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2과목 : 전기기기

1.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끝부분에 설치한 자성 재료편으로서, 전기자에 대응하여 계자 자속을 공극 부분에 적당히 분포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

      ① 자극편              ② 정류자          ③ 공극           ④ 브러시

[해설] 자극편 : 전기자와 마주 보는 계자극의 부분으로 자속을 분포시키는 역할을 하는 자성재료편이다.

2. 발전기의 전압변동률을 표시하는 식은 ? (단, Vo : 무부한 전압, Vn : 정격전압)

[해설] 전압변동률 : 정격 상태에서 정격 전압 Vn, 무부하 전압 Vo 일 때

3. 동기속도 3,600 rpm, 주파수 60 Hz의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

   ① 2                ② 4                     ③ 6                  ④ 8

[해설]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

4. 동기기의 전기자 권선법이 아닌 것은 ?

  ① 2층 분포권               ② 단절권                 ③ 중권               ④ 전절권

[해설] 동기기의 전기자 권선법 중 2층 분포권, 단절권 및 중권이 주로 쓰이고 결선은 Y결선으로 한다.

  ※ 전절권은 단절권에 비하여 출력이 높으나 단점이 많아 사용하지 않는다.

5.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중에 기전력의 위상차가 생기면 ?

   ① 위상이 일치하는 경우 보다 출력이 감소한다.

   ② 부하분담이 변한다.

   ③ 무효 순환전류가 흘러 전기자 권선이 과열된다.

   ④ 동기화력이 생겨 두 기전력의 위상이 동상이 되도록 작용한다.

[해설] 기전력의 위상차가 발생 현상

  ㉠ A기의 유도 기전력 위상이 B 기 보다 δs 만큼 앞선 경우, 횡류 Is = Es / 2Zs [A]가 흐르게 된다.

  ㉡ 횡류는 유효전류 또는 동기화 전류라고 하며, 상차각 δs 의 변화를 원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Is 에 의한 전력은 동기화

       전력이라고 하며, 두 기전력의 위상이 동상이 되도록 작용한다.

6. 동기 발전기에서 전기자 전류가 기전력 보다 90° 만큼 위상이 앞설 때의 전기자 반작용은 ?

   ① 교차 자화작용         ② 감자작용          ③ 편자 작용             ④ 증자작용

[해설] 동기발전기의 전기자 반작용

반작용
작용
위상
가로축
(횡축)
교차 자화 작용
동상
직축 (종축)
(자극축과 일치)
감자작용
지상
(90° 늦음 - 전류 뒤짐)
증자작용
진상
(90° 빠름 - 전류 앞섬)

7. 13,200 / 220 변압기에서 1차 전압 6,000 [V] 를 가했을 때 2차 전압은 몇 V인가 ?

   ① 1,000               ② 10                ③ 100                 ④ 1

[해설] 변압기의 권수비

8. 변압기의 규약 효율은 ?

[해설] 규약 효율 : 변압기의 효율은 정격 2차 전압 및 정격 주파수에 대한 출력과 전체 손실이 주어진다.

9.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상 변압기의 냉각 방식은 ?

   ① 유입 자냉식         ② 유입 풍냉식          ③ 유입 수냉식           ④ 유입 송유식

[해설] ㉠ 유입 자냉식 (ONAN)

  ⊙ 절연기름을 채운 외함에 변압기 본체를 넣고, 기름의 대류 작용으로 열을 외기 중에 발산시키는 방법이다.

  ⊙ 일반적으로 주상 변압기도 유입 자냉식 냉각 방식이다.

㉡ 유입 풍랭식 (ONAF)

  ⊙ 방열기가 붙은 유입 변압기에 송풍기를 붙여서 강제로 통풍시켜 냉각 효과를 높인 것

  ⊙ 유입 자랭식 보다 용량을 20 ~ 30 % 정도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대형 변압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10. 1차 900 Ω, 2차 100 Ω 인 회로의 임피던스 정합용 변압기의 권수비는 ?

   ① 81                   ② 9                   ③ 3                       ④ 1

[해설] 임피던스 정합 : 1차와 2차의 임피던스를 같게 하는 것이므로 Z1 = a2Z2 에서

11. 변압기의 결선방식에서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올릴 때 사용하는 결선방식은 ?

   ① Y-Y결선방식             ② △-△ 결선방식                ③ △-Y 결선방식             ④ Y-△ 결선방식

[해설] △-Y 결선 :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올릴 때 사용 (1차 변전소의 승압용)

        ㉡ Y-△ 결선 :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낮추는데 사용 (수전단 강압용)

12. 다음은 3상 유도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결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맞는 사항은 어느 것인가 ?

 

   ① 3상 2극, Y결선            ② 3상 4극, Y결선       ③ 3상 2극, △결선          ④ 3상 4극, △결선

[해설] ㉠ 3상 : A상, B상, C상

          ㉡ 4극 : 극 번호 1, 2, 3, 4

          ㉢ Y결선 : 독립된 인출선 A, B, C와 성형점 N이 존재

13. 정지 상태에 있는 3상 유도 전동기의 슬립 값은 ?

   ① 0                 ② 1                   ③ 2                     ④ 3

[해설] 슬립 (slip) : s

   ㉠ 동기 속도로 회전 (무부하시 ) : N = Ns ∴ S = 0

   ㉡ 정지 상태 (기동시) : N = 0 ∴ s = 1

       ※ 슬립 (slip)

14. 단상 유도전동기 중 고정자 자극의 한 쪽 끝에 홈을 파서 돌출극을 만들고 이 돌출극에 구리 단락 고리를 끼워 회전

       자계를 만들어 기동하는 단상 유도 전동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① 콘덴서 기동형          ② 영구 콘덴서형              ③ 세이딩 코일형             ④ 반발기동형

[참고] 셰이딩 코일형 (Shading coil) 형의 특징

   ㉠ 회전자는 농형이고 고정자의 성층 철심은 몇 개의 돌극으로 되어 있다.

   ㉡ 기동 토크가 작고 출력이 10 W 이하의 소형 전동기에 주로 사용된다.

   ㉢ 운전 중에도 셰이딩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속도 변동률이 크며, 정역 운전을 할 수 없다.

 ※ 반발 기동형

   ㉠ 기동토크가 크게 요구되고, 전원 전압 강하가 큰 부하에 적합하다.

   ㉡ 정류자가 있어 유지 보수가 어렵다.

   ㉢ 기동장치 : 정류자 브러시, 정류자 단락 링

   ㉣ 용도 : 펌프, 컴프레서, 냉동기, 공업용 세척기, 농기계

15. 정격전압이 380 V인 3상 유도 전동기의 1차 입력이 50 kW이고, 1차 전류가 135 A 가 흐를 때 전동기의 역률은 ?

   ① 0.52               ② 0.56                 ③ 0.59                    ④ 0.64

16. 진성반도체를 P형 반도체로 만들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은 ?

   ① 인                 ② 인듐              ③ 비소                   ④ 안티몬

[해설] N형, P형 반도체의 비교

구분
첨가 불순물
명칭
종류
원자가
N형 반도체
도너(donor)
인(P), 비소(As), 안티몬(Sb)
5
P형 반도체
억셉터
(accepter)
인듐(In), 붕소(B), 알루미늄(Al)
3

17. 단상 전파 정류회로에서 전원이 220 V 이면 부하에 나타나는 전압의 평균값은 약 몇 V 인가 ?

   ① 99               ② 198                 ③ 257.4                   ④ 297

[해설] Ed ≒ 0.9 V = 0.9 × 220 = 198 V

18. 다음 그림과 같은 전동기 제어회로에서 전동기 M의 전류 방향으로 올바른 것은 ? (단, 전동기의 역률은 100% 이고,

       사이리스터의 점호각은 0° 라고 본다)

 

   ① 항상 "A"에서 "B"의 방향                   ② 항상 "B"에서 "A"의 방향

   ③ 입력의 반주기 마다 "A"에서 "B" 의 방향, "B"에서 "A"의 방향

   ④ S1과 S4, S2와 S3의 동작 상태에 따라 "A"에서 "B"의 방향, "B"에서 "A"의 방향

[해설] 전동기 M의 전류 방향

   ㉠ 교류 입력 정 (+) 반파일 때 : S1, S4 턴 온 (Turn - On)

   ㉡ 교류 입력이 부(-) 반파일 때 : S2, S3 턴 온 (Turn - On)

         ∴ 항상 "A"에서 "B"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19. SCR 2개를 역병렬로 접속한 그림과 같은 기호의 명칭은 ?

 

   ① SCR             ② TRIAC               ③ GTO                 ④ UJT

[해설] 트라이액 (TRIAC : triode AC switch)

   ㉠ 2개의 SCR을 병렬로 접속하고 게이트를 1개로 한 구조로 3단자 소자이다.

   ㉡ 양 방향이므로 교류 전력 제어에 사용된다.

20. 고장시의 불평형 차 전류가 평형 전류의 어떤 비율 이상으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는 ?

   ① 고전압 계전기           ② 과전류 계전기             ③ 전압 차동 계전기                 ④ 비율 차동 계전기

[해설] 비율 차동 계전기 (RDFR)

   ㉠ 동작 코일과 억제코일로 되어 있으며, 전류가 일정 비율 이상이 되면 동작한다.

   ㉡ 비율 동작 특성은 25 ~ 30 %, 동작 시한은 0.2 S 정도이다.

   ㉢ 변압기 단락 보호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정답] 1. ①    2. ①    3. ①    4. ④    5. ④     6. ④    7. ③     8. ②    9. ①    10. ③    11. ③

            12. ②     13. ②     14. ③     15. ②     16. ②     17. ②     18. ①     19. ②     20. ④

#정류자 #자극편 #공극 #브러시 #전압변동률 #유도전동기 #전절권 #단절권 #감자작용

#전기자반작용 #규약효율 #유입자랭식 #정류회로 #반도체 #셰이딩코일형 #콘덴서기동형 #비율차동계전기 #과전류계전기 #과전압계전기

반응형
반응형

1. 보호계전기 : 기기와 선로의 보호기기

가. 사용 목적에 따른 종류

   ① 과전류 계전기 (OCR) : #과전류 발생시 동작하는 계전기

   ② 과전압 계전기 (OVR) : #과전압 발생시 동작하는 계전기

   ③ 부족전압 계전기 (UVR) : #부족전압 발생시 동작하는 계전기

   ④ 지락계전기 (GR) :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계전기 (접지계전기),  #영상변류기 ( #ZCT ) 필요

   ⑤ 열동계전기 (THR) : 전동기 등에 과부하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계전기

나. 기기 (발전기, 변압기)의 내부 고장 검출

계전기 명칭
    적용 및 특징
접지계전기
   ⊙ 지락전류 검출
   ⊙ 영상변류기 (ZCT)를 사용하는 계전기
거리계전기
   ⊙ 계전기 입력전압과 전류의 비에 따라 작동하는 계전기
비율차동계전기
#부흐홀쯔계전기
   ⊙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용
   ⊙ 발전기 권선의 층간단락 보호
열동계전기
   ⊙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용
역상과전류계전기
   ⊙ 발전기의 부하 불평형 방지

2. 콘덴서의 종류

가. 마일러 콘덴서

   ① 플라스틱 필름을 유전체로 한 콘덴서

   ② 용량의 정밀도가 높고 주파수 특성이 우수

 

나. 마이카 콘덴서

   ① 운모와 금속박막으로 되어 있거나, 운모 위에 은을 발라서 전극으로 만든 콘덴서

   ② 온도변화에 의한 용량변화가 작고 절연저항이 높은 우수한 특성

   ③ 표준콘덴서로 사용

 

다. 세라믹 콘덴서

   ① 비유전율이 큰 산화티탄 등을 유전체로 사용한 콘덴서

   ②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

 

라. 전해 콘덴서

   ① 전기분해하여 금속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만들어 이것을 유전체로 이용한 #콘덴서

   ② 주형으로 큰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음

   ③ 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류회로에는 사용 불가

3. 전선의 굵기

가. 전선의 굵기 결정 3요소

   ① 허용전류 (가장 중요한 요소)

   ② 전압강하

   ③ 기계적 강도

나. 전선 접속시 주의사항

   ① 접속부는 노출시키지 말 것

   ② 접속부분의 절연 성능은 타 부분과 동등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접속점의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것

   ④ 전선의 세기를 20[%] 이상 감소시키지 말 것

다. 전선 단면적의 계산

 

           여기서, A : 전선의 단면적[㎟], L : 선로길이 [m], I : 부하전류 [A]

                        e : 각선로간의 전압강하[V], e' : 각 선로간의 1선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강하[V]

라. 저압 옥내배선의 준공 검사시 측정시험

   ① 절연저항 측정          ② 접지저항 측정            ③ 도통시험

4. 지시전기계기의 구성요소

   가. 구동장치 (Driving Device)

   나. 제어장치 (Controlling Device) : 스프링제어, 중력제어, 전자 제어

   다. 제동장치 (Damping Device) : 공기제동, 와전류 제동, 액체 제동

【 출제 예상 문제】

1. #변압기 내부회로 고장검출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는 ? ①

   ① 비율차동계전기           ② 과전류 계전기            ③ 온도계전기              ④ 접지계전기

[해설] #비율차동계전기 :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용 (내부회로 고장 검출용)

2. 열동계전기 (Thermal relay)의 설치 목적은 ? ①

   ①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② 감전사고 예방          ③ 자기유지             ④ 인터록 유지

[해설] #열동계전기 (Thermal relay) :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3. 3상 3선식 전원으로 부터 80[㎝] 떨어진 장소에 50[A] 전류가 필요해서 14 [㎟] 전선

   으로 배선하였을 경우 전압강하는 몇 [V]인가 ? (단, 리액턴스 및 역률은 무시한다.) ③

    ① 10.17              ② 9.6                 ③ 8.8                    ④ 5.08

[해설] #전압강하 산정시

4. 옥내 배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 ④

   ① 기계적 강도         ② 허용전류               ③ 전압강하                  ④ 역률

[해설] #전선굵기 의 결정 요소 : #허용전류 (가장 중요한 요소),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5. 발전기의 부하가 불평형이 되어 발전기의 회전자가 과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계전기는 ? ①

   ① 역상과전류 계전기             ② 부족전압계전기            ③ #비율차동계전기              ④ 온도계전기

[해설] #역상과전류계전기 : #발전기#부하 #불평형 방지

6. 전선을 접속할 때 주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①

   ① 접속부는 노출시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것

   ② 접속부분의 절연성능은 타부분과 동등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접속점의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것

   ④ 전선의 인장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말 것

[해설] 전선을 접속할 때 주의 하여야 할 사항

   ▣ 접속부는 접속관 및 #슬리브 또는 #와이어커넥터 등의 접속 기구를 사용하거나 납 땜을 할 것

   ▣ 접속부분의 #절연 #성능은 타부분과 동등 이상이 되도록 할 것

   ▣ #접속점#전기저항 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것

   ▣ 전선의 #인장강도 를 20[%] 이상 감소시키지 말 것

 

7. 극성을 가지고 있어 교류회로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은 ?  ② 

  ① 마이카 콘덴서        ② 전해콘덴서        ③ 세라믹 콘덴서           ④ 마일러 콘덴서 

[해설] 전해콘덴서 (Electrolytic condenser) 

  ▣ 전기분해하여 금속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만들어 이것을 유전체로 이용한 콘덴서

  ▣ 주형으로 큰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음

  ▣ 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류회로에는 사용 불가

 

8. 저압 옥내배선의 준공검사의 조합으로 적당한 것은 ?  ③ 

  ① 절연저항 측정, 접지저항 측정, 절연내력 시험

  ② 절연저항 측정, 온도상승 측정, 접지저항 측정

  ③ 절연저항 측정, 접지저항 측정, 도통시험

  ④ 온도상승 시험, 접지저항 측정, 도통시험

[해설] 저압옥내배선의 준공검사시 측정시험

  ▣ 절연저항 측정,  접지저항 측정,  도통시험

 

9. 다음 중 영상변류기 (ZCT)를 사용하는 계전기는 ? ② 

  ① 과전류 계전기      ② 접지계전기           ③ 차동계전기              ④ 과전압계전기

[해설] 접지계전기 : 영상변류기 (ZCT)를 이용한 지락전류 검출

 

10. 지시전기계기의 일반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① 

  ① 가열장치           ② 구동장치           ③ 제어장치            ④ 제동장치

[해설] 지시전기계기의 구성요소 : 구동장치,   제어장치,    제동장치

 

반응형
반응형

1. 변압기 효율

가. 손실

 ▣ 회전기 : 발전기, 전동기 정지기 : 변압기

   ⊙ 고정손 (무부하손) - 철손(Pi) - 히스테리시스손 Ph = nfBm : 규소강판

                                                     - 와류손 Pe = б (tfkBm)2 : 성층 철심

                                     - 기계손 (Pm) - 풍손

                                                            - 마찰손

                                     - 유전체손

    ⊙ 가변손 (부하손) - 동손 (Pc) = I2·R

                                   - 표류부하손

1) 실측효율 (Actual Measured Efficiency)

 

   ① 변압기의 입력과 출력의 실측값으로 부터 계산하여 효율을 계산하는 것

   ②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실측 효율을 계산한다.

 

2) 규약효율 (Conventional Measured Efficiency)

   ① 일정한 규약에 따라 결정한 손실값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효율을 계산

   ② 실측효율에서 변압기의 경우 입력을 측정하기는 번거롭지만 출력은 알기 쉬우므로 규약효율을 많이 사용한다.

   ③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규약효율을 계산한다.

 

    ※ 그림을 통해 효율을 알아보자

 

         ※ I2 는 전부하 전류 (정격전류)

              부하전류  I2 = I 이면 정격상태, 전부하 상태, 변압기가 공급가능한 최대 전류

                               I2 < I 과부하

                               I2 > I m 부하 Io : 무부하

  1) 전부하 효율

 

  2) m부하시 효율

 

  3) 최대 효율 조건

 

  4) 전일 효율 : All day Efficiency, 1일 효율 24시간 효율

    ▣ 출력 × T (사용시간) : 사용전력량 [kWh]

    ▣ 철손 = Pi × 24 시간 손실전력량 [kWh]

    ▣ 동손 × T (사용시간) 손실전력량 [kWh]

   ① 규약효율은 주어진 어떤 시각에서의 부하에 대한 값[kW]에 지나지 않으므로 부하가

        변동할 경우 효율을 종합적으로 판정하기 위해서는 전일효율을 사용해야 한다.

   ② 전일 효율은 규약 효율에서 변압기의 어느 일정한 기간 (주로 1일간) 동안에서의

        전력량[kWh]을 가지고 효율을 계산한 것이다.

 

  5) 변압기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① 부하 역률이 저하되는 경우 ② 경부하로 운전되는 경우 ③ 부하변동이 심한 경우

【기출 & 예상적중 문제】

 ▣ 용량 30[kVA] 단상 주상 변압기가 있다. 이 변압기의 어느 날의 부하가 30[kW]로 4시간, 24[kW]로 8시간,

      8[kW]로 10시간이었다고 한다. 이 변압기의 일부하율 및  전일 효율을 계산하시오.

      (단, 부하역률은 100[%], 변압기의 전부하 동손은 500[W],  철손은 200[W]이다)

 

2. 변압기 보호장치

가. 전기적 보호 장치

  1) 비율차동계전기 (87T : RDR (Ratio Differential Relay))

      ▣ 87 : 비율차동계전기 G : 발전기용 차동계전기

                                            T : 주변압기용 차동계전기

                                            B : 모선 보호용 차동계전기

   ① 내부 고장 보호용 동작전류의 비율이 억제 전류의 일정치 이상일 때 동작

   ② 동작원리

       ⊙ 평상시 or(또는) 외부 고장시 : 차전류 : id = i1 - i2 = 0

       ⊙ 내부 고장시 : 차전류 : id = i1 - i2 ≠ 0

 

   ※ TR : Transformer 변압기,

       R.C : Restrict Coil 억제코일, O.C : Operation Coil 동작코일

 ▣ 계전기 번호 87 - 비율차동계전기

                               - 차동계전기 (오차 심함, 요즘 잘 사용안함)

  ※ 변류기 (CT : Current Transformer)

 

  ※ 동작 전류 id : dynamic

 

2) 비율차동계전기 (87) 결선도

 

나. 기계식 보호 계전기의 종류

 1) 부흐홀쯔 계전기 (96B : Buchholz R/Y)

    ▣ 변압기 본체와 콘서베이터를 연결하는 관의 도중에 설치

 2) 충격 압력 계전기 (96P : Sudden Gas Pressure R/Y)

    ▣ 변압기 내부 사고시 가스 발생으로 충격성의 이상 압력 상승이 생기므로 이 압력

         상승을 순시에 검출하여 차단한다.

  3) 위의 2가지 기계식 보호계전기 이외에도 아래의 장치가 있다.

    ▣ 방압안전장치, 권선 온도계, 유면계 등

【 기출 & 예상 적중 문제 】

  ▣ 그림은 1,2차 전압이 66/22[kV]이고, △-Y결선된 전력용 변압기이다. 1,2차에 CT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차동계전기를 동작시키려고 한다. 주어진 미완성 도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CT와 차동계전기의 결선을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 변압기, 변류기의 결선방법

 

반응형
반응형

 

♠ 모선보호 계전방식

▣ 다음은 모선보호 계전방식을 도면화한 것이다. 이 도면을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모선보호계전방식

(1) 점선안의 계전기 명칭은 ?   비율차동계전기

(2) A, B, C 코일의 명칭을 쓰시오.

      A : 억제코일          B : 억제코일            C : 동작코일

(3) 모선고장 시 코일 C의 전류 ic 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

 

[참고] 모선보호 계전방식

가. 모선보호 계전방식 종류

    ▣ 전류차동방식 (과전류 차동 방식, 비율차동방식), 전압차동방식, 위상비교 방식,

        공심 변류기 방식 등

 

나. 전류 차동방식

 
모선보호계전방식 - 전류 차동 방식

① 사고가 없을 때 : 계전기는 동작하지 않는다.

 

② 내부 고장시 (모선 고장 시) : 계전기가 동작한다.

 

③ 외부고장시

  ▣ 사고선로 CT에는 나머지 선로의 고장전류 합에 해당하는 고장전류가 흘러 CT가

       포화되지 않는다면 OCR의 전류는 서로 상쇄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 만일 외부 고장이 클 경우 사고선로의 CT가 포화되어 OCR에는 오차 전류가 흘러

      오동작 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1. 단권변압기 (승압기)

 ▣ 단자전압이 3,000[V]인 선로에 전압비가 3,300/220[V]인 승압기를 접속하여

    60 [kW], 역률 0.85 의 부하에 공급할 때 몇 [kVA]의 승압기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

 

[답안작성]

 

  ※ 자기용량을 구할 때 e2는 정격전압 220[V]를 적용해도 되고 V2 - V1= 200[V]를

     적용해도 되므로 모두 정답 처리된다. 모두다 적용 가능하다.

【해설 】

 ▣ 단권변압기 승압용

 

  ※ 관련 식들을 알아 보자

 

2. 네트워크 수전방식 변압기 용량

 ▣ 최대 수요전력이 7000[kW], 부하역률 0.92인 네트워크(Network) 수전 회선수 3회선,

     네트워크 변압기의 과부하율 130[%] 경우 네트워크 변압기 용량은 몇 [kVA] 이상이어야 하는가 ?

 

[해설]

 ▣ 스폿 네트워크(Spotnetwork) 수전방식

  ① 스폿 네트워크 수전방식은 저압 집중 부하를 가진 빌딩 등에 무정전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전방식이며

      신뢰도가 매우 높은 반면 시설비가 고가이다.

  ② 과부하 특성

   ⊙ 1회선 사고시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 85[%] 부하 연속 운전후 130[%] 부하로 8시간 과부하운전이 년 3회 가능해야 한다.

 ▣ 스폿 네트워크 수전방식의 특징

  ①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② 기기 이용률이 좋아진다.

  ③ 전압변동률이 적다.                   ④ 전력손실이 감소한다.

  ⑤ 부하기기 증가에 따른 적응성이 우수하다. ⑥ 2차 변전소 수량을 줄일 수 있다.

  ⑦ 전등, 전력의 일원화가 가능하다.

 

3. 정크션 박스 (Joint Box)와 풀박스 (Pull Box)의 용도

  (1) 정크션 박스 : 전선 상호간 접속시 접속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 풀박스 : 전선의 통과를 쉽게 하기 위하여 배관의 도중에 설치

[해설]

 ▣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전선관의 길이가 25[m]를 초과하는 경우는 25[m] 이하마다 풀박스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굴곡부위가 있는 경우는 15[m]를 초과할 수 없다.

     3개소를 초과하는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굴곡개소를 만들어서는 안된다.

 

4. 3상 4선식 배전선로 역V결선

  ▣ 답안지의 그림은 3상 4선식 배전선로에 단상 변압기 3대가 있는 미완성 회로이다.

      이것을 역V결선하여 2차에 3상 전원방식으로 결선하시오.

 

  ▣ 1차에 변압기 2대이고 2차는 3상이므로 1차를 역V결선하고 2차를 V결선한다.

  ▣ 1차 역V결선, 2차 V결선의 중성점은 접지를 하므로 중성선(N)에 연결한다.

【해설】

   ① 1차 역V결선 : 1차 : 2상 (역V결선) ⇒ 2차 : 3상 (V결선)

   ② 2차 역V결선 : 1차 : 3상(V결선) ⇒ 2차 : 2상 (역V결선)

 

5. 전동기 등 현장조작개폐기

  ▣ 전동기, 가열장치 또는 전력장치의 배선에는 이것에 공급하는 부하회로의 배선에는 기계기구

      또는 장치를 분리할 수 있도록 단로용 기구로 각개에 개폐기 또는 콘센트를시설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되는 경우 2가지를 쓰시오.

  ① 배선중에 시설하는 현장조작개폐기가 전로의 각극을 개폐할 수 있는 경우

  ② 전용분기회로에서 공급될 경우

[해설]

 ▣ 내선규정 3110-1 현장조작개폐기

  ⊙ 현장조작개폐기는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고 또한 손잡이, 누름버튼 스위치 등으로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최대 부하전류 이상의 정격전류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 내선규정 3110-2 단로용 기구

 ⊙ 전동기, 가열장치 또는 전력장치의 배선에는 이것에 공급하는 분기회로의 배선에서

     기계기구 또는 장치를 분리할 수 있도록 단로용 기구로 각개에 개폐기 또는 콘센트를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호에 해당할 경우는 적용하지 않는다.

  ① 배선 중에 시설하는 현장조작개폐기가 전로의 각 극을 개폐할 수 있는 경우

  ② 전용분기회로에서 공급하는 경우

 

5. 주상변압기 무부하 시험

 ▣ 그림은 구내에 설치할 3,300[V], 220[V], 10[kVA]인 주상변압기의 무부하 시험방법이다.

     이 도면을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유도전압조정기의 오른쪽 네모 속에는 무엇이 설치되어야 하는가 ?

    ▣ 승압용 변압기

 (2) 시험할 주상변압기의 2차측은 어떤 상태에서 시험을 하여야 하는가 ? 개방

 (3) 시험할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두고 유도전압조정기의 핸들을 서서히 돌려

     전압계의 지시값이 1차 정격전압이 되었을 때 전력계가 지시하는 값은 어떤 값을

     지시하는가 ? 철손

 

6. 콘덴서 설비 단선도

 ▣ 다음 그림은 콘덴서 설비의 단선도이다. 주어진 그림의 ① ~ ⑤ 번과 각 기기의 우리말

     이름을 쓰고 역할을 쓰시오.

 

[답안작성]

① 방전코일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 방전
② 직렬리액터
제5고조파 제거
③ 과전압계전기
정정값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동작하여 경보를 발하거나
차단기를 동작
④ 부족전압계전기
인가된 전압이 정정값보다 낮아지면 동작하여 경보를 발하거나
차단기를 동작
⑤ 과전류계전기
정정값 보다 큰 전류가 흐르면 동작하여 경보를 발하거나
차단기를 동작

 

7. PLC 시퀀스 프로그램

 ▣ 표의 빈칸 (가) ~ (아)에 알맞은 내용을 써서 그림 PLC 시퀀스의 프로그램을

     완성하시오. 단, 사용명령어는 회로시작 (R), AND(A), OR(O), NOT(N), 시간지연

     (DS)이고 0.1초 단위이다.

 

【답안작성】

  (가) 0.0   (나) 50초   (다) T40   (라) R    (마) A    (바) 40.7    (사) W    (아) 3.7)

 

8. 콘덴서 용량 및 접속방법

  ▣ 역률을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개개의 부하에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현장 조작 개폐기 보다도 부하측에 접속하여야 한다. 콘덴서의 용량, 접속방법

      등은 어떻게 시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지와 고조파 전류의 증대 등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콘덴서 용량은 부하의 (무효분) 보다 크게 하지 말 것

  (2)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특히 전용의 (개폐기), (퓨즈), (유입 차단기) 등을

       설치하지 말 것

  (3)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설치로 공급회로의 고조파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할

      경우는 콘덴서 회로에 유효한 (직렬 리액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4) 가연성유봉입(可燃性油封入)의 고압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는 가연성의 벽,

      천장 등과 ( 1 ) [m] 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

 ▣ 내선규정 3240-4 개개의 부하에 고압 및 특고압 진상콘덴서를 시설하는 경우

  ⊙ 역률을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개개의 부하에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는 현장조작개폐기 보다도 부하측에 접속하고 또한 다음 각호에 의하여 시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① 콘덴서의 용량은 부하의 무효분 보다 크게 하지 말 것

  ②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특히, 전용의 개폐기, 퓨즈, 유입차단기 등을 설치하지 말 것

▣ 내선규정 3240-6 고압진상용 콘덴서의 설치장소

  ⊙ 가연성유봉입의 고압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는 가연성의 벽, 천장 등과 1[m]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내화성 물질로 콘덴서와 조영재 사이를 격리한 경우는 예외이다.

▣ 내선규정 3240-8 직렬리액터

 ⊙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설치로 공급회로의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할

     경우는 콘덴서 회로에 유효한 직렬리액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9. 전동기 기동 시퀀스

 ▣ 그림은 PB-ON 스위치를 ON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MC가 동작하여 전동기 M이 운전되는 회로이다.

     여기에 사용한 타이머 ⓣ는 입력신호를 소멸했을 때 열려서 이탈되는 형식인데 전동기가 회전하면

     릴레이 ⓧ가 복구되어 타이머에 입력신호가 소멸되고 전동기는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할 때

     이 회로는 어떻게 고쳐야 하는가 ?

 

【답안작성】

 

10. 콘덴서 과보상시 역효과

 ▣ 역률을 개선하면 전기요금의 저감과 배전선의 손실경감, 전압강하 감소, 설비 여력의 증가 등을

     기할 수 있으나, 너무 과보상하면 역효과가 나타난다. 즉, 경부하시에 콘덴서가과대 삽입되는 경우의

     결점을 3가지 쓰시오.

  ① 모선 전압 상승

  ② 재점호에 의한 과전압 발생

  ③ 계전기 오동작

  (그 외)

  ④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 현상

  ⑤ 선로 및 변압기의 손실 증가

  ⑥ 전원설비 여유용량 감소에 따른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⑦ 고조파 왜곡의 증가 (콘덴서 및 타기기 손상 및 오동작, 변압기 소음 증가)

 

11. 콘덴서 회로의 주파수 변화와 소비전력

 ▣ 저항 4[Ω]과 정전용량 C[F]인 직렬 회로에 주파수 60[Hz]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역률이 0.8이었다.

     이 회로에 30[Hz], 220[V] 의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소비전력은 몇 [W]가 되겠는가 ?

 

12. 시퀀스 제어 회로

 ▣ 그림과 같은 시퀀스 제어회로를 AND, OR, NOT의 기본 논리회로(Logic Symbol)를

     이용하여 무접점 회로를 나타내시오.

 

13.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와 접촉전압

 ▣ 다음 그림은 저압전로에 있어서의 지락고장을 표시한 그림이다. 그림의 전동기 M1(단상 110[V])의

     내부와 외함간에 누전으로 지락사고를 일으킨 경우 변압기 저압측 전로의 1선은 한국전기설비규정에 의하여

     고·저압 혼촉시의 대지전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접지공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앞의 그림에- 대한 등가회로를 그리면 아래와 같다. 물음에 답하시오.

 

  ① 등가회로상 e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접촉전압

  ② 등가회로상의 e값을 표시하는 수식을 표시하시오.

 

 고압측 전로의 중성점이 비접식인 경우에 고압측 전로의 1선 지락전류가 4 [A]라고

  하면 변압기의 2차측(저압측)에 대한 접지저항 값은 얼마인가 ? 또 위에서 구한 접지

  저항값 RA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RB의 값을 구하고 위 등가회로상의 I, 즉, 저압측

  전로의 1선 지락전류를 구하시오. 단, e의 값은 25[V]로 제한하도록 한다.

 

  ※ 고·저압 혼촉시 지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접지저항 RA를 설치하므로 RA를 구할 때

     1차측 지락전류가 2차측에 그대로 흐른다고 보고 1차측 Ig값으로 2차측 접지저항을

     산정할 때 적용한다.

  ※ 고압 또는 특고압과 저압의 혼촉에 의한 위험방지 시설

   ▣ 고압전로 또는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 저압측의 중성점 접지저항

 

 (2) 접지극의 매설 깊이는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 0.75[m] 이상

 (3) 변압기 2차측 접지선은 단면적 몇 [㎟] 이상의 연동선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을 사용하는가 ? 6 [㎟] 이상

 

[해설]

 ▣ KEC 142.7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

  ⊙ 전로에 사용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 (외함이 없는 변압기 또는 계기용 변

     압기는 철심)에는 접지시스템 규정에 의한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 KEC 322.1 고압 또는 특고압과 저압의 혼촉에 의한 위험 방지시설

  ⊙ 고압전로 또는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 저압측의 중성점에는 접지공

      사(사용전압 35[kV] 이하의 특고압전로로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1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는 것 및 특고압 가공전선 선로의 전로 이외의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경우에 계산된 접지저항값이 10[Ω]을 넘을 때에는

      접지저항값이 10[Ω] 이하인 것에 한한다)를 하여야 한다. 다만, 저압전로의 사용전압

      이 300[V] 이하인 경우에 그 접지공사를 변압기의 중성점에 하기 어려울 때에는 저압

      측의 1단자에 시행할 수 있다.

 

▣ KEC 322.5 전로의 중성점 접지

 1. 전로의 보호장치의 확실한 동작의 확보, 이상전압의 억제 및 대지전압의 저하를 위하여

    특히 필요한 경우에 전로의 중성점에 접지공사를 할 경우 접지도체는 공칭단면적 공칭

    단면적 16[㎟]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쉽게 부식하지 아

    니 아니하는 금속선 (저압전로의 중성점에 시설하는 것은 공칭단면적 6[㎟] 이상의 연

    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쉽게 부식하지 않는 금속선)으로서 고장시

    흐르는 전류가 안정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또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2. 제1에 규정하는 경우 이외의 경우로서 저압전로에 시설하는 보호장치의 확실한 동작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전로의 중성점에 접지공사를 할 경우 (저압전로의 사용

    전압이 300[V] 이하의 경우에 전로의 중성점에 접지공사를 하기 어려울 때에 전로의

    1단자에 접지공사를 시행할 경우를 포함한다) 접지도체는 공칭단면적 6[㎟]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쉽게 부식하지 않는 금속선으로서 고장

    시 흐르는 전류가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또한 접지 시스템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14. 축전지 부동충전방식 충전기 2차 전류

  ▣ 알칼리 축전지의 정격용량은 100[Ah], 상시부하 6[kW], 표준전압 [V]인 부동충전방식의

      충전기 2차전류는 몇 [A]인지 계산하시오. 단, 알칼리 축전지의 방전율은 5시간율로 한다.

【답안작성】

 

15. 풍차의 풍력 에너지

  ▣ 회전날개의 지름이 31 [m]인 프로펠러형 풍차의 풍속이 16.5[m/s]일 때 풍력 에너지

      [kW]를 계산하시오. 단, 공기의 밀도는 1,225[kg/m3]이다.

[해설]

  ▣ 풍력발전 출력

 

16. 3상 수전설비 임피던스 맵(Impedance Map)

  ▣ 다음의 임피던스 맵 (Impedance map)과 조건을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Zs : 한전 S/S의 154[kV] 인출측의 전원측 정상 임피던스 1.2[%] (100[MVA] 기준)

   ZTL : 154[kV] 송전선의 임피던스 1.83 [Ω]

   %ZTr1 : 10 [%] (15 [MVA] 기준)

   %ZTr2 : 10 [%] (30 [MVA] 기준)

   %Zc : 50 [%] (100[MVA] 기준)

 

 (1) 다음 임피던스의 100[MVA] 기준의 % 임피던스를 구하시오.

    ① %ZTL      %ZTr1         %ZTr2

 (2) A, B, C 각 점에서의 합성 %임피던스를 구하시오.

    ① %ZA       %ZB           %Zc

 (3) A, B, C 각 점에서의 차단기의 소요 차단전류는 몇 [kA]가 되겠는가 ?

     단, 비대칭분을 고려한 상승 계수는 1.6으로 한다.

 

【답안작성】

 

17. 변압기 보호용 비율차동 계전기

  ▣ △-Y 결선방식의 주변압기 보호에 사용되는 비율차동계전기의 간략화한 회로도이다.

      주변압기 1차 및 2차측 변류기(CT)의 미결선된 2차 회로를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18. 통신선 유도장해 경감 대책

 ▣ 중성점 직접 접지 계통에 인접한 통신선의 전자유도 장해 경감에 관한 대책을 경제성이

     높은 것부터 설명하시오.

 (1) 근본대책 : 전자유도 전압의 억제

 (2) 전력선측 대책 (5가지)

   ① 송전선로를 될 수 있는 대로 통신선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건설한다.

   ② 접지장소를 적당히 선정하여 기유도 전류의 분포를 조절한다.

   ③ 고속도 지락보호 계전방식을 채용한다.

   ④ 차폐선을 설치한다.

   ⑤ 지중전선로 방식을 채용한다.

 (3) 통신선측 대책 (5가지)

   ① 절연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한다.

   ②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통신선에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 배류코일을 설치한다.

   ⑤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19. 전동기 운전 자가 발전기 용량

 ▣ 부하가 유도전동기이며, 기동용량이 1,826[kVA]이고, 기동시 허용전압강하는 21[%]

     이며, 발전기의 과도 리액턴스가 26[%]이다. 이 전동기를 운전할 수 있는 자가 발전기

     의 최소 용량은 몇 [kVA]인지를 계산하시오.

[답안작성]

 

20. 전기용 기호

 ▣ 그림은 교류차단기에 장치하는 경우에 표시하는 전기용 기호의 단선도용 그림기호이다.

   ⊙ 이 그림기호의 정확한 명칭을 쓰시오.

 

  [답안작성] 부싱형 변류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