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소화설비의 포소화약제의 혼합장치방식 5가지를 쓰시오 [5점] ★★★★★
[답안작성]
① 펌프푸로포셔너 방식
② 라인푸로포셔너 방식
③ 프레저프로포셔너 방식
④ 프레저사이드푸로포셔너 방식
⑤ 압축공기포 믹싱챔버 방식
[해설] 포소화설비의 포소화약제 혼합장치 방식
① 펌프 프로포셔너 (펌프 혼합방식)
▣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 조절밸브에서
조정된 포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소화약제 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혼합하는 방식
② 프레저푸르포셔너 방식 (차압혼합방식)
㉠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츄리관의 벤츄리 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따라
포소화약제를 혼입 · 혼합하는 방식
㉡ 송수관 계통의 노즐에 공기로 소화원액 비례혼합조(P·P·T)에 치환혼입기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방식
③ 라인푸르포셔너 방식 (관로혼합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츄리관의 벤츄리 작용에 따라 포소화약제를 혼입 · 혼합하는 방식
④ 프레저사이드 푸르포셔너 방식 (압입 혼합 방식)
펌프의 토출압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
⑤ 압축공기포 믹싱챔버 방식 (압축공기포 혼합 방식)
▣ 포수용액에 가압원으로 압축된 공기 또는 질소를 일정비율로 혼합하는 방식
2. 다음 그림은 포소화약제의 혼합장치이다. 그림으로 보아 이 장치는 무슨 혼합방식인지 쓰고 기호 A의 명칭을 쓰시오.
[3점] ★★
가. 혼합방식 나. A의 명칭
[답안작성]
가. 혼합방식 : 프레저사이드푸르포셔너 방식
나. A의 명칭 : 혼합기
3. 다음 그림은 포소화설비의 혼합장치 중 펌프푸로포셔너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가. 바이패스 배관에 표시된 ① 번에 유체의 흐르는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시오.
나. ②번 기구의 명칭을 쓰시오.
다. ③번 기구의 명칭을 쓰시오.
[답안작성]
가. 바이패스 배관에 표시된 ① 번에 유체의 흐르는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시오.
나. ②번 기구의 명칭 : 혼합기
다. ③번 기구의 명칭 : 농도조절밸브
4. 다음은 포소화설비에 관한 사항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가. 공기포 혼합장치의 종류 4가지를 쓰시오.
나. 다음은 공기포 혼합장치의 계통도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① A ~ I 에 알맞은 부품명을 쓰시오.
② 이 혼합방식의 종류를 쓰시오.
③ 포혼합장치의 펌프 · 양수량을 결정하는 경우 타방식과 특이한 점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가. 공기포 혼합장치의 종류 4가지
① 펌프푸로포셔너 방식
② 라인푸로포셔너 방식
③ 프레저푸로포셔너 방식
④ 프레저사이드푸로포셔너 방식
⑤ 압축공기포 믹싱챔버 방식
나. 공기포 혼합장치의 계통도
① 각 부품의 명칭
A. 포소화약제밸브
B. 포소화약제체크밸브
C. 농도조절밸브
D. 흡입기 (혼합기)
E. 진공계 (연성계)
F. 흡기밸브
G. 압력계
H. 토출체크밸브
I. 토출밸브
② 혼합장치 방식 : 펌프푸로포셔너 방식
③ 다른 방식과 특이한 점
▣ 다른 혼합방식은 펌프에서 토출된 물이 혼합기 등을 거쳐서 포 방출구로 송액된다.
하지만, 이 방식은 펌프의 토출측과 흡입측에 바이패스관을 설치하고 물의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흡입측으로 돌려
보내 혼합하므로 양수량이 혼합된다.
5. 포소화설비중 배액밸브를 설치하는 목적과 설치 위치에 대하여 간단히 쓰시오. [4점] ★★★★★
가. 설치 목적 나. 설치위치
[답안작성]
가. 설치목적 : 포의 방출 종료 후 배관 내의 소화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나. 설치위치 : 송액관의 가장 낮은 부분
[해설] 포소화설비의 배관 등 [NFSC 105 제7조]
▣ 송액관은 포의 방출 종료 후 배관안에 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적당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고 그 낮은 부분에 배액
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6. 포소화설비의 배액밸브 및 포소화설비 배관의 완충장치의 설치 위치 및 설치목적을 쓰시오. [8점] ★★★★★
가. 배액밸브
① 설치위치 : 송액관의 가장 낮은 부분
② 설치목적 : 포의 방출 종료 후 배관안의 액을 방출하기 위하여
나. 완충장치
① 설치위치 : 송액관과 위험물저장탱크의 접합 부분
② 설치목적 :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7. 다음 그림과 같은 주차장에 포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① 감지방식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한다.
② 층고는 3 [m]로 한다.
③ 포헤드에 대한 배관의 관경은 다음과 같다.
설치헤드수
|
1
|
2
|
6
|
8
|
15
|
27
|
55
|
90
|
150
|
관경 [㎜]
|
25
|
32
|
40
|
50
|
65
|
80
|
100
|
125
|
150
|
가. 설치해야 할 포헤드의 종류는 무엇인가 ? (단, 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는 제외)
나. 설치해야 할 화재감지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어떤 종류를 하여야 하는가 ?
다. 설치해야 할 포헤드는 최소 몇 개 이상이어야 하는가 ? (단, 최대 방호면적으로 계산할 것)
라. 설치해야 할 감지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최소 몇 개 이상이어야 하는가 ? (단, 최대 방호면적으로 계산할 것)
[답안 작성]
가. 설치해야 할 포헤드의 종류 : 포헤드
나. 설치해야 할 화재감지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류 :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다. 설치해야 할 포헤드는 최소 몇 개 이상이어야 하는가 ?
▣ 포헤드 개수 = 750 / 9 = 83.333 ≒ 84 개 ※ 32 = 9 [㎡]
라. 설치해야 할 감지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최소 몇 개 이상이어야 하는가 ?
▣ 감지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수 : 750 / 20 = 37.5 ≒ 38 개
[해설] 포 소화설비
가. 특정소방대상물에 따른 포소화설비의 적응성 [NFSC 105 제4조]
특정소방대상물
|
설비
|
⊙ 차고
⊙ 주차장
|
⊙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 포헤드설비
⊙ 고정포방출설비
⊙ 압축공기포설비
|
⊙ 특수가연물을 저장 · 취급하는 공장 · 창고
⊙ 항공기 격납고
|
⊙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 포헤드설비
⊙ 공기포 방출설비
⊙ 압축공기포소화설비
|
⊙ 완전개방된 옥상 주차장
⊙ 고가 밑의 주차장 (주된 벽이 없고 기둥뿐이거나 주위가 위해
방지용 철주 등으로 둘러 쌓인 부분) ⊙ 지상 1층으로 지붕이 없는 부분
|
⊙ 호스릴포소화설비
⊙ 포소화전설비
|
⊙ 발전기실 · 엔진펌프실, 변압기, 전기케이블, 유압설비
|
⊙ 바닥면적 합계가 300 ㎡ 미만인 장소에는
고정식 압축공기포 소화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
8. 포의 팽창비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시오. [3점] ★★★
가. 팽창비를 구하는 식을 쓰시오.
나. 고발포란 ?
다. 저발포란 ?
[답안작성]
나. 고발포란 ? 팽창비가 80이상 1,000 미만인 것
다. 저발포란 ? 팽창비가 20 이하인 것
[참고] 팽창비에 의한 포의 종류
구 분
|
팽창비
|
포 방출구
|
|
저 발 포
|
20 이하
|
포헤드, 압축공기포 헤드
|
|
고발포
|
제1종
|
80 ~ 250 미만
|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
|
제2종
|
250 ~ 500 미만
|
||
제3종
|
500 ~ 1,00 미만
|
9. 3% 포원액을 사용하여 800 : 1 의 발포배율로 고팽창포 1,600ℓ 속에는 몇 [ℓ]의 물이 함유되어 있어야 하는가 ? [3점]
★★★★
[답안작성]
⊙ 방출전 포수용액의 체적 = 1,600 / 800 = 2 ℓ
∴ 물의 함유량 = 2 × 0.97 = 1.94 ℓ
[해설] 물의 함유량
▣ 팽창비 (발포배율)
10. 팽창비가 300인 포소화설비에서 3% 포원액 저장량이 100ℓ 라면 방출한 후 포의 체적 [㎥]은 얼마인가 ? [3점] ★★★★
[문제풀이]
▣ 방출전 포수용액의 체적 = 100 ℓ / 0.03 = 3,333.333 ℓ
11. 3% 형 단백포 소화약제의 원액 300 ℓ 를 취해서 포를 방출시켰더니 발포배율이 16배 되었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5점] ★★★★
가. 발포된 포의 체적 [㎥]을 구하시오.
나. 포의 팽창배율에 따른 다음 표를 완성하시오.
팽창배율에 따른 포의 종류
|
포방출수의 종류
|
팽창비가 ( ① ) 이하인 것 (저발포)
|
포헤드, 압축공기포 헤드
|
팽창비가 ( ② ) 이상 ( ③ ) 미만인 것 (고발포)
|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
|
[문제풀이]
가. 방출된 포의 체적
▣ 방출전 포수용액의 체적 : 300 / 0.03 = 10,000 ℓ
나. 표를 완성하시오.
① 20 ② 80 ③ 1,000
[참고] 팽창비에 따른 표의 종류
구 분
|
팽창비
|
포 방출구
|
|
저 발 포
|
20 이하
|
포헤드, 압축공기포 헤드
|
|
고발포
|
제1종
|
80 ~ 250 미만
|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
|
제2종
|
250 ~ 500 미만
|
||
제3종
|
500 ~ 1,00 미만
|
12. 합성계면활성포 소화약제 1.5% 형을 650 : 1로 방출하였더니 포의 체적이 16.25 ㎥ 이었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 ★ ★
가. 사용된 합성계면활성제포 1.5 % 형의 포수용액의 양 [ℓ]을 구하시오.
나. 사용된 수원의 양 [ℓ]을 구하시오.
다. "가"에서 방출된 합성계면활성제 포수용액을 사용하여 팽창비가 280이 되게 포를 방출한다면 방출된 포의 체적 [ℓ]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가. 포수용액의 양 [ℓ]
▣ 포수용액의 양 : 16.25 ÷ 650 × 1,000 = 25 ℓ
나. 사용된 수원의 양 [ℓ]
▣ 수원의 양 : 25 ℓ × 0.985 = 24.625 ≒ 24.63 ℓ
다. 팽창비 280으로 방출하였다면 발표된 포의 체적 [ℓ]은 ?
▣ 발포된 포의 체적 : 25 ℓ × 280 = 7,000 ℓ
13. 포소화설비에서 6g의 포원액과 100g의 물을 혼합하였을 때, 포 원액의 농도를 구하시오. [3점] ★★
[답안작성]
14. 포소화설비에 사용되는 저발포 소화약제 5가지를 쓰시오. [5점] ★★
[답안작성]
① 단백포 소화약제
② 수성막포 소화약제
③ 불화단백포 소화약제
④ 합성계면활성제포 소화약제
⑤ 내알코올형포 소화약제
※ 고발포용에는 합성계면활성제포만 사용한다.
합성계면활성제포는 저발포용과 고발포용으로 사용된다.
#포소화설비 #단백포 #불화단백포 #수성막포 #합성계면활성제포 #내알코올형포 #팽창비 #발포배율 #소화약제 #펌프푸로포셔너 #바이패스 #공기포혼합장치 #체크밸브
#진공계 #송액관 #연성계
'소방설비기사기계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화탄소(CO2) 소화설비 실기 기출문제풀이 - 1 (0) | 2023.10.25 |
---|---|
포소화설비 실기 기출문제풀이 - 5 (2) | 2023.10.25 |
포소화설비 실기 기출문제풀이 - 3 (2) | 2023.10.24 |
포소화설비 실기 기출문제 풀이 - 2 (2) | 2023.10.22 |
포소화설비 실기 기출문제 풀이 - 1 (2)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