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3과목 전기 설비

1. 다음 중 특별고압은 ?

   ① 15 kV 초과        ② 10 kV 초과 20 kV 이하        ③ 5.0 kV 초과 7.0 kV 이하         ④ 7.0 kV 초과

[해설] 특별고압은 7.0 [kV] 초과이다.

2. 절연전선의 피복에 "15 kV NRV"라고 표기 되어 있다. 여기서 "NRV"는 무엇을 나타내는 약호인가 ?

   ① 형광등 전선                                     ② 고무절연 폴리에틸렌 시스 네온 전선

   ③ 고무절연 비닐시스 네온전선           ④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네온 전선

[해설] 154 kV 고무 절연 비닐 시스 네온 전선 (N : 네온, R : 고무, V : 비닐)

           ※ E : 폴리에틸렌 C : 클로로프렌

3. 다음 중 소형 분전반이나 배전반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어 드라이브 핀을 박는 공구는 ?

     ① 드라비베이트        ② 익스펜션            ③ 스크루 앵커             ④ 코킹 앵커

[해설] 드라이베이트 툴 (Driveot tool)

   ㉠ 큰 건물의 공사에서 드라이브 핀을 콘크리트에 경제적으로 박는 공구이다.

   ㉡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취급자는 보안상 훈련을 받아야 한다.

4. 굵기가 같은 두 단선의 쥐꼬리 접속에서 와이어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선을 몇 회 정도 꼰 다음 끝을 잘라내야

     하는가 ?

   ① 2 ~ 3회        ② 4 ~ 5 회              ③ 6 ~ 7 회              ④ 8 ~ 9 회

[해설] 쥐꼬리 접속 (rat tail joint)

   ㉠ 박스 안에서 가는 전선을 접속할 때 적용한다.

   ㉡ 심선을 2 ~ 3 회 정도 꼰 다음 끝을 잘라내야 한다.

5. 애자 사용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 배선에서 일반적으로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0.02            ② 0.06             ③ 0.25                   ④ 0.60

[해설] 애자 사용 공사 시설조건 (KEC 232. 56. 1)

           ⊙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0.06 m 이상일 것

6. 다음 중 버스덕트가 아닌 것은 ?

   ① 플로어 버스 덕트           ② 피더 버스 덕트          ③ 트랜스포지션 버스 덕트            ④ 플러그인 버스 덕트

[해설] 버스덕트 (bus duct) 종류

   ㉠ 피더 버스덕트 ㉡ 플러인 버스덕트 ㉢ 익스펜션 버스덕트  ㉣ 탭붙이 버스 덕트 ㉤ 트랜스포지션 버스 덕트

  ※ 플로어 덕트 (Floor duct) : 주로 콘크리트 건조물 밑에 가로 세로 십자로 매설하여 밑에 아웃트렛을 설치하는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이다.

7. 합성수지관 상호 및 관과 박스는 접속 시에 삽입하는 깊이를 관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단, 접착제

    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① 0.6 배          ② 0.8 배             ③ 1.2 배                 ④ 1.6 배

[해설] 관과 관의 접속 방법

  ㉠ 커플링에 들어가는 관의 길이는 관 바깥지름의 1.2 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8. 다음 중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개폐기의 종류와 그 특성의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컷 아웃 스위치 - 주된 용도로는 주상변압기의 고장이 배전선로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압기의 과부하 소손을

                                  방지하고자 사용한다.

  ② 부하개폐기 - 고장전류와 같은 대전류는 차단할 수 없지만 평상 운전시의 부하전류는 개폐할 수 있다.

  ③ 리클로저 - 선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고장 전류를 검출하여 지정된 시간 내에 고속 차단하고 자동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여 고장 구간을 분리하거나 재송전하는 장치이다.

  ④ 섹션널라이저 - 고장 발생시 신속히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사고를 국부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으로 후비보호 장치와

                                직렬로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 섹션널라이저 (Sectionalizer) : 고압배전선에서 사용되는 차단 능력이 없는 유입 개폐기로 리클로저의 부하쪽에

                   설치되고, 리클로저의 개방 동작횟수보다 1~2회 적은 횟수로 리클로저의 개방중에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된다.

9. 접지선의 절연전선 색상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느 색으로 표시를 하여야 하는가 ?

  ① 적색            ② 황색              ③ 녹색              ④ 흑색

[해설] 접지선의 표시

  ㉠ 접지선은 원칙적으로 녹색으로 표시한다.

  ㉡ 다심 케이블, 다심 캡타이어 케이블 또는 다심 코드의 한 심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녹색 또는 황록색 및

       얼룩무늬 모양의 것 이외에 심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10. 접지전극의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인가 ?

   ① 0.6         ② 0.65            ③ 0.7                ④ 0.75

[해설]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접지극 매설

  ㉠ 접지극은 지하 75㎝ 이상으로 하되 동결 깊이를 감안하여 매설할 것

  ㉡ 접지선을 철주와 같은 금속제에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에는 전항의 규정에 따르고 접지극 중에서 그 금속체와 1 m 이상

         이격하여 매설할 것

11. 다음 중 전선로의 직선 부분을 지지하는 애자는 ?

   ① 핀 애자           ② 지지 애자             ③ 가지 애자           ④ 구형 애자

[해설] ① 핀 애자 : 전선의 직선 부분에 사용

          ② 지지 애자 : 전선의 지지부에 사용

          ③ 가지 애자 : 전선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부분에 사용

          ④ 구형 애자 : 인류용과 지선용

12.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철탑을 사용하는 경우 최대 경간은 몇 m 인가 ?

   ① 150          ② 200             ③ 250               ④ 600

[해설] 고압 가공전선로 경간의 제한 (KEC 332.9)

지지물의 종류
경간
철탑
600 m 이하
B종 철주 또는
B종 철근 콘크리트주
250 m 이하
A종 철주 또는
A종 철근 콘크리트주
150 m 이하
 

※ 고압 보안공사시 : 400 m 이하

13. 우리나라 특고압 배전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220 / 380 [V]의 전원을 얻을 수 있는 배전방식은 ?

   ① 단상 2선식          ② 3상 3선식            ③ 3상 4선식            ④ 2상 4선식

[해설] 중성선을 가진 3상 4선식 배전방식은 상전압 220 [V]와 선간전압 380 [V]의 전원을 얻을 수 있다.

   ※ 중선선이란 다선식 전로에서 전원의 중성극에 접속된 전선을 말한다. (내선규정 1300조 참조)

14.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계전기나 측정계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기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계기용 변류기 (CT)         ② 계기용 변압기 (PT)         ③ 단로기 (DS)              ④ 컷 아웃 스위치 (COS)

[해설] ㉠ 계기용 변류기 (CT : Current transformer)

            ⊙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

            ⊙ 배전반의 전류계 · 전력계, 차단기의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

         ㉡ 계기용 변압기 (PT : Potential transformer)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 배전반의 전압계, 전력계, 주파수계, 역률계, 표시등 및 부족전압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

15. 다음 중 최소 동작 전류값 이상이면 일정한 시간에 동작하는 한시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 ?

   ① 정한시 계전기           ② 반한시 계전기              ③ 순한시 계전기             ④ 반한시성 정한시 계전기

[해설] ① 정한시 계전기 : 최소 동작값 이상의 구동 전기량이 주어지면, 일정 시한으로 동작하는 계전기

          ② 반한시 계전기 : 동작 전류가 작을 수록 시한이 길어지는 계전기

          ③ 순한시 계전기 : 동작 시간이 0.3초 이내인 계전기

          ④ 반한시성 정한시 계전기 : 어느 한도까지의 구동 전기량에서는 반한시성이나, 그 이상의 전기량에서는 정한시성

               의 특성을 가진 계전기

16. 차단기 문자 기호 중 "OCB"는 ?

   ① 진공 차단기            ② 기중 차단기            ③ 자기 차단기               ④ 유입차단기

[해설]

   ① 진공차단기 (VCB : Vacuum circuit breaker)

   ② 기중차단기 (ACB : Air circuit breaker)

   ③ 자기차단기 (MBB : Megnetic - blast circuit breaker)

   ④ 유입차단기 (OCB : Oil circuit breaker)

17. 셀룰로이드, 성냥, 석유류 등 기타 가연성 위험물질을 제조 또는 저장하는 장소의 배선으로 잘못된 배선은 ?

   ① 급속관 배선         ② 가요전선관 배선            ③ 합성수지관 배선            ④ 케이블 배선

[해설] 위험물 (셀룰로이드, 성냥, 석유류) 등이 존재하는 장소

   ㉠ 배선은 금속관 배선, 합성수지관 배선 또는 케이블 배선 등에 의할 것

   ㉡ 이동전선은 접속점이 없는 1종 캡타이어 케이블 이외의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한다.

18. 완전확산면은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무엇이 동일한가 ?

   ㉠ 광속          ㉡ 휘도           ㉢ 조도             ㉣ 광도

[해설] 완전 확산면 (Perfect diffuseing surface)

   ㉠ 반사면이 거칠면 난반사하여 빛이 확산한다.

   ㉡ 이 확산 반사 중 면의 휘도가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같은 표면을 완전 확산면이라 한다.

  ※ 휘도 (Luminance) : 어느 면을 어느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발산 광속으로 단위는 [sb] : stilb, [nt] : nit 을 사용한다.

19. 일반적으로 특고압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의 접지저항 값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① 10       ② 25           ③ 50         ④ 100

[해설] 피뢰기의 접지 (KEC 341. 14) :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 접지저항 값은 10 Ω 이하로 하여야 한다.

20. UPS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① 구간자동개폐기         ② 단로기            ③ 무정전 전원장치          ④ 계기용 변성기

[해설] UPS : 무정전 전원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구간 자동 개폐기 (S/E : 섹셔널라이저 (Sectionalizer) : 고압 배전선에서 사용되는 차단 능력이 없는 유입 개폐기

[정답] 1. ④   2. ③   3. ①    4. ①     5. ②    6. ①    7. ②    8. ④     9. ③     10. ④

         11. ①    12. ④    13. ③    14. ①    15. ①    16. ④    17. ②    18. ②    19. ①    20. ③

#절연전선 #네온전선 #드라이베이트 #쥐꼬리 # 버스덕트 #합성수지관 #부하개폐기

#Sectionalizer #섹션널라이저 #접지전극 #리클로저 #핀애자 #구형애자 #계기용변류기

#케이블 #완전확산면 #휘도 #단로기 #UPS #무정전전원장치

반응형
반응형

1. 전선의 접속방법

  ① 직선 접속

    ▣ 전선과 전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서로 4회 이상 감는다)

  ② 분기접속

    ▣ 하나의 전선을 2개 이상으로 나누는 접속 (심선을 5회 이상 감는다)

  ③ 종단접속

    ▣ 전선의 종단부분을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2회 이상 감는다)

  ④ 슬리브에 의한 접속

    ▣ 슬리브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2회 이상 감는다)

[참고] 전선 접속시 유의 사항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④ 전기 화학적 성질이 다른 도체를 접속하는 경우 접속부분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

2. 전선의 종류

약호
명 칭
최고허용온도
DV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60 [℃]
OW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HFIX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90 [℃]
C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외장(시스) 케이블
MI
 미네날 인슐레이션 케이블
IH
 하이퍼론 절연전선
95 [℃]
FP
 내화 케이블
-
HP
 내열전선
GV
 접지용 비닐절연전선
E
 접지선

3. 절연물의 최고 허용 온도

절연물의 종류
Y
A
E
B
F
H
C
최고허용온도[℃]
90
105
120
130
155
180
180초과

4.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요소

  ① 허용전류(가장 중요) : 전선에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치

  ② 전압강하 : 입력전압과 출력전압과의 차이

  ③ 기계적 강도 :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손상을 받는 일이 없이 견딜 수 있는 능력

  ④ 전력손실 : 1초 동안에 전기가 일을 할 때 이에 소비되는 손실

  ⑤ 경제성 : 투자경비에 대한 연간 경비와 전력손실 금액의 총합이 최소가 되도록 정한다.

5. 전선의 허용전류 (전동기 부하)

가. 측정기구

  ① 150 [V] 이하 : 직류(DC) 250 [V] 절연저항계

  ② 150 [V] 초과 : 직류(DC) 500 [V] 절연저항계

 

나. 절연저항값과 판정기준

전 압
절연저항
대지전압 150 [V] 이하
0.1 [MΩ] 이상
대지전압 150 [V] 초과 300[V] 이하
0.2 [MΩ] 이상
사용전압 300 [V] 초과 400 [V] 미만
0.3 [MΩ] 이상
사용전압 400 [V] 이상
0.4 [MΩ] 이상

6. 배선도 표시방법

가. 전선관의 굵기

    ① 16 = 16 [㎜]        ② 22 = 22 [㎜]         ③ 28 = 28 [㎜]

 

나. 전선관의 재질

    ① 별도 표기 없음 : 강제 전선관                      ② VE : 경질비닐전선관

    ③ F2 : 제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④ PF : 합성수지제 가요관

 

다. 전선의 굵기

    ① 1.5 : 1.5 [㎟]               ② 2.5 = 2.5 [㎟]

 

라. 배관의 표시방법

 

마. 전선 가닥수

 

바. 옥내배선기호

 

사. 배선도 표시방법의 예

 

   ※ 의미 : 16 [㎜] 합성수지제 가요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을 넣은

                  천장 은폐배선

 

아. 철거 : 철거인 경우에는 X를 붙인다.

 

7. 금속관 공사

가. 강제전선관의 종류

종류
호칭 표시방법
호칭 규격 [㎜]
후강 전선관
관 내경[㎜]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박강 전선관
관 외경[㎜]의 근사값을 홀수로 표시
15, 19, 25, 31, 39, 51, 63, 75

나. 강제전선관

    ① 1본의 표준길이 : 3.66 [m]

    ② 관의 두께 : 1.2 [㎜]

 

다. 합성수지관(경질비닐전선관)

    ① 1본의 표준길이 : 4 [m]

    ② 합성수지관 호칭 표시방법 : 관 내경 [㎜]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라. 금속관의 두께

    ① 콘크리트에 매립 : 1.2 [㎜] 이상

    ② 기타 : 1 [㎜] 이상

    ③ 이음매(Joint)가 없는 길이 4 [m] 이하의 것을 건조하고 전개된 곳에 시설하는 경우 : 0.5 [㎜] 이상

 

마. 금속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나사접속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② 관의 끝 부분에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구조의 부싱을 사용할 것. 다만, 금속관공사로 부터

         애자사용공사로 옮기는 경우에는 그 부분의 관의 끝 부분에는 절연부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③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 장치를 할 것

    ④ 관에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단, 사용전압이 400[V] 미만으로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관의 길이 (2개 이상의 관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체의 길이를 말한다.) 가 4 [m] 이하인 것을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옥내 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 [V] 또는 교류 대지전압 150 [V] 이하로서 그 전선을 넣는 관의 길이가 8[m] 이하

            인 것을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또는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⑤ 금속관을 금속제의 풀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관 및 풀박스를 건조한 곳에서 불연성의 조영제에 견고하게 시설하고 또한 관과 풀박스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바. 금속관용 부속품

 

  <각 부속품 사용례>

 

8. 가요전선관 공사

가. 시설조건

   ①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 (알루미늄선은 16[㎟]) 이하인 것은 제외

   ③ 가요전선관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가요전선관은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일 것. 다만,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옥내배선의 사용전압

        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전동기에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것에 한한다)에는

        1종 가요전선관(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는 비닐 피복 제1종 가요전선관에 한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나. 가요전선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② 가요전선관의 끝부분은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③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습기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때에는 비닐 피복 2종

        가요전선관일 것

   ④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에는 단면적 2.5[㎟] 이상의 나연동선을 전체 길이에 걸쳐 삽입 또는 첨가하여 그 나연동선과

        제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양쪽 끝에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다만, 관의 길이가 4[m] 이하인 것을 시설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가요전선관공사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다. 가요전선관 공사에 사용되는 재료

 

9. 합성수지관 공사

가. 시설조건

  ① 전선은 절연전선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다음의 것은 적용하지 않는다.

    ㉠ 짧고 가는 합성수지관에 넣을 것

    ㉡ 단면적 10 [㎟] (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 이하의 것

  ③ 전선은 합성수지관 안에서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중량물의 압력 또는 현저한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나.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선정

  ▣ 합성수지관 배선에 사용하는 경질비닐 전선관 및 합성수지제 전선관, 기타 부속품등 (관 상호 간을 접속하는 것 및

       관의 끝에 접속하는 것에 한하며 리듀서를 제외한다)은 다음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①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또는 산업표준화법에 적합한 합성수지제의 전선관 및 박스 기타의 부속품일 것. 다만, 부속품 중

       금속제의 박스 및 분진방폭형 가요성 부속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관의 끝 부분 및 안쪽 면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매끈한 것일 것

  ③ 관[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을 제외]의 두께는 2[㎜] 이상일 것. 다만,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로서 건조한 장소에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한한다)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1.2배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하고 또한 꽃음 접속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할 것

  ②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5 [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지지점은 관의 끝 · 관과 박스의 접속점 및 관 상호 간의 접속점

       등에 가까운 곳에 시설할 것

  ③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장치를 할 것

  ④ 합성수지관을 금속제의 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 또는 분진방폭형 가요성 부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스 또는

       분진 방폭형 가요성 부속에 접지공사를 할 것. 다만, 사용전압이 400[V] 미만으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V] 또는 교류 대지전압이 150 [V] 이하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

         하는 경우

  ⑤ 합성수지관을 풀 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할 것. 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

       는 관 및 풀박스를 건조한 장소에서 불연성의 조영재에 견고하게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⑥ 난연성이 없는 콤바인 덕트관은 직접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전용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관 또는 덕트에 넣어 시설할 것

  ⑦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 상호 간은 직접 접속하지 말 것

 

[참고] 전자식 접지저항계

 

   ① 검류계 : 지침이 가운데를 가리킬 때 접지저항값을 읽는다.

   ② 영점조정장치 : 지침이 0에 위치되도록 조정하는 장치

   ③ 절환스위치 : B(전지검사), Ω(접지저항 측정), V (전압측정)

   ④ 측정스위치 :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서 누르면서 측정한다.

   ⑤ 다이얼 : 측정하고자 하는 적당한 접지저항값을 조정한다.

10.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 및 공사방법

가. 내화배선

사용전선의 종류
공사방법
①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②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③ 6/10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④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⑤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⑥ 300/500 [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 (180 [℃])
⑦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⑧ 버스덕트 (Bus Duct)
⑨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① 금속관공사
②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③ 합성수지관 공사
※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
    부터 25 [㎜] 이상의 깊이로
    매설할 것
내화전선
케이블 공사

[비고]

  ▣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너의 노즐에서 75 [㎜]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 [℃]인 불꽃으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 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용량 3[A]의 퓨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내화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나. 내열배선

사용전선의 종류
공사방법
①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②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③ 6/10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④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⑤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⑥ 300/500 [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 (180 [℃])
⑦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⑧ 버스덕트 (Bus Duct)
⑨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① 금속관공사
②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③ 금속덕트공사
④ 케이블공사
내화전선 · 내열전선
케이블 공사

[비고]

  ▣ 내열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716±10 [℃]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180 [㎜] 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표준(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

       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 [℃]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 부터 150 [㎜] 이하

       일 것. 또는 소방청장이 고시한 「내열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11. 내화배선, 내열배선 및 일반배선 공사

가. 자동화재탐지설비

 

나. 옥내소화전설비

 

다. 옥외소화전설비

 

라. 비상벨 · 자동식 사이렌 설비

 

마. 스프링클러설비 · 물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바.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12.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배선전용실에 함께 배선할 경우

  ① 소방용 케이블은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 전용실 등의 내부에 소방용이 아닌 케이블과 함께 노출하여 배선할 때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간의 피복과 피복간의 이격거리는 15 [㎝] 이상이어야 한다.

 

  ② 불연성 격벽을 설치한 경우에 격벽의 높이는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 중 가장 굵은 케이블 지름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출제 예상 문제】

1. 전선 접속시 유의사항을 3가지 쓰시오.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2. 소방펌프용 전동기의 명판에는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를 기호로 표기하고 있다. 다음 표의 빈칸을 완성하시오.

절연물의 종류
Y
A
E
(① B)
F
(②H)
C
최고허용온도[℃]
90
(③105)
120
(④130)
(⑤155)
180
180초과

3. 저압 옥내배선의 금속관공사와 가요전선관공사에 사용되는 부품의 명칭을 쓰시오.

  가. 노출배관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되는 부품 : 유니버설 엘보

  나. 금속관을 아웃렛박스에 로크너트만으로 고정하기 어려울 때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부품  : 링리듀셔

  다. 가요전선관과 박스의 연결 : 스트레이트 박스 콘넥터

  라. 가요전선관과 금속(스틸)전선관의 연결 : 콤비네이션 커플링

  마. 가요전선관과 가요전선관의 연결 : 스프리트 커플링

4. 다음과 같은 배선도가 나타내는 의미를 모두 쓰시오.

 

[답안작성] 천장은폐배선으로 22[㎜] 후강전선관에 4[㎟] 45/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3가닥과

                  2.5 [㎟] 접지선 1가닥을 넣는다.

5. 다음과 같은 조건을 참고하여 배선도로 나타내시오.

  [조건] ① 배선 : 바닥은폐배선

            ② 전력선 : 3가닥,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25 [㎟]

            ③ 접지선 : 1가닥, 접지용 비닐전선 6 [㎟]

            ④ 전선관 : 후강전선관 36 [㎜]

 

6. 다음은 금속관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이다. 자재의 사용용도에 대해 쓰시오.

   가. 부싱 : 전선의 절연피복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관 끝에 취부하여 사용한다.

   나. 유니언 커플링 : 관이 고정되어 있을 때 금속관 상호간을 접속하는데 사용한다.

   다. 유니버설 엘보 : 노출배관공사에서 금속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한다.

7. 그림은 금속관 공사의 한 예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① ~④ 에 들어갈 부품 명칭을 쓰시오.

    ① 노멀밴드           ② 커플링                ③ 새들                    ④ 환형 3방출 정크션 박스

  나. 노출배관으로 시공할 경우 ① 을 대체할 부품은 무엇인가 ? 유니버설 엘보

8. 후강전선관 배관을 콘크리트 슬리브에 매입하려고 한다. 전선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몇 [㎜]가 적당한가 ? 1.2 [㎜] 이상

9. 배관공사에 대한 사항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합성수지관 1본과 금속관 1본의 길이는 각각 몇 [m] 인가 ?

    ① 합성수지관 : 4 [m]        ② 금속관 : 3.66 [m]

  나. 금속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에는 어떤 재료를 사용하며 접속 1개소에 최소 몇 개를 사용하는가 ? 로크너트 2개

  다. 강재전선관공사 중 노출배관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3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T형

        과 4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크로스(Cross)형이 있는 자재의 명칭은 무엇인가 ? 유니버설 엘보

10. 비상전원의 내화내열전선 사용범위 중 분말소화설비의 배선범위를 그림에 직접 표시 하시오.

 

    [답안작성]

 

11.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배선전용실에 함께 배선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소방용 케이블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등의 내부에0 소방용이 아닌 케이블과 함께 노출하여 배선할 때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 간의 피복과 피복간의 이격 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 15 [㎝] 이상

 

  나. 부득이 하여 "(가)"와 같이 이격할 수 없어 불연성 격벽을 설치할 경우 격벽의 높이는 굵은 케이블 지름의 몇 배 이상이

        어야 하는가 ? 1.5 배 이상

 

12. 다음은 후강전선관에 대한 사항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후강전선관의 호칭 표시방법은 ? 관내경 [㎜]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나. 후강전선관 1본의 표준길이는 [m]는 ? 3.66 [m]

13. 그림과 같이 1개의 등을 2개소에서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려고 한다. 다음 각물음에  답하시오.

 

   가. ●3의 명칭을 쓰시오. 점멸기 (3로) 3로 스위치

   나. 배선에 가닥수를 표시하시오.

   다. 전선접속도(실제 배선도)를 그리시오.

 

14. 22[㎜] 후강전선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과 접지선 2.5 [㎟] 1가닥을 천장

      은폐배선하는 배선을 그림기호로 표시하시오.

 

15. 접지공사에서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방법 3가지를 쓰고, 이 중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은 ?

   가. 연결방법 : 용융접속, 납땜접속, 전극 접지용 슬리브를 이용한 압착 접속

   나.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 : 용융접속

16. 전자석 접지저항계 결선 및 명칭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를 완성하시오.

 

나. ①, ② 의 명칭을 쓰고 역할을 설명하시오.

   ① 영점조정장치 : 지침이 '0'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장치

   ② 측정스위치 :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장치

17. 금속관 공사에 사용되는 부속품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박스나 캐비닛은 노크아웃의 지름이 금속관의 지름보다 큰 경우 박스나 캐비닛의 내외 양측에 사용하는 부품은 ?

       링 리듀셔

  나. 금속관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하는 부품은 ? 커플링

  다. 금속관이 고정되어 있어 이것을 회전시켜 접속할 수가 없을 때 사용하는 부품은 ?  유니언 커플링

18. 소방설비의 배관배선공사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금속관 말단의 모를 다듬기 위한 기구는 ? 리머

   나. 노출배관공사를 할 때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는 부품은 ? 유니버설 엘보

   다. 금속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 사용하는 재료와 최소 설치개수는 ? 로크너트 2개

   라. 이 그림의 명칭은 ? 유니언 커플링

 

   마. 합성수지관 1본의 표준길이는 몇 [m]인가 ? 4 [m]

19. 다음은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심벌이다. 심벌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단, 영문약호는 우리말로 표현하여 설명할 것)

 

  [답안작성]

   (1) 16[㎜] 경질비닐전선관에 1.5[㎟]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을 넣은 천장 은폐배선

   (2) 16[㎜] 후강전선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2가닥을 넣은 바닥 은폐배선

   (3) 28[㎜]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에 전선이 들어 있지 않은 천장 은폐배선

   (4) 전선관의 철거를 말함

20. 다음 그림은 스프링클러설비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각 구성요소 사이 배선을 내화배선, 내열배선, 일반배선으로

       구분하여 블록다이어그램을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21. 다음 그림은 옥내소화전설비의 블록선도이다. 각 구성요소 간에 내화 · 내열 · 일반배선으로 배선하시오.

 

 [답안작성]

 

22.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금속관 공사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를 기입하시오.

  가. 금속관 공사에는 조영재 표면에 금속관을 노출하여 부착하는 (① 노출배관)공사, 콘크리트 속에 부설하는 (② 매입배

        관)공사, 이중 천장 속에 배관하는 (③ 천장은폐) 공사 등이 있으며, 금속관의 종류에는 후강전선관과 박강전선관이

        있다. (④ 후강)전선관의 크기는 내경에 가까운 짝수이고, (⑤ 박강)전선관의 크기는 외경에 가까운 홀수로 나타낸다.

  나. 금속관 공사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①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관내에서 전선의 (② 접속)이 없어야 한다.

23. 굴곡장소가 많거나 금속관 공사의 시공이 어려운 경우, 전동기와 옥내배선을 연결할 경우 사용하는 공사방법을

       쓰시오. 가요전선관 공사

24. 전기배선공사 방법 중 내화배선과 내열배선의 공사방법에서 배관구조의 차이점을 쓰시오.

   가. 내화배선 : 금속관 · 제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또는 합성수지지관에 수납하여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 부터 25[㎜] 이상의 깊이로 매설

   나. 내열배선 : 금속관 · 금속제 가요전선관 · 금속덕트 또는 케이블 공사방법

#배선공사 #전선 #내열전선 #내화전선 #절연물 #내화케이블 #절연내력 #대지전압

#전선관 #경질비닐전선관 #가요전선관 #후강전선관 #합성수지관 #금속관 #노멀밴드

#유니버설엘보 #부싱 #로크너트 #링리듀셔 #커플링 #새들 #사이렌 #자동화재탐지설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