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소공급원으로서 가능한 물질 =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
가. 제1류 위험물 (산화성 고체 : 질산나트륨)
나. 제5류 위험물 (자기반응성 물질)
다. 제6류 위험물 (산화성 액체 : 과산화 수소)
라. 지연성(조연성) 가스 : 자신은 연소하지 않고 연소를 도와주는 가스 (산소, 불소, 염소, 온존 등)
마. 공기 (압축공기)
※ 위험물의 종류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별표 1])
유형
|
성 질
|
품 명
|
제1류
|
산화성 물질
|
▣ 산화성 고체로 무색 결정, 백색 분말, 비중은 1보다 큼, 대부분 물에 녹음, 불연성 물질, 산소를
함유한 강산화제 반응성 풍부, 가열 · 충격 · 마찰에 의한 산소발생, 조연성 물질 · 가연성 물질과 혼합하면 연소 또는 폭발 위험 ⊙ 아염소산류, 염소산 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브룸산 염류, 진산염류, 요오드산염류,
과망간산염류, 중크롬산 염류 |
제2류
|
#가연성 물질
|
▣ 낮은 온도에 착화하는 가연성 물질, 강한 환원성을 가진 고체, 비중이 1보다 큼, 산화제와
접촉·마찰로 인해 착화되면 급격히 연소, 철분, 마크네슘, 금속분류, 물과 산의 접속시 발열하고 유독가스 발생, 가능한 한 점화원으로 부터 멀리 보관 필요, 가열금지 ⊙ 유황, 철분, 금속분 (알칼리금속, 알칼리로류 금속, 철 및 마그네슘 외의 금속분말), 마그네슘,
인화성 고체 |
제3류
|
자연발화성물질
금수성 물질
|
▣ 자연발화성 물질 (공기와 접촉시 연소 또는 가연성 가스 발생), 금수성 물질은 물과 접촉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하는 물질, 발화의 위험이 굉장히 높음, 대부분 고체 ⊙ 칼륨, 나트륨, 알킬나트륨, 알킬리튬, 황린
|
제4류
|
#인화성 액체
|
▣ 불꽃, 스파크, 정전기 등에 의해 인화되기 쉬움, 착화온도가 낮음,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움
(HCN) 제외, 증기는 공기와 약간의 혼합에 의해 연소 가능,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액체 ⊙ 제1석유류(아세톤, 휘발유), 알코올류, 제2석유류 (등유·경유), 제3석유류 (중류, 클레오소르유),
제4석유류(기어류, 실린더유), 동식물유류 |
제5류
|
#자기반응성
물질
|
▣ 산소를 함유한 물질로 자기연소가능, 연소속도가 매우 빠르며 폭발성 있음, 가열·마찰·충격 등에
의해 폭발할 수 있음, 장시간 노출에 의한 산화반응, 산화반응에 의한 열분해로 자연발화 위험 ⊙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 니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디아조화합물,
히드라진유도체, 히드록실아민, 히드록실아민염류, 금속의 아지화합물, 질산구아니딘 |
제6류
|
산화성 액체
|
▣ 불연성 물질, 강산화제, 산소함유 (할로겐 간 화합물 제외), 비중 1보다 크고 물에 잘 녹음, 물과
접촉하면 발열 반응, 가연물·유기물과 반응 산화 및 착화로 인해 유독 가스 발생, 부식성을 가진 물질 ⊙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할로겐 화합물, 삼불화브롬 (BrF3), 오블화브롬 (BrF5),
오블화요오드(BrF5) |
2. 연소범위 = 연소한계 = 폭발범위
가. 가연성 기체라 하더라도 점화원의 존재 하에 산소와 연소 범위 내에 있을 때 발화하며 연소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① 연소하한계 : 연소가 일어나는 하한
② 연소상한계 : 연소가 일어나는 상한
【 연소범위(연소한계 】 = 폭발범위 (폭발한계)
▣ 1기압, 25[℃] 공기중에서 측정
▣ 연소가 가능한 폭발성 혼합가스 (가연성 기체 + 공기) 중 가연성 기체의 체적 %
▣ 하한값이 낮을 수록, 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 주변의 변화에 따라 연소범위는 변화한다.
<연소범위의 변화>
㉠ 온도가 높아지면 넓어진다.
㉡ 압력이 높아지면 넓어진다. (수소와 일산화탄소는 좁아진다)
㉢ 공기중의 산소의 농도가 높아지면 넓어진다.
㉣ 불활성기체를 투입하면 연소범위는 좁아진다.
【위험도】
▣ 위험도는 폭발범위를 활용하여 가연물의 연소위험성을 가름할 수 있는 계산값으로 위험도가 클수록
가연물의 연소 위험성이 커진다.
◈ 아세틸렌 (C2H2)의 연소범위 : 2.5 ~ 81 [%]
* 지구상에서 아세틸렌이 폭발범위가 가장 넓다.
◈ 이산황화탄소 (CS2)의 연소범위 : 1.2 ~ 44 [%]
※ 이산황화탄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도가 큰 물질
나. 물질별 연소 범위
가 스
|
하한계 [vol%]
|
상한계 [vol%]
|
아세틸렌 (C2H2)
|
2.5
|
81
|
수소 (H2)
|
4
|
75
|
일산화탄소 (CO)
|
12.5
|
74
|
에테르 (C2H5OC2H5)
|
1.9
|
48
|
이황화탄소 (CS2)
|
1.2
|
44
|
에틸렌 (C2H4)
|
2.7
|
36
|
암모니아 (NH3)
|
15
|
28
|
메탄 (CH4)
|
5
|
15
|
에탄 (C2H6)
|
3
|
12.4
|
프로판 (C3H8)
|
2.1
|
9.5
|
부탄 (C4H10)
|
1.8
|
8.4
|
휘발유 (C5H12~C9H20)
|
1.4
|
7.6
|
다. 폭발 한계와 위험성
① 하한계가 낮을 수록 위험하다.
② 상한계가 높을 수록 위험하다.
③ 연소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④ 연소범위의 하한계는 그 물질의 인화점에 해당한다.
⑤ 연소범위는 주위온도와 관계가 깊다.
⑥ 압력상승시 하한계는 불변, 상한계만 상승한다.
3. 위험도 (Degree of hazards)
▣ U - L을 폭발하한계(L)로 나누는 것이므로 하한이 낮거나 연소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도는 커진다.
4. 혼합가스의 폭발하한계
▣ 가연성 가스와 혼합되었을 때 폭발하한계는 르 샤틀리에 법칙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혼합가스의 폭발범위의 계산에는 한계가 있다.
⊙ 성질이 비슷한 혼합 가스의 혼합계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 각 성분간에 반응이 일어나면 적용이 곤란하다.
⊙ 냉연현상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르 샤틀리의 폭발범위 계산】
예제1) ⊙ 혼합가스 조성 : 메탄 30%, 에탄 25%, 프로판 45%
⊙ 각 가스의 폭발범위 : 메탄 : 5~15%, 에탄 : 3~12.4%, 프로판 : 2.1~9.5%
⊙ 혼합가스의 하한 값 계산
예제2) ⊙ #혼합가스 조성 : 메탄 120ℓ, 에탄 100ℓ, 프로판 180ℓ
⊙ 각 가스의 폭발범위 : 메탄 : 5~15%, 에탄 : 3~12.4%, 프로판 : 2.1~9.5%
⊙ 혼합가스의 하한 값 계산
【 출제예상문제 】
1. 물질의 연소시 산소 공급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①
① 탄화칼슘 ② 과산화나트륨 ③ 질산나트륨 ④ 압축공기
※ 산소공급원
① 제1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 : #질산나트륨 )
② 제5류 위험물 ( #자기반응성 물질)
③ 제6류 위험물 (산화성 액체 : #과산화수소 )
④ #지연성 ( #조연성 ) 가스 : 자신은 연소하지 않고 연소를 도와주는 가스 (산소, 불소, 염소, 오존 등)
⑤ 공기 (압축공기)
2. 다음 가스에서 공기 중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 ④
① 메탄 ② 프로판 ③ 에탄 ④ #아세틸렌
※ 연소범위
가스
|
하한계 [vol %]
|
상한계 [vol %]
|
아세틸렌(C2H2)
|
2.5
|
81
|
메탄 (CH4)
|
5
|
15
|
에탄 (C2H6)
|
3
|
12.4
|
프로판 (C3H8)
|
2.1
|
9.5
|
3. 메탄 80 [vol %], 에탄 15 [vol %], 프로판 5 [vol %]인 혼합가스의 공기 중 폭발하한계는 약 몇 [vol %]인가 ?
(단, 메탄, 에탄, 프로판의 공기중 폭발하한계는 각각 5.0 [vol %], 3.0 [vol %], 2.1 [vol %] 이다.) ④
① 3.23 ② 3.61 ③ 4.02 ④ 4.28
4. 다음 물질 중 공기에서의 위험도 (H)값이 가장 큰 것은 ? ①
① #에테르 ② 수소 ③ 에틸렌 ④ #프로판
※ 위험도
5. 화재의 위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인화점 및 착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② 착화에너지가 작을 수록 위험하다.
③ 비점 및 융점이 높을 수록 위험하다.
④ #연소범위 는 넓을 수록 위험하다.
※ 위험도는 증기압이 클수록, #비점 및 #융점 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소방설비기사 (전기) > 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소와 관련한 용어 해설 (0) | 2023.04.10 |
---|---|
화재 (자연발화) - 화재론 (2) | 2023.04.09 |
점화원 (인화점, 발화점, 연소점) (2) | 2023.04.09 |
폭발 (물리적 폭발과 화학적 폭발) (0) | 2023.04.08 |
연소형태 : 연소론 - 소방원론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