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압 송수장치
가. 고가 수조 방식
▣ 특정소방대상물의 옥상 또는 높은 지점에 수조를 설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 방수압력 및 규정 방수량을
얻는 방식
H = h1 + h2 + 17 [m]
여기서, H : 필요한 낙차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 수두 [m]
17 : 옥내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두 [m] (0.17 MPa → 약 17m)

※ 각 설비별 방수압 · 방수량
구 분
|
방수압
|
방수량
|
옥내소화전설비
|
0.17 MPa 이상 (0.7 MPa 초과시 감압장치 설치)
|
130 ℓ/min 이상 (옥내소화전 최대 2개)
|
옥외소화전설비
|
0.25 MPa 이상(0.7 MPa 초과시 감압장치 설치)
|
350 ℓ/min 이상 (옥내소화전 최대 2개)
|
스프링클러설비
|
0.1 MPa 이상 1.2 MPa 이하
|
80 ℓ/min 이상
|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
0.1 MPa 이상
|
50 ℓ/min 이상
|
드렌처 설비
|
0.1 MPa 이상
|
80 ℓ/min 이상
|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
특수가연물
|
2.3 ℓ/min·㎡ 이상
|
기타의 것
|
1.63 ℓ/min·㎡ 이상
|
|
연결송수관설비
|
0.35 MPa 이상
|
⊙ 2,400 ℓ/min, 3,200, 4,000
(계단식 아파트 : 1,200ℓ/min 이상)
- 해당 층에 설치된 방수구가 3개 초과
(최대 5개)시 방수구 마다 800 ℓ/min (계단식 아파트 : 400 ℓ/min)을 가산 |
소화용수설비
|
0.15 MPa 이상
(소화수조가 옥상 또는 옥탑에 설치된 경우에 지상에
설치된 채수구에서의 압력)
|
⊙ 수원의 소요수량
- 20~40 ㎥ 미만 : 1,100ℓ/분 이상
- 40~100 ㎥ 미만 : 2,200ℓ/분 이상
- 100 ㎥ 이상 : 3,300 ℓ/min 이상
|
※ 압력수조에 설치해야 할 부속장치
① 수위계 ② 급수관 ③ 배수관 ④ 급기관 ⑤ 압력계 ⑥ 안전장치 ⑦ 자동식 공기 압축기 ⑧ 맨홀
나. 압력수조방식
탱크의 1/3은 자동식 공기압축기로 압축공기를 2/3를, 2/3는 급수펌프로 물을 가압시켜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 및 규정 방수량을 얻는 방식
P = P1 + P2 + P3 + 0.17 [MPa]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Pa]
P3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0.17 : 옥내 소화전설비 규정 방수압력 (0.17 MPa)

다. 펌프 방식
펌프의 가압에 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 및 규정방수량을 얻는 방식
H = h1 + h2 + h3 + 17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h3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17 : 옥내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 [m] (0.17 MPa → 약 17 m)

※ 토출양정 - 일제개방밸브 : 유수검지장치까지
- 나머지 : 최고위 살수장치 높이 까지
※ 실양정 : 흡입양정 [m] + 토출양정 [m]
※ 펌프 송수불능의 원인
① 스트레이너 막힘
② 토출 압력 불충분
③ 유효흡입양정 (NPSH)의 부족
[참고] 옥내소화전설비 전양정 계산시 알아 두어야 할 사항
1)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h1)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 호스의 길이 × 호스의 개수 × 100 m 당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2)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h2)
호칭구경 [A]
|
유량 [ℓ/min]
|
직관 및 관부속품의 등가길이 [m]
|
100 m 당 마찰손실
|
마찰손실수두 [m]
|
3) 실양정 (h3)
후드밸브로 부터 최상층 옥내 소화전 호스접결구 (앵글밸브)까지의 수직거리
∴ 실양정 = 흡입양정 + 토출양정
※ 펌프의 직 · 병렬 운전
1) 펌프의 직렬 운전 2) 펌프의 병렬운전
① 토출량 : Q ① 토출량 : 2Q
② 양정 : 2H ② 양정 : H

[참고] 펌프의 종류
펌 프
|
터보형 펌프
|
원심펌프
|
볼류트 펌프 : 안내깃(날개)이 없다. 고유량, 저양정
|
|
터빈 펌프 : 안내깃(날개)이 있다. 저유량, 고양정
|
||
사류 펌프
|
|
||
축류 펌프
|
|
||
용적형 펌프
|
왕복 펌프
|
피스톤 펌프
플런저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윙 펌프
|
|
회전 펌프
|
기어 펌프
베인 펌프
롤러 펌프
나사 펌프
|
||
특수형 펌프
|
제트 펌프 (분사 펌프)
기포 펌프
수격 펌프
|
라. 가압수조방식
가압원인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고압기체 (N2 등)에 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 방수압력 및 규정방수량을
얻는 방식
마. 감압장치의 종류 (시험 자주 출제, 3가지를 쓰시오)
① 감압밸브 방식 : 배관 도중에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감압하는 방식

② 고가수조방식 : 건물의 옥상에 고가수조를 설치하고 저층부에 대하여 0.7 MPa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압송수
펌프 없이 자연 낙차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방식

③ 전용배관방식 : 설비의 시스템 (System)을 고층부와 저층부로 분리한 후 주배관 및 펌프 등을 각각 별도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방식

④ 중계펌프 (Booster pump) 방식 : 건물의 중간층에 중계펌프 (Booster pump) 및 중간 수조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

⑤ 감압용 오리피스 방식 : 호스접결구의 앵글밸브의 인입구측에 오리피스를 설치하는 방식

#가압송수장치 #오리피스 #중계펌프 #감압밸브 #고가수조 #터빈펌프 #볼류트펌프
#양정 #방수구 #방수량 #옥내소화전 #압력수조방식 #마찰손실수두 #낙차
'소방설비기사 기계실기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외 소화전설비 (3) | 2024.06.15 |
---|---|
옥내 소화전설비의 설치기준 (5) | 2024.06.15 |
소화설비별 수원의 양과 가압송수장치 (양정) (6) | 2024.06.14 |
옥내 소화전 설비 (2) | 2024.06.13 |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7) | 2024.06.13 |
비버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