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의 주된 소화효과인 질식 소화를 목적으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산소농도저하시켜

       소화하는 설비

 

나. 구성요소

  ① 저장용기   ②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③ 기동장치   ④ 감지기   ⑤ 배관   ⑥ 선택밸브  ⑦ 분사헤드 ⑧ 음향경보장치

  ⑨ 자동폐쇄장치   ⑩ 제어반   ⑪ 전원    ⑫ 배선

[참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작동 흐름도

 

[참고] 저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평상시 밸브 상태

 

1. 저장용기 (NFTC 106 2.1) 나올 수 있음

가. 저장용기 설치장소의 적합 기준

  ① 방호구역 외장소설치할 것 (방호구역 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피난조작이 용이하도록 피난구 부근설치)

  ② 온도가 40℃ 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할 것

  ③ 직사광선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④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⑤ 용기설치장소에는 해당 용기가 설치된 곳임을 표시하는 표지를 할 것

  ⑥ 용기간의 간격은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3 ㎝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⑦ 저장용기집합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저장용기가 하나의 방호구역만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제외)

나. CO2 소화설비의 수치

구 분
기 준
저장용기의 저장압력
고압식
⊙ 20℃(상온) : 6 MPa
저장식
(자동냉동장치)
⊙ - 18℃ 이하 : 2.1 MPa
저장용기의 내압시험 ★★★
고압식
⊙ 25 MPa 이상
저압식
⊙ 3.5 MPa 이상
개폐밸브 또는 선택밸브
배관부속의 호칭압력
고압식
⊙ 1차측 : 4 MPa 이상
⊙ 2차측 : 2 MPa 이상
저압식
⊙ 2 MPa 이상
기동용 가스용기의 충전압력 (21℃ 기준)
⊙ 6 MPa 이상
기동용 가스용기의 내압시험압력 ★★★
⊙ 25 MPa 이상
기동용 가스용기 안정장치의 작동압력
⊙ 내압시험압력의 0.8~1 (내압시험압력) 이하 20 ~ 25 MPa 이하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또는 개폐밸브사이의
안전장치 작동압력
⊙ 내압시험압력의 0.8배
   - 고압식 : 20 MPa
   - 저압식 : 2.8 MPa
안전밸브의 작동압력 (저압식)
⊙ 내압시험압력의 0.64 ~ 0.8배 :  2.24 ~ 2.8 MPa
봉판의 작동압력 (저압식)
⊙ 내압시험압력의 0.8~1 (내압시험압력)  : 2.8 ~ 3.5 MPa
압력경보장치의 작동압력 (저압식)
⊙ 2.3 MPa 이상 1.9 MPa 이하
충전비 (저장용기)
고압식
⊙ 1.5 ~ 1.9 이하
저압식
⊙ 1.1 ~ 1.4 이하
분사헤드의 방사압력
고압식
⊙ 2.1 MPa 이하
저압식
⊙ 1.05 MPa 이하
 

 ◈ 충전비 : 용기의 용적과 소화약제의 중량과의 비율

 ◈ 저압식 저장용기 : 액면계 및 압력계를 설치할 것

[참고] 이산화탄소의 특성

   ① 대기압 및 상온에서의 상태 : 기체

   ② 분자량 : 44

   ③ 증기밀도 : 44/29 = 1.52 (공기보다 약 1.52배 무겁다)

   ④ 승화점 (-78.5℃) : 고체가 액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가 되는 점

   ⑤ 삼중점 (-56.3℃) :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는 점

   ⑥ 임계점 (31.35℃) : 압력에 관계없이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점 (액화하지 않는 점)

   ⑦ 임계압력 : 72.75 atm

   ⑧ 주된 소화효과 : 질식 효과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량>

1.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가. 전역방출방식

  ① 표면화재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 약제량 [㎏/㎥] × 보정계수 + 개구부 면적 × 개구부 가산량 [㎏/㎡]

 

   ※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방호구역체적
소요 약제량
최소 저장량
개구부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45 ㎥ 미만
1㎏ / ㎥
45 ㎏
5 ㎏ / ㎡
45 ㎥ 이상 150 ㎥ 미만
0.9 ㎏ / ㎥
150 ㎥ 이상 1,450 ㎥ 미만
0.8 ㎏ / ㎥
135 ㎏
1,450 ㎥ 이상
0.75 ㎏ / ㎥
1,125 ㎏

  ② 심부화재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 약제량 [㎏/㎥] × 보정계수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방대상물
소요 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 전기설비 (유압기기 제외)
⊙ 케이블실 (무조건 1.3)
1.3 ㎏/㎥
10 ㎏/㎡
⊙ 전기설비 (55 ㎡ 미만)
1.6 ㎏/㎥
⊙ 서고, 전자제품창고, 목재가공품창고, 박물관
2.0 ㎏/㎡
⊙ 고무류, 면화류 창고, 모피창고, 석탄창고,  집진설비
2.7 ㎏/㎥

 나. 국소방출방식

 

    여기서, a : 방호대상물 주위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0.6 m 이내에 설치된 실제 벽, 누설되지 않는 벽면적

                 A : 방호공간의 벽면적 (벽이 없는 경우에는 벽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 부분의 면적) 의 합계 [㎡] (전체 벽면적

                      으로서 0.6 m 이내에 실제 벽이 있을 경우를 포함하며, 0.6m 이내에 벽이 없을 경우에는 가상의 벽이 있다고

                      가정한 벽면적의 합계)

 

2. 할론 소화설비 (잘 안나옴)

 가. 전역방출설비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 역체적 [㎥] × 소요 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소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방대상물
소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차고, 주차장, 전기실, 전산실, 통신기기실, 합성수지류
0.32 ㎏/㎥
2.4 ㎏ / ㎡
서류, 면화류, 볏짚류, 목재가공품, 대팻밥, 나무부스러기 등
0.52 ㎏ / ㎥
3.9 ㎏ / ㎡

 나. 국소방출방식

  ① 윗면이 개방된 용기, 연소면이 1면에 한정되고 가연물이 비산할 우려가 없는 경우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저장량
할론 1301
방호대상물 표면적 [㎡] × 6.8 ㎏/㎡ × 1.25
할론 1211
방호대상물 표면적 [㎡] × 7.6 ㎏/㎡ × 1.1
할론 2402
방호대상물 표면적 [㎡] × 8.8 ㎏/㎡ × 1.1

 ② 기타

 

    여기서, Q : 방호공간 1㎥에 대한 할론소화약제의 양 [㎏/㎥]

                 a : 방호대상물 주위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A : 방호공간의 벽면적의 합계 [㎡]

                 X, Y : 수치

3.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①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여기서, W : 소화약제의 무게 [㎏]

                        V : 방호구역의 체적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 : 표로 주어짐

                        C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설계농도 = 소화농도 × 안전계수 (A, C급 : 1.2, B급 : 1.3) (문제에서 주어짐)

                         t : 방호구역의 최소 예상온도 [℃]

 

 ②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여기서, X : 공간체적 당 더해진 소화약제의 부피 [㎥/㎥]

                        S : 소화약제별 선형상수 [㎥/㎏]

                        Vs : 20 ℃ 에서 소화약제의 비체적 [㎥/㎏] (20℃에서는 Vs/S = 1이 된다)

                               = (K1 + K2 × 20℃) : 체적에 따른 소화약제의 설계 농도 [%]

                         C : 설계농도 = 소화농도 × 안전계수 (A, C급 : 1.2, B급 : 1.3)

                          t : 방호구역의 최소 예상 온도 [℃]

                          V : 방호구역체적 [㎥]

            ※ NFTC 107 A 2.7.3 : 배관의 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는 10초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는

                                                A·C급 화재 2분, B급 화재 1분)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설계농도의 95% 이상 해당

                                               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할 것

4. 분말소화약제

가. 전역방출방식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 약제량 [㎏/㎥]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소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화약제의 종별
소요 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제1종 분말
0.6 ㎏ / ㎥
4.5 ㎏ / ㎡
제2 · 3종 분말
0.36 ㎏ / ㎥
2.7 ㎏ / ㎡
제4종 분말
0.24 ㎏ / ㎥
1.8 ㎏ / ㎡

나. 국소방출방식

  ① 윗면이 개방된 용기, 연소면이 1면에 한정되고 가연물이 비산할 우려가 없는 경우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 저장량
제1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8.8 ㎏/㎡ × 1.1
제2 · 3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5.2 ㎏/㎡ × 1.1
제4종 분말
방호대상물 표면적 [㎡] × 3.6 ㎏/㎡ × 1.1

  ② 기 타 

        여기서, Q : 단위 체적당 소화약제의 양 [㎏/㎥]

                     a : 방호대상물의 주변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A : 방호공간의 벽면적의 합계 [㎡]

                     X,Y : 수치

 

2. 소화약제 (NFTC 106 2.2)

 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① 표면화재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 약제량 [㎏/㎥] × 보정계수 + 개구부 면적 × 개구부 가산량 [㎏/㎡]

 ※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방호구역체적
소요 약제량
최소 저장량
개구부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45 ㎥ 미만
1㎏ / ㎥
45 ㎏
5 ㎏ / ㎡
45 ㎥ 이상 150 ㎥ 미만
0.9 ㎏ / ㎥
150 ㎥ 이상 1,450 ㎥ 미만
0.8 ㎏ / ㎥
135 ㎏
1,450 ㎥ 이상
0.75 ㎏ / ㎥
1,125 ㎏

 ② 심부화재

  ▣ 소화약제 저장량 [㎏] = 방호구역 체적 [㎥] × 소요 약제량 [㎏/㎥] × 보정계수 + 개구부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소요약제량 및 개구부 가산량

소방대상물
소요 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 전기설비 (유압기기 제외)
⊙ 케이블실 (무조건 1.3)
1.3 ㎏/㎥
10 ㎏/㎡
⊙ 전기설비 (55 ㎡ 미만)
1.6 ㎏/㎥
⊙ 서고, 전자제품창고, 목재가공품창고, 박물관
2.0 ㎏/㎡
⊙ 고무류, 면화류 창고, 모피창고, 석탄창고, 집진설비
2.7 ㎏/㎥

 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국소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여기서, a : 방호대상물 주위에 설치된 벽면적의 합계 [㎡] (0.6 m 이내에 설치된 실제 벽, 누설되지 않는 벽면적

                A : 방호공간의 벽면적 (벽이 없는 경우에는 벽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 부분의 면적) 의 합계 [㎡] (전체 벽면적으로

                     서 0.6 m 이내에 실제 벽이 있을 경우를 포함하며, 0.6m 이내에 벽이 없을 경우에는 가상의 벽이 있다고 가정

                     한 벽면적의 합계)

[참고] 방호공간

  ▣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0.6 m 의 거리에 둘러 싸인 공간

 

다. 호스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하나의 노즐에 대하여 90㎏ 이상으로 할 것

[참고] 최소 소화농도 · 최소 설계 농도

 

1. 최소 소화농도 (이론 농도)

2. 최소(표준) 설계농도 : 여유율 20%를 가산

         ∴ CO2 [%] = 28 % × 1.2 = 34 [%]

 

라. 가연성 액체 또는 가연성 가스의 소화에 필요한 설계농도 (NFTC 106 표 2.2.1.1.2)

방호대상물
설계농도 [%]
수소 (Hydrogen)
아세틸렌 (Acetylene)
일산화탄소 (Carbon Monoxide)
에틸렌 (Ethylene)
에탄 (Ethane)
석탄가스, 천연가스 (Coal, Natural gas)
사이클로 프로판 (Cyclo Propane)
이소부탄 (Iso Butane)
프로판 (Propane)
부탄 (Butane)
메탄 (Methane)
75
66
64
53
49
40
37
36
36
34
34

3. 기동장치 (NFTC 106 2.3)

가. 수동식 기동장치

   ① 전역방출방식방호구역 마다, 국소방출방식방호대상물 마다 설치할 것

   ②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 부분 등 조작을 하는 자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③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 부터 높이 0.8 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④ 기동장치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기동장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⑤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⑥ 기동장치방출용 스위치음향경보장치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자동식 기동장치

   ① 자동식 기동장치에는 수동으로도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② 전기식기동장치로서 7병이상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개방하는설비는 2병이상저장용기에 전자개방밸브를 부착할 것

   ③ 기계식 기동장치는 저장용기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 수동식 기동장치의 부근에는 소화약제방출을 지연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를 설치할 것

  ◈ 분말소화설비의 가압용 가스용기 : 분말소화설비의 가압용 가스용기를 3병 이상 설치할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용기에

      전자밸브를 부착해야 한다.

  ◈ 가스압력식 기동용 가스용기의 기준

구 분
기 준
충전압력 (21℃ 기준)
6 MPa 이상
내용적
5 ℓ 이상
내압시험압력
25 MPa 이상
안전장치의 작동압력
내압시험압력의 0.8 ~1 (내압시험압력) 이하  : 20 ~ 25MPa 이하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충전비

저 장 용 기
⊙ 저압식 : 1.1 ~ 1.4 이하
⊙ 고압식 : 1.5 ~ 1.9 이하
 

4. 배관 등 (NFTC 106 2.5)

가. 배관의 설치기준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강관 · 동관의 배관배관부속은 다음 표에 따른다.

구 분
설치조건
강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고압식
스케줄 80 이상
(호칭구경 20㎜ 이하 : 스케줄 40 이상)
저압식
스케줄 40 이상
동관 (이음이 없는 동 및 동합금관)
고압식
16.5 MPa 이상
저압식
3.75 MPa 이상
배관부속
고압식
1차측 : 4MPa 이상
2차측 : 2MPa 이상
저압식
2 MPa 이상

  ◈ 설비별 약제 방사시간

구 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할론
소화
설비
분말
소화
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
불활성기체
표면화재
심부화재
전역
방출
방식
기타
특성소방
대상물
10초 이내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 방사)
A·C 화재 : 2분,
B급 화재 : 1분 이내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 방사)
10초
이내
60
이내
1분
이내
7분 이내
(설계농도가 2분이내에
  30%
도달)
위험물
제조소 등
-
30
이내
30초
이내
60초
이내
60초
이내
국소
방출
방식
기타
특정소방
대상물
-
1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위험물
제조소 등
-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30초
이내

   ※ 문제에서 특별한 조건이 없을 경우 기타 특정소방대상물을 적용할 것

나. 토너먼트배관 (균배배관) 방식

  ① 소화약제 방출시 배관 내의 마찰손실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식

 

 ② 토너먼트 배관 (균배배관) 방식의 적용 설비 ★★★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할론 소화설비

   ㉢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분말 소화설비

   ㉤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5. 선택밸브

가. 선택밸브의 설치기준 (NFTC 106 2.6)

   ①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마다 설치할 것

   ② 각 선택밸브에는 그 담당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을 표시할 것

 

 나. 선택밸브 설치위치

 

   ◈ 소화약제의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의 집합배관에는 수동잠금밸브를 설치하되 선택밸브 직전에 설치할 것.

        다만, 선택밸브가 없는 설비의 경우에는 저장용기실 내에 설치하되 조작 밎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6. 분사헤드 (NFTC 106 2.7)

가. 전역방출방식

   ① 방사된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의 전역에 균일하게 신속히 확산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이 2.1 MPa (저압식 : 1.05 MPa) 이상의 것으로 할 것

나. 국소방출방식

   ① 소화약제의 방사에 따라 가연물비산하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저장량은 3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다. 호스릴 방식

   ①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15 m 이하 되도록 할 것

   ② 노즐은 20 ℃ 에서 하나의 노즐마다 60 ㎏/min 이상의 소화약제를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소화약제 저장용기는 호스릴설치하는 장소마다 설치할 것

   ④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방밸브는 호스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⑤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가장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표시등을 설치하고, 호스릴이산화탄소 소화설비가 있다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7.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분사헤드 설치제외 장소 (NFTC 106 2.13)  ★★★

   ① 방재실, 제어실 등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

   ②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이드 제품 등 자기 연소성 물질을 저장 · 취급하는 장소

   ③ 나트륨, 칼륨, 칼슘 등 활성금속물질을 저장 · 취급하는 장소

   ④ 전시장 등의 관람을 위하여 다수인이 출입 · 통행하는 통로 및 전시실

8. 음향경보장치의 설치기준 (NFTC 106 2.10)

   ① 수동식 기동장치를 설치한 것은 그 기동장치조작과정에서 자동식, 기동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화재감지기

        연동하여 자동으로 경보를 발하는 것으로 할 것

   ② 소화약제의 방사 개시 후 1분 이상 경보를 계속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안에 있는 자에게 유효하게 경보할 수 있는 것

9. 자동폐쇄장치 (NFTC 106 2.11)

  ① 환기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이산화탄소가 방사되기 전에 해당 환기장치정지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개구부가 있거나 천장으로 부터 1m 이상의 아랫부분 또는 바닥으로 부터 해당 층의 높이의 2/3 이내의 부분에 통기구

       가 있어 이산화탄소의 유출에 따라 소화효과를 감소시킬 우려가 있는 것에 있어서는 이산화탄소가 방사되기 전에

       해당 개구부통기구폐쇄할 수 있도록 할 것

  ③ 자동폐쇄장치는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에서 복구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그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를 할 것

  ◈ 피스톤릴리져 : 소화가스 방출시 소화가스가 누설될 수 있는 급 · 배기 댐퍼, 환기팬 등에 설치하여 소화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개구부를 자동적으로 폐쇄시키기 위한 장치

10. 배출설비 (NFTC 106 2.13)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배출설비 설치대상

  ① 지하층 ② 무창층 ③ 밀폐된 거실 : 질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배출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11. 안전시설 등 (NFTC 106 2.16)

  ① 소화약제 방출시 방호구역 내와 부근에 가스방출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소에 시각 경보장치를 설치하여 소화약제가

       방출되었음을 알도록 할 것

  ② 방호구역의 출입구 부근 잘 보이는 장소에 약제방출에 따른 위험경고 표지를 부착할 것

[참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관련식

가. CO2 농도

나. 방출가스량

          여기서, V : 방출가스량 [㎥]

                      O2 : O2의 농도 [%]

                   ※ 방출가스량 [㎥] = 소화약제량 [㎏] × 비체적 [㎥/㎏]

다.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 아보가드로의 법칙 (1kmol은 0℃, 1atm, 22.4㎥)에 따라 보일 - 샤를의 법칙이 PV / T = R (일정) 하다면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으며,  기체의 분자량에 따라 기체상수는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P : 절대압력 (Pa = N/㎡), V = 체적 [㎥], n : 몰수(kmol),  T : 절대온도 (K=273 + ℃)

라. 헤드의 분구면적

마. 헤드 (오리피스)의 등가분구면적

 

바. 분사헤드 개수

 

사. 소화약제의 유량 속도

아. 선택밸브 직후 (개방 직후)의 유량

자. 개방밸브의 직후의 유량

 

차. 하나의 분사헤드에 대한 방사량 (방출유량)

 

 

 

 

 

 


카. 액화 CO
2 의 증발량

   여기서, Q : 액화 CO2 의 증발량 [㎏], W : 배관의 중량 [㎏]

                C : 배관의 비열 [kcal/㎏·℃]

                t1 : 방출 전 배관의 평균온도 [℃],       t2 : 방출하는 동안 배관의 평균온도 [℃]

                H : 액화 CO2의 증발잠열 [kcal/㎏]

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과압 배출구의 면적

          여기서, A : 과압배출구의 면적 [㎟]

                      Q  : 이산화탄소의 유량 [㎏/min]

                      P : 방호구역 내 구조물의 허용 압력 [㎏/㎠], [kPa]

※ 방호구역 내 구조물의 허용압력 (P)

구 조
P
경량 구조물
1.2 kPa
일반 구조물
2.4 kPa
동근 구조물
4.8 kPa

 

 ◈ 이너젠 (IG - 541) 설비의 과압배출구 면적 

      여기서, A : 과압배출구의 면적 [㎠]

                   Q : 이너젠 유량 [㎥/min]

                   P : 방호구역 내 구조물의 허용압력 [㎏/㎡]

※ 방호구역 내 구조물의 허용압력 [P]

구 조
P
경량 구조물
10 ㎏/㎡
블록마감
50 ㎏ / ㎡
철근콘크리트 벽
100 ㎏/㎡
부재의 종류를 알 수 없는 일반적인 건축자재
49 ㎏/㎡

#이산화탄소 #CO2 #소화약제 #오리피스 #선택밸브 #표면화재 #심부화재 #분사헤드

#기동장치 #방호구역 #전역방출방식 #설계농도 #할로겐화합물 #충전량 #불활성기체

반응형
반응형

1. 가압 송수장치

가. 고가 수조 방식

  ▣ 특정소방대상물의 옥상 또는 높은 지점수조를 설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 방수압력규정 방수량

       얻는 방식

    H = h1 + h2 + 17 [m]

      여기서, H : 필요한 낙차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 수두 [m]

                   17 : 옥내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두 [m] (0.17 MPa → 약 17m)

 

※ 각 설비별 방수압 · 방수량

구 분
방수압
방수량
옥내소화전설비
0.17 MPa 이상 (0.7 MPa 초과시 감압장치 설치)
130 ℓ/min 이상 (옥내소화전 최대 2개)
옥외소화전설비
0.25 MPa 이상(0.7 MPa 초과시 감압장치 설치)
350 ℓ/min 이상 (옥내소화전 최대 2개)
스프링클러설비
0.1 MPa 이상  1.2 MPa 이하
80 ℓ/min 이상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0.1 MPa 이상
50 ℓ/min 이상
드렌처 설비
0.1 MPa 이상
80 ℓ/min 이상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특수가연물
2.3 ℓ/min·㎡ 이상
기타의 것
1.63 ℓ/min·㎡ 이상
연결송수관설비
0.35 MPa 이상
⊙ 2,400 ℓ/min, 3,200, 4,000
(계단식 아파트 : 1,200ℓ/min 이상)
- 해당 층에 설치된 방수구가 3개 초과
  (최대 5개)시 방수구 마다 
800 ℓ/min
  (계단식 아파트 :
400 ℓ/min)을 가산
소화용수설비
0.15 MPa 이상
(소화수조가 옥상 또는 옥탑에 설치된 경우에 지상에
설치된 채수구에서의 압력)
⊙ 수원의 소요수량
   - 20~40 ㎥ 미만 : 1,100ℓ/분 이상
   - 40~100 ㎥ 미만 : 2,200ℓ/분 이상
   - 100 ㎥ 이상 : 3,300 ℓ/min 이상

※ 압력수조에 설치해야 할 부속장치

  ① 수위계   ② 급수관   ③ 배수관   ④ 급기관   ⑤ 압력계   ⑥ 안전장치    ⑦ 자동식 공기 압축기   ⑧ 맨홀

나. 압력수조방식

탱크의 1/3은 자동식 공기압축기로 압축공기를 2/3를, 2/3는 급수펌프로 물을 가압시켜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 및 규정 방수량을 얻는 방식

  P = P1 + P2 + P3 + 0.17 [MPa]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Pa]

                  P3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0.17 : 옥내 소화전설비 규정 방수압력 (0.17 MPa)

 

다. 펌프 방식

  펌프의 가압에 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방수압력규정방수량을 얻는 방식

    H = h1 + h2 + h3 + 17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h3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17 : 옥내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수 [m] (0.17 MPa → 약 17 m)

 

※ 토출양정   - 일제개방밸브 : 유수검지장치까지

                     - 나머지 : 최고위 살수장치 높이 까지

※ 실양정 : 흡입양정 [m] + 토출양정 [m]

※ 펌프 송수불능의 원인

   ① 스트레이너 막힘

   ② 토출 압력 불충분

   ③ 유효흡입양정 (NPSH)의 부족

[참고] 옥내소화전설비 전양정 계산시 알아 두어야 할 사항

 

1)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h1)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 호스의 길이 × 호스의 개수 × 100 m 당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2)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h2)

호칭구경 [A]
유량 [ℓ/min]
직관 및 관부속품의 등가길이 [m]
100 m 당 마찰손실
마찰손실수두 [m]

3) 실양정 (h3)

  후드밸브로 부터 최상층 옥내 소화전 호스접결구 (앵글밸브)까지의 수직거리

      ∴ 실양정 = 흡입양정 + 토출양정

※ 펌프의 직 · 병렬 운전

                   1) 펌프의 직렬 운전                                                               2) 펌프의 병렬운전

                       ① 토출량 : Q                                                                         ① 토출량 : 2Q

                       ② 양정 : 2H                                                                           ② 양정 : H

[참고] 펌프의 종류

펌 프
터보형 펌프


원심펌프

볼류트 펌프 : 안내깃(날개)이 없다.   고유량, 저양정
터빈 펌프 : 안내깃(날개)이 있다.   저유량, 고양정
사류 펌프
축류 펌프
용적형 펌프






왕복 펌프


피스톤 펌프
플런저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윙 펌프
회전 펌프


기어 펌프
베인 펌프
롤러 펌프
나사 펌프
특수형 펌프
제트 펌프 (분사 펌프)
기포 펌프
수격 펌프

라. 가압수조방식

   가압원인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고압기체 (N2 등)에 의하여 각 설비의 방수구에서 규정 방수압력 및 규정방수량

   얻는 방식

마. 감압장치의 종류 (시험 자주 출제, 3가지를 쓰시오)

  ① 감압밸브 방식 : 배관 도중에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감압하는 방식

 

  ② 고가수조방식 : 건물의 옥상고가수조를 설치하고 저층부에 대하여 0.7 MPa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압송수

                                펌프 없이 자연 낙차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방식

 

  ③ 전용배관방식 : 설비의 시스템 (System)을 고층부저층부로 분리한 후 주배관 및 펌프 등을 각각 별도구분하여

                               설치하는 방식

 

  ④ 중계펌프 (Booster pump) 방식 : 건물의 중간층에 중계펌프 (Booster pump) 및 중간 수조별도로 설치하는 방식

 

 ⑤ 감압용 오리피스 방식 : 호스접결구의 앵글밸브의 인입구측에 오리피스를 설치하는 방식

 

#가압송수장치 #오리피스 #중계펌프 #감압밸브 #고가수조 #터빈펌프 #볼류트펌프

#양정 #방수구 #방수량 #옥내소화전 #압력수조방식 #마찰손실수두 #낙차

반응형
반응형

1. 유압 발생 장치

가. 유압 펌프 (hydraulic oil pump)의 종류

 

  1) 물림법에 의한 분류 외접형, 내접형

 

  2) 치형에 의한 분류 : involute 치형, trochoid 치형

  3) 치근에 의한 분류 : 평기어(super gear), 경사식기어(helical gear), 산형식기어 (double helical gear)

  4) 기어수에 의한 분류 : 2기어펌프(two gear pump), 3기어펌프(triple gear pump)

 

  5) 측판구조에 의한 분류 : 고정 측판형, 가동 측판형

 

나. 외접 기어 펌프 (external gear pump)

  ▣ 구동기어가 수동기어를 구동시켜가면서 서로 맞물고 회전할 때 pumping 작용이 일어남

   ⊙ involute gear, 고압작동 가능하고 효율이 높음 폐입으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음.

   ⊙ 측판(side plate)에 relief groove를 설치하여 폐입을 방지

   ⊙ sine curve나 trochoid gear는 폐입 현상이 일어나지 않음. 수 10 ㎏f/㎠ 이하의 저압에 사용

 

  ⊙ 고압용 gear pump (압력 140~210 10 ㎏f/㎠ )

    압력평형형(pressure balance type) : 고정측판에 송출압력을 유도하여 고압시 측면 틈 을 감소시키는 방법 압력부하형

     (pressure loaded type) : 베어링 부슈와 일체로 된 측판의 배면에 송출압력 을 유도하는 방법

 

다. 내접 기어 펌프 (internal gear pump)

   펌프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바깥기어와 접해서 회전하는 안기어와 초생달 모양의 스페이서 (crescent shaped spacer)로

    구성 치형이 마모되면 외접 기어펌프에 비하여 효율이 급속히 저하됨

 

라. 베인 펌프 (vane pump)

 

① 고정용량 압력평형식 ( fixed displacement balanced type) : 각 개의 흡입구와 각개의 송출구가 각각 회전자에 대해 대칭

     되는 위치에 배치 회전자를 중심으로 압력의 크기가 같고 방향은 반대로 작용

② 고정용량 압력불평형식(fixed displacement unbalanced type) 펌프의 한쪽에서만 펌핑작용 송출압력이 비례하는 정압

     력의 불평형분의 하중이 주축수에 작용 회전축과 축수는 충분한 강도가 요구됨

③ 가변용량 압력불평형식(variable displacement unbalanced type) : 부하의 변동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자의

     회전중심 혹은 캠링을 이동시켜 편심 량을 변화시켜 송출량을 조절.

  ▣ 베인펌프 구성요소 : 흡입구, 송출구, 구동회전자(driven rotor), 활동베인(sliding vane), 캠링(cam ring), casing

  ▣ 베인펌프의 장점

   ① 송출압력의 맥동이 적다     ② 구동동력에 비해 소형이다.    ③ 베인 선단이 마모되어도 압력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④ 고장이 적고 보수가 용이하다.

  ▣ 베인펌프의 단점

    ① 베인, 회전자, 캠링의 공작정도가 높아야 하고 양질의 재료를 선택해야한다.

    ② 기름의 점도, 청정도 등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③ 부품수가 많다.

▣ 고정실린더 형 레이디얼 펌프

 

   ⊙ 플런저가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캠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열

   ⊙ 편심 캠에 의하여 구동 ‧ 플런저의 입구에 역지밸브가 있어 한쪽 방향으로만 유압유가 흐르도록 됨

   ⊙ 플런저가 회전하지 않아 비교적 고압에서도 무리가 적음.

▣ 가변용량형 레이디얼 펌프

 

   ⊙ 외주의 편심량 조절 가능

   ⊙ 편심량 조절은 유압,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함

   ⊙ 캠 링(외주)을 반대로 이동시켜 편심 방향을 반대로 하면 구동 방향의 변화 없이도 작동유의 송출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음.

▣ 회전실린더 형 레이디얼 펌프

 

   ⊙ 플런저를 내장한 실린더 블록이 흡입, 송출 밸브작용 하는 고정핀틀을 중심으로 회전

【유압 펌프의 종류】

가. 기어 펌프(Gear Pump)

 ▣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비교적 값이 저렴하고 고압용이며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 기어의 맞물리는 형태에 따라 내접기어 펌프(Internal Gear Pump)와 외접기어 펌프 (External Gear Pump)로 분류하고

   ⊙ 내접기어는 사절판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누는데, 사절판이 없는 것은 트로코이드 펌프(Trochoid Pump)라고

        부른다.

   ⊙ 외접기어 형은 고정 측판 형과 기동 측판 형으로 나누며 가동 측판 형은 다시 베어링과 측판이 별개인 것과 측판과

        베어링이 일체인 것이 있다.

 

나. 외접기어 펌프(External Gear Pump)

 ▣ 외접기어 펌프는 일정한 유량을 생성함과 동시에 요구되는 힘을 전달한다.

 ▣ 대부분 하우징, 조립 플랜지, 구동측, 2개의 베어링, 베어링 부시와 유체 정역학적 측면 틈새 보강(hydraustatic gap

       compensation)을 위한 디스크로 구성된다.

 ▣ 회전운동하는 동안 기어가 분리되면서 기어 챔버가 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생성되는 음압과 탱크의 액면에 작용하는

      대기압이 압축유를 탱크로 부터 흐르게 한다.

 ▣ 이 압축유가 기어 챔버를 채우게 되고 흡입구로부터 토출측(pressure side)으로 운반되며, 여기서 기어들은 다시 맞물

      리면서 압축유를 기어 챔버 바깥으로 밀어내고 흡입 챔버로 유량이 되돌아가는 것을 막는다. 펌프의 심한 트래핑을 막

      기 위해서 부하를 줄이는 작은 홈이 베어링 블록의 측면에 나 있다. 이로써 압축된 작동유(squashed fluid)가 압력 챔버

       로 흐른다.

 

다. 내접기어 펌프(Internal Gear Pump)

기본적으로 하우징, 베어링 커버, 중공기어, 피니언 축, 미끄럼 베어링, 액시얼 플레이트, 블랭킹(blanking) 평판, 조립 플랜지, 멈춤핀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캐리어와 씰링 롤로 구성되어 있는 세그먼트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과 변환 과정은 동적 유체 베어링(hydro-dynamic bearing)이 부착된 피니언 축이 중공 내접기어를 구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동안 체적이 흡입부의 약 90º 각도에서 증가한다. 부압이 생성되고 챔버로 작동유가 흐르게 된다.

낫 모양의 세그먼트 어셈블리는 흡입부를 압력실과 분리시킨다. 압력실 안에서 피니언 축의 기어 이와 중공 내접기어의 이가 맞물리며, 작동유는 압력 채널을 통하여 토출된다.

 

라. 베인 펌프(Vane Pump)

안정된 성능과 폭넓은 토출량 범위를 갖고 있어 유압 작동원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부하 베어링에 의한 낮은 마모와 낮은 소음, 교환 가능한 펌프 카트리지에 의한 용이한 작업성, 탁월한 효율, 압력 연결 위치의 선택성, 펌프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의 축 방향 전환이 간단하다. 가변용량형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저압용이 많이 시판되고 있다.

 

정용량형 베인펌프(Fixed Displacement Vane Pump)

회전자는 내부 고정자 안에서 회전하는 구동축에 스플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베인은 회전자 안의 홈에 끼워져 있고, 회전자 회전에 의한 횡력으로 고정자 링의 내부 표면 위에서 압력을 받게 된다. 배출 용량 챔버는 제어 플레이트에 의해 측면에서 밀폐 된다. 고정자 링의 이중 편심 형성에 의해 , 2개의 챔버와 2개의 흡입 챔버가 각각 마주 보고 있는 형태다. 이로 인해 구동축은 무부하가 된다. 이러한 구동축을 통해 토크력이 전달된다. 베인은 흡입부를 통과할 때는 부분적으로 무부하가 된다. 이러한 무부하는 마모를 감소시키고 높은 효율성을 보장한다. 덮개를 단순히 제거하므로써, 펌프 마운팅 브라켓에서 하우징을 제거하는 것 없이 펌프 카트리지(회전자 구성, 베인, 고정자 링과 제어 플레이트) 제거가 가능하다. 이것은 펌프의 빠른 수리와 유지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가변용량형 베인펌프(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가변용량형 베인펌프의 구조는 하우징, 베인, 고정자 링, 압력제어기, 조절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원형의 고정자 링은 작은 제어 피스톤과 큰 제어 피스톤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링의 세 번째 접촉부분은 높이 조절나사이다. 구동된 회전자는 고정자 링 안쪽에서 회전한다. 회전자 안에 끼여 있는 베인은 횡력에 의해 고정자 링에 대해 압력을 받게 된다.

흡입과 변위 과정은 작동유의 이송을 필요로 하는 챔버는 베인, 회전자, 고정자링과 제어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시운전 동안 펌프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고정자 링은 큰 제어 피스톤 뒤에 있는 스프링에 의해 편심 위치(변위 위치)가 유지된다. 회전자의 회전 때문에, 챔버의 부피는 증가하고, 동시에 흡입관을 통하여 작동유가 채워진다. 최대 챔버 부피가 되었을 때, 챔버는 흡입측에서 분리된다. 회전자가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압력츠에 연결되고, 작아지면서 토출관을 통하여 시스템속으로 작동유를 밀어 넣는다.

조정하는 방법은 시스템 압력이 축적될 동안, 동시에 작은 제어 피스톤의 뒤쪽 표면은 유로를 통하여 시스템과 연결되어 항상 시스템의 압력을 받게 된다. 변위 위치에서 펌프 작용을 할 때, 큰 제어 피스톤의 뒤쪽 표면은 제어 피스톤 안의 홀을 통하여 시스템의 압력을 받는다. 넓은 표면의 제어 피스톤은 편심 위치에서 고정자 링을 지지하고 있다. 펌프의 압력 제어기 에서의 제로 스트로크 압력 보다 낮은 압력에서 작동유를 밀어 낸다. 제어 피스톤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마. 피스톤 펌프(Piston Pump)

 

◈ 레디얼 피스톤 펌프(Fixed Displacement Radial Piston Pump)

고압 사용이 가능하고 또 가변용량형도 있으나 비교적 고가이다. 레디얼 피스톤 펌프는 기본적으로 하우징, 편심축과 흡입 밸브를 가진 중공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운동하고, 스프링에 의해 편심축 위로 밀게 된다. 피스톤 운동 표면 반경은 편심 반경에 상응한다. 실린더는 반구상의 요소를 밀폐한다. 피스톤이 하향 운동하면, 실린더 내의 작업 챔버는 크기가 증가한다. 이로 인한 음압은 seal 끝단으로부터 흡입 밸브 판을 들어 올린다. 동시에 흡입 챔버는 편심축 안에 있는 번경 홈에 의해 작업 챔버에 연결된다. 작업 챔버는 작동유로 가득찬다. 피스톤이 상향 운동하면, 흡입 밸브는 닫히고 압력 밸브가 열린다. 작동유는 압력 포트를 통해 시스템으로 흐른다.

 

◈ 액시얼 피스톤 펌프(Axial Piston Pump)

구동축에 대하여 피스톤이 축방향(축과 평행)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액시얼형이라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 레디얼 형보다 시중에 더 많이 보급되어 있다. 정용량형과 가변용량형이 있으며, 또 구조에 따라 사판형과 사축형으로 분류된다.

【 출제 예상 문제】

1. 유압 장치의 동력 전달 순서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전동기 → 유압 펌프 → 유압 제어 밸브 → 유압 액추에이터 → 일

   ② 전동기 → 유압 제어 밸브 → 유압 펌프 → 유압 액추에이터 → 일

   ③ 전동기 → 가열기 → 유압 제어 밸브 → 유압 액추에이터 → 일

   ④ 유압펌프 → 유압 제어 밸브 → 유압 액추에이터 → 축압기 → 일

[해설] 전동기의 전기에너지가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기계 에너지로 변환되고, 유압 펌프에 의해 유체 에너지가 생성되어

           제어 밸브를 거쳐 유압 액추에이터로 공급되어, 액추에이터에서 기계적인 일을 하게 된다.

액추에이터 :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입력하고 액추에이터에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외부 신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  모션 형태의 출력은 회전 또는 선형 일 수 있으며 시스템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사용된다.

 

⊙ 액추에이터 : 무언가를 작동시키는 행위에서 비롯된다. 즉, 작동이란 무언가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하는 일의 표현을

                          단순화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는 신호를 읽고 나서 작동하거나 작동한다. 액추에이터는 일반적으로 전체

                           시스템이나 기계 또는 장치의 일부다.

2. 용적식 유압 펌프가 아닌 것은 ? [16-2, 20-4]

   ① 나사 펌프     ② 베인 펌프     ③ 벌류트 펌프     ④ 왕복동 펌프

[해설] 용적식 펌프 : 옹복운동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점성이 있는 액체를 펌핑하여 밀어 보내는 형식의 펌프이다. 용적식

           펌프는 일정한 양의 유체를 가두어 토출 파이프 또는 토출 시스템에 가두어 놓음으로써 유체를 움직이게 한다. 일부

            용적식 펌프 흡입측에서 팽창하는 공동과 배출측에서 감소하는 공동을 사용하는데 액체는 흡입측의 공동이 팽창

            하면서 펌프로 흘러 들어가고 배출측에서는 공동이 붕괴하면서 흘러 나오게 된다. 용적식 펌프는 임펠러를 사용하

            지는 않지만 액체를 배출시스템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압력이 축적될 때 까지 필폐된 공동에서 액체를 직접

            액체를 밀어 내기 위한 회전 또는 왕복 부품을 사용한다.

◈ 왕복식 용적식 펌프 : 피스톤, 플런저 또는 다이어프램의 반복적인 전후 이동인 스토로크로 작동하며 이런 순환 방식을

                                       왕복이라 부른다.

◈ 회전식 용적식 펌프 : 왕복 펌프의 전진 및 후진 운동 대신 톱니 바퀴 또는 기어의 작동을 이용하여 유체를 전달시켜

                 준다. 회전소자는 펌프 케이스와 함께 액체 씰을 형성하고 펌프 흡입구에서 흡입을 생성하는데 펌프로 흡입되는

                 유체는 회전하는 톱니 또는 기어의 톱니안에 둘러싸여 토크로 전달된다. 회전식 용적식 펌프의 예로는 기어펌프

                 이다.

3. 다음 중 220 bar 이상의 고압에 주로 이용되는 펌프는 ? [11-4, 19-2]

   ① 기어 펌프         ② 나사 펌프             ③ 베인 펌프              ④ 피스톤 펌프

[해설] 펌프의 특징

베인 펌프
기어 펌프
피스톤 펌프
⊙ 평균에서 높다.
⊙ 고성능 베인 펌프이다.  (max 175 ㎏/㎠)
평균에서 낮다. 단, 최근에
일부 고압화되어 있다. (max 270 ㎏/㎠)
일반적으로 최고압이다.

4. 다음 펌프 중 고속에서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 [16-2]

   ① 기어 펌프           ② 베인 펌프            ③ 트로코이드 펌프               ④ 회전 피스톤 펌프

5. 피스톤 펌프 중 구동축과 실린더 블록의 축을 동일 축선상에 놓고 그 축선상에 대해 기울어져 고정 경사판이 부착되어

    있는 방식은 ? [19-4]

   ① 사축식              ② 사판식                    ③ 회전 캠형               ④ 회전 피스톤형

[해설] ㉠ 사축식 (bent axis) : 구동축과 실린더 블록의 중심축이 경사진 것

           ㉡ 사판식 (swash plate) : 구동축과 실린더 블록을 동일 축상에 배치하고 경사판의 각도를 바꾼 것

6. 가변 토출량형 유압 피스톤 펌프 토출라인에 릴리프 밸브를 설치한 이유는 ? [17-4]

   ① 원격 제어          ② 무부하 회로             ③ 회로내 최대 압력 설정           ④ 회로내 압력 증압 및 감압 압력 설정

7. 기어 펌프의 폐입 현상에 따른 증상이 아닌 것은 ? [17-4]

   ① 축동력 증가          ② 캐비테이션 발생             ③ 토출 유량 증대                ④기어의 진동 발생

[해설] 기어펌프의 폐입현상

▣ 정의

  ⊙ 기어의 두 치형 사이의 틈새에 가두어진 유압유는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가두어진 상태로 그 용적이 좁아지고 넓어지

       기도 한다. 2개의 기어가 동시에 맞물릴 때 기어 홈 사이에 갇힌 작동유가 앞 뒤로 출구가 막혀 갇히게 되는 현상

▣ 특징

  ⊙ 폐입 체적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축동력 및 축하중 증가

  ⊙ 진동, 소음 발생

  ⊙ 압력이 낮아지는 부분이 발생하여 기포 발생

▣ 대책

  ⊙ 케이싱 (cashing)에 릴리프 그루브 (Relief Groove) 설치

[정답]   1. ①    2. ③     3. ④     4. ④     5. ②      6. ③      7. ③

8. 유압 펌프는 송출량이 일정한 정용량형 펌프와 송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펌프가 있다. 다음 중 정용량형

    과 가변 용량형 펌프를 모두 갖는 구조는 ? [10-4]

   ① 압력 평형식 베인 펌프        ② 회전 피스톤식       ③ 기어식               ④ 나사식

[해설] 회전 플런저식은 정용량형과 가변 용량형 펌프가 있다. 이 중에서 가변 용량형은 플런저의 행정거리를 바꿀 수 잇는

           구조로 유압용으로 많이 쓰인다.

▣ 베인 펌프

 

   ⊙ 일명 편심펌프라고도 한다. 원통형 케이싱 안에 편심 회전자가 있고 그 홈 속에 핀상의 깃이 들어 있는 펌프이다.

▣ 베인펌프 장점

   ⊙ 송출 압력의 맥동이 작다.

   ⊙ 깃의 마모에 의한 압력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 펌프의 유동력에 비하여 형상치수가 작다.

   ⊙ 고장이 적고 보수가 용이하다.

▣ 단점

   ⊙ 공작정도가 요구된다.

   ⊙ 유압유 전도에 제한이 있다.

   ⊙ 기름의 보수에 주의가 필요하다.

[플런저 펌프]

▣ 플런저 펌프 : 밀봉 된 작업 챔버의 용량을 변경하는 실린더에서 플런서의 왕복 움직임에 의해 오일의 흡수 및 필요한

                         압력을 형성한다. 플런저 펌프는 고정격 압력, 컴팩트 구조, 고효율 및 편리한 유량 조정의 장점이 있다.

                         또한 고압, 큰 흐름 및 유압 프레스, 건설 기계 및 선박과 같은 흐름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에 널리 사용된다.

9. 기어 펌프에서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공동현상 (cavitation)의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 [15-2]

   ① 저점도 오일에 의한 영향                                           ② 흡입 관로의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

   ③ 기어 이의 물림이 끝나는 부분의 진공의 영향           ④ 기어의 편심으로 이끝원 위의 불규칙한 압력 분포

10. 유압 펌프 중 트로코이드 (trochoid) 펌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1-4]

  ① 폐입 현상이 크게 발생된다.                                       ② 초승달 모양의 스페이서가 있다.

  ③ 내측 기어 보다 외측 기어의 이의 수가 1개 많다.       ④ 고속 초고압용으로 적합하다.

11. 트로코이드 (trochoid) 유압 펌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4-4, 17-4]

   ① 폐입 현상이 크게 발생한다.                    ② 고속 초고압용으로 적합하다.

   ③ 초승달 모야의 스페이서가 있다.             ④ 내측 로터의 이의 수 보다 외측 로터의 이의 수가 1개 더 많다.

[해설] 트로코이드 펌프 : 내접 기어 펌프와 비슷한 모양으로 안쪽 기어 모터가 전동기에 의하여 회전하면 바깥쪽 로터도

                                따라서 회전하며, 안쪽 로터의 이수가 바깥 쪽 로터 보다 1개가 적으므로, 바깥쪽 로터의 모양에 따라

                                배출량이 결정된다.

12. 다음 그림과 같이 세개의 회전자가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하며 1회전당 토출량은 많으나 토출량의 변동이 큰 특징

       을 가진 펌프는 ? [16-4]

 

   ① 로브 펌프            ② 스크류 펌프           ③ 내접기어 펌프                  ④ 트로코이드 펌프

13. 베인펌프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17-2]

     소음이 작다.                                ② 토출 측의 맥동 현상이 적다.

   ③ 압력이 떨어질 염려가 없다.          ④ 출력에 비해 형상 치수가 크다.

 

[해설] 베인펌프의 특징 vane[vein](풍차 등의)날개, 풍향계, 바람개비 (→weathervane)

   ㉠ 토출 압력의 맥동과 소음이 적다.

   ㉡ 스타트 토크가 작아 급속 스타트가 가능하다.

   ㉢ 단일 무게당 용량이 커서 형상 치수가 최소이다.

   ㉣ 베인의 마모로 인한 압력저하가 적어 수명이 길다.

   ㉤ 비평형 베인 펌프는 송출압력이 70㎏f/㎠ 이하이다.

   ㉥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다.

[베인펌프]

 

   ㉠ 구조가 간단하고 성능이 좋아 많은 양의 기름을 수송하는데 유리

   ㉡ 구조는 원통형 케이싱안에 편심 로터가 들어 있으며 로터에는 홈이 있고 그 홈 속에는 핀 모양의 베인이 삽입되어

         베인 사이에 유체가 출입

   ㉢ 로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작용으로 베인은 케이싱 내벽과 밀착된 상태에서 기밀 유지

   ㉣ 로터를 회전시키면 로터와 케이싱 사이의 공간에 의해서 흡입 및 배출

[트로코이드 펌프]

 

   ⊙ 안쪽 로터가 전동기에 의해서 회전하면 바깥쪽 로터도 따라서 회전하며, 안쪽 로터의 잇수가 바깥쪽 로터 보다 1개

         적으므로 바깥쪽 로터의 모양에 따라 배출량이 결정

[로브 펌프]

 

작동하는 원리는 외접기어와 같으나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하므로 소음이 적으며 기어펌프 보다 1회전당 배출량은 많으나 기어의 잇수가 적으므로 배출량의 변동이 크다.

[내접 기어 펌프 (internal gear pump)]

 

안쪽 기어가 바깥 쪽 기어의 한 곳에 맞물리고 반달 모양의 내부실 (Seal)로 분리되어 있으며 전동기에 의해 안쪽 기어를 구동함

[외접 기어 펌프 (external gear pump)]

 

유체가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와 케이싱 사이를 통하여 배출되며, 한쪽 기어는 원동기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원동기어), 다른 쪽 기어는 원동기어에 의해 회전 (종동기어)

[정답]    8. ②       9. ①         10. ③           11. ④           12. ①            13. ④

14. 유압 펌프의 압력 선정시 고려할 사항은 ? [14-2, 18-2]

   ① 가열, 누설, 압력, 추종성                       ② 누설, 무게, 압력, 크기. 안정성

    무게, 압력, 양정, 크기, 난연성                  ④ 압력, 인화성, 토출량, 공동 현상

15. 유압 펌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2-4]

   ① 기어 펌프는 외접식과 내접식이 있으며 가변 용량형 펌프이다.

   ② 베인 펌프는 고정 용량형만 사용된다.

   ③ 유압 펌프는 유압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④ 유압 펌프에서 내부 누유가 많이 발생할 수록 용적 효율은 감소한다.

[해설] 기어 펌프는 구조상 고정 용량형 펌프이며, 용적 효율 (체적 효율)은 실제 토출 유량을 이론 토출유량으로 나눈 값이

           므로 내부 누유기 많아지면 실제 토출 유량이 감소하여 용적효율은 감소한다. 또 토출 압력이 커질 수록 감소하게

           되며 유압 펌프는 모터나 내연기관 등의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16. 다음 중 펌프 장치에서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 [09-4]

   ① 공동 현상 (cavitation)    ② 수격 현상 (Water hammering)    ③ 채터링 현상 (chattering)    ④ 맥동 현상 (surging)

[해설] 채터링 현상 : 릴리프 밸브 등에서 높은 음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자력 진동 현상

17. 밸브를 선정하는데 직접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4-4]

   ① 실린더의 속도     ② 실린더와 밸브 사이의 거리    ③ 허용할 수 있는 압력 저하     ④ 요구되는 스위칭 횟수

18. 다음 중 포핏 (Poppet)형 밸브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09-4]

   ① 디스크           ② 원추               ③ 볼                             ④ 스풀

[해설] 방향제어 밸브는 구조와 특성에 따라 스풀타입과 포핏타입 밸브가 사용되며, 이 외에도 로터리 슬라이드(Rotary

             Slide) 타입 밸브도 있다.

스풀형(Spool type) 밸브 : 스풀형(Spool type) 방향제어 밸브는 동작하는 스풀이 밸브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밸브이며,

      하우징은 주철 또는 구상 그랄파이트 주철, 강철 및 기타 소재로 만들어 진다. 스풀타입 밸브는 다양한 오버랩과 센터

       중립에서의 여러가지 기능을 구현하기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스풀 타입 밸브는 각 포트 사이의 기밀

         (Sealing)은 슬리브와 스풀 사이의 틈새에 의해 얻어지며, 틈새를통한 유체의 누설(leakage)은 스풀크기, 유체의

        점도, 작동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

포핏형(Poppet type) 밸브 : 포핏형 밸브는 볼이나 포핏, 플레이트가 안착할 수 있는 형태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트

       (Seat)를 갖는 하우징 구멍에 들어 있는 밸브로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 누유가 없다.

  ⊙ 누유가 없고 쓰로틀 간극이 없기 때문에 긴 수명을 가짐(압력과 유체마찰 없음)

  ⊙ 부가적인 밀봉(Sealing) 요소가 없어도 확실한 기밀이 보장

  ⊙ 밸브 내에서 유압고착과 누유가 없어 고압에서 사용될 수 있음

  ⊙ 스트로크(stroke)가 짧아 압력손실이 큼

  ⊙ 언더랩으로 인해 절환 중 압력붕괴(동시에 펌프측과 액츄에이터, 탱크 채널이 연결)가 발생

  ⊙ 밸브 축에서 압력 불평형으로 인한 성능 손실

19. 포핏 밸브 중 디스크 시트 밸브에 대한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16-2]

   ① 내구성이 좋다.        ② 구조가 복잡하다.         ③ 밀봉이 우수하다.            ④ 반응시간이 짧다.

[해설] 디스크 시트 밸브 (Disc seal valve)

㉠ 밀봉이 우수하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고 작은 거리만 움직여도 유체가 통하기 때문에 충분한 단면적을 얻을 수 있어

     반응시간이 짧다.

㉡ 이 물질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좋으며 배출 오버랩 (exhaust overlap) 형태이나 구조가 간단한 디스크 시트

     가 하나로 배출 오버랩이 일어나지 않는다.

㉢ 운동속도가 작은 경우에도 유체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며, 유니버설 플랜지 (universal flange) 판에 조립 부착하면 각각

      의 모듈을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밸브 오버랩] 밸브 오버랩은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동시에 열려 있는 것을 말한다. 밸브 오버랩이 크면 엔진 회전속도가

        고속일 경우에는 흡기 밸브의 개변 지속시간이 길어져 출력이 증가하지만 저속 특히, 공회전시에는 배기가스가 흡입

         쪽으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미연탄화수소 (HC)의 배출이 증가하고 동시에 잔류가스에 의한 엔진의 부조 현상

          이 나타난다.

[정답]   14. ②     15. ④      16. ③         17. ②           18. ④               19. ②

20. 다음 중 압력제어 밸브의 역할은 ? [14-2]

   ① 일의 속도를 조절         ② 일의 시간을 조절           ③ 일의 방향을 조절           ④ 일의 크기를 조절

[해설]   ㉠ 일의 속도 : 유량 제어 밸브       ㉡ 일의 방향 : 방향 제어 밸브       ㉢ 일의 크기 : 압력 제어밸브

21. 유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비례제어 밸브를 기능에 따라 나눌 때 다음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 [20-4]

   ① 방향 제어 밸브       ② 시간 지연 밸브              ③ 압력 제어 밸브              ④ 유량 제어 밸브

22. 밸브의 기능상 분류에서 시퀀스 밸브는 무엇인가 ? [18-4]

  ① 방향 제어         ② 속도 제어           ③ 압력 제어             ④ 유량 제어

[해설] 시퀀스 밸브는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해 주는 밸브로서 압력 제어 밸브가 대표적이다. 압력 제어 밸브

           는 압력을 컨트롤 하여 실린더의 움직임을 목적에 맞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23.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특성은 ? [19-1]

압력 제어 밸브의 조정 핸들을 조작하여 압력을 설정한 후 압력을 변화시켰다가 다시 핸들을 조작하여 원래의 설정값에 복귀시켰을 때 최초의 압력값과는 오차가 발생된다.

   ① 유량 특성        ② 릴리프 특성       ③ 압력 조절 특성          ④ 히스테리시스 특성

24. 유압 제어 밸브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07-4]

  ① 힘의 제어가 용이하다.                              속도 제어가 용이하다.

  ③ 큰 에너지의 축적이 용이하다.                 ④ 운전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다.

25. 압력 제어 유압 밸브가 아닌 것은 ? [16-4]

  ① 체크밸브          ② 릴리프 밸브               ③ 언로딩 밸브           ④ 카운터 밸런스 밸브

[해설] 체크 밸브는 방향 제어 밸브이다.

26. 압력 제어 밸브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아닌 것은 ? [16-4]

   ① 유량 특성           ② 폐입 특성         ③ 압력 조절 특성             ④ 히스테리시스 특성

[해설] 폐입 특성은 기어 펌프에서 발생되는 특성이다.

27. 유압 시스템의 최대 작동압을 결정하는 밸브는 ? [13-4]

   ① 압력 시퀀스 밸브          ② 압력 무부하 밸브            ③ 압력 릴리프 밸브             ④ 감압 밸브

[해설] 시스템을 보호하는 최대압은 릴리프 밸브에서 설정된다.

28. 감압 밸브와 릴리프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1-4, 19-1]

  ① 감압 밸브는 평상시 열려 있고 릴리프 밸브는 평상시 닫혀 있다.

  ② 감압 밸브는 출구 측 압력에 의해 제어되고, 릴리프 밸브는 입구측 압력에 의해 제어 된다.

  ③ 릴리프 밸브는 출구 측에서 입구 측으로의 역방향 흐름이 가능하고 감압 밸브는 불가능하다.

  ④ 릴리프 밸브는 압력계가 입구 측에 설치되어 있고, 감압 밸브는 압력계가 출구 측에 설치되어 있다.

[해설] 릴리프 밸브는 유압회로의 상류 압력을 조정하고 감압밸브는 하류 압력을 조절한다.

[정답]    20. ④    21. ②    22. ③    23. ④    24. ③    25. ①    26. ②    27. ③    28. ③

29. 유압 장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압력 제어 밸브로 회로의 최고 압력을 제한하는 밸브는 ? [09-4]

   ① 압력 스위치       ② 릴리프 밸브          ③ 시퀸스 밸브            ④ 압력 보상형 유량 조절 밸브

[해설] 릴리프 밸브 : 회로의 최고 압력을 제한하는 밸브로서 회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밸브

30. 유압의 압력 릴리프 밸브로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은 ? [17-2]

   ① 감압 기능          ② 시퀀스 기능           ③ 카운터 밸런스 기능             ④ 유압 시스템의 최대 압력 설정 기능

31. 벤트 포트를 이용하여 3개의 서로 다른 압력을 원격으로 제어하려고 할 때 사용해야 하는 압력제어 밸브는 ?

  [15-4, 19-4]

  ① 카운터 밸런스 밸브    ② 직동형 릴리프 밸브    ③ 외부 파일럿형 무부하 밸브    ④ 평형 피스톤형 릴리프 밸브

[해설] 카운터 밸런스 밸브, 직동형 릴리프 밸브는 포트수가 두개이며, 외부 파일럿형 무부하 밸브는 두개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32. 다음 중 밸브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5-2]

  ①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한 방향의 흐름이 자유롭게 흐르도록 한 밸브로서 체크밸브가 내장되어 있다.

  ② 시퀀스 밸브는 소형 피스톤과 스프링과의 평형을 이용하여 유압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시킨다.

  ③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압력제어 밸브이며 시퀀스 밸브는 방향제어 밸브이다.

  ④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무부하이며 시퀀스 밸브는 배압 발생 밸브이다.

33. 실린더에 인장하중이 걸리는 경우, 피스톤이 끌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장하중이 걸리는 측에 압력 릴리프

       밸브를 이용하여 저항을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밸브는 ? [20-4]

  ① 안전 밸브 (safety valve)                       ② 브레이크 밸브 (brake valve)

  ③ 시퀀스 밸브 (sequence valve)              ④ 카운터 밸런스 밸브 (counter balance valve)

[해설]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경우, 즉, 인장하중이 발생되는 곳에 배압을 발생시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릴리프 밸브와 체크밸브를 내장한다.

[정답]    29. ②         30. ①              31. ④          32. ①            33. ④

34. 방향 제어 밸브의 구조 중 스풀 방식의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9-2]

  ① 다양한 조작 방식을 쉽게 작용시킬 수 있다.            ② 전환 밸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이다.

  ③ 다양한 유압 흐름의 형식을 쉽게 설계할 수 있다.    ④ 밸브 습동 부분에서의 내부 누설이 없고, 조작이 확실하다.

[해설] 포핏 방식 밸브는 내부 누설이 없고 조작이 확실하다.

35. 실린더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밸브의 중립 위치에서 모든 포트를 막는 형식의 4/3 way 밸브 종류는

        무엇인가 ? [08-4, 12-4]

   ① 세미 오픈 센터형         ② 클로즈드 센터형           ③ 탠덤 센터형              ④ 오픈 센터형

[해설] 클로즈드 센터형 (closed center type) : 이 밸브는 중립 위치에서 모든 포트를 막는 형식으로 실린더를 임의의 위치

            에서 고정시킬 수가 있으나 밸브의 전환을 급격하게 작동하면 서지압이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36. 공동현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펌프 흡입구 또는 유압 회로의 부(-)압 발생 부분에 사용하여 일정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포핏이 열려 압유를 보충하도록 하는 밸브는 무엇인가 ? [14-4, 20-3]

   ① 감속 밸브        ② 압력 제어 밸브          ③ 흡입형 체크 밸브              ④ 카운터 밸런스 밸브

37. 밸브의 오버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5-4, 19-2]

   ① 방향 제어 밸브는 일반적으로 제로 오버랩을 갖는다.

   ② 밸브의 작동 시 포지티브 오버랩 밸브는 서지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③ 밸브의 전환시 모든 연결구가 순간적으로 연결되는 형태가 제로 오버랩이다.

   ④ 포지티브 오버랩에서 밸브의 전환시 액추에이터는 부하에 중속된 움직임을 갖는다.

[해설] 밸브의 오버랩

   ㉠ 포핏밸브는 네거티브 오버랩만 발생하여 네거티브 오버랩을 사용할 경우 카운터 밸런스 밸브나 파일럿 작동 체크

        밸브를 같이 사용한다.

   ㉡ 제로 오버랩은 주로 서보 밸브에서 사용된다.

   ㉢ 네거티브 오버랩은 슬라이드 밸브에서 사용된다.

 

38. 유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비례제어 밸브를 기능에 따라 나눌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  [08-4, 16-4]

   ① 방향 제어 밸브         ② 시간제어 밸브          ③ 압력제어 밸브            ④ 유량제어 밸브

[해설] 밸브를 기능으로 분류하면 방향제어 밸브, 유량제어 밸브, 압력제어 밸브로 나눈다.

 

[정답]    34. ④         35. ②       36. ③          37. ②           38. ②

39. 유압 액추에어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16-2]

   ① 단동 실린더는 단순히 압력만 받아서 전진 및 후진한다.

   ② 편로드 복동 실린더는 후진 실린더가 전진 속도 보다 빠르다.

   ③ 다중 피스톤 실린더는 전진 및 후진 행정에서 연속적인 실린더 운동처럼 작동한다.

   ④ 텔레스코프 실린더는 각각의 로드 슬리브의 체적이 감소되므로 전진 속도는 점점 증가한다.

40. 실린더 양쪽에 유효 면적의 차를 이용하여 추력 및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압 실린더는 ?  [10-4]

   ① 텔레스코프 (telescopic) 실린더              ② 램 (ram)형 실린더

   ③ 편로드 (single rod) 실린더                      ④ 차동 (differential) 실린더

[해설] 차동 실린더는 면적의 비를 이용하여 실린더의 후진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보통 후진 속도가 전진속도

            보다 2배 빠르다.

 

41. 로드 자체가 피스톤의 역할을 하며 로드가 굵기 때문에 부하에 의한 휨의 영향이 적은 실린더 타입은 ?

   ① 램형         ② 사판형         ③ 양측 로드형              ④ 텔레스코프형

[해설] 램형 실린더 (ram type cylinder) : 피스톤이 없이 로드 자체가 피스톤의 역할을 하게 된다. 로드는 피스톤 보다 약간

          작게 설계한다. 로드의 끝은 약간 턱이 지게 하거나 링을 끼워 로드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 실린더는 피스

           톤형에 비하여 로드가 굵기 때문에 부하에 의해 휠 염려가 적으며 패킹이 바깥쪽에 있기 때문에 실린더 안벽의 긁힘

            이 패킹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고 공기 구멍을 두지 않아아도 된다.

42. 유압 실린더에서 피스톤과 실린더 커버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의 경감, 실린더 수명연장, 충격파 발생 방지를 목적

       으로 하는 장치는 ? [18-4]

   ① 쿠션 장치           ② 에어 브리저              ③ 피스톤 패킹             ④ 더스트 와이퍼

43. 편 로드 유압 실린더의 설계에 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 [09-4, 15-4]

   ① 실린더의 팽창 과정과 수축 과정에서 속도는 수축과정이 더 빠르다.

   ② 패킹을 내유성 고무로 사용할 경우 그 기호는 H로 표기된다.

   ③ 유압 실린더 호칭에는 규격 번호 또는 명칭, 구조 형식, 지지 형식의 기호, 행정 길이 등이 포함된다.

   ④ 실린더 튜브 양단은 단조한 둥근 뚜껑으로 하는 것이 좋고, 양쪽 다 분리할 수 없도록 한다.

[정답]    39. ①           40. ④          41. ①            42. ①                 43. ④

44. 다음은 유압 텔레스코프형 다단 실린더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07-4]

   ① 유압 실린더 내부에 다시 별개의 실린더를 내장한 구조이다.

   ② 유압유가 유입되면 순차적으로 실린더가 동작한다.

   ③ 긴 행정 거리가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④ 정확한 위치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45. 다단 튜브형 로드를 갖고 있어서 긴 행정거리를 얻을 수 있는 실린더는 ? [20-4]

   ① 격판 실린더      ② 텐덤 실린더     ③ 양로드형 실린더     ④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해설] 텔레스코프형 실린더 : 짧은 실린더 본체로 긴 행정 거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다단 튜브형 로드를

           가진 실린더로 실린더의 내부에 또 하나의 다른 실린더를 내장하고 유체가 유입하면 순차적으로 실린더가 이동하도

            록 되어 있으며, 단동과 복동이 있다. 그러나 속도 제어가 곤란하고, 전진 끝단에서 출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후진 시 출력 및 속도를 크게 하거나 같게 하는데 가장 적합한 실린더는 단동 텔레스코프 실린더이다.

46. 실린더에 반지름 방향의 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 [20-4]

   ① 실린더의 추력이 증대된다.                              ② 피스톤 로드 베어링이 빨리 마모된다.

   ③ 피스톤 컵 패킹의 내구 수명이 증대된다.         ④ 실린더의 공기 공급 포트에서 누설이 증대된다.

[해설] 실린더는 축 방향 하중, 즉 추력을 받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반지름 방향, 즉, 레디얼 하중이 작용되면 실린더 로드에

           좌굴 하중이 발생되고 베어링의 수명이 단축된다.

47. 일반적으로 유압 실린더에서 좌굴 하중을 고려한 안전계수는 ? [14-4, 19-1]

   ① 0.5 ~ 1           ② 1.5 ~ 2            ③ 2.5 ~ 3.5                 ④ 7 ~ 10

48. 다음 중 유압 모터의 토크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 (단, T : 유압 모터의 출력 토크 [㎏f·㎝], q : 유압 모터의 1회전

      배출량 [㎤/rev], P : 작동유의 압력 [㎏f/㎠]이다.)

49. 다음 중 유압 모터의 종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5-2, 19-4, 20-4]

   ① 기어 모터           ② 베인 모터            ③ 스크류 모터               ④ 회전 피스톤 모터

[해설] 유압모터는 기어 모터, 베인 모터, 회전 피스톤 모터가 있다.

50. 유압 모터 중 구조면에서 가장 간단하며 출력 토크가 일정하고 정 · 역회전이 가능하고 토크 효율이 약 75 ~ 85 %, 최저

       회전수는 150 rpm 정도이며, 정밀 서보 기구에는 부적합한 것은 ?

  ① 기어 모터 (gear motor)               ② 액시얼 피스톤 모터 (axial piston motor) 

   ③ 베인 모터 (vane motor)             ④ 레디얼 피스톤 모터 (radial piston motor)

[해설] 베인모터는 최저 회전수 200 rpm이다.

[정답]    44. ④         45. ④         46. ②           47. ③         48. ①          49. ③             50. ①

51. 유압 시스템에서 축압기 (accumulator)의 사용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 [06-4, 11-4, 19-4]

   ① 충격 압력을 흡수하는 경우                       ② 맥동 흡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③ 압력 증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④ 에너지 보조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해설] 축압기는 ㉠ 에너지 보조원, ㉡ 충격 압력 흡수용 ㉢ 맥동 흡수용 ㉣ 점진적인 압력 형성 ㉤ 특수 유체 (독성, 유해성,

                               부식성 액체 등)의 이송을 위해 사용된다.

52. 다음 중 축압기 (accumulator)를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 [09-4]

   ① 충격 완충        ② 유압 펌프의 맥동 제거           ③ 압력 보상             ④ 유압 장치 온도 상승 방지

[해설] 축압기의 사용 목적은 서지압의 흡수, 펌프 맥동율 흡수 보조, 유압원으로 사용한다.

53. 유압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유압 기기는 ? [12-4, 16-4, 18-2]

   ① 압축기           ② 기름 탱크              ③ 저장 탱크               ④ 어큐뮬레이터

[해설] 유압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는 유압 기기는 어큐뮬레이터이다.

54. 압력을 축적하는 용기로 구조가 간단하고 용도도 광범위하여 유압 장치에 많이 활용되는 것은 ? [20-4]

   ① 냉각기               ② 여과기              ③ 오일 탱크              ④ 어큐뮬레이터

55. 고무 튜브 형 또는 인라인형이라고 하는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 [19-1]

   ① 대용량형 제작이 용이하다.                          ②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③ 스트링 특성상 저압용이 사용된다.               ④ 배관에 연결하여 맥동 방지에 사용된다.

[해설] 블래더형 축압기 : 플렉시블 백 (flexible bag) 또는 블레더 (bladder)는 합성 고무로 되어 있고 그 안에 오일과 가스가

          분리되게 되어 있으며, 축압기 윗부분에는 가스 충전 시스템이 부착되어 있다. 고무 백은 관성이 작고 응답성도 매우

           좋으며 보수도 간단히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스프링이 작용되는 포핏 밸브는 배출 오일이 천천히 흐르도록 계량

           하며 사용전에 미리 충전할 수 있다.

56. 어큐뮬레이터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 [19-2]

   ① 봉입 가스는 불활성 가스 또는 공기압 (저압용)을 사용한다.

   ② 충격 완충용은 가급적 충격이 발생하는 곳에서 멀리 설치한다.

   ③ 어큐뮬레이터에 부속쇠 등을 용접하거나 가공, 구멍 뚫기 등을 하지 않는다.

   ④ 펌프와 어큐뮬레이터 사이에 유압유가 펌프로 역류하지 않도록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해설] 충격 완충용은 가급적 충격이 발생하는 곳에서 가깝게 설치한다.

[정답]    51. ③       52. ④           53. ④         54. ④             55. ④             56. ②

57. 다음 중 유압 작동유의 역할이 아닌 것은 ? [10-4]

   ① 유압 유닛에 의하여 부여된 압력을 액추에이터로 전달하는 역할

   ② 유압 기기 틈새로 부터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 작용의 역할

   ③ 비압축성 유체의 성질을 이용한 수분 분리 작용의 역할

   ④ 유압 기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는 냉각 작용의 역할

[해설] 유압 작동유의 주 역할은 동력 전달 (압력) 매체의 역할이며, 부수적으로 윤활, 실링, 방청, 방식, 냉각 작용의 역할을

           한다.

58. 다음 중 유압 작동유로서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 [15-4, 19-4]

   ① 비압축성일 것        ② 윤활성이 좋을 것       ③ 적절한 점도가 유지될 것         ④ 화학적으로 반응이 좋을 것

[해설]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불활성이어야 되며, 반응이 없어야 한다.

59. 유압 작동유의 구비 조건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 [15-2]

   ① 거품이 많이 발생할 수록 좋다.                   ② 산화가 많이 일어 날 수록 좋다.

   ③ 압축성이 클 수록 좋다.                               ④ 기름 중의 공기를 속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 좋다.

60. 스트레이너가 설치되는 장소는 ? [18-1]

   ① 펌프의 흡입부                                      ② 유압 장치의 복귀관

   ③ 유량 제어 밸브의 출구 측                     ④ 유압 실린더와 방향제어 밸브 사이

61.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5-4]

   ① 작동유의 비활성                                      ② 동력 손실의 증대

   ③ 기계적 마찰 부분의 마모 증대                 ④ 내부 마찰의 증대와 온도 상승

62. 유압유 중에 공기가 아주 작은 기포 상태로 섞여지는 현상 또는 섞여져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 [12-4]

   ① 캐비테이션 (cavitation)      ② 채터링 (chattering)    ③ 점핑 (jumping)      ④ 에어레이션 (aeration)

63. 곧고 긴 유압 배관의 유동에 의한 압력 손실 수두를 계산하는 식은 다음 중 무엇인가 ?  [13-4]

  ① 연속방정식          ② 프란톨 (prandtl)식    ③ 블라시우스 (blasius) 식            ④ 달시-바이스바하 (darxy-weisbach) 식

[해설] 달시 - 바이스 바하(darcy - weisbach) 식은 곧고 긴 유압 배관의 유동에 의한 압력손실 수두를 계산하는 식으로 다음

          과 같다.

64. 피스톤에 O링을 사용한 실린더에 압력이 존재하면 실린더 배럴과 피스톤의 간극 사이로 O링이 밀려 나오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패킹은 ? [14-2, 19-2]

   ① 개스킷             ② V 패킹                 ③ 백업 링                  ④ 라비린스 실

[해설] 백업 링은 공유압 기기의 기밀용으로 사용되는 O링이나 패킹 등의 밀폐력을 높이거나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57. ③           58. ④     59. ④     60. ①           61. ③        62. ④          63. ④            64. ③

65. O링의 구비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 [20-3]

   ① 내유성이 좋을 것    ② 내마모성이 좋을 것     ③ 사용온도 범위가 넓을 것    ④ 압축 영구 변형이 많을 것

66. 다음 중 미세 필터에 사용되는 재료로 부적합한 것은 ? [15-4]

   ① 금속망          ② 규소물           ③ 유리 섬유                 ④ 플라스틱 섬유

67. 다음 중 고저압에 관계없이 대관경의 관로용에 사용되며 분해 보수가 용이한 관이음은 ? [14-2]

   ① 나사 이음              ② 플랜지 이음                ③ 용접형 이음               ④ 플레어형 이음

[해설] 플랜지 이음은 분해 보수가 용이한 관이음으로 저압, 고압에 관계없이 사용되며 관 끝 부분의 플랜지를 볼트로 체결

           하는 방식이다.

68. 유압 부속 기기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07-4, 14-4]

   ① 축압기는 펌프 유량 보충, 누설 보상, 정전시 비상원 등으로 사용된다.

   ② 증압기는 표준 유압 펌프 하나만으로 얻을 수 있는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③ 오일 탱크는 유압유 저장, 열교환, 오염물질 제거, 공기 배출의 기능이 있다.

   ④ 실 (seal)은 정적실과 동적실로 나뉘며, 정적실은 패킹이라고도 한다.

[해설] 정적실은 개스킷, 동적실은 패킹이라고도 한다.

69. 노즐 플래퍼형 서보 유압 밸브에서 전기 신호를 기계적 변위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 [11-4, 20-4]

   ① 노즐             ② 플래터                 ③ 토크 모터                   ④ 플래퍼 스프링

[해설] 토크 모터틑 원래 수압 프레스에 이용되던 것으로 현재 대행 프레스에 이용된다.

[정답]    65. ③          66. ①           67. ②             68. ④           69. ③

#유압펌프 #외접기어펌프 #내접기어펌프 #베인펌프 #피스톤펌프 #릴리프밸브

#카운터밸런스밸브 #체크밸브 #오리피스 #시퀀스밸브 #감압밸브 #압력스위치

#니들밸브 #포핏식 #스풀식 #실린더 #여과기 #축압기 #가열기 #트로코이드펌프

#개비테이션 #로브펌프

반응형

'설비보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압 기호 및 회로  (4) 2024.02.11
공압기기  (2) 2024.02.10
공유압 개요  (2) 2024.02.08
산업 안전 관련 법령  (0) 2024.02.07
산업 설비와 장비의 안전 2  (4) 2024.0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