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준비작업시간이 5분, 정미작업시간이 20분, lot 수 5, 주작업에 대한 여유율이 0.2라면 가공시간은 ?

   ① 150분        ② 145분           ③ 125분         ④ 105분

[풀이] 가공시간 = 준비작업시간 + 로드 수 × 정미작업시간(1+여유율)

                          = 5+ 5 × 20 × (1+0.2) = 125분 답 : ③

2. 다음 표는 어느 회사의 월별 판매실적을 나타낸 것이다. 5개월 이동평균법으로 6월의 수요를 예측하면 ?

1
2
3
4
5
판매량
100
110
120
130
140

   ① 150                ② 140                 ③ 130               ④ 120

[풀이] 이동평균법 : 평균을 취하는 N개의 함수의 각 데이터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

1
2
3
4
5
합계
판매량
100
110
120
130
140
600

   ※ 평균 : 600/5 = 120 답 : ④

3. u 관리도의 공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풀이] 답 : ③

4. 모든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

     을 산정하는 방법은 ?

  ① PTS법               ② WS법            ③ 스톱워치법             ④ 실적기록법

[풀이] ㉠ WS법 (working sampling method) : 측정자가 무작위로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내용에 대해 측정 및 가동

                                                                        시간에 대한 측정결과를 조합하여 표준시간을 설정하는 방법

  ㉡ 스톱워치법 : 제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공정에 대해 사전에 미리 구분하여 별도의 측정표정을 통해 표준

                            시간을 산정하는 방법

  ㉢ 실적기록법 : 일정단위의 사무량과 소요시간을 기록하고,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여 표준시간을 결정하는 사무량 측정

                             방법 답 : ①

5. 신제품에 가장 적합한 수요예측 방법은 ?

   ① 시계열분석         ② 의견분석           ③ 최소자승법             ④ 지수평활법

[풀이] 답 : ②

6.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신뢰성         ② 정확성           ③ 정밀도             ④ 오차

[풀이] 답 : ②

7. 관리한계선을 구하는데 이항 분포를 이용하여 관리선을 구하는 관리도는 ?

   ① Pn 관리도          ② u 관리도           ③ x - R 관리도             ④ x 관리도

[풀이] ㉠ u 관리도 - 평균결점수 관리도

          ㉡ x-R 관리도 - 평균값과 범위 관리도

          ㉢ x 관리도 - 결점수 관리도

8. 다음의 데이터를 보고 편차 제곱합(S)을 구하면 ? (단, 소숫점 3가지까지 구하시오)

       [Data] : 18.8, 19.1, 18.8, 18.2, 18.4, 18.3, 19.0, 18.6, 19.2

   ① 0.338          ② 1.017          ③ 0.114             ④ 1.014

[풀이] 평균 : (18.8+19.1+18.8+18.2+18.4+18.3+19.0+18.6+19.2)/9=18.71

S = (18.71-18.6)2 + (18.71-19.1)2 + (18.71-18.8)2+(18.71-18.2)2

         + (18.71-18.4)2+(18.71-18.3)2+(18.71-19.0)2+(18.71-19.2)2

     = 1.0168 ≒ 1.017                 답 : ②

9. 월 100대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셰이퍼 1대의 제품 1대딩 소요공수가 14.4H라 한다.  1일 8H, 월 25일, 가동한다고 할 때

    이 제품 전부를 만드는데 필요한 셰이퍼의 필요대수를 계산하면 ? (단, 작업자 가동률 80%, 셰이퍼 가동률 90% 이다)

   ① 8대                ② 9대                  ③ 10대                      ④ 11대

[풀이] 14.4 × 0.8 = 11.52

           8 × 25 × 0.9 = 180 / 100대 = 1.8

           11.52 - 1.8 = 9.72 대

10. 제품공정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공정간의 정체를 나타내는 기회는 ?

 

11. 계수값 관리도는 어느 것인가 ?

[풀이] 답 : ③

12. 미리 정해진 일정 단위 중에 포함된 부적합(결점) 수에 의거하여 공정을 관리할 때 사용하는 관리도는 ?

   ① p 관리도           ② Pn 관리도           ③ c 관리도                ④ u 관리도

[풀이] p - 관리도 : 비율, 이항분포,

          Pn 관리도 : 불합격된 제품 수

           u - 관리도 - 단위당 결점수 관리도 답 : ③

13. 로트 수가 10이고 준비작업시간이 20분이며 로트별 정미작업시간이 60분이라면 1로트당 작업시간은 ?

   ① 90분              ② 62분              ③ 26분                ④ 13분

[풀이] 1로트당 작업시간 = (준비작업시간 + 로트수 × 정미작업시간) / 로트수

                                        = (20 + 10 × 60) / 10 = 62분 답 : ②

14. 더미활동(dummy activity)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가장 긴 작업시간이 예상되는 공정을 말한다.

   ② 공정의 시작에서 그 단계에 이르는 공정별 소요시간들 중 가장 큰 값이다.

   ③ 실제활동은 아니며, 활동의 선행조건을 네트워크에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활동이다.

   ④ 각 활동별 소요시간이 베타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할 때의 활동이다.

[풀이] 답 : ③

15. 다음 중 검사 항목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

   ① 자주검사           ② 수량검사           ③ 중량검사             ④ 성능검사

[풀이] 검사항목 : 수량 검사, 중량검사, 성능검사 답 : ①

16. 파레토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

   ① 부적합 (불량), 클레임 등의 손실금액이나 퍼센트를 그 원인별, 상황별로 취해 그림의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비중

        이 작은 항목부터 큰 항목 순서로 나열한 그림이다.

   ② 현재의 중요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발견할 수 있으므로 관리방침을 수립할 수 있다.

   ③ 도수분포의 응용수법으로 중요한 문제점을 찾아내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④ 파레토그램에 나타난 1~2개 부적합품 (불량) 항목 만 없애면 부적합품(불량)률은 크게 감소한다.

[풀이] 부적합품(불량), 클레임 등의 손실금액이나 퍼센트를 그 원인별, 상황별로 취해 그림의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비중의 순서와는 관련없이 나열한 그림이다. 답 : ①

17. 여력을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① 여력 = 1일 실동시간 + 1개월 실동시간 + 가동대수

[풀이] 답 : ③

18. 다음 중에서 작업자에게 심리적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작업측정의 기법은 ?

   ① PTS법          ② 워크샘플링법          ③ WF법             ④ 스톱워치법

[풀이] ㉠ PTS법 : 모든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

                             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

   ㉡ WS법 (working sampling method) : 측정자가 무작위로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내용에 대한 측정 및 가동시간에

        대한 측정결과를 조합하여 표준시간을 설정하는 방법

   ㉢ WF법 : 각 신체 부위마다 움직이는 거리, 취급중량, 작업자에 대한 컨트롤 여부 (동작 곤란) 등과 같은 변수에 대해

                    각각 동작시간 표준치를 정하여 동작시간 표준을 적용하여 실질시간을 구하는 방법

   ㉣ 스톱워치 : 제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공정에 대한 사전에 미리 구분하여 별도의 측정표정을 통해 표준시간

                         을 산정하는 방법, 작업자에게 심리적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작업 측정 답 : ④

19. 공정분석 기호 중 □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① 검사         ② 가공            ③ 정체               ④ 저장

[풀이] 답 : ①

20. TPM 활동의 기본을 이루는 3정 5S 활동에서 3정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정시간           ② 정돈            ③ 정리               ④ 정량

[풀이] TPM 활동 3정은 정품, 정량, 정위치

            5S는 정리(Seiri), 정돈(Seidon), 청소(Seisoh), 청결(Seiketsu), 습관화(Shitsuke)

  답 : ④

21. 질산암모늄 등 유해, 위험물질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중 정량적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FTA          ② ETA           ③ CCA                ④ PHA

[풀이] 정량적 위험성 평가 방법 : FTA, ETA, CCA

           정성적 위험성 평가 방법 : PHA 답 : ④

22. 모집단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으로 부터 각각 램덤하게 시료를 뽑는 샘플링 방법은 ?

   ① 층별 샘플링        ② 2단계 샘플링          ③ 계통샘플링              ④ 단순샘플링

[풀이] 답 : ①

23. 다음 중 관리의 사이클을 가장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 (단, A : 조처, C : 검토, D : 시행, P : 계획)

   ① P → C → A → D       ② P → A → C → D         ③ A → D → C → P          ④ P→D→C→A

[풀이] 답 : ④

24. 하나의 특정한 사고 원인의 관계를 논리게이트를 이용하여 도해적으로 분석하여 연역적 · 정량적 기법으로 해석해

      가면서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

   ① FTA (결함수분석기법)                       ② PHA (예비위험분석기법)

   ③ ETA (사건수분석기법)                       ④ FMECA (이상위험도분석기법)

[풀이] 연역적 · 정량적 기법 : FTA (결함수 분석기법)

           귀납적 · 정량적 기법 : ETA (사건수분석기법)

25. "무결점 운동"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품질개선을 위한 동기부여 프로그램은 어느 것인가 ? ②

   ① TQC            ② ZD               ③ MIL - STD            ④ ISO

[풀이] ZD [Zero Defects program(무결점 운동)] : 신뢰도의 향상과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전개시킨 품질향상에 대한 종업원

           의 동기부여 프로그램

26. 연간 소요량 4,000개인 어떤 부품의 발주비용은 매회 200원이며, 부품단가는 100원, 연간재고 유지 비율은 10%일 때,

       F.W. Harris식에 의한 경제적 주문량은 얼마인가 ?

   ① 40개/회           ② 400개/회             ③ 1,000개/회               ④ 1,300개/회

[풀이] F.W. Harris식에 의한 경제적 주문량

         여기서, C : 부품단가, I : 연간 재고 유지비율, R : 연간소비량, P : 1회발주비용

           답 : ②

27. 200개 들이 상자가 15개 있다. 각 상자로 부터 제품을 램덤하게 10개씩 샘플링할 경우 이러한 샘플링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계통샘플링               ② 취락샘플링           ③ 층별샘플링             ④ 2단계 샘플링

[풀이] 층별샘플링 (stratified sampling) : 모집단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으로 부터 각각 랜덤하게 시료를 뽑는

                                                                 샘플링 방법 답 : ③

28. ASME (American Society Mechanical Engineers)에서 정의하고 있는 제품공정분석표에서 사용되는 기호 중 "저장

      (storage)"을 표현한 것은 ?

 

30. 다음 중 품질관리시스템에 있어서 4M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Man           ② Mahine            ③ Material                ④ Money

[풀이] 품질관리시스템의 4M : Man, Machine, Material, Method 답 : ④

31. 모집단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으로 부터 각각 랜덤하게 시료를 뽑는 샘플링 방법은 ?

   ① 층별 샘플링             ② 2단계 샘플링             ③ 계통샘플링               ④ 단순샘플링

[풀이] 샘플링 방법

  ① 랜덤 샘플링 (random sampling) : 모집단의 어느 부분이라도 같은 확률로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

  ② 층별 샘플링 (strafified sampling) : 모집단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으로 부터 각각 랜덤하게 시료를 뽑는 샘플링

                                                             방법

  ③ 취락샘플링 (Cluster sampling) : 모집단을 여러 개의 취락으로 나누어 몇 개의 부분을 랜덤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채취

                                                            한 시료 모두를 조사하는 방법

  ④ 2단계 샘플링 (two-stage sampling) : 모집단을 1단계, 2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몇 개의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

         답 : ①

32. 다음 중 관리의 사이클을 가장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 (단, A : 조처, C : 검토, D : 실행, P : 계획)

   ① P → C → A → D          ② P → A → C → D         ③ A → D → C → P              ④ P→D→C→A

[풀이] 관리의 사이클

   ㉠ 품질관리시스템의 4M : Man, Machine, Material, Method

   ㉡ 품질관리기능의 사이클 : 품질설계 → 공정관리 → 품질보증 → 품질개선

   ㉢ 관리사이클 : plan(계획) → do (실행) → check (검토) → action (조처) 답 : ④

33. 제품공정분석표용 도식기호 중 정체공정(delay) 기호는 어느 것인가 ?

 

34. 표준시간을 내경법으로 구하는 수식은 ?

   ① 표준시간 = 정미시간 + 여유시간    ② 표준시간 = 정미시간 × (1+여유율)

[풀이] 표준시간의 산정, 답 : ③

  ㉮ 외경법

㉯ 내경법

35. 문제가 되는 결과와 이에 대응하는 원인과의 관계를 알기 쉽게 도표로 나타낸 것은 ?

   ① 산포도         ② 파레토도         ③ 히스토그램           ④ 특성요인도

[풀이] 답 : ④

36. 다음 중 부하와 능력의 조정을 도모하는 것은 ?

   ① 진도관리       ② 절차계획         ③ 공수계획            ④ 현품관리

[풀이] 공수계획 : 생산계획량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인원이나 기계의 부하를 결정하여 이를 현재 인원 및 기계의 능력과

                             비교하여 조정하는 것

37. 다음 표를 이용하여 비용구배 (cost slope)를 구하면 얼마인가 ?

정상
특급
소요시간
소요비용
소요시간
소요비용
5일
40,000원
3일
50,000원

   ① 3,000원/일          ② 4,000원/일           ③ 5,000원/일              ④ 6,000원/일

[풀이] 비용구배

38. 제품공정분석표(product process chart) 작성 시 가공시간 개별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

[풀이] 답 : ①

39. 부적합품률이 1%인 모집단에서 5개의 시료를 랜덤하게 샘플링할 때, 부적합품 수가 1개일 확률은 약 얼마인가 ?

      (단,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① 0.048           ② 0.058               ③ 0.48                     ④ 0.58

[풀이] 확률

   부적합 확률 = 시료의 개수 × 부적합품률 × 적합품률4

                       = 5 × 0.01 × 0.994

                       = 0.04803

40. 다음 중 계수치 관리도가 아닌 것은 ?

   ① c 관리도          ② p 관리도            ③ u관리도                  ④ x 관리도

[풀이] x 관리도는 계량치 관리도 이다.

#작업시간 #이동평균법 #관리도 #PTS법 #WS법 #스톱워치법 #관리한계선 #로트수

#파레토그램 #무결점운동 #공정분석 #표준시간 #샘플링 #확률

반응형
반응형
 

대법원 판례 (1997, 1980년 5.18 비상계엄 확대 사건에 대한 판례)

1. 대통령의 비상 계엄 선포나 확대행위가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되는지 ?

 

대통령의 비상계엄의 선포나 확대행위는 고도의 정치적 · 군사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 할 것이고 그것이 누구에게도 이전하여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된 것으로 명백하게 인정될 수 있는 등 특별히 사정이 있는 경우라면 몰라도 그러하지 아니한 이상 그 계엄선포의 요건 구비 여부나 선포의 당 · 부당을 판단할 권한이 사법부에는 없다.

2. 내란죄의 구성요건인 국헌문란행위가 있었는지 판단 ?

 

국헌문란의 묵적을 가지고 있었는지 여부는 외부적으로 드러난 행위와 그 행위에 이르게 된 경위 및 그 행위의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국헌문란 행위란 형법 제92조 제2호에 의하면 헌법에 의하여 구성된 국가기관은 강압에 의하여 전복 또는 그 권능행사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국헌문란 행위의 하나로 들어가는데 여기서 권능행사를 불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것은 그 기관을 제도적으로 영구히 폐지하는 것은 아니고 상당기간 그 기능을 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3. 폭동의 의미와 정도

 

내란죄의 구성요건인 폭동의 내용으로서 폭행 또는 협박은 일체의 유형력의 행사나 외포심을 가지게 하는 해악의 고지를 의미하는 최광의의 폭행 · 협박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를 준비하거나 보좌하는 행위를 전체적으로 파악한 개념은 그 정도가 한 지방의 평온을 해할 정도의 위력있음을 말한다.

#계엄 #비상계엄 #탄핵 #대통령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탄핵소추 #탄핵의결

반응형
반응형

 

대통령 탄핵의 유래와 절차

 

1. 대통령 탄핵의 유래

대통령 탄핵은 대통령이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하거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심각한 불법 행위나 직무유기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기되는 정치적, 법적 절차입니다. 탄핵 제도는 대통령의 권력을 제한하고, 민주주의 원칙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장치입니다.

한국에서의 대통령 탄핵은 1987년 제정된 현행 헌법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1988년에 발효된 6공화국 헌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가 높아졌고, 그 일환으로 대통령의 권한 남용을 방지하고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탄핵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2. 대통령 탄핵 절차

대통령의 탄핵 절차는 헌법에 명시된 바에 따라 철저히 진행되며, 아래와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 1단계: 탄핵 소추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는 국회에서 시작됩니다. 국회의원들은 대통령이 헌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할 경우, 탄핵 소추를 결의할 수 있습니다. 이때 탄핵 소추는 국회의원 3분의 1 이상이 서명해야 하며, 국회에서 과반수 찬성을 얻어야 합니다.
  • 2단계: 헌법재판소 심리
    탄핵 소추가 국회에서 가결되면, 헌법재판소가 이를 심리합니다. 헌법재판소는 탄핵의 정당성을 검토하고, 이를 위해 대통령을 탄핵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은 6개월 이내에 내려야 하며, 이 기간 내에 판결이 없을 경우, 탄핵은 자동으로 기각됩니다.
  • 3단계: 헌법재판소의 판결
    헌법재판소는 대통령이 헌법을 위반한 사실이 충분히 인정되면 대통령의 탄핵을 확정합니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은 다수의 재판관의 결정을 따르며, 대통령은 직무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만약 탄핵이 기각되면 대통령은 계속 직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3. 한국의 대통령 탄핵 사례

한국에서는 두 번의 대통령 탄핵 사례가 있었습니다.

  •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은 국회에서 탄핵 소추를 당했으나,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기각되었습니다. 이후 노 대통령은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2016년, 박근혜 대통령은 국회에서 탄핵 소추를 당하고,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인용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은 직무에서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작성일: 2025년 1월 21일

반응형
반응형

 

 

비상계엄의 요건

 

 

비상계엄은 국가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군을 동원하는 특별한 조치입니다. 비상계엄이 발동되려면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국가의 안전에 대한 위협: 비상계엄이 발동되려면 국가의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폭동, 외부의 군사적 침략, 또는 국가의 질서가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이 필요합니다.
  • 헌법에 따른 절차: 비상계엄을 선언하려면 대통령이 국회와 상의하여 이를 발동해야 합니다. 국회의 승인을 받지 않으면 군사적 조치가 법적으로 효력을 발휘하지 않게 됩니다.
  • 군의 동원: 비상계엄 하에서는 군대가 국가의 질서 유지를 위한 주요 역할을 하며, 경찰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군을 동원하여 질서를 회복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비상계엄의 시나리오 예시

비상계엄은 국가의 존속을 위협하는 위기 상황에서만 발동되며, 지나치게 자주 사용될 경우 민주주의적 가치가 침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상계엄은 마지막 수단으로,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 때까지 군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위험물제조소 등의 설치허가기준은 ?

   ① 일반고시          ② 시 · 군의 조례         ③ 시 · 도지사           ④ 대통령령

[풀이] 답 : ③

2. 제조소 등의 설치자가 그 제조소 등의 용도를 폐지할 때 폐지한 날로 부터 며칠 이내에 신고(시 ·도지사)하여야 하는가 ?

     ① 7일              ② 14일                ③ 30일                  ④ 90일

[풀이] 답 : ②

3. 위험물 안전관리자의 선임신고를 하지 않았을 경우 벌칙기준은 ?

   ① 과태료 50만원          ② 과태료 100만원           ③ 과태료 200만원              ④ 과태료 300만원

[풀이] 답 : ③

4. 위험물 제조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위험물 시설의 설치 후 사용시기는 공사완공서 신청서를 제출하였을 때 부터 사용 가능하다.

  ② 위험물 시설의 설치 후 사용시기는 위험물 취급 주임 취급자 선임 신고서를 제출했을 때 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③ 위험물 시설의 설치 후 사용시기는 설치허가를 받았을 때 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④ 위험물 시설의 설치 후 사용시기는 완공검사를 받고 완공검사필증을 교부 받았을 때 부터 가능하다.

[풀이] 답 : ④

5. 위험물탱크안전성능 시험자가 기술능력, 시설 및 장비 중 중요 변경사항이 있는 때에는 변경한 날 부터 며칠이내에 변경

     신고를 하여야 하는가 ?

  ① 5일 이내            ② 15일 이내           ③ 25일 이내           ④ 30일 이내

[풀이] 답 : ④

6. 다음 중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해당 제조소 등을 설치할 수 잇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주택의 난방시설 (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을 제외한다)을 위한 저장소

  ② 주택의 난방시설 (공통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을 제외한다)을 위한 취급소

  ③ 농예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 또는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

  ④ 수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 또는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40배 이하의 저장소

[풀이] 다음에 해당하는 제조소 등의 경우에는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해당 제조소 등을 설치하거나 그 위치 · 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위험물의 품명 · 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할 수 있다.

  ㉠ 주택의 난방시설 (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을 제외한다)을 위한 저장소 또는 취급소

  ㉡ 농예용 · 축산용 또는 수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 또는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

[풀이] 답 : ④

7. 시 · 도지사는 제조소 등에 대한 사용의 정지가 그 이용자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그 밖의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때에

    는 사용정지 처분에 갈음하여 얼마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나 ?

   ① 1억원         ② 2억원           ③ 3억원           ④ 4억원

[풀이] 답 : ②

8. 위험물제조소 등이 완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제조소 등을 사용한 때 1차 행정처분기준 내용으로 옳은 것은 ?

   ① 경고          ② 사용정지 15일         ③ 사용정지 30일        ④ 허가취소

[풀이] 제조소 등에 대한 행정처분기준, 답 : ②

위반사항
행정처분기준
1차
2차
3차
① 제조소 등의 위치 · 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한 때
경고 또는
사용정지
15일
사용정지
60일
허가
취소
② 완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제조소 등을 사용한 때
사용정지
15일
사용정지
60일
허가
취소
③ 수리 · 개조 또는 이전의 명령을 위반한 때
사용정지
30일
사용정지
90일
허가
취소
④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때
사용정지
15일
사용정지
60일
허가
취소
⑤ 대리자를 지정하지 아니한 때
사용정지
10일
사용정지
30일
허가
취소
⑥ 정기점검을 하지 아니한 때
사용정지
10일
사용정지
30일
허가
취소
⑦ 정기점검을 받지 아니한 때
사용정지
10일
사용정지
30일
허가
취소
⑧ 저장 · 취급 기준 준수 명령을 위반한 때
사용정지
30일
사용정지
60일
허가
취소

19. 다음 중 탱크안전성능검사의 대상이 되는 탱크와 신청시기가 옳지 않은 것은 ?

   ① 기초 · 지반 검사 - 옥외탱크저장소의 액체 위험물 탱크 중 그 용량이 100만 ℓ 이상인 탱크

   ② 충수 · 수압검사 - 액체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탱크

   ③ 용접부검사 - 탱크 본체에 관한 공사의 개시 전

   ④ 암반탱크 검사 - 암반탱크의 본체에 관한 공사의 개시 후

[풀이] 탱크안전성능검사의 대상이 되는 탱크 및 신청시기, 답 : ④

① 기초 · 지반검사
검사대상
옥외탱크저장소의 액체위험물탱크 중 그 용량이 100만ℓ
이상인 탱크
신청시기
위험물탱크의 기초 및 지반에 관한 공사의 개시전
② 충수 · 수압검사
검사대상
액체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탱크
신청시기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탱크에 배관, 그밖에 부속
설비를 부착하기 전
③ 용접부 검사
검사대상
① 의 규정에 의한 탱크
신청시기
탱크 본체에 관한 공사의 개시전
④ 암반탱크 검사
검사대상
액체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암반 내의 공간을 이용한 탱크
신청시기
암반탱크의 본체에 관한 공사의 개시 전
 

10. 위험물탱크안전성능 시험자의 등록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②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집행이 종료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

         한다)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 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③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 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④ 탱크시험자의 등록이 취소된 날 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풀이] 위험물탱크안전성능 시험자 등록결격사유, 답 : ④

  ㉠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 「위험물안전관리법」,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 ·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또는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집행이 종료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 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위험물안전관리법」,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 ·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또는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 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 탱크 시험자의 등록이 취소된 날 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법인으로서 그 대표자가 ㉠ 내지 ㉡에 해당되는 경우

11. 충수 · 수압 시험의 방법 및 판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보온재가 부착된 탱크의 변경허가에 따른 충수 · 수압 시험의 경우에는 보온재를 해당 탱크 옆판의 최하단으로 부터

       40 ㎝ 이상 제거하고 시험을 실시할 것

  ② 충수시험은 탱크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1,000kℓ 미만의 탱크는 12시간, 1,000kℓ 이상의 탱크는 24시간 이상 경과한

       이후에 지반침하가 없고 탱크 본체 접속부 및 용접부 등에서 누설 변형 또는 손상 등의 이상이 없을 것

  ③ 수압시험은 탱크의 모든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한 이후에 물을 가득 채우고 최대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10분 이상 경과한 이후에 탱크 본체 · 접속부 및 용접부 등에서 누설 또는 영구변형 등의 이상이 없을 것.

         다만, 규칙에서 시험압력을 정하고 있는 탱크의 경우에는 해당 압력을 시험압력으로 한다.

  ④ 충수 · 수압 시험은 탱크가 완성된 상태에서 배관 등의 접속이나 내 · 외부에 대한 도장 작업 등을 하기 전에 위험물

        탱크의 최대 사용높이 이상으로 물 (물과 비중이 같거나 물 보다 비중이 큰 액체로서 위험물이 아닌 것을 포함한다)을

        가득 채워 실시한다.

[풀이] 보온재가 부착된 탱크의 변경허가에 따른 충수 · 수압 시험의 경우에는 보온재를 해당 탱크 옆판의 최하단으로 부터

           20㎝ 이상 제거하고 시험을 실시한다. 답 : ①

12. 자기탐상시험 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균열이 확인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할 것

  ② 선상 및 원영상의 결함크기가 8㎜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할 것

  ③ 2 이상의 결함자분 모양이 동일선상에 연속해서 존재하고 그 상호 간의 간격이 2㎜ 이하인 경우에는 상호 간의 간격을

       포함하여 연속된 하나의 결함자분모양으로 간주할 것

  ④ 결함자분모양이 존재하는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 2,500㎟의 사각형 (한변의 최대길이는 150㎜로 한다)내의 길이 1㎜를

       초과하는 결함자분모양의 길이의 합계가 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할 것

[풀이] 선상 및 원형상의 결함크기가 4㎜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할 것

13. 강제 강화 플라스틱제 이중벽 탱크의 성능시험 시 감지층에 2kPa의 공기압을 가하여 몇 분 동안 유지하였을 때 압력

       강하가 없어야 하는가 ?

   ① 1분                ② 5분              ③ 10분               ④ 20분

[풀이] 강제 강화 플라스틱제 이중벽탱크의 성능시험

  ㉠ 탱크 본체에 대하여 수압시험을 실시하거나 비파괴시험 및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지 아니할 것. 이 경우

       수압시험은 감지관을 설치한 후에 실시하여야 한다.

  ㉡ 감지층에 20kPa의 공기압을 가하여 10분 동안 유지하였을 때 압력강하가 없을 것

[풀이] 답 : ③

14. 강화 플라스택제 이중벽 탱크의 성능시험 중 수압시험의 경우 탱크 직경이 3m 이상인 경우 지탱해야 하는 압력은 ?

  ① 0.1 MPa          ② 0.2 MPa          ③ 0.3MPa             ④ 0.4 MPa

[풀이] 수압시험 : 다음의 규정에 따른 수압을 1분 동안 탱크 내부에 가하는 경우에 파손되지 아니하고 내붕바력을 지탱할

                            것

   ㉠ 탱크 직경이 3m 미만인 경우 : 0.17 MPa

   ㉡ 탱크직경이 3m 이상인 경우 : 0.1 MPa

15. 강제 강화 플라스틱제 이중벽 탱크의 운반 및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운반 또는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강화 플라스틱 등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② 탱크의 외면이 접촉하는 기초대, 고정밴드 등의 부분에는 완충재 (두께 10㎜ 정도의 고무제 시트 등)를 끼워 넣어 접촉

       면을 보호할 것

  ③ 탱크를 기초대에 올리고 고정밴드 등으로 고정한 후 해당 탱크의 감지층을 20kPa 정도로 가압한 상태로 10분 이상

       유지하여 압력강하가 없는 것을 확인할 것

  ④ 탱크를 매설한 사람은 매설 종료 후 해당 탱크의 감지층을 20kPa 정도로 가압 또는 감압한 상태로 10분 이상 유지하여

        압력강하 또는 압력상승이 없는 것을 탱크제조자의

입회하에 확인할 것

[풀이] 탱크를 매설한 사람은 매설종료 후 해당 탱크의 감지층을 20kPa 정도로 가압 또는 감압한 상태로 10분 이상 유지

           하여 압력강하 또는 압력상승이 없는 것을 설치자의 입회하에 확인할 것. [답] : ④

#위험물안전관리법 #안전관리자 #제조소 #위험물탱크안전성능 #과징금 #암반탱크검사

#기초지반검사 #자기탐상시험 #이중벽탱크 #강화플라스틱제

반응형
반응형
 

 

1. 지정수량 미만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기준 및 시설기준은 무엇으로 정하는가 ?

  ① 행정자치부령       ② 시 · 도의 규칙        ③ 시 · 도의 조례         ④ 대통령령

[풀이] 답 : ③

2. 위험물의 제조소 및 일반취급소에서 지정수량의 12만배 미만을 저장, 취급할 때 화학소방차의 대수와 조작인원은 ? 

   ① 화학소방차 1대, 조작인원 5인                 ② 화학소방차 2대, 조작인원 10인

   ③ 화학소방차 3대, 조작인원 15인               ④ 화학소방차 4대, 조작인원 20인

[풀이] 화학소방차 및 조작인원 답 : ①

사업소의 구분
화학소방
자동차
자체소방
대원 수
1.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2만배 미만인 사업소
1대
5인
2.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12만배 이상, 24만배 미만인 사업소
2대
10인
3.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24만배 이상, 48만배 미만인 사업소
3대
15인
4.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48만배 이상인 사업소
4대
20인

3. 위험물을 옥내저상소에 저장할 경우 용기에 수납하며 품명별로 구분, 저장하고, 위험물의 품명마다 몇 m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하는가 ?

   ① 0.2 m 이상          ② 0.3 m 이상          ③ 0.5 m 이상             ④ 0.6 m 이상

[풀이] 위험물을 옥내저장소에 저장할 경우 동일 품명의 위험물이더라도 자연발화할 우려가 있는 위험물 또는 재해가 현저

           하게 증대할 우려가 있는 위험물을 다량 저장하는 경우에는 지정수량의 10배 이하 마다 구분하여 상호 간 0.3m

           이상의 간격을 두어 저장한다. 답 : ③

4. 2품목 이상의 위험물을 동일 장소에 저장할 경우 환산 지정수량으로 옳은 것은 ?

   ① 각 품목별로 저장하는 수량을 각 품목의 지정수량으로 나누어 합산한 수

   ② 각 품목별로 저장하는 수량을 각 품목의 지정수량으로 나누어 곱한 수

   ③ 저장하는 위험물 중 그 양이 가장 많은 품목을 지정수량으로 나눈 수

   ④ 저장하는 위험물 중 그 위험도가 가장 큰 품목을 지정수량으로 나눈 수

[풀이] 답 : ①

5.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해임한 날 부터 며칠이내에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가 ?

   ① 5일              ② 15일           ③ 25일               ④ 30일

[풀이] 답 : ④

6. 알루미늄분의 안전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공기와 접촉,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크므로 화기를 엄금한다.        ② 마른 모래는 완전히 건조된 것으로 사용한다.

   ③ 분진이 난무한 상태에서는 호흡보호기구를 사용한다.                

   ④ 피부에 노출되어도 유해성이 없으므로 작업에 방해되는 고무장갑은 끼지 않는다.

[풀이] 답 : ④

7.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에서 정진기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접지에 의한 방법                             ②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하는 방법

   ③ 피뢰침을 설치하는 방법                   ④ 공기를 이온화하는 방법

[풀이] 답 : ③

8. 위험물을 운반하기 위한 적재방법 중 차광성이 있는 덮개를 하여야 하는 위험물은 ?

   ① 삼산화크로뮴         ② 과염소산           ③ 탄화칼슘               ④ 마그네슘

[풀이] 차광성이 있는 덮개를 하여야 하는 위험물 : 과염소산 (제6류 위험물) 답 : ②

   ① 삼산화 크로뮴(chromium trioxide)은 화학식 CrO3을 갖는 무기화합물이다.

   ② 과염소산(HClO4)은 염소의 산소산으로 무색이고 물에 녹는 액체이다. 황산이나 질산 정도의 강산이다. 초강산이지만

        가장 강한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은 아니다.

   ③ 탄화 칼슘(Calcium carbide, CaC2)은 칼슘 카바이드(calcium carbide), 줄여서 카바이드 (carbide)라고도 불리며,

        두 개의 두개의 탄소원자가 삼중 공유결합을 한 2- 음이온과, 2+ 전하를 띠는 칼슘 양이온이 이온결합한 물질이다.

   ④ Mg(Magnesium 마그네시움이고 원자번호는 12이다. 실온에서 은백색의 가벼운 금속으로 존재한다. 반응성이 크고

        2가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자연에서는 주로 마그네사이트, 백운암, 활석, 석면 등의 화합물의 형태로 발견

        된다. 지구의 지각에서는 질량 기준으로 약 2.5%를 차지하여 8번째로 많이 존재하는 원소이며, 우주 전체에서도

        8번째로 많이 존재하는 원소이다.

9. 위험물 운반용기의 재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① 금속판, 유리, 플라스틱            ② 플라스틱, 놋쇠, 아연판

  ③ 합성수지, 파이버, 나무            ④ 폴리에틸렌, 유리, 강철판

[풀이] 운반용기의 재질은 강판, 알루미늄판, 양철판, 유리, 금속판, 종이, 플라스틱, 섬유판, 고무류, 합성섬유, 삼, 짚 또는

           나무로 한다. 답 : ②

10. 포말 화학소방차 1대의 포말 방사능력 및 포수용액 비치량으로 옳은 것은 ?

  ① 2,000 ℓ/min, 비치량 10만 ℓ 이상             ② 1,500 ℓ/min, 비치량 5만 ℓ 이상

  ③ 1,000 ℓ/min, 비치량 3만 ℓ 이상               ④ 500 ℓ/min, 비치량 1만 ℓ 이상

[풀이] 답 : ①

11. 자체소방대의 편성 및 자체소방조직을 두어야 하는 제조소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지정수량 1만배 이상을 저장 · 취급하는 옥외탱크저장시설

   ② 지정수량 3천배 이상의 제4류 위험물을 저장 · 취급하는 제조소

   ③ 지정수량 3천배 이상의 제4류 위험물을 저장 · 취급하는 일반 취급소

   ④ 지정수량 2만배 이상의 제4류 위험물을 저장 · 취급하는 취급소

[풀이] 자체소방대 설치대상 :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 지정수량의 3천배 이상 답 : ①

12. 위험물의 지정수량은 누가 지정한 수량인가 ?

   ①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             ②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 수량

   ③ 시장, 군수가 정한 수량               ④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정한 수량

[풀이] 답 : ①

13. 염소산나트륨의 운반용기 중 내장용기의 재질 및 구조로서 가장 옳은 것은 ?

   ① 마포포대         ② 함석판상자           ③ 폴리에틸렌 포대              ④ 나무상자

[풀이] 염소산나트륨은 조행성이 크므로 마대포대, 나무상자에 침투할 수 있으므로 옳지 않음, 흡습성이 좋아 강한 산화제

           로서 철제용기를 수식시킴, 염소산나트륨의 운반용기의 재질 및 구조로서 폴리에틸렌포대가 가장 좋음 답 : ③

14. 다음 그림과 같은 탱크의 내용적은 ? (단, π는 3.14이다)

 
 

   ① 약 258 ㎥              ② 약 282 ㎥               ③ 약 312 ㎥               ④ 약 375 ㎥

[풀이] 답 : ②

15. 제4류 위험물의 지정수량 48만배 이상을 저장, 취급하는 제조소의 자체소방대에서 갖추어야 하는 (a) 화학소방대

       대수 및 (b) 조작인원은 ?

   ① (a) 4대, (b) 20인         ② (a) 3대, (b) 15인          ③ (a) 2대, (b) 10인            ④ (a) 1대, (b) 5인

[풀이] 화학소방자동차 대수 및 조작인원 : 답 : ①

사업소의 구분
화학소방
자동차
자체소방
대원 수
1.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2만배 미만인 사업소
1대
5인
2.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2만배 이상, 24만배 미만인 사업소
2대
10인
3.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24만배 이상, 48만배 미만인 사업소
3대
15인
4.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48만배 이상인 사업소
4대
20인

16. 인화성 액체위험물 중 운반할 때 차광성이 있는 피복으로 가려야 하는 위험물은 ?

  ① 특수인화물         ② 제2석유류           ③ 제3석유류               ④ 제4석유류

[풀이] 차광성이 있는 피복으로 가려야 할 위험물

   ㉠ 제1류 위험물    ㉡ 자연발화성 물품    ㉢ 제4류 위험물 중 특수인화물    ㉣ 제5류 위험물 ㉤ 제6류 위험물

답 : ①

17.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제조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시판은 ? 

   ① 물기주의           ② 화기엄금          ③ 화기주의           ④ 물기엄금

[풀이] ④

18.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등이 있는 동일 사업소에서 지정수량의 몇배 이상인 경우에 자체 소방대를 설치하여

       야 하는가 ?

      ① 1,000배           ② 3,000 배              ③ 5,000배               ④ 10,000배

[풀이]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 지정수량의 3천배 이상 답 : ②

19. 운송책임자의 감독 · 지원을 받아 운송하여야 하는 위험물은 ?

  ① 칼륨          ② 하이드라진유도체           ③ 특수인화물            ④ 알킬리튬

[풀이] 답 : ④

20. 제3류 위험물에 대한 주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

   ① 충격주의          ② 화기엄금          ③ 공기첩촉엄금            ④ 물기엄금

[풀이]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 물품 : "화기엄금" 및 "공기접촉엄금", 금수성 물품 :  "물기엄금"

           제5류 위험물 : "화기엄금" 및 "충격주의" 답 : ③

21. 안전관리자의 책무 및 선임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

   ① 위험물 취급에 관한 일지의 작성 · 기록                    ② 화재 등의 발생시 응급조치 및 소방관서에 연락

   ③ 위험물 제조소 등의 적정한 유지관리             

   ④ 위험물을 저ㅈ아하는 각 저장창고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이하인 옥내저장소는 1인의 안전관리자를 중복 선임

[풀이] 안전관리자의 책무

  ㉮ 위험물의 취급작업에 참여하여 해당 작업이 저장 또는 취급에 관한 기술기준과 예방규정에 적합하도록 해당 작업자에

      대하여 지시 및 감독하는 업무

  ㉯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한 경우 응급조치 및 소방관서 등에 대한 연락업무

  ㉰ 위험물시설의 안전을 담당하는 자를 따로 두는 제조소 등의 경우에는 그 담당자에게 다음의 규정에 의한 업무의 지시,

       그 밖의 제조소 등의 경우에는 다음의 규정에 의한 업무

     ㉠ 제조소 등의 위치 · 구조 및 설계를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점검과 점검상황의 기록 · 보존

     ㉡ 제조소 등의 구조 또는 설비의 이상을 발견한 경우 관계자에 대한 연락 및 응급조치

     ㉢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현저한 경우 소방관서 등에 대한 연락 및 응급조치

     ㉣ 제조소 등의 계측장치 · 제어장치 및 안정장치 등의 적정한 유지 · 관리

     ㉤ 제조소 등의 위치 · 구조 및 설비에 관한 설계도서 등의 정비 · 보존 및 제조소 등의 구조 및 설비의 안전에 관한

          사무의 관리

   ㉱ 화재 등의 재해 방지와 응급조치에 관하여 인접하는 제조소 등과 그 밖의 관련되는 시설의 관계자와 협조체계 유지

   ㉲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일지의 작성 · 기록

   ㉳ 그 밖에 위험물을 수납한 용기를 차량에 적재하는 작업, 위험물설비를 보수하는 작업 등 위험물의 취급과 관련된 작업

        의 안전에 관하여 필요한 감독의 수행

   ㉴ 위험물을 저장하는 각 저장창고가 10개 이하인 옥내저장소는 1인의 안전관리자를 1인의 안전관리자를 중복 선임

         답 : ④

22. 그림과 같이 원형 탱크를 설치하여 일정량의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려고 한다. 탱크의 내용적은 얼마인가 ?

 

   ① 16.67 ㎥          ② 17.79 ㎥           ③ 18.85 ㎥             ④ 19.96 ㎥

[풀이] 탱크의 내용적 답 : ②

23. 다음 중 품목을 달리하는 위험물을 동일 장소에 저장할 경우 위험물의 시설로서 허가를 받아야 할 수량을 저장하고

       있는 것은 ? (단, 제4류 위험물의 경우 비수용성임)

   ① 이황화탄소 10ℓ, 가솔린 20 ℓ와 칼륨 3㎏을 취급하는 곳

   ② 제1석유류(비수용성) 60 ℓ, 제2석유류 (비수용성) 300 ℓ 와 제3석유류 950 ℓ를 취급하는 곳

   ③ 경유 600 ℓ, 나트륨 1kg 과 무기과산화물 10 kg을 취급하는 곳

   ④ 황 10kg, 등유 300 ℓ 와 황린 10 ㎏ 을 취급하는 곳

[풀이] 허가 대상 위험물 답 : ②

 

24. 제4류 위험물의 지정품명은 모두 몇 품명인가 ? (단, 수용성 및 비수용성의 구분은 고려하지 않는다)

   ① 10품명             ② 8품명              ③ 9품명               ④ 7품명

[풀이] 제4류 위험물 (인화성 액체)

품 명
지정수량
특수인화물
50 ℓ
제1석유류
비수용성
200 ℓ
수용성
400 ℓ
알코올류
400 ℓ
제2석유류
비수용성
1,000ℓ
수용성
2,000ℓ
제3석유류
비수용성
2,000 ℓ
수용성
4,000 ℓ
제4석유류
6,000 ℓ
동식물유류
10,000 ℓ

25. 위험물을 수납한 운반용기는 수납하는 위험물에 따라 주의사항을 표시하여 적재하여야 한다.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제2류 위험물 중 인화성 고체 - 화기엄금              ② 제6류 위험물 - 가연물 접촉주의

  ③ 금수성 물질 (제3류) - 물기주의                            ④ 자연발화성물질 (제3류) - 화기엄금 및 공기접촉엄금

[풀이] 수납하는 위험물에 따라 다음의 규정에 의한 주의사항

   ㉠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 "화기 · 충격주의", "물기엄금" 및 "가연물 접촉주의",

        그밖의 경우 : "화기 · 충격 주의" 및 "가연물 접촉주의"

  ㉡ 제2류 위험물 중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화기주의" 및 "물기엄금", 인화성 고체 : "화기엄금", 그밖의 경우 : "화기주의"

  ㉢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 물품 : "화기엄금" 및 "공기접촉엄금",  금수성 물품 : "물기엄금"

  ㉣ 제4류 위험물 : "화기 엄금"

  ㉤ 제5류 위험물 : "화기엄금" 및 "충격주의"

  ㉥ 제6류 위험물 : "가연물 접촉주의"

26. 위험물에 대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위험물이라 함은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② 제조소라 함은 일주일에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하기 위한 시설을 뜻한다.

  ③ 지정수량이라 함은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 제조소 등의 설치허가 등에

       있어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을 말한다.

  ④ 제조소 등이라 함은 제조소, 저장소 및 취급소를 말한다.

[풀이] 제조소라 함은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허가를 받은 장소를 말한

            답 : ②

27. 간이탱크저장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간이저장탱크의 외면에는 녹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을 하여야 한다.

   ② 간이저장탱크의 두께는 3.2 ㎜ 이상의 강판을 사용한다.

   ③ 통기관은 옥외에 설치하되, 그 선단의 높이는 지상 1.5m 이상으로 한다.

   ④ 통기관의 지름은 10 ㎜ 이상으로 한다.

[풀이] 통기관의 지름은 25 ㎜ 이상으로 한다. 답 : ④

28. 위험물을 수납한 운반용기 및 포장의 외부에 표시하는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제2류 위험물 중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또는 이들 중 어느하나 이상을 함유한 것에 있어서는 "화기주의" 및

        "물기엄금"

  ②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인 경우에는 "화기주의" 및 "충격주의"

  ③ 제4류 위험물의 경우에는 "화기 엄금"

  ④ 과염소산 과산화수소의 경우에는 "가연물 접촉주의"

[풀이]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인 경우에는 "화기엄금" 및 "공기접촉엄금", 금수성 물질인 경우에는 "물기 엄금"

29.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 방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① 산화프로틸렌 : 저장 시 은으로 제작된 용기에 질소가스 등 불연성 가스를 충전하여 보관한다.

  ② 이황화탄소 : 용기나 탱크에 저장 시 물로 덮어서 보관한다.

  ③ 알킬알루미늄류 : 용기는 완전밀봉하고 질소 등 불활성가스를 충전한다.

  ④ 아세트알데하이드 : 냉암소에 보관한다.

[풀이] 산화프로필렌, 아세트알데하이드는 Cu, Ag, Hg, Mg 등의 금속이나 합금과 접촉하면 폭발적으로 반응하여

          아세틸리드를 형성한다. 답 : ①

30. 산화성 고체 "위험등급 Ⅰ" 위험물인 연소산염류의 수납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방수성이 있는 플라스틱드럼 또는 파이버드럼에 지정수량을 수납하고 밀봉한다.

  ② 양철판제의 양철통에 지정수량과 물을 가득 담아 밀봉한다.

  ③ 강철제의 양철통에 지정수량과 파라핀 경유 또는 등유로 가득 채워서 밀봉한다.

  ④ 강철제통에 임의의 수량을 넣고 밀봉한다.

[풀이] ①

31. 위험물의 저장, 취급 및 운반에 있어서 적용 제외 규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항공기          ② 철도            ③ 궤도                 ④ 주유취급소

[풀이] 적용제외 : 항공기, 철도, 궤도 답 : ④

32. 위험물의 운반에 관한 기준에 의거할 때, 운반용기의 재질로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강판           ② 수은            ③ 양철판                 ④ 종이

[풀이] 답 : ②

33. 다음 그림과 같은 원통형 탱크의 내용적은 ? (단, 그림의 수치 단위는 m이다)

 

   ① 약 259㎥           ② 약 282 ㎥          ③ 약 312 ㎥              ④ 약 375 ㎥

[풀이] 탱크의 내용적

34. 옥내저장소에서 제4석유류를 수납하는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에 높이는 얼마를 초과할 수 없는가 ? 

  ① 3 m             ② 4 m             ③ 5 m               ④ 6 m

[풀이] 위험물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규정에 의한 높이를 초과하여 용기를 겹쳐 쌓지 아니할 것

  ㉠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 : 6 m

  ㉡ 제4류 위험물 중 제3석유류, 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를 수납하는 용기만을 쌓는 경우  : 4 m

  ㉢ 그밖의 경우 : 3 m

35. 다음 중 위험물 안전관리자의 책무가 아닌 것은 ?

  ①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한 경우 응급 조치 및 소방관서 등에 대한 연락 업무

  ② 화재 등의 재해의 방지에 관하여 인접하는 제조소 등과 그 밖의 관련되는 시설의 관계자와 협조체제 유지

  ③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일지의 작성 · 기록

  ④ 안전관리대행기관에 대하여 필요한 지도 · 감독

[풀이] 안전관리대행기관에 대하여 필요한 지도 · 감독은 위험물 안전관리자의 책무에 해당되지 않는다. 답 : ④

36. 자체소방대를 설치하여야 하는 위험물 취급 제조소의 제4류 위험물량은 지정수량의 몇 배 이상인가 ?

   ① 3,000배 이상            ② 4,000배 이상            ③ 5,000배 이상              ④ 6,000배 이상

[풀이] 답 : ①

37. 제조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의 합이 지정수량의 48만배 이상인 사업소의 자체소방대에서 갖추어야

       하는 화학소방자동차 대수 및 자체소방대원의 수는 ? (단, 해당 사업소는 다른 사업소 등과 상호응원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고 있지 않다.)

   ① 4대, 20인             ② 3대, 15인          ③ 2대, 10인               ④ 1대, 5인

[풀이] 화학소방자동차, 자체소방대원

사업소의 구분
화학소방
자동차
자체소방
대원 수
1.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2만배 미만인 사업소
1대
5인
2.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2만배 이상, 24만배 미만인 사업소
2대
10인
3.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24만배 이상, 48만배 미만인 사업소
3대
15인
4.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이
    지정수량의 48만배 이상인 사업소
4대
20인

38. 위험물의 운반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위험물을 수납한 용기가 현저하게 마찰 또는 충격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②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할 때에는 한 변의 길이가 0.3m 이상, 다른 한변은 0.6m 이상인 직사각형

       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③ 위험물의 운반 도중 재난발생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응급조치를 강구하는 동시에 가까운 소방관서,

       그 밖의 관계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④ 지정수량 이하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하는 경우 적응성이 있는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위험물의 소요단위에

       상응하는 능력단위 이상으로 비치하여야 한다.

[풀이]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하는 겨우 적응성이 있는 소형 수동식 소화기를 위험물의 소요단위에

           상응하는 능력단위 이상으로 비치하여야 한다.

39. 화학소방자동차 (포수용액방사차) 1대가 갖추어야 할 포수용액의 방사능력으로 옳은 것은 ?

  ① 500 ℓ/min 이상           ② 1,000 ℓ/min              ③ 1,500 ℓ/min              ④ 2,000 ℓ/min

[풀이] 소화능력 및 설비의 기준

   ㉠ 포수용액의 방사능력이 2,000 ℓ/min 이상일 것

   ㉡ 소화약액탱크 및 소화약액혼합장치를 비치할 것

   ㉢ 10만 ℓ 이상의 포수용액을 방사할 수 있는 양의 소화약제를 비치할 것

[풀이] 답 : ④

40. 위험물안전관리법 규정에 의하여 다수의 제조소 등을 설치한 자가 1인 안전관리자를 중복하여 선임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 (단, 동일 구내에 있는 저장소로서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저장소를 동일인이 설치한 경우이다.)

  ① 15개의 옥내 저장소                ② 15개의 옥외탱크저장소

  ③ 10개의 옥외저장소                  ④ 10개의 암반탱크저장소

[풀이] 다수의 제조소 등을 설치한 자가 1인의 안전관리자를 중복하여 선임할 수 있는 경우

   ㉠ 10개 이하의 옥내 저장소

   ㉡ 30개 이하의 옥외탱크저장소

   ㉢ 10개 이하의 옥외저장소

   ㉣ 10개 이하의 암반탱크저장소 답 : ①

41. 액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몇 % 이하의 수납률로 수납하여야 하는가 ?

   ① 90           ② 94               ③ 95                 ④ 98

[풀이] ㉠ 액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98% 이하의 수납률

          ㉡ 고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95% 이하의 수납률 답 : ④

42.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의 산화성 시험방법 중 분립상 물품의 산화성으로 인한 위험물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연소시험에서 표준물질의 연소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표준물질과 목분을 중량비 1 : 1로 섞어 혼합물 30g을 만든다.

   ② 표준물질과 목분을 중량비 2 : 1로 섞어 혼합물 30g을 만든다.

   ③ 표준물질과 목분을 중량비 1 : 1로 섞어 혼합물 60g을 만든다.

   ④ 표준물질과 목분을 중량비 2 : 1로 섞어 혼합물 60g을 만든다.

[풀이] 답 : ①

43. 그림과 같은 위험물 탱크의 내용적은 약 몇 ㎥인가 ?

 

   ① 258.3            ② 282.6             ③ 312.1              ④ 375.3

[풀이] 저장탱크의 내용적 답 : ②

#위험물 #제조소 #취급소 #소방대 #안전관리자 #염소산나트륨 #화학소방자동차

#인화성 #알칼리금속 #내용적 #위험등급 #산화성고체 #간이탱크저장소 #자체소방대

반응형
반응형
 

61. 특정 옥외저장탱크 구조기준 중 필렛용접의 사이즈 (S, ㎜)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것은?

      [단, t1 : 얇은 쪽 강판의 두께(㎜), t2 : 두꺼운 쪽 강판의 두께 (㎜)이다.]

[풀이] 답 : ② 옆판의 용접은 필렛용접의 사이즈로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 값으로 할 것

            여기서, t1 : 얇은 쪽 강판의 두께 (㎜), t2 : 두꺼운 쪽 강판의 두께 (㎜), S : 사이즈(㎜)

62. 다음 중 제1종 판매취급소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건축물의 1층에 설치할 것

   ② 위험물을 배합하는 실의 바닥면적은 6㎡ 이상, 15㎡ 이하일 것

   ③ 위험물을 배합하는 실의 출입구 문턱 높이는 바닥면으로 부터 0.1m 이상으로 할 것

   ④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수량이 40배 이하인 판매취급소에 대하여 적용할 것

[풀이] 답 : ④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수량이 20배 이하인 판매취급소에 대하여 적용할 것

63. 피난계단의 출입구가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

  ①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② 옥내에서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이나 노대로 통하는 출입구는 반드시 을종 방화문을 설치한다.

  ③ 출입구는 항상 피난방향으로 열수 있도록 설치한다.

  ④ 출입구는 언제나 닫혀 있는 것이 원칙이다.

[풀이] 답 : ② 옥내에서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이나 노대로 통하는 출입구는 반드시 갑종 방화문을 설치한다.

64.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

  ① 비중이 공기보다 커서 심부화재에도 적합하다.       ② 약제가 방출될 때 사람 · 가축에게 해를 준다.

  ③ 전기전열성이 높아 전기화재에도 적합하다.            ④ 배관 및 관 부속이 저압이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풀이] 정답 : ④ 배관 및 관 부속이 고압이므로 시공이 불편하다.

65.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

   "이동저장탱크는 그 내부에 (a)리터 이하마다 (b) ㎜ 이상의 강철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 내열성 및 내식성 있는

     금속성의 것으로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① a : 2,000, b : 2.4       ② a: 2,000, b: 3.2          ③ a: 4,000, b : 2.4          ④ a: 4,000, b: 3.2

[풀이] 답 ④ 칸막이 : 배부에 4,000ℓ, 이하마다 3.2㎜ 이상의 강철판 칸막이로 구회괸 각 부분마다 맨홀, 안정장치 및 방파판

                  설치 (칸막이로 구획된 부분의 용량이 2,000ℓ 미만인 부분에[는 방파판 설치 제외)

66.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치기준 중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 이하로 하고 그 한변의 길이는 광전식 분리형일 경우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① 10 m              ② 100 m             ③ 150 m                ④ 300m

[풀이] 답 ②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그 한변의 길이는 50m(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에

                    는 100m) 이하로 할 것. 해당 건축물, 그밖의 공작물의 주요한 출입구에서 그 내부의 전체를 볼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면적을 1,000㎡ 이하로 할 수 있다.

67. 지름 50m, 높이 50m 인 옥외탱크저장소에 방유제를 설치하려고 한다. 이 때 방유제는 탱크 측면으로 부터 몇 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는가 ? (단, 인화점이 180℃ 인 위험물을 저장 · 취급한다)

  ① 10 m          ② 15 m            ③ 20m                ④ 25m

[풀이] 방유제의 탱크 옆판의 이격거리 (인화점이 200℃ 이상 탱크 제외)

          ㉠ 지름이 15m 미만인 경우 : 탱크 높이의 1/3 이상

          ㉡ 지름이 15m 이상인 경우 : 탱크 높이의 1/2 이상

              ∴ 지름 50m/2 = 25m

68. 금수성 물품에 대한 소화설비의 적응성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

   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② 무상강화액소화기          ③ 탄산수소염류소화기           ④ 포소화기

[풀이] 답 : ③ 금수성 물품에 수분이 함유된 소화약제를 사용하면 수소가 발생하여 화재폭발위험이 있으므로 ① 이산화탄

                     소소화설비 ② 무상강화액소화기 ④ 포소화기는 적응성이 없으며, ③ 탄산수소염류소화기는 적응성이 있다.

69. 화재발생시 이를 알릴 수 있는 경보설비는 지정수량의 몇 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에 설치하여

       야 하는가 ?

   ① 10배               ② 50배                ③ 100배                ④ 200배

[풀이] 답 : ① 화재발생시 이를 알릴 수 있는 경보설비는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에

                      설치한다.

70. 화재발생을 통보하는 설비로서 경보설비가 아닌 것은 ? ④

   ① 비상경보설비          ② 자동화재탐지설비          ③ 비상방송설비            ④ 영상음향차단경보기

[풀이] 정답 : ④ ㉠ 비상경보설비 : 비상경보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 그밖의 시설 : 영상음향차단경보기

71. 펌프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에서 옥내소화전이 가장많이 설치된층의 소화전의 수가 3개 일 경우 20분동안 토출량은 ?

   ① 2.6 ㎥          ② 5.2 ㎥             ③ 7.8 ㎥          ④ 15.6 ㎥ 이상

[풀이] 위험물의 제조소 소방대상물에서

           260 ℓ/min/개 × 3개 × 20분 = 260 ℓ × 60 = 15,600ℓ = 15.6㎥

72. 소화난이도 등급 Ⅰ 의 황 만을 저장 · 취급하는 옥외탱크저장소에 설치해야 할 소화설비는 ?

   ① 물분무소화설비       ② 이산화탄소소화설비          ③ 옥외소화전소화설비             ④ 분말소화설비

[풀이] 답 : ①

73.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에 설치하는 간이탱크는 몇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풀이]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에 설치하는 간이저장탱크수 : 3개 이하 (동일한 품질의 위험물 간이저장탱크 수 : 2 이상

           설치하지 아니할 것)

74. 이동탱크저장소의 탱크는 그 내부에 몇 ℓ 이하마다 3.2㎜ 이상의 강철판 칸막이를 설치하는가 ?

   ① 1,000ℓ          ② 2,000 ℓ              ③ 3,000 ℓ                ④ 4,000 ℓ

[풀이] 답 : ④ 칸막이 : 내부에 4,000 ℓ, 이하마다 3.2 ㎜ 이상의 강철판

75. 주유취급소에 설치해야 하는 "주유 중 엔진 정지" 게시판의 색깔은 ?

   ① 적색밬탕에 백색문자     ② 청색바탕에 백색문자   ③ 백색바탕에 흑색문자    ④ 황색바탕에 흑색문자

[풀이] 답 : ④

76. 주유취급소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위치 및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건축물 중 사무실, 그밖의 화기를 사용하는 곳은 누설한 가연성 증기가 그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높이 1m 이하의

        부분에 있는 창 등은 밀폐시킬 것

  ② 건축물 중 사무실, 그밖의 화기를 사용하는 곳의 출입구 또는 사이통로의 문턱 높이는 15㎝ 이상으로 할 것

  ③ 주유취급소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벽, 기둥, 바닥, 보 및 지붕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할 것

  ④ 자동차 등의 세정을 행하는 설비는 증기세차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2m 이상의 담을 설치하고 출입구가

       고정 주유설비에 면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풀이] 답 : ④ 증기세차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주위에 불연재료로 된 높이 1m 이상의 담을 설치하고, 출입구가 고정주

                       유설비에 면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77. 위허물안전관리법상 옥내소화전은 제조소 등의 건축물의 층마다 해당 층의 각 부분에서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① 5m         ② 15 m ③           25m               ④ 35m

[풀이] 답 : ③

78. 알킬알루미늄 등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이동탱크저장소의 이동탱크의 경우 얼마의 압력으로 몇 분간의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이 없어야 하는가 ?

   ① 1MPa, 10분          ② 1.5MPa, 15분         ③ 2MPa, 10분          ④ 2.5MPa, 15분

[풀이] 답 : ① 이동저장탱크는 두께 10㎜ 이상의 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기계적 성질이 있는 재료로 기밀하게 제작

                      되고 1MPa 이상의 압력으로 10분간 실시하는 수압시험에서 새거나 변형하지 아니하는 것일 것

79. 자동화재탐지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은 건축물 그 밖의 공작물의 2 이상의 층에 걸치지 아니하도록 한다.

   ②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그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한다.

   ③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는 지붕 또는 벽의 옥내에 면한 부분에 유효하게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 있돌고 설치한다.

   ④ 자동화재탐지설비에는 비상전원을 설치한다.

[풀이] 답 : ②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그 한변의 길이는 100m

                      이하로 한다.

80. 제조소에서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 그 밖의 시설 주위에는 그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에 따라 보유해야 할

       공지가 필요하다. 위험물이 지정수량의 20배인 경우 공지의 너비는 몇 m인가 ?

  ① 3m             ② 4m                ③ 5m                ④ 10m

[풀이] 제조소의 보유공지 너비 답 : ③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
공지의 너비
지정수량 10배 이하
3m 이하
지정수량의 10배 초과
5m 이상

81. 고속국도의 도로변에 설치한 주유취급소의 탱크용량은 얼마까지 할 수 있는가 ?

   ① 10만 ℓ             ② 8만 ℓ              ③ 6만 ℓ             ④ 5만 ℓ

[풀이] 답 : ③

82. 벽, 기둥 및 바닥이 내화구조로 된 건축물을 옥내 저장소로 사용할 때 지정수량의 50배 초과 200배 이하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경우에 확보해야 하는 공지의 너비는 ?

   ① 1m 이상            ② 2m 이상             ③ 3m 이상            ④ 5m 이상

[풀이] 옥내저장소 보유공지 너비 답 : ④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
공지의 너비
벽 · 기둥 및 바닥이
내화구조로 된 건축물
그밖의 건축물
지정수량의 5배 이하
-
0.5m 이하
지정수량의 5배 초과, 10배 이하
1m 이상
1.5m 이상
지정수량의 10배 초과, 20배 이하
2m 이상
3m 이상
지정수량의 20배 초과, 50배 이하
3m 이상
5m 이상
지정수량의 50배 초과, 200배 이하
5m 이상
10m 이상
지정수량의 200배 초과
10m 이상
15m 이상

83. 인화성 위험물질 500ℓ 를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에 저장하려고 할 때 필요한 최대 탱크 수는 ?

   ① 4개              ② 3개            ③ 2개               ④ 1개

[풀이] 답 ②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600ℓ 이하)에 설치하는 간이저장탱크 수 : 3개 이하

84. 인화성 액체 위험물 (이황화탄소는 제외)의 옥외탱크저장소의 방유제 및 칸막이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방유제의 높이는 0.5m 이상 3m 이하로 하고 방유제 내의 면적은 8만 ㎡ 이하로 한다.

  ② 높이가 1m를 넘는 방유제 및 칸막이둑의 안팎에는 방유제 내에 출입하기 위한 계단 또는 경사로를 약 50m 미다

        설치한다.

  ③ 탱크와 방유제 사이의 거리는 지름이 15m 이상인 탱크의 경우 탱크 높이의 1/3로 한다.

  ④ 방유제 용량은 방유제 안에 설치된 탱크 하나일 때에는 그 탱크용량의 110% 이상, 2기 이상인 때에는 그 탱크 중 용량

       이 최대인 것의 110% 이상으로 한다.

[풀이] 답 : ③ 탱그와 방유제 사이의 거리는 지름이 15m 이상인 탱크의 경우 탱크높이의 1/2로 한다.

85. 지정유기과산화물 저장창고의 외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두께 20 ㎝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조              ② 두께 20㎝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③ 두께 30㎝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④ 두께 30㎝ 이상의 철골콘크리트블록조

[풀이] 위험물의 성질에 따른 옥내 저장소의 특례 답 : ②

    지정유기과산화물 : 제5류 위험물 중 유기과산화물

      ㉮ 격벽 : 150㎡ 이내 마다 격벽으로 완전 구획

          ㉠ 격벽 두께 : 두께 30㎝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 40㎝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조

      ㉯ 외벽

         ㉠ 두께 2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 두께 30㎝ 이상의 보강 시멘트 블록조

86. 제3종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충전비의 범위로 옳은 것은 ?

  ① 0.85 이상, 1.45 이하      ② 1.05 이상 1.75 이하      ③ 1.5 이상 2.5 이하         ④ 2.5 이상 3.5 이하

[풀이] 분말소화약제 충전비 답 : ②

소화약제의 종별
충전비의 범위
제1종
0.85 이상 1.45 이하
제2종, 제3종
1.05 이상 1.75 이하
제4종
1.5 이상 2.5 이하
 

87. 간이저장탱크에 설치하는 통기관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통기관의 지름은 20 ㎜ 이상으로 한다.

  ② 통기관은 옥내에 설치하고 선단의 높이는 지상 1.5m 이상으로 한다.

  ③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장치를 한다.

  ④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아래로 35°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풀이] 답 : ③ ㉠ 통기고나의 지름은 25㎜ 이상으로 한다.

     ㉡ 통기관은 옥외에 설치하고 선단의 높이는 지상 1.5m 이상으로 한다.

     ㉢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아래로 45°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88. 다음 중 경보설비는 어느 것인가 ?

  ① 자동화재탐지설비       ② 옥외소화전설비          ③ 유도등 설비          ④ 제연설비

[풀이] 답 : ① 옥외소화전설비 - 소화설비, 유도등설비-피난설비, 제연설비 - 소화활동설비

89. 제4류 위험물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① 포소화설비         ② 옥내소화전설비          ③ 봉상강화액소화기             ④ 옥외소화전설비

[풀이] 답 : ① 제4류 위험물에 옥내소화전설비, 봉상강화액소화기, 옥외소화설비를 사용하면 연소확대를 야기하므로 위험

                      하며, 유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억제하는 포소화설비로써 소화한다.

90.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에 사용하는 소화약제 중 할론 2402를 가압식 저장용기에 충전할 때 저장용기의 충전비로 옳은

       것은 ?

   ① 0.67 이상 2.75 이하     ② 0.7 이상 1.4 이하       ③ 0.9 이상 1.6 이하          ④ 0.51 이상 0.67 이하

[풀이] 할론소화설비의 충전비 답 : ④

종류
충전비
1301
1211
2402
축압식
0.9 ~ 1.6
0.7 ~ 1.4
0.67 ~ 2.75
가압식
-
-
0.51 ~ 0.67

91. 위험물 이동탱크 저장소에서 맨홀 · 주입구 및 안전장치 등이 탱크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경우 부속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여야 할 것은 ?

   ① 불연성 가스 봉입장치        ② 동기장치           ③ 측면틀, 방호틀             ④ 비상조치레버

[풀이] 답 : ③

92. 이동저장탱크의 상부로 부터 위험물을 주입할 때에는 위험물의 액표면이 주입관의 선단을 넘는 높이가 될 때까지 그

       주입관 내의 유속을 얼마 아하로 해야 하는가? (단, 휘발유를 저장하던 이동저장탱크에 등유나 경유를 주입하는 경우

        를 가정한다)

   ① 0.5 m/sec       ② 1 m/sec         ③ 1.5 m/sec           ④ 2 m/sec

[풀이] 답 : ②

93. 위험물 제조소의 바닥 면적이 60 ㎡ 이상 90 ㎡ 미만일 때 급기구의 면적은 몇 ㎠ 이상이어랴 하는가 ?

   ① 150            ② 300            ③ 450            ④ 600

[풀이] 급기구의 면적 답 : ②

바닥면적
급기구의 면적
60 ㎡ 미만
150 ㎡ 이상
60 ㎡ 이상 90 ㎡ 미만
300 ㎡ 이상
90 ㎡ 이상 120 ㎡ 미만
450 ㎡ 이상
120 ㎡ 이상 150 ㎡ 미만
600 ㎡ 이상

94. 제1종 판매취급송에서 위험물을 배합하는 실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① 내화구조로 된 벽을 구획하여야 한다.

   ② 출입구에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식의 갑종 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③ 출입구에는 바닥으로 부터 0.1m 이상의 턱을 설치한다.

   ④ 바닥면적은 6 ㎡ 이상 10㎡ 이하로 한다.

[풀이] 답 ④ 바닥면적은 6㎡ 이상 15 ㎡ 이하로 한다.

95.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50㎡인 곳에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수원의 수량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4,000 ℓ           ② 8,000 ℓ           ③ 30,000 ℓ               ④ 40,000 ℓ

[풀이] 저수량 : 방사구역의 표면적 1㎡당 20ℓ/min × 30min 이상

          ∴ 50 ㎡ × 20 ℓ/min × 30min = 30,000 ℓ 답 : ③

96. 국소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중 저압식 저장용기에 설치되는 압력경보장치는 어느 압력 범위에서 작동하는 것

        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① 2.3MPa 이상의 압력과 1.9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② 2.5MPa 이상의 압력과 2.0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③ 2.7MPa 이상의 압력과 2.3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④ 3.0MPa 이상의 압력과 2.5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풀이] 답 : ①

97. 옥내소화전 2개와 옥외소화전 1개를 설치하였다면 수원의 수량은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단, 옥내소화

      전은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설치개수이다.)

   ① 5.4 ㎥         ② 10.5 ㎥           ③ 20.3 ㎥             ④ 29.1 ㎥

[풀이] 옥내소화전 Q (㎥) = N × 7.8 ㎥ (260ℓ/min × 30min) = 2 × 7.8 ㎥ = 15.6 ㎥

          옥외소화전 Q (㎥) = N × 13.5 ㎥ (450ℓ/min × 30min = 1× 13.5㎥ = 13.5㎥

            ∴ 13.5+15.6 = 29.1 ㎥ 답 : ④

98. 위험물 고정지붕구조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에 설치하는 포방출구가 아닌 것은 ?

   ① Ⅰ형          ② Ⅱ 형            ③ Ⅲ 형                ④ 특형

[풀이] 답 : ④ 특정 - 플로팅루프형 (부상지붕구조), Ⅰ, Ⅱ, Ⅲ 형 - 고정지붕구조

99. 경유를 저장하는 저장창고의 체적이 50㎥인 방호대상물이 있다. 이 저장창고(개구부에는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됨)에

       전역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소화설비를 설치할 경우 소화약제의 저장량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30 ㎏        ② 45 ㎏            ③ 60㎏                  ④ 100 ㎏

[풀이] Q (약제량, ㎏) = 방호구역의 체적 (㎥) × 체척당 약제량 (㎏/㎥) 답 : ②

방호구역의 체적(㎥)
방호구역의 체적1㎥당
소화약제의 양(㎏)
소화약제 총량의
최저한도 (㎏)
5 미만
1.2
-
5 이상 15 미만
1.1
6
15 이상 45 미만
1.0
17
45 이상 150 미만
0.9
45
150 이상 1,500 미만
0.8
135
1,500 이상
0.75
1,200

       Q (약제량, ㎏) = 50 ㎥ × 0.9 ㎏/㎥ = 45 ㎏

100. 스프링클러설비의 쌍구형 송수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송수구의 결합금속구는 탈착식 또는 나사식으로 한다.

   ② 송수구에는 그 직근의 보기 쉬운 장소에 송수용량및 송수시간을 함께 표시하여야 한다.

   ③ 소방펌프자동차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④ 송수구의 결합금속구는 지면으로 부터 0.5m 이상 1m 이하 높이의 송수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풀이] 답 : ② 송수구에는 그 직근의 보기 쉬운 장소에 "스프링클러용 송수구"라고 표시하고 그 송수압력범위를 함께 표시

                      하여야 한다.

101. 다음 중 이산화탄소소화설비가 적응성이 있는 위험물은 ?

   ① 제1류 위험물         ② 제3류 위험물          ③ 제4류 위험물      ④ 제5류 위험물

[풀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산소농도를 15% 이하로 떨어 뜨려 소화하는 질식소화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제1류 위험

           물, 제5류 위험물은 부적합하며, 이산화탄소는 0.03%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제3류 위험물과 반응하면 화재

           폭발의 우려가 있어 부적합한다. 답 : ③

102. 다음 중 제조소에서 위험물을 취급하는 설비에 불활성기체를 봉입하는 장치를 갖추어야 하는 위험물은 어느 것인가 ?

   ① 알킬리튬, 알킬알루미늄                      ② 과염소산칼륨, 과염소산나트륨

   ③ 황린, 적린                                            ④ 과산화수소, 염소산나트륨

[풀이] 알킬리튬, 알킬알루미늄을 취급하는 제조소에는 설비에 불활성기체를 봉입하는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답 : ①

103. 이동탱크저장소의 측면틀의 기준에 있어서 탱크 뒷부분의 입면도에서 측면틀의 최외측과 탱크의 최외측을 연결하는

        직선의 수평면에 대한 내각은 얼마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① 50°            ② 65°             ③ 75°                 ④ 90°

[풀이] 답 : ③

104. 이동저장탱크는 그 내부에 용량 몇 ℓ 이하 마다 3.2 ㎜ 이상의 강철판으로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① 2,000ℓ          ② 3,000 ℓ            ③ 4,000 ℓ                 ④ 5,000 ℓ

[풀이] 칸막이 : 내부에 4,000ℓ 이하마다 3.2 ㎜ 이상의 강철판, 답 : ③

105.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에서 각각 30,000ℓ, 40,000ℓ, 50,000ℓ 의 용량을 갖는 탱크 3기를 설치할 경우 필요한 방유제의

        용량은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33             ② 44              ③ 55               ④ 132

[풀이] 2기 이상 : 탱크 중 용량이 최대용량의 110% 이상

             ∴ 50,000 ℓ = 50 ㎥ × 1.1 = 55㎥ 답 : ③

106. 위험물 제조소 등의 안전거리의 단축기준을 적용함에 있어서 H ≤ PD2 + a 일 경우 방화상 유효한 담의 높이는 2m

        이상으로 한다. 여기서, H가 의미하는 것은 ?

   ① 제조소 등과 인접 건축물과의 거리                ② 인근 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높이

   ③ 제조소 등의 외벽 높이                                  ④ 제조소 등과 방화상 유효한 담과의 거리

[풀이] 답 : ②

107. 위험물제조소 내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배관은 최대상용압력의 몇 배 이상의 압력으로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어야 하는가 ?

   ① 0.5              ② 1.0             ③ 1.5                 ④ 2.0

[풀이] 답 : ③

108.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한 경보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비상경보설비        ② 자동화재탐지설비         ③ 비상방송설비       ④ 영상음향차단경보기

[풀이] 경보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비상경보설비 (비상벨, 자동식 사이렌, 단독형 화재경보기), 비상

                            방송설비, 누전경보설비, 가스누설경보설비

109. 다음 중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①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는 헤드 반사판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0.3m의 공간을 보유하여야 한다.

  ②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과 헤드의 부착면과의 거리는 30㎝ 이하로 한다.

  ③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부착장소의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가 28 ℃ 미만인 경우 58℃ 미만의 표시온도를 갖는 헤드를

       사용한다.

  ④ 개구부에 설치하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는 해당 개구부의 상단으로 부터 높이 30㎝ 이내의 벽면에 설치한다.

[풀이] 개구부에 설치하는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는 해당 개구부의 상단으로 부터 높이 30㎝ 이내의 벽면에 설치한다.

            답 : ④

110. 다음 중 제3류 위험물의 금수성 물질에 대하여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는 ?

   ① 이산화탄소 소화기       ② 할로겐화합물소화기        ③ 탄산수소염류소화기       ④ 인산염류소화기

[풀이] 답 : ③

111. 특정 옥외저장탱크의 구조에 대한 기준 중 틀린 것은 ?

  ① 탱크의 내경이 16m 이하일 경우 옆판의 두께는 4..5㎜ 이상일 것

  ② 지붕의 최소두께는 4.5 ㎜ 로 할 것

  ③ 부상지붕은 해당 부상지붕 위에 적어도 150㎜ 에 상당한 물이 체류한 경우 침하하지 않도록 할 것

  ④ 밑판의 최소투께는 탱크의 용량이 10,000kℓ 이상의 것에 있어서는 9㎜로 할 것

[풀이] 부상지붕은 해당 부상지붕 위에 적어도 250㎜ 에 상당하는 물이 체류한 경우 침하하지 않도록 한다. 답 : ③

112. 옥외탱크저장소의 방유제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 안에 설치된 탱크가 하나인 때는 그 탱크용량의 110% 이상으로 한다.

  ② 방유제의 높이는 0.5m 이상, 3m 이하로 한다.

  ③ 방유제 내의 면적은 8만 ㎥ 이하로 한다.

  ④ 높이가 1m 를 넘는 방유제의 안팎에는 계단 또는 경사로를 70m 마다 설치한다.

[풀이] 높이가 1m를 넘는 방유제 및 칸막이둑의 안팎에는 방유제 내에 출입하기 위한 계단 또는 경사로를 약 50m 마다

           설치한다. 답 : ④

113. 옥외저장탱크의 펌프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① 펌프실의 지붕은 폭발력이 위로 방출될 정도의 가벼운 불연재료로 할 것

  ② 펌프실의 창 및 출입구에는 갑종 방화문 또는 을종 방화문을 설치할 것

  ③ 펌프실의 바닥 주위에는 높이 0.2m 이상의 턱을 만들 것

  ④ 펌프설비의 주위에는 너비 1m 이상의 공지를 보유할 것

[풀이] 펌프설비의 주위에는 너비 3m 이상의 공지를 보유한다 (단, 방화상 유효한 격벽으로 설치하는 경우와 제6류 위험물

           또는 지정수량의 10배 이하 위험물의 옥외저장탱크의 펌프설비에 있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답 : ④

114. 아세톤 옥외저장탱크 중 압력탱크 외의 탱크에 설치하는 대기밸브부착 통기관은 몇  kPa 이하의 압력차이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하는가 ?

   ① 5             ② 7              ③ 9           ④ 10

[풀이] 아세톤 옥외저장탱크 중 압력탱크 외의 탱크에 설치하는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은 5kPa 이하의 압력차이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답 : ①

#통기관 #옥외저장탱크 #위험물 #스프링클러설비 #국소방출방식 #할로겐화합물 #인화성 #자동화재탐지설비 #방유제 #지정수량 #금수성 #소화난이도 #경보설비 #인화성

#지정과산화물 #내화구조 #전역방출방식

반응형
반응형
 
 

 

201. 인화석회(Ca3P2)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④

  ① 적갈색의 고체이다.                                            ② 비중이 2.51이고, 약 1,600℃에서 녹는다.

  ③ 산과 반응하여 주로 포스핀가스가 발생한다.     ④ 물과 반응하여 주로 아세틸렌 가스가 발생한다.

[풀이] 물 또는 약산과 반응하여 유독하고 가연성인 인화수소(PH2, 포스핀)가스가 발생한다.

            Ca3P2 + 6H2O → 3Ca(OH)2 + 2PH3

            Ca3P2 + 6HCl → 3CaCl2 + 2PH3

202. 삼황화인(P4S3)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②

   ① 냉수에 잘 녹으며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② 염산에는 녹지 않는다.

   ③ 이황화탄소에는 녹지 않는다.                          ④ 황산에 잘 녹아 이산화황(SO2)이 발생한다.

[풀이] ㉠ 삼황화인(P4S3) : 물, 염소, 황산, 염산 등에는 녹지 않고, 질산이나 이산화황(SO2), 알칼리 등에 녹는다.

   ㉡ 오황화인 (P2S5) : 알코올이나 이황화탄소(CS2)에 녹으며, 물이나 알칼리와 반응하면 분해되어 황화수소(H2S)와

         인산(H3PO4)으로 된다.

          P2S5 + 8H2O → 5H2S + 2H3PO4

203. 다음 염소산칼륨의 성질 중 옳은 것은 ? ④

  ① 광택이 있는 적색의 결정이다.                              ② 비중은 약 3.2이며 녹는점은 약 250℃이다.

  ③ 가열분해하면 염화나트륨과 산소가 발생한다.     ④ 알코올에 난용이고 온수, 글리세린에 잘 녹는다.

[풀이] ① 무색의 단사정계, 판상 결정 또는 백색 분말

          ② 비중 : 2.32, 분해온도 : 400℃, 융점 : 368.4 ℃

          ③ 과염소산칼륨(KClO4)을 분해하면 염화칼륨(KCl)과 산소(O2)가 발생한다.

204.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②

   ① C6H6            ② CH3COOH            ③ CH3COCH3              ④ C2H5CH3

[풀이] ① C6H6(벤젠) :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

          ② CH3COOH (초산) : 제4류 위험물 중 제2석유류

          ③ CH3COCH3 (아세톤) :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

          ④ C6H5CH3 (톨루엔) :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

205. NH4H2PO4 115㎏ 이 완전 열분해되어, 메타인산, 암모니아와 수증기로 되었을 때 메타인산은 몇 kg이 생성되는가 ?

        (단, P의 원자량은 31이다.) 

   ① 36               ② 40                ③ 80               ④ 115

[풀이] NH4H2PO4 의 분자량 115, 메타인산 HPO3 분자량 80이므로  115 : 80 = 115 : X, X= 80 ㎏

   ㉠ 116℃ 에서          NH4H2PO4         →             NH3           +         H3PO4

                                (제1인산암모늄)                 (암모니아)                  (인산)

   ㉡ 216℃ 에서           2H3PO4             →            H2O            +         H4P2O7

                                      (인산)                             (수증기)                  (피로인산)

   ㉢ 316℃ 에서            H4P2O7            →             H2O           +           2HPO3

                                      (피로인산)                       (수증기)                  (메타인산)

    ㉣ 1,000℃ 에서          2HPO3            →            P2O5          +             H2O

                                      (메타인산)                      (오산화인)                 (수증기)

206. 위험물의 화재위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②

   ① 인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② 착화점이 높을 수록 위험하다.

   ③ 폭발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④ 연소속도가 빠를수록 위험하다.

[풀이] 착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207. 위험물 취급시 정전기로 인하여 재해를 발생시킬수 있는 경우에 가장 가까운것은? ④

   ㉠ 감전사고       ② 강한 화학반응       ③ 가열로 인한 화재        ④ 불꽃방전으로 인한 화재

208. 다음 중 산화성 고체 위험물이 아닌 것은 ? ③

   ① KBrO3      ② (NH4)2Cr2O7         ③ HClO4        ④ NaClO2

[풀이] HClO4 (과염소산) - 산화성 액체

◈ KBrO3 (브로민산칼륨) 제1류 위험물 (산화성고체) 2등급 위험물

     (NH4)2Cr2O7 (다이크로뮴산암모늄) 제1류 위험물(산화성 고체) 3등급 위험물

     NaClO2 (아염소산나트륨) 제1류 위험물 (산화성고체) 1등급 위험물

209.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폭발적으로 반응하다. 이 때 주로 발생하는 기체는 ? ③

   ① 산소        ② 수소        ③ 에탄           ④ 염소

[풀이] 물과 폭발적 반응을 일으켜 에탄(C2H6)가스가 발화, 비산되므로 위험하다.

           (C2H5)3Al + 3H2O → Al(OH)3 + 2C2H6

210. 아이오딘포름반응을 하는 물질로 연소범위가 약 2.5~12.8%이며 끓는 점과 인화점이 낮아 화기를 멀리해야 하고

         냉암소에 보관하는 물질은 ?

   ① CH3COCH3        ② CH3CHO          ③ C6H6             ④ C6H5NO2

[풀이] CH3COCH3 (아세톤) - 무색투명한 독특한 냄새를 갖는 인화성 물질이다. 물과 유기용제에 잘 녹는다. 아이오딘포름

          반응을 한다. 비중 : 0.79, 비점 : 56.6℃, 인화점 : -18.5℃, 발화점 : 538℃, 연소범위 : 2.6 ~ 12.8% 이다.

   ② CH3CHO (아세트알데하이드) - 액비중 : 0.783 (증기비중 : 1.52), 비점 : 21℃, 발화점 : 185℃,

                                                           연소범위 : 4.1 ~ 57% 이다.

   ③ C6H6 (벤젠) - 비중 : 0.879 (증기비중 : 2.77), 비점 : 80℃, 융점 : 5.5℃, 인화점 : -11℃, 발화점 : 498℃,

                                                           연소범위 : 1.4 ~ 7.8 % 이다.

   ④ C6H5NO2 (나이트로벤젠) - 비중 : 1.2, 비점 : 211℃, 융점 : 5.7℃, 인화점 : 88℃, 발화점 : 482 ℃ 이다.

 

211. 분진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밀폐공간 내 분진운이 부유할 때 폭발위험성이 있다.

   ② 충격, 마찰도 착화에너지가 될 수 있다.

   ③ 2차, 3차 폭발의 발생 우려가 없으므로 1차 폭발 소화에 주력하여야 한다.

   ④ 산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형화 될 수 있다.

[풀이] 2차, 3차 폭발의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1차 폭발 소화에 주력하여야 한다.

212. 수소화칼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③

   ① 회갈색의 등축정계 결정이다.               ② 약 150 ℃ 에서 분해된다.

   ③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된다.           ④ 물과의 반응은 흡열반응이다.

[풀이] ① 무색의 사방정계 결정이다. ② 675℃ 까지는 안정하다.

          ③ 물과 접촉 시에는 가연성의 수소가스와 수산화칼슘을 생성한다.

                 CaH2 + 2H2O → Ca(OH)2 + 2H2

          ④ 물과의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213. 오황화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③

   ① 청색의 결정으로 특이한 냄새가 난다.            ② 알코올에는 잘 녹고 이황화탄소에는 잘 녹지 않는다.

   ③ 수분을 흡수하면 분해된다.                            ④ 비점은 약 325℃ 이다.

[풀이] ① 담황색 결정으로 특이한 냄새가 있다.

          ② 알코올에는 잘 녹고 이황화탄소에는 잘 녹지 않는다.

          ④ 비점은 약 514℃이다.

214. 과산화수소의 분해 방지 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 ③

   ① 구리            ② 은            ③ 인산           ④ 목탄

[풀이] 일반 시판품은 30 ~ 40%의 수용액으로 분해되기 쉬워 인산(H2PO4), 요산 (C5H4N4O3) 등 안정제를 가하거나

           약산성으로 만든다.

215. 다음 중 반건성유에 해당하는 물질은 ? ②

   ① 아마인유        ② 채종유       ③ 올리브유         ④ 파마자유

[풀이] ㉠ 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30 이상인 것 : 아마인유, 들기름, 동유, 정어리기름. 해바라기유 등

          ㉡ 반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130인 것 : 청어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참기름, 면실유(목화씨유), 채종유 등

          ㉢ 불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 이하인 것 : 올리브유, 피마자유, 야자유, 땅콩기름 등

216. 물과 접촉하여도 위험하지 않은 물질은 ? ②

   ① 과산화나트륨            ② 과염소산나트륨         ③ 마그네슘           ④ 알킬알루미늄

[풀이] ㉠ 과산화나트륨 :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며, 대량의 경우 폭발한다.

          ㉡ 과염소산나트륨 : 물에는 잘 안 녹고 산소가 발생한다.

          ㉢ 마그네슘 : 산 및 온수와 반응하여 수소(H2)가 발생한다.

          ㉣ 알킬알루미늄 : 물과 폭발적 반응을 일으켜 에탄(C2H6)가스가 발화, 비산하므로 위험하다.

               (C2H5)3Al + 3H2O → Al(OH)3 + 3C2H6

217. 하이드라진을 약 180℃까지 열분해시켰을 때 발생하는 가스가 아닌 것은 ? ①

   ① 이산화탄소          ② 수소           ③ 질소            ④ 암모니아

[풀이] 2N2H4 (하이드라진) → 2NH3 + N2 + H2

218. 다음 금속 원소 중 비점이 가장 높은 것은 ? ①

   ① 리튬         ② 나트륨          ③ 칼륨           ④ 루비듐

[풀이] 원자번호가 낮을 수록 비점이 높다.

   ㉠ 리튬(Li) : 원자번호 3, ㉡ 나트륨(Na) : 원자번호 11, ㉢ 칼륨 (K) : 원자번호 19  ㉣ 루비듐(Rb) : 원자번호 37

219. 다음 중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로서 비중이 약 4.96, 융점이 약 450℃인 것으로 비교적 안정한 물질은 ? ①

   ① BaO2          ② CaO2              ③ MgO2           ④ BeO2

[풀이] BaO2 : 과산화바륨(barium peroxide)은 이 백색 고체(불순물일 때에는 회색)는 가장 일반적인 무기과산화물 중 하나

          이며 최초로 발견된 과산화물이다. 산화제이며 분화 시 밝은 녹색을 보이기 때문에 불꽃놀이에 일부 사용되며 역사

          적으로 과산화수소의 선구자적 물질로 사용되었다.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 중 매우 안정적인 물질이다.

  ㉡ CaO2 : 과산화칼슘 : 분자량 : 72, 비중 1.7, 분해온도 275℃ 무정형의 백색 분말이며, 물에 녹기 어렵고 알코올이나

       에테르 등에는 녹지 않는다.

        가열하면 275℃에서 분해되어 폭발적으로 산소를 방출한다.

  ㉢ MgO2 (과산화마그네슘) : 백색 분말로, 시판품은 MgO2의 함량이 15~20%이다.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산(HCl)에 녹아 과산화수소(H2O2)를 발생시킨다.

       습기 또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며, 수산화마그네슘과 산소를 발생시킨다.

       환원제 및 유기물과 혼합시 마찰 또는 가열, 충격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다.

  ㉣ BeO2 (과산화베릴륨) 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류(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칼슘,

       과산화바륨, 과산화리튬, 과산화베릴륨 등)

220. 마그네슘의 일반적인 성질을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 ②

   ① 비중은 약 1.74이다.                   ② 융점은 약 905℃ 이다.

   ③ 비점은 약 1,102℃이다.              ④ 원자량은 약 24.3이다.

[풀이] 융점은 약 650℃이다.

221. 제4류 위험물 중 지정수량이 4,000ℓ인 것은 ? (단, 수용성 액체이다.) ③

   ① 제1석유류           ② 제2석유류          ③ 제3석유류              ④ 제4석유류

[풀이] 제4류 위험물 (인화성 액체) 지정수량

품 명
지정수량
특수인화물
50 ℓ
제1석유류
비수용성
200 ℓ
수용성
400 ℓ
알코올류
400 ℓ
제2석유류
비수용성
1,000 ℓ
수용성
2,000 ℓ
제3석유류
비수용성
2,000 ℓ
수용성
4,000 ℓ
제4석유류
6,000 ℓ
동식물유류
10,000 ℓ

222. 다음 중 분자식과 명칭이 잘못 연결된 것은 ? ①

   ① CH2OH - 에틸렌글리콜          ② C6H5NO2 - 나이트로벤졸

   ③ C10H8 - 나프탈렌                  ④ C3H5(OH)3 - 글리세린

[풀이] 에틸렌글리콜 : C2H4(OH) , CH2OH : 에틸기

 ◈ 에탄올은 대표적인 알코올류로 화학식은 C2H6O 이다. 분자구조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CH3CH2OH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구조는 메틸기(CH3)와 에틸기(CH2OH)가 결합한 형태이다. 메틸기와 하이드록실기 (-OH)가 연결되어 있어

       알코올 특유의 성질을 가지는 유기화합물이다.

223. 다음 위험물 중 상온에서 성상이 고체인 것은 ? ①

   ① 과산화벤조일       ② 질산에틸      ③ 나이트로글리세린        ④ 메틸에킬케톤퍼옥사이드

[풀이] 질산에틸 : 상온에서 액체, 나이트로글리세린 - 상온에서 액체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 상온에서 액체

224. 다음중 물속에 저장하여야 할 위험물은 ? ②

   ① 나트륨         ② 황린       ③ 피크르산          ④ 과염소산

[풀이] 나트륨(Na), 피크르산[C6H2OH(NO2)3, 트리나이트로페놀], 과염소산(HClO4)는 물과 반응을 하므로 물속에 저장할

          수 없다.

225. 다음 중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① 철분       ② 황린         ③ 금속의 수소화물          ④ 알칼리토금속

[풀이] 철분 - 가연성 고체

226. 다음 물질 중 증기비중이 가장 큰 것은 ? ④

  ① 이황화탄소         ② 시안화수소         ③ 에탄올          ④ 벤젠

[풀이] 증기비중

  ㉠ 이황화탄소(CS2) : 2.62 ㉡ 시안화수소(HCN) : 0.93 ㉢ 에탄올 (C2H6O) : 1.59  ㉣ 벤젠 (C6H6) : 2.8

       증기비중 = M(분자량)/29)은 분자량이 무거울수록 크다.

227. 다음 중 칼륨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④

   ① 산소와 반응하면 산화칼륨을 만든다.              ②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하면 수소가 발생한다.

   ③ 에틸알코올과 혼촉하면 수소가 발생한다.       ④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산소가 발생한다.

[풀이]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수소가 발생한다.

228. 다음 중 제5류 위험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① 다이아조화합물은 모두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        ② 유기과산화물의 경우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다.

   ③ 연소생성물 중에는 유독성 가스가 많다.                   ④ 대부분이 고체이고, 일부 품목은 액체이다.

[풀이] 다이아조화합물 중 다이아조메탄(CH2N2)은 산소를 함유하지 않는다.

229. 다음 산화성 액체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① 과산화수소 30% 농도의 용액은 단독으로 폭발위험이 있다. 

  ② 과염소산의 융점은 약 -112℃ 이다.

  ③ 질산은 강산이지만 백금은 부식시키지 못한다.

  ④ 과염소산은 물과 반응하여 열이 발생한다.

[풀이] 과산화수소의 60% 농도의 용액은 단독으로 폭발위험이 있다.

230. 분말 소화약제를 종별로 구분하였을 때 그 주성분이 옳게 연결된 것은 ? ①

  ① 제1종 - 탄산수소나트륨              ② 제2종 - 인산수소암모늄

  ③ 제3종 - 탄산수소칼륨                  ④ 탄산수소나트륨과 요소요 혼합물

종류
주성분
분자식
성분비
착색
적응화재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중탄산나트륨)
NaHCO3
NaHCO3
90wt% 이상
-
B,C급
제2종
탄산수소칼륨
(중탄산칼륨)
KHCO3
KHCO3
98wt% 이상
담회색
B,C급
제3종
제1인산암모늄
NH4H2PO4
NH4H2PO4
75wt% 이상
담홍색 또는 황색
A,B,C급
제4종
탄산수소칼륨과
요소
KHCO3 +
CO(NH2)2
-
-
B,C급

231. 다음 중 무색, 무취, 사방정계 결정으로 융점이 약 610℃이고 물에 녹기 어려운 위험물은 ?

   ① NaClO3        ② KClO3               ③ NaClO4               ④ KClO4

[풀이] ㉠ NaClO3 (염소산나트륨) : 무색, 무취의 입방정계 주상 결정, 물, 알코올에 잘 녹으며, 융점은 240 ℃

          ㉡ KClO3 (염소산칼륨) : 무색의 단사정계, 판상결정, 찬물, 알코올에는 녹기 어렵고, 융점은 368.4℃

          ㉢ NaClO4 (과염소산나트륨) : 무색, 무취의 사방정계 결정, 물, 알코올, 아세톤에 잘 녹으며, 융점은 482 ℃

                      

232. 금속리튬은 고온에서 질소와 반응하여 어떤 색의 질화리튬을 만드는가? ②

   ① 회흑색       ② 적갈색       ③ 청록색            ④ 은백색

▣ 질화리튬(Li3N) : [ 窒化- , lithium nitride , Lithiumnitrid ]

 

   ⊙ 용융된 리튬은 쉽게 질소와 화합하여 질화물을 생성한다.

   ⊙ 결정은 육방 결정계. 구조는 N의 주위에 육각 양뿔의 꼭대기와 모서리에 6개의 Li가 있고, 원자간 거리는 Li-N(양뿔

        꼭지점) 1.94Å, Li-N(양뿔 대칭면의 6개의 모서리) 2.11Å. 이온성 질화물에 속한다.

   ⊙ 가열하여 결정상이 된 것은 적갈색, 상온에서는 건조한 공기에 침해되지 않지만 온도를 가하면 곧 산화된다. 물에

         의해 곧 분해된다.

 

233. 과산화수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③

   ① 햇빛에 의해서 분해되어 산소를 방출한다.                  ② 단독으로 폭발할 수 있는 농도는 약 60% 이상이다.

   ③ 벤젠이나 석유에 쉽게 융해되어 급격히 분해된다.       ④ 농도가 진한 것은 피부에 접촉시 수종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풀이] 벤젠이나 석유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234. 트리에틸알루미늄을 취급할 때 물과 접촉하면 발생하는 가스는 ? ①

   ① C2H6              ② H2             ③ C2H2             ④ CO2

[풀이] (C2H5)Al(트리에틸알루미늄) + 3H2O → Al(OH)3 + 3C2H6

  ※ C2H6 (에탄, 에테인) : 천연가스나 원유에 일부 함유되어 있는 탄화수소인 에탄(에테인)은 탄소가 2개인 지방족 포화탄

       화수소이며, 분자식은 C2H6이다. 탄소 원자는 4개의 결합이 되어 있으므로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다. 2개의 탄소 원자

       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그 구조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한다. 에탄은 다른 알칸(알케인)족의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치환 반응을 한다.

 

C2H2 (아세틸렌 - [ acetylene ]) 불포화 탄화수소인 알카인(alkyne) 중에서 가장 간단하게 생긴 아세틸렌은 에타인

     (ethyne)이라고도 부르며, 상온에서 불안정한 무색의 가연성 기체이고 공기보다 가볍다. 연료로도 쓰이고 유기 합성에

      서 구축 단위(building block)로도 사용된다. 순도 100%인 아세틸렌은 냄새가 없지만, 상업용 순도의 아세틸렌은 다이

      바이닐 황화물(divinyl sulfide) 불순물로 부터 유래한 특징적인 마늘 냄새가 난다. 아세틸렌은 밝은 빛을 내며, 연기나는

      불꽃을 내며 탄다.

      금속을 용접할 때 산소와 아세틸렌을 사용한다. 용접 온도는 3300°C까지 도달할 수 있다.

 

235. 마그네슘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물보다 무거운 금속이다.                                              ② 은백색의 광택이 난다.

   ③ 온수와 반응시 산화마그네슘과 산소가 발생한다.        ④ 융점은 약 650℃이다.

[풀이] 온수와 반응시 산화마그네슘과 수소가 발생한다.

           Mg + H2O → Mg(OH)2 + H2

236. T.N.T가 분해될 때 발생한느 주요 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③

   ① 질소           ② 수소              ③ 암모니아               ④ 일산화탄소

[풀이] 트리나이트로톨루엔 [T.N.T, C6H2CH3(NO2)3]

  ※1몰의 톨루엔과 3몰의 질산을 황산 촉매하에 반응시키면 나이트로화에 의해 T.N.T가 만들어진다.

     트리나이트로톨루엔 [T.N.T, C6H2CH3(NO2)3] 이 분해시 질소, 일산화탄소, 수소, 탄소가 발생한다.

      C6H2CH3(NO2)3     →       12CO + 2C + 3N2 + 5H2

237. 분자량 93.1, 비중 약 1.02, 융점 약 -6℃인 액체로 독성이 있고 알칼리금속과 반응하여 수소가스가 발생하는

         물질은 ? ③

  ① 글리세린         ② 나이트로벤젠           ③ 아닐린         ④ 아세토나이트릴

[풀이] 글리세린, 글리세롤(glycerol)은 글리세린(glycerin, glycerine), C3H8O3, (CH2OH)2CHOH 이라고도 부르는 무색,

           무취의 액체이다. 점성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다. 지방산과 마찬가지로 유지 성분이며, 공업적으로도 유지를 분해함

           으로써 얻어진다. 글리세린은 3개의 수산기를 가진 3가 알코올이다. 무색의 끈기 있는 액체로 흡습성이 있으며 감미

            가 조금 있고, 녹는점- 20 °C, 끓는점 290 °C이다. 글리세린은 글리프탈 수지 등의 합성 원료로 쓰이는 외에 윤활제

           혹은 연고, 치약같은 약품, 담배나 화장품의 방건제(防乾劑)·정미제(呈味劑) 등에, 나아가서는 방동제(防凍劑)· 냉각

            제·인쇄용 잉크 등 대단히 넓은 용도에 쓰이는 중요한 물질이다. 오늘날에는 이와 같은 유지 분해에 의해서뿐 아니

           라 프로필렌을 원료로 하는 합성법에 의해서도 제조되고 있으며, 천연품·합성품이 거의 같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 나이트로벤젠 (C6H5NO2) : 벤젠을 혼합산(混合酸)으로 나이트로화하면 얻어지는 방향족 나이트로화합물로 독성이

                                                   강하고 피부에 흡수되기 쉬우므로 취급할 때 조심해야 한다.

  ◈ 아닐린 화학식은 C6H5NH2이다. (aniline, anilin)은 벤젠의 수소 하나가 아민기로 치환된  teije goeree 을 말한다. 아닐

        린은 강력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아닐린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의 운반을 방해한다.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노출은 식욕감소, 빈혈, 체중감소, 신경계 이상, 신장 이상, 간이나 연골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흡입하거나 피부를 통해서 흡수될 경우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아닐린을 보관할 때는 마개를 단단히 막아

        어두운 곳에 두어야 한다

 

 

 ◈ 아세토나이트릴(C2H3N) : (acetonitrile)은 CH3CN 화학식을 갖는화합물이다. 무색의 액체이며  가장 단순한 형태의

       나이트릴이다. 아크릴로니트릴 제조의 부산물로서 주로 생성된다. 아세토나이트릴은 1847년 프랑스의 화학자 장바티

        스트 뒤마가 최초로 만든 물질이다.

238. 다음 중 유동하기 쉽고 휘발성인 위험물로 특수 인화물에 속하는 것은 ? ①

   ① C2H5OC2H5       ② CH3COCH3       ③ C6H6              ④ C6H4(CH3)2

[풀이] ㉠ 디에틸에테르(C2H5OC2H5) : 비점이 낮고 무색 투명하며, 인화점이 낮고, 휘발성이 강하다.

  ㉡ 아세톤 CH3COCH3 [acetone] 장 간단한 케톤으로 향기가 있는 무색의 액체이다. 유기용매로서 다른 유기물질과 잘

       섞이며, 일상 생활에 많이 사용되나 폭발의 위험이 있다.

       탄소가 산소와 이중결합을 하고 있고, 그 탄소가 또 다른 두 개의 결합자리를 가지고 있어 두 알킬기(alkyl group)들과

       결합하고 있는 경우, 이 물질을 케톤(ketone)이라 한다. 케톤의 가장 간단한 형태로, 양쪽에 하나씩 총 두(di)개의 메틸

       기(methyl)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메틸케톤(dimethylketone)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탄소가 총 세 개인 프로

        페인(propane)에서 변형된 케톤(ketone)이라는 의미에서 프로판온(propanon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벤젠 (C6H6) 벤젠(benzene)은 화학식 C6H6를 갖는 탄화수소로 무색이며 달콤한 냄새가 나는 가연성 액체이다.

       벤젠은 여섯 개 탄소가 정육각형 평면을 이루며 각 탄소에는 하나의 수소가 결합한다.

       여섯 개의 각 결합은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의 중간 정도의 동일한 결합이며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방향족성을 갖고

       있다. 벤젠은 휘발유의 옥탄가를 높이는 효과가 있어 한동안 첨가제로 사용되다가 발암성 때문에 첨가제로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오늘날 벤젠은 공업용 재료가 되는 다양한 벤젠 유도체의 합성에 필요한 출발 물질로 연간 수천만 톤이

       석유로부터 생산되고 있다.

  ㉣ 크실렌 [C6H4(CH3)2, xylene, 자일렌] : 벤젠의 디메틸 치환체, C6 H4(CH3)2. ο-, m-, p-의 3종류의 이성질체가 있다.

       모두 무색의 액체이다. 나프타의 접촉 개질유 등에서 혼합 크실렌을 분리 회수하여 끓는점이 가장 높은 ο-크실렌을

          증류 분리한다. p- 및 m-크실렌은 끓는점이 근접되어 있어 증류 분류는 불가능하므로 분자체에 의한 분별 흡착

           등으로 m-크실렌을 분리한다. 각종 합성수지와 합성섬유의 제조 원료로 사용한다.

239. 다음 유지류에서 건성유에 해당하는 것은 ? ③

   ① 낙화생유(peanut oil)        ② 올리브유(olive oil)        ③ 동유(tung oil)     ④ 파마자유(castor oil)

[풀이] ㉠ 건성유 : 아마인유, 들기름, 동유, 정어리기름, 해바라기유 등 

          ㉡ 불건성유 : 낙화생유(peanut oil), 올리브유(olive oil), 피마자유(caster oil)

240. 황린과 적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②

  ① 적린은 황린에 비하여 안정하다.                      ② 비중은 황린이 크며, 녹는점은 적린이 낮다.

  ③ 적린과 황린은 모두 물에 녹지 않는다.             ④ 연소할 때 황린과 적린은 모두 P2O5의 흰 연기가 발생한다.

[풀이] 적린의 비중은 2.2, 녹는점은 600℃, 황린의 비중은 1.82, 녹는점은 44℃ 이다.

241. 피크르산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③

  ① 쓴 맛이 나고 독성이 있다.              ② 약 300℃ 정도에서 발화한다.

  ③ 구리용기에 보관하여야 한다.         ④ 단독으로는 마찰, 충격에 둔감하다.

[풀이] 피크르산은 중금속(Fe, Cu, Pb 등)과 반응하여 민감한 피크르산염을 형성한다.

※ 피크르산 (C6H3N3O7) : 페놀에 황산을 작용시켜 다시 진한 질산으로 나이트로화하여 만드는 노란색 결정이며 폭약으

        로 쓰인다. 피크르산이라는 이름은 ‘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pikros에서 유래하며, 피크린산 또는 2,4,6-트라이나이트

        로페놀(TNP)이라고도 한다. 화학식 C6H3N3O7. 맛이 상당히 쓰고 노란색 결정이며, 분자량 229.11, 끓는점 255℃,

        녹는점 122.5℃, 비중 1.767(19℃)이다. 뜨거운 물· 에탄올에는 상당히 녹고, 또 아세톤에도 잘 녹으나, 석유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 수용액은 강한 산성을 보인다. 서서히 가열하면 승화하지만, 갑자기 가열하거나 충격을 주면 폭발한다.

242. 다음 중 지정수량이 가장 작은 물질은 ? ①

   ① 칼륨         ② 적린           ③ 황린             ④ 질산염류

[풀이] 지정수량 : 칼륨 - 10㎏, 적린 - 100㎏, 황린 - 20㎏, 질산염류 - 300㎏

243. 인화칼슘의 일반적인 성질 중 옳은 것은 ? ①

  ① 물과 반응하면 독성의 가스가 발생한다.        ② 비중이 물보다 작다.

  ③ 융점은 약 600℃ 정도이다.                            ④ 회흑색의 정육면체 고체상 결정이다.

[풀이] 인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유독하고 가연성인 인화수소(PH3, 포스핀)가스가 발생한다.

           Ca3P2 + 6H2O → 3Ca(OH)2 + 2PH3

           적갈색의 괴상(덩어리 상태) 고체이며, 비중은 2.51, 융점은 1,600 ℃ 이다.

244. 다음 중 은백색의 결정으로 비중이 약 0.92이고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 ②

    ① 수소화리튬          ② 수소화나트륨         ③ 탄화칼슘          ④ 탄화알루미늄

[풀이] ㉠ 수소화리튬 (LiH) : 비중은 0.82이며, 무색투명한 고체이로, 물과 작용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LiH + H2O → LiOH + H2

  ㉡ 수소화나트륨(NaH) : 회색의 입방정계 결정으로, 비중은 0.93이며 습한 공기 중에서 분해되고, 물과는 격렬하게 발열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킨다.

                   NaH + H2O → NaOH + H2

  ㉢ 탄화칼슘 (CaC2): 칼슘의 탄소화합물로 공업적으로 생석회와 코크스나 무연탄 등의 탄소를 전기로 속에서 가열하여

        제조한다. 비료, 아세틸렌의 원료로 사용된다.

        카바이드·칼슘카바이드라고도 한다. 화학식 CaC2. 순수한 것은 정방정계에 속하는 무색 결정으로, 녹는점 2,300℃,

        비중 2.28(18℃)이다. 물을 작용시키면 아세틸렌 C2H2를 발생하며, 이때 발열한다.

            CaC2 + 2H2O → Ca(OH)2 + C2H2

        단, 공업용 탄화칼슘은 황·인·질소·규소 등이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황화수소 ·인화수소·암모니아 등을

         발생하여 아세틸렌을 불순하게 만든다.

         또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상온(常溫)에서 안정하나, 350℃ 이상으로 가열하면 산화되고, 질소 N2와는 600℃ 이상에

         서 반응하여 사이안아마이드화칼슘 CaCN2를 생성한다.

               CaC2 + N2 → CaCN2 + C

   ㉣ 탄화알루미늄 [ 炭化- , aluminum carbide , Aluminiumcarbid ] Al4C3

         Al4C3=143.95. 외에 아세틸리드 Al2C6=126.03이 알려져 있다.

        알루미늄과 탄소를 가열한다.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산화알루미늄 및 질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순

        수한 것은 무색, 보통은 육방 결정계, 황색의 능면체 결정. 복잡한 층상 격자를 갖는다.

         녹는점 2200℃. d 2.37, 경도 8. 진공 속에서는 약 1800℃ 정도에서 승화하기 시작한다.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표면에

         산화알루미늄의 얇은 막이 생겨서 반응은 진행되지 않는다. 물과 만나면 실온에서도 곧 분해되어 메탄을 발생한다.

             Al4C3 + 12 H2O → 3CH4 + 4Al(OH)

        산과 만나면 역시 메탄을 발생한다.

             Al4C3 + 12 H2Cl → 3CH4 + 4AlCl

         진한 황산과 만나면 이것을 일부 환원해서 이산화황을 발생한다. 중금속 산화물과 가열하면 환원성을 나타내서 중금

         속을 유리한다.

245. Ca3P2의 지정수량은 얼마인가 ? ③

   ① 50 ㎏             ② 100 ㎏             ③ 300 ㎏                ④ 500 ㎏

[풀이] 제3류 위험물로서 인화칼슘이여 위험등급 3등급에 해당한다.

246. 나이트로글리세린의 성질로 옳은 것은 ? ②

   ① 물, 벤젠에 잘 녹으나 알코올에는 녹지 않는다.           ② 물에 녹지 않으나 알코올, 벤젠 등에는 잘 녹는다.

   ③ 물, 알코올 및 벤젠에 잘 녹는다.                                  ④ 알코올, 물에는 녹지 않으나 벤젠에는 잘 녹는다.

[풀이]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메탄올(에탄올), 벤젠,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에는 녹는다.

  ※ 나이트로글리세린 (C3H5(NO3)3) [ nitroglycerine ] 글리세린의 질산에스터이며 움직임에 민감하고 강력한 폭발력이

      있어 화약으로 사용된다. 트라이나이트로글리세린(trinitroglycerin), 1,2,3-트라이나이트로실프로페인(1,2,3-

       trinitroxypropane)이라고도 하며, NG로 약기(略記)한다. 분자식은 C3H5(NO3)3이다.

 

  특이하게 달콤한 맛이 나며 무색 투명한 기름 상태 액체로, 분자량 227.09, 비중 1.596(15℃)이다.

  결정에는 안정형과 불안정형이 있는데, 안정형의 녹는점은 13.2∼13.5℃, 불안정형의 녹는점은 1.9∼2.2℃이다. 민감하고

  강력한 폭발력이 있어 크게 주목을 받았다.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도 폭발하므로, 액체 상태로 운반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공업제품은 8℃ 부근에서 동결하고, 14℃ 부근에서 융해한다. 물에는 별로 녹지 않으나, 에탄올에는 녹으며, 에테르

   와 임의의 비율로 섞인다. 벤젠 등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나이트로글리세린은 1847년 이탈리아의 소브레로(A. Sobrero)

   에 의해서 처음으로 합성되었고, 그 후 A. B. 노벨에 의해 연구·개발되어 많은 변천을 거쳐 1862년 실용을 목적으로 한

   공장이 건설되었다. 나이트로글리세린을 제조하는 질화기(窒化器)는 1901년 영국에서 고안된 다단식 질화기가 오늘날

   까지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슈미트식·비아치식·인젝터식 등 연속질화기가 발달하여 이용되고 있다.

247.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알코올류가 위험물이 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 ④

  ① 한 분자내에 탄소 원자수가 1개 부터 3개까일 것                      ② 포화알코올일 것

  ③ 수용액일 경우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의한 알코올 함유량이 60wt% 이상일 것

  ④ 2가 이상의 알코올일 것

[풀이] 한 분자내의 탄소 원자수가 3개 이하인 포화1가의 알코올로서 변성알코올을 포함하며, 알코올 수용액의 농도가

           60vol% 이상인 것을 말한다.

248.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위험도에 가장 가까운 값은 얼마인가 ? ②

   ① 약 7           ② 약 13           ③ 약 23                 ④ 약 30

[풀이] 아세트알데하이드 연소범위 : 4.1 ~ 57%

※ 아세트알데하이드[ acetaldehyde ] : 아세트알데하이드 CH3CHO의 IUPAC 이름은 에탄알(ethanal) [에테인(탄소2개)

     +알(알데하이드)]이다. 다른 이름은 아세틸알데하이드, 에틸알데하이드 등이 있다. CAS 등록번호는 75-07-0이다. 실험

     실에서는 에탄올을 산화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얻는다. 공업적으로는 에틸렌에 산소를 반응시키는 바커(Wacker)

     공정에 의하여 얻거나 혹은 아세틸렌에 물을 첨가시 켜 얻는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다양한 반응성을 가지는 화합물이기에 수지, 염료, 화약 등의 유기 합성의 출발 물질로 널리 사용한다. 이 화합물은 환원제, 보존제 및 은거울의 매개체로 사용한다. 저온에서 진한 황산과 작용하며 삼중합체 파라알데하이드(CH3CHO)3를 생성한다. 수지 합성에는 휘발성이 강한 아세트알데하이드보다는 중합체 파라알데하이드를 높은 끓는점과 인화점 때문에 선호하여 사용한다. 묽은 알칼리와 작용하면 알돌 축합 반응으로 알돌을 생성한다. 환원하면 에탄올, 산화하면 아세트산을 생성한다.

249. 과산화수소 수용액은 보관 중 서서히 분해될 수 있으므로 안정제를 첨가하는데 그 안정제로 가정 적합한 것은 ? ①

  ① H2PO4            ② MnO2          ③ C2H5OH             ④ Cu

[풀이] 과산화수소 일반 시판품은 30~40%의 수용액으로 분해되기 쉬워 인산(H2PO4), 요산(C5H4,N4O3) 등의 안정제를

          가하거나 약산성으로 만든다.

 ㉡  MnO2 이산화망간 : 二酸化- , manganese dioxide 회색 내지 흑색의 결정으로 산화망간이라고도 함망간과 산소가

       결합한 화합물로 MnO2로 표시하며 비중은 5.026, 분자량 86.94이다. 물에는 잘 녹지 않지만 전기가 통하고, 물은 산과

        같이 있으면 환원제에 의해 환원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150~200℃ 에서 2가 망간의 황산염을 장시간 가열하거나,

        300℃에서 염서사날롬과 탄산염을 가열하면 발생한다.

        대체적으로 화학반응에서는 관여하지 않고, 반응속도를 높여주는 촉매의 성질이 있어 정촉매로 많이 쓰이고 있다.

        이산화망간은 중금속에 속하므로 사용 후 분리하여 수거해야하고 물감의 제조, 산화제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 C2H5OH [ ethanol ] 에탄올 : 탄소 원자,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CH3CH2OH)로 이뤄진 술의 주성분이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독제 및 공업화학의 주요 용매이다.

       에탄올(ethanol)은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이라고도 불리는 탄소원자 두 개와 산소 원자 한 개, 수소 원자 여섯 개로

        이뤄진 분자로 C2H6O 또는 C2H5OH와 CH3CH2OH의 화학식을 갖는 분자이다.

        예로부터 술의 핵심 성분으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주정(酒精)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탄소와 수산화기(하이드록실기, -OH)로 이뤄진 알코올 화합물은 이를 이루고 있는 탄소의 개수에 의해 이름이 결정되

        는데, 탄소 1개를 포함하는 알코올은 메탄올(methanol), 탄소 두 개로 이뤄진 알코올은 에탄올(ethanol), 탄소 3개로

        이뤄진 알코올은 프로판올(propanol), 네 개로 이뤄진 알코올은 뷰탄올 (butanol)이라고 불리는 방식이다

250. 톨루엔과 크실렌의 혼합물에서 톨루엔의 분압이 전압의 60%이면 이 혼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 ②

   ① 82.2           ② 97.6             ③ 120.5              ④ 166.1

[풀이] 톨루엔의 분자량 : 92, 크실렌의 분자량 : 106.2

          전압 = PA + PB, 평균분자량 = MA · PA + MB · PB

           ∴ 평균 분자량 = 92 × 0.6 + 106.2 × 0.4 = 97.6

251.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된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②

   ① 연소범위가 약 2.5~81%로 넓다.            ② 은 또는 구리 용기를 사용하여 보관한다.

   ③ 가압시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④ 탄소간 삼중결합이 있다.

 [해설] CaC2 + 2H2O → Ca(OH) + C2H2

   ◈ 생성되는 아세틸렌 가스는 금속(Cu, Ag, Hg 등)과 반응하여 폭발성 화합물인 금속아세틸레이드(M2C2)를 생성한다.

         C2H2 + 2Ag → Ag2C2 + H2

#탄화칼슘 #위험도 #안정제 #지정수량 #나이트로글리세린 #피크린산 #알칼리금속

#특수인화물 #건성유 #질화리튬 #자연발화성 #금수성 #분말소화약제 #아이오딘포름반응 #인화석회 #아세톤 #톨루엔 #벤젠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