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산소공급원으로서 가능한 물질 =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

   가. 제1류 위험물 (산화성 고체 : 질산나트륨)

   나. 제5류 위험물 (자기반응성 물질)

   다. 제6류 위험물 (산화성 액체 : 과산화 수소)

   라. 지연성(조연성) 가스 : 자신은 연소하지 않고 연소를 도와주는 가스 (산소, 불소, 염소, 온존 등)

   마. 공기 (압축공기)

※ 위험물의 종류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별표 1])

유형
성 질
품 명
제1류
산화성 물질
▣ 산화성 고체로 무색 결정, 백색 분말, 비중은 1보다 큼,  대부분 물에 녹음, 불연성 물질, 산소를
     함유한 강산화제
반응성 풍부, 가열 · 충격 · 마찰에 의한 산소발생, 조연성 물질 · 가연성 물질과
     혼합하면 연소 또는 폭발 위험
⊙ 아염소산류, 염소산 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브룸산 염류, 진산염류, 요오드산염류,
     과망간산염류,
중크롬산 염류
제2류
#가연성 물질
▣ 낮은 온도에 착화하는 가연성 물질, 강한 환원성을 가진 고체, 비중이 1보다 큼, 산화제와
     접촉·마찰로 인해 착화
되면 급격히 연소, 철분, 마크네슘, 금속분류, 물과 산의  접속시 발열하고
     유독가스 발생, 가능한 한 점화원으로
부터 멀리 보관 필요, 가열금지
유황, 철분, 금속분 (알칼리금속, 알칼리로류 금속, 철 및 마그네슘 외의 금속분말), 마그네슘,
     인화성 고체
제3류
자연발화성물질
금수성 물질
▣ 자연발화성 물질 (공기와 접촉시 연소 또는 가연성 가스 발생), 금수성 물질은 물과 접촉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
하는 물질, 발화의 위험이 굉장히 높음, 대부분 고체
칼륨, 나트륨, 알킬나트륨, 알킬리튬, 황린
제4류
#인화성 액체
▣ 불꽃, 스파크, 정전기 등에 의해 인화되기 쉬움, 착화온도가 낮음,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움
     (HCN) 제외, 증기는
공기와 약간의 혼합에 의해 연소 가능,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액체
제1석유류(아세톤, 휘발유), 알코올류, 제2석유류 (등유·경유), 제3석유류 (중류, 클레오소르유),
     제4석유류(
기어류, 실린더유), 동식물유류
제5류
#자기반응성
물질
▣ 산소를 함유한 물질로 자기연소가능, 연소속도가 매우 빠르며 폭발성 있음, 가열·마찰·충격 등에
     의해 폭발할
수 있음, 장시간 노출에 의한 산화반응, 산화반응에 의한 열분해로 자연발화 위험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 니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디아조화합물,
     히드라진유도체,
히드록실아민, 히드록실아민염류, 금속의 아지화합물, 질산구아니딘
제6류
산화성 액체
▣ 불연성 물질, 강산화제, 산소함유 (할로겐 간 화합물 제외), 비중 1보다 크고 물에 잘 녹음, 물과
     접촉하면 발열
반응, 가연물·유기물과 반응 산화 및 착화로 인해 유독 가스 발생, 부식성을 가진
     물질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할로겐 화합물, 삼불화브롬 (BrF3), 오블화브롬 (BrF5),
     오블화요오드(BrF
5)

 

2. 연소범위 = 연소한계 = 폭발범위

 가. 가연성 기체라 하더라도 점화원의 존재 하에 산소와 연소 범위 내에 있을 때 발화하며 연소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① 연소하한계 : 연소가 일어나는 하한

    ② 연소상한계 : 연소가 일어나는 상한

  【 연소범위(연소한계 】 = 폭발범위 (폭발한계)

    ▣ 1기압, 25[℃] 공기중에서 측정

    ▣ 연소가 가능한 폭발성 혼합가스 (가연성 기체 + 공기) 중 가연성 기체의 체적 %

    ▣ 하한값이 낮을 수록, 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 주변의 변화에 따라 연소범위는 변화한다.

  <연소범위의 변화>

     ㉠ 온도가 높아지면 넓어진다.

     ㉡ 압력이 높아지면 넓어진다. (수소와 일산화탄소는 좁아진다)

     ㉢ 공기중의 산소의 농도가 높아지면 넓어진다.

     ㉣ 불활성기체를 투입하면 연소범위는 좁아진다.

 

  【위험도】

   ▣ 위험도는 폭발범위를 활용하여 가연물의 연소위험성을 가름할 수 있는 계산값으로 위험도가 클수록

        가연물의 연소 위험성이 커진다.

     ◈ 아세틸렌 (C2H2)의 연소범위 : 2.5 ~ 81 [%]

         * 지구상에서 아세틸렌이 폭발범위가 가장 넓다.

     ◈ 이산황화탄소 (CS2)의 연소범위 : 1.2 ~ 44 [%]

     ※ 이산황화탄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도가 큰 물질

나. 물질별 연소 범위

가 스
하한계 [vol%]
상한계 [vol%]
아세틸렌 (C2H2)
2.5
81
수소 (H2)
4
75
일산화탄소 (CO)
12.5
74
에테르 (C2H5OC2H5)
1.9
48
이황화탄소 (CS2)
1.2
44
에틸렌 (C2H4)
2.7
36
암모니아 (NH3)
15
28
메탄 (CH4)
5
15
에탄 (C2H6)
3
12.4
프로판 (C3H8)
2.1
9.5
부탄 (C4H10)
1.8
8.4
휘발유 (C5H12~C9H20)
1.4
7.6

다. 폭발 한계와 위험성

    ① 하한계가 낮을 수록 위험하다.

    ② 상한계가 높을 수록 위험하다.

    ③ 연소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④ 연소범위의 하한계는 그 물질의 인화점에 해당한다.

    ⑤ 연소범위는 주위온도와 관계가 깊다.

    ⑥ 압력상승시 하한계는 불변, 상한계만 상승한다.

3. 위험도 (Degree of hazards)

   ▣ U - L을 폭발하한계(L)로 나누는 것이므로 하한이 낮거나 연소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도는 커진다.

 

4. 혼합가스의 폭발하한계

   ▣ 가연성 가스와 혼합되었을 때 폭발하한계는 르 샤틀리에 법칙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혼합가스의 폭발범위의 계산에는 한계가 있다.

     ⊙ 성질이 비슷한 혼합 가스의 혼합계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 각 성분간에 반응이 일어나면 적용이 곤란하다.

     ⊙ 냉연현상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르 샤틀리의 폭발범위 계산】

  예제1) ⊙ 혼합가스 조성 : 메탄 30%, 에탄 25%, 프로판 45%

             ⊙ 각 가스의 폭발범위 : 메탄 : 5~15%, 에탄 : 3~12.4%, 프로판 : 2.1~9.5%

             ⊙ 혼합가스의 하한 값 계산

  예제2) ⊙ #혼합가스 조성 : 메탄 120ℓ, 에탄 100ℓ, 프로판 180ℓ

             ⊙ 각 가스의 폭발범위 : 메탄 : 5~15%, 에탄 : 3~12.4%, 프로판 : 2.1~9.5%

             ⊙ 혼합가스의 하한 값 계산

 

【 출제예상문제 】

1. 물질의 연소시 산소 공급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①

     ① 탄화칼슘          ② 과산화나트륨            ③ 질산나트륨            ④ 압축공기

  ※ 산소공급원

    ① 제1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 : #질산나트륨 )

    ② 제5류 위험물 ( #자기반응성 물질)

    ③ 제6류 위험물 (산화성 액체 : #과산화수소 )

    ④ #지연성 ( #조연성 ) 가스 : 자신은 연소하지 않고 연소를 도와주는 가스 (산소, 불소, 염소, 오존 등)

    ⑤ 공기 (압축공기)

2. 다음 가스에서 공기 중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 ④

   ① 메탄            ② 프로판            ③ 에탄                  ④ #아세틸렌

※ 연소범위

가스
하한계 [vol %]
상한계 [vol %]
아세틸렌(C2H2)
2.5
81
메탄 (CH4)
5
15
에탄 (C2H6)
3
12.4
프로판 (C3H8)
2.1
9.5

3. 메탄 80 [vol %], 에탄 15 [vol %], 프로판 5 [vol %]인 혼합가스의 공기 중 폭발하한계는 약 몇 [vol %]인가 ?

     (단, 메탄, 에탄, 프로판의 공기중 폭발하한계는 각각 5.0 [vol %], 3.0 [vol %], 2.1 [vol %] 이다.) ④

   ① 3.23          ② 3.61                ③ 4.02                  ④ 4.28

 

4. 다음 물질 중 공기에서의 위험도 (H)값이 가장 큰 것은 ? ①

   ① #에테르         ② 수소              ③ 에틸렌                 ④ #프로판

※ 위험도

 

5. 화재의 위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인화점 및 착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② 착화에너지가 작을 수록 위험하다.

   ③ 비점 및 융점이 높을 수록 위험하다.

   ④ #연소범위 는 넓을 수록 위험하다.

※ 위험도는 증기압이 클수록, #비점#융점 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반응형
반응형

1. 다음중 연소와 가장 관련이 있는 화학반응은 ? ①

   ① 산화반응        ② 환원반응         ③ 치환반응           ④ 증합반응

[풀이] 연소의 정의 : 연소란 빛과 열을 동반한 급격한 산화반응이다.

2. 연소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 ④

   ① 부탄가스 라이터에 불을 붙였다.

   ② 황린을 공기 중에 방치했더니 불이 붙었다.

   ③ 알코올 램프에 불을 붙였다.

   ④ 공기중에 노출된 쇠못이 붉게 녹이 슬었다.

[풀이] 연소란 빛과 열을 수반하는 급격한 산화반응이다. 녹이 스는 것은 산화반응이지만 급격한 반응이 아니므로

          연소라고 하긴 어렵다.

3. 보통 화재에서 암적색 불꽃의 온도는 몇 [℃] 정도인가 ? ②

   ① 525              ㉡ 750                  ③ 925                 ④ 1,075

[풀이] 연소의 색과 온도

암적색
(진홍색)
적색
휘적색
(주황색)
황적색
백적색
(백색)
휘백색
온도 [℃]
700~750
850
925~950
1,100
1,200~
1,300
1,500

4. 연소의 3요소가 아닌 것은 ? ②

   ① 가연물         ② 소화약제           ③ 산소공급원             ④ 점화원

[풀이] 연소의 3요소 :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

5. 가연물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① 열전도율이 클 것                ② 산소아 친화력이 좋을 것

   ③ 표면적이 넓을 것                ④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

[풀이] 가연물의 구비조건

   ㉠ 열전도율이 작을 것 ( #열축적 이 높을 것)

   ㉡ 발열반응으로 발열량이 클 것 ( #연소열 이 많을 것)

   ㉢ 활성화 에너지 ( #점화에너지 )가 작을 것 ( #인화점 이 낮을 것)

   ㉣ 산소와 화학적으로 친화력이 클 것 (산화되기 쉬울 것, 반응성이 좋을 것)

   ㉤ 표면적이 넓을 것 (공기(산소)와 접촉면적이 클 것)

   ㉥ 연쇄반응을 일으킬 것

   ㉦ 수분이 적을 것

6. 물질의 연소시 산소 공급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①

   ㉠ #탄산칼륨        ② #과산화나트륨           ③ #질산나트륨              ④ 압축공기

[풀이] 산소공급원

◈ 제1류 #위험물 (질산나트륨), 제5류 위험물, 제6류 위험물 (과산화수소), 압축공기

7. 공기중의 산소는 약 몇 vol % 포함되어 있는가 ?

   ① 15            ② 18            ③ 21                  ④ 25

[풀이] 공기의 구성성분 : 산소 21[vol%], #질소 78 [vol%], #아르곤 1[vol%]

8. 다음중 점화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②

   ① 정전기          ② 기화열              ③ 전기불꽃                   ④ 마찰열

[풀이] 점화원이 될 수 없는 것 : #기화열 ( #증발열 ), #용해열, 흡착열, #단열팽창

9. 연소에서 연쇄반응은 어느 것에 해당 하는가 ? ②

   ① 연소의 3요소                                       ② 연소의 4면체적 요소

   ③ 연소의 시기 및 최소 착화에너지         ④ 연소의 최성기

[풀이] #연소 의 4요소 (4면체적 요소)

   ㉠ #가연물 (연료)    ㉡ 산소공급원    ㉢ #점화원(온도)    ㉣ 순조로운 #연쇄반응

10. 가연물이 아닌 것은 ?

   ① 수소                 ② 산소                 ③ 메탄                       ④ 암모니아

[풀이] 가연성 가스 (가연성 물질)

   ㉠ #수소    ㉡ #일산화탄소    ㉢ #에탄    ㉣ #메탄    ㉤ 천연가스    ㉥ #암모니아

    ※ 산소는 산화반응의 당사자로 조연성 · 지연성 가스라고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