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압기 혼촉사고와 지락전류 및 충전전류
▣ 그림은 고압측 전로가 비접지식인 전로에서 고·저압 혼촉사고가 발생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변압기 TR1의 내부에서 혼촉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
시오. 단, 대지정전용량 C=1.16[μF]이고, 지락저항은 무시한다고 하며, I는 고압전로
의 1선 지락 전류이다.
(1) 전로의 대지정전용량에 흐르는 전류(충전전류)는 몇 [A]인가 ?
(2) 고압전로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는 몇 [A]인가 ?
(3) 변압기 결선에 대한 결선도 (△-△, △-Y)를 작성하시오.

(1) 전로의 대지정전용량에 흐르는 전류(충전전류)는 몇 [A]인가 ?
▣ 비접지 회로에서 대지정전용량은 전원에 Y결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
이므로 정전용량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Y결선에서 콘덴서에 흐르는 전류와 같게 된다.

(2) 고압전로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는 몇 [A]인가 ?
▣ 비접지전로에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하면 한상의 전압은 대지와 같게 되어 0이 된다.
따라서 지락된 상에서 지락전류가 흐르지 않고 건전상의 충전전류가 지락된 상으로
흐르게 되어 지락된 상은 전류 Ig = Ib + Ic가 된다.

그런데 건전상의 전압은 √3배 상승하므로 지락전류값도 √3배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지락된 상의 지락전류는 건전상 지락전류의 벡터합이 되므로 당초 정전용량에
흐르는 전류 3배 즉 3Io가 된다.

(3) 변압기 결선에 대한 결선도 (△-△, △-Y)를 작성하시오.

'전기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선평면도 작성과 전선 가닥수 (0) | 2022.06.24 |
---|---|
케이블 차폐선 및 설드선 접지와 영상변류기 (0) | 2022.06.23 |
전기기사 실기 예상적중문제 - 전력설비 (0) | 2022.06.20 |
전기기사 실기 핵심요약 - 전력설비 (0) | 2022.06.19 |
전기기사 부하설비 예상적중문제 - 2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