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선의 접속방법
① 직선 접속
▣ 전선과 전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서로 4회 이상 감는다)
② 분기접속
▣ 하나의 전선을 2개 이상으로 나누는 접속 (심선을 5회 이상 감는다)
③ 종단접속
▣ 전선의 종단부분을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2회 이상 감는다)
④ 슬리브에 의한 접속
▣ 슬리브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2회 이상 감는다)
[참고] 전선 접속시 유의 사항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④ 전기 화학적 성질이 다른 도체를 접속하는 경우 접속부분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
|
2. 전선의 종류
약호
|
명 칭
|
최고허용온도
|
DV
|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
60 [℃]
|
OW
|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
|
HFIX
|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
90 [℃]
|
CV
|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외장(시스) 케이블
|
|
MI
|
미네날 인슐레이션 케이블
|
|
IH
|
하이퍼론 절연전선
|
95 [℃]
|
FP
|
내화 케이블
|
-
|
HP
|
내열전선
|
|
GV
|
접지용 비닐절연전선
|
|
E
|
접지선
|
3. 절연물의 최고 허용 온도
절연물의 종류
|
Y
|
A
|
E
|
B
|
F
|
H
|
C
|
최고허용온도[℃]
|
90
|
105
|
120
|
130
|
155
|
180
|
180초과
|
4.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요소
① 허용전류(가장 중요) : 전선에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치
② 전압강하 : 입력전압과 출력전압과의 차이
③ 기계적 강도 :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손상을 받는 일이 없이 견딜 수 있는 능력
④ 전력손실 : 1초 동안에 전기가 일을 할 때 이에 소비되는 손실
⑤ 경제성 : 투자경비에 대한 연간 경비와 전력손실 금액의 총합이 최소가 되도록 정한다.
5. 전선의 허용전류 (전동기 부하)
가. 측정기구
① 150 [V] 이하 : 직류(DC) 250 [V] 절연저항계
② 150 [V] 초과 : 직류(DC) 500 [V] 절연저항계
나. 절연저항값과 판정기준
전 압
|
절연저항
|
대지전압 150 [V] 이하
|
0.1 [MΩ] 이상
|
대지전압 150 [V] 초과 300[V] 이하
|
0.2 [MΩ] 이상
|
사용전압 300 [V] 초과 400 [V] 미만
|
0.3 [MΩ] 이상
|
사용전압 400 [V] 이상
|
0.4 [MΩ] 이상
|
6. 배선도 표시방법
가. 전선관의 굵기
① 16 = 16 [㎜] ② 22 = 22 [㎜] ③ 28 = 28 [㎜]
나. 전선관의 재질
① 별도 표기 없음 : 강제 전선관 ② VE : 경질비닐전선관
③ F2 : 제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④ PF : 합성수지제 가요관
다. 전선의 굵기
① 1.5 : 1.5 [㎟] ② 2.5 = 2.5 [㎟]
라. 배관의 표시방법
마. 전선 가닥수
바. 옥내배선기호
사. 배선도 표시방법의 예
※ 의미 : 16 [㎜] 합성수지제 가요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을 넣은
천장 은폐배선
아. 철거 : 철거인 경우에는 X를 붙인다.
7. 금속관 공사
가. 강제전선관의 종류
종류
|
호칭 표시방법
|
호칭 규격 [㎜]
|
후강 전선관
|
관 내경[㎜]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
박강 전선관
|
관 외경[㎜]의 근사값을 홀수로 표시
|
15, 19, 25, 31, 39, 51, 63, 75
|
나. 강제전선관
① 1본의 표준길이 : 3.66 [m]
② 관의 두께 : 1.2 [㎜]
다. 합성수지관(경질비닐전선관)
① 1본의 표준길이 : 4 [m]
② 합성수지관 호칭 표시방법 : 관 내경 [㎜]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라. 금속관의 두께
① 콘크리트에 매립 : 1.2 [㎜] 이상
② 기타 : 1 [㎜] 이상
③ 이음매(Joint)가 없는 길이 4 [m] 이하의 것을 건조하고 전개된 곳에 시설하는 경우 : 0.5 [㎜] 이상
마. 금속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나사접속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② 관의 끝 부분에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구조의 부싱을 사용할 것. 다만, 금속관공사로 부터
애자사용공사로 옮기는 경우에는 그 부분의 관의 끝 부분에는 절연부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③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 장치를 할 것
④ 관에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단, 사용전압이 400[V] 미만으로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관의 길이 (2개 이상의 관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체의 길이를 말한다.) 가 4 [m] 이하인 것을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옥내 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 [V] 또는 교류 대지전압 150 [V] 이하로서 그 전선을 넣는 관의 길이가 8[m] 이하
인 것을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또는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⑤ 금속관을 금속제의 풀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관 및 풀박스를 건조한 곳에서 불연성의 조영제에 견고하게 시설하고 또한 관과 풀박스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바. 금속관용 부속품
<각 부속품 사용례>
8. 가요전선관 공사
가. 시설조건
①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 (알루미늄선은 16[㎟]) 이하인 것은 제외
③ 가요전선관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가요전선관은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일 것. 다만,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옥내배선의 사용전압
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전동기에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것에 한한다)에는
1종 가요전선관(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는 비닐 피복 제1종 가요전선관에 한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나. 가요전선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② 가요전선관의 끝부분은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③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습기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때에는 비닐 피복 2종
가요전선관일 것
④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에는 단면적 2.5[㎟] 이상의 나연동선을 전체 길이에 걸쳐 삽입 또는 첨가하여 그 나연동선과
제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양쪽 끝에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다만, 관의 길이가 4[m] 이하인 것을 시설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가요전선관공사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다. 가요전선관 공사에 사용되는 재료
9. 합성수지관 공사
가. 시설조건
① 전선은 절연전선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다음의 것은 적용하지 않는다.
㉠ 짧고 가는 합성수지관에 넣을 것
㉡ 단면적 10 [㎟] (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 이하의 것
③ 전선은 합성수지관 안에서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중량물의 압력 또는 현저한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나.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선정
▣ 합성수지관 배선에 사용하는 경질비닐 전선관 및 합성수지제 전선관, 기타 부속품등 (관 상호 간을 접속하는 것 및
관의 끝에 접속하는 것에 한하며 리듀서를 제외한다)은 다음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①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또는 산업표준화법에 적합한 합성수지제의 전선관 및 박스 기타의 부속품일 것. 다만, 부속품 중
금속제의 박스 및 분진방폭형 가요성 부속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관의 끝 부분 및 안쪽 면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매끈한 것일 것
③ 관[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을 제외]의 두께는 2[㎜] 이상일 것. 다만,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로서 건조한 장소에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한한다)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1.2배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하고 또한 꽃음 접속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할 것
②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5 [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지지점은 관의 끝 · 관과 박스의 접속점 및 관 상호 간의 접속점
등에 가까운 곳에 시설할 것
③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장치를 할 것
④ 합성수지관을 금속제의 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 또는 분진방폭형 가요성 부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스 또는
분진 방폭형 가요성 부속에 접지공사를 할 것. 다만, 사용전압이 400[V] 미만으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V] 또는 교류 대지전압이 150 [V] 이하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
하는 경우
⑤ 합성수지관을 풀 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할 것. 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
는 관 및 풀박스를 건조한 장소에서 불연성의 조영재에 견고하게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⑥ 난연성이 없는 콤바인 덕트관은 직접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전용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관 또는 덕트에 넣어 시설할 것
⑦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 상호 간은 직접 접속하지 말 것
[참고] 전자식 접지저항계
① 검류계 : 지침이 가운데를 가리킬 때 접지저항값을 읽는다.
② 영점조정장치 : 지침이 0에 위치되도록 조정하는 장치
③ 절환스위치 : B(전지검사), Ω(접지저항 측정), V (전압측정)
④ 측정스위치 :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서 누르면서 측정한다.
⑤ 다이얼 : 측정하고자 하는 적당한 접지저항값을 조정한다.
10.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 및 공사방법
가. 내화배선
사용전선의 종류
|
공사방법
|
①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②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③ 6/10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④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⑤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⑥ 300/500 [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 (180 [℃])
⑦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⑧ 버스덕트 (Bus Duct)
⑨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
① 금속관공사
②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③ 합성수지관 공사
※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
부터 25 [㎜] 이상의 깊이로 매설할 것 |
내화전선
|
케이블 공사
|
[비고]
▣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너의 노즐에서 75 [㎜]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 [℃]인 불꽃으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 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용량 3[A]의 퓨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내화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나. 내열배선
사용전선의 종류
|
공사방법
|
①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②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③ 6/10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④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⑤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⑥ 300/500 [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 (180 [℃])
⑦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⑧ 버스덕트 (Bus Duct)
⑨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
① 금속관공사
②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③ 금속덕트공사
④ 케이블공사
|
내화전선 · 내열전선
|
케이블 공사
|
[비고]
▣ 내열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716±10 [℃]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180 [㎜] 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표준(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
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 [℃]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 부터 150 [㎜] 이하
일 것. 또는 소방청장이 고시한 「내열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11. 내화배선, 내열배선 및 일반배선 공사
가. 자동화재탐지설비
나. 옥내소화전설비
다. 옥외소화전설비
라. 비상벨 · 자동식 사이렌 설비
마. 스프링클러설비 · 물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바.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12.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배선전용실에 함께 배선할 경우
① 소방용 케이블은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 전용실 등의 내부에 소방용이 아닌 케이블과 함께 노출하여 배선할 때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간의 피복과 피복간의 이격거리는 15 [㎝] 이상이어야 한다.
② 불연성 격벽을 설치한 경우에 격벽의 높이는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 중 가장 굵은 케이블 지름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출제 예상 문제】
1. 전선 접속시 유의사항을 3가지 쓰시오.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2. 소방펌프용 전동기의 명판에는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를 기호로 표기하고 있다. 다음 표의 빈칸을 완성하시오.
절연물의 종류
|
Y
|
A
|
E
|
(① B)
|
F
|
(②H)
|
C
|
최고허용온도[℃]
|
90
|
(③105)
|
120
|
(④130)
|
(⑤155)
|
180
|
180초과
|
3. 저압 옥내배선의 금속관공사와 가요전선관공사에 사용되는 부품의 명칭을 쓰시오.
가. 노출배관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되는 부품 : 유니버설 엘보
나. 금속관을 아웃렛박스에 로크너트만으로 고정하기 어려울 때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부품 : 링리듀셔
다. 가요전선관과 박스의 연결 : 스트레이트 박스 콘넥터
라. 가요전선관과 금속(스틸)전선관의 연결 : 콤비네이션 커플링
마. 가요전선관과 가요전선관의 연결 : 스프리트 커플링
4. 다음과 같은 배선도가 나타내는 의미를 모두 쓰시오.
[답안작성] 천장은폐배선으로 22[㎜] 후강전선관에 4[㎟] 45/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3가닥과
2.5 [㎟] 접지선 1가닥을 넣는다.
5. 다음과 같은 조건을 참고하여 배선도로 나타내시오.
[조건] ① 배선 : 바닥은폐배선
② 전력선 : 3가닥,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25 [㎟]
③ 접지선 : 1가닥, 접지용 비닐전선 6 [㎟]
④ 전선관 : 후강전선관 36 [㎜]
6. 다음은 금속관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이다. 자재의 사용용도에 대해 쓰시오.
가. 부싱 : 전선의 절연피복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관 끝에 취부하여 사용한다.
나. 유니언 커플링 : 관이 고정되어 있을 때 금속관 상호간을 접속하는데 사용한다.
다. 유니버설 엘보 : 노출배관공사에서 금속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한다.
7. 그림은 금속관 공사의 한 예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① ~④ 에 들어갈 부품 명칭을 쓰시오.
① 노멀밴드 ② 커플링 ③ 새들 ④ 환형 3방출 정크션 박스
나. 노출배관으로 시공할 경우 ① 을 대체할 부품은 무엇인가 ? 유니버설 엘보
8. 후강전선관 배관을 콘크리트 슬리브에 매입하려고 한다. 전선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몇 [㎜]가 적당한가 ? 1.2 [㎜] 이상
9. 배관공사에 대한 사항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합성수지관 1본과 금속관 1본의 길이는 각각 몇 [m] 인가 ?
① 합성수지관 : 4 [m] ② 금속관 : 3.66 [m]
나. 금속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에는 어떤 재료를 사용하며 접속 1개소에 최소 몇 개를 사용하는가 ? 로크너트 2개
다. 강재전선관공사 중 노출배관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3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T형
과 4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크로스(Cross)형이 있는 자재의 명칭은 무엇인가 ? 유니버설 엘보
10. 비상전원의 내화내열전선 사용범위 중 분말소화설비의 배선범위를 그림에 직접 표시 하시오.
[답안작성]
11.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배선전용실에 함께 배선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소방용 케이블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등의 내부에0 소방용이 아닌 케이블과 함께 노출하여 배선할 때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 간의 피복과 피복간의 이격 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 15 [㎝] 이상
나. 부득이 하여 "(가)"와 같이 이격할 수 없어 불연성 격벽을 설치할 경우 격벽의 높이는 굵은 케이블 지름의 몇 배 이상이
어야 하는가 ? 1.5 배 이상
12. 다음은 후강전선관에 대한 사항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후강전선관의 호칭 표시방법은 ? 관내경 [㎜]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나. 후강전선관 1본의 표준길이는 [m]는 ? 3.66 [m]
13. 그림과 같이 1개의 등을 2개소에서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려고 한다. 다음 각물음에 답하시오.
가. ●3의 명칭을 쓰시오. 점멸기 (3로) 3로 스위치
나. 배선에 가닥수를 표시하시오.
다. 전선접속도(실제 배선도)를 그리시오.
14. 22[㎜] 후강전선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과 접지선 2.5 [㎟] 1가닥을 천장
은폐배선하는 배선을 그림기호로 표시하시오.
15. 접지공사에서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방법 3가지를 쓰고, 이 중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은 ?
가. 연결방법 : 용융접속, 납땜접속, 전극 접지용 슬리브를 이용한 압착 접속
나.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 : 용융접속
16. 전자석 접지저항계 결선 및 명칭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를 완성하시오.
나. ①, ② 의 명칭을 쓰고 역할을 설명하시오.
① 영점조정장치 : 지침이 '0'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장치
② 측정스위치 :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장치
17. 금속관 공사에 사용되는 부속품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박스나 캐비닛은 노크아웃의 지름이 금속관의 지름보다 큰 경우 박스나 캐비닛의 내외 양측에 사용하는 부품은 ?
링 리듀셔
나. 금속관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하는 부품은 ? 커플링
다. 금속관이 고정되어 있어 이것을 회전시켜 접속할 수가 없을 때 사용하는 부품은 ? 유니언 커플링
18. 소방설비의 배관배선공사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금속관 말단의 모를 다듬기 위한 기구는 ? 리머
나. 노출배관공사를 할 때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는 부품은 ? 유니버설 엘보
다. 금속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 사용하는 재료와 최소 설치개수는 ? 로크너트 2개
라. 이 그림의 명칭은 ? 유니언 커플링
마. 합성수지관 1본의 표준길이는 몇 [m]인가 ? 4 [m]
19. 다음은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심벌이다. 심벌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단, 영문약호는 우리말로 표현하여 설명할 것)
[답안작성]
(1) 16[㎜] 경질비닐전선관에 1.5[㎟]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을 넣은 천장 은폐배선
(2) 16[㎜] 후강전선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2가닥을 넣은 바닥 은폐배선
(3) 28[㎜]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에 전선이 들어 있지 않은 천장 은폐배선
(4) 전선관의 철거를 말함
20. 다음 그림은 스프링클러설비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각 구성요소 사이 배선을 내화배선, 내열배선, 일반배선으로
구분하여 블록다이어그램을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21. 다음 그림은 옥내소화전설비의 블록선도이다. 각 구성요소 간에 내화 · 내열 · 일반배선으로 배선하시오.
[답안작성]
22.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금속관 공사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를 기입하시오.
가. 금속관 공사에는 조영재 표면에 금속관을 노출하여 부착하는 (① 노출배관)공사, 콘크리트 속에 부설하는 (② 매입배
관)공사, 이중 천장 속에 배관하는 (③ 천장은폐) 공사 등이 있으며, 금속관의 종류에는 후강전선관과 박강전선관이
있다. (④ 후강)전선관의 크기는 내경에 가까운 짝수이고, (⑤ 박강)전선관의 크기는 외경에 가까운 홀수로 나타낸다.
나. 금속관 공사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①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관내에서 전선의 (② 접속)이 없어야 한다.
23. 굴곡장소가 많거나 금속관 공사의 시공이 어려운 경우, 전동기와 옥내배선을 연결할 경우 사용하는 공사방법을
쓰시오. 가요전선관 공사
24. 전기배선공사 방법 중 내화배선과 내열배선의 공사방법에서 배관구조의 차이점을 쓰시오.
가. 내화배선 : 금속관 · 제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또는 합성수지지관에 수납하여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 부터 25[㎜] 이상의 깊이로 매설
나. 내열배선 : 금속관 · 금속제 가요전선관 · 금속덕트 또는 케이블 공사방법
#배선공사 #전선 #내열전선 #내화전선 #절연물 #내화케이블 #절연내력 #대지전압
#전선관 #경질비닐전선관 #가요전선관 #후강전선관 #합성수지관 #금속관 #노멀밴드
#유니버설엘보 #부싱 #로크너트 #링리듀셔 #커플링 #새들 #사이렌 #자동화재탐지설비
'소방설비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전기) 실기 계산문제 공식 정리 (0) | 2023.07.14 |
---|---|
전동기 기동법 및 정류회로 (2) | 2023.07.13 |
전원설비 : 소방관련 전기설비 (0) | 2023.07.10 |
이산화탄소 및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 : 소화설비의 부대전기설비 (0) | 2023.07.10 |
스프링클러설비 : 소화설비의 부대전기설비 (0) | 2023.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