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지기 설치 제외 장소】
※ 통으로 5가지 쓰시오.
①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20 [m] 이상인 장소 (단, 부착높이에 따라 적응성이 있는 장소는 제외)
② 헛간 등 외부와 기류가 통하는 장소로서 감지기에 따라 화재발생을 유효하게 감지할 수 없는 장소
③ 부식성 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장소
④ 고온도 및 저온도로서 감지기의 기능이 정지되기 쉽거나 감지기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장소
⑤ 목욕실 ·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⑥ 파이프 덕트 등 그 밖의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2개 층마다 방화구획된 것이나 수평단면적이 5 [㎡] 이하인 것
⑦ 먼지 · 가루 또는 수증기가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또는 주방 등 평상시에 연기가 발생하는 장소
⑧ 프레스 공장, 주조공장 등 화재발생의 위험이 적은 장소로서 감지기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장소
[참고] 비화재보
가. 비화재보
▣ 화재에 의한 열 · 연기 또는 불꽃(화염) 이외의 요인에 의하여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작동하여 화재경보를 발하는 것
나. 비화재보의 종류
① 설비자체의 결함이나 오작동에 의한 경우 (False alarm) : 실보
㉠ 설비자체의 기능상 결함
㉡ 설비의 유지관리 불량
㉢ 실수나 고의적인 행위가 있을 때
② 일과성 비화재보 (Nuisance Alarm)
: 주위 상황이 대부분 순간적으로 화재와 같은 상황 (실제 화재와 유사한 환경이나 상황)으로 되었다가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다. 일과성 비화재보의 방지대책 (Nuisance Alarm) : 5가지를 쓰시오 (과거에 자주 나옴)
① 비화재보에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의 선정
② 설치장소의 환경에 적응하는 감지기의 설치
③ 특수감지기 및 인텔리젼트 수신기의 사용
④ 감지기 설치장소의 주위환경 개선
⑤ 경년변화에 따른 유지 보수
⑥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의 선정
⑦ 오작동 방지기 설치
⑧ 감지기의 방수시험 강화
【 감지기의 시험기구 (장치)】
① 마모미터 (Manometer) : 액주계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공기누설을 측정하는 기구
② 미터릴레이 시험기 : 열전대식 · 열반도체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검출부의 작동시험 기구
③ 가열시험기 : 스포트형 열감지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기구
④ 가연시험기 : 연기 감지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기구
⑤ 절연저항계(메거) :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기구
⑥ 테스터 : 전압 · 저항 등을 측정하는 기구
[출제문제]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를 시험할 때 필요한 것을 쓰시오.
▣ 마노미터, 초시계, 고무관, 공기주입기
【절연저항 시험】
절연저항계
|
구 분
|
절연저항
|
예 외
|
직류 (DC)
250 [V]
|
⊙ 1경계구역
|
0.1 [MΩ] 이상
|
|
⊙ 비상방송설비 150 [V] 이하
|
0.1 [MΩ] 이상
|
|
|
⊙ 비상방송설비 150 [V] 초과
|
0.2 [MΩ] 이상
|
|
|
직류 (DC)
500 [V]
|
⊙ 수신기
⊙ 자동화재속보설비
⊙ 비상경보설비
⊙ 가스누설경보기
|
5 [MΩ] 이상
|
⊙ 절연된 선로간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모두 20 [MΩ] 이상
|
⊙ 누전경보기
⊙ 유도등
⊙ 비상조명등
⊙ 시각경보장치
|
5 [MΩ] 이상
|
|
|
⊙ 경종
⊙ 표시등
⊙ 발신기
⊙ 중계기
⊙ 비상콘센트
|
20 [MΩ] 이상
|
|
|
⊙ 감지기
|
50 [MΩ] 이상
|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 1,000 [MΩ] 이상
|
|
⊙ 수신기(10회로 이상)
⊙ 가스누설경보기 (10회로 이상)
|
50 [MΩ] 이상
|
|
※ 시험에 자주 출제 : 외우는 방법
▣ DC 250 [V] : 1경계구역 : 0.1 [MΩ] 이상
▣ DC 500 [V]
⊙ 5 [MΩ] 이상 : 수비가자 : 수신기, 비상경보설비, 가스누설경보기, 자동화재탐지설비
※ 선교 결선 교외 : 절연된 선로간, 교류입력측 외함간 : 20 [MΩ] 이상
⊙ 비상콘센트 : 20 [MΩ] : 비콘 20
⊙ 누전경보기 : 5 [MΩ] : 5전이냐
⊙ 감지기 : 50 [MΩ] 이상 : 오십감
【감지기의 적응성】
가.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한번 나옴)
① 먼지 또는 미분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쓰레기장, 하역장, 도장실, 섬유 · 목재 · 석재 등 가공장소)
: 적응열감지기 :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1종 또는 2종
② 부식성 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 (도금공장, 축전지실, 오수처리장)
: 적응열감지기 :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1종 또는 2종
(자주 나온 문제)
① 연기가 멀리 이동해서 감지기에 도달하는 장소 (계단 · 경사로) : 적응 연기 감지기 1가지를 쓰시오.
▣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 광전 아날로그식 스포트형 감지기,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광전 아날로로식 분리형 감지기
#감지기 #설치장소 #비화재보 #오작동 #일과성 #방지대책 #연기감지기 #수신기
#적응감지기 #열감지기 #차동식 #분포형 #아날로그식 #축전지실 #특수감지기
#마노미터 #액주계 #메거 #절연저항 #공기관식 #릴레이 #축적기능 #발신기
'소방설비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신기, 중계기 - 암기자료 : 소방설비기사 실기 (0) | 2023.06.29 |
---|---|
수신기 - 암기자료 : 소방설비기사 실기 (0) | 2023.06.29 |
감지기 - 암기자료 3 : 소방설비기사 실기 (0) | 2023.06.28 |
감지기 - 암기자료 2 : 소방설비기사 실기 (0) | 2023.06.26 |
소방설비기사 실기 감지기 - 암기자료 1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