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상가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연설비의 전기계통도이다. A ~ E 까지의 배선수와 각 배선의 용도를 쓰시오.

    (단, 모든 댐퍼는 모터구동방식이며, 별도의 복구선은 없는 것으로 한다. 배선수는 운전조작상 필요한 최소전선수를

      쓰도록 한다)

 

기호
구 분
배선수
배선
굵기
배선의 용도
A
감지기 ↔수동조작함
4
1.5 ㎟
공통 2, 감지기 2
B
댐퍼 ↔ 수동조작함
4
2.5 ㎟
전원 +, -, 기동 1, 배기확인 1
C
수동조작함 ↔ 수동조작함
6
2.5 ㎟
전원 +, -, 기동2, 배기확인 1, 회로 1
D
수동조작함 ↔ 수동조작함
10
2.5 ㎟
전원 +, -, (기동2, 배기확인1, 감지기 1) × 2
E
수동조작함 ↔ 수신반
14
2.5 ㎟
전원 +, -, (기동2, 배기확인1, 감지기 1) × 3
F
MCC ↔ 수신반
5
2.5 ㎟
기동, 정지, 공통, 전원표시등, 기동표시등

2. 아래 그림은 특별피난계단에 시설되는 전실제연설비에 대한 것이다. 주어진 각 조건을 숙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각 댐퍼(Damper)의 기동은 동시기동방식이다.

  ⊙ 수동조작함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 감지기의 공통선만 별도로 한다.

  ⊙ MCC의 전원감시기능은 있는 것으로 본다.

  ⊙ 종단저항은 급기댐퍼 내에 설치한다.

 

  가. ⓐ ~ ⓖ의 명칭은 ?

   ⓐ 배기댐퍼      ⓑ 급기댐퍼               ⓒ 연기감지기                ⓓ 종단저항

   ⓔ 배기팬          ⓕ 환기팬                  ⓖ 수신반(수신기)

  나. ① ~ ⑧의 전선 가닥수는 ?

 

 

   ① 4가닥 (전원 +, -, 기동 1, 배기확인 1)

   ② 7가닥 (전원 +, -, 기동 2, 급기확인1, 배기확인 1, 감지기 1)

   ③ 5가닥 (기동1, 정지1, 공통 1, 전원확인표시등 1, 기동확인 1)

   ④ 4가닥 (전원 +, -, 기동, 배기확인)

   ⑤ 7가닥 ( 전원 +, -, 기동 2, 급기확인 1, 배기확인 1, 감지기 1)

   ⑥ 12가닥 (전원 +, -, 기동 4, 급기확인 2, 배기확인 2, 감지기 2)

   ⑦ 4가닥 (공통 2, 감지기 2)

   ⑧ 4가닥 (공통 2, 감지기 2)

3. 아래 도면은 전실 제연설비의 전기적인 계통도이다. 이 계통도와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기동 시는 솔레노이드 기동방식으로 하고 복구 시는 모터 복구방식을 채택한다.

   ⊙ 터미널 보드(TB)에 감지기 종단저항을 내장한다.

   ⊙ 중계기와 중계기 사이에는 전원 +, -, 신호 2선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 "3"항의 답안작성 예 :

    선번호        기능명칭

        1             × × ×

        2             ○○○

        3           △△△

 

가. 전원 공통선과 감지기 공통선을 별개로 사용할 경우 ① ~ ⑨ 까지의 배선되어야 할 전선의 가닥수는 최소 몇 가닥이

      필요한가 ?

 

 

   ① 4가닥

   ② 4가닥 (전원 +, -, 기동 1, 확인 1)

   ③ 5가닥 (전원 +, -, 기동2, 확인1)

   ④ 4가닥 (전원 +, -, 기동 1, 확인 1)

   ⑤ 9가닥 (전원 +,-, 기동 2, 확인 1, 감지기공통 2, 감지기 2)

   ⑥ 8가닥 (전원 +, -, 기동 2, 급기확인 1, 배기확인1, 감지기공통1, 감지기1)

   ⑦ 4가닥 (전원 +, -, 신호 2)

   ⑧ 4가닥 (전원 +, -, 신호 2)

   ⑨ 4가닥 (전원 +, -, 신호 2)

  나. A ~ E 까지의 명칭을 쓰시오.

    A : 수동조작함       B : 급기댐퍼        C : 배기댐퍼        D : 연기감지기        E : 중계기

 다. 급기 또는 배기댐퍼에서 터미널 보드(TB), 터미널 보드에서 중계기, 중계기에서 수신반(감시반)까지 연결되는

       각 선로의 전기적인 기능 명칭을 쓰시오.

 

4. 다음 그림은 전실 급배기 댐퍼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댐퍼는 모터식이며 복구는 자동복구이고,

    전원은 제연설비반에서 공급하고 기동은 동시에 기동하는 것이다)

 

   가. A, B, C의 명칭을 쓰시오.

         A : 배기 or 급기 댐퍼         B : 단자반 (접속함)          C : 급기 or 배기 댐퍼

   나. ①, ②, ③, ④ 의 전선가닥수를 쓰시오.

     ① 4가닥       ② 4가닥           ③ 4가닥

     ④ 6가닥 (전원 +, -, 기동 1, 급기확인 1, 배기확인 1, 감지기 1)

 

   다. B의 설치 높이는 ? 0.8 m 이상 1.5 m 이하

5. 다음은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한 댐퍼기동방식과 수동복구방식을 채택한 전실제연설비의 계통도를 보여주고 있다.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전선가닥수와 선로의 용도를 쓰시오.

 

항목
전선가닥수
용 도
4
회로 2, 공통 2
5
전원 +, 전원 -, 기동출력 1, 복구스위치1, 배기댐퍼기동확인
3
기동, 확인, 공통
5
전원 +, 전원 -, 기동출력 1, 복구스위치 1, 급기댐퍼기동확인
 

#제연설비 #감지기 #수동조작함 #수신반 #수신기 #복구스위치 #댐퍼 #지구 #회로

#감지기 #배기팬 #종단저항 #사이렌 #중계기 #터미널보드 #배기댐퍼 #단자반

반응형
반응형

1. 옥내 소화전설비 도면 작성 및 가닥수 산출시 유의사항

  ※ 옥내소화전설비의 펌프 기동 방식

    ① 자동 (기동용 수압개폐방식)

    ② 수동 (ON-OFF) 방식

   ※ 제어반 : 동력제어반[MCC]과 감시제어반(수신반)으로 구분한다.

가. 도시기호 (심벌)

 

 나. 옥내소화전설비의 배선 가닥수

[ 계통도 연결 ]

 

▣ 작동 설명

  <자동 : 기동용수압개폐방식>

  ⊙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화재를 감시하여 자동으로 물이 분사되는 방식으로 물이 분사되면 2차측 배관 (기동용수압개폐

       장치(PS)) 이후의 배관의 압력이 낮아져 PS가 접촉이 붙어 수신기에 신호가 전달되고 수신기에서 MCC를 거쳐 펌프

       에 기동신호가 전달되어 펌프가 가동되고 소화설비가 작동한다.

  ⊙ 소화전 - 소화전, 소화전 - 제어반간 전선가닥수 : 2가닥

  ⊙ 자동(기동용수압개폐방식) 소화전과 수신반과의 전선은 2가닥으로 연결된다. 공통선과 펌프기동확인등 (전원확인등)

       1 즉, 표시램프선 2개선이 연결된다.

 

  < 수동 : ON - OFF 방식>

  ⊙ ON, OFF의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동작신호가 수신기를 거쳐 펌프에 전달되어 펌프가 기동하고 소화설비가

       가동된다.

  ⊙ 소화전 - 소화전, 소화전 - 수신반간 전선가닥수 : 5가닥

전체
공통
ON S/W
OFF S/W
펌프기동표시등 (정지)
5가닥
1
1
1
2

  ※ 위 표에서 공통선은 ON S/W 와 OFF S/W의 공통선이며 ON S/W 와 OFF S/W는 220 [V]의 전원에 연결하여 공통 1 과

      ON S/W 1, OFF S/W 1 으로 3가닥이 되며 펌프기동표시등(정지)은 24[V]의 약전류의 램프 점등선으로 +와 -의 2개선

      이 연결된다. 이를 다르게 표시하면 공통선 1, 펌프기동표시등 1 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선과 표시등(램프등)선

      은 구별하여 연결된다. 펌프기동표시등은 펌프에 전원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해 주는 역할도 하므로 전원확인표시등

      이라고도 한다.

  ※ 소화전의 연결선은 수동은 5개선, 자동은 2개선이 연결되는데 이는 소화전수가 증가해도 변함없이 수동은 5개선, 자동

      은 2개선으로 연결된다.( 소화전간 전선 점프)

  ※ 충압펌프 : 위 그림에서는 주펌프만 표시

    ⊙ 충압펌프는 평상시 배관에 누수 등으로 수압이 낮아지는 경우 주펌프로 수압을 올리게 되면 주펌프의 기능이 저하

        되므로 배관에 수압이 낮아지면 배관의 수압을 보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펌프이다. 실제 소화작용할 때는 가동되지

        않는 펌프이다.

   ⊙ 그림에서 충압펌프가 표시되면 전선가닥수는 수신반과 2개선이다.

  [전선가닥수]

구 분
수동방식 (ON-OFF방식)
자동방식
(기동용수압개폐장치 방식)
소화전함 ↔ 소화전함,
소화전함 ↔ 제어반(수신반)
기본 가닥수 : 5가닥
[공통, ON(기동), OFF(정지),
펌프기동표시등 2]
기본 가닥수 : 2가닥
(펌프 기동 표시등 2)
압력탱크 ↔ 제어반(수신반)
-
기본 가닥수 : 2가닥
[PS (압력스위치) 2 ]
MCC ↔ 수신반(제어반)
기본 가닥수 : 5가닥
[공통, ON(기동), OFF(정지),
펌프기동표시등,
전원감시표시등(펌프정지표시등)]
기본 가닥수 : 5가닥
[공통, ON(기동), OFF(정지),
펌프기동표시등,
전원감시표시등(펌프정지표시등)]

   <수동 : ON, OFF 방식> 소화전 -  소화전, 소화전 - 수신반간 전선가닥수 : 5가닥

 ※ 수동 소화전에는 ON S/W와 OFF S/W, 펌프기동표시등 이 전선은 공통 1, ON S/W 1, OFF S/W 1, 펌프기동확인 1로

      합계 5가닥이 연결되는데 공통선은 ON S/W 와 OFF S/W의 공통선이며 ON S/W 와 OFF S/W는 220 [V]의 전원에 연결

      하여 공통 1 과 ON S/W 1, OFF S/W 1 으로 3가닥이 되며 펌프기동표시등(정지)은 24[V]의 약전류의 램프 점등선으로

      +와 -의 2개선이 연결된다. 이를 다르게 표시하면 공통선 1, 펌프기동표시등 1 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선과 표

      시등(램프등)선은 구별하여 연결된다. 펌프기동표시등은 펌프에 전원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해 주는 역할도 하므로 전

      원확인표시등이라고도 한다.

 <자동 :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방식> 소화전 -  소화전, 소화전 - 수신반간 전선가닥수 : 5가닥

 ※ 수동 소화전에는 소화전 - 소화전, 소화전 - 제어반간 전선가닥수는 2가닥이다. 자동(기동용수압개폐방식) 소화전과 수

     신반과의 전선은 2가닥으로 연결되는데 공통선과 펌프기동확인등 (전원확인등) 1 즉, 표시램프선 2개선이 연결된다.

  

[참고] 옥내소화전설비 배선의 또 다른 명칭

기본
가닥수
공통
ON
OFF
펌프기동
표시등
PS
전원감시표시등
동일
명칭
-
기동
정지
펌프기동,
확인표시등,
운전표시
압력
스위치
펌프정지표시등, 정지표시(문제의 조건에 전원감시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전원감시 표시등으로 답할 것)

 

2. 계통도

가. 계통도 도면

 

  ▣ 배선내역

기호
구 분
배선수
배선굵기
배선의 용도
A
소화전함 ↔ 수신반
ON,
OFF식
5
2.5 ㎟
공통, ON(기동), OFF (정지),
펌프기동표시등 2
수압
개폐식
2
2.5 ㎟
펌프기동표시등 2
B
압력탱크 ↔ 수신반
2
2.5 ㎟
PS (압력스위치) 2
C
MCC ↔ 수신반
5
2.5 ㎟
공통, ON(기동), OFF(정지), 펌프
기동표시등(운전표시), 전원감시
표시등(펌프정지표시등, 정지표시)

나. 계통도면 2

  ▣ MCC에서 전원감시기능이 있는 것으로 한다.

 

  ▣ 배선내역

 

#수신반 #제어반 #소화전 #압력스위치 #압력챔버 #펌프 #옥내소화전 #전원 #압력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