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자동화재속보설비

  ▣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설비

 

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구성요소

  ① 속보기

  ② 수신기 (P형, R형)

  ③ 발신기 (P형)

  ④ 감지기

나.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기준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되는 것으로 할 것. 이 경우 부가

       적으로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화재발생 상황을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②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③ 속보기에는 소방관서에 통신망으로 통보하도록 하며, 데이터 또는 코드전송방식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④ 문화재에 설치하는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속보기에 감지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자동화재탐지설비 1개의 경계구역에

       한한다)으로 할 수 있다.

다. 표시등의 색

   ① 자동화재속보설비 : 적색

   ② 누전경보기 : 적색

   ③ 가스누설경보기 : 황색

라. 변압기

   ▣ 용량은 최대사용전류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크기 이상이어야 한다.

마. 예비전원

  ① 내부에 예비전원은 알칼리계 2차 축전지, 리튬계 2차 축전지 또는 무보수밀폐형 연축전지를 설치하여야 하며 예비전

       원의 인출선 또는 접속단자는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색상에 의하여 극성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예비전원은 자동적으로 충전되어야 하며 자동과충전방지장치가 있을 것

  ③ 예비전원을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는 역충전방지 등의 조치를 강구할 것

바. 속보기의 절연저항값

절연저항계
구분
절연저항
직류 500 [V]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5 [MΩ] 이상
⊙ 절연된 전로간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20 [MΩ] 이상

【 출제 예상 문제 】

1. 다음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에 대한 설명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속보기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5 [MΩ]

  나. 가. 번 문항과 같은 방법으로 교류입력측과 외함간을 측정할 때에는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20 [MΩ]

  다. 사용되는 전자기기용 변압기의 정격 1차 전압을 몇 [V]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300 [V]

2. 다음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절연저항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절연된 ( ① 충전부) 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 ② 5 )

        [MΩ] 이상이어야 하고 교류입력측과 외함간에는 (③ 20) [MΩ] 이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절연된 선로 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 [V] 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④ 20) [MΩ] 이상이어야 한다.

3.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속보기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5 [MΩ] 이상

  나. 상기 가. 번 문항과 같은 방법으로 교류입력측과 외함간을 측정할 때에는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20 [MΩ] 이상

  다. 전원변압기의 용량은 어느 것에 연속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가 ?  최대사용전류

4. 자동화재속보설비에 대한 다음 빈칸을 완성하시오.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기능에서 자동화재탐지설비로 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 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 ㉠ 2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 하고 (㉡ 3회 이상) 속보하여야 한다.

2. 비상경보설비

가. 비상경보설비

  ① 비상벨 설비 : 화재발생상황을 경종으로 경보하는 설비

  ② 자동식 사이렌 설비 : 화재발생상황을 사이렌으로 경보하는 설비

 

나. 비상경보설비의 설치기준

  ①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는 부식성 가스 또는 습기 등으로 인하여 부식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지구음향장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

        의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 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③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도록 할 것

  ④ 음향장치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 부터 1 [m] 떨어진 위치에서 90 [dβ]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⑤ 발신기의 설치기준 (단, 지하구의 경우 발신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발신기 까지의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단,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 [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할 것)

     ㉢ 발신기의 위치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15 [°]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

          부터 10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할 것

다. 비상경보설비 전원의 설치기준

  ① 상용전원

    ㉠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 개폐기에는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용"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② 비상전원

    ▣ 비상벨 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 (수신기에 내장하는 경우 포함) 또는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할 것

라. 절연저항값

절연저항계
구분
절연저항
직류 500 [V]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5 [MΩ] 이상
⊙ 절연된 전로간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20 [MΩ] 이상

【출제 예상 문제】

1. 비상경보설비에 사용되는 축전지 설비의 절연저항시험은 DC 500 [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다음의 경우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가.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 5 [MΩ] 이상

   나.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 20 [MΩ] 이상

   다. 절연된 선로간 : 20 [MΩ] 이상

3. 단독경보형 감지기

  ▣ 화재발생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

 

가.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기능

  ① 자동복귀형 스위치 (자동적으로 정위치에 복귀할 수 있는 스위치를 말한다)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시험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할 것

  ② 작동되는 경우 작동표시등에 의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하고, 내장된 음향장치의 명동에 의하여 화재경보음을 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

  ③ 주기적으로 섬광하는 전원표시등에 의하여 전원의 정상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전원의 정상상태

       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등의 섬광주기는 1초 이내에 점등과 30초 에서 60초 이내의 소등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④ 화재경보음은 감지기로 부터 1 [m] 떨어진 위치에서 85 [dβ] 이상으로 10분 이상 계속 하여 경보할 수 있어야 할 것

  ⑤ 건전지의 성능이 저하되어 건전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음성안내를 포함한 음향 및 표시등에 의하여 72시간

       이상 경보할 수 있어야 할 것. 이 경우 음향경보는 1 [m] 떨어진 거리에서 70 [dβ] (음성안내는 60 [dβ]) 이상이어야

       할 것

나.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기준

  ① 각 실 (이웃하는 실내의 바닥면적이 각각 30 [㎡] 미만이고 벽체의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 이웃하는 실내와

       공기가 상호유통되는 경우에는 이를 1개의 실로 본다) 마다 설치하되, 바닥 면적이 15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50

        [㎡]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② 최상층의 계단실의 천장 (외기가 상통하는 계단실의 경우 제외)에 설치할 것

  ③ 건전지를 주전원으로 사용하는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건전지를 교환할 것

  ④ 상용전원을 주전원으로 사용하는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2차 전지는 관련법 규정에 따른 제품검사에 합격한 것을

       사용할 것

【 출제 예상 문제】

1. 바닥면적이 1,000 [㎡]인 경우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몇 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 1000 ÷ 150 = 6.67 7개

2.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일반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가. ( ① 자동복귀형 스위치)에 의하여 (② 수동)으로 작동시험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나. 작동되는 경우 ( ③ 작동표시등)에 의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하고, 내장된 (④ 음향장치)의 명동에 의하여 화재경보음

        을 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다. 주기적으로 섬광하는 전원표시등에 의하여 전원의 정상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전원의 정상상태

        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등의 섬광 주기는 ( ⑤ 1초) 이내의 점등과 (⑥ 30초)에서 (⑦ 60초) 이내의 소등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라. 나. 의 규정에 의한 화재경보음은 감지기로 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85 [dβ]) 이상으로 하고 ( ⑨ 10분) 이상 계속

        하여 경보할 수 있어야 한다.

  마. 건전지의 성능이 저하되어 건전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음성안내를 포함한 음향 및 표시등에 의하여 (⑩ 72시

        간) 이상 경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음향경보는 1[m] 떨어진 거리에서 (⑪ 60 [dβ]) 이상이어야 한다.

3.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기준 중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

  가. 각 실마다 설치하되, 바닥 면적이 ( ① 15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② 150) [㎡] 마다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나. 이웃하는 실내의 바닥 면적이 각각 (③ 30) [㎡] 미만이고, 벽체의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 이웃하는 실내와

        공기가 상호 유통되는 경우에는 이를 (④ 1)개의 실로 본다.

  다. 상용전원을 주전원으로 사용시 (⑤ 2차 전지)는 제품검사에 합격한 것을 사용한다.

#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 #수신기 #발신기 #표시등 #적색 #황색 #충전부 #예비전원

#비상경보설비 #사이렌 #음향장치 #개폐기 #절연저항 #비상전원 #단독경보형감지기

#자동복귀형스위치 #작동표시등 #2차전지 #섬광 #주기 #경종

반응형
반응형

1. 경계구역

  ▣ #특정소방대상물#화재 #신호 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

2. 경계구역의 설정기준

   ※ 자동화재탐지설비 (경계구역) : 600 [㎡], 50 [m]

      스프링클러소화설비 (방호구역) : 3,000 [㎡] 이하

      가스계소화설비 (방호구역) : 면적제한 없음

가. 수평적 경계구역

 ① 층, 면적, 길이별 기준 (실기에서는 한번 나옴)

   ㉠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500 [㎡]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 이하로 하고 한 변의 길이는 50 [m] 이하로 할 것. 다만,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이는 것에 있어 서는 한 변의 길이가 50 [m] 의 범위 내에서 1,000 [㎡] 이하로 할 수

         있다.

 ② 외기 개방시의 기준 (차고, 주차장, 창고)

    ⊙ 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부분이 있는 차고, 주차장, 창고 등에 있어서는 외기에 면하는 각 부분으로 부터 5 [m] 미

          만의 범위 안에 있는 부분은 경계구역의 면적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 외기 개방시 5 [m] 미만 경계구역 면적 산입 제외 대상

       ① 차고     ② 주차장   ③ 창고

[거리 5 [m] ]

  ▣ 외기 개방시 5 [m] 미만의 경계구역 면적 산입 제외

  ▣ 비상콘센트를 설치할 경우 계단 부속실의 출입구로 부터 5 [m] 이내

 ③ 다른 설비에 감지기 설치시의 기준

    ⊙ #스프링클러설비 , 물분무등 소화설비 또는 제연설비의 화재감지장치로서 화재감지기를 설치한 경우의 경계구역은

         해당 소화설비의 방사구역 또는 제연구역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 특고압 케이블이 포설된 송·배전 전용의 지하구(공동구 제외)에는 온도 확인 기능없이 최대 700[m]의 경계구역을 설정

      하여 발화지점 ( 1[m] 단위)을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다.

 

나. 수평적 경계구역의 예

구분
원칙
예외
층별
층마다
2개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는 경우
: 500 [㎡] 범위 안
면적
600 [㎡] 이하
1,000[㎡] 이하로 할 수 있는 경우 : 주된 출입
구에서 내부 전체가 보이는 곳
길이
한변의 길이 50 [m] 이하

  ▣ 2개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는 경우

 

  ▣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 및 길이

 

  ▣ 1경계구역

 

  설정기준 ㉠ 한변의 길이 50 [m]이하, 면적 600 [㎡] 이하

                 ㉡ 주된 출입구에서 내부 전체가 보이는 곳에서 한변의 길이 50 [m]이고 내부 면적 1,000[㎡] 이하

  ▣ 2경계구역

 

  ▣ 4경계구역

 

다. 수직적 경계구역

  ▣ 계단, 경사로(에스컬레이터 경사로 포함), 엘리베이터 승강로 (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하되,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 [m] 이하로

       하고, 지하층의 계단#경사로 (지하층의 층수가 1일 경우는 제외)는 별도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것

 

  ※ 계단 : 45 [m]

      엘리베이터 (E/L) : 1개 1경계구역

       지하 1층인 경우 : 지상에 포함

       지하 2층 이상인 경우 : 지하층 별도 경계구역

라. 수직적 경계구역의 예

  ▣ 수직적 경계구역

구분
계단 · 경사로
E/V 승강로(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덕트 및 덕트
높이
45 [m] 이하
제한 없음
지하층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할 것
(지하1층만 있는 경우 제외, 즉,
지상층에 포함하여 경계구역 설정
제한 없음
 

【 출제 예상 문제 】

 [경계구역 설정]

  ① 수평적 경계구역을 산출

      ㉠ 1개층 면적 ÷ 600 [㎡] = 1개층 경계구역 수 × 전체 층 = 수평적 경계구역 합계

  ② 수직적 경계구역을 산출

       ㉠ 계단 : - 지상계단 : 계단높이 ÷ 45 [m] = 경계구역수

                       - 지하계단 : 계단높이 ÷ 45 [m] = 경계구역수

        ㉡ E/V : 개소

1. 다음 그림과 같은 건물의 #경계구역 수를 구하시오.

 

[답안작성]

 

▣ 3경계구역

2. 다음 그림과 같이 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부분이 있는 주차장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경계구역

     면적 [㎡]를 구하시오.

 

  [답안작성]

 

  ▣ 주차장 등 외기와 면하여 상시 개방되는 곳은 5 [m] 까지 경계구역에서 제외

      경계구역 = 10 × (12-5) = 10 × 7 = 70 [㎡]

3. 지하 3층, 지상 14층인 건축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의 조건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엘리베이터는 지하 3층에서 지상 14층 까지 연결되는 1대와 지하 3층에서 지상 6층 까지 연결되는 1대 총 2대가 설치

        되어 있다.

   ⊙ 계단은 건축물의 우측에 1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하 3층에서 옥상까지 연결되어 있다.

   ⊙ 건축물의 층고는 3.3 [m] 이다.

 

  가. 수직적 경계구역의 전체 경계구역수를 구하시오.

  나. 환경상태가 연기가 멀리 이동해서 감지기에 도달하는 장소 (계단, 경사로)에 설치하는 감지기의 명칭을 4가지 쓰시오.

    ①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

    ②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③ 광전아날로그식 스포트형 감지기

    ④ 광전아날로그식 분리형 감지기

 

다. 위 그림에서 수직적 경계구역의 적당한 위치에 연기감지기를 그려 넣으시오.

       (단, 연기감지기는 2종을 설치한다)

 

4. 내화구조인 지하2층, 지상 6층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 조건 >

   ⊙ 지하 2층에서 지상 6층 까지의 직통계단은 1개소이다.

   ⊙ 각 층에 감지기는 차동식 스포트형 1종을 설치하고, 계단은 연기감지기 2종을 설치한다.

   ⊙ 5층 이하의 층의 바닥면적은 640 [㎡] 이다.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의 면적은 각 층별로 50 [㎡] 이다.)

   ⊙ 6층의 바닥면적은 480 [㎡]이다. (화장실은 없다.)

   ⊙ 지하 1층과 지상 1층의 높이는 4.5 [m]이며 나머지 층은 높이가 3.8 [m] 이다.

   ⊙ 복도는 없는 구조이다.

  가. 경계구역수를 구하시오.

 나. 감지기의 수량을 종류별로 구하시오.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1종>

  <연기 감지기 2종>

   정답 : ①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1종) : 69개

             ② 연기감지기 (2종) : 3개

5.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 조건 >

   ⊙ 각 층의 높이는 4 [m]입니다.

   ⊙ 계단, 경사로 및 수직경계구역의 면적은 계산과정에서 제외한다.

 가. 위의 도면을 보고 경계구역수를 산출하여 표의 빈칸을 채우시오.

층수
산출내역
경계구역수
4층
450 ÷ 600 = 0.75 ≒ 1
1경계구역
3층
600 ÷ 600 = 1
1경계구역
2층
700 ÷ 600 = 1.17 ≒ 2
2경계구역
1층
750 ÷ 600 = 1.25 ≒ 2
2경계구역
지하1층
1,000 ÷ 600 = 1.67 ≒ 2
2경계구역
지하2층
1,350 ÷ 600 = 2.25 ≒ 3
3경계구역

 나. 본 #소방대상물 에 계단 및 엘리베이터가 각각 1개소씩 설치되어 있을 경우 수신기는

   P형 몇 회로용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산출내역과 #회로수 를 쓰시오.

    <수평적 경계구역>

      ▣ 1+1+2+2+2+3 = 11경계구역

   <수직적 경계구역>

   <총 경계구역 수> 11 + 1+ 1+ 1 = 14 경계구역

      14 경계구역은 14회로이므로 15회로용 수신기를 사용

       [정답] 15회로용

6. 지하 1층, 지상 5층 건축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의 조건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평면도상의 구조는 모든 층이 동일하다.

   ⊙ 계단 및 엘리베이터 (EL)는 건축물 양쪽에 각각 1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 엘리베이터 (EL)는 2대 모두 지하 1층에서 지상 5층까지 연결된다.

   ⊙ 계단 1개소의 단면적은 25 [㎡], 엘리베이터 (EL) 1개소의 단면적은 12 [㎡] 이다.

   ⊙ 이 건축물의 한 개 층의 층고는 4 [m] 이다.

 

  가. 한층의 수평적 #경계구역 을 구하시오.

  나. 이 건축물의 수평적 경계구역과 수직적 경계구역을 구하시오.

    ① 수평적 경계구역 : 2 × 6개층 = 12 경계구역

    ② 수직적 경계구역

  다. 이 건축물에 사용되는 수신기의 종류를 쓰시오. P형 #수신기

  라. 일반적으로 #계단#엘리베이터 (EL)에 설치하는 감지기의 종류 및 종별을 쓰시오.

         #연기감지기 2종

  마. 계단에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설치하여야 할 층을 모두 쓰시오. 지상 2층, 지상 5층

반응형
반응형

【발신기】

1. 발신기

  ▣ 화재발생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

2. P형 발신기

▣ 수동으로 각 발신기의 공통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발신하는것으로 발신과 동시에는 전화통화가 되지아니하는 

  ※ 예전에는 R형, M형이 있었으나 모두 없어지고 P형만 남았다.

3. P형 발신기의 구성

 

[구성요소]

  ⊙ 누름스위치 : 수동조작에 의하여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발신하는 장소

  ⊙ 응답확인램프 : 발신기의 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주는 램프

  ⊙ 보호판 : 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것

  ⊙ 명판

  ⊙ 외함

4. 발신기의 설치기준 : 자주는 나오지 않음, 통으로 출제

  ①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②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발신기 까지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 [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할 것

  ③ 기둥 또는 벽이 설치되지 아니한 대형 공간의 경우에는 발신기는 설치대상 장소의 가장 가까운 장소의 벽 또는 기둥

       등에 설치할 것

  ④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15 [°]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

       지점으로 부터 10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 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할 것

【 출제예상문제 】

 문 1. P형 발신기의 구성요소 3가지를 쓰시오.

     ① 누름스위치       ② 응답 확인 #램프       ③  보호판

문 2. 다음 그림은 P형 발신기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①, ② 의 명칭을 쓰고 그 용도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① 응답확인램프 (LED) : 화재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지 확인해 주는 램프

  ② 누름 #스위치 : 수동조작에 의하여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보내는 장치

문 3. P형 발신기를 눌렀더니 지구경종이 울렸다. 수신기에서 지구경종의 경보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복구스위치를 작동

        시켰으나 경보가 정지되지 않고 있을 경우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

  [답안작성] P형 발신기의 누름 스위치가 복구 되었는지 확인한다.

문 4. 그림은 지하 2층, 지상 5층 (상가 및 사무실) 건물의 옥내소화전함(자동기동방식)과 함께 설치된 P형 발신기 세트

         등의 외관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도면에서 "L"은 무엇인지, 명칭, 용도 및 평상시 점등여부를 쓰시오.

   ① 명칭 : #표시등

   ② 용도 :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 표시

   ③ 평상시 점등여부 : 점등

나. 도면에서 "A"의 명칭은 무엇이며, 이것은 어느 경우에 점등하는지 4가지만 쓰시오.

   ① 명칭 : 기동표시등

   ② 점등되는 경우 : 방수구 개방시, 펌프 기동시, 배관 누수시, 압력스위치 고장시

다. 도면에서 "T"의 명칭은 무엇이며 그 사용법은 어떠한가 ?

   ① 명칭 : #전화잭

   ② 용도 : 송수화기를 전화잭에 꽂으면 수신기에 부저가 울려서 수신기와 상호 통화 가능

라. 발신기의 "P"를 누르면 어떤 것들이 작동되어서 인명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지 쓰시오. : 음향장치, 시각경보장치

문 5.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 설치기준 2가지를 쓰시오.

  [답안작성]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층마다 설치하고 수평거리 25 [m] 이하가 되도록 한다.

   ②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조작부 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 중계기 】

1. 중계기

▣ 감지기 또는 발신기 (M형 발신기 제외)의 작동에 의한 신호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에서 발하여진 가스누설신호

     를 받아 이르 수신기 (M형 수신기 제외), 가스누설경보기,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에 발신하며 소화설비, 제연설비, 그밖

      에 이와 유사한 방재설비에 제어신호를 발하는 장치

 

2. 중계기의 구조 및 기능

   ① 정격전압이 60 [V]를 넘는 중계기의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할 것

   ② 예비전원회로에는 단락사고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퓨즈를 설치할 것

   ③ 화재신호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조작부는 설치하지 아니할 것

   ④ 수신개시로 부터 발신개시까지의 시간은 5초 이내일 것

3. 중계기의 설치기준 : 시험 자주 출제

   ①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행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할 것

   ② 조작 및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③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 입력측의 배선에 과전류차단기

     를 설치하고 해당 전원의 정전 즉시 수신기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4. 중계기의 설치장소

가. 분산형 중계기의 설치장소

   ① 발신기 세트함 (단독형 또는 옥내소화전 내장형) 내부

   ② #스프링클러 설비의 접속박스 내부 또는 svp (수퍼비죠리 판넬) 내부

   ③ 가스계소화설비 (CO2, 할론,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수동조작함 내부

   ④ #제연댐퍼 수동조작함 내부

   ⑤ #배연창 , #방화셔터 , 연동제어기 내부

   ⑥ 중계기 전용함 설치시 전용함 내부

 

나. 집합형 중계기의 설치장소

  ▣ #전기피트 (Pit)실 또는 E.P.S (Electrical Piping Shaft)실 내부

5. P형 중계기와 R형 중계기

  ① P형 중계기 : 연기감지기,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 또는 특수감지기가 중계기를 이용하는 형식으로 이들 신호를 증폭

                            하거나 기동회로(구동회로)용의 신호 송출이나 기동회로용 전원을 공급하는 등, 감지기나 가스누설경보

                            기의 탐지부의 발신신호를 수신기에 중계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중계기

   ② R형 중계기 : 고유신호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의 신호를 공통의 신호선을 통해 R형 수신기에

                             발신하는 역할을 하는 중계기

6. 중계기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회로방식

  ①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

  ② 중계기에 접속되는 외부배선과 다른 설비의 외부배선을 공용하는 회로방식 (단, 화재신호, 가스누설신호 및 제어신호

        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것 제외)

7. 중계기의 시험

  ① 주위온도시험 : - 10 [℃] ~ 50 [℃] 범위의 주위온도에서 기능에 이상이 없을 것

  ② 반복시험 : 정격전압에서 정격전류를 흘리고 2,000회 작동반복시험을 하는 경우 기능에 이상이 없을 것

  ③ #절연저항 시험 : 직류 500 [V] 절연저항계에서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및 절연된 선로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20

                                  [MΩ] 이상일 것

   ④ #절연내력시험

   ⑤ #방수시험

 

[참고] 중계기

가. 중계기별 비교

구 분
집합형
분산형
입력전원
외부전원 (AC 220 [V])
수신기 전원 (DC 24 [V])
정류장치
있음
없음
전원공급사고
내장된 예비전원에 의해
정상적인 동작 수행
중계기 전원선로 사고시 해당
계통 전체 시스템 마비
외형크기
대형
소형
회로수
대용량 (30 ~ 40 회로)
소용량 (5회로 미만)
설치방식
전기피트(Pit) 등에 설치
발신기함에 내장하거나 별도의
중계기 격납함에 설치
적용대상
① 전압강하가 우려되는 대규모
건축물
① 수신기와 거리가 먼 초고층
건축물
① 대단위 아파트 단지
② 전기피트(Pit)가 없는 건축물
③ 객실별로 아날로그 감지기를
설치한 호텔
설치
비용
중계기
가격
적게 소요
많이 소요
배관·배선
비용
많이 소요
적게 소요

※ 분산형 중계기의 설치장소 : 옥내소화전함, SVP 수퍼비조리판넬 수동조작함

                                               가스누설경보기 수동조작함 등

나. 중계기별 회로구성의 예

 

【 출제 예상 문제 】

1. 자동화재탐지설비 중계기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①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로의 도통시험을 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할 것

  ② 조작과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③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 입력측의 배선에 과전류차단기

       를 설치하고 해당 전원의 정전 즉시 수신기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계기에 반드시 설치하여야 할 시험장치를 쓰시오.

  ① 사용전원 시험

  ② 예비전원 시험

3.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계기의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가.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①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할 것

  나.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 입력측 배선에 (② 과전류차단

        기)를 설치하고 해당 전원의 정전이 즉시 수신기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③ #상용전원#예비전원 )의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4. 분산형 중계기의 설치장소 4가지를 쓰시오.

   ① #발신기 세트함 (단독형 또는 옥내소화전 내장형) 내부

   ② 스프링클러설비의 접속박스 내부 또는 SVP (수퍼비죠리판넬) 내부

   ③ 가스계소화설비 (CO2, #할론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수동조작함 내부

   ④ 제연댐퍼 수동조작함 내부

5. #자동화재탐지설비#중계기 설치기준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어디에 설치하는가 ?

         #수신기#감지기 사이

  나. 수신시에 의하여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 입력 측의 배선에 무엇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 과전류차단기

  다. 중계기는 수신개시로부터 발신개시까지의 시간은 몇 초 이내이어야 하는가? 5초 이내

반응형
반응형

【 수신기 】

가. 수신기의 정의

 ▣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여

      주는 장치

 

나. 수신기의 분류

  ① P형 수신기

  ② R형 수신기 : 전선 4가닥 (전원 2가닥 + 신호선 2가닥)  변하지 않고 계속 4가닥 유지

      ※ 실무에서는 4가닥으로 약 100개까지 감지기 커버

  ③ GP형 : 가스누설경보기 + P형 수신기

  ④ GR형 : 가스누설경보기 + R형 수신기

  ⑤ 복합형 : 수신기 + 제어반 : P형, R형, GP형, GR형

 

다. 수신기 분류에 따른 정의 (5년에 한번꼴로 출제)

  ① P형 수신기 : 공통신호 (중계기가 있다고 반드시 R형 수신기는 아님)

  ② R형 수신기 : 고유신호

  ③ GP형 : 가스누설경보기 + P형 수신기

  ④ GR형 : 가스누설경보기 + R형 수신기

  ⑤ P형 복합수신기 : 수신기와 제어반이 같이 있는 것 : 공통신호 +소화설비

  ⑥ R형 복합수신기 : 고유신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것

  ⑦ GP형 복합수신기 : P형 복합수신기 + 가스누설경보기

  ⑧ GR형 복합수신기 : R형 복합수신기 + 가스누설경보기

  ⑨ 간이형 수신기 : 기능을 단순화시킨 수신기

【 수신기의 스위치 주의등 점멸시 원인 】

   ① 주경종 (정지)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구형 수신기의 경우)

   ② 지구경종 (정지)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③ 도통시험 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④ 화재표시 작동시험 (회로시험) 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⑤ 자동복구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 수신기의 상용전원 감시등 소등의 원인 】

   ① 정전의 경우

   ② 퓨즈 단선의 경우

   ③ 상용전원 단선, 접촉불량 등의 경우

   ④ 전원부 불량의 경우

참고 】 P형 수신기와 R형 수신기의 비교

구 분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시스템 구성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감지기, 발신기 등 이외 각종 Local 장치와
수신기, 중계기
전송방식
개별전송방식 ( 1 : 1 접점방식)
다중전송방식
신호종류
공통신호
고유신호
화재표시
표시등 (Lamp)
액정표시장치 (LCD)
표시방식
창구식, 지도식
창구식, 지도식, CRT식, 디지털식
배관배선공사
선로수가 많아 복잡하다.
선로수가 적어 간단하다.
수신반 가격
저가
고가
유지관리
선로수가 많고 수신기에 자가진단기능이
없으므로 유지관리가 어렵다.
선로수가 적고 자가진단기능에 의해 고장
발생을 자동으로 경보 · 표시하므로 유지
관리가 쉽다.
도통시험
수신기에서 수동으로 시험
자동으로 검출되어 표시함
설치장소
⊙ 소규모 빌딩
⊙ 단지규모가 작은 아파트
⊙ 부지가 넓지 않은 공장 등
⊙ 초고층 빌딩
⊙ 대단지 아파트
⊙ 부지가 넓은 공장 등
시스템 작동
감지기, 발신기 등 Local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표시 및 경보를 발한다.
Local장치가 동작시 이를 중계기에서 고유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기에 통보하며, 수신
기는 화재표시 및 경보를 발하고, 수신기에
서는 이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한다.
신뢰성
수신기 고장시 전체 시스템 기능이 마비
된다.
수신기 고장시에도 중계기는 독자적으로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전압강하
선로의 길이에 따라 전압강하가 발생하
므로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굵은 전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압강하
의 우려가 없다.
신축,변경,
증설
어렵다.
용이하다.

※ 시험출제

   ⊙ 전송방식 : P형 수신기 : 개별전송방식 ( 1 : 1 접점방식)    R형 수신기 : 다중전송방식

   ⊙ 신호종류 : P형 수신기 : 공통신호, R형 수신기 : 고유신호

【 자주 출제되는 전압 수치 】

구 분
전압
⊙ 누전경보기의 경계전로의 전압강하
⊙ 축전지의 완전방전
⊙ 금속제 외함의 접지단자 설치
⊙ 전원변압기의 1차 전압
⊙ 유도등, 비상조명등의 사용전압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보안기의 작동전압
⊙ 누전경보기의 경계전로 전압
0.5 [V] 이하
0.6 [V] 이하
60 [V] 초과
300 [V] 이하
300 [V] 이하
100[V] 이상 300[V] 이하
600 [V] 이하
⊙ 저압
교류 : 1,000[V] 이하
직류 : 1,500 [V] 이하
⊙ 고압
교류 : 1천[V] ~ 7[kV] 이하
직류 : 1.5천[V] ~7[kV] 이하
⊙ 특고압
7[kV] 초과

【P형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을 경우 상황]

 

   ① 화재램프 점등

   ② 지구램프 점등

   ③ 지구벨(지구경종) 명동

   ④ 주벨 (주경종) 명동

【 소요시간】

구 분
소요시간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중계기
5초 이내
비상방송설비
10초 이내
P형 수신기(축적형), R형 수신기(축적형), 가스누설경보기
60초 이내

   ※ 외우는 법 : 5중 : 중계기 5초

                         ★ 비상방송설비 : 10초 이하

                              가스누설경보기 : 60초 이하

【수신기의 기능시험】

   ※ 시험에 자주 출제됨

가. 화재표시 작동시험 (요즘은 뜸함)

  ▣ 화재작동시 수신기의 해당 지구표시등 및 화재표시등의 점등과 음향장치의 명동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동작시험 스위치 및 자동복구스위치를 누른다. (시험위치에 놓는다)

       ㉡ 회로선택스위치를 (1회로 마다) 회전시킨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각 릴레이(Relay)의 작동,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의 점등 및 음향장치의 작동확인이 정상일 것

 

나. 회로 도통시험 (자주 출제됨)

 ▣ 감지기 회로의 단선유무와 기기의 접속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도통시험 스위치를 누른다. (시험위치에 놓는다)

    ㉡ 회로선택스위치를 회로별로 회전시킨다.

      ⊙ 수신기 형식이 전압계 Type : 전압계의 표시 부위를 확인한다. (X)

      ⊙ 수신기 형식이 LED Type : LED의 점등유무를 확인한다.

      ⊙ 종단저항의 접속상황을 확인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수신기의 형식이 전압계 Type (ㅌ)

      ⊙ 전압계의 지시치가 녹색 범위 (2~6[V])일 경우 정상

      ⊙ 전압계의 지시치가 적색 범위일 경우 : 단락

      ⊙ 전압계의 지시치가 0일 경우 : 단선

   ㉡ 수신기의 형식이 LED Type (O)

      ⊙ LED의 점등이 정상위치일 경우 정상

      ⊙ LED의 점등이 단선위치일 경우 단선

다. 공통선 시험 ( 잘 나옴)

 ▣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의 수의 적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 방법

    ㉠ 수신기내 접속단자의 회로 공통선을 1선 제거한다.

    ㉡ 회로도통시험의 예에 따라 회로선택스위치를 회로별로 회전시킨다.

    ㉢ 전압계 또는 LED를 확인하여 '단선'을 지시한 경계구역의 회선수를 점검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의 수가 7이하일 것

라. 동시작동시험 (1회선은 제외 : 여러회선 (5회선) 시험)

  ▣ 감지기가 동시에 수회선을 작동하더라도 수신기의 기능에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주전원에 따라 행한다.

   ㉡ 5회선 (5회선 미만은 전 회선)을 동시에 작동시킨다. (회선별로 복구가 되지 말 것)

   ㉢ 위의 경우 주음향장치 및 지구음향장치를 명동시킨다.

   ㉣ 부수신기와 표시기를 함께 설치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는 이 전부를 작동상태로 한다.

 ② 가부 판정의 기준

    ▣ 각 회선을 동시에 작동시켰을 때, 수신기, 부수신기, 표시기, 음향장치 등의 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하며,

         또한 유효하게 화재작동을 계속하는 것으로 할 것

마. 예비전원시험 (시험에 자주 나옴)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이 사고 등으로 정전이 된 경우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절환되며, 또한 정전이 복구된 경우

       자동적으로 일반 상용전원으로 절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 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 방법

   ㉠ 예비전원시험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시험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 전압계의 지시치(X) 또는 LED 및 전원표시의 절환여부를 확인한다.

   ㉢ 예비전우너 시험스위치를 떼고 (상용전원으로 복귀시킨다) 자동절환 릴레이의 작동상황을 확인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수신기의 형식이 전압계 Type (X) : 전압계의 지시치가 약 24 [V]이고, 상용전원 ↔ 예비전원의 절환에 이상이 없으면

        정상

   ㉡ 수신기의 형식이 LED Type : LED가 녹색 (정상) 위치에 있고 상용전원 ↔ 예비전원의 절환에 이상이 없으면 정상

바. 저전압 시험 (80%)

  ▣ 전원의 전압이 저하한 경우 그 기능이 충분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자동화재탐지설비용 전압시험기 또는 가변저항기 등을 사용하여 교류전원 전압을 정격전압의 80[%] 이하로 한다.

        (축전지 설비의 경우에는 축전지의 단자를 절환하여 정격전압의 80 [%] 이하로 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화재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음향장치를 정상적으로 음향을 발할 것

사. 회로저항 시험 (1번 출제됨)

 ▣ 감지기 회로 1회선의 선로저항치가 수신기의 기능에 이상을 가져오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저항계를 사용하여 감지기 회로의 공통선과 회로선 사이의 전로에 대하여 측정한다.

   ㉡ 상시개로식인 경우에는 회로의 말단상태를 도통상태로 하여 측정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하나의 감지기 회로의 합성저항치가 50 [Ω] 이하일 것

아. 비상전원 시험 (비상전원으로 축전지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에 행한다)

  ※ 예비전원 시험의 예에서 예비전원을 비상전원으로 말만 바꾸면 된다.

 ▣ 상용전원이 사고 등으로 정전이 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비상전원으로 절환되며 또한 복구시에 자동적으로 일반 상용

      전원으로 절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축전지의 전원을 개로상태로 하고 전압계의 지시치 또는 LED가 적정한가를 확인한다.

 ② 가부 판정기준 : 비상전원의 전압, 용량의 절환상태 및 복구작동이 정상적으로 될 것

자. 지구음향장치 시험

 ▣ 감지기 또는 발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해당 지구음향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① 시험방법 : 해당 경계구역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를 작동시킨다.

 ② 가부판정기준 : 해당 경계구역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를 작동시켰을 때 해당 지구음향장치가 작동하고 음량이 정상일 것

                              (음량은 음향장치의 중심에서 1[m] 떨어진 위치에서 90 [dβ] 이상일 것

【 회로 도통시험을 한 결과 단선의 원인 】

  ① 종단저항 미설치

  ② 감지기 회로 선로의 단선

  ③ 시험스위치의 불량

【 수신기의 설치기준 】 5~6년에 한번 꼴로 출제

가. 수신기의 적합기준 (NFTC 203.2.2)

 ①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경계구역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회선수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할 것

 ②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가스누설탐지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가스누설탐지설비로 부터 가스누설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누설경보를 할 수 있는 수신기를 설치할 것

 ③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는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이 지하층 · 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 되지 아니하거나

      실내 면적이 40 [㎡] 미만인 장소,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 바닥과의 거리가 2.3 [m] 이하인 장소로서 일시적으로 발생

      한 열 · 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감지기가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축적기능이 있는 것으로 설치

      할 것 (다만, 다음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불꽃 감지기                            ⊙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 분포형 감지기                        ⊙ 복합형 감지기

   ⊙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 아날로그 방식의 감지기

   ⊙ 다신호방식의 감지기             ⊙ 축적방식의 감지기

나. 수신기의 설치기준 (통으로 출제 자주는 안 나옴)

 ①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단,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관계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②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 일람도를 비치할 것. 단, 모든 수신기와 연결되어 있는 수신기 (주수신기)를 설치

      하는 경우에는 주수신기를 제외한 기타의 수신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수신기의 음향기구는 그 음향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④ 수신기는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 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⑤ 화재, 가스, 전기 등에 대한 종합방재반을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조작반에 수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⑥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⑦ 수신기의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인 장소에 설치할 것

 ⑧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신기를 상호간 연동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

      마다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발신기 #수신기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경계구역 #중계기 #가스누설탐지기

#종단저항 #도통시험 #동시작동시험 #P형수신기 #R형수신기 #공통신호 #고유신호

#비상방송설비 #개별전송방식 #다중전송방식 #화재표시작동시험 #공통선시험

 

반응형
반응형
 

【 감지기 설치 제외 장소】

※ 통으로 5가지 쓰시오.

 ①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20 [m] 이상인 장소 (단, 부착높이에 따라 적응성이 있는 장소는 제외)

 ② 헛간 등 외부와 기류가 통하는 장소로서 감지기에 따라 화재발생을 유효하게 감지할 수 없는 장소

 ③ 부식성 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장소

 ④ 고온도 및 저온도로서 감지기의 기능이 정지되기 쉽거나 감지기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장소

 ⑤ 목욕실 ·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⑥ 파이프 덕트 등 그 밖의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2개 층마다 방화구획된 것이나 수평단면적이 5 [㎡] 이하인 것

 ⑦ 먼지 · 가루 또는 수증기가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또는 주방 등 평상시에 연기가 발생하는 장소

 ⑧ 프레스 공장, 주조공장 등 화재발생의 위험이 적은 장소로서 감지기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장소

[참고] 비화재보

가. 비화재보

  ▣ 화재에 의한 열 · 연기 또는 불꽃(화염) 이외의 요인에 의하여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작동하여 화재경보를 발하는 것

 

나. 비화재보의 종류

 ① 설비자체의 결함이나 오작동에 의한 경우 (False alarm) : 실보

    ㉠ 설비자체의 기능상 결함

    ㉡ 설비의 유지관리 불량

    ㉢ 실수나 고의적인 행위가 있을 때

 ② 일과성 비화재보 (Nuisance Alarm)

    : 주위 상황이 대부분 순간적으로 화재와 같은 상황 (실제 화재와 유사한 환경이나 상황)으로 되었다가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다. 일과성 비화재보의 방지대책 (Nuisance Alarm) : 5가지를 쓰시오 (과거에 자주 나옴)

   ① 비화재보에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의 선정

   ② 설치장소의 환경에 적응하는 감지기의 설치

   ③ 특수감지기 및 인텔리젼트 수신기의 사용

   ④ 감지기 설치장소의 주위환경 개선

   ⑤ 경년변화에 따른 유지 보수

   ⑥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의 선정

   ⑦ 오작동 방지기 설치

   ⑧ 감지기의 방수시험 강화

【 감지기의 시험기구 (장치)】

  ① 마모미터 (Manometer) : 액주계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공기누설을 측정하는 기구

  ② 미터릴레이 시험기 : 열전대식 · 열반도체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검출부의 작동시험 기구

  ③ 가열시험기 : 스포트형 열감지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기구

  ④ 가연시험기 : 연기 감지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기구

  ⑤ 절연저항계(메거) :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기구

  ⑥ 테스터 : 전압 · 저항 등을 측정하는 기구

 

[출제문제]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를 시험할 때 필요한 것을 쓰시오.

  ▣ 마노미터, 초시계, 고무관, 공기주입기

【절연저항 시험】

절연저항계
구 분
절연저항
예 외
직류 (DC)
250 [V]
⊙ 1경계구역
0.1 [MΩ] 이상
⊙ 비상방송설비 150 [V] 이하
0.1 [MΩ] 이상
⊙ 비상방송설비  150 [V] 초과
0.2 [MΩ] 이상
직류 (DC)
500 [V]
⊙ 수신기
⊙ 자동화재속보설비
⊙ 비상경보설비
⊙ 가스누설경보기
5 [MΩ] 이상
⊙ 절연된 선로간
⊙ 교류입력측과 외함간 모두 20 [MΩ] 이상
⊙ 누전경보기
⊙ 유도등
⊙ 비상조명등
⊙ 시각경보장치
5 [MΩ] 이상
⊙ 경종
⊙ 표시등
⊙ 발신기
⊙ 중계기
⊙ 비상콘센트
20 [MΩ] 이상
⊙ 감지기
50 [MΩ] 이상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 1,000 [MΩ] 이상
⊙ 수신기(10회로 이상)
⊙ 가스누설경보기 (10회로 이상)
50 [MΩ] 이상

 ※ 시험에 자주 출제 : 외우는 방법

   ▣ DC 250 [V] : 1경계구역 : 0.1 [MΩ] 이상

   ▣ DC 500 [V]

      ⊙ 5 [MΩ] 이상 : 수비가자 : 수신기, 비상경보설비, 가스누설경보기, 자동화재탐지설비

         ※ 선교 결선 교외 : 절연된 선로간, 교류입력측 외함간 : 20 [MΩ] 이상

     ⊙ 비상콘센트 : 20 [MΩ] : 비콘 20

     ⊙ 누전경보기 : 5 [MΩ] : 5전이냐

     ⊙ 감지기 : 50 [MΩ] 이상 : 오십감

【감지기의 적응성】

가.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한번 나옴)

 ① 먼지 또는 미분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쓰레기장, 하역장, 도장실, 섬유 · 목재 · 석재 등 가공장소)

       : 적응열감지기 :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1종 또는 2종

 ② 부식성 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 (도금공장, 축전지실, 오수처리장)

      : 적응열감지기 :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1종 또는 2종

 

(자주 나온 문제)

 ① 연기가 멀리 이동해서 감지기에 도달하는 장소 (계단 · 경사로)   : 적응 연기 감지기 1가지를 쓰시오. 

   ▣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 광전 아날로그식 스포트형 감지기,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광전 아날로로식 분리형 감지기

 

#감지기 #설치장소 #비화재보 #오작동 #일과성 #방지대책 #연기감지기 #수신기

#적응감지기 #열감지기 #차동식 #분포형 #아날로그식 #축전지실 #특수감지기

#마노미터 #액주계 #메거 #절연저항 #공기관식 #릴레이 #축적기능 #발신기

반응형
반응형

【 연기감지기 】

1. 연기감지기 설치장소 (NFTC 203. 2.4.3)

 

  ① 계단 · 경사로 및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② 복도 (30 [m] 미만인 것을 제외)

  ③ 엘리베이터 승강로 (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서한 장소

  ④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5 [m] 이상 20 [m] 미만인 장소

  ⑤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 소방대상물의 취침 · 숙박 · 입원 등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거실

 ※ 세월호 사건 이후 추가된 내용

    ⊙ 공동주택 · 오피스텔 · 숙박시설 · 노유자 시설 · 수련시설

    ⊙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 조산원

    ⊙ 교정시설 및 군사시설

    ⊙ 근린생활시설 중 고시원

  [주택 · 아파트 예]

 

  ② 연기감지기 설치기준

    ㉠ 연기감지기의 부착 높이별 바닥면적 기준

부착높이
감지기 종류
1종 및 2종
3종
4 [m] 미만
150 [㎡]
50 [㎡]
4 [m] 이상 20 [m] 미만
75 [㎡]
설치불가

  ㉡ 복도 및 동굴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30 [m] (3종에 있어서는 20[m]) 마다,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는

      수직거리 15 [m] (3종에 있어서는 10 [m]) 마다 1개 이상으로 한다.

  ㉢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 천장 또는 반자 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할 것

  ㉤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 부터 0.6 [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 각종 기기의 설치거리

                                                                                                                                  (※ 객사 : 객석유도등 4 [m])

구 분
수평거리
보행거리
수직거리
⊙ 발신기 (소화장치(소화전))
⊙ 음향장치
⊙ 확성기
⊙비상콘센트 (지하상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 3,000[㎡] 이상)
25 [m] 이하
비상콘센트 (기타)
50 [m] 이하
유도표지
15 [m] 이하
연기감지기 3종
20 [m] 마다
복도
10 [m] 이하
계단,경사로
⊙ 복도 통로 유도등
⊙ 거실 통로 유도등
20 [m] 마다
연기감지기 1종 · 2종
30 [m] 마다
복도
15[m] 마다
계단, 경사로

 

【불꽃 감지기 설치기준】

  ① 공칭감시거리 및 공칭시야각

조건
공칭감시거리
공칭시야각
20 [m] 미만의 장소에 적합한 것
1 [m] 간격
5 ° 간격
20 [m] 이상의 장소에 적합한 것
5 [m] 간격

 ※ 설치기준을 통으로 쓰는 것 한번 나옴

  ② 감지기는 공칭감시거리와 공칭시야각을 기준으로 감시구역이 모두 포용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③ 감지기는 화재감지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모서리 또는 벽 등에 설치할 것

  ④ 감지기를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 감지기는 바닥을 향하여 설치할 것

  ⑤ 수분이 많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방수형으로 설치할 것

 

【 특수 장소에 설치하는 감지기 (NFTC 203. 2.4.4)】

구 분
감지기
화학공장, 격납고, 제련소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불꽃 감지기
전산실, 반도체 공장
광전식 공기흡입형 감지기

#연기감지기 #불꽃감지기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공칭시야각 #시야각 #수직거리

#수평거리 #보행거리 #계단 #린넨슈트 #동굴 #반자 #발신기 #음향장치 #비상콘센트

반응형
반응형

1. 다음에 주어진 부품 및 단자를 사용하여 P형 수동발신기의 내부 회로도를 완성하고

    ⓐ ~ ⓒ 단자의 용도 및 기능을 쓰시오.

 

<용도 및 기능>

   ① 공통단자 : 지구, 응답단자를 공유한 단자

   ② 지구단자 : 감지기가 검지한 화재신호를 알리기 위한 단자

   ③ 응답단자 : 발신기의 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주기 위한 단자

 

[결선도]

 

2. 다음 그림은 자동화재탐지설비 감지기의 회로(송배전방식)를 잘못 결선한 그림이다.

     송배전방식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아 올바르게 그리시오.

 

  ▣ 송배전방식 : 수신기에서 회로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로 배선의 도중에서 분기하지 않는 배선방식

 [정정된 회로 배선]

 

3. P형 발신기에서 A ~ C 단자의 명칭을 쓰고 내부 결선을 완성하여 각 단자와 연결하시오.

    또한 LED, 누름버튼스위치의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A : 응답선 B : 지구선 C : 공통선

[내부결선도]

 

 [기능설명]

   ① LED (응답표시램프) : 발신기의 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램프

   ② 누름버튼스위치 : 수동조작에 의하여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보내는 장치

4. P형 수신기의 1경계구역에 대한 결선도를 답안지에 작성하시오.

 

   [답안 작성]

 

5. 다음 그림을 이용하여 P형 발신기의 내부 결선과 발신기, 감지기, 수신기간의 결선도를

    완성하시오. (단, 적당한 개소에 종단저항도 설치하여 회로를 구성하도록 할 것)

 

 [답안작성]

 

6. 다음의 미완성 도면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각 기기장치를 수신기의 단자에 올바르게 연결하시오.

       (단, 발신기에 설치된 단자는 왼쪽 부터 응답, 지구, 공통 순이다)

 

  나. 종단저항을 연결해야 하는 기기의 명칭과 단자의 명칭을 쓰시오.

     ① 연결하는 기기의 명칭 : 발신기        ② 단자의 명칭 : 지구, 지구 공통

  다. 소화전 기동표시등의 색깔을 쓰시오. 적색

  라. 발신기의 위치표시등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① 불빛의 식별 범위 : 부착면으로 부터 15 °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 부터 10 [m] 이내

    ② 표시등의 색깔 : 적색

7. 다음 그림은 P형 수신기의 1경계구역에 대한 결선도이다. 이 결선도를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단자번호 ④는 응답선, ⑥은 지구선이다. ①, ②, ③, ⑤의 기능상의 명칭을 쓰시오.

     ① 경종·표시등 공통선     ② 경종선        ③ 표시등선         ⑤ 지구공통선

  나. 발신기 표시등의 점멸상태는 어떻게 되어 있어야 하는지 그 상태를 쓰시오.

     ▣ 상시 점등 상태

  다. 지상층의 경계구역이 늘어날 때 마다 추가되는 선은 어떤 선들이 있는가 ? (단, 발화층 및 직상층 우선 경보회로이다)

     ▣ 경종선, 지구선

  라. 감지기 A, B는 발신기의 어느 선과 연결해야 하는 그 선의 명칭을 쓰시오.

     ▣ 지구선, 지구공통선

  마. 회로에 사용되는 전원의 종류를 쓰고, 전압은 몇 V를 사용하는지 쓰시오.

     ▣ 전원의 종류 : 직류 ▣ 전압 : 24 [V]

 

8. 다음은 P형 수신기의 결선도에 대한 것이다. 답란의 결선도를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답란 결선도의 경보방식은 ? 발화층 및 직상층 우선 경보 방식

   나. ⓐ ~ ⓔ 의 전선의 명칭은 ?

        ⓐ 표시등선      ⓑ 주경종선        ⓓ 응답선           ⓔ 경종 및 표시선 공통선

   다. 미완성으로 남아 있는 ③ 번 회로의 결선을 완성하시오.

 

9. 다음 도면은 P형 수동발신기의 미완성 도면이다. 도면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응답표시 LED, 누름버튼 스위치의 기능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① 응답표시 LED : 발신기의 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램프

     ② 누름버튼 스위치 : 수동조작에 의하여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보내는 장치

  나. ⓐ ~ ⓒ에 해당하는 단자의 명칭을 쓰시오.

      ⓐ 응답선           ⓑ 회로선               ⓒ 회로공통선

  다. 내부 결선의 미완성 부분을 주어진 도면에 그려서 완성하시오.

 

1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P형 수신기에 연결되는 발신기와 감지기의 미완성 결선도를 완성하시오. 단, 발신기에 설치된

       단자는 왼쪽 부터 응답, 지구, 지구공통이다)

 

  [답안작성]

 

11. P형 5회로 수신기와 수동발전기, 경종, 표시등 사이를 결선하시오.

    (단, 연면적 3,500 ㎡인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이다)

 

  [답안작성]

 

12. 수신기와 수동발신기, 경종, 표시등 사이를 결선하시오.

     (단, 지상 11층 건물이나 6층까지만 나타낸 것이며, 연면적 3,500 [㎡] 이다)

 

   [답안작성]

 

#수동발신기 #감지기 #지구단자 #누름버튼스위치 #결선 #송배전방식 #회로도통시험

#수신기 #종단저항 #응답선 #발화층 #우선경보회로 #경종 #응답선 #전압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 #신호

반응형
반응형

【 감지기 】

  ▣ 감지기의 뚜껑을 열어 보면 내부 배선은 다음과 같은 모양이다.

 

  ▣ 감지기 내부의 금속판이 단자를 연결하여 주고 있어 회로공통선과 회로선이 점프를 하여 다음 단자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1. 송배전식 배선

  ▣ 송배전식 배선 : 수신기에서 회로도통 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선의 도중에서 분기하지 않는 방식 (일반적인

                                 감지기 회로 방식)

    [ 적용설비] ① 자동화재탐지설비 ② 제연설비

 

※ 종단저항

  ⊙ 설치 목적 : 회로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 설치 장소 : 전용함, 수신기 또는 발신기함 내부

  ① 종단저항을 감지기 끝(말단)에 설치하는 경우

 

  ② 종단저항이 발신기함 등에 설치하는 경우

 

  ③ 실제 배선 모양

 

  ※ 송배전식 배선 방식에서 루프 내는 2가닥, 그외는 4가닥이다.  (종단저항이 발신기에 있을 때)

 

2. 교차회로방식

  ▣ 설비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회로를 교차회로로 설치하여 설비가 작동하게 하는 방식

  [적용설비] ①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②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 설비  ③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④ 할론 소화설비

                   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⑥ 분말소화설비

  ※ A, B 감지기 중 하나만 감지했을 경우 소화설비가 작동하지 않고 음향경보만 발령하고

      A, B 감지기 모두 감지하였을 경우에 소화설비가 작동하는 방식

 

【 출제 예상 문제 】

1. 감지기가 그림과 같이 배치되어 있을 때 연결의 예에 따라 실제 배선도를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2. 다음 그림은 할론 소화설비 기동용 연기감지기의 회로를 잘못 결선한 그림이다.

   잘못 결선된 부분을 바로 잡아 옳은 결선도를 그리고 잘못 결선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단, 종단저항은 제어반 내에 설치된 것으로 본다)

 

[답안 작성]

 가. 정정 결선도

 

 나. 잘못 결선한 이유

   ① 회로의 종단 저항이 회로도통시험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지 않았으며 이를 제어반 내에 설치한다.

   ② 가동용 연기 가지기는 A회로와 B회로를 구분하여 교차회로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3. 감지기가 그림과 같이 배치되어 있을 때 실제 배선도를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4. 그림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일부분이다. 그림에서 P형 수신기로 부터 시작하는 지구선 및 지구공통선을 감지기 1,

    감지기 2~6을 경유하여 발신기 까지 차례대로 연결하는 배선도를 완성하고 이와 같은 배선방식의 명칭을 쓰시오.

 

  [답안작성]

 

【 발신기 】

1. P형 발신기

 ▣ P형 수신기와 발신기 및 감지기와 연결하는 결선도에 대해 알아 보자

   ⊙ 수신기 - 발신기 - 감지기 순으로 연결된다.

        발신기는 중간에 접속단자 역할을 한다. 감지기는 발신기를 통해 수신기에 연결된다.

 

[ 발신기 중계역할 ]

  ⊙ 위 그림의 가운데 부분은 수신기 - 발신기 - 감지기 순으로 연결된 결선도이다.

  ⊙ 발신기(P)의 부분은 3개 단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회로공통, 회로선, 발신기 응답 단자 이렇게 3개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 수신기의 회로 공통단자는 발신기의 공통 단자에 연결된다.

  ⊙ 수신기의 경종 · 표시램프 공통단자는 경종(B)와 표시램프(L)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 수신기의 표시램프 단자는 발신기의 표시램프(L)에 연결된다.

  ⊙ 수신기의 발신기 단자는 발신기의 발신기 응답단자 (P)에 연결된다.

  ⊙ 수신기의 경종단자는 발신기의 경종 (B)에 연결된다.

  ⊙ 수신기의 회로단자는 발신기의 회로단자(P)에 연결된다.

  ⊙ 발신기의 회로공통단자와 회로단자는 감지기와 연결된다.

 ⊙ 감지기에서 발신기의 종단저항에 연결한다.

[ 수신기와 감지기 직접 연결 ]

  ⊙ 위 그림의 오른쪽 부분은 수신기 - 감지기 - 발신기 순으로 연결된 결선도이다.

  ⊙ 발신기(P)의 부분은 3개 단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회로공통, 회로선, 발신기 응답 단자

       이렇게 3개 단자로 구성되어 잇다.

  ⊙ 수신기의 회로 공통단자와 회로단자는 감지기에 연결한다.

  ⊙ 감지기의 #출력 은 발신기의 회로 공통 및 회로 단자에 연결한다.

  ⊙ 감지기에서 온 선은 발신기의 종단저항에 연결한다.

  ⊙ 수신기의 경종 · 표시램프 공통단자는 #경종 (B)와 표시 #램프 (L)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 수신기의 표시램프 단자는 발신기의 표시램프(L)에 연결된다.

  ⊙ 수신기의 발신기 단자는 발신기의 발신기 #응답 단자 (P)에 연결된다.

  ⊙ 수신기의 경종단자는 발신기의 경종 (B)에 연결된다.

 

 [구성요소]

   ◈ 누름스위치 ◈ 응답확인 램프 ◈ 명판  ◈ 보호판 ◈ 외함

2. P형 발신기 단자의 명칭

 

 [용도와 기능]

   ① 공통단자 : 지구, 응답 단자를 공유한 단자

   ② 지구단자 : 감지기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수신기에 알리기 위한 단자

   ③ 응답단자 (발신기 단자) : 발신기의 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주기 위한 단자

 

   ① 감지기 작동 :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점등

   ② 발신기 누름 :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응답램프 점프

 

3. P형 발신기의 내부 회로도

① 발신기 ↔ 감지기, 수신기, 종단저항 등

 

  ※ LED 선은 응답단자와 연결된다. 발신기 누름버튼은 지구단자와 응답단자를 함께 연결한다.

② 발신기 내부 단자 연결

 

③ 누름버튼 스위치

 

  ※ 누름버튼 스위치는 지구접점과 응답접점을 동시에 작동시킨다.

4. P형 발신기와 감지기간 결선도

 

  ※ 종단저항은 공통선과 지구선에 설치하여야 한다. (수신기에 연결되는 공통선과 발신기에서의 공통선을 연결하고

       수신기에 연결되는 지구선과 발신기에서의 지구선을 연결할 것)

5. P형 발신기와 수신기간의 결선도

  ① 일제 경보 방식 (경종선 1가닥)

 

  ※ 발신기 공통선(지구 공통선)은 송배전식 (1선으로 보내기, 분기 안됨)으로 하여야 하므로 위와 같이 결선하여야 한다.

② 우선경보방식

 

  [참고]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배선의 동일 명칭

회로공통선
경종 ·
표시선
공통선
표시등선
발신기선
경종선
회로선
지구공통선
신호공통선
감지기공통선
발신기공통선
표시등
공통선
-
응답선
벨선
지구선
신호선
표시선
감지기선

6. P형 수신기에서 P형 발신기 및 감지기간의 결선도

① 수신기 - 발신기 - 감지기 등 배선

 

② 발신기 - 기타 배선

 

③ 수신기- 발신기(종단저항) - 감지기 배선

 

※ 종단저항은 감지기회로의 끝부분에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감지기 끝에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며, 도면에서는 위와

    같이 연결하면 된다.

#수신기 #발신기 #P형수신기 #R형수신기 #지구선 #응답선 #공통선 #감지기

#차동식 #스포트형 #경종 #송배전식 #교차회로방식 #발신기선 #신호선 공통단자

#자동화재탐지설비 #할론소화설비 #배선도 #결선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