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실린더에 밀폐된 8[㎏]의 공기가 그림과 같이 P1=800[kPa], V1=0.27[㎥]에서 P2 =350 [kPa], 체적 V2 = 0.80[㎥]로

     직선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

 

[풀이] 팽창일 = P-V선도의 면적

2. 밀폐용기에 비내부에너지가 200[kJ/㎏]인 기체 0.5[㎏]이 있다. 이 기체를 용량이 500[W]인 전기 가열기로 2분 동안 가열

    한다면 최종 상태에서 기체의 내부에너지는 ? (단, 열량은 기체로만 전달된다고 한다)

[풀이] 내부에너지 = 비내부에너지 × 질량

3. 30[℃]에서 비체적이 0.001[㎥/㎏]인 물을 100[kPa]의 압력에서 800 [kPa]의 압력으로 압축한다. 비체적이 일정하다고

     할 때, 이 펌프가 하는 일 [J/㎏]을 구하면 ?

[풀이]

4. 내부에너지 130 [kJ]을 보유하는 물질에 열을 가했더니 내부에너지가 200[kJ]로 증가하였다. 이 물질이 외부에

     7,000[N·m]의 일을 하였을 때 가해진 열량은 몇 [kJ]인가 ?

[풀이] 열량 = 내부에너지 + 일량

5. 실린더 내의 밀폐된 가스를 피스톤으로 압축하는 과정에 13.32[kJ]의 열량을 방출하였고, 압축일의 크기는 22,000[N·m]

    이다. 이 가스의 내부에너지 증가량을 구하라.

[풀이] 열량 = 내부에너지 + 일량

이므로 ※ 부호(-)는 압축일과 방출열량을 뜻함

6. 압력 250[kPa], 체적 0.4[㎥]의 기체가 일정한 압력하에서 팽창하여 체적이 0.6[㎥]로 되었다. 이 때 84[kJ]의 내부에너지

     가 증가하였다면 기체에 의한 일과 열량은 얼마인가 ?

[풀이] ① 압력이 일정하므로 팽창에 의한 일는 일에 대한 관계식으로 부터 다음과 같다.

  ② 팽창하면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필요 열량은 다음과 같다.

7. 두께 1[㎝], 면적 0.5[㎡] 석고판의 뒤에 가열판이 부착되어 1,000[W]의 열을 전달한다. 가열판의 뒤는 완전히 단열되어

     열은 앞면으로만 전달된다. 석고판 앞면의 온도는 100[℃]이다. 석고의 열전도율이 K=0.79 [W/m·K]일 때 가열판에 접하

      는 석고면의 온도는 약 몇 [℃]인가 ?

[풀이]

#에너지 #열량 #칼로리 #체적 #실린더 #압력 #기체 #유체 #팽창 #압축

반응형
반응형

1. 섭씨 온도와 화씨 온도 변환

 

▣ 열이란 물질입자의 분자운동에 의한 에너지의 한 형태이다.

    물체가 보유하는 열의 양, 즉 열에너지의 양을 열량 (quantity of heat)이라 한다.

    열량의 단위는 kJ, kcal, Btu, chu가 있다.

    kcal는 kilogram - calorie 의 약칭으로 1 [kcal]는 표준대기압에서 순수한 물 1[㎏]의

    온도를 1[℃] (14.5[℃]에서 15.5[℃]까지)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1 [kcal]는 약 4.2 [kJ]이다.

    Btu는 British thermal unit의 약자로 1[Btu]는 1 [lb]물의 온도 30 [°F] 에서 212[°F]

    까지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의 1/180을 말한다.

2. 열역학 제0법칙

 

온도가 서로 다른 두 물질이 열을 교환 후 온도가 같다면 그 두 물질은 서로 열적 평형 상태

에 있게 된다. 이를 열역학 제0법칙 [The Zeroth law of thermodynamics] 이라고 한다.

열역학 제0법칙은 온도 측정의 기본법칙이다.

영국의 J.P. Joule이 열상당량을 구할 수 있는 실험을 하였고

이 실험을 통해서 열의 관계를 양적으로 나타냈다.

"즉, 열과 일은 본질적으로 같으며 에너지의 일종으로 열을 일로 변환시킬 수 있고

또한 반대로 일을 열로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밀폐계가 임의의 사이클을 이룰 때

열전달의 총화는 이루어진 일의 총화와 같다"

이를 열역학 제1법칙 (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라고 하고 에너지 보존 법칙

(Law of conservation of energy)라고도 한다.

3. 열역학 제1법칙

 

공학단위에서 기계적인 일은 W[㎏f·m]가 열량 Q[kcal]로 바꾸고, 열량 Q[kcal]가

일[㎏f·m]으로 변환할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J는 열의 일상당량 (Mechanical equivalent heat)

A는 일의 열상당량 (Thermal equivalent work)이라고 하면

따라서 전사이클에 대하여 위 식을 적분한 값은

W = JQ [㎏f·m] 또는 Q =AW [kcal]가 된다.

에너지식은

모든 에너지 (E) = 내부 에너지 (U) + 운동에너지 (KE) + 위치에너지 (PE) 이다.

열역학 제1법칙의 일반식

δ Q = d U + δ W

δq = du + δw

이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총 에너지 (E) = 내부에너지 (IE) + 외부에너지 (EE)

여기서 외부에너지는 기계적 에너지인 일이다.

보통 분자가 분자력에 의하여 서로 위치에너지를 가지며 운동에너지를 갖는다.

분자의 집단인 물질의 내부에 보유되는 에너지가 그 물질의 내부 에너지가 된다.

따라서 물질의 내부에너지는 분자의 현재의 집합상태에만 관계가 되기 때문에

물질의 과거의 상태와는 무관하고 물질의 현재의 상태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상태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에너지에는 분자의 운동에너지로 온도를 상승시키는 잠열과

분자 상호간의 힘에 저항하여 융해 또는 증발에 이용되는 잠열이 포함된다.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에 대해 알아 보자.

위치에너지 (Potential energy)

PE = m g · Z [J]

여기서 , mg = W : 무게 [N], Z : 높이 [m]

운동에너지 (Kinetic energy)

열과 일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열과 일은 모두 경계 현상 (boundary phenomena)이다. 즉, 열과 일 모두 거의 경계에

    서만 구분되며 계의 경계에 따라 통과하는 에너지는 다르게 나타난다.

2. 열과 일은 모두 과도현상 (Transient phenomena)이다. 즉, 계는 열과 일을 보유할 수

    없으며, 일시적인 현상으로 시스템(계)의 상태가 변할 때 이 중 하나 혹은 모두가 계를

    통과한다.

3. 열과 일은 모두 경로 함수 (Path function)이므로 불안전 미분 (Inexact differential) 으로 쓴다.

#열역학제0법칙 #열역학제1법칙 #열 #일 #칼로리 #질량 #경로함수 #과도현상 #경계현상 #에너지 #에너지보존법칙 #열적평형 #포텐셜에너지 #운동에너지

반응형
반응형

【 열역학 (Thermodynamics】

  ▣ 물질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열과 일의 양은 열역할 법칙으로 정의되는 에너지와 엔트로피 등의 열역학적

      변수들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학문

   ※ 일 ↔ 열 : #물리적 #현상

1. 열역학 제0법칙 [열평형, 온도평형의 법칙]

   ▣ #온도 가 서로 다른 물체를 접촉시켜 놓으면 얼마 후 온도가 같아진다. (열평형상태)

 

    ◈ 고온체와 저온체를 함께 놓으면 열이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여 온도가 같아지려는 성향을 갖는다.

       (온도계의 원리)

2. 열역학 제1법칙 : 에너지 보존법칙

▣ 어떤 고립된 계의 총에너지는 일정하다는 법칙

   ⊙ 내부에너지 변화가 계에 가해진 열과 계가 한일 사이의 차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에너지 는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는다.

 

   ◈ 에너지의 양적관계

   ◈ 열 = 에너지 = 일

   ◈ 가역적인 법칙

     ⊙ 열 ↔ 일, 1[kcal] = 4.184 [kJ]

                        4.184[kJ/kcal] : 열의 일당량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열과 운동의 관계로 정리를 하면..

 

 

3. 열역학 제2법칙

  ▣ 고립계에서 총 엔트로피의 변화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며 절대로 감소하지 않는다.

 

   ① 열은 자연적으로 저열원에서 고열원으로 이동할 수 없다.

   ② #효율 100%의 열기관은 존재할 수 없다.

 

※ 열역학 제2법칙 (에너지 흐름의 법칙)

   ◈ 자연적 · #경험적 법칙

   ◈ 일 → #열

   ◈ #열효율 100 [%]는 없다. * 인위적으로 가야 하므로 효율이 떨어진다.

   ◈ #비가역적 법칙이다.

4. #열역학 제3법칙

  ▣ #절대온도 에 가까워질수록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0에 수렴한다.

      그리고 계는 절대온도 0도에 이를 수 없다.

 

          1종 영구기관 및 2종 영구기관
  ▣ 1종 영구기관 : 열역학 1법칙에 위배되는 기관
  ▣ 2종 영구기관 : 열역학 2법칙에 위배되는 기관

【 열량의 단위】

   ◈ 1 [kcal] : 표준 대기압에서 순수한 물 1[㎏]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1[btu] : 1파운드의 물을 1[°F] 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1[CHU] : 1파운드의 물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섭씨 : 14.5 ⇒ 15.5 [℃] 화씨 : 60 ⇒ 61 [°F]

 【 비열 】

   ◈ 비열이란 어떤 물질의 단위 질량을 1[℃] 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단위질량을 단위 온도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기체의 비열에는 2가지가 있다. : 정합비열과 정적비열로 나뉜다.

       ⊙ 정합비열 : 압력이 일정할 때 (CP: constant pressure)

       ⊙ 정적비열 : 체적이 일정할 때 (CP : constant volume)

         Cp > Cv

         Cp - Cv = R (기체상수)

         Cp / Cv > 1

           ★ #수증기 #비열 0.44 [cal/g ℃]

반응형
반응형

1. 화학반응과 에너지

2. 발열반응과 흡열반응

3. 엔탈피

4. 열량계와 열용량

5. 열화학 반응식

1. 화학반응과 에너지

 ▣ 얼음이 녹기 위해서는 에너지 공급이 필요

   ⊙ H2O (s) + 에너지 (열) ⇒ H2O (l)

   ⊙ 이것은 화학반응이라기 보다 물리적 변화이고 물리적 변화를 위해서도 에너지가 필요하다.

 

 ▣ 고체 소듐(나트륨)과 염소가 결합하면서 에너지(열과 빛) 방출

 ▣ 고체나트륨 : 2Na (s) + Cl2 (g) ⇒ NaCl (s) + 에너지 (빛과 열)

   ※ 고체나트륨은 공기와 반응성이 아주 좋다. 나트륨은 자르면 하해지고 그 순간 금속 빛이 나게 된다.

       이 나트륨을 염소 기체에 넣게 되면 넣자마자 불이 확나고 엄청난 열과  빛을 내게 되고 남는 물질은 소금이 남게 된다.

 ▣ 모든 화학반응에는 에너지의 흡수 (흡열반응)나 방출 (발열반응)이 수반된다.

    ⇒ 즉, 항상 에너지가 관연하게 된다.

가. 에너지의 정의

  ▣ 에너지(Energy) : 일을 하거나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 에너지는 형태를 달리하면서 상호변환될 수 있으나 우주에서 에너지의 총량은 항상 일정하다.

    ⊙ 에너지 보존법칙 (Law of Conservation of Energy) : 열역학 제1법칙

 

나. 에너지의 형태

 

다. 에너지의 종류

 1) 운동에너지 (Kinetic Energy)

   ▣ 운동 (Motion)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

   ▣ 온도에 의존하는 열에너지도 이에 속함

   ▣ 에너지 산정식

 

 2) 포텐셜 에너지 (Potential Energy)

  ▣ 물체의 위치 때문에 생성되는 에너지

   ⊙ 화학에너지 (Chemical Energy) : 원자들의 결합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

   ⊙ 정전기에너지 (Electrostatic Energy) : 하전된 입자의 상호작용으로 생기는 포텐셜 에너지

  ▣ 에너지 변환의 예 : 댐 안에 갇힌 물방류 (PE) ⇒ 물이 발전기를 돌림 (kE) ⇒ 전기에너지의 형태로 공급

 

라. 에너지의 단위

  ▣ 에너지의 SI 단위 (과학적 공인 단위) : 줄 (J)

   ⊙ 물 1[g]을 1 [℃] 만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 : 1 [cal] = 4.184 [J]

   ⊙ 영양학적 칼로리는 킬로칼로리(kcal)를 사용하고 Cal로 표기함

  ▣ 열과 온도

   ⊙ 열 : 온도차에 의해 교환되는 에너지

   ⊙ 온도 :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

   ex) 물이 담겨 있는 두 플라스크 A (20[℃], 100 [g] 물), B (20[℃], 200 [g] 물)가 각각

         의 온도가 30[℃]까지 상승하였다면 더 많은 열을 흡수한 플라스크는 어는 것일까 ? [답] B

2. 발열반응과 흡열반응

가. 계와 주위

  ▣ 계 : 일반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우주의 특정 부분, 화학에서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물질을 포함한 반응 영역

  ▣ 주위 : 계 밖의 모든 우주

     ※ 우주 (Universe) = 계 (System) + 주위 (Surroundings)

 

   ⊙ 계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혼합물 (수소, 산소 및 물분자)

   ⊙ 계가 방출한 에너지는 소멸될 수 없으므로 주위에서 흡수

   ⊙ 열에너지가 계에서 주위로 이동하므로 발열 (exothermic) 반응

 

   ⊙ 열에너지가 주위에서 계로 공급되기 때문에 흡열 (endothermic) 반응

 

나. 계의 종류

   ▣ 열린 계 : 계와 주위 사이 에너지와 물질 모두 교환 가능

   ▣ 닫힌 계 : 계와 주위 사이 에너지의 교환은 가능하나 물질은 불가능

   ▣ 고립 계 : 계와 주위 사이 에너지와 물질 교환이 모두 불가능

                       (플라스크는 절연된 진공 커버로 둘러 싸임

 

다. 상태와 상태함수

  ▣ 계의 상태 : 물질의 조성, 에너지, 온도, 압력, 부피와 같이 관련된 모든 거시적 성질의 값

  ▣ 상태 함수 : 에너지, 온도, 압력, 부피

  ▣ 상태함수는 계의 상태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그 변화의 값은 계의 초기 상태와 최종 상태에만 의존

     ex) 손의 온도 : 37 [℃] ⇒ 40 [℃] ※ 손을 비빈다. 불에 손을 쬔다.

 

     ※ 상태함수 : 고도 (계단, 엘리베이터)

라. 열역학 제1법칙 (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

  ▣ 에너지는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지만, 창조되거나 파괴될 수 없다는 것을 말함

       U : 계의 내부 에너지, 상태함수이며 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입자들의 에너지

             (운동 + 포텐셜)의 합

 

   ex : 황 1 [mol]과 산소 1 [mol] 이 반응하여 이산화황 1[mol] 이 생기는 반응은 ?

 

  이 반응은 화학에너지의 일부가 열로 방출되므로 생성물의 내부 에너지 < 반응물의 내부

      에너지 ∴ △U < 0

 

 ▣ 반응에서 열 방출 : 계에 포함된 화학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었다는 점을 의미

     U우주 = U + U주위

     △U우주 = △U + △U주위

 ▣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보존되어야 하므로 우주의 에너지는 변화하지 않음

      △U + △U주위 = 0

 ▣ 계에서 에너지 변화 △U 가 일어나면, 우주의 나머지 부분인 주위의 에너지 변화는

      계의 에너지 변화와 크기는 같으나 부호는 반대여야 함

      △U = - △U주위

마. 일과 열

  ▣ 계가 열을 방출하거나 흡수할 때 또는 주위에 일을 하거나 주위로 부터 일을 받을 때 계의 내부 에너지 변화 

  ⊙ q 는 열 (계가 방출하거나 또는 계가 흡수하는 )

    ⊙ w 는 일 (계에 대하여 하거나 또는 계가 하는)

    ⊙ q와 w는 상태함수가 아니지만 △U는 상태함수

 

    ⊙ 계가 열을 방출 : q < 0

    ⊙ 계가 열을 흡수 : q > 0

    ⊙ 계가 주위로 일을 하면 (부피증가) w < 0

    ⊙ 계가 주위에서 일을 받으면 (부피감소) w > 0

  ex : 어떤 계가 187 [J]의 열을 흡수하고 주위에 142[J]의 일을 하였을 때 내부 에저지 변화 △U(Joules)를 구하시오.

         △U = q + w = +187[J] - 142 [J] = +45 [J]

3. 엔탈피 (Enthalpy)

 

 

   위 그림에서 쇼듐아자이트라는 물질인데 에어백에 넣는 성분이다.

   살짝만 충격을 가해도 부풀어 오르는 성질의 화학물질이다.

   만약에 이 물질을 반응시키는데 뚜껑을 완전히 닫고 했다면 이 물질은 고쳐였는데

   기체로 변한다. 그러면서 압력이 크게 증가한다.

 ※ 움직이는 피스톤의 경우 외부 압력과 내부 압력이 같은 상태에서 운동이 정지된다.

가. 일 (Work)

   ▣ 물체를 이동시키는 힘(F)과 물체의 이동거리(d)의 곱

 

나. 팽창한 일 (압력 - 부피의 일 또는 PV일)

 

    위 그림의 일과 압력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 계에서 나타내는 압력은 힘을 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밀어 올리는 힘을 구하려면

힘은 내부 압력에 면적을 곱하면 된다. 이때 밀어 올리는 힘 즉 내부압력은 외부 압려압력

과 같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을 미는 힘은 마이너스 외부 압력 곱하기 면적이 되고 일은 힘

대신에 압력 곱하기 단면적을 쓰게 되면 마이너스 외부압력 곱하기 단면적 곱하기 거리가

된다. 그리고 그 밑에 있는 단면적과 이동거리를 곱하는 것은 알고 있는 부피의 변화를 의

미하고 따라서 계가 하는 일은 마이너스 압력 곱하기 부피변화가 된다.

이 때 단위가 중요하다. 1[J]은 1[kpa] 곱하기 1 [ℓ]이다.

여기서 우리는 1 [atm]이 101.3 [kpa]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일량은 1[atm] × 1[ℓ] = 101. 3 [J]임을 알 수 있다.

 

가. 내부 에너지 변화 vs 엔탈피 변화

 

※ 우리가 화학반응에서 나오는 열량을 측정할 때는 일정 압력이 훨씬 중요한 상태가 된다.

    일정압력에서의 열량 변화 즉 엔탈피의 변화를 △H라고 한다.

    그리고 일정 부피에서 열량 변화는 내부 에너지의 변화가 된다.

    그러므로 일정 압력에서의 열량 변화는 엔탈피 변화 빼기 부피의 변화이다.

      ∴ △U = △H - P △ U

 ▣ 대부분의 반응은 일정 압력과정이기 때문에 계와 주위 사이에서 교환되는 열은 그 과정 의 엔탈피 변화와 동일하다.

    △ H = H (생성물) - H (반응물)

    △ H > 0 이면, 흡열반응

    △ H < 0 이면, 발열반응

  ※ 대부분의 반응은 일정한 압력과정이기 때문에 계와 주위 사이에 교환되는 열은 그 과정에 엔탈피 변화이다.

      왜냐하면 일정 압력에서 열량 변화가 엔탈피 변화라고 했을 때 엔탈피의 변화는 생성물이 가진 엔탈피에서

      반응물이 가진 엔탈피를 빼면 되는데 사실 이런 생성물의 엔탈피  자체를 측정하기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뭔가 열량 변화를 측정하려면 기준점이 있어야 되는데

      이 엔탈피 같은 경우는 원자핵과 전자가 가진 에너지를 "0"으로 볼거냐 아니 면 안에 있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

      이 상태가 가진 에너지를 "0"으로 볼거냐 아니면  더 이제 미립자로 들어가서 위쿼크, 아래 쿼크가 갖는 에너지를

      "0"으로 볼거냐 등 기준을 잡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엔탈피의 변화량의 값은 생성물 엔탈피에서 반응물 엔탈피를 빼는 것인데  엔탈피 자체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항상 엔탈피 변화는 화학반응에서 출입하는 열을 얼마 만큼 내놨다. 그럼 엔탈피 변화가 얼마다.

     생성물이 얼마 만큼 흡수했다 하면 엔탈피 변화가 얼마다 이런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H 가 0보다 크면 흡열이고 0보다 작으면 발열이다.

    △H가 0 보다 크다는 것도 계를 기본으로 한 것이다. 계의 입장에서는 생성물이 가진 열 이 0 보다 크다는 건

   생성물이 가진 열이 반응물이 가진 열보다 크다는 것이니까 계는 그 만큼 열을 흡수한 것이다. 따라서 흡열반응이다.

   반대로 △H가 0보다 작으면 생성물 이 가진 열량이 작아졌다는 것이므로 계 자체는 에너지를 잃은 발열반응이다.

4. 열량계와 열용량

가. 비열용량과 열용량

 1) 비열용량 (Specific heat Capacity. C)

   ▣ 물질 1[g]의 온도가 1 [℃] 만큼 올라 가는데 필요한 열의 양

      ⊙ 물의 비열은 거의 모든 물질에 비해 상당히 큼

        ex : 더운 여름 집 앞에 물 뿌리기

               낮에는 해풍 (바닷바람) & 밤에는 육풍 (육지바람)

 2) 열용량 (Heat Capacity. C= cm)

  ▣ 물질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양

     ⊙ 비열용량 (비열)이 크면 온도변화에 저항하는 정도가 커서 온도가 서서히 올라 감

 

나. 열량 측정법

  ▣ 물질의 온도가 변화하였을 때 이동한 열에너지의 양은 다음 세 변수를 곱한 값이다.

    【열 에너지 측정 공식】

      ⊙ 열 = 질량 × 비열용량 (비열) × 온도변화

      ⊙ q = m × C × △T

        ※ q : 열의 양 (J), m : 물질의 양 (g), C : 비열용량 (J/g. ℃), △T : 온도변화 [℃]

          ex : 차 한잔을 만들기 위해 235[g] 의 물을 25[℃]에서 100[℃]까지 가열할 때 필요한 열량을 구하시오.

                  q = m × C × △T = 235 × 4.184 × 75 =7.4 × 104 [J]

          ex : 일정한 양의 열을 이용하여 금속판을 가능한 한 높은 온도로 가열하고자 한다. 표에

                 있는 금속 중에서 어느 금속의 온도가 가장 높이 올라갈지 고르시오.

 

   ex : 질량이 15.5[g]인 합금 덩어리를 98.9[℃]로 가열하여 물 25.0 [g]이 들어 있는 열량계에 넣었더니

          온도가 22.5[℃]에서 25.7[℃]로 올라 갔다. 합금의 비열을 구하시오.

 

   ※ 물의 비열을 알고 있으므로 금속의 비열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5. 열화학반응식

가. 열 화학 반응식

   ▣ 질량관계와 반응에 출입한 엔탈피 변화까지 보여주는 화학반응식

 

나. 열 화학 반응식의 특징

   ① 모든 반응물과 생성물의 물리적 상태를 상상 표시하여야 실제 엔탈피 변화를 알 수 있다.

 

   ② 열 화학 반응식의 각 변에 n을 곱하면, △H도 n배 만큼 변해야 한다.

 

   ③ 반응식을 역으로 쓰면, 반응물과 생성물의 역할이 바뀌므로 △H의 크기는 같지만 부호는 바뀐다.

 

     ※ 흡열과정이었던 것이 역과정에서는 발열과정이 되고 발열과정은 흡열과정이 된다.

다. 헤스 (Hess)의 법칙

 ▣ 헤스(Hess)의 법칙

  ⊙ 엔탈피는 상태함수이므로 반응물이 생성물로 변하는 반응의 엔탈피 변화는 과정의

      단계수와 상관없이 초기상태와 최종 상태만 일정하면 동일하다.

 

  ▣ 메테인이 연소하여 CO2(g)와 H2O(g)가 생성되는 반응

       ⇒ 이 반응은 다음과 같이 2단계에 걸쳐 일어난다.

 

   ex : 다음 열화학 반응식을 이용하여 엔탈피 변화를 구하시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