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베어링 호칭 번호 구성

베어링
계열번호
형식번호
치수
계열번호
너비계열번호
안지름번호
접촉각
기호
지름계열번호

1. 깊은 홈 볼 베어링

 

  ◈ 62 : 너비계열 0 지름계열 2의 깊은 홈 볼 베어링 / 안지름 20 ㎜

▣ 깊은 홈 볼 베어링

 

  ◈ F684 : F 플랜지 붙이, 68 : 너비계열 1 지름 계열 8의 깊은 홈 볼 베어링 / 4 호칭 베어링 안지름 4㎜

▣ 깊은 홈 볼 베어링

 
 

  ◈ 6203ZZ : 62 너비계열 0 지름 계열 3의 깊은 홈 볼 베어링 / 03 호칭 안지름 15㎜  / ZZ : 양쪽 실드 붙이

▣ 깊은 홈 볼 베어링

 

  ◈ 63 : 너비계열 0, 지름계열 3의 깊은 홈 볼 베어링, 06 : 호칭 베어링 안지름 30 ㎜ / NR 멈춤링 붙이

2. 앵귤러 베어링

 

  ◈ 72 : 너비계열 0, 지름계열 2의 앵귤러 볼 베어링 / 10 : 호칭안지름 50 ㎜ / C : 호칭 접촉 10 ° 초과 22 ° 이하 / DT : 병렬

              조합 / P5 : 5급

3. 원통 롤러 베어링

 

  ◈ NU3 : 너비계열 기호 0 지름계열 번호 3의 원통 롤러 베어링 / 18 호칭 베어링 안지름 90 ㎜ / C3 : C3 틈새 / P6 : 6등급

4. 테이퍼 롤러 베어링

 
 

  ◈ 320 : 너비 계열 기호 2, 지름 계열 기호 0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 / 07 : 호칭 베어링 안지름 35 ㎜ / J3 : 주요 치수 및

                서브 유닛의 ISO 355 의 표준과 일치함을 나타내는 기호 / P6X : 6X 등급

5.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

 

  ◈ 232 : 너비계열 3 지름 계열 2의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 / 500 : 호칭 베어링 안지름 500 ㎜ / K : 기준 테이퍼 1/12 의

                 테이퍼 구멍 / C4 : C4 틈새

6. 스러스트 볼 베어링

 

  ◈ 512 : 높이 계열 1 지름 계열 2의 단식 평면 자리 스러스트 볼 베어링 / 15 호칭 베어링 안지름 75 ㎜

 

▣  기호 정리

6
깊은 홈 볼 베어링
7
앵귤러 베어링
NU
원통 롤러 베어링
3
테이퍼 베어링
2
자동 조심형 베어링
5
스러스트 베어링

#베어링 #스러스트베어링 #원통롤러베어링 #자동조심형볼베어링 #테이퍼베어링

#앵귤러베어링 #스러스트베어링 #안지름 #호칭번호 #계열기호

반응형
반응형

1. 나사 고정

  ▣ 가속도 센서의 설치 방법 중 가장 반복성이 뛰어나고 주파수 응답 특성이 우수한 방법은 ?

 

  ▣ 나사 고정 방법

  ※ 나사 고정 방법은 스터드 마운트라고도 한다.

2. 진동 측정

  ▣ 다음과 같이 두 위치에서 동시에 진동을 측정하는 이유를 쓰시오.

 

  ▣ 두 측정 위치의 상대 위상을 측정하기 위해

   ※ 문제의 동영상은 비접촉 진동 센서이므로 변위 센서이다.

3. 진동 측정

  ▣ 다음과 같이 두 진동 센서에서 높은 진동량과 동일한 위상을 보일 때 대표적인 결함 형태는 무엇인가 ?

 

  ▣ 언벨런스

   ※ 언벨런스는 질량 불평형이라고도 한다.

4. 변위 센서

  ▣ 터보 컴프레셔에 주로 고속 회전체의 축 진동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센서의 명칭을 쓰이오.

 

  ▣ 변위 센서

  ※ 센서가 45° 로 부착되어 있고, 센서에 너트가 2개인 로크 너트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변위 센서이다.

5. 가속도 센서

  ▣ 다음에서 보여 주는 센서는 ?

 

  ▣ 가속도 센서

  ※ 너트가 없으므로 가속도 센서이다.

6. 가속도 센서

  ▣ 다음에서 보여 주는 센서 중 구름 베어링의 진동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센서는 ?

 

  ▣ 정답 : A

   ※ 구름 베어링의 진동은 가속도 센서로 측정한다.

7. 센서 설치

  ▣ 다음 동영상과 같은 센서를 부착할 때 부착방법 3가지를 쓰시오.

 

  ▣ 수평, 수직, 축방향

    ※ 동영상에는 가속도 센서이다.

    ※ H : Horizon, V : Vertical, A : Axial 이라고도 한다.

8. 센서 부착

  ▣ 다음 동영상과 같이 센서를 부착할 때, 이 부착 방법의 장점 3가지를 쓰시오.

 

  ① 여러 측정점을 쉽고 빠르게 이동하며 측정할 수 있다.

  ② 습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③ 축정 대상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 측정 주파수 범위가 넓다. (3kHz ~ 7 kHz)

    ⊙ 손떨림에 의한 저주파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 문제의 동영상은 마그네틱에 의한 부착 방법이다.

9. 진동 측정

  ▣ 진동 측정시 측정 부위로 선정이 잘못된 것은 ?

 
 

  ▣ 정답 : D

 

   ※ 모터 그림이 4개가 있고 D번은 임펠러 커버에 센서가 붙어 있다.

   ※ 진동 센서는 커버에 설치하지 않는다.

10. 회전속도 측정기

  ▣ 다음 동영상과 같이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계측기의 명칭을 쓰시오.

 

  ▣ 스트로보스코프

     ※ 스트로보스코프는 비접촉 RPM 측정기이다.

11. 게이지 측정

  ▣ 다음 동영상에서 게이지 측정값을 판독하여 적으시오.

 

  ▣ 718 rpm

12. 트리거 레벨 조절

  ▣ 다음 동영상에서 제시하는 것은 무엇을 하는 것인가 ?

 

  ▣ 트리거 레벨 조절

   ※ 둥근 원판에 망치를 교환하여 두들이고 화면에 영어로 Triger Bell, Level 칼럼에 숫자가 나타난다.

13. 푸리에 변환

  ▣ 시간영역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 푸리에 변환

    ※ FFT라고도 한다.

14. 충격 망치

  ▣ 다음 동영상에서 지시하는 A, B의 명칭을 쓰시오.

 

    A : 충격망치         B : 가속도 센서

  ※ A는 대상물에 충격을 주는 망치이며, B는 진동 센서 중 가속도 센서이다.

 

15. TiP 교체

  ▣ 다음과 같이 tip을 교체하는 이유를 기술하시오.

 

   ▣ 충격 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조절(선택)하기 위해

16. 진동 측정

  ▣ 다음 동영상은 무엇을 찾는 것인가 ?

 

  ▣ 노드 (node)점을 피하기 위함

    ※ 원판에 센서를 2개 설치하는 것은 진동 모드에서 노드 (node)점을 피하기 위함이다.

    ※ 두개의 진동센서를 설치하여 맨홀처럼 생긴 둥근 원판을 충격 해머로 친다.

        (센서 2개를 설치한 이유)

 

   ▣ 노드점을 피하기 위해 (공진 주파수를 찾기 위해)

17. 스펙트럼 분석

  ▣ 다음 스텍트럼에서 2개의 화면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

 

  ▣ 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 신호와 대상물의 응답 신호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 2개의 진동 스펙트럼을 디스플레이 하는 이유는 충격 망치의 충격 신호와 대상물의 응답신호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18. 맥놀이

  ▣ 다음 동영상과 같은 시간 파형과 주파수 파형을 보이는 진동 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

 

  ▣ 맥놀이

  ※ 비트 (beat)라고도 하며, 똑 같은 팬턴의 파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특성으로 맥놀이 수는 두 음원의 주파수 차와

       같다.

19. 고유 진동수

  ▣ 고유진동수 측정시 그래프에서 표시되고 있는 A, B가 나타내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   A : 1차 고유 진동수         B : 2차 고유 진동수

   ※ 진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는 시스템을 외부 힘에 의해서 평형 위치로 부터 움직였다가 그 외부 힘을 끊었을 때 시스템

        이 자유 진동을 하는 진동수로 정의한다.

 

 ※ 검은 화면에 높은 주파수 2개가 있다.

20. 기어 맞물림 주파수

  ▣ 기어 박스에서 입력측은 상단기어이고, 회전속도는 1770 rpm이다. 각 기어의 잇수가 다음과 같을 때 기어 맞물림

        주파수를 계산하시오.

    A : 상단기어 잇수 : 256ro, B : 중간 기어 잇수 : 157 개, C : 하단 기어 잇수 : 94 개

 

  ▣ 기어 맞물림 주파수 = 256 × 1770 / 60 = 7552 Hz

       ※ 기어 맞물림 주파수 = 기어 잇수 × 기어 회전 주파수

21. 모터의 회전수

  ▣ 다음 동영상은 모터 (Motor)의 수직 방향에서 측정한 진동의 시간파형이다. 진동의 주기는 모터의 회전 주기와 일치

        하고 있다. 이 모터의 회전수를 구하시오.

 

   ▣ 주기 T = △t = 31.64 msecs = 0.03164 secs

22. 결함 측정

  ▣ 다음과 같은 결함의 명칭은 ?

 

  ▣ 축 오정렬

   ※ 축방향으로 1X, 2X, 3X 성분으로 전동이 나타나므로 결함은 축 오정렬이다.

23. 축 오정렬 결함

  ▣ 다음과 같은 축 오정렬 결함의 종류는 ?

 

  ▣ 편각 축 오정렬

  ※ 축 오정렬 중 두 축이 편각으로 중심 불일치이므로 편각 축 오정렬 (angular misaligment)이 되며 커플링의 갭 (간극)

       축 오정렬 (gap misalignment)로도 나타난다.

24. 오일 휠

  ▣ 미끄럼 (슬리브)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결함 현상은 ?

 

  ▣ 오일 휠

   ※ 미끄럼 베어링에 대한 오일 휠 결함이다.

25. 베어링 결함

  ▣ 다음과 같은 결함의 명칭은 ?

 

  ▣ 베어링 내륜 결함

    ※ 외륜은 고정, 내륜이 회전하면 볼은 공전하면서 자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 때 베어링의 내륜에 결함이 되는 스펙트럼

        을 나타내고 있다.

26. 베어링 결함

  ▣ 다음과 같은 결함의 현상 명칭은 ?

 

  ▣ 베어링 외륜과 하우징 틈새 과다

    ※ 하우징과 베어링 외륜의 틈새가 커 회전 헐거움 (rotating looseness)이 발생되는 결함이다.

27. 공진

  ▣ 모터 (motor)의 수평방향 진동이 기준값을 초과하여 높게 발생하고 있다. 수직과 축방향의 진동은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모터의 회전속도를 약간 낮추었더니 진동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 설비가 일으키고 있는 결함의 원인을 기술

       하고 적합한 대책을 기술하시오.

 

  ① 결함 원인 : 공진

  ② 대책 :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지 않게 한다.

   ※ 수평 방향의 진동값이 크므로 언벨런스라고 볼 수 있으나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하였더니 진동값이 급격히 감소된

        것이라면 이것은 주파수 중첩, 즉 공진현상이며, 공진에 대한 대책은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하는 것이다.

28. 벨트 공진

  ▣ 다음 벨트의 결함은 무엇인가 ?

 

  ▣ 벨트 공진

   ※ 특정 회전수일 때만 파동을 일으키고, 회전수가 변하면 파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공진이다.

#공진 #베어링 #오일 #오정렬 #기어박스 #고유진동수 #맥놀이 #노드 #node #가속도센서 #푸리에변환 #진동센서 #구름베어링 #변위센서 #언벨런스 #진동센서 #주파수 #주기

반응형
반응형

1. 니들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를 쓰시오.

 

  ① 명칭 : 니들 베어링

  ※ 니들 베어링 (Needle bearings)은 기존의 롤러를 대신하여 니들(바늘) 형태의 가는 롤러를 조립한 베어링이다.

2. 케이지 니들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를 쓰시오.

 

  ① 종류 : 케이지 니들 베어링

  ※ 케이지 니들 베어링 (Cage needle bearings) : 니들 베어링은 롤러 베어링 보다 큰 하중을 받을 때 사용한다.

3. 스러스트 볼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와 안지름을 쓰시오.

 

  ① 명칭 : 스러스트 볼 베어링

  ② 안지름 : 60 ㎜

    ※ 베어링 번호 51112 중 5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번호 × 5 = 12 × 5 = 60 ㎜ 이다.

    ※ 스러스트 (Thrust) : 밀치다. 찌르다. 기계 : 추력 (推力) : 물체를 운동 방향으로 밀어 붙이는 힘. 프로펠러의 회전 또는

        분사 가스의 반동에 의하여 생기는 추진력을 이른다.

4. 복식 스러스트 볼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를 쓰시오.

 

  ① 종류 : 복식 스러스트 볼 베어링

     ※ 스러스트 베어링은 축방향 하중인 추력을 받는 곳에 사용한다.

5. 테이퍼 롤러 베어링

▣ 다음 동영상에서 축방향 추력이 발생할 때 사용하는 것의 기호와 명칭은 ?

 

  ① 기호 : B

  ② 명칭 : 테이퍼 롤러 베어링

     ※ A는 깊은 홈형 볼 베어링, C와 D는 니들 베어링으로 레이디얼 하중, 즉 축과 직각 하중을 받는 곳에서만 사용한다.

6. 슬라이딩 베어링

  ▣ 다음 부품의 명칭을 쓰시오.

 

  ▣ 슬라이딩 베어링

  ※슬라이딩 베어링 (Sliding bearing)은 메탈 베어링, 슬리브 베어링, 미끄럼 베어링이라고도 한다.

7. 구면 미끄럼 베어링

  ▣ 다음 구면 미끄럼 베어링의 안지름을 쓰시오.

 

  ▣ 호칭 지름 : 70 ㎜

    ※ 슬라이딩 베어링은 호칭번호가 호칭지름이다.

8. 베어링 유닛

  ▣ 다음 부품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베어링 유닛 (Bearing unit)

   ※ 테이크업형 베어링 유닛이다.

▣ 다음 부품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베어링 유닛 (Bearing unit)

   ※ 필로형 (Pillow) 베어링 유닛이다. 가장 일반적인 베어링 유닛이다.

▣ 다음 부품들의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베어링 유닛 (Bearing unit)

   ※ 사각 플랜지형 베어링 유닛이다.

▣ 다음 부품에서 F210 중 F가 나타내는 형식 명칭과 안지름을 쓰시오.

  ① 명칭 : 각 플랜지형

  ② 안지름 : 50 ㎜

   ※ F는 각 플랜지형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호칭번호 × 5 = 10 × 5 = 50㎜ 이다.

▣ 다음 부품에서 FL208 중 FL이 나타내는 형식 명칭과 안지름을 쓰시오.

  ① 명칭 : 마름모 플랜지형

  ② 안지름 : 40 ㎜

    ※ FL은 마름모 플랜지형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8 × 5 = 40 ㎜ 이다.

▣ 다음 부품에서 P210 중 P가 나타내는 형식 명칭과 안지름을 쓰시오.

  ① 명칭 : 필로형

  ② 안지름 : 50 ㎜

   ※ P는 필로형(Pillow)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호칭번호 × 5 = 10 × 5 = 50 ㎜ 이다.

▣ 다음 부품에서 T210 중 T가 나타내는 형식 명칭과 안지름을 쓰시오.

 

  ① 명칭 : 테이크업형

  ② 안지름 : 50 ㎜

   ※ T는 테이크업형을 말하고, 안지름은 10 × 5 = 50 ㎜ 이다.

   ※ 테이크 업 (take up) : 기계 장치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체인과 운송 벨트 따위를 조이거나 체인과 벹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설비.

9. 슬라이드 해머 풀러

▣ 다음 요소의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슬라이딩 해머 풀러

    ※ 슬라이딩 해머 풀러는 하우징에 베어링 외륜이 조립되어 있는 것을 분해할 때 사용한다.

10. 베어링 정압 예압 작업

 ▣ 다음 동영상에서 보여주는 작업의 명칭과 이 작업을 하는 목적 3가지를 쓰시오.

  ① 작업 명칭 : 베어링 정압 예압 작업

  ② 작업 목적

    ㉠ 회전 정밀도 향상

    ㉡ 베어링 강성 향상

    ㉢ 축의 소음 진동 방지

  ※ 베어링 정압 예압 작업을 하면 베어링이 자동 조심 작용을 하면서 매우 우수한 성능의 운전이 된다.

※ 베어링 예압

많은 베어링은 운전 시 약간의 '틈새'를 주어 사용합니다. 그러나 용도에 따라서는 미리

액시얼 하중을 주어 베어링 조립시 마이너스 틈새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용법을 예압이라고 합니다.

예압을 주면 베어링의 내부 틈새가 마이너스가 되어 더 많은 전동체가 내부와 외륜에 접촉하여 궤도륜과 전동체의 접촉 위치에 따른 탄성 변형량의 차이가 작아집니다.

그 결과 베어링의 축심 위치의 변화량도 적어집니다. 이와 같이 베어링에 예압을 주어 축심 위치의 변화량을 적게 하는 것을 축의 강성을 높인다고 합니다. 또한 롤러 베어링은 볼 베어링보다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탄성 변형량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롤러 베어링은 축심 위치의 변화량도 적고 보다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압 방법

예압을 주는 방법으로는 정위치예압과 정압예압이 있습니다.

① 정위치 예압 : 동일한 예압량의 경우, 정압예압에 비하여 변형량이 적고 강성이 높다

                          베어링 조립 공차에 대한 정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회전체의 원심력과 온도상승에 대한 변화가 있음.

 

② 정압예압 : 회전 중에 일정한 예압을 정위치 예압에 비하여 부여할 수 있고, 안정적인

                      예압을 유지할 수 있다. 같은 예압량에서는 정위치예압에 비해 하중에 대한 변위가 크다.

                      또, 각각의 예압 방식의 구조를 나타냅니다.

 

11. 베어링 분해 작업 방식

 ▣ 다음의 베어링 분해 작업 방식의 명칭을 쓰시오.

 

 ① 작업 방식 : 유압법

   ※ 유압법은 베어링의 내륜이 테이퍼로 되어 있는 경우 분해할 때 이용되는 방법으로 오일 인젝션법이라고도 한다.

12. 베어링 조립 방법

 ▣ 다음 베어링 조립 방법의 잘못된 점과 해결책을 쓰시오.

  ① 잘못된 점 : 핀, 펀치나 해머로 베어링 삽입

  ② 해결책 : 정압 프레스로 삽입하거나 전용 공구 사용

    ※ 베어링을 베어링 유닛에 조립할 때 정이나 줄, 핀, 해머 등으로 타격하는 것은 매우 부적합한 방법이며 전용 치공구를          사용하여 정압 프레스로 조립해야 한다.

13. 베어링 가열

 ▣ 다음과 같이 작업을 할 때 베어링에 발생할 수 있는 현상 2가지와 올바른 작업 방법을  쓰시오.

 ① 현상

    ㉠ 윤활유 탄화           ㉡ 재질 변화

 ② 올바른 방법 : 유도 가열법

※ 베어링을 축에 가열하여 억지 끼움 조립을 할 때 산소 아세틸렌 가열기나 절단 토치로 가열하면 국부적인 가열로 인한

    베어링의 변형이 발생되고, 베어링 내 윤활유가 탄화되며, 베어링 가열 한계 온도를 초과하여 재질의 변화가 발생되므로

    고주파 유도 가열기나 유조에 의한 유욕법으로 가열, 조립해야 한다.

14. 베어링 결함

 ▣ 다음과 같은 결함이 발생된 원인을 쓰시오.

 ▣ 축과 베어링 내륜의 틈새 과다

  ※ 이 결함은 축과 베어링의 클리어런스 불량으로 발생된 것이다.

  ※ 베어링 간극 (Bearing clearance) : 베어링의 간극은 원심방향 (Radial)으로 베어링의 링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간극,

                                                            Clearance)를 말한다.

  ※ Radial : 방사상의

  ※ axial : 축의, 축을 이루는

15. 베어링 유도 가열기

 ▣ 다음 장비의 명칭과 작업시 주의사항 3가지를 쓰시오.

 ① 명칭 : 베어링 유도 가열기

 ② 주의 사항

   ㉠ 접지를 시킨다.

   ㉡ 절연 장갑을 착용한다.

   ㉢ 금속 제품 착용을 금지한다.

※ 베어링 유도 가열기는 일명 인덕션이라 하며, 고주파를 이용하므로 가열기에 접지를 하고 취급시 절연장갑을 사용하며,

    반지 등 금속 제품을 몸에 지니면 화상의 염려가 있다.

16. 베어링 유도 가열기와 가열한계 온도

▣ 다음 장비의 명칭과 작업시 가열 한계 온도를 쓰시오.

 

  ① 명칭 : 베어링 유도 가열기

  ② 가열 한계 온도 : 120 ℃

※ 베어링은 130 ℃ 가 넘으면 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므로 120 ℃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사용온도는 100 ℃ 이하로 한다.

#베어링 #클리어런스 #유도가열기 #유압법 #정압 #예압 #풀러 #해머 #테이크업형

#필로형 #플랜지형 #마름모플랜지형 #베어링유닛 #슬라이딩베어링 #미끄럼베어링

#스러스트볼베어링 #케이지니들베어링 #니들베어링

반응형
반응형

1. 크랭크 축

  ▣ 다음 기계요소의 정확한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① 명칭 : 크랭크 축

  ② 용도 :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

    ※ 크랭크 축 (Crank shaft)은 왕복 운동 기관 등에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상호 변환시 키는 축으로 사용한다.

2. 축 휨 측정 작업

  ▣ 다음은 무엇을 하는 작업인지 그 작업명을 쓰고, 실제 휨량을 구하시오.

 

  ① 작업명 : 축 휨량 측정 작업

  ② 휨량 : 0.02 ㎜

3. 유니버설 조인트

  ▣ 다음 기계 요소의 정확한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① 명칭 : 유니버설 조인트

  ② 용도 : 두 축이 어느 각도로 어긋나 있을 때 사용

      ※ 유니버설 조인트는 만능 이음, 자재 이음이라고도 하며 두 축의 중심선이 어느 각도로 교차되고 두 축의 각도가 다소

          변화하여도 자유로이 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축이음이다.

4. 축 흔들림 측정

  ▣ 다음은 무엇을 하는 작업인가 ?

 

작업명 : 축의 흔들림 (Run - out) 측정 작업

   ※ 공작기계나 커플링을 회전시켰을 때 흔들림을 측정하는 작업이다.

   ※ 런 아웃 (run-out)은 모터 샤프트와 같은 회전 부품에 적용되는 특정 유형의 제조 오차

5. 플린지 플렉시블 커플링

  ▣ 다음 부품의 명칭과 특성 3가지를 쓰시오.

 

  ① 명칭 : 플랜지 플랙시블 커플링

  ② 특성

    ⊙ 정비가 필요 없다.

    ⊙ 설치 분해가 용이하다.

    ⊙ 큰 토크 전달이 가능하다.

   ※ 플랜지 볼트의 몸체가 고무로 두껍게 코팅되어 있어 비틀림 강성이 우수하다.

6. 체인 커플링

  ▣ 다음 기계 요소의 명칭과 특성 2가지를 쓰시오.

 

  ① 명칭 : 체인 커플링

  ② 특성

    ⊙ 분해, 조립이 쉽다.

    ⊙ 수명이 길다.

  ※ 체인 커플링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수명이 긴 커플링이다.

7. 그리드 커플링

  ▣ 다음 기계요소의 명칭과 특성 2가지를 쓰시오.

 
 

  ① 명칭 : 그리드 커플링

  ② 특성

     ⊙ 편심 오차가 2~3 ㎜ 이내일 때 무리없이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 각도 오차가 2~3° 이내일 때 무리없이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 그리드 커플링은 플렉시블 커플링의 한 종류로 축 중심이 다소 어긋나도 사용이 가능하다.

8. 기어 커플링

  ▣ 다음 기계요소의 명칭과 특성 3가지를 쓰시오.

 

  ① 명칭 : 기어 커플링

  ② 특징

     ⊙ 점 접촉을 한다.

     ⊙ 수명이 길다.

     ⊙ 평행 오차, 각도 오차, 축 유동 오차를 허용한다.

  ※ 기어 커플링은 크라운 기어이며, 각종 오차를 허용한다.

9. 조 커플링

  ▣ 다음 기계 요소의 정확한 명칭과 특성 3가지를 쓰시오.

 

  ① 명칭 : 조 커플링

  ② 특성

     ⊙ 충격을 감소시킨다.

     ⊙ 스파이더가 파손되어도 가동한다.

     ⊙ 윤활이 필요 없다.

     ※ 조 커플링은 플렉시블 커플링의 한 종류이다.

10. 축 얼라인먼트 작업

  ▣ 커플링과 축의 얼라인먼트 작업에 필요한 공구 3가지를 쓰시오.

 

  ▣ 스트레이트 에지, 다이얼 게이지, 두께 게이지

     ※ 이외에도 테이퍼 게이지, 두께 게이지, 다이얼 게이지 고정용 마그넷 등이 있다.

11. 축 정렬 작업

  ▣ 다음 작업의 명칭을 쓰시오.

 

  ▣ 축정렬 작업

    ※ 센터링 작업, 정밀 축정렬 작업, 얼라인먼트 작업이라고도 한다.

12. 스트레이트 에지

  ▣ 다음 ㉮, ㉯ 의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① 명칭 : ㉮ 스트레이트 에지 ㉯ 테이퍼 게이지

  ② 용도 : ㉮ 평명도 검사 ㉯ 플랜지 면 간극 측정

  ※ 스트레이트 에지는 나이프 에지 또는 직선 자라고도 하며, 두 가지 다 센터링 작업에도 사용된다.

13. 축정렬 작업

  ▣ 다음 작업의 명칭과 ㉮, ㉯, ㉰의 공기구 명칭을 쓰시오.

 
 

  ① 작업명 : 축정렬 작업

  ② 공기구 명칭 ㉮ 나이프 에지 ㉯ 테이퍼 게이지 ㉰ 다이얼 게이지

   ※ 축정렬 작업은 센터링 작업, 정밀 축정렬 작업, 얼라인먼트 작업이라고도 하며, 스트레이트 에지는 나이프 에지 또는

        직선자라고도 한다.

14. 심 (sim)

  ▣ 다음 공기구의 명칭을 쓰시오.

 

  ① 명칭 : 심 (shim)

   ※ 심은 심 플레이트 또는 라이너라고도 한다.

15. 볼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와 안지름을 쓰시오.

 

  ① 베어링 종류 : 단열 깊은 홈형 볼 베어링

  ② 안지름 : 60 ㎜

    ※ 베어링 번호 6312 중 6은 단열 깊은 홈형 볼 베어링을 의미하고, 12는 안지름 번호로 안지름은 번호 × 5 = 60 ㎜ 이다.

16. 원통 롤러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와 안지름을 쓰시오.

 

  ① 베어링 종류 : 원통 롤러 베어링 (Cylindrical roller bearings)

  ② 안지름 : 60 ㎜

   ※ 베어링 번호 NU412 중 N은 원통 롤러 베어링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번호 × 5 = 12 × 5 = 60 ㎜ 이다.

17. 원통 롤러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와 안지름을 쓰시오.

 

  ① 베어링의 종류 : 원통 롤러 베어링 (Cylindrical roller bearings)

  ② 안지름 : 60 ㎜

  ※ 실린드리컬 베어링이라고도 하며 안지름은 번호 × 5 = 12 × 5 = 60 ㎜ 이다.

18. 앵귤러 볼 베어링

  ▣ 다음 기계 요소의 명칭과 안지름을 쓰시오.

 

  ① 베어링 종류 : 앵귤러 볼 베어링 (Angular Contact ball bearings)

  ② 안지름 : 65 ㎜㎜

  ※ 베어링 번호 7313 중 7은 앵귤러 볼 베어링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번호 × 5 = 13 × 5 = 65 ㎜ 이다.

19. 자동 조심형 롤러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와 안지름을 쓰시오.

 

  ① 베어링 종류 : 자동 조심형 롤러 베어링

  ② 안지름 : 100 ㎜

  ※ 베어링 번호 23120 중 23은 자동 조심형 롤러 베어링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번호 × 5 = 20 × 5 = 100 ㎜ 이다.

  ※ 자동 조심 롤레 베어링은 고하중용으로 적합함. 2열의 궤도를 갖는 내륜과 구면인 외륜과의 사이에 궤도면이 나무

       통 모양의 롤러를 집어 넣은 베어링 외륜 궤도면의 곡률 중심은 베어링 중심과 일치하므로 볼 베어링과 같은 원리로

       조심성이 있음

20. 자동 조심 볼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와 안지름을 쓰시오.

 

  ① 베어링 종류 : 자동 조심 볼 베어링 (Self-Aligning Ball Bearings)

  ② 안지름 : 60 ㎜

  ※ 베어링 번호 2212 중 22는 자동 조심형 볼 베어링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번호 × 5 = 12 × 5 = 60 ㎜ 이다.

  ※ 자동 조심 볼 베어링 (Self - Aligning Ball Bearings)은 축과 하우징의 정렬이 어려운 경우나 축이 휘기 쉬운 전동축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이 베어링은 외륜의 궤도면과 구면의 곡률 중심이 베어링 중심과 일치한다. 따라서 내륜, 베어링,

      케이지 축이 베어링 중심 주위에 일정 수준으로 조심(편향)이 가능하다.

21. 테이퍼 롤러 베어링

  ▣ 다음 베어링의 종류와 안지름을 쓰시오.

 

  ① 명칭 : 테이퍼 롤러 베어링

  ② 안지름 : 60 ㎜

  ※ 베어링 번호 31312 중 3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번호 × 5 = 12 × 5 = 60 ㎜ 이다.

22. 테이퍼 롤러 베어링

 

  ① 명칭 : 테이퍼 롤러 베어링

  ② 안지름 : 70 ㎜

   ※ 베어링 번호 32214 중 3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의미하고, 안지름은 번호 × 5 = 14 × 5 = 70 ㎜ 이다.

23. 다음 ㉮, ㉯, ㉰ 의 베어링에서 보조 기호 의미를 쓰시오.

 

  ㉮ 없음 ㉯ 한쪽면 접촉실 ㉰ 한쪽면 실드

   ※ DD는 양쪽 접촉실, ZZ은 양쪽 실드이다.

#크랭크 #실 #테이퍼 #베어링 #롤러베어링 #볼베어링 #얼라인먼트 #실드 #스트레이트

#에지 #커플링 #플랜지 #플랙시블 #유니버설조인트 #축정렬 #그리드

반응형
반응형

▣ 공차 : 설계자가 가공품의 기준 치수, 형상에 대하여 어느 정도 벗어남이 허용되는지에 대해 표현하는 것. 공차는 설계자

               가 도면에 표기하는 값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오차를 말한다. 기계 공차, 가공공차, 치수 공차, 조립 공차 등으

               로 불린다.

▣ 보스 : 축에 고정시키기 위해 두껍게 된 부분을 말한다. 축에 작은 삼각형의 키 홈을 만들어 축과 보스를 고정시킨 것으

               로 지름의 스플라인에 비해 많은 이가 있으며 전동력이 크다. 주로 자동차의 핸들 고정용, 전동기나 발전기의

               전기자 축 등에 이용된다.

 

▣ 피팅 (Pitting, surface fatigue) : 표면 피로 (surface fatigue) 또는 일반적으로 피팅 (fitting)이라는 것은 기어 재질이 견딜

            수 있는 치면 용량을 초과했을 때 나타나는 피로현상이다. 하중 작용중의 거어는 표면과 표면 아래에 주기적인 응

            력이 발생한다. 하중이 충분히 높고 응력 주기가 크면 표면에서 작은 입자가 피로한도를 넘어 떨어져 나감으로 접

            촉면에 작은 홈과 공동이 생성된다.

▣ 스플라인 (spline) : 축으로부터 직접 여러 줄의 키(key)를 절삭하여, 축과 보스(boss)가 슬립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

        [용도] 큰 동력을 전달용.

        [종류] 각형 스플라인과 인벌류트 스플라인(involute spline)이 있다. 스플라인의 줄수는 6, 8, 10이 보통이다.

    ※ spline (금속·나무 등의) 가늘고 긴 박판(薄板)

▣ 보스 (boss) : 보스란 표면 위에 돌출된 중공 또는 솔리드 형태의 둥근 기둥 모양으로 돌출된 원형체를 말한다. 이것은

           다른 성형부품을 조립할 목적으로 사용이 되며, 셀프 탭핑 스크류, 확장 인서트 등이 있다. 잘못 설계시 가장 대표적

           으로 싱크마크(sink mark)가 발생하게 되므로 보스 설계시 주의를 해야 한다.

  ⊙ 두꺼운 보스 형상은 피해야 합니다. 보스가 두꺼우면 싱크마크가 발생하거나 공동 (Void), 웰드라인(Weld Line) 등이

       발생한다.

  ⊙ 보스를 측벽에 설계시 리브(rib)를 사용하여 살두께를 줄여야 한다.

  ⊙ 리브와 마찬가지로 빼기구배를 해줘야 한다. 만약 빼기구배를 해주지 않으면 사출성형 후 돌출과정에서 성형품에

      이젝터 핀(Ejector Pin) 자국이 남거나 긁힌 자국이 남는다.

  ⊙ 보스의 높이는 보스 내경의 2배를 넘지 않아야 한다. 보스의 높이가 높을 경우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 보스의 내경은 보통 나사의 피치 직경이며, 보스의 외경은 살두께의 2배 또는 보스 내경의 2.4 ~ 2.5배로 설계를 해야

       한다.

 

▣ 리브 (Rib) : 리브(Rib)란 일반적인 해석은 늑골, 갈비대 등을 말하는데 기계공학에서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해주는

                        보강대 부분을 말한다. 예를 들면 가로수가 넘어지지 않도록 옆에 세 발의 받침대를 세우는 것처럼 보강대

                         의 개념으로 쓰인다. 즉, 하중을 받혀주거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을 시켜주는 부분을 말하며

                         이 Rib의 표시는 Rib에 수직으로 가는 일점쇄선 단면 표시하고 Rib의 두께의 폭으로 나타낸다.

【출제 예상 문제】

1. 부러진 볼트를 빼려고 한다. 사용되는 공구와 구멍 지름과 볼트 지름의 관계에 대한 것은 맞는 것은 ? [07-4]

  ① 스크류 익스트렉터 : 30 % 정도                        ② 스크류 익스트렉터 : 60 % 정도

  ③ 오스터 : 30 % 정도                                           ④ 오스터 : 60 % 정도

2. 볼트, 너트의 죔 토크 (torque)에 대한 식으로 맞는 것은 ? (단, T : 토크, F : 힘, ℓ : 길이, A단면적, W : 중량) [08-4]

3. 스패너에 의한 적정한 죔 방법 중 M12~14 까지의 볼트를 죌 때 스패너 손잡이 부분의 끝을 꽉 잡고 힘을 충분히 주어야

     하는데 이 때 가해지는 적당한 힘은 얼마인가 ?   [10-4, 14-2, 17-2, 19-4]

   ① 약 5 ㎏f             ② 약 20 ㎏f            ③ 약 50 ㎏f              ④ 100 ㎏f 이상

[해설] M12 ~ 20 까지의 볼트 : 스패너 손잡이 부분의 끝을 꼭 잡고 팔의 힘을 충분히 써서 돌린다. ℓ = 15 ㎝, F = 약 500 N

4. 나사로 체결된 부품이 나사가 풀려서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나사의 자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나사의 효율은 ?

     [17-4]

   ① 50 % 미만          ② 60 % 이상        ③ 70 % 이하            ④ 80 % 이상

5. 너트의 풀림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와셔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 [19-1]

    ① 사각 와셔         ② 이붙이 와셔            ③ 스프링 와셔           ④ 혀붙이 와셔

[해설] 사각 와셔는 목재용이다.

6. 나사 체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3-4]

   ① 나사 체결 전 볼트의 강도 등급을 확인한다.

   ② 볼트 체결 방법은 토크법, 너트 회전각법, 가열법, 장력법이 있다.

   ③ 큰 장력으로 조일 수 있는 적절한 체결방법은 텐셔너(장력법)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④ 토크법은 나사면의 마찰계수 불균형을 무시할 수 있다.

7. 녹에 의한 볼트 너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   [08-4, 11-4, 16-2, 20-4]

   ① 유성 페인트를 나사 부분에 칠한 후 죈다.

   ② 볼트 너트를 죈 후 아주 높은 온도로 가열한 후 식힌다.

   ③ 나사 틈새에 부식성 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한다.

   ④ 산화 연분을 기계유로 반죽한 적색 페인트를 나사부분에 칠한 후 죈다.

8. 다음 중 너트의 일부를 절삭하여 미리 내측으로 변형을 준 후 볼트에 체결할 때 나사부가 압착하게 되는 이완 방지법은

    어느 것인가 ? [09-4, 14-4, 17-4]

   ① 절삭 너트에 의한 방법      ② 로크 너트에 의한 방법     ③ 특수너트에 의한 방법     ④ 분할 핀 고정에 의한 방법

[정답]   1. ②     2. ②       3. ③        4. ①        5. ①       6. ④         7. ②          8. ①

9. 다음 중 볼트 너트의 사용방법으로 옳은 것은 ? [15-2]

   ① 리머 볼트 구멍에 보통 볼트를 체결하여도 무방하다.

   ② 볼트, 너트, 스프링 와셔는 재사용해도 상관없다.

   ③ 로크 너트는 두꺼운 너트는 아래쪽, 얇은 너트는 위쪽에 체결한다.

   ④ 볼트 너트를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너트는 점검하기 쉬운 쪽에 체결한다.

10. 다음 중 볼트 너트의 이완 방지 방법이 아닌 것은 ? [12-4, 18-1]

   ① 로크 너트에 의한 방법                          ② 자동 죔 너트에 의한 방법

   ③ 볼트를 해머 렌치로 조이는 방법           ④ 홈달림 너트 분할핀 고정에 의한 방버

11. 체결용 기계 요소 중 고착된 볼트의 제거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 [16-4]

   ① 볼트에 충격을 주는 방법                  ② 너트에 충격을 주는 방법

   ③ 로크 너트를 사용하는 방법              ④ 정으로 너트를 절단하는 방법

[해설] 고착된 볼트의 분해법 : 볼트나 너트를 두드려 푸는 방법, 너트를 정으로 잘라 넓히는 방법, 아버 프레스를 이용하는

         방법, 비틀어 넣기 볼트를 빼내는 방법 등이 있다.

         ③ 로크 너트는 풀림 방지에 사용된다.

12. 축 이음 핀의 빠짐 방지나 볼트, 너트의 풀림 방지로 쓰이는 것은 ?  [06-4, 15-4, 20-3]

   ① 코너         ② 평행 핀         ③ 분할 핀             ④ 테이퍼 핀

[해설] 홈 붙이 너트는 분할 핀 고정에 의한 나사 풀림 방법 (KS B 1015)

13. 키 맞춤의 기본적인 주의 사항 중 잘못된 것은 ? [08-4, 13-4, 19-2]

   ① 키는 측면에 힘을 받으므로 포그 치수의 마무리가 중요하다,

   ② 키 홈은 축과 보스를 기계 가공으로 축심과 완전히 직각으로 깍아 낸다.

   ③ 키의 치수, 재질, 형상, 규격 등을 참조하여 충분한 강도의 규격품을 사용한다.

   ④ 키를 맞추기 전에 축과 보스의 끼워 맞춤이 불량한 상태인 경우 키 맞춤을 할 필요가 없다.

[해설] 키 홈은 축심과 평행으로 절삭한다.

14. 다음 중 응력 집충에 의한 축의 파단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07, 11, 16-4]

   ① 키 홈의 마모        ② 축의 가공 불량        ③ 설계 형상의 오류         ④ 커플링 중심내기 불량

[해설] 축의 파단 원인 : 풀리, 기어, 베어링 등 끼워 맞춤 불량, 관련 부품의 맞춤 불량이며 키 홈의 마모는 자연 열화이다.

▣ 룰리 (Pulley) 바퀴에 홈을 파고 줄을 걸어서 돌려 물건을 움직이는 장치. 두레박, 기중기 따위에 이용된다.

15. 축 정렬 시 커풀링 면간을 측정하는 게이지로 맞는 것은 ? [17-2]

   ① 틈새 게이지       ② 피치 게이지        ③ 링 게이지          ④ 하이트 게이지

[정답]    9. ④       10. ③       11. ③      12. ③       13. ②       14. ①        15. ①

16. 축 고장의 원인 중 조립, 정비 불량의 직접 원인인 것은 ? [09-4]

   ① 재질 불량      ② 축의 휘어짐       ③ 치수, 강도 부족        ④ 형상 구조 불량

[해설] 조립, 정비 불량 원인

직접 원인
주요 원인
조치 요령
풀리, 기어, 베어링 등
끼워 맞춤 불량
끼워 맞춤 부위에 미동 마모
가 생겨, 지동, 풀림 때문에 사용 불능,
축의 파단의 원인
보스 내경을 절삭하고 축을
덧상 붙이기 또는 교체
관련 부품의 맞춤 불량
위와 같은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
진동과 소음이 심하고 기어, 베어링의
수명이 급격히 
저하, 실 부위 누유
급유 불량
기어 마모 및 소음, 베어링 부위 발열
적당한 유종 선택, 유량 및 급유 방법 개선

17. 다음 축 고장의 원인 중 설계 불량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06-4, 17-4]

   ① 재질 불량       ② 자연 열화         ③ 형상 구조 불량 ④         치수 강도 부족

[해설] 직접 원인이 자연 열화인 경우

주요 원인
조치 요령
끼워 맞춤 부위 마모, 녹, 흠, 변형, 휨 등
외관 검사로 판명, 수리 또는 교체

18. 축 고장시 설계 불량의 직접 원인이 아닌 것은 ? [15-4, 18-4]

   ① 재질 불량       ② 치수 강도 부족        ③ 끼워 맞춤 불량        ④ 형상 구조 불량

[해설] 설계 불량 요인

직접 원인
주요 원인
조치 요령
형상 구조 불량
노치 또는 응력 집중에 의한 파단
노치부 형상 개선
한 쪽으로 치우침, 발열 파단
개선
 

19. 축 고장의 원인과 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 [19-4]

   ① 형상 구조 불량시 노치 형상을 개선한다.

   ② 풀리, 기어, 베어링 등 끼워 맞춤 불량 시 재질을 변경한다.

   ③ 급유 불량시 적당한 유종을 선택하고, 유량 및 급유 방법을 개선한다.

   ④ 자연 열화 시 축을 분해하여 외관 검사를 하고 테스트 해머로 가볍게 두드려 타격음으로 균열의 유무를 판정한다.

20. 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고장의 진행 형태를 순서대로 열거한 것은 ? [15-2]

   ① 끼워 맞춤 불량 → 풀림 발생 → 미동 마모 → 기어 마모 → 치명적인 고장

   ② 끼워 맞춤 불량 → 풀림 발생 → 기어 마모 → 미동 마모 → 치명적인 고장

   ③ 풀림발생 → 끼워 맞춤 불량 → 미동 마모 → 기어 마모 → 치명적인 고장

   ④ 끼워 맞춤 불량 → 미동 마모 → 풀림 발생 → 기어 마모 → 치명적인 고장

21. 축의 굽음 (bending) 측정용으로 적합한 측정 공기구는 ? [15-2]

   ① 블록 게이지       ② 다이얼 게이지      ③ 외경 마이크로미터         ④ 내경 마이크로미터

[정답]   16. ②      17. ②       18. ③      19. ②       20. ①        21. ②

22. 축 정렬 작업을 위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하고 두 축을 동시에 회전시켜 상, 하 (0°, 180°)를 측정

       하였더니 10 μm 눈금의 차이가 발생했다면 두 축의 상, 하 편심량은 ? [18-1]

 

   ① 0 μm        ② 5 μm          ③ 10 μm             ④ 20 μm

[해설] 편심량 = 다이얼 게이지 움직인 량 / 2 = 10 μm /2 = 5 μm

23. 축의 중심 내기 방법 중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10-4, 14-2]

   ① 죔 형 커플링의 경우 스트레이트 에지를 이용하여 중심을 잰다.

   ② 체인 커플링의 경우 원주를 4등분한 다음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해서 중심을 맞춘다.

   ③ 플랜지의 면간의 차를 측정하여 중심 맞추기를 한다.

   ④ 플렉시블 커플링은 중심내기를 하지 않는다.

[해설] 플렉시블 커플링도 중심내기를 해야 한다.

24. 다음 원통 커플링 중 주철제 원통 속에 두 축을 맞대어 끼워 키로 고정한 축 이음으로, 주로 축 지름과 하중이 작은 경우

      에 쓰이며 인장력이 작용하는 축 이음에 부적합한 것은 ? [20-3]

   ① 머프 커플링      ② 클램프 커플링        ③ 반 겹치기 커플링       ④ 마찰 원통 커플링

[해설] 머프 커플링 (muff coupling) : 원통형커플링으로 주철제의 원통 속에서 두 축을 맞대어 맞추고 키로 고정 한 커플링

 

특징

   ㉠ 축지름과 하중이 아주 작을 경우 사용하는 간단 커플링

   ㉡ 인장력이 작용하는 축에는 부적당

   ㉢ 작업상 안전을 위해 안전커버를 씌운다

   ㉣ 두축을 수평 일직선으로 맞추고 키로 고정

   ㉤ 축지름과 하중이 비교적 작을때 사용

       외우기 : 머프=스머프 라고생각합니다

       스머프는 머리위에 모자(안전커버) 쓰고있습니다

       그리고 키가 작고 약해서(하중이 작다) 로 외운다.

25. 두 축이 만나는 각이 수시로 변화하는 경우 사용되는 커플링으로 공작 기계, 자동차 등의 축 이음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 [16-2]

   ① 유니버설 조인트        ② 마찰 원통 커플링       ③ 플랜지 플렉시블 커플링       ④ 그리드 플렉시블 커플링

[해설] 유니버설 조인트 (universal joint)

  ㉠ 관계 위치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두 개의 동력 전달 축을 연결한 커플링 으로서, 프로펠러 샤프트 전·후단 등에 사용한

       다.

  ㉡ 트랜스미션과 샤프트, 샤프트로부터 파이널 드라이브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연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

  ㉢ 프로펠러 샤프트의 자재 이음을 말하는데,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두 개의 축을 연결하여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하는

       이음으로서, 액슬의 상하 진동으로 인한 각도 변환과 회전력 변환을 극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26. 두 축의 중심선을 일치시키기 어렵거나, 전달 토크의 변동으로 충격을 받거나, 고속 회전으로 진동을 일으키는 경우에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커플링은 ? [18-2]

   ① 머프 커플링        ② 클램프 커플링         ③ 플렉시블 커플링      ④ 마찰 원통 커플링

[해설] 플렉시블 커플링 (flexible coupling) : 두축의 중심선을 일치 시키기 어렵거나, 또는 전달 토크의 변동으로 충격을

           받거나, 고속 회전으로 진동을 일으키는 경우에 고무, 강선, 가죽,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켜

           주는 커플링

27. 다음 중 펌프와 전동기가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축의 변형 및 열팽창 등을 고려하여 운전 중에 상호 회전 중심축

       이 일치하도록 기기를 배열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18-2]

   ① 새그          ② 연마            ③ 소프트 풋 (soft foot)        ④ 얼라인먼트 (alignment)

[정답]    22. ②      23. ④       24. ①      25. ①        26. ③          27. ④

28. 구름 베어링에 예압을 주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6-4, 20-3]

   ① 베어링의 강성을 증가 시킨다.                                   ② 진동체 선회 미끄럼을 억제한다.

   ③ 축의 흔들림에 의한 진동 및 이상음이 방치된다.       ④ 전동체의 공전 미끄럼이나 자전 미끄럼을 증가시킨다.

[해설] 예압은 베어링 전동체의 공전 미끄럼이나 자전 미끄럼을 감소시킨다.

  ▣ 구름 베어링 예압 :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베어링을 설치 했을 때, 부의 클리어런스가 되도록 미리 내부응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 예압 설정 목적

       ㉠ 축이 레이디얼 방향 및 액셜방향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함과 동시에 축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 베어링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시한다.

       ㉢ 축방향의 진동 및 공진에 의한 이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ㄹ. 전동체의 선회미끄럼, 공전미끄럼 및 자전미끄럼을 억제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 궤도륜에 대해서, 전동체를 바른 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29. 다음 베어링 중 외륜 궤도면의 한 쪽 궤도 홈 턱을 제거하여 베어링 요소의 분리 조립을 쉽게 하도록 한 베어링으로,

      접촉각이 작아 깊은 홈 베어링 보다 부하 하중을 적게 받는 베어링은 ? [19-1]

   ① 앵귤러 볼 베어링        ② 마그네토 볼 베어링      ③ 스러스트 볼 베어링      ④ 자동 조심 볼 베어링

[해설] 마크네트 볼 베어링 (magneto ball bearing) : 외륜 궤도면의 한쪽 궤도 홈 턱을 제거하여 베어링 요소의 분리 조립을

          쉽게 하도록 한 베어링

30. 기어 전동 장치에서 두 축이 평행한 기어는 ? [09-4, 20-3]

   ① 웜 (worm) 기어     ② 스큐(skew) 기어       ③ 스퍼 기어 (spur) 기어       ④ 베벨(bevel) 기어

[해설] ㉠ 두 축이 평행한 기어 : 스퍼, 헬리컬, 2중 헬리컬, 레크, 내접 기어

          ㉡ 두 축의 중심선이 만나는 경우 : 베벨, 크라운 기어

          ㉢ 두축이 평행하지도 않고 만나지도 않은 기어 : 스크류, 하이포이드, 웜기어

31. 직선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거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기어는 ?

   ① 스퍼 기어        ② 헬리컬 기어        ③ 베벨 기어        ④ 래크와 피니언

[해설] 기어의 종류

 

32. 다음 기어 중 서로 교차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은 두 축 사이에 운동을 전달하는 기어는 ? [19-2]

   ① 스퍼 기어        ② 나사 기어          ③ 베벨 기어          ④ 내접 기어

[해설] 자동차의 뒤 차축과 같이 축간 거리가 크지 않고 축을 엇갈리게 할 필요가 있는 곳에 이용되는 하이포이드 기어

           (hypoid gear), 축간 거리가 큰 경우에는 헬리컬 기어의 축을 엇갈리게 하여 물리는 나사 기어 등이 있다.

 
 

33. 다음 기어의 손상 중 표면 피로에 의한 손상만으로 연결된 것은 ? [07-4, 20-3]

   ① 압연 항복, 균열, 버닝                            ② 스폴링, 스코어링, 리플링

   ③ 습동 마모, 피닝 항복, 스코어링             ④ 초기 피팅, 파괴적 피팅, 스폴링

34. 기어 손상의 분류에서 표면 피로의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 ? [08-4, 14-4, 18-1]

   ① 박리         ② 스코어링           ③ 초기 피팅           ④ 파괴적 피팅

[해설] 표면 피로 : 초기 피팅, 파괴적 피팅, 피팅 (스폴링)

35. 기어 손상의 분류에서 이면의 열화에 대하여 소성 항복에 속하는 것은 ? [16-4]

   ① 피팅 (pitting)         ② 피닝 (peening)      ③ 스폴링(spalling)         ④ 스코어링 (scoring)

[해설] 이면의 열화에 의한 소성 항복

  ㉠ 압연 항복 (ridging)     ㉡ 피닝 항복 (case crushing)       ㉢ 파상 항복 (rippling)

  ▣ 피닝(peening)은 금속 표면의 재료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해머 타격과 같은 기계적 방법으로 샷으로 발파(shot

        peening)하거나 레이저 피닝(laser peening)을 통해 빛을 집속(pocusing)하는 과정이다. 피닝은 일반적으로 냉간 작업

        프로세스이며, 레이저 피닝은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 차가운 금속의 표면을 팽창시켜 압축 응력을 유도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인장 응력을 완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피닝은 또한 표면 금속의 변형경화를 촉진할 수 있다.

[정답]    28. ④    29. ②       30. ③      31. ④      32. ②      33. ④     34. ②        35. ②

36. 기어를 이용한 동력 전달 시 언더컷에 의해 기어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언더컷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1-4]

   ① 전위 기어를 사용하면 언더컷을 방지할 수 있다.             ② 기어의 이 강도는 표준 기어가 전위 기어 보다 크다.

   ③ 표준 기어에서는 잇수가 많을 때 언더컷이 일어난다.      ④ 전위 계수가 크면 이 두께가 크게 된다.

[해설] 언더컷 (undercut) : 회전하는 기어에 이의 간섭이 일어나 이 끝이 이뿌리를 파먹는 현상으로 언더컷이 발생하면

           이 뿌리가 가늘어지고 이의 강도가 약해지며 물림의 길이아 짧아진다. 이의 간섭은 기어가 맞물려 회전할 때 기어의

           이 끝이 다른 기어의 이 뿌리에 부딪혀서 회전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언더컷 방지대책]

   ㉠ 피니언과 기어의 잇수 차이를 줄이기

   ㉡ 하중 부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기어의 이끝높이를 줄이기

   ㉢ 치형을 수정해 간섭을 방지하며 물림률을 유지할 수 있는 전위 기어 사용

   ㉣ 기어의 압력각을 크게 설정하여 물림 길이를 길게 한다.

37. 기어에서 백래시 (backlash)가 필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 [17-4]

   ① 기어 제작 오차에 대한 여유                ② 부하에 의한 기어 변형 여유

   ③ 기어 마모에 대한 오차 여유                ④ 윤활을 원활히 하기 위한 여유

[해설] 기어 마모에 대한 것은 윤활과 관련 있다.

   백래쉬(backlash) : 2개의 기어가 맞물리는 기어 사이의 간극 또는 유격을 말한다. 2개의 기어가 맞물리다 보면 위 아래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지만 양 옆으로도 간극이 생기게 되는데 이 측간 간극을 백래쉬라고 한다.

    백래쉬 설정 이유는 금속의 열팽창을 고려하거나 기계적 마찰을 감속시키기 위한 윤활유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는데

     있다.

38. 기어에서 이의 간섭에 대한 방지책으로 잘못된 것은 ? [18-2]

   ① 압력각을 크게 한다.                     ② 이 끝을 둥글게 한다.

   ③ 이의 높이를 크게 한다.                ④ 피니언의 이뿌리면을 파낸다.

[해설] 이의 높이를 낮게 해야 한다.

  ▣ 피니언 (pinion) : 맞물리는 크고 작은 2개의 기어 중에서 작은 쪽 기어를 말하거나 래크 (rack)와 맞물리는 기어를

                                 말한다.

 

39. 스퍼 기어의 정확한 치형 맞물림에 대한 것으로 맞는 것은 ? [09-4, 12,16-2]

   ① 치형 축 방향 길이 80% 이상, 유효 이 높이 20% 이상 닿아야 한다.

   ② 치형 방향 길이 70 % 이상, 유효 이 높이 30% 이상 닿아야 한다.

   ③ 치형 방향 길이 60 % 이상, 유효 이 높이 40% 이상 닿아야 한다.

   ④ 치형 방향 길이 50 % 이상, 유효 이 높이 50% 이상 닿아야 한다.

40. 기어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표면에 가는 균열이 생기고, 그 균열 속에

      윤활유가 들어가 고압을 받아 이의 면에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 ? [18-4]

   ① 피팅        ② 스코어링          ③ 이의 절손          ④ 어브레이전

41. 기어 전동 장치에서 기어 마모의 원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10-4]

  ① 오일 공급의 부족으로 금속과 금속간의 마찰           ② 공급 오일 중에 연마 입자의 침투

  ③ 공급 오일의 유막 강도 증대                                      ④ 오일 첨가제 성분에 의한 화학적 마모

[해설] 공급 오일의 유막 강도 증대는 치형 마모의 원인이 아니다.

42. 다음 [보기] 는 V벨트 제품의 호칭을 나타낸 것이다. "2032"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 [19-2]

[보기] 일반용 V 벨트 A 80 또는 2032

   ① 명칭         ② 종류        ③ 호칭 번호            ④ V벨트의 길이

[해설] A는 V벨트의 종류인 단면 크기, 80은 호칭 번호, 2032는 벨트 유효 길이를 뜻한다.

[정답]   36. ③       37. ③       38. ③       39. ①       40. ①       41. ③         42. ④

43.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3-4, 20-3]

   ① 구동 계통의 오염으로 인한 윤활 불량에 유의한다.

   ② 가변 피치 풀리가 유욕식이므로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③ 벨트와 풀리 (pulley)의 접촉 위치 변경에 의한 직경비를 이용한다.

   ④ 무단 변속에 사용되는 벨트의 수명은 일반적인 벨트보다 수명이 짧다.

[해설]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정비 : 벨트의 수명은 표준 사용 방법으로 운전할 때의 1/3 에서 2배 정도, 가변 피치 풀리의

           습동부는 윤활 불량이 되기 쉽다. 광폭 벨트는 특수하므로 예비품 관리를 잘 해 두어야 한다.

44. 벨트 전동 장치에서 전달 동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4-4]

   ① 마찰 계수의 값이 크면 클수록 큰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② 접촉각이 클수록 큰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③ 원심 장력이 크면 클수록 전달 동력이 증가된다.                          ④ 장력비가 클수록 전달 동력이 커진다.

45. 체인을 거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 [14-4]

   ① 두 축의 스프로킷 휠은 동일 평면에 있어야 한다.                 

   ② 수직으로 체인을 걸 때 큰 스포로킷 휘이 아래에 오도록 한다.

   ③ 수평으로 체인을 걸 때 이완 축이 위로 오면 접촉각이 커지므로 벗겨지지 않는다.

   ④ 이완 축에는 긴장 풀리를 쓰는 경우도 있다.

[해설] 벨트는 이완 측을 위로 두지만, 체인은 아래로 두어야 한다.

46. 오프셋 링크에서 링크판과 부시를 일체화 시킨 것으로, 오프 셋 링크와 이음 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저속 중용량의

      컨베이어, 엘리베이트용으로 사용되는 체인은 ? [18-4]

   ① 롤러 체인       ② 부시 체인        ③ 핀틀 체인         ④ 블록 체인

[해설] 오프셋 (offset) : 빗나감, 편심(偏心), 엇갈림을 뜻한다. 하이포이드 기어 또는 엇갈림 축, 페이스 기어의 축간

                                    최단거리

  ▣ 오프셋 체인 (offset chain)

      ⊙ 링크판이 오프셋 모양으로 구브러진 형태, 전동 중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 중하중, 저속 전동용

   ◈ 핀틀 체인 (pintle chain) : 오프셋 링크판과 부시를 일체화 시킨 것

 

▣ 롤러 체인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력 전달용 체인, 저속에서 고속까지 넓은 범위 사용

    ◈ 부시 체인 : 롤러 체인에서 롤러를 없애 구조를 단순화한 것 : 경하중용

47. 운동 제어용 기계요소로 래칫 휠 (ratchet wheel)의 역할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4-4]

   ① 역전 방지 작용         ② 조속 작용         ③ 나눔 작용              ④ 완충 작용

[해설] 래칫휠 (ratchet wheel) :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톱니가 비대칭적으로 되어 있고 걸쇠(pawl)가 있어

                       서 한쪽 방향으로는 회전을 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걸쇠에 걸리게 되어 있다.

 

48. 일반적인 고무 스프링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20-3]

  ① 감쇠 작용이 커서 진동 및 충격 흡수가 좋다.                ② 인장력이 약하므로 인장하중을 피하는 것이 좋다.

  ③ 한개의 고무로 두 방향 또는 세 방향으로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④ 기름에 접촉하거나 직사광선에 노출되어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해설] 일반적인 고무는 기름과 직사광선에 취약하다.

[정답]    43. ②     44. ③     45. ③       46. ③      47. ④         48. ④

49. 원판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T라고 할 때, 다음 중 잘못된 설명은 ? [15-2]

  ① 원판의 수량 (Z)에 비례                                            ② 접촉면의 마찰계수 (μ)에 비례

  ③ 원판 브레이크의 평균 반지름(R)에 비례                  ④ 축의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P)에 비례

50. 다음 브레이크 재료 중 허용 압력이 가장 큰 것은 ? [16-3, 19-2]

  ① 황동         ② 주철          ③ 목재               ④ 파이버

[해설] 주철의 허용 압력 : 9.5 ~ 17.5 ㎏f/㎠

51. 다음 중 브레이크의 용량 결정과 관련된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느 것인가 ?   [08-4, 15-4, 19-1]

    ① 마찰 계수         ② 마찰 면적           ③ 브레이크의 중량           ④ 브레이크 패드의 압력

[해설] 브레이크 용량 (brake capacity) : 브레이크 드럼의 원주 속도를 v [m/s], 브레이크 블록과 브레이크 드럼 사이의 압력

            을 W [N], 브레이크 블록의 접촉 면적을 A [㎟], 접촉면압을 P, 마찰계수를 μ라고 하면 브레이크 용량은 다음과 같다.

 

52. 블록 브레이크의 제동력 기능 저하 방지 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 [16-4]

  ① 작동유 유압 시스템의 누설부를 점검한다.              ② 브레이크 블록의 손상 및 탈락을 점검한다.

  ③ 브레이크 블록과 드럼부에 이물질 유입이 없도록 덮개를 씌운다.

  ④ 장기간 휴지 시 브레이크 드럼부에 녹 방지를 위해 방청유를 도포한다.

[해설] 어떤 경우라도 브레이크 드럼부에 방청유 등 오일을 도포하지 않는다.

53. 다음 브레이크 중 화물을 올릴 때 제동 작용을 하지 않고 화물을 내릴 때는 화물자중에 의한 제동 작용을 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 [10-4, 17-4, 20-4]

  ① 원판 브레이크 (disc brake)                           ② 밴드 브레이크 (band brake)       

  ③ 블록 브레이크 (block brake)                         ④ 나사 브레이크 (screw brake)

[해설] 나사 브레이크를 자동 하중 브레이크라 한다.

  ▣ 나사 브레이크 (screw brake)

      ⊙ 하중을 감아 올릴 때 : 브레이크 작용은 하지 않고 클러치 작용을 한다.

      ⊙ 하중을 감아 내릴 때 : 브레이크로 작용을 하며 하중의 속도를 조정하거나 정지한다.

 

54. 다음 중 배관용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20-3]

   ① 스테인리스강 강관의 최고 사용 온도는 650 ~ 800 ℃ 정도이다.

   ② 합금강 강관은 주로 고온용으로 150 ~ 650 ℃ 정도에서 사용한다.

   ③ 동관은 고온에서 강도가 약하다는 결점이 있어 200 ℃ 이하에서 사용한다.

   ④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은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므로 800 ℃ 이상에서 사용한다.

[해설]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 (SPPH) : 350 ℃ 이하에서 사용 압력이 높은 배관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9.8 MPa

           (100㎏f/㎠) 이상의 암모니아 합성용 배관,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관, 화학 공업용 고압배관 등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49. ④       50. ②       51. ③      52. ④      53. ④         54. ④

55. 공기압 장치 및 배관에서 응축수가 고이기 쉬운 곳이 아닌 곳은 ? [13-4]

   ① 공기 탱크의 하부          ② 오목상 배관의 상부     ③ 분기관의 취출 하부       ④ 구배를 둔 관의 말단부

56. 배관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16-4, 21-4]

  ① 온수의 온도를 50 ℃ 이상으로 한다.                       ② 가급적 동일계의 배관재를 선정한다.

  ③ 배관 내의 유속을 1.5 m/s 이하로 제어한다.           ④ 배관 내 약제를 투입하여 용존 산소를 제어한다.

[해설] 관 배관의 온도가 높으면 부식이 가속된다.

57. 관은 그 속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관의 신축 장해를 제거하기 위한 신축

       이음쇠의 종류가 아닌 것은 ? [11-4]

  ① 벨로스형 (bellows type)        ② 슬리브형 (Sleeve type)      ③ 스위블형 (swivel type)     ④ 플랜지형 (flenge type)

58. 신축 이음에서 열팽창을 고려하여야 개스킷 선정 등 올바른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중 온도에 따른 축의 신축량

       λ를 구하는 공식은 ? (단, t : 온도차, ℓ : 길이, α : 열팽창계수이다)

    ① λ = 2αtℓ           ② λ = παtℓ            ③ λ= tℓ / α              ④ λ = αtℓ

59. 감압밸브 주변의 배관에서 바이패스 (by-pass line)를 설치하려고 한다. 이때 바이패스 라인의 관경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 [13-4]

  ① 1차 (고압) 측 관경 보다 한 치수 적게 한다.            ② 1차 (고압) 측 관경 보다 한 치수 크게 한다.

  ③ 1차 (고압) 측 관경 보다 2배 정도 크게 한다.          ④ 1차 (고압) 측 관경 보다 3배 정도 크게 한다.

60. 다음 중 관 이음의 종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6-2, 18-4]

  ① 용접 이음          ② 신축 이음          ③ 롤러 관 이음            ④ 나사형 이음

[해설] 관 이음의 종류

  ① 영구 이음 : 용접 이음

  ② 분리 가능 이음 : 나사 이음, 패킹 이음, 턱걸이 이음, 플랜지 이음, 고무 이음, 신축 이음

61. 파이프 끝의 관용 나사를 절삭하고 적당한 이음쇠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누설 방지하고자 할 때 접착 콤파운드

      나 접착 테이프를 감아 결합하는 이음은 ? [18-2]

   ① 패킹 이음        ② 나사 이음           ③ 용접 이음        ④ 고무 이음

[해설] 나사 이음 : 파이프의 끝에 관용 나사를 절삭하고 적당한 이음쇠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누설을 방지하고자

                             할 때에는 접착 콤파운드나 접착 테이프를 감아 결합한다. 수나사 부분은 관 끝에 암나사를 내고 비틀어

                             넣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음쇠나 소형 밸브를 비틀어 넣어서 사용한다.

[정답]   55. ②       56. ①        57. ④        58. ④         59. ①          60. ③          61. ②

62. 관과 관을 연결시키고, 관과 부속 부품과의 연결에 사용되는 요소를 관 이음쇠라고 한다. 다음 중 관 이음쇠의 기능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9-2]

   ① 관로의 연장          ② 관로의 분기           ③ 관의 상호 운동             ④ 관의 온도 유지

[해설] 관이음쇠의 기능

   ㉠ 관로의 연장        ㉡ 관로의 곡절      ㉢ 관로의 분기      ㉣ 관의 상호 운동        ㉤ 관 접속의 착탈

63. 긴 관로나 유체 기기의 가까이 설치하여 분해,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관 이음쇠는 ? [14-2. 20-4]

   ① 니플 (nipple)        ② 엘보 (elbow)           ③ 소켓 (Socket)             ④ 유니언 (union)

[해설] 유니온 (union)

 

64. 관 이음의 종류 중 신축 이음에 사용되는 이음쇠의 형태가 아닌 것은 ? [06-4, 19-4]

   ① 루프형          ② 파형관형            ③ 미끄럼형              ④ 유니언형

[해설] 유니언 조인트 : 중간에 있는 유니언 너트를 돌려서 자유로이 착탈하는 이음쇠로 양측에 있는 유니언 나사와 유니언

                                   플랜지 사이에 패킹을 끼워서 기밀을 유지한다. 설치 위치에서 관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고, 관의

                                   방향에 약간 움직이는 여유가 있으면 자유롭게 설치하고 분해할 수 있다.

65. 관 (Pipe)의 플랜지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5-2, 19-1]

   ① 유체의 압력이 높은 경우 사용한다.                            ② 관의 지름이 비교적 큰 경우 사용된다.

   ③ 가끔 분해, 조립할 필요가 있을 때 편리하다.              ④ 저압용일 경우 구리, 납, 연강 등을 사용한다.

[해설] 나사형 플랜지 : 관용 나사로 플랜지를 강관에 고정하는 것이며 지름 200 ㎜ 이하의 저압, 저온 증가나 약간 고압

                                     수관에 사용된다.

66. 다음 중 관경이 비교적 크거나 내압이 높은 배관을 연결할 때 나사 이음,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고 분해가 가능한

       관 이음쇠는 ? [07-4, 13-4]

   ① 주철관 이음쇠          ② 플랜지 이음쇠          ③ 신축 이음쇠         ④ 유니언 이음쇠

[해설] 플랜지 관 이음쇠 : 관 지름이 크고 고압관 또는 자주 착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정답]    62. ④        63. ④       64. ④         65. ④           66. ②

#오스터 #볼트 #핀 #사각와셔 #키 #플렉시블 #다이얼게이지 #커플링 #스폴링 #리플링

#피팅 #스코어링 #V벨트 #롤러체인 #핀틀체인 #브레이크 #주철 #부시체인 #유니언

#나사이음 #베벨기어 #스퍼기어 #풀림 #풀리 #스포로킷 #편심량 #베어링

반응형

'설비보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 개요  (5) 2024.02.04
기계 장치 보전  (6) 2024.02.04
기계 설비 보전 개요  (0) 2024.02.03
기계공작법  (0) 2024.02.02
기계 요소 제도  (4) 2024.02.02
반응형
 

1. 다음 기하 공차 도시법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6-4, 19-4]

 

  ① A는 테이텀을 지시한다.

  ② 진원도 공차값 0.01 ㎜ 이다.

  ③ 지정 길이 50 ㎜에 대하여 평행도 공차값 0.09 ㎜ 이다.

  ④ 지정 길이 50 ㎜ 에 해아여 원통도 공차값 0.09 ㎜ 이다.

[해설] 전체 진원도 공차값 0.01 ㎜, 지정 길이 50 ㎜에 대하여 평행도 공차값 0.09 ㎜ 이다. 기하 공차는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간의 작동과 호환성이 중요할 때, 제품 제작과 검사의 일관성을 두

           기 위한 참조기준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 기하 공차의 종류와 기호

 

▣ 공차 기입하는 방법

   ① 공차 기입틀을 두 구획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하여 왼쪽에서 오른 쪽으로 기입한다.

 

  ② 공차가 적용되는 수를 지시하기 위하여 '6구멍', '4면'과 같이 공차붙이 형체에 연관시켜서 지시하는 주기는 공차 기입

       의 틀의 위쪽에 쓴다.

 

  ③ 한개의 형체에 두개 이상의 종류의 공차를 지시할 필요가 있을 때 이들 공차 기입틀을 상하로 겹쳐서 기입한다.

 

   ※ 데이텀 : 기하공차를 규제할 때 관련되는 형체의 기준으로 부터 기하 공차를 규제하는 경우, 어느 부분의 형체를 기준

                     으로 기하공차를 규제하느냐에 따른 기준이 되는 형체를 말한다.

  ① 공차와 관련된 데이텀은 영어의 대문자를 정사각형으로 둘러싸고 데이텀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텀 삼각기호를 지

       선으로 사용한다.

 

  ② 선 또는 자체가 데이텀 형체인 경우에는 형체의 외형선 위 또는 외형선을 연장하는 가는 선 위에 데이텀 삼각 기호를

       붙인다.

 

  ③ 치수가 지정되어 있는 형체의 축 직선 또는 중심 평면이 데이텀인 경우에는 치수선의 연장선을 데이텀의 지시선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④ 축 직선 또는 중심 평면이 공통인 모든 형체의 축 직선 또는 중심 평면이 데이텀인 경우에는 축직선 또는 중심 평면을

        나타내는 중심선에 데이텀 삼각 기호를 붙인다.

 

2. 다음 중 가는 실선의 용도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8-1]

   ① 가상선           ② 치수선            ③ 중심선              ④ 지시선

[해설] 가상선은 가는 2점 쇄선을 사용한다.

3. 다음 단면도 중 주로 대칭인 물체의 중심선을 지준으로 내부 모양과 외부 모양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은 ? [18-1]

   ① 온 단면도       ② 계단 단면도       ③ 부분 단면도           ④ 한쪽 단면도

4.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가 올바르게 표기된 것은 ? [06-4]

   ① 유니파이 보통 나사 : UNF                  ② 관용 평행 나사 : PT

   ③ 30도 사다리꼴 나사 : TM                    ④ 후강 전선관 나사 : CTC

[해설] ① 유니파이 보통 나사 : UNC    ② 관용 평행 나사 : PS,        ③ 후강 전선관 나사 : CTG

5. 다음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중에서 유니파이 가는 나사를 나타내는 것은 어느 것인가 ? [07-4, 14 - 2]

   ① UNC           ② UNF            ③ Tr                    ④ M

[해설] UNC는 유니파이 보통 나사, Tr은 미터 사다리꼴 나사, M은 미터계 나사를 나타냄

6. 나사의 표시방법 중 유니파이 보통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는 ? [07-4, 19-2]

  ① UNF          ② UNC             ③ CTC          ④ CTG

7.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가 올바르게 표기한 것은 ? [11-4]

  ① 유니파이 보통 나사 : UNF      ② 미터 사다리꼴 나사 : Tr        ③ 미니어처 나사 : M    ④ 후강 전선관 나사 : CTG

[정답]    1. ④      2. ①      3. ④      4. ③      5. ②      6. ②       7. ②

8. 관용 나사 (Pipe thread)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2-4, 16-2]

   ① 보통 나사에 비하여 피치 및 나사산의 높이가 낮다.

   ② 관용 테이퍼 나사는 축심에 대해 1/6의 데이퍼를 가진다.

   ③ 관용 테이퍼 나사는 평행 나사에 비해 기밀성이 우수하다.

   ④ 나사산의 각도가 75 ° 이며 주로 미터(㎜)나사이다.

[해설] 관용 나사의 나사산 각도는 55° 이며 인치 [inch] 나사이다.

9. 여러 줄 나사의 리드를 기입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15-2]

  ① 2줄 M12 × 1.5 - L1/2         ② 3줄 M12 + R 12.7      ③ 3줄 Tr × 1.5 - L1/2     ④ 2줄 TM32 (리드 127)

[해설] 여러 줄 나사를 표시할 때에는 호칭 뒤에 괄호로 표시한다.

10. 나사의 표기법에서 M10 - 6H/6g 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3-4]

   ① 미터 보통 나사(M10) 수나사 6H와 암나사 6g 의 조합

   ② 미터 보통 나사(M10) 암나사 6H와 수나사 6g 의 조합

   ③ 미터 평행 나사(M10) 수나사 6H와 암나사 6g 의 조합

   ④ 미터 관용 평형 나사 (M10) 암나사 6H와 수나사 6g 조합

11. 다음 나사의 표기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14-4]

1/4 - 20 UNC - 3A
 

  ① 유니파이 가는 나사     ② 피치가 1/4 ㎜ 인 나사        ③ 3급의 암나사   ④ 정밀도가 높은 3급인 수나사

[해설] 유니파이 보통 나사로 수나사의 외경이 1/4 인치이다.

12. 미터 사다리꼴 나사의 표기 방법인 "Tr 40×14 (P7)"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5-4]

   ① 공칭 지름 40 ㎜, 리드 7㎜, 피치 14 ㎜                      ② 공칭 지름 40 ㎜, 리드 14 ㎜, 피치 7 ㎜

   ③ 공칭 지름 40 ㎜, 리드 7㎜, 암나사의 등급이 7H       ④ 공칭 지름 40 ㎜, 리드 14 ㎜, 피치 7 ㎜, 수나사의 등급 7e

13. 다음 중 물체를 인양하거나 이동할 때 사용되는 볼트는 어느 것인가 ? [12-4]

   ① 관통 볼트        ② 아이 볼트          ③ 스테이 볼트          ④ 나비 볼트

14. 키가 전달할 수 있는 토크 중 크기가 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14-1, 18-1]

   ① 평 키 > 안장 키 > 묻힘 키                ② 묻힘 힘 > 평 키 > 안장 키

   ③ 묻힘 키 > 안장 키 > 평 키                ④ 안장 키 > 묻힘 키 > 평기

15. 일반적인 핀의 호칭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8 - 2]

   ① 분할 핀의 호칭 길이는 긴 쪽의 길이로 표시한다.

   ② 테이퍼 핀의 호칭 지름은 작은 쪽의 지름으로 표시한다.

   ③ 평행 핀의 길이는 양 끝의 라운드 부분을 제외한 길이로 표시한다.

   ④ 분할 핀의 호칭 지름은 판이 끼워지는 구멍의 지름으로 표시한다.

[해설] 분할 핀의 호칭 길이는 짧은 쪽의 길이로 표시한다.

[정답]   8. ④     9. ④     10. ②     11. ④     12. ②     13. ②     14. ②     15. ①

16. 두께가 같고 폭이 구배 또는 테이퍼로 되어 있는 일종의 쐐기로 인장 또는 압축렬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축과 축,

       피스톤과 피스톤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체결용 기계 요소는 ? [19-2]

   ① 키               ② 핀             ③ 볼트               ④ 코터

[해설] 코터는 인장하중이나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곳에 간단, 신속, 확실한 결합에 적합하다. 축과 축 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쐐기이다. 축 방향의 직각으로 설치한다.

 

17. 다음 중 축의 도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09-4]

   ① 축이나 보스의 끝 구석 라운드 가공부는 필요 시 확대하여 기입하여 준다.

   ② 축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지 않으며 필요시 부분 단면은 가능하다.

   ③ 긴 축은 단축하여 그릴 수 있으나 길이는 실제 길이를 기입한다.

   ④ 원형 축의 일부가 평면일 경우 일점 쇄선을 대각선으로 표시한다.

[해설] 원형 축의 일부가 평면일 경우 가는 실선을 대각선으로 표시한다.

18. 일반적으로 베어링을 열박음으로 장착할 때 몇 ℃ 이상으로 가열하면 베어링의 경도가 저하되는가 ? [19-1]

   ① 20             ② 80               ③ 100              ④ 130

[해설] 베어링의 경도가 저하되는 온도는 130 ℃ 이며, 베어링 조립 등을 위한 가열 최대 온도는 120 ℃, 최대 사용 온도는

           100 ℃ 이다.

19. 일반적인 구름 베어링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 [20-4]

   ① 내륜               ② 외륜              ③ 오일 링                 ④ 리테이터

[해설] 구름 베어링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회전체, 내륜 (inner ring) 및 외륜(outer ring)과 리테이너이다. 리테이너

           (Retainer) 볼 베어링이나 롤러 베어링에서 볼이나 롤이 언제나 같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끼워져 있는 부품을 이른다.

           링처럼 생긴 모양이 많아 리테이너 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0. 구름 베어링의 구성요소 중 회전체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마찰을 감소시켜 주는 것은 ? [18-1, 20-4]

   ① 임펠러          ② 마그넷           ③ 리테이너              ④ 블레이드

21. 베어링의 안지름 기호가 08 일 때 베어링 안지름은 ? [17-2]

   ① 8 ㎜          ② 16 ㎜              ③ 30㎜                 ④ 40 ㎜

[해설] ㉠ 안지름 1 ~ 9 ㎜, 500 ㎜ 이상 : 번호가 안지름

          ㉡ 안지름 10 ㎜ : 00, 12 ㎜ : 01, 15 ㎜ : 02, 17㎜ : 03

          ㉢ 안지름 20 ~ 495 ㎜ 는 5 ㎜ 간격으로 안지름을 5로 나눈 숫자로 표시

[정답]   16. ④       17. ④        18. ④         19. ③         20. ③          21. ④

22. 구름 베어링 6206 P6 을 설명한 것 중에서 잘못된 것은 ? [06-4]

   ① 6 - 베어링 형식                                    ② 2 - 사용한 윤활유의 점도

   ③ 06 - 베어링 안지름 번호                      ④ P6 - 등급 번호

[해설] ② 2 - 베어링 계열 번호

23. 다음 그림의 밸브 기호 명칭으로 맞는 것은 ? [11-4]

 

   ① 게이트 밸브 (gate valve)                ② 체크 밸브 (check valve)

   ③ 글로브 밸브 (globe valve)              ④ 버터 플라이 밸브 (butterfly valve)

24. 다음 기호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 [14-2]

 

   ① 앵글 밸브       ② 볼 밸브          ③ 체크 밸브            ④ 안전밸브

25. 파이프 지름 D[㎜], 내압을 P [N/㎡], 파이프 재료의 허용 인장응력을 σa [N/㎡], 이음 효율 η, 부식에 대한 상수를 C[㎜],

       안전 계수를 S라 할 때, 파이프 두께 t [㎜]를 구하는 식은 ? [15-4]

26. 다음 중 기어에 대하여 올 바르게 설명한 것은 ? [10-4]

  ① 하이포드 기어는 두 축의 중심선이 서로 교차한다.         ② 웜 기어는 역회전이 가능하며 소음과 진동이 적다.

  ③ 피치면이 평행인 베벨 기어를 크라운 기어라고 한다.     ④ 스큐 기어는 큰 힘을 전달하는데 적합하다.

 

[해설] 하이포드 기어는 두 축의 중심선이 평행하지도 않고 교차하지도 안으며, 웜 기어는 역회전이 불가능하고 소음과

          진동이 크다.

27. 스퍼 기어의 제도시 요목표 기입 사항이 아닌 것은 ? [19-1]

   ① 잇수           ② 치형           ③ 압력각              ④ 비트림각

[해설] 스퍼 기어에는 비틀림각이 없다. 스퍼기어 : 가장 대표적인 기어로, 평기어, 평치차라고도 한다. 기어는 동력전달에

      사용되는 기계요소이다. 치수가 다른 기어를 조합시켜 축의 회전운동을 감속·가속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방법이다.

 
 

28. 스퍼 기어의 제도에서 요목표에 없어도 되는 항목은 ? [07-4, 11-4, 17-2]

   ① 기어의 치형       ② 기어의 모듈          ③ 기어의 재질             ④ 기어의 압력각

[해설] 기어의 재질은 부품표에 기입한다.

29. 스퍼 기어의 제도 시 항목표 기입 사항이 아닌 것은 ? [09-4]

   ① 압력각         ② 표면 거칠기          ③ 잇수          ④ 치형

30. 스퍼 기어를 도면에 나타낼 때 치형을 생략하고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이 잘못된 것은 ? [14-2]

   ① 주 투상도의 이봉우리 선, 측면도의 봉우리 원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② 주 투상도의 피치선, 측면도의 피치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③ 주 투상도를 단면으로 도시할 때에는 이 뿌리선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다.

   ④ 측면도의 이뿌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도시한다.

[해설] 기어의 피치선과 피치원은 1점 쇄선으로 그린다.

[정답]   22. ②      23. ①      24. ②      25. ①     26. ③     27. ④     28. ③     29. ②     30. ②

31. 원통에 감긴 실을 잡아 당기면서 풀 때 실이 그리는 곡선으로서, 대부분 기어에 사용되고 있는 곡선은 ? [14-4]

   ① 사이클로이드 치형 곡선                     ② 인벌류트 치형 곡선

   ③ 노비코프 치형 곡선                            ④ 에피사이클로이드 치형 곡선

[해설] 인벌류트 기어 (involute gear) : 주어진 원 (기초원 : base circle) 위에 감긴 실을 팽팽히 잡아 당기면서 풀 때, 실의 끝

           점이 그리는 궤적을 인벌류트 곡선이라 한다.  인벌류트 곡선으로 만든 이의 윤곽을 인벌류트 치형이라 하며, 기초

           원의 내부에는 인벌류트 곡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치형으로 된 기어를 인벌류트 기어라고 한다.

32. 다음 중 헬리컬 기어의 정면도에서 이의 비틀림 방향을 나타내는 선의 종류는 어느 것인가 ? [13-4]

   ① 일점 쇄선         ② 이점 쇄선          ③ 가는 실선            ④ 굵은 실선

33. 헬리컬 기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5-4]

  ①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되기 쉽다.                                  ② 기어 이의 모양이 직선으로 물림률이 크다.

  ③ 원통면 위의 잇줄이 나선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④ 이가 물리기 시작하여 끝날 때 까지 접촉을 한다.

34. 베벨 기어의 제도 방법에 관하여 잘못된 것은 ? [14-4]

  ① 정면도 잇봉우리선과 이골선 : 굵은 실선                 ② 정면 피치선 : 가는 이점 쇄선

  ③ 측면도 피치원 : 가는 일점 쇄선                                ④ 측면도 잇봉우리원 내단부와 외단부 : 굵은 실선

35. 웜 기어 (Worm gear)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16-2, 19-4]

  ① 역전을 방지할 수 없고 소음이 크다.                 ② 웜과 웜 휠에 스러스트 하중이 생긴다.

  ③ 작은 용량으로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④ 웜 휠의 정밀 측정이 곤란하며, 가격이 비싸다.

[해설] 웜 기어 장치의 특성

   ㉠ 소형, 경량으로 역전을 방지할 수 있다.

   ㉡ 소음과 진동이 작고, 감속비가 크다 (1/10 ~ 1/100)

   ㉢ 미끄럼이 크고, 전동 효율이 나쁘다.

   ㉣ 중심 거리에 오차가 있으면 마멸이 심해 효율이 더 나빠지고 웜과 휠에 추력이 생긴다.

   ㉤ 항상 웜이 입력축, 휠이 출력축이 된다.

      ※ 웜기어 (Worm gear) : 상호간에 직각으로 교차하지 않는 2축간에 큰 감속비의 회전을 전동하는 데 사용되는 기어

                                             장치. 나사형 웜과 이것에 맞물려지는 웜 휠로 이루어지고, 보통 웜을 원동차로 하여 감속 장치

                                              에 사용한다

 

[정답]   31. ③      32. ③        33. ③       34. ②       35. ①

36. 전동용 기계 요소 중 원통 마찰차 점검 결과 원동차와 종동차의 밀어 붙이는 힘이 약해 전달이 안되는 것을 확인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동력을 전달시키는 힘을 확인하려 할 때 알맞은 계산식은 어느 것인가 ? (단, P : 밀어 붙이는 힘, F :

      전달력, μ : 마찰계수)  [15-4]

   ① F ≤ μP             ② P ≤ μF          ③ P ≥ μF             ④ F ≥ μP

37. 일반적인 V벨트 전동 장치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19-4]

  ① 이음매가 없어 운전이 정숙하다.                                     ② 지름이 작은 풀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③ 홈의 양면에 밀착되므로 마찰력이 평 벨트 보다 크다.    ④ 설치 면적이 넓고, 축간 거리가 짧은 경우는 사용할 수 없다.

[해설] 평 벨트에 비해 설치 면적이 작고, 축간 거리가 짧다.

38. V벨트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16-4]

   ① V벨트는 단면의 형상에 따라 6종류로 구분한다.

   ② 평 벨트 보다 미끄럼이 적어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③ V벨트는 V벨트 풀리의 바닥 홈에 접하고 있어야 한다.

   ④ 폴리에 홈 각을 V벨트 보다 더 작은 각도로 가공해야만 동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해설] V벨트는 V벨트 풀리의 바닥 홈에 접하지 않아야 접촉 면적이 커 미끄럼이 적어진다.

39. 벨트 풀리의 제도법을 설명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 [12-4]

   ① 벨트 풀리는 대칭형이므로 전부를 표시하지 않고 그 일부분만 표시할 수 있다.

   ② 암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지 않는다.

   ③ 암의 단면형은 도형의 밖이나 도형 내에 표시한다.

   ④ 테이퍼 부분의 치수는 치수선을 빗금 방향으로 표시해서는 안된다.

[해설] 테이퍼 부분의 치수는 치수선을 빗금 방향 (수평과 60° 또는 30°)으로 경사시켜 표시한다.

          테이퍼 (taper) : 원뿔체에 있어서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한 양측면의 경사.

 

40. 다음 중 타이밍 벨트 (timing belt)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3-4]

   ① 큰 힘의 전동에 적합하다.                      ② 굴곡성이 좋아 작은 풀리에도 사용된다.

   ③ 정확한 회전 각속도비가 유지된다.        ④ 축간 거리가 짧아 좁은 장소에도 설치 가능하다.

[해설] 타이밍 벨트 (timing belt)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쪽 표면에 이가 있는 벨트로서, 정확한 속도가 요구되는

          경우의 전동 벨트로 사용된다.

41. 철강재 스프링 재료가 갖우처야 할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 [18-2, 19-4]

   ① 부식에 강해야 한다.                                                   ② 피로 강도와 파괴인성치가 낮아야 한다.

   ③ 가공하기 쉽고, 열처리가 쉬운 재료 이어야 한다.       ④ 높은 응력에 견딜 수 있고 영구 변형이 없어야 한다.

[해설] 피로강도와 파괴인성치가 높아야 한다.

[정답]    36. ①     37. ④        38. ③        39. ④         40. ①          41. ②

42. 스프링 재료가 갖추어야 할 구비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12-4, 17-2]

   ① 열처리가 쉬워야 한다.                   ② 영구변형이 없어야 한다.

   ③ 피로강도가 낮아야 한다.               ④ 가공하기 쉬운 재료이어야 한다.

43. 다음 중 코일 스프링의 작도법 중 옳지 못한 것은 ? [07-4]

   ① 무하중 상태에서 그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하중과 높이 (또는 길이) 또는 처짐과의 관계를 표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표제란에 기입한다.

   ③ 그림 안에 기입하기 힘든 사항은 표제란에 기입한다.

   ④ 그림에서 단서가 없는 코일 스프링이나 볼류트 스프링은 모두 오른쪽으로 감은 것으로 나타낸다.

[해설] 그림안에 기입하기 힘든 사항은 요목표에 기입한다.

44. 스프링의 도시 방법을 설명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 [08-4, 15-4]

   ① 겹판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스프링 판이 수평인 상태에서 그린다.

   ② 조립도, 설명도 등에서 코일스프링을 도시하는 경우에는 그 단면만을 나타내어도 좋다.

   ③ 코일 스프링, 벌류트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및 접시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무하중 상태에서 그린다.

   ④ 스프링의 종류 및 모양만을 간략도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만을 일점 쇄선으로 그린다.

[해설] 스프링의 종류 및 모양 만을 간략하게 그릴 때에는 스프링 소선의 중심선을 굵은 실선으로 그리며, 정면도만

           그리면 된다.

45. 다음 중 스프링의 도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 [19-4]

   ① 그림 안에 기입하기 힘든 사항은 표에 일괄하여 표시한다.

   ② 코일 스프링, 벌류트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무하중 상태에서 그린다.

   ③ 겹판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스프링 판이 수평인 상태에서 그린다.

   ④ 그림에서 단서가 없는 코일 스프링이나 벌류트 스프링은 모두 왼쪽으로 감은 것으로 나타낸다.

[해설] 그림에서 단서가 없는 코일 스프링이나 벌류트 스프링은 모두 오른쪽으로 감은 것으로 한다. 볼류트 스프링

           (volute sprin) : 볼류트 스프링은 아랫방향으로 축 하중이 작용할 때 하중은 변형과 함께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 하다

           가 경이 큰 바닥부의 판으로 순차적으로 좌면에 접촉한다.

 

46. 고무 스프링 (rubber spring)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6-2]

   ① 감쇠 작용이 커서 진동의 절연이나 충격 흡수가 좋다.

   ② 노화와 변질방지를 위하여 기름을 발라 두어야 한다.

   ③ 인장력에 강하지만 압축력에 약하므로 압축하중을 피하는 것이 좋다.

   ④ 크기 및 모양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는 없고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   42. ③     43. ③     44. ④     45. ④     46. ①

#기하공차 #온단면도 #유니파이나사 #관용나사 #미터관용나사 #베어링 #안지름 #수나사 #암나사 #리테이너 #게이트밸브 #볼밸브 #치형 #비틀림각 #웜기어 #헬리컬기어 #V벨트 #타이밍벨트 #스프링 #고무스프링 #볼류트스프링

반응형

'설비보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 설비 보전 개요  (0) 2024.02.03
기계공작법  (0) 2024.02.02
현장 윤활 출제 예상 문제  (2) 2024.01.31
윤활유 시험 출제 예상 문제  (2) 2024.01.30
윤활 기술 출제 예상 문제  (2) 2024.0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