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변압기 운전

가. 변압기의 열화

 1) 변압기 호흡작용

   ▣ 변압기에 사용되는 절연유가 변압기 외부 온도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고 수축하는 현상

 2) 변압기의 열화원인

   ▣ 변압기의 호흡작용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과 산소를 흡수하게 되어 절연유가 산화되고 침전물이 생기게 된다.

 3) 열화에 의한 영향

   ① 절연내력 저하    ② 냉각효과 감소    ③ 침식작용

 4) 열화방지 설비

   ① 브리더(흡습호흡기, 실리카 겔) ② 질소봉입 ③ 콘서베이터 (수소 배출)

 5) 개방형 콘서베이터

   ① 콘서베이터는 변압기의 상부에 원통형의 유조(기름 통)로 그 속에는 1/2 정도의 기름이 들어 있고,

        1/2 정도의 질소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② 주변압기 외함 내의 기름과 콘서베이터는 가느다란 U 자형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③ 그림은 개방형 콘서베이터로 질소가스가 봉입되어 있지 않은 형태이다.

 

   ④ 변압기 호흡작용에 의한 변압기 기름의 팽창, 수축이 콘서베이터 상부에서 행해지므로

        높은 온도의 기름이 직접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막아 기름의 열화를 방지한다.

 

【기출 & 예상적중 문제】

  다음은 유입변압기의 절연유 열화에 관한 표와 변압기 그림의 일부분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전기산업기사 5점)

    (2) 그림은 절연유 열화방지를 위한 oil Seal Tank 설치용 변압기이다. 각 부위 ① ~ ④에

          채워져 있는 물질명을 쓰시오.

 

   [답안작성] ① 여과지 및 흡습제 ② 공기 ③ 절연유 ④ 질소

 (3) 그림에서 ③, ④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③ 절연유 : 변압기의 절연 및 냉각    ④ 질소 : 절연유 열화방지

2. 변압기 냉각방식

가. IEC 규격에 따른 냉각방식의 표기법

 

 1) 첫번째 글자 : 내부 냉각 매체

   ① A - 공기 (Air)                                                 ② O - 광유, 절연유로 인화점 300[℃] 이하 (Oil)

   ③ K - 난연성 절연유로 인화점 300 [℃] 초과    ④ G - Gas (SF6)

 2) 두번째 글자 : 내부 냉각 매체 순환방식

   ① N - 자연순환 (Natural)                       ② F - 강제순환 (Forced)

   ③ D - 직접 강제 순환 (Direct Forced)

 3) 세번째 글자 : 외부 냉각 매체

   ① A - 공기           ② W - 물 (Water)

 4) 네번째 글자 : 외부 냉각매체 순환방식

   ① N - 자연순환       ② F - 강제 순환

나. 변압기 냉각방식의 종류

 1) 건식 자냉식 (AN) : 옥내에 사용

    ① 변압기 본체가 공기에 의해 자연적으로 냉각되도록 한 것

    ② 소용량 변압기의 냉각에 사용

 2) 건식풍냉식 (AF)

    ① 건식 변압기에 송풍기를 이용하여 강제풍통 시킨 방식

    ② 변압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22[kV] 이하의 변압기에만 적용

 3) 유입자냉식 (ONAN) ⇒ OA

    ① 권선과 철심에서 발생한 열을 기름의 대류 작용에 순환하고 외함에서 열을 대기로 방산시키는 방식

    ② 보수가 간단하고 취급이 쉽기 때문에 널리 사용

 4) 유입풍냉식 (ONAF) ⇒ FA

    ① 방열기를 설치한 유입변압기에 송풍기를 이용하여 강제통풍시킴으로써 냉각효과를 높이는 방식

    ② 유입 자냉식보다 용량을 30[%] 증가시킬수 있어 대형 변압기에 많이 이용

 5) 유입수냉식 (ONWF)

    ① 펌프로 물을 순환시켜 기름을 냉각하는 방식

    ② 수질이 좋지 않으면 물 때가 끼고 관부식을 초래 (유지보수가 까다로워 최근 감소 추세)

 6) 송유자냉식 (OFAN)

    ① 송유펌프로 기름을 강제로 순환시키는 방식

    ② 소음, 오손방지를 위하여 변압기 본체를 옥내에, 방열기 탱크를 옥외에 설치

 7) 송유풍냉식 (OFAF)

    ① 변압기 외함 내에 들어 있는 기름을 이용하여 외부에 있는 냉각장치로 보내서

         냉각시킨 후 냉각된 기름을 다시 외함으로 공급하는 방식

    ② 냉각효과가 크기 때문에 30000[kVA] 이상의 대용량 변압기에 채용

 8) 송유수냉식 (OFWF)

    ① 송유자냉식의 방열기 탱크에 수냉식 유닛쿨러 설치

    ② 소음이 적어 도시 및 그 주변 지역에 설치하기에 적합

       ※ ONAN : 유입자냉식 ONAF : 유입풍냉식 ONWF : 유입수냉식

           OFAF : 송유풍냉식 OFWF : 송유수냉식

다, 변압기의 과부하 운전조건

 1) 주위 온도 저하로 인한 과부하

   ▣ 냉각공기의 최고 온도 30[℃]에서 1[℃] 저하시 그 온도차의 8[%] 만큼 과부하 운전가능

 2) 부하율 저하로 인한 과부하 운전

   ▣ 부하율이 90[%] 보다 낮을 경우 90[%]와 그 차이의 1[%]에 따라 상응하는 과부하 운전 가능

【 기출 & 예상 적중문제 】

   ▣ 변압기를 정격부하에 비하여 과부하로 단시간 동안 운전할 수 있는 조건을 3가지 내열하시오.

    ① 변압기 설치 주위 온도가 저하되었을 때

    ② 변압기의 온도 상승 시험 기록에 미달되어 있는 경우

    ③ 부하율이 현저히 저하된 상태로 운전되는 경우

3. 변압기의 용량 산정

가. 변압기 용량 결정

 1) 합성 최대 전력 계산

 

2) 변압기 용량 결정

  ① 변압기 용량은 위에서 구한 합성 최대 전력 이상인 용량으로 결정해야 한다.

  ② 즉, 변압기 용량 [kVA] ≥ 합성 최대 전력 [kVA] 이어야 한다.

  ③ 전력용 3상 변압기 표준용량 [kVA]

      5, 10, 15, 20, 30, 40, 50, 75, 100  150, 200, 250, 300, 750, 1000

 

[참고자료]

  ① 부하곡선

 

② 평균전력 산식

 

  ③ 용어

    ⊙ 수요 :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히터, 전등 등

    ⊙ 부하 : 실제 사용하는 용량

나. 변압기 용량 결정시 필요한 인자

 1) 수용률

   ① 수용설비가 동시에 사용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 총설비 용량에 대한 최대전력의 비를 백분률로 나타낸 것

   ② 변압기 등의 적정한 공급설비 용량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 수용률이 크다 ⇒ 최대전력이 크다 ⇒ 변압기 용량 증가 ⇒ 경제적으로 분리하다. (수용률 보통 70%)

2) 부하율

  ① 공급설비가 어느 정도 유용하게 사용되는가를 나타낸다.

  ② 부하율이 클수록 공급설비가 그 만큼 유효하게 사용된다는 것을 뜻한다.

     ※ 설비이용률 : 최대전력에 대한 평균전력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 부하율이 작다 ⇒ 부하곡선이 뾰족하다 : 최대전력과 평균전력의 차카 크다.

        부하율이 크다 ⇒ 부하곡선이 평평하다 : 최대전력과 평균전력의 차가 작다.

        부하율이 크면 첨두부하 설비가 필요하다.

 

3) 부등률

  ① 전력소비 기기가 동시에 사용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② 부등률이 클수록 설비의 이용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 만큼 유리하다.

  ③ 부등률은 항상 1보다 크거나 같다.

 

 

   ※ 부등률이 클 수록 경제적이다.

다. 변압기 용량 산정

 1) 변압기 용량 결정

 

  (1) 합성 최대 전력 계산

 

  (2) 변압기 용량 산정

   ① 변압기 용량은 위에서 구한 합성 최대 전력 이상인 용량으로 하여야 한다.

   ② 즉, 변압기 용량 [kVA] ≥ 합성 최대 전력 [kVA] 이상이어야 한다.

 

   ③ 전력용 3상 변압기 표준용량 [kVA]

     5, 10, 15, 20, 30, 40, 50, 75, 1000

     150, 200, 250, 300, 500, 750, 1000

 

【출제문제 유형】

 1. 단일 수용가

 

 2. 다중 수용가

 

3. 손실 or 여유율이 주어진 경우

   ▣ 합성 최대 전력의 □ % 손실

   ▣ 여유율이 □% 이다.

 

 4. 효율이 주어진 경우

 

[기출 & 예상 적중 문제]

 1. 부하율에 대하여 설명하고 부하율이 작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2가지를 쓰시오.

   (1) 부하율 : 공급설비가 어느 정도 유용하게 사용되는지 정도

                       최대 전력 대비 평균 전력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2) 부하율이 작다는 것의 의미

        ① 최대 전력과 평균전력의 차가 크다.

        ② 공급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③ 첨두부하설비가 필요하다.

2. 다음 표에 나타난 어느 수용가들 사이의 부등률이 1.1이다. 이 때 이들의 합성 최대

    전력은 몇 [kW]인가 ?

수용가
설비용량 [kW]
수용률 [%]
A
300
80
B
200
60
C
100
80

  [답안작성]

 

반응형
반응형

 

♠ 아파트 상정부하, 수용부하 산정 및 전력공급계약

 

▣ 다음과 같은 아파트 단지를 계획하고 있다. 주어진 규모 및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규모]

  ① 아파트 동수 및 세대수 : 2동 300세대

  ② 세대당 면적과 세대수 : 표

동별
세대당면적[㎡]
세대수
동별
세대당면적[㎡]
세대수
1동
50
30
2동
50
50
70
40
70
30
90
50
90
40
110
30
110
30

 

  ③ 가산[VA] : 80[㎡]이하 750[VA],    150[㎡] 이하 1,000[VA]

  ④ 계단, 복도, 지하실 등의 공용면적 1동 : 1,700[㎡],    2동 1,700 [㎡]

  ⑤ [㎡] 당 상정부하

      아파트 : 40[VA/㎡], 공용부분 : 7[[VA/㎡]

  ⑥ 수용률

    ⊙ 70세대 이하 65[%]           100세대 이하 60[%]

    ⊙ 150세대 이하 55[%]          200세대 이하 50[%]

 [조건]

  ① 모든 계산은 피상전력을 기준한다.

  ② 역률은 100[%]로 보고 계산한다.

  ③ 주변전실로 부터 1동까지는 150[m]이며 동내의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④ 각 세대의 공급방식은 110/220[V]의 단상 3선식으로 한다.

  ⑤ 변전실의 변압기는 단상 변압기 3대로 구성한다.

  ⑥ 동간 부동률은 1.4로 본다.

  ⑦ 공용부분의 수용률은 100[%]로 한다.

  ⑧ 주변전실에서 각 동까지의 전압강하는 3[%]로 한다.

  ⑨ 이 아파트 단지의 수전은 13,200/22.900[V]의 Y 3상 4선식의 계통에서 수전한다.

  ⑩ 사용설비에 의한 계약전력은 사용설비의 개별 입력의 합계에 대하여 다음 표의 계약

      전력 환산율을 곱한 것으로 한다.

구분
계약전력 환산율
비고
처음 75 [kW]에 대하여
100 [%]
계산의 합계 수치 단수가 1[kW]
미만일 경우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다음 75 [kW]에 대하여
85 [%]
다음 75 [kW]에 대하여
75 [%]
다음 75 [kW]에 대하여
65 [%]
300 [kW] 초과분에 대하여
60 [%]

 

 (1) 1동의 상정부하는 몇 [VA]인가 ?

 (2) 2동의 수용부하는 몇 [VA]인가 ?

 (3) 이 단지의 변압기는 단상 몇 [kVA]짜리 3대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단, 변압기의 용량

     10[%]의 여유율을 보며 단상 변압기의 표준용량은 75, 100, 150, 200, 300[kVA] 등 이다.

 (4) 한국전력공사와 변압기 설비에 의하여 계약한다면 몇 [kW]로 계약하여야 하는가 ?

 (5) 한국전력공사와 사용설비에 의하여 계약한다면 몇 [kW]로 계약하여야 하는가 ?

 

【답안작성】

 

(1) 1동의 상정부하는 몇 [VA]인가 ?

 ▣ 상정부하 = 바닥면적 × [㎡]당 상정부하 + 가산부하

세대당 면적
[㎡]
상정부하
[VA/㎡]
가산부하
[VA]
세대
상정부하 계 [VA]
50
40
750
30
[50 × 40 + 750] × 30 = 82,500
70
40
750
40
[70 × 40 + 750] × 40 = 142,000
90
40
1,000
50
[90 × 40 + 1000] × 50 = 230,000
110
40
1,000
30
[110 × 40 + 1000] × 30 = 162,000
합계
616,500[VA]

  ∴ 공용면적까지 고려한 상정부하 = 616,500+1,700 × 7 = 628,400 [VA]

 

(2) 2동의 수용부하는 몇 [VA]인가 ?

  ▣ 상정부하 = 바닥면적 × [㎡]당 상정부하 + 가산부하

  ▣ 수용부하 = 상정부하 × 수용률

세대당 면적
[㎡]
상정부하
[VA/㎡]
가산부하
[VA]
세대
상정부하 계 [VA]
50
40
750
50
[50 × 40 + 750] × 50 = 137,500
70
40
750
30
[70 × 40 + 750] × 30 = 106,500
90
40
1,000
40
[90 × 40 + 1000] × 40 = 184,000
110
40
1,000
30
[110 × 40 + 1000] × 30 = 162,000
합계
590,000[VA]

   ∴ 공용면적까지 고려한 수용부하 = 590,000×0.55+1,700 × 7 = 336,400 [VA]

 

(3) 이 단지의 변압기는 단상 몇 [kVA]짜리 3대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단, 변압기의 용량은 10[%]의

     여유율을 보며 단상 변압기의 표준용량은 75, 100, 150, 200, 300[kVA] 등 이다.

 

(4) 한국전력공사와 변압기 설비에 의하여 계약한다면 몇 [kW]로 계약하여야 하는가 ?

  ▣ 변압기 용량이 200[kVA] 3대 이므로 200 × 3 = 600[kW] 로 계약

 

(5) 한국전력공사와 사용설비에 의하여 계약한다면 몇 [kW]로 계약하여야 하는가 ?

  ▣ 1동 상정부하 = 628,400 [VA]

  ▣ 2동 상정부하 = 590,000+1,700 × 7 = 601,900 [VA]

  ▣ 사용설비용량 = (628,400+601,900) × 10-3 = 1,230.3 [kW]

     ∴ 계약전력 = 75+75 × 0.85 + 75 × 0.75 + 75 × 0.65 +(1,230.3-300)×0.6

                    = 801.93 [kW]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정답 : 802[kW]

 

반응형

+ Recent posts