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질량(mass : M, m)이란 무엇인가 ?

▣ 질량(mass)이란 특정 공간에 어떤 속성의 물질이 얼마만큼 있는지를 나타내는 물리적인 양을 말하며 질량이란 말에는

     밀도와 비슷한 개념이 포함되어 있고 뉴턴의 운동법칙에 의한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할 때 발생하는 가속도에 대한 저항

      의 정도, 또는 관성의 정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밀도를 측정한다는 것은 어떤 부피내에 어떤 특성의 물질이 있는

      지 측정하는 것이 되고 또한 측정 대상의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총수와 밀도, 유형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질량은 어떤

      물체의 구성하는 물질의 물리적인 양으로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벡터가 아닌 스칼라이며 어느 공간에

      있더라도 동일하므로 중력을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또한 측정 대상 물체가 존재하는 한 질량이 영(zero)가 될 수 없고

      기호로는 M,m을 단위로는 [kg]과 [g]을 쓴다.

2. 무게 (weight, W)란 무엇인가 ?

▣ 무게란 어떤 물체가 받는 중력의 힘을 말한다. 즉, 어떤 물체가 지구의 중력에 의한 힘을 받아 그 물체가 얼마 만큼의

     힘으로 지구중심부를 향해 끌어 당겨지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뉴턴의 운동법칙에서 나오는 힘으로 표현되며 질량(m)

     과 중력가속도(g)의 곱으로 나타낸다. 중력가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벡터(vector)이고 지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며

     중력가속도는 위치에 따라 변하므로 동일한 물체라도 환경에 따라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 무게는 질량에 작용하는

     중력의 힘이라고도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중력가속도가 작용하는 곳에서는 질량에 따라 무게가 결정되므로 무게도

     궁국적으로는 질량의 척도라고 할 수 있다. 무게의 단위는 힘의 단위인 N[㎏·m/s2][㎏f]를 쓴다.

3. 밀도란 무엇인가 ?

▣ 밀도(density)는 질량의 개념을 물리량 계산에 적용하기 위해서 도출된 개념으로 동일한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단위

     체적(부피)당 질량으로 정의되고, 비질량(specific-mass) 이라고도 한다. 또한 밀도는 단위 가속도 대비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는 관성의 정도로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밀도는 어떤 물질의 질량이 m, 부피가 V인 경우 수식으로는 밀도(ρ) = 질량 (m) / 부피 (V)로 나타낸다. 국제 단위

     계의 단위로는 [㎏/㎥], [g/㎤] 이다. 또한 가속도 대비 작용하는 힘에 대한 관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밀도 (ρ) = 힘(F) / 가속도 (a)로도 나타내며 이를 풀어 보면 ρ = N /(m/s2) =(N·s2)/m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이 단위로는 밀도 값이 보통 한두 자리로 나오기 때문에 [g/㎤]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액체 유체인

     물 (Water)의 밀도는 4[℃]일 때 1 [g/㎤] = 1,000 [㎏/㎥]이다.

▣ 액체 비중의 기준이 되는 물(H2O)의 밀도는 다음과 같다.

4. 비중량(specific weight)이란 무엇인가 ?

▣ 비중량은 밀도의 개념을 무게에 적용시킨 것이다. 여기서 비(specific)는 단위라는 말로 숫자 "1"을 의미한다. 즉, 체적

     "1" 단위당 무게 또는 단위 부피당 중량을 말한다. 또한 비중량은 밀도가 받는 중력에 의한 힘이라 할 수 있으므로 비중

     량은 밀도 × 중력가속도로 나타낼 수 있다. 무게는 질량과 중력가속도의 곱이므로 마찬가지로 비중량은 밀도 × 중력가

     속도가 된다. 4[℃] 물의 비중량은 물의 밀도 1,000 [㎏/㎥] × 중력가속도가 되므로 1,000 [㎏f/㎥]가 된다.

수은의 비중량은 수은의 비중은 13.6 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은의 비중량 = 수은의 비중 × 물의 비중량

5. 비체적(specific volume)이란 무엇인가 ?

▣ 비체적(specific volume)은 단위 질량당 체적(부피)를 말한다. 수식은 비체적 = 부피 (V) / 질량 (m)이다. 밀도와

     역수 관계에 있다. 유체역학이나 열역학에 자주 등장하는 단위이므로 숙지하는 것이 필요한다.

 

6. 비중이란 무엇인가 ?

▣ 비중(specific gravity)은 물의 밀도에 대한 물질의 밀도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밀도는 표준대기압 즉 1기압

     (1[atm]) 상태에서 4[℃]의 물(water)를 기준으로 물에 대한 대상 물체의 밀도의 비율을 말한다. 비중의 기호는 SG이고

     비중은 밀도를 밀도로 나눈 것으로 단위가 없는 무차원수이다.

7. 압력, 방수압, 방사압, 토출압

▣ 압력, 방수압, 방사압, 토출압은 압력의 여러 표현방법이며 압력은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수식으로 압력 = 힘 / 면적으로 표현한다. 기호로는 P를 쓰며 단위로는 N/㎡, kgf/㎡를 쓴다.

8. 수두, (전)양정, 높이 (H)

▣ 에너지 보존법칙과 베르누이 법칙에서 위치에너지를 말한다. 위치에서는 특정 위치가 갖는 일할 수 있는 능력 즉 에너지

    를 말하며 위치에너지는 중력가속도와 높이의 곱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표현의 편의상 소방유체에서는 중력가속도를

    생략하고 높이만으로 위치에너지를 표현한다.

    수두, 양정 = 중력가속도 × 높이 ⇒ 간략히 높이 [m]

9. 중력가속도

▣ 지구가 물체를 끌어 당기는 힘을 산정하기 위한 상수를 말한다. 기호는 g를 쓰고 단위는 가속도 이므로 m/sec2이고

      값은 9.8 m/sec2 이다.

10. 체적, 부피 (v) : 단위 [㎥]

11. 질량 [㎏], 무게 [㎏f]

12. 분자량 (M) : CO2 : 44 , 할론 : 148.95

 

13. 온도 (T)

  ▣ 섭씨 : 물이 어는 점을 0[℃] 끓는 점을 100 [℃]로 하고 이들 간격을 백등분 한 것.   단위 : ℃

  ▣ 화씨 : 물의 어는 점을 32 [˚F], 끓는 점을 212 [˚F]로 하여 이들을 180 등분 한 것.    단위 : ˚ F

  ▣ 절대온도 [ ˚ K = 273 + ℃ ]

  ▣ 섭씨 온도와 화씨 온도의 변환

14. 기체 상수 (R) : 8.31385 [N·m/kmol ·K]

  ※ 압력단위가 atm일 경우 (0.082 atm · ㎡/kmol · K]

   ※ 고온, 저압의 기체는 일반적으로 이상기체방정식에 따른다.

        기체 1몰은 0[℃], 1기압 (1atm)에서 22.414 [ℓ] 이므로 기체상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표준온도와 압력 (standard temperature & pressure : STP) : 0[℃], 1[atm]

        STP에서 실체 기체 ≒ 이상기체, 이 때 1[mol]의 기체 부피는 22.414 [ℓ]이다.

15. 유량, 체적유량, 방수량, 방사량, 토출량, 양수량 (Q)

▣ 유체역학에서는 물질의 상태를 어떤 좌표값으로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연속체의 개념으로 본다. 유체는 수많은 입자들

     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입자들을 분석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연속체의 개념으로

     분석한다,

▣ 따라서 유량도 특정시점에서 관의 어느 부분을 통과하는 연속적인 양의 개념인 체적유량을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 때 특정시점에 특정지점을 통과한 유체의 부피로 흐르는 유량을 나타내는 것이 체적유량이며 이를 소방유체역학에

     서는 유량, 체적유량, 방사량, 토출량, 양수량 등으로 부르며 기호로는 Q를 쓰고 단위로는 [㎥/sec], [ℓ/min],  [단면적(A)

      [㎡] × 속도 v [m/sec]]으로 나타내며 유체의 부피는 온도, 압력 등에 따라 변화하므로 부피 유량을 나타낼 때는 온도와

      압력을 함께 표시한다.

16. 질량 유량 (M)

▣ 위에서 말한 체적 유량이 측정하기도 쉽고 사용하기도 간편하나 부피는 온도, 압력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질량 유량이다. 질량은 어디 있든, 어떠한 환경이든 똑같고 또한 질량은 보존되기 때문이다. 질량 유량

     은 유체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개념이다.

▣ 즉, 질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시간당 유체의 흐른 유체의 질량(㎏)을 의미한

     다. 단위로는 [㎏/s]를 쓰며 kg을 g, ton으로 s를 min, hour으로 쓰기도 한다.

     측정방법으로는 ‘질량 유량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질량유량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으로 나타낸다.

   ⊙ 질량유량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kg/s]

   ⊙ 질량유량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kg/s]

17. 중량유량 (G)

▣ 중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흘러간 유체의 중량을 말하며 이는 질량유량에 중력가속도를 곱해 산정한다. 즉, 질량유량을

     지구 중력으로 환산한 값이다. 기호로는 G를 쓰고 단위는 [N/s], [㎏f/s]를 쓴다.

     산정식은 ‘중량 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으로

     나타낸다.

  ⊙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N/s, kgf/s]

  ⊙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 평균 유속 [N/s, kgf/s]

18. 단면적 (A)

▣ 유체는 대부분 원형관을 통해 공급되므로 단면적은 일반적으로 원의 면적이 된다.

19. 구경, 관경, 내경, 직경 (D) : [m, ㎜]

20. 유속, 속도 (v, u) : [m/s]

21. 각종 계수 (C) : 유량 계수 등

22. 동력 (P)

▣ 동력을 일률과 같다. 단위는 [J/s], [W] 를 쓴다.

  ⊙ 1[HS] = 0.746 [kW]

  ⊙ 1[PS] = 0.735 [kW]

23. 효율 [η]

▣ 효율은 입력 대비 출력을 말한다.

24. 전달계수 (K)

 ▣ 전달계수는 에너지 변환과정에서 손실을 감안하여 여유율을 두는 정도이다.

   ⊙ 전동기의 경우 통상 1.1 ~ 1.2 정도의 여유률을 둔다.

25. 전압, 정압 (P)

 ▣ 유체가 정지해 있을 때 또는 등속도 운동을 할 때의 압력을 정압이라고 한다.

   ⊙ 기호로는 P를 쓰고 단위로는 [㎜Aq, ㎜H2O] 등을 쓴다.

26. 마찰손실계수 (f)

 ▣ 유체의 입자간의 충돌 등 입자의 운동에 의한 손실율을 나타내는 계수를 말한다.

27. 길이 (L) : [m, ㎜]

28. 조도 (C) : 관 등의 거칠기 등을 말한다.

29. 회전수 (N) : [rpm, rps]

#밀도 #질량 #중량 #비중 #비중량 #비체적 #압력 #중력가속도 #체적 #기체상수

#체적유량 #질량유량 #중량유량 #마찰손실계수

반응형
반응형

▣ 파스칼의 원리

 

⊙ 정지한 유체 내의 모든 위치에서 압력은 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같으며, 유체 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는 원리이다.

▣ 연속방정식 (Law of continuity)

 

   ⊙ 관 속에서 유체가 가득 차서 흐른다면, 단위 시간에 단면 A1을 통과하는 중량유량은 단면 A2를 통과하는 중량 유량과

        같다.

▣ 공압의 특성

장 점
단 점
⊙ 사용에너지를 쉽게 얻을 수 있다.
⊙ 동력 전달이 간단하며, 먼 거리 이송이  쉽다.
⊙ 에너지 저장성이 좋다.
⊙ 힘의 증폭이 간단하며 속도 조절이 간단 하다.
⊙ 제어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다.
⊙ 폭발과 인화의 위험이 없다.
⊙ 과부하에 대해 안전하다.
⊙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다.
⊙ 압축성으로 위치 제어성이 나쁘다.
⊙ 힘에 대한 사용한계가 있다.
⊙ 응답성이 떨어진다.
⊙ 배기 소음이 발생한다.
⊙ 균일한 속도를 얻기 힘들다.
⊙ 초기 에너지 비용이 많이 든다.

▣ 유압의 특성

장 점
단 점
⊙ 소형으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 제어가 쉽고 조작이 간단하다.
⊙ 동력 전달방법 및 기구가 간단하다.
⊙ 자동 제어와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 압력에 대한 출력의 응답성이 좋다.
⊙ 윤활과 방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 무단 변속이 가능하다.
⊙ 누유의 염려가 있다.
⊙ 온도에 민감하다.
⊙ 화재의 위험이 있다.
⊙ 공압 보다 작동 속도가 떨어진다.
⊙ 전기회로에 비해 구성 작업이 어렵다.
⊙ 오일 내 기포에 의한 작동 불량이 될 수 있다.
 

【 출제 예상 문제 】

1. 다음 중 국제 단위 계 (SI 단위)의 기본 단위 (basic unit)에 속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 [11-4, 16-2]

   ① ℃             ② m               ③ mol               ④ cd

[해설] 국제 단위계의 기본 단위는 길이 m, 질량 ㎏, 시간 s, 전류 A, 열역학적 온도 K, 몰지량 mol, 광도 cd 이다.

2. 다음 중 압력의 단위가 아닌 것은 ? [06-4]

   ① N/㎡          ② ㎏f/㎠              ③ dyme/㎝                   ④ Psi

3. 다음 중 압력의 단위가 아닌 것은 ? [13-4]

   ① ㎏f/㎠             ② kPa              ③ bar                   ④ N

[해설] N은 힘의 단위이다.

4. 다음 중 SI 단위계에서 압력을 표시하는 기호는 ? [19-1]

   ① 바 (bar)         ② 뉴턴 (N)           ③ 와트 (W)              ④ 파스칼 (Pa)

5. 1 표준 기압 (atm)과 관계 없는 것은 ? [13-4]

   ① 760 ㎜Hg          ② 10,332 ㎏f/㎡          ③ 1.0132 bar           ④ 1,013 kPa

[해설] 1atm = 101.3 kPa

6. 힘의 단위로 옳은 것은 ? [14-2, 19-4]

   ① J       ② N           ③ K            ④ mol

[해설] J은 에너지, K는 절대온도, mol은 원자, 분자, 이온과 같이 물질의 기본 단위 입자를 묶어 그 개수를 세는 단위이다.

7. 다음 압력의 단위 중 그 크기가 다른 것은 ? [10-4, 17-4]

   ① 1bar            ② 100 kPa          ③ 1.2 ㎏f/㎠            ④ 7.50062 × 102 ㎜Hg

[정답] 1 bar = 750 Torr = 1.01972 ㎏f/㎠ = 760 ㎜Hg

8. 압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완전 진공 상태를 "0"으로 기준 삼아 측정하는 압력은 무엇인가 ? [14-2]

   ① 게이지 압력         ② 절대압력          ③ 대기 압력          ④ 표준압력

[해설] 대기압력을 "0"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을 게이지 압력이라 하고, 완전한 진공을 "0"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을

           절대 압력이라 한다.

9. 다음 중 압력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09-4, 20-3]

  ① 진공도는 항상 절대 압력으로 나타낸다.                 ② 절대 압력 = 계기 압력 + 표준대기압

  ③ 절대 진공도 = 표준 대기압 +진공계 압력이다.       ④ 대기압 보다 높으면 정압, 낮으면 부압이라 한다.

[해설]   1. ①          2. ③        3. ④       4. ④        5. ④        6. ②       7. ③        8. ②     9. ③

10. 단위 체적당 유체가 갖는 중량 (무게)으로 정의되는 것은 ? [16-2]

   ① 밀도           ② 비중          ③ 비중량              ④ 비체적

[해설] 비체적은 단위 질량당 체적이다.

11. 유체의 성질에 관련된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 [18-1]

  ① 유체의 밀도는 단위 중량당 체적이다.                  ② 유제의 비중량은 단위 체적당 질량이다.

  ③ 유체의 비체적은 단위 체적당 중량이다.              ④ 비중은 물체의 밀도를 순수한 물의 밀도로 나눈 것이다.

[해설] 비중은 물체의 밀도를 물의 밀도로 나눈 값으로 유체의 밀도를 ρ, 물의 밀도를 ρ'라고 하면, 비중 S는 S = ρ/ρ',

          즉, 물의 비중을 1로 보고 유체의 상대적 무게를 나타낸 것이다.

12. 단위 질량 당 유체의 체적을 무엇이라 하는가 ? {16-4, 18-4]

  ① 밀도                ② 비중                ③ 비체적                 ④ 비중량

[해설] 단위 질량인 물체가 차지하는 부피로 밀도의 역수이다.

13. 다음 중 공유압의 동력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 [19-1]

   ① 일                 ② 거리             ③ 일률                     ④ 에너지

14. 유체의 흐름에서 층류와 난류로 구분할 때 사용하는 것은 ? [12-4, 20-3]

   ① 점도 지수            ② 동점도 계수               ③ 레이놀즈 수            ④ 체적 탄성 계수

15. 일반적으로 파이프 관로 내의 유체를 층류와 난류로 구별되게 하는 이론적 경계값은 ?   [16-4]

   ① 레이놀즈 수 Re = 1220 정도                  ② 레이놀즈 수 Re = 2320 정도

   ③ 레이놀즈 수 Re = 3320 정도                  ④ 레이놀즈 수 Re = 4220 정도

[해설] 유체의 흐름에서는 점성에 의한 힘이 층류가 되게 끔 작용하면, 관성에 의한 힘은 난류를 일으키는 방향으로 작용하

          고 있다. 이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취한 것이 레이놀즈 수 (Re)이다.

16. 오리피스 (orifi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1-4, 18-2]

   ① 유체의 단면 치수에 비해 비교적 긴 교축이다.

   ② 유체의 압력강하는 교축부를 통과하는 유체 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③ 유체의 압력강하는 교축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점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④ 유체의 압력강하는 교축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점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해설] ①, ②, ③ 은 초크 (choke)에 대한 설명이다.

17. 공유압 장치에서 압력 전달에 관한 것을 설명한 원리는 ?

   ① 연속방정식         ② 오일러의 법칙         ③ 파스칼의 원리             ④ 베르누이의 법칙

[정답] 10. ③ 11. ④ 12. ③ 13. ③ 14. ③ 15. ② 16. ③ 17. ③

18.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유압잭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4-2]

   ① 파스칼의 원리는 힘을 증폭할 수 없다.              ② 파스칼의 원리로 먼 곳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③ 압력의 크기는 면적에 비례한다.                       ④ 압력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힘을 증폭한다.

19.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 [19-4]

비압축성 유체를 밀폐된 공간에 담아 유체의 한 쪽에 힘을 가하여 압력을 증가시키면, 유체 내의 압력은 모든 방향에
같은 크기로 전달된다.
 

   ① 레이놀즈 수         ② 연속방정식          ③ 파스칼의 원리            ④ 베르누이 원리

[해설] 파스칼의 원리는 정지된 유체 내에서 압력을 가하면 이 압력은 유체를 통하여 모든 방향으로 일정하게 전달된다는

           원리이다.

20. 밀폐된 용기 속에 가득 찬 유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면에 수직 방향이고, 크기가 동일한 힘이 내부에서 동시에 전달되

      는 원리는 ? [07-4, 08-4]

   ① 벤츄리 (venturi)의 원리                            ② 파스칼 (Pascal)의 원리

   ③ 베르누이 (bernoulli)의 원리                     ④ 오일러 (euler)의 원리

21. 파스칼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09-4]

   ① 정지하고 있는 유체의 압력은 그 표면에 수직으로 작용한다.

   ② 정지하고 있는 유체의 압력 세기는 모든 방향으로 같게 작용한다.

   ③ 정지하고 있는 유체의 압력은 그 유체 내의 어디서나 같다.

   ④ 정지하고 있는 유체의 체적은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반비례한다.

22. 압력을 P, 면적을 A, 힘을 F로 나타낼 때 각각의 표현 공식으로 옳은 것은 ? [15-2]

23. 공기의 상태 변화에서 압력이 일정할 때 체적과 온도와의 관계를 설명한 법칙은 무엇인가 ? [17-2]

   ① 보일의 법칙         ② 샤를의 법칙          ③ 연속의 법칙           ④ 보일 샤를의 법칙

24. Boyle - Charles의 법칙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7-4]

   ① 압력이 일정하면 일정량의 공기의 체적은 절대온도에 정비례한다.

   ② 온도가 일정할 때 주어진 공기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반비례한다.

   ③ 온도가 일정하면 일정량의 기체 압력과 체적의 곱은 항상 일정하다.

   ④ 일정량의 기체의 체적은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정비례한다.

[해설] ㉠ 보일의 법칙 : 온도가 일정하면 일정량의 기체의 압력과 체적의 곱은 항상 일정하다. P1 · V1 = P2 · V2

          ㉡ 샤를의 법칙 : 압력이 일정하면 일정량의 기체의 체적은 절대온도에 정비례한다.

2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이론은 ? [18-1]

에너지의 손실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 유체의 위치 에너지, 속도 에너지, 압력 에너지의 합은 일정하다.

   ① 연속의 법칙         ② 베르누이 정리           ③ 파스칼의 원리              ④ 보일 - 샤를의 법칙

[해설] 베르누이의 정리

 

 

     여기서, v : 유체의 유속, g : 중력가속도, P : 유체의 압력, γ : 비중량,  Z : 유체의 위치 에너지

26.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법칙은 [15-4, 20-4]

비압축성 유체가 관내를 흐를 때 유량이 일정할 경우 유체의 속도는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① 랜쯔의 법칙         ② 보일의 법칙           ③ 샤를의 법칙           ④ 연속의 법칙

[해설] 연속의 방정식 Q = A · v

27. 연속의 법칙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18-2]

   ① 질량 보존의 법칙을 유체의 흐름에 적용한 것이다.

   ② 관내의 유체는 도중에 생성되거나 손실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③ 점성이 없는 비압축성 유체의 에너지 보존 법칙을 설명한 것이다.

   ④ 유량을 구하는 식에서 배관의 단면적이나 유체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28. 다음 중 출력이 가장 큰 제어 방식은 어느 것인가 ? [18-1]

   ① 기계 방식         ② 유압 방식          ③ 전기 방식               ④ 공기압 방식

29. 공기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19-2]

   ① 응답성이 우수하다.                               ② 윤활 장치가 필요 없다.

   ③ 과부하에 대하여 안전하다.                   ④ 균일한 속도를 얻을 수 있다.

[해설] 공압은 압축성 등의 이유로 과부하에 대한 안정성이 보장된다.

30. 다음 중 공압 장치의 장점으로 잘못된 것은 ? [12-4]

   ① 압축 공기의 에너지를 쉽게 얻을 수 있다.           ② 인화의 위험성이 없다.

   ③ 제어 방법 및 취급이 간단하다.                           ④ 균일한 속도를 얻을 수 있다.

31. 다음 중 공압의 특성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 [07-4]

  ① 인화의 위험이 없다.                     ② 작업속도가 느리다.

  ③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다.              ④ 저속에서 균일한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정답]    25. ②      26. ④         27. ③        28. ②       29. ③       30. ④          31. ①

32. 압축 공기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 [17-2, 17-4]

   ① 압축 공기는 비압축성이다.                             ② 압축 공기는 저장하기 편리하다.

   ③ 압축공기는 폭발 및 화재 위험이 없다.           ④ 압축공기는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가 적다.

[해설] 공기는 압축성 에너지로 위치 제어성이 나쁘다.

33. 다음 중 공압이 유압에 비해 갖는 장점은 어느 것인가 ? [15-2, 18-4]

   ① 공기의 압축성을 이용하여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② 유압에 비해 큰 압력을 이용하므로 큰 힘을 낼 수 있다.

   ③ 저속 (50㎜/sec 이하)에서 스택 -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안정된 속도를 얻을 수 있다.

   ④ 유압 보다 공기 중의 수분의 영향을 덜 받는다.

[해설] 공기는 압축성 에너지로 에너지 축적이 매우 좋다.

34. 유압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06-4, 20-4]

   ① 온도와 점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② 공기압에 배해 큰 힘을 낼 수 있다.

   ③ 작동체의 속도를 무단 변속할 수 있다.               ④ 방청과 윤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해설] 온도와 점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35. 다음 중 유압의 장점을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 [09-4]

   ① 공압 보다 작동 속도가 빠르다.                            ② 압력에 대한 출력의 응답이 빠르다.

   ③ 전기 회로에 비해 구성 작업이 용이하다.             ④ 외부 누설과 관계 없다.

[해설] 유압의 장점은 크기에 비해 큰 힘의 발생, 부하와 무관한 정밀한 운동, 큰 부하 상태에서의 시동이 가능하다.

36. 다음 유압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4-2]

  ① 에너지의 변화 효율이 공압 보다 나쁘다.          ② 속도 제어가 우수하다.

  ③ 큰 출력을 낼 수 있다.                                        ④ 작동속도가 공압에 비해 늦다.

 

37. 다음 중 유압 장치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08-4, 10-4, 15-2]

  ① 소형 장치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② 무단 변속이 가능하고 정확한 위치 제어를 시킬 수 있다.

  ③ 전기, 전자의 조합으로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    ④ 인화의 위험이 없다.

38. 유공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11-4]

   ① 순간 역전 운동이 불가능하다.               ② 무단 변속제어가 가능하다.

   ③ 유지 보수나 작동이 복잡하다.               ④ 과부하에 대한 안전장치가 받드시 필요하다.

[해설] 유공압 시스템은 제어의 용이성과 정확도, 힘의 증폭, 일정한 힘과 토크, 단순성, 안전성, 경제성에서 이점이 있을 뿐

           만 아니라, 순간 역전 운동, 과부하에 대한 자동 보호, 무단 변속 제어의 특징이 있다.

[정답]    32. ①       33. ①       34. ①       35. ②       36. ①       37. ④         38. ②

39. 다음 중 공유압의 원리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07-4]

   ① 여러 대의 유압 장치를 구동하는 경우 공동의 펌프로 유압 에너지를 제공한다.

   ② 가압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곳에 방향 제어 밸브를 사용한다.

   ③ 가압 유체의 속도 조절에는 유량 제어 밸브를 사용한다.

   ④ 가압 유체의 에너지 변환에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한다.

40. 다음 중 공유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6-2]

   ① 기름 탱크는 유압 에너지를 저장한다.

   ② 공압 신호의 전달 속도는 1,000 m/s 이상이다.

   ③ 공압은 압축성을 이용하여 많은 공압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④ 공압은 압축성이기 때문에 20 m/s 이하의 저속이 가능하다.

41. 공유압 시스템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9-1]

   ① 공업은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다.

   ② 유압은 공압보다 작동 속도가 빠르다.

   ③ 유압은 소형 장치로 큰 출력을 낼 수 있다.

   ④ 공압은 초기 에너지 생산 비용이 많이 든다.

[해설] 유압은 전기, 기계, 공압 보다 작동 속도가 느리다.

[정답]    39. ①          40. ③              41. ②

#파스칼 #베르누이 #연속방정식 #비중량 #밀도 #비체적 #공압 #유압 #공유압 #압력

#표준대기압 #절대압력 #진공 #유체 #압축성 #보일의법칙 #샤를의법칙 #벤츄리

#레이놀즈수 #토리첼리 #응답속도

반응형

'설비보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압기기  (2) 2024.02.10
유압기기  (2) 2024.02.09
산업 안전 관련 법령  (0) 2024.02.07
산업 설비와 장비의 안전 2  (4) 2024.02.07
산업 설비와 장비의 안전  (4) 2024.02.05
반응형

1. 물의 밀도

   물의 밀도 ρ : 1,000 ㎏/㎥ = 1,000 N · s2 /m4

2. 물의 비중량

   γ = ρ · g

   여기서, γ : 물의 비중량 (9,800 N/㎥ = 9.8 KN · s2 /m4)

                ρ : 물의 밀도 (1,000 ㎏/㎥ = 1,000 N · s2 /m4)

                g : 중력 가속도 (9.8 m/s2)

3. 비체적 (밀도의 역수)

          여기서, Vs : 비체적 [㎥/㎏]

                       m : 질량 [㎏]

                       V : 체적 [㎥]

4. 압력

      P = γ H = ρ g H

      여기서, P : 압력 [Pa = N/㎡]

                   γ : 물의 비중량 (9,800 N/㎥ = 9.8 KN · s2 /m4)

                   ρ : 물의 밀도 (1,000 ㎏/㎥ = 1,000 N · s2 /m4)

                   H : 높이 (수두) [m]

                   g : 중력가속도 (9.8 m/s2)

        P = γ1 · h1 = γ2 · h2 [Pa, N/㎡]

        여기서, γ1 : 수은의 비중량 (133,280 [N/㎥])

                      h1 : 수은주의 높이 [m]

                      γ2 : 물의 비중량 (9,800 [N/㎥])

                      h2 : 수주의 높이 [m]

5. 이상기체상태방정식

         여기서, P : 절대압력 [Pa = N/㎡]

                      V : 체적 [㎥]

                      n : 몰수

                      W : 질량 [㎏]

                      M : 분자량 (CO2 : 44, 할론 : 148.95)

                      R : 기체상수 (8,313.85 N·m/kmol · K),

                            압력단위가 atm일 경우 (0.082 atm·㎥/kmol ·K)

6. 압력단위 환산

1 atm
760 ㎜Hg
76 ㎝Hg
101,325 Pa
101.325 kPa
0.101325 MPa
10,332 ㎜Aq (㎜H2O)
10.332 mAq (mH2O)
-
1.0332 kgf/㎠
10,332 kgf/㎠
-
1,013 mbar
1.013 bar
14.7 psi

7. 유량

   ① 체적 유량 : Q = A1 · v1 = A2 · v2 [㎥/s] : [㎡] × [m/s]

   ② 질량 유량 : M = ρ · A1 · v1 = ρ · A2 · v2 = ρ · Q [㎏/s] : [㎏/㎥] ×[㎡]×[m/s]

   ③ 중량 유량 : M = γ · A1 · v1 = γ · A2 · v2 = γ · Q [N/s] : [N/㎥] ×[㎡]×[m/s]

                         ρ : 물의 밀도 (1,000㎏/㎥ = 1,000 N·s/m4)

                         γ : 물의 비중량 (9,800 N/㎥ = 9.8 kN/㎥)

   ※ 유량계수가 주어지면 곱할 것

8. 벤츄리미터 유량

      여기서, Q : 유량 [㎥/s], Cv : 속도계수, D1, D2 : 구경 [m], A : 배관 단면적 [π/4·D2[㎡])

                   g : 중력 가속도 (9.8 m/s2)

                   γs : 액주계 내 수은의 비중량 (13.6 × 9,800 N/㎥)

                   γw : 배관내 물의 비중량 (9,800 N/㎥)

                   △H : 높이 [m]

        ※ 벤츄리미터 유속 : 위 식에서 배관 단면적(A)만 제외하면 유속을 구하는 식이 된다.

9. 피토정압관 유속

   여기서, v : 유속 [m/s], C : 유량계수

                g : 중력가속도 (9.8 m/s2 (조건에 따라 9.81 등 달라질 수 있다.)

                S : 피토관 내 수은의 비중 (13.6), Sw : 배관내 물의 비중(1))

 

10. 유량

          여기서, Q : 유량 [ℓ/min], d : 구경 [㎜], P : 방수압 [MPa]

11. 다지관의 유량

 

        Q = Q1 + Q2

        여기서, Q =A · v : 전체 유량 [㎥/s]

                     Q1 = A1 · v1 : 병렬 배관 유량 [㎥/s]

                     Q2 = A2 · v2 : 병렬 배관 유량 [㎥/s]

 

   ※ 유량 단위 정리

#밀도 #비체적 #비중량 #압력 #이상기체방정식 #중력가속도 #절대압력 #압력 #유량

#체적유량 #질량유량 #중량유량 #벤츄리미터 #피토정압관 #다지관 #전동력

반응형
반응형

1. 할론 1301 소화설비의 전역방출방식과 국소방출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점] ★★

[답안작성]

 ① 전역방출방식 : 고정식 할론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 방호구역내에 할론을 방출하는 설비

 ② 국소방출방식 : 고정식 할론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할론을 방출하는 설비로 화재 발생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설치하는 방식

[해설] 할론 소화설비의 방출방식

 ① 전역방출방식 : 고정식 할론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 방호구역내에 할론을 방출하는 설비

 ② 국소방출방식 : 고정식 할론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할론을 방출하는 설비로 화재 발생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설치하는 방식

 ③ 호스릴 방식 : 분사헤드가 배관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호스를 연결하여 사람이 직접 화점에 소화

                            약제를 방출하는 이동식 소화설비

2. 다음 그림은 할론 소화설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방출방식의 종류를 쓰고 해당 방출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점]

     ★★★★

 

   ① 방출방식             ② 설명

[답안작성]

  ① 방출방식 : 전역방출방식

  ② 설명 : 고정식 할론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 방호구역내에 할론을 방출하는 설비

3. 다음 그림은 할론 소화설비의 배치도이다. 그림의 조건에 적합하도록 체크밸브를 도시하시오. (단, 저장용기와 집합관

     사이의 연결배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5점]  ★★★★★

[조건]

 

[답안작성]

 

[해설] 가스체크밸브 (Gas check valve)

  ▣ 소화약제의 역류 방지 기능

 

    ⊙ 화살표 방향으로 가스가 흐르며,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역류가 방지된다.

4. 다음의 미완성 도면은 할론 1301을 이용한 할론 소화설비의 계통도이다. 이 계통도를 완성하시오. [8점] ★★★★★

 

[답안작성]

 

[해설] 할론 소화설비 계통도

  ① 기동용기 솔레노이드(전자개방밸브(솔레노이드 밸브)) : 감지기 또는 수동조작반의 신호를 받아 기동용 가스용기 또는

       저장용기를 개방시키는 밸브

  ② 압력스위치 : 소화약제 방출시 가스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제어반에 신호를 보내 방출표시등이 점등된다.

  ③ 안전장치 (집합관 설치용 안전밸브) : 집합관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또는 개폐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 및 밸브류 등이 이상고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④ 릴리프 밸브 (기동용 가스용기 설치용 안전밸브) : 기동용 가스용기에 설치되어 배관 및 밸브류 등이 이상고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문제의 범례에서 릴리프 밸브는 수계소화설비용이지만 릴리프 밸브 = 안전밸브이므로

        본 문제에서는 가스계 안전밸브로 볼 것

  ⑤ 가스체크밸브 : 소화약제의 역류방지 기능

5. 할론 소화설비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가. 할론 2402 소화약제를 구성하는 원소기호를 쓰시오.

  나. 할론 소화약제 중 대표적인 소화약제로서 이산화탄소에 비해 저농도로 사용할 수 있는 소화약제를 쓰시오.

  다. 다음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 가압용 가스용기는 질소가스가 충전된 것으로 하고, 그 압력은 21 ℃ 에서 ( ① ) MPa 또는 ( ② ) MPa 이 되도록 하여

         야 한다.

    ⊙ 가압식 저장용기에는 ( ③ ) MPa 이하의 압력으로 조정할 수 있는 압력 조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하나의 구역을 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소화약제량의 체적 합계보다 그 소화약제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 (집합관 포함)이 내용적의 ( ④ )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 독립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답안작성]

  가. 할론 2402 소화약제의 구성 원소 기호 : C, F, Br

  나. 할론 소화약제 중 저농도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소화약제 : 할론 1301  

  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

     ① 2.5           ② 4.2            ③ 2                ④ 1.5

[해설] 할론 소화설비

  가. 할론 소화약제

약제 명칭
분자식
상온 · 상압
할론 1301
CF3Br
기체
할론 1211
CF2ClBr
기체
할론 2402
C2F4Br
액체

※ 할론 소화약제 명명법

나. 할론 소화약제의 특징

  ① 할론 1301

    ㉠ 상온에서 기체 상태이므로 액화시켜 액상으로 저장하여 사용한다.

    ㉡ 할론소화약제중 대표적인 소화약제로 이산화탄소에 비해 저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 열분해시 HF 등 미량의 독성물질이 발생되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은 높은 편이다.

    ㉣ 전역방출방식 등 고정식 설비에 주로 사용된다.

  ② 할론 1211

    ㉠ 증기압이 낮아 낮은 압력에서도 액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

    ㉡ A,B,C급 소화기에 주로 사용된다.

  ③ 할론 2402

    ㉠ 상온에서 액상으로 증기의 비중이 크며 독성이 강하다.

    ㉡ 소화약제가 액상이므로 가압식으로 사용한다.

    ㉢ 플루팅루프 탱크 (Floating roof tank) 등 옥외 위험물 탱크시설과 같은 옥외시설물에 국한되어 사용한다.

다. 저장용기의 설치기준

  ① 할론 소화설비의 수치

구 분
할론 1301
할론 1211
할론 2402
축압식 저장용기의
저장압력
2.5 MPa 또는
4.2 MPa
1.1 MPa 또는
2.5 MPa
-
가압용 가스용기
2.5 MPa 또는 4.2 MPa
가압식 저장용기
2 MPa 이하 압력조정장치 설치
방사압력
0.9 MPa
0.2 MPa
0.1 MPa
충전비
가압식
0.9 ~ 1.6 이하
0.7 ~ 1.4 이하
0.51 ~ 0.67 이하
축압식
0.67 ~ 2.75 이하

  ② 저장용기의 개방밸브 방식

     ㉠ 전기식        ㉡ 기계식          ㉢ 가스압력식

  ③ 저장용기의 개방밸브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것으로 하며 수동으로도 개방되도록 할 것

  ④ 하나의 구역을 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소화약제량의 체적 합계 보다 그 소화약제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

       (집합관 포함)의 내용적이 1.5배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 독립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6. 내용적이 100 ㎥ 인 어느 실에 할론 1301 설비를 하려고 한다. 소화에 필요한 할론의 설계농도가 8%라고 한다면 필요한

     약제는 몇 [kg]인가 ? (단, 설계기준 온도는 21℃ 이고 이 온도에서 할론의 비체적은 0.16 ㎥/kg이며 개구부에 대한 소요

     량은 무시한다.) [4점] ★★★★★

[문제풀이]

[해설] 소화약제량

가. 소화약제량

나. 방출가스량

               여기서, V : 방출가스량 [㎥], O2 : 산소(O2)의 농도 [%]

다. 할론 농도 [%]

          여기서, O2 : 산소(O2)의 농도 [%]

7. 주차장에 1 ㎥ 당 0.52 ㎏의 할론 1301 소화약제를 방사하였을 경우 소화약제의 농도는 몇 [%] 인가 ? (단, 비체적은

     0.162 ㎥/㎏ 이며 무유출일 경우이다.) [4점] ★★★

[문제풀이]

 ◈ 비체적이 0.162 ㎥/㎏ 이므로 1 ㎥ 당 방사되는 소화약제 가스량은 다음과 같다.

    ⊙ 1㎥당 방사되는 소화가스량 = 소화약제 방사량 ㎏ × 비체적 ㎥/㎏  = 0.52 ㎏/㎥ × 0.162 ㎥/㎏ = 0.084 ㎥

8. 전역방출방식의 할론 소화설비 헤드 1개당 분구면적이 1 ㎠, 헤드 방출량이 2 ㎏/s·㎠, 헤드 개수가 5개 일 때, 약제 소요

     량 [㎏]을 구하시오. [3점] ★★★★★

[문제풀이]

  ▣ 소요약제량 = 분구면적 [㎠] × 방사량 [㎏/s·㎠] × 방사시간 [s] × 헤드개수  = 1 ㎠ × 2 ㎏/s·㎠·개 × 10 s × 5개 = 100 ㎏

[해설] 설비별 약제 방사시간

구 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 화합물
불활성 기체
표면화재
심부화재
전역
방출
방식
기타
특정소방
대상물
10초 이내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 방사)
A·C급 화재: 2분
B급화재 :1분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 방사)
10초이내
10초이내
1분이내
7분이내
(설계농도가
2분이내에
30% 
도달)
위험물
제조소등
30초이내
30초이내
60초이내
60초이내
국소
방출
방식
기타
특정소방
대상물
1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위험물
제조소등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9. 할론 소화설비를 설계하려고 한다. 방출률이 2 ㎏/㎠·2min 이고, 방출노즐의 분구면적이 1 ㎠, 약제방출 노즐은 5개,

    방사시간은 30초 일 때 소요약제량 [㎏]을 구하시오.  [3점] ★★★★★

[문제풀이]

  ▣ 소요약제량 [㎏] = 분구면적 [㎡] × 방출률 [㎏/㎠·2min] × 노즐개수 × 방사시간 [s]

                                 = 1㎠ × 2㎏/㎠·2min × 5개 × 1/4 (2분의 1/4) = 2.5 ㎏

[해설] 소화약제량 (소요약제량)

  ▣ 소요약제량 [㎏] = 분구면적 [㎡] × 방출률 [㎏/㎠·s] × 노즐개수 × 방사시간[s]

       ∴ 소요약제량 = 2 ㎏/㎠·2min × 1 ㎠ × 5개 × 30 s  = 2㎏/㎠·120 s × 1 ㎠ × 5개 × 30 s

                              = (2 ㎏/㎠ × 1 ㎠ × 5개 × 30 s) / 120 s = 2.5 ㎏

10. 다음 도면과 같은 방호대상물에 할론 1301 소화설비를 설계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

      [13점] ★

A 실
6 m × 5 m
B 실
10 m × 5 m
C 실
6 m × 6 m
D 실
12 m × 7 m

[조건]

  ① 건물의 층고는 5m이다.

  ② 약제방출방식은 전역방출방식이다.

  ③ 개구부는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④ A, C실의 기본약제량은 0.33 kg/㎥ 이다.

  ⑤ B, D실의 기본약제량은 0.52 kg/㎥ 이다.

  ⑥ 약제저장용기는 50kg/병 이다.

가. 각 실의 소화약제 저장량과 저장용기수를 구하시오.

나. 할론 1301 소화설비의 Isometric Diagram을 설계하시오.

    (단, 도시기호는

 

[문제풀이]

 가. 각 실의 소화약제량과 저장용기수

  ① A실

    ⊙ 소화약제량 = (6m × 5m × 5m) × 0.33 ㎏/㎥ = 49.5 ㎏

    ⊙ 저장용기수 = 49.5 ㎏ / 50 ㎏ = 0.99 ≒ 1병

  ② B실

    ⊙ 소화약제량 = (10m × 5m × 5m) × 0.52 ㎏/㎥ = 130 ㎏

    ⊙ 저장용기수 = 130 ㎏ / 50 ㎏ = 2.6 ≒ 3병

  ③ C실

    ⊙ 소화약제량 = (6m × 6m × 5m) × 0.33 ㎏/㎥ = 59.4 ㎏

    ⊙ 저장용기수 = 59.4 ㎏ / 50 ㎏ = 1.188 ≒ 2병

  ④ D실

    ⊙ 소화약제량 = (12m × 7m × 5m) × 0.52 ㎏/㎥ = 218.4 ㎏

    ⊙ 저장용기수 = 218.4 ㎏ / 50 ㎏ = 4.386 ≒ 5병

 나. 할론 1301 소화설비의 Isometric Doagram을 설계하시오.

 

[해설] 할론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저장량 및 저장용기수 · Isometric Diagram

 가. 할론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나. 저장용기수

다. 저장용기실에 설치하여야 할 저장용기수는 각 방호구역의 저장용기수 중 가장 많은 것을 적용하므로 D실의 5병을 선정

      하여 저장용기실의 Isometric Diagram을 설계한다.

 

  ① 할론 저장용기 : 할론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용기 (고압식)

  ② 기동용기 :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개방되어 선택밸브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개방시킨다.

  ③ 선택밸브 :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에만 소화약제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④ 안전밸브 : 집합관에 설치되어 배관 및 밸브류 등이 이상 고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⑤ 집합관 :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또는 개폐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

11. 다음 도면과 같은 통신기기실에 할론 1301 소화설비를 설계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

 

[조건]

  ① 건물의 층고 (높이)는 4m이다.

  ② 약제방출방식은 전역방출방식이다.

  ③ 약제는 할론 1301 을 사용한다.

  ④ 약제용기의 내용적은 68 ℓ 로 하고 충전비는 1.36 이다.

  ⑤ 방호대상물에는 자동폐쇄장치가 전부 설치되어 있다.

가. 방호구역상 필요한 저장용기의 수량을 각 실별로 산출하시오.

   ① A실         ② B실       ③ C실           ④ D실         ⑤ E실

나. 저장용기실에 설치하여야 할 최소 용기수는 몇 개인가 ?

[문제풀이]

 가. 각 실별 소화약제 저장용기수

  ① A실

    ⊙ 1병당 저장량 [㎏] = 내용적 [ℓ] / 충전비 [ℓ/㎏] = 68 ℓ / 1.36 [ℓ/㎏] = 50 ㎏

    ⊙ 소화약제저장량 [㎏] = (13m × 10 m × 4 m) × 0.32 [㎏/㎥] = 166.4 ㎏

        ∴ 저장용기수 = 166.4 ㎏ / 50 ㎏ = 3.328 ≒ 4병

  ② B실

    ⊙ 소화약제저장량 [㎏] = (13m × 5 m × 4 m) × 0.32 [㎏/㎥] = 83.2 ㎏

        ∴ 저장용기수 = 83.2 ㎏ / 50 ㎏ = 1.664 ≒ 2병

  ③ C실

    ⊙ 소화약제저장량 [㎏] = (13m × 5 m × 4 m) × 0.32 [㎏/㎥] = 83.2 ㎏

        ∴ 저장용기수 = 83.2 ㎏ / 50 ㎏ = 1.664 ≒ 2병

  ④ D실

    ⊙ 소화약제저장량 [㎏] = (10m × 10m × 4 m) × 0.32 [㎏/㎥] = 128 ㎏

        ∴ 저장용기수 = 128 ㎏ / 50 ㎏ = 2.56 ≒ 3병

  ⑤ E실

       ⊙ 소화약제저장량 [㎏] = [(30m × 15m - 10m ×10m) × 4 m] × 0.32 [㎏/㎥]  = 832 ㎏

         ∴ 저장용기수 = 832 ㎏ / 50 ㎏ = 16.64 ≒ 17병

나. 저장용기실에 설치하여야 할 저장용기수 : 17병

 

[해설] 할론 소화설비의 저장용기수

 가. 할론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할론 소화설비 체적 1㎥ 당 소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방대상물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차고, 주차장, 전기실, 전산실, 통신기기실, 합성수지류
0.32 ㎏/㎥
2.4 ㎏/㎡
사류, 면화류, 볏짚류, 목재가공품, 대팻밥, 나무부스러기 등
0.52 ㎏/㎥
3.9 ㎏/㎡

나. 충전비

다. 저장 용기수

12. 어느 건물에 다음 도면과 같이 할론 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도면 및 주어진 조건을 참조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

       시오. [12점] ★★★★

 

[조건]

  ① 건물의 층고는 5m 이다.

  ② 저장용기 1병에 대한 소화약제의 저장량은 50 kg이다.

  ③ A, C실의 기본약제량은 0.32 ㎏/㎥ 이다.

  ④ B, D실의 기본약제량은 0.52 ㎏/㎥ 이다.

  ⑤ Isometric Diagram 작성시 다음의 기호를 사용할 것

 

가. 각 실의 약제 소요량과 용기수를 산출하시오.

   ① A실      ② B실         ③ C실          ④ D실

나. Isometric Diagram을 작도하시오. (단, 반드시 각을 잡아서 작도를 할 것)

 

[문제 풀이]

 가. 각 실의 약제 소요량과 저장용기수

  ① A실

    ⊙ 약제 저장량 = (5m × 15 m × 5 m) × 0.32 ㎏/㎥ = 120 ㎏

    ⊙ 저장용기수 = 120 ㎏ / 50 ㎏ = 2.4 ≒ 3병

  ② B실

    ⊙ 약제 저장량 = (5m × 10 m × 5 m) × 0.52 ㎏/㎥ = 130 ㎏

    ⊙ 저장용기수 = 130 ㎏ / 50 ㎏ = 2.6 ≒ 3병

  ③ C실

    ⊙ 약제 저장량 = (5m × 10 m × 5 m) × 0.32 ㎏/㎥ = 80 ㎏

    ⊙ 저장용기수 = 80 ㎏ / 50 ㎏ = 1.6 ≒ 2병

 ④ D실

    ⊙ 약제 저장량 = (5m × 5 m × 5 m) × 0.52 ㎏/㎥ = 65 ㎏

    ⊙ 저장용기수 = 65 ㎏ / 50 ㎏ = 1.3 ≒ 2병

 나. Isometric Diagram 작도

 

[해설] 할론 소화설비의 약제 소요량 · 용기수 · Isometric Diagram 작도

  가. 할론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저장량 [㎏] = 방호구역체적 [㎥] × 소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나. 저장용기수

 다. Isometric Diagram 작도

 

  ① 할론 실린더 (할론 저장용기) : 할론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용기 (고압식)

  ② 기동용기 :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개방되어 선택밸브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개방시킨다.

  ③ 선택밸브 :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에만 소화약제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④ 가스체크밸브 : 소화약제의 역류 방지 기능

  ⑤ 안전밸브 : 집합관에 설치되어 배관 및 밸브류 등이 이상고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⑥ 집합관 :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또는 개폐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

  ⑦ 방사헤드 : 화재시 해당 방호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사한다.

13. 다음의 도면과 조건을 참조하여 방호구역 별로 소요되는 전역방출방식의 할론 소화설비에서 각 실의 분사헤드 1개 당

       방출량 [㎏/s]을 구하시오. [8점] ★★★★

 

[조건]

  ① 각 실의 층고는 5m이다.

  ② 저장용기 1병에 대한 소화약제의 저장량은 45 ㎏ 이다.

  ③ A, C실의 기본약제량은 0.32 ㎏/㎥ 이다.

  ④ B, D실의 기본약제량은 0.52 ㎏/㎥ 이다.

  ⑤ 방호구역은 4개 구역으로서 개구부는 무시한다.

  ⑥ 분사헤드의 수는 도면 수량기준으로 한다.

  ⑦ 방출량 [㎏/s] 계산시 약제용량은 적용되는 용기의 용량을 기준으로 한다.

가. A실         나. B실           다. C실              라. D실

 

[문제풀이]

 ▣ 각 실의 분사헤드당 방출량 [㎏/s]

  가. A실

    ① 소화약제 저장량 = (16m × 5m × 5m) × 0.32 ㎏/㎥ = 48 ㎏

    ② 저장용기수 = 48 ㎏ / 45 ㎏ = 1.066 ≒ 2병

  나. B실

    ① 소화약제 저장량 = (12m × 7m × 5m) × 0.52 ㎏/㎥ = 218.4 ㎏

    ② 저장용기수 = 218.4 ㎏ / 45 ㎏ = 4.853 ≒ 5병

  다. C실

   ① 소화약제 저장량 = (6m × 6m × 5m) × 0.32 ㎏/㎥ = 57.6 ㎏

   ② 저장용기수 = 57.6 ㎏ / 45 ㎏ = 1.28 ≒ 2병

  라. D실

    ① 소화약제 저장량 = (10m × 5m × 5m) × 0.52 ㎏/㎥ = 130 ㎏

    ② 저장용기수 = 130 ㎏ / 45 ㎏ = 2.888 ≒ 3병

#할론 #소화설비 #소화약제 #할론1301 #할론1211 #할론2402 #질소가스 #가압가스

#가스압력식 #방사압력 #비체적 #전역방출방식 #분구면적 #선택밸브 #Isometric

#Diagram #안전밸브 #가스체크밸브 #내용적 #방사헤드 #할론실린더

반응형
반응형

1. 다음 그림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조건]

   ① PA : 12.1 [kPa]

   ② PB : 11.5 [kPa]

   ③ PC : 10.3 [kPa]

   ④ 유량 : 5 [ℓ/s]

 

 (1) A지점의 유속 [m/s]을 구하시오.

 (2) C지점의 유속 [m/s]을 구하시오.

 (3) A지점과 B지점간의 마찰손실 [m]를 구하시오.

 (4) A지점과 C지점간의 마찰손실 [m]를 구하시오.

[풀이]

 (1) A지점의 유속 [m/s]을 구하시오.

 (2) C지점의 유속 [m/s]을 구하시오.

 (3) A지점과 B지점간의 마찰손실 [m]를 구하시오.

 

(4) A지점과 C지점간의 마찰손실 [m]를 구하시오.

[해설] 베르누이 방정식

① 베르누이 방정식

여기서, H : 전수두 (전양정) [m]

             P1, P2 : 압력 [Pa = N/㎡]

             γ : 물의 비중량 [9.8 kN / ㎥]

             v1, v2 : 유속 [m/s]

             g : 중력가속도 (9.8 [m/s2]

             Z1, Z2 : 위치 수두 [m]

            △H : 마찰손실수두 [m]

  ② 유량

           Q = A · v = π/4 · d2 · v

          여기서, Q : 유량 [㎥/s]

                       A : 배관의 단면적 [㎡] = π/4 · d2 [㎡]

                       v : 유속 [m/s]

                       d : 내경(안지름) [m]

2. 스프링클러 설비의 가압 송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을 하기 위하여 오리피스로 시험한 결과 수은주의 높이가 500[㎜]로

     측정되었다. 이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 [m/s]을 구하시오. (단, 수은의 비중은 13.6, 속도계수는 0.97 이고 중력가속

     도는 9.8 [m/s2] 이다.  [4점] ★★★★

 
 

[풀이]

[해설] 벤츄리 미터 유량

여기서, Q : 유량 [㎥/s]

             Cv : 속도계수

              A : 배관의 단면적 [㎡] = π/4 · d2 [㎡]

              A1, A2 : 내경 [m]

              g : 중력가속도 (9.8 [m/s2]

              γ2 : 수은의 비중량 (13.6 × 9.8 [kN/㎥]=133.28 [kN/㎥]=133,280[N/㎥]

              γ1 : 물의 비중량 (9.8 [kN/㎥]=9,800[N/㎥]

             △H : 수은의 높이차 [m]

 

3. 펌프성능시험을 하기 위하여 오리피스로 시험한 결과 수은주의 높이가 47[m]로 측정되었다. 이 오리피스를 통과한 유량

     [ℓ/s]을 구하시오. (단, 속도계수는 0.9이고, 수은의 비중은 13.6, 중력가속도는 9.81 [m/s]이다. [5점] ★★★

 

[풀이]

4. 다음 그림과 같은 벤츄리관을 설치하여 관로를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측정하고자 한다.

    액주계에는 비중 13.6인 수은이 들어 있고 액주계에서 수은의 높이 차가 500 [㎜]일 때 흐르는 물의 속도는 몇 [m/s]인가

     ? (단, 피토정압관의 속도계수는 0.97 이며, 직경 300[㎜]관과 직경 150 [㎜]관의 위치수두는 동일하다. 또한 중력가속도

     는 9.81 [m/s2]이다. [4점] ★★★

 

[풀이]

[해설] 벤츄리미터 유속

여기서, v : 유속 [m/s]

            Cv : 속도계수

            d1, d2 : 내경 [m]

            g : 중력가속도 (9.8, 9.81 [m/s2])

             γ1 : 물의 비중량 (γ = ρ·g, 1,000[N·s2/m4] × 9.81[m/s2] = 9,810[N/㎥] = 9.81[kN/㎥]

            γ2 : 수은의 비중량 (13.6×9.81[kN/㎥]=133.416 [kN/㎥]=133,416[N/㎥]

            △H : 수은의 높이 차 [m]

  ※ 수은의 높이차가 주어지지 않고 A1과 A2의 압력이 주어진 경우

5. 다음 그림과 같은 장치로 관로를 유동하는 물의 유속을 측정하고자 한다. 액주계는 비중 13.6인 수은이 들어 있고 액주

     계 에서의 수은의 높이차가 20 [㎝]일 때 흐르는 물의 속도[m/s]를 구하시오. (단, 유량계수는 1이다) [4점] ★★★★

 

[풀이]

[해설] 피토정압관의 유속

여기서, v : 유속 [m/s]

            C : 유량계수

           △H : 수은의 높이 차 [m]

            g : 중력가속도 (9.8, 9.81 [m/s2])

            γw : 물의 비중량 (γ = ρ·g, 1,000[N·s2/m4] × 9.8[m/s2] = 9,800[N/㎥] = 9.8[kN/㎥]

             γ : 수은의 비중량 (13.6×9.8[kN/㎥]=133.28 [kN/㎥]=133,280[N/㎥]

             S : 수은의 비중 (13.6)

             Sw : 물의 비중 (1)

 

6.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바닥면적 6m × 6m)의 물탱크에서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였을 때 최저 유효수면까지 물이 배수되

      는 소요시간 [min]을 구하시오. (단, 토출측 관 안지름은 80 [㎜]이고 탱크 수면 하강속도가 변화하는 점을 고려할 것)

      [4점] ★★★

 

[풀이] ※ 유량계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대입하지 않음

[해설] 물의 배수시간

여기서, t : 배수시간 [s]

            At : 물탱크의 바닥면적 [㎡]

            A : 배관의 단면적 [㎡] = π/4 · d2 [㎡]

            g : 중력 가속도 (9.8 [m/s2])

           H1 : 물탱크내 최고 수위 [m]

           H2 : 물탱크내 최저수위 [m]

            d : 내경(안지름) [m]

7.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되는 관의 내경이 35[㎜]인 수평배관의 유량이 100[ℓ/s]이다.

     이 때, 배관내 압력 [kPa]을 구하시오. (단, 중력가속도는 9.8 [m/s]이다) [4점] ★★

※ 계산기 Slove 기능 활용 

8. 어떤 공장의 배관 시스템으로서 물의 유속이 20 [m/s], 압력이 300[kPa], 온도가 20 [℃]로 대퓨저에 유입하여 유속

    5 [m/s]으로 유출되었다면 이 물의 유출압력을 구하시오. (단, 위치관계는 무시하고 비체적은 0.001001 [㎥/㎏]이다. [3점]

     ★

※ 비체적 = 1/밀도, Vs = 1/ρ, ρ =1/Vs

[베르누이 방정식]

여기서, H : 전수두 (전양정) [m]

             P1, P2 : 압력 [Pa = N/㎡]

             γ : 물의 비중량 9.8 [kN / ㎥]

             v1, v2 : 유속 [m/s]

             g : 중력가속도 (9.8 [m/s2]

             Z1, Z2 : 위치 수두 [m]

 

9. 다음 그림과 같이 관에 중량유량이 9,800[N/min]으로 40[℃]의 물이 흐르고 있다. ② 점에서 공동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①점에서의 최소압력 [kPa]을 구하시오. (단, 배관의 손실은 무시하고 40[℃] 물의 증기압은 55.324[㎜Hg]이며, 소수점

    다섯째 자리까지 구하시오. [5점] ★★★★★

 

[풀이]

[해설] 공동현상, 베르누이 방정식

가. 베르누이 방정식

여기서, P1, P2 : 압력 [Pa = N/㎡]

             γ : 물의 비중량 [9.8 kN / ㎥]

             v1, v2 : 유속 [m/s]

             g : 중력가속도 (9.8 [m/s2]

            Z1, Z2 : 위치 수두 [m]

  나. 중량유량

     ⊙ 중량유량 G = γ A1·v1 = γ · A2 · v2 [N/s]

         여기서, G : 중량유량 [N/s]

                      A1, A2 : 배관의 단면적 [㎡] = π/4 · d2 [㎡]

                      v1, v2 : 유속 [m/s]

                      γ : 물의 비중량 (γ = ρ·g, 1,000[N·s2/m4] × 9.8[m/s2] = 9,800[N/㎥] = 9.8[kN/㎥]

                       d : 내경 (직경) [m]

#비중량 #밀도 #베르누이 #중력가속도 #벤츄리 #토리첼리 #피토정압관 #유량계수

#스프링클러 #오리피스 #속도계수 #체적유량 #질량유량 #중력가속도 #압력 #유속

 
반응형
반응형
 

1. 질량(mass : M, m)이란 무엇인가 ?

▣ 질량(mass)이란 특정 공간에 어떤 속성의 물질이 얼마만큼 있는지를 나타내는 물리적인 양을 말하며 질량이란 말에는

    밀도와 비슷한 개념이 포함되어 있고 뉴턴의 운동법칙에 의한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할 때 발생하는 가속도에 대한 저항의

    정도, 또는 관성의 정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밀도를 측정한다는 것은 어떤 부피내에 어떤 특성의 물질이 있는지

    측정하는 것이 되고 또한 측정 대상의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총수와 밀도, 유형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질량은 어떤

    물체의 구성하는 물질의 물리적인 양으로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벡터가 아닌 스칼라이며 어느 공간에

    있더라도 동일하므로 중력을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또한 측정 대상 물체가 존재하는 한 질량이 영(zero)가 될 수 없고

    기호로는 M,m을 단위로는 [kg]과 [g]을 쓴다.

2. 무게 (weight, W)란 무엇인가 ?

▣ 무게란 어떤 물체가 받는 중력의 힘을 말한다. 즉, 어떤 물체가 지구의 중력에 의한 힘을 받아 그 물체가 얼마만큼은

     힘으로 지구 중심부를 향해 끌어 당겨지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뉴턴의 운동법칙에서 나오는 힘으로 표현되며 질량

     (m)과 중력가속도(g)의 곱으로 나타낸다. 중력가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벡터(vector)이고 지면에 수직으

     작용하며 중력가속도는 위치에 따라 변하므로 동일한 물체라도 환경에 따라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 무게는 질량에

     작용하는 중력의 힘이라고도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중력가속도가 작용하는 곳에서는 질량에 따라 무게가 결정되므로

     무게도 궁국적으로는 질량의 척도라고 할 수 있다. 무게의 단위는 힘의 단위인 N[㎏·m/s2]과 [㎏f]를 쓴다.

3. 밀도란 무엇인가 ?

▣ 밀도(density)는 질량의 개념을 물리량 계산에 적용하기 위해서 도출된 개념으로 동일한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단위

     체적(부피)당 질량으로 정의되고, 비질량(specific-mass) 이라고도 한다. 또한 밀도는 단위 가속도 대비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는 관성의 정도로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밀도는 어떤 물질의 질량이 m, 부피가 V인 경우 수식으로는 밀도(ρ) = 질량 (m) / 부피 (V)로 나타낸다. 국제 단위

     계의 단위로는 [㎏/㎥], [g/㎤] 이다. 또한 가속도 대비 작용하는 힘에 대한 관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밀도 (ρ) = 질량(m) /

     부피 (V)로 (N· s2/m) / ㎥, N· s2/m4 로 나타낸다. 하지만 이 단위 로는 밀도 값이 보통 한두 자리로 나오기 때문에 [g/㎤]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액체 유체인 물 (Water) 의 밀도는 4[℃]일 때 1 [g/㎤] = 1,000 [㎏/㎥]이다.

  ▣ 액체 비중의 기준이 되는 물(H2O)의 밀도는 다음과 같다.

4. 비중량(specific weight)이란 무엇인가 ?

▣ 비중량은 밀도의 개념을 무게에 적용시킨 것이다. 여기서 비(specific)는 단위라는 말로 숫자 "1"을 의미한다. 즉, 체적

    "1" 단위당 무게 또는 단위 부피당 중량을 말한다. 또한 비중량은 밀도가 받는 중력에 의한 힘이라 할 수 있으므로 비중량

    은 밀도 × 중력가속도로 나타낼 수 있다. 무게는 질량과 중력가속도의 곱이므로 마찬가지로 비중량은 밀도 × 중력가속도

    가 된다. 4[℃] 물의 비중량은 물의 밀도 1,000 [㎏/㎥] × 중력가속도가 되므로 1,000 [㎏f/㎥]가 된다.

대표적인 액체 유체인 물의 비중량은 다음과 같다.

수은의 비중량은 수은의 비중은 13.6 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은의 비중량 = 수은의 비중 × 물의 비중량

 

5. 비체적(specific volume)이란 무엇인가 ?

▣ 비체적(specific volume)은 단위 질량당 체적(부피)를 말한다. 수식은 비체적 = 부피 (V) / 질량 (m)이다. 밀도와 역수

     관계에 있다. 유체역학이나 열역학에 자주 등장하는 단위이므로 숙지하는 것이 필요한다.

 

6. 비중이란 무엇인가 ?

▣ 비중(specific gravity)은 물의 물도에 대한 물질의 밀도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밀도는 표준대기압 즉 1기압

    (1[atm]) 상태에서 4[℃]의 물(water)를 기준으로 물에 대한 대상 물체의 밀도의 비율을 말한다. 비중의 기호는 SG이고

    비중은 밀도를 밀도로 나눈 것으로 단위가 없는 무차원수이다.

7. 압력, 방수압, 방사압, 토출압

▣ 압력, 방수압, 방사압, 토출압은 압력의 여러 표현방법이며 압력은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수식으로 압력 =

     힘 / 면적으로 표현한다. 기호로는 P를 쓰며 단위로는 N/㎡, kgf/㎡를 쓴다.

8. 수두, (전)양정, 높이 (H)

▣ 에너지 보존법칙과 베르누이 법칙에서 위치에너지를 말한다. 위치에서는 특정 위치가 갖는 일할 수 있는 능력 즉 에너지

     를 말하며 위치에너지는 중력가속도와 높이의 곱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표현의 편의상 소방유체에서는 중력가속도를

     생략하고 높이만으로 위치에너지를 표현한다. 

     수두, 양정 = 중력가속도 × 높이 ⇒ 간략히 높이 [m]

9. 중력가속도

▣ 지구가 물체를 끌어 당기는 힘을 산정하기 위한 상수를 말한다. 기호는 g를 쓰고 단위는 가속도 이므로 m/sec2이고

     값은 9.8 m/sec2 이다.

10. 체적, 부피 (v) : 단위 [㎥]

11. 질량 [㎏], 무게 [㎏f]

12. 분자량 (M) : CO2 : 44 , 할론 : 148.95

 

13. 온도 (T)

  ▣ 섭씨 : 물이 어는 점을 0[℃] 끓는 점을 100 [℃]로 하고 이들 간격을 백등분 한 것

      단위 : ℃

  ▣ 화씨 : 물의 어는 점을 32 [˚F], 끓는 점을 212 [˚F]로 하여 이들을 180 등분 한 것

       단위 : ˚ F

  ▣ 절대온도 [ ˚ K = 273 + ℃ ]

  ▣ 섭씨 온도와 화씨 온도의 변환

14. 기체 상수 (R) : 8.31385 [N·m/kmol ·K]

  ※ 압력단위가 atm일 경우 (0.082 atm · ㎡/kmol · K]

  ※ 고온, 저압의 기체는 일반적으로 이상기체방정식에 따른다.

     기체 1몰은 0[℃], 1기압 (1atm)에서 22.414 [ℓ] 이므로 기체상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표준온도와 압력 (standard temperature & pressure : STP) : 0[℃], 1[atm]

     STP에서 실체 기체 ≒ 이상기체, 이 때 1[mol]의 기체 부피는 22.414 [ℓ]이다.

    또한 1[atm]은 101,325[Pa] = 101,325 [N/㎡]와 22.4 [ℓ] = 0.0224[㎥]를 적용하면

15. 유량, 체적유량, 방수량, 방사량, 토출량, 양수량 (Q)

▣ 유체역학에서는 물질의 상태를 어떤 좌표값으로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연속체의 개념으로 본다. 유체는 수많은 입자들

     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입자들을 분석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연속체의 개념으로

     분석한다,

▣ 따라서 유량도 특정시점에서 관의 어느 부분을 통과하는 연속적인 양의 개념인 체적유량을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 때

     특정시점에 특정지점을 통과한 유체의 부피로 흐르는 유량을 나타내는 것이 체적유량이며 이를 소방유체역학에서는

     유량, 체적유량, 방사량, 토출량, 양수량 등으로 부르며 기호로는 Q를 쓰고 단위로는 [㎥/sec], [ℓ/min], [단면적(A) [㎡] ×

     속도 v [m/sec]]으로 나타내며 유체의 부피는 온도, 압력 등에 따라 변화하므로 부피 유량을 나타낼 때는 온도와 압력을

     함께 표시한다.

16. 질량 유량 (M)

▣ 위에서 말한 체적 유량이 측정하기도 쉽고 사용하기도 간편하나 부피는 온도, 압력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질량 유량이다. 질량은 어디 있든, 어떠한 환경이든 똑같고 또한 질량은 보존되기 때문이다. 질량

      유량은 유체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개념이다.

▣ 즉, 질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시간당 유체의 흐른 유체의 질량(㎏)을 의미한

     다. 단위로는 [㎏/s]를 쓰며 kg을 g, ton으로 s를 min, hour으로 쓰기도 한다. 측정방법으로는 ‘질량 유량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질량유량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으로 나타낸다.

  ⊙ 질량유량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kg/s]

  ⊙ 질량유량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kg/s]

17. 중량유량 (G)

▣ 중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흘러간 유체의 중량을 말하며 이는 질량유량에 중력가속도를 곱해 산정한다. 즉, 질량유량을

     지구 중력으로 환산한 값이다. 기호로는 G를 쓰고 단위는 [N/s], [㎏f/s]를 쓴다. 산정식은 ‘중량 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으로 나타낸다.

  ⊙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N/s, kgf/s]

  ⊙ 중량유량 = 중력가속도 × 밀도 × 부피(체적) 유량 × 평균 유속 [N/s, kgf/s]

18. 단면적 (A)

▣ 유체는 대부분 원형관을 통해 공급되므로 단면적은 일반적으로 원의 면적이 된다.

19. 구경, 관경, 내경, 직경 (D) : [m, ㎜]

20. 유속, 속도 (v, u) : [m/s]

21. 각종 계수 (C) : 유량 계수 등

22. 동력 (P)

  ▣ 동력을 일률과 같다. 단위는 [J/s], [W] 를 쓴다.

    ⊙ 1[HS] = 0.746 [kW]

    ⊙ 1[PS] = 0.735 [kW]

23. 효율 [η]

  ▣ 효율은 입력 대비 출력을 말한다.

24. 전달계수 (K)

  ▣ 전달계수는 에너지 변환과정에서 손실을 감안하여 여유율을 두는 정도이다.

   ⊙ 전동기의 경우 통상 1.1 ~ 1.2 정도의 여유률을 둔다.

25. 전압, 정압 (P)

  ▣ 유체가 정지해 있을 때 또는 등속도 운동을 할 때의 압력을 정압이라고 한다.

   ⊙ 기호로는 P를 쓰고 단위로는 [㎜Aq, ㎜H2O] 등을 쓴다.

25. 마찰손실계수 (f)

   ▣ 유체의 입자간의 충돌 등 입자의 운동에 의한 손실율을 나타내는 계수를 말한다.

26. 길이 (L) : [m, ㎜]

27. 조도 (C) : 관 등의 거칠기 등을 말한다.

28. 회전수 (N) : [rpm, rps]

#밀도 #질량 #중량 #비중 #비중량 #비체적 #압력 #중력가속도 #체적 #기체상수

#체적유량 #질량유량 #중량유량 #마찰손실계수

반응형
반응형
 

1. 충전비 (충전비 체적)

  ※ 비체적은 #밀도 의 반대개념이다. 즉, 어떤 물질의 단위 질량에 대한 체적의 비를 말한다.

  ⊙ 밀도는 단위 체적당 질량을 말하며 단위로는 [kg / ℓ] 이다.

  ⊙ 반대로 비체적은 단위 질량당 체적을 말하며 단위는 [ℓ/kg]을 쓴다.

  ⊙ 만약 밀도가 1.5 라면 1[ℓ]가 1.5 [kg]이라는 것이고 단위로는 1.5[kg/ℓ]이다.

  ⊙ 비체적이 1.5라며 1[kg]이 1.5[ℓ]라고 것으로 단위로는 1.5[ℓ/kg]을 쓴다.

▣ 위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충전비 체적을 알아 보자.

  ⊙ #충전비 체적은 단위 질량을 충전하여 담는데 소요되는 체적을 말한다.

      즉, 비체적과 충전의 개념을 합한 것이다.

 ⊙ 예를들어, 충전 #비체적 이 1.5라고 하면 어떤 물질 1[kg]을 담는데 1.5[ℓ]의 체적, 용기가 필요하는 것을 말한다.

      단위로는 1.5 [ℓ/kg]를 쓴다.

가. CO2 소화기 : 충전비 1.5 이상

나. CO2 #소화설비

  ▣ #고압식 : 1.5 이상, 1.9 이하

  ▣ #저압식 : 1.1 이상, 1.4 이하

ex) 충전비가 1.5 이라면 68 [ℓ]의 소화기에는 몇 [kg]을 충전할 수 있는가 ?

      1.5 : 1 = 68 ℓ : x 1.5 x = 68 x = 68 ÷ 1.5 = 45.33 [kg]

    ※ #충전비 식으로 계산할 수도 있지만 #비례식 으로 풀이할 수 있다.

2. 이산화탄소의 #약제 계산식

가. 이산화탄소(CO2)의 체적 %

  ▣ 일반적으로 체적 %는 전체 체적에서 해당 성분이 차지하는 #백분율 을 말한다.

 

  ex) 실(방)의 체적이 270 [㎥] (가로×세로×높이)인 방에 #화재 가 발생하여 #CO2

        135[㎥]를 방사했을 때 CO2의 체적 %와 O2의 체적 %는 얼마인가 ?

 

  ※ 산소체적은 산소의 체적 %가 연소범위 하한인 15 [%] 이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백분율은 전체 체적에

      대한 해당 물질의 체적의 비를 말한다.

  ▣ 이상의 일반적인 체적비를 산출하는 계산식이고 소방에서는 다음의 식으로 산정하다.

 

  ex) 270[㎥]의 화재실에 CO2를 방사하여 산소농도를 15 [%]로 만들고 싶다면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이산화탄소의 체적은

       얼마인가 ?

 

[풀이] 먼저 목표로 하는 산소를 농도를 위해 이산화탄소(CO2)의 #체적비 를 구한다.

          구한 이산화탄소(CO2)의 체적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CO2)의 체적을 구한다.

나. CO2 의 기화체적 [㎥]

  ▣ 일반적으로 물질의 기화체적은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 하지만 소방에서는 CO2의 기화체적을 다음 식으로 산정한다.

 

   ex) 270[㎥] 의 실내의 산소 농도를 15 [%]로 낮출려면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체적은 ?

 

 ※ 위 식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이산화탄소 (CO2)의 체적을 구할 수 있어 소방에서는

  #이상기체 #방정식 을 사용하지 않고 간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충전비 (충전비 체적)

 ※ 비체적은 밀도의 반대개념이다.

  ⊙ 밀도는 단위 체적당 질량을 말하며 단위로는 [kg / ℓ] 이다.

  ⊙ 반대로 비체적은 단위 질량당 체적을 말하며 단위는 [ℓ/kg]을 쓴다.

  ⊙ 만약 밀도가 1.5 라며 1[ℓ]가 1.5 [kg]이라는 것이고 단위로는 1.5[kg/ℓ]이다.

  ⊙ 비체적이 1.5라며 1[kg]이 1.5[ℓ]라고 것으로 단위로는 1.5[ℓ/kg]을 쓴다.

 ▣ 위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충전비 체적을 알아 보자.

  ⊙ 충전비 체적은 단위 질량을 충전하여 담는데 소요되는 체적을 말한다.

      즉, 비체적과 충전의 개념을 합한 것이다.

  ⊙ 예를들어, 충전 비체적이 1.5라고 하면 어떤 물질 1[kg]을 담는데 1.5[ℓ]의 체적,

      용기가 필요하는 것을 말한다. 단위로는 1.5 [ℓ/kg]을 쓴다.

 

가. CO2 소화기 : 충전비 1.5 이상

나. CO2 소화설비

   ▣ 고압식 : 1.5 이상, 1.9 이하

   ▣ 저압식 : 1.1 이상, 1.4 이하

    ex) 충전비가 1.5 이라면 68 [ℓ]의 소화기에는 몇 [kg]을 충전할 수 있는가 ?

          1.5 : 1 = 68 ℓ : x 1.5 x = 68 x = 68 ÷ 1.5 = 45.33 [kg]

2. 이산화탄소의 약제 계산식

가. 이산화탄소(CO2)의 체적 %

   ▣ 일반적으로 체적 %는 전체체적에서 해당 성분이 차지하는 백분율을 말한다.

 

  ex) 실(방)의 체적이 270 [㎥] (가로×세로×높이)인 방에 화재가 발생하여 CO2를 135

       [㎥]를 방사했을 때 CO2의 체적 %와 O2의 체적 %는 얼마인가 ?

 

  ※ 산소체적은 산소의 체적 %가 15 [%] 이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이상의 일반적인 체적비를 산출하는 계산식이고 소방에서는 다음의 식으로 산정하다.

 

   ex) 270[㎥]의 화재실에 CO2를 방사하여 산소농도를 15 [%]로 만들고 싶다면 이산화

        탄소의 농도와 이산화탄소의 체적은 얼마인가 ?

 

나. CO2 의 기화체적 [㎥]

  ▣ 일반적으로 물질의 기화체적은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 하지만 소방에서는 CO2의 기화체적을 다음 식으로 산정한다.

 

    ex) 270[㎥] 의 실내의 산소 농도를 15 [%]로 낮출려면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체적은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