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가압 송수장치

가. 고가 수조 방식

  ▣ 특정소방대상물의 옥상 또는 높은 지점수조를 설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 방수압력규정 방수량

       얻는 방식

    H = h1 + h2 + 17 [m]

      여기서, H : 필요한 낙차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 수두 [m]

                   17 : 옥내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두 [m] (0.17 MPa → 약 17m)

 

※ 각 설비별 방수압 · 방수량

구 분
방수압
방수량
옥내소화전설비
0.17 MPa 이상 (0.7 MPa 초과시 감압장치 설치)
130 ℓ/min 이상 (옥내소화전 최대 2개)
옥외소화전설비
0.25 MPa 이상(0.7 MPa 초과시 감압장치 설치)
350 ℓ/min 이상 (옥내소화전 최대 2개)
스프링클러설비
0.1 MPa 이상  1.2 MPa 이하
80 ℓ/min 이상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0.1 MPa 이상
50 ℓ/min 이상
드렌처 설비
0.1 MPa 이상
80 ℓ/min 이상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특수가연물
2.3 ℓ/min·㎡ 이상
기타의 것
1.63 ℓ/min·㎡ 이상
연결송수관설비
0.35 MPa 이상
⊙ 2,400 ℓ/min, 3,200, 4,000
(계단식 아파트 : 1,200ℓ/min 이상)
- 해당 층에 설치된 방수구가 3개 초과
  (최대 5개)시 방수구 마다 
800 ℓ/min
  (계단식 아파트 :
400 ℓ/min)을 가산
소화용수설비
0.15 MPa 이상
(소화수조가 옥상 또는 옥탑에 설치된 경우에 지상에
설치된 채수구에서의 압력)
⊙ 수원의 소요수량
   - 20~40 ㎥ 미만 : 1,100ℓ/분 이상
   - 40~100 ㎥ 미만 : 2,200ℓ/분 이상
   - 100 ㎥ 이상 : 3,300 ℓ/min 이상

※ 압력수조에 설치해야 할 부속장치

  ① 수위계   ② 급수관   ③ 배수관   ④ 급기관   ⑤ 압력계   ⑥ 안전장치    ⑦ 자동식 공기 압축기   ⑧ 맨홀

나. 압력수조방식

탱크의 1/3은 자동식 공기압축기로 압축공기를 2/3를, 2/3는 급수펌프로 물을 가압시켜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 및 규정 방수량을 얻는 방식

  P = P1 + P2 + P3 + 0.17 [MPa]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Pa]

                  P3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0.17 : 옥내 소화전설비 규정 방수압력 (0.17 MPa)

 

다. 펌프 방식

  펌프의 가압에 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규정방수량을 얻는 방식

    H = h1 + h2 + h3 + 17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h3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17 : 옥내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 [m] (0.17 MPa → 약 17 m)

 

※ 토출양정   - 일제개방밸브 : 유수검지장치까지

                     - 나머지 : 최고위 살수장치 높이 까지

※ 실양정 : 흡입양정 [m] + 토출양정 [m]

※ 펌프 송수불능의 원인

   ① 스트레이너 막힘

   ② 토출 압력 불충분

   ③ 유효흡입양정 (NPSH)의 부족

[참고] 옥내소화전설비 전양정 계산시 알아 두어야 할 사항

 

1)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h1)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 호스의 길이 × 호스의 개수 × 100 m 당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2)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h2)

호칭구경 [A]
유량 [ℓ/min]
직관 및 관부속품의 등가길이 [m]
100 m 당 마찰손실
마찰손실수두 [m]

3) 실양정 (h3)

  후드밸브로 부터 최상층 옥내 소화전 호스접결구 (앵글밸브)까지의 수직거리

      ∴ 실양정 = 흡입양정 + 토출양정

※ 펌프의 직 · 병렬 운전

                   1) 펌프의 직렬 운전                                                               2) 펌프의 병렬운전

                       ① 토출량 : Q                                                                         ① 토출량 : 2Q

                       ② 양정 : 2H                                                                           ② 양정 : H

[참고] 펌프의 종류

펌 프
터보형 펌프


원심펌프

볼류트 펌프 : 안내깃(날개)이 없다.   고유량, 저양정
터빈 펌프 : 안내깃(날개)이 있다.   저유량, 고양정
사류 펌프
축류 펌프
용적형 펌프






왕복 펌프


피스톤 펌프
플런저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윙 펌프
회전 펌프


기어 펌프
베인 펌프
롤러 펌프
나사 펌프
특수형 펌프
제트 펌프 (분사 펌프)
기포 펌프
수격 펌프

라. 가압수조방식

   가압원인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고압기체 (N2 등)에 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 방수압력 및 규정방수량

   얻는 방식

마. 감압장치의 종류 (시험 자주 출제, 3가지를 쓰시오)

  ① 감압밸브 방식 : 배관 도중에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감압하는 방식

 

  ② 고가수조방식 : 건물의 옥상고가수조를 설치하고 저층부에 대하여 0.7 MPa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압송수

                                펌프 없이 자연 낙차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방식

 

  ③ 전용배관방식 : 설비의 시스템 (System)을 고층부저층부로 분리한 후 주배관 및 펌프 등을 각각 별도구분하여

                               설치하는 방식

 

  ④ 중계펌프 (Booster pump) 방식 : 건물의 중간층에 중계펌프 (Booster pump) 및 중간 수조별도로 설치하는 방식

 

 ⑤ 감압용 오리피스 방식 : 호스접결구의 앵글밸브의 인입구측에 오리피스를 설치하는 방식

 

#가압송수장치 #오리피스 #중계펌프 #감압밸브 #고가수조 #터빈펌프 #볼류트펌프

#양정 #방수구 #방수량 #옥내소화전 #압력수조방식 #마찰손실수두 #낙차

반응형
반응형

1. 벌류트 펌프

  ▣ 다음 기계 장치의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벌류트 펌프 (Volute pump)

  ※ 볼류트 펌프 (Volute pump)

   ⊙ 원심 펌프의 일종으로 밀폐된 나선형의 케이싱 내에서 날개차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원심력을 이용해서 물을 보낸

        다. 안내 날개가 없고 날개차만을 가진 것이 터빈 펌프와의 차이점이다. 소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가정 널리 이용

        된다. 각종 산업에서 순환펌프, 인라인펌프, 배수펌프, 소화전 펌프, 농업용 펌프 등에 사용된다.

 

  ※ 볼류트(Volute) : 세크롤이라고도 한다. 이오니아 식 오더의 주두에 쓰이는 회오리형의 장식. 코린트 식 주두의 회오리

                 장식 부분과 그외의 회오리형 장식도 때때로 볼류트라 부른다.

 

2. 다단 벌류트 펌프

  ▣ 다음 기계 장치의 명칭을 쓰시오.

 

  ▣ 명칭 : 다단 벌류트 펌프

    ※ 다단 벌류트 펌프는 날개차가 여러개 있는 다단 원심 펌프이다.

3. 다단 원심 펌프 구조

  ▣ 다음 부품 ㉮, ㉯, ㉰, ㉱, ㉲의 명칭을 쓰시오.

 
 

  ㉮ 플링거   ㉯ 흡입 케이싱    ㉰ 임펠러     ㉱ 스테이지 케이싱    ㉲ 토출케이싱

  ※ 오른쪽 그림은 다단 원심 펌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 플링거 (Flinger) : 던지는 사람, 투수 (동의어) 슬링거 (Slinger) : 축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그 원심(速心) 작용에 의하여

                                   윤활유의 누설 또는 이물(異物)의 침입을 방지하는 회전 링을 말한다.

4. 터빈 펌프

  ▣ 다음 펌프 ㉮의 명칭과 부품 ㉯, ㉰의 명칭을 쓰시오.

 

  ㉮ 터빈 펌프        ㉯ 안내깃 (가이드 베인)             ㉰ 임펠러

  ※ 터빈 펌프는 원심 펌프의 일종이다.

  ※ 원심펌프

      ⊙ 볼류트 펌프 (volute pump) : 임펠러 둘레에 안내깃이 없이 스파이럴 케이싱이 있다.

                                                        양정 15 m 이하의 저양정 펌프이다.

      ⊙ 터빈 펌프 (Turbine pump) : 임펠러와 스파이럴 케이싱 사이에 안내깃이 있는 펌프로서 디퓨져 펌프 (diffuser pump)

                                                       라고도 한다. 양정 20 m 이상의 고양정 펌프다.

 

5. 스크루 펌프

  ▣ 다음 요소의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스크루 펌프

  ※ 스크루 펌프는 나사 펌프라고도 한다.

  ※ 스크류 펌프 : 워터 스크류라고도 하며 하나 이상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스크류 축을 따라 유체 또는 액체를 이동시키는

                            PD (Positive Displacement) 펌프이다. 가장 단순한 형태로 단일 스크류가 원통형 케비티에서 회전하여

                            스크류의 스핀들을 따라 재료를 이동한다.

  ※ 스핀들 (spindle) : 공작 기계에서, 공작물 또는 연장을 회전시키기 위한 축, 굴대

  ※ 캐비티 (Cavity) : (어떤 물체 속의) 구멍[빈 부분], (치아에 생긴) 구멍, 와동

6. 양흡입 펌프

  ▣ 다음 펌프의 명칭과 흡입 구경을 ㉮, ㉯ 중 선택하시오.

 
 

  ① 명칭 : 양 흡입 펌프

  ② 흡입 구경 : ㉯

  ※ 한개의 흡입 배관으로 유체가 흡입되나 ㉯에 양흡입으로 되면서 펌핑되어 ㉮로 토출된다.

  ※ 편흡입 펌프와 양흡입형 펌프

  ⊙ 흡입구가 한쪽에만 있는 펌프를 편흡입형 (Single suction) 펌프라고 하고, 흡입구를 양쪽에 설치하여 흡입량을 많게

       한 펌프를 양흡입형 (Double suction) 펌프라 한다.

 

7. 외접 기어 펌프

  ▣ 다음 펌프의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외접 기어 펌프

  ※ 기어 펌프에는 불평형형과 평형형이 있다.

  ※ 펌핑 과정

 

8. 트로코이드 펌프

  ▣ 다음 펌프의 명칭을 쓰고 모양에 대한 특징과 배출량에 대한 특징을 1가지씩 쓰시오.

 

  ① 명칭 : 트로코이드 펌프

  ② 모양 특징 : 안쪽 로터의 잇수가 바깥쪽 로터 보다 1개 작다.

  ③ 배출량 특징 : 바깥쪽 로터의 모양에 따라 배출량이 결정된다.

  ※ 트로코이드 펌프는 내접 기어 펌프의 한 종류이다.

  ※ 트로코이드 펌프 (Trochoid pump) : 트로코이드 곡선 (Trochoid curve)의 원리에 의하여 제작된 한쌍의 치차가 내접

             구름운동을 하면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흡입 및 토출을 반복하는 펌프이다.

             외접치차 (Outer rotor) 보다 기어 잇수가 하나 작은 내접치차 (Inner rotor)는 외접치차와 서로 일정한 거리 만큼

             편심되어 회전하여 내 · 외접치차간에 항상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공간이 크고 작아짐을 반복운동에

             따라 유체를 강제적으로 흡입 및 토출하는 펌프이다.

 

  ※ 트로코이드 곡선 (Trochoid Curve) : 트로코이드(trochoid) 곡선은 원이 굴러가면서 원과 연결된 한 점이 그리는

      자취이다.

      아래 그림에서 선홍색 원은 고정 되어 있고 파란색 직선은 녹색 원에 고정 되어 있다.

       때 녹색 원이 선홍색 원 위를 굴러갈 때 파란색 직선의 한쪽 끝 부분이 그리는 자취가 빨간색 곡선이 된다.

 

#트로코이드 #사이클로이드 #외접기어펌프 #로터 #트로코이드펌프 #양흡입펌프 #스크루펌프 #터빈펌프 #원심펌프 #벌류트펌프 #임펠러 #안내깃 #플링거 #슬링거 #스테이지케이싱 #토출케이싱 #흡입케이싱 #다단벌류트펌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