  ② 인접구역 상호제연 (기동 2가닥) : 시험 빈출

 

  ◈ 동일식 제연방식은 화재시 화재구역의 배기댐퍼와 급기댐퍼가 동시에 가동하는 것으로 기동 배선이 1가닥이 공급

       되고  연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화재실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함으로 소화효과를 저하 시킬 수 있다.

  ◈ 인접구역 상호제연방식은 화재시 화재구역의 배기댐퍼가 작동하고 급기댐퍼는 인접 구역의 댐퍼가 작동하는 형식을

       말한다. 따라서 기동배선이 2가닥이 되어야 한다.

1. 상가 (거실) 제연설비

가. 상가(거실) 제연설비의 배선 가닥수 (밀폐형 상가(거실))

기본
가닥수
감시제어반(수신반) ↔ 수동조작함
감시제어반(수신반) ↔ MCC
(기본 가닥수 : 5가닥)
전원
+
전원
-
수동
기동
기동
출력
배기
댐퍼
개방
확인
회로
(감지
기)
공통
ON
(기동)
OFF
(정지)
FAN
기동
표시등
전원감시
표시등
(FAN
정지표시등)
가닥수
증감
조건
무조건
1가닥
배기 댐퍼 수 마다
1가닥씩 추가
무조건 1가닥

※ 1. 문제의 조건에서 감지기 공통선을 별도로 사용하라고 하였을 경우 감지기 공통선 1가닥을 추가할 것

    2. 복구스위치선 추가 조건

     ① 자동복구방식 : 복구스위치(X)

     ② 수동복구방식 (기동, 복구형 댐퍼방식) : 복구스위치선 무조건 1가닥

        ※ 자동복구방식은 자동화재탐지기가 복구되면 자동으로 복구되므로 복구선이 존재하지 않지만 수동복구방식(기동,

             복구형 댐퍼방식)은 별도의 복구선이 필요하다.

 [참고] 상가(거실) 제연설비(밀폐형) 배선의 동일 명칭

 ① 배기댐퍼개방확인 : 배기 확인, 배기 댐퍼 확인
 ② 회로(감지기) : 지구, 감지기
 ③ ON(기동) : 기동
 ④ OFF (정지) : 정지
 ⑤ FAN 기동 표시등 : FAN 기동확인표시등, 기동표시등
 ⑥ 전원감시표시등 (FAN 정지표시등) : 전원표시등, FAN 정지표시등
      (문제의 조건에 전원감시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전원감시표시등으로 답할 것)

◈ 계통도

 [조건]

   ⊙ 모든 댐퍼는 모터기동방식이며, 별도의 복구선은 없는 것으로 한다.

   ⊙ 배선수는 운전조작상 필요한 최소 전선수를 쓰도록 한다.

 

  ▣ 밀폐형에서는 급기쪽에는 배선이 없다. 급기는 복도에서 일괄적으로 MCC에 의해 팬을 기동하여 급기한다.

      ⊙ 배선 : 전원 +, -, 기동(배기), 배기댐퍼 기동확인, 감지기

※ 배선 내역

구분
배선수
전선규격
전선관
규격
용 도
A
4
HFIX 1.5 ㎟
16 C
지구 2, 지구공통 2
B
4
HFIX 2.5 ㎟
16 C
전원 +, 전원 -, 기동, 배기댐퍼 개방확인
C
6
HFIX 2.5 ㎟
22 C
전원 +, 전원 -, 기동2, 배기댐퍼 개방확인, 지구
D
10
HFIX 2.5 ㎟
28 C
전원 +, 전원 -, (기동2, 배기댐퍼 개방확인, 지구) × 2
E
14
HFIX 2.5 ㎟
36 C
전원 +, 전원 -, (기동2, 배기댐퍼 개방확인, 지구) × 3
F
5
HFIX 2.5 ㎟
22 C
공통, 기동, 정지, 기동표시등, 전원 표시등

※ 1. 도면에서 통로부분은 급기, 거실부분은 배기이다.

    2. 도면에서 통로(급기 댐퍼) 부분은 상시 개방된 급기구를 설치하여 급기 FAN에 의해 일제 급기한다.

    3. 도면에서 급기댐퍼 부분에 대한 가닥수는 산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본 가닥수에서 급기댐퍼 개방확인선은

        제외한다.

나. 상가(거실) 제연설비의 배선 가닥수 (개방형 상가(거실))

  ▣ 개방형 상가(거실) 제연방식은 화재실에서 배기를 하고 인접실에서는 급기를 하는 제연방식이다.

     ⊙ 화재실의 연기가 인접실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연커튼(제연셔터)를 설치한다.

기본
가닥수
감시제어반(수신반) ↔ 수동조작함
(기본 가닥수 : 8가닥)
감시 제어반(수신반) ↔ MCC
(기본 가닥수 : 5가닥)
+
-
회로
(감지
기)
ON
(기동)
OFF
(정지)
F
A
N
전원
감시
표시등
(FAN
정지
표시등)
가닥수
증감
조건
무조건
1가닥
제연구역 마다
1가닥씩 추가
무조건 1가닥

※ 1. 문제의 조건에서 감지기 공통선을 별도로 사용하라고 하였을 경우 감지기 공통선 1가닥을 추가할 것

    2. 복구 스위치선 추가 조건

      ① 자동복구방식 : 복구스위치선 (X)

      ② 수동복구방식 (기동, 복구형 댐퍼방식) : 복구스위치선 무조건 1가닥

[참고] 상가(거실) 제연설비(개방형) 배선의 동일 명칭

  ① 급기댐퍼기동 : 급기기동
  ② 배기댐퍼기동 : 배기기동
  ③ 급기댐퍼개방확인 : 급기확인, 급기댐퍼 확인
  ④ 배기댐퍼개방확인 : 배기확인, 배기댐퍼 확인
  ⑤ 회로(감지기) : 지구, 감지기
  ⑥ ON (기동) : 기동
  ⑦ OFF (정지) : 정지
  ⑧ FAN 기동표시등 : FAN 기동확인표시등, 기동표시등
  ⑨ 전원감시표시등 (FAN 정지표시등) : 전원표시등, FAN 정지표시등
     (문제의 조건에 전원감시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전원 감시 표시등으로 답할 것)

◈ 계통도

  [조건]

   ⊙ 모든 댐퍼는 모터기동방식이며, 별도의 복구선은 없는 것으로 한다.

   ⊙ 배선수는 운전조작상 필요한 최소 전선수를 쓰도록 한다.

 

 ▣ 제연커튼

   ⊙ 제연경계벽 : 화재시 열 ·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천장으로 부터 60 [㎝] 에 칸막이를 설치하는 것

 

  ⊙ 배선 : 전원 +, -, 기동 2 (급기, 배기), 기동댐퍼 확인 2 (급기, 배기), 감지기

 ※ 배선내역

구분
배선수
전선규격
전선관
규격
용 도
A
4
HFIX 1.5 ㎟
16 C
지구 2, 지구 공통 2
B
4
HFIX 2.5 ㎟
16 C
전원 +, 전원 -, 급기댐퍼기동, 급기댐퍼개방확인
C
6
HFIX 2.5 ㎟
22 C
전원 +, 전원 -, 급기댐퍼기동, 배기댐퍼기동, 급기댐퍼개방
확인, 배기댐퍼개방확인
D
8
HFIX 2.5 ㎟
28 C
전원 +, 전원 -, 급기댐퍼기동, 배기댐퍼기동, 급기댐퍼개방
확인, 배기댐퍼개방확인, 수동기동확인, 지구
E
14
HFIX 2.5 ㎟
36 C
전원 +, 전원 -, (급기댐퍼기동, 배기댐퍼기동, 급기댐퍼개방확인, 배기댐퍼개방확인, 수동기동확인, 지구) × 2
F
5
HFIX 2.5 ㎟
22 C
공통, 기동, 정지, 기동표시등, 전원 표시등
G
3
HFIX 2.5 ㎟
16 C
공통, 기동, 확인
H
4
HFIX 2.5 ㎟
16 C
기동 2, 확인 2

다. 전실 (부속실) 제연설비

 ① 전실(부속실) 제연설비의 배선 가닥수

   ▣ 층별 동시 기동방식

    ⊙ 급기는 전층 댐퍼 동시 개방

    ⊙ 배기는 해당층만 댐퍼 기동

    ※ 작동방식을 아파트의 엘리베이터실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화재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실에는 급기댐퍼가 작동한다. 엘리베이터실에는 배기댐퍼은 없고 화재가 난 실의 배기

       댐퍼가 작동한다.

  ⊙ 배선은 전원 +, -, 기동 1, 수동기동확인 1 (RM-수신기), 확인 2(급기, 배기), 감지기 1

 

 ※ 수동기동확인은 수동조작함에서 발신기 버튼에 해당하며 수동조작함과 수신기간에 연결된다.

 

 ※ 화재시 급기댐퍼는 전층에서 개방된다 (화재층의 연기가) 통로로 새어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전층에서 전실에 급기가

      된다. 반면 배기는 해당층에서만 작동한다.

기본
가닥수
감시제어반(수신반) ↔ 수동조작반
(기본 가닥수 : 7가닥)
감시제어반(수신반) ↔ MCC
(기본 가닥수 : 5가닥)
전원
+
-
기동
수동
기동
확인
급기
댐퍼
기동
확인
배기
댐퍼
개방
확인
회로
(감지
기)
ON
(기동)
OFF
(정지)
FAN
기동
표시등
전원
감시
표시등
(FAN
정지
표시등)
가닥수
증감
조건
무조건
1가닥
제연구역 마다
1가닥씩 추가
무조건 1가닥

※ 1. 문제의 조건에서 감지기 공통선을 별도로 사용하라고 하였을 경우 감지기 공통선 1가닥을 추가할 것

    2. 복구 스위치선 추가 조건

     ① 자동복구방식 : 복구스위선 (X)

     ② 수동복구방식 (기동, 복구형 댐퍼방식) : 복구 스위치선 무조건 1가닥

[참고] 전실 (부속실) 제연설비 배선의 동일 명칭

  ① 수동기동확인 : 수동기동
  ② 급기댐퍼개방확인 : 급기확인, 급기댐퍼확인
  ③ 배기댐퍼개방확인 : 배기확인, 배기댐퍼확인
  ④ 회로(감지기) : 지구, 감지기
  ⑤ ON (기동) : 기동
  ⑥ OFF (정지) : 정지
  ⑦ FAN 기동표시등 : FAN 기동확인표시등, 기동표시등
  ⑧ 전원감시표시등 (FAN 정지표시등) : 전원표시등, FAN 정지표시등
     (문제의 조건에 전원감시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전원감시표시등으로 답할 것)

#급기 #배기 #댐퍼 #부속실 #전실 #수동조작함 #전원 #전원감시표시등 #감지기

#수신기 #가닥수 #통로 #풍로 #자동복구방식 #회로 #배선 #제연설비 #모터 #FAN

반응형
반응형

1. 어떤 건물에 대한 소방 설비의 배선도면을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배선공사는 후강전선관을 사용한다고 한다.)

 

  가. 도면에 표시된 그림기호 ① ~ ⑥의 명칭을 쓰시오.

   ① 방출표시등          ② 수동조작함               ③ 모터사이렌             ④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⑤ 연기감지기          ⑥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검출부

  나. 도면에서 ⓐ ~ ⓒ의 배선 가닥수는 몇 본인가 ?

      ⓐ    4가닥            ⓑ 4가닥                  ⓒ 8가닥

  다. 도면에서 물량을 산출할 때 박스는 몇 개가 필요한가 ? 기구 합계 20개

  라. 부싱은 몇 개가 소요되겠는가 ? 부싱은 전선 연결되는 곳

      ▣ 전선 연결되는 곳 40곳 : 40개

2. 아래 도면은 어느 방호대상물의 할론 설비 부대전지설비를 설계한 도면이다. 잘못 설계된 점을 4가지만 지적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유의사항]

   ▣ 심벌의 범례

 

  ▣ 전선관의 규격은 표기하지 않았으므로 지적대상에서 제외한다.

  ▣ 할론수동조작함과 할론컨트롤판넬의 입선 가닥수는 한 구역당 (+, -)전원 2선, 수동조작 1선, 감지선로 2선,

       사이렌 1선, 하론방출표시등 1선, 방출지연 1선으로 연결 사용한다.

  ▣ 기술적으로 동작불능 또는 오동작이 되거나 관련 기준에 맞지 않거나 잘못 설계되어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것들을

       지적하도록 한다.

[답안 작성]

  ① 할론 수동조작함이 실내에 설치되어 있다.

      (화재시 유효한 조작을 위하여 실외에 설치되어야 한다)

  ② 사이렌이 실외에 설치되어 있다.

     (실내에 있는 인명을 대피시키기 위하여 실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③ 할론방출표시등이 실내의 출입구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실외의 출입구 부근에 설치되어야 한다)

  ④ 실 (A)의 감지기 상호간 배선 가닥수가 2가닥으로 되어 있다.

     (할론설비의 감지기 배선은 교차회로방식으로 배선 가닥수는 4가닥 (지구, 공통 각 2가닥)으로 되어야 한다.

3. 아래 그림은 CO2설비의 부대 전기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주어진 조건과 도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본 CO2 대상지역의 천장은 이중 천장이 없는 구조이다.

   ▣ CO2 수동 조작함과 CO2 컨트롤 판넬간의 배선은

      ⊙ +, - 전원 : 2선              ⊙ 감지기 : 2선

      ⊙ 수동기동 : 1선             ⊙ 방출표시등 : 1선

      ⊙ 사이렌 : 1선                 ⊙ 방출지연 : 1선

  ▣ 배관은 후강스틸 전선고나을 사용하며 슬래브 내 매입시공하는 것으로 한다.

 가. 도면 ① ~ (19) 까지 전선수는 각각 몇 가닥인가 ?

 나. 도면 A ~ C의 명칭은 무엇인가 ?   (단, 종류가 구분되어야 할 것은 구분된 명칭까지 상세히 밝히도록 하시오.)

 

[답안 작성]

 가.    ① 4가닥      ② 8가닥      ③ 4가닥      ④ 4가닥       ⑤ 4가닥       ⑥ 4가닥            ⑦ 8가닥

          ⑧ 4가닥      ⑨ 4가닥      ⑩ 4가닥      ⑪ 4가닥       ⑫ 4가닥        ⑬ 4가닥           ⑭ 8가닥

          ⑮ 4가닥       16. 8가닥     17. 8가닥       18. 13가닥        19. 18가닥

 나. A : 수동조작함 B : 사이렌 C : 방출표시등 (벽붙이형)

4. 다음 설계조건을 보고 할론 설비에 대한 부대 전기설비의 접속평면도를 완성하고, 각 개소에 전선의 선수를 표시하시오.

 

 [조건]

 

   ⊙ 배선의 양은 최소가 되게 설계한다.

   ⊙ 할론수동조작함과 할론수신반 사이는 직접 콘서트 파이프로 연결하며, 이 때 선수는 전원 2선, 감지기 2선,

        방출등 1선, 수동조작 1선, 사이렌 1선, 방출지연 1선이다.

   ⊙ 할론 수신반과 실린더솔레노이드, 프레셔스위치, 방재선터간의 선로는 본 설계에서 제외한다.

 

 [답안작성]

 

5. 다음 그림은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 ~ ⓓ 까지의 전선 가닥수는 최소 몇 가닥이 필요한가 ?

    ⓐ 4가닥        ⓑ 8가닥          ⓒ 8가닥          ⓓ 8가닥

 나. 시설이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고 그 이유를 쓰시오.

    ① 잘못된 부분 : 사이렌이 방호구역 밖에 설치되어 있다.

    ② 이유 : 사이렌은 방호구역 내에 있는 인명을 대피시키기 위한 경보설비로서 방호구역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다. 종단저항은 몇 개가 필요한가 ? 2개

6. 컴퓨터실과 전기실에 할론소화설비를 하려고 한다. 이 설비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설계를 하시오.

  [조건] 다음 심벌을 사용하여 완성하시오.

 

       (단, 건축물의 구조는 내화구조이며, 층고는 3 [m] 이다.)

  [답안작성]

 

   ▣ 감지기 개수 : 240 / 70 = 3.43 = 4 × 2 (교차회로) = 8 개

                              192 / 70 = 2.74 = 3 × 2 = 6개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차                 보                        정

                                             1종    2종      1종       2종        특   1종   2종

         4m 미만          내            9      7          9         7            7      3      2

                                기           50    40         50       40          40     30   15

         4~8m              내           45    35         45       35          35     30    -

                                기           40    30          40      30          30     15     -

   ▣ 전선가닥수 : 교차회로방식 : 말단 4가닥, 루프 4가닥, 제어반 8가닥

   ▣ 압력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 말단 2가닥 (공통, PS, SV), 다음 : 3가닥

7. 다음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간선계통도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감지기 공통선과 전원 공통선은 각각 분리해서 사용하는 조건이다.)

 

   가. 배선 가 ~ 카 까지의 가닥수를 쓰시오.

         가. 4가닥      나. 8가닥        다. 8가닥         라. 2가닥        마. 9가닥         바. 4가닥          사. 8가닥

         아. 2가닥      자. 2가닥        차. 2가닥 카. 14 가닥

   <수동조작함 - 수동조작함 , 제어반>

      전원 +, -, 기동 S/W, 가스방출확인, 감지기 A, 감지기 B, 사이렌, 방출지연 S/W, 감지기 공통선 추가

  나. 마의 배선별 용도를 쓰시오 (단, 해당 배선 가닥수까지만 기록)

번호
배선의 용도
번호
배선의 용도
1
전원 + 1가닥
6
감지기 B 1가닥
2
전원 - 1가닥
7
기동 스위치 1가닥
3
방출지연스위치 1가닥
8
방출표시등 1가닥
4
감지기 공통 1가닥
9
사이렌 1가닥
5
감지기 A 1가닥

 다. 카의 배선중 마의 배선과 병렬로 접속하지 않고 추가해야 하는 배선의 용도는 ?

번호
배선의 용도
1
감지기 A
2
감지기 B
3
기동스위치
4
방출표시등
5
사이렌

 

8. 전산실에 할론 소화설비를 시설하고자 한다. 건축물의 구조는 내화구조이고 층간 높이가 3.5 m, 바닥 면적이 600 ㎡

    이라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적용될 감지기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하여 쓰시오.  (단, 설치하여야 할 감지기는 2종을 설치한다)

    ① 감지기 종류 : 연기감지기 2종

    ② 감지기 수량 : 600 ÷ 150 = 4개 × 2 = 8개

부착 높이
감지기 종류
1종 및 2종
3종
4 [m] 미만
150
50 1/3
4[m] 이상 20 [m] 미만
75 1/2
설치불가

  나. 종단저항의 수량을 쓰시오. : 2개

  다. 적용될 감지기의 회로방식은 무엇이며, 이 회로방식의 목적에 대하여 쓰시오.

       ① 회로방식 : 교차회로방식

       ② 교차회로방식의 목적 :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 할론 소화설비가 자동으로 작동하기 위한 설비도를 다음의 그림을 바탕으로 완성하시오.

  [조건]

   ⊙ 전역방출방식

   ⊙ 천장은폐배선 시공

   ⊙ 후강전선관 적용

 

  [답안작성]

 

  마. 전산실 화재발생시 감지기 작동에 의한 할론 자동소화설비의 작동을 가정할 때, 이의 작동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화재 발생

   ② 감지기 A 작동 → 수신기에 신호 전달

   ③ 제어반에 화재표시등 및 지구표시등 점등

   ④ 사이렌 작동하여 방호구역내 인명 대피

   ⑤ 감지기 B 작동 → 수신기에 신호전달

   ⑥ 기동스위치 작동 (SOL 밸브 작동)

   ⑦ 기동용기 개방

   ⑧ PS (압력스위치) 작동

   ⑥ 소화약제 방출 및 방출 표시등 점등

   ⑦ 소화

9. 그림은 전기실에 설치되는 할론 1301 소화설비의 전기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시스템을 전기적으로 완벽하게

    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선의 종류, 전선의 최소 굵기, 전선의 최소 수량과 후강전선관의 크기 등을 (가) ~ (바)까지

     표시하고 종단저항의 수량 (사)  를 쓰시오.

 

 [답안작성]

   가. 16 C (2.5 ㎟ - 2)         나. 16 C (2.5 ㎟ - 2)             다. 16 C (1.5㎟ -4)

   라. 28 C (1.5 ㎟ - 8)          마. 16 C (2.5㎟ - 2)             바. 16 C (2.5 ㎟ - 2)

   ※ 전선명칭 HFIX :450 / 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10. 도면과 같은 컴퓨터실에 독립적으로 할론소화설비를 하려고 한다. 이 설비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설계를

      하시오.

 [유의사항]

   ⊙ 평면도 및 제어계통도만 작성할 것

   ⊙ 감지기의 종류를 명시할 것

   ⊙ 배선 상호간에 사용되는 전선류와 전선 가닥수를 표시할 것

   ⊙ 심벌은 임의로 사용하고 심벌 부근에 심벌명을 기재할 것

   ⊙ 실의 높이는 4 [m]이며 지상 2층에 컴퓨터실이 있다.

 

  [답안작성]

   ① 평면도

 

     ▣ 감지기 개수 : (18 × 14 - 6 × 4) ÷ 75 =3.04 × 2 = 6.08 (8개 인데 6개로 함)

   ② 제어 계통도

 

   ③ 감지기의 종류 : 연기감지기 2종

   ④ 심벌명

 

 

11. 도면은 할론 (Halon) 소화설비의 수동조작함에서 할론제어반까지의 결선도 및 계통도 (3Zone)이다. 주어진 도면과

      조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전선의 가닥수는 최소가닥수로 한다.

   ▣ 복구 스위치 및 도어 스위치는 없는 것으로 한다.

 

 가. ① ~ ⑧ 전선 명칭을 쓰시오.

   ① 전원 - (공통)        ② 전원 +          ③ 방출표시등         ④ 방출지연스위치           ⑤ 기동스위치

   ⑥ 사이렌                 ⑦ 감지기 A       ⑧ 감지기 B

 

 나. ⓐ ~ ⓗ 의 전선 가닥수를 쓰시오.

   ⓐ 4가닥      ⓑ 8가닥      ⓒ 2가닥      ⓓ 2가닥     ⓔ 13가닥      ⓕ 18가닥      ⓖ 4가닥     ⓗ 4가닥

12. 다음 도면은 할론 소화설비의 할론 실린더실 전기배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① ~ ⑥ 까지에 배선된 최소 배선 수를 쓰시오.

 

   [범례]

 

 [답안작성]

    ① 2가닥         ② 2가닥         ③ 2가닥           ④ 2가닥        ⑤ 2가닥             ⑥ 2가닥

13. 내화구조인 지하 1층, 지하 2층, 지하 3층 건물에 할론 1301 가스설비와 연동되는 감지기를 하려고 한다. 주어진 조건

       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도면의 축적은 NS로 작성한다.

       ※ NS (Non Scale) : 눈금 표시가 없는 상태

   ⊙ 감지기 배선은 교차회로 방식으로 한다.

   ⊙ 모든 배관 배선은 콘크리트 매입으로 한다.

   ⊙ 사용하는 전선관은 모두 공사용 후강전선관으로 한다.

   ⊙ 전원 및 감지기 공통선은 별도로 사용한다.

   ⊙ 지상 1층에는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다.

   ⊙ 각 층의 높이는 3.8 [m] 이다.

 

 가. 그림에서 ① ~ ⑤ 의 필요한 배선 가닥수를 산정하시오.

     ① 8가닥         ② 4가닥            ③ 4가닥           ④ 4가닥               ⑤ 4가닥

 나. ⓐ 와 ⓑ 의 명칭과 목적을 쓰시오.

    ⓐ 명칭 : 사이렌

         목적 : 실내에 있는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하여

    ⓑ 명칭 : 방출표시등 (벽붙이형)

         목적 :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다. 계통도를 그리고 계통도상에 배선 가닥수를 표시하시오.

 

14. 다음 그림은 할론 소화설비의 피키지시스템에서 종단저항이 수동조작함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이다. 전선의 용도와

      가닥수를 쓰시오.

 

 [답안작성]

기호
가닥수
용 도
A
4
공통선 2, 연기감지기 2
B
8
공통선 4, 연기감지기 A 2, 연기감지기 B 2
C
7
전원 +, - , 방출지연스위치, 감지기 A, B, 기동스위치, 발출표시등
D
2
공통 1, 방출표시등 1

#감지기 #연기감지기 #방출표시등 #전원 #축적 #배선가닥수 #할론소화설비 #할론

#수동조작함 #기동스위치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밸브 #사이렌 #가교폴리에틸렌

#HFIX #모터사이렌 #종단저항 #체크밸브 #압력스위치 #다이어그램

반응형
반응형

▣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손의 피해가 큰 소방대상물 중에서 물로서 소화할 수 없는 시설 즉, 전기실, 전산실, 발전기실,

     통신실 등에 사용하며 이산화탄소(CO2), 할론 등의 소화약제를 사용한다.

1. 도시기호

 

2. 가스계 (CO2 및 할론) 소화설비의 배선 가닥수

 가. 가스계 소화 설비 구성도

 

  ▣ 동작설명

   ※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화기구 저장실(실린더실)과 방호구역이 구분되어 있다.

      이 설비도 준비작동식 소화설비와 마찬가지로 교차회로방식으로 감지기를 구성한다.

  ⊙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기 A가 작동하면 화재 감지신호가 수동조작함(RM)을

       거쳐 수신반(제어반)에 전달된다. 제어반에서는 사이렌을 통해 경보를 발령한다.

  ⊙ 연속하여 감지기 B가 작동하면 화재 감지신호가 수동조작함(RM)을 통해 제어반에 전달되면 제어반은 솔레노이드

       밸브(SOL)을 작동시킨다.

   ※ 이 때 제어반에는 타이머가 작동하여 약 20 ~30초 가량 작동을 지연시킨다.

       소화가스가 분출되기 전 사람들이 피난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 SOL은 작은 가스계 소화용구를 터뜨려 주 소화기구를 작동하게 한다.

   ⊙ 주 소화기구가 작동하게 되면 감지된 구역을 선택밸브가 열리게 되고 소화가스가 분출되는데 이 때 압력스위치(PS)가

        이를 확인하고 수신기계 신호를 전달한다.

   ⊙ 수신기는 방호구역의 방출표시등이 점등되고 소화를 시작한다.

    ※ 소화용기가 5통이 있다고 가정하면 우선 소화개시는 2개 통에서 시작하고 화재가 확산되면 5개 통에서 소화를 하게

        된다.

    ※ 가스계 소화용기에서 배관까지의 관은 동관을 사용한다.

 

 ▣ 이를 평면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평면도에서는 소화용기는 나타내지 않는다.

   ⊙ 2개의 경계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감지기는 교차회로방식으로 설치한다.

   ⊙ 수신반(제어반)을 별도의 공간에 위치한다. (방호구역과 구분된다.)

   ⊙ 수동조작함(RM)은 방호구역 밖 즉, 외부에 설치한다.

   ⊙ 수동조작함에 사이렌, 방출표시등, 감지기가 연결되고 수동조작함이 제어반에 연결된다.

 ※ 전산실과 같이 케이블이 많은 장소에는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많이 발생하므로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는

     연기감지기이다.

▣ 수동조작함(RM)과 제어반과의 배선

 

  ⊙ 가스계소화설비에서는 반드시 기동스위치라고 해야 한다. 준비작동식에서는 기동으로 해도 되나 가스계 소화설비에

       서는 수동 기동의 의미가 있으므로 기동스위치라고 해야 한다.

  ⊙ 방출지연스위치 : 소화약제의 방출을 지연 시키기 위한 스위치

  ⊙ 수동조작함(RM)이 증가하면 즉, 방호구역이 증가하면 5가닥 (기동스위치1, 가스방출 확인 1, 감지기 A 1, B1, 사이렌)

       씩 전선가닥수가 증가한다.

       8 → 13 → 18 → 23 → 28 ....

  ⊙ 가스계 소화설비는 경계구역 개념이 없고 방호구역으로 설정하는데 방호구역은 면적 최소 기준이 없다. 또한 가스계

       소화설비는 우선 경보 방식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각 방호구역 마다 사이렌 (지하층)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계통도]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와 가스계 소화설비의 비교]

 

  [주의사항]

 

  ⊙ 방출표시등이 추가 되어도 수동조작함과 제어반 사이의 전선의 가닥수는 변함없이 8가닥이 된다.

  ※ 가스계 소화설비 중 이산화탄소(CO2) 소화설비는 사람에게 위험할 수 있으므로 배관 중간에 수동으로 잠글 수 있는 수

      동잠금밸브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도면에 수동잠금밸브가 표시되어 있으면 수동잠금밸브 2가닥(공통1, 수동잠금밸브 1)을 추가하면 된다.

[부수신반의 배선]

  ▣ 부수신반은 방재실이나 관리실에 설치되어 화재 관련 신호를 받기만 하고 작동신호을 보내는 장치는 없다.

 

  ※ 방호구역이 증가하면 3가닥씩 (감지기 A, B, 방출표시등) 배선이 증가한다.

▣ 배선내역

기본
가닥수
감시제어반 (수신반, 컨트롤 판네) ↔ 수동조작함(RM)
(기본 가닥수 : 8가닥)
감시제어반(수신반,
컨트롤 판넬) ↔ 저장
용기실 (SOL 또는 PS)
(기본가닥수 : 2가닥)
+
-
A
B
방출지연
스위치
SOL 2
PS 2
가닥
수의
증감
조건
무조건
1가닥
① 원칙 : 방호구역수 또는 수
동조작함(RM) 수마다 1가
닥씩 추가(하나의 방호구역
에 둘 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
동조작함으로 본다)
② 사이렌은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① 원칙 :
무조건
1가닥
② 문제의
조건에 따
라 증감
방호구역수 또는 수동
조작함(RM) 수마다
1가닥씩 추가(하나의
방호구역에 둘 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동
조작함으로 본다)

 ※ 1. 문제의 조건에서 감지기 공통선을 별도로 사용하라고 하였을 경우 감지기 공통선 1가닥을 추가할 것

     2. 기타 : 문제의 조건에 따라 증감 가능

  ▣ 감시제어반 (수신반, 컨트롤 판넬) ↔ 방제센타 (표시반) (기본가닥수 : 6가닥)

기본가닥수
공통
전원표시등
화재표시등
감지기A
감지기B
방출표시등
가닥수의
증감 조건
무조건 1가닥
방호구역수 또는 수동조작함(RM) 수마다 1가닥씩 추가 (하나의 방호구역
에 둘이상의 수동조작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수동조작함으로 본다)

[참고] 패키지 시스템 (Package System)

가. 수동조작함에 종단저항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나. 패키지(Package)에 종단저항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 간선 8가닥 중 감지기 A · B 2가닥을 제외한 6가닥이 된다.

  ※ 패키지식은 해당 방호구역내만을 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Package 속에 작은 소화용기가 내장되어 있어 해당 구역내 소화한다.

   ⊙ Package 속에 수신기가 내장되어 있다.

#패키지 #소화설비 #가스계 #이산화탄소 #할론 #배선 #프리액션밸브

#수동조작함 #수신반 #감지기 #기동스위치 #종단저항 #방호구역

#방출표시등 #모터사이렌 #검출부 #연기감지기 #후강전선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