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폭발
▣ 고체는 열분해, 액체는 증발을 거쳐 화재로 진행하지만 기체의 경우 열분해와 증발이라는 과정이 필요없이 급격히
연소하여 온도 상승으로 인한 체적 팽창으로 인하여 폭발음과 물리적 파괴력을 가지게 된다. 즉, 급격한 연소로
볼 수 있다.
※ 산화반응 속도 : 폭발 > 연소
▣ 물리나 화학적 변화에 의한 계의 일을 통해 폭음을 수반하는 현상
가. #폭연 (Deflagration : [dèfləɡréiʃən] 화학 폭연(爆燃)(작용)
▣ 인화성 가스의 폭발 :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현상
① 급격한 압력의 증가로 인해 격렬한 음향을 발하며 팽창하는 현상
② 발열반응으로 연소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느린 현상
⊙ 화염전파속도 (300m/s 이하) < 음속 (340m/s)
나. #폭굉 (Detonation : [detəˈneɪʃn ] 폭발, 폭파)
① 폭발 중에서도 격렬한 폭발로서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빠른 경우로 파면선단에 #충격파 (압력파)가
진행되는 현상
② 연소속도 : 1,000 ~ 8,000 [m/s] : 마하 3 ~ 20 정도 속도
⊙ 화염전파속도 > 음속
※ 용기 내부나 밀폐된 공간에서 순간 속도가 이렇게 빠른 경우를 말함
※ 폭굉 유도 거리 (Behind) : 최초의 완만한 연소로 부터 폭굉까지 이르는데 필요한 거리
⊙ 폭발의 원인이 되는 에너지를 공급한 후 폭굉이 발생하는데 까지 소요된 시간,
에너지를 준 후 바로 폭굉이 일어 났는지, 어느 정도 시간후 발생했는지의 시간
⊙ 짧아 질수록 위험한데 짧아지는 조건
◈ 점화에너지가 강할 수록, 연소속도가 큰 가스일수록, 반경이 가늘거나 용기속에 이물질이 있을 수록,
압력이 높을 수록, 주위온도가 높을 수록,
(연소 조건이 여기에 해당함)
【 폭연과 폭굉 비교】
구 분
|
폭연 (Deflaration)
|
폭굉 (Detonation)
|
충격파
|
×
|
O
|
화염전파속도
|
음속 이하
(0.1 ~ 10 [m/s])
|
음속 초과
(1,000~2,500 [m/s])
|
전파에너지
|
연소열 (열전달속도)
|
충격파
|
다. 폭발의 발생원인
1) 물리적 · 기계적 원인 : 압력방출에 의한 폭발
2) 화학적 원인
① 증기운 (Vapor cloud) 폭발
② 분해 #폭발
③ 석탄 분진의 폭발
2. 물리적 폭발과 화학적 폭발 (원인별 분류)
가. 물리적 폭발 : 화염 및 연소를 동반하지 않음
⊙ 폭발의 원인이 화학적인 반응을 수반하지 않고 단순한 물리적 변화인 상태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는 폭발, 원인계와
생성계가 같음
⊙ 보일러의 폭발, 수증기 폭발, 고압용 용기의 폭발, 블레비(BLEVE) 등
※ 물리적 변화 : 물질 자체가 변화한 것이 아닌 단순한 상태의 변화 (기화, 증발)
※ 액체가 기체로 증발하면 갑자기 부피가 커져서 용기가 감당하지 못하고 폭발한다.
㉠ 액화가스 : 액체가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면 액체 1[ℓ]는 기체 550[ℓ]가 되므로 압력이 서서히 증가하면
안전밸브가 열려 조절할 수 있으나 온도가 급격히 증가하면 압력증가를 안전밸브가 감당하지 못하고
폭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블레비(Bleve) 현상이라고 한다.
㉡ 압축가스 : 가스 즉 기체는 온도가 상승해도 상태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기체는 일반적 으로 온도가 1[℃] 상승하면
부피는 1/273 배 증가한다. 온도 상승에 따른 압력증가는 크지 않다. 따라서 고압압축가스의 폭발위험은
크지 않아 고압용기의 폭발은 액화가스의 폭발로 보아도 무방하다.
나. 화학적 폭발 : 화염 및 연소를 동반함
⊙ 폭발의 원인이 화학적 반응을 통한 압력발생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을 말한다.
⊙ 원인물질과 생성물질이 다르다. 원인계와 생성계가 다르다.
⊙ 가스폭발, 분진폭발, 화약류 폭발 등 산화반응에 의한 폭발이 있다.
⊙ 화학 반응을 통해서 반응물과 전혀 다른 물질이 되는 것 [분해 폭발]
3. 기상폭발과 응상 폭발 (상태에 따른 분류)
기상폭발
(급격한 화학적 변화)
|
응상 폭발
(급격한 상태 변화)
|
|
종류
|
⊙ 가스 폭발
⊙ 분무 폭발
⊙ 분진 폭발
⊙ 분해 폭발
|
⊙ 수증기 폭발
⊙ 과열 액체 증기 폭발 (BLEVE)
⊙ 액화가스 증기 폭발
⊙ 알루미늄 전선 폭발
|
기타
|
⊙ 화학적 폭발
⊙ 연소 · 화염 동반
⊙ 대부분 기체
|
⊙ 물리적 폭발
⊙ 연소·화염 동반
⊙ 고체, 액체
|
※ 기상폭발 : 기체상태의 폭발, 응상폭발 : 액체나 기체 상태의 폭발, 고압전류 폭발
3-1. 폭발의 종류
폭발 종류
|
물 질
|
분해 폭발
|
⊙ 과산화물 · 아세틸렌 ⊙ 다이너마이트
|
분진 폭발
|
⊙ 밀가루 · 담뱃가루 ⊙ 석탄가루 · 먼지 ⊙ 전분 · 금속분
|
증합 폭발
|
⊙ 염화비닐 ⊙ 시안화수소
|
분해 · 증합 폭발
|
⊙ 산화 에틸렌
|
산화 폭발
|
⊙ 압축 가스 ⊙ 액화 가스
|
4. 블레비(Bleve, 과열액체 증기폭발)
▣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용기 주변에 화재 등 어떤 원인에 의해 용기가 가열되면 액화가스의 비등으로 급격한
압력의 상승이 발생한다. 이 때 안전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압력의 완화 보다 내부의 압력 증가율이 큰 경우 용기가
파열되는 현상을 말한다.
가. 블레비(Bleve) 형성 과정
(a) 액체의 온도(액온) 상승
(b) 연성파괴 : 탱크의 강도 저하로 인한 균열발생 (액체 입자가 탱크벽에 충돌)
(c) 액격현상, 취성파괴 : 탱크가 파괴되고 파편이 사방으로 비산 (물리적 폭발)
(d)화구( Fire ball) 발생 : 물리적 폭발에서 화학적 폭발로 이어져 일어나는 폭발
▣ 화재 ⇒ 액온상승 ⇒압력상승 ⇒연성파괴 ⇒ 액격현상 ⇒취성파괴 ⇒ 화구형성
나. 블레비(BLEVE) 발생조건
① 가연물이 비점 이상 가열될 것
② 가연성 가스가 밀폐계 내에 존재할 것
③ 기계적 강도 이상의 압력이 형성될 것
④ 내용물이 대기중으로 방출될 것
⑤ 온도상승으로 인한 탱크 파열
※ BLEVE :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
※ 취성 파괴 : 폭발을 한다.
5. 분진폭발 : 미세한 고체 (날아 다니는 고체)
▣ 미세한 가연성 분진입자가 공기중에 부유하여 폭발범위를 형성하고 있다가 점화원에 의해 폭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이 어떤 점화원에 의해 에저지가 주어지면 폭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 #분진 의 폭발 범위
⊙ 메탄의 폭발범위 : 5% ~ 15 % [vol %, 체적 %]
⊙ 공기와 고체의 혼합비율이므로 체적%, 중량 %를 쓰지 못하고 [mg/L]를 단위로 쓰며 분진은 위험성이 액체나
가스보다 낮으므로 모두 측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하한값이 25~45[mg/L]이고 상한값은 80[mg/L]이다.
※ 분진 : 지름 100 [㎛] 이하의 물질
※ 착화 에너지 : 화약 < 분진
【 분진폭발을 일으키는 물질 】
▣ 불에 잘 타는 비금속 물질 : 주 성분이 CHO인 물질, MTS인 물질, 톱밥가루 등
▣ 밀가루, 쌀가루, 커피가루, 솜가루, 금속분말
【분진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 =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를 발생하지 않는 것】
① #시멘트
② #석회석 (소석회)
③ #탄산칼슘 (CaCO3)
④ 생석회 (CaO) = 산화칼슘
⑤ 가성소다 분진 (NaOH) : 수산화나트륨
6. 증기운 폭발 (UVCE : Unconfined Vapor Cloud Explosion)
▣ 저비점의 가연성 가스가 대기 중에 대량 유출하거나 대량의 가연성 액체가 유출하여 그것으로 부터 발생하는
증기가 공기와 혼합해서 가연성 혼합기체를 형성하고 발화원에 의하여 거대한 화분을 형성하는 폭발현상
▣ 대기중에 확산되어 있는 다량의 가스 (증기운)가 어떤 점화원에 의해 급격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
▣ 풍속이 낮아 증기운이 잘 확산되지 않는 경우에 더욱 피해가 심각하며, 폭발시간이 비교적 짧아 복사열에 의한
피해 보다는 화염 전파방 압력파를 일으켜 시설물에 피해를 입히는 정도가 더 심각하다.
※ 모든 기체 가스가 구름처럼 모여 있는 것을 증기운이라고 부른다. (수증기 만을 의미하지 않음)
블레비 (BLEVE)
|
증기운 폭발 (UVCE)
|
물리적 폭발
|
화학적 폭발
|
밀폐된 공간 폭발
|
개방공간의 폭발
|
액화가스에서 발생
|
대기중 기체상태에서 발생
|
【출제 예상 문제】
1. 폭발발생 원인 중 물리적 또는 기계적 원인인 것은 ? ②
① 증기운 (Vapor Cloud) 폭발 ② 압력방출에 의한 폭발 ③ 분해 폭발 ④ 석탄분진 폭발
[폭발원인] #물리적 또는 #기계적 원인 : 압력방출에 의한 폭발
2. #디토네이션 (Detonation)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①
① 발열반응으로서 연소의 전파속도가 그 물질의 내에서의 음속보다 느린 것을 말한다.
② 물질 내 충격파가 발생하여 반응을 일으키고 또한 그 반응을 유지하는 현상이다.
③ 충격파에 의해 유지되는 화학반응현상이다.
④ 반응의 전파속도가 그 물질 내에서의 음속보다 빠른 것을 말한다.
[폭굉 (Detonation)] 화염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빠를 경우 (1,000~8,000 [m/s])를 #폭굉 이라 하며,
#충격파 를 동반하게 된다.
3. 대기중에 대량의 가스가 유출하거나 대량의 가연성 액체가 유출하여 그것으로 부터 발생하는 증기가 공기와 혼합해서
가연성 혼합기체를 형성하고 발화원에 의하여 발생하는 폭발현상은 ? ③
① BLEVE ② SLOP OVER ③ UVCE ④ FIRE BALL
[ #증기운 폭발 (UVCE)] 대기중에 다량의 가연성 가스가 유출하거나 대량의 가연성 액체가 유출되어 그 것으로 부터 발생
하는 증기가 공기와 혼합해서 가연성 혼합 기체를 형성하고 발화원에 의하여 발생하는 폭발현상
4. BLEVE 현상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 ④
① 물이 뜨거운 기름 표면 아래서 끓을 때 화재를 수반하지 않고 Over flow 되는 현상
② 물이 연소유의 뜨거운 표면에 들어 갈 때 발생되는 Over flow 되는 현상
③ 탱크 바닥에 물과 기름이 애멀젼이 섞여 있을 때 물의 비등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Over flow 되는 현상
④ 탱크 주위의 화재로 탱크 내 인화성 액체가 비등하고 가스 부분의 압력이 상승하여 탱크가 파괴되고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
[ #블래비 (BLEVE)] #액화가스 저장시설 등에 국부적으로 가열되어 가열된 부분은 약해지고 탱크 내부는
열전달에 의해 팽창되어 용기가 파열된다. 이 때 저장가스 등이 확산되어 점화원에 의해 폭발적으로 연소하여
#파이어볼 (Fire Ball)을 만들게 되는 것을 말하는데 비등액체 #증기폭발 이라고도 한다.
5. 분진 폭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것은 ? ④
① 마그네슘 분말 ② 알루미늄 분말 ③ 종이분말 ④ 석회석 분말
[ #분진폭발 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
① #시멘트 ② 석회석 (소석회) ③ #탄산칼슘 (CaCO3) ④ 생석회(CaO) = 산화칼슘
6. 분해폭발을 일으키며 연소하는 #가연성 가스는 ? ③
① 염화비닐 ② 시안화수소 ③ 아세틸렌 ④ 포스겐
[분해폭발] #에틸렌 , #산화에틸렌 , #아세틸렌 등은 #분해폭발 을 한다.
'소방설비기사 (전기) > 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소공급원 - 연소론 (0) | 2023.04.09 |
---|---|
점화원 (인화점, 발화점, 연소점) (2) | 2023.04.09 |
연소형태 : 연소론 - 소방원론 (0) | 2023.04.04 |
연소론 : 소방원론 출제 예상 문제 (0) | 2023.04.04 |
연소론 : 소방원론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