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발화의 종류

자연발화 원인
자연발화의 형태
산화열
⊙ 건성유(정어리기름, 아마인유, 들기름 등), 반건성유 (면실유, 대두유 등)가 적셔
진 다공성 가연물, 원면, 석탄, 금속분, 고무 조각 등의 산화반응
분해열
⊙ 자기반응성 물질(나이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이드류, 나이트로글리세린 등
질산에스터류)
흡착열
⊙ 탄소분말 (유연탄, 목탄 등), 가연성 물질 + 촉매 작용으로 자연발화
중합열
⊙ 아크릴로나이트릴, 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 등의 중합반응
미생물발열
⊙ 툅지, 먼지, 퇴적물, 곡물 등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과정에서 자연 발화

※ 중합(重合, Polymerization)은 단량체라 불리는 간단한 분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거대한 고분자 물질을 만드는 반응,

                     중합의 역반응은 분해반응의 일종인 해중합(depolymerization)

 

#자연발화 #산화열 #분해열 #흡착열 #중합열 #건성유 #자기반응성 #반건성유

반응형

비버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