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고압 수전설비 표준결선도
▣ 다음 그림은 특고압 수전설비 표준결선도이다. 다음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

(1) 수전전압이 154[kV], 수전전력이 2,000[kVA]인 경우 차단기의 트립전원은 ( )
방식으로 한다.
(2) 아파트 및 공동 주택 등의 수전설비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인입하는 경우, 수전전압이
22.9[kV-Y] 일 때, 지중선으로 사용할 케이블은 ( ) 케이블이다.
(3) 위의 "(2)"항에서 수전설비 인입선은 사고시 정전에 대비하기 위하여 ( )회선으로
인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그림에서 수전전압이 ( )[kV] 이상인 경우에는 LS를 사용하여야 한다.
[답안작성]
(1) 수전전압이 154[kV], 수전전력이 2,000[kVA]인 경우 차단기의 트립전원은 (직류,
DC) 방식으로 한다.
(2) 아파트 및 공동 주택 등의 수전설비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인입하는 경우, 수전전압이
22.9[kV-Y] 일 때, 지중선으로 사용할 케이블은 ( CNCV-W (수밀형), 또는 TR CNCV
-W(트리억제형) ) 케이블이다.
(3) 위의 "(2)"항에서 수전설비 인입선은 사고시 정전에 대비하기 위하여 ( 2 )회선으로
인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그림에서 수전전압이 ( 66 )[kV] 이상인 경우에는 LS를 사용하여야 한다.
[해설]
▣ 특고압 수전설비 결선도 : CB 1차측에 PT를 CB 2차측에 CT를 시설하는 경우 (PF ·CB
형) - 부록2. 참고
[비고1] 22.9[kV-Y] 1,000[kVA] 이하인 경우에는 간이 수전설비 결선도에 의할 수 있다.
[비고2] 결선도 중 점선부분 내의 부분은 참고용 예시이다.
[비고3] 차단기의 트립전원은 직류(DC) 또는 콘덴서 방식(CTD)이 바람직하며 66[kV]
이상의 수전설비는 직류(DC)이어야 한다.
[비고4] LA용 DS는 생략할 수 있으며 22.9[kV-Y]용의 LA는 Disconnector(또는
Isolator) 붙임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비고5]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에는 공동주택 등 고장시 정전피해가 큰 경우는
예비선을 포함하여 2회선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6] 지중인입선의 경우에 22.9[kV-Y] 계통은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 (트리억제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전력구·공동구·덕트·건물구내
등 화재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FR CNCO-W (난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7] DS 대신 자동고장구분 개폐기 (7,000[kVA] 초과시에는 Sectionalizer)를 사용
할 수 있으며 66[kV] 이상의 경우는 LS를 사용하여야 한다.
'전기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률개선과 전력손실 및 여유용량 산정 (0) | 2022.04.05 |
---|---|
단상과 3상 단락전류 구하기 (0) | 2022.04.04 |
차고 자동문 시퀀스 회로 구성 (0) | 2022.04.04 |
2006년 전기기사 기출문제 풀이 -2 (0) | 2022.04.02 |
차동계전기 결선방법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