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스프링클러헤드의 분류

① 감열부별 분류

  ㉠ 폐쇄형 (Close type)

    ⊙ 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 일정 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 · 용해 또는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개방

         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이다.

    ⊙ 감열부가 있다. (퓨즈블링크형, 글라스벌브형, 메탈피스형, 커미컬숄더형 등)

   ㉡ 개방형 (Open type)

    ⊙ 감열체 없이 방수구가 항상 열려져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이다.

    ⊙ 감열부가 없다.

 

  ② 설치형태별 분류

    ㉠ 상향형 (Upright type)

      ⊙ 반자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 분사패턴이 가장 우수하다.

    ㉡ 하향형 (pendant type)

      ⊙ 습식설비에 사용한다.

      ⊙ 반자가 있는 곳에 설치한다.

      ⊙ 분사패턴이 상향 보다 떨어진다.

      ⊙ 습식 이외에 설비의 경우에는 드라이팬던트형 (Dry pendent type)을 사용해야 한다.

    ㉢ 측벽형 (Side wall type)

      ⊙ 옥내의 벽면에 설치한다.

      ⊙ 분사패턴은 축심 (軸心)을 중심으로 한 반원상으로 균일하게 방사한다.

      ⊙ 실내의 폭이 9 m 이하인 경우에 적용한다.

    ㉣ 상하 양용형 (conventional type)

      ⊙ 상향형과 하향형을 겸용한 것으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반매입형 (Flush type) = 플러시형

      ⊙ 헤드의 몸체는 반자 내부에 설치되고 감열부만 반자 아래로 노출된 형태이다.

      ⊙ 미관을 고려할 경우 설치한다.

    ㉥ 매입형 (recessed type)

      ⊙ 부착 나사의 몸체가 보호집 안에 설치되는 헤드이다.

      ⊙ 설치가 편리하다.

     ※ recess : (의회·위원회 등의) 휴회 기간, (법정 재판 중의 짧은) 휴회를 하다[명하다] (벽 등에 난) 우묵한 곳에 두다.

                       우묵한 곳에 만든 선반

    ㉦ 은폐형 (Concealde type) = 컨실드형

      ⊙ 헤드에 덮개가 부착되어 있는 은폐형 헤드이다.

    ㉧ 드라이팬던트형 (Dry pendant type) : 회향식 ★

      ⊙ 질소, 부동액 등을 주입하여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헤드

 

  ③ 감도별 분류

    ㉠ 조기반응형 (fast response type) 헤드

      ⊙ 표준형 스프링클러 헤드 보다 기류온도 및 기류속도에 조기에 반응하는 것

      ⊙ RTI 51 초과 80 이하

    ㉡ 특수반응형 (Special response type) 헤드

      ⊙ 특수용도의 방호를 위하여 사용

      ⊙ RTI 51 초과 80 이하

    ㉢ 표준형 (Standard response type) 헤드

      ⊙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헤드

      ⊙ RTI 80 초과 350 이하

  ④ 사용목적별 분류

    ㉠ 분사형 헤드 (Spray sprinkler) : 헤드의 축심 (軸心)을 중심으로 한 원상에 균일하게 물이 분사되는 일반형의 헤드

    ㉡ 화재조기진압형 스프링클러 헤드 (Early Suppression Fast Response Sprinkler : ESFR 헤드)

      ⊙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정해진 면적에 충분한 물을 방사할 수 있도록 조기에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헤드

    ㉢ 래크형 헤드 (Rack sprinkler) : 래크식 창고에 설치하는 헤드로서, 헤드가 개방되어 살수될 경우 방사된 물에 의하여

                                                           헤드 개방헤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차폐판이 부착된 헤드

    ㉣ 주거형 헤드 (Residential sprinker) : 주거지역의 화재에 적합한 감도, 수량 및 살수분포를 갖는 헤드 (간이형 스프링

                                                                     클러 헤드를 포함)

    ㉤ 라지드롭 헤드 (Large drop sprinkler) : 대형 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되는 헤드로서, 동일 조건의 물압력에서 표준형

                                                                          헤드보다 큰 물방울을 방출

    ㉥ 속동형 헤드 (Quick response sprinkler) : 분사형 헤드 중 표준형 헤드 보다 감도가 빠른 헤드이며, 인구밀집지역이

                                                                             나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장소에 설치

나.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온도 ★★

  ①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온도 (NFTC 103 표 2.7.6)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
표시온도
39 ℃ 미만
79 ℃ 미만
39 ℃ 이상 64 ℃ 미만
79 ℃ 이상 121 ℃ 미만
64 ℃ 이상 106 ℃ 미만
121 ℃ 이상 162 ℃ 미만
106 ℃ 이상
162 ℃ 이상

  ② 퓨즈블링크형, 유리벌브형 (글라스벌브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 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

        기준 제12조의 6)

퓨즈 블링크형
유리벌브형 (글라스벌브형)
표시온도 (℃)
프레임의 색별
표시온도 (℃)
액체의 색별
77 ℃ 미만
없음
57 ℃
오렌지
78 ~ 120 ℃
흰색
68 ℃
빨강
121 ~ 162℃
파랑
79 ℃
노랑
163 ~ 203℃
빨강
93 ℃
초록
204 ~ 259℃
초록
141 ℃
파랑
260 ~ 319 ℃
오렌지
182 ℃
연한 자주
320 ℃ 이상
검정
227 ℃ 이상
검정
 

다.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 (NFTC 103 2.7)

  ① 스프링클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 반자, 천장과 반자사이, 턱트, 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 (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에 설치해야 한다. 다만, 폭이 9m 이하의 실내에 있어서는 측벽에 설치할 수 있다.

  ② 래크식 창고의 경우로서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래크 높이 ★ 4m 이하 마다, 그밖의 것을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래크 높이 6m 이하 마다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해야 한다. 다만, 래크식 창고의 천장 높이가

        13.7 m 이하로서 화재 조기 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의 규정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장에만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

★ ③ 무대부 또는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있어서는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 해야 한다.

 

라.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

  ①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기준 (NFTC 103 2.7.3)

설 치 장 소
배치기준 (R)
⊙ 무대부
⊙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래크식 창고 포함)
수평거리 1.7 m 이하
⊙ 기타 구조
수평거리 2.1 m 이하
⊙ 내화구조
수평거리 2.3 m 이하
⊙ 래크식 창고 (일반물품)
수평거리 2.5 m 이하
⊙ 공동주택(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
수평거리 3.2 m 이하

[참고] 각 설비별 헤드의 배치기준

  ▣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구 분
방호면적, 수평거리
헤드간 간격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방호면적 6~9.3 ㎡ 이하
⊙ 천장높이 9.1 m 미만 : 2.4 ~ 3.7 m  이하
⊙ 천장 높이 9.1 ~ 13.7m 이하 : 3.1m  이하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수평거리 2.3 m 이하
-

 ▣ 포소화설비의 유효 반경 : 2.1 m 이하 ★★★

 ▣ 연소방지설비 · 연결살수설비

구 분
수평거리, 헤드 상호간의 거리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
방수헤드간의 수평거리 2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
방수헤드간의 수평거리 1.5 m 이하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
수평거리 3.7 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
수평거리 2.3 m 이하
가연성 가스의 저장 · 취급시설
(전용의 개방형 헤드)
헤드 상호간의 거리 3.7 m 이하

 ② 헤드의 배치 형태

    ㉠ 정방형 (정사각형)

         S = 2R cos 45°

         L = S

         여기서, S : 수평헤드 간격

                      R : 수평거리

                      L : 배관 간격

 

[참고] 정방형 설치시 최대 유효 방호면적

       A = S2

      여기서, A : 최대 유효 방호면적 [㎡]

                   S : 수평헤드간격 [m]

 

    ㉡ 장방형 (직사각형)

          여기서, X : 대각선의 길이

                       R : 수평거리

                       S : 수평헤드간격

                       L : 배관간격

                       θ : 각도

 
 

마.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기준 (NFTC 103 2.7)

  ① 살수가 방해되지 아니하도록 스프링클러헤드로 부터 반경 60 ㎝ 이상공간을 보유할 것 (벽과 스프링클러헤드 간의

       공간 10 ㎝ 이상)

  ② 스프링클러헤드와 그 부착면과의 거리는 30 ㎝ 이하로 할 것

  ③ 배관 · 행거조명기구살수를 방해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는 그로부터 아래에 설치하여 살수에 장애가 없도록 할

       것 (스프링클러헤드와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장애물 폭 3배 이상 확보한 경우에는 제외)

  ④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은 그 부착면과 평행하게 설치할 것 (측벽형 헤드 또는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설치하

       는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는 제외)

  ⑤ 천장의 기울기가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지관을 천장의 마루와 평행하게 설치고, 스프링클러헤드는 다음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할 것

    ㉠ 천장의 최상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최상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수평으로

         설치할 것

    ㉡ 천장의 최상부를 중심으로 가지관상의 스프링클러헤드 상호간의 거리의 1/2 이하 (최소 1m 이상)가 되게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고, 가지관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는 천장의 최상부로 부터 수직거리가 90 ㎝ 이하

         되도록 할 것. 톱날지붕, 둥근지붕, 기타 이와 유사한 지붕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⑥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는 그 상하 · 좌우에 2.5 m 간격으로 (개구부의 폭2.5m 이하인 경우에는 그 중앙) 스프

       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헤드와 개구부의 내측면으로 부터 직선거리는 15 ㎝ 이하가 되도록 할 것. 이 경

       우 사람이 상시 출입하는 개구부로서 통행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개구부의 상부 또는 측면 (개구부의 폭이 9m 이하인

       경우에 한함)에 설치하되, 헤드 상호간의 간격은 1.2 m 이하로 설치해야 한다.

  ⑦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외의 설비에는 상향식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것. 다만,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

    ㉠ 드라이팬던트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장소가 동파의 우려가 없는 곳인 경우

    ㉢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⑧ 측벽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긴 변의 한쪽 벽에 일렬로 설치 (폭이 4.5 m 이상 9m 이하인 실에 있어서는 

       긴 변의 양쪽에 각각 일렬로 설치하되 마주 보는 스프링클러헤드가 나란히 꼴이 되도록 설치)하고 3.6 m 이내 마다

       설치할 것

◈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

벽과 스프링클러헤드 간의 공간
10 ㎝ 이상
스프링클러헤드와 부착면과의 거리
30 ㎝ 이하
스프링클러헤드의 공간 보유
60 ㎝ 이상
 

 

바. 소방대상물의 보와 가장 가까운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기준 (NFTC 103 표 2.7.8)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 중심과
보의 수직거리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 높이와
보의 하단 높이의 수직거리
0.75 m 미만
보의 하단 보다 낮을 것
0.75 m 이상 1 m 미만
0.1 m 미만일 것
1 m 이상 1.5 m 미만
0.15 m 미만일 것
1.5 m 이상
0.3 m 미만일 것
 

[참고] 부착면과 스프링클러헤드와의 거리

  ▣ 천장면에서 보의 하단까지의 길이가 55 ㎝를 초과하고 보의 중심으로 부터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거리가 스프링클러

       헤드 상호간 거리의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헤드와 그 부착면과의 거리는 55 ㎝ 이하로 할 수 있다.

사.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 제외 장소 (NFTC 103 2.12)

  ① 계단실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을 포함), 경사로, 승강기의 승강로,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파이프 덕트 및 덕트 파트

       (파이프 · 덕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획된 구멍에 한한다), 목욕실, 수영장(관람석 부분을 제외), 화장실, 직접 외기에

       개방되어 있는 복도

  ② 통신실, 전자기기실

  ③ 발전실, 변전실, 변압기실

  ④ 병원의 수술실, 응급처치실

  ⑤ 천장과 반자 양쪽이 불연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로서, 그 사이의 거리 및 구조가 다음에 해당하는 부분

    ㉠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2m 미만인 경우

    ㉡ 천장과 반자 사이의 벽이 불연재료이고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2m 이상으로서, 그 사이에 가연물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부분

  ⑥ 천장, 반자 중 한쪽이 불연재료로 되어 있고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1m 미만부분

  ⑦ 천장 및 반자가 불연재료 외의 것으로 되어 있고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0.5 m 미만인 부분

  ⑧ 펌프실, 물탱크실,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⑨ 공동주택 중 아파트의 대피공간

  ⑩ 현관 또는 로비 등으로서 바닥으로 부터 높이가 20 m 이상인 장소

  ⑪ 영하의 냉장창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의 냉동실

  ⑫ 고온의 노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 장소

  ⑬ 불연재료로 된 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으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장소

    ㉠ 정수장, 오물처리장

    ㉡ 펄프공장의 작업장, 음료수공장의 세정 또는 충전하는 작업

    ㉢ 불연성의 금속, 석재 등의 가공공장으로서 가연성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지 아니하 장소

    ㉣ 가연성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방풍실

  ⑭ 실내에 설치된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정구장 또는 이와 비슷한 장소로서 실내바닥, 벽, 천장이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가연물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서 관람석이 없는 운동시설 (지하층은 제외)

#스프링클러 #헤드 #습식 #부압식 #개방형 #정방형 #장방형 #포소화설비 #유효반경

#퓨즈블링크형 #유리벌브형 #라지드롭헤드 #드라이팬던트 #감열부 #조기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1. 폐쇄형 헤드를 사용한 스프링클러설비의 말단 배관 중 K점에 필요한 압력수의 수압을 다음의 조건을 참조하여 구하시

     오. (단, 모든 헤드는 80 [ℓ/min]으로 방사되는 기준이고, 티의 사양은 분류되기 전 배관과 동일한 사양으로 적용한다.

     또한 티에서 마찰손실수두는 분류되는 유량이 큰 방향의 값을 적용하며 동일한 분류량인 경우는 직류티 값을 적용한다.

     그리고 가재배관 말단과 교차배관 말단은 엘보를 설치하며, 리듀서의 마찰손실은 큰 구경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12점]

     ★★★★★

 

[조건]

① 마찰손실수두 (100m 당)                                                                                                                       단위 : m

개수
유 량
25 A
32 A
40 A
50 A
1
80 ℓ/min
39.82
11.38
5.40
1.68
2
160 ℓ/min
150.42
42.84
20.29
6.32
3
240 ℓ/min
307.77
87.66
41.51
12.93
4
320 ℓ/min
521.92
148.66
70.40
21.93
5
400 ℓ/min
789.04
224.75
106.31
32.99
6
480 ℓ/min
-
321.55
152.26
47.43

② 관 이음쇠 및 마찰손실에 해당하는 직관길이                                                                                              단위 : m

구분
25 A
32 A
40 A
50 A
엘보 (90°)
0.9
1.2
1.5
2.1
리듀서
0.54
0.72
0.9
1.2
티(직류)
0.27
0.36
0.45
0.6
티(분류)
1.5
1.8
2.1
3.0

   ③ 헤드 나사는 PT ½ (15A) 기준으로 한다. (리듀서를 적용한다.)

   ④ 수압산정에 필요한 계산과정을 상세히 명시할 것.

 가. 배관 마찰손실수두[m]를 구하시오. (단, 다음의 표에 따라 각 구간의 소요수두를 구하고 이를 합산하여 총 마찰손실수

                                                                      두를 구한다.)

구간
배관크기
소요수두
말단헤드 A ~ B
25 A
B ~ C
25 A
C ~ J
32 A
J ~ K
50 A
총 마찰손실 수두

 나. 헤드선단의 낙차수두 [m]를 구하시오.

 다. 헤드선단의 최소 방수압력 [MPa]을 구하시오.

 라. K점의 최소 요구 압력 [KPa]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m]

구간
배관크기
소 요 수 두
말단헤드
A ~ B
25 A
◈ 직관 : 2 + 0.1 + 0.1 + 0.3 = 2.5 m
◈ 관부속품
   ⊙ 엘보 (90°) : 3개 × 0.9 = 2.7 m
   ⊙ 리듀서 (25×15A) : 1개 × 0.54 = 0.54 m
◈ 소계 : 5.74 m
◈ 소요수두 : 5.74 × 39.82 / 100 = 2.285 ≒ 2.29 m
B ~ C
25 A
◈ 직관 : 2 m
◈ 관 부속품
   ⊙ 티(직류) (25×25×25A) : 1개 × 0.27 = 0.27 m
◈ 소계 : 2.27 m
◈ 소요수두 : 2.27 × 150.42 / 100 = 3.413 ≒ 3.41 m
C ~ J
32 A
◈ 직관 : 2 + 0.1 + 1 = 3.1 m
◈ 관부속품
   ⊙ 엘보 (90°) : 2개 × 1.2 = 2.4 m
   ⊙ 티(분류) (32×32×25A) : 1개 × 1.8 = 1.8m
   ⊙ 리듀서 (32×25A) : 1개 × 0.72 = 0.72 m
◈ 소계 : 8.02 m
◈ 소요수두 : 8.02 × 87.66 / 100 = 7.03 m
J ~ K
50 A
◈ 직관 : 2m
◈ 관부속품
   ⊙ 티 (분류) (50×50×32A) : 1개 × 3 = 3 m
   ⊙ 리듀서 (50×32A) : 1개 × 1.2 = 1.2 m
◈ 소계 : 6.2 m
◈ 소요수두 : 6.2 × 47.43 / 100 = 2.94 m
총 마찰손실수두
     2.29 + 3.41 + 7.03 + 2.94 = 15.67 m

 나. 헤드 선단의 낙차수두 [m]

       헤드선단의 낙차수두 : 0.1 + 0.1 - 0.3 = - 0.1 m

 다. 헤드의 방수압력 : 0.1 [MPa]

 라. K지점의 방수압력 [kPa]

     ▣ 마찰손실압력수두 h1 = 2.29 + 3.41 + 7.03 + 2.94 = 15.67 m

     ▣ 낙차수두 h2 = - 0. 1 m

          H = h1 + h2 + 10 [m]

     ▣ 방수압력수두 H = 15.67 + (- 0.1) + 10 = 25.57 m

       ⊙ 방수압력수두 10 m 를 0.1 [MPa]로 환산하여 방사압력을 계산하면

           P = P1 + P2 + 0.1

           ∴ 방수압력 P = 0.1567 + (-0.001) + (0.1) = 0.2557 [MPa] = 255.7 [kPa]

 

[해설] 폐쇄형 스프링클러 설비

 필요압력

   P = P1 + P2 + 0.1 [MPa]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압 [MPa]

                P2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0.1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압력 [MPa]

 가.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h1)

구간
배관크기
소 요 수 두
말단헤드
A ~ B
25 A
◈ 직관 : 2 + 0.1 + 0.1 + 0.3 = 2.5 m
◈ 관부속품
   ⊙ 엘보 (90°) : 3개 × 0.9 = 2.7 m
   ⊙ 리듀서 (25×15A) : 1개 × 0.54 = 0.54 m
◈ 소계 : 5.74 m
◈ 소요수두 : 5.74 × 39.82 / 100 = 2.285 ≒ 2.29 m
B ~ C
25 A
◈ 직관 : 2 m
◈ 관 부속품
   ⊙ 티(직류) (25×25×25A) : 1개 × 0.27 = 0.27 m
◈ 소계 : 2.27 m
◈ 소요수두 : 2.27 × 150.42 / 100 = 3.413 ≒ 3.41 m
C ~ J
32 A
◈ 직관 : 2 + 0.1 + 1 = 3.1 m
◈ 관부속품
   ⊙ 엘보 (90°) : 2개 × 1.2 = 2.4 m
   ⊙ 티(분류) (32×32×25A) : 1개 × 1.8 = 1.8m
   ⊙ 리듀서 (32×25A) : 1개 × 0.72 = 0.72 m
◈ 소계 : 8.02 m
◈ 소요수두 : 8.02 × 87.66 / 100 = 7.03 m
J ~ K
50 A
◈ 직관 : 2m
◈ 관부속품
   ⊙ 티 (분류) (50×50×32A) : 1개 × 3 = 3 m
   ⊙ 리듀서 (50×32A) : 1개 × 1.2 = 1.2 m
◈ 소계 : 6.2 m
◈ 소요수두 : 6.2 × 47.43 / 100 = 2.94 m
총 마찰손실수두
   2.29 + 3.41 + 7.03 + 2.94 = 15.67 m

 나. 헤드선단의 낙차수두 (h2)

   ▣ 수직배관만 적용

   ▣ 가압수가 헤드방향으로 흐르므로 물이 위로 흐를 때에는 +, 아래로 흐를 때에는 - 이다.

 
 

      ∴ 헤드 선단의 낙차수두 h2 = 0.1 + 0.1 -0.3 = - 0.1 m

다. 헤드 선단의 최소 방수압력

   P = P1 + P2 + 0.1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압 [MPa]

                P2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0.1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방수압력 (0.1 MPa)

       ※ 헤드 선단의 최소 방수압력 : 스프링클러설비의 규정방수압력 0.1 MPa를 말한다.

라. K점의 최소 요구압력 (P)

   P = P1 + P2 + 0.1 에서 0.1 MPa = 10 m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 P1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압) : 15.67m = 0.1567 MPa

     ⊙ P2 (낙차의 환산수두압) : - 0.1 = - 0.001 MPa

      ∴ K점의 최소 요구압력 P = 0.1567 MPa + (-0.001MPa) + 0.1 MPa

                                               = 0.2557 [MPa] ≒ 255.7 [kPa] ※ 1MPa = 103 kPa

 [주의] 문제의 단서에서 직류방향과 분류방향이 같은 크기의 분류량(구경)일 때 티는 직류로 계산한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① 직류방향과 분류방향이 같은 구경일 경우 (티(직류)로 계산)

② 직류방향과 분류방향이 다른 구경일 경우 (티(분류)로 계산)

 

 가. K ~ J 구간

   ▣ 호칭구경 : 50 A

   ▣ 유량 : K~J 구간의 배관 뒤에 설치된 헤드가 6개 이므로 조건 ①에서 480ℓ/min 이다.

   ▣ 직관 및 등가길이

     - 직관 : 2,000㎜ = 2m

     - 관부속품  ⊙ 티(분류, 50A×50A×32A) : 1개 × 3 m = 3 m

                       ⊙ 리듀셔 (50A × 32A) : 1개 × 1.2 m = 1.2 m

  ▣ 소계 : 2 m + 3 m + 1.2 m = 6.2 m

  ▣ 100m 당 마찰손실 : 조건 ① 에서 47.43m / 100m 이다.

  ▣ 마찰손실수두 : 6.2 m × 47.43m / 100m = 2.94 m

 

나. J ~ C 구간

  ▣ 호칭구경 : 32A

  ▣ 유량 : K~J 구간의 배관 뒤에 설치된 헤드가 3개 이므로 조건 ①에서 240ℓ/min 이다.

  ▣ 직관 및 등가길이

     - 직관 : 2,000㎜ = 2,000㎜+100㎜+1,000㎜ = 2m + 0.1m + 1m = 3.1m

     - 관부속품 ⊙ 엘보 (90°) : 2개 × 1.2 m = 2.4 m

                       ⊙ 티(분류, 32A×32A×25A) : 1개 × 1.8 m = 1.8 m

                       ⊙ 리듀셔 (32A × 25A) : 1개 × 0.72 m = 0.72 m

  ▣ 소계 : 3.1m + 2.4m + 1.8 m + 0.72m = 8.02 m

 

  ▣ 100m 당 마찰손실 : 조건 ① 에서 87.66m / 100m 이다.

  ▣ 마찰손실수두 : 8.02 m × 87.66m / 100m = 7.03 m

 

다. C~B 구간

  ▣ 호칭구경 : 25A

  ▣ 유량 : K~J 구간의 배관 뒤에 설치된 헤드가 2개 이므로 조건 ①에서 160ℓ/min 이다.

  ▣ 직관 및 등가길이

      - 직관 : 2,000㎜ =2m

      - 관부속품 ⊙ 티(직류) : 1개 × 0.27 m = 0.27 m

  ▣ 소계 : 2m + 0.27 m = 2.27 m

 

  ▣ 100m 당 마찰손실 : 조건 ① 에서 150.42m / 100m 이다. 

  ▣ 마찰손실수두 : 2.27 m × 150.42m / 100m = 3.414 ≒ 3.41 m

 

라. B ~ 말단 헤드 A 구간

  ▣ 호칭구경 : 25A

  ▣ 유량 : K~J 구간의 배관 뒤에 설치된 헤드가 1개 이므로 조건 ①에서 80ℓ/min 이다.

  ▣ 직관 및 등가길이

     - 직관 : 2,000㎜ = 2,000㎜+100㎜+100㎜+300㎜

                               = 2m + 0.1m + 0.1m + 0.3m = 2.5m

     - 관부속품 ⊙ 엘보 (90°) : 3개 × 0.9 m = 2.7 m

                      ⊙ 리듀셔 (25A × 15A) : 1개 × 0.54 m = 0.54 m

  ▣ 소계 : 2.5m + 2.7m + 0.54m = 5.74 m

 

  ▣ 100m 당 마찰손실 : 조건 ① 에서 39.82m / 100m 이다.

  ▣ 마찰손실수두 : 5.74 m × 39.82m / 100m = 2.285 ≒ 2.29 m

#스프링클러설비 #마찰손실수두 #배관 #부속품 #엘보 #티 #등가길이 #리듀셔

#호칭구경 #압력 #압력수두 #방수압력 #헤드

반응형
반응형

1. 폐쇄형 헤드를 사용한 스프링클러 설비에서 A점에 설치된 헤드 1개 만이 개방되었을 경우 A점에서의 헤드의 방사압력

    은 몇 [MPa]인지 조건을 참조하여 구하시오. [10점] ★★★★★

 

[조건]

  ① 급수관 중 「H점」 에서의 가압수 압력은 0.15 [MPa]로 한다.

  ② 티 및 엘보는 직경이 다른 티 및 엘보는 사용하지 않는다.

  ③ 스프링클러헤드는 15 [A] 헤드가 설치된 것으로 한다.

  ④ 직관 마찰손실 (100 m 당)

                                                                                                                                                                           단위 : ㎜

유 량
25 A
32 A
40 A
50A
80 [ℓ / min]
39.82
11.38
5.40
1.68

      (A점에서의 헤드 방수량은 80 [ℓ/min]으로 계산한다.)

  ⑤ 관이음쇠 마찰손실에 해당하는 직관길이

                                                                                                                                                                      (단위 : m)

구 분
25 A
32 A
40 A
50 A
엘보 (90˚)
0.90
1.20
1.50
2.10
리듀셔
(25×15A)
(32×25A)
(40×32A)
(50×40A)
0.54
0.72
0.90
1.20
티 (직류)
0.27
0.36
0.45
0.60
티 (분류)
1.50
1.80
2.10
3.00

     (단, 방사압력 선정에 필요한 계산과정은 상세히 명시하고 방사압력을 소수점 4자리까지 구하고 소수점 4자리 미만은

            삭제한다.)

 

[문제풀이]

  ⊙ 구간, 구경, 유량, 직관 및 등가길이, 마찰손실/100, 마찰손실수두 순으로 정리한다.

  ⊙ 펌프식 헤드방출압력 : 펌프 토출압 - 낙차수두 - 마찰손실수두

    ▣ H점 에서의 압력 : 0.15 [MPa]

         낙차 = 0.1 + 0.1 - 0.3 = - 0.1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

구간
호칭
구경 A
유량
[ℓ/min]
직관 및 등가길이
마찰손실수두
H-G
50
80
⊙ 직관길이 : 3 m
⊙ 관부속품
⊙ 티 (직류) : 1개 × 0.6 = 0.6 m
⊙ 리듀셔(50×40A):1개 × 1.2 = 1.2m
⊙ 소계 : 4.8 m
4.8 × 1.68 / 100 = 0.0806 m
G-E
40
80
⊙ 직관길이 : 3 + 0.1 = 3.1 m
⊙ 관부속품
⊙ 엘보(90˚) : 1개 ×1.5 = 1.5 m
⊙ 티 (분류) : 1개 × 2.1 = 2.1 m
⊙ 리듀셔(40×32A):1개 × 0.9 = 0.9m
⊙ 소계 : 7.6 m
7.6 × 5.4/100  = 0.4104 m
E-D
32
80
⊙ 직관길이 : 1.5 m
⊙ 관부속품
⊙ 티 (직류25×25×25A) :  1개 × 0.36 = 0.36 m
⊙ 리듀셔(32×25A):1개 × 0.732 = 0.72m
⊙ 소계 : 2.58 m
2.58×11.38/100 = 0.2936 m
D-A
25
80
⊙ 직관길이 2 + 2+ 0.1+0.1 + 0.3 = 4.5m
⊙ 직류티(25×25×25A)1개 ×0.27=0.27m
⊙ 엘보( 90˚) 3개 × 0.9 = 2.7m
⊙ 리듀셔 (25×15A) : 1개 × 0.54 = 0.54 m
⊙ 소계 8.01 m
8.01×39.82/100 = 3.1895
합 계
3.9741m

   △P : 낙차환산압력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 환산압력

            낙차 : 0.1+ 0.1 - 0.3 = -0.1 [m]

   △P = -0.1 + 3.7941 = 3.8941 [m] = 0.038941 [MPa] ≒ 0.0387 MPa

     ∴  헤드의 방수압력 P = 0.15 - 0.0387 = 0.1113 [MPa]

[해설]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

 

   A점에서의 헤드 방사압력

   P = H점에서의 압력 - △P (낙차환산압력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도환산압력)

 가. H점에서의 압력 : 조건 ① 에서 0.15 MPa

 나. 낙차

   ◈ 수직배관만 적용

   ◈ 펌프방식이므로 물이 위로 흐를 때에는 +, 아래로 흐를 때는 - 이다.

 

   ∴ 낙차 = 0.1 m + 0.1 m - 0.3 m = - 0.1 m

      ※ 이하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방사압력 계산은 문제풀이와 같다.

  [참고]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산출

    ※ 직류 티 · 분류(측류) 티

 

가. H ~ G 구간

  ◈ 호칭구경 : 50A

  ◈ 직관 및 등가길이 - 직관 : 3,000㎜ = 3m

                                   - 관부속품 ⊙ 티(직류) : 1개 × 0.6m = 0.6 m

                                                     ⊙ 리듀셔(50×40A) : 1개 × 1.2m = 1.2m

  ◈ 소계(등가길이) : 3m + 0.6m + 1.2m = 4.8 m

 

   ◈ 100m 당 마찰손실 : 조건 ④에서 1.68m / 100m 이다.

   ◈ 마찰손실수두 : 4.8 m × 1.68m / 100m = 0.0806m (조건 ③에서 소수점 4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나. G ~ E 구간

   ◈ 호칭구경 : 40 A

   ◈ 직관 및 등가길이 - 직관 : 3,000 ㎜ + 100㎜ =3m + 0.1m = 3.1 m

                                    - 관부속품 ⊙ 엘보(90°) : 1개 × 1.5m = 1.5 m

                                                     ⊙ 티(분류) : 1개 × 2.1m = 2.1 m

                                                     ⊙ 리듀셔(40A × 32A) : 1개 × 0.9 m = 0.9 m

   ◈ 소계 (등가길이) : 3.1 m + 2.1 m + 0.9 m = 7.6 m

 

   ◈ 100 m 당 마찰손실 : 조건 ④에서 5.4 m / 100 m 이다.

   ◈ 마찰손실수두 : 7.6 m × 5.4 m / 100 m = 0.4104 m

 

다. E ~ D 구간

   ◈ 호칭구경 32A

   ◈ 직관 및 등가길이 - 직관 : 1,500㎜ = 1.5 m

                                    - 관부속품 ⊙ 티(직류) : 1개 × 0.36 m = 0.36 m

                                                      ⊙ 리듀셔(32×25A) : 1개 × 0.72 m = 0.72 m

   ◈ 소계 (등가길이 합계) : 1.5 m + 0.36 m + 0.72 m = 2.58 m

 

   ◈ 100m 당 마찰손실 : 조건 ④ 에서 11.38 m / 100 m 이다.

   ◈ 마찰손실수두 : 2.58 m × 11.38 m / 100 m = 0.293 m

 

라. D ~ A 구간

   ◈ 호칭구경 : 25 A

   ◈ 직관 및 등가길이

      ▶ 직관 : 2,000㎜ + 2,000㎜ + 100 ㎜ + 100 ㎜ + 300 ㎜ = 2 m + 2 m + 0.1 m  + 0.1 m + 0.3 m = 4.5 m

      ▶ 관부속품 ⊙ 엘보 (90°) : 3개 × 0.9 m = 2.7 m

                          ⊙ 티(직류) : 1개 × 0.27 m = 0.27 m

                          ⊙ 리듀셔 (25 A × 15 A) : 1개 × 0.54 m = 0.54 m

      ▶ 소계 (등가길이 합계) : 4.5 m + 0.27 m + 2.7 m + 0.54 m = 8.01 m

 

 ◈ 100 m 당 마찰손실 : 조건 ④ 에서 39.82 m / 100 m 이다.

   ◈ 마찰손실수두 : 8.01 m × 39.82 m / 100 m = 3.1895 m

#스프링클러 #관부속품 #엘보 #직류티 #분류티 #헤드 #리듀셔 #마찰손실수두 #호칭구경

반응형
반응형

1. 다음 그림은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의 Isometric Diagram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의 그림과 조건을 참조하여 각 부분의

     부속품을 산출하여 빈칸에 알맞은 수량을 쓰시오.  [10점] ★★★★★

[조건]

  ① 답란에 주어진 관이음쇠만 산출할 것

  ② 크로스티는 사용하지 말 것

  ③ 헤드는 니플로 연결하되 장니플, 단니플 구분없이 1개소에 1개로 산출할 것

 

[관부속품]

 
지점
품 명
규 격
수 량
엘보
25A × 25A × 25A
( 3 )
리듀서
25A × 15A
( 1 )
니플
25A
( 3 )
40A × 40A × 40A
( 2 )
리듀서
40A × 25A
( 2 )
니플
40A
( 3 )
니플
25A
( 0 )
엘보
25A
( 2 )
25A × 25A ×25A
( 1 )
리듀서
25A × 15A
( 1 )
니플
25A
( 3 )
50A × 50A × 40A
( 1 )
40A × 40A × 40A
( 1 )
리듀서
50A × 40A
( 1 )
리듀서
40A × 25A
( 2 )
니플
40A
( 3 )
니플
25A
(    )

※ 관부속품 산출하기

  ① 먼저 관경을 표시한다.

            급수관구경
구분
25
32
40
50
65
80
90
100
125
150
2
3
5
10
30
60
80
100
160
161

  ② 엘보

    티(TEE) : 아래티, 뚜껑티, 헤드티 순으로 산정한다.

    리듀서 : 교차배관

     뚜껑티

     가지배관

     헤드 : 25A × 15A

     캡 : 가지배관 끝에 설치한다. : 가지배관 수와 같음

     니플은 조건이 주어졌을 때 산정한다.

2. 다음 스프링클러설비 가지배관의 상세도를 보고 관부속품을 산출하시오. (단, 부속품의 규격을 쓰고 니플은 산출하지

    않는다) [5점] ★★

 

   ① 헤드

   ② 캡

   ③ 엘보

   ④ 티

   ⑤ 리듀서

[답안작성]

   ① 헤드 : 15 ㎜ 4개

   ② 캡 : 25㎜ : 1개

   ③ 엘보 : 40㎜ 1개, 25㎜ : 2개 × 4 = 8개

   ④ 티 : 40㎜ × 40㎜ × 25㎜ = 1개, 32㎜×32㎜×25㎜ : 1개, 25㎜×25㎜×25㎜ : 2개

   ⑤ 리듀서 : 40㎜×32㎜ : 1개, 32㎜×25㎜ : 1개, 25㎜×15㎜ = 4개

3. 근린생활시설에 간이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3점] ★★★★★

 [답안작성]

   Q = 1 × 5 = 5 ㎥

  [해설]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의 수원의 양 (저수량)

 
용 도
수원의 양 (저수량)
⊙ 기타시설
Q = 0.5 N
  여기서, Q : 수원의 양 [㎥]
               N : 간이 헤드의 수 (2개)
              0.5 : 50ℓ/min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규정방수량)  × 10 min
⊙ 근린생활시설 (바닥 면적 합계 1,000㎡  이상)
⊙ 생활형 숙박시설
⊙ 복합건축물
Q = 1 N
  여기서, Q : 수원의 양 [㎥]
               N : 간이 헤드의 수 (5개)
               1 : 50 ℓ/min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규정방수량)  × 20 min

  ※ 문제에서 근린생활시설에 간이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므로

     Q = 1 N

     여기서, Q : 수원의 양 [㎥]

                  N : 간이스프링클러 헤드의 개수 (5개)

                  1 : 50 ℓ/min (간이 스프링클러설비의 규정방수량) × 20 min

4. 근린생활시설, 생활형 숙박시설, 복합건축물 이외의 장소에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3점]

  [답안작성]

    Q = 0.5 × 2 = 1 [㎥]

 

[해설] 간이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의 양 (저수량)

용 도
수원의 양 (저수량)
⊙ 기타시설
 Q = 0.5 N
  여기서, Q : 수원의 양 [㎥]
               N : 간이스프링클러 헤드 개수 (최대 2개)
               0.5 : 50 ℓ/min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규정방수량) × 10 min
⊙ 근린생활시설 (바닥면적 1,000 ㎡ 이상
⊙ 생활형 숙박시설
⊙ 복합건축물
 Q = 1 N
   여기서, Q : 수원의 양 [㎥]
                N : 간이스프링클러 헤드 개수 (최대 5개)
                1 : 50 ℓ/min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규정방수량) × 20 min

  ※ 문제에서 근린생활시설, 생활형 숙박시설, 복합건축물 이외의 장소에 간이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므로

      Q = 0.5 N

       여기서, Q : 수원의 양 [㎥]

                    N : 간이스프링클러 헤드의 수 (2개)

                    0.5 : 50 ℓ/min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규정방수량) × 10 min

5. 상수도 직결형 간이헤드를 사용하는 간이형 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수 공급순서 (게이지, 밸브 등)를 순서대로 쓰시오.

      [5점] ★★★

 [답안작성]

   수도용계량기 → 급수차단장치 → 개폐표시형 밸브 → 체크밸브 → 압력계 → 유수검지장치 → 2개의 시험밸브

 

[해설]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및 밸브 등의 순서 (NFSC 103 A 제8조 ⑭)

 가. 상수도 직결형 경우 기준

    수도용계량기, 급수차단장치, 개폐표시형밸브, 체크밸브, 압력계, 유수검지장치, 2개의 시험밸브

 나. 펌프 등의 가압송수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및 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의 기준

    수원, 연성계 또는 진공계 (수원이 펌프보다 높은 경우 제외) 펌프 또는 압력수조, 압력계, 체크밸브, 성능시험배관, 개폐

     표시형 밸브, 유수검지장치, 시험밸브

  다. 가압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이용하여 배관 및 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의 기준

     수원, 가압수조, 압력계, 체크밸브, 성능시험배관, 개폐표시형밸브, 유수검지장치, 2개의 시험밸브

  라. 캐비닛형의 가압송수장치에 배관 및 밸브 등을 설치하는 경우의 기준

     수원, 연성계 또는 진공계 (수원이 펌프 보다 높은 경우는 제외) 펌프 또는 압력수조, 압력계, 체크밸브, 개폐표시형밸브,

      2개의 시험밸브 (다만, 소화수의 공급은 상수도와 직결된 바이패스관 또는 펌프에서 공급받아야 한다.)

#압력계 #간이스프링클러 #유수검지장치 #개폐표시형밸브 #성능시험배관 #수원 #티

#엘보 #뚜껑티 #리듀서 #니플 #교차배관 #가지배관 #헤드

반응형
반응형

1. 폐쇄형 헤드를 사용한 스프링클러설비 끝부분의 배관중 K점에 필요한 압력수의 수압을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11점] ★★★★★

 

[조건]

① 직관 마찰손실수두 (100m당)

                                                                                                                                                                  (단위 : m)

개수
유 량
25 A
32 A
40 A
50 A
1
80 ℓ/min
39.82
11.38
5.40
1.68
2
160 ℓ/min
150.42
42.84
20.29
6.32
3
240 ℓ/min
307.77
87.66
41.51
12.93
4
320 ℓ/min
521.92
148.66
70.40
21.93
5
400 ℓ/min
789.04
224.75
106.31
32.99
6
480 ℓ/min
-
321.55
152.26
47.43

② 관이음쇠 및 마찰손실에 해당하는 직관길이

구분
25 A
32 A
40 A
50 A
엘보 (90°)
0.9
1.2
1.5
2.1
리듀서
0.54
0.72
0.9
1.2
티(직류)
0.27
0.36
0.45
0.6
티(분류)
1.5
1.8
2.1
3.0

   ※티는 직류티만 사용한다.

  ③ 헤드 나사는 PT ½ (15A) 기준으로 한다.

  ④ 헤드 방사압은 0.1 [MPa] 기준으로 한다.

  ⑤ 수압산정에 필요한 계산과정을 상세히 명시할 것

구간
마찰손실수두
A ~ B
B ~ C
C ~ J
J ~ K

   ※ 위 표는 별도로 작성한다.

 가.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를 구하시오

 나. 위치수두 [m]를 구하시오.

 다. F점에 필요한 압력 P [MPa]를 구하시오. (단, 소수점 세째자리까지 구하여 답하시오.)

[문제풀이]

 가.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구간
마찰손실수두
A ~ B
5.74 × 39.82 / 100 = 3.285 ≒ 2.29 m
B ~ C
2.27 × 150.42 / 100 = 3.411 ≒ 3.41 m
C ~ J
6.58 × 87.60 / 100 = 5.77 m
J ~ K
3.8 × 47.43 / 100 = 1.802 ≒ 1.8 m

   ∴ h1 = 2.29 + 3.41 + 5.77 + 1.8 = 13.27 m

 나. 위치수두 [m]

     h2 = 0.1 + 0.1 - 0.3 = - 0.1

다. F지점의 방수압은 ?

    P = 0.1327 [MPa] + (-0.001[MPa]) + 0.1 [MPa] = 0.2317 ≒ 0.232 [MPa]

[해설]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

   필요한 압력

    P = P1 + P2 + 0.1 [MPa]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압 [MPa]

                     P2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0.1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압력 [MPa]

가.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h1)

구간
호칭
구경 A
유량
ℓ/min
직관및등가길이 [m]
100m당
마찰손실
마찰손실수두[m]
K~J
50
480
◈ 직관 : 2m
◈ 관부속품
  ⊙ 티(직류) : 1개 × 0.6 = 0.6 m
  ⊙ 리듀서(50×32A) 1개 × 1.2=1.2m
◈ 소계 : 3.8 m
47.43 /100
헤드 6개
3.8×47.47/100
=1.802 ≒ 1.8m
J~C
32
240
◈ 직관 : 2 + 0.1 + 1 = 3.1 m
◈ 관부속품
  ⊙ 엘보(90°) 2개 × 1.2 = 2.4 m
  ⊙ 리듀서 (32×25A) : 1개 × 0.72  = 0.72 m
◈ 소계 : 6.28 m
87.66 /100
헤드 3개
6.28×87.66/100
=5.768 ≒ 5.77m
C~B
25
160
◈ 직관 2m
◈ 관부속품
  ⊙ 티(분류) 1개 × 0.27 = 0.27 m
◈ 소계 : 2.27 m
150.42/ 100
헤드 2개
2.27×150.42/100
=3.414 ≒ 3.41m
B~A
25
80
◈ 직관 : 2 + 0.1 + 0.1 + 0.3  = 2.5 m
◈ 관부속품
  ⊙ 엘보(90°) : 3개 × 0.9 = 2.7 m
  ⊙ 리듀서 (25×15A) 1개 × 0.54  = 0.54 m
◈ 소계 : 5.74 m
39.82/100
헤드 1개
5.74 × 39.82/100
=2.29 m

2. 폐쇄형 헤드를 사용한 스프링클러설비의 말단 배관 중 K점에 필요한 압력수의 수압을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구하시오.

    (단, 모든 헤드는 80 [ℓ/min]으로 방사되는 기준이고, 티의 사양은 분류되기 전 배관과 동일한 사양으로 적용한다. 또한

    티에서 마찰손실수두는 분류되는 유량이 큰 방향의 값을 적용하며 동일한 분류량인 경우는 직류티 값을 적용한다.

    그리고 가재배관 말단과 교차배관 말단은 엘보를 설치하며, 리듀서의 마찰손실은 큰구경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12점] ★★★★★

 

[조건]

① 마찰손실수두 (100m 당)

개수
유 량
25 A
32 A
40 A
50 A
1
80 ℓ/min
39.82
11.38
5.40
1.68
2
160 ℓ/min
150.42
42.84
20.29
6.32
3
240 ℓ/min
307.77
87.66
41.51
12.93
4
320 ℓ/min
521.92
148.66
70.40
21.93
5
400 ℓ/min
789.04
224.75
106.31
32.99
6
480 ℓ/min
-
321.55
152.26
47.43

② 관 이음쇠 및 마찰손실에 해당하는 직관길이

구분
25 A
32 A
40 A
50 A
엘보 (90°)
0.9
1.2
1.5
2.1
리듀서
0.54
0.72
0.9
1.2
티(직류)
0.27
0.36
0.45
0.6
티(분류)
1.5
1.8
2.1
3.0

③ 헤드 나사는 PT ½ (15A) 기준으로 한다. (리듀서를 적용한다.)

④ 수압산정에 필요한 계산과정을 상세히 명시할 것.

가. 배관 마찰손실수두[m]를 구하시오. (단, 다음의 표에 따라 각 구간의 소요수두를 구하고 이를 합산하여 총 마찰손실수두

      를 구한다.)

 
구간
배관크기
소요수두
말단헤드 A ~ B
25 A
B ~ C
25 A
C ~ J
32 A
J ~ K
50 A
총 마찰손실 수두

나. 헤드선단의 낙차수두 [m]를 구하시오.

다. 헤드선단의 최소 방수압력 [MPa]을 구하시오.

라. K점의 최소 요구 압력 [KPa]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m]

구간
배관크기
소 요 수 두
말단헤드
A ~ B
25 A
◈ 직관 : 2 + 0.1 + 0.1 + 0.3 = 2.5 m
◈ 관부속품
  ⊙ 엘보 (90°) : 3개 × 0.9 = 2.7 m
  ⊙ 리듀서 (25×15A) : 1개 × 0.54 = 0.54 m
◈ 소계 : 5.74 m
◈ 소요수두 : 5.74 × 39.82 / 100 = 2.285 ≒ 2.29 m
B ~ C
25 A
◈ 직관 : 2 m
◈ 관 부속품
   ⊙ 티(직류) (25×25×25A) : 1개 × 0.27 = 0.27 m
◈ 소계 : 2.27 m
◈ 소요수두 : 2.27 × 150.42 / 100 = 3.413 ≒ 3.41 m
C ~ J
32 A
◈ 직관 : 2 + 0.1 + 1 = 3.1 m
◈ 관부속품
   ⊙ 엘보 (90°) : 2개 × 1.2 = 2.4 m
   ⊙ 티(분류) (32×32×25A) : 1개 × 1.8 = 1.8m
   ⊙ 리듀서 (32×25A) : 1개 × 0.72 = 0.72 m
◈ 소계 : 8.02 m
◈ 소요수두 : 8.02 × 87.66 / 100 = 7.03 m
J ~ K
50 A
◈ 직관 : 2m
◈ 관부속품
   ⊙ 티 (분류) (50×50×32A) : 1개 × 3 = 3 m
   ⊙ 리듀서 (50×32A) : 1개 × 1.2 = 1.2 m
◈ 소계 : 6.2 m
◈ 소요수두 : 6.2 × 47.43 / 100 = 2.94 m
총 마찰손실수두
2.29 + 3.41 + 7.03 + 2.94 = 15.67 m

나. 헤드 선단의 낙차수두 [m]

     헤드선단의 낙차수두 : 0.1 + 0.1 - 0.3 = - 0.1 m

다. 헤드의 방수압력 : 0.1 [MPa]

라. K지점의 방수압력 [kPa]

    ▣ 마찰손실압력수두 h1 = 2.29 + 3.41 + 7.03 + 2.94 = 15.67 m

    ▣ 낙차수두 h2 = - 0. 1 m

    ▣ 방수압력수두 H = 15.67 + (- 0.1) + 10 = 25.57 m

    ∴ 방수압력 P = 0.1567 + (-0.001) + (0.1) = 0.2557 [MPa] = 255.7 [kPa]

[해설] 폐쇄형 스프링클러 설비

  필요압력

    P = P1 + P2 + 0.1 [MPa]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압 [MPa]

                 P2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0.1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압력 [MPa]

3. 폐쇄형 헤드를 사용한 스프링클러설비 끝 부분의 배관 중 K점에 필요한 압력수의 수압을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10점] ★★★★★

 

[조건]

  ① 직관 마찰손실수두 [10m당]

                                                                                                                                                                  (단위 : m)

개수
유 량
25 A
32 A
40 A
50 A
1
80 ℓ/min
39.82
11.38
5.40
1.68
2
160 ℓ/min
150.42
42.84
20.29
6.32
3
240 ℓ/min
307.77
87.66
41.51
12.93
4
320 ℓ/min
521.92
148.66
70.40
21.93
5
400 ℓ/min
789.04
224.75
106.31
32.99
6
480 ℓ/min
-
321.55
152.26
47.43

  ② 관이음쇠 및 마찰손실에 해당하는 직관 길이

구분
25 A
32 A
40 A
50 A
엘보 (90°)
0.9
1.2
1.5
2.1
리듀서
0.54
0.72
0.9
1.2
티(직류)
0.27
0.36
0.45
0.6
티(분류)
1.5
1.8
2.1
3.0

   ※ 티는 직류티만 사용한다.

  ③ 헤드의 나사는 PT ½ (15A) 기준으로 한다.

  ④ 헤드 방사압은 0.1 [MPa] 기준으로 한다.

  ⑤ 수압산정에 필요한 계산과정은 상세히 명시할 것

구간
마찰손실수두
A ~ B
B ~ C
C ~ J
J ~ K

  ※ 위 표는 별도로 작성한다.

  가.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를 구하시오.

  나. 위치수두 [m]를 구하시오.

  다. K점에 필요한 압력 P [MPa]를 구하시오. (단,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구하여 답하시오.)

[답안작성]

  가.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구간
마찰손실수두
A ~ B
5.74 × 39.82 / 10 = 22.856 ≒ 22.86 m
B ~ C
2.27 × 150.42 / 10 = 34.145 ≒ 34.15 m
C ~ J
6.54 × 87.66 / 10 = 57.33 m
J ~ K
3.8 × 47.43 / 10 = 18.023 ≒ 18.02 m

    마찰압력손실수두 h1 = 22.86+34.15+57.33+18.02 = 132.71 m

나. 위치수두 h2 = 0.1 + 0.1 + (-0.3) = - 0.1 m

다. K점에 필요한 압력 [MPa]

    필요한 압력 P = 1.3271 + ( - 0.001) + 0.1 = 1.4261 ≒ 1.42 [MPa]

4. 다음 그림과 같이 폐쇄형 헤드를 사용한 스프링클러설비의 말단 배관 중 K점에 필요한 압력수의 수압을 조건을 참조하

     여 구하시오. [12점] ★★★★★

 

[조건]

  ① 직관의 마찰손실수두 (100m당)

                                                                                                                                                         (단위 : m)

개수
유 량
25 A
32 A
40 A
50 A
1
80 ℓ/min
39.82
11.38
5.40
1.68
2
160 ℓ/min
150.42
42.84
20.29
6.32
3
240 ℓ/min
307.77
87.66
41.51
12.93
4
320 ℓ/min
521.92
148.66
70.40
21.93
5
400 ℓ/min
789.04
224.75
106.31
32.99
6
480 ℓ/min
-
321.55
152.26
47.43

  ② 관이음쇠 및 마찰손실에 해당하는 직관 길이

구분
25 A
32 A
40 A
50 A
엘보 (90°)
0.9
1.2
1.5
2.1
리듀서
0.54
0.72
0.9
1.2
티(직류)
0.27
0.36
0.45
0.6
티(분류)
1.5
1.8
2.1
3.0

  ③ 관이음쇠 및 마찰손실에 해당하는 직관길이 산출시 호칭구경 큰 쪽에 따른다.

  ④ 직류방향과 분류방향이 같은 크기의 분류량(구경)일 때 티는 직류로 계산한다.

  ⑤ 헤드 나사는 ½ (15A) 기준으로 한다.

  ⑥ 헤드방사압은 0.1 [MPa] 기준으로 한다.

가. 수압산정에 필요한 계산과정을 상세히 명시하여 다음표를 작성하시오.

구간
마찰손실수두
A ~ B
B ~ C
C ~ J
J ~ K

  나. 위치수두 [m]를 구하시오.

  다. 방사요구압력수두 [m]를 구하시오.

  라. 총소요수두 [m]와 K점에 필요한 방수압 [MPa]을 구하시오.

    ① 총 소요수두를 구하시오.

    ② K점에 필요한 방수압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수압산정에 필요한 계산과정 표로 작성

구간
마찰손실수두
A ~ B
5.74 × 39.82 / 100 = 3.285 ≒ 2.29 m
B ~ C
2.27 × 150.42 / 100 = 3.414 ≒ 3.41 m
C ~ J
8.02 × 87.60 / 100 = 7.03 m
J ~ K
6.2 × 47.43 / 100 = 2.94 m

  나. 위치수두 [m]

    ▣ 위치수두 h2 = 0.1 + 0.1 - 0.3 = - 0.1 [m]

  다. 방사요구압력수두 [m] : 10 [m] ☜ 0.1 [MPa] 환산수두

  라. 총소요수두[m]와 K점에 필요한 방수압 [MPa]

   ① 총소요수두 [m]

     ㉠ 마찰손실수두 h1 = 2.29 + 3.41 + 7.03 + 2.94 = 15.67 m

     ㉡ 위치수두 h2 : - 0.1 m

     ∴ 총소요수두 H = h1 + h2 + 10 = 15.67 + (-0.1) + 10 = 25.57 m

  ② K점에 필요한 방수압 [MPa]

     P = 0.1567 + (-0.001) + 0.1 = 0.2567 ≒ 0.26 [MPa]

[해설]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

  필요한 압력 P = P1 + P2 + 0.1 [MPa]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압 [MPa]

                        P2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0.1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압력 [MPa]

  ▣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 (h1)

구간
호칭
구경 A
유량
ℓ/min
직관및등가길이 [m]
100m당
마찰손실
마찰손실수두[m]
K~J
50
480
◈ 직관 : 2m
◈ 관부속품
  ⊙ 티(분류)(50×50×32A) : 1개 × 3 = 3 m
  ⊙ 리듀서(50×32A) : 1개 × 1.2  =1.2m
◈ 소계 : 6.2 m
47.43 /100
헤드 6개
6.2 × 47.43 /100
= 2.91
J~C
32
240
◈ 직관 : 2 + 0.1 + 1 = 3.1 m
◈ 관부속품
  ⊙ 엘보(90°) 2개 × 1.2 = 2.4 m
  ⊙ 티(분류)(32×32×25) : 1 × 1.8 = 1.8
  ⊙ 리듀서 (32×25A) : 1개 × 0.72  = 0.72 m
◈ 소계 : 8.02 m
87.66 /100
헤드 3개
8.02×87.66/100
=7.03m
C~B
25
160
◈ 직관 2m
◈ 관부속품
  ⊙ 티(직류) 1개 × 0.27 = 0.27 m
◈ 소계 : 2.27 m
150.42 / 100
헤드 2개
2.27×150.42/100
=3.414 ≒ 3.41m
B~A
25
80
◈ 직관 : 2 + 0.1 + 0.1 + 0.3 = 2.5 m
◈ 관부속품
  ⊙ 엘보(90°) : 3개 × 0.9 = 2.7 m
  ⊙ 리듀서 (25×15A) 1개 × 0.54  = 0.54 m
◈ 소계 : 5.74 m
39.82 /100
헤드 1개
5.74 × 39.82/100
=2.29 m
합계
15.67 m

5. 다음 도면과 주어진 조건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6점] ★★★★★

          (출제 안된지 10년 넘었음)

[조건]

  ① 주어지지 않은 조건은 무시할 것

  ② 직류 Tee 및 리듀서는 무시할 것

  ③ 다음의 하젠 - 윌리엄스의 공식을 이용할 것

          여기서, △Pm : 배관 1m당 마찰손실압력 [MPa]

                        Q : 유량 [ℓ / min]

                        C : 조도 [120]

                         D : 관경 [㎜]

 

  ① 배관의 호칭구경별 안지름은 다음과 같다.

                                                           < 배관의 호칭구경별 안지름 [㎜]>

호칭구경
25
32
40
50
65
80
100
내경
28
36
42
53
66
79
103

[조건]

  ① 관이음쇠 및 밸브류 등의 마찰손실에 상당하는 직관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관이음쇠 및 밸브류 등의 마찰손실에 상당하는 직관 길이 [m]>

관이음쇠 및 밸브
의 호칭경[㎜]
90 ˚ 엘보
90˚티(측류)
알람체크밸브
게이트밸브
체크밸브
25
0.9
0.27
4.5
0.18
4.5
32
1.2
0.36
5.4
0.24
5.4
40
1.8
0.54
6.2
0.32
6.8
50
2.1
0.6
8.4
0.39
8.4
65
2.4
0.75
10.2
0.48
10.2
100
4.2
1.2
16.5
0.81
16.5

가. 각 배관의 관경에 따라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관경[㎜]
산 출 근 거
상당 관 길이 [m]
25
32
40
50
65
100

나. 다음 표 안의 ( )안을 채우시오.

관경[㎜]
관 마찰손실압 [MPa]
25
(        ) × 10-7 × Q2
32
(         ) × 10-8 × Q2
40
(         ) × 10-8 × Q2
50
(         ) × 10-9 × Q2
65
(         ) × 10-9 × Q2
100
(         ) × 10-9 × Q2

  다. A점 헤드에서 고가수조까지의 낙차 [m]를 구하시오.

  라. A점 헤드의 분당 방수량 [ℓ/min]을 구하시오. (단, 방출계수는 80이다.)

[답안작성]

  가. 각 배관의 관경에 따른 상당관길이 [m

관경[㎜]
산 출 근 거
상당 관 길이 [m]
25
◈ 직관 : 3.5 + 3.5 = 7 m
◈ 관부속품
  ⊙ 90˚ 엘보(25A) : 1개 × 0.9 = 0.9
7+0.9=7.9m
32
◈ 직관 : 3m
3 m
40
◈ 직관 : 3 + 0.6 = 3.6 m
◈ 관부속품
  ⊙ 90˚ 엘보 (32A) : 1개 ×1.8 =1.8m
3.6 +1.8 = 5.4 m
50
◈ 직관 : 3.5 m
3.5 m
65
◈ 직관 : 3.5 + 3.5 =7 m
7 m
100
◈ 직관 : 2+1+45+1.5+0.6+1.2+2 = 53.3 m
◈ 관 부속품
  ⊙ 90˚ 엘보 : 4개 × 4.2 = 16.8 m
  ⊙ 게이트밸브 : 2개 × 0.81 =1.61 m
  ⊙ 알람체크밸브 : 1개 × 16.5 = 16.5 m
  ⊙ 체크밸브 : 1개 × 16.5 = 16.5 m
53.3+16.8+1.61+16.5
+16.5 = 104.71 m

나. 다음 괄호안을 채우시오

관경[㎜]
관 마찰손실압 [MPa]
25
( 19.13 ) × 10-7 × Q2
32
( 20.67 ) × 10-8 × Q2
40
( 16.9 ) × 10-8 × Q2
50
( 34.87 ) × 10-9 × Q2
65
( 23.29 ) × 10-9 × Q2
100
( 43.43 ) × 10-9 × Q2

  다. A점 헤드에서 고가수조까지의 낙차 [m]

      h2 = 45 - 2 - 0.6 - 1.2 = 41.2 m

라. A점 헤드의 분당 방수량 [ℓ/min]을 구하시오. (단, 방출계수는 80이다.)

#스프링클러 #헤드 #방수압 #마찰손실수두 #고가수조 #낙차 #위치수두 #리듀서 #엘보

#분류티 #직류티 #알람체크밸브 #체크밸브 #개폐밸브 #관이음쇠 #마찰손실

반응형
반응형

1.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호반경이 2.3 m 이고 정방형 (정사각형)으로 설치시 헤드간의 최대 거리 [m]를 구하시오.

[답안작성]

  간격 S = 2 R cos 45˚ = 3.252 ≒ 3.25 [m]

[해설]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개수 산출

가. 정방향 (정사각형)

 

※ 정방형 (정사각형) : S = L

                        S : 헤드간 간격 (가로 간격)

                        L : 가지배관간의 헤드 간격 (세로 간격)

   ① 가로 간격 S = 2Rcos θ = 2 R cos 45˚

       ⊙ 가로 개수 = 가로길이 ÷ S = 가로 길이 ÷ Rcos θ = 가로 길이 ÷ Rcos 45˚

   ② 세로 간격 L = 2Rcos θ = 2 R cos 45˚

       ⊙ 세로 개수 = 세로길이 ÷ S = 세로 길이 ÷ Rcos θ = 세로 길이 ÷ Rcos 45˚

나. 장방형 (직사각형)

 

  ▣ θ = 30˚ 일 때 (가로 장방형)

   ① 가로 간격 S = 2Rcos θ = 2 R cos 30˚

      ⊙ 가로 개수 = 가로길이 ÷ S = 가로 길이 ÷ Rcos θ = 가로 길이 ÷ Rcos 30˚

   ② 세로 간격 L = 2Rcos θ = 2 R cos 60˚

      ⊙ 세로 개수 = 세로길이 ÷ S = 세로 길이 ÷ Rcos θ = 세로 길이 ÷ Rcos 60˚

▣ θ = 60˚ 일 때 (세로 장방형)

  ① 가로 간격 S = 2Rcos θ = 2 R cos 60˚

     ⊙ 가로 개수 = 가로길이 ÷ S = 가로 길이 ÷ Rcos θ = 가로 길이 ÷ Rcos 60˚

  ② 세로 간격 L = 2Rcos θ = 2 R cos 30˚

    ⊙ 세로 개수 = 세로길이 ÷ S = 세로 길이 ÷ Rcos θ = 세로 길이 ÷ Rcos 30˚

2. 스프링클러헤드 설치시 설치하는 천장, 천장과 반자사이, 덕트, 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 부터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평거리가 2.1 m 이하일 경우 헤드와 헤드간의 간격 [m] 은 얼마인가? (단, 정방형으로 설치하며 소수점 이하는 절상할

      것) [3점] ★★★★

[문제 풀이]

 

[문제풀이]

   헤드의 간격 S = 2 R cos θ = 2 R cos 45˚ = 2 × 2.1 cos 45 ˚ = 2.969 ≒ 3 m

3. 가로 25 m, 세로 9 m 인 무대부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려고 한다. 정방형으로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려고 할 때

     스프링클러 헤드의 최소 설치 개수를 구하시오.  [4점] ★★★★

[문제풀이]

   정방형 S = L : 2 R cos θ = 2 R cos 45˚ = 2 × 1.7 cos 45 ˚ = 2.404 m

  ① 가로 헤드 설치개수 : 25 m ÷ 2.404 m = 10.399 ≒ 11개

  ② 세로 헤드 설치개수 : 9 m ÷ 2.404 m = 3.743 ≒ 4개

      ∴ 헤드 설치개수 : 11개 × 4개 = 44개

[참고]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치기준

설 치 장 소
배치기준 (R)
⊙ 무대부
⊙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래크식 창고 포함)
수평거리 1.7 m 이하
⊙ 기타 구조 (비내화구조)
수평거리 2.1 m 이하
⊙ 내화구조
수평거리 2.3 m 이하
⊙ 래크식 창고 (일반 물품)
수평거리 2.5 m 이하
⊙ 공동주택 (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
수평거리 3.2 m 이하

4. 가로 30 m , 세로 20 m의 내화구조로 된 특정소방대상물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정방형으로 설치할 경우

    헤드의 소요개수를 구하시오. [4점] ★★★★

[문제풀이]

   정방형 S = L : 2 R cos θ = 2 R cos 45˚ = 2 × 2.3 cos 45 ˚ = 3.252 m

  ① 가로 헤드 설치개수 : 30 m ÷ 3.252 m = 9.25 ≒ 10개

  ② 세로 헤드 설치개수 : 20 m ÷ 3.252 m = 6.15 ≒ 7개

      ∴ 헤드 설치개수 : 10개 × 7개 = 70개

5. 다음 그림은 내화구조로 된 15층 건물의 1층 평면도 이다. 이 건출의 1층에 정방형으로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

     하려고 한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소요개수를 구하고 배치도를 작성하시오. (단, 헤드배치시에는 배치의 위치를 치수로

     서 표시하여야 한다)  [6점] ★★★★★

 

[문제풀이]

  정방형 S = L : 2 R cos θ = 2 R cos 45˚ = 2 × 2.3 cos 45 ˚ = 3.252 m

   ① 가로 헤드 설치개수 : 29 m ÷ 3.252 m = 8.917 ≒ 9개

   ② 세로 헤드 설치개수 : 22 m ÷ 3.252 m = 6.765 ≒ 7개

     ∴ 헤드 설치개수 : 9개 × 7개 = 63개

 

                                                                   [배치도]

 

6. 다음 그림은 가로 20[m], 세로 10 [m]인 직사각형 형태의 실의 평면도이다. 이 실의 내부에는 기둥이 없고 실내 상부는

    반자로 고르게 마감되어 있다. 이 실내에 방호반경 2.3m 로 스프링클러 헤드를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하려고 한다.

    이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각도는 30˚, 60˚ 를 적용하고, 반자 속에는 헤드를 설치하지 않으며 전등 또는 공조용

     디퓨져 등의 모듈(module)은 모두 무시한다.) [12점] ★★★★★

 

[유의사항]

  ▣ 산출과정의 작성 "예"

    ⊙ 가로변의 최소 개수 ~ 최대 개수 8 ~ 11개

    ⊙ 세로변의 최소 개수 ~ 최대 개수 7 ~ 9개 이면

                       가로변의 헤드수
세로변의 헤드 수
8
9
10
11
7
56
53
70
77
8
64
72
80
88
9
72
81
90
99
 

  가. 가로변의 헤드의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나. 세로변의 헤드의 최대 개수를 구하시오.

  다. 가로변의 헤드의 최대 개수를 구하시오.

  라. 세로변의 헤드의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마. 다음 표를 완성하시오

                       가로변의 헤드수
세로변의 헤드 수

  바. 그림의 평면도에 설치가능한 최소 개수를 쓰시오.

[문제풀이]

  ① θ = 30 ˚ 일 때 (가로 장방형)

    ⊙ 가로개수 : 20 ÷ (2R cos 30˚) = 20 ÷ 2 × 2.3 × cos 30˚ = 5.02 ≒ 6개

    ⊙ 세로개수 : 10 ÷ (2R cos 60˚) = 10 ÷ 2 × 2.3 × cos 60˚ = 4.347 ≒ 5개

  ② θ = 60 ˚ 일 때 (세로 장방형)

    ⊙ 가로개수 : 20 ÷ (2R cos 60˚) = 20 ÷ 2 × 2.3 × cos 60˚ = 8.695 ≒ 9개

    ⊙ 세로개수 : 10 ÷ (2R cos 30˚) = 10 ÷ 2 × 2.3 × cos 30˚ = 2.51 ≒ 3개

 가. 가로변 헤드의 최소 개수

   ⊙ 가로개수 : 20 ÷ (2R cos 30˚) = 20 ÷ 2 × 2.3 × cos 30˚ = 5.02 ≒ 6개

 나. 세로변 헤드의 최대 개수

   ⊙ 세로개수 : 10 ÷ (2R cos 60˚) = 10 ÷ 2 × 2.3 × cos 60˚ = 4.347 ≒ 5개

 다. 가로변 헤드의 최대 개수

   ⊙ 가로개수 : 20 ÷ (2R cos 60˚) = 20 ÷ 2 × 2.3 × cos 60˚ = 8.695 ≒ 9개

 라. 세로변 헤드의 최소 개수

   ⊙ 세로개수 : 10 ÷ (2R cos 30˚) = 10 ÷ 2 × 2.3 × cos 30˚ = 2.51 ≒ 3개

 마. 다음표를 완성하시오.

              가로변의 헤드수
세로변의 헤드 수
6
7
8
9
3
18
21
24
27
4
24
28
32
36
5
30
35
40
45

 바. 그림의 평면도에 설치가능한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 27개

[해설] 장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산출 개수

  가. θ = 30˚ (가로방향 장방형)

 

① 가로 간격 S = 2R cos θ = 2R cos 30 ˚ [m]

    가로 개수 = 가로 길이 [m] ÷ S [m] = 가로길이 [m] ÷ R cos θ [m]  = 가로 길이 [m] ÷ 2R cos 30 ˚ [m]

② 세로 간격 L = 2R cos θ = 2R cos 60 ˚ [m]

    세로 개수 = 세로 길이 [m] ÷ L [m] = 세로길이 [m] ÷ R cos θ [m]  = 세로 길이 [m] ÷ 2R cos 60 ˚ [m]

나. θ = 60˚ (세로방향 장방형)

 

  ① 가로 간격 S = 2R cos θ = 2R cos 60 ˚ [m]

      가로 개수 = 가로 길이 [m] ÷ S [m] = 가로길이 [m] ÷ R cos θ [m]  = 가로 길이 [m] ÷ 2R cos 60 ˚ [m]

  ② 세로 간격 L = 2R cos θ = 2R cos 30 ˚ [m]

      세로 개수 = 세로 길이 [m] ÷ L [m] = 세로길이 [m] ÷ R cos θ [m]  = 세로 길이 [m] ÷ 2R cos 30 ˚ [m]

7. 다음 그림은 가로 25 [m], 세로 15 [m]의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는 어느 실의 평면도이다. 이 실의 내부에는 기둥이

     없고 실내 상부는 반자로 고르게 마감되어 있다. 이 실 안에 방호 반경 2.3 [m]로 스프링클러헤드를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하려고 할 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각도는 30˚, 60˚를 적용하고 반자 속에는 헤드를 설치하지 아니하며,

       전등 또는 공조용 디퓨저 등의 모듈(Module)은 모두 무시한다.) (12점) ★★★★★

 

[유의사항]

  ▣ 산출과정의 작성 "예"

    ⊙ 가로변의 최소 개수 ~ 최대 개수 8 ~ 11개

    ⊙ 세로변의 최소 개수 ~ 최대 개수 7 ~ 9개 이면

가로변의 헤드수
세로변의 헤드 수
8
9
10
11
7
56
53
70
77
8
64
72
80
88
9
72
81
90
99
 

 가. ① 설치 가능한 헤드간의 최소 거리 [m]를 구하시오.

      ② 설치 가능한 헤드간의 최대 거리 [m]을 구하시오.

나. 방호반경 2.3 [m]의 경우로서 하나의 헤드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 방호 면적 [㎡]을 구하시오.

다. 방호반경 2.3 [m]의 경우로서 하나의 헤드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 방호면적 [㎡] 을  구하시오.

라. ① 실에 설치 가능한 헤드의 이론상 최소개수를 구하시오.

      ② 실에 설치 가능한 헤드의 이론상 최대 개수를 구하시오.

마. ① 실의 가로변 25 m에 대하여 1열이 될 수 있는 이론상 최소헤드 수를 구하시오.

     ② 실의 가로변 25 m에 대하여 1열이 될 수 있는 이론상 최대헤드 수를 구하시오.

     ③ 실의 세로변 15 m에 대하여 1열이 될 수 있는 이론상 최소헤드 수를 구하시오.

     ④ 실의 세로변 15 m에 대하여 1열이 될 수 있는 이론상 최대 헤드 수를 구하시오.

바. 산출과정 "마"의 결론을 도표로 작성하시오.

사. 산출과정 "바"를 비교하면 본 실에 배열할 수 있는 헤드의 최소개수는 몇개인지 쓰시오.

[문제풀이]

  θ = 30 ˚ 일 때

    ⊙ 가로 간격 S : 2 × 2.3 × cos 30˚ = 3.98 [m]

    ⊙ 세로 간격 L : 2 × 2.3 × cos 60˚ = 2.3 [m]

 θ = 60 ˚ 일 때

    ⊙ 가로 간격 S : 2 × 2.3 × cos 60˚ = 2.3 [m]

    ⊙ 세로 간격 L : 2 × 2.3 × cos 30˚ = 3.98 [m]

 가. ① 설치 가능한 헤드간의 최소 거리 [m]를 구하시오.

          ⊙ 가로 간격 S : 2 × 2.3 × cos 60˚ = 2.3 [m]

      ② 설치 가능한 헤드간의 최대 거리 [m]을 구하시오.

          ⊙ 가로 간격 S : 2 × 2.3 × cos 30˚ = 3.98 [m]

 나. 방호반경 2.3 [m]의 경우로서 하나의 헤드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 방호 면적 [㎡]을 구하시오.

   θ = 30 ˚, 60˚ 일 때

     ⊙ 가로 간격 S : 2 × 2.3 × cos 30˚ = 3.98 [m]

     ⊙ 세로 간격 L : 2 × 2.3 × cos 60˚ = 2.3 [m]

       ∴ 방호면적 : 3.98 × 2.3 = 9.154 ≒ 9.15 [㎡]

다. 방호반경 2.3 [m]의 경우로서 하나의 헤드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 방호면적 [㎡] 을 구하시오

   θ = 45 ˚ 일 때

     ⊙ 가로 간격 S : 2 × 2.3 × cos 45˚ = 3.25 [m]

     ⊙ 세로 간격 L : 2 × 2.3 × cos 45˚ = 3.25 [m]

    ∴ 방호면적 : 3.25 × 3.25 = 10.563 ≒ 10.56 [㎡]

라. ① 실에 설치 가능한 헤드의 이론상 최소개수를 구하시오.

         가로개수 25 ÷ 2.3 = 10.87 ≒ 11개

         세로 개수 15 ÷ 3.98 = 3.77 ≒ 4개

          ∴ 설치개수 : 11개 × 4개 = 44개

     ② 실에 설치 가능한 헤드의 이론상 최대 개수를 구하시오.

          가로개수 25 ÷ 3.98 = 6.28 ≒ 7개

          세로 개수 15 ÷ 2.3 = 6.52 ≒ 7개

            ∴ 설치개수 : 7개 × 7개 = 49개

 마. ① 실의 가로변 25 m에 대하여 1열이 될 수 있는 이론상 최소헤드 수를 구하시오.

              25 m ÷ 3.98 m = 6.28 ≒ 7개

       ② 실의 가로변 25 m에 대하여 1열이 될 수 있는 이론상 최대헤드 수를 구하시오.

              25 m ÷ 2.3 m = 10.87 ≒ 11개

       ③ 실의 세로변 15 m에 대하여 1열이 될 수 있는 이론상 최소헤드 수를 구하시오.

             15 m ÷ 3.98 m = 3.77 ≒ 4개

       ④ 실의 세로변 15 m에 대하여 1열이 될 수 있는 이론상 최대 헤드 수를 구하시오.

              15 m ÷ 2.3 m = 6.52 ≒ 7개

 바. 산출과정 "마"의 결론을 도표로 작성하시오.

가로변의 헤드수
세로변의 헤드 수
7
8
9
10
11
4
28
32
36
40
44
5
35
40
45
50
55
6
42
48
54
60
66
7
49
56
63
70
77

사. 산출과정 "바"를 비교하면 본 실에 배열할 수 있는 헤드의 최소개수는 몇개인지 쓰시오.    44 개

8. 내화구조인 어느 사무실의 크기가 가로 30 m, 세로 20 m 인 직사각형 형태이고 내부에는 기둥이 없다. 스프링클러 헤드

     를 장방형 (직사각형)으로 배치하고자 할 때 가로 및 세로변의 최대 및 최소개수를 주어진 보기와 같이 산출하시오.

     (단, 반자측에는 헤드를 설치하지 않으며 헤드설치시 장애물은 모두 무시하고 헤드 배치간격은 헤드 배치 각도(θ)

     30˚ 및 60˚ 2가지로 하여 최대 - 최소 숫자를 산출하시오. [18점] ★★★★★

 

[보기]

   ⊙ 가로변 : 최소 헤드수 (6개), 최대 헤드 수 (9개)

   ⊙ 세로변 : 최소 헤드수 (3개), 최대 헤드 수 (5개)

가로변의 헤드수
세로변의 헤드 수
6
7
8
9
3
18
21
24
27
4
24
28
32
36
5
30
35
40
45

  가. 가로변 설치헤드 최대 개수를 구하시오.

  나. 가로변 설치헤드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다. 세로변 설치헤드 최대 개수를 구하시오.

  라. 세로변 설치헤드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마. 보기와 같이 헤드 배치표를 만드시오.

  바. 만약 정사각형으로 헤드를 배치한다면 헤드의 설치간격 [m]을 구하시오.

  사. 정사각형으로 헤드를 배치할 때 설치헤드수를 구하시오.

  아. 헤드가 폐쇄형으로 표시온도가 79 ℃ 일 때 작동온도의 범위는 얼마인가 ? (단, 유리벌브형의 헤드가 아닌 경우이다.)

[답안작성]

  θ = 30 ˚ 일 때

    ⊙ 가로 간격 S : 2 × 2.3 × cos 30˚ = 3.98 [m]

    ⊙ 세로 간격 L : 2 × 2.3 × cos 60˚ = 2.3 [m]

  θ = 60 ˚ 일 때

    ⊙ 가로 간격 S : 2 × 2.3 × cos 60˚ = 2.3 [m]

    ⊙ 세로 간격 L : 2 × 2.3 × cos 30˚ = 3.98 [m]

[답안작성]

 가. 가로변 설치헤드 최대 개수를 구하시오.

       30 m ÷ 2.3 m = 13.043 ≒ 14개

 나. 가로변 설치헤드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30 m ÷ 3.98 m = 7.538 ≒ 8개

 다. 세로변 설치헤드 최대 개수를 구하시오.

       20 m ÷ 2.3 m = 8.696 ≒ 9개

 라. 세로변 설치헤드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20 m ÷ 3.98 m = 5.025 ≒ 6개

  마. 보기와 같이 헤드 배치표를 만드시오.

가로변의 헤드수
세로변의 헤드 수
9
10
11
12
13
14
6
54
60
66
72
78
84
7
63
70
77
84
91
98
8
72
80
88
96
104
112

 바. 만약 정사각형으로 헤드를 배치한다면 헤드의 설치간격 [m]을 구하시오.

       헤드간격 S = L : 2R cos θ = 2 × 2.3 × cos 45˚ = 3.253 ≒ 3.25 [m]

 사. 정사각형으로 헤드를 배치할 때 설치헤드수를 구하시오.

     ⊙가로 개수 : 30 ÷ 3.25 = 9.23 ≒ 10개

     ⊙ 세로 개수 : 20 ÷ 3.25 = 6.154 ≒ 7개

         ∴ 설치개수 : 10개 × 7개 = 70개

 아. 헤드가 폐쇄형으로 표시온도가 79 ℃ 일 때 작동온도의 범위는 얼마인가 ? (단, 유리벌브형의 헤드가 아닌 경우이다.)

     ▣ 폐쇄형 헤드의 작동온도 범위

        79 ℃ × (0.97 1.03) = 76.63 ~ 81.37 ℃

9. 한개의 방호구역으로 구성된 가로 15 m, 세로 15m, 높이 6m인 래크식 창고에 특수가연물을 저장하고 있고 표준형 폐쇄

     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정방형으로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5점] ★★★★

  가.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를 구하시오.

  나. 헤드 1개당 80 ℓpm으로 방출시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다. 총 헤드를 담당하는 최소배관의 관경 [㎜]을 다음 표를 이용하여 쓰시오.  

                                                    [스프링클러 헤드 수별 급수관의 구경]

                                                                                                                                                                   [단위 : ㎜]

급수관 구경
구분
25
32
40
50
65
80
90
100
125
150
2
3
5
10
30
60
80
100
160
161이상
2
4
7
15
30
60
65
100
160
161 이상
1
2
5
8
15
27
40
55
90
91 이상

 (주) 1.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로서 1개 층에 하나의 급수배관 (또는 밸브 등)이 담당하는 구역의

             최대 면적은 3,000 ㎡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2.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란의 헤드수를 따를 것. 다만, 100개 이상의 헤드를 담당하는 급수

          배관(또는 밸브)의 구경을 100[㎜]로 할 경우에는 수리 계산을 통하여 제8조 제3항 제3호에서 규정한 배관의 유속에

          적합하도록 할 것

      3.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고 반자 아래의 헤드와 반자 속의 헤드를 동일 급수관의 가지관상에 병설하는 경우

          에는 "나"란의 헤드수에 따를 것.

      4. 무대부,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의 경우로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설비의 배관 구경은

           "다"란에 따를 것

      5.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하나의 방수구역이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가 30개 이하일 때는 "다"란의

           헤드수에 의하고 30개를 초과할 때는 수리계산 방법에 따를 것.

[문제풀이]

 가.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를 구하시오.

   ▣ 간격 S = L : 2R cos θ = 2 × 1.7 × cos 45˚ = 2.404 [m]

      ⊙ 가로 개수 : 15 m ÷ 2.404 = 6.239 ≒ 7개

      ⊙ 세로 개수 : 15 m ÷ 2.404 = 6.239 ≒ 7개

     ∴ 설치 개수 : 7개 × 7개 = 49개

     ∴ 전체 설치 개수 : 49개 × 2 = 98개

 나. 헤드 1개당 80 ℓpm으로 방출시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 수원의 양 : 1.6 [㎥] × N = 1.6 [㎥] × 30 = 48 [㎥]

 다. 총 헤드를 담당하는 최소배관의 관경 [㎜]을 다음 표를 이용하여 쓰시오.   [답안작성] 100 [㎜]

[해설]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 기준

설 치 장 소
배치기준 (R)
⊙ 무대부
⊙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래크식 창고 포함)
수평거리 1.7 m 이하
⊙ 기타 구조 (비내화구조)
수평거리 2.1 m 이하
⊙ 내화구조
수평거리 2.3 m 이하
⊙ 래크식 창고 (일반 물품)
수평거리 2.5 m 이하
⊙ 공동주택 (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
수평거리 3.2 m 이하

[해설]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설치 개수

설 치 장 소
기준개수
⊙ 지하가
⊙ 지하역사
⊙ 지하층을 제외한 11층 이상 (아파트 제외)
30 개
지하층을
제외한
10층 이하
공장 또는 창고 (특수가연물 저장 · 취급하는 것)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복합건축물
판매시설
복합건축물(판매시설이 설치된 경우)
기 타
20 개
기 타
헤드의 부착높이 8 m 이상
헤드의 부착 높이 8 m 미만
10 개
아 파 트

※ 래크식 창고의 경우로서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래크 높이 4 [m] 이하 마다, 그밖의 것을 취급

    하는 것에 있어서는 래크높이 6m 이하 마다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래크식 창고의 천장 높이가

     13.7 m 이하로서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 안전기준의 규정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장에만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

  ※ 래크식 창고 : 일반물품 : 6 [m]

                             특수가연물 : 4 [m]

10. 스프링클러 설비에 설치되는 개방형 헤드와 폐쇄형 헤드의 기능을 비교 설명하고 각각의 설치대상 2가지를 쓰시오.

       [6점] ★★★★

   가. 기능                               나. 설치 대상

[답안작성]

 가. 기능

   ① 개방형 헤드 : 감열부가 없으며 가압수를 방출한다.

   ② 폐쇄형 헤드 : 감열부가 있어 화재를 감지하고 가압수를 방출한다.

 나. 설치대상

   ① 개방형 헤드 : ㉠ 무대부                  ㉡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② 폐쇄형 헤드 : ㉠ 근린생활시설       ㉡ 아파트

#래크식 #스프링클러 #헤드 #특수가연물 #내화구조 #장방형 #정방형 #포용면적

#방호면적 #무대부 #간격 #거리 #방수량 #방수밀도 #수평거리 #급수관 #관경 #구경

 
반응형
반응형

1. 어느 9층 백화점에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를 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① 최고위 헤드의 방사압은 0.11 [MPa]이다.

  ②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은 11 [㎜]이다.

  ③ 펌프 토출측으로 부터 최상단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직거리는 50 [m] 이다.

  ④ 연성계의 지시압은 300 [㎜Hg]이다.

  ⑤ 배관의 마찰손실수두는 펌프 토출측으로 부터 최상단 헤드까지 높이의 40 [%] 이다.

  ⑥ 기계효율 95 %, 수력효율 90 %, 체적효율 80 % 이다.

가. 펌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나.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다. 펌프의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펌프의 전양정 [m]

    전양정 H = h1 + h2 + 10 [m]

    실양정 h2 : 흡입양정 : (300 [㎜Hg] / 760 [㎜Hg] ) × 10.332 [m] = 4.078 [m]

                       토출양정 : 50 [m]

                h2 = 4.078 m + 50 m = 54.078 [m]

     마찰손실 양정 h1 = 50 m × 40% = 50 × 0.4 = 20 [m]

   ∴ 전양정 H = h1 + h2 + 11 = 20 m + 54.078 m + 11 m = 85.078 [m]

     ※ 스프링클러 헤드 의 방수압이 0.11[MPa] 이므로 이를 수두로 환산하면 11 [m]이다.

나. 수원의 양 [㎥]

   ※ 오리피스의 직경이 주어지면 다음식으로 구한다.

   유량 Q=83.71 [ℓ/min] × 20 [min] × 30개 = 50,226 [ℓ] = 50.23 [㎥]

다. 펌프의 축동력 [kW]

   전효율 η = 0.9 × 0.95 × 0.8 = 0684

[참고]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의 양 (저수량)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29층 이하)

   ※ 문제에서 방사압과 오리피스 직경이 주어진 경우

      여기서, Q : 방수량 [ℓ/min]

                  D : 구경 (직경) [㎜]

                  P : 방수압(방사압) [MPa]

                  T : 방사시간 (29층 이하 : 20 [min])

                   N : 기준개수 (백화점(판매시설) : 30개)

▣ 폐쇄형 헤드의 설치장소별 기준 개수 (NFSC 103 제4조 ①, 1)

설 치 장 소
기준개수
⊙ 지하가
⊙ 지하역사
⊙ 지하층을 제외한 11층 이상 (아파트 제외)
30 개
지하층을
제외한
10층 이하
공장 또는 창고 (특수가연물 저장 · 취급하는 것)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복합건축물
판매시설
복합건축물(판매시설이 설치된 경우)
기 타
20 개
기 타
헤드의 부착높이 8 m 이상
헤드의 부착 높이 8 m 미만
10 개
아 파 트
 

2. 지상 16층 짜리 어느 아파트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층별

     방호면적은 990 [㎡]로서 헤드의 방사압력은 0.1 [MPa]이다.) [6점] ★★★★★

[조건]

  ① 실양정 : 65 m

  ② 배관, 관부속품의 총 마찰손실수두 : 25 m

  ③ 배관내 유속 : 2 [m/sec]

  ④ 효율 : 60 %

  ⑤ 전달계수 : 1.1

가. 이 설비의 펌프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단, 헤드의 기준개수는 최대치를 사용할 것)

나. 이 설비가 확보하여야 할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다. 가압송수장치의 축동력 [kW]를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

        유량 Q = 80 [ℓ/min] × N = 80 [ℓ/min] ×10개 = 800 [ℓ/min]

  나. 수원의 양 [㎥]

        수원의 양 Q = 1.6 [㎥] × N = 1.6 [㎥] × 10 = 16 [㎥]

  다. 가압송수장치의 축동력

       전양정 H = h1 + h2 + 10 = 25 m + 65 m + 10 m = 100 m

3. 지하 1층, 지상 13층의 어느 건물에 있어서 11층 이상에 화재안전기준과 다음 조건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를 설계하려

    고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11층과 12층에 설치하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수량은 각각 80개 이다.

  ② 수직배관의 내경은 150 [㎜] 이고 높이는 40 m이다.

  ③ 펌프의 후드밸브로 부터 최상층 스프링클러 헤드 까지의 실고는 50 m이다.

  ④ 수직배관의 마찰손실수두를 제외한 펌프의 후드밸브로 부터 최상층 즉, 가장 먼 스프링클러헤드까지의 마찰 및

       저항손실수두는 15 m이다.

  ⑤ 모든 규격치는 최소량을 적용한다.

  ⑥ 펌프의 효율은 60 % 이다.

가. 펌프의 최소유량 [ℓ/min]을 구하시오.

나. 수원의 최소유효수량 [㎥]을 구하시오.

다. 수직배관에서의 마찰손실수두 [m] 를 구하시오. (단, 수직배관은 직관으로 간주. Darcy-Weisbach의 식을 사용하며

      마찰손실계수는 0.02 이다.)

라. 펌프의 최소 양정 [m]을 구하시오.

마. 펌프의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바. 불연재료로 된 천장에 헤드를 다음 그림과 같이 정방형으로 배치하려고 한다. A 및 B의 최대길이를 구하시오.

      (단, 건물은 내화구조이다.)

 
 

가. 펌프의 최소 유량 [ℓ/min]

      유량 Q = 80 [ℓ/min] × N = 80 [ℓ/min] × 30개 = 2,400 [ℓ/min]

나. 수원의 최소 유효수량 [㎥]

      최소 유량 Q = 1.6 [㎥] × N = 1.6 [㎥] × 30 개 = 48 [㎥]

다. 마찰손실수두 [m] (Darcy-Weisbach 식 이용)

라. 펌프의 최소 양정 : H = h1 + h2 + 10

           h1 = 15 m + 1.4 m = 16.4 [m]

           h2 = 50 [m]

         ∴ 전양정 H = h1 + h2 + 10 = 16.4 m + 50 m +10 = 76.4 [m]

마. 펌프의 축동력

바. 정방향 헤드의 설치 간격

    ① 헤드간 간격

         간격 S = 2 R cos 45˚ = 2 × 2.3 [m] × cos 45˚ = 3.25 [m]

    ② 벽과의 간격

          D = S/2 =3.25/2 =1.625 ≒ 1.63 [m]

[참고] 스프링클러헤드 정방형 설치 간격

  ▣ 정방형 설치간격

      S = 2 R cos 45˚ [m]

      L = S : 수평거리, 배관 간격 [m]

             R : 수평거리

  ⊙ 가로개수 : 실가로길이 (30m) ÷ (2 R cos 45°)

  ⊙ 세로개수 : 실세로길이 (20m) ÷ (2 R cos 45°)

 

※ R 값

   ⊙ 무대부, 특수가연물 : 1.7 m 이내

   ⊙ 비내화구조 : 2.1 m 이내

   ⊙ 내화구조 : 2.3 m 이내

   ⊙ 일반래크식 창고 : 2.5 m 이내

   ⊙ 아파트, 공동주책 : 3.2 m 이내

   ⊙ 포설비는 무조건 : 2.1 [m] 이내

[참고]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치기준

설 치 장 소
배치기준 (R)
⊙ 무대부
⊙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래크식 창고 포함)
수평거리 1.7 m 이하
⊙ 기타 구조
수평거리 2.1 m 이하
⊙ 내화구조
수평거리 2.3 m 이하
⊙ 래크식 창고 (일반물품)
수평거리 2.5 m 이하
⊙ 공동주택(아파트) 세대내의 거실
수평거리 3.2 m 이하

※ 포 소화설비는 무조건 : 2.1 m 이하

  ▣ 문제의 단서에서 내화구조이므로 수평거리 (R)는 2.3 m 이하이다.

    ① A의 최대길이 : S = 2 R cos 45° = 2 × 2.3 × cos 45˚ = 3.25 m

    ② B의 최대길이 : ½ S = ½ × 3.25 = 1.625 m ≒ 1.63 m

4. 지하 2층, 지상 15층인 어느 건물에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스프링클러설비를 설계하려고 한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조건]

  ① 건축물은 내화구조이며 지상층 (지상 1층 ~ 지상 15층)의 평면도는 다음과 같다.

 

  ② 펌프의 후드밸브로 부터 최상층 헤드까지의 실양정은 40 m 이며 배관의 마찰손실과 관부속품에 대한 마찰손실의 합은

       12 m 이다.

  ③ 펌프의 효율은 65 % 이며 펌프의 동력전달계수의 여유율은 10 % 이다.

가. 전체 지상층에 설치하여야 할 스프링클러 헤드 개수는 정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몇 개인가 ?

나. 소화수 공급 입상배관의 배관 구경은 호칭경으로 몇 [㎜]로 하여야 하는가 ? (단, 배관내측 유속은 4 [m/s]이하이다.)

다. 펌프의 전양정 [m]은 얼마인가 ?

라. 펌프의 전동력 [kW]은 얼마인가 ?

 [문제풀이]

가. 스프링클러설비 헤드의 수

  ▣ 설치간격 S = 2 R cos 45 ° = 2 × 2.3 m × cos 45° = 3.252 [m]

    ⊙ 가로 설치개수 : 30 ÷ 3.252 = 9.225 ≒ 10 개

    ⊙ 세로 설치개수 : 20 ÷ 3.252 = 6.45 ≒ 7 개

    ⊙ 한 층의 설치 개수 : 10개 × 7개 = 70 개

    ⊙ 전체 지상층 헤드 설치 개수 = 70 개 × 15층 = 1,050 개

나. 배관의 호칭 구경

   ① 유량 Q = 80 [ℓ/min] × 30 개 = 2,400 [ℓ/min]

   ② 유량 Q = A · v = (π/4 ×d2) · v

   ∴ 호칭구경은 125 [㎜] 를 선정한다.

다. 펌프의 전양정 [m]

      전양정 H = h1 + h2 + 10 = 12 m + 40 m + 10 m = 62 m

라. 펌프의 전동력 [kW]

5. 어느 백화점 건물의 8층에 그림과 같이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그림 및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20점] ★★★★★

 
 

※ 위 그림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가지배관이 막혀 있으므로 전체 헤드수는 8개이다.

     만약 가지배관이 물결 모양이면 생략한 것이므로 헤드 개수는 기준개수를 적용한다.

※ 낙차압력에는 토출양정에 옥상수조압 5 [m]을 더하고 토출양정에는 더하지 않는다.

[조건]

  ① 펌프에서 최고위 말단 헤드까지의 배관 및 부속류의 총 마찰손실은 펌프 자연낙차압의 40% 이다.

  ② 펌프의 진공계 눈금은 550 [㎜Hg]이다.

  ③ 펌프의 체적효율 (ηv)은 0.95, 기계효율(ηm)은 0.95, 수력효율 (ηh)은 0.75 이다.

  ④ 전동기 전달계수 (여유계수)는 1.1 이다.

  ⑤ 표준대기압 상태이다.

가. 주펌프의 양정 [m]을 구하시오.

나. 주펌프의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다. 주펌프의 전효율 [%]을 구하시오.

라. 주펌프의 수동력 [kW], 축동력 [kW], 전동력 [kW]을 구하시오.

   ① 수동력       ② 축동력         ③ 전동력

마.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일 경우 A의 말단시험배관 설치방법을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바. 배관의 신축이음 종류를 5가지 쓰시오.

사. 다음의 소방용 탄소강관의 명칭을 쓰시오.

관의 종류
개관 명칭
KS 규격
SPP
KS D 3507
SPPS
KS D 3562
SPPH
KS D 3564
SPHT
KS D 3570

아. 유량이 80 [ℓ/s]이고 ⓒ관의 마찰손실은 3 [m]이며, ⓑ관의 유량이 20 [ℓ/s]일 때, ⓒ관의 유량 [ℓ/s]과 직경 [㎜]을

      구하시오. (단, 하젠-윌리엄스의 공식을 사용하고 조도는 100 이다.)

 

   ① 유량               ② 직경

[문제풀이]

 가. 주펌프의 양정 [m] H = h1 + h2 + 10

       h1 = 자연낙차압 (40 m + 5 m) × 40 % = 45 × 0.4 = 18 [m]

      ※ 자연낙차압에는 옥상수조압 5 [m]를 적용한다.

       h2 : 흡입양정 : (550[㎜Hg] / 760 [㎜Hg]) × 10.332 m = 7.477 [m]

              토출양정 : 40 m

       ∴ h2 = 7.477 m + 40 m = 47.477 m

       ∴ 전양정 H = h1 + h2 + 10 = 18 m + 47.477 m +10 = 75.477 ≒ 75.48 [m]

 나. 펌프의 토출량 [ℓ/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8 = 640 [ℓ/min]

    ※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지배관이 막혀 있으므로 헤드의 개수는 8개이다. 만약에 가지배관의 끝부분이 물결처리

        되었다면 생략한 것이므로 기준개수를 적용한다.

다. 주펌프의 전효율 (η)

       전효율 η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 0.75 × 0.95 × 0.95 = 0.67687

라. 펌프의 수동력[kW], 축동력[kW], 전동력 [kW]은 ?

   ① 수동력 P =0.163 QH = 0.163 × 0.64 × 75.48 = 7.784 ≒ 7.87 [kW]

마.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일 경우 A의 말단시험배관 설치방법을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바. 배관의 신축이음의 종류

   ① 슬리브형 이음       ② 벨로스형 이음           ③ 루프형 이음           ④ 스위블형 이음          ⑤ 볼 조인트

사. 소방용 탄소강관

   ① 배관용 탄소강관    ②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③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④ 고온배관용 탄소강관

아. 유량 [ℓ/s] 및 직경 [㎜]

  ① 유량

     전체 유량 = ⓑ 관 유량 + ⓒ 관 유량

     ⓒ 관 유량 = 전체 유량 - ⓑ 관 유량 = 80 [ℓ/s] - 20 [ℓ/s] = 60 [ℓ/s]

② 직경 [㎜]

    ㉠ △P (마찰손실압력) : 문제에서 3 [m]로 제시되었으므로 0.1[MPa] = 10 [m]로 환산하면 0.03 [MPa]이다.

    ㉡ Q (유량) : ① 에서 구한 값 60 [ℓ/s]이다.

    ㉢ C (조도) : 문제의 단서에서 100 이다.

    ㉣ L (배관의 길이) : 문제의 그림에서 300 [m] 이다.

※ 하젠-윌리엄스의 마찰손실압력 산정식

        여기서, △P : 마찰손실압력 [MPa]

                     Q : 유량 [ℓ/min]

                     C : 관의 조도

                     D : 관의 내경 [㎜]

                      L : 관의 길이 [m]

               ※ 등가길이 (L)을 적용할 것

[참고] 시험장치 설치 기준

  ① 습식스프링클러설비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에 있어서는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연결하여 설치하고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인 경우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가지배관의 끝으로 부터 연결하여 설치할 것.

        유수검지장치 2차측 설비의 내용적이 2,840[ℓ]를 초과하는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 시험장치 개폐밸브를 완전

        개방후 1분 이내에 물이 방사되어야 한다.

  ② 시험장치 배관의 구경은 25 [㎜]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 32 [㎜]) 이상으로 하고 그 끝에 개폐밸브 및 개방형

       헤드 또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동등한 방수성능을 가진 오리피스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개방형 헤드는 반사판 및 프레임

       을 제거한 오리피스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③ 시험배관의 끝에는 물받이 통 및 배수관을 설치하여 시험중 방사된 물이 바닥에 흘러 내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목욕

        실, 화장실 또는 그 밖의 곳으로서 배수처리가 쉬운 장소에 시험배관을 설치한 경우는 제외)

[참고] 배관용 강관의 종류

  ① 배관용 탄소강관 (SPP, KS D 3507) : 1.2 MPa 이하, 350 ℃ 이하에서 사용

  ②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SPPS, KS D 3564) : 1.2~10 MPa 이상, 350 ℃ 이하에 사용

  ③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SPPH, KS D 3564) : 10 MPa 이상, 350℃ 이하에 사용

  ④ 저온배관용 탄소강관 (SPLT, KS D 3569) : 0℃ 이하에 사용

  ⑤ 고온배관용 탄소강관 (SPHT, KS D 3570) : 350℃ 이상에 사용

  ⑥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STS-TP KS D 3576) : 내식용 · 저온용 · 고온용 등에 사용

[참고] 배관용 강관의 종류

관의 종류
개관 명칭
KS 규격
SPP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07
SPPS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SPPH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4
SPHT
고온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70
SPLT
저온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9
STS-TP
배관용스테인리스 강관
KS D 3576

#배관용탄소강관 #압력배관용탄소강관 #시험장치 #축동력 #전동력 #슬리브형 #벨로스형 #루프형 #스위블형 #볼조인트 #수평거리 #수직배관 #정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오리피스 #저수량 #실양정 #마찰손실 #후드밸브 #토출량

반응형
반응형

1. 스프링클러설비에서 헤드 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25 [MPa]이었다. 표준형 헤드를 설치하였을 경우 헤드에서의 방수

    량 [ℓ/min]은 얼마인가 ? [3점] ★★★★★

 

[문제풀이]

 ※ 스프링클러설비에서 표준형 헤드라는 말이 나오면 법정 K값은 80을 적용한다.

[해설] 방수량

           여기서, Q : 방수량 [ℓ/min]

                        K : 방출계수

                        P : 방수압력 [MPa]

※ 방출계수

호칭 (A)
K
건식 스프링클러의 K
10
50 ± 3
50 ± 5
15 (표준형 헤드)
80 ± 4
80 ± 6
20
115 ± 6
115 ± 9

  ※ 문제에서 표준형 헤드를 설치하였으므로

2. 스프링클러설비의 오리피스 내경이 25[㎜]이고 방수량이 100[ℓ/min]일 때 방수압력 [MPa]은 얼마인가 ? [3점]

     ★★★★★

[문제풀이]

3. 스프링클러설비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방사되는 방수량 [ℓ/min]을 최소 방수량과 최대 방수량으로 구분하여 계산

     하시오. (단, 방출계수 K = 80 이고, 속도수두는 계산에 포함하지 않는다.) [4점] ★★★★★

  가. 최소 방수량                 나. 최대 방수량

 

[답안작성]

가. 최소 방수량

나. 최대 방수량

[해설] 방수량

          여기서, Q : 방수량 [ℓ/min]

                       K : 방출계수

                        P : 방수압력 [MPa]

   ※ 스프링클러설비의 최소 방수압력 : 0.1 [MPa]

       스프링클러설비의 최대 방수압력 : 1.2 [MPa]

[참고] 각 설비별 방수압 · 방수량

구 분
방수압
방수량
옥내소화전설비
0.17 [MPa] 이상
(0.7 MPa 초과시 감압장치 설치)
130 [ℓ/min] 이상
(옥내 소화전 최대 2개)
옥외소화전설비
0.25 [MPa] 이상
(0.7 MPa 초과시 감압장치 설치)
350 [ℓ/min] 이상
(옥외 소화전 최대 2개)
간이스프링클러 설비
0.1 [MPa] 이상
50 [ℓ/min] 이상
드렌처 설비
0.1 [MPa] 이상
80 [ℓ/min] 이상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특수가연물
2.3 [ℓ/min·㎡] 이상
기타의 것
1.63 [ℓ/min·㎡] 이상
연결송수관설비
0.35 [MPa] 이상
⊙ 2,400 [ℓ/min] 이상
(계단식 아파트 : 1,200ℓ/min  이상)
▶ 해당층에 설치된 방수구가 
3개초과 (최대 5개)시 방수구
마다
800[ℓ/min] (계단식 아
파트 400[ℓ/min] 을 가산
소화용수설비
0.15 [MPa] 이상
(소화수조가 옥상 또는 옥탑에
설치된 경우에는 지상에 설치된
채수구에서의 압력)
⊙ 수원의 양
▶ 20~40 ㎥ 미만  : 1,100 [ℓ/min] 이상
40 ~ 100 ㎥ 미만  : 2,200 [ℓ/min] 이상
100 ㎥ 이상 : 3,300 [ℓ/min] 이상

4. 펌프에서 가장 가까운 스프링클러헤드의 방사압력이 0.4 [MPa]일 때 방수량이 140 [ℓ/min] 이었다. 펌프에서 가장 먼

    스프링클러헤드의 방사압력이 0.3 [MPa]일 때 방수량 [ℓ/min]은 얼마인가 ? [4점] ★★★★★

[문제풀이]

[해설] 방수량

           여기서, Q : 방수량 [ℓ/min],        K : 방출계수,           P : 방사압력 [MPa]

5. 지상 10층 건물의 백화점에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가. 용량유량 [㎥/sec]을 구하시오.

나. 중량유량 [N/sec]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용량 유량 [㎥/sec]

     Q = 80 [ℓ/min] × N = 80 [ℓ/min] × 30 = 2,400 [ℓ/min] = 2.4 [㎥/min] × 1/60 = 0.04 [㎥/sec]

나. 중량 유량 [N/sec]

     G = Q · γ = 0.04 [㎥/sec] × 9,800[N/㎥] = 392 [N/sec]

 

[해설] 용량유량 · 중량유량

▣ 폐쇄형 헤드의 설치 장소별 기준 개수 (NFSC 103 제4조 ①, 1)

설치 장소
기준개수
⊙ 지하가
⊙ 지하역사
⊙ 지하층을 제외한 11층 이상 (아파트 제외)
30 개
지하층을
제외한
10층 이하
공장 또는 창고 (특수가연물을 저장 · 취급하는 것)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복합건축물
판매시설
복합건축물(판매시설이설치된 경우)
기 타
20개
기 타
헤드의 부착높이 8m 이상
헤드의 부착높이 8m 미만
10 개
아파트

가. 용량 유량 (체적유량)

 ▣ 스프링클러설비의 토출량 (유량)

    Q = 80 [ℓ/min] × N

     여기서, Q : 토출량(유량) [ℓ/min]

                  N : 기준개수 (각층 (세대)의 설치개수가 기준개수보다 작을 경우 설치개수를 적용)

  ⊙ 문제에서 백화점(판매시설)이므로 기준개수(N)는 위 표에 의해 30개 이다.

       Q = 80 [ℓ/min] × 30개 = 2.4 [㎥/min] = 2.4 [㎥/min] × 1[min] /60 [sec]  = 0.04 [㎥/sec]

나. 중력유량 [N/sec]

    G = Q · γ = A · v · γ [N/sec]

    여기서, G : 중량 유량 [N/sec]

                 Q : 용량유량(체적유량) [㎥/sec]

                  A : 단면적 [㎡] = (πd2/4) [㎡]

                  v : 유속 [m/sec]

                  γ : 물의 비중량 [9,800 [N/㎥]

                  d : 내경 [m]

      ∴ 중량유량 G = 0.04 [㎥/sec] × 9,800 [N/㎥] = 392 [N/sec]

6.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어느 건물의 최고층 건물 높이가 80 [m]이고 헤드가 최고층 까지 설치되어 있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충압펌프의 전동기 용량[kW]을 구하시오.  [4점] ★★★★

[조건]

  ① 펌프의 토출량은 150 [ℓ/min] 이다.

  ② 펌프의 효율은 65 % 이다.

  ③ 펌프의 전동기는 직결로 연결되어 있고 전달계수는 1.1 이다.

[문제 풀이]

  ▣ 충압펌프의 토출양정 H = 실양정 + 자연낙차압 보다 0.2 [MPa]

     ∴ 토출양정 H = 80 [m] + 20 [m] = 100 [m]

[해설] 전동기 (펌프)의 용량

           여기서, P : 전동력 [kW],    Q : 토출량 [㎥/min],     H : 전양정 [m],

                        K : 전달계수,         η : 효율

 ▣ 충압펌프의 토출양정 (전양정) (H)

   ⊙ 충압펌프의 토출양정 = 최고위 살수장치(일제개방밸브의 경우는 그 밸브)의 자연압+ 0.2[MPa] 이므로

        0.1 [MPa] = 10 [m]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① 건물 높이 80 [m]

  ② 0.2 [MPa] = 20 [m]

  ③ 충압펌프의 토출양정 (전양정) : 80 [m] + 20 [m] = 100 [m]

     ⊙ 토출량 (Q) : 150 [ℓ/min] = 0.15 [㎥/min]

     ⊙ 전달계수 : 1.1, 전효율 : 65 % = 0.65

[참고] 스프링클러설비 충압펌프의 설치기준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를 기동장치로 사용할 경우에 설치)

  ① 펌프의 토출압력은 그 설비의 최고위 살수장치 (일제개방밸브의 경우 그 밸브)의 자연압 모다 적어도 0.2 [MPa]

       더 크도록 하거나 가압송수장치의 정격토출압력과 같게 할 것.

  ② 펌프의 정격 토출량은 정상적인 누설량 보다 적어서는 아니되며, 스프링클러설비가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충분한

       토출량을 유지할 것.

7. 어느 건물에 다음과 같이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였다.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① 화재시 개방되는 헤드수는 10개로 한다.

  ② 직관장의 길이는 70 [m]이다.

  ③ 배관상 마찰손실수두는 직관장 길이의 30 %로 한다.

  ④ 펌프모터 소요동력 계산식은 P(kW) = (0.163 QH / E) × k 로 한다.

  ⑤ 펌프의 효율은 60 %, 전동기 직결이며 전달계수 (k)는 1.1 이다.

가. 펌프의 최소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나. 전양정 [m]를 구하시오.

다. 펌프모터의 소요동력[kW]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펌프의 최소 유량 [ℓ/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10개 = 800 [ℓ/min]

나. 전양정

     H = h1 + h2 + 10 [m]

     h1 : 70 [m] × 30 [%] = 70 [m] × 0.3 = 21 [m]

     h2 : 25 [m]

   ∴ H = h1 + h2 + 10 [m] = 21 m + 25 m + 10 m = 56 [m]

다. 펌프의 소요동력 [kW]

[해설] 스프링클러설비의 토출량 · 전양정 · 펌프모터의 소요동력

 가. 스프링클러설비의 토출량

        Q = 80 [ℓ/min] × N

        여기서, Q : 토출량 (유량) [ℓ/min]

                     N : 기준개수 (각 층(세대)의 설치개수가 기준개수 보다 작을 경우 설치개수를 적용

   ⊙ 조건 ① 에서 화재시 개방되는 헤드 수가 10개 이므로 기준개수 (N)은 10개 이다.

         Q = 80 [ℓ/min] × 10 개 = 800 [ℓ/min]

나.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양정 (펌프방식)

      H = h1 + h2 + 10 [m]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h2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10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두 [m] (0.1[MPa] → 약 10[m])

      ⊙ h1 : 조건 ③에서 배관상 마찰손실수두는 직관장 길이의 30[%]이므로 70[m] × 0.3 = 21 [m]이다.

      ⊙ h2 : 문제의 그림에서 25 [m] 이다. (흡입양정은 그림에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무시한다.)

     ∴ H = 21 [m] + 25 [m] +10 [m] = 56 [m]

다. 펌프모터의 소요동력 (kW]

[참고] 전동기(펌프)의 동력

  ① 수동력 P = 0.163 QH (효율(η) 및 전달계수(k)를 고려하지 않는 순수한 동력)

  ② 축동력 : 수동력에 효율(η)을 보정한 실질적인 동력

  ③ 전동력 : 축동력에 전달계수 (K)를 고려한 동력

         여기서, P : 전동력 [kW],    Q : 토출량(유량) [㎥/min],      H : 전양정 (전수두) [m]

                       k : 전달계수 (전동기 직결 펌프 1.1, 기타펌프(내연기관(엔진)펌프) : 1.15 ~1.2

                       η : 전효율 (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8. 7층 건물의 전 층에 스프링클러설비를 하려고 한다.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한 방수압력과

     방수량을 만족할 수 있도록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① 펌프로 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배관길이는 70 [m]이다.

  ② 펌프는 전동기와 직결시켜 설치하며 동력 전달계수는 1.1 이다.

  ③ 펌프의 운전효율은 60 % 이다.

  ④ 배관의 마찰손실수두의 합계는 직관상의 30 %라고 가정한다.

  ⑤ 펌르의 실양정은 25 [m] 이다.

  ⑥ 분당 토출량 산출은 헤드가 10개 동시에 개방된 것으로 하여 산출한다.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은 ?

나. 펌프의 소요양정 [m]는 ?

다. 펌프모터의 소요동력 [kW]은 ?

 

[문제풀이]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10개 = 800 [ℓ/min]

나. 펌프의 소요양정

    H = h1 + h2 + 10 [m]

    h1 : 70 [m] × 30 [%] = 70 [m] × 0.3 = 21 [m]

    h2 : 25 [m]

    ∴ H = h1 + h2 + 10 [m] = 21 m + 25 m + 10 m = 56 [m]

다. 펌프 모터의 소요동력 [kW]

9. 18층 아파트에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를 하려고 한다. 실양정은 65 [m], 배관의 손실압력수두는 25 [m], 말단헤드에서의

     방사압력은 0.1 [MPa]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펌프효율은 60 [%] 이다) [8점] ★★★★★

가. 전양정 [m]을 산출하시오.

나. 송수펌프의 최소 토출량 [ℓ/min]을 산출하시오.

다. 수원의 최소 저수량 [㎥]을 산출하시오.

라. 펌프의 축동력 [kW]을 산출하시오.

 

[문제 풀이]

가. 전양정 [m]

     H = h1 + h2 + 10 [m] = 25 [m] + 65 [m] + 10 [m] = 100 [m]

나. 송수펌프의 최소 토출량 [ℓ/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10 개 = 800 [ℓ/min]

다. 수원의 최소 저수량 [㎥]

     Q = 80 [ℓ/min] × 20 [min] × N = 1.6 [㎥] × N = 1.6 [㎥] × 10 = 16 [㎥]

라. 펌프의 축동력

10. 지상 16층 짜리 아파트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9점] ★★★★★

[조건]

① 실양정 : 70 [m]                          ② 배관, 관부속품의 총 마찰손실수두 : 27 [m]

③ 배관내 유속 : 2 [m/sec]             ④ 효율 : 65 [%]                      ⑤ 전달계수 : 1.1

 

가. 이 설비의 펌프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단, 헤드의 기준개수는 최대치를 적용한다.)

나. 이 설비가 확보하여야 할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다. 가압송수장치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라. 고가수조를 설치할 경우 필요한 설비 3가지를 쓰시오.

 

[문제풀이]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

        Q = 80 [ℓ/min] × 10개 = 800 [ℓ/min]

나. 수원의 양

        Q = 1.6 [㎥] × N = 1.6 [㎥] × 10 개 = 16 [㎥]

다. 가압송수장치의 동력

         H = h1 + h2 + 10 [m] = 27 m + 70 m + 10 m = 107 [m]

라. 고가수조 설치시 필요설비 3가지

   ① 압력 수조         ② 가압수조              ③ 펌프

 

[참고] 가압송수장치의 종류

 ① 고가수조방식

     특정소방대상물의 옥상 또는 높은 지점에 수조를 설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 방수압력 및

     규정방수량을 얻는 방식

② 압력수조방식

      탱크의 1/3은 공기압축기로 압축공기를, 2/3는 급수펌프로 물을 가압시켜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 및

      규정방수량을 얻는 방식

③ 펌프방식

     펌프의 가압에 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 및 규정방수량을 얻는 방식

④ 가압수조방식

    가압원인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고압기체 (N2 등)에 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 및 규정방수량을

     얻는 방식

11. 12층의 백화점에 폐쇄형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전양정은 89 [m]이며, 이곳에 설치하는

       소화펌프의 효율은 60[%]이고, 기타 제한조건은 무시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나. 본 소화설비에 필요한 전용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다. 내연기관의 용량 [ps]을 구하시오.

라. 최상단에 설치한 스프링클러헤드의 방사압력이 0.15 [MPa]이고 방사량이 80 [ℓ/min]으로 설치할 경우의 유량계수를

       구하시오.

마.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규정방사압력[MPa]과 방사량 [ℓ/min] 을 쓰시오.

      ① 방사압력                              ② 방사량

[문제 풀이]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30 = 2,400 [ℓ/min]

 나. 전용 수원의 양 [㎥]

     Q = 80 [ℓ/min] × 20 [min] × N = 1.6 [㎥] × N = 1.6 [㎥] × 30개 = 48 [㎥]

다, 펌프의 동

라. 유량계수 K

마. 방사압력 [MPa]과 방사량 [ℓ/min]

  ① 방사압력 : 0.1 [MPa] 이상              ② 방사량 : 80 [ℓ/min]

12. 지하 1층, 지상 8층의 어느 백화점 건물에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

      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조건]

  ① 펌프는 지하층에 설치되어 있고 펌프로 부터 최상층 스프링클러헤드까지의 수직거리는 50 m 이다.

  ②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는 자연낙차의 20 %로 한다.

  ③ 펌프 흡입측 진공계의 눈금은 300 [㎜Hg]이다.

  ④ 각 층에 설치하는 헤드수는 70개 이다.

  ⑤ 모든 규격치는 최소치로 적용한다.

  ⑥ 펌프의 효율은 65 % 이다.

가. 펌프의 유량 [ℓ/min]을 구하시오.

나. 펌프의 축동력 [kW]를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펌프의 유량 [ℓ/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30 개 = 2,400 [ℓ/min]

나. 펌프의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① 전양정 H = h1 + h2 + 10 [m]

                    h1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 : 50 [m] × 0.2 = 10 [m]

                     h2 (실양정 = 흡입양정 + 토출양정)

         ⊙ 흡입양정 = (300 [㎜Hg] / 760 [㎜Hg]) × 10.332 [m] = 4.078 [m]

         ⊙ 토출양정 : 50 [m]

           ∴ h2 (실양정) = 4.078 + 50 = 54.078 [m]

     ② 전양정 H = h1 + h2 + 10 [m] = 10+ 54.078 + 10 = 74.078 [m]

[해설] 스프링클러설비의 유량

※ 폐쇄형 헤드의 설치장소별 기준개수 (NFSC 103 제4조 ①, 1)

설치 장소
기준개수
⊙ 지하가
⊙ 지하역사
⊙ 지하층을 제외한 11층 이상 (아파트 제외)
30 개
지하층을
제외한
10층 이하
공장 또는 창고 (특수가연물을 저장 · 취급하는 것)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복합건축물
판매시설
복합건축물(판매시설이 설치된 경우)
기 타
20개
기 타
헤드의 부착높이 8m 이상
헤드의 부착높이 8m 미만
10 개
아파트

   ※ 교육 및 연구시설 기준개수 : 10개

13. 10층의 백화점 건물에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조건]

  ① 펌프에서 교차배관까지의 수직거리는 45 [m]이다.

  ② 고가수조에서 교차배관까지의 수직거리는 5 [m]이다.

  ③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는 실양정의 40 %로 본다.

  ④ 펌프 흡입측 진공계의 눈금은 400 [㎜Hg] 이다.

  ⑤ 펌프의 체적효율 0.95, 기계효율 0.9, 수력효율 0.8 이다.

  ⑥ 펌프의 전달계수는 1.1 이다.

가. 펌프의 토출량 [㎥/min]을 구하시오.

나. 펌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다. 펌프의 전효율을 구하시오.

라. 펌프의 용량 [kW]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펌프의 토출량 [㎥/min]을 구하시오.

    Q = 80 [ℓ/min] × N = 80 [ℓ/min] × 30개 = 2,400[ℓ/min] = 2.4 [㎥/min]

나. 펌프의 전양정 [m]

   ⊙ 흡입양정 = (400[㎜Hg] / 760 [㎜Hg]) × 10.332 [m] = 5.438[m]

   ⊙ 토출양정 = 45 [m]

       h2 = 흡입양정 + 토출양정 = 5.438 m + 45 m = 50.438 m

       h1 = 실양정 × 40 % = 50.438m × 0.4 = 20.175 [m]

       H = h1 + h2 + 10 = 20.175 m + 50.438 m + 10 m =80.613 ≒ 80.61 [m]

다. 펌프의 전효율

       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 0.8 × 0.95 × 0.9 = 0.68

라. 펌프의 용량 [kW]

[참고]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양정 [펌프방식]

   H = h1 + h2 + 10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h2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10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두 (0.1 MPa → 약 10 [m])

 ⊙ h2 (실양정)

    ▶ 흡입양정 : 진공계의 눈금이 400[㎜Hg]이므로

    ▶ 토출양정 : 펌프에서 교차배관까지의 수직거리 45 [m]

      ∴ h2 = 흡입양정 + 토출양정 = 5.438 m + 45 m = 50.438 m

  ⊙ h1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 실양정의 40% 이므로

      h1 = 50.438 × 0.4 = 20.174 [m]

   ∴ 전양정 H = h1 + h2 + 10 =20.174 m + 50.437 m +10 m ≒ 80.61 [m]

14. 지상 15층의 아파트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

[조건]

  ① 실양정은 65 [m] 이다.

  ② 배관 및 관부속품의 총마찰손실수두는 25 [m] 이다.

  ③ 펌프의 효율은 60 [%] 이다.

  ④ 전동기의 전달계수(k)는 1.1이다.

  ⑤ 배관의 유속은 2 [m/s]이다.

가. 이 설비의 펌프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단, 헤드의 기준개수는 최대치를 적용한다.)

나. 이 설비가 확보하여야 할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다. 가압송수장치의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라. 고가수조를 없애려고 할 때 설치하여야 할 장치 4가지와 교체하여야 할 수조를 쓰시오.

  ① 새로 설치해야 할 장치

  ② 교체해야 할 수조

[답안작성]

 가. 펌프의 토출량 [ℓ/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10개 = 800 [ℓ/min]

 나. 수원의 양 [㎥]

      Q = 1.6 [㎥] × N = 1.6 [㎥] × 10 개 = 16 [㎥]

다. 가압송수장치의 동력 [kW]

  ① 전양정 : H = h1 + h2 + 10 = 25 m + 65 m + 10 m = 100 [m]

라. 고가수조를 없앨 때의 작업

   ① 새로 설치해야 할 장치 : 급기관, 압력계, 안전장치, 자동식 공기압축기

   ② 교체하여야 할 수조 : 압력수조 또는 가압수조

[참고] 고가수조, 압력수조, 가압수조에 설치하여야 할 부속장치

고가수조
압력수조
가압수조
⊙ 수위계
⊙ 급수관
⊙ 배수관
⊙ 오버플루관
⊙ 맨홀
⊙ 수위계
⊙ 급수관
⊙ 배수관
⊙ 급기관
⊙ 압력계
⊙ 안전장치
⊙ 자동식 공기 압축기
⊙ 맨홀
⊙ 수위계
⊙ 급수관
⊙ 배수관
⊙ 급기관
⊙ 압력계
⊙ 안전장치
⊙ 맨홀

15. 어느 백화점 건물의 9층에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4점] ★★★★★

[조건]

  ① 펌프에서 교차배관까지의 수직거리는 45 [m] 이다.

  ② 고가수조에서 교차배관까지의 수직거리는 5 [m]이다.

  ③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는 실양정의 30 [%] 이다.

  ④ 펌프의 흡입측 진공계의 눈금은 450 [㎜Hg]이다.

  ⑤ 펌프의 체적효율은 0.95, 기계효율은 0.9, 수력효율은 0.8 이다.

  ⑥ 펌프의 전달계수는 1.1 이다.

가. 펌프의 토출량 [㎥/min]을 구하시오. (단, 스프링클러는 최대 기준개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나. 펌프의 전양정[m]을 구하시오.

다. 펌프의 전효율을 구하시오.

라. 펌프의 수동력은 몇 [kW]인가 ?

마. 펌프의 축동력은 몇 [kW]인가 ?

바. 펌프의 모터동력은 몇 [kW]인가 ?

사.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선정은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와 선정된 헤드의 표시온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다음 표의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에 대한 표시온도 [℃] ①, ② 를 쓰시오.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
표시 온도
39 ℃ 미만
79 ℃ 미만
39 ℃ 이상 64 ℃ 미만
64 ℃ 이상 106 ℃ 미만
106 ℃ 이상
162 ℃ 이상

[문제 풀이]

가. 펌프의 토출량 [㎥/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30개 = 2,400 [ℓ/min] = 2.4 [㎥/min]

나. 펌프의 전양정 [m] H = h1 + h2 + 10

     h2 : 흡입양정 : (450[㎜Hg] / 760 [㎜Hg]) × 10.332 [m] = 6.118 [m]

            토출양정 : 45 [m]

        ∴ h2 = 6.118 m + 45 m = 51.118 [m]

      h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h1 = h2 × 30[%] = 51.118 × 0.3 = 15.335 [m]

     ∴ H = h1 + h2 + 10 = 15.335 m + 51.118 m + 10 m = 76.453 ≒ 76.45 [m]

다. 펌프의 전효율 [η]

       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 0.8 × 0.95 × 0.9 = 0.684 ≒ 0.68

라. 펌프의 수동력 [kW]

      Q = 0.163QH = 0.163 × 2.4[㎥/min] × 76.45 [m] = 29.907 ≒ 29.91 [kW]

마. 펌프의 축동력 [kW]

바. 펌프의 모터동력 [kW]

사. 최고 주위온도 및 표시 온도

       ① 79 ℃ 이상 121 ℃ 미만                        ② 121 ℃ 이상 162 ℃ 미만

 

[참고]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표시 온도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
표시 온도
39 ℃ 미만
79 ℃ 미만
39 ℃ 이상 64 ℃ 미만
79 ℃ 이상 121 ℃ 미만
64 ℃ 이상 106 ℃ 미만
121 ℃ 이상 162 ℃ 미만
106 ℃ 이상
162 ℃ 이상

16. 다음 그림 및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이 건물은 판매시설이 설치된 복합건축물이다.)

       [6점] ★★★★★

 

[조건]

  ① 건물은 9층 건물이다.

  ② 배관의 마찰손실은 흡입 및 토출 실양정의 32 [%] 이다.

  ③ 진공계 지시압은 325 [㎜Hg], 대기압은 0.101325 [MPa]이다.

  ④ 기계효율 95%, 수력효율 90%, 체적효율 85 % 이다.

  ⑤ 최고위 헤드의 방사압은 0.1 [MPa] 이상이다.

 

가. 펌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나.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단, 스프링클러 헤드는 해당 층에 30개 이상 기준이고 옥

내 소화전은 각 층별로 1개 설치기준이다.)

다. 펌프의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문제 풀이]

 ※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설비가 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수원의 양과 토출량 : 옥내 소화전 값 + 스프링클러설비 값

   ⊙ 전양정은 스프링클러설비와 옥내소화전설비 중 큰 값을 적용한다.

가. 펌프의 전양정 [m]

   ①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양정 (펌프방식) : H = h1 + h2 + 10

       h2 : 흡입양정 = (325[㎜Hg] / 760 [㎜Hg]) × 10.332 [m] = 4.418 [m]

              토출양정 = 45 [m]

      ∴ h2 = 4.418 m + 45 m = 49.418 [m]

      h1 = 49.418 × 0.32 = 15.814 [m]

      ∴ H = h1 + h2 + 10 = 15.814 m + 49.418 m + 10 m = 75.232 ≒ 75.32 [m]

② 옥내 소화전설비의 전양정 : H = h1 + h2 + 10

     h2 : 흡입양정 = (325[㎜Hg] / 760 [㎜Hg]) × 10.332 [m] = 4.418 [m]

            토출양정 = 45 [m]

     ∴ h2 = 4.418 m + 45 m = 49.418 [m]

     h1 = 49.418 × 0.32 = 15.814 [m]

   ∴ H = h1 + h2 + 17 = 15.814 m + 49.418 m + 17 m = 82.232 ≒ 82.23 [m]

   ∴ 옥내소화전설비의 전양정 82.23 [m]를 적용한다.

 

나. 수원의 양

  ① 스프링클러설비 수원의 양

       Q = 1.6 [㎥] × N = 1.6 [㎥] × 30 개 = 48 [㎥]

      옥상 수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Q = 48 [㎥] × 1/3 = 16 [㎥]

       (옥상수조와 합한 수원의 양) : 48 [㎥] + 16 [㎥] =64 [㎥]

  ② 옥내 소하전설비의 수원의 양

        Q = 2.6 [㎥] × N = 2.6 [㎥] × 1개 = 2.6 [㎥]

        옥상수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Q = 2.6 [㎥] × 1/3 = 0.867[㎥]

        (옥상수조와 합한 수원의 양) : 2.6 [㎥] + 0.867 [㎥] = 3.467 ≒ 3.47 [㎥]

     ▣ 수원의 양 (스프링클러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 64 ㎥ + 3.47 ㎥ =67.47 [㎥]

 

다. 펌프의 축동력 [kW]

  ① 스프링클러설비의 토출량 [㎥/min]

      Q = 80 [ℓ/min] × N = 80 [ℓ/min] × 30개 = 2,400 [ℓ/min] = 2.4 [㎥/min]

  ② 옥내 소화전 설비의 토출량 [㎥/min]

      Q = 130 [ℓ/min] × N = 130 [ℓ/min] × 1개 = 130 [ℓ/min] = 0.13 [㎥/min]

  ③ 전체 토출량 : Q = 2.4 [㎥/min] + 0.13 [㎥/min] = 2.53 [㎥/min]

  ④ 전효율 η = 0.9 × 0.85 × 0.95 = 0.726

[참고] 수원 및 가압송수장치의 펌프 등의 겸용 (둘 이상의 소화설비를 겸용으로 설치하는 경우)

  ① 수원의 양 · 펌프의 토출량 : 각 소화설비의 수원의 양 또는 펌프의 토출량을 합한 양 이상 (고정식 소화설비가 2 이상

       설치되어 있고, 그 소화설비가 설치된 부분이 방화벽과 방화문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대의 것 이상으로 할

        수 있다)

  ② 펌프의 전양정 · 펌프의 토출압력 : 각 설비의 전양정 또는 토출압력 중 최대값 이상

    ※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30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은 장치 등을 겸용할 수 없으므로 각각 별개로 산출하여야

         한다.

17. 지하 1층 지상 9층의 어느 백화점 건물에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다음 조건과 같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조건]

  ① 펌프는 지하 1층에 설치되어 있고 펌프로 부터 최상층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직거리는 45 [m]이다.

  ②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수두는 자연낙차의 20 [%]로 한다.

  ③ 펌프 흡입측 진공계의 눈금은 350 [㎜Hg]이다.

  ④ 각 층에 설치하는 헤드수는 80개 이다.

  ⑤ 모든 규격치는 최소치를 적용한다.

  ⑥ 펌프의 효율은 68 [%] 이다.

  ⑦ 펌프의 여유계수는 1.2 이다.

가. 펌프의 전양정 [m]를 구하시오.

나. 수원의 유효저수량 [㎥]을 구하시오.

다. 펌프의 체절압력 [kPa]을 구하시오.

라. 펌프의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문제 풀이]

가. 펌프의 전양정 [m] : H = h1 + h2 + 10

   토출양정 : 45 [m]

    ∴ h2 = 4.758 m + 45 m = 49.758 [m]

    ⊙ h1 : 45 m × 0.2 = 9 [m]

         ∴ 전양정 H = h1 + h2 + 10 = 9 m + 49.758 m + 10 m = 68.758 ≒ 68.75 [m]

나. 수원의 유효수량 [㎥]

      Q = 1.6 [㎥] × N = 1.6 [㎥] × 30개 = 48 [㎥]

다. 펌프의 체절압력 [kPa]

      ∴ 펌프의 체절압력 = 674.323 × 1.4 = 944.052 ≒ 944.05 [kPa]

라. 펌프의 축동력

     유량 Q = 80 [ℓ/min] × N = 80 [ℓ/min] × 30개 = 2,400 [ℓ/min] = 2.4 [㎥/min]

 

#축동력 #스프링클러설비 #체절압력 #진공계 #압력계 #토출량 #가압수조 #고가수조

#압력수조 #안전장치 #표시온도 #가압송수장치 #손실수두 #충압펌프 #중량유량

#체적유량 #방수량 #방사량 #실양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