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어느 건물의 지하층에 그림과 같이 제연설비를 설계하려고 한다. 다음의 조건을 참조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덕트는 단선으로 표시할 것

  ② 급기구의 풍속은 15 [m/s]이며, 배기구의 풍속은 20 [m/s]이다.

  ③ FAN의 전압은 40 [㎜Aq]이다.

  ④ 천장의 높이는 2.5 m이다.

  ⑤ 제연방식은 상호 제연방식으로 공동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다.

가.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기의 배출량 [㎥/s]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나. FAN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효율은 0.65 이며 여유율은 10% 이다)

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그림에 설계도면을 물음에 따라 완성하시오.

[조건]

  ① 덕트의 형태는 사각형이며 높이는 400 [㎜] 이다.

  ② 급기구 및 배기구의 형태는 정사각형이고 배기구는 제연구역 당 4개, 급기구는 제연구역 당 3개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③ 급기구 및 배기구의 단면적은 ㎥/min 당 35 ㎠ 이상으로 하며, 정사각형이다.

  ④ 댐퍼의 작동 여부는 표의 빈칸에 표기하시오.

  ⑤ 덕트는 단선으로 표기한다.

[도면]

 

      (○ : Open, ● : Close 로 표시하시오.)

구분
배기
급기
A구역
B구역
C구역
A구역
B구역
C구역
A구역 화재시
B구역 화재시
C구역 화재시
 

  라. 다음 표를 완성하시오. (단, 풍량, 덕트 단면적, 덕트크기의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

       내시오.)

덕트의 구분
풍량 (CMH)
덕트단면적 (㎡)
덕트의 크기
(가로㎜ × 세로 ㎜)
배기덕트 A
배기덕트 B
배기덕트 C
급기덕트 A
급기덕트 B
급기덕트 C

마. 급기구의 단면적 [㎠] 및 크기 (가로 [㎜] × 세로 [㎜])를 구하시오. (단,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시오.)

바. 배기구의 단면적 [㎠] 및 크기 (가로 [㎜] × 세로 [㎜])를 구하시오. (단,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시오.)

[문제풀이]

가.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기의 배출량 [㎥/s]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 바닥면적 : 30 m × 20 m = 600 ㎡ (바닥면적 400 ㎡ 이상인 거실)

   ▣ 수직거리 = 2.5 m - 0.6 m = 1.9 m (2m 이하)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이고 직경 40 m 원의 범위 안에 있을 경우 (최저 40,000 ㎥/h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0,000 ㎥/h 이상
2 m 초과 2.5 m 이하
45,000 ㎥/h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0,000 ㎥/h 이상
3 m 초과
60,000 ㎥/h 이상

   ∴ 최저 저장량 40,000 ㎥/h

 

나. 나. FAN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효율은 0.65 이며 여유율은 10% 이다.)

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그림에 설계도면을 물음에 따라 완성하시오.

 

    (○ : Open, ● : Close 로 표시하시오.)

구분
배기
급기
A구역
B구역
C구역
A구역
B구역
C구역
A구역 화재시
B구역 화재시
C구역 화재시

라. 다음 표를 완성하시오. (단, 풍량, 덕트 단면적, 덕트크기의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

      내시오.)

 ▣ 덕트의 단면적 : Q = A · v, A = Q/ v [㎡]

   ⊙ 급기구의 풍속은 15 ㎥ / s 이상으로 한다.

   ⊙ 배기구의 풍속은 20 ㎥/s 이상으로 한다.

  ① 급기구의 면적

  ② 배기구 면적

 ③ 덕트의 크기 : 사각형 면적 [㎟] = 가로 [㎜] × 세로 [㎜] (세로 400 [㎜] 주어짐)

   ㉠ 배기구 가로길이 : 555,556 [㎟] ÷ 400 [㎜] = 1,389 [㎜]

   ㉡ 급기구 가로길이 : 370,370 [㎟] ÷ 400 [㎜] = 926 [㎜]

덕트의 구분
풍량 (CMH)
덕트단면적 (㎟)
덕트의 크기
(가로㎜ × 세로 ㎜)
배기덕트 A
40,000
555,556
1,389 × 400
배기덕트 B
40,000
555,556
1,389 × 400
배기덕트 C
40,000
555,556
1,389 × 400
급기덕트 A
20,000
370,370
926 × 400
급기덕트 B
20,000
370,370
926 × 400
급기덕트 C
20,000
370,370
926 × 400

마. 급기구의 단면적 [㎠] 및 크기 (가로 [㎜] × 세로 [㎜])를 구하시오. (단,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시오.)

  ① 급기구의 단면적 : 배출량 ㎥/min 당 35 ㎠ 이상

  ② 급기구의 크기 (정사각형) : 한변의 길이는 면적의 제곱근

   ∴ 급기구의 크기 : 가로 624 ㎜ × 세로 624 ㎜

바. 배기구의 단면적 [㎠] 및 크기 (가로 [㎜] × 세로 [㎜])를 구하시오. (단, 계산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시오.)

  ① 배기구의 단면적 : 배출량 ㎥/min 당 35 ㎠ 이상

  ② 배기구의 크기 (정사각형) : 한변의 길이는 면적의 제곱근

   ∴ 급기구의 크기 : 가로 764 ㎜ × 세로 764 ㎜

2. 다음 그림은 거실제연설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림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

 

  가. 동일실 제연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나. 동일실 제연방식을 적용할 경우 다음의 상황에 따른 댐퍼의 Open 또는 Clos 상태를 표시하시오.

        (댐퍼의 표기 : Open ○, Close ● 로 표기)

화재구역
급기댐퍼
배기댐퍼
A 구역
MD1 (    )
MD4 (    )
MD2 (    )
MD3 (    )
B 구역
MD2 (    )
MD3 (    )
MD1 (    )
MD4 (    )

[답안작성]

가. 동일실 제연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 예상제연구역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해당 제연실에 급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연방식을 말한다.

나. 동일실 제연방식을 적용할 경우 다음의 상황에 따른 댐퍼의 Open 또는 Clos 상태를 표시하시오.

     (댐퍼의 표기 : Open ○, Close ● 로 표기)

화재구역
급기댐퍼
배기댐퍼
A 구역
MD1 ( ○ )
MD4 ( ○ )
MD2 ( ● )
MD3 ( ● )
B 구역
MD2 ( ○ )
MD3 ( ○ )
MD1 ( ● )
MD4 ( ● )

#동일실제연방식 #화재구역 #제연설비 #제연방식 #배기구 #급기구 #덕트 #상호제연방식 #배출량 #예상제연구역 #수직거리 #동력 #풍속 #급기댐퍼 #배기댐퍼

반응형
반응형

1. 아래 그림과 같이 벽으로 구획된 제연구역의 공동배연에 필요한 소요풍량합계 [㎥/min]와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송풍기의 전압은 100 [㎜Aq], 전효율은 50% 이다)  [6점] ★★★★★

[문제풀이]

 ① 소요풍량의 합계

   ▣ 공·벽·합 : 공동배연구역 - 벽으로 구획 - 각각의 실 풍량합계

   ▣ 독·제·최 : 독립배연구역 - 제연경계구획 - 각실의 최대 풍량

    ⊙ 8,000 [㎥/hr] + 8,000 [㎥/hr] = 16,000 [㎥/hr]

    ⊙ 단위 환산 : 16,000 [㎥/hr] × 1/60 = 266,666 [㎥/min]

  ② 축동력

[해설] 소요동력 합계 · 축동력

가. 공동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나. FAN (배연기, 송풍기)의 축동력

   여기서, P : FAN (배연기, 송풍기) 동력 [kW],    PT : 전압 [㎜Aq, ㎜H2O],   Q : 풍량 [㎥/min] , η : 전효율, k : 전달계수

[참고] 제연구역의 구획

  ① 보

  ② 제연경계벽 (제연경계)

  ③ 벽 (화재시 자동으로 구획되는 가동벽, 셔터, 방화문을 포함)

 

2. 제연설비에 사용되는 배연기를 설계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조건]

  ① Duct의 소요전압은 80 ㎜Aq 이다.

  ② 배연기의 효율은 60 %, 여유율은 10%, 풍량은 24,000 ㎥/h 이다.

가. 배연기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나. 문제 가. 의 배연기를 시운전한 결과 600 rpm에 풍량 18,000 ㎥/hr로 용량이 부족하였다. 이 배연기의 풍량을 설계조건

      의 풍량으로 맞추기 위해 회전수를 몇 [rpm]으로 변경해야 하는지 계산하시오.

다. 제연설비에서 사용되는 송풍기 중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를 2가지 쓰시오.

[문제풀이]

가. 배연기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나. 문제 가. 의 배연기를 시운전한 결과 600 rpm에 풍량 18,000 ㎥/hr로 용량이 부족하였다. 이 배연기의 풍량을 설계조건

      의 풍량으로 맞추기 위해 회전수를 몇 [rpm]으로 변경해야 하는지 계산하시오.

[상사법칙] 펌프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다. 제연설비에서 사용되는 송풍기 중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를 2가지 쓰시오.

   ① 다익형 팬          ② 터보형 팬

 

[해설] 배연기의 동력 · 상사법칙 (풍량) ·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

가. FAN (배연기, 송풍기)의 동력

          여기서, P : FAN (배연기, 송풍기) 동력 [kW],   PT : 전압 [㎜Aq, ㎜H2O],   Q : 풍량 [㎥/min] ,

                       η : 전효율(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k : 전달계수

나. 펌프의 상사법칙 (풍량)

 ① 유량 : 펌프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Q1 : 변경 전 유량 [ℓ/min], Q2 : 변경 후 유량 [ℓ/min],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② 양정 : 펌프의 양정은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H1 : 변경 전 양정 [m], H2 : 변경 후 양정 [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③ 축동력 : 펌프의 축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 및 관경의 오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P1 : 변경 전 축동력 [kW], P2 : 변경 후 축동력 [kW],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다. 송풍기의 분류

구분
팬(fan)의 종류
특 징
원심형
타원형 패
(시로코 팬)
⊙ 임펠러는 깃폭이 좁고 날개익수가 많다.
⊙ 낮은 속도에서 운전되며 낮은 압력에서 많은 공기량이 요구될 때 사용된다.
⊙ 주로 건물의 공기조화 및 환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터보형 팬
⊙ 효율이 높고 고속에서도 비교적 정숙한 운전을 할 수 있다.
⊙ 정압이 비교적 높은 고속 덕트용으로 사용된다.
익형 팬
⊙ 깃의 단면이 익형으로 되어 있다.
⊙ 고속회전이 가능하며 소음이 작다.
리밋로드형 팬
⊙ S자형 깃을 가지고 있다.
⊙ 풍량변화가 작고 동력변화도 최고 효율점 부근에서 적다.
관류형 팬
⊙ 정압이 낮고 풍량이 적으며 효율이 낮다.
⊙ 환기용이나 옥상 배기용으로 사용된다.
레디일형 팬
⊙ 반경 방향의 깃을 갖는 임펠러로 되어 있다.
⊙ 자기 청소의 기능이 있어 분진이 심해 일반 송풍기의 날개 소실이 우려되는 공장 등에 사용된다.
축류형
프로펠러형 팬
⊙ 덕트 시스템이 없다.
⊙ 낮은 풍압에 많은 풍량을 송풍하는데 적합하다.
튜브형 팬
⊙ 덕트 도중에 설치하여 풍압을 높이거나 국소통기 또는 대형 냉각탑에 사용된다.
베인형 팬
⊙ 덕트 도중에 설치하여 풍압을 높이거나 국소통기 또는 대형 냉각탑에 사용된다.
사류식
사류형 팬
⊙ 축류형과 비슷하나 축류형 보다 날개의 편향이 크고 정압이 높다.
⊙ 국소통풍형으로 사용된다.
횡류식
횡류형 팬
⊙ 풍량과 정압이 적고 소음이 작다.

3. ​어느 지하실 배연구역의 소요배출량을 계산해 보니 A (5,000CMH), B (7,000 CMH), C (5,000 CMH), D (10,000 CMH),

     E (15,000 CMH) 이었다. A, B, C는 공동 배연구역으로 D, E는 독립배연구역으로 할 경우 배출 FAN의 소요풍량 [CMH]

     을 계산하시오. [5점] ★★★★

 

   가. Q1           나. Q2                 다. Q3

[문제풀이]

  가. Q1 = QA + QB + QC = 5,000 + 7,000 + 5,000 = 17,000 CMH

  나. Q2 = 10,000 CMH

  다. Q3 = 15,000 CMH

[해설] 공동예상배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4. 5개의 제연구역 (A, B, C, D, E 구역)으로 구성된 어느 지하실에 각 제연구역의 소요배출 풍량 [㎥/h]을 계산해 보니 각각

     A구역 = 5,000, B구역 = 7,000, C구역 = 5,000, D구역 = 10,000, E구역 = 15,000 이었다. A, B,C구역은 공동제연구역으

     로 D, E는 각각 독립제연구역으로 할 때 배출량의 소요풍량 [㎥/h]을 구하시오. [5점]  ★★★★

  가. A,B,C 구역 = QA + QB + QC = 5,000 + 7,000 + 5,000 = 17,000 CMH

  나. D 구역 = 10,000 CMH

  다. E 구역 = 15,000 CMH

[해설] 공동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 독립 배연구역

 

5. 어떤 지하상가에 제연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화재안전기준과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주덕트의 높이 제한은 500 [㎜] 이다. (단, 강판두께, 덕트플랜지, 보온두께는 고려하지 않는다.

  ② 배출기는 원심다익형이다.

  ③ 각종 효율은 무시한다.

  ④ 예상제연구역의 설계배출량은 40,000 [㎥/h]이다.

  ⑤ 공기의 밀도는 일정하다.

가. 배출기의 흡입측 주덕트의 최소폭 [m]을 구하시오.

나. 배출기의 배출측 주덕트의 최소폭 [m]을 구하시오.

다. 준공후 풍량시험을 한 결과 풍량은 32,000 ㎥/h, 회전수는 500rpm, 축동력 7 kW로 측정되었다. 배출량 40,000 ㎥/h를

      만족시키기 위한 배출기의 회전수 [rpm]을 구하시오.

라. 회전수를 높여서 배출량을 만족시킬 경우의 예상 축동력 [kW]를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배출기의 흡입측 주덕트의 최소폭 [m]을 구하시오.

   ▣ 흡입측 풍속은 15 [m/s] 이하이다.

나. 배출기의 배출측 주덕트의 최소폭 [m]을 구하시오.

  ▣ 배출측 풍속은 20 [m/s] 이하이다.

다. 준공후 풍량시험을 한 결과 풍량은 32,000 ㎥/h, 회전수는 500rpm, 축동력 7 kW로 측정되었다. 배출량 40,000 ㎥/h를

      만족시키기 위한 배출기의 회전수 [rpm]을 구하시오.

  [상사법칙] 펌프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라. 회전수를 높여서 배출량을 만족시킬 경우의 예상 축동력 [kW]를 구하시오.

  [상사법칙] 펌프의 축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에 비례하고 관경의 5제곱에 비례한다.

[참고] 각 설비별 유속 · 풍속

구 분
유속
풍속
옥내 소화전 설비 (토출측 주배관)
4 m/s 이하
-
스프링클러 설비
가지배관
6 m/s 이하
-
기타배관
10 m/s 이하
-
제연설비
예상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의 풍속
-
5 m/s 이하
흡입측 풍속
-
15 m/s 이하
배출측 풍속
-
20 m/s 이하
유입측 풍속

6. 다음은 자연제연방식에 대한 내용이다.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4점]  ★★★★★

[조건]

  ① 연기층과 공기층과의 높이차는 3 m 이다.

  ② 외부온도는 27 ℃ 이고 화재실의 온도는 707 ℃ 이다.

  ③ 공기 평균 분자량은 28이고 연기의 평균분자량은 29라고 가정한다.

  ④ 화재실 및 실외의 기압은 1기압이다.

가. 연기의 유출속도 [m/sec]를 구하시오.

나. 외부 풍속 [m/sec]을 구하시오.

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연방식의 종류를 3가지만 쓰시오.

라. 상가 제연방식을 변경하여 화재실 상부에 배연기를 설치하여 배출한다면 그 방식은 무엇인가 ?

마. 화재실의 바닥면적이 300 ㎡, FAN 효율이 0.6, 전압이 70 ㎜Hg 일 때 필요한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동력의 여유율

      은 10%를 둔다.)

[문제풀이]

가. 연기의 유출속도 [m/sec]를 구하시오.

나. 외부 풍속

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연방식의 종류를 3가지만 쓰시오.

   ① 자연제연방식       ② 스모크타워 제연방식           ③ 기계제연방식

라. 상가 제연방식을 변경하여 화재실 상부에 배연기를 설치하여 배출한다면 그 방식은 무엇인가 ? 제3종 기계제연방식

마. 화재실의 바닥면적이 300 ㎡, FAN 효율이 0.6, 전압이 70 ㎜Hg 일 때 필요한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동력의 여유율

       은 10%를 둔다.)

[해설] 제연설비

 가. 배연기

  ① 연기의 유출속도

        여기서, vs : 연기의 유출속도 [m/sec], g : 중력 가속도 (9.8 [m/s2],  h : 연기층과 공기층과의 높이차 [m],

                     ρa : 화재실 외부의 공기밀도 [㎏/㎥],  ρs : 화재실의 연기밀도 [㎏/㎥]

  ② 기체 밀도

        여기서, ρ : 밀도 [㎏/㎥], P : 압력 [Pa, N/㎡], M : 분자량 [㎏],  R : 기체상수 (8.313.85 [N·m/kmol·k], 8,313.85 [N·m/K])

                     T : 절대온도 ((273+℃) K)

 나. 외부 풍속

          여기서, vo : 외부 풍속 [m/sec], ρs : 화재실 연기의 밀도 [㎏/㎥],  ρa : 화재실 외부의 공기밀도 [[㎏/㎥],

                       vs : 연기의 유출속도 [m/sec]

 다. 제연방식의 분류

 

  ① 자연 제연방식

    ▣ 개구부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연기를 배출하는 방식

 

  ② 스모크 타워 제연방식

    ▣ 루프 모니터를 설치하여 제연하는 방식

 

  ③ 기체 제연방식

    ㉠ 제1종 기계제연방식 : 급기와 배기를 송풍기와 배연기를 설치하여 제연하는 방식

 

    ㉡ 제2종 기계제연방식 : 급기와 배기를 송풍기만 설치하여 제연하는 방식

 

  ㉢ 제3종 기계제연방식 : 급기와 배기를 배연기만 설치하여 배연하는 방식

 

 라. FAN (배연기, 송풍기)의 동력

        여기서, P : FAN (배연기, 송풍기) 동력 [kW], PT : 전압 [㎜Aq, ㎜H2O],  Q : 풍량 [㎥/min], k : 전달계수

                     η : 전효율(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참고] 배출량 및 배출방식

 가. 통로

   ▣ 45,000 [㎥'hr] 이상

나. 거실

   ①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미만인 경우 (최저 5,000 ㎥/hr 이상일 것)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

   ②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일 경우 (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 m 원 범위안에 있을 경우, 최저 40,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0,000 ㎥/hr 이상
2 m 초과 2.5m 이하
45,000 ㎥/hr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0,000 ㎥/hr 이상
3 m 초과
60,000 ㎥/hr 이상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m 원 범위 초과일 경우, 최저 45,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5,000 ㎥/hr 이상
2 m 초과 2.5m 이하
50,000 ㎥/hr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5,000 ㎥/hr 이상
3 m 초과
65,000 ㎥/hr 이상

7. 어느 실의 크기가 가로 20m, 세로 15m, 높이 5m인 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여 t초 시간 후의 청결층 높이 y [m]의 값이 1.8

     m 가 되었다. 화염둘레 길이가 큰 화염일 경우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여기서, Q : 연기발생량 [㎥/min],  A : 화재실의 면적 [㎡],   H : 화재실의 높이 [m]

② 위 식에서 시간 t초는 다음의 힌클리(Hinkley) 공식을 만족한다.

    (단, g는 중력가속도 9.81 m/s2 이고, P는 화재경계의 길이 [m] 로서 큰 화염의 경우 12m, 중간화염의 경우 6m, 작은

           화염의 경우 4m를 적용할 것)

③ 연기생성률 (M [㎏/s]) 에 관한 식은 다음과 같다.

가. 상부의 배연구로부터 몇 [㎥/min]의 연기를 배출하여야 청결층의 높이가 유지되는가 ?

나. 연기생성률 [㎏/s]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상부의 배연구로부터 몇 [㎥/min]의 연기를 배출하여야 청결층의 높이가 유지되는가 ?

나. 연기생성률 [㎏/s]을 구하시오.

[해설] 연기발생량 · 연기생성률

 가. 연기발생량

      여기서, Q : 연기발생량 [㎥/min], A : 화재실의 바닥면적 [㎡],  H : 화재실의 높이 [m], y : 청결층 높이 [m]

                   t : 청결층 까지 연기 하강 시간 [s]

나. 연기 하강 시간

        여기서, t : 연기하강시간 [s], y : 청결층 높이 [m], A : 화재실 바닥면적 [m], H : 화염실 높이 [m], P : 화염둘레길이 [m],

                     g : 중력가속도 (9.81[m/s2])

다. 연기생성률

          여기서, M : 연기발생량 [kg/s], P : 화염둘레길이 (큰화염 12 [m]),  y : 청결층 높이 [m]

8. 다음 그림은 어느 판매시설의 무창층에 대한 제연설비 중 연기 배출풍도와 배출 FAN을 나타내고 있는 평면도이다.

    주어진 조건을 참조하여 풍도에 설치되어야 할 제어댐퍼를 가장 적합한 지점에 표기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댐퍼의 표기는 ⓤ의 모양으로 할 것) [15점] ★★★★

 

[조건]

  ① 건물의 주요 구조부는 모두 내화구조이다.

  ② 각 실은 불연성 구조물로 구획되어 있다.

  ③ 복도의 내부면은 모두 불연재료를 사용하였고 복도 내에 가연물을 두는 일은 없다.

  ④ 각 실에 대한 연기배출방식에서 공동 배출구역 방식은 없다.

  ⑤ 이 판매시설에는 음식점은 없다.

가. 제어댐퍼를 직접 표기하시오.

나. 각 실 (A, B, C, D, E, F)의 최소 소요량 [㎥/h]을 구하시오.

   ① A실    ② B실   ③ C실    ④ D실    ⑤ E실    ⑥ F실

다. 배출 FAN의 최소 배출 용량 [㎥/h]은 얼마인가 ?

라. C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댐퍼의 작동 상황 (개폐여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가. 제어댐퍼를 직접 표기하시오.

 

나. 각 실 (A, B, C, D, E, F)의 최소 소요량 [㎥/h]을 구하시오.

  ① A실 : (5×6) × 1 × 60 = 1,800 [㎥/h]

      ∴ 최소 배출량이 5,000 ㎥/h 이므로 5,000 ㎥/h

  ② B실 : (10×6) × 1 × 60 = 3,600 [㎥/h]

      ∴ 최소 배출량이 5,000 ㎥/h 이므로 5,000 ㎥/h

  ③ C실 : (25×6) × 1 × 60 = 9,000 [㎥/h]

  ④ D실 : (5×4) × 1 × 60 = 1,200 [㎥/h]

      ∴ 최소 배출량이 5,000 ㎥/h 이므로 5,000 ㎥/h

  ⑤ E실 : (15×15) × 1 × 60 = 13,500 [㎥/h]

  ⑥ F실 : 바닥면적 30 × 15 = 450 ㎡ 이고 직경 40m 원 범위 내이므로

        ∴ 최저 40,000 ㎥/h 이상이므로 40,000 [㎥/h] 적용

다. 배출 FAN의 최소 배출 용량 [㎥/h]은 얼마인가 ? 40,000 ㎥/hr

라. C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댐퍼의 작동 상황 (개폐여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 C실의 2개 댐퍼는 개방되고 A, B, D, E, F실의 댐퍼는 모두 폐쇄된다.

 

[해설] 제연설비 (독립제연방식)

 가. 공동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 제연구역의 구획

   ① 보

   ② 제연경계벽 (제연경계)

   ③ 벽 (화재시 자동으로 구획되는 가동벽, 셔터, 방화문을 포함)

 

 나. 배출량 및 배출방식

   ①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일 경우 (최저 5,000 ㎥/h)

      ▣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②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일 경우 (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 m 원 범위안에 있을 경우, 최저 40,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0,000 ㎥/hr 이상
2 m 초과 2.5m 이하
45,000 ㎥/hr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0,000 ㎥/hr 이상
3 m 초과
60,000 ㎥/hr 이상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m 원 범위 초과일 경우, 최저 45,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5,000 ㎥/hr 이상
2 m 초과 2.5m 이하
50,000 ㎥/hr 이상
2.5 m 초과 3 m 이하
55,000 ㎥/hr 이상
3 m 초과
65,000 ㎥/hr 이상

※ 독립 배출구역 (예상 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이고 직경이 40 m 원 안에 포함되는지 여부

 

   ※ 대각선 길이가 원의 직경 40 [m] 이내인지 초과인지 판단

9. 다음 그림은 어느 제연설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각 실은 독립 배연방식이다.) [11점]

    ★★★★

 

가. 댐퍼의 설치 위치를 본문 그림에 표시하시오. (단, 댐퍼의 도시기호는 ⓤ의 모양으로 할 것)

나. 각 실의 소요량 [㎥/h]을 구하시오.

   ① A실         ② B실            ③ C실            ④ D실             ⑤ E실

다. 배출 FAN의 최소 배출 용량 [㎥/h]은 얼마인가 ?

라. C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댐퍼의 작동 상황 (개폐여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가. 댐퍼의 설치 위치를 본문 그림에 표시하시오.

 

나. 각 실의 소요량 [㎥/h]을 구하시오.

   ① A실 : (5 × 6) × 1 × 60 = 1,800 ㎥/h

        ∴ 최저 5,000 ㎥/h 이상이므로 5,000 ㎥/h 로 산정한다.

   ② B실 : (20 × 6) × 1 × 60 = 7,200 ㎥/h

   ③ C실 : (25 × 6) × 1 × 60 = 9,000 ㎥/h

   ④ D실 : (20 × 6) × 1 × 60 = 7,200 ㎥/h

   ⑤ E실 : (35 × 6) × 1 × 60 = 12,600 ㎥/h

다. 배출 FAN의 최소 배출 용량 [㎥/h]은 얼마인가 ? 12,600 [㎥/h]

라. C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댐퍼의 작동 상황 (개폐여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 C실의 댐퍼는 Open하고 나머지 A, B, D, E실 댐퍼는 Close 상태로 된다.

[해설] 제연설비 (독립제연방식)

 가. 댐퍼 (Damper)의 설치 위치

   댐퍼를 각 실 측에서 1개씩 설치하며 해당 화재실의 화재시 해당실 댐퍼는 open, 그 외의 실 댐퍼는 Close 한다.

 

  나. 배출량 및 배출방식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일 경우 : 최저 배출량 5,000 ㎥/hr 이상으로 할 것)

     ▣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다. 공동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

          량을 합한 것 이상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제연구역 #제연설비 #독립배연구역 #공동배연구역 #댐퍼 #화염 #연기생성률 #배출량

#무창층 #배연기 #송풍기 #기계제연방식 #자연제연방식 #스모크타워 #유출속도

#축동력 #풍량 #제연경계 #방화문 #상사법칙 #풍속

반응형
반응형

1. 제연구역구획의 기준 (NFTC 504. 2. 1. 2)

  ① 재질은 내화재료, 불연재료 또는 제연경계벽으로 성능을 인정받은 것으로서 화재시 설계 변경 · 파괴되지 아니하고

       연기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성이 있는 재료로 해야 한다.

  ② 제연경계는 제연경계의 폭이 0.6 m 이상이고, 수직거리는 2 m 이내이어야 한다.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는 2 m 를

       초과할 수 있다.

  ③ 제연경계벽은 배연시 기류에 따라 그 하단이 쉽게 흔들리지 아니해야 하며, 또한 가동식의 경우에는 급속히 하강하여

       인명에 위해를 주지 아니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2. 배출량 및 배출방식 (NFTC 501. 2. 3)

가. 통로

   ▣ 45,000 ㎥/hr 이상일 것

나. 거실

  ①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일 경우 (최저 5,000㎥/hr 이상일 것)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②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일 경우 (예상 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m 원의 범위 안에 있을 경우 (최저 40,000 ㎥/hr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0,000 ㎥/h 이상
2m 초과 2.5m 이하
45,000 ㎥/h 이상
2.5m 초과 3m 이하
50,000 ㎥/h 이상
3m 초과
60,000 ㎥/h 이상

    ㉡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 이상, 직경 40m 원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최저 45,000 ㎥/h 이상일 것)

수직거리
배출량
2 m 이하
45,000 ㎥/h 이상
2m 초과 2.5m 이하
50,000 ㎥/h 이상
2.5m 초과 3m 이하
55,000 ㎥/h 이상
3m 초과
65,000 ㎥/h 이상
 

   ◈ 배출량 계산시 배출량의 단위가 ㎥/h (CMS)이므로 60분을 곱할 것

         ※ CMH : Cubic meter hour

   ◈ 제연경계벽으로 구획되었다는 것은 수직거리가 있다는 말과 같다. 대규모 거실(바닥면적 400 ㎡ 이상인 경우)는

         배출량을 표의 값으로 계산하는데 만약 수직거리가 주어지지 않으면 최소 배출량을 적용한다.

        ※ 최소 배출량 적용 이유 : 청결층 유지

다. 공동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① 공동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안에 설치된 예상 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을 합한 것 이상 (예상 제연구역의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인 경우 배출량은 바닥면적 1 ㎡당 1㎥/min 이상으로 하고

       공동 예상 제연구역 전체 배출량은 5,000 ㎥/hr 이상으로 할 것)

  ② 독립배연구역 (공동 예상 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각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

    ※ 공 - 벽 - 합: 공동배연구역 - 벽으로 구획 (개별 배출량의 합)

        독 - 제 - 최 : 독립배연구역 - 제연경계로 구획 (최대량)

 ▣ 배출구 (NFTC 501.2.4.2)

   ⊙ 예상 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배출구까지의 수평거리는 10m 이내가 되도록 해야 한다.

 

[참고] 댐퍼의 종류

 ▣ 기능에 따른 분류

   ① 방화댐퍼 (Fire Damper : FD) : 화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퓨즈의 용융 등에 의해 작동

                                                         된다.

  ② 방연댐퍼 (Smoke Damper : SD) : 유독가스나 연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연기감지기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③ 풍량조절댐퍼 (Volume Damper : VD) : 덕트 내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

  ④ 플랩 댐퍼 (Flap Damper ) : 과압에 의해 날개를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구조의 과압방지 배출 댐퍼

 ▣ 구조에 따른 분류

  ① 솔레노이드 댐퍼 (Solenoid damper) : 솔레노이드가 누르게 핀을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며 개구부 면적이 작은 곳에

                                                                   설치한다.

  ② 모터 댐퍼 (Motor damper) : 모터가 누르게 핀을 이동시킴으로서 작동되며 개구부 면적이 넓은 곳에 설치한다.

  ③ 퓨즈 댐퍼 (fusible link type damper) : 덕트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퓨즈가 용융되어 댐퍼에 설치된 폐쇄용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댐퍼이다.

1. 바닥면적이 60㎡인 어느 실내에 제연설비를 하려고 한다. 최소 소요배출량은 몇 [㎥/hr] 인가 ? (단, 거실의 바닥면적은

     400 ㎡ 미만으로 구획되어 있다) [3점] ★★★★★

[문제풀이]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

   ⊙ 배출량 = 60 ㎡ × 1 ㎥/min · ㎡ = 60 ㎥/min

   ⊙ 단위 환산 : 60 ㎥/min × 60 min = 3,600 ㎥/h

   ⊙ 바닥면적 400 ㎡ 이하의 최저배출량은 5,000 ㎥/h 이상이므로 정답은 5,000 ㎥/h 이다.

[해설] 배출량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미만일 경우 (최저 5,000 ㎥/h 이상일 것))  : 일반적인 경우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

2. 제연설비에 대한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조건]

  ① 바닥면적이 390 ㎡인 거실이다.

  ② 제연덕트의 길이는 총 80 m이고 덕트의 저항은 0.2 ㎜Aq/m로 한다.

  ③ 배기구의 저항은 8 ㎜Aq, 그릴저항은 3 ㎜Aq, 부속류 저항은 덕트저항의 50%로 한다.

  ④ 송풍기는 시로코 팬 (Sirocco FAN)을 선정하고 효율은 60%로 한다.

  ⑤ 전달계수는 1.1로 한다.

가. 예상 제연구역에 필요한 배출량 [㎥/h]을 구하시오.

나. 송풍기에 필요한 전압 [㎜Aq]을 구하시오.

다. 송풍기의 전동기 동력 [kW]을 구하시오.

라.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의 거실에서 최저 배출량은 5,000 ㎥/hr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이유를 쓰시오.

마. 다익형 팬의 특징을 2가지만 쓰시오.

바. 회전수가 1,700rpm일 때 이 송풍기의 전압을 1.2배로 높이려면 회전수를 얼마로 증가시켜야 하는지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예상 제연구역에 필요한 배출량 [㎥/h]을 구하시오.

      배출량 [㎥/min] = 바닥면적 [㎡] × 1 [㎥/min · ㎡]

  ⊙ 배출량 = 300 ㎡ × 1 ㎥/min · ㎡ = 300 ㎥/min

  ⊙ 단위 환산 : 300 ㎥/min × 60 min = 18,000 ㎥/h

  ⊙ 바닥면적 400 ㎡ 이하의 최저배출량은 5,000 ㎥/h 이상이므로 정답은 18,000 ㎥/h 이다.

나. 송풍기에 필요한 전압 [㎜Aq]을 구하시오.

  ▣ 전압[㎜Aq] = 덕트손실압력 [㎜Aq] + 배기구 저항 [㎜Aq] + 그릴저항 · 부속류 저항 [㎜Aq]

     ∴ 전압 = 0.2 × 80 + 8 + 3 + 0.2 × 80 × 0.5 = 35 ㎜Aq

다. 송풍기의 전동기 동력 [kW]을 구하시오.

라. 바닥면적이 400 ㎡ 미만의 거실에서 최저 배출량은 5,000 ㎥/hr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이유를 쓰시오. 최소 청결층

      유지

마. 다익형 팬의 특징을 2가지만 쓰시오.

  ▣ 동일 용량에 대한 크기가 적어 설치면적이 작아진다.

  ▣ 낮은 압력에 많은 양의 송풍에 유리하다.

바. 회전수가 1,700rpm일 때 이 송풍기의 전압을 1.2배로 높이려면 회전수를 얼마로 증가시켜야 하는지 구하시오.

 ▣ 상사법칙

  ◈ 양정 : 펌프의 양정은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 양정은 압력에 대응관계에 있다.

【 해설 】 다익형 송풍기의 특징 (시로코 송풍기 - 다익형 송풍기)

  ① 동일 용량에 대한 크기가 적어 설치면적이 작아진다.

  ② 낮은 압력에 대한 많은 양의 송풍에 유리하다.

  ③ 속도가 낮아 소음이 작다.

  ④ 풍량변동에 대한 풍압의 변화가 적으며 많은 공기구멍으로 급배기하고 있는 경우 기존의 일부를 폐쇄해도 다른 급배기

       구의 영향이 적다.

  ⑤ 효율이 좋지 않다.

 

【참고】 상사법칙

  ① 유량 : 펌프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Q1 : 변경 전 유량 [ℓ/min],         Q2 : 변경 후 유량 [ℓ/min]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② 양정 : 펌프의 양정은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H1 : 변경 전 양정 [m],               H2 : 변경 후 양정 [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③ 축동력 : 펌프의 축동력은 회전수의 세제곱 및 관경의 오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P1 : 변경 전 축동력 [kW],                 P2 : 변경 후 축동력 [kW]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N2 : 변경 후 회전수 [ℓ/rpm]

                     D1 : 변경 전 관경 [㎜],                      D2 : 변경 후 관경 [[㎜]

#제연구역 #내화재료 #불연재료 #배출량 #수직거리 #제연경계 #CMH #공동배연구역

#독립배연구역 #댐퍼 #솔레노이드 #덕트 #다익형팬 #시로코팬 #sirocco #상사법칙

반응형
반응형

1. 백 드래프트 (back draft) 현상을 간단히 설명하고 발생시기를 쓰시오. [4점] ★★★

[답안작성]

  ① 백드래프트 현상 : 화재 진행중 구획실 내의 산소결핍으로 인하여 감쇠되고 산소의 부족에 따라 가연성 가스가 축적된

              경우 소방관의 진입 등 출입문의 개방 등으로 산소가 유입되었을 경우 축적된 가연성 가스에 의해 폭발이 발생하

              며 충격파가 수반되는 현상으로 소방관 살인현상이라고도 한다.

  ② 발생시기 : 감쇠기

 

[해설] 플래쉬 오버 (flash over) 및 백 드래프트 (Back draft)

구 분
플래쉬 오버 (flash over)
백 드래프트 (Back draft)
정의
화재실 내 가연물의 전 표면이 불
덮히는 현상을 말하는데 국부
적인
화재에서 실 전체로의 급격
한 화재
확대를 의미한다.
화재 진행중 구획실 내의 산소의 결핍으로 인하여
감쇠되고 산소의 부족에 따라 
가연성 가스가 축적된
경우 소방관의 진
입 등 출입문의 개방 등으로 산소가
입되었을 경우 축적된 가연성 가스에 의해 폭발이
발생하며, 충격파가 수반
되는 현상이라고도 한다.
발생시기
성장기
감쇠기

[참고] 화재인 진행

 

2. 다음 제연설비에서 제연구역을 구획하는 기준이다. ① ~ ⑤ 까지의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5점] ★★★★★

  가.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 ① ) 이내로 한다.

  나. 거실과 통로는 ( ② ) 한다.

  다.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 ③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라.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 ④ ) 원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마. 하나의 제연구역은 ( ⑤ )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않도록 한다. (단, 층의 구분이 불분명한 부분은 다음 부분과 별도로 제연

        구획할 것)

[답안작성]

   ① 1,000 ㎡        ② 상호제연구획         ③ 60 m            ④ 60 m             ⑤ 2개

[해설] 제연구역의 구획 (NFSC 501 제4조)

  ①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 이내로 하여야 한다.

  ② 거실과 통로 (복도를 포함)는 상호제연 구획하여야 한다.

  ③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 m를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④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 m 원 내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⑤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층의 구분이 불분명한 부분은 그 부분을 다른 부분

       과 별도로 제연구획하여야 한다.)

3.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3점] ★★★★★

  가.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몇 [㎡]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

  나. 예상 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배출구 까지의 수평거리는 몇 [m]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

  다. 유입풍도 안의 풍속은 몇 [m/s]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답안작성]

  가. 1,000 ㎡           나. 10 m                다. 20 [m/s]

[해설] 제연설비

 가. 제연구역의 구획 (NFSC 501 제4조 ①)

   ①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 이내로 하여야 한다.

   ② 거실과 통로 (복도를 포함)는 상호제연 구획하여야 한다.

   ③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 m를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④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 m 원 내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⑤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층의 구분이 불분명한 부분은 그 부분을 다른 부분

        과 별도로 제연구획하여야 한다.)

나. 각종 설비 등의 설치 거리

구 분
수평거리
보행거리
⊙ 예상 제연구역의 각 부분에서 배출구까지의 거리
10 m 이내
-
⊙ 포호스릴 설비
15m 이하
-
⊙ CO2 호스릴 설비
⊙ 분말 호스릴 설비
⊙ 할론 소화설비
20m 이하
-
⊙ 옥내 소화전 호스릴 설비
⊙ 미분무 호스릴 설비
⊙ 옥내 소화전설비 방수구
⊙ 포소화설비의 방수구
⊙ 연결 송수관 설비의 방수구
   - 지하가 (터널 제외)
   - 지하층의 바닥면적 3,000 ㎡ 이상
25 m 이하
-
⊙ 옥외 소화전설비 방수구
40 m 이하
-
⊙ 연결 송수관설비의 방수구 (기타)
50 m 이하
-
⊙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
140 m 이하
-
⊙ 소형 소화기
-
20 m 이내
⊙ 대형 소화기
-
30 m 이내

다. 각 설비의 유속 · 풍속

구 분
유속
풍속
옥내 소화전 설비 (토출측 주배관)
4 m/s 이하
-
스프링클러 설비
가지 배관
6 m/s 이하
-
기타 배관
10 m/s 이하
-
제연설비
예상 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의 유속
-
5 m/s 이하
흡입측 풍도
-
15 m/s 이하
배출측 풍도
-
20 m/s 이하
유입 풍도
-

4. 제연설비에서 많이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댐퍼, 모터 댐터, 퓨즈 댐퍼의 기능을 비교 설명하시오. [6점] ★★★★

[답안작성]

  ① 솔레노이드 댐퍼 : 솔레노이드가 누르게 핀을 이동시킴으로서 작동되며 개구면적이 작은 곳에 설치한다.

  ② 모터 댐퍼 : 모터가 누르게 핀을 이동시킴으로서 작동되며 개구부 면적이 넓은 곳에 설치 한다.

  ③ 퓨즈 댐퍼 : 턱트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퓨즈가 용융되어 댐퍼에 설치한 폐쇄용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댐퍼이다.

[해설] 댐퍼의 분류

 가. 기능에 따른 분류

 ① 방화 댐퍼 (Fire Damper : FD) : 화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퓨즈의 용융 등에 의하여

      작동된다.

  ② 방연 댐퍼 (Smoke Damper : SD) : 유독가스나 연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연기 감지기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③ 플랩조절댐퍼 (Volume Damper : VD) : 덕트내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

  ④ 플랩댐퍼 (Flap Damper) : 과압에 의해 날개를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구조의 과압방지 댐퍼

나. 구조에 따른 분류

  ① 솔레노이드 댐퍼(Solenoid damper) : 솔레노이드가 누르게 핀을 이동시킴으로서 작동되며 개구면적이 작은 곳에 설치

       한다.

  ② 모터 댐퍼(Motor damper) : 모터가 누르게 핀을 이동시킴으로서 작동되며 개구부 면적이 넓은 곳에 설치 한다.

  ③ 퓨즈 댐퍼 (fusible link type damper) : 턱트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퓨즈가 용융되어 댐퍼에 설치한 폐쇄용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댐퍼이다.

5. 제연량이 800 ㎥/min, 전압이 2 ㎜Hg, 송풍기 효율이 60 % 일 때 필요한 동력 [kW]을 구하시오. (단, 여유율을 고혀하지

     않는다) [4점]

[문제풀이] ※ 제연설비의 경우 전달계수와 여유율을 혼동하여 쓴다.

[해설] FAN (배연기, 송풍기)의 동력

   여기서, P : FAN (배연기, 송풍기) 동력 [kW]

                PT : 정압 (㎜Ag, ㎜H2O)

                Q : 풍량 [㎥/min]

                k : 전달계수 (여유율)

                η : 전효율 (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 압력 단위 환산

1 atm
760 ㎜Hg
76 ㎝Hg
101,325 Pa
101.325 kPa
0.101325 MPa
10,332 ㎜Aq(㎜H2O)
10.332 mAq (mH2O)
-
1.0332 ㎏f/㎠
10,332 ㎏f/㎡
-
1,013 mbar
1.013 bar
14.7 psi

6. 6층 이상의 건축물로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구역은 건축관련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해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제연구 (배출구)에서 측정한 평균 풍속이 200 m/sec, 배연구의 유효면적이 2 ㎡ 이고, 실내의 온도가 20 ℃ 일 때 풍량

        [㎥/min]을 구하시오.

  나. 전압이 30 ㎜Aq이고 전동기 효율이 60 %, 전동력 손실과 제연량 누수도 고려한 여유율을 10% 증가시킨 것으로 가정

        할 때 가.의 풍량을 송풍할 수 있는 배연기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제연구 (배출구)에서 측정한 평균 풍속이 200 m/sec, 배연구의 유효면적이 2 ㎡ 이고, 실내의 온도가 20 ℃ 일 때 풍량

       [㎥/min]을 구하시오.

           ∴ 풍량 Q = A · v = 2 ㎡ × 120 m/min = 240 ㎥/min

나. 전압이 30 ㎜Aq이고 전동기 효율이 60 %, 전동력 손실과 제연량 누수도 고려한 여유율을 10% 증가시킨 것으로 가정할

      때 가.의 풍량을 송풍할 수 있는 배연기의 동력 [kw]을 구하시오.

[해설] 풍량 FAN (배연기, 송풍기)의 동력

  가. 풍량

      Q = A · v

     여기서, Q : 풍량 [㎥/min]

                  A : 단면적 [㎡] = πd2 / 4 [㎡]

                  v : 풍속 [m/min]

                  d : 내경 [m]

  나. 배연기의 동력

        여기서, P : FAN (배연기, 송풍기) 동력 [kW]

                     PT : 정압 (㎜Ag, ㎜H2O)

                     Q : 풍량 [㎥/min]

                      k : 전달계수 (여유율)

                      η : 전효율 (η전효율 = η수력효율 × η체적효율 × η기계효율)

#배연기 #제연설비 #송풍기 #풍량 #전동력 #솔레노이드 #댐퍼 #덕트 #풍량 #유량

#퓨즈댐퍼 #모터댐퍼 #플래쉬오버 #백드래프트 #무염착화 #최성기 #수평거리

#보행거리 #상호제연구역 #제연구역

 

반응형
반응형

1. 피난대책 중 페일 세이프 (fail safe)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시오. [3점] ★★★

[답안작성]

  ▣ 이중안전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안전장치가 고장나거나 그 사용을 실패할 경우, 다른 수단의 안전장치를 이용

        하여 구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

 

【해설】 페일 세이프 (fail safe) 및 풀 프루프 (fool proof)

가. 페일 세이프 (fail safe)

  ① 이중 안전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안전장치가 고장나거나 그 사용을 실패할 경우, 다른 수단의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구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

  ② 사용 예

    ㉠ 2 방향의 피난로를 설치

    ㉡ 비상전원 및 예비전원의 확보

    ㉢ 시스템의 병렬화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루프 (loop) 배선방식

    ㉤ 스프링클러설비의 루프 (loop) 배관 및 그리드 (grid) 배관 방식

나. 풀 프루프 (fool proof)

  ① '바보라도 보호한다'라는 개념으로 피난시설 등에서 패닉(panic)상태 이거나 저지능자라도 쉽게 판별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② 사용예

    ㉠ 소화설비 및 경보설비의 위치 표시 등을 적색으로 하는 것

    ㉡ 피난유도등을 녹색등으로 하거나 간단한 그림을 적용하는 것

    ㉢ 피난방향으로 피난문이 열리도록 하는 구조로 하는 것

    ㉣ 도어노브 (door knob)를 회전식이 아닌 레버식으로 하는 것

2. 피난기구의 종류 7가지만 쓰시오. [3점] ★★★

[답안작성]

  ① 미끄럼대   ② 피난교   ③ 피난용 트랩   ④ 미끄럼대   ⑤ 완강기   ⑥ 구조대   ⑦ 다수인 피난장비

【해설】 피난기구의 분류

 

[참고] 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별 피난기구의 적응성 (NFTC 301 표 2.1.1)

                   층별
설치장소
1층
2층
3층
4층 이상
10층 이하
노유자시설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접골원,
조산원
-
-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기타
-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영업장의 위치가
4층 이하인
다중이용업소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주) ① 간이 완강기의 적응성은 숙박시설의 3층 이상에 있는 객실에, 공기안전매트의 적응성은 공동주택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 제1항 제2호 가목 부터 라목까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에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② 구조대의 적응성은 장애인 관련시설로서 주된 사용자 중 스스로 피난이 불가한 자가 있는 경우 제4조 제2항 제4호

           에 따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 지하층, 1 · 2층, 11층 이상 : 일반인의 경우 피난기구를 설치하지 않음

  ※ 3층 저층부, 4~10 층 고층부 : 피난기구를 구분하여 설치함

  ※ 의료시설이 시험에 자주 나옴

  ※ 노유자 시설에는 피난용 트랩이 제외된다.

  ※ 1층에 설치하는 경우

 

  ※ 4층 이하의 다중이용업소

    ▣ 미·피·완·구·다·승 : 미끄럼대, 피난사다리, 완강기, 구조대, 다수인피난장비, 승강식 피난기

    ▣ 4층에 미끄럼대가 있다. 최고층이 4층이므로

  ※ 주석 (유의사항)

    ▣ 간이완강기 : 숙박시설 객실에만 설치 (2개 이상)

    ▣ 공기안전매트 : 공동주택에 설치

3.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3층 및 4층 이상 10층 이하의 의료시설에 설치해야 할 피난기구를 모두 쓰시오.

    ① 3층               ② 4층 이상 10층 이하

 나. 피난기구를 설치하는 개구부의 기준에 대한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 가로 ( ① ) m 이상, 세로 ( ② ) m 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개구부 하단이 바닥에서 ( ③ ) m 이상이면 발판 등을

         설치해야 하고 밀폐된 창문은 쉽게 파괴할 수 있는 파괴 장치를 비치해야 한다.

[답안 작성]

 가. ① 3층 : 미끄럼대, 구조대, 피난교, 피난용 트랩, 다수인 피난장비, 승강식 피난기

       ② 4층 이상 10층 이하 : 구조대, 피난교, 피난용 트랩, 다수인 피난장치, 승강식 피난기

나.  ① 0.5         ② 1          ③ 1.2

【 해설 】 피난기구

가. 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별 피난기구의 적응성 (NFTC 301 표 2.1.1)

                   층별
설치장소
1층
2층
3층
4층 이상
10층 이하
노유자시설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접골원,
조산원
-
-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기타
-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영업장의 위치가
4층 이하인
다중이용업소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주) ① 간이 완강기의 적응성은 숙박시설의 3층 이상에 있는 객실에, 공기안전매트의 적응성은 공동주택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 제1항 제2호 가목 부터 라목까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에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② 구조대의 적응성은 장애인 관련시설로서 주된 사용자 중 스스로 피난이 불가한 자가 있는 경우 제4조 제2항 제4호에

          따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나. 피난기구의 설치기준 (NFTC 301. 2.1.3)

  ▣ 피난기구는 계단 · 피난구 기타 피난시설로 부터 적당한 거리에 있는 안전한 구조로 된 피난 또는 소화활동상 유효한

       개구부 (가로 0.5m, 세로 1m 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개구부 하단이 바닥에서 1.2 m 이상이면 발판 등을 설치해야

       하고, 밀폐된 창문은 쉽게 파괴할 수 있는 파괴장치를 비치해야 한다) 에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필요한 때에 신속하고

       유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상태에 둘 것

4. 의료시설의 3층, 4층 이상 10층 이하에 설치해야 하는 피난기구를 각각 4가지 쓰시오. [6점] ★★★★

[답안작성]

  가. 3층 : ① 구조대 ② 피난교 ③ 다수인 피난장치 ④ 승강식 피난기

  나. 4층 이상 10층 이하

        ① 구조대      ② 피난교 ③      다수인 피난장비      ④ 승강식 피난기

【 해설 】 피난기구

가. 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별 피난기구의 적응성 (NFTC 301 표 2.1.1)

                   층별
설치장소
1층
2층
3층
4층 이상
10층 이하
노유자시설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접골원,
조산원
-
-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기타
-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영업장의 위치가
4층 이하인
다중이용업소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주) ① 간이 완강기의 적응성은 숙박시설의 3층 이상에 있는 객실에, 공기안전매트의 적응성은 공동주택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 제1항 제2호 가목 부터 라목까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에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② 구조대의 적응성은 장애인 관련시설로서 주된 사용자 중 스스로 피난이 불가한 자가 있는 경우 제4조 제2항 제4호

           에 따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5. 지하 1층, 지상 10층, 바닥면적 2,000 ㎡의 어느 사무실에 완강기를 설치하려고 한다. 전체 완강기의 설치개수를 구하시

    오. (단, 주요 구조부는 내화구조이고, 직통계단인 특별피난계단이 2개소 설치되어 있다) [9점]

[문제풀이]

  ▣ 1개층 완강기 설치개수

    ⊙ 2,000 ㎡ ÷ 1,000 ㎡ = 2개

  ▣ 감소기준 적용 : 내화구조, 특별피난계단 2개소 설치시 ½ 감소기준 적용 : 2 × ½ = 1개

    ∴ 완강기 설치개수 : 3층 ~ 10층 : 1개 × 8개층 = 8개

【해설】 완강기의 설치 개수

가. 피난기구의 설치대상 (노유자 시설, 영업장의 위치가 4층 이하인 다중이용업소 제외)

  ▣ 지상 3층 이상 ~ 지상 10층 : 피난기구 설치

나. 피난기구의 설치 개수

  ① 층 마다 설치

  ② 피난기구의 설치대상에 따른 설치 개수

설치대상
설치개수
⊙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의료시설 (병원)
500 ㎡ 마다
⊙ 위락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운동시설, 판매시설, 복합용도의
800 ㎡ 마다
⊙ 그밖의 용도의 층 (사무실)
1,000 ㎡ 마다
⊙ 아파트 등
각 세대 마다

다. 피난기구 설치의 감소 (NFTC 301. 2. 3)

 ▣ 피난기구를 설치해야 할 소방대상물 중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층에는 피난기구의 ½을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해

      야 할 피난기구의 수에 있어서 소수점 이하의 수는 1로 한다.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을 것

  ㉡ 직통 계단인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이 2 이상 설치되어 있을 것 (양방향 피난경로일 경우)

6. 피난구조설비 중 인명 구조기구 종류를 3가지 쓰시오. [3점] ★★★★★

  [답안작성]    ① 방열복, 방화복        ② 공기호흡기        ③ 인명 소생기

【해설】 인명구조기구

 가. 분류

 

  ① 방화복 : 화재진압 등의 소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피복

  ② 방열복 : 고온의 복사열에 가까이 접근하여 소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내열 피복

  ③ 공기호흡기 : 소방활동시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유독가스 중에서 일정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압축공기식 개인 호흡장비

  ④ 인공소생기 : 호흡 부전 상태인 사람에게 인공호흡을 시켜 환자를 보호하거나 구급하는 기구

나. 설치대상 (소방시설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인명구조기구
설치대상
설치조건
설치수량
방열복 또는
방화복,
인공소생기,
공기호흡기
관광호텔
지하층을 포함한 7층 이상
각 2개 이상 비치할 것. 다만,
병원의 경우에는 인공소생기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방열복 또는
방화복,
공기호흡기
병원
지하층을 포함한 5층 이상
공기호흡기
⊙ 수용인원이 100명 이상인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영화상영관
⊙ 판매시설 중 대규모 점포
⊙ 운수시설 중 지하역사
⊙ 지하가 중 지하상가
층마다, 2개 이상 비치할 것. 다만
, 각 층마다 갖추어야 할 공기호흡
기 중 일부를 직원이 상주하는 인
근 사무실에 갖추어 둘 수 있다.
⊙ 물 분무 등 소화설비의 설치대상 및 화재안전기술기준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
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출입구 외부 인근에 1대
이상 비치할 것

다. 설치기준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및 장소별로 설치해야 할 인명구조기구는 [별표 1]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② 화재시 쉽게 반출할 수 있는 장소에 비치할 것

  ③ 인명구조기구가 설치된 가까운 장소의 보기 쉬운 곳에 '인명구조기구'라는 축광표지와 그 사용방법을 표시한 표지를

       부착하되, 축광식 표지는 소방청장이 고시한 「축광표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④ 방열복은 소방청장이 고시한 「소방용 방열복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할 것

  ⑤ 방화복 (헬멧, 보호장갑 및 안전화를 포함한다)은 「소방장비 표준규격 및 내용연수에 관한 규정」 제3조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할 것

7. 어느 특정소방대상물에 피난기구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9점]  ★★★★

[조건]

 ① 각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및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바닥면적은 1,200 ㎡ 이며,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서 거실의 각 부분으로 부터 직접 복도로 피난할 수 있는 3층에

        위치한 학교 (강의실 용도)이다.

   ㉡ 바닥면적은 800 ㎡ 이며, 옥상층으로서 5층에 위치한 객실 수 6개인 숙박시설이다.

   ㉢ 바닥면적은 1,000㎡이며,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피난계단이 2개소 설치된 7층에 위치한 병원이다.

 ② 피난기구는 완강기를 설치하며, 간이 완강기는 설치하지 않는다.

 ③ 만약 피난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계산과정을 적지 아니하고 답란에 "0" 을 적는다.

 ④ 기타 조건 이외의 감소되거나 면제되는 조건은 없다.

가. ㉠, ㉡, ㉢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 할 피난기구의 개수를 각각 구하시오.

나. ㉢ 의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적응성이 있는 피난기구 3가지를 쓰시오. (단, 완강기와 간이 완강기는 제외하고 답한다.)

[문제풀이]

가. ㉠, ㉡, ㉢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 할 피난기구의 개수를 각각 구하시오.

  ㉠ 학교 (강의실 용도)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서 거실의 각 부분으로 부터 직접 복도로 피난할 수 있는 학교 (강의실

                                        용도) : 피난기구 설치 제외장소에 해당하므로 : "0"개

  ㉡ 숙박시설

    ▣ 피난기구 설치개수 : 800 ㎡ / 500 ㎡ = 1.6 ≒ 2개

      ※ 숙·노·의 :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의료시설 : 500 ㎡ 마다 피난기구 설치

    ▣ 객실에 추가로 설치해야 할 개수 : 객실마다 설치 : 6개

      ※ 숙박시설의 객실에는 추가로 피난기구 설치

        ∴ 피난기구 총 설치개수 : 2개 + 6개 = 8개

   ㉢ 병원

    ▣ 피난기구 설치개수 = 1,000 ㎡ ÷ 500 ㎡ = 2개

    ▣ 피난기구 설치 감소기준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피난계단이 2개소(양방향) 설치된 경우의 ½ 감소기준에 해당 :

                                                  2 × ½ = 1개

 나. ㉢ 의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적응성이 있는 피난기구 3가지를 쓰시오. (단, 완강기와 간이 완강기는 제외하고

        답한다.)

   ① 구조대         ② 피난교           ③ 피난용 트랩

【 해설 】 피난기구의 설치 개수 · 소방대상물의 설치 장소별 피난기구의 적응성

                   층별
설치장소
1층
2층
3층
4층 이상
10층 이하
노유자시설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접골원,
조산원
-
-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기타
-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영업장의 위치가
4층 이하인
다중이용업소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주) ① 간이 완강기의 적응성은 숙박시설의 3층 이상에 있는 객실에, 공기안전매트의 적응성은 공동주택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 제1항 제2호 가목 부터 라목까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에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② 구조대의 적응성은 장애인 관련시설로서 주된 사용자 중 스스로 피난이 불가한 자가 있는 경우 제4조 제2항 제4호에

          따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나. 피난기구의 설치기준 (NFTC 301. 2.1.3)

  ▣ 피난기구는 계단 · 피난구 기타 피난시설로 부터 적당한 거리에 있는 안전한 구조로 된 피난 또는 소화활동상 유효한

       개구부 (가로 0.5m, 세로 1m 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개구부 하단이 바닥에서 1.2 m 이상이면 발판 등을 설치해야

        하고, 밀폐된 창문은 쉽게 파괴할 수 있는 파괴장치를 비치해야 한다) 에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필요한 때에 신속하고

        유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상태에 둘 것

4. 의료시설의 3층, 4층 이상 10층 이하에 설치해야 하는 피난기구를 각각 4가지 쓰시오.  [6점] ★★★★

[답안작성]

 가. 3층 :  ① 구조대  ② 피난교  ③ 다수인 피난장치  ④ 승강식 피난기

 나. 4층 이상 10층 이하

    ① 구조대    ② 피난교    ③ 다수인 피난장비    ④ 승강식 피난기

【 해설 】 피난기구

가. 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별 피난기구의 적응성 (NFTC 301 표 2.1.1)

                   층별
설치장소
1층
2층
3층
4층 이상
10층 이하
노유자시설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접골원,
조산원
-
-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구조대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기타
-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피난용 트랩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피난교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영업장의 위치가
4층 이하인
다중이용업소
-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 구조대
⊙ 완강기
⊙ 다수인 피난 장비
⊙ 승강식 피난기

주) ① 간이 완강기의 적응성은 숙박시설의 3층 이상에 있는 객실에, 공기안전매트의 적응성은 공동주택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 제1항 제2호 가목 부터 라목까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에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② 구조대의 적응성은 장애인 관련시설로서 주된 사용자 중 스스로 피난이 불가한 자가 있는 경우 제4조 제2항 제4호

           에 따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

나. 피난기구의 설치대상 (노유자시설 · 영업장의 위치가 4층 이하인 다중이용업소 제외)

   ▣ 지상 3층 ~ 지상 10층

다. 피난기구의 설치 개수

  ① 각 층마다 설치

  ② 피난기구의 설치대상에 따른 설치 개수

설치대상
설치개수
⊙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의료시설 (병원)
500 ㎡ 마다
⊙ 위락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운동시설, 판매시설, 복합용도의
800 ㎡ 마다
⊙ 그밖의 용도의 층 (사무실)
1,000 ㎡ 마다
⊙ 아파트 등
각 세대 마다

라. 피난기구의 설치 제외 (NFTC 301. 2. 2)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서 거실의 각 부분으로 부터 직접 복도로 피난할 수 있는 학교 (강의실 용도로 사용되는 층에

       한한다)

마. 피난기구 설치의 감소 (NFTC 301. 2. 3)

  ▣ 피난기구를 설치해야 할 소방대상물 중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층에는 피난기구의 ½을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해

       야 할 피난기구의 수에 있어서 소수점 이하의 수는 1로 한다.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을 것

   ㉡ 직통 계단이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이 2 이상 설치되어 있을 것

#피난기구 #피난사다리 #방열복 #방화복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 #피난교 #피난용트랩 #구조대 #다수인피난장비 #승강식피난기 #공기안전매트 #완강기 #노유자시설

#숙박시설 #의료시설 #내화구조 #인명구조기구 #피난계단

반응형
반응형

1. 다음은 분말 소화설비에 대한 사항이다. 빈칸에 적합한 답을 쓰시오. [8점] ★★★

소화약제 주성분
기 타
제1종
안전밸브 작동압력
가압식
 
제2종
축압식
 
제3종
저장용기 충전비
제4종
가압용가스용기를 3병이상 설치
한 경우의 전자개방밸브 개수

[답안작성]

소화약제 주성분
기 타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안전밸브 작동압력
가압식
최고사용압력의
1.8배 이하
제2종
탄산수소칼륨
축압식
내압시험압력의
0.8배 이하
제3종
인산암모늄
저장용기 충전비
0.8 이상
제4종
탄산수소칼륨 +
요소
가압용가스용기를 3병이상 설치
한 경우의 전자개방밸브 개수
2개 이상

[해설] 분말소화설비

 가. 분말소화설비의 종류

소화약제 종별
주성분
적응화재
색상
비고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BC급 화재
백색
BC급 소형 소화기용
제2종
탄산수소칼륨
(KHCO3)
BC급 화재
담자색
BC급 대형 소화기용
제3종
인산 암모늄
(NH4H2PO4)
ABC급 화재
담홍색
ABC급 소화기용
제4종
탄산수소칼륨 + 요소
(KHCO3+(NH2)2CO)
BC급 화재
회색
국내 미생산

    ※ A급 : 일반화재,     B : 유류화재,      C급 : 전기화재      D급 : 금속화재

 나. 분말소화설비 저장용기 안전밸브의 최대 작동압력

구 분
최대 작동 압력 (최고 충전 압력)
가압식
최고 사용압력 (최고 충전압력) × 1.8 배 이하
축압식
내압시험압력 × 0.8배 이하

 다. 분말소화설비 저장용기의 설치기준 (NFSC 108 제4조)

  ① 분말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용적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1 ㎏ 당 저장용기의 내용적
제1종 분말
0.8 ℓ
제2 ·3종 분말
1 ℓ
제4종 분말
1.25 ℓ

  ② 안전밸브

    ㉠ 가압식 : 최고사용압력의 1.8배 이하

    ㉡ 축압식 : 내압시험압력의 0.8 배 이하

  ③ 충전비 : 0.8 이상

  ④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하는 정압작동장치를 설치할 것

  ⑤ 저장용기 및 배관에는 잔류 소화약제를 처리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설치할 것

  ⑥ 축압식 분말소화설비는 사용압력의 범위를 표시한 지시압력계를 설치할 것

라. 가압용 가스용기 (NFSC 108 제5조)

  ① 분말 소화약제의 가스용기는 분말소화약제의 저장용기에 접속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② 분말 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용기를 3병 이상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2개 이상의 용기에 전자개방밸브를 부착하여야

       한다.

  ③ 분말 소화약제의 가압용 가스용기에는 2.5 [MPa] 이하의 압력에서 조정이 가능한 압력조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참고] CO2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

  ▣ 전기식 기동장치로서 7병 이상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개방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2병 이상의 저장용기에 전자개방밸브

       를 부착할 것

2. 분말소화설비의 구성부품인 정압작동장치의 클리닝 (Cleaning) 장치에 대하여 간단히 쓰시오. [4점] ★★★★★

   ① 정압작동장치                 ② 클리닝(Cleaning) 장치

[답안 작성]

  ① 정압작동장치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장치

  ② 클리닝(Cleaning) 장치 : 분말 소화약제 방출 후에 남은 배관내의 잔류 분말소화약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해설] 분말소화설비의 정압작동장치 · 클리닝(Cleaning) 장치

 가. 정압작동장치

  ① 정압작동장치 : 분말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시켜 주는 장치

 

② 정압작동장치의 종류

  ㉠ 봉판식 : 저장용기에 가압용 가스가 유입되어 밸브의 봉판이 작동압력에 도달되면 밸브의 봉판이 개방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 기계식 : 저장용기에 유입된 가스 압력이 작동압력에 도달되면 밸브의 레버를 당겨서 가스의 통로를 개방시켜 가스를

                     주밸브로 보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 스프링식 : 저장용기에 가용용 가스가 유입되어 작동압력 이상에 도달되면 스프링이 압력에 의해 상부로 밀려 밸브 캡이

                      열려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 압력스위치식 (가스압력식) : 가압용가스가 저장용기내에 가압되어 압력스위치가 동작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되

                      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 시한릴레이(전기식) : 저장용기에 유입된 가스가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는 시간을 미리 산출하여 시한릴레이에 입력기동

                                       과 동시에 시한릴레이를 작동케 하여 입력 시간이 지나면 릴레이의 접점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

                                       가 동작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나. 클리닝(Cleaning) 장치 : 분말소화약제 방출 후에 남은 배관 내의 잔류 분말 소화약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3. 분말소화설비에서 사용하는 정압작동장치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가. 설치목적을 간단히 쓰시오.

  나. 종류 3가지를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가. 정압작동장치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장치

  나. 정압작동장치 종류 3가지

① 봉판식 : 저장용기에 가압용 가스가 유입되어 밸브의 봉판이 작동압력에 도달하면 밸브의 봉판이 개방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② 기계식 : 저장용기에 유입된 가스압력이 작동압력에 도달되면 밸브의 레버를 당겨서 가스의 통로를 개방하여 가스를

                   주밸브로 보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③ 스프링식 : 저장용기에 가압용가스가 유입되어 작동압력 이상에 도달되면 스프링이 압력에 의해 상부로 밀려 밸브캡이

                    열려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방식

4. 분말소화설비에서 사용하는 정압작동장치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답안작성]

가.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장치

나. 가압용 가스가 정장용기내에 가압되어 압력스위치가 작동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되어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장치

5. 전역방출방식의 분말소화설비 가로 10m × 세로 10 m × 높이 10 m의 크기를 갖는 방호 대상물에 제3종 분말 소화약제를

    설치하려고 한다. 소화약제량 [㎏]을 구하시오. (단, 모든 출입구는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문제풀이]

 ▣ 소화약제량 = 방호구역체적 [㎥] × 소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소화약제량 = (10m × 10 m × 10 m) × 0.36 [㎏/㎥] = 360 ㎏

[해설] 분말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량 = 방호구역체적 [㎥] × 소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분말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체적 1 ㎥ 당 소요약제량

소화약제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 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 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6. 전기실에 제1종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한 분말 소화설비를 가압식의 전역방출방식으로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의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6점] ★★★★★

[조건]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크기는 가로 11m, 세로 9m, 높이 4.5m인 내화구조로 되어 있다.

  ② 특정소방대상물의 중앙에 가로 1m, 세로 1m 인 기둥이 있고 기둥을 중심으로 가로, 세로 보가 교차되어 있다. 보는

       천장으로 부터 0.6 m, 너비 0.4m의 크기이며 보와 기둥은 내열성 재료이다.

  ③ 특정소방대상물에는 0.7m × 1.0 m, 1.2 m × 0.8m 인 개구부가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1.2m × 0.8m 인 개구부에

       는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④ 방호구역에 내화구조 또는내열성 밀폐구조가 설치된 경우에는 방호공간에서 제외한다.

  ⑤ 방사헤드의 방출률은 7.8 kg/㎟·min·개 이다.

  ⑥ 약제 저장용기 1개의 내용적은 50 ℓ이다.

  ⑦ 방사헤드 1개의 오리피스 면적은 0.45 ㎠ 이다.

  ⑧ 소화약제 선정 및 기타 사항은 국가 화재안전기준 (NFSC) 에 따라 산정할 것

가. 최소 소화약제량 [㎏]을 구하시오.

나. 약제 저장용기의 수를 구하시오.

다. 방사헤드의 최소 설치개수를 구하시오. (단, 소화약제의 양은 나. 에서 구한 약제저장용기수의 소화약제 양으로 한다.)

라. 전체 방사헤드의 오리피스 면적 [㎟]을 구하시오.

마. 방사헤드 1개의 방사량 [㎏/min]을 구하시오.

바. 나.에서 산출한 약제 저장용기수의 소화약제가 모두 방출되어 열분해시 발생한 CO2양 [㎏]과 이 때 CO2의 부피 [㎥]

       를 구하시오. (단, 방호구역 내의 압력은 100kPa, 주위온도는 500 ℃이고 분말소화약제 주성분에 대한 각 원소의 원자

       량은 다음과 같으며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에 따라 구한다.)

원소기호
H
C
O
Na
원자량
1
12
16
23

[문제풀이]

 가. 최소 소화약제량 [㎏]을 구하시오.

   ▣ 소화약제량 = 방호구역체적 [㎥] × 소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방호구역 체적

    ① 방호구역 체적 = 11m × 9m × 4.5 m = 445.5 [㎥]

    ② 조건 ②에서 방호구역내에 내열성 물체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방호구역 체적에서 제외시킨다. 따라서 기둥과 보의

         체적은 방호구역체적에서 제외시킨다.

        ㉠ 기둥 : 1m × 1m × 4.5 m = 4.5 ㎥

        ㉡ 보 : - 가로보 : (0.6m × 0.4m × 5m) × 2개 = 2.4 ㎥

                    - 세로보 : (0.6m × 0.4m × 4m) × 2개 = 1.92 ㎥

        ∴ 방호구역체적 = 445.5 ㎥ - (4.5㎥+2.4㎥+1.9㎥) = 436.68 ㎥

      ∴ 소화약제량 = [445.58㎥-(4.5㎥+2.4㎥+1.9㎥)] × 0.6㎏/㎥ + (0.7m ×1) × 4.5 ㎏/㎡ = 265.158 ≒ 265.16 ㎏

나. 약제저장 용기수를 구하시오.

다. 방사헤드의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라. 전체 방사헤드의 오리피스 면적 [㎟]을 구하시오.

   ▣ 전체 방사헤드의 오리피스 면적 = 2 × 45 ㎟ = 90 ㎟

마. 방사헤드 1개의 방사량 [㎏/min]을 구하시오.

바. 나.에서 산출한 약제 저장용기수의 소화약제가 모두 방출되어 열분해시 발생한 CO2양 [㎏]과 이 때의 CO2 의 부피

       [㎥]를 구하시오.

① CO2 의 양 [㎏]

     ▣ 제1종 분말 소화설비 열분해 반응식

             2 NaHCO3 ⇒ Na2CO3 + CO2 + H2O

             2 Na H CO3 = 2 × (23 + 1 + 2 + 16 × 3 =168 ㎏

             CO2 = 12 + 16 × 2 = 44 ㎏

             168 ㎏ : 44㎏ = 병수 × 1병당 충전량 ㎏ : X

             168 ㎏ : 44㎏ = 5 × 62.5 ㎏ : X

            ∴ CO2 의 양 = (62.5 × 5 × 44) / 168 = 81.845 ≒ 81.85 [㎏]

② CO2 의 부피 [㎥]] 

[해설] 분말소화설비

가. 최소 소화약제량

  ▣ 분말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 저장량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분말소화약제 전역방출방식의 체적 1 ㎥당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화약제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 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 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 방호구역 체적

  ① 방호구역 체적 = 11m × 9m × 4.5 m = 445.5 [㎥]

  ② 조건 ②에서 방호구역내에 내열성 물체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방호구역 체적에서 제외시킨다. 따라서 기둥과 보의

       체적은 방호구역체적에서 제외시킨다.

    ㉠ 기둥 : 1m × 1m × 4.5 m = 4.5 ㎥

    ㉡ 보 : - 가로보 : (0.6m × 0.4m × 5m) × 2개 = 2.4 ㎥

               - 세로보 : (0.6m × 0.4m × 4m) × 2개 = 1.92 ㎥

       ∴ 방호구역체적 = 445.5 ㎥ - (4.5㎥+2.4㎥+1.9㎥) = 436.68 ㎥

      ∴ 소화약제량 = [445.58㎥-(4.5㎥+2.4㎥+1.9㎥)] × 0.6㎏/㎥ + (0.7m ×1) × 4.5 ㎏/㎡ = 265.158 ≒ 265.16 ㎏

 

나. 약제저장용기수

① 저장용기수

② 충전비

           여기서,  C : 충전비 [ℓ/㎏],      V : 내용적 [ℓ],       G : 1병당 충전량 [㎏]

※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충전비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1㎏당 저장용기의 내용적
제1종 분말
0.8 ℓ
제2 · 3종 분말
1 ℓ
제4종 분말
1.25 ℓ

다. 방사헤드의 최소 설치개수

① 헤드의 개수

② 헤드의 분구 면적

     헤드의 분구 면적 [㎟] :

▣ 설비별 약제 방사시간

구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할론
분말
소화
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 화합물
불활성기체
표면화재
심부화재
전역
방출
방식
기타 특정
소방
대상물
10초 이내
(최소 설계농
도의 95%
이상 방사)
A·C급 화재 :
2분,
B급 화재 :
1분이내
(최소 설계농
도의 95%
이상 방사)
10초
이내
30초
이내
1분이내
7분 이내
(설계농도가
2분 이내에 30% 도달)
위험물
제소소 등
-
30초
이내
30초
이내
60초
이내
60초 이내
국소
방출
방식
기타 특정
소방
대상물
-
1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위험물
제소소 등
-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라. 전체 방사헤드의 오리피스 면적

    ▣ 전체 방사헤드 오리피스면적 [㎟] = 방사헤드 개수 × 방사헤드1개의 오리피스면적 [㎟]

마. 방사헤드 1개의 방사량

바. ① 열 분해시 발생한 CO2 의 양

   ▣ 제1종 분말 소화설비 열분해 반응식

        2 NaHCO3 ⇒ Na2CO3 + CO2 + H2O

        2 Na H CO3 = 2 × (23 + 1 + 2 + 16 × 3 =168 ㎏

        CO2 = 12 + 16 × 2 = 44 ㎏

        168 ㎏ : 44㎏ = 병수 × 1병당 충전량 ㎏ : X

        168 ㎏ : 44㎏ = 5 × 62.5 ㎏ : X

      ∴ CO2 의 양 = (62.5 × 5 × 44) / 168 = 81.845 ≒ 81.85 [㎏]

② 열분해시 발생한 CO2 의 부피 [㎥]

   ▣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여기서, P : 압력 [Pa, N/㎡] ,             V : 부피 (방출가스량) [㎥]

                  W : 질량 [㎏], M : 분자량 (CO2 : 44㎏, 할론 1301 : 148.95㎏)

                  R : 기체상수 (8,313.85 [N·m/kmol ·K], 8,313.85 [N·m/K])

                  T : 절대온도 (273+℃) [K]

7. 토너먼트 배관 방식으로 분말 소화설비에 분말헤드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그림에 배관을 이어 완성하시오. [5점]

      ★★★★★

 

[답안작성]

 

[해설] 토너먼트 배관 방식

 가. 토너먼트 배관 방식

   ① 소화약제 방출시 배관 내의 마찰손실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식

   ② 각 분사헤드 까지의 배관경로가 대칭적이다.

   ③ 마찰손실이 크기 때문에 수계 소화설비에는 사용할 수 없다.

 

나. 토너먼트 배관방식의 적용 설비

   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② 할론 소화설비

   ③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④ 분말 소화설비                               ⑤ 압축 공기포 소화설비

8. 주어진 그림에 토너먼트 배관방식으로 배관 및 헤드 설치관계를 완성하시오. [5점]  ★★★★★

 

답안작성

 

9. 분말소화설비의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 방호구역의 체적이 400 ㎥ 일 때 설치되는 최소 분사헤드 수를 구하시오. (단,

     분말소화약제는 제3종이며, 분사헤드 1개의 방사량은  10 ㎏/min 이다) [4점] ★★★★

[문제풀이]

  ▣ 소화약제 저장량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소화약제 저장량 = 400 ㎥ × 0.36 ㎏/㎥ = 144 ㎏

[해설] 분말소화설비 분사헤드 수

 가. 분말 소화설비 분사헤드 수

나.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 저장량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분말 소화약제 전역방출방식의 체적 1 ㎥ 당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화약제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 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 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 설비별 약제 방사시간

구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할론
분말
소화
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 화합물
불활성기체
표면화재
심부화재
전역
방출
방식
기타 특정
소방
대상물
10초 이내
(최소 설계농
도의 95%
이상 방사)
A·C급 화재 :
2분,
B급 화재 :
1분이내
(최소 설계농
도의 95%
이상 방사)
10초
이내
30초
이내
1분이내
7분 이내
(설계농도가
2분 이내에 30% 도달)
위험물
제소소 등
-
30초
이내
30초
이내
60초
이내
60초 이내
국소
방출
방식
기타 특정
소방
대상물
-
1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위험물
제소소 등
-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10. 전기실에 제1종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한 분말 소화설비를 전역방출방식으로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가압식으로 설치한다.) [12점]  ★★★★★

[조건]

  ① 특정소방대상물의 크기는 가로 20m, 세로 10m, 높이 3m 이다.

  ② 전기실에는 개구부가 없다고 가정한다.

  ③ 배관은 최단거리 토너먼트 방식으로 구성한다.

  ④ 분말 방사 헤드의 사양은 방출률은 1.5 ㎏/초(½), 방사시간은 30초이다.

  ⑤ 분사헤드는 정방형으로 배치하고, 헤드와 벽과의 간격은 헤드 간격의 ½ 이하로 한다.

가. 최소 소요약제량 [㎏]을 구하시오.

나. 가압용 가스에 질소가스 [N2]를 사용할 경우 가압용 가스 (N2)의 양 [ℓ]를 구하시오.

다. 분사헤드의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라. 헤드 배치도 및 개략적인 배관도를 작성하시오. (단, 눈금 1개의 간격은 1m 이고, 헤드 간의 간격 및 벽과의 간격을 표시

      해야 하며, 분말 소화배관 연결지점은 상부 중간에서 분기하며, 토너먼트 배관방식으로 한다.)

 

[문제풀이]

가. 최소 소요약제량 [㎏]을 구하시오.

   ▣ 소화약제 저장량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소화약제 저장량 = (20m × 10 m × 3 m) × 0.6 ㎏/㎥ = 360 ㎏

나. 가압용 가스에 질소가스 (N2)를 사용할 경우 가압용 가스 (N2)의 양 [ℓ]을 구하시오.

   ▣ 가압용 가스 [ℓ] = 소화약제 저장량 [㎏] × 1㎏ 당 가압용가스량 [ℓ/㎏] = 360 [㎏] × 40 [ℓ/㎏] = 14,400 [ℓ]

다. 분사헤드의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라. 헤드 배치도 및 개략적인 배관도를 작성하시오.

 

[해설] 분말소화설비

가.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 저장량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분말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체적 1 ㎥당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화약제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 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 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나. 가압용 가스 (N2)의 양

  ▣ 가압용 가스 또는 축압용 가스의 설치기준

구분
질소 (N2)
이산화탄소 (CO2)
가압용
40 ℓ / ㎏
20 g / ㎏ +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 이상
축압용
10 ℓ / ㎏

다. 분사헤드의 최소 개수

라. 토너먼트 배관 방식

  ① 소화약제 방출시 배관내의 마찰손실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식

 

  ② 토너먼트 배관 (균배 배관) 방식의 적용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할론 소화설비

    ㉢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분말 소화설비                          ㉤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11. 방호구역의 면적 600 ㎡, 높이 4m인 전기실에 제3종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한 분말 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축압식으로 설치하며,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되지 아니한 개구부 면적은 10 ㎡ 이다.) [6점]

      ★★★★★

가. 소화약제량 [㎏]을 구하시오.

나. 축압용 가스에 질소가스 (N2)를 사용하는 경우 축압용 가스 (N2)의 양 [㎥]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소화약제량 [㎏]을 구하시오.

  ▣ 소화약제 저장량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소화약제 저장량 = (600 ㎡ × 4 m) × 0.36 ㎏/㎥ + 10 [㎡] × 2.7 [㎏/㎡] = 891 ㎏

나. 축압용 가스 (N2)의 양 [㎥]을 구하시오.

   ▣ 축압용 가스(N2)의 양 [㎥] = 소화약제 저장량 [㎏] × 소화약제 1㎏당 소요가스량 [ℓ/㎏] = 801 ㎏ × 10 [ℓ/㎏]

                                                  = 8,010 ℓ = 8.01 ㎥

[해설] 분말 소화설비

가.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 저장량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나. 분말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 1 ㎥당 소요 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화약제 종별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 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4.5 ㎏/㎡
제 2 · 3종 분말
0.36 ㎏/㎥
2.7 ㎏/㎡
제4종 분말
0.24 ㎏/㎥
1.8 ㎏/㎡

다. 가압용 가스 또는 축압용 가스의 설치기준

구분
질소 (N2)
이산화탄소 (CO2)
가압용
40 ℓ / ㎏
20 g / ㎏ +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 이상
축압용
10 ℓ / ㎏

12. 화재시 분말소화설비를 작동시켰더니 넉다운(knock - down) 효과가 일어나지 않았다. 넉다운 (knock - down) 효과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 넉다운 (knock - down) 효과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5가지를 쓰시오. [6점] ★★

[답안작성]

  ① 넉다운(knock - down) 효과 :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특성 중 하나로서 소화약제 방사 후 10~20초 이내에 소화하는 것

  ② 이유

    ㉠ 분말소화약제의 적응성이 맞지 않을 때

    ㉡ 분말소화약제의 소화약제량이 부족할 경우

    ㉢ 열방출률이 높은 화재일 경우

    ㉣ 화재감지기의 작동이 늦어져 시스템의 작동이 늦어진 경우

    ㉤ 배관의 부속류 등을 설계와 다르게 시공하여 배관 내부에 소화약제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을 경우

[해설] 넉다운 (knock - down) 효과

가. 넉다운 (knock - down) 효과 : 분말소화약제의 소화특성 중 하나로서 소화약제 방사 후 10 ~ 20 초 이내에 소화하는 것

나. 넉다운 (knock - down) 효과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① 분말소화약제의 적응성이 맞지 않을 때

  ② 분말소화약제의 소화약제량이 부족할 경우

  ③ 열방출률이 높은 화재일 경우

  ④ 화재감지기의 작동이 늦어져 시스템의 작동이 늦어진 경우

  ⑤ 배관의 부속류 등을 설계와 다르게 시공하여 배관내부에 소화약제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을 경우

  ⑥ 설계시 개구부의 면적이 해당 방호구역의 실제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을 경우 (설계에 반영되지 않은 개구부 등)

  ⑦ 정압작동장치의 고장 및 작동지연으로 주밸브가 열리지 않거나 늦게 열린 경우

#분말소화설비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인산암모늄 #안전밸브 #가압식 #축압식 #충전비 #저장용기 #전역방출방식 #소화약제량 #소화설비 #방사헤드 #방호구역

#넉다운 #Knoc-down #정압작동장치 #클리닝밸브 #cleaning #봉판식 #기계식 #가스압력식

반응형
반응형
 

1.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의 구비조건 5가지를 쓰시오. [5점] ★★

  [답안작성]

   ① 소화성능    ② 독성    ③ 물성    ④ 안정성    ⑤ 경제성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구비조건

  ① 소화성능 : 기존 할론 소화약제와 유사

  ② 독성 : 설계농도는 NOAEL 이하

  ③ 물성 : 소화후에도 잔존물이 없고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며 냉각효과가 클 것

  ④ 안전성 : 저장시 분해되지 않고 저장용기를 부식시키지 않아야 할 것

  ⑤ 환경영향성 : ODP (오존파괴지수), GWP(지구온난화지수), ALT (대기권 잔존지수)가 낮아야 할 것

2.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의 배관과 배관, 배관과 배관부속 및 밸브류의 접속방법을 3가지만 쓰시오. [3점]

    ★★★★★

[답안작성]   ① 나사접합     ② 용접접합      ③ 플랜지 접합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배관 등의 접속방법

  ① 나사이음 (접합)    ② 용접이음(접합)    ③ 플랜지이음(접합)    ④ 압축이음 (접합)

3. 할로겐 화압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가. 다음 용어의 정의를 설명하시오.

   ①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②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나.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를 설치해서는 안되는 장소를 2가지를 쓰시오.

다.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중 최대 허용설계농도가 가장 높은 약제를 쓰시오.

라.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중 최대 허용설계농도가 가장 낮은 약제를 쓰시오.

마. 저장용기 재충전 또는 교체기준을 쓰시오.

   ①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②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답안작성]

 가. 용어의 정의

  ①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 불소(F), 염소 (Cl), 브롬 (Br) 또는 요오드 (I)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

                                                물을 기존 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②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또는 질소(N2)가스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 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나.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설치해서는 안되는 장소 2가지

   ① 사람이 상시 상주하는 곳으로서 최대허용설계농도를 초과하는 장소

   ② 제3류 위험물 및 제5류 위험물을 사용하는 장소 (소화성능이 인정되는 위험물은 제외)

 다.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중 최대 허용설계 농도가 가장 높은 약제 : FC - 3- 1 -10

 라.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중 최대 허용설계농도가 가장 낮은 약제 : FIC - 13I1

 마. 저장용기 재충전 또는 교체기준을 쓰시오.

   ①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5%를 초과하거나 압력손실이 10%를 초과할 경우

   ②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 저장용기의 압력손실이 5%를 초과할 경우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가. 용어의 정의 (NFSC 107 A 제3조)

  ①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 불소(F), 염소 (Cl), 브롬 (Br) 또는 요오드 (I)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

                                                물을 기존 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② 불화설기체 소화약제 :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또는 질소(N2)가스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 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

나.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의 설치제외 장소 (NFSC 107 A 제5조)

  ① 사람이 상시 상주하는 곳으로서 최대허용설계농도를 초과하는 장소

  ② 제3류 위험물 및 제5류 위험물을 사용하는 장소 (소화성능이 인정되는 위험물은 제외)

 

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최대 허용 설계농도 (NFSC 107 A 별표 2)

소화약제
최대허용 설계농도 [%]
FC-3-1-10
HCFC BLEND A
HCFC - 124
HFC - 125
HFC - 227 ea
HFC-23
HFC-236 fa
FIC - 12I1
FK-5-1-12
IG - 01
IG - 100
IG - 541
IG - 55
40
10
1.0
11.5
10.5
30
12.5
0.3
10
43
43
43
43

라.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저장용기의 적합기준 (NFSC 107 A 제6조)

  ① 저장용기의 충전밀도 및 충전압력은 별도의 기준에 따를 것

  ② 저장용기는 약제명, 저장용기의 자체 중량과 총중량, 충전일시 및 약제의 체적을 표시할 것

  ③ 집합관에 접속되는 저장용기는 동일한 내용적을 가진 것으로 충전량 및 충전압력이 같도록 할 것

  ④ 저장용기에 충전량 및 충전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하는 경우에는 해당 소화약제에 적합한 구조로 할 것

  ⑤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5%를 초과하거나 압력손실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할

       것. 다만,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경우에는 압력손실이 5%를 초과할 경우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하

       여야 한다.

4. 다음은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에서 소화약제의 저장용기의 적합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5점] ★★★★★

   저장용기의 ( ① )이 (② ) %를 초과하거나 ( ③ )이 (④ )%를 초과할 경우에는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할 것. 다만,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경우에는 ( ③ )이 (⑤) %를 초과할 경우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하여야 한다.

[답압작성]  ① 약제량 손실   ② 5      ③ 압력손실     ④ 10        ⑤ 5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저장용기의 적합기준 (NFSC 107 A 제6조)

  ① 저장용기의 충전밀도 및 충전압력은 별도의 기준에 따를 것

  ② 저장용기는 약제명, 저장용기의 자체 중량과 총중량, 충전일시 및 약제의 체적을 표시할 것

  ③ 집합관에 접속되는 저장용기는 동일한 내용적을 가진 것으로 충전량 및 충전압력이 같도록 할 것

  ④ 저장용기에 충전량 및 충전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하는 경우에는 해당 소화약제에 적합한 구조로 할 것

  ⑤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5%를 초과하거나 압력손실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할

       것. 다만,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경우에는 압력손실이 5%를 초과할 경우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하

       여야 한다.

5.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에 압력 배관용 탄소강관을 다음 조건과 같이 사용하려고 한다. 최대 허용압력

     [kPa]을 구하시오. [5점] ★★★★★

[조건]

  ① 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의 인장강도는 420 kPa, 항복점은 200 kPa이다.  

  ② 용접이음에 따른 허용값 [㎜]을 구하시오.

  ③ 배관이음 효율은 0.85 로 한다.

  ④ 배관의 최대 허용응력 (SE)은 배관재질 인장강도의 ¼값과 항복점의 ⅓ 값 중 적은 값 i)을 기준으로 다음 식을 적용한

       다.

       SE = σi × 배관이음효율 × 1.2

  ⑤ 적용되는 배관의 바깥지름은 112.3 ㎜이고 두께는 6.0 ㎜ 이다.

  ⑥ 방출헤드 설치부분은 제외한다.

[문제풀이]

         ⊙ SE : 적은 값 × 배관의 이음효율 × 1.2

         ⊙ 배관 재질 인장강도의 ¼값 : 420 × ¼ = 105 kPa

     ※ 배관의 이음 효율

        ㉠ 이음이 없는 배관 : 1

        ㉡ 전기저항 용접배관 : 0.85

        ㉢ 가열맞대기 이음 배관 : 0.6

      ⊙ 항복점의 ⅔ 값 : 200 × ⅔ = 133.333 [kPa]

      ⊙ SE = 105 × 0.85 × 1.2 = 107.1 kPa

[해설] 최대 허용 압력

   여기서, t : 관두께 [㎜]

               P : 최대 허용압력 [kPa]

               D : 배관의 바깥지름 [㎜]

               SE : 최대허용응력 [kPa] (배관 재질 인장강도의 ¼값과 항복점의 ⅔값 중 적은 값 × 배관이음 효율 × 1.2)

                A : 나사이음, 흠이음 등의 허용값 [㎜] (헤드설치 부분은 제외한다)

                  ⊙ 나사이음 : 나사의 높이

                  ⊙ 절단흠이음 : 흠의 깊이

                  ⊙ 용접이음 : 0

           ※ 배관의 이음 효율

              ㉠ 이음이 없는 배관 : 1

              ㉡ 전기저항 용접배관 : 0.85

              ㉢ 가열맞대기 이음 배관 : 0.6

6.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에 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을 다음 조건과 같이 사용하려고 한다. 최대 허용압력

     [MPa]을 구하시오. [5점] ★★★★★

[조건]

  ① 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의 인장강도는 420 [MPa], 항복점은 인장강도의 80% 이다.

  ② 용접이음에 따른 허용값 [㎜]은 무시한다.

  ③ 가열맞대기 용접배관을 한다.

  ④ 배관의 최대 허용응력 (SE)은 배관재질 인장강도의 ¼값과 항복점의 ⅔ 값 중 적은 값 i)을 기준으로 다음 식을 적용한

        다.

    SE = σi × 배관 이음 효율 × 1.2

  ⑤ 적용되는 배관의 바깥지름은 114.3 ㎜ 이고 두께는 6.0 ㎜ 이다.

  ⑥ 방출헤드 설치부분은 제외한다.

[문제풀이]

  ⊙ 배관재질 인장강도의 ¼값 : 420 × ¼ = 105 MPa

  ⊙ 항복점 : 420 × ⅔ = 224 MPa

  ⊙ SE = 적은 값 σi × 배관 이음 효율 × 1.2 =105 × 0.6 × 1.2 = 75.6 MPa

[해설] 최대 허용압력

     여기서, t : 관두께 [㎜]

                  P : 최대 허용압력 [kPa]

                  D : 배관의 바깥지름 [㎜]

                  SE : 최대허용응력 [kPa] (배관 재질 인장강도의 ¼값과 항복점의 ⅔값 중 적은 값 × 배관이음 효율 × 1.2)

                  A : 나사이음, 흠이음 등의 허용값 [㎜] (헤드설치 부분은 제외한다)

                   ⊙ 나사이음 : 나사의 높이

                   ⊙ 절단흠이음 : 흠의 깊이

                   ⊙ 용접이음 : 0

        ※ 배관의 이음 효율

            ㉠ 이음이 없는 배관 : 1

            ㉡ 전기저항 용접배관 : 0.85

            ㉢ 가열맞대기 이음 배관 : 0.6

7. 어느 소방대상물에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

     오. [7점] ★★★★★

[조건]

   ① 방출헤드 1개의 유량은 초당 29.4 ㎏ 이다.

   ② 노즐 방사압력에서의 방출률은 14.7 ㎏/s·㎠ 이다.

   ③ 분사헤드에 접속되는 배관의 구경은 65 A이다.

   ④ 배관의 인장강도는 420 MPa, 항복점은 200 MPa 이다.

   ⑤ 배관이음방법은 이음매 없는 배관이므로 나사이음, 흠이음 등의 허용값 [㎜]은 무시한다.

   ⑥ 적용되는 배관의 바깥지름은 114.3 ㎜ 이고, 두께는 6.0 ㎜ 이다.

   ⑦ 배관두께 계산시 방출헤드 설치부분은 제외한다.

가. 방출헤드 오리피스 구경 [㎜]을 구하여 다음 표에서 선정하시오.

오리피스구경
10 ㎜
15㎜
20
25
30
35
40

나. 배관의 최대허용압력 [MPa]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방출헤드 오리피스 구경 [㎜]

           ∴ 주어진 표에서 20 ㎜ 를 선정한다.

나. 배관의 최대 허용압력 [MPa]을 구하시오.

   ⊙ 배관의 재질 인장강도의 ¼ 값 : 420 × ¼ = 105 MPa

   ⊙ 항복점의 ⅔ 값 : 200 × ⅔ = 133.333 MPa

   ⊙ SE = σi × 배관 이음 효율 × 1.2 = 105 × 1 × 1.2 = 126 MPa

8.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

 가. 할로겐 화합물이 지구에 끼치는 영향 2가지를 쓰시오.

 나.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의 방사시간은 10초 이내에 95% 이상 방사해야 하는 이유를 간단히 쓰시오.

[답안작성]

  가. 할로겐 화합물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2가지

     ① 오존층 파괴            ② 지구 온난화

나.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의 방사시간을 10초 이내에 95%를 방사해야 하는 이유

   ▣ 소화약제 방사시 발생하는 독성물질을 감소시켜 실내의 인명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해설] 할로겐 화합물이 지구에 끼치는 영향,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방사시간

가. 오존층 파괴 메카니즘

  ① 지상에 방출된 CFC 또는 Halon 물질은 파괴되지 않고 오존층이 있는 성층권까지 상승한다.

  ② 태양으로 부터 강한 자외선을 받아 분해하여 Cl 또는 Br을 방출한다.

  ③ 오존(O3)과 염소(Cl) 또는 브롬(Br)이 반응하여 오존을 파괴한다.

      Cl + O3 = ClO + O2

      BrO + O = Br + O2

   ④ 계속 연쇄반응하여 오존층이 파괴된다.

나. 지구온난화 매카니즘

   ① CO2, CH4, Halon 등의 가스가 지구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해한다.

   ② 태양의 복사열은 지구 표면온도를 상승시키고 지구표면은 다시 적외선을 방사한다.

   ③ 이 적외선이 대기의 기체에 흡수되고 뜨거워진 기체는 다시 적외선을 방사하여 태양빛에 으해 상승된 온도보다

        더 뜨거워 진다.

   ④ 이것을 지구 온난화 현상이라고 하며, 지구 온난화 현상을 일으키는 대기중의 기체를 온실가스라고 한다.

9. 가로 15m, 세로 14m, 높이 3.5 m 인 전산실에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HFC-23과 IG-541 을 사용할 경우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조건]

  ① HFC - 23의 소화농도는 A,C급 화재는 38%, B급 화재는 35 %이다.

  ② HFC - 23의 저장용기는 68 ℓ 이며, 충전밀도는 720.8 ㎏/㎥ 이다.

  ③ IG - 541 의 소화농도는 33%이다.

  ④ IG - 541 의 저장용기는 80 ℓ 용 15.8 ㎥/병을 적용하며, 충전압력은 19.996 [MPa] 이다.

  ⑤ 소화약제량 산정시 선형상수를 이용하도록 하며 방사시 기준온도는 30 ℃ 이다.

소화약제
K1
K2
HFC - 23
0.3164
0.0012
IG - 541
0.65799
0.00239

  가. HFC - 23 의 저장량 [㎏]을 구하시오.

  나. HFC - 23 의 저장용기수를 구하시오.

  다. 배관구경 산정조건에 따라 HFC - 23 의 약제량 방사시 유량 [kg/s]을 구하시오.

  라. IG - 541 의 저장량 [㎥]을 구하시오.

  마. IG - 541 의 저장용기수를 구하시오.

  바. 배관구경산정조건에 따라 IG - 541 의 약제량 방사시 유량 [kg/s]을 구하시오.

[참고]

[문제풀이]

 가. HFC - 23 의 저장량 [㎏]을 구하시오.

   ⊙ 선형상수 S = K1 + K2 × t = 0.3164 + 0.0012 × 30 = 0.3524 [㎥/㎏]

   ⊙ 설계농도 C = 소화농도 × 안전율 = 38 × 1.2 = 45.6 %

나. HFC - 23 의 저장용기수를 구하시오.

  ▣ 1병당 저장량 G = 내용적 [㎥] × 충전밀도 [㎏/㎥] = 0.068 [㎥] × 720.8 [㎏/㎥]  = 49.014 ㎏

다. 배관구경 산정조건에 따라 HFC - 23의 약제량 방사시 유량 [㎏/s]을 구하시오.

   ▣ 최소 설계농도의 95%에 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량

라. IG-541의 저장량 [㎥]을 구하시오.

  ⊙ 선형상수 S = K1 + K2 × t = 0.65799+0.00239×30℃=0.72969 [㎥/㎏]

  ⊙ 비체적 Vs = 선형상수 = K1 + K2 × t = 0.65799+0.00239×30℃=0.72969 [㎥/㎏]

  ⊙ 설계농도 C = 소화농도 × 안전율 = 33 × 1.2 = 39.6 [%]

마. IG - 541 의 저장용기수를 구하시오.

바. 배관구경산정조건에 따라 IG - 541 의 약제방사시 유량 [㎥/s]을 구하시오.

   ▣ 최소 설계농도의 95 %에 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량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HFC - 23 :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 IG - 541 :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가. 소화약제의 저장량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여기서, W : 소화약제의 무게 [㎏]

                  V : 방호구역의 체적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K2 × t)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t : 방호구역의 최소예상온도 [℃]

   ※ C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설계농도 C [%] = 소화농도 [%] × 안전계수 (A·C급 화재 : 1.2 , B급 화재 : 1.3 )

 

나. 저장용기수

   ① 저장용기수 = 소화약제 저장량 [㎏] / 1병당 충전량 [㎏]

   ② 충전량 [㎏] = 내용적 [㎥] × 충전밀도 [㎏/㎥]

   ③ 소화약제 방사시 유량

※ NFSC 107 A 제10조

   배관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할로겐화합물소화약제는 10초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는 A·C급 화재 : 2분, B급 화재 : 1분)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설계농도의 95% 이상에 해당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할 것

 

다. 소화약제 저장량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소화약제)

         여기서, X : 공간체적당 더해진 소화약제의 부피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K2 ×t) [㎥/㎏]

                      Vs : 20 ℃ 에서 소화약제의 비체적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농도 [%]

                       t : 방호구역 최소예상온도 [℃]

10. 가로 14m, 세로 15m, 높이 3.5 m인 전산실에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IG-541을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① IG - 541 의 소화농도는 33% 이다.

  ② IG - 541 의 저장용기는 80 ℓ, 충전압력은 20,000 kPa이다.

  ③ 선형상수를 이용하도록 하며 방사시 기준온도는 20 ℃ 이다.

소화약제
K1
K2
IG - 541
0.65799
0.00239

  가. IG - 541 의 약제량 [㎥]을 구하시오. (단, 20 ℃ 에서의 비체적은 선형상수이다.)

  나. IG - 541 의 최소 저장용기수를 구하시오.

  다. IG - 541 의 배관구경 산정시 기준이 되는 약제량 방사시 유량 [㎥/s]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IG - 541 의 약제량 [㎥]을 구하시오.

   ⊙ 선형상수 S = K1 + K2 × t = 0.65799 + 0.00239 × 20 ℃ = 0.70579 [㎥/㎏]

   ⊙ 비체적 = 선형상수 = K1 + K2 × t = 0.65799 + 0.00239 × 20 = 0.70579 [㎥/㎏]

   ⊙ 설계농도 C = 소화농도 × 안전율 = 33 × 1.2 = 39.6 [%]

 나. IG - 541 의 최소 저장용기수를 산정하시오.

다. IG - 541 의 배관 구경 산정시 기준이 되는 약제량 방사시 유량 [㎥/s]을 구하시오.

   ▣ 최소 설계농도의 95%에 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량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가. 소화약제의 저장량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여기서, X : 공간체적당 더해진 소화약제의 부피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 + K2 × t) [㎥/㎏]

                    Vs : 20 ℃ 에서 소화약제의 비체적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t : 방호구역의 최소 예상온도 [℃]

                     V : 방호구역의 체적 [㎥]

나. 저장용기수

다. 충전량

라. 약제방사시 유량

※ NFSC 107 A 제10조

   배관의 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는 10초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는 A·C급 화재 : 2분, B급 화재 : 1

    분)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에 해당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할 것

          여기서, X : 공간체적당 더해진 소화약제의 부피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 + K2 × t) [㎥/㎏]

                      Vs : 20 ℃ 에서 소화약제의 비체적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t : 방호구역의 최소 예상온도 [℃]

                      V : 방호구역의 체적 [㎥]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농도 C

         ▣ 설계농도 C = 소화농ㄷ도 [%] × 안전계수 (A·C급 화재 : 1.2, B급 화재 : 1.3)

11.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기실의 크기가 15m × 20m × 5m 이다. 이곳에 다음의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

      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다음 조건과 국가 화재안전기준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

[조건]

   ① 방호구역의 온도는 상온 20 ℃ 이다.

   ② HCFC BLEND A 용기는 68 ℓ dyd 58 ㎏, IG - 541 용기는 80 ℓ 용 12.4 ㎥을 적용한다.

   ③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소화 농도

약 제
상품명
소화농도 [%]
A급 화재
B급 화재
HCFC BLEND A
NAFS -
7.2
10
IG - 541
Inergen
31.25
31.25

④ K1 과 K2

약제
K1
K2
HCFC BLEND A
0.2413
0.00088
IG - 541
0.65799
0.00239

 가. HCFC BLEND A 의 최소 약제량 [㎏]을 구하시오.

 나. HCFC BLEND A 의 최소 약제 용기는 몇 병인지 구하시오.

 다. IG-541 의 최소 약제량 [㎥]을 구하시오. (단, 20 ℃ 의 비체적은 선형상수와 같다.)

 라. IG-541 의 최소 약제용기는 몇 병인지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HCFC BLEND A 의 최소 약제량 [㎏]

  ⊙ 선형상수 S = = K1 + K2 × t = 0.2413 + 0.00088 × 20 ℃ = 0.2589 [㎥/㎏]

  ⊙ 설계농도 C = 소화농도 × 안전계수 = 10 × 1.3 = 13 %

 나. HCFC BLEND A 의 최소 약제용기는 몇 병인가 ?

 다. IG-541 의 최소 약제량 [㎥]을 구하시오. (단, 20 ℃ 의 비체적은 선형상수와 같다.)

   ⊙ 선형상수 S = K1 + K2 × t = 0.65799 + 0.00239 × 20 ℃ = 0.70579 [㎥/㎏]

   ⊙ 비체적 = 선형상수 = K1 + K2 × t = 0.65799 + 0.00239 × 20 = 0.70579 [㎥/㎏]

   ⊙ 설계농도 C = 소화농도 × 안전율 = 31.25 × 1.3 = 40.625 [%]

라. IG-541 의 최소 약제용기는 몇 병인지 구하시오.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HCFC BLEND A :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IG - 541 :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가. 소화약제 저장량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여기서, W : 소화약제의 무게 [㎏]

                       V : 방호구역의 체적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K2 × t)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t : 방호구역의 최소예상온도 [℃]

       ※ C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설계농도 C [%] = 소화농도 [%] × 안전계수 (A·C급 화재 : 1.2 , B급 화재 : 1.3 )

나. 저장용기수

다. 소화약제 저장량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여기서, X : 공간체적당 더해진 소화약제의 부피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 + K2 × t) [㎥/㎏]

                        Vs : 20 ℃ 에서 소화약제의 비체적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t : 방호구역의 최소 예상온도 [℃]

                        V : 방호구역의 체적 [㎥]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농도 C

            ▣ 설계농도 C = 소화농ㄷ도 [%] × 안전계수 (A·C급 화재 : 1.2, B급 화재 : 1.3)

라. 저장용기수

12.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기실의 크기가 15m × 20m × 5m 이다. 이곳에 다음의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

       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다음 조건과 국가화재안전기준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

[조건]

  ① 방호구역의 온도는 상온 20 ℃ 이다.

  ② HCFC BLEND A 용기는 68 ℓ 용 58 ㎏, IG -541 용기는 80ℓ 용 12.4 ㎥을 적용한다.

  ③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설계농도

약 제
상품명
설계농도 [%]
A급 화재
B급 화재
HCFC BLEND A
NAFS -
9.36
13
IG - 541
Inergen
40.62
40.62

 ④ K1 과 K2

약제
K1
K2
HCFC BLEND A
0.2413
0.00088
IG - 541
0.65799
0.00239

  가. HCFC BLEND A 의 최소 약제량 [㎏]을 구하시오.

  나. HCFC BLEND A 의 최소 약제 용기는 몇 병인지 구하시오.

  다. IG-541 의 최소 약제량 [㎥]을 구하시오. (단, 20 ℃ 의 비체적은 선형상수와 같다.)

  라. IG-541 의 최소 약제용기는 몇 병인지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HCFC BLEND A 의 최소 약제량 [㎏]

   ⊙ 선형상수 S = = K1 + K2 × t = 0.2413 + 0.00088 × 20 ℃ = 0.2589 [㎥/㎏]

   ⊙ 설계농도 C = 13 %

 나. HCFC BLEND A 의 최소 약제용기는 몇 병인가 ?

다. IG-541 의 최소 약제량 [㎥]을 구하시오. (단, 20 ℃ 의 비체적은 선형상수와 같다.)

   ⊙ 선형상수 S = K1 + K2 × t = 0.65799 + 0.00239 × 20 ℃ = 0.70579 [㎥/㎏]

   ⊙ 비체적 = 선형상수 = K1 + K2 × t = 0.65799 + 0.00239 × 20 = 0.70579 [㎥/㎏]

   ⊙ 설계농도 C = 40.62 [%]

라. IG-541 의 최소 약제용기는 몇 병인지 구하시오.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11번 문제 해설 참조

13. 가로 15m, 세로 10m, 높이 4.5m인 전산실에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IG-541 을 사용할 경우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5점] ★★★★★

[조건]

  ① IG - 541 의 소화농도는 33% 이다.

  ② IG - 541 의 저장용기는 80 ℓ 용 12.5 ㎥/병을 적용하며 충전압력은 15.832 MPa이다.

  ③ 소화약제 산정시 선형상수를 이용하도록 하며 기준 온도는 30 ℃ 이다.

소화약제
K1
K2
IG - 541
0.65799
0.00239

  가.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농도를 구하시오.

  나. IG - 541 의 저장량 [㎥]을 구하시오.

  다. IG - 541 의 저장용기수를 구하시오.

  라. 배관의 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는 A·C급 화재는 ( ① )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 설계농

        도의 ( ② ) % 이상에 해당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문제풀이]

 가.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농도를 구하시오.

    ▣ 설계농도 C = 소화농도 [%] × 안전계수 (A·C급 화재 : 1.2, B급 화재 : 1.3) = 33 % × 1.2 = 39.6 %

 나. IG - 541 의 저장량 [㎥]을 구하시오.

   ⊙ 선형상수 S = K1 + K2 × t = 0.65799 + 0.00239 × 30 ℃ = 0.72969 [㎥/㎏]

   ⊙ 비체적 = 선형상수 = K1 + K2 × t = 0.65799 + 0.00239 × 30 = 0.72969 [㎥/㎏]

   ⊙ 설계농도 C = 소화농도 × 안전계수 = 33% × 1.2 = 39.6 %

다. IG - 541 의 저장용기수를 구하시오.

라. 배관의 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는 A·C급 화재는 ( ① 2 )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 설계

      농도의 ( ② 95 ) % 이상에 해당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IG - 541 :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가.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C)

      ▣ 설계농도 C = 소화농도 [%] × 안전계수 (A·C급 화재 : 1.2, B급 화재 : 1.3)

 

나. 소화약제 저장량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여기서, X : 공간체적당 더해진 소화약제의 부피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 + K2 × t) [㎥/㎏]

                      Vs : 20 ℃ 에서 소화약제의 비체적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t : 방호구역의 최소 예상온도 [℃]

                       V : 방호구역의 체적 [㎥]

다. 저장용기수

라. 배관

   ▣ 배관의 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는 10초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는 A·C급 화재 : 2분, B급 화재

        : 1분) 이내네 방호구역의 각 부분에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에 해당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할 것

14. 할로겐 화합물 FK - 5- 1- 12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설계

      농도 12%, 선형상수 K1=0.0664, K2 = 0.0002741, 방호구역의 주위온도는 21℃, 방호구역의 체적은 8m × 10m × 4m,

      용기는 80 ℓ, 충전밀도는 1,141 ㎏/㎥ 일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5점] ★★★★★

  가. 소화약제량 [㎏]을 구하시오.

  나. 약제 병수를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소화약제량 [㎏]을 구하시오.

   ⊙ 선형상수 S = = K1 + K2 × t = 0.0664 + 0.000271 × 21 ℃ = 0.0721 [㎥/㎏]

   ⊙ 설계농도 C = 13 %

 나. 약제병수

   ▣ 1병당 약제 충전량 ㎏ = 저장용기 내용적 [㎥] × 충전밀도 [㎏/㎥]  = 0.08 [㎥] × 1,141 [㎏/㎥] =91.28 ㎏

[해설]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FK - 5 -1- 12 :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가. 소화약제의 저장량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여기서, W : 소화약제의 무게 [㎏]

                        V : 방호구역의 체적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K1+K2 × t) [㎥/㎏]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t : 방호구역의 최소예상온도 [℃]

        ※ C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설계농도 C [%] = 소화농도 [%] × 안전계수 (A·C급 화재 : 1.2 , B급 화재 : 1.3 )

나. 약제 병수

  ① 약제 병수

  ② 1병당 충전량 [㎏]

      ▣ 1병당 충전량 [㎏] = 저장용기 체적 [㎥] × 충전밀도 [㎏/㎥]

#할로겐화합물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소화약제 #선형상수 #소화농도 #설계농도 #방호구역 #충전량 #안전계수 #위험물 #허용설계농도 #헬륨 #네온 #원소 #나사이음 #용접이음 #플랜지이음 #배관이음효율 #항복점 #인장강도 #지구온난화 #매카니즘 #비체적

반응형
반응형

1. 다음 도면은 어느 소방대상물의 전기실(A실), 발전기실 (B실), 방재실(C실), 밧데리실 (D실)을 방호하기 위한 할론 1301

     의 평면도이다. 그림 및 조건을 참조하여 할론 1301 소화약제의 최소 용기 개수를 구하시오. [12점] ★★★★★

 

[조건]

  ① 약제저장용기방식은 고압식이다.

  ② 소화약제 충전량은 50 ㎏ 이고 용기 내용적은 68 ℓ 이다.

  ③ 도면상 각 실에 대한 배관 내용적 (용기실 내의 입상관 포함)은 다음과 같다.

A실 배관 내용적 : 198 ℓ
B실 배관 내용적 : 78 ℓ
C실 배관 내용적 : 28 ℓ
D실 배관 내용적 : 10 ℓ

  ④ A실에 대한 할론 집합관의 배관 내용적은 88 ℓ 이다.

  ⑤ 할론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집합관 사이의 연결관에 대한 내용적은 무시한다.

  ⑥ 설비는 설계기준 온도는 20 ℃ 이다.

  ⑦ 액화 할론 1301의 비중은 20 ℃ 에서 1.6 이다.

  ⑧ 각 실의 개구부는 없다고 가정한다.

  ⑨ 약제 소요량 산출시 각 실의 내부 기둥 및 내용물은 무시한다.

  ⑩ 각 실의 층고 (바닥으로 부터 천장까지의 높이)는 각각 다음과 같다.

A실 및 B실 : 5m
C실 및 D실 : 3 m

  ⑪ 배관 내용적에 대한 계산과정을 상세히 명시하시오.

가. A실      나. B실           다. C실          라. D실

마. 저장용기실에 설치하여야 할 최소 소요병수는 ?

[문제풀이]

  ▣ 할론 1301 소화약제의 최소 용기개수를 구하시오.

가. A실

  ⊙ 소화약제 저장량 [㎏] = [(30m × 30m - 15m × 15m) × 5m] × 0.32 ㎏/㎥ = 1,080 ㎏

  ⊙ 배관 내용적 = 198 ℓ + 88 ℓ = 286 ℓ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50 ㎏ × 22병 × 0.625 ℓ/㎏ = 687.5 ℓ

  ⊙ 별도 독립방식 여부 = 배관의 내용적 ℓ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286 ℓ / 687.5 ℓ  = 0.416 배 (별도 독립방식 불필요)

     ∴ A실이 저장용기수 : 22병

나. B실

  ⊙ 소화약제 저장량 [㎏] = (15m × 15m × 5m) × 0.32 ㎏/㎥ = 360 ㎏

  ⊙ 배관 내용적 = 78 ℓ + 88 ℓ = 166 ℓ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50 ㎏ × 8병 × 0.625 ℓ/㎏ = 250 ℓ

  ⊙ 별도 독립방식 여부 = 배관의 내용적 ℓ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166 ℓ / 250 ℓ  = 0.664 배 (별도 독립방식 불필요)

      ∴ B실이 저장용기수 : 8병

다. C실

  ⊙ 소화약제 저장량 [㎏] = (10m × 15m × 3m) × 0.32 ㎏/㎥ = 144 ㎏

  ⊙ 배관 내용적 = 28 ℓ + 88 ℓ = 116 ℓ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50 ㎏ × 3병 × 0.625 ℓ/㎏ = 93.75 ℓ

  ⊙ 별도 독립방식 여부 = 배관의 내용적 ℓ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116 ℓ / 93.75 ℓ = 1.237 배 (별도 독립방식 불필요)

      ∴ C실이 저장용기수 : 3병

라. D실

  ⊙ 소화약제 저장량 [㎏] = (10m × 5m × 3m) × 0.32 ㎏/㎥ = 48 ㎏

  ⊙ 배관 내용적 = 10 ℓ + 88 ℓ = 98 ℓ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50 ㎏ × 1병 × 0.625 ℓ/㎏ = 31.25 ℓ

  ⊙ 별도 독립방식 여부 = 배관의 내용적 ℓ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98 ℓ / 31.25 ℓ  = 3.136 배 (별도 독립방식으로 설치하

         여야 한다.)

      ∴ D실이 저장용기수 : 1병

 마. 저장용기실에 설치해야 할 최소 용기 개수

   ▣ 최소 소용병수 = 22병 + 1병 = 23병

[해설] 할론 소화설비의 저장용기수

가. 저장용기수

나. 할론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 소화약제 저장량 = 방호구역체적 [㎥] × 소요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할론 1301 소화설비의 체적 1 ㎥ 당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방대상물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
적용)
차고, 주차장, 전기실, 통신기기실, 합성수지류
0.32 ㎏/㎥
2.4 ㎏/㎡
사류, 면화류, 볏짚류, 목재가공품, 대팻밥, 나무 부스러기 등
0.52 ㎏/㎥
3.9 ㎏/㎡

다. 충전비

           여기서, C : 충전비 [ℓ/㎏], V : 내용적 [ℓ], G : 1병당 충전량 [㎏]

라.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 = 충전량 [㎏] × 병수 × 비체적 [㎥/㎏]

마. 비체적

         여기서, Vs : 비체적 [㎥/㎏], ρ : 밀도 [㎏/㎥]

바. 비중

         여기서, S : 비중, ρ : t [℃] 의 물질의 밀도 [㎏/㎥]

                      ρw : 물의 밀도 (1,000 ㎏/㎥, 1,000 N·s2/m4)

[참고] NFSC 107 제4조 ⑥

  ▣ 하나의 구역을 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소화약제량의 체적 합계 보다 그 소화약제 방출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

       (집합관 포함)의 내용적이 1.5배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 독립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 저장용기실에 설치하여야 하는 저장용기수는 각 방호구역의 저장용기수 중 가장 많은 것을 적용한다. 하지만, 위의 규정

     에 의하여 별도 독립방식으로 할 경우 각 방호구역 중 가장 많은 저장용기수 + 별도 독립방식의 저장용기수를 하여야

     하므로 배관의 내용적, 소화약제량 체적 합계를 구하여 별도 독립방식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2. 어느 방호공간에 할론 1301 소화설비를 설치하였다. 조건을 참조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조건]

  ① 약제 소요량은 500 ㎏ 이다.

  ② 전역방출방식이다.

  ③ 헤드의 방사율은 1.3 ㎏/sec·㎠ 이다.

  ④ 설치된 헤드의 수는 14개 이다.

가. 헤드 1개의 방출유량 [㎏/sec]은 얼마인가 ?

나. 헤드의 등가분구 면적 [㎠]은 얼마인가 ?

다. 헤드의 직경 [㎝]은 얼마인가 ?

[문제풀이]

가. 헤드 1개의 방출유량 [㎏/sec]은 ?

나. 헤드의 등가 분구 면적 [㎠]

다. 헤드의 직경 [㎝]는 ?

3. 어떤 방호대상물에 다음 조건에 따라 할론 소화설비를 설계하려고 할 때 다음의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

[조건]

  ① 약제소요량 120 ㎏ (출입구에 자동폐쇄장치 설치)

  ② 초기 압력 강하 1.6 MPa

  ③ 고저에 의한 압력 손실 0.04 MPa

  ④ A, B간의 마찰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 0.04MPa

  ⑤ B-C, B-D 간의 각 압력손실 0.02 MPa

  ⑥ 약제 저장압력 4.2 MPa

  ⑦ 작동 30초 이내에 약제 전량이 방출

 

가. 소화설비가 작동하였을 때 A-B간의 배관 내를 흐르는 유량 [㎏/s]은 얼마인가 ?

나. B-C간 약제의 유량 [㎏/s]은 얼마인가 ? (단, B-D간의 유량과 같다.)

다. C점 노즐에0서 방출되는 약제의 압력 [MPa]은 얼마인가 ? (단, D점의 방사압력과 같다.)

라. C점 노즐에서의 방출량이 2.5 ㎏/s·㎠ 일 때 헤드의 등가 분구 면적 [㎠]은 얼마인가 ?

[문제풀이]

가. A-B간의 유량 [㎏/s]

나. B-C간의 약제 유량 [㎏/s]

      B-C간의 약제 유량 = (4kg/s) ÷ 2 = 2[㎏/s]

다. C점 노즐에서 방출되는 약제의 압력 [MPa]

    ▣ C점 노즐의 압력 = 4.2 MPa - 1.6 Mpa - 0.04 MPa - 0.04MPa - 0.02MPa = 2.5 MPa

라. C점 노즐에서의 방출량이 2.5 ㎏/s·㎠ 일 때 헤드의 등가 분구 면적은 ?

4. 할론 1301 소화설비에 있어서 분사헤드 1개의 유량이 초당 29.4 N이다. 노즐 방사압력에서의 방출률을 14.7 N/s·㎠라고

    할 때, 분사헤드의 오리피스 구경 [㎝]을 구하시오. (단, 분사헤드에 접속되는 배관의 구경은 32 ㎜ 이며, 분사헤드의 오리

    피스 구멍은 2개 이다.) [4점] ★★★★

[문제풀이]

5. 가스계 소화설비의 쇼킹 타임 (Soaking time)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5점] ★★

  [답안] 가스계 소화설비에서 소화약제 방출시 설계농도에 도달한 후 재발화가 일어나지 않는 완전소화 달성에 필요한

            시간

[해설] Soaking Time (설계농도 유지시간)

 

가. 설계농도 유지시간 (Soaking Time)

  ▣ 가스계 소화설비에서 소화약제 방출시 설계농도에 도달한 후 재발화가 일어나지 않는 완전소화 달성에 필요한 시간

나. Soaking Time이 필요한 이유

 ① A급 심부화재

   ㉠ 표면화재 : 연쇄반응 억제에 의한 빠른 소화가 필요

   ㉡ 심부화재 : 질식 및 냉각에 의한 소화가 필요

 ② 가연성, 인화성 액체 위험물

   ㉠ 인화점 이하의 냉각이 필요

   ㉡ 표면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재점화, 재착화가 발생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Soaking Time 필요

      ※ 할론 (전역방출방식) : 보통 10분 정도의 시간

#할론 #소화설비 #속킹타임 #soaking #설계농도 #방출압력 #심부화재 #표면화재

#할론1301 #할론1211 #할론2402 #별도독립방식 #소화약제 #방출률 #방사률

#방재실 #내용적 #비체적 #밀도 #비중 #개구부가산량 #방호공간 #체적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