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측정의 종류

가. 직접 측정법 (비교 측정)

  ▣ 계기로 측정하고자 하는 양을 같은 종류의 기준량과 직접 비교하여 그 양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

    ① 영위법 : 여러가지 크기의 측정기준량을 갖추고 그 어느 것과 측정량의 크기가 일치하도록 기준의 크기를 조정하면서

                       양자가 일치한 것을 검지하여 그 때의 기준의 크기에서 측정값을 구하는 방법이다. 편위법 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나 정밀도가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② 편위법 : 지시계기의 흔들림 읽기를 취하는 측정법

 

나. 간접측정법 (절대측정)

    ▣ 피측정량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 몇 개의 서로 독립된 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로 부터 계산에 의하여

        피측정량을 구하는 방법

 

다. 교류 전력의 측정

  ▣ #전력#측정 방법은 단상 전력과 3상 전력에 따라 측정방법이 나뉘어 집니다.

     단상전력의 측정은 3전압계법과 3전류계법으로 측정을 하고 3상의 측정방법은 2전력계법과 P = √3VI 에 의하여

     측정을 하게 됩니다.

     전력의 측정방법 : - 단상 : #3전압계법

                                               3전류계법

                                  - 3상 : #2전력계법

                                             P = √3 VI

2. 3전압계법

  ▣ 3전압계법은 1개의 저항과 3개의 #전압계 를 이용하여 역률과 소비전력을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실무에서는 1개의

      전압계를 이용하여도 문제는 없지만 전압계에서 작용 하는 오차율을 줄이고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3개의 전압계를 이용합니다)

 

전압계를 이용하여 a-c, a-b, b-c간의 전압을 측정하여 전력과 #역률 을 구합니다.

여기서 V1 = V2+V3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V1, V2, V3값은 벡터이며 위 식은 #벡터 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위 식을 페이저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전압 V1의 스칼라 값을 구하는 계산은 두가지가 있다. 벡터의 합 산정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제2코사인 법칙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벡터의 합 공식을 이용하여 전압 V1을 구해 보자.

#코사인 제2법칙을 이용하여 V1을 구해 보자.

코사인 제2법칙은 삼각형의 변 2개 V2, V3와 사잇각 (θ)을 이용하여 V1을 구할 수 있다.

 

이제 소비전력을 구해 보자. 여기서 소비전력은 부하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소비전력을 산정하는 전압은 당연히 부하에 걸리는 전압 V3를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따라서 소비전력은 부하전압 V3와 전류 I, 그리고 역률의 곱으로 구할 수 있죠...

즉 소비전력 P = 전압 (V) × 전류(I) × 역률입니다. 그런데 전류는 V=I·R에서 I = V^2/R로 구할 수 있습니다.

물론 I = V3 / Z3 로 구할 수 있지만 폐회로에서 흐르는 전류는 같기 때문에 편의상 R은 저항값을 사전에 알고 있는 저항을 전력의 측정을 위해 다는 것이므로 전류는 I = V2/R로 구하게 됩니다.

이제 전력을 구하는 요소를 모두 구하였으니 소비전력을 구할 수 있게 됐습니다.

 

3. 3전류계법

▣ 3전류계법은 1개의 저항과 3개의 전류계를 이용하여 역률과 소비전력을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실무에서는 1개의 전류

    를 이용하여도 문제는 없지만 전류계의 오차율을 줄이고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3개의 전류계를 이용합니다)

▣ 3전류계법은 3전압계법과 달리 저항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하에 병렬로 연결하고 3개의 #전류계 를 통해 전체 #전류 I1,

     저항에 흐르는 전류 I2, 부하에 흐르는 전류 I3측정하여 역률과 #소비전력 을 파악하게 됩니다.

 

전류계로 I1, I2, I3를 측정한 후 I1= I2+I​3는 벡터합이란 것을 이용하여 부하의 역률을 구하게 됩니다. 여기서 저항을

부하에 병렬로 연결한 것은 부하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같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저항을 통해 V를

구할 수 있습니다.

I1I1= I2+I3는 벡터합을 이용하여 구해 봅시다. 아래 페이저도를 보면 구해 봅시다.

I2, I3 의 위상차가 역률(cosθ)이므로 제2 코사인법칙에 따라 역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제 소비전력을 구해 보자. 여기서 소비전력은 부하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소비전력을 산정하는 전류는 당연히 부하에 흐르는 전류 I3를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따라서 소비전력은 부하전류 I3와 전압 V, 그리고 역률의 곱으로 구할 수 있죠...

즉 소비전력 P = 전압 (V) × 전류(I) × 역률입니다. 그런데 전압은 V=I·R에서 V = I2 · R로 구할 수 있습니다.

물론 V = I3 · Z 로 구할 수 있지만 폐회로에서 부하와 저항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걸리는 전압은 같기 때문에

편의상 R은 저항값을 사전에 알고 있는 저항을 전력의 측정을 위해 다는 것이므로 전압은 V = I2 · R 로 구하게 됩니다.

이제 전력을 구하는 요소를 모두 구하였으니 소비전력을 구할 수 있게 됐습니다.

부하에 걸리는 소비전력은 P = V · I3 cos θ 로 구할 수 있습니다. ​

 

4. 2전력계법

  ▣ #2전력계법 은 3전압계법, 3전류계법과 달리 2개의 전력계를 이용하여 3상 전력을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즉, 2개의 #전력계 를 설치하여 부하에 걸리는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과 역률을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 그럼 어떻게 2개의 전력계로 3상의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역률을 구하는지 알아 보자.

  ⊙ 우선 a상에 흐르는 전류를 Ia라고 하고 a상과 b상간의 전압을 Vab라고 c상에 흐르는 전류를 Ic라 하고 c상과 b상에

       걸리는 전압을 Vcb라 하면 이들 전압, 전류의 벡터도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제 위의 벡터도를 이용하여 전력계 W1과 W2의 검측량으로 유효전력 P, #무효전력 Pr, 피상전력 Pa, 역률 cosθ를 구하는 산식을 알아보자.

먼저 2대의 전력량계에 검측되는 전력량은 다음과 같다.

W1 = Vab · Ia cos φa

W2 = Vcb · Ic cos φc 여기서 φa, φc 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이다.

※ 참고로 다음의 코사인법칙을 알아 두자.

cos ( α ± β) = cos α · cos β -+ sin α · sin β

위 페이저도를 보면 위식을 아래와 같이 바꾸어 쓸 수 있다.

W1 = Vab · Ia cos φa = V · I cos (30˚+Θ) = V · I [cos30˚ · cosΘ - sin30˚ · sinΘ]

W2 = Vcb · Ic cos φc = V · I cos (30˚-Θ) = V · I [cos30˚ · cosΘ + sin30˚ · sinΘ]

위식을 이용하여 이제 본격적으로

#유효전력 을 알아보자.

 

#무효전력 에 대해 알아보자.

 

③ 피상전력에 대하여 알아 보자.

  ▣ #피상전력 의 크기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크기의 벡터합이다.

 

④ 역률이란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율이다. 즉, 전력전력(피상전력)중에서 실제 일에 기여한 전력의 비율을

      말한다.

 

역률을 구할 때 전압과 전류가 주어지지 않거나 2전력계법으로 구하라고 하는 경우에 2전력계법으로 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피상전력을 √3VI 로 구한다. 왜냐하면 피상전력은 2전력계법으로 구하는 것보다 √3VI 로 구하는 것이 더 정확

하기 때문이다.

5. 측정계기의 구성요소

가. 지시 계기의 3대 요소

  ▣ 지시계기 (Indicating Instrument)는 측정하려는 전기량인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을 지침 등으로 직접 눈금판에

       지시함으로써 그 값을 읽을 수 있다.

  ▣ 이 지시 계기는 측정이 간편하고 취급이 쉬우며 구조가 간단하며 수명이 길고 가격이 싸서 공급 계측용에 많이

       사용된다.

  ▣ 지시계기는 고정부분과 가동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계기의 기능상으로 보면 구동장치, 제어장치, 제동장치로 되어 있는

       데 이를 지시계기의 3대 요소라 한다.

   (1) #구동장치 (Driving device)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기량에 비례하는 구동력 (Driving force) 또는 구동 토크 (Driving

        toque)를 발생하여 가동체 (Moving part)를 변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2) #제어장치 (Controlling device)는 구동 장치에 전기를 가하여 구동토크가 발생되어 가동부가 이동되었을 때,

        이에 반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제어력(Controlling force) 또는 제어 토크 (Contolling torque)를 발생시키는 장치

        이다. 제어 장치에는 스프링 제어 (Spring control), 중력제어 (Gravity control), 전기적 제어 (Electrical contro), 자기적

        제어(Megnetic control), 맴돌이 전류 제어 (Eddy current control) 등이 있다.

   (3) #제동장치 (Damping device)는 구동력과 제동력이 평형될 때 지침은 좌우로 잠시 진동하다가 정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가동체에 적당한 제동력 (Damping force) 또는 제동토크 (Damping torque)를 가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동

        장치로서는 공기제동 (Air damping), 액체 제동 (Liquid damping), 맴돌이 전류 제동 (Eddy current damping)이 있다.

6. 지시계기의 분류

가. 계기의 정확도에 의한 분류

  ▣ 계기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서 계기의 정확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데 우리나라 산업규격에 따르면 지시

       계기는 그 정확도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5계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계기의
계 급
허용오차
(정격값에 대한 비율 [%])
주 요 용 도
0.2급
± 0.2
초정밀급으로 실험실 및 검정실에 설치한다. 정밀실험 및 교정의 표준
(부표준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확도를 가지며, 가장 정확도가 높다.
0.5급
± 0.5
정밀급으로 정밀 측정에 사용할 수 있는 정확도를 가지는 계기이다.
1.0급
± 1.0
준정밀급으로 1.0급에 준하는 정확도를 가기즌 계기, 소형 휴대용 계기 및
대형 배전반용 계기
1.5급
± 1.5
보통급으로 공업용의 보통 측정에 사용할 수 있는 정확도를 가지는 계기,
배전반용 계기
2.5급
± 2.5
준보통급으로 정확도를 중요시하지 않는 측정에 사용하는 계기, 소형 배전
반용 계기

나. 계기의 동작 원리에 의한 분류

  ▣ 전기 계기를 동작원리에 따라 분류하면 아래 표와 같다. 직류 및 교류에 따라 계기의 동작원리와 구조가 달라진다.

    [지시 계기의 동작원리에 의한 분류]

 

7. 가동 #코일형 계기

  ▣ 영구자석이 만드는 자기장 내에 가동 코일을 놓고, 가동 코일에 측정할 전류를 흘리면 이 전류와 자기장 사이에 전자력

       이 발생한다. 이 전자력을 구동 토크로 한 계기를 영구자석 가동 코일형 계기 (Permanent magnet moving-coil type

        instrument, PMMC)라 하며, 지시 계기 중에서 감도나 정도가 가장 좋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동작 원리상으로는 직류 전용이지만, 이 계기에 정류기나 열전쌍을 조합하여 교류용으로도 이용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직류 전류계는 대부분 가동 코일형인데, 이것은 감도가 좋아서 마이크로 암페어 정도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전류의 방향에 의해서 바늘의 이동 방향이 일정하므로 직류 전류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구조는 N, S의 영구 자석에 의한 강력한 자기장 중에 마찰력이 작은 축에 가동 코일(Moving coil)이 감겨져 있는데,

       가동 코일에 직류 전류를 흘리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전자력이 발생되어 가동코일이 회전하게 된다.

  ▣ 가동코일의 상하에는 제어 스프링 (전류를 통하는 리드선을 말한다)이 있으며 이들은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어서 가동

       코일을 일정한 위치에 있게 한다. 이 때 가동 코일이 회전하면 스프링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므로 원래 위치로 돌아

       오려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코일은 회전력과 되돌아 오려는 힘이 균형된 위치에 멈추게 된다. 회전력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기 때문에 회전 위치 (각도)로써 전류의 크기를 알 수 있다.

8. 가동 #철편형 계기

  ▣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한다. 이 자기장 중에 한 쌍의 철편인 고정 철편

       과 가동 철편을 놓으면 두 철편에는 각각 자기장의 세기, 즉 전류에 흡입력 또는 반발력이 작용한다. 이 원리를 응용한

       계기가 가동 철편형 계기 (Moving - iron type instrument)이다.

  ▣ 가동 #철편형 계기는 주로 상용 주파수용의 전압계 및 전류계로서 널리 이용되며, 이 형의 계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취급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9. 전류력계형 계기

  ▣ 전류력계형 계기 (Electricnamo type meter)는 측정한 전류를 고정 코일에 흘려 자기장을 만들고 그 자기장 중에 가동

       코일을 설치하여 여기에도 피측정 전류를 흘려 이 전류와 자기장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력을 구동 토크로 이용하는

       계기이다.

  ▣ 이 계기는 교류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압, 전류에서의 직류와 교류 측정값이 같다. 그러므로 이 계기는 직류 전위

       차계로서 정확하게 눈금을 매길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상용 주파수 교류의 부표준기로

       사용되는 전류계, 전압계 #전력계 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0.2급 이하

       의 전류계 및 전압계로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휴대용 전력계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10. #유도형 계기

  ▣ 유도형 계기 (Induction type instrument)는 피측정 전류 또는 전압을 여자(Exciting) 코일에 공급해서 자기장을 만들고

       이 자기장과 가동부의 전자 유도작용에 의하여 생기는 구동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 이 계기는 자기장의 양상에 따라 회전 자기장 방식과 이동 자기장 방식으로 나누어지며 회전 자기장 방식은 알루미늄

       회전 원판을 회전 자기장 속에 장치한 것이고 이동 자기장 방식은 이동 자기장 속에 장치한 것이다.

 

11. 정전형 계기

  ▣ 두 대전체간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이용하는 계기로 직류와 교류 전압계로만 사용이 가능하며, 고전압용으로 사용한다.

  ▣ 정전 #전압계 (Electric voltmeter) 또는 #전위계 (Electrometer)는 전압을 직접 측정하는 유일한 계기이다.

  ▣ 고압단자는 고정 전극에, 접지 단자는 가동 전극에 접속하였고, 내압을 높이기 위하여 평형판의 고정 전극을 절연 막대

       에 고정하고 있으며, 수[kV]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 눈금은 읽기 쉬운 균등 눈금으로서 이와 같이 만들기 위해서 전극의 모양이 변형되어 있다. 그리고 고압 단자에는 계기

       내부에 보호 저항을 넣어 과전류에 의한 계기의 파손을 막는다.

 

12. 열전형 계기

  ▣ #열전형 계기 ( #Thermal electric type instrument)는 전류의 열작용에 의한 금속선의 팽창 또는 종류가 다른 금속의

      접합점의 온도차에 의한 열기전력으로 가동 코일형 계기를 동작하게 한 계기이다.

      열전형 계기에는 열선형과 열전쌍형이 있다.

  ▣ 금속선의 팽창을 이용한 열선형(Hot wire type)은 현재 사용되지 않으며, 열전쌍형 (Thermojunction type)이 고주파

       전류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열전쌍의 재료로는 구리 - 콘스탄탄, 철 - 콘스탄탄, 망가닌 - 콘스탄탄 또는 크로멜 -알루멜 등의 합금이 쓰이고,

       열선에는 백금, 콘스탄탄, 망간, 나트륨 등이 사용된다.

  ▣ 열전쌍형 계기는 전류계, 전압계, 전력계로 이용된다.

 

13. #정류형 계기

  ▣ #정류형 계기 ( #Rectifier type instument)는 측정할 교류를 반도체 정류기에 의해 직류로 변환한 후 가동 코일형 계기

      로 지시시키는 계기이다. 일반적으로 전류력계형이나 가동 철편형과 같은 교류용 계기는 직류용 계기에 비하여 감도가

      낮기 때문에, 정류형 계기는 가동 코일형 계기가 가지는 정도와 감도를 교류측정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교류 계기 중

      가장 감도가 좋다. 이 계기는 배전반용 등의 교류 전류계 및 교류 전압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정류회로는 반파 정류보다 계기의 지시를 2배로 할 수 있는 전파 정류를 사용한다.

 

14. 검류계

  ▣ #검류계 ( #Galvanometer )는 미소한 전류나 전압의 유무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고감도의 계기이다.

  ▣ 검류계는 동작원리에 따라 직류용, 교류용, 직·교류용으로 분류한다.

  ▣ 직류용 검류계로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가동 코일형 검류계이다.

  ▣ 교류용 검류계로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진동 검류계이며, 직·교류용 검류계에는 전류력계형 검류계가 가장 널리

       쓰인다.

 

 

15. 전기계기의 #오차

16. 기타 요소의 측정

가. 저항

   ① 메거(Megger) : 배선의 절연저항 측정

   ② 휘트스톤 브리지 : 검류계 내부저항, 중저항 측정 (1[Ω]~1[MΩ])

   ③ 콜라우시 브리지 : 축전지 내부저항 측정

   ④ 어스테스터 (Earth tester) : 접지저항 측정

나. 전류

   ① 후크온미터 : 케이블(전선)의 전류 측정

   ② 검류계 : 미소 전류 검출

다. 인덕턴스의 측정

   ① 맥스웰 브리지 (Maxwell bridge)법

   ② 해비사이드 브리지 (Heaviside bridge)법

   ③ 헤이 브리지 (Hay bridge)법

【 출제 예상 문제 】

1. 지시 계기의 동작원리로 틀린 것은 ? ①

   ① 열전형 계기 - 대전된 도체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력을 이용

   ② 가동철편형 계기 - 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연철편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

   ③ 전류력계형 계기 - 전류 상호간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

   ④ 유도형 계기 - 회전 자기장 또는 이동 자기장과 이것에 의한 유도전류와의 상호작용을 이용

[해설] 열전형 계기 : 열전대에 의해 생기는 열기전력을 이용, 동작원리 : 금속선의 팽창

2. 그림과 같이 전압계 V1, V2, V3 와 5[Ω]의 저항 R을 접속하였다. 전압계의 지시가 V1 = 20 [V], V2 = 40[V], V3 = 50[V]

    라면 부하전력은 몇 [W]인가 ?

 

       ① 50                   ② 100                       ③ 150                  ④ 200

[해설] 3전압계법

3. 어떤 측정계기의 지시값을 M, 참값을 T라고 할 때, 보정율은 ? ①  

4. 축전지 용액의 측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 ? ②

    ① 절연저항계              ② 콜라우시 브리지              ③ 회로시험기              ④ 용액비중측정기

[해설] 콜라우시 브리지 : 전지(축전지)의 내부저항 측정

5. 인덕턴스 측정에 사용되는 브릿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②

   ① 맥스웰 브리지 (Maxwell bridge)법                      ② 셰링 브리지(Schering bridge)법

   ③ 헤비사이드 브리지 (Heaviside bridge)법            ④ 헤이 브리지(Hay bridge)법

[해설] 인덕턴스의 측정

⊙ 맥스웰브리지(Maxwell bridge)법, 헤비사이드 브리지 (Heaviside bridge)법, 헤이 브리지(Hay bridge)법

6.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계기는 ? ③

   ① 전류계                ② 전위차계                    ③ 메거                        ④ 휘트스톤 브릿지

[해설] 메거(Megger) 절연저항 측정기

7. 피측정량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 몇 개의 서로 독립된 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로 부터 계산에 의하여 피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은 ? ④

   ① 편위법             ② 직접 측정법                 ③ 영위법                  ④ 간접측정법

[해설] 간접 측정법 : 피측정량과 일정한 관계에 있는 몇 개의 서로 독립된 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로 부터 계산에 의하여

                                피측정량을 구하는 방법

8. 미소전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 ③

   ① #맥스웰 브리지                ② 셰링 브리지                 ③검류계                     ④ 전위차계

[해설] #검류계 (Galvano-meter) : 미소한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계기

9. 동일 눈금형으로 사용되는 AC, DC 양용의 계기는 ? ②

   ① #가동철편형                  ② #전류력계형                     ③ 가동선륜형                ④ 유도형

[해설] 전류력계형 (electrodynamic type instrument) : 전류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계기로서 직류와 교류를 같은

                                                                                     눈금으로 측정할 수 있다.

10. #참값 이 4.8[A]인 전류를 측정하였더니 4.65[A]이었다. 이 때 #보정 백분율[%]은 약 얼마인가 ? ③

         ① +1.6                   ② -1.6                         ③ +3.2                           ④ -3.2

[해설] 백분율 보정

11. 전선의 #전류 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 로 가장 알맞은 것은 ? ③

   ① 메거                     ② 휘트스톤브리지                 ③ #후크온 메타                        ④ 역률계

[해설] #후크온메타 (Hook on meter) : 전선의 전류를 측정하는 계기

 
반응형
반응형

1. 그림과 같은 단상 2선식 회로에 공급점 A점의 전압이 220[V]이고 A-B 사이의 한선마

    저항은 0.02[Ω]이고, B-C사이의 한선마다 저항은 0.04 [Ω]이라 하면 40[A]를 초과하는

    B점의 전압 VB 와 20[A]를 소비하는 Vc를 구하시오. 단, 역률은 1이라 한다.

 

[문제풀이]

 

2. 3상 배전선로 말단에 늦은 역률 80[%]인 평형 3상의 집중부하가 있다. 변전소의

    전압은 6,600[V]인 경우 부하의 단자전압은 6,000[V]이다. 부하의 단자전압이

    6,000[V]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려면 부하전력은 몇 [kW]인가 ? 단, 한선당 저항은

    1.4[Ω]이고 리액턴스는 1.8 [Ω]이고 그 이외의 선로정수는 무시한다.

 

3. 그림과 같은 3상 3선식 배전선로가 있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선 한선당 저항은 0.5[Ω/㎞] 이다.

 

(1) 급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

 

(2) 전체 전력손실은 얼마가 되겠는가 ?

 

4. 허용전압은 3상 380[V]이고 주파수 60[Hz], 1[kVA]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고자

    한다. 필요한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μF]인가 ?

 

5. 선로의 길이가 30[㎞]인 3상 3선식 2회선 송전선로가 있다. 수전단에 30[kV], 6,000

    [kW], 역률이 0.8, 3상 부하에 공급할 경우 송전손실율이 10[%] 이하로 하기 위하여

    전선의 굵기는 몇 [㎟] 이상해야 하는가 ? 단, 전선의 고유저항은 1/55로 한다.

 

[답안작성]

 

6. 20개의 가로등이 500[m]의 거리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1등의 소요전류는 4[A]

    이며 동선의 단면적이 35[㎟], 도전율이 97[%], 한쪽 끝에 단상 220[V]로 급전했을 때

    최종 전등에 가해지는 전압은 몇 [V]인지 계산하시오. 단, 표준연동선은 고유저항이

    1/58 [Ω/㎟·m]이다.

 

7. 송전전압은 66[kV, 3상3선식 송전선에서 1선 지락사고로 영상전류가 50[A]가 될 때

    통신선에 유기되는 전자유도전압을 구하시오. 단, 상호인덕턴스는 0.06[mH/km],

    병행거리는 30[km]이고 주파수는 60[Hz]이다.

 

8. 정삼각형 배치에서 3상 4가공선에서 전선의 굵기, 선간거리, 표고, 기온에 의한 코로나

    임계전압에 영향을 받는 것을 쓰시오.

 

   ▣ 전선굵기 : 굵은 전선을 사용하면 코로나 임계전압 상승

   ▣ 선간거리 : 선간거리가 증가하면 코로나 임계전압 상승

   ▣ 표고상승 : 표고가 상승하면 기압이 낮아져 코로나 임계전압이 낮아진다.

   ▣ 기온상승 : 기온이 상승하면 상대공기밀도가 낮아져 코로나 임계전압이 낮아진다.

 

9. 지중케이블의 고장점탐지법 3가지와 각각의 사용용도를 쓰시오.

   ① 머레이루프법 : 1선 지락사고 검측

   ② 펄스레이더법 : 3상 단락사고 검측

   ③ 정전브릿지법 : 단선사고 고장점 측정

 

10. 지중케이블에 시설해야 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지중전선로는 어떤 방식에 의해서 시설해야 하는지 3가지만 쓰시오.

     ▣ 직접매설식, 관로식, 암거식

  나. 지중전선로에는 전선을 어떤 전선을 사용하는가 ? 케이블

 

11. 중성점 접지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송전선 계통에서 중성점 접지방법 4가지를 쓰시오.

     ① 비접지방식    ② 소호리액터접지방식    ③ 저항접지방식    ④ 직접접지방식

  나. 우리나라 154[kV], 345[kV] 송전선에서 중성점 접지방식은 ?

     ▣ 직접접지 (유효접지)

  다. 유효접지는 1선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상규 대지전압의 몇 배를 넘지 않도

        록 임피던스를 조절해서 접지해야 하는가 ? 1.3배

 

12. 다음 그림은 TN-C 접지계통이다. 중성점 N과 보호도체 PE와 보호도체와 중성선에만

      PEN을 도면을 완성하고 표시하시오. 단, 중성선과 보호도체와 보호도체와 중성선을

     표시하시오.

 

나. 피뢰기의 기능상 구비조건 4가지를 쓰시오.

   ① 충격방전개시전압이 낮을 것

   ② 상용주파방전개시전압이 높을 것

   ③ 방전내량이 크고 제한전압이 낮을 것

   ④ 속류차단 능력이 충분할 것

 

13. 욕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

     우 설치하는 인체 감전 보호용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와 동작시간은 얼마 이하가

     되어야 하는가 ?

     ▣ 인체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 : 15 [mA]

     ▣ 동작 시간 : 0.03초

        ※ 일반용 누전차단기 동작시간 : 0.1초

 

14. 피뢰기는 이상 전압이 기기에 침입했을 때 그 파고값을 저감시키기 위해 뇌전류를

      대지로 방전시켜 절연파괴를 방지하고 방전에 의하여 생기는 속류를 차단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장치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가. 갭형 피뢰기의 구성요소를 쓰시오.

      ▣ 직렬갭, 특성요소

  나. 피뢰기 제한전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 피뢰기가 충격파 전압을 방전중 양단자간에 남게 되는 전압

  다. 충격파 방전 개시전압에 대해 설명하시오.

      ▣ 피뢰기의 양단자간에 충격파 전압을 인가했을 때 방전을 개시하는 전압

 

15. 22.9[kV] 3상 4선식 다중접지선로에 다음 각 장소에 시설된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① 배전선로 : 18[kV]         ② 변전소 : 21 [kV]

 

16. 다음과 같은 평형 3상 회로에 운전하는 유도전동기가 있다. 이 회로에 그림과 같이

      2개의 전력계 W1과 W2의 전력계와 전압계 ⓥ, 전류계 ⓐ를 접속한 후 지시값이

      W1 = 6[kW], W2 = 2.9[kW], V= 200[V], I = 30[A]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이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얼마인가 ?

 

나. 역률을 90[%]로 개선하는데 필요한 콘덴서 용량은 몇 [kVA]인가 ?

 

다. 이 전동기로 매분 20[m] 속도로 물체를 권상하면 몇 [ton]까지 권상할 수 있겠는가 ?

     단, 동기화배율은 80[%]로 한다.

 

17. 고압 동력부하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려고 한다. CT 및 PT, 3상 적산전력량계가 그림

     과 같이 오결선되었다. 1L과 1S, P1과 P3가 바뀜을 하였을 때 어느 기간의 사용 전력

    량이 3,000[kWh]였다면 실제 전력량은 몇 [kW]인가 ? 단, 부하역률은 0.8이다.

 

[문제풀이]

 

[참고 ]

 

[답안작성]

 

18. 기자재가 그림과 같이 주어졌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전압, 전류계법으로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를 완성하시오.

(2) 저항 Rs에 대한 식을 쓰시오

 

19. 측정범위가 1[mA], 내부저항은 23[kΩ]의 전류계로 5[mA]까지 측정하고자 한다.

     몇 [Ω]의 분류기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

 

[답안작성]

 

20. 전압이 1,083[V]를 측정하려고 한다. 측정값이 1,0092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소수점 이하 네째자리까지 구하시오.

 가. 오차를 구하시오.

       ▣ 오차 = 측정값(M) - 참값(T) = 1.0092 - 1.0183 = -0.0091

 나. 오차율을 구하시오.

 

 다. 보정값을 구하시오.

    ▣ 보정값 = 참값 (T) - 측정값 (M) = T - M = 1.0183 - 1.0092 = 0.0091

 라. 보정률을 구하시오.

 

21. 피뢰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나 전압 범위만을 조정하여 적용시키는 일종의 옥내

      피뢰기로서 선로에 발생하는 개폐서지, 순간과도전압 등의 이상전압이 2차 기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인 큐비클에 내장되어 전신구의

      변압기내 기기계통을 보호하는 기구는 무엇인가 ? 서지흡수기 (SA)

 

22. 피뢰기의 접지공사를 실시한 후 접지저항을 보조접지 A와 B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더니

      본접지와 A사이의 저항이 86[Ω], A와 B사이의 저항은 156[Ω], B와 본접지 사이는

      80[Ω]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피뢰기의 접지저항은 얼마인가 ?

 

 나. 피뢰기의 접지공사의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 적합 : 피뢰기의 접지저항값은 10 [Ω] 이하이어야 하므로 적합하다.

 

23. 22.9[kV] / 220[V], 380[V], 30[kVA]의 변압기를 사용하는 저압 전로의 최대

      누설전류와 최소 절연저항을 구하시오.

 

     ※ 500[V] 이하에서는 절연저항이 0.1[MΩ] 이상이어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1. 2전력계법 오결선 전력계산

 

▣ 고압 동력 부하의 사용 전력량을 측정하려고 한다. CT 및 PT 취부 3상 적산 전력계를

    그림과 같이 오결선(1S와 1L 및 P1과 P3가 바뀜) 하였을 경우 어느 기간 동안 사용

    전력량이 200[kWh]였다면 그 기간동안 실제 사용 전력량은 몇 [kWh]이겠는가 ?

    (단, 부하역률은 0.8이라 한다)

2전력계법 3상 적산전력량계

【 문제풀이 】

 <사전에 숙지해야 할 사항>

 ▣ 1번 전력량계의 전력 W1 = V1-2 × I1 × cosΘ1 이고

     2번 전력량계의 전력 W2 = V3-2 × I3 × cosΘ2 이다.

 

 ▣ 정상결선시 1번 전력량계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30˚+Θ이고

     정상결선시 2번 전력량계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30˚-Θ이다.

 

 ▣ 오결선시 1번 전력량계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90˚-Θ이고

     오결선시 2번 전력량계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90˚-Θ이다.

 

 ▣ cos 제2법칙, cos과 sin간 전환

 

【답안작성】

  ① 실측전력량 W = W1 + W2 = 200[kWh] 이다.

  ② 벡터도를 이용하여 오결선시 전력량 계산식을 알아 보자.

 
오결선 벡터도

   ▣ 위 벡터도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90˚- θ 임을 알 수 있다.

 

  ③ 계산식을 이용하여 피상전력 Pa = V·I 값을 구해보자 .

 

  ④ 이제 실제전력량을 계산하여 보자.

 

【 2전력계법 】

 

 ▣ 2전력계법은 2개의 전력 측정을 이용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3상의 피상전력(Pa),

    유효(소비)전력(P), 무효전력(Pr)을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 2전력계법의 측정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다.

 
2전력계법

【전제조건】 전력계 1(W1)의 극성은 V1 : +, V2 : - 이며, 전력계 2(W2)의 극성은

    V3 : +, V2 : - 이다. 따라서 전압 V12 = V1 - V2 이고 전압 V32 = V3 - V2이다.

 

  ▣ 전력계 W1과 W2의 전압 전류의 벡터도는 다음과 같다.

 
2전력계법 벡터도

▣ 위 그림에서 전력계1에서 측정되는 전력 W1 = VI cos φ 이며 여기서 V=V12, I = I1

    이며 V12  I1과의 위상차는 30˚+θ (V1 I1과의 위상차)이다.

    전력계2에서 측정되는 전력 W2 = VI cos φ 이며 여기서 V=V32, I = I3 이며

    V32  I3 와의 위상차는 30˚- θ (V3 I3과의 위상차)이다.

  ※ 3상 평형 전력이므로 V1과 I1과의 위상차와 V3 I3과의 위상차는 같다.

   【 종합 】 위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2전력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전력측 방법은 다음과 같다.

 

2. 수변전 설비 전력퓨즈 (Power Fuse)

  ▣ 수변전 설비에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퓨즈 (Power Fuse)에 대해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전력퓨즈(PF)의 가장 큰 단점은 무엇인가 ?

    ⊙ 재투입이 불가능하다.

  (2) 전력퓨즈(PF)를 구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사항 4가지만 쓰시오.

    ① 정격전압   ② 정격전류   ③ 정격차단전류   ④ 사용장소

  (3) 전력퓨즈(PF)의 성능(특성) 3가지만 쓰시오.

    ① 용단특성   ② 전차단 특성   ③ 단시간 허용특성

  (4) PF-S 큐비클은 큐비클의 주차단 장치로서 어떤 종류의 전력퓨즈와 무엇을 조합한

      것인가 ?

   ① 전력퓨즈의 종류 : 한류형 퓨즈

   ② 조합하여 설치하는 것 : 고압 개폐기

     ※ PF : 전력퓨즈, S : 개폐기

  ※ 전력퓨즈의 선정

    ① 과부하 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② 전동기 돌입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③ 충전기 및 기동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④ 보호기기와 협조를 기할 것

 

3. 축전지 시설

 (1) 무정전 전원은 정전시 사용하지만 평상 운전에는 예비전원으로 200[Ah]의 연축전지

     100개가 설치되었다. 부동충전시에 발생되는 가스, 그리고 충전이 부족할 경우 극판에

     발생하는 현상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발생 가스 : 수소 가스

   ② 발생현상 : 설페이션 현상

  (2) 발전기(비상전원)에서 발생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

      가까운 곳에 쉽게 개폐 및 점검을 할 수 있는 곳에 기기 및 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하여야 할 것들을 4가지만 쓰시오.

    ▣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전압계, 전류계

 

[해설]

  ▣ 내선규정 4168-3 : 개폐기· 과전류 차단기 · 전압계 및 전류계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고압발전기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는 발전기에 가까운 곳에

     개폐기 · 과전류차단기 · 전압계 및 전류계를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① 각 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할 것

   ② 전압계는 각 상의 전압을 읽을 수 있도록 시설할 것

   ③ 전류계는 각 선(중성선은 제외한다)의 전류를 읽을 수 있도록 시설할 것

 

4. 차동계전기 결선

  ▣ 답안지의 그림은 1,2차 전압이 66/22[kV]이고, Y-△ 결선된 전력용 변압기이다.

      1, 2차 CT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차동 계전기를 동작시키려고 한다. 주어진 도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차동계전기

 (1) CT와 차동계전기의 결선을 주어진 도면에 완성하시오.

 (2) 1차측 CT의 권수비를 200/5로 했을 때 2차측 CT의 권수비는 얼마가 좋은지를 쓰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3) 변압기를 전력 계통에 투입할 때 여자 돌입전류에 의한 차동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하

      위하여 이용되는 차동계전기의 종류 (또는 방식)를 한 가지만 쓰시오.

 (4)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CT의 극성은 일반적으로 어떤 극성의 것을 사용하는가 ?

 

【 문제풀이 】

 

(1) CT와 차동계전기의 결선을 주어진 도면에 완성하시오.

 ▣ Y-△ 변압기는 1,2차간에 위상이 30˚ 발생하므로 이 위상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2차

     설치하는 변류기는 각각 △-Y결선을 하여 위상차를 보정한다.

 
차동계전기 결선

 ▣ 차동계전기의 단자에는 1,2차 CT의 바깥쪽 권수과 연결하고 Y결선을 중성선은

       변압기쪽에 결선하며 Y결선의 중성선은 접지를 하고 동작코일에 연결을 한다.

 

 (2) 1차측 CT의 권수비를 200/5로 했을 때 2차측 CT의 권수비는 얼마가 좋은지를 쓰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3) 변압기를 전력 계통에 투입할 때 여자 돌입전류에 의한 차동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하

    위하여 이용되는 차동계전기의 종류 (또는 방식)를 한 가지만 쓰시오.

    ▣ 감도저하법

 

 (4)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CT의 극성은 일반적으로 어떤 극성의 것을 사용하는가 ?

     ▣ 감극성

 

[해설]

 ▣ 비율차동계전기 변류기 결선

변압기 결선
비율차동계전기 결선
Y - △
△ - Y
△ - Y
Y - △

 

   ▣ 여자 돌입전류에 대한 오동작 방지법

      ① 감도저하법    ② 비대칭파 저지법    ③ 고조파 억제법

   ▣ 우리나라 변압기, 계기용 변성기(PT, CT) 극성 표준 : 감극성

 

5. 계기용 변압기 퓨즈 설치

 ▣ 계기용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에 퓨즈를 부착하는지 여부를 밝히고, 퓨즈를 부착하는

     경우에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 여부 : 1차측, 2차측에 부착한다.

   ⊙ 이유 : 계기용 변압기의 2차 부하의 단락 및 과부하 또는 계기용 변압기 단락시 퓨즈가

               차단되어 사고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6. 각종 개폐기 능력

능력
기능
회로분리
사고차단
무부하
부하
과부하
단락
퓨즈
O


O
차단기
O
O
O
O
개폐기
O
O
O

단로기
O



전자접촉기
O
O
O

 

7. 가스절연개폐기 (GIS)

  (1) 가스절연개폐기(GIS)에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는 ? SF6 가스

  (2) 가스절연개폐기에 사용되는 가스는 공기에 비하여 절연내력이 몇 배 정도 좋은가 ?

       2~3배

  (3) 가스절연개폐기에 사용되는 가스의 장점 3가지 쓰시오.

     ① 무색, 무취, 무독성이다.

     ② 소호능력이 우수하다.

     ③ 절연내력이 높다.

     ④ 난연성, 불활성 가스이다.

 [해설]

  ▣ 가스절연개폐장치 GIS (Gas Insulation Switch)

    ① SF6를 이용한 밀폐형 구조의 개폐장치

    ② 대기 절연을 이용한 것에 비해 현저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③ 충전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안전성이 높다.

    ④ 대기중의 오염물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고 보수가 용이하다.

    ⑤ 소음이 적고 환경조화를 기할 수 있다.

 

※ 3.3[kV] 측 옥내용 PT는 주로 어떤 형을 사용하는가 ? 몰드형

 

반응형
반응형

 

♠ 2전력계법 오결선 전력계산

 

▣ 고압 동력 부하의 사용 전력량을 측정하려고 한다. CT 및 PT 취부 3상 적산 전력계를

    그림과 같이 오결선(1S와 1L 및 P1과 P3가 바뀜) 하였을 경우 어느 기간 동안 사용

    전력량이 200[kWh]였다면 그 기간동안 실제 사용 전력량은 몇 [kWh]이겠는가 ?

    (단, 부하역률은 0.8이라 한다)

 
3상 적산전력량계 오결선

【 문제풀이 】

 

<사전에 숙지해야 할 사항>

▣ 1번 전력량계의 전력 W1 = V1-2 × I1 × cosΘ1 이고

    2번 전력량계의 전력 W2 = V3-2 × I3 × cosΘ2 이다.

 

▣ 정상결선시 1번 전력량계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30˚+Θ이고

    정상결선시 2번 전력량계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30˚-Θ이다.

 

▣ 오결선시 1번 전력량계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90˚-Θ이고

    오결선시 2번 전력량계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90˚-Θ이다.

 

▣ cos 제2법칙, cos과 sin간 전환

 

【답안작성】

  ① 실측전력량 W = W1 + W2 = 200[kWh] 이다.

  ② 벡터도를 이용하여 오결선시 전력량 계산식을 알아 보자.

 
2전력계법 오결선 벡터도

  ▣ 위 벡터도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90˚- θ 임을 알 수 있다.

 

③ 계산식을 이용하여 피상전력 Pa = V·I 값을 구해보자 .

 

④ 이제 실제전력량을 계산하여 보자.

 

【 2전력계법 】

▣ 2전력계법은 2개의 전력 측정을 이용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3상의 피상전력(Pa),

   유효(소비)전력(P), 무효전력(Pr)을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 2전력계법의 측정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다.

 
2전력계법 결선도

【전제조건】 전력계 1(W1)의 극성은 V1 : +, V2 : - 이며, 전력계 2(W2)의 극성은

      V3 : +, V2 : - 이다. 따라서 전압 V12 = V1 - V2 이고 전압 V32 = V3 - V2이다.

 

  ▣ 전력계 W1과 W2의 전압 전류의 벡터도는 다음과 같다.

 
2전력계법 결선도

  ▣ 위 그림에서 전력계1에서 측정되는 전력 W1 = VI cos φ 이며 여기서 V=V12, I = I1

     이며 V12  I1과의 위상차는 30˚+θ (V1 I1과의 위상차)이다.

     전력계2에서 측정되는 전력 W2 = VI cos φ 이며 여기서 V=V32, I = I3 이며

     V32  I3 와의 위상차는 30˚- θ (V3 I3과의 위상차)이다.

     ※ 3상 평형 전력이므로 V1과 I1과의 위상차와 V3 I3과의 위상차는 같다.

 

  【 종합 】 위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2전력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전력측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반응형
반응형

 

1. 역률 과보상의 부작용 (3가지)

  ▣ 역률을 개선하면 전기요금의 저감과 배전선의 손실경감, 전압강하 감소, 설비 여력의

      증가 등을 기할 수 있으나, 너무 과보상하면 역효과가 나타난다. 즉, 경부하시에 콘덴서

      과대 삽입되는 경우의 결점을 3가지 쓰시오.

 [답안작성]

  ① 모선의 전압 상승

  ② 재점호에 의한 과전압 발생

  ③ 계전기 오동작

 <그 외>

  ④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

  ⑤ 선로 및 변압기의 손실 증가

  ⑥ 전원설비 여유용량 감소에 따른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⑦ 고조파 왜곡의 증가 (콘덴서 및 타기기 손상 및 오동작, 변압기 소음 증가)

 

2. 3상 단락전류(Is) 및 차단용량(Ps) 결정

 ▣ 66/6.6[kV], 6,000[kVA]의 3상 변압기 1대를 설치한 배전 변전소로 부터 긍장 1.5

     [㎞]의 1회선 고압 배전선로에 의해 공급되는 수용가 인입구에서 3상 단락고장이 발생

     하였다. 선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변압기 1상의 리액턴스

     0.4[Ω], 배전선 1선당 저항은 0.9[Ω/㎞]라 하고 리액턴스는 0.4[Ω/㎞] 라 하고 기

     타의 정수는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3상 단락

  (1) 1상분의 단락회로를 그리시오.

  (2) 수용가 인입구에서의 3상 단락전류를 구하시오.

  (3) 이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차단기로는 몇 [MVA] 것이 적당하겠는가 ?

 

【 답안작성】

  (1) 1상분 단락회로를 그리시오.

 
단락회로도

  (2) 수용가 인입구에서의 3상 단락전류를 구하시오.

 

 (3) 이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차단기로서는 몇 [MVA] 것이 적당한가 ?

 

3. 플리커 방지대책

 가. 전원측 대책

   ① 전용계통에서 공급한다.

   ②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③ 전용변압기로 공급한다.

 나. 수용가측 대책

   ① 전원계통의 리액터분을 보상하는 방법

   ②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방법

   ③ 부하의 무효전력 변동분을 흡수하는 방법

 

4. 배선평면도

 

  ▣ 그림과 같은 배선평면도와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사용하는 전선은 모두 450/ 750 [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4[㎟] 이다.

  ● 박스는 모두 4각 박스를 사용하며, 기구 1개에 박스 1개를 사용한다.

      2개 연등인 경우에는 각 1개씩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 전선관은 콘크리트 매입 후강금속관이다.

  ● 층고는 3[m]이고, 분전반의 설치 높이는 1.5[m]이다.

  ● 3로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는 단극 스위치를 사용하며, 2개를 나란히 사용한 개소는

      2개이다.

 

 (1)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A~F)에 기구를 배치하여 배선평면도를 완성하려고 한다.

     해당되는 기구의 그림기호를 그리시오.

 

 (2) 배선평면도의 ① ~ ③ 의 배선 가닥수는 몇 가닥인가 ?

   ※ 전등과 콘센트의 배선은 구분하여 별개의 전선으로 연결한다.

 

  [정답] ① 2가닥    ② 3가닥    ③ 4가닥

(3) 도면의 ④에 대한 그림기호의 명칭은 무엇인가 ? 케이블 헤드

(4) 본 배선 평면도에 소요되는 4각 박스와 부싱은 몇 개인가 ?

  단, 자재의 규격은 구분하지 않고 개수만 산정한다.

   ※ 후강 전선관은 금속관을 쓰며 부싱을 해야 한다.

    ▣ 4각 박스 개수 = 전선관의 개수

      ⊙ 전선관의 개수를 세어 보면 24개이다. 그런데 케이블 헤드에서 적산전력계(전력량계)

          이르는 전선의 옥외 전선이므로 전선관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선관은 개수는 옥내전선의 수 즉 23개 이다.

      ⊙ 4각 박스는 전선관의 개수와 같으므로 23개가 된다.

    ▣ 부싱은 전선관(4각 박스) 수 × 2가 된다.

        따라서 23 × 2 = 46개가 된다.

        ※ 부싱은 박스(전선관) 하나 당 양쪽에 부싱을 해야 하므로 2배가 된다.

 
부싱

5. 슬림라인 형광등 (Slim Line) 장점 5가지와 단점 3가지

 가. 장점

  ① 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등 기동장치가 불필요하다.

  ② 순시기동으로 점등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③ 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④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⑤ 전압변동에 의한 수명의 단축이 없다.

 나. 단점

  ① 점등 장치가 비싸다.

  ② 전압이 높아 기동시에 음극이 손상하기 쉽다.

  ③ 전압이 높아 위험하다.

 

6. 2전력계법

 ▣ 어떤 부하에 그림과 같이 접속된 전압계, 전류계의 지시가 각각 V=200[V], I = 30[A],

     W1 = 5.96[kW], W2 = 2.36[kW]이다. 이 부하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2전력계법

 (1) 소비전력은 몇 [kW]인가 ?

 (2) 피상전력은 몇 [kVA]인가?

 (3) 부하역률은 몇 [%]인가 ?

   【답안작성】

 

7. 피뢰기

 ▣ 피뢰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류용 피뢰기의 구조는 무엇과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2)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3)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답안작성】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류용 피뢰기의 구조는 무엇과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 정답 : 직렬갭,   특성요소

 (2)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교류 최고전압

 (3)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 피뢰기 방전 중 피뢰기에 남게 되는 충격전압

 <해설>

  ▣ 피뢰기의 구성요소

 
피뢰기의 구성

▣ 피뢰기 관련 용어 (전압)

 

 ① 정격전압 (Rated Voltage)

   ⊙ 그 전압을 선로단자와 접지단자 간에 인가한 상태에서 소정의 동작 책무를 소정의 횟수

      반복할 수 있는 정격주파수의 상용주파전압 최고한도를 규정한 값 (실효치)

   ⊙ 속류를 끊을 수 있는 교류 최고 전압이며, 실효값으로 나타낸다.

 ② 제한전압

   ⊙ 충전전류가 방전으로 저하되어서 피뢰기의 단자간에 남게 되는 충격전압.

       즉, 뇌서지의 전류가 충분히 형성되어 양 단자 간 전압강하로 이것은 피뢰기 동작 중

       계속해서 걸리고 있는 단자전압의 파고값으로 표시한다.

 ③ 사용주파 방전개시전압 (Power-Frequency Spark Over Voltage)

   ⊙ 선로단자와 접지단자간에 인가했을 때 파고치 부근에 있어서 직렬갭에서 불꽃 방전을

       발생하는 등 실질적으로 피뢰기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 최저의 상용주파 전압을 말하

       실효값으로 표시한다.

 ④ 충격 방전개시전압 (Impulse Spark Over Voltage)

   ⊙ 피뢰기의 양단자 사이에 충격전압이 인가되어 피뢰기가 방전하는 경우 그 초기에 방전

      전류가 충분히 형성되어 단자간 전압강하가 시작하기 이전에 도달하는 단자전압의

      최고 전압

 

8. 강제전선관의 호칭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① 후강전선관 :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② 박강관전관 : C19, C25, C31, C39, C51, C63, C75

 

9. 조명 설비

  가. ○H400 의 표현 : 수은등 400W

  나. 비상용 조명을 형광등으로 하는 경우 기호는 ?

 
비상용 형광등

10. 지중전선로의 시설

 ▣ KEC 334.1 지중전선로의 시설

  1. 지중전선로는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관로식 · 암거식 또는 직접매설식에 의하

       시설하여야 한다.

 2.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 또는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따라야 한다.

   가.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1.0[m] 이상으로 하되,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장소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에 견디는 것을 사용할 것. 다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곳은 0.6[m] 이상으로 한다.

  나.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

       사용할 것

 3. 지중전선을 냉각하기 위하여 케이블에 넣은 관내에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지중전

     선로는 순환수 압력에 견디고 또한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시설해야 한다.

 4. 지중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11.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 표준 결선도

 

 ▣ 그림은 22.9[kV-Y] 1000[kVA] 이하에 적용 가능한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 표준결선도이다.

     이 결선도를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본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는 것은 ?

  (2) 22.9[kV-Y]용의 LA는 ( )붙임형 사용해야 한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3)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로서 공동주택 등 사고시 정전 피해가 큰 수전설비

      인입선을 예비선을 포함하여 몇 회선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

  (4) 22.9[kV-Y] 지중 인입선에는 어떤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5) 300[kVA] 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를 사용하였다.

      이것의 비대칭 차단전류 용량은 몇 [kA]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간이 수전설비 표준결선도

【답안작성】

(1) 본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는 것은 ? LA용 단로기 DS

(2) 22.9 [kV-Y] 용의 LA는 ( ) 붙임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 Disconnector 또는 Isolator

(3)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로서 공동주택 등 사고시 정전 피해가 큰 수전 설비

     인입선은 예비선을 포함하여 몇 회선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 2회선

(4) 22.9[kV-Y] 지중 인입선에는 어떤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 케이블 (트리억제형)

(5) 300[kVA] 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를 사용하였다.

    이것의 비대칭 차단전류 용량은 몇 [kA]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 10[kA]

 

<해 설>

 ▣ 22.9[kV-Y] 1,000[kVA] 이하를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간이수전설비 결선도)- 부록2. 참고

 [비고 1] LA용 DS는 생략할 수 있으며 22.9[kV-Y]용 LA는 (Disconnector 또는Isolator) 붙임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비고 2]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 공동주택 등 고장시 정전피해가 큰 경우는

           예비지중선을 포함하여 2회선을 사용하여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 3] 지중인입선의 경우에 22.9[kV-Y] 계통은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트리억제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전력구·공동구·덕트·건물구내 등 화재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FR CNCO-W(난연)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 4] 300[kVA] 이하인 경우에는 PF 대신 COS (비대칭 차단전류 10[kA] 이상의 것)

          사용할 수 있다.

[비고 5] 특고압 간이수전설비 PF의 용단 등의 결상사고에 대한 대책이 없으므로 변압기 2

          차측에 설치되는 주차단기에는 결상계전기 등을 설치하여 결상사고에 대한 보호 능력이

          있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12. 설비 부하평형의 시설

 ▣ 내선규정 1410-1 설비 부하평형의 시설

   ⊙ 저압, 고압 및 특고압수전의 3상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률을 30%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다

       각호의 경우는 이 제한에 따르지 않을 수 있다.

  ①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부하인 경우

  ③ 고압 및 특고압수전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 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13. 변압기 △-△ 결선의 장·단점 3가지

 가. 장점

  ①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

      왜곡되지 않는다.

  ② 변압기 1대가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을 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③ 각 변압기의 상전류가 선전류의 1/√3이 되어 대전류에 적합하다.

 나. 단점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14. 전력계의 최대눈금(Scale)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

 ▣ 최대수용전력의 120 ~ 150 %

    ※ 최대수용전력이 473.3[kVA]인 경우 전력계의 최대 눈금은 ?

       473.3 × 1.2 ~ 1.5 = 597.96 ~ 709.95 [kVA]

      ∴ 전력계의 최대 눈금 : 600 [kW]

 

15. 동기발전기

 가. 단락비 : 단락전류 / 정격전류 = Is / In

 나. "단락비가 큰 교류발전기는 일반적으로 기계의 치수가 (① 크고), 가격이 (② 높고),

      풍손, 마찰손, 철손이 (③ 크고), 효율이 (④ 낮고), 전압변동률은 (⑤ 낮고), 안정도는

      (⑥ 높다)"

 다. 비상용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을 4가지를 쓰시오.

   ①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④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 상회전 방향이 같을 것

 

16. 단상유도전동기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기동방식 4가지를 쓰시오.

     ① 반발기동형    ② 분상기동형    ③ 콘덴서 기동형   ④ 세이딩 코일형

  (2) 분상기동형 단상유도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

     ▣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바꾸어 준다.

 

17. 부등율과 수용률의 의미

  ▣ 부등율이 크다 : 최대전력을 사용하는 시간대가 다르다.

  ▣ 수용률 : 수용설비가 동시간에 사용되는 정도

 

18. 배선용 차단기 (AF. AT)

  ▣ AF [Amphere Frame] : 차단기 프레임(외형) 용량으로 단락 등의 사고시 화재, 폭발

          등이 발생하지 않고 프레임이 견딜 수 있는 최대전류이며, AF 이상이 되면 차단기 프레

          임이 파손될 수 있음. 또한 AF은 차단기의 외형 크기를 결정함

  ▣ AT [Amphere Trip] 차단기 트립용량 (차단기가 동작하는 용량) : 안전하게 통전시킬

          수 있는 최대전류로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