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전선의 접속방법

  ① 직선 접속

    ▣ 전선과 전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서로 4회 이상 감는다)

  ② 분기접속

    ▣ 하나의 전선을 2개 이상으로 나누는 접속 (심선을 5회 이상 감는다)

  ③ 종단접속

    ▣ 전선의 종단부분을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2회 이상 감는다)

  ④ 슬리브에 의한 접속

    ▣ 슬리브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2회 이상 감는다)

[참고] 전선 접속시 유의 사항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④ 전기 화학적 성질이 다른 도체를 접속하는 경우 접속부분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

2. 전선의 종류

약호
명 칭
최고허용온도
DV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60 [℃]
OW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HFIX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90 [℃]
C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외장(시스) 케이블
MI
 미네날 인슐레이션 케이블
IH
 하이퍼론 절연전선
95 [℃]
FP
 내화 케이블
-
HP
 내열전선
GV
 접지용 비닐절연전선
E
 접지선

3. 절연물의 최고 허용 온도

절연물의 종류
Y
A
E
B
F
H
C
최고허용온도[℃]
90
105
120
130
155
180
180초과

4.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요소

  ① 허용전류(가장 중요) : 전선에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치

  ② 전압강하 : 입력전압과 출력전압과의 차이

  ③ 기계적 강도 :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손상을 받는 일이 없이 견딜 수 있는 능력

  ④ 전력손실 : 1초 동안에 전기가 일을 할 때 이에 소비되는 손실

  ⑤ 경제성 : 투자경비에 대한 연간 경비와 전력손실 금액의 총합이 최소가 되도록 정한다.

5. 전선의 허용전류 (전동기 부하)

가. 측정기구

  ① 150 [V] 이하 : 직류(DC) 250 [V] 절연저항계

  ② 150 [V] 초과 : 직류(DC) 500 [V] 절연저항계

 

나. 절연저항값과 판정기준

전 압
절연저항
대지전압 150 [V] 이하
0.1 [MΩ] 이상
대지전압 150 [V] 초과 300[V] 이하
0.2 [MΩ] 이상
사용전압 300 [V] 초과 400 [V] 미만
0.3 [MΩ] 이상
사용전압 400 [V] 이상
0.4 [MΩ] 이상

6. 배선도 표시방법

가. 전선관의 굵기

    ① 16 = 16 [㎜]        ② 22 = 22 [㎜]         ③ 28 = 28 [㎜]

 

나. 전선관의 재질

    ① 별도 표기 없음 : 강제 전선관                      ② VE : 경질비닐전선관

    ③ F2 : 제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④ PF : 합성수지제 가요관

 

다. 전선의 굵기

    ① 1.5 : 1.5 [㎟]               ② 2.5 = 2.5 [㎟]

 

라. 배관의 표시방법

 

마. 전선 가닥수

 

바. 옥내배선기호

 

사. 배선도 표시방법의 예

 

   ※ 의미 : 16 [㎜] 합성수지제 가요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을 넣은

                  천장 은폐배선

 

아. 철거 : 철거인 경우에는 X를 붙인다.

 

7. 금속관 공사

가. 강제전선관의 종류

종류
호칭 표시방법
호칭 규격 [㎜]
후강 전선관
관 내경[㎜]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박강 전선관
관 외경[㎜]의 근사값을 홀수로 표시
15, 19, 25, 31, 39, 51, 63, 75

나. 강제전선관

    ① 1본의 표준길이 : 3.66 [m]

    ② 관의 두께 : 1.2 [㎜]

 

다. 합성수지관(경질비닐전선관)

    ① 1본의 표준길이 : 4 [m]

    ② 합성수지관 호칭 표시방법 : 관 내경 [㎜]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라. 금속관의 두께

    ① 콘크리트에 매립 : 1.2 [㎜] 이상

    ② 기타 : 1 [㎜] 이상

    ③ 이음매(Joint)가 없는 길이 4 [m] 이하의 것을 건조하고 전개된 곳에 시설하는 경우 : 0.5 [㎜] 이상

 

마. 금속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나사접속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② 관의 끝 부분에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구조의 부싱을 사용할 것. 다만, 금속관공사로 부터

         애자사용공사로 옮기는 경우에는 그 부분의 관의 끝 부분에는 절연부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③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 장치를 할 것

    ④ 관에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단, 사용전압이 400[V] 미만으로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관의 길이 (2개 이상의 관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체의 길이를 말한다.) 가 4 [m] 이하인 것을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옥내 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 [V] 또는 교류 대지전압 150 [V] 이하로서 그 전선을 넣는 관의 길이가 8[m] 이하

            인 것을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또는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⑤ 금속관을 금속제의 풀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관 및 풀박스를 건조한 곳에서 불연성의 조영제에 견고하게 시설하고 또한 관과 풀박스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바. 금속관용 부속품

 

  <각 부속품 사용례>

 

8. 가요전선관 공사

가. 시설조건

   ①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 (알루미늄선은 16[㎟]) 이하인 것은 제외

   ③ 가요전선관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가요전선관은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일 것. 다만,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옥내배선의 사용전압

        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전동기에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것에 한한다)에는

        1종 가요전선관(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는 비닐 피복 제1종 가요전선관에 한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나. 가요전선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② 가요전선관의 끝부분은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③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습기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때에는 비닐 피복 2종

        가요전선관일 것

   ④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에는 단면적 2.5[㎟] 이상의 나연동선을 전체 길이에 걸쳐 삽입 또는 첨가하여 그 나연동선과

        제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양쪽 끝에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다만, 관의 길이가 4[m] 이하인 것을 시설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가요전선관공사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다. 가요전선관 공사에 사용되는 재료

 

9. 합성수지관 공사

가. 시설조건

  ① 전선은 절연전선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다음의 것은 적용하지 않는다.

    ㉠ 짧고 가는 합성수지관에 넣을 것

    ㉡ 단면적 10 [㎟] (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 이하의 것

  ③ 전선은 합성수지관 안에서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중량물의 압력 또는 현저한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나.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선정

  ▣ 합성수지관 배선에 사용하는 경질비닐 전선관 및 합성수지제 전선관, 기타 부속품등 (관 상호 간을 접속하는 것 및

       관의 끝에 접속하는 것에 한하며 리듀서를 제외한다)은 다음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①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또는 산업표준화법에 적합한 합성수지제의 전선관 및 박스 기타의 부속품일 것. 다만, 부속품 중

       금속제의 박스 및 분진방폭형 가요성 부속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관의 끝 부분 및 안쪽 면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매끈한 것일 것

  ③ 관[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을 제외]의 두께는 2[㎜] 이상일 것. 다만,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로서 건조한 장소에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한한다)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1.2배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하고 또한 꽃음 접속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할 것

  ②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5 [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지지점은 관의 끝 · 관과 박스의 접속점 및 관 상호 간의 접속점

       등에 가까운 곳에 시설할 것

  ③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장치를 할 것

  ④ 합성수지관을 금속제의 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 또는 분진방폭형 가요성 부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스 또는

       분진 방폭형 가요성 부속에 접지공사를 할 것. 다만, 사용전압이 400[V] 미만으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V] 또는 교류 대지전압이 150 [V] 이하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

         하는 경우

  ⑤ 합성수지관을 풀 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할 것. 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

       는 관 및 풀박스를 건조한 장소에서 불연성의 조영재에 견고하게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⑥ 난연성이 없는 콤바인 덕트관은 직접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전용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관 또는 덕트에 넣어 시설할 것

  ⑦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 상호 간은 직접 접속하지 말 것

 

[참고] 전자식 접지저항계

 

   ① 검류계 : 지침이 가운데를 가리킬 때 접지저항값을 읽는다.

   ② 영점조정장치 : 지침이 0에 위치되도록 조정하는 장치

   ③ 절환스위치 : B(전지검사), Ω(접지저항 측정), V (전압측정)

   ④ 측정스위치 :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서 누르면서 측정한다.

   ⑤ 다이얼 : 측정하고자 하는 적당한 접지저항값을 조정한다.

10.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 및 공사방법

가. 내화배선

사용전선의 종류
공사방법
①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②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③ 6/10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④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⑤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⑥ 300/500 [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 (180 [℃])
⑦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⑧ 버스덕트 (Bus Duct)
⑨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① 금속관공사
②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③ 합성수지관 공사
※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
    부터 25 [㎜] 이상의 깊이로
    매설할 것
내화전선
케이블 공사

[비고]

  ▣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너의 노즐에서 75 [㎜]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 [℃]인 불꽃으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 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용량 3[A]의 퓨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내화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나. 내열배선

사용전선의 종류
공사방법
①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②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③ 6/10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④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⑤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⑥ 300/500 [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 (180 [℃])
⑦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⑧ 버스덕트 (Bus Duct)
⑨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① 금속관공사
②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③ 금속덕트공사
④ 케이블공사
내화전선 · 내열전선
케이블 공사

[비고]

  ▣ 내열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716±10 [℃]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180 [㎜] 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표준(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

       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 [℃]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 부터 150 [㎜] 이하

       일 것. 또는 소방청장이 고시한 「내열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11. 내화배선, 내열배선 및 일반배선 공사

가. 자동화재탐지설비

 

나. 옥내소화전설비

 

다. 옥외소화전설비

 

라. 비상벨 · 자동식 사이렌 설비

 

마. 스프링클러설비 · 물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바.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12.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배선전용실에 함께 배선할 경우

  ① 소방용 케이블은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 전용실 등의 내부에 소방용이 아닌 케이블과 함께 노출하여 배선할 때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간의 피복과 피복간의 이격거리는 15 [㎝] 이상이어야 한다.

 

  ② 불연성 격벽을 설치한 경우에 격벽의 높이는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 중 가장 굵은 케이블 지름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출제 예상 문제】

1. 전선 접속시 유의사항을 3가지 쓰시오.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2. 소방펌프용 전동기의 명판에는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를 기호로 표기하고 있다. 다음 표의 빈칸을 완성하시오.

절연물의 종류
Y
A
E
(① B)
F
(②H)
C
최고허용온도[℃]
90
(③105)
120
(④130)
(⑤155)
180
180초과

3. 저압 옥내배선의 금속관공사와 가요전선관공사에 사용되는 부품의 명칭을 쓰시오.

  가. 노출배관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되는 부품 : 유니버설 엘보

  나. 금속관을 아웃렛박스에 로크너트만으로 고정하기 어려울 때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부품  : 링리듀셔

  다. 가요전선관과 박스의 연결 : 스트레이트 박스 콘넥터

  라. 가요전선관과 금속(스틸)전선관의 연결 : 콤비네이션 커플링

  마. 가요전선관과 가요전선관의 연결 : 스프리트 커플링

4. 다음과 같은 배선도가 나타내는 의미를 모두 쓰시오.

 

[답안작성] 천장은폐배선으로 22[㎜] 후강전선관에 4[㎟] 45/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3가닥과

                  2.5 [㎟] 접지선 1가닥을 넣는다.

5. 다음과 같은 조건을 참고하여 배선도로 나타내시오.

  [조건] ① 배선 : 바닥은폐배선

            ② 전력선 : 3가닥,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25 [㎟]

            ③ 접지선 : 1가닥, 접지용 비닐전선 6 [㎟]

            ④ 전선관 : 후강전선관 36 [㎜]

 

6. 다음은 금속관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이다. 자재의 사용용도에 대해 쓰시오.

   가. 부싱 : 전선의 절연피복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관 끝에 취부하여 사용한다.

   나. 유니언 커플링 : 관이 고정되어 있을 때 금속관 상호간을 접속하는데 사용한다.

   다. 유니버설 엘보 : 노출배관공사에서 금속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한다.

7. 그림은 금속관 공사의 한 예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① ~④ 에 들어갈 부품 명칭을 쓰시오.

    ① 노멀밴드           ② 커플링                ③ 새들                    ④ 환형 3방출 정크션 박스

  나. 노출배관으로 시공할 경우 ① 을 대체할 부품은 무엇인가 ? 유니버설 엘보

8. 후강전선관 배관을 콘크리트 슬리브에 매입하려고 한다. 전선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몇 [㎜]가 적당한가 ? 1.2 [㎜] 이상

9. 배관공사에 대한 사항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합성수지관 1본과 금속관 1본의 길이는 각각 몇 [m] 인가 ?

    ① 합성수지관 : 4 [m]        ② 금속관 : 3.66 [m]

  나. 금속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에는 어떤 재료를 사용하며 접속 1개소에 최소 몇 개를 사용하는가 ? 로크너트 2개

  다. 강재전선관공사 중 노출배관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3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T형

        과 4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크로스(Cross)형이 있는 자재의 명칭은 무엇인가 ? 유니버설 엘보

10. 비상전원의 내화내열전선 사용범위 중 분말소화설비의 배선범위를 그림에 직접 표시 하시오.

 

    [답안작성]

 

11.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배선전용실에 함께 배선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소방용 케이블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등의 내부에0 소방용이 아닌 케이블과 함께 노출하여 배선할 때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 간의 피복과 피복간의 이격 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 15 [㎝] 이상

 

  나. 부득이 하여 "(가)"와 같이 이격할 수 없어 불연성 격벽을 설치할 경우 격벽의 높이는 굵은 케이블 지름의 몇 배 이상이

        어야 하는가 ? 1.5 배 이상

 

12. 다음은 후강전선관에 대한 사항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후강전선관의 호칭 표시방법은 ? 관내경 [㎜]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나. 후강전선관 1본의 표준길이는 [m]는 ? 3.66 [m]

13. 그림과 같이 1개의 등을 2개소에서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려고 한다. 다음 각물음에  답하시오.

 

   가. ●3의 명칭을 쓰시오. 점멸기 (3로) 3로 스위치

   나. 배선에 가닥수를 표시하시오.

   다. 전선접속도(실제 배선도)를 그리시오.

 

14. 22[㎜] 후강전선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과 접지선 2.5 [㎟] 1가닥을 천장

      은폐배선하는 배선을 그림기호로 표시하시오.

 

15. 접지공사에서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방법 3가지를 쓰고, 이 중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은 ?

   가. 연결방법 : 용융접속, 납땜접속, 전극 접지용 슬리브를 이용한 압착 접속

   나.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 : 용융접속

16. 전자석 접지저항계 결선 및 명칭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를 완성하시오.

 

나. ①, ② 의 명칭을 쓰고 역할을 설명하시오.

   ① 영점조정장치 : 지침이 '0'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장치

   ② 측정스위치 :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장치

17. 금속관 공사에 사용되는 부속품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박스나 캐비닛은 노크아웃의 지름이 금속관의 지름보다 큰 경우 박스나 캐비닛의 내외 양측에 사용하는 부품은 ?

       링 리듀셔

  나. 금속관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하는 부품은 ? 커플링

  다. 금속관이 고정되어 있어 이것을 회전시켜 접속할 수가 없을 때 사용하는 부품은 ?  유니언 커플링

18. 소방설비의 배관배선공사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금속관 말단의 모를 다듬기 위한 기구는 ? 리머

   나. 노출배관공사를 할 때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는 부품은 ? 유니버설 엘보

   다. 금속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 사용하는 재료와 최소 설치개수는 ? 로크너트 2개

   라. 이 그림의 명칭은 ? 유니언 커플링

 

   마. 합성수지관 1본의 표준길이는 몇 [m]인가 ? 4 [m]

19. 다음은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심벌이다. 심벌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단, 영문약호는 우리말로 표현하여 설명할 것)

 

  [답안작성]

   (1) 16[㎜] 경질비닐전선관에 1.5[㎟]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을 넣은 천장 은폐배선

   (2) 16[㎜] 후강전선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2가닥을 넣은 바닥 은폐배선

   (3) 28[㎜]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에 전선이 들어 있지 않은 천장 은폐배선

   (4) 전선관의 철거를 말함

20. 다음 그림은 스프링클러설비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각 구성요소 사이 배선을 내화배선, 내열배선, 일반배선으로

       구분하여 블록다이어그램을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21. 다음 그림은 옥내소화전설비의 블록선도이다. 각 구성요소 간에 내화 · 내열 · 일반배선으로 배선하시오.

 

 [답안작성]

 

22.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금속관 공사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를 기입하시오.

  가. 금속관 공사에는 조영재 표면에 금속관을 노출하여 부착하는 (① 노출배관)공사, 콘크리트 속에 부설하는 (② 매입배

        관)공사, 이중 천장 속에 배관하는 (③ 천장은폐) 공사 등이 있으며, 금속관의 종류에는 후강전선관과 박강전선관이

        있다. (④ 후강)전선관의 크기는 내경에 가까운 짝수이고, (⑤ 박강)전선관의 크기는 외경에 가까운 홀수로 나타낸다.

  나. 금속관 공사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①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관내에서 전선의 (② 접속)이 없어야 한다.

23. 굴곡장소가 많거나 금속관 공사의 시공이 어려운 경우, 전동기와 옥내배선을 연결할 경우 사용하는 공사방법을

       쓰시오. 가요전선관 공사

24. 전기배선공사 방법 중 내화배선과 내열배선의 공사방법에서 배관구조의 차이점을 쓰시오.

   가. 내화배선 : 금속관 · 제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또는 합성수지지관에 수납하여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 부터 25[㎜] 이상의 깊이로 매설

   나. 내열배선 : 금속관 · 금속제 가요전선관 · 금속덕트 또는 케이블 공사방법

#배선공사 #전선 #내열전선 #내화전선 #절연물 #내화케이블 #절연내력 #대지전압

#전선관 #경질비닐전선관 #가요전선관 #후강전선관 #합성수지관 #금속관 #노멀밴드

#유니버설엘보 #부싱 #로크너트 #링리듀셔 #커플링 #새들 #사이렌 #자동화재탐지설비

 

반응형
반응형
명 칭
그림기호
적 요
천장은폐배선

바닥은폐배선

노 출 배 선



(1) 천장 은폐배선 중 천장속의 배선을 구별하는 경우는 천장속의
      배선
를  사용하여도 좋다.
(2) 노출배선 중 바닥면 노출배선을 구별하는 경우는 바닥면 노출
      배선
  를 사용하여도 좋다.
(3) 전선의 종류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기호를 기입한다.
   보기 : 600V 비닐 절연전선 : IV
             600V 2종 비닐 절연전선 : HI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 CV
            600V 비닐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평형) : VVF
            #내화 #케이블 : FP
           #내열전선 : HP
          통신용 PVC 옥내선 : TIV
(4) 절연전선의 굵기 및 전선수는 다음과 같이 기입한다.
      단위가 명백한 경우는 단위를 생략하여도 좋다.
보기 :

    다만, 시방서 등에 전선의 굵기 및 전선수가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5) 케이블의 굵기 및 선심수(또는 쌍수)는 다음과 같이 기입하고 필요에 따라
      전압을 기입한다.
보기 :
다만, 시방서 등에 케이블의 굵기 및 선심수가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6)
#전선 의 접속점은 다음에 따른다.

(7) 배관은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다만, 시방서 등에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8)
플로어 덕트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보기 :
정크션 박스를 표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정션(Junction)박스 : 관과 관이 만나는 곳
(9) #금속 #덕트 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선 홈통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11) 라이팅 덕트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필요에 따라 전압, 극수, 용량을 기입한다.
보기 :

(12) #접지선 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보기 :

(13) 접지선과 배선을 동일관 내에 넣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보기 :

다만, 접지선의 표시 E가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E 2.0 접지선 굵기 2.0 [㎟]
(14) #케이블 의 #방화구획 #관통부 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15) 정원등 등에 사용하는 #지중 #매설 배선은 다음과 같다.
(16) 옥외 #배선 은 옥내배선의 그림기호를 준용한다.
(17)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실선만으로 표시하여도 좋다.
(18) 건축도의 선과 명확히 구별한다.
상 승

인 하

소 통
(1) 동일층의 상승, 인하는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다.
(2) 관, 선 등의 #굵기 를 명기한다. 다만,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3) 필요에 따라 공사 종별을 방기한다.
(4) 케이블의 방화구획 관통부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풀 박스 및
접 속 상 자
(1) 재료의 종류, 치수를 표시한다.
(2) 박스의 대소 및 모양에 따라 표시한다.
    ※ #풀박스 : 전선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박스
VVF용
조인트 박스
단자불이임을 표시하는 경우는 t를 방기한다.
접 지 단 자
의료용인 것은 H를 방기한다.
접 지 센 터
#의료용 인 것은 H를 방기한다.
접 지 극
(1) 접지 종별을 다음과 같이 방기한다.
       제1종:E1, 제2종:E2 , 제3종:E3, 특별 제3종:Es3
보기 :
(2) 필요에 따라 재료의 종류, 크기, 필요한 #접지 저항치 등을 방기 한다.
수 전 점
#인입구 에 이것을 적용하여도 좋다.
점 검 구


반응형
반응형

 

♠ 전자블로형 차단기 (MBB) 조작회로

 

▣ 전자블로형 차단기(MBB) 조작회로에 케이블을 사용할 때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① 대상이 되는 케이블의 길이 : 왕복 1,200[m]

② 케이블의 저항치

케이블의 규격[㎟]
2.5
4
6
10
16
저항치 [Ω/㎞]
9.4
5.3
3.4
2.4
1.4

③ MBB의 조작회로(투입코일 제외)의 투입 보조 릴레이(52X)의 코일 저항 66[Ω]

  ⊙ MBB의 투입 허용 최저 동작 전압 : 94 [V]

  ⊙ 트립코일 저항 19.8[Ω]

  ⊙ MBB 트립 허용 최소 동작 전압 : 75[V]

 

④ 전원전압

  ⊙ 정격전압 : DC 125[ㅍ]

  ⊙ 축전지의 방전 말기 전압 : DC 1.7[V/cell], 102[V]

 

(1) MBB 투입회로(투입 코일은 제외)의 경우 다음 전압일 때 케이블의 규격은 ?

  ① 전원전압 DC 125[V]의 경우

  ② 전원전압 DC 102[V]의 경우

(2) MBB 트립회로의 경우 다음 전압일 때 케이블의 규격은 ?

  ① 전원전압 DC 125[V]의 경우

  ② 전원전압 DC 102[V]의 경우

 

【 문제풀이】

< 사전에 숙지해야 할 사항 >

 ▣ 차단기의 조작회로는 트립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기력으로 차단기를 열고 닫는 회로이며

     여기서 투입은 차단기를 닫는(On) 회로이고 트립회로는 차단기를 여는(Off)회로이다.

 
전자블로형 차단기 (MBB) 조작회로

▣ 차단기 조작회로는 직류전원을 사용하므로 전압강하는 저항에 의해서만 발생한다.

▣ 조작회로의 케이블 규격은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차단기를 동작하게 하는

    전류가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코일에 일정치 이상의 전류가 흘러야 하고 이 전류를

    흐르게 하려면 코일에 일정치 이상의 전압이 걸려야 한다.

▣ 이 문제는 코일에 일정치 이상의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전압강하분을 계산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전압강하분 이하로 전압강하가 일어나도록 하는 전선의 굵기를 구하는

    문제가 되며 전압강하분 산정을 위한 전선의 고유저항을 구해서 이에 알맞은 전선을

    구하는 방식이 되겠다.

 

[답안작성]

(1) MBB 투입회로(투입 코일은 제외)의 경우 다음 전압일 때 케이블의 규격은 ?

  ① 전원전압 DC 125[V]의 경우

 

  ② 전원전압 DC 102[V]의 경우

 

(2) MBB 트립회로의 경우 다음 전압일 때 케이블의 규격은 ?

  ① 전원전압 DC 125[V]의 경우

 

  ② 전원전압 DC 102[V]의 경우

 

반응형
반응형

 

【고압 가공 인입선 보충】

 
인입선

[가공인입선의 높이]

구 분
저 압
고 압
기본
도로
철도
횡단보도교
4 [m] 이상
5 [m] 이상
6.5 [m] 이상
3 [m] 이상
5 [m] 이상
6 [m] 이상
6.5 [m] 이상
3.5 [m] 이상

문제. 고압가공인입선을 다음과 같이 시설하였다. 시설기준으로 맞지 않은 것은 ?

  ① 고압 가공인입선 아래에 위험 표시를 하고 지표상 3.5 [m] 높이에 시설하였다.

  ② 1.5 [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 인입선을 시설하였다.

  ③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하여 노면상에서 3.5[m] 이상의 높이에

      시설하였다.

  ④ 전선은 지름 5 [㎜]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하였다.

 

1. 터널안 전선로 시설

 

 가. 철도 궤도 또는 자동차 도로의 전용 터널안의 전선로 (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의 기

      준도 같음)

 
터널안 전선로

▣ 저압 전선은 다음 중 하나에 의하여 시설할 것

 ① 전선은 지름 2.6[㎜] 이상 경동선의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규정에 준하는 애자사용배선

     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하며 또한 이들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2.5[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② ① 번 이외의 경우에는 규정에 준하는 합성수지관 배선, 금속관 배선, 가요전선관 배선,

     케이블 배선을 사용하여 시설할 것.

나. 고압의 경우에는 고압옥측전선로의 기준에 준하여 시설할 것. 다만 인장강도 5.26[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4 [㎜] 이상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 또는 특고압 절연전선을 사용

     하여 규정에 준하는 애자 사용 배선에 의해 시설하고 이를 레일 면상 또는 노면상 3[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해야 한다.

 ※ 저압 전선이 다른 저압전선, 약전류전선, 수관, 가스관과 근접하여 지나갈 때 이격거리

     는 다음과 같다.

  ① 애자공사 이격거리 : 이격거리 0.4 [m] (10㎝) 이상

                                나전선일 경우 : 0.3 [m] 이상

 

【 문제풀이 】

문제 1. 철도 또는 자동차 도로의 전용 터널안에 터널내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틀린 것은

     ? ①

  ① 저압 전선은 직경 2 [㎜]의 전선을 사용하였다.

  ② 저압 공사를 케이블을 사용하여 하였다.

  ③ 저압 전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궤도면상 또는 노면상 2.5[m] 이상

      의 높이를 유지하였다.

  ④ 저압전선을 가요전선관 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였다.

 

문제 2. 상시 사람이 통행하는 터널안에 교류 220[V]의 배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할 경우 전선은 노면상 몇 [m] 이상의 높이로 시설해야 하는가 ? 2.5 [m] 이상

 

문제 3.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내 저압 전선로를 애자사용 배선시 노면상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 2.5[m] 이상

 

문제 4. 철도궤도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의 전용터널 안에 터널내 고압 전선로를 애자사용

   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였다. 경동선을 사용할 경우 전선의 최소 높이는 ? 3[m] 이상

 

문제 5. 다음중 터널안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①

  ① 저압 전선은 지름 2.6[㎜]의 경동선인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② 고압전선을 절연전선을 사용하여 합성수지관 배선을 하였다.

  ③ 저압 배선을 애자사용배선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2.2[m] 높이

      에 시설하였다.

  ④ 고압 전선을 금속관 공사로 시설하고 이를 레일면상 또는 노명상 3[m] 높이로 시설하였

      다.

 

문제 6. 터널내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① 저압전선은 직경 2[㎜] 경동선을 사용하였다.

  ② 고압전선을 케이블 배선공사로 시설하였다.

  ③ 저압전선을 애자사용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궤도면상 또는 노면상 2.5 [m]

      높이를 유지하였다.

  ④ 저압전선을 가요전선관 배선에 의해 시설하였다.

 

2. 수상전선로의 시설

 
수상전선로

가. 전선은 전선로의 전압이 저압인 경우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할 것

나. 고압인 경우 전선은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할 것

다. 수상전선로의 전선은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부분의 전선은 접속점에서 전선의

     피복안에 물이 스며들지 아니하도록 시설하고 또한 전선은 접속점에 다음의 높이로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일 것

  ① 접속점이 육상에 있는 경우 : 5[m] 이상

  ② 접속점이 수면상에 있는 경우

     ⊙ 저압 : 수면상 4 [m] 이상

     ⊙ 고압 : 수면상 5 [m] 이상

  ③ 제1항의 수상전선로에는 이와 접속하는 가공전선로에 전용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각극에 시설하고 또한 수상전선로의 사용전압이 고압인 경우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한다.

 

【 문제풀이 】

문제 1. 다음 중에서 수상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③

  ① 사용전압이 고압인 경우에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한다.

  ②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경우 접속점이 육상에 있는 경우 지표상 4[m] 이상의

      높이의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인다.

  ③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경우 접속점이 수면에 있는 경우 고압인 경우 수면상

      5[m] 이상의 높이의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일 것

  ④ 고압 수면 전선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를 대비하여 전선로를 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였다.

 

문제 2. 다음중 수상전선로에 사용하는 전선은 ? ④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