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연구시설(연구소)로서 다음 조건에- 따라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건물의 층별 높이는 다음과 같으며 지상층은 모두 창문이 있는 건축물이다.
구분
|
지하2층
|
지하1층
|
지상1층
|
지상2층
|
지상3층
|
지상4층
|
지상5층
|
층높이m
|
5.5
|
4.5
|
4.5
|
4.5
|
4.0
|
4.0
|
4.0
|
반자높이
m
|
5.0
|
4.0
|
4.0
|
4.0
|
3.5
|
3.5
|
3.5
|
바닥면적
㎡
|
2,500
|
2,500
|
2,000
|
2,000
|
2,000
|
1,800
|
900
|
② 지상1층에 있는 국제회의실은 바닥으로 부터 반자(헤드 부착면)까지의 높이가 8.5[m] 이다.
③ 지하 2층 물탱크실의 저수조는 바닥으로 부터 3m 높이에 후드밸브 (foot)가 위치해 있으며 이 높이까지 물은 상시 가득
차 있다. 저수조는 일반 급수용과 소방용을 겸용으로 사용하며 내부크기는 가로 8m, 세로 5m, 높이 4m이다.
④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시 반자 (헤드 부착면) 높이는 위 표에 따른다.
⑤ 배관 및 관부속의 마찰손실수두는 실양정의 30 % 이다.
⑥ 펌프의 효율은 60 %, 전달계수는 1.1 이다.
⑦ 산출양은 최소치를 적용한다.
⑧ 기타 조건은 소방관련법령 및 화재안전기준에 따른다.
가. 이 건물에서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층과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나. 일반 급수펌프의 송수구와 소화펌프의 흡수구 사이의 수직거리 [m]를 구하시오.
다. 옥상수조를 설치할 경우 옥상수조에 보유하여야 할 최소 저수량 [㎥]을 구하시오.
라. 소방펌프의 정격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마. 소방펌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바. 소방펌프의 전동기 동력 [kW]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층과 그 이유
① 설치해야 하는 층 : 지하2층, 지하1층, 지상 4층
② 이유 : 교육연구시설 (연구소)의 경우 지하층 · 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으로서 바닥면적이 1,000㎡ 이상인
층에는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나. 일반펌프 송수구와 소방펌프 흡수구 사이의 거리 [m]
Q = 1.6 [㎥] × N = 1.6 [㎥] × 10개 = 16 [㎥]
저수조 수원 Q = 8 m × 5 m × h, 16 = 8 × 5 × h, h = 16 / 40 = 0.4 [m]
※ 일반 급수펌프의 흡수구(후드밸브)와 소방펌프의 흡수구(후드밸브) 사이의 수직거리 [m]를 구하라는 의미는 스프링
클러설비 수원의 양 (저수량)의 수원의 높이[m]를 구하라는 것이다.

다. 옥상 수조의 최소 보유량 [㎥]
유량 Q = 저수조 수원 [㎥] × ⅓ = 16 ㎥ × 1/3 = 5.333 ㎥ = 5.33 ㎥
라. 소방펌프의 정격 토출량 [ℓ/min]
유량 Q = 80 [ℓ/min] × N = 80 [ℓ/min] × 10 개 = 800 [ℓ/min]
마. 소방펌프의 전양정 [m] H = h1 + h2 + 10
h2 (실양정) = (5.5 - 3 + 0.4) + (4.5 × 3) + 4 + 3.5 = 23.9 [M]
h1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 = 실양정 × 30% = 23.9 × 0.3 = 7.17 m
∴ 전양정 [m] = 7.17 m + 23.9 +10 = 41.07

바. 전동기의 전동력 [kW]

2.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수원의 유효수량 중 ⅓ 이상을 옥상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5가지만 쓰시오.
①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
② 고가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
③ 고압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
④ 수원이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헤드 보다 높은 경우
⑤ 건축물의 높이가 지상으로 부터 10 [m] 이하인 경우
[해설] 수원의 유효수량 중 ⅓ 이상을 옥상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NFSC 103 제4조]
①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
② 고가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스프링클러설비
③ 수원이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헤드 (옥내소화전 설비의 경우에는 방수구)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④ 건축물의 높이가 지표면으로 부터 10 [m] 이하인 경우
⑤ 주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별도의 펌프로서 내연기관의 기동과 연동하여 작동되거나 비상원원을 연결하여
설치한 경우
⑥ 가압수조를 가압송수장치로 설치한 스프링클러설비
[주의] 수원의 유효수량 중 1/3 이상을 옥상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 옥내 소화전 : 최상층에 설치된 방수구
⊙ 스프링클러설비 : 최상층에 설치된 헤드
3. 어느 건물에 가압송수장치로 압력수조를 설치한 스프링클러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수조와 최상층 말단 헤드까지
의 수직 높이는 40m이고 압력수조 체적의 ⅔가 물로 채워져 있을 때 수조내 요구되는 공기압력 (게이지 압력) [MPa]을
구하시오. (단, 수조의 체적은 100 [㎥], 최상층 말단 헤드에서의 방수압력은 0.11 [Mpa], 대기압은 0.1 [MPa] 이고, 배관
의 마찰손실은 무시한다. [4점] ★
[문제풀이]
⊙ 필요한 압력 P = P1 + P2 + 0.1 = 0 + 0.4 + 0.11 = 0.51 [MPa]

[해설] 압력수조내 공기의 압력
가. 압력수조내 공기의 압력

여기서, Po : 압력수조내 공기의 압력 [MPa]
V : 압력수조의 체적 [㎥]
Va : 압력수조내 공기의 체적 [㎥]
P : 필요한 압력 [MPa]
Pa : 대기압 [MPa]
나. 필요한 압력
P = P1 + P2 + 0.1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압력 [MPa]
P2 : 낙차의 환산수두압력 [MPa]
0.1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압력 [MPa]
① 필요한 압력
㉠ P1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압력) : 문제의 단서에서 배관의 마찰손실은 무시한다 하였으므로 0 [MPa]이다.
㉡ P2 (낙차의 환산수두압) : 압력수조와 최상층 말단 헤드까지의 수직높이는 40 [m]이므로 0.1 [MPa] = 10 [m]로 환산
하여 계산하면 40 m는 0.4[MPa]이다.
㉢ 문제의 단서에서 최상층 말단헤드에서의 방수압력이 0.11 [MPa]이라고 주어졌으므로 스프링클러설비 규정방수압력
의 0.1 [MPa]이 아닌 0.11 [MPa]을 적용한다.
∴ 필요한 압력 = 0 [MPa] + 0.11 [MPa] = 0.51 [MPa]
② 압력수조내 공기의 압력
㉠ V (압력수조의 체적) : 문제의 단서에서 100 [㎥]이다.
㉡ Va (압력수조내 공기의 체적) 문제에서 수조내의 체적의 2/3를 물로 채워두고 있으므로 수조내 공기의 체적은
1/3 × 100 [㎥]이다.
㉢ Pa (대기압) : 문제의 단서에서 0.1 [MPa] 이다.
∴ 압력수조내 공기의 압력

[참고] 스프링클러설비 가압송수장치
가. 고가수조방식
H = h1 + 10 [m]
여기서, H : 필요한 낙차 [m]
h1 :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 수두 [m]
10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 압력의 환산 수두 (0.1 [MPa] → 약 10[m])
나. 압력수조방식
P = P1 + P2 + 0.1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압력 [MPa]
P2 : 낙차의 환산수두압력 [MPa]
0.1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압력 [MPa]
다. 펌프 방식
H = h1 + h2 + 10 [m]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배관 및 관부속품 마찰손실 수두 [m]
h2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10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 압력의 환산 수두 (0.1 [MPa] → 약 10[m])
라. 가압수조방식
4.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압송수장치로서 압력수조를 설치한 경우 압력수조내에 유지시켜 주어야 할 공기의 최소압력
(게이지 압력)을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계산하시오. [4점] ★
[조건]
① 대기압은 0.1[MPa] (절대압력)이다.
② 압력수조의 송수구와 헤드간의 배관 마찰손실은 무시한다.
③ 압력수조의 송수구는 최고위 스프링클러헤드와 같은 높이에 있으며 수조내의 수면과 송수구간 낙차는 무시한다.
④ 수조내에는 항상 내용량의 2/3에 해당하는 물을 채워두고 있다.
⑤ 수조로 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는 헤드의 개방시 방수압은 최소한 0.1[MPa] (게이지 압력)이 되어야 한다.
⑥ 공기의 분자운동은 이상기체의 성질을 따른다고 한다.
[문제풀이]
⊙ 필요한 압력 P = P1 + P2 + 0.1 = 0 + 0 + 0.1 = 0.1 [MPa]

[해설] 압력수조내 공기의 압력
가. 압력수조내 공기의 압력

여기서, Po : 압력수조내 공기의 압력 [MPa]
V : 압력수조의 체적 [㎥]
Va : 압력수조내 공기의 체적 [㎥]
P : 필요한 압력 [MPa]
Pa : 대기압 [MPa]
나. 필요한 압력
P = P1 + P2 + 0.1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압력 [MPa]
P2 : 낙차의 환산수두압력 [MPa]
0.1 : 스프링클러설비 규정 방수압력 [MPa]
5. 다음 그림과 같이 내용적 3 [㎥]의 압력수조에 물을 채우고 하부에 방출계수가 80인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였다.
이 때 압력수조의 압력계는 0.5 [MPa]을 나타내고 있다. 만약,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물이 1 [㎥] 방출되는 순간에
방사되는 물의 양[ℓ/min]은 얼마인가 ? (단, 헤드와 수조간의 마찰손실은 무시하는 것으로 하고 대기압은 0.1 [MPa] (절대
압력)이다.) [4점] ★

[문제풀이]
절대압력 = 대기압 + 계기압력 = 0.1 MPa + 0.5 MPa = 0.6 MPa
보일의 법칙 : P1 · V1 = P2 · V2, 0.6 × ⅓ = P2 × ⅔, P2 = 0.2 × 3/2 = 0.3 MPa
게이지 압력 : 절대압력 - 대기압력 = 0.3 MPa - 0.1 MPa = 0.2 MPa

[해설] 방사량
가. 방사량

여기서, Q : 방사량 [ℓ/min]
K : 방출계수
P : 방사압력 [MPa]
나. 보일의 법칙 :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한다.
P1 · V1 = P2 · V2
여기서, P1, P2 : 절대압력 [MPa], V1, V2 : 부피 [㎥]
다. 절대압
절대압력 = 대기압력 + 게이지압력
① 절대압력 = 0.1 [MPa] + 0.5 [MPa] = 0.6 [MPa]
②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물이 1 [㎥] 방출되면
㉠ 물 : ⅔ → ⅓ 이 된다. ㉡ 공기 : ⅓ → ⅔ 가 된다.
P1 · V1 = P2 · V2 이므로
0.6 MPa × ⅓ = P2 × ⅔, P2 = 0.3 [절대압]
게이지 압력 = 절대압력 - 대기압력 = 0.3 MPa - 0.1 MPa = 0.2 MPa
③ 물 1 ㎥이 방출되는 순간에 방사되는 물의 양 (방사량)

6. 펌프의 흡입측 배관에 버터플라이 밸브를 사용하면 안되는데 이유를 2가지를 쓰시오. [4점] ★★★★★
① 물의 유체저항이 매우 커서 원활한 흡입을 방해하여 유효흡입양정이 감소되어 공동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② 펌프 가동중에 순간적인 조작을 할 경우 수격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7.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충압펌프의 정격토출압력 [MPa]을 구하시오. [4점] ★★★

[답안작성]
충압펌프 토출압력 = 자연낙차압력 + 0.2 [MPa] = 0.1 MPa + 0.2 MPa = 0.3 MPa
[해설] 스프링클러설비 충압펌프의 정격토출압력
충압펌프의 정격 토출압력 = 최고위 살수장치 (일제개방밸브의 경우는 그 밸브)의 자연압 + 0.2 [MPa] 이상이므로
0.1 [MPa] = 10 [m]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자연압(펌프로 부터 일제 개방밸브까지의 수직거리) : 10 m = 0.1 MPa
∴ 충압펌프의 정격토출압력 P = 0.1 MPa + 0.2 MPa = 0.3 [MPa] 이상
[참고] 스프링클러설비 충압펌프의 설치기준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를 기동장치로 사용할 경우에 설치)
① 펌프의 토출압력은 그 설비의 최고위 살수장치 (일제 개방밸브의 경우는 그 밸브)의 자연압 보다 적어도 0.2 [MPa]이
더 크도록 하거나 가압송수장치의 정격 토출압력과 같게 할 것.
② 펌프의 정격토출량은 정상적인 누설량 보다 적어서는 아니되며, 스프링클러설비가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충분
한 토출량을 유지할 것
8. 다음 그림은 스프링클러설비의 계통도이다. 그림을 보고 ㉠ ~ ㉣ 배관의 명칭을 각각 쓰시오.

[답안작성]
㉠ 주배관 (입상배관) ㉡ 수평주행배관 ㉢ 교차배관 ㉣ 가지배관
[해설]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계통도

① 주배관 : 각 층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 배관
② 급수배관 : 수원 및 옥외 송수구로 부터 스프링클러헤드에 급수하는 배관
③ 수평주행배관 : 교차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
④ 교차배관 : 직접 또는 수직배관을 통하여 가지배관에 급수하는 배관
⑤ 가지배관 :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
⑥ 수직배수배관 :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가 설치된 층마다 물을 배수하는 수직 배관
9. 다음 그림은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수리계산시 ① 부분의 배관 구경 [㎜]의 최소값을 구하시오.
나. 수리계산시 ② 부분의 배관 구경 [㎜]의 최소값을 구하시오.
※ 스프링클러설비 유속
① 가지배관 : 6 [m/s] 이하
② 기타배관 : 10 [m/s] 이하
⊙ 제연설비 흡입측 : 15 [m/s] 이하
⊙ 제연설비 배출측 : 20 [m/s] 이하
⊙ 옥내 소화전 : 4 [m/s] 이하
[답안작성]
가. ①의 배관 구경 [㎜]
Q = A · v = (π · d2/4) × v [㎥/s]

나. ② 의 구경 [㎜]

[참고] 각 설비별 유속 · 풍속
구 분
|
유속
|
풍속
|
|
옥내소화전설비 (토출측 주배관)
|
4 m/s 이하
|
-
|
|
스프링클러설비
|
가지 배관
|
6 m/s 이하
|
-
|
기타 배관
|
10 m/s 이하
|
-
|
|
제연설비
|
예상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의 풍속
|
-
|
5 m/s 이하
|
흡입측 풍도
|
-
|
15 m/s 이하
|
|
배출측 풍도
|
-
|
20 m/s 이하
|
|
유입 풍도
|
-
|
※ 관의 호칭 구경 (호칭경)
호칭구경A
|
25
|
32
|
40
|
50
|
65
|
80
|
90
|
100
|
125
|
150
|
200
|
10. 다음 그림은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수리계산시 ① 부분의 배관 구경 [㎜]의 최소값을 구하시오.
나. 수리계산시 ② 부분의 배관 구경 [㎜]의 최소값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①의 배관 구경 [㎜]
Q = A · v = (π · d2/4) × v [㎥/s]

[답] 24.16 [㎜] (호칭구경의 경우 25 [㎜]를 선정한다.)
나. ② 의 구경 [㎜]

답 : 26.46 [㎜], 관의 호칭경은 32 [㎜]이나 교차배관의 최소구경은 40 [㎜] 이상이므로 40 [㎜]를 선정한다.
11. 스프링클러설비에는 소방대 연결송수구설비를 함께 설치하게 한다. 그 이유는 무엇 때문인지 2가지만 쓰시오 [4점]
★★★★★
[답안]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자체 수원의 저수량이 부족할 때 소방차에서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② 가압송수장치 등의 고장시 소방차에서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해설] 송수구
가. 송수구 : 소화설비에 소화용수를 보급하기 위하여 건물 외벽 또는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관
나. 송수구의 설치 목적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자체 수원의 저수량이 부족할 때 소방차에서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② 가압송수장치 등의 고장시 소방차에서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12. 다음은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와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송수구 주위 배관을 나타낸 그림이다. 체크밸브, 게이트 밸브,
자동배수밸브 및 배관을 추가하여 그림을 완성하시오. (단, 도시기호를 참조한다) [8점] ★★★

[답안작성]

[해설]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배관도

※ 건식 스프링클러설비는 2차측이 공기로 채워져 있으므로 1차측에 송수구를 연결한다.
① 접속위치
㉠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 1차측 (송수구 배관을 통하여 2차측 압축공기가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 습식, 준비작동식,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 2차측 (신속한 소화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② 게이트밸브 설치위치 (밸브 기준)
모두 1차측 (밸브의 교환, 수리 또는 헤드의 교환시 가압수의 송수를 막기 위하여)
③ 체크밸브 및 자동배수 밸브 설치 위치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 (또는 직경 5 ㎜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④ 위 배관도는 하나의 밸브가 설치된 경우이며 다수의 밸브가 설치된 경우 송수구 배관의 접속위치는 다수의 밸브에
하나의 송수구 배관을 1차측에 연결하여 접속한다.

13.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 설치기준 5가지만 쓰시오. [8점] ★
① 송수구는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하되 화재층으로 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송수구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구경 65 ㎜ 의 쌍구경으로 할 것
③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④ 지면으로 부터 0.5 m 이상 1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⑤ 송수구에는 이 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워야 한다.
[추가] ⑥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단면적이 3,000 ㎡ 를 넘을 때 마다
1개 이상 (5개를 넘을 경우 5)을 설치할 것
⑦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 (또는 직경 5 ㎜ 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이 경우 자동배수밸브는
배관만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되,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 또는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하여야 한다.
14.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수조의 후드밸브로 부터 헤드까지의 배관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에는 탬퍼스위치 (Tamper
switch)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탬퍼스위치의 기능과 설치위치를 4가지를 쓰시오. [6점] ★★★★
가. 기능 나. 설치 위치
[답안 작성]
가. 기능 : 급수배관에 설치하여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에는 그 밸브의 개폐상태를 감시제어반에서 확인하는
기능
나. 설치위치
① 주펌프 흡입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② 주펌프 토출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③ 옥상수조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④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 1차측 개폐표시형 밸브
[해설] 탬퍼스위치 (Tamper Switch : TS]
가. 탬퍼스위치 (Tamper switch : TS) :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에 그 밸브의 개폐상태를
감시제어반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급수개폐밸브작동 표시 스위치
나. 탬퍼스위치의 설치 장소
① 주펌프 흡입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② 주펌프 토출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③ 옥상수조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④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 1차측 개폐표시형 밸브
⑤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 2차측 개폐표시형 밸브
⑥ 지하수조 및 저수조 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⑦ 송수구로 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측 개폐표시형 밸브 (설치된 경우)

15.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방식 중 그리드(Grid) 방식과 루프방식(Loop)을 그리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6점] ★★★★★
① 그리드 방식 ② 루프 방식
[답안 작성]
① 그리드 방식 : 평행한 교차배관 사이에 많은 가지배관을 연결한 배관 방식으로 미작동 가지배관은 교차배관 사이의
물 이송을 보조한다.

② 루프방식 : 작동중인 스프링클러 헤드에 2 이상의 배관에서 소화수가 공급되도록 여러개의 교차배관이 서로 접속되어
있는 배관방식으로 가지배관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참고] 스프링클러 가지배관 방식
1. 트리방식
2. 루프방식
3. 격자(그리드) 방식
[해설]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지배관 방식
가. 트리 (Tree) 배관방식
① 각 헤드까지 단일 방향으로 유수되는 배관방식 (주배관 → 수평주행배관 → 교차배관 → 가지배관)
② 하나의 배관에서 여러개의 배관을 분기시킨다.
③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배관방식이다.

나. 루프(Loop) 배관방식
① 작동중인 스프링클러헤드의 2 이상의 배관에서 소화수가 공급되도록 여러개의 교차 배관이 서로 접속되어 있는 배관
방식으로 가지배관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② 장점
㉠ 격자(Grid) 배관 방식에 비해 수리계산이 쉽다.
㉡ 릴리프 밸브의 설치 규정이 없다.
③ 단점 : 헤드별로 동일한 압력 분포를 가지지 못한다.

다. 격자 (Grid) 배관 방식
① 평행한 교차배관 사이에 많은 가지배관을 연결한 배관방식으로 미작동 가지배관은 교차 배관 물 이송을 보조한다.
② 장점
㉠ 유수의 흐름이 분산되어 압력손실이 작다.
㉡ 배관 도중에의 막힘 또는 수리에도 대처가 가능하다.
㉢ 설비의 증설 · 변경이 용이하다.
㉣ 헤드별로 고른 압력 분포를 가진다.
㉤ 한쪽 가지배관의 헤드수 (8개) 제한이 없다.
③ 단점
㉠ 수리계산이 복잡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설계해야 한다.
㉡ 배관의 체적이 커짐에 따라 배관내의 공기량이 많아져 소화수의 이송 및 방사가 지연되므로 건식 및 준비작동식 스프
링클러설비에는 적용할 수 없다.
㉢ 배관내의 공기 배출 및 열팽창으로 인한 압력변동을 배출하기 위하여 릴리프 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16. 스프링클러 설비의 배관방식 중 트리(Tree)방식과 격자(Grid)방식이 있다. 이 두 방식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격자 (Grid)
방식의 문제점을 화재안전기준에 의하여 쓰시오. [6점] ★★★★★
① 트리방식 : 각 헤드까지 단일 방향으로 유수되는 배관방식 (주배관 → 수평주행배관 → 교차배관 → 가지배관)
② 격자방식 : 평행한 교차배관 사이에 많은 가지배관을 연결한 배관방식으로 미작동 가지배관은 교차배관 사의의
물 이송을 보조한다.
③ 격자방식의 문제점 : 배관의 체적이 커짐에 따라 배관내의 공기량이 많아져 소화수의 이송 및 방사가 지연된다.
17. 스프링클러 설비의 가지배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배관방식을 토너먼트 방식으로 하지 않는 이유 2가지를 쓰시오.
나. 토너먼트 방식이 적용되는 소화설비 4가지를 쓰시오.
[답안작성]
가. 토너먼트 방식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2가지
① 유체의 마찰손실이 크기 때문에 규정방수량 및 방수압력을 유지하기 곤란하므로
② 수격작용에 의한 배관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 토너먼트 방식이 적용되는 소화설비 4가지
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② 할론 소화설비
③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④ 분말 소화설비

※ 토너먼트 방식은 수계 소화설비에는 적용할 수 없지만 압축공기포 소화설비에는 사용해야 하는 의무사항이다.
※ 토너먼트 방식
① 유리한 설비 : 이산화탄소, 할론, 분말,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② 적용설비 : 이산화탄소, 할론, 분말,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③ 꼭 해야 할 소화설비 : 압축 공기포 소화설비
18. 스프링클러 설비에 있어서 폐쇄형 헤드를 설치한 경우 헤드의 방수상태 확인을 위해 꼭 해야 하는 장치의 명칭 및 구성
요소를 쓰고 그 장치를 설치하는 이유를 간단히 쓰시오 [6점] ★★★★★
① 명 칭 ② 구성요소 ③ 설치장소
[답안 작성]
① 명칭 : 시험장치
② 구성요소 : ㉠ 압력계 ㉡ 개폐밸브 ㉢ 개방형 헤드
③ 설치이유 : ㉠ 유수검지장치의 기능(성능) 확인
㉡ 규정 방수량 및 방수압력 확인
[해설] 시험장치
가. 시험장치 : 유수검지장치의 성능을 시험하는 장치

나. 시험배관의 설치 목적
① 유수검지장치의 기능 (성능) 확인
② 규정 방수량 및 방수압 확인
③ 음향경보장치의 작동 확인
④ 제어반의 화재표시등 및 밸브개방표시등 점등 확인
⑤ 펌프의 자동기동 확인
19.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지배관상에 헤드를 부착하는 경우 필요한 관부속품의 명칭 및 규격을 쓰시오. [4점] ★★★★★
[답안]
가. 관부속품의 명칭
① 상향식 또는 하향식의 경우 : 티, 니플, 리듀셔
② 회향식의 경우 : 티, 니플, 엘보, 리듀셔
나. 관부속품의 규격
① 상향식 또는 하향식의 경우
▣ 티 (25A × 25 A × 25 A), 니플 (25 A), 리듀셔 (25A × 15A)
② 회향식의 경우
▣ 티 (25A × 25 A × 25 A), 니플 (25A), 엘보 (25 A × 15 A), 리듀셔 (25 A × 15 A)
[해설]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지배관 헤드 설치시 필요한 부속품
가. 상향식 또는 하향식의 경우

나. 회향식의 경우

[참고] 관부속품 (관 이음쇠)

#스프링클러설비 #회향식 #헤드 #리듀셔 #플랜지 #시험배관 #엘보 #격자방식 #트리방식 #토너먼트방식 #델루지밸브 #프리액션밸브 #가지배관 #수평주행배관 #교차배관
#충압펌프 #압력수조 #낙차 #유효수량 #후드밸브 #루프방식
'소방설비기사기계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클러설비 실기 기출문제풀이 - 5 (2) | 2023.10.13 |
---|---|
스프링클러설비 실기 문제풀이 - 4 (2) | 2023.10.12 |
스프링클러설비 실기 문제풀이 - 2 (2) | 2023.10.08 |
스프링클러설비 실기 문제풀이 - 1 (0) | 2023.10.08 |
옥외 소화전설비 실기 문제 풀이 (0)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