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기체가 한일과 내부에너지

가. 열에너지

  ▣ 열에너지 : 물체 내부의 분자운동에 의해 나나타는 에너지

    ⊙ 온도 :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기준을 정해 수치로 나타낸 것

    ⊙ 열 :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스스로 이동하는 에너지

  ▣ 열 평형상태 :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해 있을 때 두 물체의 온도가 같아지는 상태

 

위 그림에서 온도가 높은 물체와 낮은 물체가 접촉하면 결국 열평형상태가 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나. 기체가 하는 일

  ▣ 여기서 일은 물체가 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W = P · △ V [단위 : J]

       여기서, W : 기체가 외부에 한 일

                     P : 압력

                    △V : 부피의 변화 (이동한 거리)

 

위 그림에서 압력은 기체가 벽면을 때리는 힘으로 보면 되는데 이 힘에 의하여 피스톤이 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를 일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일정한 압력일 때 부피를 증가시키면 일을 하게 된다. W = F · d 에서 W = P · △V 가 된다.

이 때 일이란 부피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부피의 변화가 없다면 일을 한 것이 아니다.

 ▣ 기체의 부피 변화와 외부에 한 일의 관계

   ⊙ 기체가 팽창할 때 : △V > 0 이므로 W > 0 이다. ⇒ 기체가 외부에 일을 한다.

   ⊙ 기체가 수축할 때 : △V < 0 이므로 W < 0 이다. ⇒ 기체가 외부에서 일을 받는다.

 ▣ 압력과 부피의 관계 그래프

   ⊙ 기체가 한 일은 압력 - 부피 그래프 아랫부분의 넓이와 같다.

위 그래프에서 압력은 힘이고 부피는 이동거리이므로 P × V는 일의 양 W가 된다.

그런데 압력 - 부피 곡선이 직선일 경우 P × V는 직선 아래 부분 면적이 되므로 P - V 곡선 아래 부분 면적이 일의 양이 된다.

위 그림의 오른쪽 순환과정의 경우에는 순환과정 위 부분 곡선 아래 부분면적에서 아래 부분 곡선 아래 부분 면적을 뺀 면적이 일의 양이 되는데 이는 순환곡선 내부의 면적이 된다.

즉, 순환과정의 경우에는 순환곡선내부의 면적이 일의 양이 된다.

나. 기체의 내부 에너지

▣ 기체 내부 에너지 : 이상기체의 경우 내부에너지는 기체 분자운동에너지의 총합이다.

     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열역할 제1법칙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내부에너지는 이상기체상태를 가정해서 알       아 볼 것인데 이상기체란 기체 분자간 힘을 거의 무시하는

     상태를 말한다. 분자간 힘이 작용하지 않고 분자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U ∝ N Ek ⇒ U ∝ NT

        여기서, U : 이상기체 내부에너지

                     Ek : 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

                      N : 기체 분자수

이상기체 내부에너지는 기체의 평균운동에너지에 비례하고 기체의 분자수와 절대온도의 곱에 비례한다. 즉, 기체의 내부에너지는 기체의 분자수와 절대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절대온도에 의해 내부에너지가 결정된다.

 

위 그림의 그래프는 등온선을 나타낸다.

등온선은 온도가 같은 점을 이은 선이다. 위 그래프에서 T1선과 T2선 상에 있는 점들은 온도가 같게 된다. 등온선의 특징중에 하나가 P × V 값이 같다. 따라서 동온선 내에서는 모두 P × V 값이 같고 동온선이 우상향하게 되면 P × V 값이 커지게 된다.

2. 열역학 제1법칙

    Q = △ U + W = △U + P · △V

      여기서, Q :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량

                 △U : 기체 내부의 에너지 변화량

                  W : 기체가 외부에 한 일

                  P : 압력

                △ V : 기체의 부피 변화량

위 식의 의미는 어떤 기체에 외부에서 열을 가해 주면 기체의 내부에너지를 증가시키거나 기체가 외부에 일을 할 수 있게 도와 준다라고 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받은 열이 기체의 내부에너지로 변화되거나 외부에 하는 일로 변환된다는 에너지 보존 법칙을 말한다.

 

위 그림의 실린더를 예를 들면 외부에서 열이 가해지면 실린더 내의 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증가하데 된다. 왜냐하면 실린더 내의 기체의 온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체 내부에 증가한 에너지로 외부에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위 식에서 △U ∝ N · T 이다. 즉, 내부에너지는 기체의 분자수와 절대온도에 비례하게 된다.

 

위 그래프에서 곡선은 동온선을 나타낸다.

이 등온선에서는 P × V 값이 같게 된다. 등온선에서는 온도가 같게 되는데 온도가 같다는 말은 내부에너지가 같다는 의미이다. 이는 기체 분자의 운동에너지도 같다는 것과 같다.

가. 등적 과정 (부피가 일정한 과정)

 
 

등적과정은 부피가 일정할 때의 과정을 말한다.

즉, 부피의 변화량 △V가 "0"일 때의 과정이다. 위 그림에서 실린더 내에 외부로 부터 열이 가해지는데 부피가 변화할 수 없는 상황이다.

Q = △U + P · △V 의 식에서 △V=0 이면 Q = △U 가 되므로 외부에서 가해준 열은 모두 내부에너지 증가로 변환된다.

위 그래프를 보면 부피가 변하지 않고 있다. T1 곡선에서 T2 곡선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등온 곡선이 우측 상단으로 이동하였으므로 내부에너지는 증가하고 온도도 증가하고 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나. 등압과정 (압력이 일정한 과정)

 

등압과정은 압력이 일정한 과정이다. 위 그림의 실린더를 보면 외부로 부터 열을 받고 부피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식으로 표현을 하면 다음과 같다.

       Q = △U + P · △V

위 식에서 압력이 일정하다고 하였으므로 P값이 일정하다. 외부에서 열이 가해지면 압력 P값만 제외하고 모두가 증가하게 된다. 외부에서 열이 전달되니 온도가 올라가서 내부에너지가 증가하게 되고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열이 들어 오면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고 동일한 압력 내에서 부피가 증가하므로 외부에 일을 하게 된다.

위 그림의 그래프를 보면 압력은 일정한 상황이고 부피가 쭉 증가하게 된다. 압력 - 부피 그래프에서 그래프 아랫쪽 부분의 면적이 일의 양이 된다.

다. 등온과정 (온도가 일정한 과정)

 

등온과정은 온도가 일정한 과정을 말하는데 위 그림에서 온도가 일정하다는 것은 동온선을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Q = △U + P · △V

위 식에서 외부에서 열을 받는데 온도가 일정하다 하였으므로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은 없게 된다. P · △V 는 일을 나타내는데 외부에서 받은 열이 모두 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위 그래프를 보면 그래프 아래쪽 면적이 일의 양이 된다. 일을 할려면 부피가 증가해야 한다. 즉, 외부에서 열을 받아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등온선은 P × V가 일정하다고 했다. 따라서 P × V 가 일정하려면 P·△V에서 부피가 증가해야 하므로 압력은 감소해야 한다.

종합하면 동온 과정에서는 내부에너지의 변화가 없으므로 외부에너지를 받은 만큼 일을 하게 된다. 압력은 감소하면서 부피가 증가하여 외부에 일을 하게 된다.

라. 단열과정

 

 

단열과정은 열의 출입이 없는 과정을 말한다. 즉, Q의 값이 변화가 없다. △Q = 0 인 상태를 말한다. 열량 즉, Q값에 변화가 없다. △Q = 0 인데 위 식에서 보면 부피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Q = △U + P · △V

위 식에서 Q는 변화가 없는데 부피가 증가하려면 내부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일을 해야 하는 과정을 말한다. 위 그림에서 그래프를 보면 내부에너지가 감소하므로 등온선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는 P × V 값이 감소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피는 증가하는데 P × V값이 감소하므로 압력 P값은 감소해야 된다.

이를 종합하면 외부에 한 일 W = - △U 가 된다. 즉, 내부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일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에너지보존법칙 #열역학제1법칙 #열역학 #에너지 #열 #온도 #등온과정 #등적과정

#등압과정 #단열과정

반응형
반응형

일과 열은 유사점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보호의 규약을 예를 들면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열은 +Q, 즉, 시스템에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에너지를 나타내며, 시스템이 하는 일은 +W, 즉, 시스템에서 외부로 보내지는 일 에너지를 나타낸다.

 
 

위 그림과 같이 기체가 들어 잇는 실린더에 움직이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열과 일에 대하여 살펴보면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경계내의 계인 기체에 열이 가해지면 온도가 증가하고 따라서 기체의 압력도 증가할 것이다. 이 때 압력은 이동계의 외력 Fext 에 의하여 그 크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만약,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체적은 대신 증가해야만 한다. 열이 계로 부터 경계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면 반대로 기체의 압력이 감소할 것이며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다고 하면 기체의 체적은 줄어들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계에 열이 가해지면서 동시에 외력 Fext가 감소하는 경우는 기체의 압력이 감소되어 동시에 온도가 낮아질 것이다. 이와 같이 온도 변화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경우 두가지 효과가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위 그림은 견고한 용기에 계인 기체가 들어 있고 용기내 계의 외부에는 저항 코일이 감겨져 있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여 열전달에 의해 기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이다. 그림과 같이 계의 경계를 통과한 것이 열인가? 일인가?를 살펴보기 위해 두가지 경계로 구분하였다. 즉, 경계 1의 경우에는 오로지 기체가 하나의 계이고, 배터리로 부터 전류가 흐를 때 코일이 가열된다면 경계를 통해 기체로 열이 전달되어 계와 주위의 상호 작용하는 것은 열 뿐이다. 따라서 열이 계(시스템)의 경계1을 통과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 경계2로 이루어진 때는 전기적인 일이 경계를 통해 계로 전달되는 경우이다. 이 때는 경계 2를 통과하는 것이 오로지 전기적 일 뿐이다. 따라서 열과 일은 경계에 따라 현상이 다르게 되므로 경계현상임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부터 열과 일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열과 일은 모두 경계현상 (boundary phenomena)이다. 즉, 열과 일 모두 계의 경계에서만 구분되며 계의 경계에 따라

       통과하는 에너지는 다르게 나타난다.

  2. 열과 일은 모두 과도현상 (transient phenomena)이다. 즉, 계는 열과 일을 보유할 수 없으며, 일시적 현상으로 시스템

       (계)의 상태가 변할 때 이중 하나 혹은 모두가 경계를 통과한다.

 

다음, 열과 일로 인하여 전달된 에너지의 양을 계산한다면 순간전달률 Q와 순간 발생된 일 W에 대하여 다음 식과 같이 시간에 대하여 적분하여 그 크기를 알 수 있다.

위 적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각 순간 전달률 Q와 W의 변화를 알아야 한다. 전달률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시간동안에는 전달률은 단순 평균값을 사용하여도 된다. 즉,

으로 가능하다.

ex1 : 실린더에 밀폐된 8[㎏]의 공기가 그림과 같이 P1 = 800[kPa], V2 = 0.27 [㎥] 에서 P2 = 350 [kPa], 체적 V2 = 0.8 [㎥]

         로 직선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

 

  ※ 팽창일 : P-V 선도의 면적

ex2 : 밀폐용기에 비내부에너지가 200[kJ/㎏]인 기체 0.5 [㎏]이 있다. 이 기체를 용량이 500[W]인 전기가열로 2분 동안

         가열하였다면 최종 상태에서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단, 열량은 기체로만 전달된다고 한다.)

ex 3 : 30 [℃]에서 비체적이 0.001 [㎥/kg]인 물을 100[kPa]의 압력에서 800 [kPa]의 압력으로 압축한다. 비체적이 일정하다

             고 할 때, 이 펌프가 하는 일 [J/kg]을 구하면 ?

ex 4. 내부에너지 130 [kJ]를 보유하는 물질에 열을 가했더니 내부에너지가 200[kJ]로 증가했다. 이 물질이 외부에

           7,000[N·m]의 일을 하였을 때 가해진 열량은 몇 [kJ]인가 ?

ex 5. 실린더 내의 밀폐된 가스를 피스톤으로 압축하는 과정에 13.32 [kJ]의 열을 방출하였고, 압축일의 크기는

         22,000 [N·m]이다. 이 가스의 내부에너지 증가량을 구하라.

#일 #열 #에너지 #압축열 #온도 #시스템 #경계현상 #과도현상 #미분 #적분 #전달률 #평균값

반응형
반응형

【 열역학 (Thermodynamics】

  ▣ 물질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열과 일의 양은 열역할 법칙으로 정의되는 에너지와 엔트로피 등의 열역학적

      변수들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학문

   ※ 일 ↔ 열 : #물리적 #현상

1. 열역학 제0법칙 [열평형, 온도평형의 법칙]

   ▣ #온도 가 서로 다른 물체를 접촉시켜 놓으면 얼마 후 온도가 같아진다. (열평형상태)

 

    ◈ 고온체와 저온체를 함께 놓으면 열이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여 온도가 같아지려는 성향을 갖는다.

       (온도계의 원리)

2. 열역학 제1법칙 : 에너지 보존법칙

▣ 어떤 고립된 계의 총에너지는 일정하다는 법칙

   ⊙ 내부에너지 변화가 계에 가해진 열과 계가 한일 사이의 차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에너지 는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는다.

 

   ◈ 에너지의 양적관계

   ◈ 열 = 에너지 = 일

   ◈ 가역적인 법칙

     ⊙ 열 ↔ 일, 1[kcal] = 4.184 [kJ]

                        4.184[kJ/kcal] : 열의 일당량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열과 운동의 관계로 정리를 하면..

 

 

3. 열역학 제2법칙

  ▣ 고립계에서 총 엔트로피의 변화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며 절대로 감소하지 않는다.

 

   ① 열은 자연적으로 저열원에서 고열원으로 이동할 수 없다.

   ② #효율 100%의 열기관은 존재할 수 없다.

 

※ 열역학 제2법칙 (에너지 흐름의 법칙)

   ◈ 자연적 · #경험적 법칙

   ◈ 일 → #열

   ◈ #열효율 100 [%]는 없다. * 인위적으로 가야 하므로 효율이 떨어진다.

   ◈ #비가역적 법칙이다.

4. #열역학 제3법칙

  ▣ #절대온도 에 가까워질수록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0에 수렴한다.

      그리고 계는 절대온도 0도에 이를 수 없다.

 

          1종 영구기관 및 2종 영구기관
  ▣ 1종 영구기관 : 열역학 1법칙에 위배되는 기관
  ▣ 2종 영구기관 : 열역학 2법칙에 위배되는 기관

【 열량의 단위】

   ◈ 1 [kcal] : 표준 대기압에서 순수한 물 1[㎏]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1[btu] : 1파운드의 물을 1[°F] 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1[CHU] : 1파운드의 물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섭씨 : 14.5 ⇒ 15.5 [℃] 화씨 : 60 ⇒ 61 [°F]

 【 비열 】

   ◈ 비열이란 어떤 물질의 단위 질량을 1[℃] 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단위질량을 단위 온도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기체의 비열에는 2가지가 있다. : 정합비열과 정적비열로 나뉜다.

       ⊙ 정합비열 : 압력이 일정할 때 (CP: constant pressure)

       ⊙ 정적비열 : 체적이 일정할 때 (CP : constant volume)

         Cp > Cv

         Cp - Cv = R (기체상수)

         Cp / Cv > 1

           ★ #수증기 #비열 0.44 [cal/g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