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보일의 법칙

 ▣ 온도가 일정할 때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한다.

       PV = K (일정), PV = P'V'

    ※ 풍선을 강하게 누르면 (압력을 증가시키면) 부피는 감소한다.

2. 샤를의 법칙

  ▣ 압력이 일정할 때 절대온도와 부피는 비례한다.

  ※ 겨울철 보다 여름철에 타이어 부피가 팽창한다.

[개념잡기] TNT의 1kg이 폭발할 경우 표준상태에서 기체의 부피는 830ℓ 이다. 1기압 2.217 ℃ 일 경우 기체의 부피는

                 고체상태일 때 TNT의 몇 배인지 구하시오.

 <문제 풀이>

  ▣ 샤를의 법칙

    ⊙ 온도가 일정할 때 절대온도와 부피는 비례한다. T는 절대온도(K)를 대입한다.

         1기압에서 0℃ 830ℓ 일 때, 2,217℃ 에서 기체의 부피

3. 보일-샤를의 법칙

 ▣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을 합친 것

 ▣ 기체 1몰은 0℃, 1기압에서 22.4 ℓ 의 부피를 가지므로 일정한 값을 가진다.

 ▣ 기체의 몰수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이 이상기체상태방정식이 도출된다.

       PV = nRT

     여기서, P : 압력, V : 부피, n : 기체몰수, R : 기체상수, T : 절대온도

     ※ 이상기체상태방정식이란 이상기체가 압력, 온도 등의 변수에 의해 변하는 상태를 일반적인 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P : 압력, V : 부피, W : 기체무게, M : 기체분자량, R : 기체상수, T : 절대온도

기호
의미
단위
P
압력
atm
V
부피
w
질량
g
kg
M
분자량
g/mol
kg/kmol
R
기체상수
0.082atm·ℓ/mol·K
0.082atm·㎥/kmol·K
T
절대온도
K = ℃ + 273

4. 화학반응 없는 유형

   상태변화 (고체 → 액체 → 기체)만 일어나는 경우이다.

5. 화학반응이 있는 유형 ★★★

  ▣ 문제에서 질량 등 조건을 제시한 물질과 구해야 하는 물질이 다르므로 몰수 비를 한번 더 곱해준다.

 

  ※ 밀도를 구하라고 하면

[개념잡기] 나이트로글리세린 500g이 부피 320 ㎖인 용기 내부에서 분해 폭발 후 압력 (atm)은 얼마인지 구하시오.

                   (단, 폭발온도는 1,000℃ 이며 이상기체로 간주한다.)

 <문제풀이>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한다.

  나이트로글리세린의 분해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4C3H5(ONO2)3 → 12CO2 + 10H2O + 6N2 + O2

   ⊙ P(압력) = 1atm

   ⊙ M(분자량) = C3H5(ONO2)3 = 12×3+1×5+16×3+14×3+16×2×3=227g/mol

   ⊙ w(질량) = 500g

   ⊙ R (기체상수) = 0.082 atm·ℓ/mol · K

   ⊙ T (절대온도) = 1,000℃ + 273 = 1,273 K

     1기압에서 1,666.96 ℓ 이므로 0.32 ℓ에서 압력을 구한다.

         PV = P1V1

        1atm × 1,666.96 ℓ = x atm × 0.32ℓ

         x = 5,209.25 atm

6. 생성물의 질량 구하기 ★★★

  ▣ 발생하는 물질의 g 또는 ㎏을 구할 때 아래 공식을 사용한다.

[개념잡기] 비중이 0.8인 메탄올 10ℓ가 완전연소할 때 소요되는 이론 산소량(㎏)과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부피 (㎥)를

                  구하시오. (단, 25℃, 1기압)

 <문제풀이>

  ▣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푼다.

     ⊙ 메탄올의 연소식을 먼저 구성한다.

          2CH3OH + 3O2 → 2CO2 + 4H2O

   ※ 질량 구하기 - 표준상태 기준

 ▣ 생성되는 기체의 부피

   ⊙ P(압력) = 1atm

   ⊙ M(분자량) = CH3OH=12+1×3+16+1=32 kg/kmol

   ⊙ w(질량) = 0.8 ㎏/ℓ × 10 ℓ = 8 ㎏

   ⊙ R(기체상수) = 0.082 atm · ㎥ / kmol · K

   ⊙ T(절대온도) = 25 ℃ + 273 = 296 K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보일 #샤를 #온도 #압력 #표준대기압 #절대온도 #기체상수

반응형

'위험물 기능장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기율표와 원소  (0) 2025.02.28
화학반응식  (0) 2025.02.27
연소와 소화  (0) 2025.02.10
위험물의 종류와 소화설비  (4) 2025.02.09
위험물의 종류와 성질 (제1,2류 위험물)  (2) 2025.02.08
반응형

Determining the density and molar mass of gas from the ideal gas law.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에서 기체의 몰과 질량의 산정)

 

이상기체 방정식을 변형해서 기체의 밀도를 구하는 식을 유도해 보자.

P M = ρ R T

 

여기서, P : 압력 (절대압력),        M : 기체의 분자량,               ρ : 기체의 밀도

             R : 기체 상수,                 T : 온도 (절대온도)

유도과정에 앞서 이상 기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 V = n R T V : 기체 부피, n : 기체 몰수

여기서, 기체의 몰수 n 은 (기체의 질량 / 분자량) 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기체의 몰수 n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 식을 이상기체상태방정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밀도는 질량 / 부피 이므로 ρ = W/V 를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 식이 된다.

다시 분자량을 좌변으로 옮기면 우리가 원하는 식이 유도된다.

P M = ρ R T

 

1. 밀도 (Density)

밀도는 단위 부피에 대한 질량으로 나타내며 어느 공간에 어떤 물질이 얼마나 빼곡히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2. 기체의 밀도와 몰질량

이상 기체 상태방정식은 다음 식과 같다.

P V = n R T

  여기서,  P : 압력 (절대 압력),              V : 기체의 부피,                   n : 기체의 몰수

                R : 기체상수,                         T : 온도 (절대온도)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고쳐 쓸 수 있다.

그런데 기체의 몰수 n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n : 기체의 몰 수,      W : 기체의 질량,         M : 기체의 분자량 (= 몰질량)

위 식의 양변에 몰질량 [g/mol], M을 곱하면

따라서

 

이를 차원으로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기체의 밀도를 알면 다음 식으로 부터 기체의 몰 질량을 알 수 있다.

#몰질량 #몰수 #mol #질량 #부피 #이상기체상태방정식 #기체상수 #절대온도

#절대압력 #대기압 #밀도 #질량

반응형
반응형

Determining the density and molar mass of gas from the ideal gas law.

 

이상기체 방정식을 변형해서 기체의 밀도를 구하는 식을 유도해 보자.

P M = ρ R T

 

여기서, P : 압력 (절대압력)

             M : 기체의 분자량

             ρ : 기체의 밀도

             R : 기체 상수

              T : 온도 (절대온도)

유도과정에 앞서 이상 기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 V = n R T V : 기체 부피, n : 기체 몰수

여기서, 기체의 몰수 n 은 (기체의 질량 / 분자량) 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기체의 몰수 n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 식을 이상기체상태방정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밀도는 질량 / 부피 이므로 ρ = W/V 를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 식이 된다.

다시 분자량을 좌변으로 옮기면 우리가 원하는 식이 유도된다.

P M = ρ R T

1. 밀도 (Density)

밀도는 단위 부피에 대한 질량으로 나타내며 어느 공간에 어떤 물질이 얼마나 빼곡히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2. 기체의 밀도와 몰질량

이상 기체 상태방정식은 다음 식과 같다.

P V = n R T

여기서, P : 압력 (절대 압력)

             V : 기체의 부피

              n : 기체의 몰수

              R : 기체상수

              T : 온도 (절대온도)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고쳐 쓸 수 있다.

그런데 기체의 몰수 n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n : 기체의 몰 수

             W : 기체의 질량, M : 기체의 분자량 (= 몰질량)

위 식의 양변에 몰질량 [g/mol], M을 곱하면

따라서

이를 차원으로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기체의 밀도를 알면 다음 식으로 부터 기체의 몰 질량을 알 수 있다.

#몰질량 #몰수 #mol #질량 #부피 #이상기체상태방정식 #기체상수 #절대온도

#절대압력 #대기압 #밀도 #질량

반응형
반응형

1. 이상기체와 몰 (mol)

 ▣ 일반 물리학의 열역학 파트에서 생각할 수 있는 상태함수는 온도(T), 압력(P), 부피(V) 등이 있다. 열역학은 대부분 기체

      의 운동에 관한 사항을 다룬다. 기체의 성질은 퍼져 나가는 성질(부피), 밀폐된 곳에서 기체가 운동을 할 때 밀폐된 벽을

       때리는 기체운동 (압력), 기체가 운동함으로써 생기는 에너지 (온도) 등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 이상이체

   ◈ 단위 : mol (몰)

   ◈ 아보가드로 수 : 6.02 × 1023 : Avogadro's number

 ▣ 일반 물리학 수준에서는 실제 기체 보다는 '이상기체 (Ideal gas)'를 주로 다룬다. 이 이상기체를 이해하려면 먼저 몰수

       (mol)라는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 1mol은 기체분자가 아보가드로수 6.02 × 1023 개 있는 양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탄소

       (원자번호 12) 12g 에 들어있는 원자의 개수를 말한다.

 ▣ 만약 어떤 기체 속에 분자가 6.02 × 1023개 있으면 이 기체는 1[mol]의 양이 있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몰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원자의 개수가 N개 일 경우

만약 기체속에 분자개수가 N개일 경우 어떻게 몰수로 환산하는지 알아보자. 

1몰 [mol]은 어떤 기체속에 아보가드로수 (약 6.02 × 1023)개가 있는 경우를 말하므로 기체속에 들어 있는 원자의 수를

아보가드로 수로 나누어 주면 그 기체의 몰수(mol)를 계산할 수 있다.

2. 몰질량 M

1몰 (mol)에 해당하는 질량 M = mNA (m : 원소의 질량)

시료의 질량이 Wsample 이라고 하면

여기서 새로운 단위 mol과 함께 나오는 개념이 바로 몰질량이다. 몰질량은 '1mol에 해당하는 질량'을 말하며 영어 대문자 M으로 표현한다. 이때 몰질량 M은 m(원자량) × N (아보가드로수)로 구할 수 있다.

이 때 몰질량을 이용해 어떤 시료의 질량을 알고 있다면 그 시료의 몰수도 알 수 있다.

즉, 시료의 질량 (W)을 몰질량(M)으로 나누어 주면 된다.

3. 이상기체 (Ideal gas)란 ?

 

이상기체는 무엇일까?

위 그림과 같이 같은 온도에서 크기가 같은 용기에 각기 다른 기체 1mol을 각 용기에 담아 두었다고 하자. 이 때 기체의

밀도는 기체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이 된다. 1몰은 각각의 기체의 원소수가 아보가드로수 (6.02 × 1023) 만큼 들어 있는

양을 의미하므로 기체원소의 활동으로 인한 압력은 기체가 각기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나타낸는 기체를 '이상기체 (Ideal gas)라고 한다.

가. 보일의 법칙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기체의 부피 (V)가 압력(P)에 반비례한다. 즉, 기체의 부피와 압력을 곱한 값은 동일한 기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수값을 갖는다.

   P V = constant

나. 샤를의 법칙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한다. 즉, 기체는 온도가 1℃ 오를 때 0℃ 부피에 비해여

1/273.15 만큼 비례하여 증가한다. 만약 온도를 -273.15 ℃ 로 내린다면 그 기체의 부피는 "0"이 된다고 샤를은 예측했다.

따라서 샤를의 법칙에 따르면 일정 압력하에서 부피(V)를 절대온도 (T)로 나눈값은 일정하게 된다.

다. 게이뤼삭의 법칙

부피가 일정할 때 압력은 온도에 비례한다.

이와같이 기체의 압력, 부피 그리고 온도가 만족하는 관계는 온도가 극히 낮지 않고 또한 기체의 밀도가 희박한 경우에는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잘 성립한다. 이와같이 위의 법칙을 잘 따르는 기체를 '이상기체'라고 한다. 이상기체는 분자의

크기가 거의 "0"이어서 용기속의 공간을 점유하지 않고 또한 분자끼리의 상호작용이 미치는 거리도 분자들 사이의 평균

거리보다 휠씬 적어서 거의 언제나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가공의 기체이다.

앞에서 언급한 기체의 온도, 부피, 압력의 관계를 묶어서 보면 다음과 같다.

이렇게 기체의 압력(P)과 부피(V), 그리고 온도(T)가 가지고 있는 관계를 보일-샤를의 법칙이라고 한다. 만약 동일한 압력,

부피, 온도를 갖는 두 기체를 하나로 합하게 되면 부피는 2배가 되고 온도와 압력은 변함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위 식처럼 constant로 표시된 일정한 값은 원래 값의 2배가 될 것이다. 즉, 이 값은 바로 기체에 포함된 분자의 양,

즉, 분자의 몰 수 n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수(constant)값을 R로 놓으면 다음 같은 식이 된다.

또한 비례상수 R을 기체 상수라고 하고 이는 실험에 의해 정해진 양으로 다음과 같다.

이상기체의 법칙은 열역할적인 여러값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로서 이것을 보다 일반적으로 이상기체 상태방

정식이라고 한다. 즉, 열역학적 변수들은 독립적이지 않고 서로 관련이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라. 아보가드로의 법칙 (Avogadro's law)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같은 부피에 들어 있는 분자의 수는 그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으로 이 법칙을

이용하면 이상기체의 법칙을 부편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분자 1[mol]에 들어 있는 분자의 수인 아보가드로수 (Avogadro's number) NA = 6.022 137 × 1023 ≒ 279 를 이용하면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 · V = N k T

      여기서, k = R / NA

 k를 볼츠만의 상수라고 하며 다음과 같다.

 k = (1.380 658 ± 0.000043 ) × 1023 [J/K]

【 또다른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가. 보일의 법칙

  ▣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그 기체의 압력에 반비례한다.

나. 샤를의 법칙

  ▣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다. 아보가드로 법칙

  ▣ 기체의 부피는 그 기체의 몰수 (mol)에 비례한다.

 위의 식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 식에서 양변에 압력 (P)를 곱하고 비례기호를 등호로 바꾸고 비례상수 K를 붙이면 다음 식이 성립된다.

      P · V = n · k · T

위 식에서 비례상수 k는 아주 유명한 상수이다. 그래서 특별히 R이라는 이니셜을 부여해서 기체 상수라고 부른다.

      P · V = n · R · T

      여기서 P : 압력, V : 부피, n : 분자수(몰수), R : 기체상수, T : 절대온도

위 식을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이라고 한다.

위 식에서 기체 상수 R을 구해보자. R = PV / nT 가 된다. 기체상수 R을 구하기 위해서는 압력(P), 부피(V), 몰수(n), 온도(T)

를 알아야 한다. 표준상태(S.T.P)를 가정하여  P, V, n, T 값을 적용해 보자

4. 공기의 밀도

  ▣ 공기의 밀도는 압력 (P)가 높아지면 커진다.

  ▣ 공기의 밀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작아진다.

   여기서, ρ : 공기의 밀도

               P : 공기의 압력

               R : 공기의 기체상수

               T : 공기의 절대온도

#이상기체 #이상기체상태방정식 #보일 #샤를 #보일샤를의법칙 #아보가드로 #Avogadro #압력 #밀도 #부피 #기체상수 #상태방정식 #아보가드로수

반응형
반응형
 

1. 방호구역 체적이 500 ㎥인 어느 소방대상물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하였다. 이곳에 이산화탄소 100 ㎏을 방사

     하였을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 [%]를 구하시오. (단, 실내압력은 121.59 kPa, 실내온도는 35 ℃ 이다.) [4점] ★★★★★

[참고] 이산화탄소의 방출량 및 농도 계산식 유도

[공식유도]

 ▣ 가스 방출 전 · 후의 산소(O2)의 용량은 같다는 것을 이용한다.

      V × 21 % = ( V + Q ) × O2%

       21 V = O2 · V + O2 · Q, O2 · Q = 21 V - O2 · V

▣ 위 식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에 관한 식을 유도해 보자.

      

[문제풀이]

[해설] 이산화탄소 (CO2)의 농도 (%)

 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나.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여기서, P : 압력 [Pa, N/㎡]

                    V : 부피 (방출가스량) [㎥]

                    W : 질량 [㎏]

                    M : 분자량 (CO2 : 44㎏, 할론 1301 : 148.95 ㎏)

                    R : 기체 상수 (8,313.85 [N·m/kmol·K], 8,313.85 [N·m/·K])

                    T : 절대온도 (273 + ℃, K)

2. CO2 의 설계농도가 34%이다. 방호구역에 방사될 경우 산소의 농도는 얼마인가 ?

[문제풀이]

[해설] 산소 (O2)의 농도 [%]

▣ 이산화탄소 (CO2)의 농도

3. 방호구역 체적이 250 ㎥ 인 소방대상물에 CO2 소화설비를 설치하였다. 이곳에 CO2 180 ㎏ 을 20 ℃ 표준대기압 상태에

    서 방사하였을 경우 다음을 구하시오. [4점]

  가.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몇 [%]인가 ?

  나. 산소의 농도는 몇 [%]인가 ?

[문제풀이]

가. 이산화탄소의 농도 [%]

나. 산소 농도 [%]

[해설] 이산화탄소 (CO2)의 농도 [%] · 산소(O2)의 농도 [%]

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나. 이상기체 방정식

        여기서, P : 압력 [Pa, N/㎡]

                     V : 부피 (방출가스량) [㎥]

                    W : 질량 [㎏]

                    M : 분자량 (CO2 : 44㎏, 할론 1301 : 148.95 ㎏)

                    R : 기체상수 (8,313.85 [N·m/kmol·K], 8,313.85 [N·m/K])

                    T : 절대온도 (273+℃ [K])

다. 산소의 농도

4. 방호구역체적이 250 ㎥ 인 소방대상물에 CO2 소화설비를 설치하였다. 이곳에 CO2 180㎏을 표준대기압 상태에서 방사

     하였을 경우 다음을 구하시오. [4점] ★★★★★

가.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몇 [%]인가 ?

나. 산소의 농도는 몇 [%]인가 ?

[문제 풀이]

가. 이산화탄소 (CO2)의 농도

나. 산소의 농도

[참고] 압력단위 환산

1 atm
760 ㎜Hg
76 ㎝Hg
101,325 Pa
101.325 kPa
0.101325 MPa
10,332 ㎜Aq / ㎜H2O
10.332 ㎜Aq / ㎜H2O
-
1.0332 [㎏f/㎠]
10,332 [㎏f/㎡]
-
1,013 mbar
1.013 bar
14.7 psi

5. 이산화탄소 120 ㎏이 완전기화하여 0℃, 101,325 Pa 일 때 기체의 부피 [㎥]를 계산하시오. (단, 소화약제의 순도는

     99.5 % 이다) [4점] ★★★★★

[문제풀이]

※ 순도가 주어졌을 때

     ① 부피 : × 순도

     ② 약제량 : ÷ 순도

[해설] 기체의 부피

  ▣ 이상기체 방정식

여기서, P : 압력 [Pa, N/㎡]

             V : 부피 (방출가스량) [㎥]

            W : 질량 [㎏]

            M : 분자량 (CO2 : 44㎏, 할론 1301 : 148.95 ㎏)

            R : 기체상수 (8,313.85 [N·m/kmol·K], 8,313.85 [N·m/K])

            T : 절대온도 (273+℃ [K])

  ※ ① 소화약제의 순도 : 부피를 구할 때는 곱하고, 소화약제 저장량을 구할 때는 나눈다.

      ② 1Pa = 1 [N/㎡]

6. 40 ㎏ 의 액화 이산화탄소가 20 [℃]의 대기중 (표준대기압)으로 방출되었을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가. 이산화탄소의 부피는 몇 [㎥] 이 되겠는가 ?

  나. 체적 90 [㎥]인 공간에 이 약제가 방출되었다면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는 몇 [%] 가 되겠는가 ?

[문제풀이]

가. 이산화탄소의 부피 [㎥]

나. 이산화탄소의 농도 [%]

7. 표준대기압 상태에서 압력이 일정할 때 15 ℃의 이산화탄소 100 [mol]이 있다. 이 상태에서 온도가 30[℃]로 되었을 때

     이산화탄소의 부피 [㎥]를 구하시오.

[문제풀이]

▣ 동일한 상태(압력 일정)에서 온도만 변화하였으므로 보일 - 샤를의 법칙을 이용하면

[해설] 이산화탄소의 부피

가. 보일 - 샤를의 법칙

여기서, P1, P2 : 압력 [MPa]

             V1, V2 : 부피 [㎥]

             T1, T2 : 절대온도 (273 + ℃)

8. 어느 방호공간의 체적 100 ㎥에 대하여 표준상태에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방출하였다.  방호공간의 이산화탄소 가스

     부피 농도가 36 %가 되었다면 몇 [㎏]의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방사하였겠는가? (단, 방출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순도

     는 99.5 wt%이며 계산은 이상기체 조건을 기준으로 하며 기타 조건은 무시한다.) [6점] ★★★★★

[문제 풀이]

▣ 방사량 부피[㎥]를 구했으니 이상 기체 방정식으로 질량을 구하면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방사량 [㎏]

가. 이상기체 방정식 

   여기서, P : 압력 [Pa, N/㎡]

                V : 부피 (방출가스량) [㎥]

                W : 질량 [㎏]

                M : 분자량 (CO2 : 44㎏, 할론 1301 : 148.95 ㎏)

                R : 기체상수 (8,313.85 [N·m/kmol·K], 8,313.85 [N·m/K])

                T : 절대온도 (273+℃ [K])

나. 방출가스량

   여기서, V : 방출가스량 [㎥]

               O2 : 가스 방출 후 산소(O2) 농도 [%]

다. 이산화탄소 (CO2)의 농도

     여기서, O2 : 가스방출 후 산소(O2) 농도 [%]

9. 체적이 500 ㎥인 방호구역에 전역방출방식으로 CO2를 방사하였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조건]

  ① 실내온도는 15℃ 이다.

  ② CO2 방사 후 실내의 O2 농도는 10%이다.

  ③ 실내 대기압력은 1.2 atm이다.

  가. 방사된 CO2의 양은 몇 [㎏]인지 구하시오.

  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운무상태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가. 방사된 이산화탄소(CO2)의 양 [㎏]

나. 운무상태 : 액화 CO2가 분사헤드에서 방사시 기화되어 기체로 방사되지만 일부가 줄- 톰슨 효과에 의하여 온도가 강하

                       하여 고체탄산가스가 생성되어 흰연기 같이 보이는 현상

※ 운무현상 : 안개모양으로 방사되는 현상을 말하며 액화 CO2 가 분사헤드에서 방사시 기화되어 기체로 방사되지만 일부

                     가 줄 - 톰슨(Joule-Thompson) 효과에 의하여 온도가 강하하여 고체 탄산가스 (드라이아이스 (dry-ice))가 생

                     성되어 흰연기와 같이 보이는 현상

 

1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배관에 CO2를 방출하였다. CO2 저장용기 내의 액화 CO2온도가 - 40 ℃, 배관의 중량은 10

       ㎏, CO2 방출전 배관의 평균온도는 20 ℃ 이며 CO2 방출동안의 배관온도는 -20℃이고, 배관의 비열은 0.11 [kcal/㎏

       ·℃] 이며 액화CO2의 증발잠열은 10 [kcal/㎏]이다. 액화 CO2의 증발량 [㎏]을 구하시오. [3점] ★★

[문제풀이]

위 식에 적용을 하면

#이산화탄소 #비열 #증발 #농도 #방호구역 #액화 #줄 #톰슨 #체적 #절대온도 #방출가스량 #소화설비 #기체상수 #질량 #소화약제

반응형
반응형

 

 

1. 열전달

가. #열전달 의 개념

  ▣ 열전달은 두 물체 사이에서 열에너지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 열은 항상 온도가 높은 곳에서 온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 온도가 높은 곳에서 빠져나온 에너지가 온도가 낮은 곳으로 전달되는데, 이 과정에서 에너지는 보존된다.

  ▣ 두 물체의 온도가 같아지면, 더 이상 열이 이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를 평형이라 한다.

  ▣ 열이 전달되는 주 경로는 전도, 대류, 복사다.

 

나. 전도 (Conduction)

 

  ① 정의 : 물체를 이루고 있는 원자나 전자들의 충돌에 의해 에너지가 확산되는 과정이다. 전도는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해 있을 때 높은 온도의 물체에서 낮은 온도의 물체로 일어나기도 하고, 한 물체 내에서도 온도 차이가

                  생기면 일어나기도 한다.

    ※ 고체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 고온 → 저온으로 열전달

  ② 전도의 예 : 티스푼을 통해 커피의 열이 손에 전달되는 것, 끓는 국자의 손잡이에 열이 전달 되는 것

 

  [참고] 열전도와 관계 있는 것

  ① 열전도율 [kcal/(m·hr·K)]           ② 배열 [cal/(g·℃)]         ③ 밀도 [kg/㎥] ④ 온도 [℃]

 

다. 대류 (Convection)

 

 

① 정의 : 높은 에너지를 가진 물질 자체가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대류는 기체나 액체에서 일어난다.

               높은 온도의 기체나 액체는 분자의 운동이 활발하고 밀도가 낮다. 낮은 밀도의 기체나 액체가 상승하면서

               위쪽으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 일정공간에 있는 기체는 온도가 균일해지는 경향이 있다.

        뜨거운 공기는 위로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내려 온다.

 ② 대류의 예 : 난로에 의해 방안의 열이 이동하는 현상

          ※ 대류열 Q = hA (T2 - T1)

             Q : 대류열 [W/㎡], h : 대류열전달계수 [W/(㎡·K)]

              T2 - T1 : 온도차 [k], A : 대류면적 [㎡]

 

라. 복사 (Radiation)

 

 

① 정의 : 열에너지를 가진 물체가 전자기파를 방출하면서 공간적으로 떨어진 곳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진 물체는 짧은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하고, 낮은 온도를 가진 물체는 긴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표면 온도가 6000 K에 달하는 태양에서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이 모두 방출된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몇백 도 정도의 물체에서는 적외선이 주로 나온다. 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우리 피부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따뜻함을 느낀다.

 

  ※ 절대 0[˚K] 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모든 물체는 그 온도에 따라 수면에서 부터 든 방향으로 전자파 형태로 열에너지를

       발산한다.

  ◈ 모든 물체는 자기 온도에 걸맞는 전자파 형태로 열을 사방으로 발산한다. 그로 인해 열의 전달형태를 복사라고 말한다.

 

② 복사의 예 : 태양의 열이 지구에 전달되어 따뜻함을 느끼는 것

   ※ 복사열 Q = σ AT4

        Q : 복사열 [W], σ : 스테판-볼츠만 상수 [W/(㎡·K4)], A : 단면적 [㎡], T : 절대온도 [K]

③ 빈의 변위법칙 : 온도에 따라 전자기파는 빈의 변위법칙을 따릅니다.

 

  ▣ 온도가 높을 수록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고주파)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내뿜습니다.

      예를 들어 쇳물의 온도는 약 2,000[°K] 정도로 '빨간색 가시광선'을 가장 많이 내뿜으며 태양의 온도는 약 6,000[°K]

      정도로 '노란색~푸른색 가시광선'을 가장 많이 내뿜으며 태양의 색은 모든 스펙트럼의 빛이 섞여 하얀색이며

      노랑 ~ 푸른색의 가시광선이 조금 더 많으므로 노란색과 푸른색이 섞인 하얀색입니다.

 

 ※ 같은 온도에서 서로 다른 물체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

  ▣ 서로 다른 어떤 물질을 '흑체(black body)'라고 가정한다면 동일한 온도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는 동일합니다.

       즉, 돌맹이든 쇠붙이든 동일 온도에서는 같은 전자기파를 내뿜습니다.

 

【 전열현상】

  ◈ 전도 : #고체 간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열전달

  ◈ 대류 : #유체 간의 열전달

  ◈ 복사 : #전자파 형태의 에너지 발산에 의한 열 전달

     <화재와 관련된 열전달 현상>

       복사 > 대류 > 전도

 

<참고>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 복사에 관한 법칙

  ▣ 어떤 물체의 면적 'A'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에너지의 합계는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스테판이 발견)하며,

       볼츠만이 유도해 낸 볼츠만 상수를 곱한 것과 같습니다.

 

[ 스테판 - 볼츠만의 법칙]

    Q = 4.88 A ε [(T1/100)4 - (T2/100)4]

         Q : 복사열 [kcal/hr], A : 단면적 [㎡], ε : 계수

         T1 : 고온체의 절대온도 [°K]

        T2 : 저온체의 절대온도 [°K]

        즉, 복사에너지는 면적에 비례하고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 단원자 · 이원자 분자 : 복사에너지를 #흡수 · #투과

  ◈ #삼원자 분자 이상 : 복사에너지 흡수

      ※ 단원자 분자 : He, Ne, Ar, Kr, Xe, Rn

      ※ 이원자 분자 : H2, N2, O2, CO

      ※ 삼원자 분자 : H2O, CO2, SO2

 

【출제예상문제】

 

1. 열의 3대 전달방법이 아닌 것은 ? ①

   ① 흡수           ② 전도              ③ 복사             ④ 대류

 

[열전달의 방법] 복사, 전도, 대류 모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① 전도 : 고체에서의 발생

  ② 대류 : 유체에서의 열전달 (유동을 동반한다)

  ③ 복사 : 전자기파에 의한 열전달로 매질 (고체, 액체, 기체)이 없어도 전달되며, 본격 화재시 가장 크게 작용을 한다.

 

2.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 ? ④

  ① #알루미늄          ② 철재         ③ 은               ④ #암면 (광물섬유)

 

[열전도율] ① 알루미늄 : 237 [W/(m·K)]          ② 철재 : 80.3 [W/(m·K)]

                 ③ 은 : 427 [W/(m·K)]                    ④ 암면 : 0.046 [W/(m·K)]

 

3. #열전도율 을 표시하는 단위에 해당하는 것은 ? ③

  ① kcal/(㎡·hr·℃)      ② kcal·㎡/(hr·℃)          ③ W/(m·K)             ④ J/(㎥·K)

 

[열전도율의 단위]

  ▣ 어떤 물질에 열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수치를 말한다.

       단위 : [kcal/(m·h·℃)] , [W/(m·K)]

 

4. 열에너지가 물질을 매개로 하지 않고 전자파의 형태로 옮겨지는 현상은 ? ①

   ① #복사             ② #대류             ③ 승화               ④ #전도

 

[열전달의 방법 (복사)]

  ▣ 전자파에 의한 열전달로 매질(고체, 액체, 기체)이 없이도 전달되며, 본격 화재 시 가장 크게 작용을 한다.

 

5. 스테판-볼츠만의 법칙에 따르면 복사열은 절대온도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 ? ②

  ①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②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③ 절대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④ 절대온도의 4제곱에 반비례한다.

 

[해설]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 #복사열 은 #절대온도 의 4제곱에 비례한다.

 

6. 물체의 표면온도가 250 [℃]에서 650 [℃]로 상승하면 열복사량은 약 몇 배 정도 상승하는가 ? ④

     ① 2.5                 ② 5.7                 ③ 7.5                   ④ 10.0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반응형

'소방설비기사 (전기) > 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재 건축물의 화재 성상 : 소방원론  (0) 2023.04.15
열역학 법칙 : 소방원론  (0) 2023.04.15
연기 - 화재론  (0) 2023.04.15
연소 생성물  (2) 2023.04.14
화재의 분류 - 소방학 개론  (2) 2023.04.12
반응형
 

1. 열전달

가. 열전달의 개념

   ▣ 열전달은 두 물체 사이에서 열에너지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 열은 항상 온도가 높은 곳에서 온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 온도가 높은 곳에서 빠져나온 에너지가 온도가 낮은 곳으로 전달되는데, 이 과정에서 에너지는 보존된다.

   ▣ 두 물체의 온도가 같아지면, 더 이상 열이 이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를 평형이라 한다.

   ▣ 열이 전달되는 주 경로는 전도, 대류, 복사다.

나. 전도 (Conduction)

 

 

 ① 정의 : 물체를 이루고 있는 원자나 전자들의 충돌에 의해 에너지가 확산되는 과정이다.

                전도는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해 있을 때 높은 온도의 물체에서 낮은 온도의

                물체로 일어나기도 하고, 한 물체 내에서도 온도 차이가 생기면 일어나기도 한다.

 ② 전도의 예 : 티스푼을 통해 커피의 열이 손에 전달되는 것

                        끓는 국자의 손잡이에 열이 전달 되는 것

 

 [참고] 열전도와 관계 있는 것

   ① 열전도율 [kcal/(m·h·K)]           ② 배열 [cal/(g·℃)]

   ③ 밀도 [kg/㎥]                             ④ 온도 [℃]

다. 대류 (Convection)

 

 

 ① 정의 : 높은 에너지를 가진 물질 자체가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대류는 기체나 액체에서 일어난다. 높은 온도의 기체나 액체는 분자의 운동이

              활발하고 밀도가 낮다. 낮은 밀도의 기체나 액체가 상승하면서 위쪽으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② 대류의 예 : 난로에 의해 방안의 열이 이동하는 현상

        ※ 대류열 Q = hA (T2 - T1)

             Q : 대류열 [W/㎡], h : 대류열전달계수 [W/(㎡·K)]

             T2 - T1 : 온도차 [k], A : 대류면적 [㎡]

라. 복사 (Radiation)

 

 

  ① 정의 : 열에너지를 가진 물체가 전자기파를 방출하면서 공간적으로 떨어진 곳에 에너지

                 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진 물체는 짧은 파장의 전자기

                 파를 방출하고, 낮은 온도를 가진 물체는 긴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표면 온도가 6000 K에 달하는 태양에서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이 모두 방

                 출된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몇백 도 정도의 물체에서는 적외선이 주로 나

                 온다. 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우리 피부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따뜻함을 느낀다.

 

 

  ② 복사의 예 : 태양의 열이 지구에 전달되어 따뜻함을 느끼는 것

         ※ 복사열 Q = σ AT4

              Q : 복사열 [W], σ : 스테판-볼츠만 상수 [W/(㎡·K4)], A : 단면적 [㎡], T : 절대온도[K]

  ③ 빈의 변위법칙 : 온도에 따라 전자기파는 빈의 변위법칙을 따릅니다.

 

 

▣ 온도가 높을 수록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고주파)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내뿜습니다.

     예를 들어 쇳물의 온도는 약 2,000[°K] 정도로 '빨간색 가시광선'을 가장 많이 내뿜

     으며 태양의 온도는 약 6,000[°K] 정도로 '노란색~푸른색 가시광선'을 가장 많이

     내뿜으며 태양의 색은 모든 스펙트럼의 빛이 섞여 하얀색이며 노랑 ~ 푸른색의 가시

      광선이 조금 더 많으므로 노란색과 푸른색이 섞인 하얀색입니다.

 ※ 같은 온도에서 서로 다른 물체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

   ▣ 서로 다른 어떤 물질을 '흑체(black body)'라고 가정한다면 동일한 온도에서 발생하

       는 전자기파는 동일합니다. 즉, 돌맹이든 쇠붙이든 동일 온도에서는 같은 전자기파를 내뿜습니다.

 

<참고>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 어떤 물체의 면적 'A'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에너지의 합계는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스테판이 발견)하며, 볼츠만이 유도해 낸 볼츠만 상수를 곱한 것과 같습니다.

 

【출제예상문제】

1. 열의 3대 전달방법이 아닌 것은 ? ①

  ① 흡수      ② 전도       ③ 복사        ④ 대류

 [열전달의 방법] 복사, 전도, 대류 모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① 전도 : 고체에서의 발생

   ② 대류 : 유체에서의 열전달 (유동을 동반한다)

   ③ 복사 : 전자기파에 의한 열전달로 매질 (고체, 액체, 기체)이 없어도 전달되며, 본격 화재시 가장 크게 작용을 한다.

2.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 ? ④

  ① 알루미늄         ② 철재             ③ 은            ④ 암면(광물섬유)

  [열전도율] ① 알루미늄 : 237 [W/(m·K)]            ② 철재 : 80.3 [W/(m·K)]

                    ③ 은 : 427 [W/(m·K)]                      ④ 암면 : 0.046 [W/(m·K)]

3. 열전도율을 표시하는 단위에 해당하는 것은 ? ③

   ① kcal/(㎡·h·℃)         ② kcal·㎡/(h·℃)         ③ W/(m·K)             ④ J/(㎥·K)

  [열전도율의 단위]

    ▣ 어떤 물질에 열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수치를 말한다.

         단위 : [kcal/(m·h·℃)] , [W/(m·K)]

4. 열에너지가 물질을 매개로 하지 않고 전자파의 형태로 옮겨지는 현상은 ? ①

   ① 복사         ② 대류            ③ 승화             ④ 전도

 [열전달의 방법 (복사)]

  ▣ 전자파에 의한 열전달로 매질(고체, 액체, 기체)이 없이도 전달되며, 본격 화재 시

      가장 크게 작용을 한다.

5. 스테판-볼츠만의 법칙에 따르면 복사열은 절대온도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 ? ②

   ①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②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③ 절대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④ 절대온도의 4제곱에 반비례한다.

 [해설]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6. 물체의 표면온도가 250 [℃]에서 650 [℃]로 상승하면 열복사량은 약 몇 배 정도 상승 하는가 ? ④

  ① 2.5          ② 5.7            ③ 7.5            ④ 10.0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반응형
반응형

【 열역학 (Thermodynamics】

 

 ▣ 물질의 상태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열과 일의 양은 열역할 법칙으로 정의되는 에너지와

     엔트로피 등의 열역학적 변수들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학문

     ※ 일 ↔ 열 : 물리적 현상

1. 열역학 제0법칙

   ▣ 온도가 서로 다른 물체를 접촉시켜 놓으면 얼마 후 온도가 같아진다. (열평형상태)

 

2. 열역학 제1법칙 : 에너지 보존법칙

  ▣ 어떤 고립된 계의 총에너지는 일정하다는 법칙

   ⊙ 내부에너지 변화가 계에 가해진 열과 계가 한일 사이의 차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열과 운동의 관계로 정리를 하면..

 

 

3. 열역학 제2법칙

  ▣ 고립계에서 총 엔트로피의 변화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며 절대로 감소하지 않는다.

 

 

   ① 열은 자연적으로 저열원에서 고열원으로 이동할 수 없다.

   ② 효율 100%의 열기관은 존재할 수 없다.

 

4. 열역학 제3법칙

  ▣ 절대온도에 가까워질수록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0에 수렴한다.

       그리고 계는 절대온도 0도에 이를 수 없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