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사용중인 UPS의 2차측에 단락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UPS와 고장회로를 분리하는
방식 3가지를 쓰시오.
① 배선용 차단기에 의한 보호
② 속단퓨즈에 의한 보호
③ 반도체 차단기에 의한 보호
8. 기계설비에 접속되어 있는 3상 교류 전동기는 용량의 대소에 관계없이 고장이 발생하면
여러가지 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전동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과부하 보호 이외에 여러
가지 보호장치가 구성된다. 3상 교류 전동기 보호를 위한 종류를 5가지만 쓰시오.
단, 과부하 보호는 제외한다.
① 단락 보호 ② 지락보호 ③ 회전자 구속보호 ④ 결상보호 ⑤ 역상보호
▣ 전동기 보호
⊙ 과부하 보호, 단락보호, 기동실패 또는 회전자 구속 보호, 지락보호, 결상보호, 역상
보호, 부족전압 보호, 불평형 보호 등
9. 리액터의 종류
▣ 직렬 리액터 : 제5고조파 방지
▣ 병렬(분로) 리액터 : 페란티 현상 방지
⊙ 페란티 현상 : 무부하 충전전류에 의한 수전단전압이 송전단전압 보다 높아지는 현상
▣ 소호리액터 : 지락전류 제한
▣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 억제
10. BCT(Bushing Cirrent Transformer)의 오차 계급
▣ 계전기용 오차계급 (ANSI 규격)
⊙ 계전기용 오차계급으로 2차 단자에 1차 정격전류 5[A]의 2배의 전류(100[A]가 흐를
때 2차 단자전압을 의미한다. 이 때 허용오차는 ± 10[%] 미만이어야 한다.
C100, C 200, C400, C800
⊙ 25 VA 5 P 20 (IEC BS 규격)
25 : 부담
5 : Class (과전류 정수 20에서의 오차)
P : 보호계전기용
20 : 과전류 정수 (최고사고전류 / 정격전류)
※ 계전기용 오차계급 C800 의미
① C : 변류기 Type C형 (Calculating Type)
② 800 : 2차 단자전압 (V = I × Z × n)
(2차에 정격전류의 20배 전류 (100[A]가 흐를 때 나타나는 전압)
※ 부담
① 변류기의 2차측 단자 혹은 3차측 단자에 접속되는 부하 임피던스
(변류기 2차측 단자에 연결되는 모든 부하는 직렬로 연결됨)
② 변류기에 정격 2차 전류를 흘렸을 때 부하 임피던스에서 소비하는 피상전력
부담 [VA] = I2 · Z = (정격 2차 전류)2 × 임피던스
11.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① 극성이 같을 것 (차동접속)
② 권수비(전압비)가 같을 것
③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Z)이 같을 것
④ 각 변압기의 내부저항과 누설리액턴스의 비가 같을 것
12. 발전기 병렬운전 조건 및 조건 맞지 않을 때 현상
13. 피뢰기 용어
①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류용 피뢰기의 구조는 무엇과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직렬갭과 특성요소
②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교류 최고 전압
③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피뢰기 방전 중 피뢰기 단자에 남게 되는 충격 전압
14. 단권변압기의 장점 3가지, 단점 2가지, 사용용도 2가지
가. 장점
① 동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②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좋아진다.
③ 전압강하, 전압변동률이 작다.
나. 단점
① 누설리액턴스가 적어 단락전류가 크다.
② 1차측에 이상전압 발생시 2차측에도 고전압이 걸려 위험하다.
다. 사용용도
① 배전선로의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② 동기전동기, 유도전동기의 기동보상기용 변압기
15. 변압기 호흡작용
가. 변압기의 호흡작용이란 ?
▣ 변압기 외부 온도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내부에 있는 절연유의 부피가 수축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공기가 변압기 내부로 출입하게 되는데 이를
변압기의 호흡작용이라 한다.
나. 호흡작용으로 인한 문제점
▣ 호흡작용으로 인해 변압기 내부에 수분 및 불순물이 혼입되어 절연유의 절연내력을
저하시키고 침전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 호흡작용 문제점 방지대책
▣ 콘서베이터 (Conservator) 설치
※ 변압기 절연유 열화방지 대책
① 콘서베이터(Conservator) 설치
② 콘서베이터 유면 위에 불활성 질소를 넣어 공기의 접촉을 방지 (질소 봉입 방식)
③ 유리통에 탈수제인 실리카겔을 넣어 수분을 흡수하도록 브리더(흡습호흡기)를 설치
16. 콘덴서 기동형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원리를 쓰시오.
▣ 주권선(운전권선) 전류와 보조권선(기동권선) 전류의 위상차에 의한 회전자계에 의해
기동하는 단상 유도 전동기이다.
※ 콘덴서 기동형
①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의 한 종류
② 보조권선 : 기동권선
주권선 : 운전권선
회로도
③ 보조권선의 외부에 직렬로 콘덴서를 접속하여 보조권선의 전류를 주권선의 전류보다
90˚ 앞서게 함으로써 위상차가 생겨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기동한다. 가동이 끝나면
원심력 스위치 CS가 동작하여 보조권선을 분리한다.
17. 감리원은 공사 완료 후 준공검사 전에 공사업자로 부터 시운전 절차를 준비하도록 하여
시운전에 입회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시운전 완료 후 성과품을 공사업자로 부터 제출받
아 검토한 후 발주자에게 인계하여야 할 사항(서류 등)을 5가지만 쓰시오.
① 운전개시, 가동 절차 및 방법
② 점검항목 점검표
③ 운전지침
④ 기기류 단독 시운전 방법 검토 및 계획서
⑤ 실가동 Diagram
▣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 제59조 (준공검사 등의 절차)
감리원은 시운전 완료 후 다음 각호의 성과물을 공사업자로 부터 제출받아 검토한 후
발주자에게 인계하여야 한다.
① 운전개시, 기동절차 및 방법
② 점검항목 점검표
③ 운전지침
④ 기기류 단독 시운전 방법 검토 및 계획서
⑤ 실가동 Diagram
⑥ 시험구분, 방법, 사용매체 검토 및 계획서
⑦ 시험성적서
⑧ 성능시험 성적서 (성능시험 보고서)
18. 변압기, 발전기, 모선 또는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어느 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기계적
충격에 견디는 강도를 가져야 하는가 ? 단락전류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 23조 발전기 등의 기계적 강도
⊙ 발전기, 변압기, 조상기, 계기용변성기, 모선 및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단락전류에 의하
여 생기는 기계적 충격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19. 변압기의 손실과 효율
가. 변압기의 무부하손과 부하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무부하손 : 부하의 유무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손실과 철손이 있다.
▣ 부하손 : 부하전류에 의한 저항손을 말하며 동손이 있다.
나. 변압기의 효율을 구하는 공식
효율
다. 변압기의 최대 효율 조건을 쓰시오.
▣ 최대효율 조건은 철손과 동손이 같을 때이다.
20. 전력퓨즈의 역할과 기능
가. 퓨즈의 역할을 크게 2가지로 대별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나. 각종 개폐기와 기능 비교표
다. 퓨즈의 특징 3가지
① 용단특성
② 단시간 허용특성
③ 전차단 특성
21. 수전설비 단선결선도에서 LBS는 ?
① 우리말 명칭 : LBS : Limit Breaker Switch : 부하 개폐기
② LBS 부하개폐기의 기능과 역할
▣ 기능 : 정상상태의 무부하 전류 및 부하전류를 개폐할 수 있으나 고장전류는 차단할 수
없음
▣ 역할 : 걔폐빈도가 낮은 송배전선 및 수변전 설비의 인입구 개폐
③ 같은 용도로 쓰이는 기기 2종류 : 기중부하개폐기, 자동고장구분 개폐기
22. 플리커 현상 경감 대책
가. 전원측에서의 대책
① 전용계통으로 공급한다.
②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③ 전용변압기로 공급한다.
④ 공급전압을 승압한다.
나. 수용가 측에서의 대책
① 전원계통에 리액터분을 보상하는 방법
⊙ 직렬콘덴서방식
⊙ 3권선 보상 변압기 방식
②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방법
⊙ 부스터 방식
⊙ 상호 보상 리액터 방식
③ 부하의 무효전력 변동분을 흡수하는 방법
⊙ 동기조상기와 리액터 방식
⊙ 사이리스터(Thyrister) 이용 콘덴서 방식
⊙ 사이리스터 리액터
④ 플리커 부하전류의 변동분을 억제하는 방법
⊙ 직렬 리액터 방식
⊙ 직렬 리액터 가포화 방식
23. 전력용 진상 콘덴서의 정기점검(육안검사) 항목 3가지를 쓰시오.
① 단자부 이완 및 과열여부 점검
② 기름 누설 여부
③ 애자 손상 여부
▣ 전력용 콘덴서 정기점검
① 육안검사 : 단자부 이완, 단자부 과열, 기름누설, 애자손상, 용기 등의 녹발생,
보호장치 동작
② 후각 검사 : 이상한 냄새 여부
③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계)
④ 기기의 온도 (온도계)
24. 감리원은 매분익 마다 공사업자로 부터 안전관리 결과 보고서를 제출받아 이를 검토
하고 미비한 사항이 있을 때에 시정조치 해야 한다. 안전관리 결과 보고서에 포함
되어야 하는 서류 5가지만 쓰시오.
① 안전관리 조직표
② 안전보건 관리체계
③ 지해발생현황
④ 산재요양신청서 사본
⑤ 안전교육 실적표
▣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 제49조 (안전관리결과 보고서의 검토)
감리원은 매 분기마다 공사업자로 부터 안전관리 결과 보고서를 제출받아 이를 검토하고
미비한 사항이 있을 때에는 시정하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안전관리결과보고서에는 다음
각 호와 같은 서류가 포함되어야 한다.
① 안전관리 조직표
② 안전보건 관리체계
③ 재해발생 현황
④ 산재요양신청서 사본
⑤ 안전교육 실적표
⑥ 그밖에 필요한 서류
25. 피뢰기를 설치해야 할 장소 기준 4가지를 쓰시오.
①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② 특고압 가공전선에 접속하는 배전용변압기의 고압 및 특고압측
③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 으로 부터 공급받는 수용가의 인입구
④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26. 욕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에 설치하여야 하는 저압 차단기의 정확한 명칭을 쓰시오.
▣ 인체 감전 보호용 누선차단기
※ KEC 234.5 콘센트의 시설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
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 15[mA]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의 것에 한한다) 또는 절연변압기(정격용량 3[kVA] 이하인 것에 한한다)로 보호된
전로에 접속하거나,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시설하여야 한다.
27. 다음은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 중 감리원의 공사중지 명령과 관련된 사항
이다. ① ~ ⑤의 알맞은 내용을 답란에 쓰시오.
감리원은 시공된 공사가 품질확보 미흡 또는 중대한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
되거나, 안전상 중대한 위험이 발견된 경우에는 공사중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공사중지는
부분중지와 전면중지로 구분한다. 부분중지의 경우는 다음 각호와 같다.
⊙ ( ① ) 이(가) 이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다음 단계의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 ② )이(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될 때
⊙ 안전 시공상 ( ③ ) 이(가) 예상되어 물적, 인적 중대한 피해가 예견될 때
⊙ 동일 공정에 있어 ( ④ ) 이 (가) 이행되지 않을 때
⊙ 동일 공정에 있어 ( ⑤ ) 이(가) 있었음에도 이행되지 않을 때
▣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 제41조 (감리원의 공사 중지명령 등)
전력기술관리법 제13조에 따라 감리원은 공사업자의 공사의 설계도서, 설계명령서 그 밖
에 관계 서류의 내용과 적합하지 아니하게 시공하는 경우에는 재시공 또는 공사중지 명령
이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1. 재시공
시공된 공사가 품질확보 미흡 또는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감리원의
확인 · 검사에 대한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후속 공정을 진행한 경우와 관계 규정에 마지 아
니하게 시공한 경우
2. 공사중지
시공된 공사가 품질확보 미흡 또는 중대한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안
전상 중대한 위험이 발견된 경우에는 공사중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공사중지에는 부분중지
와 전면중지로 구분된다.
가. 부분중지
① 재시공 지시가 이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다음 단계의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하자발생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될 때
② 안전시공상 중대한 위험이 예상되어 물적, 인적 중대한 피해가 예견될 때
③ 동일 공정에 있어 3회 이상 시정지시가 이행되지 않을 때
④ 동일 공정에 있어 2회 이상 경고가 있었음에도 이행되지 않을 때
나. 전면중지
① 공사업자가 고의로 공사의 추진을 지연시키거나, 공사의 부실 발생우려가 짙은 상황에
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공사를 계속 진행하는 경우
② 부분중지가 이행되지 않음으로써 전체공정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될 때
③ 지진 · 해일 · 폭풍 등 불가항력적인 사태가 발생하여 시공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
④ 천재지변 등으로 발주자의 지시가 있을 때
28. 단상 유도 전동기 종류 (기동형태에 따라)
29. AISS의 명칭을 쓰고 기능을 2가지 쓰시오.
▣ AISS : 기중 절연형 자동 고장 구분 개폐기
▣ 기능 : ①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개방하여 사고확대를 방지
② 전부하 상태에서 자동(또는 수동)으로 개방하여 과부하 보호
30. 피뢰기의 공칭 방전전류
▣ 내선규정 제3250절 피뢰기
공칭방전전류
설치장소
적용조건
10,000[A]
변전소
⊙ 154[kV] 이상의 계통 ⊙ 66[kV] 및 그 이하의 계통에서 Bank 용량이 3000[kVA]를 초과 하거나 특히 중요한 곳 ⊙ 장거리 송전케이블 (배전선로 인출용 단거리케이블은 제외) 및 정전축전기 Bank를 개폐하는 곳 ⊙ 배전선로 인출측 (배전 간선 인출용 장거리 케이블은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